KR20010056407A -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6407A
KR20010056407A KR1019990057862A KR19990057862A KR20010056407A KR 20010056407 A KR20010056407 A KR 20010056407A KR 1019990057862 A KR1019990057862 A KR 1019990057862A KR 19990057862 A KR19990057862 A KR 19990057862A KR 20010056407 A KR20010056407 A KR 20010056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text
line
tex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경
도성섭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5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6407A/ko
Publication of KR2001005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40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99On error, send error over lightdiode to external p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이다.
공장의 자동화 설비부는 설비 제어를 통해 발생되는 설비 가동, 설비 고장, 가동 이력 현황을 포함하는 라인 정보를 실시간 저장하고, 문자 호출 요청부는 자동화 설비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고장 정보를 수집하여 문자 호출 요청 정보로 변환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문자 호출부에 제공하고, 문자 호출부는 입력되는 문자 호출 요청 정보를 해당 가입자에게 문자 호출 정보를 출력하며, 문자 호출 수신부는 문자 호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해당 호출 정보를 통보한다.
그 결과, 자동화 설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감시할 수 있고, 고장 발생시 즉각적으로 해당 보전 요원에게 고장 정보를 자동으로 통보하므로써 작업의 중단없이 원활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SYSTEM FOR AUTO INFORMING OF A BREAKDOWN INFORMATION IN A FACTORY AUTOMATION}
본 발명은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 설비가 구비된 공장에서 발생되는 고장 정보를 해당 설비를 보전 처리하는 요원에게 실시간으로 자동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공장은 사람이 직접 생산 라인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인가공 라인과, 자동화 설비가 생산 라인에 투입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자동화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화 라인에서 설비 고장 진단 및 수리를 담당하는 보전 요원은 라인 순찰에 의해 설비 고장을 발견하고, 해당 설비의 고장 정도를 해소하기 위해 보전 요원의 경험 및 능력에 따라 설비 고장을 진단하고 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자동화 라인에서 설비의 고장이 해당 보전 요원을 호출하는 방법으로는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자동 숫자 호출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전화비, 월 사용료 등의 비용이 증가하고, 회선 속도가 느리며, 암호화된 숫자로 호출함으로써 해당 정보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전 요원을 호출하는 방법으로 자가 페이징 터미널을 이용한 수동 보전 요원 영문 및 숫자 호출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페이징 터미널 구입을 위한 초기 투자비가 상승하고, 회선 속도가 느리며, 암호화된 영문 및 숫자로 호출함으로써 정보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전 요원을 호출하는 방법으로 자가 페이징 터미널을 이용한 자동 보전 요원 문자 호출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페이징 터미널 구입을 위한 초기 투자비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전 요원을 호출하는 방법으로는 인터넷을 통한 수동 메시지 전달 방식은 문자 호출 가입자를 위한 통신 회사의 서비스로 수동 호출시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공장 자동화를 위한 고장 정보 인지까지 시간이 걸리고, 또한 관리한 사람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화 공장에서 생산 라인의 가동 정보와 고장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검출 저장하고, 상기 검출된 고장 정보를 담당 보전 요원에게 자동으로 통보할 수 있는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장의 자동화 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장의 자동화 설비부 110 : 설비 진단부
120 : 제1 중계부 130 : 제1 모니터링 컴퓨터
140 : 제2 모니터링 컴퓨터 150 : 제2 중계부
160 : 가동/이력 관리 DB 170 : 이력 관리 컴퓨터
200 : 문자 호출 요청부 300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400 : 문자 호출부 500 : 문자 호출 수신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은,
설비 제어를 통해 발생되는 설비 가동, 설비 고장, 가동 이력 현황을 포함하는 라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저장하는 공장의 자동화 설비부;
상기 자동화 설비부로부터 고장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고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문자 호출 요청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문자 호출 요청부;
상기 문자 호출 요청 정보를 제공받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문자 호출 요청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가입자에게 문자 호출 정보를 출력하는 문자 호출부; 및
상기 문자 호출부로부터 문자 호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해당 호출 정보를 출력하는 문자 호출 수신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에 의하면, 공장 설비의 고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담당 보전 요원에게 통보함으로써 신속한 보전 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설비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면,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공장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은 공장의 자동화 설비부(100), 문자 호출 요청부(200),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이하 ISP라 칭함.)(300), 문자 호출부(400) 및 문자 호출 수신부(500)를 포함한다.
공장의 자동화 설비부(100)는 생산 라인상에 구비되는 설비 장치의 제어를 통해 발생되는 라인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또한 해당 라인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라인 정보는 설비 장치의 가동 정보, 설비 장치의 고장 정보, 그리고 설비 장치의 가동 이력 현황 등을 포함한다.
문자 호출 요청부(200)는 공장의 자동화 설비부(100)로부터 고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고장 정보를 문자 호출 요청 정보로 변환하여 ISP(3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문자 호출부(400)에 제공한다. 이때 ISP(300)는 인터넷 연결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체로, 예를 들어 컴퓨터 통신 서비스 사용자들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한국 통신의 하이텔, 삼성 SDS에서 제공하는 유니텔, 데이콤에서 제공하는 천리안, 현대 정보 기술에서 제공하는 신비로 등의 통신 매체이다.
문자 호출부(400)는 인터넷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문자 호출 요청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가입자에게 문자 호출 정보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히는, 문자 호출부(400)는 등록된 가입자에게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부가 기능으로 한글 문자 호출 기능을 제공하는 VMX(Virtual Mail boX) 서버(도시하지 않음), VMX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호출 데이터를 TNP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적정한 레벨의 전송 속도(POC, FLEX)로 송출하는 페이징 터미널인 HPOR(도시하지 않음), 위성 시스템의 본부국의 시스템으로 주파수를 셋업하여 위성 전송로를 구성하는 위성 허브(HUB)(도시하지 않음) 및 기지국측 위성 시스템인 기지국으로 이루어져 호출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문자 호출 수신부(500)는 문자 호출부(400)로부터 문자 호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해당 호출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해당 호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정보는 사용자가 관리하는 공장의 생산 라인중 어떠한 블록에 고장이 났으며, 고장의 종류 등을 음성이나 문자 등에 따른 정보이다.
이상에서 언급하고 있는 문자 호출부(400)는 예를 들어,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고, 문자 호출 수신부(500)는 상기한 호출 서비스에 가입되어 해당 호출 서비스를 제공받는 호출기(또는 페이져(pager))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장의 자동화 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의 자동화 설비부(100)는 설비 진단부(110), 제1 중계부(120), 제1 모니터링 컴퓨터(130), 제2 모니터링 컴퓨터(140), 제2 중계부(150), 가동/이력 관리 DB(160) 및 이력 관리 컴퓨터(170)를 포함한다.
설비 진단부(110)는 설비 제어를 통해 설비 가동, 설비 고장, 가동 이력 현황을 포함하는 라인 정보를 발생하고, 발생된 라인 정보를 제1 중계부(120)를 경유하여 제1 모니터링 컴퓨터(130)에 제공한다.
제1 모니터링 컴퓨터(130)는 설비 진단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정보를 수집하여 라인 운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제1 중계부(120)를 경유하여 수집된 라인 운영 정보를 제2 모니터링 컴퓨터(140)에 제공하고, 제1 중계부(120) 및 제2 중계부(150)를 경유하여 수집된 라인 운영 정보를 가동/이력 관리 DB(160)에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제2 모니터링 컴퓨터(140)는 제1 중계부(120)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모니터링 컴퓨터(130)에 의해 수집된 라인 운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한다.
가동/이력 관리 DB(160)는 제2 중계부(15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수집된 라인 운영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라인 운영 정보를 이력 관리 컴퓨터(170)에 제공하고, 또한 저장된 라인 운영 정보중 고장 정보만을 별도로 추출하여 문자 호출 요청부(200)에 제공한다. 이때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동/이력 관리 DB(160)에 라인 운영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DB 관리 서버가 있음은 자명하다.
이력 관리 컴퓨터(170)는 가동/이력 관리 DB(160)에 저장된 라인 운영 정보를 일종 포맷으로 가공하여 각종 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는 설비 진단부별로 가동 정보나 고장 정보 등을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막대 그래프 등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자동화 공장 설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감시하고, 이러한 감시에 연계하여 설비 고장 발생시 고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해당 고장 설비의 담당 보전 요원에게 통보함으로써 신속한 보전 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자동화 설비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설비 제어를 통해 발생되는 설비 가동, 설비 고장, 가동 이력 현황을 포함하는 라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저장하는 공장의 자동화 설비부;
    상기 자동화 설비부로부터 고장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고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문자 호출 요청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문자 호출 요청부;
    상기 문자 호출 요청 정보를 제공받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문자 호출 요청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가입자에게 문자 호출 정보를 출력하는 문자 호출부; 및
    상기 문자 호출부로부터 문자 호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해당 호출 정보를 출력하는 문자 호출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공장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장의 자동화 설비부는,
    설비 제어를 통해 설비 가동, 설비 고장, 가동 이력 현황을 포함하는 라인 정보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비 진단부;
    상기 라인 정보를 수집하여 라인 운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라인 운영 정보를 출력하는 제1 모니터링 컴퓨터;
    라우터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모니터링 컴퓨터에 의해 수집된 라인 운영 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제2 모니터링 컴퓨터;
    상기 라우터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모니터링 컴퓨터에 의해 수집된 라인 운영 정보를 저장하는 가동/이력 관리 DB; 및
    상기 가동/이력 관리 DB에 저장된 라인 운영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이력 관리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공장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
KR1019990057862A 1999-12-15 1999-12-15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 KR20010056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862A KR20010056407A (ko) 1999-12-15 1999-12-15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862A KR20010056407A (ko) 1999-12-15 1999-12-15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407A true KR20010056407A (ko) 2001-07-04

Family

ID=1962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862A KR20010056407A (ko) 1999-12-15 1999-12-15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64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879A (ko) * 2000-06-15 2001-12-22 김복수 웹 기반 설비 고장 진단 및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애프터서비스 방법
KR20030022522A (ko) * 2001-09-11 2003-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장의 유틸리티 관리시스템
KR20040092544A (ko) * 2003-04-24 2004-11-04 대덕 이엠에스(주) 인터넷을 이용한 방전가공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7596A (ko) 2015-01-14 2016-07-2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이상상태 자동통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전이상상태 자동통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879A (ko) * 2000-06-15 2001-12-22 김복수 웹 기반 설비 고장 진단 및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애프터서비스 방법
KR20030022522A (ko) * 2001-09-11 2003-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장의 유틸리티 관리시스템
KR20040092544A (ko) * 2003-04-24 2004-11-04 대덕 이엠에스(주) 인터넷을 이용한 방전가공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7596A (ko) 2015-01-14 2016-07-2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이상상태 자동통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전이상상태 자동통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634A (ko) 전화사용 실시간 감시 방법 및 전기 통신 시스템
CN101854647A (zh) 一种通过短信接口远程监控mas服务器并进行管理的方法
KR20010056407A (ko) 공장 자동화의 고장 정보 자동 통보 시스템
JPH10326109A (ja) ポンプ機場リモート監視システム
JP2001101557A (ja) 遠隔監視装置
JPH03292036A (ja) 交換機障害通知方式
CN1330134C (zh) 多方式告警通知的系统和方法
CN1522043A (zh) 监视与控制系统告警装置
US200302085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active maintenance through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physical interface
CN114866399A (zh) 应用系统的报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5599685B2 (ja) 通報システムおよび通報方法
JP4909172B2 (ja) 警報情報遠隔報知装置及び警報情報遠隔報知システム
JP3098508B2 (ja) 通話監視システム及び通話監視方法
KR20010074315A (ko) 휴대전화망을 이용한 경보 통보 시스템
KR100367461B1 (ko)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교환 시스템의 장애 통보 방법
KR100421820B1 (ko) 통신 장비 상태 감시 방법
JPH11234433A (ja) 生産設備の異常警報システム
CN111049994A (zh) 一种故障诊断方法和装置
JPH11339168A (ja) 情報交換システム
JP2002197213A (ja) 障害管理システムおよび障害管理方法
JPH104460A (ja) オペレータ支援装置
JP2005301982A (ja) 遠隔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KR20210066455A (ko) 콜렉터 시스템
JPS5824939A (ja) 音声出力装置
TW476208B (en) Wireless dispatch system for telephone trou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