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132A - 범퍼 백 빔 - Google Patents

범퍼 백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132A
KR20010054132A KR1019990054776A KR19990054776A KR20010054132A KR 20010054132 A KR20010054132 A KR 20010054132A KR 1019990054776 A KR1019990054776 A KR 1019990054776A KR 19990054776 A KR19990054776 A KR 19990054776A KR 20010054132 A KR20010054132 A KR 2001005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beam
bumper back
bumper
reinforced
collis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5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4132A/ko
Publication of KR2001005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1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범퍼 백 빔(bumper back beam)이 개시된다. 개시된 범퍼 백 빔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용접된 적어도 하나의 비보강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와 상기 비보강부의 두께가 다르게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가격 하락 및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범퍼 백 빔{BUMPER BACK BEAM}
본 발명은 범퍼 백 빔(bumper back beam)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동성능 향상, 제조원가 절감, 및 중량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개선된 범퍼 백 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bumper)는 자동차의 앞뒤에서 보디(body)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서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강철 재료 보디(body)에서 약간 튀어나온 정도였으나, 현재는 에너지 흡수 범퍼라고 불리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우레탄 등이 쓰이며, 충격 흡수의 정도가 커져 있으나 동시에 보디와 일체화한 디자인 등에 의하여 장식을 겸한 부품으로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범퍼의 후부에는 이를 보강하기 위한 범퍼 백 빔이 설치된다.
이러한 범퍼 백 빔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백 빔(10)은, 일정한 두께(t)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상 프레스 가공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범퍼의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각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 그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충격 부위를 형성하는 형상을 보강 내지 추가하는 것이 있으나, 그 구조 및 제조상 한계가 있다.
그리고 충돌 강성을 국부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스틸(steel)류의 상기 범퍼 백 빔(10)의 두께(t)를 국부적으로 두껍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그 두께(t)를 두껍게 형성하고자 할 때에는 그 충돌 강성은 양호해 질 수 있으나, 이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 및 그 중량의 증가가 수반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차량의 연비 및 차량의 가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제조원가의 상승 및 중량의 증가 없이도 충돌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범퍼 백 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범퍼 백 빔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백 빔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백 빔의 제조 공정을 개락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범퍼 백 빔
21. 보강부
22. 비보강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범퍼 백 빔은, 적어도 하나의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용접된 적어도 하나의 비보강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와 상기 비보강부의 두께가 다르게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상기 비보강부는 그 소재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백 빔은, 충돌 시험 및 전산해석으로 제조원가 절감 및 그 중량이 줄어들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구성을 상술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백 빔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백 빔(20)은, 범퍼(미도시)의 후부에 설치되어 범퍼를 보강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21)와, 상기 보강부(21)와 용접된 적어도 하나의 비보강부(22)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21)의 두께(t1)와, 비보강부(22)의 두께(t2)가 서로 각각 다르게 이루어져 있다. 즉, t1〉t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21)와 상기 비보강부(22)는 그 소재가 동일하게 형성되든지, 필요에 따라 그 소재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접은 특정한 용접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재의 선택, 제품의 생산성, 및 제품 신뢰성을 고려하여 레이저(laser) 용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W는 용접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백 빔(20)의 제조 공정을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백 빔(20)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1차 전산해석으로 소정 소재의 1차 시작품을 제작한다.(단계 21), 상기 시작품으로 1차 충돌 시험을 실시한다.(단계 22) 상기 1차 충돌 시험 후, 상기 시작품의 강도 보강부(21) 및 비보강부(22)를 결정한다.(단계 23) 이어서, 상기 단계 23에 기초하여 2차 전산 해석하여 범퍼 백 빔(20)의 강도 보강부재와 바강도부재를 별도로 제작한다.(단계 24)
상기 강도 보강부재와 비강도부재를 각각 용접 예컨대 레이저 용접하여 2차 시작품을 제작한다. 한편, 상기 강도 보강부재와 비강도부재는 각각 그 두께가 다르며, 요구되는 강도만큼 그 소재가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시작품으로 2차 충돌 시험을 한다.(단계 26) 2차 충돌 시험 결과에 따라 이와 같은 단계를 다시 반복하든지, 이를 실차에 바로 적용한다.(단계 2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백 빔은, 종래의 일률적인 두께로 재료의 손실 및 무게의 증가가 초래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도 보강이 필요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다른 두께 및 소재로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이를 용접하여 완성함에 따라, 충돌 시험의 만족, 제조원가가 하락, 및 중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차량 가격의 하락은 물론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용접된 적어도 하나의 비보강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와 상기 비보강부의 두께가 다르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백 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상기 비보강부는 그 소재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백 빔.
KR1019990054776A 1999-12-03 1999-12-03 범퍼 백 빔 KR20010054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776A KR20010054132A (ko) 1999-12-03 1999-12-03 범퍼 백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776A KR20010054132A (ko) 1999-12-03 1999-12-03 범퍼 백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132A true KR20010054132A (ko) 2001-07-02

Family

ID=1962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776A KR20010054132A (ko) 1999-12-03 1999-12-03 범퍼 백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4132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3452U (ko) * 1981-02-13 1982-08-19
JPH04119752U (ja) * 1991-04-15 1992-10-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バツクアツプビーム
JPH07195187A (ja) * 1994-09-26 1995-08-01 Toyota Motor Corp 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品
KR19980053373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범퍼 백빔
KR19990085506A (ko) * 1998-05-19 1999-12-06 이명근 테일러드 용접 블랭크를 사용한 자동차용 범퍼 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3452U (ko) * 1981-02-13 1982-08-19
JPH04119752U (ja) * 1991-04-15 1992-10-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バツクアツプビーム
JPH07195187A (ja) * 1994-09-26 1995-08-01 Toyota Motor Corp 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品
KR19980053373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범퍼 백빔
KR19990085506A (ko) * 1998-05-19 1999-12-06 이명근 테일러드 용접 블랭크를 사용한 자동차용 범퍼 빔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948B1 (ko) 차량용 후드구조
KR100666578B1 (ko) 자동차용 범퍼 빔
US733162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reinforced against side impact
CA2470989A1 (en) Multiple material bumper beam
KR100929527B1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 어셈블리
JPH1076889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
JP2001233240A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KR20050052465A (ko) 차량 및 차량 문짝
KR20010054132A (ko) 범퍼 백 빔
JPH04260815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KR100338562B1 (ko) 차량용 범퍼빔 제조 방법
JP2023534786A (ja) 延性の高いパッチを有する金属構造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23055B2 (en) Bumper for a motor vehicle
KR100269775B1 (ko) 테일러드 용접 블랭크를 사용한 자동차용 범퍼 빔 및 그 제조방법
JPH11235963A (ja) キャブのサイドシル補強構造
JP3173205B2 (ja) 車両用バンパリインフオースメント
JPH1081182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
JP3211452B2 (ja) 車両用ドアインパクトビーム
JP3211451B2 (ja) 車両用ドアインパクトビーム
KR20160082289A (ko) 차량용 범퍼 빔 제작방법
JPH04238725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KR100283366B1 (ko) 테일러드용접블랭크와하이드로포밍성형법을이용한빔및그제조방법
KR100352004B1 (ko) 차량용 범퍼빔 제조 방법
JPH04238727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JPH0834302A (ja) 衝撃吸収バ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