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014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014A
KR20010053014A KR1020007014420A KR20007014420A KR20010053014A KR 20010053014 A KR20010053014 A KR 20010053014A KR 1020007014420 A KR1020007014420 A KR 1020007014420A KR 20007014420 A KR20007014420 A KR 20007014420A KR 20010053014 A KR20010053014 A KR 20010053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plate
buckle
arrow
button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신지
Original Assignee
기사키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사키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기사키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1005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0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69Safety measures
    • A44B11/2573Locking means preventing an unauthorised opening, e.g. by childr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39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pivotally connect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7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nonself-biasing, interlocking component

Landscapes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잠금상태에서 텅플레이트가 눌린 경우에도 잠금해제되지 않는 버클을 얻는다.
버튼(28)에 장착된 잠금스프링(54)에 중간 아암(60)이 고정되어 있다. 중간 아암(60)의 다리부(66)의 대향벽(68)이 이젝터(22)의 돌출부(26)의 선단과 대향하고 있다. 잠금상태에서는 대향벽(68)과 돌출부(26)의 돌기(70) 사이에 소정의 간극(72)이 구성되기 때문에 텅플레이트(20)가 화살표 A방향으로 더 이동하더라도 대향벽(68)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버튼(28)도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래치(48)의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확실히 저지된다. 돌기(38)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버클(10)이 소형이 되어 저비용으로 버클(10)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도 15에는 종래의 버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일본 특허공보 소63-45203호 참조).
이 버클(200)에는 텅플레이트(202)를 삽입부(204)에 삽입하고 이젝터(미도시)를 이동시키면, 이젝터에 눌려 버튼(206)이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버튼(206)에 형성된 돌기(208)가 래치(210)에서 이격하여, 래치(210)가 텅플레이트(202)의 결합구멍(212)으로의 결합방향(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결합상태에서는 버튼(206)의 돌기(208)가 래치(210)에 접촉하여 래치(210)의 결합해제방향(화살표 G와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이로써 텅플레이트(202)의 빠짐이 저지되어(소위 잠금상태), 미도시된 안전벨트장치의 웨빙은 장착자에의 장착상태로 유지된다.
버튼(206)을 눌러 잠금해제방향(화살표 F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돌기 (208)가 래치(210)에서 이격하여 래치(210)는 결합해제방향(화살표 G와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이 타입의 버클(200)에서는 잠금상태에 있어서 텅플레이트(202)가 이젝터를 통해 버튼(206)에 빈틈없이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잠금상태에서 텅플레이트 (202)가 화살표 F방향으로 눌린 경우에는 이젝터를 통해 버튼(206)도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잠금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208)는 버튼(206)의 이동스트로크를 고려하여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돌기(208)를 크게 하면 잠금해제할 때의 버튼(206)의 이동스트로크도 커져 버리기 때문에 버클(200)이 전체적으로 대형이 되어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컨대, 차량용 안전벨트장치의 웨빙에 설치된 텅플레이트에 결합하여 웨빙을 장착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잠금상태에 있어서 관성력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버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여,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잠금상태에서 텅플레이트가 눌린 경우에도 잠금해제되지 않는 버클을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삽입부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텅플레이트에 결합가능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텅플레이트로의 결합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소정의 조작에 의해 결합부재를 텅플레이트로부터의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결합상태에서 텅플레이트에서 상기 조작부재까지의 사이에 적어도 한 부분의 간극을 구성하는 중간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클의 삽입부에 텅플레이트를 소정위치까지 삽입하면 결합부재가 텅플레이트에 결합한다. 조작부재는 결합부재를 결합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텅플레이트가 잠겨져, 부주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텅플레이트로의 결합부재의 결합상태에서, 중간부재는 텅플레이트에서 조작부재까지의 사이에 간극을 구성한다. 이 때문에, 조작부재는 텅플레이트에 대하여 자유로워져 텅플레이트가 이동하더라도 이 간극이 해소되지 않는 한 조작부재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텅플레이트가 눌린 경우라도 조작부재가 이동하여 부주의로 텅플레이트가 빠져 버리는 것을 고려하여, 빠짐 방지를 위한 부재(예컨대 돌기 등)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를 결합해제할 때의 조작부재의 이동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어 버클 전체적으로 소형이 되기 때문에 버클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 또는 조작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삽입부로의 삽입 도중에 텅플레이트에 눌려 요동하고, 결합부재의 텅플레이트로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간극을 구성하는 요동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텅플레이트를 삽입부에 삽입하면 요동부재가 텅플레이트에 눌려 요동하고 결합부재의 텅플레이트로의 결합상태에서 텅플레이트에서 조작부재까지의 사이에 간극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요동부재를 설치하는 것 뿐인 간단한 구조로 텅플레이트에서 조작부재까지의 사이에 간극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결합상태를 향해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을 가지며, 상기 요동부재가 상기 탄성가압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부재는 탄성가압수단에 의해 결합상태를 향해 탄성가압되기 때문에 결합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미리 탄성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버클에 있어서는, 탄성가압수단과 일체로 요동부재를 구성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는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삽입부로의 삽입에 의해 조작부재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간극을 구성하는 이동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텅플레이트를 삽입부에 삽입하면 이동부재가 조작부재를 이동시킨다. 또한, 조작부재의 이동에 의해 이 이동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부재가 이동하여 텅플레이트에서 조작부재까지의 사이에 간극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를 설치하는 것 뿐인 간단한 구조로 텅플레이트에서 조작부재까지의 사이에 간극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에 작용한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소정값 이상의 관성력에 의해 관성이동하는 질량체와, 상기 질량체의 관성이동에 의해 요동부재가 요동하면 피결합부에 결합하여 요동부재의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예컨대, 차량급가속 또는 급감속시 등에 조작부재의 잠금해제방향(결합부재를 텅플레이트로부터의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소정값 이상의 관성력이 작용하면, 조작부재는 이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 때 관성력을 받아 질량체가 관성이동하여 요동부재를 요동시킨다. 그리고, 이 요동에 의해 결합부가 피결합부에 결합하여 요동부재의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요동부재는 조작부재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의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이동도 저지된다. 이로써 결합부재가 텅플레이트에서 결합해제방향으로 부주의하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또, 피결합부를 설치하는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버클을 구성하는 커버 등에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막을 수 있어 버클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텅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중 어느 한쪽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0)이 도시되어 있다. 버클(10)은, 차량(미도시)에서 연장된 장착편(12)에 리벳(14D)에 의해 장착되는 앵커 플레이트(14)를 가지고 있다. 앵커 플레이트(14)는 길다란 판재의 길이방향 중앙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 간격의 2장의 평행한 판(상판(14A) 및 하판 (14B))이 구성되어 있다. 앵커 플레이트(14)의 일단(절곡부)의 중앙에는 삽입구멍 (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구멍(16)에서 텅플레이트(20)가 상판(14A)과 하판(14B) 사이에 구성된 삽입부(18)에 삽입된다. 텅플레이트(20)에는 삽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통공에 안전벨트장치의 웨빙이 삽통되어 있다. 또한, 장착편(12)은 앵커 플레이트(14)의 타단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앵커 플레이트(14) 내에는 이젝터(22)가 앵커 플레이트(14)의 길이방향(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방향)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젝터(22)와 장착편(12) 사이에는 이젝트스프링(24)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젝터(22)를 삽입구멍(16)을 향해(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탄성가압하고 있다.
이젝터(22)의 폭방향 양단에서는 장착편(12)을 향한 한쌍의 돌출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이젝터(22)가 텅플레이트(20)에 눌려 장착편(12)을 향해 이동했을 때, 돌출부(26)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돌기(70)가 버튼(28)에 돌설된 돌기(미도시)를 압압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젝터(22)의 이동은, 돌출부(26)의 선단 근방에 형성된 접촉부(22A)가 앵커 플레이트(14)에서 삽입부(18) 내로 돌출된 돌기(미도시)에 닿을 때까지 가능하며, 일정범위로 제한된다.
버튼(28)은 앵커 플레이트(14)의 상판(14A) 측에 장착되어 있다. 버튼(28)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의 틀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압압조작용 압압판(30)과, 이 압압판(30)의 폭방향 양단 근방에서 돌출된 한쌍의 평행한 외판(32) 및 외판(32)보다도 폭방향 안쪽에서 돌출된 한쌍의 평행한 내판(34)을 갖고 있다.
외판(32)에는 안쪽을 향한 고리편(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편(36)이 앵커 플레이트(14)의 상판(14A)와 하판(14B) 사이에 앵커 플레이트(14)의 외측에서 결합하여 버튼(28)을 앵커 플레이트(14)에서 이탈 불가능하게, 또한, 앵커 플레이트(14)의 길이 방향(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내판(34)의 내면에는 돌기(3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돌기(38)보다도 압압판(30) 측에는, 압압판(30)을 향함에 따라 점차로 앵커 플레이트(14)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해제면(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38)는 텅플레이트(20)가 삽입부(18)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래치(48)의 접촉편(50)의 하면에 접촉하여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의 래치(48)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38)는 텅플레이트(20)가 삽입부(18)에 삽입되어 텅플레이트(20)의 결합구멍(42)에 래치(48)가 결합한 상태(잠금상태)에서는, 래치(48)의 접촉편(50)의 표면에 접촉하여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의 래치(48)의 이동을 저지한다.
해제면(40)은, 잠금상태에서 압압력에 의해 버튼(28)이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이 압압력을, 래치(48)를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하여 접촉편(50)을 그 하면측으로부터 누른다. 이로써 래치(48)가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한다.
상판(14A)에는, 버튼(28)의 외판(32)보다도 내측의 위치에 내판(34)을 타넘는 유지블럭(44)이 마련되어 있다. 유지블럭(44)은, 평행한 한쌍의 유지판(46)을 갖고 있으며 이 유지판(46) 사이에 래치(48)가 배치되어 있다. 유지판(46)은, 앵커 플레이트(14)의 길이방향(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의 래치(48)의 이동을 저지하고, 결합방향 및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래치(48)는, 정면에서 보아 약 U자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에서는 폭방향 외측을 향해 접촉편(50)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래치(48)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는 텅플레이트(20)를 향해 결합편(52)이 연장되어 있다. 결합편(52)은, 텅플레이트(20)가 삽입부(18)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앵커 플레이트(14)의 상판(14A)에 형성된 관통공(14C)을 관통하여 텅플레이트(20)의 결합구멍(42)에 결합하고, 나아가 하판(14B)에 형성된 관통공(14E)(도 2 참조)도 관통한다.
유지블럭(44)에서는 한쌍의 판스프링편(76)이 버튼(28)의 압압판(30)을 향해 돌출, 마련되어 있으며, 버튼(28)을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탄성가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압압판(30)을 압압했을 때 적절한 저항이 생긴다.
버튼(28)에는 판스프링 형태의 잠금스프링(54)의 일단이 장착되어 있다. 잠금스프링(54)의 타단은 래치(48)의 표면에 접촉해 있으며 래치(48)를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가압하고 있다.
잠금스프링(54)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중간 아암(60)이 리벳(6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중간 아암(60)은 평면에서 보아 약 U자 형태의 U자 형태부(64)와 이 U자 형태부(64)의 양단에서 앵커 플레이트(14)를 향해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66)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부(66)는, 앵커 플레이트(1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쌍의 장공 (14F)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삽입부(18) 내에 이르고 있다. 또한, 다리부(66)의 선단에는 다리부(66)를 구성하는 판재를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 대향벽(6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대향벽(68)이 이젝터(22)의 돌출부(26)의 돌기(70)의 선단과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텅플레이트(20)가 삽입부(18)에 삽입됨으로써, 이젝트스프링(24)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이젝터(22)가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대향벽 (68)이 돌기(70)에 압압되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중간 아암(60) 및 잠금스프링(54)은 소정의 탄성을 갖고 있으며, 대향벽(68)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잠금스프링(54)의 일단(버튼(28)으로의 고정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약간 요동하면서 버튼(28)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래치(48)는 잠금스프링(54)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48)가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편(52)이 결합구멍(42)에 결합한 상태(잠금상태)에서는 대향벽(68)과 돌기(70) 사이에 소정의 간극(72)이 구성되도록 잠금스프링(54) 및 중간 아암(60)의 형상이 정해져 있다.
상기 앵커 플레이트(14), 이젝터(22), 버튼(28), 이젝트스프링(24), 유지블럭(44), 래치(48), 잠금스프링(54) 및 중간 아암(60)에 의해 버클 본체(56)가 구성되어 있다.
이 버클 본체(56)에 대하여 커버(58)가 장착되어 앵커 플레이트(14), 이젝터(22), 버튼(28), 이젝트스프링(24), 유지 블럭(44), 래치(48), 잠금스프링 (54) 및 중간 아암(60)이 덮힌다. 커버(58)는,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된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편(12)의 타단측에서, 안쪽에 장착편(12)을 수용하여 슬라이딩되고 버클 본체(56)를 덮는 위치에서 앵커 플레이트(14)의 고정돌기(미도시)가 결합하여 빠지지 않게 된다.
다음에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8)에 텅플레이트(20)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래치(48)의 접촉편(50)에 버튼(28)의 돌기(38)가 아래쪽으로부터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스프링(54)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래치(48)가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삽입부(18)에 텅플레이트(20)를 삽입하고 이젝트스프링(24)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이젝터(22)를 화살표 A방향에 슬라이딩시키면, 이젝터(22)의 돌기(70)가 중간 아암(60)의 대향벽(68)을 압압하기 때문에 대향벽(68)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잠금스프링(54) 및 중간 아암(60)이 잠금스프링(54)의 일단(버튼 (28)으로의 고정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약간 요동하면서 버튼(28)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래치(48)는 잠금스프링(54)의 탄성가압력을 받아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48)의 결합편(52)이 상판(14A)의 관통공(14C)을 관통하여 텅플레이트(20)의 결합구멍(42)에 결합한다. 버튼(28)은 판스프링편(76)에 눌려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상태가 된다.
잠금상태에서는,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 위쪽부터 접촉하여 래치(48)의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또한, 잠금상태에서는 잠금스프링(54)의 선단이 래치(48)를 압압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잠금스프링(54)의 탄성에 의해 잠금스프링(54)과 중간 아암(60)이 반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요동하고, 대향벽(68)과 돌출부(26)의 돌기(70) 사이에 소정의 간극(72)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잠금상태에서 텅플레이트(20)가 화살표 A방향으로 더 이동하더라도 텅플레이트(20)의 이동량이 이 간극(72) 내라면 대향벽(68)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텅플레이트 (20)의 이동량이 소정량에 달하면 이젝터(22)가 장착편(12)에 닿기 때문에 이 이동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버튼(28)도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서 이격되지 않는다. 따라서, 래치(48)의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확실히 저지된다.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텅플레이트(20)를 버클(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버튼(28)의 압압판(30)을 압압하여 버튼(28)을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로써,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서 이격되고 래치(48)는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나아가 버튼(28)을 슬라이딩시키면 버튼(28)의 해제면(40)이 래치(48)의 접촉편(50)을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래치(48)가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편(52)이 텅플레이트(20)의 결합구멍(42)에서 빠져나온다. 이에 따라 텅플레이트(20)는 이젝터(22)를 통해 작용한 이젝트스프링(24)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빠져 나온다.
이와 같이, 제1실시형태의 버클(10)에서는, 잠금상태에 있어서 텅플레이트 (20)에서 버튼(2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간극(72)을 구성하여, 텅플레이트(20)가 이동하더라도 버튼(28)이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텅플레이트(20)가 이동한 경우에도 잠금해제되지 않도록 돌기(38)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버튼(28)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종래에 비해 돌기(38)가 작기 때문에 잠금해제하기까지의 버튼(28)의 이동 스트로크가 적어도 된다. 이 때문에 잠금해제시의 조작감이 향상된다. 나아가, 버클(10) 전체적으로도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버클(1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잠금스프링(54)과 중간 아암(60)이 별개로 형성되어 이들이 리벳(62)에 의해 고정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잠금스프링(54)과 중간 아암(60)을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일체로 함으로써 부품점수가 더욱 적어져 저비용으로 버클(1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4∼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10)이 표시되어 있다. 이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0)와 동일한 구성요소, 부재 등에 있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버클(110)에서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0)의 중간 아암(60)(도 1∼도 3 참조)에 해당하는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이를 대신하는 중간부재로서 요동레버(112)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레버(112)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 형태의 요동부(114)와, 요동부 (114)의 일단에서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116)를 갖고 있다. 요동레버(112)는, 요동부(114)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핀(118)에 의해 유지 블럭(44)에 축지지되어 있으며, 요동레버(112)는 이 핀(118)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또한, 다리부(116)는, 도 5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앵커 플레이트(14)의 상판(14A)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장공(14F)(도 4 참조)을 관통하여 선단이 삽입부(18) 내에 이르고 있다. 다리부(116)의 선단은 이젝터(22)의 돌출부(26)의 돌기 (70)의 선단과 대향하고 있으며, 텅플레이트(20)가 삽입부(18)에 삽입되어 이젝트 스프링(24)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이젝터(22)가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다리부(66)의 선단이 돌출부(26)에 압압되어 요동레버(112)가 도 5의 반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요동한다.
요동부(114)의 타단은 래치(120)의 윗쪽에 위치해 있다. 래치(120)는, 제1실시형태에 관한 래치(48)와 대략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폭방향 중앙위치에 요동부(114)의 타단에 대응한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텅플레이트(20)가 삽입부(18)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요동부(114)의 타단(114A)이 오목부(122)에 들어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20)의 결합상태에서는 요동부(114)의 타단(114A)이 오목부(122)에서 소정의 간극(124)을 두고 위치하도록 요동부(114) 및 오목부(122)의 형상이 정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요동레버(112)는 다리부 (116)의 선단이 이젝터(22)의 돌기(70)의 선단에 닿는 위치(상태)에서부터 요동부 (114)의 타단(114A)이 오목부(122)의 내면에 닿는 위치(상태)까지의 범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돌기(38)의 표면은, 래치(120)가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접촉편(50)의 아랫면에 압압되어 버튼(28)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 도록 제1실시형태에 관한 돌기(38)(도 1∼도 3 참조)보다도 경사각이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형태의 버클(110)에서는 텅플레이트(20))를 삽입부(18)에 삽입하면, 이젝터(22)의 돌출부(26)의 돌기(70)의 선단이 요동레버(112)의 다리부(116)의 선단에 닿아 요동레버(112)를 도 5의 반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 요동에 의해 요동부(114)의 타단(114A)이 래치(120)를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래치(120)가 결합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래치(120)의 접촉편(50)에 의해 버튼(28)의 돌기(38)가 눌리기 때문에 버튼(28)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량이 소정값에 달하면, 요동부 (114)의 타단이 래치(120)의 오목부(122)에서 이격함과 동시에, 돌기(38)도 래치 (120)의 접촉편(50)에서 이격되고, 래치(120)는 잠금스프링(54)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결합방향으로 더 이동한다. 그리고, 결합편(52)이 텅플레이트(20))의 결합구멍 (42)에 결합한다. 버튼(28)은 판스프링편(76)에 눌려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상태가 된다.
잠금상태에서는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120)의 접촉편(50)에 위쪽으로부터 접촉하여 래치(48)의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또한, 잠금상태에서는 요동레버(112)와 래치(120) 사이에 소정의 간극(124)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텅플레이트(20)가 화살표 A방향으로 더 눌리더라도 이젝터(22)를 통해 요동레버(112)가 요동할 뿐 래치(120)가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버튼(28)이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하지 않는다.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텅플레이트(20)를 버클(1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버클(10)과 마찬가지로 버튼(28)의 압압판(30)을 압압하여 버튼(28)을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로써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120)의 접촉편(50)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버튼(28)의 해제면(40)이 래치(120)의 접촉편(50)를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래치(120)가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편(52)이 텅플레이트(20))의 결합구멍 (42)에서 빠져 나온다. 이에 따라, 텅플레이트(20)는 이젝터(22)를 통해 작용한 이젝트스프링(24)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빠져 나온다.
이와 같이, 제2실시형태의 버클(110)에 있어서도, 잠금상태에 있어서 텅플레이트(20)에서 버튼(2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간극(124)이 구성되기 때문에 텅플레이트(20)가 이동하더라도 버튼(28)이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돌기(38)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버튼(28)의 형성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잠금해제하기까지의 버튼(28)의 이동 스트로크가 적어도 된다. 또한, 버클(110) 전체적으로도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버클(11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7∼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30)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0)과 동일한 구성요소,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버클(130)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0)의 중간 아암(60)(도 1∼도 3 참조)에 해당하는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이를 대신하는 중간부재로서 요동 아암(132)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 아암(132)은, 합성수지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요동부(134)와, 요동부(134)의 일단에서 뿔형태로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부(134)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축공(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공(133)에, 버튼(28)의 내판(34)에 형성된 핀(35)이 삽입되어 있다. 요동 아암(132)은 이 핀(35) 주위로 요동한다.
또한, 다리부(136)는, 앵커 플레이트(14)의 상판(14A)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장공(14F)(도 1 참조)을 관통하여 선단이 삽입부(18) 내에 이르고 있다. 다리부(136)의 선단은 이젝터(22)의 돌출부(26)의 돌기(70)의 선단과 대향하고 있으며, 텅플레이트(20)가 삽입부(18)에 삽입됨으로써 이젝트스프링(24)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이젝터(22)가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다리부(66)의 선단이 돌출부(26)에 압압되어 요동 아암(132)이 도 8의 반시계방향(화살표 E방향)으로 요동한다.
요동부(134)의 타단은 래치(48)의 접촉편(50)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텅플레이트(20)가 삽입부(18)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요동부(134)의 타단이 접촉편(50)에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버튼(28)의 돌기(38)가 접촉편(50)에 아래쪽으로부터 닿아 래치(48)의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48)의 결합상태에서는 요동부(134)의 타단(134A)이 접촉편(50)에서 소정의 간극(140)을 두고 위치하도록, 요동부(134)의 형상이 정해져 있다.
다리부(136)의 상부에서는, 버튼(28)의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해 한쌍의 스프링편(137)이 일체로 돌출,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편(137)의 선단은 커버(58)의 윗벽(58A)에 접촉하고 있다. 요동 아암(132)은 화살표 E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프링편(137)의 탄성변형에 의한 반력으로 화살표 E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탄성가압된다.
또한, 요동 아암(132)에는, 축공(133)보다도 앵커 플레이트(14)에 가까운 위치에 일정한 질량을 갖는 웨이트(135)가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130)에 버튼(28)의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소정값 이상의 관성력이 작용하면 웨이트(135)가 관성이동하고 스프링편(137)에 의한 회전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요동 아암(132)을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 웨이트(135)의 재질이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요동 아암(132)을 수지제로 한 경우에는 이것보다도 비중이 큰 재료(예컨대 금속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요동부(134)의 일단(화살표 A방향의 단부)으로부터는 커버(58)의 윗벽(58A)을 향해 측면이 대략 삼각형인 결합고리(1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고리(139)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아암(132)이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하지않을 때에는 커버(58)의 윗벽(58A)에 형성된 결합돌기(59)에 결합하지는 않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아암(132)이 화살표 E방향을 회전하면 결합돌기(59)에 결합하도록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고리(139)가 결합돌기(59)에 결합하면 요동 아암(132)의 화살표 E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요동 아암(132)은 핀(35)에 의해 버튼(28)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28)의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의 이동도 저지된다. 또, 스프링편(137) 및 결합고리(139)는 반드시 요동 아암(132)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로 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저지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핀(35)도 버튼(28)과 일체로 설치할 필요는 없지만, 일체로 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저지하여 제조 비용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3실시형태의 버클(130)에서는, 텅플레이트(20)를 삽입부(18)에 삽입하면, 이젝터(22)의 돌출부(26)가 요동 아암(132)의 다리부(136)의 선단에 닿아 스프링편(137)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요동 아암 (132)을 도 8의 반시계방향(화살표 E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 요동은 요동부(134)의 타단(134A)이 래치(48)의 접촉편(50)의 상면에 닿아 일정범위로 제한되기 때문에 결합고리(139)가 결합돌기(59)에 결합하지 않는다. 그리고, 요동 아암(132)으로부터 핀(35)을 통해 버튼(28)에 압압력이 작용하여 버튼(28)이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로써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래치(48)는 잠금스프링(54)의 탄성가압력을 받아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래치(48)의 결합편(52)이 상판(14A)의 관통공(14C)을 관통하여 텅플레이트(20))의 결합구멍(42)에 결합한다. 그리고, 버튼(28)이 판스프링편(76)에 눌려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상태가 된다.
잠금상태에서는,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 위쪽으로부터 접촉하여 래치(48)의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또한, 잠금상태에서는 스프링편(137)에 의해 요동 아암(132)이 도 8의 시계방향(화살표 E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탄성가압되어 있으며, 요동 아암(132)과 래치(48) 사이에 소정의 간극(140)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텅플레이트(20))가 화살표 A방향으로 더 눌리더라도, 이젝터(22)를 통해 요동 아암(132)이 요동하는 것만으로 이젝터(22)가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버튼(28)이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하지 않는다.
잠금상태에서, 예컨대, 차량에 소정 위치 이상의 가속도 또는 감속도가 작용하면 버튼(28)에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요동 아암(132)의 웨이트(135)에도 관성력이 작용하여 웨이트(135)는 화살표 A방향으로 관성이동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아암(132)이 스프링편(137)의 회전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하고 결합고리(139)가 결합돌기(59)에 결합한다. 요동 아암(132)의 회전이 저지됨과 동시에 요동 아암(132)이 장착된 버튼(28)의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의 이동도 저지된다.
이와 같이, 잠금상태에서 버튼(28)에 잠금해제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더라도 버튼(28)의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된다. 따라서, 부주의로 래치(48)가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해제되는 일 없이 확실히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텅플레이트(20)를 버클(13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버클(10)과 마찬가지로 버튼(28)의 압압판(30)을 압압하여 버튼(28)을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에 따라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버튼(28)의 해제면(40)이 래치(48)의 접촉편(50)을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래치(48)가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하고 결합편(52)이 텅플레이트(20)의 결합구멍 (42)에서 빠져 나온다. 이에 따라, 텅플레이트(20)는 이젝터(22)를 통해 작용한 이젝트스프링(24)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빠져 나온다.
이와 같이, 제3실시형태의 버클(130)에 있어서도, 잠금상태에 있어서 텅플레이트(20)에서 버튼(2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간극(140)이 구성되기 때문에 텅플레이트(20)가 이동하더라도 버튼(28)이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돌기(38)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버튼(28)의 형성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잠금해제하기까지의 버튼(28)의 이동 스트로크가 적어도 된다. 또한, 버클(130) 전체적으로도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버클(13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0∼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50)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0)과 동일한 구성요소,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버클(150)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에 관한 버클(10)의 중간 아암(60)(도 1 참조)에 해당하는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이를 대신하는 중간부재로서 확축(擴縮)링크(152)가 설치되어 있다.
확축링크(152)는 평면에서 보아 약 U자 형태로서, 그 일단이 버튼(28)의 내판(34)에 형성된 수용홈(74)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확축링크(152)는 버튼(28)과 같이 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확축링크(152)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상태에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서서히 접근하는 테이퍼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154)는, 래치(48)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래치(48)가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48)의 접촉편(50)의 단면(50A)이 안쪽에서 접촉하여 확축링크(152)을 눌러 확대시킬 수 있도록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48)가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48)의 접촉편(50)의 단면(50A)이 확축링크 (152)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확축링크(152)가 탄성복원되고 테이퍼부(154)는 래치 (48)의 윗쪽에 위치한다.
확축링크(152)의 타단은, 앵커 플레이트(14)의 상판(14A)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장공(14F)(도 10 참조)을 관통하여 삽입부(18) 내에 달하는 다리부(156)로 이루어져 있다. 확축링크(152)의 타단이 눌려 확대된 상태(도 12 참조)에서, 다리부(156)의 선단은 이젝터(22)의 돌출부(26)의 돌기(70)의 선단과 대향하고 있다.
텅플레이트(20)가 삽입부(18)에 삽입됨으로써 이젝트스프링(24)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이젝트(22)가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다리부(66)의 선단이 돌출부(26)에 압압되어 확축링크(152)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확축링크(152)가 탄성복원되어 자연상태가 되었을 때 다리부(156)의 선단이 이젝터(22)의 돌출부(26)의 선단에서 이격되어 돌출부(26)의 안쪽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78)(도 10 참조)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4실시형태의 버클(150)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텅플레이트(20)를 삽입부(18)에 삽입하면 이젝터(22)의 돌출부 (26)의 돌기(70)의 선단이 확축링크(152)의 다리부(156)의 선단에 닿아 확축링크 (152)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버튼(28)이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래치(48)는 잠금스프링(54)의 탄성가압력을 받아 결합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래치(48)의 결합편(52)이 상판(14A)의 관통공(14C)을 관통하여 텅플레이트 (20)의 결합구멍(42)에 결합한다. 버튼(28)은 판스프링편(76)에 눌려 화살표 A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상태가 된다.
잠금상태에서는,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 위쪽부터 접촉하여 래치(48)의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또한, 잠금상태에서는, 래치(48)의 접촉편(50)의 단면(50A)이 확축링크(152)의 테이퍼부(154)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확축링크(152)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상태로 탄성복원된다. 이 때문에, 다리부(156)의 선단이 이젝터(22)의 돌출부(26)의 돌기(70)의 선단에서 이격되어, 수용 오목부(78)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158)을 구성하여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텅플레이트(20)가 더 눌려 이젝터(22)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다리부(66)의 선단은 수용 오목부(78)에 수용되어 이젝터(22)에 눌리지 않으며 버튼(28)도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텅플레이트(20)를 버클(150)에서 분리하려면, 제1실시형태의 버클(10)과 마찬가지로 버튼(28)의 압압판(30)을 압압하여 버튼(28)을 잠금해제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에 따라, 버튼(28)의 돌기(38)가 래치(48)의 접촉편(50)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버튼(28)의 해제면(40)이 래치(48)의 접촉편(50)를 결합해제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래치(48)가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편(52)이 텅플레이트(20)의 결합구멍(42)에서 빠져 나온다. 텅플레이트(20)는 이젝터(22)를 통해 작용한 이젝트스프링(24)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빠져 나온다. 또한, 확축링크(152)의 테이퍼부 (154)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퍼부(154) 중에서 보다 폭이 넓은 부분이 래치(48)의 윗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압압판(30)으로의 압압력을 해제하여 버튼 (28)이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래치(48)의 접촉편(50)의 단부(50A)가 테이퍼부(154)를 안쪽으로부터 눌러 확대하여 확축링크(152)의 다리부(66)의 타단이 이젝터(22)의 돌출부(26)의 돌기(70)의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4실시형태의 버클(150)에 있어서도, 잠금상태에 있어서 텅플레이트(20)에서 버튼(28)에 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간극(158)이 구성되기 때문에, 텅플레이트(20)가 이동하더라도 버튼(28)이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 돌기 (38)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버튼(28)의 형성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잠금해제하기까지의 버튼(28)의 이동 스트로크가 적어도 된다. 또한, 버클(150) 전체적으로도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버클(150)을 제조할 수 있다.
또, 텅플레이트(20)의 잠금상태에서 텅플레이트(20)에서 버튼(28)까지의 사이에 적어도 한부분의 간극이 구성되어 있으면, 본 발명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즉, 버클에 중간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간극을 구성함으로써, 텅플레이트(20)가 잠금해제방향으로 눌리더라도 이 간극에 의해 버튼(28)이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간극은 텅플레이트(20)와 중간부재 사이에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이 경우에는 텅플레이트(20)가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중간부재는 이동하지 않는다), 버튼(28)과 중간부재 사이에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이 경우에는 텅플레이트(20)가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하면 중간부재는 이동하지만 버튼(28)은 이동하지 않는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삽입부에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텅플레이트에 결합가능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텅플레이트로의 결합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소정의 조작에 의해 결합부재를 텅플레이트로부터의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결합상태에서 텅플레이트에서 상기 조작부재까지의 사이에 적어도 한부분의 간극을 구성하는 중간부재를 갖기 때문에 버클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 또는 조작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삽입부에의 삽입 도중에 텅플레이트에 눌려 요동하며, 결합부재의 텅플레이트로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간극을 구성하는 요동부재이기 때문에 버클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결합상태를 향해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을 가지며, 상기 요동부재가 상기 탄성가압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점수를 증가시키지 않아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는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삽입부에의 삽입에 의해 조작부재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간극을 구성하는 이동부재이기 때문에 버클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에 작용한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소정값 이상의 관성력에 의해 관성이동하는 질량체와, 상기 질량체의 관성이동에 의해 요동부재가 요동하면 피결합부에 결합하여 요동부재의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결합부를 갖기 때문에 조작부재의 잠금해제방향으로 관성력이 작용하더라도 결합부재가 텅플레이트에서 결합해제방향으로 부주의로 이동하는 일이 방지되고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Claims (6)

  1. 삽입부에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텅플레이트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텅플레이트로의 결합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소정의 조작에 의해 결합부재를 텅플레이트로부터의 결합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결합상태에서 텅플레이트에서 상기 조작부재까지의 사이에 적어도 한부분의 간극을 구성하는 중간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 또는 조작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삽입부에의 삽입 도중에 텅플레이트에 눌려 요동하고, 결합부재의 텅플레이트로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간극을 구성하는 요동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결합상태를 향해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을 가지며,
    상기 요동부재가 상기 탄성가압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삽입부에의 삽입에 의해 조작부재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간극을 구성하는 이동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가 상기 조작부재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재에 작용한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소정값 이상의 관성력에 의해 관성이동하는 질량체와,
    상기 질량체의 관성이동에 의해 요동부재가 요동하면 피결합부에 결합하여 요동부재의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상기 텅플레이트의 이동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결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중 어느 한쪽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07014420A 1998-06-23 1999-06-23 버클 KR20010053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633998 1998-06-23
JP10-176339 1998-06-23
JP10-312505 1998-11-02
JP10312505A JP2000079004A (ja) 1998-06-23 1998-11-02 バックル
PCT/JP1999/003331 WO1999066813A1 (fr) 1998-06-23 1999-06-23 Bou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014A true KR20010053014A (ko) 2001-06-25

Family

ID=2649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420A KR20010053014A (ko) 1998-06-23 1999-06-23 버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63639B1 (ko)
EP (1) EP1121875A1 (ko)
JP (1) JP2000079004A (ko)
KR (1) KR20010053014A (ko)
WO (1) WO19990668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915A2 (en) * 2007-11-27 2009-06-04 Samsong Industries, Ltd. Seatbelt buckle with shock-proof device
KR20200134033A (ko) * 2019-05-21 2020-12-01 (유)삼송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4611B2 (ja) * 2001-05-25 2010-02-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JP2004090667A (ja) * 2002-08-29 2004-03-25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6122553A (ja) * 2004-11-01 2006-05-18 Tokai Rika Co Ltd バックル装置
ITTO20060492A1 (it) * 2006-07-04 2008-01-05 Novarace S R L Dispositivo di chiusura per cinture di ritenuta, particolarmente per seggiolini di sicurezza automobilistici per bambini
US8516667B2 (en) * 2010-05-19 2013-08-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belt buckle
DE102010034557B4 (de) * 2010-08-17 2024-05-02 Zf Automotive Germany Gmbh Sicherheitsgurtschloss und Sicherheitsgurt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12018070A1 (de) * 2012-02-07 2013-08-08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 mit Freigabesperre
CN203860572U (zh) * 2014-05-13 2014-10-0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幼儿安全带连接扣
CN108839634B (zh) * 2018-05-28 2024-02-20 浙江松原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锁扣
CN110495685B (zh) * 2019-08-22 2024-02-20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扣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619A (en) * 1978-09-22 1980-04-15 Britax (Wingard) Limited Tongue and buckle fastener for a safety belt harness
DE3004169C2 (de) * 1980-02-05 1986-07-03 TRW Repa GmbH, 7077 Alfdorf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DE3331453A1 (de) * 1983-08-31 1985-06-13 TRW Repa GmbH, 7071 Alfdorf Gurtschloss fuer einen sicherheitsgurt
JP2515541B2 (ja) 1986-04-14 1996-07-10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農薬粉剤
JP2677392B2 (ja) 1988-07-30 1997-11-1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スリップ制御装置
US5067212A (en) * 1990-08-27 1991-11-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buckle
DE4416301A1 (de) 1994-05-09 1995-11-16 Trw Repa Gmbh Verschluß für Sicherheitsgurte
US5699594A (en) * 1995-08-28 1997-12-2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buckle spr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915A2 (en) * 2007-11-27 2009-06-04 Samsong Industries, Ltd. Seatbelt buckle with shock-proof device
WO2009069915A3 (en) * 2007-11-27 2009-08-20 Samsong Ind Ltd Seatbelt buckle with shock-proof device
US8375531B2 (en) 2007-11-27 2013-02-19 Samsong Industries, Ltd. Seatbelt buckle with shock-proof device
KR20200134033A (ko) * 2019-05-21 2020-12-01 (유)삼송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1875A1 (en) 2001-08-08
WO1999066813A1 (fr) 1999-12-29
JP2000079004A (ja) 2000-03-21
US6463639B1 (en) 200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3014A (ko) 버클
AU783620B2 (en) Three and five point buckle
US6588077B2 (en) Seat belt buckle
EP1018307B1 (en) Buckle
KR910006563B1 (ko) 시이트벨트용 버클
CN105584455B (zh) 插扣导向装置
JP3982955B2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JPH11309004A (ja) バックル
US5216788A (en) Impact-protected safety belt buckle
KR20020067630A (ko)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JPS6228884Y2 (ko)
JP3455428B2 (ja) バックル用スイッチ及びバックル
KR20060129045A (ko) 시트벨트 장치
JP4430469B2 (ja) ラッチ装置
JP2001063515A5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6385823B1 (en) Buckle with noise prevention mechanism
JP4097115B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
JP2001063516A5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2638232B1 (ko) 시트 벨트 장치용 버클 및 시트 벨트 장치
JP2653896B2 (ja) バツクル装置
JP4001451B2 (ja) 鎖錠装置
KR200342411Y1 (ko) 허리벨트
JP2000050912A (ja) バックル
US20040205944A1 (en) Buckle device
JPH0737217Y2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