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630A -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630A
KR20020067630A KR1020020007368A KR20020007368A KR20020067630A KR 20020067630 A KR20020067630 A KR 20020067630A KR 1020020007368 A KR1020020007368 A KR 1020020007368A KR 20020007368 A KR20020007368 A KR 20020007368A KR 20020067630 A KR20020067630 A KR 20020067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plate
tongue
housing
child sea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토히데오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6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좌우 각 텅 플레이트(11, 12)의 서로의 대향 측에 병치 상태에서 일체의 개구부(22)를 형성하는 노치(11a, 12a)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텅 플레이트(11, 12)를 병치 상태에서 버클(13) 내에 삽입하고, 텅 플레이트(11, 12)의 개구부(22)에 버클(13) 내의 로크 수단(16)을 결합시킨다. 버클(13) 내에 한쪽의 텅 플레이트(11)만을 삽입한 경우, 버클(13)의 하우징(14)에 설치된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가 하우징(14) 내에서 경사지고, 하우징(14) 내면에 맞닿는다. 이 경우는 텅 플레이트(11)를 버클(13) 내에 더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TONGUE-PLATE LOCKING DEVICE FOR CHILD SEAT}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쌍의 텅 플레이트를 일체적으로 버클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차량의 좌석 위에 차일드 시트가 고정되고, 이 차일드 시트에 유아가 타게 된다. 차일드 시트 위의 유아에 대해서는 한쌍의 어깨벨트가 착용되고, 각 어깨벨트의 선단에 설치된 텅 플레이트가 차일드 시트의 버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버클에는 한쌍의 텅 플레이트가 고정되나, 한쪽 텅 플레이트만을 버클에 고정시킨 것만으로는 충분한 안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한쌍의 텅 플레이트를 확실하게 버클 내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쌍의 텅 플레이트를 확실하게 버클 내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쌍의 텅 플레이트와 이 한쌍의 텅 플레이트가 삽입 장착되는 버클로 이루어진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각 텅 플레이트는 일체로 되었을 경우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노치(notch)를 갖고, 버클은 한쌍의 텅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텅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로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한쌍의 텅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직사각형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는 돌출 핀을 갖고, 하우징은 돌출 핀을 안내하는 안내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돌출 핀은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안내 홈은 직선의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한쌍의 텅 플레이트 삽입 측과 반대쪽에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를 텅 플레이트의 삽입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은 한쌍의 텅 플레이트의 배치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는 한쪽의 텅 플레이트만을 수용했을 경우, 하우징 내면에 맞닿고,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 및 하우징의 맞닿음 면은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의 이동을 저지할 만큼 충분한 마찰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한쌍의 텅 플레이트 중의 한쪽 텅 플레이트에 오목부가 설치되고, 다른쪽 텅 플레이트에 한쪽 텅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결합되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한쌍의 텅 플레이트 개구부로부터 로크 수단의 결합을 해제하는 로크 해제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의 텅 플레이트를 병치(竝置)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하여 버클 내에 삽입했을 때만, 텅 플레이트의 삽입이 허용된다. 반대로, 한쪽 텅 플레이트만을 버클 내에 삽입했을 경우에는, 그 텅 플레이트의 진입이 도중에서 저지되어, 상기 텅 플레이트가 버클의 로크 수단에 결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의 버클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의 버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텅 플레이트를 버클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텅 플레이트를 버클에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텅 플레이트를 버클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의 버클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텅 플레이트를 버클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한쪽 텅 플레이트만을 버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로크 해제 기구의 비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
도 9는 로크 해제 기구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가 적용되는 차일드 시트를 나타낸 개념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텅 플레이트
11a, 12a 노치
13버클
14하우징
16로크 수단
18텅 플레이트 수용부재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의 개념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텅 플레이트를 버클에 삽입하여 로크할 때까지를 설명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로크 해제 기구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6은 로크 상태의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한쪽 텅 플레이트만을 버클에 삽입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로크 해제 기구를 설명하는 단면 측면도, 도 10은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0에 의해 차일드 시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참조부호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는 시트 본체(2)와 기판(3)에 의해 구성된다. 베이스(3)의 양측에 설치된 벨트 삽입구멍(3a)에 차량의 시트 벨트(4)가 삽입되고, 차량 측에 고정된 버클(4b)에 시트 벨트(4)의 텅 플레이트(4a)를 장착시킴으로써, 차일드 시트(1)를 차량의 좌석(5)에 고정 유지시킨다.
유아는 시트 본체(2)의 시트 쿠션(2a)에 착석하고, 유아의 등을 등받이(2b)에 닿게 한 상태에서, 좌우 어깨 벨트(6, 6)를 유아의 어깨로부터 배에 착용한다. 한쌍의 어깨 벨트(6, 6)의 선단에 텅 플레이트(11, 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텅 플레이트(11, 12)는 시트 본체(2)에 설치된 패드(7)의 버클(13)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유아를 차일드 시트(1)에 구속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는 한쌍의 텅 플레이트(11, 12)와 버클(13)로 구성되어 있다.
즉,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10)는, 좌우 어깨 벨트(6, 6)의 선단에 설치된 텅 플레이트(11, 12)의 측면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맞닿게 하고, 버클(13)에 삽입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텅 플레이트(11, 12)의 선단 측에는 서로 상접하는 측면에 노치(11a, 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텅 플레이트(11)의 측면에는 오목부(11b, 11c)가 형성되고, 텅 플레이트(12)의 측면에는 이들 오목부(11b, 11c)에 각각 끼워 맞추는 돌기(12b, 1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오목부(11b, 11c)에 각 돌기(12b, 12c)를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한쌍의 텅 플레이트(11, 12)를 일체로 병치시켜 정확한 위치 맞춤을 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노치(11a, 12a)가 서로 대향하여 1개의 큰 개구부(22)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22)에는 후술하는 고정 클로(16a)(도 3)가 결합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13)은 하우징(14)을 갖고, 이 하우징(14) 내에는 상부에 개구(15a)를 갖는 텅 플레이트 삽입로(15)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14)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는 로크 수단으로서 로크 플레이트(16)(도2∼도7)가 배치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16)는 상부 양측에 돌기(16b, 16b)를 갖고, 이 돌기(16b, 16b)는 하우징(14)의 측벽(14a, 14b)에 형성한 구멍(14c, 14c)에 끼워 넣어진다. 이 경우, 돌기(16b, 16b)는 래치(latch) 회전 지점으로 되고, 로크 플레이트(16)는 하우징(14)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로크 플레이트(16)는 텅 플레이트(11, 12) 측의 면에 고정클로(16a)를 갖고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7)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16)의 고정 클로(16a)를 항상 텅 플레이트 삽입로(15)에 면하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이 하우징(14)에는 삽입로(15)의 하부에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면을 갖고 있으며, 그 좌우의 양 측벽(18a, 18b)이 하우징(14)의 양 측벽(14a, 14b) 내면과 약간의 간격(클리어런스)을 갖고 배치되어,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는 그들 측벽(14a, 14b)을 따라 하우징(14) 내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는 폭 방향 및 수직 방향의 대략 중심에 설치되고 정면 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돌출 핀(19)(도 1, 도3∼도5)을 가지며, 이 핀(19)을 하우징(14)의 직선의 가늘고 긴 형상 안내 홈(20)에 삽입시킴으로써, 하우징(14) 내에서 폭 방향의 위치 결정이 실행되고 있다. 또한, 이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4) 저면과의 사이에(텅 플레이트(11, 12)의 삽입 측과 반대쪽에) 병설된 2개의 스프링(21)에 의해, 항상 도 2의 위쪽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텅 플레이트(18)의 상단(18C)은 로크 플레이트(16)의 고정 클로(16a)에 맞닿아 텅 플레이트(18)의 위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10)의 사용법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버클을 나타낸 단면 측면도로서,텅 플레이트를 버클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텅 플레이트(11)의 오목부(11b, 11c)에 왼쪽 텅 플레이트(12)의 돌기(12b, 12c)를 끼워 맞추어 일체화한 상태에서, 한쌍의 텅 플레이트(11, 12)를 하우징(14)의 개구(15a)로부터 삽입로(15)에 삽입한다. 이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1, 12)가 로크 플레이트(16)의 고정 클로(16a)에 닿고, 로크 플레이트(16)를 스프링(17)의 압력에 저항하여 뒤쪽으로(도 4에서 오른쪽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텅 플레이트(11, 12)를 아래쪽으로 밀어 넣으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1, 12)의 노치(11a, 12a)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22)에 로크 플레이트(16)의 고정 클로(16a)가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텅 플레이트(11, 12)는 하우징(14) 내에 고정된다.
또한, 텅 플레이트(11, 1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경우는, 로크 플레이트(16)를 스프링(17)의 압력에 저항하여 회동시켜 고정 클로(16a)를 노치(11a, 12a)로부터 빼도록 하면 된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양쪽 텅 플레이트(11, 12)를 병치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하우징(14)의 삽입로(15)에 삽입시켰을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는 위쪽 좌우 부분이 동시에 아래로 눌리기 때문에 평형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텅 플레이트(11, 12) 중에서, 예를 들어, 한쪽 텅 플레이트(11)만을 하우징(14)의 삽입로(15)에 삽입시켰을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1)만의 아래로 눌림에 의해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는 핀(19)의 센터(C)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경동(傾動)한다. 따라서,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의 측면(18a) 상단이 하우징(14)의 측벽(14a) 내면에 맞닿고,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의 측면(18b) 하단이 하우징(14)의 측벽(14b) 내면에 압접되는 이른바 웨지(wedge) 작용에 의해,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텅 플레이트(11)를 그 이상 밀어 넣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가 회동된 상태에서,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의 측면(18a, 18b)과 하우징(14)의 측벽(14a, 14b) 내면과의 웨지 작용이 보다 커지도록 그들의 측면(18a, 18b) 또는 측벽(14a, 14b) 내면을 조면(粗面)으로 형성하거나, 마찰저항이 큰 재료를 첨설(添設)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의 측면(18a, 18b)과 하우징(14)의 측벽(14a, 14b) 내면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이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고정 장치의 로크 해제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로크 해제부재의 비조작 상태를, 도 9는 그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각 단면 측면도이다. 하우징(14) 내에 로크 플레이트(16)에 대하여 텅 플레이트(11, 12)와 반대쪽에 로크 해제부재(23)가 배치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부재(23)는, 회전 지점(支點)(16d)에서 회전 가능한 로크 플레이트(16)의 상부 선단 부근(16c)을 수평 방향으로 누르는 선단부(23a)와, 하우징(14)의 뒷면과 대략동일 면으로 되는 누름부(23b)와, 하우징(14)의 로크 해제부재 수용부(14d)에 축지지되는 단부(23c)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해제부재 수용부(14d)에 있어서, 스프링(23d)에 의해 로크 해제부재(23)의 단부(23c)가 스프링 가압되고, 항상 로크 해제부재(23)의 누름부(23b)가 하우징(14)의 뒷면 측으로 가압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때에 로크 해제부재(23)의 상부 돌기(23f)가 스톱퍼 기능을 수행하고, 누름부(23b)가 하우징(14)의 뒷면 측과 동일 면으로 되어 있다.
로크 시에는, 도 8과 같이 로크 해제부재(23)는 조작되지 않기 때문에, 선단부(23a)는 로크 플레이트(16)의 상부 선단 부근(16c)을 누르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 플레이트(16)는 회전 지점(16d)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그 고정 클로(16a)는 텅 플레이트의 개구부(22)에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로크를 해제할 경우에는, 로크 해제 기구(23)의 누름부(23b)를 스프링 압력에 역행하여 하우징(14) 내측으로 누른다. 그리하면, 도 9와 같이, 로크 해제 기구(23)는 로크 해제부재 수용부(14d) 내의 로크 해제부재(23)의 단부(23c)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선단부(23a)가 로크 플레이트(16)의 상부 선단 부근(16c)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16)는 회전 지점(16d)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그 고정 클로(16a)는 텅 플레이트의 개구부(22)로부터 빠진다.
고정 클로(16a)가 텅 플레이트의 개구부(22)로부터 빠지는 동시에,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18)는 스프링(21)에 의해 위쪽으로 압출되고, 이에 따라 텅 플레이트(11, 12)를 위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의 텅 플레이트를 병치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하여 버클 내에 삽입했을 때만, 그들 텅 플레이트의 삽입이 허용되고, 텅 플레이트에 버클의 로크 수단이 결합된다. 그러나, 한쪽 텅 플레이트만을 버클의 텅 플레이트 삽입로에 삽입했을 경우에는, 그 텅 플레이트는 도중에서 진입이 저지되어, 상기 텅 플레이트가 버클의 로크 수단에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좌우의 텅 플레이트가 좌우 일체로 버클에 고정되는 것이 보증된다.

Claims (10)

  1. 한쌍의 텅 플레이트와, 이 한쌍의 텅 플레이트가 삽입 장착되는 버클로 이루어진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각 텅 플레이트는 일체로 되었을 경우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노치를 갖고,
    버클은 한쌍의 텅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텅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로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한쌍의 텅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직사각형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는 돌출 핀을 갖고,
    하우징은 돌출 핀을 안내하는 안내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돌출 핀은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안내 홈은 직선의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한쌍의 텅 플레이트 삽입 측과 반대쪽에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를 텅 플레이트의 삽입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한쌍의 텅 플레이트의 배치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는 한쪽의 텅 플레이트만을 수용했을 경우, 하우징 내면에 맞닿고,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 및 하우징의 맞닿음 면은 텅 플레이트 수용부재의 이동을 저지할 만큼 충분한 마찰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텅 플레이트 중의 한쪽 텅 플레이트에 오목부가 설치되고, 다른쪽 텅 플레이트에 한쪽 텅 플레이트의 오목부에 결합되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한쌍의 텅 플레이트 개구부로부터 로크 수단의 결합을 해제하는 로크 해제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KR1020020007368A 2001-02-15 2002-02-08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KR200200676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8673A JP2002238619A (ja) 2001-02-15 2001-02-15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タングプレート同時係止装置
JPJP-P-2001-00038673 2001-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630A true KR20020067630A (ko) 2002-08-23

Family

ID=1890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368A KR20020067630A (ko) 2001-02-15 2002-02-08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238619A (ko)
KR (1) KR20020067630A (ko)
CN (1) CN1374212A (ko)
TW (1) TW58703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6161B2 (en) 2010-12-15 2014-11-04 Takata Corporation Buckle, and seat belt apparatus including this
KR101470217B1 (ko) * 2013-10-17 2014-12-05 현대다이모스(주)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4482B2 (ja) * 2003-12-18 2011-01-05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トング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5042639B2 (ja) * 2007-01-15 2012-10-03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TWI394672B (zh) * 2009-04-01 2013-05-01 Wonderland Nursery Goods 適用於嬰兒承載裝置的安全帶扣具及其操作方法
AU2011200971B2 (en) * 2010-03-05 2014-07-10 Britax Childcare Pty Ltd Harness buckle assembly improvements
CN102908730B (zh) * 2012-11-03 2014-10-01 中山市金马科技娱乐设备有限公司 座椅安全带结构
CN106489777B (zh) * 2016-12-01 2023-11-14 小佩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可更换牵引绳的宠物牵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6161B2 (en) 2010-12-15 2014-11-04 Takata Corporation Buckle, and seat belt apparatus including this
KR101470217B1 (ko) * 2013-10-17 2014-12-05 현대다이모스(주)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38619A (ja) 2002-08-27
CN1374212A (zh) 2002-10-16
TW587033B (en) 200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189A (en) Buckle for vehicle seat belt system
JP4542965B2 (ja) ベルト係止具
US9346433B2 (en) Buckle apparatus for seat belt
JPH0870912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のバックル装置
US8950780B2 (en) Seat belt buckle and seat belt system for a vehicle
JPH11309004A (ja) バックル
KR20020067630A (ko) 차일드 시트용 텅 플레이트 고정 장치
US4797984A (en) Seat belt buckle
US7243403B2 (en) Buckle safety device
US3649999A (en) Reflex seat belt buckle
EP0204803A1 (en) Buckle
US5014401A (en) Seat belt system
KR20010053014A (ko) 버클
JP448042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230128918A1 (en) Child carrier
JP3455428B2 (ja) バックル用スイッチ及びバックル
EP2236351B1 (en) Harness fastener system for an infant carrie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1137013A (ja) 左右同時ロック用バックル
JP4075525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バックル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KR100323844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JP3431205B2 (ja) バックル装置
JPH11206A (ja) バックル装置
JPH11103909A (ja) バックル装置
JP3957129B2 (ja) 乗員拘束装置
JPH11105667A (ja) バッ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