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814A - 호스트 장치,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표시 방법, 패널 속성 독출 방법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호스트 장치,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표시 방법, 패널 속성 독출 방법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814A
KR20010051814A KR1020000068906A KR20000068906A KR20010051814A KR 20010051814 A KR20010051814 A KR 20010051814A KR 1020000068906 A KR1020000068906 A KR 1020000068906A KR 20000068906 A KR20000068906 A KR 20000068906A KR 20010051814 A KR20010051814 A KR 20010051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splay
window
host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4378B1 (ko
Inventor
도모오카다카토시
마미야조지
야마우찌가즈시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2001005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패널 환경하에서도 접속 패널수에 상관없이 동일한 오퍼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접속된 복수의 패널에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호스트(10)에 있어서, 단수의 패널(30) 또는 통합된 소정수의 패널(30)을 각각 한 단위로 한 패널 ID를 인식하는 패널 ID 인식부(22)와, 이 화상 신호의 전송 처리 단위인 윈도우에 각각 윈도우 ID를 할당하는 윈도우 ID 할당부(25)와, 화상 신호의 전송시에 독출 대상이 되는 패널 ID에 대하여 처리해야 할 윈도우 ID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부(24)와, 이 윈도우 ID 할당부(25)에 의해 할당된 윈도우 ID를 화상 신호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화상 신호 전송부(2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호스트 장치,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패널 속성 독출 방법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HOST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PANEL ATTRIBUTE READING-OUT METHOD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표시할 때의 비디오 인터페이스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의 표시 패널이나 고선명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방법, 구동 장치, 표시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PC)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대화면이 되는 표시 장치로서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때, 통상의 인터페이스 사양에서는 화상을 전송하기 위해서 1대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하나의 그래픽스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예컨대, 4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개개의 이미지를 표시하고자 한다면, 4개의 비디오 칩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통상의 인터페이스하에서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표시하려고 하여도, 실장할 수 있는 그래픽스 컨트롤러의 수, 즉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가 제한되어 있어, 최대 4∼8 패널 정도밖에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확장에도 자연히 한계가 있었다.
또한, 최근, 패널 자신의 고선명화가 진행되어, 고선명(초고선명)인 QXGA(Quad Extended Graphics Array) 패널(2048×1536 도트)이나, QUXGA(Quad Ultra Extended Graphics Array) 패널(3200×2400 도트)이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패널의 진보에 대하여 시스템 파워나 그래픽스 칩의 파워가 따라갈 수 없게 되고 있어, 초고선명 패널에서 충분한 표시를 할 수 없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그 때문에, 이 그래픽스 칩의 파워 부족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표시 장치측에 메모리를 구비하여,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전송 레이트까지 전송 속도를 떨어뜨리는 방법이 생각되고 있지만, 고속의 전송 레이트를 필요로 하는 동화상 표시 등에는 대처할 수 없다. 한편, 이러한 고선명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화면을 분할화하는 동시에 복수의 구동 장치에 의해 분할 처리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경우도 한 장의 패널임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패널이 존재할 때 실행되는 것과 동일한 처리가 호스트에 요구되어, 전술한 복수 패널의 접속과 같은 이유에 의해서, 처리의 확장이 곤란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 출원 평11-164354호에 있어서, 연쇄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속하는 기술에 관해서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화상 신호에 있어서 최하 라인의 정보 다음에 제어 신호를 부가함으로써 데이지체인(daisy chain)형으로 멀티 패널을 실현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 따르면, 시스템측의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서 간단히 소프트웨어를 변경함으로써 연쇄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확대 표시가 가능해진다.
한편으로, 이 일본국 특허 출원 평11-164354호에서는 호스트측에서 각 패널에 화상 신호선을 경유하여 제어 신호를 송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측에만 착안하면, 화면이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비교적 강하게 의식한 처리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출원중인 연쇄 접속에만 착안한 경우에는 각 패널의 중계에 의한 신호의 열화에 대하여도 기술적 과제가 남아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접속 패널수에 제한이 있는 동시에, 멀티 패널 환경을 실현하고자 할 때 접속 패널수에 의해서 동일한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곤란했다. 즉, 멀티 패널을 실현하려고 하여도, 그 수나 접속에 큰 제한이 있고, 또한 자유로운 형태의 멀티 패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멀티 패널 환경하에서도 접속 패널수에 상관없이 동일한 오퍼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는 해결할 수 없었던 트리형의 멀티 패널 접속을 실현하여, 동적인 패널의 재레이아웃을 가능하게 하는 데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빈틈없이 펼쳐진 패널을 하나의 커다란 패널로서 취급하거나, 분할한 다음에 동일한 정보의 복제를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캐스케이드형이나 트리형으로 접속된 멀티 패널로부터 디스플레이 속성을 독출하여, 개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고서 자동적으로 시스템에서 멀티 패널을 구성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초고선명의 패널을 복수의 구동 장치로써 분할 처리하는 경우에, 마스터가 되는 구동 장치가 각 구동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호스트로부터는 단일체의 표시 장치로서 보이도록 하여, 멀티 패널을 의식하지 않는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타일링을 포함하는 복수 패널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타일링을 포함하여 복수 패널을 구성한 경우의 제어 정보(제어 파라메터)의 설정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윈도우 ID와 패널 ID의 화상 공간에 있어서의 대응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패널(30) 내에 놓인 핸들러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호스트(10)로부터 패널(30)측에 출력되는 패킷 처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패널 A, B, C, D에 의한 패널 ID의 설정과 구성 정보의 독출을 단계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패널 A, B, C, D에 의한 패널 ID의 설정과 구성 정보의 독출을 단계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패널 A, B, C, D에 의한 패널 ID의 설정과 구성 정보의 독출을 단계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패널 A, B, C, D에 의한 패널 ID의 설정과 구성 정보의 독출을 단계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디스플레이 정보 독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플러그 & 플레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포맷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예에 관해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예에 관해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스트(host)
11 : CPU
12 : 입출력 회로
13 : RAM
15 : 표시 제어 회로
21 : 패널 ID 설정 지시부
22 : 패널 ID 인식부
23 : 패널 속성 설정부
24 : 제어 신호 출력부
25 : 윈도우 ID 할당부
26 : 화상 신호 전송부
27 : 화상 생성부
30 : 패널
31 : 처리 칩
32 : 비휘발성 메모리
33 : 리시버
34 : 드라이버
41 : 타일(Tiled) 비트
42 : 타일 마스터(TiledMaster) 비트
43 : 타일 라스트(TiledLast) 비트
44 : 멀티콘프(MultiConf) 비트
45 : 패널 ID
50 : 시스템의 화상 공간
51, 52 : 윈도우
61 : 제1 핸들러
62 : 제2 핸들러
이러한 목적하에서, 본 발명은 접속된 복수의 패널에 대하여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로서, 단수의 패널 또는 통합된 소정수의 패널을 각각 한 단위로 한 패널 ID를 인식하는 패널 ID 인식부와, 이 화상 신호의 전송 처리 단위인 윈도우에 대하여, 각각 윈도우 ID를 할당하는 윈도우 ID 할당부와, 화상 신호의 전송시에, 독출 대상이 되는 패널 ID에 대하여 처리해야 할 윈도우 ID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부와, 이 윈도우 ID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윈도우 ID를 화상 신호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화상 신호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접속된 고선명 패널에 대하여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로서, 이 고선명 패널을 소정의 수로 분할한 서브 패널을 상정하여, 단수의 서브 패널 또는 통합된 소정수의 서브 패널을 각각 한 단위로 한 패널 ID를 인식하는 패널 ID 인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이 제어 신호 출력부는 패널 ID를 갖는 한 단위마다 또는 선택된 복수의 단위마다 처리해야 할 표시 영역에 관한 정보인 처리 공간의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화면 표시를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공간 상의 임의의 위치에 대응짓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패널(서브 패널)에 있어서의 처리 공간의 원점을 변경하는 커맨드를 패널(서브 패널)에 대하여 보내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처리 공간의 설정 정보는 초기 설정 외에, 처리해야 할 화상 공간을 변경하기 위한, 소위 갱신 정보도 포함된다.
여기서, 선택된 복수의 단위마다로서는, 예컨대, 패널 ID : 0에 대한 커맨드는 모든 패널에 대한 브로드캐스팅이라고 하도록 약속함으로써 실현된다. 예컨대, 복수의 패널에 대하여 동시에 발행하는 것으로서는, 모든 패널을 1 커맨드로 비표시 상태(진한 검은 색)로 하거나, 표시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패널을 빈틈없이 채워 깔은 멀티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어 신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설정 정보는 인접하는 패널에 있어서의 처리 공간의 종료 좌표와 개시 좌표에 간극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패널의 테에 의한 불연속 영역을 고려하여, 예컨대 10 비트 정도, 좌표를 오프셋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복수의 패널을 빈틈없이 채워 깔아 불연속이 생긴 경우라도, 화면을 보는 사용자에게는 화상의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패널 ID마다 패널 속성을 설정하는 패널 속성 설정부를 더욱 구비하고, 제어 신호 출력부는 패널 ID를 지정하여 패널 속성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패널 속성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속성 정보로서는 패널의 밝기나 감마 설정, 색 온도 특성을 포함하는 색 조정 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호스트 장치는 원하는 패널을 지정하여 패널 속성의 갱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신호 전송부는 윈도우마다 화면의 갱신을 관리하는 동시에, 갱신의 필요시에 갱신 화상 신호를 패킷화하고, 이 윈도우 ID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화면 상의 윈도우 위치, 크기 등의 제어 정보도 부가되어 보낼 수 있다.
또, 패널(서브 패널)에 대하여 패널 ID의 설정을 지시하는 패널 ID 설정 지시부를 더욱 구비하고, 패널 ID 인식부는 이 패널 ID 설정 지시부에 의한 지시에 기초하여 패널(서브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로부터 패널 ID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처리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또한, 일부의 기능을 카드에 지니게 하고, 나머지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행하더라도 좋다. 즉, 호스트 장치 등의 형태로서 하드웨어에 의해 달성할지 소프트웨어에 의해 달성할지의 수단을 가리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에 접속되어, 복수의 패널에 의해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단수의 패널 또는 통합된 소정수의 패널마다, 식별자인 패널 ID를 설정하는 패널 ID 설정 수단과, 화상 신호의 전송 처리 단위인 윈도우마다 할당된 윈도우 ID에 대하여, 패널 ID와 처리해야 할 윈도우 ID와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전송되는 화상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윈도우 ID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이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특정한 윈도우 ID가 할당된 화상 신호를,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패널 ID를 갖는 패널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화상 표시 장치가 예컨대, 고선명 패널 등을 분할한 서브 패널의 집합인 경우에는 패널을 소정의 수로 분할한 서브 패널을 상정하여, 단수의 서브 패널 또는 통합된 소정수의 서브 패널마다, 식별자인 패널 ID를 설정하는 패널 ID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특정한 윈도우 ID가 할당된 화상 신호를,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패널 ID를 갖는 서브 패널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호스트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패널의 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한 패널 제어 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면, 호스트 장치에 의해서, 예컨대 복수의 패널을 한 장의 큰 가상 패널로 상정하는 타일링 상태 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패널 제어 비트로서는, 예컨대, 타일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기억해 두는 타일링 비트, 가상 패널의 대표로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하는 패널임을 나타내는 타일 마스터 비트, 연결된 타일링 구성 패널의 최종 패널임을 나타내는 타일 라스트 비트, 멀티 패널 구성으로서 재배치를 받고 있음을 나타내는 비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패널(서브 패널)은 각각이 단일 윈도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 유닛(예컨대 핸들러)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핸들러는 처리해야 할 윈도우 ID 외에, 윈도우가 겹친 경우의 상하 관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갖도록 구성하면,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의 전개를 적절히 실행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핸들러의 수는 동시에 처리를 할 필요가 있는 윈도우의 수를 고려하여 최적화가 도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초고선명 패널에 있어서의 서브 패널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브 패널의 패널 ID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서브 패널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유일한 메모리를 표시 장치에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각 서브 패널을 구동하는 처리 칩을 서브 패널마다 복수 설치하여, 이 처리 칩을 제어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스트와 이 호스트에 접속된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복수의 패널은 식별자로서의 패널 ID를 구비하고, 호스트는 이 호스트가 의식하고 있는 화상 공간의 위에서 통합되어 의미를 갖는 영역인 윈도우에 대하여, 각각의 윈도우에 대해 윈도우 ID를 할당하고, 화상 신호에 이 윈도우 ID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시에, 윈도우 ID와 패널 ID를 대응짓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이 호스트에서는 화상 전개전의 화상 신호를 패킷화하여 출력하고, 이 디스플레이에서는 출력된 화상 전개전의 화상 신호를 전개하는 처리를 각 패널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각 모듈에 있어서의 작업량의 최적화와, 시스템 전체적인 처리 능력의 향상을 모도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이 복수의 패널을 한 장의 고선명 패널로 하고, 각 패널을 이 고선명 패널을 분할한 서브 패널로서 발명을 파악하더라도 문제는 없다.
또, 한편, 카테고리를 바꾸어 본 발명을 파악하면,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스트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표시부에 대하여, 단수의 표시부 또는 타일링을 형성하는 소정수의 표시부를 식별하기 위한 패널 ID를 설정하고, 이 호스트가 의식하고 있는 화상 공간의 위에서 통합되어 의미를 갖는 영역으로서 윈도우를 정의하는 동시에, 이 윈도우에 대하여 윈도우 ID를 할당하고, 화상 정보의 전송에 앞서서, 패널 ID가 설정된 표시부에 대하여 처리해야 할 윈도우 ID를 셋트하고, 화상 정보에 윈도우 ID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패널을 이용한 확대 패널이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표시부는 이 확대 패널을 구성하는 패널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단일체의 고선명 디스플레이 패널이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표시부는 이 고선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할하여 처리하기 위한 서브 패널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에서 디스플레이로는 패널 ID의 변경 또는 표시부가 처리해야 할, 예컨대 상술한 핸들러에 있어서의 윈도우 ID의 변경을 커맨드에 의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패널 속성의 변경 등도 커맨드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커맨드를 보낸 호스트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의 에러 정보 등을 독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타일링을 형성하는 소정수의 표시부는 전부 공통의 패널 ID가 설정되는 동시에, 전부 공통의 윈도우 ID가 셋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호스트측에서 타일링된 소정수의 표시부를 하나의 패널로서 취급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수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예컨대 확대 표시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을 다른 관점에서 파악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스트에 접속된 복수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에 대하여 표시 패널을 식별하기 위한 패널 ID를 설정하는 동시에, 표시 패널의 속성을 호스트에서 독출하기 위한 패널 속성 독출 방법으로서, 전원 투입시에는, 모든 표시 패널에 대하여 패널 ID를 0으로 설정하고, 호스트에 의해서 특정한 표시 패널에 대한 속성 정보가 독출되어, 속성 정보를 독출한 표시 패널에 대하여, 커맨드를 이용하여 패널 ID를 0과 다른 값으로 설정하고, 패널 ID가 0인 표시 패널은 호스트로부터의 상기 커맨드를 하류의 표시 패널로 보내는 것을 금지하고, 0과 다른 패널 ID를 갖는 표시 패널은 하류측에 접속된 복수의 표시 패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속성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패널 속성 독출 방법에 따르면, 맨처음부터 패널 ID를 정하여 각 속성을 기억해 둘 필요가 없어져, 패널의 추가, 삭제 등을 행한 후 등에, 다이나믹하게 패널 ID를 설정할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우수하다.
또, 이 0과 다른 패널 ID를 갖는 표시 패널은 가장 맨처음에 0을 출력해 온 표시 패널을 선택하여 속성 정보를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이 0과 다른 패널 ID를 갖는 표시 패널에 대하여, 동시에 2개 이상의 하류측 표시 패널로부터 0이 출력된 경우에는, 표시 패널에서 고정되어 있는 우선도에 따라서 하나의 하류측 표시 패널을 선택하여 속성 정보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더욱이, 복수의 표시 패널이 타일링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일링되어 있는 표시 패널 중에서 가장 호스트에 가까운 표시 패널로부터 속성 정보가 전송되고, 패널 ID를 설정하는 호스트로부터의 커맨드는 블록되는 일없이 타일링되어 있는 모든 표시 패널에 대하여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타일링되어 있는 패널에 대하여 동일한 패널 ID를 다이나믹하게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 표시 패널은 단일한 고선명 패널을 복수로 분할한 서브 패널이며, 패널 ID는 이 서브 패널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동시에, 이 서브 패널에 대응한 속성이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을 파악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스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표시 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화상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이 표시 패널을 식별하기 위한 패널 ID를 설정하고, 호스트는 특정한 패널 ID를 지정하여, 패널 ID를 갖는 표시 패널에 대하여 운전을 계속중임을 확인하기 위한 커맨드를 발행하고, 패널 ID에 의해 지정된 표시 패널은 액티브임을 나타내는 비트를 이용하여 호스트의 독출에 대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호스트측에서는 특정한 표시 패널에 대한 접속 확인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되어 있지 않은 표시 패널은 단순히 하류에서부터의 독출 데이터를 상류의 호스트측으로 흘리는 것으로 하고, 호스트측으로는 논리합을 취하면서 전송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새롭게 추가된 표시 패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이 그것을 통지하기 위한 비트를 액티브로 하여 호스트에 대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추가된 표시 패널의 존재를, 호스트는 간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우수하다. 이 때도, 호스트측에는 각 표시 패널에서 논리합을 취하면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0은 퍼스널 컴퓨터(PC) 등으로 이루어지는 호스트(HOST)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호스트(10)에 있어서, 부호 12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출력 회로이며, 부호 13은 영상 신호 등의 데이터가 기억된 하드디스크, 다이나믹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RAM이다. 표시에 이용되는 영상 신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호스트(10) 자신에 의해서 작성되는 경우 외에, 외부 장치 등에 의해 생성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부호 11은 CPU이며, 제어 프로그램이나 입출력 회로(12)로부터의 사용자에 의한 지시 등에 기초하여 호스트(10)의 실행 처리를 한다.
또한, 부호 15는 표시 제어 회로이며, CPU(11)에 의해서 제어되는 동시에, 접속된 패널(30)에 대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이 표시 제어 회로(15)는 패널 ID 설정 지시부(21), 패널 ID 인식부(22), 패널 속성 설정부(23), 제어 신호 출력부(24), 윈도우 ID 할당부(25), 화상 신호 전송부(26) 및 화상 생성부(27)를 구비한다.
이 패널 ID 설정 지시부(21)는 예컨대 전원 투입 직후에 패널(30)에 대하여 패널 ID를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패널 ID 인식부(22)에서는 패널 ID 설정 지시부(21)가 복수의 패널(30)에 할당한 패널 ID를 인식하고 있으며, 패널 속성 설정부(23) 및 제어 신호 출력부(24)가 개개의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에 패널 ID를 제공한다. 또한, 패널 속성 설정부(23)에서는 패널 ID에 의해 패널을 지정하여 휘도 제어나 감마 조정 등의 패널 속성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 신호 출력부(24)에서는 패널 ID에 대하여 처리해야 할 윈도우 ID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출력은 후술하는 핸들러에 출력된다. 또한, 윈도우 ID 할당부(25)에서는 각각의 윈도우에 유일한 윈도우 ID가 할당된다. 화상 신호 전송부(26)는 RAM(13)에 저장된 화상 신호를 독출하여 패킷화한 후 윈도우 ID를 부여하여 패널(30)에 화상 신호를 전송한다. 또, 화상 생성부(27)는 RAM(13)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그 자체를 형성하는 그래픽스 묘화를 실행한다.
한편, 부호 30은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널인데, 이 패널(30)의 하류측에는 또한 복수의 패널(30)이 캐스케이드형이나 트리형으로 접속되어 있고, 예컨대 여러장의 패널(30)을 조합시켜 대화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 패널(30)은 고선명 패널을 복수로 분할한 서브 패널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하류측에 접속된 복수의 패널(30)(서브 패널)을 포함하여, 물체로서(물리적으로) 한 장의 패널이 된다.
각 패널(30)은 처리 칩(31)에 의해서 처리된다. 이 처리 칩(31)에는 프레임 메모리(도시하지 않음)가 포함되어 있고, 스스로가 처리해야 할 표시 영역에 관한 정보[도 1의 예에서는 (0,0)∼(3999,2999)]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처리 칩(31)은 그 정보에 있는 영역만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처리 칩(31)에는 비휘발성 메모리(3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비휘발성 메모리(32)에는 처리 공간 등의 패널 설정에 필요한 정보, 멀티 패널에 있어서의 재설정 정보,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로서 알려진 패널의 속성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단, 패널(30)이 고선명 패널의 서브 패널의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비휘발성 메모리(32)는 호스트(10)에 최초로 접속되는 마스터의 처리 칩(31)에 하나만 접속되어 있으면 족하며, 모든 서브 패널에 비휘발성 메모리(32)를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서브 패널에 구동 장치로서의 처리 칩(31)을 지니고, 각 설정 파라메터는 단일한 비휘발성 메모리(32)에 저장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또한, 각 패널(30)에는 패킷화된 화상 신호(화상 데이터)를 호스트(10)로부터 수신하는 리시버(33)와, 멀티 패널 구성시에 다음 패널(30)에 화상 신호를 보내기 위한 드라이버(34)가 구비되어 있다.
호스트(10)의 화상 신호 전송부(26)로부터 전송된 화상 신호는 리시버(33)에 의해서 수신되어, 처리 칩(31)으로 내용이 보내진다. 호스트(10)와의 정보 교환에는 DDC(Display Data Channel)로서 알려져 있는 12C 베이스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고,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신호가 호스트(10)와 패널(30) 사이를 오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신된 화상 신호는 드라이버(34)에 의해 하류측의 패널(30)로 보내진다. 그와 동시에, 호스트(10)와의 DDC를 하류측의 패널(30)에 접속하기 위해서, 처리 칩(31)에서 하류로 향한 DDC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화면의 분할 구동의 요(要)가 되는 파라메터의 하나는 처리 공간의 설정이다. 도 1에 있어서, 패널(30)의 화소수가 수평 방향으로 4000 화소, 수직 방향으로 3000 화소였다고 하자. 이 때, 패널(30)을 단일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면의 좌측 상단의 화소를 (0,0), 우측 하단의 화소를 (3999,2999)로 하여 호스트(10)의 화상 공간에 대응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DDC 경유의 커맨드를 이용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32)의 구성 정보를 바꿔 기록함으로써, 처리 공간을 호스트(10)의 화상 공간 상의 임의의 위치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패널(30)을 캐스케이드형 또는 트리형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류로의 출력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출력에는 화상 신호와, 호스트(10)와의 통신을 위한 DDC를 포함하고 있다. 출력되는 화상 신호는 입력된 정보와 같은 내용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호스트(10)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DDC 출력은 입력된 내용의 복사를 출력함으로써, 모든 접속 패널(30)에 정보를 동시에 전송한다.
한편, 호스트(1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예컨대 후술하는 패널 ID 등의 각종 정보를 패널(30)측에서 호스트(1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패널(30)이 상류[호스트(10)에 가까운 방향]를 향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예컨대 EDID 정보의 독출시에는 각 패널(30)에 복수대 접속된 패널(30)로부터의 입력 중 하나의 입력이 선택된다. 또한, 정보의 내용으로서, 예컨대 에러 정보의 독출시에는 복수대로부터의 입력을 논리 처리(논리합 등)하여 정보를 집계하면서 상류로 전송하는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패널(30)은 그 한 대로 호스트(10)에게 한 대의 표시 장치로서 인식되는 경우 외에, 복수의 패널(30)이 예컨대, 빈틈없이 펼쳐진 것과 같이 레이아웃하는 등, 호스트(10)에게 한 대의 표시 장치로서 인식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개개의 패널(30)은 패널 ID(Panel-ID)라 불리는 식별자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을 투입한 직후는 패널 ID는 0으로 된다. 호스트(10)의 패널 ID 설정 지시부(21)에 의해서 ID 설정의 지시를 받으면, 그 때 설정한 ID가 각 패널(30)의 식별자가 된다. 호스트(10)의 패널 ID 인식부(22)는 가장 상류측의 패널(30)을 경유하여 각 패널(30)이 지닌 패널 ID를 인식한다. 또, 호스트(10)의 패널 속성 설정부(23)에서는 각 패널(30)이 갖는 패널 ID를 이용하여, 목적의 패널(30)을 지정하고, 패널(30)의 속성(휘도, 감마 설정 등)의 갱신 등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호스트(10)로부터 패널 ID를 지정하여, 지정된 패널(30)이 처리하는 화상 공간을 변경함으로써, 다수의 패널이 빈틈없이 펼쳐진 것과 같은 표시 공간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화상 공간을 변경할 때 호스트(10)로부터의 변경 커맨드를 사용하여, 변경을 받았음을 나타내는 멀티콘프(MultiConf) 비트와 변경후의 새로운 공간의 좌표를 비휘발성 메모리(32)에 저장해 둔다. 이에 의해서, 차회의 시스템 기동시에 그 공간의 표시를 재개할 수 있다. 이 때, 한 장의 패널(30)이 복수의 칩(처리용 칩)에 의해 구동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칩이 스스로 처리해야 할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서브 패널마다 처리 공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패널(30)의 비휘발성 메모리(32)에 저장되어 있는 서브 패널의 처리 공간 정보에 패널(30)로서의 공간 변경분을 작용시킨 것을 각 서브 패널에 보내게 된다.
이상과 같은 식으로 멀티 패널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매수(枚數)만큼의 패널(30)을 호스트(10)가 관리하게 된다. 고정적으로 레이아웃된 환경하에서 단순히 한 장의 패널(30)로서 취급하더라도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타일링(tiling)이라고 부르는 수법에 의해, 호스트(10)에게 단일체의 패널(30)로 보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타일링에 의해 복수의 패널(30)을 조합시켜 한 장의 커다란 가상 패널로 하는 경우에, 그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개개의 패널(30)은 공통의 패널 ID를 갖도록 구성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호스트(10)가 이 가상 패널을 한 장의 패널(30)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일링에 의해서 한 장의 표시 장치로 간주되는 경우에는 공통의 패널 ID를 갖는 것 외에 후술하는 제어 정보에 의해서 타일링이 실현된다.
한편, 이들 각 처리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또한 일부의 기능을 카드에 지니게 하고 나머지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행하더라도 좋다.
도 2는 타일링을 포함하는 복수 패널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패널 A∼패널 I는 도 1에 나타낸 패널(30)과 동일한 구성이다. 여기서, 패널 A와 B는 각각이 단일체의 패널로서 인식되고 있고, 공통의 화상 공간[예컨대 (0,0)∼(999,999)]을 갖고 있다. 패널 C, D, E, F는 4장이 한 장의 패널로 간주되도록 타일링을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화상 공간은 예컨대, (0,0)∼(1999,1999)까지 4장의 패널이 각각 연속된 상태, 즉 4장의 패널로 하나의 큰 화상 공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 G, H, I는 각각 단일체의 패널로서 인지된다. 단, 여기서는 표시 영역의 변경을 받아, 가상 패널 C, D, E, F의 우측에 인접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도록 지시되고 있고, 패널 G의 화상 공간은 (3000,0)에서부터 개시한다. 또한, 패널 G, H, I는 패널의 테 등에서 약 10 도트 정도의 불연속 영역이 있는 것을 고려하여, 간극을 만든 공간 설정으로 되어 있다. 예컨대, 패널 G의 종료 x 좌표는 3999이며, 인접하는 패널 H의 개시 x 좌표는 4010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패널 H의 종료 y 좌표는 999이며, 인접하는 패널 I의 y 좌표는 1010에서부터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 처리 공간의 설정시에, 패널의 외측 틀 등에 의해서 화면 상의 표시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인접한 패널의 종료 좌표와 개시 좌표에 간극을 갖게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패널(30)에는 1대 이상의 처리 기구가 있어, 각각에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배선과, 제어 정보를 교환하는 DDC 등의 배선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타일링을 포함하여 복수 패널을 구성한 경우의 제어 정보(제어 파라메터)의 설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모듈(패널) A∼I는 도 2에 나타낸 패널 A∼패널 I에 대응하도록 나타내어져 있다. 제어 정보로서는 패널 ID(45) 외에, 타일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기억해 두는 타일(Tiled) 비트(41), 가상 패널의 대표로서 호스트(10)와 통신하는 패널임을 나타내는 타일 마스터(TiledMaster) 비트(42), 연쇄 접속인 데이지체인된 타일링 구성 패널의 최종 패널임을 나타내는 타일 라스트(TiledLast) 비트(43) 및 멀티 패널 구성으로서 재배치를 받고 있음을 나타내는 멀티콘프(MultiConf) 비트(44)가 있다. 각 패널(30)은 도 1에 나타내는 비휘발성 메모리(32)에 각각의 비트 정보를 저장하여, 각각의 패널(30)에 의해서 이들 비트가 관리된다.
여기서, 가상 패널 C, D, E, F는 한 장의 패널로서 호스트(10)에 인식되므로, 타일 비트(41)가 "Y", 즉 "1"로 설정되어 있고, 이들 패널 ID(45)는 공통의 "패널 ID : 3"을 갖고 있다. 이 중에서, 패널 C는 타일링의 선두에 위치하여 호스트(10)로부터의 정보 독출(예컨대, EDID 정보 독출)에 응답하기 위해서, 가상 패널의 대표임을 나타내는 타일 마스터 비트(42)가 "Y", 즉 "1"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 다른 단일체 패널은 전부 독출에 대답하기 위해서, 타일 마스터 비트(42)가 "Y", 즉 "1"로 설정되어 있다. 또, 타일링의 최종 패널인 패널 F에서는 타일 라스트 비트(43)가 "Y", 즉 "1"로 설정되고 있다.
패널 G, H, I는 단일체의 패널로서 취급되고 있고, 각각, "4", "5", "6"이라는 별개의 패널 ID(45)를 갖고 있다. 처리하는 화상 공간을 단일체일 때부터는 변경하고 있으므로, 멀티콘프 비트(44)가 "Y", 즉 "1"로 설정되어 있다. 이 멀티콘프 비트(44)가 "1"로 되어 있을 때에는 좌측 위를 (0,0)로 한 표준 공간이 아니라, 임의의 장소에 대응한 멀티 패널 구성용의 화상 공간이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타일링될 때도 동일한 멀티 패널 구성용의 파라메터가 사용된다. 여기서, 타일링 구성으로 할지, 단일체 패널로서 다루어 멀티 패널 구성으로 할지의 어느 쪽이라도, 패널이 빈틈없이 펼쳐진 화상 공간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타일링시에는 한 장의 패널로서 취급하는 용이함이 있지만, 그 한편으로, 멀티 패널시에는 각각의 속성을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양자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패널 A, B는 단일체의 패널로서 취급되며, 각각, "1", "2"이라고 하는 별개의 패널 ID(45)를 갖고 있다. 그리고, 멀티 패널 구성을 받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좌측 상단을 (0,0)라는 같은 화상 공간에 대응하고 있게 된다. 이 때, 패널 A, B의 처리 유닛이 동일한 윈도우 번호(후술)를 할당받고 있었다고 하면, 패널 A, B는 완전히 동일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로서는 예컨대, 은행 등에서 카운터 업무를 하고 있을 때 고객과 은행원이 같은 화면을 공유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징인 윈도우 ID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호스트(10)가 의식하고 있는 화상 공간 위에서, 통합되어 의미를 갖는 영역을 윈도우라 부르며, 화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의 단위로 하고 있다. 윈도우는 또한 호스트(10) 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처리가 미치는 범위인 경우가 많다.
호스트(10)에서는 각각의 윈도우에 유일한 윈도우 ID를 할당하고 있다. 호스트(10)는 윈도우마다 화면의 갱신을 관리하여, 갱신의 필요가 있으면 갱신 데이터를 패킷화하고, 윈도우 ID를 부가하여 전송하고 있다. 화면상의 윈도우의 위치, 크기 등의 제어 정보도 패킷에 부가된다.
패널(30)은 각각이 하나의 윈도우 ID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윈도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이 유닛의 수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윈도우의 수가 된다.
도 4는 윈도우 ID와 패널 ID와의 화상 공간에 있어서의 대응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 50은 호스트(10)에 의해 표시 가능한 화상 공간인 시스템의 화상 공간이다. 이 시스템의 화상 공간 중에 복수의 패널(30)이 배치되어 있다. 패널 ID : 1인 패널(30)은 한 장으로 단일체이며 하나의 패널로서 취급되고 있다. 패널 ID : 2인 4장의 패널(30)은 4장의 패널(30)이 타일링되어 공통의 패널 ID : 2를 갖고 있다. 호스트(10)로부터 윈도우의 화상 전송을 하기 전에, 패널(30)에 대하여 처리해야 할 윈도우 ID를 셋트한다. 도 4에서는 윈도우 ID : 1의 윈도우(51) 및 윈도우 ID : 2의 윈도우(52)를 처리하도록, 패널 ID : 1 및 패널 ID : 2에 대하여 커맨드를 통하여 명령한다. 여기서, 윈도우 ID : 1의 윈도우(51)를 갖는 화상 정보가 윈도우 ID 정보와 함께 패킷으로 전송되면, 그 윈도우(51)의 범위와 각 패널(30)의 표시 범위에 기초하여, 각 패널(30)은 자신의 관리 영역에 대한 액세스만을 실행한다. 핸들러(후술)는 윈도우 ID 외에, 윈도우가 겹친 경우의 상하 관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도 갖고 있다.
도 5는 패널(30) 내에 놓인 핸들러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핸들러란 하나의 윈도우의 처리를 담당하는 처리 유닛을 말하며, 도 5에서는 예컨대, 하나의 패널(30)에 2개의 핸들러가 장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핸들러(61) 및 제2 핸들러(62)는 각각 윈도우 ID : 1 및 윈도우 ID : 3의 처리를 담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호스트(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는 패킷화되고, 각각에 윈도우 ID가 부가된다. 제1 핸들러(61) 및 제2 핸들러(62)는 패킷 중의 윈도우 ID가 각각의 처리해야 할 윈도우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실행하여, 스스로의 패널(30)에 있어서의 표시부(36)의 표시 공간에 대하여 화면을 갱신한다. 도 5의 설정에서는 윈도우 ID : 2인 윈도우는 처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1 핸들러(61) 또는 제2 핸들러(62)의 설정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윈도우 ID : 2를 처리하도록 지정한 다음에, 윈도우 ID : 2의 패킷을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러의 수는 동시에 처리할 필요가 있는 윈도우의 수를 고려하여 최적화된다. 또한, 한 장의 패널(30)을 복수의 처리 칩(31)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각 처리 칩(31)의 핸들러는 전부 공통의 윈도우 ID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패널(30)이 타일링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타일링을 구성하는 모든 패널(30)이 공통의 윈도우 ID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화상 전송을 더욱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패킷 전송을 도 6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이 도 6은 호스트(10)로부터 패널(30)측으로 출력되는 패킷 처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지금, 호스트(10)측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화상 이미지로서 영역 A와 영역 B가 존재하는 것으로 하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상의 전개 작업을 호스트(10)측에서 실행하지 않고, 패널(30)측에서 실행된다. 호스트(10)에서는 예컨대, 영역 A에 대하여 윈도우 ID : 4, 영역 B에 대하여 윈도우 ID : 5를 설정한다. 패널(30)측으로의 화상 정보의 전송은 각 영역마다 구분되어 패킷 방식으로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인에이블(Display Enable) 신호에 대응하여, 예컨대 스캔마다 패킷화되어 화상 신호가 전송된다. 이들 패킷에 의한 화상 신호에는 각각 윈도우 ID를 나타내는 ID 정보가 부가되어 전송된다. 예컨대, 특정한 패널(30)에 있어서의 전술한 각 핸들러가 윈도우 ID : 4 및 윈도우 ID : 5를 처리하도록 설정되면, 패킷 방식으로 전송되어, 윈도우 ID가 부여된 화상 정보를 지정 패널 상에서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호스트(10)와 디스플레이[복수의 패널(30)] 사이의 커맨드에 관해서 설명한다.
호스트(10)에서 복수의 패널(30)로 커맨드에 의해 패널 ID의 변경, 핸들러에 있어서의 윈도우 ID의 변경, 패널 속성의 변경 등을 실행한다. 호스트(10)는 복수의 패널(30)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Video Data)의 에러 정보 등을 독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 패널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음의 커맨드를 갖추고 있다.
① 패널 ID의 설정 : 목적으로 하는 패널(30)의 ID를 변경한다. 전원 투입 직후에는 모든 패널(30)이 패널 ID : 0이기 때문에, 패널 ID : 0을 0과 다른 패널 ID로 변경한다.
② 패널 원점 설정 : 목적으로 하는 패널(30)의 표시 위치를 변경한다. 호스트(10)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화상 공간(50)에 있어서, 임의의 장소에 설정한다.
③ 핸들러용 윈도우 ID 설정 : 각 패널(30)이 처리하는 윈도우 ID를 핸들러마다 설정한다.
④ 핸들러용 윈도우 우선도 설정 : 핸들러가 담당하는 윈도우가 서로 겹쳐 있는 경우의 우선도를 설정한다.
⑤ 윈도우의 에러 정보 독출 : 어떤 윈도우 ID를 지닌 화상 데이터가 전송된 후, 전송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독출한다. 윈도우는 복수의 칩, 패널에 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목적으로 하는 윈도우 ID를 갖는 전체 칩의 결과에 대하여 논리합을 취한다.
⑥ 패널의 에러 정보 독출 : 목적으로 하는 패널(30)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독출한다. 타일링하고 있는 경우에는 모든 구성 멤버[패널(30)]에 있어서의 에러 정보의 논리합을 독출하는 것으로 한다.
⑦ 패널 전원 상황 독출 : 목적으로 하는 패널(30)의 동작 상황을 독출한다. 신규로 추가된 패널(30)은 추가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도 포함한다.
⑧ 패널 구성 정보 독출 : 비휘발성 메모리(32)에 저장된 패널(30)의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
⑨ 패널 구성 정보 변경: 타일링 등의 구성 정보의 변경을 비휘발성 메모리(32)에 저장한다.
이어서, 패널(30)의 구성 정보(디스플레이 정보)의 독출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7∼도 10은 패널 A, B, C, D에 의한 패널 ID의 설정과 구성 정보의 독출을 단계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호스트(10)가 접속되어 있는 패널(30)(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정보(속성 정보)를 독출하여, 오퍼레이션에 최적인 설정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 패널(30)은 비휘발성 메모리(32)에 디스플레이의 여러 가지 속성을 기억하여 호스트(10)로부터의 독출에 응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서 규정되어 있는 EDID 정보에 기초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여러대의 패널(30)이 접속된 환경하에 있어서, 이하의 룰 및 기구를 도입하여, 모든 패널(30)로부터의 속성 정보의 독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7∼도 1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정보 독출의 흐름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패널 ID : 0인 패널(30)만이 속성 정보의 독출에 응답하는 권리를 갖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투입 직후에는 모든 패널(30)이 패널 ID : 0을 갖는다. "0" 이외의 ID를 갖는 패널(30)은 하류에 접속된 복수의 패널(3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류에[호스트(10)측에] 전송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호스트(10)가 속성 정보를 독출한 후에는 커맨드에 의해 그 패널(30)의 패널 ID를 "0" 이외의 것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패널 ID : 0인 패널(30)은 패널 ID 커맨드를 호스트(10)로부터 하류측의 패널(30)로 보내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다른 패널(30)이 부주의하게 패널 ID의 설정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도 7에 있어서는, 패널 A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있어서의 속성 정보가 독출되고 있고, 패널 A가 패널 ID의 설정을 받을 때까지, 패널 A의 하류측의 패널(30)에는 커맨드가 전송되지 않는다.
그 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A의 패널 ID가 예컨대 "1"로 설정되어, "0" 이외의 것이 되면, 패널 A에 접속된 패널 B, C에의 액세스가 가능해진다.
"0" 이외의 패널 ID를 갖는 패널(30)이, 접속된 하류측 패널(30)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직렬 전송 방식의 12C 버스 데이터선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패널(3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단자는 풀업되어 있고, 항상 "1"이되록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장 맨처음에 "0"을 출력해 온 패널(30)은 다음 후보로서 선택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패널 A에 접속되어 있는 패널 B와 패널 C 중, 패널 B가 먼저 "0"을 출력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패널 B가 선택되어, 비휘발성 메모리에 있는 속성 정보의 독출이 실행된다. 또한, 동시에 2개 이상의 패널(30)로부터 "0"이 입력된 경우에는 각 패널(30)에서 고정되어 있는 우선도에 따라서 패널(30)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단, 선택된 패널(30)에의 경로는 패널 ID 설정의 커맨드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A에 의해 선택된 패널 B로의 경로는 패널 B의 ID가 설정될 때까지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수 존재하는 패널 ID : 0의 패널(30) 중에서, 직전에 속성 정보를 독출한 패널(30)의 패널 ID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패널 ID의 설정 커맨드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경로는 전부 해제되어, 새로운 미설정 패널(30)의 선택이 행해지게 된다.
도 9에서는 패널 B가 패널 ID : 2로 설정된 후에, "0"이 출력된 패널 C가 패널 A에 의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패널(30)이 타일링되어 있는 경우, 속성 정보를 호스트(10)에 보내는 책임을 갖는 패널(30)은 전술한 타일 마스터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타일링된 패널군 중에서 호스트(10)와의 링크 상의 거리가 가장 짧은 곳에 위치한 패널(30)이 그 책임을 갖고, 도 9에 있어서는 패널 C에 있는 타일 마스터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다. 타일링되어 있는 경우, 패널 ID를 설정하는 호스트(10)로부터의 커맨드는 차단되는 일없이 하류측의 패널(30)로 보내어져, 타일링된 패널군 전체가 같은 패널 ID를 갖도록 한다. 전술한 타일 라스트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패널(30)에서는 타일링하고 있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호스트(10)로부터의 커맨드를 차단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패널 C와 패널 D가 타일링되어 있고, 패널 C가 타일링된 가상 패널의 대표로서 속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속성 정보에는 단일체 패널로서의 속성 이외에, 타일링된 가상 패널로서의 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패널 ID의 설정 커맨드는 패널 C, D에 공통으로 작용하여, 같은 ID를 갖게 된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패널 C, D에서 동일한 패널 ID "3"이 설정된다.
이어서, 설정 정보의 독출을 시도하여, 한 비트의 "0"도 읽을 수 없었던 경우에는 모든 패널(30)의 설정 정보를 독출한 것으로 된다. 즉, 도 10에 있어서, 패널 D의 하류측에는 패널(3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호스트(10)로서는 한 비트의 "0"도 읽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패널(30)에 있어서의 독출을 할 수 있는 배경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DDC 단자는 풀업 저항에 의해 항상 "1"을 계속해서 입력하는 점에 있다. 즉, "0"이 입력된다는 것은, 거기에 접속된 패널(30)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된다. 리그전(league) 식으로 패널(30)을 조사한 경우에는 막대한 수와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있는 데에 반해, 이 구성에 따르면 접속된 패널(30)을 매우 적은 노동력으로 독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내용에 의해 디스플레이 정보 독출이 이루어지지만, 확인의 의미에서, 도 11에 나타낸 흐름도를 이용하여 처리의 흐름을 재차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전원 투입 직후에는 모든 패널(30)이 패널 ID : 0을 가지며(단계 101), 설정 정보의 독출을 대기한다(단계 102). 설정 정보의 독출이 있었던 경우에는 패널 ID의 상태에 따라서 그 이후의 처리가 변한다(단계 103). 즉, 패널 ID가 "0"인 경우에는 타일 라스트 비트의 상태를 감시한다(단계 104). 타일 라스트가 "Y", 즉 타일 라스트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일링된 패널군의 최후의 패널이므로, 커맨드를 차단하여 하류로 커맨드를 전송하지 않도록 작용하고(단계 105), 단계 109의 패널 ID의 설정으로 이행한다.
단계 104에서 타일 라스트가 "N", 즉 타일 라스트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맨드를 하류 포트[패널(30)]로 전송한다(단계 106). 이어서, 커맨드가 전송된 하류의 패널(30)이 타일링된 패널군의 타일 마스터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107). 타일 마스터가 "N", 즉 타일 마스터 비트가 "0"인 경우에는 단계 109의 패널 ID의 설정으로 이행한다. 한편, 타일 마스터가 "Y", 즉 타일 마스터 비트가 "1"인 경우에는 호스트(10)에 대하여 속성 정보로 이루어지는 설정 정보를 송출한다(단계 108). 그 후, 패널 ID의 설정을 기다려(단계 109), 패널 ID를 설정하면(단계 110),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103에서, 패널 ID가 "0" 이외(≠"0")인 경우에는 커맨드를 하류 포트[패널(30)]로 전송한다(단계 111). 후술하는 플러그 & 플레이 기능 확인을 위해, 하류 포트로부터의 데이터의 논리합을 상류로 전달하고(단계 112), 맨처음에 "0"을 입력한 포트를 우선 포트로 설정한다(단계 113). 이어서, 패널 ID의 설정을 기다려(단계 114), 우선 포트의 해제를 실시하면(단계 115),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정보의 독출에 따르면, 예컨대 패널 ID를 맨처음부터 고정해 둘 필요가 없고, 후에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패널 ID의 부여 후에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그 패널 ID와 대응하는 패널의 위치 등은 독출한 속성으로써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그전 식으로 호스트측에서 탐색하도록 구성하면, 접속 가능한 패널수에 따라서 막대한 수의 검증을 필요로 하여, 방대한 검증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한의 노력으로 동적인 패널 ID 부여와 그 디스플레이 정보의 독출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러그 & 플레이 기능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호스트(10)는 설정 작업을 종료한 후에 디스플레이의 운전을 시작하면, 정기적으로 커맨드를 발행하여, 새로운 패널(30)이 추가되어 있지 않은가, 혹은 패널(30)이 분리되어져 있지 않은가의 체크를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패널(30)을 지정하여, 운전을 계속중임을 확인하기 위한 커맨드를 DDC을 경유하여 발행한다.
지정된 패널(30)은 예컨대, 액티브임을 나타내는 비트를 "0"으로 하여 독출에 대답한다. 또한, 지정되어 있지 않은 패널(30)은 단순히 하류로부터의 독출 데이터를 상류로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단, 지정된 패널(30)은 한 대이기 때문에, 상기 액티브임을 나타내는 비트는 복수의 하류측 패널(30)에 있어서의 정보의 논리합을 취해 전송한다. 즉, 어느 하나의 하류측으로부터의 입력이 "0"이라면, "0"을 상류측으로 보내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새롭게 추가된 패널(30)이 그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비트가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다른 비트에 설치된다. 이 비트도 각 패널(30)에서 논리합을 취하면서 전송된다. 패널(30)이 액티브임을 조사하는 커맨드는 정기적으로 발행되기 때문에, 추가 패널된 패널(30)은 그것을 나타내는 비트의 위치에 그 커맨드가 발행되는 때에 "0"을 송출함으로써 호스트(10)에 응답한다.
도 12는 이 플러그 & 플레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포맷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있어서, 패널 ID(Panel-ID)는 호스트(10)로부터 패널(30)로 전송할 때, 독출 대상이 되는 패널 ID를 지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커맨드이다. 또한, 패널 에러(Panel Error)는 패널(30)로부터 호스트(10)로 전송될 때, 각종의 패널 에러 정보를 나타내는 커맨드이다. 또한, 패널 파워(Panel Power) 커맨드와, 패널(30)로부터 호스트(10)로 전송할 때 수직 패리티 정보를 나타내는 수직 패리티(Vertical Parity) 커맨드 등을 갖추고 있다.
이 패널 파워(Panel Power)는 패널 동작 상황을 호스트(10)에 전송할 때 이용하는 커맨드이다. 이 패널 파워의 커맨드에 있어서, Panel Available의 비트(bit1)를 이용하여, 이 비트를 "0"으로 한 후 호스트(10)에 재전송함으로써, 지정된 패널(30)이 절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추가된 패널(3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추가된 패널(30)이 Panel Attached의 비트(bit3)를 "0"으로 한 후 호스트(10)에 전송함으로써, 호스트(10)가 추가 패널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러그 & 플레이 기능에 따르면, 전용선을 이용하지 않고서, 추가 패널이나 삭제 패널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통상적으로 시스템을 동작시킨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및 절단시의 처리는 플러그 & 플레이나 플러그 & 디스플레이라 불리며, 전용의 검출선을 필요로 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제어에 사용하는 제어선을 이용하여 이들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예에 관해서,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9장의 패널(30)이 빈틈없이 펼쳐진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패널 ID : 1을 할당받은 4장의 패널(30)은 타일링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패널 ID : 1을 할당받은 4장의 패널(30)은 예컨대, (0,0)∼(1999,1999) 등의 연속된 번호가 처리 공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패널 ID : 1은 윈도우 ID : 1을 처리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예컨대 주가의 그래프 등, 애플리케이션 A가 출력하는 윈도우 공간이 표시된다.
한편, 패널 ID : 2∼패널 ID : 6은 각각이 단일체인 패널로서 취급되고 있다. 이들 단일체의 패널은 각각 (0,0)에서부터 시작하는 처리 공간을 갖고 있다. 여기서, 예컨대, 패널 ID : 2∼패널 ID : 6 모두에 윈도우 ID : 2를 처리하도록 설정하면, 애플리케이션 B가 출력하는 공간이 모든 패널 ID : 2∼패널 ID : 6에 대하여 동시에 표시되게 된다. 한편, 예컨대 패널 ID : 2∼패널 ID : 6의 핸들러를 제어하여, 패널 ID : 2만이 윈도우 ID : 2를 처리하도록 설정하면, 패널 ID : 2만이 애플리케이션 B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어서, 예컨대 패널 ID : 3이 윈도우 ID : 2를 처리하도록 설정하면, 애플리케이션 B의 화상을 패널 ID : 3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패널 ID : 2∼패널 ID : 6에 차례차례로 다른 화상[예컨대, 메이가라(유가 증권의 일종)마다의 주가 등]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4도 도 13과 마찬가지로, 9장의 패널(30)이 빈틈없이 펼쳐져 있지만, 도 13과 처리 공간이 다르다. 즉, 예컨대 패널 ID : 2에서는 (2000,0)∼(2999,999), 패널 ID : 4에서는 (0,2000)∼(999,2999) 등, 인접하는 패널 ID를 포함하여 연속적인 번호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9장의 패널(30)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는 4장의 타일링된 패널(30)군과 5장의 단일체의 패널(30)을 갖고 있지만, 이들 처리 공간의 설정을 고안함으로써, 9장의 모든 패널(30)을 이용하여 연속된 표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서,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윈도우 ID : 3을 처리하도록 모든 패널 ID에 지시하면, 애플리케이션 C의 화상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패널(30)을 이용하여 표시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단일체인 패널(30)을 타일링 등으로 하나의 패널(30)로 한 경우 등, 단일체의 패널(30)을 통합하여 멀티 패널을 구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고선명 패널을 복수로 분할한 서브 패널을 상정하여, 이 서브 패널을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일체의 패널(30)로 상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한 9장의 패널(30)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예에서는 9장의 패널(30) 전체로 한 장의 고선명 패널이 되어, 이 고선명 패널에 있어서의 서브 패널이 각 패널(30)에 해당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서브 패널이 패널 ID를 구비하여, 호스트(1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동일한 표시 동작을 실행하면 좋다. 단, 하나의 고선명 패널을 서브 패널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비휘발성 메모리(32)를 반드시 각 서브 패널마다 갖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32)와 구동 장치로서 복수개의 처리 칩(31)을 지님으로써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이들 형태에 채용된 기술을 달성함에 있어서, 화상 표시에 관한 처리를 호스트(10)와 패널(30)에서 분산화시키는 기술과, 호스트(10)와 패널(30) 사이에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유효하다.
이 분산화시키는 기술은 예컨대, 종래에는 호스트(10)측에 갖고 있던 프레임 메모리를 패널(30)측에 구비하여, 패널(30)측에서 화상의 전개나 리프레시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패킷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에서는 각 윈도우가 갖는 영역마다 화상 스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분산화 기술과 패킷화 전송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용함으로써, 윈도우, 패널, 칩의 각각의 레벨에서 관리해야 할 정보와 그 처리를 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예컨대 고선명의 패널이라도 그 구동을 무리없이 실현하고, 또한 다수의 단일체 패널의 조합에 의한 멀티 패널을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적용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패킷 전송을 이용하지 않는 종래부터의 전송 기술에 있어서, 즉, 패킷 형태로 하지 않고서 전화면을 자주 전송하는 식의, 소위 네이티브 모드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널(30)측에서 이 네이티브 모드로 표시 화상을 임의의 장소에 임의의 배율로 표시하는 제1 기능을 갖추고, 호스트(10)측에서 패널(30)에의 화상 신호의 전송을 시작하거나 정지하거나 함으로써, 고선명 패널에 대하여도 분할 묘화에 의한 우수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위 네이티브 모드에 있어서는, 호스트(10)측에 있어서의 PC의 능력에 따라서 해상도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VGA(Video Graphics Array)(640×480 도트) 능력, XGA(Extended Graphics Array)(1024×768 도트) 능력 등이다. 이것을 호스트(10)측의 해상도 능력을 넘은 고선명 패널에 표시하는 경우, 스케일링이나 센터링 등을 행하여 고선명 패널에 대해 표시하고자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패널(30)측에 있어서의 전술한 제1 기능에서는, 패킷 전송 처리에서 도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윈도우의 처리 기구(핸들러)를 이용함으로써, 고선명 패널의 임의의 장소에 임의의 배율로 종래 모드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표시 기술이 패킷 베이스의 영상(익스텐디드 모드)와 다른 것은 표시 장소, 배율 등의 정보가 패킷을 통해 보내져 오는 것이 아니고, 패널 컨트롤러의 핸들러에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설정에는, 도 1에서 설명한 DDC 경유의 커맨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패널 ID를 이용하여, DDC 경유로 멀티 패널을 구성하거나, 커맨드를 보내어 화상 공간에 있어서의 배치 정보를 변경하거나 할 수 있어, 영상 신호(화상 신호)가 패킷화되어 있지 않더라도 멀티 패널에 크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패널(30)측의 제1 기능에 더하여, 상기 제2 기능에서는 예컨대, 초고선명인 패널에 출력할 수 있는 화상의 해상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호스트(10)가 접속되어 있던 경우에, 초고선명 패널의 전면을 분할 묘화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예컨대, 화상의 표시 위치를 좌측 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단계화시키고, 또한 화면의 위에서 아래를 향해 단계화를 반복하는 등이다. 호스트(10)는 자신이 갖는 최대 해상도로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 패널(30)의 해상도가 호스트(10)의 해상도보다도 크면, 확대하거나 분할하여 영상을 보낼 수밖에 없다. 그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그 후의 동작으로 옮기기 전에, 호스트(10)가 딱 1 화면분, 다 보내진 후에 화상의 송출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마땅한 다음 표시 위치를 DDC 경유의 커맨드에 의해 설정하고, 그 후 영상 신호의 출력을 재개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1 기능 및 제2 기능에 의해, 네이티브 모드에 있어서 호스트(10)측의 PC의 해상도를 넘는 고선명 패널에서도 분할 묘화함으로써, 우수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네이티브 모드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한 채로 패널(30)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기능은 전술한 익스텐디드 모드에서는 화상 전송후에 패킷의 전송을 정지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달성되지만, 네이티브 모드에 있어서는, 호스트(10)측에서의 정지 처리에 의해서 실현된다.
이 기능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예로서는 예컨대, 엽서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패널(30)을 호스트(10)에 접속하여, 포토 이미지를 출력한 후, 분리하여 포토 스탠드로서 두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또한, 초고선명 패널을 벽에 걸어 두고, 명화를 표시시키고, 그림을 바꾸고 싶을 때에 PC를 접속하여 바꿔 기록하는 등,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를 예로 들어 설명해 왔지만, CRT, PDP, LED 등의 다른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복수의 패널(30)을 조합시켜 확대 표시를 하는 경우 등에는 좁은 테인 LCD 등의 디스플레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고선명 디스플레이로서는 LCD에 있어서의 기술 혁신이 두드러지므로, 한 장의 패널을 이론상으로 분할하여 서브 패널로서 관리하는 경우에도 LCD는 우수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패널 환경하에서도 접속 패널(서브 패널)수에 상관없이 동일한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해결할 수 없던 트리형의 멀티 패널 접속을 실현하여, 동적인 패널(서브 패널)의 재레이아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캐스케이드형이나 트리형으로 접속된 멀티 패널로부터 디스플레이 속성을 독출하여, 개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고서, 자동적으로 시스템으로 멀티 패널을 구성하는 데에 있다.
또한, 초고선명의 패널을 복수의 구동 장치에 의해 분할 처리하는 경우에, 마스터가 되는 구동 장치가 각 구동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호스트로부터는 단일체의 표시 장치로서 보이도록 하여, 멀티 패널을 의식하지 않는 처리가 가능해진다.

Claims (31)

  1. 접속된 복수의 패널에 신호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단수의 패널 또는 통합된 소정수의 패널을 각각 한 단위로 한 패널 ID를 인식하는 패널 ID 인식부와,
    상기 화상 신호의 전송 처리 단위인 윈도우에 각각 윈도우 ID를 할당하는 윈도우 ID 할당부와,
    상기 화상 신호의 전송시 독출 대상이 되는 상기 패널 ID에 대하여 처리해야 할 상기 윈도우 ID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부와,
    상기 윈도우 ID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상기 윈도우 ID를 상기 화상 신호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화상 신호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출력부는 상기 패널 ID를 갖는 한 단위마다 또는 선택된 복수의 단위마다 처리해야 할 표시 영역에 관한 정보인 처리 공간의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설정 정보는 인접하는 패널에 있어서의 처리 공간의 종료 좌표와 개시 좌표에 간극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ID마다 패널 속성을 설정하는 패널 속성 설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 출력부는 상기 패널 ID를 지정하여 상기 패널 속성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패널 속성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 전송부는 상기 윈도우마다 화면의 갱신을 관리하는 동시에, 갱신의 필요시에 갱신 화상 신호를 패킷화하여 상기 윈도우 ID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대하여 패널 ID의 설정을 지시하는 패널 ID 설정 지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패널 ID 인식부는 상기 패널 ID 설정 지시부에 의한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패널 ID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7. 접속된 고선명 패널에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선명 패널을 소정의 수로 분할한 서브 패널을 상정하여 단수의 상기 서브 패널 또는 통합된 소정수의 상기 서브 패널을 각각 한 단위로 한 패널 ID를 인식하는 패널 ID 인식부와,
    상기 화상 신호의 전송 처리 단위인 윈도우에 각각 윈도우 ID를 할당하는 윈도우 ID 할당부와,
    상기 화상 신호의 전송시에, 독출 대상이 되는 상기 패널 ID에 대하여 처리해야 할 상기 윈도우 ID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부와,
    상기 윈도우 ID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상기 윈도우 ID를 상기 화상 신호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화상 신호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출력부는 상기 패널 ID를 갖는 한 단위마다 처리해야 할 표시 영역에 관한 정보인 처리 공간의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 전송부는 상기 윈도우마다 화면의 갱신을 관리하는 동시에, 갱신의 필요시에 갱신 화상 신호를 패킷화하여 상기 윈도우 ID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패널마다 패널 ID의 설정을 지시하는 패널 ID 설정 지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패널 ID 인식부는 상기 패널 ID 설정 지시부에 의한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고선명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패널 ID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11.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에 접속되고 복수의 패널에 의해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단수의 패널 또는 통합된 소정수의 패널마다 식별자인 패널 ID를 설정하는 패널 ID 설정 수단과,
    화상 신호의 전송 처리 단위인 윈도우마다 할당된 윈도우 ID에 대하여, 상기 패널 ID와 처리해야 할 상기 윈도우 ID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전송되는 화상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윈도우 ID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특정 윈도우 ID가 할당된 화상 신호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패널 ID를 갖는 패널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에 대하여 복수 패널의 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한 패널 제어 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각각이 단일 윈도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4.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에 접속되고 패널 상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을 소정의 수로 분할한 서브 패널을 상정하여 단수의 상기 서브 패널 또는 통합된 소정수의 상기 서브 패널마다 식별자인 패널 ID를 설정하는 패널 ID 설정 수단과,
    화상 신호의 전송 처리 단위인 윈도우마다 할당된 윈도우 ID에 대하여, 상기 패널 ID와 처리해야 할 상기 윈도우 ID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전송되는 화상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상기 윈도우 ID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특정 윈도우 ID가 할당된 화상 신호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패널 ID를 갖는 서브 패널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에 대하여 상기 서브 패널의 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한 패널 제어 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패널은 각각이 단일 윈도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ID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서브 패널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유일한 메모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8.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에 접속된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복수의 패널은 식별자로서의 패널 ID를 구비하며,
    상기 호스트는 상기 호스트가 의식하고 있는 화상 공간의 위에서 통합되어 의미를 갖는 영역인 윈도우에 각각의 윈도우에 대해 윈도우 ID를 할당하고, 화상 신호에 그 윈도우 ID를 부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윈도우 ID와 상기 패널 ID를 대응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에서는 화상 전개전의 화상 신호를 패킷화하여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는 출력된 화상 전개전의 상기 화상 신호를 전개하는 처리를 상기 각 패널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20.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스트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표시부에 대하여, 단수의 상기 표시부 또는 타일링을 형성하는 소정수의 상기 표시부를 식별하기 위한 패널 ID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가 의식하고 있는 화상 공간의 위에서 통합되어 의미를 갖는 영역으로서 윈도우를 정의하는 동시에, 상기 윈도우에 대하여 윈도우 ID를 할당하는 단계와,
    화상 정보의 전송에 앞서, 상기 패널 ID가 설정된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처리해야 할 윈도우 ID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정보에 상기 윈도우 ID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패널을 이용한 확대 패널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확대 패널을 구성하는 상기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단일체의 고선명 디스플레이 패널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고선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할하여 처리하기 위한 서브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ID의 변경 또는 상기 표시부가 처리해야 할 상기 윈도우 ID의 변경은 커맨드에 의해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링을 형성하는 소정수의 표시부는 전부 공통의 패널 ID가 설정되는 동시에, 전부 공통의 상기 윈도우 ID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25.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스트에 접속된 복수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에 대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식별하기 위한 패널 ID를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 패널의 속성을 상기 호스트에서 독출하기 위한 패널 속성 독출 방법에 있어서,
    전원 투입시에 모든 표시 패널에 대하여 상기 패널 ID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에 의해 특정 표시 패널에 대한 속성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속성 정보를 독출한 상기 표시 패널에 대하여, 커맨드를 이용하여 상기 패널 ID를 0과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패널 ID가 0인 표시 패널이 호스트로부터의 상기 커맨드를 하류의 표시 패널로 보내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와,
    0과 다른 패널 ID를 갖는 표시 패널이 하류측에 접속된 복수의 표시 패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속성 정보를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속성 독출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0과 다른 패널 ID를 갖는 표시 패널은 가장 맨처음에 0을 출력해 온 표시 패널을 선택하여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속성 독출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0과 다른 패널 ID를 갖는 표시 패널에 대하여 동시에 2개 이상의 하류측 표시 패널에서 0이 출력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 패널에서 고정되어 있는 우선도에 따라서 하나의 하류측 표시 패널을 선택하여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호스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속성 독출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 패널이 타일링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일링되어 있는 그 표시 패널 중에서 상기 호스트에 가장 가까운 표시 패널로부터 속성 정보가 전송되며,
    패널 ID를 설정하는 상기 호스트로부터의 커맨드는 차단되는 일없이 타일링되어 있는 모든 표시 패널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속성 독출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단일 고선명 패널을 복수로 분할한 서브 패널이며,
    상기 패널 ID는 상기 서브 패널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서브 패널에 대응한 속성이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속성 독출 방법.
  30.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호스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표시 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화상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을 식별하기 위한 패널 ID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가 특정 패널 ID를 지정하여 상기 패널 ID를 갖는 표시 패널에 대하여 운전이 계속중임을 확인하기 위한 커맨드를 발행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 ID에 의해 지정된 상기 표시 패널이 액티브임을 나타내는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호스트의 독출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새롭게 추가된 표시 패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표시 패널이 그것을 통지하기 위한 비트를 액티브로 하여 상기 호스트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방법.
KR10-2000-0068906A 1999-11-30 2000-11-20 호스트 장치,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표시 방법, 패널 속성 독출 방법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KR100384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41460 1999-11-30
JP34146099A JP3468288B2 (ja) 1999-11-30 1999-11-30 ホスト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パネル属性読み出し方法、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814A true KR20010051814A (ko) 2001-06-25
KR100384378B1 KR100384378B1 (ko) 2003-05-22

Family

ID=1834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906A KR100384378B1 (ko) 1999-11-30 2000-11-20 호스트 장치,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표시 방법, 패널 속성 독출 방법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27058B2 (ko)
JP (1) JP3468288B2 (ko)
KR (1) KR100384378B1 (ko)
CN (1) CN1235130C (ko)
CA (1) CA2324029A1 (ko)
TW (1) TW5010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508A (ko) * 2017-08-31 2019-03-08 칩원 테크놀로지(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4059B1 (en) * 1996-02-29 2012-07-03 Petrocy Richard J Self-addressing control units and modular sign including plurality of self-addressing control units
JP2002323876A (ja) * 2001-04-24 2002-11-08 Nec Corp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画像表示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3913534B2 (ja) * 2001-11-30 2007-05-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システム
CN1210916C (zh) * 2002-06-14 2005-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框级联中的框号识别方法
JP3795442B2 (ja) 2002-09-11 2006-07-12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EP1406239A1 (en) * 2002-10-02 2004-04-07 Hewlett 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Display panels, display units and data processing assemblies
US7136042B2 (en) * 2002-10-29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controller permitting connection of multiple displays with a single video cable
JP2004333522A (ja) * 2003-04-30 2004-11-25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US8068485B2 (en) * 2003-05-01 2011-11-29 Genesis Microchip Inc. Multimedia interface
US20050128100A1 (en) * 2003-09-25 2005-06-16 Petrocy Richard J. Self addressing control units and modular sign including plurality of self-addressing control units
JP4698139B2 (ja) * 2003-10-31 2011-06-08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4707966B2 (ja) * 2004-05-06 2011-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大型映像表示装置
US7477244B2 (en) 2004-10-18 2009-01-13 Genesis Microchip Inc. Automatic activity detection in a display controller
US7911475B2 (en) * 2004-10-18 2011-03-22 Genesis Microchip Inc. Virtual extended display information data (EDID) in a flat panel controller
DE602005021393D1 (de) * 2004-11-25 2010-07-01 Panasonic Corp Verstärk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steuerung
JP2007264141A (ja) * 2006-03-27 2007-10-1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映像表示装置
US7948450B2 (en) * 2006-11-09 2011-05-24 D3 Led,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display modules to communicate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to other display modules in the same display panel
EP1944685A3 (en) * 2007-01-11 2009-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169380B2 (en) * 2007-03-16 2012-05-01 Savant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nd receiving data from multiple touch screen devices
JP2009003323A (ja) * 2007-06-25 2009-01-08 Brother Ind Ltd 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KR101394926B1 (ko) * 2007-07-10 2014-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멀티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19628A (ko) * 2007-08-21 2009-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시스템
MX2010002657A (es) * 2007-09-05 2010-04-09 Savant Systems Llc Control multimedia y arquitectura de distribucion.
JP4453738B2 (ja) * 2007-10-18 2010-04-21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転送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723756B2 (en) * 2008-01-15 2014-05-13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having capability for daisy-chained serial distribution of video display data
JP2009186895A (ja) * 2008-02-08 2009-08-20 Panasonic Corp 表示ユニット
US8237624B2 (en) * 2008-05-06 2012-08-07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System having capability for daisy-chained serial distribution of video display data
TWI381715B (zh) * 2008-05-09 2013-01-01 Nexcom Int Co Ltd 一種視訊控制裝置、系統及其方法
US8797233B2 (en) * 2008-08-20 2014-08-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management of data streams updating displays
JP4935796B2 (ja) * 2008-10-30 2012-05-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319342B1 (ko) * 2008-11-25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패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41014B1 (ko) * 2008-11-28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패널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970448B2 (en) * 2009-06-18 2015-03-03 Hiperwall,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ipulation of images on tiled displays
TW201142696A (en) * 2010-05-19 2011-12-01 Xgi Technology Inc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signal processing system
CN102262519A (zh) * 2010-05-26 2011-11-30 图诚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处理装置与影像信号处理系统
CN102375709B (zh) * 2010-08-04 2015-03-11 宏正自动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处理系统
CN102096574B (zh) * 2010-12-01 2012-10-03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窗口拼接显示方法
JP2011103006A (ja) * 2011-01-13 2011-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大型映像表示装置
TWI503704B (zh) * 2012-03-02 2015-10-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可過濾多媒體互動指令的多媒體互動系統及相關的電腦程式產品
KR20140054518A (ko) * 2012-10-29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880799B1 (en) * 2014-08-26 2018-01-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xtendable display screens of electronic devices
KR102317137B1 (ko) * 2015-01-06 2021-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6137518A1 (en) * 2015-02-27 2016-09-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aveguides in a computing device
US10191709B2 (en) * 2015-09-04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to determine a processing mode to transfer image contents to another display apparatus
DE102015117479A1 (de) * 2015-10-14 2017-04-20 Océ Printing Systems GmbH & Co. KG Verfahren zum Synchronisieren von Bedienfeldern eines Produktionssystems
CN109271125B (zh) * 2018-11-05 2022-04-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分体式终端设备的屏显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045942A (zh) * 2019-04-30 2019-07-23 河南泰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分布式拼接处理器的回显方法与装置
CN111405351A (zh) * 2020-04-20 2020-07-10 深圳市炬力北方微电子有限公司 多方显示方法及多方显示系统
KR20210144130A (ko) * 2020-05-21 2021-11-3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캐스케이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1631A (en) * 1993-09-03 2000-02-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with independent control of image forming apparatuses
US5461560A (en) * 1994-03-25 1995-10-24 Oxy-Dry Corporation Touch scre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of a printing press
JPH0888785A (ja) * 1994-09-16 1996-04-02 Toshiba Corp 画像入力装置
US6178224B1 (en) * 1995-06-23 2001-01-23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Enhanced X-ray converter screen for X-ray radioscopic systems
US5889945A (en) * 1995-12-27 1999-03-30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dynamically updating information in panels within an attendee bar corresponding to a conference session when selected information regarding to conferencing participants changes
JP3582382B2 (ja) * 1998-11-13 2004-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の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6377780B2 (en) * 1999-06-09 2002-04-23 Shelcore Inc.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enes animated by sequences of light
US6335725B1 (en) * 1999-07-14 2002-01-01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partitioning a touch screen for data input
US6462736B1 (en) * 2000-01-25 2002-10-08 I2 Technologies Us, Inc.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display of values relative to comparison values
JP3349490B2 (ja) * 2000-02-14 2002-11-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ホスト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インターフェイ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508A (ko) * 2017-08-31 2019-03-08 칩원 테크놀로지(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24029A1 (en) 2001-05-30
US20010006375A1 (en) 2001-07-05
JP2001166759A (ja) 2001-06-22
CN1305147A (zh) 2001-07-25
KR100384378B1 (ko) 2003-05-22
IE20000972A1 (en) 2001-05-30
TW501055B (en) 2002-09-01
US7027058B2 (en) 2006-04-11
CN1235130C (zh) 2006-01-04
JP3468288B2 (ja) 200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378B1 (ko) 호스트 장치,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표시 방법, 패널 속성 독출 방법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JP3526019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7136042B2 (en) Display controller permitting connection of multiple displays with a single video cable
US4642794A (en) Video update FIFO buffer
EP0834111B1 (en) Computer system with two display units showing simultaneously differing display images
CN101620847B (zh) 图象显示系统
US5065343A (en) Graphic display system for process control using a plurality of displays connected to a common processor and using an fifo buffer
US1132785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H09245179A (ja) 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ス装置
US6825845B2 (en) Virtual frame buffer control system
US4897801A (en) Display terminal equipment with concurrently operable plural input devices
JP6907400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4191212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IE83485B1 (en) Host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panel attribute reading-out method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US7006713B1 (en)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displaying apparatus
KR202201518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145353A (ja) 画像表示システム、ホスト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301088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525684A (ja) 複数のディスプレイを制御する装置、該装置を有する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ための方法
JPH0616477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307370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H0752456B2 (ja) 図面表示装置
JPH0594393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