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890A -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누름보턴스위치 - Google Patents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누름보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890A
KR20010050890A KR1020000058730A KR20000058730A KR20010050890A KR 20010050890 A KR20010050890 A KR 20010050890A KR 1020000058730 A KR1020000058730 A KR 1020000058730A KR 20000058730 A KR20000058730 A KR 20000058730A KR 20010050890 A KR20010050890 A KR 20010050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tape
adhesive sheet
transfer tape
carri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727B1 (ko
Inventor
이와마나오야
야마가따다께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5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01H11/06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H01H2205/024Means to facilitate positioning
    • H01H2205/026Adhesive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종래의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51) 는, 다수의 가동접점 (55) 이 한번에 조립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55) 을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을 갖는 띠형상의 이송테이프 (1) 와 돔형상의 가동접점 (2) 을 구비하고, 가동접점 (2) 은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됨과 동시에, 개개의 가동접접 (2) 이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에 유지된 것이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하여 반송할 수 있고, 누름보턴스위치의 조립에 융통성이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CARRIER TAPE WITH MOVABLE CONTACT POINT AND PUSH BUTTON SWITC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누름보턴스위치 및 가동접점의 조립에 사용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와 이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의 구성을 도 40 ∼ 도 43 에 의해 설명하면,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51) 는, 도 40,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인 시트형상의 세퍼레이터 (52) 와, 일면에 점착제 (53) 가 형성된 점착시트 (54) 와, 이 점착시트 (54) 에 상면이 부착된 금속박판으로부터 복수개의 돔형상의 가동접점 (55)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 (55) 은 복수열로 나열된 상태에서 점착시트 (54) 에 부착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 (54) 는 세퍼레이터 (52) 에 부착되고, 이 점착시트 (54) 와 세퍼레이터 (52) 에서 가동접점 (55) 을 끼워서 가동접점 (55) 이 유지되고 있다.
또, 세퍼레이터 (52) 는 점착시트 (54) 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세퍼레이터 (52) 를 박리했을 때, 가동접점 (55) 은 점착시트 (54) 에 부착된 상태로 남고 세퍼레이터 (52) 만이 박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51) 를 사용하는 누름보턴스위치를 도 42, 도 43 에 의해 설명하면, 직사각형상의 절연기판 (56) 에는, 복수열로 나열된 상태에서 2 개가 1 조가 된 고정접점 (57) 이 형성되고, 이 절연기판 (56) 상에는, 개개의 가동접점 (55) 이 고정접점 (57) 에 대향한 상태에서 가동접점 (55) 을 부착한 점착시트 (54) 가 부착되고, 그리고, 이 점착시트 (54) 상에는 조작부 (58a) 를 갖는 누름보턴부재 (58) 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누름보턴스위치의 조작을 설명하면, 조작부 (58a) 를 가압하면 이 조작부 (58a) 가 가동접점 (57) 의 상부를 가압하고, 그럼으로써, 가동접점 (55) 이 반전하여 고정접점 (57) 에 접촉하고, 2 개의 고정접점 (57) 간을 도통하여 ON 이 되고, 또 조작부 (58a) 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접점 (55) 이 자기복귀되어 고정접점 (57) 과의 접촉이 떨어져 2 개의 고정접점 (57) 간이 OFF 가 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누름보턴스위치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51) 의 절연기판 (56) 으로의 조립을 설명하면, 우선, 점착시트 (54) 로부터 세퍼레이터 (52) 를 벗기고, 그리고, 점착시트 (54) 를 절연기판 (56) 상에 위치시키고, 가동접점 (55) 을 고정접점 (57) 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점착시트 (54) 를 절연기판 (56) 상에 부착함으로써 그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51) 는, 다수의 가동접점 (55) 이 한번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55) 이 분리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절연기판 (56) 은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하며, 게다가 고정접점 (57) 의 배열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시키기 위해, 이와 같은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51) 는 점착시트 (54) 가 다양한 것을 필요로 하며, 고가일 뿐 아니라 표준화를 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점착시트 (54) 는 1 장의 연결된 시트로 복수개의 가동접점 (55) 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다른 종래예로서 제 2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와, 이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의 구성을 도 44 ∼ 도 47 에 의해 설명하면,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61) 는 도 44, 도 4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인 시트형상의 보호시트 (62) 와, 보호시트 (62) 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 (63) 와, 복수개가 병렬된 구멍 (64a) 을 갖는 시트형상의 세퍼레이터 (64) 와, 복수개가 병렬된 구멍 (65a) 을 갖고, 일면에 점착제 (66) 가 형성된 시트형상의 스페이서 (65) 와, 일면에 점착제 (67) 가 형성된 복수개의 점착시트 (68) 와, 개개의 점착시트 (68) 에 상면이 부착된 금속박판으로부터 복수개의 돔형상의 가동접점 (69)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퍼레이터 (64) 는 보호시트 (62) 에 부착됨과 동시에, 스페이서 (65) 는 세퍼레이터 (64) 에 부착되고, 이 세퍼레이터 (64) 상에는, 가동접점 (69) 을 구멍 (65a) 수납한 상태에서 구멍 (65a) 을 막도록 점착시트 (68) 가 부착되어 가동접점 (69) 이 유지되고 있다.
또, 보호시트 (62) 와 세퍼레이터 (64) 는 스페이서 (65) 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세퍼레이터 (64) 를 박리했을 때, 가동접점 (69) 은 점착시트 (68) 에 부착된 상태로 남고 보호시트 (62) 와 세퍼레이터 (64) 만이 박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61) 를 사용하는 누름보턴스위치를 도 46, 도 47 에 의해 설명하면, 직사각형상의 절연기판 (71) 에는, 복수열로 나열된 상태에서 2 개가 1 조가 된 고정접점 (72) 이 형성되고, 이 절연기판 (71) 상에는, 개개의 구멍 (65a) 이 고정접점 (72) 에 대향한 상태에서 스페이서 (65) 가 부착되고, 이 스페이서 (65) 상에는, 구멍 (65a) 에 가동접점 (69) 을 수납한 상태에서 가동접점 (69) 을 부착한 개개의 점착시트 (68) 가 구멍 (65a) 을 막도록 부착되고, 그리고, 이 점착시트 (68) 상에는 조작부 (73a) 를 갖는 누름보턴부재 (73) 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누름보턴스위치의 조작을 설명하면, 조작부 (73a) 를 가압하면 이 조작부 (73a) 가 가동접점 (69) 의 상부를 가압하고, 그럼으로써, 가동접점 (69) 이 반전하여 고정접점 (72) 에 접촉하고, 2 개의 고정접점 (72) 간을 도통하여 ON 이 되고, 또 조작부 (73a) 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접점 (69) 이 자기복귀되어 고정접점 (72) 과의 접촉이 떨어져 2 개의 고정접점 (72) 간이 OFF 가 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누름보턴스위치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61) 의 절연기판 (71) 으로의 조립을 설명하면, 우선, 스페이서 (65) 로부터 세퍼레이터 (64) 와 보호시트 (62) 를 함께 벗기고, 그리고, 스페이서 (65) 를 절연기판 (71) 상에 위치시키고, 가동접점 (69) 을 고정접점 (72) 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스페이서 (65) 를 절연기판 (71) 상에 부착함으로써 그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61) 는, 다수의 가동접점 (69) 이 한번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69) 이 분리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절연기판 (71) 은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하며, 게다가 고정접점 (72) 의 배열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시키기 위해, 이와 같은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61) 는 스페이서 (63) 가 다양한 것을 필요로 하며, 고가일 뿐 아니라 표준화를 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스페이서 (65) 는 1 장의 연결된 시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51) 는, 다수의 가동접점 (55) 이 한번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55) 이 분리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절연기판 (56) 은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하며, 게다가 고정접점 (57) 의 배열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시키기 위해, 이와 같은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51) 는 점착시트 (54) 가 다양한 것을 필요로 하며, 고가일 뿐 아니라 표준화를 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점착시트 (54) 는 1 장의 연결된 시트로 복수개의 가동접점 (55) 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61) 는, 다수의 가동접점 (69) 이 한번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69) 이 분리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절연기판 (71) 은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하며, 게다가 고정접점 (72) 의 배열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시키기 위해, 이와 같은 가동접점을 갖는 시트 (61) 는 스페이서 (63) 가 다양한 것을 필요로 하며, 고가일 뿐 아니라 표준화를 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스페이서 (65) 는 1 장의 연결된 시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개개의 가동접점, 또는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의 조립이 가능하고, 저렴하며 표준화를 꾀할 수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1 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7 은,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 은,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 는,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9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0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노치평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2 실시예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9 는,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 은,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 은,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보호시트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3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4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보호시트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3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6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절연기판으로의 조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7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절연기판으로의 조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8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절연기판으로의 조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9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절연기판으로의 조립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0 은, 종래의 제 1 가동접점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1 은, 종래의 제 1 가동접점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2 는, 종래의 제 1 가동접점시트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3 은, 종래의 제 1 가동접점시트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4 는, 종래의 제 2 가동접점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5 는, 종래의 제 2 가동접점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6 은, 종래의 제 2 가동접점시트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7 은, 종래의 제 2 가동접점시트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이송테이프 1a :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b : 돌기부 1c : 관통구멍
1d : 오목부 2 : 가동접점
2a : 돔형상부 2b : 돌출부
3 : 점착시트 3a : 장출부
3b : 돔형상부 4 : 점착제
5 : 테이프 5a : 부분
6 : 분리용이수단 7 : 분리용이수단
8 : 접점부 9 : 보호테이프
11 : 절연기판 12 : 고정접점
12a : 장착부 13 : 누름보턴부재
13a : 조작부 14 : 흡착부재
15 : 스페이서 15a : 수납구멍
16 : 점착제 17 : 테이프
17a : 구멍 18 : 절연기판
18a : 오목부 S : 가동접점집합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이송용 위치결정수단을 갖는 띠형상의 이송테이프와, 돔형상의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이송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됨과 동시에,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유지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이송테이프에 일렬, 또는 복수열로 유지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은,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돔형상부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면에 점착제를 형성한 점착시트를 갖고, 이 점착시트로 상기 가동접점의 상면을 덮어 상기 가동접점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로부터의 상기 점착시트의 장출부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점착시트와 함께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내면에 접점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돔형상부와, 이 돔형상부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와, 이 장출부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제를 갖는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를 구비하고, 이 점착시트의 상기 장출부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상기 접점부를 갖는 개개의 상기 점착시트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점착시트에는, 분리용이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시트를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각 점착시트는 분리하여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은,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돔형상부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면에 점착제를 형성한 점착시트와, 상기 가동접점을 수납하는 수납구멍을 갖고,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를 형성한 시트형상의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시트로 상기 가동접점의 상면을 덮어 상기 가동접점을 부착하여 유지하고,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수납구멍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로부터의 상기 점착시트의 장출부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점착시트, 및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8 해결수단으로서, 내면에 접점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돔형상부와, 이 돔형상부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와, 이 장출부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제를 갖는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 및 상기 돔형상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을 갖고,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를 형성한 시트형상의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장출부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에 부착하여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상기 가동접점을 갖는 개개의 상기 점착시트가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9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점착시트, 및 상기 스페이서에는, 분리용이수단을 형성하고, 1 개의 상기 점착시트와 1 개의 상기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1 조 별로,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0 해결수단으로서, 1 개의 상기 점착시트와 1 개의 상기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1 조 별로, 각각 분리하여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1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이송테이프에는, 상기 점착시트측에 돌출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그 돌기부를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근방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이송테이프에는, 상기 점착시트측에 돌출하는 고리상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그 돌기부를 상기 점착시트의 외주근방을 따라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이송테이프에는,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가동접점의 외형보다 큰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이송테이프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구멍을 막도록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를 부착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이송테이프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상기 가동접점을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의 개방부를 막도록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부착하여 유지되고,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유지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은,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돔형상부와 이 돔형상부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1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가동접점을 분리하고, 고정접점이 형성된 절연기판에 가동접점의 접점부를 대향시켜 부착하여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와,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를 도 1 ∼ 도 39 에 의해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 도 8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4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6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1 실시예의 요부단면도, 도 17 ∼ 도 19 는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조립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 도 20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9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2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2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0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4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1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2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6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2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노치평면도, 도 27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8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사용한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2 실시예의 요부단면도, 도 29 ∼ 도 31 은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조립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 도 32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보호시트를 제거한 평면도, 도 3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3 실시예의 단면도, 도 34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보호시트를 제거한 평면도, 도 3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4 실시예의 단면도, 도 36 과 도 37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절연기판으로의 조립을 나타낸 설명도, 도 38 과 도 39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4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절연기판으로의 조립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1, 도 2 에 의해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구멍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돔형상으로 형성되고,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 있는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가동접점 (2) 과 점착제 (4) 를 형성한 점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점착제 (4)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를 갖고 있다.
또,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가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일렬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hoop)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 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기고,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보내짐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2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2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2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점착제 (4)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2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를 이송테이프 (1) 상에 위치시키고, 가동접점 (2) 간에 위치하는 장출부 (3a) 가 되는 부분 (5a) 을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2 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출부 (3a) 를 남기고 부분 (5a) 을 제거하면, 서로 분리된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실시예는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2 열로 형성된 것이다.
기타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품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가동접점집합체 (S) 는 2 열에 한정되지 않고, 2 열 이상의 복수열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3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4, 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서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돔형상부로 형성되고, 또한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가동접점 (2) 과 점착제 (4) 를 형성한 점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점착제 (4)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의 외주에서 튀어나온 장출부 (3a) 를 가지고, 인접하는 점착시트 (3) 간, 또는 장출부 (3a) 의 외주에 그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는 칼집 등으로 이루어진 개개의 가동접점집합체 (S) 의 분리용이수단 (6, 7)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점착시트 (3) 간에 형성한 분리용이수단 (6) 과, 장출부 (3a) 의 외주에 형성한 분리용이수단 (7) 과의 쌍방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중 어느 한쪽의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점착시트 (4) 에 부착된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가 가능한 상태에서 1 열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기고,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분리용이수단 (6 도는 7) 에 의해 인접하는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분되어, 1 조씩 용이하게 박리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잘못 조립되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5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5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점착제 (4)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부착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5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를 이송테이프 (1) 상에 위치시키고, 가동접점 (2) 간에 위치하는 장출부 (3a) 가 되는 부분 (5a) 을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고, 테이프 (5) 에 분리용이수단 (6 도는 7) 을 형성하면,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열을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4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6,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되어 있다.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접점부 (8) 를 형성하여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돔형상부 (3b) 와, 이 돔형상부 (3b)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와, 장출부 (3a) 의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접점부 (8) 를 갖는 점착시트 (3) 와 점착제 (4)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가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그리고, 접점부 (8) 를 갖는 개개의 점착시트 (3)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1 열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기고,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7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의 일부분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7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점착제 (4) 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 돌출가공을 실시하여 돔형상부 (3b) 를 형성함과 동시에, 돔형상부 (3b) 의 내측에, 예를 들어 카본 등을 도포하여 점착부 (8) 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7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를 이송테이프 (1) 상에 위치시키고, 돔형상부 (3b) 간에 위치하는 장출부 (3a) 가 되는 부분 (5a) 을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7 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출부 (3a) 를 남기고 부분 (5a) 를 제거하면, 서로 분리된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열을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5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8, 도 9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되어 있다.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접점부 (8) 를 형성하여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돔형상부 (3b) 와, 이 돔형상부 (3b)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와, 장출부 (3a) 의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어, 접점부 (8) 를 갖는 점착시트 (3) 와 점착제 (4)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가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점착시트 (3) 간, 또는 장출부 (3a) 의 외주에 칼집 등의 분리용이수단 (6, 7) 이 형성되어 있다.
도 8 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점착시트 (3) 간에 형성한 분리용이수단 (6) 과, 장출부 (3a) 의 외주에 형성한 분리용이수단 (7) 의 쌍방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중 어느 한쪽의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 점착시트 (4) 에 형성된 접점부 (8) 가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되어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점착시트 (3)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일렬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기고,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9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9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의 일부분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9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점착제 (4) 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돌출가공을 실시하여 돔형상부 (3b) 를 형성함과 동시에, 돔형상부 (3b) 의 내측에, 예를 들면 카본 등을 도포하여 접점부 (8) 를 형성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9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를 이송테이프 (1) 상에 위치시키고, 돔형상부 (8) 간에 위치하는 장출부 (3a) 가 되는 부분 (5a) 을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고, 테이프 (5) 의 표면에서 이면에 이르기까지 칼집을 넣어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을 형성하면,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열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6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10, 도 11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장척(長尺)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점착시트 (3) 의 형성면을 향하여 돌출된 고리형상의 복수개의 돌기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돔형상부로 형성되고,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가동접점 (2) 과 점착제 (4) 를 형성한 점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점착제 (4)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를 갖고 있다.
또,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고리형상의 각 돌기부 (1b) 의 높이 내에서, 또한 그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일렬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겼을 때, 돌기부 (1b) 의 존재에 의해, 장출부 (3a)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노출된 점착제 (4) 가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테이프 (1) 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돌기부 (1b) 를 점착시트 (3) 가 부착된 가동접점 (2) 의 돔형상부의 정부(頂部)보다도 높게 돌출시켜 형성하면, 가동접점 (2) 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11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1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11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접착제 (4)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11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를 이송테이프 (1) 상에 위치시키고, 가동접점 (2) 간에 위치하는 장출부 (3a) 가 되는 부분 (5a) 을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11 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출부 (3a) 를 남기고 부분 (5a) 을 제거하면, 서로 분리된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11 의 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를 제거한 부분 (5a) 에 위치하는 이송테이프 (1) 의 한 곳에, 엠보스가공에 의해 고리형상의 돌기부 (1b) 를 점착시트 (3) 의 형성면을 향하여 돌출시켜 형성하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 이와 같은 고리형상의 돌기부 (1b) 는, 도 6, 도 7 에 나타낸 제 4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7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12, 도 13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서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돌기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돔형상부로 형성되고,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가동접점 (2) 과 점착제 (4) 를 형성한 점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점착제 (4)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를 갖고, 인접하는 점착시트 (3) 간, 또는 장출부 (3a) 의 외주에 칼집 등의 분리용이수단 (6,7) 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 돌기부 (1b) 가 가동접점 (2) 의 근방인 분리용이수단 (6) 을 따라, 점착시트 (3)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및 돌기부 (1b) 는, 앞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형성, 배치한 것이며, 이 돌기부 (1b) 는, 가동접점 (2) 의 근방에 있어서, 적절한 위치에 형성해도 됨은 물론이다.
도 12 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점착시트 (3) 간에 형성한 분리용이수단 (6) 과, 장출부 (3a) 의 외주에 형성한 분리용이수단 (7) 의 쌍방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중 어느 한쪽의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 점착시트 (4) 에 부착된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부터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일렬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겼을 때, 돌기부 (1b) 의 존재에 의해, 가동접점 (2) 의 처짐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13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1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13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점착제 (4)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부착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13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를 이송테이프 (1) 상에 위치시키고, 가동접점 (2) 간에 위치하는 장출부 (3a) 가 되는 부분 (5a) 을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고, 테이프 (5) 에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을 형성하면,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됨과 동시에, 테이프 (5) 에는 가동접점 (2) 의 근방에 위치하는 일부분을 제거하여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위치하는 이송테이프 (1) 의 한곳에 엠보스가공에 의해 돌기부 (1b) 를 형성하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 이와 같은 고리형상의 돌기부 (1b) 는 도 8, 도 9 에 나타낸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8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14, 도 15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관통구멍 (1c) 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돔형상부로 형성되고, 또한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가동접점 (2) 과 점착제 (4) 를 형성한 점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점착제 (4)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이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접 (2)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를 갖고 있다.
또한,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이 관통구멍 (1c) 에 위치시킨 상태로,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송테이프 (1) 의 하면에는, 관통구멍 (1c) 을 막고, 가동접점 (2) 을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 (9) 가 부착되어 있다.
즉, 보호테이프 (9) 를 부착한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일렬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15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15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테이프 (1) 를 준비하고, 그리고 도 15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 (1c)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5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이송테이프 (1) 상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15 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출부 (3a) 를 남기고 부분 (5a) 을 제거하고, 서로 분리된 점착시트 (3) 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5 의 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테이프 (1) 의 하면으로부터 관통구멍 (1c) 에 가동접점 (2) 을 조립하고,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점착시트 (3) 에 부착하고, 서로 분리된 가동접점집합체 (S) 를 형성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15 의 F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테이프 (1) 의 하면에 보호테이프 (9) 를 부착함으로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 이와 같이 이송테이프 (1) 에 관통구멍 (1c) 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 (1c) 을 막도록 보호테이프 (9) 를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한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 ∼ 제 7 실시예에 걸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제 1 ∼ 제 8 실시예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사용하는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1 실시예를 도 16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직사각형상의 절연기판 (11) 에는 복수열로 나열된 상태에서 2 개가 1 조로 된 고정접점 (12) 이 형성되고, 이 절연기판 (11) 상에는,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고정접점 (12) 에 대향한 상태로,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가 부착되고,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상에는, 조작부 (13a) 를 갖는 누름보턴부재 (13) 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각 고정접점 (12) 에 대응하여, 가동접점 (2) 과 점착시트 (3) 로 이루어진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절연기판 (11) 에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누름보턴스위치의 조작을 설명하면, 조작부 (13a) 를 가압하면, 이 조작부 (13a) 가 가동접점 (2) 의 상부를 가압하고, 그럼으로써, 가동접점 (2) 이 반전하여 고정접점 (12) 에 접촉하고, 2 개의 고정접점 (12) 간을 도통하여 ON 이 되고, 또한 조작부 (13a) 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접점 (2) 이 자기복귀하고, 고정접점 (12) 과의 접촉이 떨어져, 2 개의 고정접점 (12) 간이 OFF 가 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누름보턴스위치에 있어서의 조립방법을 도 17 ∼ 도 19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이송테이프 (1) 상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것에 있어서는,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기의 흡착부재 (14) 에 의해 1 개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흡착되고,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하고, 그리고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기판 (11) 까지 반송하고, 흡착부재 (14) 에 의해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절연기판 (11) 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각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절연기판 (11) 상에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테이프 (1) 상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는,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기의 흡착부재 (14) 에 의해 1 개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흡착되고,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으로부터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하고, 그리고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기판 (11) 까지 반송하고, 흡착부재 (14) 에 의해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절연기판 (11) 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각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절연기판 (11) 상에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에 있어서는, 띠형상의 이송테이프 (1)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연속공급할 수 있고, 절연기판 (11) 으로의 조립을 범용 조립기에 의해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절연기판 (11) 으로의 스위치회로 레이아웃에 저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9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20, 도 21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돔형상부로 형성되고,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형상의 스페이서 (15) 는, 중심부에 수납구멍 (15a) 을 가짐과 동시에, 그 하면에는, 점착제 (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 (15) 가 점착제 (16)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상에 부착되고, 또,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점착제 (4)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가동접점 (2) 의 외주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를 갖고,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을 수납구멍 (15a) 에 위치시킨 상태로, 장출부 (3a) 가 스페이서 (15) 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점착제 (16) 를 형성한 스페이서 (15) 와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접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와 스페이서 (15) 가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스페이서 (15)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접착되어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및 스페이서 (15)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일렬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 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21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21 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16)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15) 가 되는 테이프 (17) 를 준비하고, 도 21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테이프 (17) 에 수납부 (15a) 가 되는 구멍 (17a)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1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하고, 이 테이프 (5) 를 필름 (17) 상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21 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17) 의 하면으로부터 구멍 (17a) 에 가동접점 (2) 을 조립하여, 테이프 (5) 에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21 에 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17) 의 하면에 이송테이프 (1) 를 부착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21 의 F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출부 (3a) 를 남기고 테이프 (5 와 17) 의 일부분을 제거하면, 서로 분리된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 이와 같은 제 9 실시예는, 도 6, 도 7 의 제 4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0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22, 도 23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돔형상부로 형성되고,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며, 그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형상의 스페이서 (15) 는, 중심부에 수납구멍 (15a) 을 가짐과 동시에, 그 하면에는, 점착제 (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 (15) 가 점착제 (16)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상에 부착되고, 또,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점착제 (4)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가동접점 (2)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를 갖고,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을 수납구멍 (15a) 에 위치시킨 상태로, 장출부 (3a) 가 스페이서 (15) 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점착시트 (3) 및 스페이서 (15) 에는, 인접하는 점착시트 (3) 간, 또는 장출부 (3a) 의 외주에 칼집 등의 분리용이수단 (6, 7)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2 에 있어서는,인접하는 점착시트 (3) 간에 형성한 분리용이수단 (6) 과, 장출부 (3a) 의 외주에 형성한 분리용이수단 (7) 과의 쌍방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중 어느 한쪽의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점착제 (16) 를 형성한 스페이서 (15) 와,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로 가동접점집합체 (S) 가 형성되고, 점착시트 (4) 에 부착된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점착시트 (3) 와 스페이서 (15)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되어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및 스페이서 (15)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일렬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23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23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16)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15) 가 되는 테이프 (17) 를 준비하고, 도 23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테이프 (17) 에 수납부 (15a) 가 되는 구멍 (17a)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3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하고, 이 테이프 (5) 를 필름 (17) 상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23 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17) 의 하면으로부터 구멍 (17a) 에 가동접점 (2) 을 조립하여, 테이프 (5) 에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부착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23 의 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17) 의 하면에 이송테이프 (1) 를 부착하고, 테이프 (5 와 17) 에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을 형성하면,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 이와 같은 제 10 실시예는, 도 8, 도 9 의 제 5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1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24, 도 25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고리형상의 돌기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돔형상부로 형성되고,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형상의 스페이서 (15) 는, 중심부에 수납구멍 (15a) 을 가짐과 동시에, 그 하면에는 점착제 (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 (15) 가 점착제 (16)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상에 부착되고, 또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점착제 (4)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가동접점 (2)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를 갖고,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을 수납구멍 (15a) 에 위치시킨 상태로 장출부 (3a) 가 스페이서 (15) 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점착제 (16) 를 형성한 스페이서 (15) 와,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와 스페이서 (15) 가 고리형상의 각 돌기부 (1b) 내에 위치시킨 상태로,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스페이서 (15)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및 스페이서 (15)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일렬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겼을 때, 돌기부 (1b) 의 존재에 의해, 장출부 (3a) 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노출한 점착제 (4), 및 스페이서 (15) 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노출한 점착제 (16) 가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테이프 (1) 로의 부착, 또는 가동접점 (2) 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25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25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16)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15) 가 되는 테이프 (17) 를 준비하고, 도 25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테이프 (17) 에 수납부 (15a) 가 되는 구멍 (17a)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5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하고, 이 테이프 (5) 를 필름 (17) 상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25 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17) 의 하면으로부터 구멍 (17a) 에 가동접점 (2) 을 조립하고, 테이프 (5) 에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25 의 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17) 의 하면에 이송테이프 (1) 를 부착한 후, 도 25 의 F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출부 (3a) 를 남기고 테이프 (5 와 17) 의 일부분을 제거하면, 서로 분리된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25 의 G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5 와 17) 를 제거한 부분에 위치하는 이송테이프 (1) 의 한곳에, 엠보스가공에 의해 고리형상의 돌기부 (1b) 를 형성하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 이와 같은 돌기부 (1b) 는, 도 12, 도 13 에 나타낸 것이어도 되고, 또 도 12, 도 13 에 나타낸 돌기부 (1b) 를 도 22, 도 23 에 나타낸 제 10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2 실시예의 구성과, 그 제조방법을 도 26, 도 27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구멍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관통구멍 (1c) 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돔형상부로 형성되고,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점착시트 (3) 는 각각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인 일면에는 점착제 (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형상의 스페이서 (15) 는 중심부에 수납구멍 (15a) 을 가짐과 동시에, 그 하면에는 점착제 (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 (15) 가 점착제 (16)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상에 부착되고, 또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점착제 (4)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가동접점 (2)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를 갖고,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는, 가동접점 (2) 을 수납구멍 (15a) 에 위치시킨 상태로, 장출부 (3a) 가 스페이서 (15) 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점착제 (16) 를 형성한 스페이서 (15) 와, 점착제 (4) 가 형성되고,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와 스페이서 (15) 가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스페이서 (15)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그리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및 스페이서 (15)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송테이프 (1) 의 하면에는, 관통구멍 (1c) 을 막고, 가동접점 (2) 을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 (9) 가 부착되어 있다.
즉, 이송테이프 (1) 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일렬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후프형상을 이루고, 이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27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27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테이프 (1) 를 준비하고, 다음으로, 도 27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16)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 (15) 가 되는 테이프 (17) 를 준비하고, 이 테이프 (17) 를 이송테이프 (1) 상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27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테이프 (17) 에는 수납부 (15a) 가 되는 구멍 (17a) 을, 또 이송테이프 (1) 에는 관통구멍 (1c) 을 동시에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7 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시트, 또는 테이프 (5) 를 준비하고, 이 테이프 (5) 를 필름 (17) 상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27 의 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출부 (3a) 를 남기고 테이프 (5 와 17) 의 일부분을 제거하면, 서로 분리된 점착시트 (3) 와 스페이서 (5) 가 이송테이프 (1) 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7 의 F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17) 의 하면으로부터 구멍 (17a) 에 가동접점 (2) 을 조립하고, 테이프 (5) 에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부착하면, 가동접점집합체 (S) 가 형성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27 의 G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테이프 (1) 의 하면에 보호테이프 (9) 를 부착함으로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제조된다.
또, 이와 같은 제 12 실시예는, 도 20 ∼ 도 25 에 나타낸 제 9 ∼ 제 11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제 9 ∼ 제 12 실시예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사용하는 누름보턴스위치의 제 2 실시예를 도 28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직사각형상의 절연기판 (11) 에는 복수열로 나열된 상태로 2 개가 1 조가 된 고정접점 (12) 이 형성되고, 이 절연기판 (11) 상에는 수납구멍 (15a) 을 갖는 스페이서 (15) 가 부착됨과 동시에, 이 스페이서 (15) 상에는,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고정접점 (12) 에 대향하여 수납구멍 (15a) 에 수납된 상태로,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가 부착되고, 그리고, 이 점착시트 (3) 상에는, 조작부 (13a) 를 갖는 누름보턴부재 (13) 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각 고정접점 (12) 에 대응하여, 가동접점 (2) 을 부착한 점착시트 (3), 및 스페이서 (15) 로 이루어진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서로 분리한 상태로, 절연기판 (11) 에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누름보턴스위치의 조작을 설명하면, 조작부 (13a) 를 가압하면, 이 조작부 (13a) 가 가동접점 (2) 상부를 가압하고, 그럼으로써, 가동접점 (2) 이 반전하여 고정접점 (12) 에 접촉하고, 2 개의 고정접점 (12) 간을 도통하여 ON 이 되고, 또 조작부 (13a) 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접점 (2) 이 자기 회복하여 고정접점 (12) 과의 접촉이 떨어지고, 2 개의 고정접점 (12) 간이 OFF 가 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의 누름보턴스위치에 있어서의 조립방법을 도 29 ∼ 도 31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이송테이프 (1) 상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서로 분리된 상태인 것에 있어서는, 도 2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기의 흡착부재 (14) 에 의해 1 개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흡착되고,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하고, 그리고 도 3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기판 (11) 까지 반송하고, 흡착부재 (14) 에 의해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절연기판 (11) 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각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절연기판 (11) 상에 조립되는 것이다.
또, 이송테이프 (11) 상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는, 도 3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기의 흡착부재 (14) 에 의해 1 개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흡착되고,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으로부터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하고, 그리고 도 3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기판 (11) 까지 반송하고, 흡착부재 (14) 에 의해 가동접점집합체 (S) 를 절연기판 (11) 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각 가동접점집합체 (S) 가 절연기판 (11) 상에 조립되는 것이다.
이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에 있어서는, 띠형상의 이송테이프 (1)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연속공급할 수 있고, 절연기판 (11) 으로의 조립을 범용의 조립기에 의해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절연기판 (11) 으로의 스위치회로 레이아웃으로 저렴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두께가 상이한 스페이서 (15) 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동작 스트로크, 필링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3 실시예의 구성을 도 32, 도 33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오목부 (1d)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원형의 돔형상부 (2a) 로 형성되고, 이 각 가동접점 (2) 은, 이송테이프 (1) 의 오목부 (1d) 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 (9) 는, 오목부 (1d) 의 개방부를 막도록 이송테이프 (1) 에 박리가 가능하게 부착되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보호테이프 (9)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벗겨지고, 1 개의 가동접점 (2)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제 14 실시예의 구성을 도 34, 도 35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테이프 (1) 는,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의 둥근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오목부 (1d)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가동접점 (2) 은 원형의 돔형상부 (2a) 와, 이 돔형상부 (2a) 의 외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 (2b) 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각 가동접점 (2) 은, 이송테이프 (1) 의 오목부 (1d) 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 (9) 는, 오목부 (1d) 의 개방부를 막도록 이송테이프 (1) 에 박리가 가능하게 부착되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후프형상의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겨,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고, 이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조립기 (도시생략) 에 조립되고, 이송테이프 (1) 가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에 의해 소정량 이송됨과 동시에, 보호테이프 (9)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벗겨지고, 1 개의 가동접점 (2) 별로 흡착부재 (14) 에 의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2, 도 33 에 나타낸 제 13 실시예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누름보턴스위치로의 조립을 도 36, 37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3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테이프 (9) 를 벗긴 후, 조립기의 흡착부재 (14) 에 의해 1 개의 가동접점 (2) 을 흡착하여 반송한다.
다음으로, 도 3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접점 (12) 을 매설한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절연기체 (18) 의 오목부 (18a) 내에, 흡착부재 (14) 에 의해 반송된 가동접점 (2) 을 탑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가동접점 (2) 이 절연기체 (18) 에 조립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4, 도 35 에 나타낸 제 14 실시예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의 누름보턴스위치로의 조립을 도 38, 39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3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테이프 (9) 를 벗긴 후, 조립기의 흡착부재 (14) 에 의해 1 개의 가동접점 (2) 을 흡착하여 반송한다.
다음으로, 도 3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기판 (11) 상의 고정접점 (12) 에 형성한 장착부 (12a) 에는, 미리 크림납땜 (도시생략) 이 도포되어 있고, 흡착부재 (14) 에 의해 반송된 가동점점 (2) 의 돌출부 (2b) 를 크림납땜상에 탑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가동접점 (2) 이 절연기판 (11) 에 조립되는 것이다.
그 후, 이 절연기판 (11) 을 가열로 (도시생략) 애 반송하고, 크림납땜을 용융하여 돌출부 (2b) 를 장착부 (12a) 에 납땜하고, 가동접점 (2) 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에 있어서는, 띠형상의 이송테이프 (1)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연속공급할 수 있고, 절연기판 (11) 으로의 조립을 범용의 조립기에 의해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절연기판 (11) 으로의 스위치회로 레이아웃으로 저렴하게 대응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동접점 (2) 그 자체를 절연기판 (11), 또는 절연기체 (18) 에 조립하기 때문에, 공급용에만 사용하는 유지부재의 자원절약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는, 이송용 위치결정수단 (1a) 을 갖는 띠형상의 이송테이프 (1) 와, 돔형상의 가동접점 (2) 을 구비하고, 가동접점 (2) 은 이송테이프 (1) 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됨과 동시에,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에 유지된 것이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하여 반송할 수 있고, 누름보턴스위치의 조립에 융통성이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가동접점 (2) 은, 이송테이프 (1) 에 일렬, 또는 복수열로 유지되기 때문에, 조립기, 또는 누름보턴스위치에 맞춰서 사용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가동접점 (1) 은,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돔형상부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점착시트 (3) 을 갖고, 이 점착시트 (3)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가동접점 (2) 의 외주로부터의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와 함께 이송시트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2) 과 점착시트 (3)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하여 반송할 수 있고, 누름보턴스위치의 조립에 융통성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1 개의 가동접점 (2) 과 1 개의 점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고, 각각의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기판 (11) 또는 고정접점 (12) 의 여러 가지 종류에 대응할 수 있고, 표준화를 꾀할 수 있고, 저렴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점착시트 (3) 는, 개개로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연결부가 없고,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바람직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내면에 접점부 (8) 를 형성하여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돔형상부 (3b) 와, 이 돔형상부 (3b)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와, 이 장출부 (3a) 의 하면에 형성된 접착제 (4) 를 갖는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 (3) 를 구비하고, 이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접점부 (8) 를 갖는 개개의 점착시트 (3)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개개의 점착시트 (3)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하여 반송할 수 있고, 누름보턴스위치의 조립에 융통성이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접점부 (8) 를 갖는 1 개의 점착시트 (3)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고, 각각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기판 (11) 또는 고정접점 (12) 의 여러 가지 종류에 대응할 수 있고, 표준화를 꾀할 수 있고, 저렴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점착시트 (3) 는 개개로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연결부가 없고,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바람직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점착시트 (3) 에는, 칼집 등의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을 형성하고, 점착시트 (3) 를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그 제작이 용이하며, 생산성이 양호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점착시트 (3) 는 각각이 분리하여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었기 때문에, 개개의 점착시트 (3) 의 벗겨짐이 확실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가동접점 (2) 은,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돔형상부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면에 점착제 (4) 를 형성한 점착시트 (3) 와, 가동접점 (2) 을 수납하는 수납구멍 (15a) 을 갖고,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 (16) 를 형성한 시트형상의 스페이서 (15) 를 구비하고, 점착시트 (3) 로 가동접점 (2) 의 상면을 덮고 가동접점 (2) 을 부착하여 유지하고, 가동접점 (2) 을 수납구멍 (15a) 에 위치시킨 상태로, 가동접점 (2) 의 외주로부터의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스페이서 (15) 의 상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스페이서 (15)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점착시트 (3), 및 스페이서 (15)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가동접점 (2) 과 점착시트 (3) 와 스페이서 (15) 의 각각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하여 반송할 수 있고, 누름보턴스위치의 조립에 융통성이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1 개의 가동접점 (2) 과 1 개의 점착시트 (3) 와 1 개의 스페이서 (15)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고, 각각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기판 (11) 또는 고정접점 (12) 의 여러 가지 종류에 대응할 수 있고, 표준화를 꾀할 수 있고, 저렴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 (15) 는 개개로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연결부가 없고,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바람직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내면에 접점부 (8) 를 형성하여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돔형상부 (3b) 와, 이 돔형상부 (3b) 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 (3a) 와, 이 장출부 (3a) 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제 (4) 를 갖는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 (3), 및 돔형상부 (3b) 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 (15a) 을 갖고,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 (16) 를 형성한 시트형상의 스페이서 (15) 를 구비하고, 점착시트 (3) 의 장출부 (3a) 가 스페이서 (15) 의 상면에 부착하여 유지됨과 동시에, 스페이서 (15)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가동접점을 갖는 개개의 점착시트 (3) 가 스페이서 (15) 와 함께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가동접점을 갖는 점착시트 (3) 와 스페이서 (15) 의 각각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하여 반송할 수 있고, 누름보턴스위치의 조립에 융통성이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가동접점을 갖는 1 개의 점착시트 (3) 와 1 개의 스페이서 (15) 로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구성되고, 각각 1 조의 가동접점집합체 (S) 가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기판 (11) 또는 고정접점 (12) 의 여러 가지 종류에 대응할 수 있고, 표준화를 꾀할 수 있고, 저렴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 (15) 는 개개로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연결부가 없고,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것에 있어서 바람직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점착시트 (3), 및 스페이서 (15) 에는, 칼집 등의 분리용이수단 (6 또는 7) 을 형성하고, 1 개의 점착시트 (3) 와 1 개의 스페이서 (15) 로 이루어진 1 조 별로,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그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양호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1 개의 점착시트 (3) 와 1 개의 스페이서 (15) 로 이루어진 1 조 별로, 각각이 분리하여 이송테이프 (1) 에 부착되었기 때문에, 점착시트 (3) 와 스페이서 (15) 의 각각의 벗겨짐이 확실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송테이프 (1) 에는, 점착시트 (3) 측에 돌출하는 돌기부 (1b) 를 형성하고, 그 돌기부 (1b) 를 가동접점 (2) 의 외주근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겼을 때, 가동접점 (2) 의 처짐이 없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송테이프 (1) 에는, 점착시트 (3) 측에 돌출하는 고리형상의 돌기부 (1b) 를 형성하고, 그 돌기부 (1b) 를 점착시트 (3) 의 외주근방을 따라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송테이프 (1) 가 소용돌이형상으로 감겼을 때, 장출부 (3a)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노출한 점착제 (4), 및 스페이서 (15)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노출한 점착제 (16) 가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테이프 (1) 에 부착하거나, 또는 가동접점 (2) 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송테이프 (1) 는, 개개의 가동접점 (2) 과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접점 (2) 의 외형보다 큰 관통구멍 (1c) 을 갖고, 이송테이프 (1) 의 하면에는, 관통구멍 (1c) 을 막도록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 (9) 를 부착하였기 때문에, 보호테이프 (9) 에 의해, 가동접점 (2) 을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송테이프 (1) 에 관통구멍 (1c) 을 형성함으로써, 이 관통구멍 (1c) 으로부터 가동접점 (2) 을 조립할 수 있고, 이 관통구멍 (1c) 에서 가동접점 (2) 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송테이프 (1) 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 (1d) 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 (1d) 에 가동접점 (2) 을 수납함과 동시에, 오목부 (1d) 의 개방부를 막도록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 (9) 가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부착하여 유지되고,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이송테이프 (1) 에 유지되었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2) 이 이송테이프 (1) 로부터 분리하여 반송할 수 있고, 누름보턴스위치의 조립에 융통성이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가동접점 (2) 은,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돔형상부 (2a) 와 이 돔형상부 (2a) 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 (2b) 를 갖기 때문에, 개개의 가동접점 (2) 의 돌출부 (2b) 를 고정접점 (12) 의 장착부 (12a) 에 위치결정할 수 있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가동접점을 분리하고, 고정접점이 형성된 절연기판에 가동접점의 접점부를 대향시켜 부착함으로써, 가동접점부의 표준화를 꾀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의 배열의 기판에 대응할 수 있는 누름보턴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6)

  1. 이송용 위치결정수단을 갖는 띠형상의 이송테이프와, 돔형상의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이송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됨과 동시에,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이송테이프에 일렬, 또는 복수열로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돔형상부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면에 점착제를 형성한 점착시트를 갖고, 이 점착시트로 상기 가동접점의 상면을 덮어 상기 가동접점을 부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로부터의 상기 점착시트의 장출부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점착시트와 함께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내면에 접점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돔형상부와, 이 돔형상부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와, 이 장출부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제를 갖는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를 구비하고, 이 점착시트의 상기 장출부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상기 접점부를 갖는 개개의 상기 점착시트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에는, 분리용이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시트를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각각이 분리하여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돔형상부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면에 점착제를 형성한 점착시트와, 상기 가동접점을 수납하는 수납구멍을 갖고,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를 형성한 시트형상의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시트로 상기 가동접점의 상면을 덮어 상기 가동접점을 부착하여 유지하고,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수납구멍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로부터의 상기 점착시트의 장출부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점착시트, 및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8. 제 1 항에 있어서, 내면에 접점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돔형상부와, 이 돔형상부의 외주로부터 튀어나온 장출부와, 이 장출부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제를 갖는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점착시트, 및 상기 돔형상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을 갖고,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를 형성한 시트형상의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시트의 상기 장출부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에 부착하여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되고, 상기 가동접점을 갖는 개개의 상기 점착시트가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 및 상기 스페이서에는, 분리용이수단을 형성하고, 1 개의 상기 점착시트와 1 개의 상기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1 조 별로,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점착시트와 1 개의 상기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1 조 별로, 각각이 분리하여 상기 이송테이프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11. 제 3 항, 제 4 항, 제 7 항, 및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테이프에는, 상기 점착시트측에 돌출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그 돌기부를 상기 가동접점의 외주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12. 제 3 항, 제 4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테이프에는, 상기 점착시트측에 돌출하는 고리상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그 돌기부를 각각 분리하여 이송테이프에 부착하여 유지된 점착시트의 외주근방을 따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13. 제 3 항, 제 4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테이프에는,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가동접점의 외형보다 큰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이송테이프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구멍을 막도록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테이프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상기 가동접점을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의 개방부를 막도록 보호시트, 또는 보호테이프가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박리가 가능하게 부착하여 유지되고, 개개의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이송테이프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상기 이송테이프에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돔형상부와 이 돔형상부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16.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7 항, 제 8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가동접점을 분리하고, 고정접점이 형성된 절연기판에 가동접점의 접점부를 대향시켜 부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보턴스위치.
KR10-2000-0058730A 1999-10-07 2000-10-06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누름보턴스위치 KR100389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06199A JP3777276B2 (ja) 1999-10-07 1999-10-07 可動接点付キャリアテープ
JP99-287061 1999-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890A true KR20010050890A (ko) 2001-06-25
KR100389727B1 KR100389727B1 (ko) 2003-06-27

Family

ID=1771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730A KR100389727B1 (ko) 1999-10-07 2000-10-06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누름보턴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77276B2 (ko)
KR (1) KR100389727B1 (ko)
CN (1) CN1147890C (ko)
TW (1) TW4608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830B1 (ko) * 2001-05-02 2003-06-09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스위칭 단자 자동 정렬 조립장치
CN100399484C (zh) * 2005-02-22 2008-07-02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按键模块制造方法
JP4878957B2 (ja) * 2005-10-18 2012-02-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粘着シート
KR100569592B1 (ko) 2006-01-17 2006-04-10 신의철 돔 급송 테이프, 돔 급송 테이프 제조장치 및 돔 스위치설치방법
JP2009087665A (ja) * 2007-09-28 2009-04-23 Yamaha Corp ノブ装着助成治具及びノブ付き保持シート並びに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101320666B1 (ko) * 2012-03-20 2013-10-23 주식회사 마그마 키패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키패드
WO2019130955A1 (ja) 2017-12-26 2019-07-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可動接点と、可動接点を備えたスイッチと、可動接点を収納するエンボス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0525A (ja) * 1988-02-05 1989-08-11 Misaki Denshi Kogyo Kk 薄形プッシュ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2579991B2 (ja) * 1988-02-29 1997-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844736B2 (ja) * 1989-10-25 1999-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ネルスチッチおよびその製造法
JP2861130B2 (ja) * 1989-10-25 1999-02-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ネルスイッチ
JPH0548148U (ja) * 1991-11-27 1993-06-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9727B1 (ko) 2003-06-27
CN1147890C (zh) 2004-04-28
CN1292564A (zh) 2001-04-25
JP2001110268A (ja) 2001-04-20
JP3777276B2 (ja) 2006-05-24
TW460884B (en) 200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046B1 (en) Sheet with movable contacts and sheet switch
US5569549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attaching a battery to an electrical device
US20050259382A1 (en) Push-button electrical switch with deformable actuati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389727B1 (ko) 가동접점을 갖는 캐리어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누름보턴스위치
US6417467B1 (en) Sheet with movable contacts and sheet switch
KR100254532B1 (ko) 박형푸시스위치
US9653228B2 (en) Cosmetic dome switch
US6548778B2 (en) Sheet with plate springs and switch device using same
US8153919B2 (en) Dome sheet unit and membrane switch having the same
EP1453121A1 (en) Circuit component connector, its connection structure, and gasket
US5845766A (en) Movable contact element for panel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nel switch with movable contact element
US6906275B2 (en) Movable contact unit, panel switch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panel switch
CN100437859C (zh) 可动接点体以及使用该接点体构成的面板开关
US20190074554A1 (en) Battery module
KR20020072495A (ko) 박리가 용이한 접점판 부착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KR20030067509A (ko) 접점판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KR950025810A (ko) 평면퓨즈패널
US6495780B1 (en) Waterproof sealed switch with a single cont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1297649A (ja) 可動接点体連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可動接点体連および可動接点体
US20080237020A1 (en) Switch device having a spacer organizing contact tails
JPH03141522A (ja) パネル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2203454A (ja) 板バネ付シート、及びこの板バネ付シート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2005183140A (ja) 可動接点付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押釦スイッチ
JP2001076568A (ja) 電子部品連及びこの電子部品連を用いた電子部品の装着方法
JPH08316300A (ja) 電子デバイス用支持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