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850A - 필기도구 - Google Patents

필기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850A
KR20010050850A KR1020000058365A KR20000058365A KR20010050850A KR 20010050850 A KR20010050850 A KR 20010050850A KR 1020000058365 A KR1020000058365 A KR 1020000058365A KR 20000058365 A KR20000058365 A KR 20000058365A KR 20010050850 A KR20010050850 A KR 2001005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arrel
rear end
barrel
plug body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791B1 (ko
Inventor
오이케시게루
Original Assignee
유키오 우에스기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오 우에스기,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오 우에스기
Publication of KR2001005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1/00Filling devices
    • B43K11/005Filling devices for refilling capillary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3/00Devices for removing nibs; Devices for cleaning nibs, e.g. by wiping
    • B43K13/005Devices for removing nibs; Devices for cleaning nibs, e.g. by wiping for extracting nib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필기도구(1)는 샤프트 배럴(4) 및 테일 플러그(2)를 포함한다. 샤프트 배럴(4)의 내부에는 잉크저장본체(7)가 배치되고, 그 전방단부에는 펜포인트(8)가 장착된다. 테일 플러그(2)는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테일 플러그(2)는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 뒤쪽으로 배치된 플랜지부(21)를 포함한다. 플랜지부(21)의 앞면과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 사이에는 강제개방용 홈(5)이 형성되며, 이 홈(5)은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 내측면 보다 샤프트 배럴(4)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된다.

Description

필기도구{WRITING IMPLEMENT}
본 발명은 필기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잉크를 저장한 샤프트 배럴과, 이 샤프트 배럴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플러그 본체(예를들면 테일 플러그 또는 펜 포인트 유지체)를 구비한 필기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 전방"은 필기도구의 펜 포인트 측(즉 잉크가 나오는 펜의 앞쪽 끝부분) 측을 나타내고, "후방"은 테일 플러그 측(즉 펜의 꼬리 또는 뒷쪽 부분)을 나타낸다. 또, " 앞면"은 필기도구의 축방향 외측면을 나타내고, "뒷면"은 축방향 내측면을 나타낸다.
종래, 예를들어 일본 특허 미심사 공개 평11-48679호에는 샤프트 배럴의 내부에 수납된 잉크저장본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에 위치하는 개구에 테일 플러그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테일 플러그와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사이에는 10엔 짜리 주화 또는 도구가 결합할 수 있을 정도의 홈(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주화를 홈에 결합함으로써 테일 플럭그에 힘이 가해져 개방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인용된 공개공보에는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펜 포인트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필기도구를 개시하고 있다. 펜 포인트 유지체와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 사이에는 상기 구조와 유사한 홈(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필기도구에서 강제개방용 홈은 내측 직경방향으로 치수가 작아서 테일 플러그 또는 펜 포인트 유지체를 강제 개방할 때 주화 또는 툴을 조금 밖에 홈에 삽입할 수가 없다. 즉, 테일 플러그 또는 펜 포인트 유지체를 쉽게 강제 개방할 수는 없으며, 말하자면 테일 플러그 또는 펜 포인트 유지체를 강제개방하는데는 큰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샤프트 배럴의 단부, 테일 플러그의 플랜지부 또는 펜 포인트 유지체의 플랜지부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필기도구에서 발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테일 플러그 또는 펜 포인트 유지체가 샤프트 배럴의 단부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어, 샤프트 배럴의 단부, 테일 플러그의 플랜지부 또는 펜 포인트 유지체의 플랜지부의 손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필기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도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부분P의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테일 플러그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필기도구의 후방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도구의 제2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필기도구의 전방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1]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에 따른 필기도구는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는 한편 일단부에 개구를 갖는 샤프트 배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 배럴의 축방향 외측으로 배치된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 사이에는 강제개방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강제개방용 홈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 내면 보다 상기 샤프트 배럴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범위 제1항)( 도 1 - 도 8 참조).
(동작)
샤프트 배럴의 일단개구의 내측면 보다 샤프트 배럴(4)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더 깊게 강제개방홈(5)(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화와 같은 툴(9)을 홈(5)(5')에 삽입하는 경우, 툴(9)의 직경방향 내측단부가 샤프트 배럴(4)의 일단개구의 내측면 보다 더 깊게 위치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7과 같이 툴(9)의 직경방향 외측단부가 지지점으로서 샤프트 배럴(4)의 일단부와 함께 툴(9)의 축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툴(9)의 직경방향 내측단부면이 축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21)(31)의 뒷면에 대해 가압된다. 즉, 플러그 본체(2)(3)를 약간의 힘만으로 샤프트 배럴(4)의 일단개구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제개방방법 뿐만 아니라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같이 홈(5)(5')에 삽입된 툴(9)을 비트는 방법으로도 플러그 본체(2)(3)를 샤프트 배럴(4)의 일단개구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툴(9)을 이용하여 샤프트 배럴(4)의 일단개구로부터 플러그 본체(2)(3)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 배럴(4)의 일단부와 플러그 본체(2)(3)의 플랜지부(21)(3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샤프트 배럴(4)과 플러그 본체(2)(3) 사이의 상호 접속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강제개방동작을 툴(9)을 이용하여 실행하지 않는한 플러그 본체(2)(3)는 쉽게 제거되지 않게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제2구성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에 따른 필기도구(1)에서, 플러그 본체는 샤프트 배럴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정합용 관형상부와, 이 관형상부와 플랜지부를 함께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 내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강제개방용 홈에 접속된다(청구범위 제2항).
(동작)
이러한 구조 때문에, 강제개방동작(즉 툴(9)에 의한 가압동작 또는 비트는 동작)에 의해 플러그 본체(2)(3)를 제거할 때, 공간(6)(6')이 툴(9)에 대해 플러그 본체(2)(3)용 이탈공간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툴(9)의 직경방향 내측단부 뒷면이 플러그 본체(2)(3)의 정합용 관형상부(23)(33) 일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툴(9)의 강제개방동작으로 샤프트 배럴(4)과 플러그 본체(2)(3)를 간단하게 상호 분리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 본체(2)(3)의 제거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3] 본 발명의 제3구성특징에 따르면, 제2구성특징에 따른 필기도구(1)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접속부 외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하며, 각 보강리브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정합용 관형상부를 함께 접속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본체의 축방향으로 뻗는다(청구범위 제3항)
(동작)
이러한 구조 때문에, 샤프트 배럴(4)의 일단부와 플랜지부(21)(31) 사이의 강제개방홈(5)(5')이 각 보강리브(24)(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동시에 강제개방동작에서 정합용 관형상부(23)(33)에 대해 플랜지부(21)(31)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된 방법으로 플러그 본체(2)(3)를 제거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제4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구성특징에 따른 필기도구에서 상기 샤프트 배럴은 전방단부에 위치하는 펜 포인트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뒷쪽으로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사이에는 상기 강제개방용 홈이 형성되고, 이 강제개방용 홈은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내측면 보다 상기 샤프트 배럴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된다(청구범위 제4항).
(동작)
이러한 구조 때문에,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의 내측면 보다 샤프트 배럴(4)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강제개방용 홈(5)이 더 깊게 형성되므로 주화와 같은 툴(9)이 홈(5)에 삽입되는 경우 툴(9)의 내측단부가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의 내측면 보다 더 깊게 위치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툴(9)의 외측단부가 기준점으로서의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와 함께 전방으로 가압될 때, 툴(9)의 내측단부 후방면이 플랜지부(21)의 앞면(또는 뒷면) 쪽으로 후방으로 가압된다. 즉, 약간의 힘으로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로부터 테일 플러그(2)(플러그 본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강제개방동작 이외에 홈(5)에 삽입된 툴(9)의 비틀림 동작으로 테일 플러그(2)를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툴(9)을 이용하여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로부터 테일 플러그(2)를 또한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와 테일 플러그(2)의 플랜지부(21)가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샤프트 배럴(4)과 테일 플러그(2) 간의 상호 접속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툴(9)을 이용하여 강제개방동작을 실행하지 않으면 샤프트 배럴(4)로부터 테일 플러그(2)를 쉽게 제거할 수 없으며, 그 결과 테일 플러그(2)가 샤프트 배럴(4)을 벗어나 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테일 플러그(2)가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이 테일 플러그(2)를 제거한 상태에서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를 통해 잉크저장본체 또는 샤프트 배럴(4) 내에 수납된 잉크 탱크로 잉크를 재충전할 수 있다. 샤프트 배럴(4) 내에 수납된 잉크저장본체 또는 잉크 탱크가 샤프트 배럴(4)로부터 제거되어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거나, 제거된 잉크저장본체 또는 잉크탱크를 새로운 잉크로 충전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제5구성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4구성특징에 따른 필기도구에서 상기 공간은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다(청구항 5).
(동작)
이러한 구조 때문에, 강제개방동작(즉 툴(9)에 의한 가압동작 또는 비트는 동작)에 의해 테일 플러그(2)를 제거할 때, 공간(6)이 툴(9)에 대해 테일 플러그(2)용 이탈공간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툴(9)의 내측단부 앞면이 테일 플러그(2)의 정합용 관형상부(23)(33) 후방 일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툴(9)의 강제개방동작으로 샤프트 배럴(4)과 플러그 본체(2)(3)를 간단하게 상호 분리할 수 있으므로 테일 플러그(2)(3)의 제거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6] 본 발명의 제6구성특징에 따르면, 제5구성특징의 필기도구(1)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하며, 각 보강리브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정합용 관형상부를 함께 접속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본체의 축방향으로 뻗는다.
(동작)
이러한 구조 때문에,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와 플랜지부(21) 사이의 강제개방홈(5)이 각 보강리브(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동시에 강제개방동작에서 정합용 관형상부(23)에 대해 플랜지부(21)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된 방법으로 테일 플러그(2)를 제거할 수 있다.
각 보강리브(24)는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에 접하는 스텝부(24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여기서 스텝부의 작용중 하나는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에 대해 스토퍼기능이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21)와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 사이에는 강제개방홈(5)이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제7구성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의 필기도구(1)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펜 포인트를 가지는 한편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의 전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강제개방용 홈은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강제개방용 홈은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 내측면 보다 상기 샤프트 배럴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된다(청구범위 제7항).
(동작)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의 내측면 보다 샤프트 배럴(4)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강제개방용 홈(5')이 더 깊게 형성되므로 주화와 같은 툴(9)이 홈(5')에 삽입되는 경우 툴(9)의 내측단부가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의 내측면 보다 더 깊게 위치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툴(9)의 외측단부가 기준점으로서의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와 함께 후방으로 가압될 때, 툴(9)의 내측단부 앞면이 플랜지부(31)의 뒷면(또는 앞면) 쪽으로 전방을 향해 가압된다. 즉, 약간의 힘으로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로부터 펜 포인트 유지체(3)(플러그 본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강제개방동작 이외에 홈(5')에 삽입된 툴(9)의 비틀림 동작으로 펜 포인트 유지체(3)를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툴(9)을 이용하여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로부터 펜 포인트 유지체(3)를 또한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와 펜 포인트 유지체(3)의 플랜지부(31)가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샤프트 배럴(4)과 펜 포인트 유지체(3) 간의 상호 접속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툴(9)을 이용하여 강제개방동작을 실행하지 않으면 샤프트 배럴(4)로부터 펜 포인트 유지체(3)를 쉽게 제거할 수 없으며, 그 결과 펜 포인트 유지체(3)가 샤프트 배럴(4)을 벗어나 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펜 포인트 유지체(2)가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이 펜 포인트 유지체(3)를 제거한 상태에서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를 통해 잉크저장본체 또는 샤프트 배럴(4) 내에 수납된 잉크 탱크로 잉크를 재충전할 수 있다. 잉크저장본체 또는 샤프트 배럴(4) 내에 수납된 잉크저장본체로 잉크가 충전되거나 또는 잉크 탱크가 샤프트 배럴(4)로부터 제거되어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고, 제거된 잉크저장본체 또는 잉크탱크를 새로운 잉크로 충전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제8구성특징에 따르면, 제7구성특징의 필기도구(1)에서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청구범위 제8항).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강제개방동작(즉 툴(9)에 의한 가압동작 또는 비트는 동작)에 의해 펜 포인트 유지체(3)를 제거할 때, 공간(6)이 툴(9)에 대해 펜 포인트 유지체(3)용 이탈공간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툴(9)의 내측단부 뒷면이 펜 포인트 유지체(3)의 정합용 관형상부(23)(33) 전방일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툴(9)의 강제개방동작으로 샤프트 배럴(4)과 펜 포인트 유지체(3)를 간단하게 상호 분리할 수 있으므로 펜 포인트 유지체(3)의 제거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9] 본 발명의 제9구성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의 필기도구(1)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각 보강리브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정합용 관형상부를 함께 접속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본체의 축방향으로 뻗는다(청구범위 제9항).
(동작)
이러한 구조 때문에,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와 플랜지부(31) 사이의 강제개방홈(5')이 각 보강리브(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동시에 강제개방동작에서 정합용 관형상부(33)에 대해 플랜지부(31)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된 방법으로 펜 포인트 유지체(3)를 제거할 수 있다.
각 보강리브(34)는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에 접하는 스텝부(34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여기서 스텝부의 작용중 하나는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에 대해 행하는 스토퍼기능이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31)와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 사이에는 강제개방홈(5')이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필기도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도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
이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참조 도면 도 1 내지 도 6)
(제1실시예의 구조 요약)
필기도구(1)는 샤프트 배럴(4)과 테일 플러그(2)를 포함한다. 샤프트 배럴(4)은 내부에 저장된 잉크저장본체(7), 전방단부에 장착된 펜 포인트(8)를 포함한다. 테일 플러그(2)는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개구(이하 "후방 단부 개구"라 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샤프트 배럴)
샤프트 배럴(4)은 합성수지(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는 테이퍼 형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반면, 펜 포인트(8)는 샤프트 배럴(4)의 테이퍼형 전방단부에 유지된다. 또한 샤프트 배럴(4)은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 내측면에 배치된 관형상부(43)를 가지고 펜 포인트(8)의 외주를 둘러싼다. 관형상부(43)는 샤프트 배럴(4)의 내측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샤프트 배럴(4)의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관형상부(43)의 후방단부와 잉크저장본체(7)의 전방단부가 샤프트 배럴(4)의 축방향으로 상호 접촉하고 있다. 또, 관형상부의 후방단부에는 통기용 노치(43a)가 형성된다.
또, 샤프트 배럴(4)은 다수(즉 여기서는 3개)의 지지 리브(43b)를 가지며, 이 리브(43b)는 관형상부(43)의 후방부에 배치된다. 지지 리브((43b)는 샤프트 배럴(4)과 일체로 형성되어 샤프트 배럴(4)의 축방향으로 뻗는다. 잉크저장본체(7)의 전방단부 외주면은 잉크저장본체(7)의 직경방향으로 지지 리브(43b)에 의해 지지되어 가압에 의해 이 지지 리브(43b)에 접촉된다.
잉크저장본체(7)는 합성수지섬유로된 가공체(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다발에 대해 피막으로 외주가 코팅된 가공체, 또는 가열 용접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된 수지체, 수지가공체)로 구성된다. 잉크는 잉크저장본체(7) 내부로 침투되며 펜 포인트(8)는 합성수지섬유(예를들면 아크릴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된 막대형상의 수지가공체이다. 펜 포인트(8)의 후방단부는 잉크저장본체(7)의 전방단부에 삽입 및 접속된다.
(테일 플러그)
테일 플러그는 합성수지(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로 사출성형되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접속부(22), 바닥이 있는 원통형 정합용 관형상부(23) 및 디스크형 플랜지부(21)를 포함한다. 정합용 관형상부(23)는 접속부(22)의 중앙부 외주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또, 플랜지부(21)는 접속부(22)의 후방부 외주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접속부(22)의 전방부는 통기용 노치(22a)를 포함하여 축방향으로 잉크저장본체(7)의 후방단부를 지지한다.
(강제개방 홈)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에 테일 플러그(2)가 장착된 상태에서 정합용 관형상부(23)의 외주변이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의 내면에 끼워진다. 동시에 플랜지부(21)의 앞면과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 사이에 강제개방용 홈(5)이 형성되며, 이 홈(5)은 직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홈(5)의 축방향 폭치수는 2mm 또는 그 이하가 바람직하며, 이 경우 보통 주화(예를들면 10엔, 100엔, 또는 500엔 짜리 주화)를 툴(9)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테일 플러그(2)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홈(5)의 직경방향 깊이를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개구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3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 정합부)
정합용 관형상부(23)의 외주면에는 환상돌기(23a)가 배치되며, 이 환상돌기(23a)는 정합용 관형상부(23)와 일체로되어 여기에서 돌출한다. 샤프트 배럴(4)에는 그 후방단부의 내주면과 일체로된 환형돌기(41)가 배치된다.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에 테일 플러그(2)가 장착되면 환형돌기(23a)가 다른 환형돌기(41) 위를 통과하여 이 환형돌기(41)와 끼워진다. 또, 정합용 관형상부(23) 외주면에서 환형돌기(23a) 후방에는 환형평활면(23b)이 배치된다.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의 내주면에서 환형돌기(41)의 후방에는 환형평활면(42)이 형성된다. 이 환형평활면(42)에는 다른 환형평활면(23b)이 압착되어 끼워진다. 즉, 정합용 관형상부(23)의 외주면과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의 내주면 사이에는 패스 오버 정합부와 압접 정합부로 구성되는 기밀정합부가 형성된다. 기밀정합부(즉 패스 오버 정합부와 압접 정합부)의 끼워진 상태는 강제개방동작으로 해제할 수 있다.
(보강 리브)
테일 플러그(2)는 또한 다수의(여기서는 4개) 판형상 보강리브(24)를 가지며, 이 보강리브(24)는 플랜지부(21)의 앞면(뒷면)과 정합용 관형상부(23)의 바닥벽(즉 정합용 관형상부(23)의 후방단부) 사이에서 접속부(22) 중 직경방향 외주면에 배치된다. 판형상 보강리브(24)는 현재의 외주면과 방사상 일체로 형성된다. 정합용 관형상부(23)의 플랜지부(21)와 바닥벽은 보강리브(24)로 함께 접속될 수 있으며, 이것은 플랜지부(21)가 강제개방동작에서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보강리브(24)의 후방단부에는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의 내직경 보다 큰 외직경을 갖는 스텝부(24a)를 포함한다. 즉,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에 테일 플러그(2)가 장착될 때 스텝부(24a)가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부와 접촉한다. 즉, 주화와 같은 툴(9)이 홈(5)에 삽입되도록 폭치수가 이루어져 있다. 또, 스텝부(24a)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보강리브(24)의 부분은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의 내면과 접촉할 수 없도록 떨어져 유지되며, 샤프트 배럴(4)의 후방단개구의 내부에 수납된다.
플랜지부(21)와 정합용 관형상부(23) 사이의 간격(즉 보강리브(24)의 축방향 길이)은 홈(5)의 폭치수(스텝부(24a)의 축방향 길이) 보다 크다. 이러한 간격 설정으로 인해 강제 개방 동작에서 툴(9)에 대해 테일 플러그(2)용 이탈공간을 제공하는 공간(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툴(9)의 내부단부의 앞면이 테일 플러그(2)의 정합용 관형상부(23)의 바닥벽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 배럴(4)과 테일 플러그(2)가 툴(9)의 강제개방 동작으로 인해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7 및 도 8 참조).
(제2실시예의 구조 요약)
필기도구(1)는 샤프트 배럴(4)(이것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체이다) 및 펜 포인트 유지체(3)를 포함한다. 샤프트 배럴(4)의 내부에는 잉크 저장본체(7)(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합성수지섬유의 가공체이다)가 배치된다. 펜 포인트 유지체(3)는 샤프트 배럴(4)의 앞단에 형성된 개구(이하 "전방단개구"라 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펜 포인트(8)(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합성수지로된 막대형상 피가공체이다)를 포함한다.
(펜 포인트 유지체)
펜 포인트 유지체(3)는 합성수지(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펜 포인트 유지체(3)는 원통형 접속부(32), 디스크형 플랜지부(31) 및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정합용 관형상부(33)를 포함한다. 접속부(32)는 펜 포인트(8)의 외측면을 지지한다. 접속부(32)의 전방부 외주면에는 이 외주면과 일체로 연속하여 플랜지부(31)가 배치되되고, 또한 접속부(32)의 후방단부 외주면에는 이 외주면과 일체로 연속하여 정합용 관형상부(33)가 배치된다. 접속부(32)의 후방단부는 통기용 노치(32a)를 포함할 뿐 아니라 그 축방향으로 잉크저장본체(7)의 전방단부와 접할 수 있어 이 잉크저장본체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강제개방홈)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부에 펜 포인트 유지체(3)가 장착된 상태에서 정합용 관형상부(33)의 외주가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의 내측면에 끼워진다. 동시에 플랜지부(31)의 후방면과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 사이에는 직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강제개방홈(5')이 형성되어 있다. 홈(5')의 폭치수는 2mm 또는 그 이하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일반주화(예를들면 10엔, 100엔 500엔 짜리 주화)를 툴(9)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펜 포인트 유지체(3)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홈(5')의 직경방향 깊이 치수를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3mm 또는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 정합부)
정합용 관형상부(33)의 외주면에는 환형돌기(33a)가 배치된다. 이 환형돌기(33a)는 정합용 관형상부(33)와 일체로 형성되어 거기에서 돌출한다.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 개구의 내주면에도 일체로 환형돌기(41)가 배치되며,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에 펜 포인트 유지체(3)가 장착될 때 환형돌기(33a)가 환형돌기(41) 위에서 이 환형돌기(41)와 결합한다. 또, 펜 포인트 유지체(3)는 환형 평활면(33b)을 가지고 있으며, 이 평활면(33b)은 환형돌기(33a) 전방에서 정합 용 관형상부(33)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 내주면에서 환형돌기(41)의 전방에도 환형 평활면(42)이 배치된다. 환형 평활면(33b)은 다른 환형 평활면(42)과 압접으로 끼워진다. 즉,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정합용 관형상부(33)의 외주면과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 내주면 사이에는 기밀 정합부가 형성되며, 이 기밀정합부는 패스 오버 정합부와 압접 정합부로 구성된다. 기밀정합부(즉, 패스오버 정합부와 압접 정합부)가 끼워진 상태는 강제개방동작으로 해제가능하다.
(보강 리브)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펜 포인트 유지체(3)는 다수(여기서는 4개)의 판형 보강리브(34)를 가지며, 이 보강리브(34)는 플랜지부(31)의 후방면(뒷면)과 정합용 관형상부(33)의 바닥벽(즉 정합용 관형상부(33)의 전방단부) 사이에서 접속부(32)의 직경방향 외주면에 배치된다. 판형 보강리브(34)는 방사상 외측으로 접속부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이 보강리브(34)에 의해 플랜지부(31)와 정합용 관형상부(33)의 바닥벽이 함께 접속되어 플랜지부(31)가 강제개방동작에서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보강리브(34)의 전방단부에는 스텝부(34a)가 형성되며, 이 스텝부(34a)는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 내직경 보다 큰 외직경을 갖는다. 즉, 펜 포인트 유지체(2)가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에 장착될 때, 스텝부(34a)가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부에 접촉한다. 다시 말하면 홈(5')이 주화 등의 툴(9)을 삽입할 수 있는 폭치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텝부(34a)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보강리브(34) 부분이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의 내면과 접촉할 수 없도록 유지되면서, 샤프트 배럴(4)의 전방단개구의 내부로 수납된다.
플랜지부(31)와 정합용 관형상부(33)의 바닥벽 사이의 거리(즉, 보강리브(34)의 축방향길이)를 홈(5')의 폭치수(즉 스텝부(34a)의 축방향거리) 보다 크게 설정한다. 이러한 간격 설정으로 인해, 강제 개방동작에서 툴(9)에 대해 펜 포인트 유지체(3)용 이탈공간을 제공하는 공간(6')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툴(9)의 내부단부의 후방면이 펜 포인트 유지체(3)의 정합용 관형상부(33)의 바닥벽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툴(9)의 강제개방동작으로 간단하게 샤프트 배럴(4)과 펜 포인트 유지체(3)를 간단하고도 크게 분리시킬 수 있다.
(기타)
제1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1)에 있어서는 테일 플러그(2)를 제2실시예에 따른 펜 포인트 유지체(3)로 교체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필기도구는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또 다른 펜 포인트 유지체를 가질 수도 있다. 즉, 필기도구(1)를 양단에 배치된 2개의 펜 포인트를 갖는 2헤드형 필기도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펜 포인트(8)로서 섬유가공체 이외의 다른 본체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그 예로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한 펜본체, 볼 포인트 펜 팁, 관형 펜 본체, 전방단부에 슬릿이 형성된 판형 펜 본체, 필기용 브러쉬 본체, 다공성 펜 본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특징구성에 따르면,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로부터 플러그 본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동시에 플러그 본체의 플랜지부와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특징구성에 따르면, 강제개방동작에서 툴에 대해 플러그 본체용 이탈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툴의 뒷면이 플러그본체의 정합용 관형상부 단부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샤프트 배럴과 플러그 본체는 툴의 강제개방동작에 의해 크고도 간단하게 상호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특징구성에 따르면, 강제개방동작에서 플랜지부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안정된 방법으로 플러그 본체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특징구성에 따르면, 테일 플러그는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동시에 테일 플러그의 플랜지부 및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가 손상받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특징 구성에 따르면, 툴의 강제개방동작에서 툴에 대해 테일 플러그용 이탈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툴의 앞면이 테일플러그의 정합용 관형상부의 후방단부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샤프트 배럴과 테일 플러그를 툴의 강제개방동작으로 크고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강제개방동작에서 플랜지부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안정된 방법으로 테일 플러그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로부터 펜포인트 유지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동시에 펜 포인트 유지체의 플랜지부 및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가 손상을 받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르면, 툴의 강제개방동작에서 툴에 대해 펜 포인트 유지체용 이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툴의 후방면이 펜 포인트 유지체의 정합용 관형상부의 전방단부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툴의 강제개방동작으로 크고도 간단하게 샤프트 배럴과 펜 포인트 유지체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르면, 강제개방동작에서 플랜지부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구성은 안정된 방법으로 펜 포인트 유지체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7)

  1.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는 한편 일단부에 개구를 갖는 샤프트 배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 배럴의 축방향 외측으로 배치된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 사이에는 강제개방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강제개방용 홈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 내면 보다 상기 샤프트 배럴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정합용 관형상부와;
    상기 정합용 관형상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함께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 내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강제개방용 홈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접속부 외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하며, 각 보강리브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정합용 관형상부를 함께 접속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본체의 축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필기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배럴은 전방단부에 위치하는 펜 포인트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뒷쪽으로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사이에는 상기 강제개방용 홈이 형성되고, 이 강제개방용 홈은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내측면 보다 상기 샤프트 배럴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를 포함하며, 각 보강리브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정합용 관형상부를 함께 접속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본체의 축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펜 포인트를 가지는 한편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의 전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강제개방용 홈은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강제개방용 홈은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 내측면 보다 상기 샤프트 배럴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접속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각 보강리브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정합용 관형상부를 함께 접속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본체의 축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0. 제1항에 있어서, 강제 개방용 홈의 축방향 폭치수는 2mm 또는 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용 홈의 직경방향 폭치수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 외측면으로부터 이 샤프트 배럴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3mm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리브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일단부와 접촉하는 스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도구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플러그 본체를 더 포함하며, 이 후방 플러그 본체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뒷쪽으로 배치되는 후방 펜 포인트와 후방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일면과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사이에는 후방강제개방용 홈이 형성되고, 이 후방 강제개방용 홈은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 내측면 보다 상기 샤프트 배럴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더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용 관형상부에는 일체로 환형돌기가 형성되어 돌출하는 동시에 환형 평활면을 가지며, 상기 환형돌기 및 상기 환형평활면은 상기 정합용 관형상부의 외주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리브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와 접촉하는 스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리브는 상기 샤프트 배럴의 전방단부와 접촉하는 스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배럴의 후방단부에는 후방 펜 포인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도구.
KR1020000058365A 1999-10-06 2000-10-05 필기도구 KR100582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85057 1999-10-06
JP28505799A JP4368986B2 (ja) 1999-10-06 1999-10-06 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850A true KR20010050850A (ko) 2001-06-25
KR100582791B1 KR100582791B1 (ko) 2006-05-24

Family

ID=1768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365A KR100582791B1 (ko) 1999-10-06 2000-10-05 필기도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44775B1 (ko)
EP (1) EP1090779B9 (ko)
JP (1) JP4368986B2 (ko)
KR (1) KR100582791B1 (ko)
CN (1) CN1287997C (ko)
CA (1) CA2321333C (ko)
DE (1) DE60032302T8 (ko)
HK (1) HK1034937A1 (ko)
TW (1) TW5364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439B1 (ko) * 2013-03-19 2014-03-12 주식회사모나미 직액식 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1819B2 (ja) * 1999-10-05 2006-07-26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水変色性玩具セット
US6851883B1 (en) * 2002-05-02 2005-02-08 Joan Baillie Lamond Decorating applicator
EP2130685A3 (en) * 2008-06-06 2012-01-18 M/S. Dollar Industries Pakistan An improved marker pen
US9248690B2 (en) * 2012-02-24 2016-02-02 Sanford, L.P. Nib assembly having a double wall and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same
US9193212B2 (en) 2013-02-12 2015-11-24 Crayola, Llc Marker maker
WO2020004555A1 (ja) * 2018-06-29 2020-01-0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JP7320829B2 (ja) * 2019-05-30 2023-08-04 株式会社呉竹 ペン
US20230339255A1 (en) * 2019-09-30 2023-10-26 Sanford L.P. Writing nib assemblies and writing instruments
EP4132801A1 (en) * 2020-04-07 2023-02-15 Common Understanding, Inc. Marker pen with replaceable marker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61833A1 (de) 1967-05-09 1970-04-02 Hebborn & Co H Abziehvorrichtung fuer Fuellhalter zum Auswechseln der Schreibspitze
US3993409A (en) 1974-05-20 1976-11-23 Hart Una L Coloring pen assembly
DE3010944C2 (de) * 1980-03-21 1985-08-08 Rotring-Werke Riepe Kg, 2000 Hamburg Schreibgerät
DE4341657C2 (de) 1993-12-07 1998-07-16 Pelikan Ag Nachfüllbares Schreib-, Mal- oder Zeichengerät
US5897265A (en) * 1997-05-06 1999-04-27 Wilson; Caroline Ink Eraser
JP3838597B2 (ja) 1997-08-05 2006-10-25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マーキングペ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439B1 (ko) * 2013-03-19 2014-03-12 주식회사모나미 직액식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791B1 (ko) 2006-05-24
DE60032302T8 (de) 2008-01-31
CA2321333C (en) 2007-04-17
JP2001105781A (ja) 2001-04-17
DE60032302D1 (de) 2007-01-25
US6244775B1 (en) 2001-06-12
JP4368986B2 (ja) 2009-11-18
CA2321333A1 (en) 2001-04-06
EP1090779A1 (en) 2001-04-11
EP1090779B1 (en) 2006-12-13
HK1034937A1 (en) 2001-11-09
EP1090779B9 (en) 2007-05-09
CN1287997C (zh) 2006-12-06
DE60032302T2 (de) 2007-07-05
CN1292329A (zh) 2001-04-25
TW536486B (en)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791B1 (ko) 필기도구
US5564850A (en) Input pen with attached writing implement
US5309591A (en) Electric toothbrush with push-on protective cover
KR100763662B1 (ko) 필기구
US20090226240A1 (en) Writing implement having a capillary writing tip
EP1149710B1 (en) Ballpoint pen tip and ballpoint pen using the same
US20030049068A1 (en) Applicator
US4317639A (en) Writing implement with improved cartridge holder
JP3525351B2 (ja) 筆記具用部材の圧入構造
JPH1178354A (ja) 筆記具
US11667146B2 (en) Writing tool
JPH11115366A (ja) 筆記具
JP2589403Y2 (ja) インキタンク交換式筆記具
WO2017094614A1 (ja) インキカートリッジ及び筆記具
JP4771863B2 (ja) 直液式筆記具群
JP2023094086A (ja) 摩擦具及び摩擦具の製造方法
KR200191003Y1 (ko) 연필깍기가 구비된 필통
JP2008044285A (ja) 直液式筆記具
CN1596195B (zh) 涂写器具
JP4798893B2 (ja) 筆記具
JP6511348B2 (ja) 筆記具
JP4408659B2 (ja) 塗布具
JP2000343882A (ja) 筆記具
KR860003284Y1 (ko) 샤아프 펜슬
JPS6036472Y2 (ja) シヤ−プペンシルの折損芯除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