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588A -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588A
KR20010050588A KR1020000055761A KR20000055761A KR20010050588A KR 20010050588 A KR20010050588 A KR 20010050588A KR 1020000055761 A KR1020000055761 A KR 1020000055761A KR 20000055761 A KR20000055761 A KR 20000055761A KR 20010050588 A KR20010050588 A KR 20010050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r
food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330B1 (ko
Inventor
무라키겐지
다나카게이코
에지마나오키
나카지마야스시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861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79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147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4986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5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58Isochron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EEE1394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에서, 예컨대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linear) PCM에서 논-리니어(non-linear) PCM으로 변화할 때에, 송신장치의 식별자 부가수단은 무음 식별자 및 대략 0데이터를 소정시간 삽입하고, 수신장치의 제1 식별자 판별수단에서는 무음식별자를 검출한 시점에서 데이터처리 선택수단의 출력을 리니어 PCM 처리측으로부터 논-리니어 PCM 처리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데이터 절환시에 노이즈가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Audio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er}
본 발명은, 예컨대 IEEE1394 등 소정 전송로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전자기기간에 디지털 신호전송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고 있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규격으로는 IEC60958이 존재한다. 그리고, 최근 멀티미디어 용도에 적합한 시리얼 전송규격으로서, IEEE1394가 규격화되었다.
IEEE1394 방식은, 종래의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방식 등에 의한 컴퓨터 데이터의 전송에 대체하여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성이나 영상 등의 AV 데이터의 전송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IEEE1394 방식에서는, 비동기통신과 등시성 통신의 두 가지 통신방법이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등시성 통신은, AV 데이터와 같은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방법이다. 등시성 통신에서는, 전송의 개시에 앞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필요한 대역을 취득한다. 그리고, 그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행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의 실시간성이 보증된다.
한편, 비동기 통신은, 컴퓨터 데이터의 전송과 같은 실시간성이 요구되지 않는 데이터의 전송이나 기기제어에 이용되는 전송방법이다.
또, IEEE1394 버스상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은, 1394 트레이드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에 의해 「Audio and Music Data Transmission Protocol(이하, A/M 프로토콜이라 약기한다)」로서 규격화되어 있다. 그리고, 그 규격중에서 IEC60958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규격이 규정되어 있다. 이 A/M 프로토콜은, IEC61883으로 정의되는 CIP(Common Isochronous Packet)를 이용하고 있다.
도 3에 CIP의 구성을 도시한다. CIP는 패킷 헤더, 데이터 필드, 데이터 CRC로 구성된다. 또, 데이터 필드는 CIP 헤더와 데이터 블록으로 나누어져 있다. 전송할 데이터는 데이터 블록 내에 삽입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 8비트의 라벨(LABEL)과 24비트의 데이터인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은, AM824 데이터라 불리운다. IEC60958 포맷 데이터는 AM824 데이터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도 4에 AM824 데이터의 구성 및 LABEL의 내용을 도시한다. A/M 프로토콜 Ver.1에서의 LABEL의 내용은, IEC60958, Raw Audio, MIDI로 되어 있다. 또, Raw Audio란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디지털화하는 것으로, 부속정보 등이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 그 자체의 것이다.
도 5에, IEC60958 포맷일 때의 AM824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IEC60958 포맷의 경우, 24비트 데이터는 1서브 프레임이 된다. 또, 오디오 데이터의 최소단위인 1프레임은 2채널 스테레오의 경우, 두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LABEL의 상위 2비트가 모두 0인 경우, 즉 LABEL의 값이 00h∼3Fh의 경우는 IEC60958 포맷으로 되어 있고, 이 때의 하위 6비트의 구성은 도 5와 같이 된다.
IEEE1394상의 전송 프로토콜로서, 그 외에 여러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 하나로서, AV프로토콜이라 불리우는 것이 있다. AV프로토콜은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61883으로 규격화되어 있고, 실시간성이 필요한 AV 데이터를 등시성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방법, 기기에 주는 명령을 비동기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방법 등이 규정되어 있다.
등시성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 각 데이터 형식에 대해 송수신방법이 정해져 있다. 예컨대, CD 등의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은, 1394트레이드·어소시에이션(이하, 1394TA라 칭한다)에서 정해진, 오디오·앤드·뮤직·데이터·트랜스미션·프로토콜(Audio and Music Data Transmission Protocol) Ver. 1.0(이하, AM 프로토콜이라 칭한다)에 그 전송방법이 나타나 있다. AM 프로토콜은 주로 2채널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을 상정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3채널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기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에 대응하기 위해 규격의 확장이 검토되고 있다. 이 확장안은 1394TA의 「Enhancement to Audio and Music Data Transmission Protocol Working Draft Version 0.1 April 7, 1999」로서 공개되어 있다.
먼저, 예비지식으로서 상기 AM 프로토콜 확장안에 나타나 있는 오디오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대해, 버스상의 패킷 전송 타이밍, 클럭정보의 전송, 패킷 구성의 순서로 설명한다.
도 14는, IEEE1394 버스상의 패킷전송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서, CS는 사이클 스타트 패킷, ISO는 등시성 통신에 이용하는 등시성 패킷, Asy는 등시성 통신에 이용하는 등시성 패킷이다. IEEE1394에서는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노드 중, 사이클 마스터 노드가 등시성 사이클(125㎲)마다 사이클 스타트 패킷을 발행한다. 사이클 스타트 패킷에 이어, 등시성 패킷을 송신하고자 하는 노드는 송신요구동작을 개시하여, 버스 취득후, 등시성 패킷을 송신한다. 각 등시성 패킷 송신 후, 등시성 갭이라 불리우는 공백시간이 경과하면, 다른 노드가 등시성 패킷 송신을 위해 송신요구동작을 개시하여, 패킷 전송을 행한다. 모든 등시성 패킷이 전송되면, 서브 액션 갭이라 불리우는 공백시간에서, 비동기 패킷을 송신하고자 하는 노드가 비동기 송신요구동작을 개시하여, 버스 취득후, 비동기 패킷의 송신을 행한다. 서브 액션 갭은, 등시성 갭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등시성 패킷이 우선적으로 처리된다. 이에 따라, 일정한 전송 레이트가 보증된다.
다음에 데이터 클럭정보의 전송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와의 사이의 클럭정보의 전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사이클 마스터 노드(1201)는 기준 카운트를 포함하는 사이클 스타트 패킷을 발행한다. 송신 노드(1201)와 수신 노드(1203)는 IEEE1394버스(1204)에 접속된다. IEEE1394 버스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종 패킷을 시분할로 전송하는데, 도 15에서는 설명을 위해, 기준 카운트와 등시성 패킷의 두 종류의 데이터 라인을 이용한다.
IEEE1394버스는, 노드간을 1대 1로 접속하게 되어 있어, T자로 분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의 접속에서는, 예컨대 사이클 마스터 노드(1201)와 송신노드(1202)를 하나의 케이블로 접속하여, 송신노드(1202)와 수신노드(1203)를 별도의 케이블로 접속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개념적으로 세 개의 노드가 공통의 기준 카운트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T자형의 접속으로 도시하고 있다.
사이클 마스터 노드(1201)는, 기준 클럭 발생수단(1205)과 카운터(1206)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노드(1202)도 기준클럭 발생수단(1207)과 카운터(1208)를, 수신노드(1203)도 기준클럭 발생수단(1211)과 카운터(1212)를 가지고 있다. 기준클럭 발생수단(1205, 1207, 1211)은 각각 독립적이다. 카운터(1206, 1208, 1212)의 카운트는, 사이클 마스터 노드(1201)가 발행하는 사이클 스타트 패킷에 포함된 기준 카운터로 보정된다. 따라서, 각 노드의 카운트값은, 각 노드의 기준클럭 분해능 이하의 오차밖에 가지지 않는다.
송신노드(1202)에는, 오디오 클럭(예컨대, CD의 경우 44.1㎑)과 카운터(1208)로부터의 카운트가 입력되고, 타임 스탬프를 발생하는 타임 스탬프 발생수단(1209)과, 오디오 데이터(예컨대, CD의 경우 16비트의 스테레오 PCM 데이터)와 상기 타임 스탬프가 입력되어, 등시성 패킷을 만드는 패킷화 수단(1210)이 있다.
수신 노드(1203)는, 등시성 패킷을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와 타임 스탬프를 취출하는 언패킷화 수단(1213)과, 카운터(1212)의 카운트와 상기 타임 스탬프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했을 때에 펄스를 발생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펄스를 토대로 오디오 클럭을 재생하는 PLL(1215)를 포함한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만의 전송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AM 프로토콜에서는 데이터의 부속정보도 데이터와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AM 프로토콜에서의 등시성 패킷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AM 프로토콜의 등시성 패킷의 일례를 도시한다. AM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전송에 이용하는 등시성 패킷에는, IEEE1394 규격에 정의된 등시성 패킷 헤더와, AV 프로토콜에 정의된 공통 등시성 패킷 헤더(이하, CIP 헤더라 칭한다)의 두 헤더를 포함한다. 이들 두 헤더 뒤에 다수의 데이터 블록이 이어지고, 최후에 CIP 헤더와 데이터 블록에 대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가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것은 IEC60958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AM 프로토콜에 따라 패킷화한 경우의 패킷이다. IEC60958형식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IEEE1394에서는 4바이트의 데이터를 하나로 종합하여 취급하며, 이것을 쿼드렛(quadlet)이라 부른다. 도 16의 1행은 1쿼드렛이다.
먼저, 등시성 패킷 헤더에 대해서 설명한다.
등시성 패킷 헤더는 1쿼드렛의 헤더 본체와, 1쿼드렛의 헤더(CRC)로 이루어진다. 등시성 패킷 헤더의 각 필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 길이는 등시성 패킷 헤더에 연속하는 데이터 필드(CIP 헤더와 데이터 블록)의 바이트 길이를 나타낸다. Tg(등시성 데이터 포맷 태그)는, 등시성 패킷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라벨을 나타낸다. CIP 헤더를 가지는 경우, Tg의 값은 01b(b는 2진수 표시를 나타낸다)를 사용한다. 채널은, 등시성 패킷 데이터가 흐르는 0∼63까지의 논리 채널의 채널번호를 부여한다. tCode(트랜잭션 코드)는, 패킷 포맷 및 트랜잭션 타입을 나타낸다. 등시성 패킷의 tCode는 Ah(h는 16진수표시를 나타낸다)이다. sy(동기코드)는, 보내는 측과 받는 측간의 동기정보를 교환하는 데에 사용한다.
다음에, CIP 헤더에 대해서 설명한다.
AV 프로토콜에서 이용하는 CIP 헤더는 2쿼드렛이다. 1쿼드렛째의 선두 2비트는 00b, 2쿼드렛째의 선두 2비트는 10b이다.
각 필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SID(소스 ID)는 데이터를 송출하는 기기의 노드(ID)이다. DBS(데이터 블록 사이즈)는 CIP 헤더에 연속하는 데이터 블록의 싸이즈를 쿼드렛 단위로 나타낸다. FN(분할수)은, IEEE1394에서 전송하는 원래의 데이터(디지털 VTR의 프레임 내 압축에 의한 DV 방식의 데이터, MPEG-TS 데이터 등)를 분할하여 데이터 블록을 구성한 경우에, 그 분할수를 나타낸다. FN에서는, 분할없음, 2, 4, 8 분할의 네가지의 분할수를 나타낼 수 있다. AM 프로토콜에서는 분할없음(00b)이다. QPC(quadlet padding count)는 원래의 데이터를 분할하여 CIP를 만드는 경우에 CIP의 사이즈를 쿼드렛(quadlet)단위로 하기 위해, 원래의 데이터에 더미(dummy)로서 부가한 제로 데이터의 쿼드렛의 수를 나타낸다. AM 프로토콜에서는 000b이다. QPC의 이웃의 비트「S」는 SPH(소스 패킷 헤더)를 나타내며, 소스 패킷 헤더의 유무를 나타낸다. AM 프로토콜에서는 소스 패킷 헤더없음(0b)이다. RSV는 리저브를 나타내고, 값은 00b이다. DBC(데이터 블록 카운터)는 패킷 내의 선두 데이터 블록의 카운트를 나타내며, 패킷의 결락을 검출하는 데에 이용한다. FMT(포맷)는 송신되고 있는 신호의 대강의 분류를 나타낸다. AM 프로토콜은 10h이다. FDF(format dependent field)포맷 의존 필드)는 FMT마다 정의된다. AM 프로토콜에서 FDF가 00h∼07h의 것은 AM824라 불리운다. AM824에서는 데이터 블록을 구성하는 각 쿼드렛이 8비트의 라벨과 24비트의 데이터로 분할된다. SYT에는 타임 스탬프 정보가 격납된다. 타입 스탬프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한다.
이어 데이터 블록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서는, CIP 헤더에 연속하는 2쿼드렛이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 CIP에는 데이터 블록은 n개 포함된다. n의 값은 전송하는 데이터의 속성에 의해 변화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 구체예를 나타낸다.
디지털 오디오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IEC60958 포맷 데이터는 AM824 데이터의 일종으로 정의되고 있다. IEC60958에서는, 2ch, 48㎑ 샘플링, 24비트까지의 리니어 PCM데이터나, AC3(멀티 채널 오디오 압축의 한 방식), dts(digital theater system), MPEG 등의 압축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IEC60958 포맷에서는, 24비트 오디오 데이터(24비트 미만의 경우, LSB(least significant bit)측을 0으로 메워 24비트 데이터로 한다)를 1서브 프레임이라 부른다. 2채널 스테레오를 나타내는 2개의 서브 프레임이 1프레임을 구성하고, 프레임이 192개 모여 1블록이 된다.
도 5에 IEC60958 포맷일 때의 AM824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IEC60958 포맷의 라벨값은 00h∼3Fh이다. 그리고, 라벨의 하위 6비트의 구성은 도 5와 같이 된다.
도 5에서 PAC(프리앰블 코드)는, 「채널 1에서 블록의 선두」「채널 1에서 블록의 선두가 아님」「채널 1 이외」의 세가지를 구별한다. P(패리티)는 인터페이스의 고장에 의한 에러를 검출할 수 있게 준비된 것이다. C(채널 상태)는, 1블록분 192비트의 데이터를 모아, 오디오 데이터 길이, 샘플링 주파수, 리니어 PCM인지의 여부, 카테고리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즉, 이들의 정보를 얻는 데는 192 프레임분의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CIP 1개에는, 수 프레임분의 데이터밖에 격납할 수 없기 때문에, 192 프레임을 취득하는 데는 수십 패킷이 필요하게 된다. U(유저 비트)의 내용은, 카테고리마다에 정의된다. V(유효(validity) 플래그)는, 그 서브 프레임의 데이터가 유효한 리니어 PCM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유효 플래그가 0인 경우에는, 그 서브 프레임이 유효한 리니어 PCM이다. 1인 경우에는 유효한 리니어 PCM이 아닌 것을 나타내는데, 이 경우 압축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AM 프로토콜에서는, 블록킹 방식와 논-블록킹 방식의 두 가지 패킷 구성방법이 규정되어 있다. 블록킹 방식은, 송신 노드에서 일정량의 데이터가 축적되면, 그것을 하나의 패킷으로 송신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해, 논-블록킹 방식은, 1 등시성 사이클(125㎲)의 사이에 송신 노드에서 발생 또는 도착한 데이터를 하나의 패킷으로 하여 송신하는 방식이다. 여기에서는 논-블록킹 방식을 예로 든다.
도 17은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논-블록킹 방식에서는, 등시성 사이클(125㎲)내에 패킷화 수단(1201)에 도착한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등시성 패킷으로 통합한다.
등시성 패킷에는, CIP 헤더의 SYT 필드에 타임 스탬프가 붙여지는데,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하나의 패킷으로 통합되기 때문에, 개개의 오디오 데이터에 타임 스탬프를 붙일 수 없다. AM 프로토콜에서는 데이터의 샘플링 주파수에 따른 SYT_INTERVAL 이라는 파라미터가 정해져 있다. 이 SYT_INTERVAL마다에 타임 스탬프를 생성한다. 샘플링 주파수가 44.1㎑인 경우, SYT_INTERVAL은 8이다. 타임 스탬프 발생수단(1209)에서는 오디오 클럭(CD의 경우, 44.1㎑)을 SYT_INTERVAL 분주(CD로부터 8분주)하여, 분주신호의 에지에서 카운터(1208)의 값을 샘플링한다(도 17의 T1, T2, …). 샘플링한 값에, 전송지연시간(352㎲가 잘 이용된다)을 더해 타임 스탬프(R1, R2, …)로 한다. 즉, 타임 스탬프는 수신 노드(1203)측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시각을 지정하게 된다.
타임 스탬프의 발생 타이밍은 등시성 사이클과는 비동기이므로, CIP 헤더의 DBC(데이터 블록 카운터)로부터 (식 1)로 부여되는 인덱스에 의해, 타임 스탬프가 패킷 내의 어느 데이터에 대응하는가를 나타낸다.
(식 1)
index = mod((SYT_INTERVAL-mod(DBC, SYT_INTERVAL)), SYT_INTERVAL)
이상과 같이, 패킷화 수단(1210)에서는, 데이터(샘플링 주파수 44.1㎑의 경우, 통상 데이터 5개 또는 6개를 하나의 패킷으로 격납한다)와 타임 스탬프를 통합하여 하나의 등시성 패킷을 형성한다.
이상은, IEEE1394상에서 등시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예비지식의 설명이다.
그런데, 앞으로 되돌아가, IEC60958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는 리니어 PCM 데이터 또는, 압축처리된 오디오 데이터 등의 논-리니어 PCM 데이터이다. 이것을 재생하는 데는,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된 식별자 A 또는 식별자 B를 판별하여, 리니어 PCM(식별자A)나 논-리니어 PCM(식별자B)에 대응한 처리방식을 선택하여 처리를 행한다. 이 식별자는, 채널 상태 데이터 내에 할당되어 있고, 채널 상태 데이터는 192 프레임분의 채널 상태 비트에 의해 구성된다. 즉,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데는, 192프레임분의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CIP 1개에는 수 프레임분밖에 부가할 수 없기 때문에, 192 프레임을 취득하는 데는, 수십 패킷이 필요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는 데는 192 프레임분의 시간지연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할 때에, 식별자의 판별이 늦어지는 사이, 노이즈를 발생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별자를 판별하기까지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경우에는, 대용량의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어 축적시간의 지연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도 6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할 때의 타이밍 챠트를 도시한다. 도 6과 같이, 수신측이 천이후의 식별자를 판별하기까지의 192 프레임의 사이에 노이즈가 발생해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송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변화에 대응하여 메모리없이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는, 적어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수단과, 소정 전송로에서 출력된 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판별하는 식별자 판별수단과, 식별자 판별수단의 결과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방식을 선택하는 데이터 처리선택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오디오 송신장치는, 적어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전송로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송출수단은, 식별정보A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식별정보B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천이하는 소정의 시간(T1)의 사이, 무음식별정보 C와, 식별정보 A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또 소정의 시간(T2)의 사이, 무음식별정보 C와, 식별정보 B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또, 다른 관점에 의한 본 발명의 오디오 수신장치는, 전송로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식별자를 판별하는 식별자 판별수단과, 식별자 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 비인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경우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여, 인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데이터 복호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무음식별정보 C의 경우에서, 무음식별정보C의 전의 식별정보가 비인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바로 출력을 대략 제로로 뮤트하고, 무음식별정보 C 전의 식별정보가 인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데이터 복호수단에서 처리중의 데이터의 처리가 종료한 후에 출력을 대략 제로로 뮤트하고, 무음식별정보 C에 의해 한창 뮤트하고 있는 때 무음식별정보 C에 따르는 식별정보에 따른 데이터 출력을 위한 설정으로 이행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포맷이 변화한 경우에서도, 확실하게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IEEE1394에서의 CIP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A/M 프로토콜에서의 AM824 데이터의 구성 및 LABEL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데이터가 IEC60958 포맷인 때의 AM824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예에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할 때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할 때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실시예 2에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할 때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오디오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무음식별자와 변화전의 식별자A를 부가한 패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무음식별자와 변화후의 식별자B를 부가한 패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3선식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의 파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의 데이터 송수신과 처리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IEEE1394 버스상의 패킷 전송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와의 사이의 클럭 정보의 전송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AM 프로토콜의 등시성(isochronous) 패킷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논-블록킹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실시예 1, 2에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IEC60958 포맷의 AC3 인코드 데이터로부터 DVD 포맷으로 변화할 때의 타이밍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DVD 플레이어 2 : 증폭기
3 : 데이터 재생수단 4 : 제어수단
5 : 식별자 부가수단 6 : 데이터 분리수단
7 : 제1 식별자 판별수단 8 : 제2 식별자 판별수단
9 :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 10 : 데이터 복호수단
11 : DA 컨버터 12 : 데이터 출력 선태수단
13 : IEEE1394 버스 1210 : 패킷화 수단
1213 : 언패킷화 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식별정보로서 식별자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오디오 송신장치의 일례로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이하, DVD라 약칭)를 재생하여, 적어도 디지털 오디오 출력을 전송로로서의 IEEE1394 버스(13)로 출력하는 DVD 플레이어(1)와, 오디오 수신장치의 일례로서, IEEE1394 버스(13)에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증폭기(2)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DVD 플레이어(1)에서, 데이터 재생수단(3)은 DVD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재생한다. 제어수단(4)은 데이터 재생수단(3)의 출력제어를 행한다. 식별자 부가수단(5)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정보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한다. 그리고, 부가수단(5)은, 그 판별결과를 식별자(또는 식별정보)로서 제어수단(4)에 출력하는 동시에, 식별자를 LABEL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LABEL을 부가하여 IEEE1394 버스(13)에 출력한다.
증폭기(2)에서 데이터 분리수단(6)은, IEEE1394 버스(13)에 출력된 데이터를 LABEL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제1 식별자 판별수단(7)은, 1서브 프레임분의 LABEL의 내용을 판별한다. 제2 식별자 판별수단(8)은, 192 프레임분의 채널 상태 비트를 축적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인지 논-리니어 PCM인지를 판별한다.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7) 또는 제2 식별자 판별수단(8)의 결과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방식을 선택한다. 데이터 복호수단(10)은 논-리니어 PCM 데이터를 복호한다. DA 컨버터(11)(이하, D/A라 한다)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또, 도 1의 제어수단(4)과 식별자 부가수단(5)은, 도 15에서의 패킷화 수단(1210)에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분리수단(6), 제1 식별자 판별수단(7), 제2 식별자 판별수단(8)은 도 15에서의 언패킷화 수단(1213)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도 1에서는, 도 15에서의 클럭에 관한 구성은 생략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에서, DVD의 오디오 데이터를 IEC60958 포맷으로 IEEE(1394)버스(13)에 의해 증폭기로 전송하여, 오디오 출력을 증폭기에서 행하는 경우의 오디오 전송동작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먼저, 데이터 재생수단(3)은 DVD를 재생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식별자 부가수단(5)에 출력한다. 이 때의 오디오 데이터는 리니어 PCM 데이터로 한다. 식별자 부가수단(5)은 데이터 재생수단(3)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정보로부터 리니어 PCM 데이터의 식별자를 식별자 A로서 생성하고, 식별자 A를 제어수단(4)에 출력하는 동시에, 식별자 A를 LABEL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LABEL을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하여 IEEE1394 버스(13)에 출력한다.
여기서, 데이터 재생수단(3)에서 재생하고 있는 DVD의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환됐다고 하면. 이 때 제어수단(4)은, 식별자 부가수단(5)으로부터 출력된 식별자로부터 변화를 검출하여, 데이터 재생수단(3)의 오디오 출력을 정지한다. 정지수단으로서는, 몇 가지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DVD 재생동작의 정지를 행한다고 한다. 그리고, 식별자 부가수단(5)은, 도 7과 같이 무음식별자 C를 부가한 대략 제로 데이터를 연속하여 출력한다. 이것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 예컨대 30msec후에 대략 제로 데이터를 정지하여 논-리니어 PCM 데이터의 선두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을 개시한다. 이 소정시간은 필요에 의해 3msec로부터 수 100Msec의 사이로 할 수 있다.
무음식별자 C는, 본 발명에서 새로이 추가한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로, 할당은 예컨대, LABEL에서 현재 빈 영역(Reserved)이 되어 있는 값, 여기에서는, 부속 데이터(Ancillary Data) 영역의 C1h로 한다. 또, 이 할당값은 규격변경 등의 이유에서 다른 값, 예컨대, CF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 무음식별자 C는 소정의 데이터 영역을 가지고, 데이터 영역은 MSB측의 16 비트를 “0 ”으로 채우고, 나머지 LSB측 8비트에는 서브 라벨을 어사인하여 용도를 명확하게 한다. MSB측의 16 비트를 “0 ”으로 하면, -96dB 이하의 미소 레벨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절환 타이밍이 늦어져 그대로의 데이터가 리니어 PCM으로 출력되었다고 해도 실해는 없다. 무음식별자 C를 이용하여 무음으로 하는 것은, 오디오 데이터의 종별의 절환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의 경우도 있으므로, 라벨에서는 데이터가 무음인 것을 나타내고, 서브 라벨에서는 무음으로 하는 목적을 나타낸다. 예컨대, 채널수 정렬의 목적으로 더미 채널로 하는 경우, 예컨대 스테레오 2ch의 전송 포맷으로 모노럴 신호를 보내는 경우, 1ch는 모노럴의 데이터, 또 1ch에 무음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저 레이트 어플리케이션과 고 레이트 어플리케이션을 동시 전송하는 경우에 저레이트측에 무음 데이터를 부가하여, 고 레이트측에 합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때에 서브 라벨을 귀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DVD 플레이어 등,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송신장치의 블록에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할 때에는, 소정시간, 무음식별자 C를 부가한 대략 제로 데이터를 사이에 끼워 IEEE1394 버스(13)에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IEEE1394 버스(1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증폭기측에서는, 먼저 데이터 분리수단(6)에서는, LABEL과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한다. 그리고, LABEL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7)으로, 오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으로 출력한다. 제1 식별자 판별수단(7)은 1서브 프레임분의 LABEL의 내용을 판별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으로 출력한다. 동시에, 판별수단(7)은, LABEL이 IEC60958 포맷의 경우는, LABEL의 내용을 제2 식별자 판별수단(8)으로 출력한다.제2 식별자 판별수단(8)은, LABEL로부터 채널 상태 비트를 빼내어, 192프레임분을 축적하여 채널 상태 데이터를 만든다. 그 후, 판별수단(8)은,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인지 논-리니어 PCM 데이터인지를 판별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에 출력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7)의 결과가 무음식별자 C에서, 제2 식별자 판별수단(8)의 결과가 논-리니어 PCM 데이터인 경우는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데이터 복호수단(10)의 쪽으로 설정한다. 이 때 제2 식별자 판별수단(8)의 결과가 리니어 PCM 데이터인 경우는, 선택수단(9)은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D/A(11)쪽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의 오디오 수신장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음식별자를 부가한 입력에 대해서는 제1 식별자 판별수단이 대응하여 신호종별의 절환을 행하고,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는 오디오 송신장치로부터의 입력에 대해서는 제2 식별자 판별수단이 대응하여 신호종별의 절환을 행하므로, 송신장치측이 종래의 것이어도 교환성을 가질 수 있다.
지금, IEEE1394 버스(13)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무음식별자 부착의 대략 제로 데이터로 변화한 경우, 제1 식별자 판별수단(7)은, LABEL로부터 무음식별자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처리선택수단(9)에 출력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은 이것이 리니어 PCM로부터 논-리니어 PCM으로의 이행을 나타낸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 실시예 1에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할 때의 타이밍 챠트를 도시한다. 도 7과 같이, 무음식별자의 오디오 데이터는 대략 제로 데이터이기 때문에, 식별자를 잘못하여 리니어 PCM의 그대로 해도 큰 노이즈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렇게 무음식별자 부착의 대략 제로 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모드 천이를 포함한 절환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논-리니어 PCM 데이터의 초기화나 디코드 출력이 얻어지기까지의 뮤트처리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뮤트처리는 데이터 복호수단의 지시로 행해지고, 통상 수십에서 수백㎳ 정도의 시간이다. 또, 부속의 데이터 그 자체도 대략 제로이기 때문에, PCM 데이터로 잘못 재생해 버려도 노이즈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측은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할 때에는, 소정시간, 무음식별자를 부가한 대략 제로 데이터를 사이에 끼워 IEEE1394 버스(13)에 출력한다. 그리고, 수신측은 무음식별자를 검출하고 나서 데이터 처리선택을 논-리니어 PCM측에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변화로의 신속한 대응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부호(1∼11)로 나타낸 구성요소는 도 1의 구성과 같은 것이다. 도 1과 다른 것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7)의 출력에 따라 D/A(11)의 출력과 제로 레벨을 선택하는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을 설치한 점과, 제1 식별자 판별수단(7)은 판별결과를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 및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에 대해 출력하는 점이다.
또, 실시예 2에서 청구항에 기재된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은,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 및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을 합친 것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 2의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에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DVD 플레이어(1)측의 동작인데, 이것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증폭기(2)측의 동작인데, IEEE1394 버스(13)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무음식별자 부착의 대략 제로 데이터로 변화한 경우, 제1 식별자 판별수단(7)은, LABEL로부터 무음식별자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 및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에 출력한다.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은, 데이터 출력으로서 뮤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무음식별자 C가 아닌 때에, D/A(11)의 출력을 선택하여 디뮤트한다. 데이터 출력 처리 선택수단(9)의 동작은 실시예 1의 때와 같다.
이것은, 대략 제로 데이터라고 완전한 무음으로 되지 않기 때문에, 무음식별자를 검출한 시점에서 최종단의 오디오 출력을 뮤트하는 것이, 확실하게 무음으로 하는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도 8에 실시예 2에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할 때의 타이밍 챠트를 도시한다. 도 8과 같이, 무음식별자를 검출하는 것은 빠르므로, 지연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무음식별자의 오디오 데이터는 대략 제로 데이터이기 때문에, 식별자가 리니어 PCM 그대로에서도 대음량의 노이즈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무음식별자를 검출한 시점에서,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7)의 출력을 받아 데이터 출력으로서 뮤트를 선택하기 때문에, 무음식별자의 검출지연시간을 제외하고, 확실하게 무음출력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측은 무음식별자를 검출하고 있는 사이,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뮤트함으로써, 논-리니어 PCM 데이터의 종류에 한하지 않고, 확실하게 노이즈를 방지하며, 또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변화로의 신속한 대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 및 2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화한다고 했지만, 논-리니어 PCM 데이터로부터 리니어 PCM 데이터로 변환해도 좋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은 데이터 복호수단(10)측으로부터 직접 D/A측으로 절환하므로, 데이터 복호수단 내에서 일어나는 뮤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실시예 1 및 2에서,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을 데이터 복호수단(10)의 전단으로 했지만, 데이터 복호수단(10)과 D/A(11)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또, 실시예 1 및 2에서, 무음식별자 및 대략 제로 데이터의 송신시에는 DVD 플레이어를 정지시킨다고 했지만, 정지시키지 않고 무음식별자 및 대략 제로 데이터를 송신해도 좋다.
또, 실시예 1 및 2에서, 무음식별자의 할당을 LABEL로 했지만, 그 이외의 장소, 예컨대 CIP 헤더의 미사용 영역을 할당해도 좋다.
또, 실시예 1 및 2에서, 송신기기를 DVD 플레이어로 했지만, 이 이외의 기기이어도 좋다.
또, 실시예 2에서,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을 D/A(11)의 후단으로 했지만, D/A(11)의 전단으로 해도 좋다.
또, 실시예 2에서는 데이터 처리 선택수단(9)과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으로 분할했지만, 이들을 합체하여 스트레이트 출력과 복호수단출력과 뮤트 출력의 세 가지의 출력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 뮤트는 페이드 아웃(fade-out)) 및 페이드 인(fade-in)의 소프트 뮤트로 하는 것이 쇼크음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서의, 수신측 출력의 리니어 PCM으로부터 제로 데이터로 천이할 때, 전송되어 온 대략 제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이 설정하는 「제로 데이터」로 페이드 아웃한다. 또, 「뮤트」의 최초 부분에서 「제로 데이터」로부터 「뮤트(실질적으로는 제로 데이터)」로 페이드 인한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출력 선택수단(12)은 단지 절환 스위치가 아닌 소프트 뮤트가 가능한 회로구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단, 데이터 복호수단(10)에서 복호를 개시했을 때에 페이드 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때는 도 7, 도 8의 수신측 출력의 「논-리니어 PCM」의 최초의 부분에서 페이드 인하도록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각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측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가 변화할 때에, 무음식별자 및 대략 제로 데이터를 소정 시간 삽입하므로, 수신측에서 무음식별자를 검출하여 적절한 뮤트를 행하는 동시에, 디코드 처리의 초기화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어, 종래 문제였던 노이즈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구성에서는, DVD 등에서 전송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IEC60958 포맷으로부터 DVD의 다채널 고샘플링의 포맷으로 변화하는 등, 스트림의 종류가 변화한 경우에, 수신장치측의 재생음에서 이전 스트림 말단부 손실(losing the end portion of previous strem), 다음 스트림 개시부 손실(losing the beginning portion of next stream)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도 18은 실시예 1, 2에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IEC60958 포맷의 AC3 엔코드 데이터로부터 DVD 포맷으로 변화할 때의 타이밍 챠드이다. 도 18의 예에서, IEC60958 포맷의 AC3 엔코드 데이터가 전송되고, 무음식별자의 패킷을 좁혀 DVD 포맷의 데이터로 변화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측에서는 송신측과 거의 같은 타이밍에서 같은 식별자가 검출된다. AC3의 엔코드 데이터는 수신측에서 디코드처리된다. AC3 엔코드 데이터는 1536 프레임을 1단위로 압축되어 있으므로, 엔코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디코드 처리가 종료되어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될 때까지, 1536 프레임 분의 지연이 발생한다. DVD의 AC3은 48㎑ 샘플링이므로, 그 지연은 약 32㎳가 된다. 그러나, 실시예 1, 2의 구성에서는, AC3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종료하여 무음 식별자가 되면, 아직 AC3의 디코드나 출력이 종료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제로 데이터가 출력되어, 오디오 출력에서 AC3 이전 스트림 출력의 말단부 손실이 발생한다. 또, 무음 식별자에 이어 DVD 포맷의 데이터가 보내어져 와서, 그 샘플링 주파수가 98㎑이었던 경우, 처리 클럭을 발생시키고 있는 PLL이 일단 벗어나, 다시 고정된다. 재생에 필요한 안정된 클럭이 얻어지기까지는 100㎳정도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 사이, DVD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은 발생하지 않고, 뮤트 상태가 되어, 콘덴츠의 다음 스트림 개시부 손실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1, 실시예 2에서도 완전히 해결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맷이 변한 경우에서도, 수신장치측의 재생음에서이전 스트림 말단부 손실, 다음 스트림 개시부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는,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시장치를 IEEE1394 버스에 접속한다. AM 프로토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IEC60958 포맷의 AC3 엔코드 데이터로부터 DVD5.1ch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경우의 스트림의 접속에 대한 예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서, 오디오 송신장치의 일례로서 DVD 플레이어(101)는,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재생하여, 적어도 디지털 오디오 출력을 전송로로서의 IEEE1394 버스에 출력한다. 오디오 수신장치의 일례로서의 증폭기(102)는, IEEE1394 버스에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DVD 플레이어(101)에서 데이터 재생수단(103)은 DVD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재생한다. 제어수단(104)은 데이터 재생수단(103)의 출력제어를 행한다. 식별자 부가수단(105)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정보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그 결과를 식별자(또는 식별정보)로서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동시에, 부가수단(105)은 식별자를 라벨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라벨을 부가하여 IEEE1394 버스(115)에 출력한다. 데이터 재생수단(103)으로부터 식별자 부가수단(105)까지가 DVD 플레이어(101)를 구성한다.
증폭기(102)에서, 데이터 분리수단(106)은 IEEE1394 버스(115)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라벨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은 AM 프로토콜 패킷의 각 쿼드렛의 라벨의 내용을 판별한다. 제2 식별자 판별수단(108)은, 라벨이 IEC60958 포맷을 나타내는 경우, 192 프레임분의 채널 상태 비트를 축적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인지를 판별한다.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은 제1 식별자 판정수단(107)의 판정결과가 무음 식별자였던 경우, 무음식별자에 연속한 부식별자의 내용을 판별한다. 데이터 정렬수단(110)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의 판별결과 등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시킨다. 데이터 복호수단(111)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 제2 식별자 판별수단(108),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기억수단(112)으로부터 복호방법을 로드한다. 그리고, 복호수단(107)은, 그 방법에 따라 데이터 정렬수단(110)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복호한다. 기억수단(112)은 데이터 복호수단(111)의 복호방법을 기억해 둔다. 선택수단(113)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 제2 식별자 판별수단(108),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정렬수단(110) 또는 데이터 복호수단(11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DA 컨버터(이하, D/A라고 기록한다)(114)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 제2 식별자 판별수단(108) 및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을 총칭하여 식별자 판별수단이라 칭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에서의 오디오 전송동작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먼저, DVD 플레이어측의 동작을 설명한다.
데이터 재생수단(103)은, 최초는 DVD를 재생하는 것으로 하여, AC3 엔코드 데이터를 식별자 부가수단(105)에 출력한다. 식별자 부가수단(105)은, 데이터 재생수단(103)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정보로부터 식별자(A)를 생성하여, 식별자(A)를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동시에, 부가수단(105)은 식별자(A)를 라벨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라벨을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하여 IEEE1394 버스(115)에 출력한다. AC3 엔코드 데이터는 IEC60958형식의 AM 프로토콜 패킷에 격납된다. 이 패킷은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이다. 라벨은 00h∼3fh의 값을 취한다. 도 5의 채널 상태(C)를 1데이터 블록(192 프레임) 모은 비트열의 비트번호(1)의 위치에, 이 스트림이 리니어 PCM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이 플래그는 리니어 PCM가 아닌 경우는 값 1이다. IEC60958 형식의 완료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IEC61937로서 규격화되어 있다. IEC61937에서는, 데이터 부분은 데이터 버스트라 불리운다. 데이터 버스트의 선두의 헤더에는 이 부분의 데이터 타입(압축 포맷 종별 등을 나타낸다)을 격납한다. 1394 버스상에 출력된 AM 프로토콜의 패킷에서는, 서브 프레임의 데이터 24비트의 부분에 데이터 버스트로서 AC3의 엔코드 데이터를 격납한다.
여기서, 데이터 재생수단(103)에서 재생하고 있는 DVD 오디오 데이터가 AC3 엔코드 데이터로부터 DVD5.1ch 오디오 데이터로 변화했다고 한다. 이 때 제어수단(104)은, 식별자 부가수단(105)으로부터 출력된 식별자로부터 변화를 검출하여, 데이터 재생수단(103)의 오디오 출력을 정지한다. 정지수단으로는 몇가지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DVD 재생동작의 정지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식별자 부가수단(105)은 무음식별자와 변화전의 식별자A를 부가한 패킷을 출력한다. 이 패킷의 일례를 도 10에 도시한다.
무음 식별자로서는, 예컨대 AM 프로토콜 확장안으로 제안되어 있는 데이터 없음을 도시하기 위한 라벨 CFh을 이용한다. 라벨에 연속한 8비트는 식별자A 정보를 격납한다. 여기에서는 IEC60958을 나타내는 정보를 격납하는데, IEC60958의 대표값으로서 00h를 이용해도 좋다. 만약, 채널 상태C를 포함하여 AC3 엔코드 데이터의 라벨값 00h∼3fh을 시계열로 하여 정확하게 발생할 수 있는 기기는 그 값을 입력해도 좋다. 식별자 A 정보 후의 16비트는, 어떤 정보를 이용해도 좋다. 예컨대, 모두 “0”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16비트 중의 소정비트, 예컨대 LSB 8비트에 순차적으로 다른 데이터, 의사 난수 등을 입력해도 좋다. 의사난수는 예컨대, M계열 발생기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의사난수를 입력해 둠으로써, 이 패킷을 암호화한 경우, 암호화된 패킷이 일정값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암호화의 알고리즘을 해석하는 것을 더 곤란하게 할 수 있다.
식별자 부가수단(105)은, 무음식별자와 변화전의 식별자A를 부가한 패킷을 출력하기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T1) 후, 예컨대 40㎳ 후에 무음 식별자와 변화후의 식별자B를 부가한 패킷을 출력한다. 이 식별자B 정보를 가진 패킷으로 이행하는 시간(T1)은 소정값(예컨대, 3㎳)이상이면,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AC3에서는 데이터에서의 처리지연이 32㎳ 정도는 발생하므로, T1은 이것보다도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값(T1)은 어플리케이션(압축 포맷)의 처리지연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변화해도 좋다. 또, 오디오 기기와 영상기기에서 기기제어 소프트 웨어를 공용할 가능성도 있다. IEEE1394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 DVD에서는, 1프레임이 약 33㎳이고, 테이프상에 1프레임당 10개의 트랙으로 기록재생하므로, 처리단위가 3.3㎳이 된다. DVD에서는 AM 프로토콜은 사용되지 않지만, DVD와 공용의 제어 소프트 웨어에서 AM 프로토콜도 취급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에 AM 프로토콜의 식별자 정보를 취해 어떤 처리(예컨대, 기기의 상태표시 등)에 이용하는 시스템을 고려하면, T1가 3㎳이상인 것이 확실하다.
또, 실장에 즈음해서는, 다음 스트림의 식별자B가 어떠한 것인지를 알 수 있기까지는 식별자 B를 부가한 패킷의 출력으로 이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것까지는 식별자 A정보의 패킷을 계속 출력해 두는 것으로 한다.
무음 식별자와 변화후의 식별자 B를 부가한 패킷의 일례를 도 11에 도시한다. DVD 5.1ch 데이터는 멀티 비트 리니어 오디오 데이터 6쿼드렛과 부속 데이터 2쿼드렛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CIP 헤더의 DBS(데이터 블록 사이즈)는 8이 된다. 또 샘플링 주파수도 48㎑ 이외에 96㎑, 192㎑ 등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재생수단(103)이 재생하는 데이터의 관리정보에 따른 값을 FDF로 설정한다. SYT 필드에 격납된 타임 스탬프도 데이터 재생수단(103)이 재생하는 식별자 B의 데이터에 대응한 클럭에 의해 만들어진 타임 스탬프를 격납한다.
무음 식별자는 식별자 A정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CFh를 이용한다. 식별자 B정보로서는, AM 프로토콜 확장안으로 제안되어 있는 멀티 비트 리니어 오디오 중, D8h∼DBh까지의 값을 이용한다. D8h는 데이터 길이 24비트, D9h는 20비트, DAh는 16비트, DBh는 그 전과 같은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다. 식별자 B 정보의 뒤는 도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든 0의 데이터, 순차 변화하는 데이터, 의사난수 등을 격납한다.
6쿼드렛의 무음식별자의 뒤에는 부속 데이터를 격납할 식별자D의 쿼드렛이 2개 이어진다. 식별자D의 값은, AM 프로토콜 확장안에서 제안되어 있는 D0h로 한다. 식별자D의 뒤는 부식별자의 필드가 이어진다. 부식별자는 부식별자 필드 후의 16비트에 격납될 데이터 형식을 나타낸다. 이것은, 각 채널의 샘플링 주파수(DVD에서는 5.1ch의 샘플링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채널 할당, 다이나믹 랜지(dynamic range) 제어, 다운믹스(down-mix) 계수, 엠퍼시스(emphasis) 플러그, 카피 제어정보, ISRC(국제표준 기록 코드)등을 나타낸다. 이들의 정보는, DVD 디스크의 소정 콘덴츠를 판독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지만, 디스크 전체에서 공통의 것도 있어, 그 상황에 따라 알 수 있는 정보는 모두 전송할 수 있다.
소정시간 후 T2, 예컨대 300msec 후에 식별자 부가수단(105)은, DVD 5.1ch의 패킷을 출력하기 시작한다. 이 DVD 5.1ch 패킷으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 T2는 소정의 값(예컨대 3㎳)이상이면, 특별히 규정은 없다. 그러나, 예컨대 DVD 5.1ch에서 샘플링 주파수가 거기까지의 값으로 변화하는 경우, PLL의 록이 일단 벗어나, 다시 고정하거나 한다. 고품질인 재생을 행하기 위해, PLL이 충분히 안정하는 데는 100㎳정도의 시간은 필요하다. 또, 오디오 송신장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는 압축 포맷 등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이 포맷 변화에 따라, 수신측의 처리방법이 변화하여, 이를 위한 준비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시간(T2)의 값은 다음의 스트림이 무엇인지, 그 전의 스트림이 무엇인지에 따라 변화시켜도 좋다.
이렇게 하여, DVD 플레이어 등, 데이터를 출력하는 블록에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식별자A(예컨대 AC3 엔코드 데이터)로부터 식별자B(예컨대, DVD 5.1ch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화할 때에는, 소정 시간(T1) 이상 무음식별자와 변화전의 식별자A를 부가한 패킷과, 소정 시간(T2) 이상 무음식별자와 변화후의 식별자B를 부가한 패킷을 사이에 끼워 IEEE1394 버스에 출력하도록 한다.
다음에, IEEE1394 버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증폭기측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증폭기는, 먼저 데이터 분리수단(106)에서, 라벨과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라벨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으로, 오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정렬수단(110)으로 출력한다. 또, CIP 헤더의 DBS 등은 데이터 정렬수단(110)으로 보낸다.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은 라벨의 내용을 판별하여, 그 결과를 선택수단(113)에 출력한다. 동시에, 판별수단(107)은, 라벨이 IEC60958 포맷인 경우는, 라벨의 내용을 제2 식별자 판별수단(108)으로 출력한다. 또, 라벨의 내용이 무음식별자 C이면,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으로도 통지한다.
제2 식별자 판별수단(108)은, 라벨로부터 채널상태 비트를 빼내, 192 프레임분을 축적하여 채널상태 데이터를 만든 후, 오디오 데이터가 리니어 PCM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그 판별결과를 데이터 복호수단(111)과 선택수단(113)에 출력한다.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이 무음 식별자(C)로 판별한 경우, 식별자에 연속한 식별자 정보를 판별한다.
데이터 정렬수단(110)은, 식별자나 DBS, 부속 데이터 등을 기초로 데이터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데이터를 소정 형식으로 정렬시켜 출력한다. 예컨대, IEC60958 포맷의 경우는 각 CIP의 데이터 블록을 L채널과 R채널의 2채널로 정렬시켜, 소정의 형식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기기의 내부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3선식 등으로 불리우는 형식으로 LSI간을 전송되는 경우가 많다. 3선식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의 파형도를 도 12에 도시한다. 이 형식에서는 샘플링 주파수(FS)의 클럭신호, 데이터 전송용의 BCK 신호(FS의 n배, n=32, 48, 64 …등이 잘 이용된다), 그리고 2채널 데이터를 교대로 시리얼 전송하는 데이터의 3선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DVD 5.1ch의 경우에는, 각 블록의 선두로부터 6쿼드렛을 6채널 오디오 데이터로 정렬하고, 3선식에 또 두 개 데이터선을 추가한 형식으로 LSI간의 전송을 행한다. 이 경우, 6채널의 데이터를 (L, R), (C(센터)), LFE(저음)), (SL(사운드L), SR(사운드R))와 같은 3쌍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세 개의 데이터가 선택수단(113)에 접속되어 있어, IEC60958 포맷의 리니어PCM(2ch)가 수신된 경우에는(C, LFE), (SL, SR)의 데이터선은 제로 데이터(L라벨 고정)으로 해 둔다. 이에 따라 최종적인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은 무음이 된다. 실장에 의해서는 DA의 후단에 아날로그 뮤트를 설치하여, 무음의 채널을 아날로그적으로 제로로 해도 좋다. 또, 무음 식별자C에는, 순차 변화하는 데이터, 또는 의사난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제로 데이터로 치환하여 뮤트한다.
데이터 복호수단(111)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의 판별결과 및 데이터 정렬수단(11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중에 채워진 압축 포맷에 따른 복호방식으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의 판별결과가 무음 식별자 C인 경우에는,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 대신에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의 판별결과를 이용한다. DVD 플레이어의 경우, 복호가 필요한 데이터는 IEC60958의 논-리니어 PCM 데이터의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데이터 정렬수단(110)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버스트의 헤더를 검출하여, 거기에 격납된 데이터 타입에 따른 복호를 행한다. 기억수단(112)에는, 데이터 복호수단(111)용의 복호방법이 기억되어 있다. 기억수단(112)은, 데이터 복호수단(111)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복호수단(111)에 복호방법을 공급한다. 여기에 기억되어 있는 복호방법이란, 예컨대, AC3, dts, MPEG 등의 복호 프로그램 등이다.
선택수단(113)은,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과 제2 식별자 판별수단(108)과의 판별결과에 따라, 데이터 정렬수단(110) 또는 데이터 복호수단(111)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선택한다. 입력 데이터는 IEC60958 포맷에서 논-리니어 PCM인 경우에는 데이터 복호수단(111)으로부터의 출력을, IEC60958 포맷에서 리니어 PCM, 또는 멀티 비트 리니어 오디오인 경우에는 데이터 정렬수단(110)의 출력을 선택한다. 또, 무음식별자의 경우에는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의 판별결과를 제1 식별자 판별수단(107)의 판별결과 대신에 이용한다. IEC60958 포맷에서 라벨이 00h만큼인 경우에는, IEC60958에서도, 리니어 PCM인지, 논-리니어 PCM인지의 판별은 하지 않고, 전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수단(113)의 출력을 D/A(114)로 출력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상 설명한 데이터 송수신과 처리의 타이밍을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은, 최초 IEC60958 포맷의 AC3 엔코드 데이터가 전송되어 있고, 두 종류의 무음식별자의 패킷을 끼워 DVD 5.1ch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한 경우이다.
AC3의 엔코드 데이터는 수신측에서 복호처리되어, 오디오 출력으로서 AC3이 얻어진다.
송신측의 출력이 AC3 엔코드 데이터로부터 무음 식별자의 패킷으로 대신하면, 수신측은 무음식별자를 검출한다. 그리고,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에서는 식별자 A 정보로서 IEC60958형식의 라벨 00h를 검출한다. 따라서, 선택수단(113)은 데이터 복호수단(111)의 출력을 선택한 그대로 되어, 오디오 출력으로서는 AC3이 얻어진다. 데이터 복호수단(111)에 축적되어 있던 AC3 엔코드 데이터가 모두 복호된 후는, 데이터 복호수단(111)은 엔코드 데이터가 없으므로, 아이들링 상태가 되어 출력은 뮤트된다.
다음에 무음 식별자와 함께 DVD 5.1ch를 나타내는 식별자 B 정보가 보내어져 오면, 부식별자 판별수단(109)에서는 라벨로서 멀티 비트 리니어 오디오(예를 들면, D8h)가 검출되어, 무음상태이지만, DVD 5.1ch의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에는 패킷의 CIP 헤더의 FDF 필드의 샘플링 주파수 정보가 96㎑로 바뀐다. 또, SYT 필드의 타임 스탬프도 96㎑에 대응하는 값으로 바뀌기 때문에, 증폭기(102)의 PLL(도시하지 않지만,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럭 재생용의 PLL이다)은 그 때까지 록되어 있던 48㎑로부터 록이 풀려, 새로운 96㎑의 타임 스탬프에 따른 위상고정을 개시한다. 또, 각 데이터 블록의 부속 데이터에 격납된 데이터도 판독되어, 증폭기측에서 필요한 설정이 이루어진다. 그 사이 오디오 출력은 뮤트한 그대로이다.
그 후, 식별자가 무음식별자로부터 DVD 5.1ch로 변화하여, 5.1ch 오디오 데이터가 보내어져 오면, 증폭기(102)는 이미 5.1ch 재생의 준비가 마련되어 있어, 개시부 소실없이 바로 5.1ch의 오디오 출력을 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측은 무음 식별자를 검출하면 부식별자에 의해 그 이전의 데이터 포맷, 또는 그 이후의 데이터 포맷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말단부 소실을 방지하거나, 종류 변화로 신속히 대응하여 개시부 소실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3에서 예로서 오디오 데이터가 IEC60958포맷의 AC3 엔코드 데이터로부터 DVD 5.1ch 데이터로 변화한다고 했지만, 그 외의 데이터 포맷(IEC60958 포맷의 리니어 PCM, SACD(슈퍼 오디오 CD)등)으로 변화해도 좋다.
또, 실시예 3에서, 무음식별자의 송신시에는 DVD 플레이어를 정지시킨다고 했지만, 정지시키지 않고 무음 식별자 및 대략 제로 데이터를 송신해도 좋다.
또, 실시예 3에서, 무음 식별자의 할당을 LABEL로 했지만, 그 이외의 장소, 예컨대 CIP 헤더의 미사용 영역을 할당해도 좋다.
또, 실시예 3에서 송신기기를 DVD 플레이어로 했지만, 그 이외의 기기에서도 좋다.
또, 뮤트는 페이드 아웃 및 페이드 인의 소프트 뮤트로 하는 것이 쇼크음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식별자 A, B, C 및 D 등은 특정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소정 데이터 포맷의 식별자를 가령 A로 하면, 그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다른 데이터 포맷이 되었을 때, 거기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가령 식별자 B로 칭한다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바꾸지 않고 구성을 변형하여,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측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가 변화할 때에, 무음식별자와 변화전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무음식별자와 변화후의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소정시간 삽입한다. 그리고, 수신측에서 무음 식별자를 검출하여 적절히 변화전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말단부 소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변화후의 데이터 포맷의 처리준비를 행함으로써 개시부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9)

  1. 적어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송출수단은, 상기 식별정보가 식별정보 A 또는 식별정보 B로부터 다른 식별정보로 천이하는 소정시간, 천이 기간을 나타내는 무음식별정보 C와 대략 제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A는 리니어 PCM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식별정보 B는 논-리니어 PCM 모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식별정보 A로부터 상기 식별정보 B로 천이하는 소정 시간을 3msec 내지 수 100msec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A의 데이터를 천이 직후에 페이드 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B의 데이터를 천이후의 소정 시간에 페이드 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출하는 전송로를 IEEE 1394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출하는 전송로를 IEEE1394로 하여,
    상기 무음 식별정보 C는, 상기 IEEE1394의 오디오·앤드·뮤직·데이터 전송수순(Audio and Music Data Transmission Protocol)에서 규정하는 부속정보(Ancillary Data)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출하는 전송로를 IEEE1394로 하여,
    상기 무음식별정보 C는 소정 데이터 영역을 가지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MSB측의 소정 비트열을 “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9. 수신한 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판별하는 식별자 판별수단과,
    상기 식별자 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 리니어 PCM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A의 경우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논-리니어 PCM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B의 경우에는 데이터 복호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식별정보A 또는 상기 식별정보B로부터 다른 식별정보로 천이하는 천이기간을 나타내는 무음식별정보 C의 경우에는, 천이전의 식별정보의 경우와 다른 출력을 선택하는 데이터 처리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무음식별정보 C를 검출한 경우에는, 출력을 대략 제로로 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IEEE1394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IEEE1394로 하여,
    상기 무음 식별정보C는, 상기 IEEE1394의 오디오·앤드·뮤직·데이터 전송수순(Audio and Music Data Transmission Protocol)에서 규정하는 부속정보(Ancillary Data)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IEEE1394로 하여,
    상기 무음식별정보 C는, 소정의 데이터 영역을 가지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MSB측의 소정 비트열을 “0”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14. 적어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전송로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송출수단은, 식별정보A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식별정보B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천이하는 소정시간(T1)의 사이에, 무음식별정보C와 상기 식별정보A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15. 적어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전송로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송출수단은, 식별정보 A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식별정보 B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천이하는 소정 시간(T2)의 사이, 무음식별정보 C와, 상기 식별정보 B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16. 적어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전송로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송출수단은, 식별정보 A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식별정보 B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천이하는 소정 시간(T1)의 사이, 무음식별정보 C와, 상기 식별정보 A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또 소정의 시간(T2)의 사이, 상기 무음식별정보 C와, 상기 식별정보 B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17.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A 또는 상기 식별정보 B의 한 쪽은, 비-엔코드 모드를 나타내고, 다른 쪽은 엔코드 모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18. 제 14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T1을 3msec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19.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T2를 3msec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20.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출하는 전송로를 IEEE1394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21.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출하는 전송로를 IEEE1394로 하여,
    상기 무음식별정보C는 IEEE1394의 오디오·앤드·뮤직·데이터 전송수순(Audio and Music Data Transmission Protocol)에서 규정하는 부속정보(Ancillary Data)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22.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무음식별정보C인 경우, 상기 무음식별정보C에 연속한 소정 데이터 영역에, 순차 다른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23.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무음식별정보 C인 경우, 상기 무음 식별정보 C에 연속한 소정 데이터 영역의 LSB측의 소정 비트열에, 순차 다른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24.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무음식별정보 C의 경우, 상기 무음식별정보 C에 연속하는 소정 데이터 영역에, 의사난수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25.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무음식별정보 C인 경우, 상기 무음식별정보 C에 연속하는 소정의 데이터 영역의 LSB측의 소정 비트열에, 의사난수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송신장치.
  26. 전송로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판별하는 식별자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식별자 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 비-엔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엔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경우에는 데이터 복호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식별자 판별수단이 무음식별정보 C를 판별한 경우에,
    상기 무음식별정보C 전의 식별정보가 비-엔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인 경우에는, 바로 출력을 대략 제로 뮤트하고,
    상기 무음식별정보C 전의 식별정보가 엔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복호수단에서 처리중의 데이터의 처리가 종료한 후에 출력을 대략 제로로 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27. 전송로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판별하는 식별자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식별자 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 비-엔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엔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데이터 복호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식별자 판별수단은 무음식별정보 C를 판별하여,
    상기 무음식별정보C 전의 식별정보가 비-엔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바로 출력을 대략 제로로 뮤트하고,
    상기 무음식별정보C 전의 식별정보가 엔코드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복호수단에서 처리중의 데이터의 처리가 종료한 후에 출력을 대략 제로로 뮤트하고,
    상기 무음식별정보 C에 의해 한창 뮤트하고 있을 때에, 상기 무음식별정보 C에 따른 식별정보에 따르는 데이터 출력을 위한 설정으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28.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IEEE1394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29.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로를 IEEE1394로 하여,
    상기 무음식별정보 C는, 상기 IEEE1394의 오디오·앤드·뮤직·데이터 전송수순(Audio and Music Data Transmission Protocol)에서 규정하는 부속정보(Ancillary Data)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수신장치.
KR10-2000-0055761A 1999-09-22 2000-09-22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 KR100387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68618 1999-09-22
JP26861899A JP3697967B2 (ja) 1999-09-22 1999-09-22 オーディオ送信装置及びオーディオ受信装置
JP2000-061479 2000-03-07
JP2000061479A JP3684986B2 (ja) 2000-03-07 2000-03-07 オーディオ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588A true KR20010050588A (ko) 2001-06-15
KR100387330B1 KR100387330B1 (ko) 2003-06-12

Family

ID=2654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761A KR100387330B1 (ko) 1999-09-22 2000-09-22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04403B1 (ko)
EP (1) EP1087557A3 (ko)
KR (1) KR100387330B1 (ko)
CN (1) CN1222146C (ko)
MY (1) MY1227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8954B2 (en) 2001-09-27 2008-08-05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streaming data
US10504552B2 (en) 2015-09-07 2019-12-10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6836B1 (en) 1999-09-29 2007-06-2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ystem for signal processing and signal transmission
JP3957251B2 (ja) * 2000-03-02 2007-08-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オーディオ情報再生システム、オーディオ情報再生装置及びオーディオ情報再生方法
JP2003535425A (ja) * 2000-05-30 2003-11-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Cdオーディオ上のコード化された情報
US7505594B2 (en) * 2000-12-19 2009-03-17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JP3695346B2 (ja) * 2001-04-27 2005-09-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伝送システム
EP1393301B1 (en) 2001-05-11 2007-0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stimating signal power in compressed audio
JP3873821B2 (ja) * 2001-06-19 2007-01-31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再生装置および信号再生方法
JP2003006991A (ja) * 2001-06-21 2003-01-10 Sony Corp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及び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並びにデジタル信号再生受信システム
JP3491632B2 (ja) * 2002-03-19 2004-01-2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
JP2004120017A (ja) * 2002-09-20 2004-04-1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用プログラム
CN100583239C (zh) * 2003-02-28 2010-01-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生装置及再生方法
JP3873921B2 (ja) * 2003-04-03 2007-01-3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5045612A (ja) * 2003-07-23 2005-02-17 Sony Corp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7272567B2 (en) * 2004-03-25 2007-09-18 Zoran Fejzo Scalable lossless audio codec and authoring tool
US8280233B2 (en) 2005-01-28 2012-10-02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program, reproduction method
KR100672541B1 (ko) * 2005-01-31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앰프 및 잡음 제거 방법
CN101248667B (zh) * 2005-08-26 2012-09-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号源装置以及信号源装置的控制方法
WO2008132811A1 (ja) * 2007-04-17 2008-11-06 Panasonic Corporation 通信システム
JP2009277278A (ja) * 2008-05-13 2009-11-26 Funai Electric Co Ltd 音声処理装置
US8374858B2 (en) * 2010-03-09 2013-02-12 Dts, Inc. Scalable lossless audio codec and authoring tool
CN102354515B (zh) * 2011-08-31 2017-02-01 深圳市阿龙电子有限公司 一种车载dvd控制方法
US20130166052A1 (en) * 2011-12-27 2013-06-27 Vamshi Kadiyala Techniques for improving playback of an audio stream
GB2538853B (en) * 2015-04-09 2018-09-1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 Switching to a second audio interface between a computer apparatus and an audio apparatus
JP6597472B2 (ja) * 2016-05-11 2019-10-30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記憶装置、再生処理装置、記憶装置における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62269B2 (en) * 2016-08-15 2019-10-29 Qualcomm Incorporated Packetizing encoded audio frames into compressed-over-pulse code modulation (PCM) (COP) packets for transmission over PCM interfaces
CN111697982B (zh) * 2019-03-15 2022-03-22 安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噪声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2187705B (zh) * 2019-07-04 2022-04-15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音频播放方法及设备
WO2021049181A1 (ja) * 2019-09-10 2021-03-1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230A (en) * 1993-09-15 2000-07-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ad frames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0154387B1 (ko) * 1995-04-01 1998-11-16 김주용 음성다중 시스템을 적용한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기
US5933430A (en) * 1995-08-12 1999-08-03 Sony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method
KR100194928B1 (ko) * 1995-09-29 1999-06-15 윤종용 디스크 구동시스템의 오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및 방법
HU229538B1 (en) * 1995-12-07 2014-01-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transferring and decoding a non-pcm bitstream a digital versatile disc device and a multi-channel reproduction apparatus
US5812971A (en) * 1996-03-22 1998-09-22 Lucent Technologies Inc. Enhanced joint stereo coding method using temporal envelope shaping
JPH1079981A (ja) * 1996-09-04 1998-03-24 Fujitsu Ltd 移動通信装置における音声録音方法及び移動通信装置
WO1999010719A1 (en) * 1997-08-29 1999-03-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coding of speech at 4kbps
TW432372B (en) * 1997-09-17 2001-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c,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reproduction apparatus for the optical disc,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reproduction program
JP2000032414A (ja) * 1998-07-16 2000-01-28 Sony Corp チャンネル設定方法及び受信装置
US6512919B2 (en) * 1998-12-14 2003-01-28 Fujitsu Limited Electronic shopping system utilizing a program downloadable wireless videophone
US6578162B1 (en) * 1999-01-20 2003-06-10 Skyworks Solutions, Inc. Error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for ADPCM encoded speech
US6574419B1 (en) * 1999-03-12 2003-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6510409B1 (en) * 2000-01-18 2003-01-21 Conexant Systems, Inc. Intelligent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 comfort noise generation scheme for pulse code modulation speech cod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8954B2 (en) 2001-09-27 2008-08-05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streaming data
KR100920743B1 (ko) * 2001-09-27 2009-10-0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및 출력장치
US10504552B2 (en) 2015-09-07 2019-12-10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7557A3 (en) 2005-01-19
CN1222146C (zh) 2005-10-05
US6904403B1 (en) 2005-06-07
CN1290006A (zh) 2001-04-04
EP1087557A2 (en) 2001-03-28
MY122765A (en) 2006-05-31
KR100387330B1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330B1 (ko)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
KR100402190B1 (ko) 데이터통신방법
US8837533B2 (en) Transmission system
US76469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esentation medium
US7154893B2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system
JP3684986B2 (ja) オーディオ受信装置
JP3697967B2 (ja) オーディオ送信装置及びオーディオ受信装置
JP3572768B2 (ja) データ通信方法
US8098977B2 (e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nd signal reproducing method
JP4419899B2 (ja) オーディオ送信装置
US7286602B2 (en) Method of data transmission for N-channel digital data in an M-channel block format
EP1487177B1 (en)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KR100775705B1 (ko)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101165316B1 (ko)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JP2002232375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伝送システム
JP2002232426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伝送システム
JPH07326129A (ja) データ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