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705B1 -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705B1
KR100775705B1 KR1020010062336A KR20010062336A KR100775705B1 KR 100775705 B1 KR100775705 B1 KR 100775705B1 KR 1020010062336 A KR1020010062336 A KR 1020010062336A KR 20010062336 A KR20010062336 A KR 20010062336A KR 100775705 B1 KR100775705 B1 KR 100775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unit
data unit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825A (ko
Inventor
오따께노보루
시미즈요시노리
미소노고스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누락이 용인될 수 없는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측 및 수신측의 전자 기기 어느 것에도 부하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확실하고 정확하게 실시간 기반으로 송신될 수 있는 송수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누락이 용인될 수 없는 부수 데이터로서의 DMCT 데이터는, DVD 플레이어의 DVD-Audio 디코더에서 디지털 I/F부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공급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이 DMCT 데이터를 링크층 송수신기의 송신 데이터 패킷 복합 변조기에 공급한다. 변조기는 DMCT 데이터를 균일한 데이터 길이의 데이터 단위로 분할하고, 각각의 데이터 단위에 라벨 및 서브라벨을 부가하여 송신 데이터 세트를 형성한다. 서브라벨은, 대응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인지 또는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는 후속 데이터 세트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변조기에 의해 형성된 DMCT 데이터의 송신 데이터 세트가 송신된다.
데이터 송수신, 최초 데이터, 후속 데이터, 종료 데이터, 라벨, 서브라벨

Description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TRANSMISSION-RECEPTION SYSTEM,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송수신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 등의 주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송신 데이터의 포맷(AM824Data)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포맷에서 라벨로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테이블;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송수신 시스템에서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송신 데이터의 포맷(AM824Data)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포맷에서 부수 데이터용 라벨로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테이블;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포맷에서 부수 데이터용 서브라벨로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테이블;
도 8은 부수 데이터인 DMCT 데이터의 송신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DVD 플레이어의 디지털 I/F부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오EL오 증폭기의 디지털 I/F부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1은 DMCT 데이터가 분할 송신될 때 도 2에 도시된 DVD 플레이어(송신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2는 DMCT 데이터가 분할 수신될 때 도 2에 도시된 오디오 증폭기(수신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3은 분할 송신되는 DMCT 데이터의 송신 중단후의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분할 송신되는 DMCT 데이터의 송신 중단후의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DVD 플레이어(송신 장치)
11 : 판독부
12 : 디코더
13, 32 : 디지털 I/F부
131, 322 : 링크층 송수신기
1311 : 송신 데이터 패킷 복합 변조기
1312 : 송신 버퍼
132, 321 : 물리층 송수신기
133, 323 : 마이크로컴퓨터
1331, 3231 : 송신 카운터
1332, 3232 : 총합 산출부
14, 31 : 디지털 입출력 단자
15 : 제어부
2 :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
3 : 오디오 증폭기(수신 장치)
3221 : 수신 버퍼
3222 : 수신 데이터 복합 변조기
33 : 음성 신호 처리부
34L : 좌측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출력 단자
34R : 우측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출력 단자
4L : 좌측 스피커
4R : 우측 스피커
100 : DVD 디스크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음악 데이터(악곡 데이터) 등의 디지털 데이터 형태인 오디오 데이는,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CD(Compact Disc) 또는 MD(Mini Disc) 등의 기록 매체에 제공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된다. 최근, 종래의 카테고리들에 속하지 않는 새로운 카테고리의 포맷(규격)으로 디지털화된 오디오 데이터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DVD-Audio 규격 또는 SACD 규격과 호환가능한 오디오 데이터가 제공된다. DVD는 'Digital Versatile Disc'의 약칭이고, SACD는 'Super Audio Compact Disc'의 약칭이다.
DVD-Audio 규격 또는 SACD 규격에 따라 작성된 오디오 데이터는 100,000 Hz(헤르쯔)의 주파수 특성 및 최대 140 dB(데시벨)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갖는다. 종래의 CD는 20,000 Hz까지의 주파수 특성 및 96 dB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갖기 때문에, DVD-Audio 규격 또는 SACD 규격의 채택을 통해 매우 높은 퍼포먼스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DVD-Audio 규격은 멀티-채널 시스템을 채용하므로, 오디오 데이터(오디오 정보) 제작자는 예를 들어 채널 1 에서 채널 6 까지의 임의의 수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DVD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 시어터(home theater) 등으로부터 현장감있는 사운드를 재생하고 즐길 수 있다.
전자 기기들 간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송신 처리에서의 노이즈 영향 등을 고려하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지 않고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DVD-Audio 규격 등의 새로운 규격에 따라 작성된 오디오 데이터도 디지털 버스를 따라 전자 기기들간에 송신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버스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전자 기기들간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송신될 오디오 데이터는 소정 사이즈의 송신 단위로 구분(분할)되고, 분할된 각 송신 단위의 데이터에, 디지털 데이터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규격을 나타내는 라벨이 부가된다. 그리고, 그 결과인 분할 송신 단위의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송신된다.
실시간 송신에서, 수신측 기기는 송신측 전자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진행에 동기하여 그곳으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실시간 송신에서, 디지털 데이터는 그 디지털 데이터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규격을 나타내는 라벨과 함께 송신되고, 수신측 전자 기기는 디지털 데이터 규격을 식별하고 그 규격에 따라 적합한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디지털 버스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전자 기기들간에 실시간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등 송신의 주 대상인 주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고려할 때, 수신측 기기에는 주 정보 데이터에 이외에도 부수(ancillary)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DVD-Audio 규격에 따르는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 송신에서는, 수신측 기기가 수신측 기기의 채널 수에 기초하여 멀티-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고 DVD-Audio 규격에 따라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상정된 형태로 사운드를 재생하도록 하는 부수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부수 데이터는 소정의 송신 단위 데이터로서 한번의 송신 처리를 통해 송신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부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부수 데이터는 분할되어 각각의 소정 송신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복수회 송신되어야 한다. 그러나, 각각의 소정 송신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복수회 부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몇몇 부수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오디오 데이터 등의 주 정보 데이터에서는 몇몇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하더라도, 다양한 보간 기술들 중 하나가 사용되면 그 송신 처리에서는 이러한 것이 용인(허용)될 것이다. 그러나, 부수 데이터는 각각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다른 데이터로 교체하면 정상적인 재생 처리를 불가능하게 하므로, 오디오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는 이러한 보간 기술이 부수 데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소정 송신 단위의 개별 부수 데이터를 식별하고 그 부수 데이터의 순서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 등의 누락이 허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비동기 통신 등의 비동기 통신 시스템이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송신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기기는 데이터의 수신을 나타내는 응답을 송신 기기로 반환하고, 응답이 수신되면, 송신 기기는 다음 데이터를 송신하지만,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송신 기기는 동일한 데이터를 다시 송신하여 모든 부수 데이터가 확실히 송신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은 실시간 특성을 잃게 한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는 동기 통신 시스템에 따라 실시간 송신되고 부수 데이터는 비동기 통신에 의해 송신되도록, 오디오 데이터와 부수 데이터를 서로 다른 시스템에 따라 송신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도 부하를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송신될 소정 송신 단위로 분할된 부수 데이터 각각에 예를 들어 순서화된 서로 다른 라벨을 부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은 라벨을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하고 라벨의 확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소정 송신 단위로 분할된 부수 데이터 각각에 서로 다른 라벨을 부가하려고 하면, 송신측 기기는 부수 데이터의 개별 송신 단위들에 부가될 매우 많은 수의 서로 다른 라벨들을 형성하고, 이 라벨들을 부수 데이터의 송신 단위 각각에 부가하여야 한다. 이는 송신측 기기에 부하를 증대시킨다.
또한, 수신측 기기는 부수 데이터의 송신 단위 각각에 부가되는 부수 데이터를 식별하고, 식별된 부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수 데이터를 재구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수신측 기기는 복잡한 디코딩 회로를 사용해야 하고, 수신측 기기에 부하가 증대된다.
따라서, 그 양이 너무 많아서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어야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은 부수 데이터 등의 누락이 용인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의 실시간 송신에서는, 불필요하게 라벨들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 송신측 및 수신측 전자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도 부하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디지털 데이터를 확실하고 정확하게 송신할 수 있도록 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측 및 수신측 전자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도 부하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누락이 용인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가 확실하고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송신될 수 있는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르면,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어야 하고 누락이 용인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 수의 동일 사이즈인 데이터 단위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 수단, 분할 수단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의 분할에 의해 얻어진 송신 데이터 단위들 중 최초로 송신될 송신 데이터 단위에는 그 송신 데이터 단위가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계속 송신될 송신 데이터 단위들에는 그 송신 데이터 단위가 후속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정보 부가 수단, 및 정보 부가 수단에 의해 정보가 부가되는 송신 데이터 단위들을 실시간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 및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단위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및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 중 그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를 선두 데이터로 하고,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수신되고, 그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들 각각을 그 때까지 수신되었던 최종 데이터 단위들 다음의 데이터로 위치시키는 복원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송수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분할 수단은, 그 전부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측에서 의미가 없는, 즉 누락이 허용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 수의 동일 사이즈인 데이터 단위로 분할한다.
그리고, 분할 수단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의 분할에 의해 얻어진 송신 데이터 단위들 중 최초로 송신될 송신 데이터 단위에는, 그 송신 데이터 단위가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스타트 데이터 서브라벨)가 정보 부가 수단에 의해 부가된다. 더욱이,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계속 송신될 송신 데이터 단위들 각각에는, 그 송신 데이터 단위가 후속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후속 데이터 서브라벨)가 정보 부가 수단에 의해 부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 부가 수단에 의해 정보가 부가된 송신 데이터 단위들은 송신 수단에 의해 실시간으로 송신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신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신된 데이터 단위들은 수신 장치의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다. 그리고,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들 각각은, 스타트 데이터 서브라벨이 부가된 데이터 단위인지 또는 후속 데이터 서브라벨이 부가된 데이터 단위인지 판별된다. 스타트 데이터 서브라벨이 부가된 데이터 단위는 선두 데이터로서 위치되는 한편, 후속 데이터 서브라벨이 부가된 데이터 단위들 각각은 수신 상태에 무관하게 지금까지 수신되었던 데이터 단위들 중 최종 데이터 단위 다음에 후속 데이터로서 위치되어, 송신 장치로부터 분할되어 송신되었던 디지털 데이터가 복원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이 어떠한 이유로 중단되고 나 서 송신 상태가 회복될 때, 수신 장치측은 상위 프로토콜을 개재하지 않고도 송신 장치에 의해 기대되었던 2가지 선택-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될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는 선택 및 데이터 송신이 처음부터 다시 수행되어야 하는 또 다른 선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지를 판정할 수 있고, 이러한 판정에 기초하여 적합한 대책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데이터를 송신 데이터 단위로서 형성하기 위한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송신 수단은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데이터 단위들 중 최종 송신 데이터 단위가 송신된 직후에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으로부터 종료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 장치는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 중 어느 데이터가 종료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종료 데이터는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데이터 단위들 중 최종 송신 데이터 단위가 송신된 직후에 송신 수단을 통해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수신 장치에서, 판정 수단은 종료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분할되어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의 전부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수신 시스템은,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데이터 단위들의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기 위한 송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은 송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총합을 포함하는 종 료 데이터를 형성하고, 수신 장치는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고,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는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및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각각 부가되는 데이터 단위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 및 수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수신 데이터의 총합을 종료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단위들의 데이터의 총합과 비교하여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을 더욱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의 송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은 송신될 데이터 단위들(송신 데이터 단위들)의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송신 데이터 단위들의 데이터의 총합은 종료 데이터에 포함되어 종료 데이터와 함께 송신된다. 수신 장치에서, 수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은 수신된 데이터(수신 데이터 단위들)의 총합을 산출한다. 판정 수단은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의 데이터의 산출된 총합을 수신된 종료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 데이터 단위들의 데이터의 총합과 비교하여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된 분할 데이터의 총합과 수신된 분할 데이터의 총합을 이러한 방식으로 상호 비교함으로써, 분할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간단하고 정확하게 판정될 수 있다.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가 소정 수의 데이터 단위들로 분할 되고, 수신 장치는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는 데이터 단위 및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각각 부가되는 데이터 단위들의 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사전에 결정되고, 또한 송신 데이터 단위들의 사이즈도 사전에 결정되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의 분할 횟수도 사전에 결정되고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의 카운팅 수단은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의 수를 카운트 및 관리한다.
수신 데이터 단위들의 수가 이러한 방식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들의 수신 처리가 정확하게 관리될 수 있고, 송신된 데이터 단위들의 모든 데이터가 누락없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텍스트 데이터는 누락이 허용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송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텍스트 데이터가 분할되어 송신되는 경우, 이들은 송신 효율을 열화시키지 않고도 신뢰성있게 송신될 수 있다.
송수신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가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에서 실시간으로 송신될 수 있고, 디지털 데이터는 주 정보 데이터에 관한 복제 제어 정보나 저작권 정보 또는 수신 장치가 사전에 결정된 방법이나 규격에 따라서 주 정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부수 데이터가 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장치에서, 누락이 허용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등의 주 정보 데이터에 관한 복제 제어 정보나 저작권 정보, 또는 수신 장치가 사전에 결정된 방법 또는 규격에 따라서 주 정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부수 데이터이고, 이러한 복제 제어 정보나 저작권 정보 또는 부수 데이터는 소정 수의 동일한 사이즈인 데이터 단위들로서 분할되어 송신된다.
결과적으로, 복제 제어 정보, 저작권 정보 또는 부수 데이터가 분할되어 송신될 때, 이들은 송신 효율을 열화시키지 않고도 신뢰성있게 송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송수신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가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에서 송신될 수 있고, 디지털 데이터는 수신 장치가 주 정보 데이터로서의 멀티-채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사전에 결정된 방법이나 규격에 따라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부수 데이터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누락이 허용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는, 예를 들어 DVD-Audio 규격의 멀티-채널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송신되는 부수 데이터로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 장치의 채널 수와 동일한 수의 오디오 신호들로 다운 믹스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수 및/또는 계산 방법을 나타내고, 부수 데이터는 소정 송신 데이터 단위들로 분할되어 송신된다.
결과적으로, 다운 믹스 처리를 위한 부수 데이터 등이 분할되어 송신되는 경우, 이들은 송신 효율을 열화시키지 않고도 신뢰성있게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어야 하고 누락이 용인 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 수의 동일한 사이즈인 데이터 단위들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 수단, 분할 수단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의 분할에 의해 얻어지는 송신 데이터 단위들 중 최초로 송신될 송신 데이터 단위에는 그 송신 데이터 단위가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계속 송신될 송신 데이터 단위들 각각에는 그 송신 데이터 단위가 후속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정보 부가 수단, 및 부가 정보 수단에 의해 정보가 부가된 송신 데이터 단위들을 실시간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르면,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어야 하고 누락이 용인되지 않으며 복수의 동일한 사이즈인 데이터 단위로 분할되는 디지털 데이터, 데이터 단위들 중 최초로 송신되는 데이터 단위에 부가되고 그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계속 송신되는 데이터 단위들 각각에 부가되고 그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는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계속 송신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가 제공되는 데, 이 수신 장치는, 송신되는 데이터 단위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및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 중 그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는 데이터 단위를 선두 데이터로서 위치시키고, 그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고 최초 데이터에 후속하여 수신되는 데이터 단위들 각각을 지금까지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 중 최종 데이터 단위 다음에 후속 데이터로서 위치 시키기 위한 복원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르면,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어야 하고 누락이 용인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 수의 동일한 사이즈인 단위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분할 단계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의 분할에 의해 얻어진 송신 데이터 단위들 중 최초로 송신될 송신 데이터 단위에 그 송신 데이터 단위가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계속 송신될 송신 데이터 단위들 각각에 그 송신 데이터 단위는 후속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정보 부가 단계,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정보 부가 단계에 의해 정보가 부가된 송신 데이터 단위들을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 중 그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를 선두 데이터로서 위치시키고,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수신되며 그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를 지금까지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 중 최종 데이터 단위 다음에 후속 데이터 단위로서 위치시키는 복원 단계를 포함한다.
요약하면,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간에 송수신의 확인 없이도 디지털 데이터가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는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 법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이 어떠한 이유로 중단되고 나서 송신 상태가 회복되는 경우, 수신 장치측에서는 상위 프로토콜의 보간 없이도 송신 장치에 의해 기대되는 2개의 선택-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될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는 선택 및 데이터 송신이 처음부터 다시 수행되어야 하는 또 다른 선택 - 중 어느 것이 선택되는가를 판정할 수 있고, 이 판정에 기초하여 적합한 대책을 취한다.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데이터가,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데이터 단위들 중 최종 송신 데이터 단위가 송신된 직후에 송신되는 경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분할되어 송신될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의 총합이 종료 데이터에 포함되어 종료 데이터와 함께 송신되는 경우, 수신 장치는 송신된 데이터 단위들의 데이터 총합과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의 데이터 총합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판정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 단위들의 수가 관리되는 경우, 디지털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들의 수신 처리가 정확하게 관리될 수 있고, 송신된 데이터 단위들의 모든 데이터가 누락없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 복제 방지 제어 정보, 저작권 정보나, 또는 사전에 결정된 방법 또는 규격에 따라 주 정보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하는 부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송신되는 경우, 누락이 허용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는 송신 장치나 수신 장치에 부하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송신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는, DVD-Audio 규격에 따라 DVD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를 통해 송신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송수신 시스템은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2)에 의해 상호 접속된 DVD 플레이어(1) 및 오디오 증폭 장치(이하, 간단히 '오디오 증폭기'라 함)(3)를 포함한다.
송수신 시스템에서, DVD 플레이어(1)에 장착된 DVD로부터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버스(2)를 통해 DVD 플레이어(1)에서 오디오 증폭기(3)로 공급된다. 오디오 증폭기(3)는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2개의 좌우 채널들에 대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좌우 스피커 4L 및 4R에 각각 공급한다. 결과적으로, DVD 플레이어(1)에 의해 DVD로부터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는 사운드는 오디오 증폭기(3)에 접속된 좌우 스피커 4L 및 4R로부터 방출된다.
송수신 시스템에서, DVD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술된 DVD-Audio 규격에 따르는 멀티-채널 오디오 데이터이다. 즉, DVD 플레이어(1)에서 오디오 증폭기(3)로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어, 1 채널 내지 6 채널과 같이 디스크의 콘텐츠에 대하여 임의의 수의 채널인 멀티-채널 오디오 데이터이다.
따라서, 오디오 증폭기(3)는 멀티-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2개의 좌우 채널들로 변경하는 다운 믹스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DVD 플레이어(1)는 디지털 버스(2)를 통해 오디오 증폭기(3)에 멀티-채널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DVD에서 판독되고 DVD-Audio 규격에 따르는 방법에 따라 다운 믹스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DMCT 데이터 등의 수개의 필요한 데이터를 부수 데이터로서 공급한다.
오디오 증폭기(3)는 DVD-Audio 규격의 멀티-채널 오디오 데이터 및 DMCT 데이터 등의 수개의 필요한 데이터 공급을 수신하고, 수신된 부수 데이터를 이용해서 DVD-Audio 규격에 따르는 다운 믹스 처리를 수행하여 2개의 좌우 채널들의 오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수신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DVD 플레이어(1)은 판독부(11), 디코더(12), 디지털 I/F부(13), IEE 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와 호환가능한 디지털 입출력 단자(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I/F'라는 용어는 디지털 I/F부(13) 등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약칭으로서 사용된다는 것에 주의하자.
오디오 증폭기(3)는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와 호환가능한 디지털 입출력 단자(31), 디지털 I/F부(32), 음성 신호 처리부(33), 좌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에 대한 한 쌍의 출력 단자 34L 및 34R, 및 제어부(35)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로서의 DVD(100)는 DVD 플레이어(1)에 장착된다. DVD(100)는 상술된 DVD-Audio 규격에 따라서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갖는다. DVD(100)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는 광 픽업(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하는 판독부(11)에 의해 판독된다. 판독부(11)에 의해 판독된 디지털 데이터는 DVD-Audio 규격의 디코더(12)에 공급된다.
디코더(12)는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스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증폭기(3)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 믹스 처리를 위해 필요한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를 추출하고, 오디오 데이터 및 부수 데이터를 디지털 I/F부(13)에 공급한다. 디지털 I/F부(13)는 디코더(12)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및 부수 데이터에서 송신용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 및 부수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오디오 데이터 및 부수 데이터를 디지털 입출력 단자(14)를 통해 디지털 버스(2)로 송출한다.
디지털 버스(2)는 상술된 바와 같이 IEEE 1394 규격에 따르는 것이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데이터는 DVD 플레이어(1)와 오디오 증폭기(3) 간에서 IEEE 1394 규격으로 상술된 A&M 프로토콜(Audio and Music Data Transmission Protocol)의 AM824Data라 불리는 포맷으로 송신된다.
A&M 프로토콜은 동기 통신 시스템인 등시성(isochronous) 통신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규약들인 AV 프로토콜들 중 하나로서 규정된다.
도 3은 송수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M824Data를 설명하는 것으로, 오디오 데이터 송신용 송신 데이터 포맷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M824Data 포맷은 IEEE 1394 규격의 데이터 송신 단위인 32 비트 데이터 길이를 갖고, 데이터의 내용을 식 별하기 위한 라벨이 위치되는 8 비트의 라벨부 및 오디오 데이터 등의 주 정보 데이터가 위치되는 24비트의 데이터부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M824Data 포맷의 최상위 비트(MSB)측에 제공되는 8비트 라벨부에 사용되는 라벨들을 도시한다. 도 4의 좌측 열에는, 사용가능한 라벨들이 16진수로 표시되고, 도 4의 우측 열에는, 라벨들에 의해 표현되는 의미 내용들이 표시되고 있다.
도 4의 좌측 열에 알파벳 문자 "h"는 이 앞에 표시되는 숫자 또는 문자가 16진수로 표현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숫자 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알파벳 문자 A, B, C, D, E 및 F 후방에 부가된 알파벳 문자 "h"는 선행 숫자 또는 알파벳 문자가 16진수로 표현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송수신 시스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00h 내지 3Fh 값들은 IEC60958 컨포먼트(conformant) 데이터 용으로 할당되고, 현존 쌍위상(biphase) 변조된 IEC958 디지털 I/F의 것과 동일한 데이터 구조의 선형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 또는 비선형 PCM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40h 내지 4Fh 값들은 멀티-비트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 용으로 할당되고, 예를 들어 DVD-Audio 규격 등의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50h 내지 57h 값들은 1 비트 오디오(Plain) 데이터 용으로 할당되고, 58h 내지 5Fh 값들은 1 비트 오디오(Encoded) 데이터 용으로 할당되며, 이들은 예를 들어 SACD 규격의 오디오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80h 내지 83h 값들은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컨포먼트 데이터 용으로 할당되고, MIDI 규격의 오디오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88h 내지 8Bh는 SMPTE(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타임 코드 컨포먼트 데이터 용으로 할당되고, LTC(Longitudinal Time Code)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C0h 내지 EFh 값들은 부수 데이터 용으로 할당된다. 이 값들의 라벨들은 예를 들어 DVD-Audio 데이터 송신에서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송수신 시스템에서 60h 내지 7Fh, 84h 내지 87h, 90h 내지 BFh 및 F0h 내지 FFh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래에 사용하기 위해 예약된 것으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자.
상술된 바와 같이,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DVD 플레이어(1)에서 오디오 증폭기(3)로 송신될 오디오 데이터가 DVD-Audio 규격의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이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부(13)는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24 비트의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에 40h 내지 4Fh의 라벨을 부가하여 도 3에 도시된 포맷의 송신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송신 데이터 세트는 오디오 증폭기(3)에 송신되도록 디지털 버스(2)에 송출된다.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상술된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도 DVD 플레이어(1)에서 오디오 증폭기(3)로 송신된다. 또한, 부수 데이터는 기본적 으로 AM824Data 포맷으로 송신된다. 그러나, 라벨 뿐만 아니라 서브라벨도 부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각 송신 데이터 단위에 부가된다.
도 5는 부수 데이터 송신용 AM824Data의 송신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수 데이터 송신용 AM824Data의 송신 데이터 포맷은 32 비트(= 1 quadlet) 데이터 길이를 갖고, 도 3에 도시된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용 AM824Data의 송신 포맷과 유사하게 MSB측에 8비트의 라벨부를 갖는다.
그러나 부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8비트의 서브라벨이 MSB측 8비트의 라벨 다음에 부가된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B측의 라벨부 다음에 서브라벨부가 제공된다. 더욱이, 16비트의 부수 데이터부가 서브라벨부 다음에 제공되고, 부수 데이터는 16 비트(2 바이트) 단위로 송신된다.
부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되고 도 5의 라벨부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C0h 내지 EFh 값들의 라벨들이 사용된다. 본 송수신 시스템에서 부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C0h 내지 EFh 값들의 라벨들은 이하의 방식으로 적절히 사용된다.
도 6a 및 6b는 부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라벨 값들을 도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부수 데이터 송신용 라벨값 COh 내지 EFh는 일반 부수 데이터 COh 내지 CFh용 라벨들 및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부수 데이터 용 라벨 D0h 내지 EFh로 대략 분할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일반 부수 데이터용 라벨값 CFh는 대응 부수 데이터부가 부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플리케이션에 대 한 부수 데이터용 라벨값 D0h는 대응 부수 데이터가 DVD-Audio 규격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부수 데이터용 라벨값 D1h는 대응 부수 데이터가 SACD 규격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부(13)가 디코더(12)로부터 공급되는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는 경우, 값 D0h(2진 표시로는 "11010000")가 송신 데이터 세트용 라벨로서 사용된다.
더욱이, 부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으로 서브라벨이 제공된다. 도 7은 DVD-Audio 규격에 대한 부수 데이터에 제공될 서브라벨 값들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수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DVD-Audio 규격용 부수 데이터에 인가되는 대표적인 예들이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좌측 열에는, 실제 사용되는 서브라벨 값들이 2진수로 표시되고, 설명을 위한 우측열에는, 서브라벨 값들에 의해 표현되는 내용이 설명된다. 서브라벨 "00000000"은 현재 사용되지 않는(Not Used) 값이다. 서브라벨 "00000001"은 대응 부수 데이터가 매 블럭 단위마다 송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서브라벨 "00000010"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기 이전에 대응 부수 데이터가 송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송수신 시스템에서, 다운 믹스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DMCT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는, 3개의 라벨 "00000100", "00000101" 및 "00000011"이 적절히 사용된다. DMCT 데이터는, 데이터량이 커서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어야 하고 오디오 데 이터 등의 보간 처리에 의한 재생성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송신 처리 동안 DMCT 데이터의 누락이 허용되지 않고 모든 DMCT 데이터가 확실하게 송신되어야 하는 부수 데이터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DMCT 데이터는 DVD-Audio 규격의 멀티-채널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처인 장치, 즉 본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오디오 증폭기(3)가, DVD-Audio 규격에 호환가능한 시스템에 따르고 오디오 증폭기(3)의 채널 수에 따라서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다운 믹스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DMCT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다양한 파리미터들, 및 다운 믹스 처리 등을 위해 필요한 계산 방법 등을 실제 재생하고 사용하기 위해 필요하며 288바이트(2,304비트)의 사이즈를 갖고,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수 및 각 채널에 대한 샘플링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일종의 부수 데이터로서 DVD-Audio 규격의 멀티-채널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DVD 플레이어(1)에서 오디오 증폭기(3)로의 DMCT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들이 도 5에 도시된 포맷의 송신 데이터 세트와 같이 송신된 이후 144회까지 분할되어 송신된다.
DMCT 데이터 각각은 중요한 의미를 갖고, 288바이트의 DMCT 데이터 중 어느 부분이 누락되는 것은 수신측에서 오디오 증폭기(3)에 의한 정상적인 다운 믹스 처리를 불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DMCT 데이터의 일부가 누락되면, 인접 데이터간의 상관(correlation)을 이용하는 데이터 보간 처리가 오디오 데이터 등에 수행되더라도, 누락된 데이터는 정확하게 복원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보간 처리 가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대응 부수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DMCT 스타트 데이터 서브라벨)의 값 "00000100"이 DMCT 데이터의 2바이트 최초 데이터 단위를 송신하기 위해 형성되는 송신 데이터 세트에 대한 서브라벨로서 위치된다.
더욱이, 대응 부수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는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후속 데이터 서브라벨)의 값 "00000101"이,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는 DMCT 데이터의 이들 데이터 단위를 송신하기 위해 형성되는 송신 데이터 세트들 각각에 대한 서브라벨로서 위치된다.
또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DVD 플레이어(1)는, 144개로 분할된 블럭 또는 송신 데이터 단위의 DMCT 데이터를 송신한 직후에, 라벨, 대응 데이터 단위가 DMCT 데이터의 종료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 "00000011", 서로 다른 콘텐츠간의 DMCT 데이터 식별을 위해 사용될 정보인 1 비트의 테이블 패리티, 및 DMCT 데이터의 총합의 하위 15 비트를 포함하고 종료 데이터로서의 기능을 갖는 32 비트의 데이터 세트를 송신한다.
도 8은 DMCT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의 송신 데이터 세트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디코더(12)로부터 288 바이트의 DMCT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에,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부(13)는 DMCT 데이터를 각각 2 바이트의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144개의 데이터 단위로 분할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데이터 단위는 도 8의 DMCT 바이트1, DMCT 바이트0, DMCT 바이트3, DMCT 바이트2 ...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2 바이트를 포함하고, 대응 부수 데이터가 DVD-Audio 데이터에 관한 부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라벨 "11010000"(D0h)가 데이터 단위에 부가된다.
더욱이, 최초에 송신될 2 바이트의 DMCT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에는 대응 부수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 "00000100"이 부가되는 한편,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세트에 후속하는 DMCT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들 각각에는 대응 부수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세트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 "00000101"이 부가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32 비트의 송신 데이터 세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32 비트의 송신 데이터 세트는 디지털 버스(2)를 통해 오디오 증폭기(3)로 송신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88 바이트의 모든 DMCT 데이터가 1 부터 144 까지 번호가 붙여진 144개 세트의 송신 데이터로 송신될 수 있다. 그리고, 145번째 세트의 데이터로서, 1 비트의 테이블 패리티 및 DMCT 데이터의 총합값(DMCT-sum)을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경우, DMCT 데이터 송신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값 "00000011"은 서브라벨로서 위치된다. 즉, 라벨이 "11010000"이고 서브라벨이 "00000011"인 송신 데이터 세트가 DMCT 데이터의 송신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데이터로서 송신된다.
그리고, 대응 부수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을 갖는 송신 데이터 세트로 시작하고 DMCT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을 갖는 송신 데이터 세트로 종료하는 송신 데이터의 세트들이 각 각 고정된 시간 간격 이후에 송신된다.
도 2에 도시된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오디오 증폭기(3)는 디지털 입출력 단자(31)를 통해 디지털 I/F부(32)에 의해서 디지털 버스(2)로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디지털 I/F부(32)는 디지털 데이터가 DVD-Audio 규격의 오디오 데이터이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부(33)에 공급한다.
한편,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세트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부가되는 2 바이트의 부수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이면, 디지털 I/F부(32)는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를 실수없이 선두 데이터로서 위치시킨다. 그러나,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부가되는 2 바이트의 부수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이면, 디지털 I/F부(32)는 그때까지 수신되었던 DMCT 데이터의 블럭들 또는 데이터 단위들 중 최종 하나의 블럭 또는 데이터 단위 다음에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를 기입(위치)한다.
오디오 증폭기(3)이 DMCT 데이터중 일부의 수신에 실패하더라도, 상술된 바와 같이 송신측으로부터 고정된 시간 간격 이후에 DMCT 데이터가 다시 송신되므로, 오디오 증폭기(3)는 DMCT 데이터를 재수신하고 288 바이트의 부수 데이터를 재생(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288 바이트의 DMCT 데이터는 디지털 I/F부(32)에서 제어부(35)로 공급된다. 제어부(35)는 수신된 DMCT 데이터 등의 수개의 필요한 부수 데이터로 음성 신호 처리부(33)를 제어하여 2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다운 믹스 처리를 수행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은 대응하는 좌측 스피커 4L 및 우 측 스피커 4R에 공급되고, 스피커 4L 및 4R은 DVD(100)에 기록된 DVD-Audio 규격의 오디오 데이터에 따르는 음성을 방출한다.
일종의 부수 데이터인 DMCT 데이터가 288 바이트 길이를 갖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바이트의 동일한 사이즈인 144개 데이터 단위들로 분할되고 각 데이터 단위들에 라벨 및 서브라벨이 부가되는 포맷으로 오디오 증폭기(3) 송신되기 때문에, 오디오 증폭기(3)의 음성 신호 처리부(33)는, DMCT 데이터 단위가 DMCT 데이터의 스타트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부가된 DMCT 데이터 단위 및 DMCT 데이터 단위가 DMCT 데이터의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부가되는 DMCT 데이터 단위들의 수를 카운트하고 이렇게 카운트된 수가 144인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모든 DMCT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종료 데이터를 의미하고 하위 15 비트에 DMCT 데이터의 총합값의 정보를 갖는 송신 데이터는 DMCT 데이터의 송신 종료 직후에 145번째 송신 데이터로서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측 오디오 증폭기(3)는 DMCT 데이터의 수신 종료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증폭기(3)측에서도, 수신된 DMCT 데이터의 총합을 계산하고 계산된 총합의 하위 15 비트의 값을 종료 데이터에 포함되는 DMCT 데이터의 총합값의 하위 15 비트의 값과 비교함으로써 모든 DMCT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확실하게 판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DMCT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도 5에 도시된 32 비트의 각 송신 데이터 단위에, 송신 데이터 단위가 DMCT 데이터의 스타트 데이터 단 위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 또는 송신 데이터 단위가 DMCT 데이터의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또 다른 서브라벨을 부가하고 그 결과인 DMCT 단위를 송신함으로써, 수신측 장치- 본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증폭기(3)임 -는 등시성 통신에 의해 송신되는 부수 데이터 단위들을 연속하여 수신하고 부수 데이터를 재생(복원)할 수 있다.
또한, DMCT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송신 데이터 단위의 수를 카운트하거나 또는 DMCT 데이터의 총합을 사용함으로써, DVD 플레이어(1)로부터 송신되는 모든 DMCT 데이터가 확실하게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정확하게 판정될 수 있다. 아직 DMCT 데이터가 모두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오디오 증폭기(3)는 DMCT 데이터를 다시 수신하기 위한 단계를 취하는 등 적절한 대책을 취할 수 있다.
이제, A&M 프로토콜의 AM824Data의 송신 데이터 세트를 형성 및 송신하는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부(13) 및 A&M 프로토콜의 AM824Data의 송신 데이터 세트를 수신 및 처리하는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가 이하 설명된다.
먼저,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측인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13)이 설명된다. 도 9는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부(13)을 도시하는 것으로, 특히 디지털 I/F부(13)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부(13)는 링크층 송수신기(131), 물리층 송수신기(132) 및 마이크로컴퓨터(133)를 포함한다.
링크층 송수신기(131)는 송신 데이터 패킷 합성 변조기(1311) 및 송신 버퍼(1312)를 포함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마이크로컴퓨터(133)은 CPU, ROM 및 RAM을 포함하고, 링크층 송수신기(131)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링크층 송수신기(131)는 또한 송신 카운터(1331) 및 총합 산출부(1332)의 기능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DVD(100)로부터 판독된 디지털 데이터는 디코더(12)에 의해서 DVD-Audio 규격의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DVD-Audio 데이터) 및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로 디멀티플렉스된다. DVD-Audio 규격의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I/F부(13)의 링크층 송수신기(131)의 변조기(1311)에 공급된다.
변조기(1311)는, 마이크로컴퓨터(133)의 제어하에, 위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를 AM824Data 포맷으로 변환하여 그 결과인 데이터에 라벨 또는 서브라벨 부가를 수행한다. 디지털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변조기(1311)는 도 3에 도시된 포맷의 송신 데이터 세트(패킷)을 형성하고, 이 송신 데이터 세트를 송신 버퍼(1312), 물리층 송수신기(132) 및 디지털 입출력 단자(14)를 통해 디지털 버스(2)로 송출하여, 오디오 증폭기(3)에 송신한다.
한편, 디코더(12)에 의해 디멀티플렉스된 부수 데이터인 DMCT 데이터는 디지털 I/F부(13)의 마이크로컴퓨터(133)에 공급된다. 마이크로컴퓨터(133)는 공급된 DMCT 데이터를 변조기(1311)에 공급하고, 도 5에 도시된 AM824Data 포맷의 송신 데이터 세트(패킷)을 형성하도록 변조기(1311)를 제어한다.
특히, 변조기(1311)는 마이크로컴퓨터(133)로부터의 DMCT 데이터를 각각 2 바이트씩 분할하여 도 5에 도시된 포맷의 송신 데이터 세트를 형성한다. 여기서, 대응 송신 데이터 단위가 DVD-Audio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라벨 뿐만 아니라, 대응 송신 데이터 세트가 스타트 데이터 또는 후속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각각의 송신 데이터 세트에 부가된다.
변조기(1311)에 의해 형성된 DMCT 데이터의 송신용 송신 데이터 세트 각각은 송신 버퍼(1312), 물리층 송수신기(132) 및 디지털 입출력 단자(14)를 통해 디지털 버스(2)로 송출되고, 오디오 데이터와 유사하게 오디오 증폭기(3)로 송신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컴퓨터(133)는, 변조기(131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DMCT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32 비트 송신 데이터의 송신 횟수를, 예를 들어 레지스터로 구현되는 송신 카운터(1331)를 사용하여 카운트하고, 총합 산출부(1332)의 기능을 사용하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133)의 RAM 자체를 작업 영역으로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DMCT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한다. 총합 산출에서, 예를 들어, DMCT 데이터는 1 바이트 단위로 가산되어 DMCT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한다.
이 경우, 송신 데이터의 카운팅은, 서브라벨이 스타트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가 송신되는 경우 카운트 값이 초기화되고, 그 후에는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가 송신될 때마다 카운트 값이 1씩 증가되도록 수행된다. 그리고,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들의 카운트 값이 143이 되고 288 바이트의 모든 DMCT 데이터가 송신된 것을 판정되면, 마이크로컴퓨터(133)은 테이블 패리티 및 DMCT 데이터의 총합의 하위 15 비트 정보를 포함하는 종료 데이터를 형성하도록 변조기(1311)를 제어한다.
변조기(1311)는, 라벨, 데이터가 종료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 1 비 트의 테이블 패리티 및 DMCT 데이터의 총합의 하위 15 비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종료 데이터를 형성하고, 송신 버퍼(1312), 물리층 송수신기(132) 및 디지털 입출력 단자(14)를 통해 디지털 버스(2)로 종료 데이터를 송출하여, 종료 데이터는 오디오 증폭기(3)로 송출된다.
디지털 I/F부(13)의 링크층 송수신기(131)는, 데이터량이 많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분할하기 위한 분할 수단으로서의 기능, 및 라벨 또는 서브라벨을 부가하여 32 비트 데이터 길이의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는 정보 부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링크층 송수신기(131) 및 마이크로컴퓨터(133)는 상호 협동하여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현한다.
여기서,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는, DVD-Audio 데이터에 대한 디코더(12)로부터 디지털 I/F부(13)의 마이크로컴퓨터(133)를 통해 링크층 송수신기(131)로 공급되지만, 부수 데이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는 DVD-Audio 데이터에 대한 디코더(12)로부터 디지털 I/F부(13)의 변조기(1311)로 직접 공급되어 변조기(1311)에 의해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제, 디지털 데이터의 수신측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를 설명한다. 도 10은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를 도시하는 것으로, 특히 디지털 I/F부(32)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는 물리층 송수신기(321), 링크층 송수신기(322) 및 마이크로컴퓨터(323)를 포함한다.
링크층 송수신기(322)는 수신 버퍼(3221) 및 수신 데이터 패킷 합성 변조기(3222)를 포함한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마이크로컴퓨터(323)는 CPU, ROM 및 RAM을 포함하고, 링크층 송수신기(322)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수신 카운터(3231)과 총합 산출부(3232)의 기능도 구비한다.
디지털 버스(2)와 디지털 입출력 단자(31)를 통해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는 디지털 I/F부(32)의 물리층 송수신기(321)에 입력 및 수신되고, 링크층 송수신기(322)의 수신 버퍼(3221)를 통해 변조기(3222)에 공급된다.
변조기(3222)는,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의 라벨을 참조하여, 라벨이 대응 데이터가 DVD-Audio 규격의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임을 나타내면, 라벨 다음의 24 비트의 선현 PCM 오디오 데이터를 이하 단계에서 음성 신호 처리부(33)로 공급한다.
한편,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의 라벨이 대응 데이터가 부수 데이터임을 나타내면, 변조기(3222)는 디지털 데이터를 마이크로컴퓨터(323)에 공급한다. 마이크로컴퓨터(323)는 공급된 수신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의 서브라벨을 참조하여 데이터 세트의 부수 데이터가 어떠한 것인지를 식별한다.
데이터 세트의 대응 부수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서브라벨이 나타내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DMCT 데이터의 선두 데이터로서 이미 치환된 선두 데이터를 현재 사이클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의 LSB측에 2 바이트의 데이터 세트의 부수 데이터로 치환한다. 한편, 데이터 세트의 대응 부수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후속 데이터 세트의 데이터임을 서브라벨이 나타내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지금까지 수신되었던 DMCT 데이터들 중 최종 데이터 다음에 현재 사이클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의 LSB측의 2 바이트의 데이터 세트의 DMCT 데이터를 기입한다(위치시킨다).
이러한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323)의 RAM이 작업 영역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323)가 DMCT 데이터의 선두 데이터 치환을 수행하면,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323)의 레지스터로부터 형성되는 수신 카운터(3231)의 값을 "0"으로 리셋하고, 그 후 수신 카운터가 DMCT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의 송신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할 때마다 수신 카운터 값을 "1"씩 증가시킨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자체의 RAM을 작업 영역으로 사용하여, 총합 산출부(3232)의 기능을 이용해서 수신 데이터의 DMCT 데이터 부분들의 총합을 산출한다. 총합 산출에 있어서는,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부(13)의 마이크로컴퓨터(133)의 총합 산출부(1332)에 의해 수행되는 총합 산출에서와 유사하게, 예를 들어, 1 바이트 단위로 수신되는 DMCT 데이터가 계속 가산되어 수신된 DMCT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한다.
마이크로컴퓨터(323)의 수신 카운터(3231)가, 대응 데이터가 최초 단위의 DMCT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부가되는 데이터 단위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 후에 DMCT 데이터의 총 143 데이터 단위의 송신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면, 모든 DMCT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대응 데이터가 최초 데이터 단위의 DMCT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부가되는 데이터 단위의 송신 데이터로부터 이러한 카운팅을 개시하고, 종료 데이터까지의 카운트 값이 145가 되면 모든 DMCT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방법으로는, 최초 DMCT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부가되는 데이터 단위의 송신 데이터로부터 이러한 카운팅을 시작하고, 종료 데이터가 수신되기 직전 카운트 값이 145가 되면 모든 DMCT 데이터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종료 데이터에 포함되어 송신된 DMCT 데이터의 총합을 마이크로컴퓨터(323)의 총합 산출부(3232)에 의해 산출된 수신 DMCT 데이터의 총합과 비교한다. 총합이 상호 일치하면, 모든 DMCT 데이터가 누락없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323)의 수신 카운터(3231)의 카운트 값이 종료 데이터가 수신되기 이전에 결정된 값을 나타내지 않거나 또는 종료 데이터에 포함된 DMCT 데이터의 총합과 수신된 DMCT 데이터의 총합이 상호 다르면, DMCT 데이터가 정확하게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DMCT 데이터의 송수신이 다시 수행된다. 이는 DMCT 데이터의 신속하고 정확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이크로컴퓨터(323)에 의해 복원된 288 바이트의 DMCT 데이터는 마이크로컴퓨터(323)에서 오디오 증폭기(3)의 제어부(35)로 공급된다. 제어부(35)는 공급된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2개의 좌우 채널들의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DVD-Audio 규격에 따라 다운 믹스 처리를 수행하 도록 음성 신호 처리부(33)를 제어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33)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좌우 채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용 출력 단자 34L 및 34R을 통해서 이에 대응하는 음성이 방출되는 스피커 4L 및 4R에 각각에 공급된다.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는 수신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링크층 송수신기(322)와 디지털 I/F부(32)의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상호 협동하여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에 대한 복원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수신 데이터를 카운트하기 위한 수신 데이터 카운팅 수단으로서의 기능 및 수신된 DMCT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기 위한 총합 산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DMCT 데이터 등의 부수 데이터가 디지털 I/F부(32)의 마이크로컴퓨터(323)에서 이하 단계의 제어부(35)로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될 필요는 없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부수 데이터는 링크층 송수신기(322)의 변조기(3222)에서 이하 단계의 회로에 직접 공급되어도 좋다.
이러한 방식으로,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부(13)의 링크층 송수신기(131)의 변조기(1311)는 주로 송신될 비교적 긴 데이터를 동일한 사이즈인 송신 데이터 단위로 분할하고 송신 데이터 단위 각각에 라벨 및 서브라벨을 부가하여 송신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의 복조기(3222) 및 마이크로컴퓨터(323)은 주로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되어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10에 도시된 디지털 I/F부(32)에서, 복조기(3222)로부터의 DMCT 등의 부수 데이터는 디티절 I/F부(32)의 마이크로컴퓨터(323)에 공급되어 복원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부수 데이터가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 및 복원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신 데이터 단위의 부수 데이터는 마이크로컴퓨터(323)를 통해 예를 들어 이하 단계의 제어부(35) 또는 음성 신호 처리부(33)에 공급되어, 제어부(35) 또는 음성 신호 처리부(33)에 의해 복원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수신된 부수 데이터가 링크층 송수신기(322)의 복조기(3222)에서 이하 단계의 제어보(35)로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DVD-Audio 규격의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DVD 플레이어(1)의 디지털 I/F부(13)을 설명하기 위해, 도 9를 참조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한 기능만을 설명하였다. 역으로, DVD-Audio 규격의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를 설명하기 위해, 도 10을 참조하여 데이터 수신의 기능만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DVD 플레이어(1)와 오디오 증폭기(3)는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본래 쌍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DVD 플레이어(1) 뿐만 아니라 오디오 증폭기(3)도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도 9 및 10에 각각 도시된 송신 장치로서의 기능 및 수신 장치로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제, 상술된 송수신 시스템에서 DVD 플레이어(1)에 의핸 DMCT 데이터의 송신 처리 및 오디오 증포기(3)에 의한 DMCT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설명된다.
먼저, DVD 플레이어(1)에서 DMCT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의 처리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1은 DVD 플레이어(1)에서 DMCT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디지털 I/F부(13)의 처리를 도시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링크층 송수신기(131)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33)의 처리를 주로 도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DVD-Audio 데이터에 대한 DMCT 데이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133)를 통해 디코더(12)에서 링크층 송수신기(131)의 변조기(1311)로 공급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컴퓨터(133)는 송신 데이터가 스타트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로서의 정보가 포함되는 송신 데이터의 세트를 형성하도록 변조기(1311)를 제어하고, 송신 카운터(1331)의 카운트 값 Sn을 "0"으로 초기화한다(단계 S101).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133)는 변조기(1311)를 제어하여 단계 S101에서 형성된 DMCT 데이터의 최초 단위를 송신하기 위해 송신 데이터 세트를 형성 및 송신한다(단계 S102).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133)는 변조기(1311)를 제어하여 송신 데이터가 후속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서브라벨로서 포함된 송신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고, 송신 카운터(1331)의 카운트 값 Sn을 1 증가시킨다(단계 S103).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133)는 송신 카운터(1331)의 카운트 값 Sn이 143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5). 카운트 값 Sn이 143 미만이라고 마이크로컴퓨터(133)가 판정하면, 단계 S103에서 시작하는 단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송신 카운터(1331)의 카운트 값 Sn이 143 이상이라고 마이크로컴퓨터(133)가 판정하면, DMCT 종료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어하고(단계 S106)나서, DMCT 데이터를 다 시 반복하여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7).
단계 S107에서 DMCT 데이터를 다시 반복하여 송신할 필요가 있다고 마이크로컴퓨터(133)가 판정하면, 단계 S101에서 시작하는 단계의 처리를 반복하여 DMCT 데이터를 처음부터 다시 송신한다. 한편, 단계 S107에서 DMCT 데이터를 다시 반복하여 송신할 필요가 없다고 마이크로컴퓨터(133)가 판정하면, 도 11에 도시된 DMCT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종료한다.
이제, DMCT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오디오 증폭기(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2는 오디오 증폭기(3)가 DMCT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디지털 I/F부(32)의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링크층 송수신기(322)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323)의 처리를 주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처리는 관련 DMCT 데이터가 포함되는 송신 데이터 세트를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가 수신하는 경우에 실행된다. 먼저, 마이크로컴퓨터(323)는 링크층 송수신기(322)의 변조기(3222)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 세트를 확인하고(단계 S201), 수신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인지를 나타내는 서브라벨(스타트 데이터 서브라벨)이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2).
단계 S202에서, 수신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최초 단위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처음부터 다시 송신되는 DMCT 데이터를 기다린다.
한편, 단계 S202에서, 수신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최초 단위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었다고 판정되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수신 데이터 세트에 포함된 DMCT 데이터로 선두 DMCT 데이터를 치환하고, 수신 카운터(3231)의 카운트 값 Rn을 "0"으로 초기화한다(단계 S203).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323)는 후속하여 수신되는 데이터 세트의 수신 데이터를 확인하고(단계 S204), 수신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후속 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서브라벨(후속 데이터 서브라벨)이 수신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5). 수신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후속 데이터 세트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수신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단계 S202에서 시작하는 단계의 처리를 반복하는데, 여기서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수신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최초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수신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단계 S205에서, 수신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수신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었다고 판정되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수신 데이터 단위에 포함된 DMCT 데이터를 지금끼지 수신된 DMCT 데이터 단위의 최종 데이터 단위 다음에 기입하고, 수신 카운터(3231)의 카운트 값 Rn을 1 증가시킨다(단계 S206).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수신 카운터(3231)의 카운트 값 Rn이 143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7). 카운트 값이 143 미만이라고 마이크로컴퓨터(323)가 판정하면, 단계 S204에서 시작하는 단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S207에서, 수신 카운터(3231)의 카운트 값 Rn이 143 미만이 아니라고, 즉 143 이상이라고 마이크로컴퓨터(323)가 판정하면, 144 단위의 모든 DMCT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판정하고 후속하여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를 확인한다(단계 S208).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323)는 단계 S208에서 확인된 수신 데이터가 DMCT 종료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9). 수신 데이터가 DMCT 종료 데이터라고 마이크로컴퓨터(323)가 판정하면, 도 12에 도시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수신 데이터가 DMCT 종료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단계 S202에서 시작하는 단계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12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선두 단위의 데이터가 스타트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이 부가되는 DMCT 데이터의 선두 단위의 송신 데이터로부터 145번째 데이터 세트에 수신되는 종료 데이터에 포함된 DMCT 데이터의 총합을 사용하여, 송신될 모든 DMCT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모든 DMCT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DVD 플레이어(1)에 DMCT 데이터를 다시 송신할 것을 요청한다. DVD 플레이어(1)는 위 요청을 충족시키도록 상술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간격 후에 동일 DMCT 데이터를 반복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DMCT 데이터의 송신이 동일한 이유로 송신측에서 다시 수행되지 않고, 수신측은 소정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에도 DMCT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면, 예를 들어, 주 데이터인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더라도, 수신측은 재생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그 음성 출력을 묵음 처리(mute)하여 비정상적인 음성이나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한다. 또한, 필요하면, 수신 장치측의 표시부상에 에러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이러한 에러의 발생은 필요하다면 송신측에도 보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DMCT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경우, 대응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과 대응 데이터가 DMCT 데이터의 후속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서브라벨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2개의 서브라벨들이 사용되고, 송신 데이터 단위의 수가 송신측 장치에서 카운트되는 한편, 수신 데이터 단위의 수가 수신측 장치에서 카운트된다. 결과적으로, 288 바이트의 DMCT 데이터가 복잡한 처리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송수신될 수 있다.
특히, 분할되어 송신되는 DMCT 데이터가 순서화되지 않더라도, 최초 데이터 단위와 후속 데이터 단위들이 상호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으므로, 수신측 장치는, 최초 데이터 단위(선두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확실히 검출된 이후에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는 데이터 단위들의 모든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DMCT 데이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고, 이렇게 복원된 DMCT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DMCT 데이터의 송신 품질이 확보될 수 있고,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의 설계에 따른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DMCT 데이터의 송신이 잠시 중단되고 나서 송신이 재개되는 경우, 수신측 장치는, 중단 시점의 상태에서 송신이 재개될지 또는 DMCT 데이터가 처 음부터 다시 재송신될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이러한 판정에 기초하여 적합한 대책을 취할 수 있다.
특히, DMCT 데이터의 송신이 잠시 중단되는 경우, 이하의 2가지 중단 상태가 상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태는, 예를 들어 IEEE 1394 규격의 버스 리세팅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중단이 초래되었기 때문에, 중단 이전의 DMCT 데이터의 정보 및 카운트 값의 조건들 등이 송신측 및 수신측 어디에서도 손실되지 않고 DMCT 데이터의 수신이 즉시 재개될 수 있는 상태이다. 제2 상태는, 예를 들어 송신측 또는 수신측의 비정상 상태에 의해 중단이 초래되었기 때문에, 상술된 정보나 조건들이 송신측 또는 수신측이나 이들 양자 모두에서 손실될 수 있어, 수신측이 DMCT 데이터의 수신을 처음부터 다시 수행할 필요가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DMCT 데이터의 송신이 중단되고, 수신된 DMCT 데이터가 수신측 장치, 즉 송수신 장치에서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의 마이크로컴퓨터(323)에 남아있으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이것이 상술된 제1 상태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DVD 플레이어(1)에서 송신되는 DMCT 데이터를 수신 카운터에 의해 나타나는 카운트 값의 다음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DMCT 데이터로 판정하여 수신을 재개한다. 그리고, DMCT 데이터의 송신 종료를 나타내는 서브라벨을 갖는 데이터 세트가 수신되는 시점에, DMCT 데이터의 수신된 데이터 단위의 수 및 수신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일치하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모든 DMCT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13에 도시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신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n-1인 경우 DMCT 데이터의 송신이 중단되는 경우, 선두 데이터에서 (n-1)번째 데이터까지의 수신 데이터가 마이크로컴퓨터(323)에 남아있으면, DMCT 데이터의 n번째 데이터에서부터 송수신 처리가 재개된다.
따라서, 송수신 처리가 n번째 DMCT 데이터에서부터 재개되면, DMCT 데이터의 선두 데이터 단위(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로 시작하고 DMCT 데이터의 말미 데이터 단위(DMCT 데이터의 144번째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로 종료하는 모든 DMCT 데이터가 수신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DMCT 데이터의 송신이 중단되고, 수신된 DMCT 데이터 또는 수신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수신측 장치, 즉 송수신 장치에서 오디오 증폭기(3)의 디지털 I/F부(32)의 마이크로컴퓨터(323)에 남아있지 않거나, 또는 DMCT 데이터의 데이터 단위 수와 수신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상호 일치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323)는 이것이 상술된 제2 상태에 대응한다고 판정하고, DVD 플레이어(1)에서 처음부터 다시 DMCT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14에 도시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수신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n-1일 때 DMCT 데이터의 송신이 중단되는 경우, DMCT 데이터 또는 수신 카운트의 카운트 값이 정상적으로 남아있지 않으면, 송수신 처리는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에서 시작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DMCT 데이터의 송수신 처리는 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에서 시작하여 재개된다. 결과적으로, DMCT 데이터의 선두 데이터 단위(DMCT 데이터의 최초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에서 시작하고 DMCT 데이터의 말미 데이터 단위(DMCT 데이터의 144번째 데이터 단위)에서 종료하는 모든 DMCT 데이터는 송신측 장치로부터 다시 제공되는 것들을 수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동기 통신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며 DMCT 데이터의 분할된 데이터 단위들에 순서화를 위한 서로 다른 데이터를 부가하지 않고도 모든 DMCT 데이터가 정확하기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되오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데이터 세트)의 데이터 길이는 사전에 결정되고, 디지털 데이터가 분할되어 송신될 횟수도 사전에 알려지기 때문에, 수신된 데이터 세트를 카운팅함으로써, 수신측 장치는 DMCT 데이터의 송신 경과를 관리할 수 있고, 모든 DMCT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포착할 수 있다.
또한, DMCT 데이터의 최후 분할 데이터(최후 데이터 세트) 직후에 종료 데이터가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측 장치는 종료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든 DMCT 데이터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종료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DMCT 데이터의 총합과 수신 DMCT 데이터의 총합을 사용하여 모든 DMCT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술된 송수신 시스템은 주 정보 데이터로서 DVD-Audio 규격의 선형 PCM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하고, 분할되어 송신되지만 누락이 허용되지 않는 부수 데이터로서 다운 믹스 처리용 DMCT 데이터를 사용하였지만, 주 정보 데이터 및 부수 데이터가 상술된 특정 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특히, 주 정보 데이터는 다양한 규격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부수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 복제 제어용 복제 제어 정보 또는 저작권 소유자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저작권 정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송신 처리 동안에 실시간으로 분할되어 송신되지만 누락을 용인(허락)하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부수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송수신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기기들간의 접속을 위한 디지털 버스로서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를 사용한다. 그러나, 디지털 버스가 이러한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양한 다른 디지털 버스가 사용되는 곳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IEEE 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와는 다른 고속 디지털 버스를 사용하고 분할 송신 데이터 단위를 그에 부가된 라벨로 식별하는 송수신 시스템에서 복수회 분할되어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간략히, IEEE1394 규격의 디지털 버스의 등시성 통신 시스템에서와 같이, 송신측 및 수신측간에서 통신의 핸드-쉐이킹(hand-shaking)을 프로토콜 자체가 허용되지 않고 데이터가 일방 통로로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송신측과 수신측간의 상태 동기화를 수립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책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된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로서 DVD 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수신 장치로서 오디오 증폭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가 상술된 특정 장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는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는 퍼스널 컴퓨터 및 디지털 데이터용 다양한 재생 장치에 적 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는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는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데이터 출력 장치, 재생 장치 또는 기록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분할되어 송신되지만 누락이 허용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다양한 송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되어 송신되지만 누락이 허용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다양한 수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송수신 시스템에서,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DVD 플레이어(1)와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오디오 증폭기(3)는 상호 유선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이 상호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의 목적상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이하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변경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간에서, 송수신의 확인을 행하지 않고도, 디지털 데이터를 복수회 분할하여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중에 어떠한 사정으로 송신이 중단된 경우에 있어서, 송신 상태가 회복된 후에, 수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를 그 각각에 이어서 연속 갱신할 수 있고, 최초 데이터의 송신을 고치지 않으면 안될까라고 하는 송신 기기가 기대하는 2개의 선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좋을까 하는 것을 상위의 프 로토콜의 개재없이 수신측이 판정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최후 분할 데이터 직후에 분할되어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수신 장치에서, 복수의 분할 데이터로 분할된 디지털 데이터를 최후까지 수신하였는지 여부가 확실히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종료 데이터에 송신 대상이었던 디지털 데이터의 총합을 포함하여 송신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송신된 분할 데이터의 총합과 수신한 분할 데이터의 총합을 수신 장치에서 비교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분할 데이터 모두가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신속하고 간단하게 판정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분할 데이터의 수를 관리하도록 하여, 분할 데이터의 수신 과정을 정확하게 관히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송신된 분할 데이터의 전부를 누락없이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 복제 방지 제어 데이터, 저작권 데이터, 주 정보 데이터를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대응하여 재생하도록 하기 위한 부수 데이터 등을, 실시간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누락이 용인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그 전부를 신속하게 정확하게 송신하도록 할 수 있고,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부하를 증대키지 않는다.

Claims (27)

  1.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고 누락이 용인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 개수의 동일한 사이즈인 데이터 단위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분할로 얻은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 중, 최초로 송신될 데이터 단위에는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가 최초의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최초의 송신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연속적으로 송신될 각 송신 데이터 단위에는 상기 각 송신 데이터 단위가 후속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정보 부가 수단, 및
    상기 정보 부가 수단에 의해 정보가 부가된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신된 상기 데이터 단위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단위 중,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상기 데이터 단위는 선두 데이터로서 위치시키고, 상기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수신되고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는 각 데이터 단위는 그 때까지 수신된 데이터 단위 중 최종 데이터 단위의 다음 의 후속 데이터로서 위치시키는 복원 수단
    을 구비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로서 송신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데이터를 형성하는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송신될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 중 최종 데이터 단위가 송신된 직후에, 상기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으로부터의 종료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단위 중 어떤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종료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상기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 는 송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은, 상기 송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총합을 포함하는 종료 데이터를 형성하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는 수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 및
    상기 수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수신 데이터의 총합을, 종료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의 총합과 비교하여, 상기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 전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는 소정 개수의 데이터 단위로 분할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 및 상기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인 송수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가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송신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주 정보 데이터에 대한 복제 제어 정보나 저작권 정보, 또는 상기 수신 장치가 주 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이나 규격에 따라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부수(ancillary) 데이터인 송수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가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 사이에서 송신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의 채널 수 및 소정의 방식이나 규격에 따라서, 상기 주 정보 데이터로서의 멀티-채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부수 데이터인 송수신 시스템.
  8.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고 누락이 용인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 개수의 동일한 사이즈인 데이터 단위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분할로 얻은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 중, 최초로 송신될 데이터 단위에는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가 최초의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최초의 송신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연속적으로 송신될 각 송신 데이터 단위에는 상기 각 송신 데이터 단위가 후속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정보 부가 수단; 및
    상기 정보 부가 수단에 의해 정보가 부가된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로서 송신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데이터를 형성하는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송신될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 중 최종 데이터 단위가 송신된 직후에, 상기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으로부터의 종료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상기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는 송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료 데이터 형성 수단은, 상기 송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총합을 포함하는 종료 데이터를 형성하는 송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인 송신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주 정보 데이터에 대한 복제 제어 정보나 저작권 정보, 또는 수신 장치가 주 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이나 규격에 따라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부수 데이터인 송신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수신 장치가 멀티-채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의 채널 수 및 소정의 방식이나 규격에 따라서 상기 주 정보 데이터로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부수 데이터인 송신 장치.
  14.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고 누락이 허용되지 않으며, 소정 개수의 동일한 사이즈인 데이터 단위로 분할되고, 상기 데이터 단위 중 최초로 송신되는 데이터 단위에는 상기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고, 상기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각 데이터 단위에는 상기 각 데이터 단위가 상기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는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며 연속적으로 실시간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송신된 상기 데이터 단위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단위 중,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상기 데이터 단위는 선두 데이터로서 위치시키고, 상기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수신되고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는 상기 각 데이터 단위는 그 때까지 수신된 데이터 단위 중 최종 데이터 단위 다음의 후속 데이터로서 위치시키는 복원 수단
    을 포함하는 수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송신될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단위 중 최종 데이터 단위가 송신된 직후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데이터가 송신되고,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단위 중 어떤 데이터 단위의 데 이터가 종료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데이터는 송신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의 총합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는 수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 및
    상기 수신 데이터 총합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수신 데이터의 총합을, 종료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의 총합과 비교하여, 상기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 전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는 소정 개수의 데이터 단위로 분할되고,
    상기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 및 상기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인 수신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주 정보 데이터에 대한 복제 제어 정보나 저작권 정보, 또는 상기 수신 장치가 주 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이나 규격에 따라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부수 데이터인 수신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수신 장치가 멀티-채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의 채널 수 및 소정 방식이나 규격에 따라서 상기 주 정보 데이터로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부수 데이터인 수신 장치.
  21. 복수회 분할되어 송신되고 누락이 용인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 개수의 동일한 사이즈로 분할하는 분할 단계;
    상기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분할 단계에 의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분할로 얻은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 중, 최초로 송신될 데이터 단위에는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가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최초 송신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연속적으로 송신될 각 송신 데이터 단위에는 상기 각 송신 데이터 단위가 후속 송신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정보 부가 단계;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정보 부가 단계에 의해 정보가 부가된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신된 상기 데이터 단위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단위 중,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상기 데이터 단위를 선두 데이터로서 위치시키고, 상기 최초 데이터 단위에 후속하여 수신되고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상기 데이터 단위를, 그 때까지 수신된 데이터 단위 중 최종 데이터 단위 다음의 후속 데이터로서 위치시키는 복원 단계
    를 포함하는 송수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로서 송신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데이터를 형성하는 종료 데이터 형성 단계 - 상기 송신 단계에서는, 송신될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상기 송신 데이터 단위 중 최종 데이터 단위가 송신된 직후에, 상기 종료 데이터 형성 단계에 의해 형성된 종료 데이터를 송신함 -; 및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단위 중 어떤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가 종료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수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분할 단계에 의해 분할된 상기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는 송신 데이터 총합 산출 단계 - 상기 종료 데이터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송신 데이터 총합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총합을 포함하는 종료 데이터를 형성함 -;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의 총합을 산출하는 수신 데이터 총합 산출 단계; 및
    상기 수신 데이터 총합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된 상기 수신 데이터의 총합 을, 상기 종료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 단위의 데이터의 총합과 비교하여, 상기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 전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판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수신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디지털 데이터는 소정 개수의 데이터 단위로 분할되고,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데이터 단위가 최초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 및 상기 데이터 단위가 후속 데이터 단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 단위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송수신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인 송수신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가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송신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주 정보 데이터에 대한 복제 제어 정보나 저작권 정보, 또는 상기 수신 장치가 주 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이나 규격에 따라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부수 데이터인 송수신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인 주 정보 데이터가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 사이에서 송신될 수 있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수신 장치가 멀티-채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의 채널 수 및 소정의 방식이나 규격에 따라서 상기 주 정보 데이터로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부수 데이터인 송수신 방법.
KR1020010062336A 2000-10-10 2001-10-10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100775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08983 2000-10-10
JP2000308983A JP4560934B2 (ja) 2000-10-10 2000-10-10 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825A KR20020028825A (ko) 2002-04-17
KR100775705B1 true KR100775705B1 (ko) 2007-11-09

Family

ID=1878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336A KR100775705B1 (ko) 2000-10-10 2001-10-10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13906B2 (ko)
JP (1) JP4560934B2 (ko)
KR (1) KR100775705B1 (ko)
MY (1) MY1283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3095A (ja) * 2006-12-12 2008-06-26 Ricoh Co Ltd 収集データ収集システム、収集データ収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2175445A3 (en) * 2007-04-17 2010-05-19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75277A1 (en) * 2008-01-09 2009-07-09 Schultz Gary E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malformed packets in a multimedia-content digital transport stre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7975A1 (en) * 2000-02-24 2001-08-30 Hideo Ando Recording, edit, and playback methods of audio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010024447A1 (en) * 2000-03-02 2001-09-27 Pioneer Corporation Audio information reproducing system, audio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audio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US6560651B2 (en) * 1996-09-12 2003-05-06 Audible, Inc. Digital information library and delivery system with logic for generating files targeting a playback device
US6738561B1 (en) * 1997-11-21 2004-05-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cording medium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651B2 (en) * 1996-09-12 2003-05-06 Audible, Inc. Digital information library and delivery system with logic for generating files targeting a playback device
US6738561B1 (en) * 1997-11-21 2004-05-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cording medium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20010017975A1 (en) * 2000-02-24 2001-08-30 Hideo Ando Recording, edit, and playback methods of audio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010024447A1 (en) * 2000-03-02 2001-09-27 Pioneer Corporation Audio information reproducing system, audio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audio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60934B2 (ja) 2010-10-13
MY128399A (en) 2007-01-31
KR20020028825A (ko) 2002-04-17
US20020059061A1 (en) 2002-05-16
US7113906B2 (en) 2006-09-26
JP2002116800A (ja) 200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330B1 (ko) 오디오 송신장치 및 오디오 수신장치
US8837533B2 (en) Transmission system
US7646793B2 (e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system
KR100838900B1 (ko) 재생 시스템과 재생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 방법
JP3697967B2 (ja) オーディオ送信装置及びオーディオ受信装置
JP4337198B2 (ja)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JP3430630B2 (ja) カラオケ演奏用双方向ディジタル通信システム
JP2001250318A (ja) オーディオ送信装置及びオーディオ受信装置
KR100775705B1 (ko)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US7286602B2 (en) Method of data transmission for N-channel digital data in an M-channel block format
JP2000068970A (ja) デジタル情報の伝送方法、エンコード装置、記録媒体及びデコード装置
JP2001086139A (ja) 伝送方法及び伝送装置
EP1487177B1 (en)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JP2009033649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受信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方法、コンテンツデータ受信処理方法
KR101166363B1 (ko) 무선 스피커에서의 동기 보정 장치 및 방법
JP3815817B2 (ja) デジタルデータ伝送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JP4560962B2 (ja) データ伝送装置及びデータ伝送方法
JP2002232375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伝送システム
KR100191314B1 (ko) 멀티채널 오디오신호의 재생장치
JP2003259246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