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541B1 - 외부 앰프 및 잡음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앰프 및 잡음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541B1
KR100672541B1 KR1020050008829A KR20050008829A KR100672541B1 KR 100672541 B1 KR100672541 B1 KR 100672541B1 KR 1020050008829 A KR1020050008829 A KR 1020050008829A KR 20050008829 A KR20050008829 A KR 20050008829A KR 100672541 B1 KR100672541 B1 KR 10067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udio
output
external amplifier
spdi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938A (ko
Inventor
진상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541B1/ko
Priority to US11/341,632 priority patent/US8024056B2/en
Publication of KR2006008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45D8/006Interchangeable ornaments attached to hair holding device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기기와 연결된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의 일예는, 상기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출력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채널 상태 정보는 제2 모드로 설정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오디오 출력 데이터는 제1 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모드는 PCM 모드이고, 제2 모드는 Encoded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출력은 SPDIF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SPDIF 출력의 모드를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 전환할때 외부 앰프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며, 스피커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SPDIF, PCM 모드, Encoded 모드, 외부 앰프

Description

외부 앰프 및 잡음 제거 방법{External amplifier and method of eliminating the noise}
도 1은 SPDIF의 채널 상태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SPDIF의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 전환시 외부 앰프에서의 잡음 발생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PDIF의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의 전환시 외부 앰프에서 잡음 제거를 위한 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및 외부 앰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디지털 수신기 20 : 외부 앰프
21 : SPDIF receiver 23 : 디코딩 모듈
25 : 마이컴 27 : 앰프 외부 출력부
본 발명은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수신기의 SPDIF 출력이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의 모드 전환시 외부 앰프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수신기(DTV/STB(Set Tob Box) 등)에는 디지털 오디오 전송을 위한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이 있다. 상기 출력은 외부 앰프 기기에 연결되어 재생된다.
상기 외부 앰프에서 오디오를 재생할 경우 상기 디지털 수신기에서 출력되는 소리보다 고음질, 다채널, 다양한 음장 효과, 더 높은 출력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보다 실감나게 디지털 방송을 즐길 수 있다.
현재 디지털 수신기는 디지털 방송뿐 아니라 아날로그 방송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경우는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디지털 외부 기기로부터 SPDIF 입력을 받아 이것을 디코딩하고 SPDIF로 출력시키기도 하며, VCR(Video Cassette Recorder)과 같은 아날로그 외부 기기로부터 아날로그 L/R 신호를 받아들여 이것을 PCM(Pulse Code Modulation) 모드의 SPDIF로 출력시키기도 한다.
상기 SPDIF의 출력 모드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수신기의 오디오 메뉴에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거나, 혹은 방송 또는 외부 입력의 소스에 따라 디지털 수신기가 자동으로 출력 모드를 바꾸기도 한다.
이때,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경우 전송되는 오디오는 Encoded 오디오 스트림이다. 상기 Encoded 오디오 스트림에는 AC3, AAC(Advanced Audio Coding),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 다양하다. 현재 국내, 북미 디지 털 방송의 경우 오디오는 AC3가 표준이다.
이러한 디지털 오디오 환경에서 사용자는 상기 SPDIF 출력을 Encoded 모드 혹은 PCM 모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Encoded 모드의 SPDIF 출력을 디코딩 할 수 있는 앰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다채널, 고음질을 즐기기 위해 Encoded 모드의 SPDIF 출력을 선택하게 된다.
반면, Encoded 모드의 SPDIF을 디코딩 할 수 없는 앰프를 가지고 있거나, 혹은 L/R 2 채널의 오디오를 받아서 특정 음장 효과를 내는 앰프를 가지고 있을 경우 사용자는 PCM 모드의 SPDIF 출력을 선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DVD와 같은 외부 디지털 기기의 입력을 받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SPDIF 출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아날로그 방송을 보거나, 혹은 아날로그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시청할 경우 SPDIF 출력은 아날로그 L/R을 A/D 변환하여 PCM 모드의 SPDIF로 출력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SPDIF 출력 모드를 Encoded 모드로 선택하여도 디지털 수신기에서 자동적으로 PCM 모드로 출력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시청시 오디오 메뉴에서 SPDIF 모드를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 변경하거나, 혹은 아날로그 채널에서 디지털 채널로의 채널 전환, 아날로그 채널에서 디지털 외부 기기로의 소스 전환, 외부 아날로그 기기에서 디지털 방송으로의 소스 전환, 외부 아날로그 기기에서 외부 디지털 기기로의 소스 전환시 SPDIF 출력의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현재 SPDIF에서 이러한 Encoded 모드와 PCM 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SPDIF의 채널 상태(Channel Status) 정보를 이용한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SPDIF의 채널 상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채널 상태 정보는 외부 앰프에서 SPDIF를 적절하게 디코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byte 0의 첫번째 비트가 SPDIF이 PCM 모드인지 Encoded 모드인지를 나타낸다.
즉, 상기 비트가 0이면 PCM 모드를 나타내며, 상기 비트가 1이면 Encoded 모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비트를 Audio/Non Audio 비트라고도 한다.
따라서, 외부 앰프에서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byte 0의 첫번째 비트를 주기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입력되는 SPDIF 출력이 Encoded 모드인지 PCM 모드인지를 판별하고, 적절한 디코딩을 위해 앰프 내부의 디코더 IC를 세팅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PCM 모드 또는 Encoded 모드가 구분되어 처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의 모드 전환시 상기 외부 앰프에서 잡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SPDIF의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 전환시 외부 앰프에서의 잡음 발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수신기의 SPDIF 출력이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SPDIF 데이터가 PCM에서 Encoded 비트 스트림으로 바뀌는 동시에 채널 상태 정보의 Audio/Non Audio 비트도 PCM 모드('0')에서 Encoded 모드('1')로 바뀐다.
그러나, 외부 앰프에서는 상기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 바뀐 것을 즉시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를 감지하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입력되는 Encoded 비트 스트림의 내용을 가진 SPDIF 입력을 PCM으로 소리를 내게 되어 잡음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2와 같이, 외부 앰프는 보통 100ms 또는 200ms 정도 간격의 모드 변환을 체크하는 체크 타임(T1, T2, T4)을 갖게 되고, 상기 체크 타임 간격 사이에서 모드가 변환되는 경우(T3) 다음의 체크 타임(T4) 까지의 시간 간격 동안 잡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심하게 거슬리는 소리가 출력되며, 급격한 소리의 변화로 스피커에 손상을 주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수신기의 SPDIF 출력의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의 전환시 외부 앰프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기기와 연결된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의 일예는, 상기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출력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채널 상태 정보는 제2 모드로 설정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오디오 출력 데이터는 제1 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모드는 PCM 모드이고, 제2 모드는 Encoded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출력은 SPDIF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 설정 시간은 상기 외부 앰프의 채널 상태 정보 체크 주기보다 긴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 설정 시간은 100ms에서 200ms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는 상기 기 설정 시간동안 채널 상태 정보의 Audio/Non Audio 비트를 Non Audio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계는 상기 기 설정 시간동안 오디오 출력 데이터로 null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는 상기 기 설정 시간 동안 제 2 모드로 오디오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외부 앰프의 일예는, 채널 상태 정보의 모드 정보에 따라 오디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고,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코딩 모듈; 및 상기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출력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채널 상태 정보는 제2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디코딩 모듈로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모드로 입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주기마다 채널 상태 정보의 모드 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디코딩 모듈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모드는 PCM 모드이고, 제2 모드는 Encoded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출력은 SPDIF 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 시간동안 오디오 데이터로 null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 설정 시간은 상기 제어부의 채널 상태 정보 체크 주기보다 긴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전환이 감지되면 채널 상태 정보의 Audio/Non Audio 비트를 Non Audio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SPDIF 출력의 모드를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 전환할때 외부 앰프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며, 스피커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따라 본 발명에서 출원인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한 용어도 임의로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부에서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해함에 있어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 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외부 앰프(External Amplifier)'란 SPDIF 오디오 출력을 갖는 오디오 기기와 연결되어 사용 가능한 오디오 증폭 장치를 통칭하여 사용됨을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PDIF의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의 전환시 외부 앰프에서 잡음 제거를 위한 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SPDIF의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의 전환시 일정 시간 동 안(T1-1에서 T3) SPDIF의 내용은 PCM으로 유지하면서 채널 상태(Channel Status) 정보의 Audio/Non Audio 비트만을 Non Audio로 세팅한다. 즉, SPDIF의 내용은 PCM 이지만, 채널 상태 정보는 Encoded 모드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T1-1에서 T3 까지의 일정 시간은 외부 앰프의 체크 주기가 보통 100ms 에서 200ms인 점을 고려하여 상기 주기보다 조금 긴 시간으로 설정하며, 따라서, 외부 앰프의 종류에 따라 약 100ms에서 200ms 정도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T1-1 시점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PCM에서 Encoded로 바꾸었지만, 외부 앰프는 체크 주기인 시간 T2가 되기 전까지 이를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입력되는 SPDIF 출력을 PCM으로 디코딩하게 되며, 상기 SPDIF 출력 내용은 PCM이므로 앰프는 정상적으로 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시간 T2가 되면 앰프는 채널 상태 정보가 PCM에서 Encoded 모드로 바뀌었음을 감지하고 앰프 내부의 설정을 Encoded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도록 바꾸게 된다.
이때, SPDIF 출력 내용은 PCM 이므로 Encoded 비트 스트림의 신택스(syntax)에 맞지 않게 되어, 상기 입력되는 PCM 데이터는 디코딩되지 않고 버려지며, 따라서 앰프는 아무 소리도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앰프는 유효한 신택스의 Encoded 비트 스트림이 입력될때까지 아무 소리도 출력하지 않는다.
즉, 상기 SPDIF 출력을 PCM 모드로 인식하고 있을때 Encoded 비트 스트림이 입력되면 상기 PCM 모드의 특성상 상기 Encoded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출력함으로써 잡음이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SPDIF 출력을 Encoded 모드로 인식하고 있을 때 PCM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PCM 데이터는 Encoded 비트 스트림의 신택스에 맞지 않으므로 디코딩되지 않게 되어 아무 소리도 출력되지 않는 것이다.(상기 PCM 데이터는 신택스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처럼 묵음 구간이 존재하다가 도 3의 T3 시점에서 유효한 Encoded 비트 스트림이 입력되므로, 이 시점부터 앰프는 Encoded 비트 스트림을 정상적으로 디코딩하게 되며, 따라서 정상적인 소리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디지털 수신기에서 SPDIF의 출력 모드를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 변경할 경우 외부 앰프에서 발생하는 잡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물론, 상기 시간 T2에서 T3 까지는 소리가 나지 않게 되지만, 디지털 수신기의 모드 전환시 묵음(Mute) 시간을 고려하면 짧은 시간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T1-1에서 T3 까지의 시간동안 SPDIF의 출력 내용을 PCM으로 하는 대신 SPDIF Null 데이터로 출력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시간 T2에서 T3 까지의 시간보다 긴 T1-1에서 T3까지의 시간 동안 소리가 나지 않게 되므로 PCM으로 출력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사상이 적용되는 디지털 수신기 및 외부 앰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앰프(20) 내부는 SPDIF 수신기(21)와, 디 코딩 모듈(23), 앰프 출력부(25) 및 마이컴(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외부 앰프(20)의 동작 관계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수신기(10)의 SPDIF 출력은 상기 SPDIF 수신기(21)로 입력된다. 상기 SPDIF 수신기(21)에서는 상기 SPDIF 출력 신호가 갖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us Information)를 추출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상기 디코딩 모듈(23)로 출력한다.
이때, 마이컴(27)은 상기 추출된 채널 상태 정보를 주기적(100ms∼200ms)으로 체크하여, PCM 모드인지 Encoded 모드인지 판단하여 이를 디코딩 모듈(23)로 전달한다.
상기 디코딩 모듈(23)에서는 상기 판단된 모드 정보에 따라 디코더 IC를 세팅하여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아날로그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신호는 앰프 출력부(25)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음향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시키는 동안, 상기 디지털 수신기(10)의 SPDIF 출력 모드가 PCM에서 Encoded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수신기(10)는 상기 SPDIF 출력을 Encoded 모드로 전환하기전 기설정 시간동안(약 200ms)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Audio/Non Audio 비트를 Non Audio로 설정하여 출력한다. 이는 상기 디지털 수신기(10) 내부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 된다.
이처럼, SPDIF 출력 내용이 PCM 이면서 채널 상태 정보의 Audio/Non Audio 비트가 Non Audio로 되면, 상기 외부 앰프(20) 내부 마이컴(27)이 상기 Audio/Non Audio 비트가 바뀐것을 감지하기 전까지는 PCM 내용의 SPDIF을 PCM으로 디코딩하게 된다. 이 경우 정상적인 소리가 출력된다.
상기 마이컴(27)이 Audio/Non Audio 비트가 바뀐 것을 감지한 이후에는 디코딩 모듈(23)을 통해 내용이 PCM인 SPDIF을 Encoded 비트 스트림 모드로 전환하여 디코딩을 시도한다. 이때 PCM 데이터는 Encoded 비트 스트림 규격에 맞지 않으므로 에러 처리를 하여 잡음이 발생되지 않고 묵음 상태가 된다.
이후, 디지털 수신기(10)가 SPDIF의 내용이 Encoded 비트 스트림으로 바뀐 스트림을 정상적으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외부 앰프(20)는 상기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정상적인 소리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은 디지털 수신기에 국한되지 않고, SPDIF 출력을 갖는 모든 오디오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앰프 내부적으로 SPDIF 출력을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은 SPDIF 출력 의 모드를 PCM 모드에서 Encoded 모드로 전환할때 외부 앰프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며, 스피커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오디오 기기와 연결된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출력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채널 상태 정보는 제2 모드로 설정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오디오 출력 데이터는 제1 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PCM 모드이고, 제2 모드는 Encoded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출력은 SPDIF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 시간은 상기 외부 앰프의 채널 상태 정보 체크 주기보다 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 시간은 100ms에서 200ms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상기 기 설정 시간 동안 채널 상태 정보의 Audio/Non Audio 비트를 Non Audio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상기 기 설정 시간 동안 오디오 출력 데이터로 null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상기 기 설정 시간 동안 제 2 모드로 오디오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의 잡음 제거 방법.
  9. 채널 상태 정보의 모드 정보에 따라 오디오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고,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코딩 모듈; 및
    상기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출력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채널 상태 정보는 제2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디코딩 모듈로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모드로 입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주기마다 채널 상태 정보의 모드 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디코딩 모듈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PCM 모드이고, 제2 모드는 Encoded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출력은 SPDIF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 시간 동안 오디오 데이터로 null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 시간은 상기 제어부의 채널 상태 정보 체크 주기보다 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전환이 감지되면 채널 상태 정보의 Audio/Non Audio 비트를 Non Audio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앰프.
KR1020050008829A 2005-01-31 2005-01-31 외부 앰프 및 잡음 제거 방법 KR10067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829A KR100672541B1 (ko) 2005-01-31 2005-01-31 외부 앰프 및 잡음 제거 방법
US11/341,632 US8024056B2 (en) 2005-01-31 2006-01-30 External amplifier and noise remo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829A KR100672541B1 (ko) 2005-01-31 2005-01-31 외부 앰프 및 잡음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938A KR20060087938A (ko) 2006-08-03
KR100672541B1 true KR100672541B1 (ko) 2007-01-24

Family

ID=3693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829A KR100672541B1 (ko) 2005-01-31 2005-01-31 외부 앰프 및 잡음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24056B2 (ko)
KR (1) KR100672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03B1 (ko) 2008-06-03 2010-07-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7503A1 (en) * 2007-10-15 2009-04-16 Richa Jai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decoded multi-channel digital audio in spdif forma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5998A2 (en) * 1997-06-03 1998-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digital audio signal from a record carrier
WO2000030103A1 (fr) * 1998-11-13 2000-05-25 Sony Corporation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signal audio
EP1087557A3 (en) 1999-09-22 2005-01-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audio data and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he digital audio data
JP3925306B2 (ja) * 2001-07-30 2007-06-06 ヤマハ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03B1 (ko) 2008-06-03 2010-07-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938A (ko) 2006-08-03
US8024056B2 (en) 2011-09-20
US20060193476A1 (en)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6533B2 (en) Televi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6940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digital audio signal from a record carrier
US6275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masking in multi-channel audio signals
JP2008252834A (ja) 音声再生装置
US5400305A (en) Audio-visual informatio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that mutes output audio upon input audio signal interruption
KR100672541B1 (ko) 외부 앰프 및 잡음 제거 방법
JP3550110B2 (ja) 信号処理回路および信号処理方法
US20040174462A1 (en) Method for switching input terminal based on incoming signal format
JP4119083B2 (ja) Pcm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TW200611575A (en) Digital audio/video playback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udio and video playback speed
JP2007287199A (ja) 再生装置
EP2560405A1 (e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JP3794565B2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KR100815580B1 (ko) 오디오신호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및 그방법
KR10065710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광입출력 제어 방법
KR100343708B1 (ko) 티브이씨알의 음성 수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191314B1 (ko) 멀티채널 오디오신호의 재생장치
JP2007184861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KR20070003094A (ko) 홈시어터 시스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20050122408A (ko) 홈씨어터 시스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08339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30079515A (ko) 오디오 디코더의 노이즈 제거 방법
KR19980078110A (ko) 유무선 출력 기능을 갖는 사운드 카드
JP2000311438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KR20060012454A (ko) 홈씨어터 시스템의 오디오 데이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