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186A -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작용이 우수한 인삼 다당체 - Google Patents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작용이 우수한 인삼 다당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186A
KR20010050186A KR1020000049173A KR20000049173A KR20010050186A KR 20010050186 A KR20010050186 A KR 20010050186A KR 1020000049173 A KR1020000049173 A KR 1020000049173A KR 20000049173 A KR20000049173 A KR 20000049173A KR 20010050186 A KR20010050186 A KR 20010050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polysaccharide
ginseng polysaccharide
radiation
polysacchar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1187B1 (ko
Inventor
윤연숙
송지영
배강규
정인성
Original Assignee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filed Critical 장인순
Publication of KR20010050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38Radiosensitizing, i.e.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 agents that enhance the effect of radi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Immu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으로부터 분리한 조혈 촉진 작용, 골수방어작용, 암세포 살해면역세포 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 작용이 우수한 인삼 다당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당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다당체를 이용하는 조혈촉진제, 방사선 부작용억제제, 항암제 부작용억제제, 항암 면역치료제, 암 예방제 및 방사선 민감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당체는 인삼 뿌리 분말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메탄올 불용성 잔사를 음건한 후, 증류수로 추출하여 얻은 수 가용성 분획을 동결건조시키고, 상기 수득물에 에탄올을 가해 40% 에탄올 불용성 분획을 수득한 후 이를 셀룰로오스 투석막으로 투석시켜 다당체를 획득한 후, 세파크릴 S-50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6개의 분획을 얻었으며 이들을 각각 DEAE-셀룰로오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순수히 분리정제한 결과, 1,800,000∼2,200,000, 1,350,000∼1,650,000, 620,000∼780,000, 105,000∼130,000, 23,000∼27,000 및 5,000∼6,000 달톤의 다당체가 각각 11.4∼13.4 : 3.6∼4.2 : 4.5∼5.1 : 0.7∼0.9 : 40.1∼48.1 : 31.0∼37.0 으로 존재하며 글루코피라노오스가 α(1→6)으로 결합한 주사슬에 글루코피라노오스가 α(1→3) 결합한 가지사슬을 가진 구조로 조혈촉진 효과, 골수방어효과, 암 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 효과, 암 예방 효과 및 방사선 민감 효과가 우수한 인삼 다당체이다.

Description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작용이 우수한 인삼 다당체{The hematopoietic, myeloid protecting, antitumor immune cells generating and radiosensitizing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Panax ginseng}
본 발명은 인삼으로부터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작용이 있는 다당체를 분리하여 조혈 촉진제, 골수 방어제, 항암 면역치료제, 암 예방제 및 방사선 민감제로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분리된 인삼 다당체는 전처리 공정 후 물 추출물로부터 40% 에탄올을 이용하여 침전되는 다당체를 셀룰로오스 투석막으로 투석시켜 세파크릴 S-50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DEAE 세파덱스 A-5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순수 정제하였으며, 분자량 1,800,000∼2,200,000, 1,350,000∼1,650,000, 620,000∼780,000, 105,000∼130,000, 23,000∼27,000 및 5,000∼6,000 달톤의 다당체가 각각 11.4∼13.4 : 3.6∼4.2 : 4.5∼5.1 : 0.7∼0.9 : 40.1∼48.1 : 31.0∼37.0 으로 존재하며 글루코피라노오스가 α(1→6)으로 결합한 주사슬에 글루코피라노오스가 α(1→3) 결합한 가지사슬을 가진 다당체로, 한편으로는, 상기 다당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다당체를 이용하는 조혈 촉진제, 방사선 부작용 억제제, 항암제 부작용 억제제, 항암 면역치료제, 암 예방제 및 방사선 민감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인삼으로부터 분리한 다당체의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 작용을 발명하기 이전까지 많은 인삼 분리 다당체들이 보고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다당체들은 다음과 같다.
인삼에서 분리된 다당체 중, 혈당 강하작용이 있는 D-글루코스로 구성된 글리칸의 일종인 파낙산(panaxan ; 참조 ; Konno C. et al., Isolation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panaxan A.B.C.D. and E glycans of Panax ginseng roots, Planta Medica 50 pp434-436, 1984)이 공지되어 있었으며, 또한 갈락투론산,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오스, 만노오스 및 갈락토오스 등으로 구성된 단당류의 혼합물인 항보체 작용이 있는 인삼 다당체(참조; Gao Q., Kiyohara H. et al., Chemical properties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roots and leaves of Panax ginseng, Planta Medica 55 pp9-12, 1989)가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세망내피계의 기능 촉진에 의한 세균감염 저항능 및 항종양능이 있는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로 구성된 인삼 다당체[일본 공개 특허공보 소61-18722호(1986.1.27)]가 개시되어 있으며, 방사선 방어작용 및 암 예방작용이 있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갈락투론산 및 단백질로 구성된 인삼 단백다당체[한국 특허등록 제144,130호(1998. 4.18)]등이 보고된 바 있다.
특히 상기 한국 특허등록 제144,130호에 개시된 발명은 본 발명자들이 발명한 선행 발명으로서, 상기 특허의 인삼 다당체의 추출방법은 본 발명의 추출방법과 일부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특허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글루코오스를 주요 구성당으로 하는 신규 다당체의 발굴 및 이에 의한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작용 등을 추가로 인식 발명한 것이다.
상기의 선행 기술들은 모두 인삼으로부터 다당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문헌이기는 하나, 그 다당체를 구성하는 구성성분의 종류와 비율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해 추출된 다당체와는 상이한 것이고, 그 다당체의 약리활성 효과면에서도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는 없다.
일반적으로,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물질 중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대부분 사포닌계 물질로서 본 발명의 다당체와는 상이한 구조를 지니며, 암세포를 직접 살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아세틸렌계 물질 또한 본 발명의 다당체와는 별개의 성분으로 그 구조상으로 확연히 상이한 것이다.
기타 조혈촉진작용이 있는 물질로는 합성물질인 AS101, 이스트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된 글루칸 등이 있다. 이 중 글루칸은 다당체 구조를 지니나, 미생물로부터 얻어진 것으로서 글루코오스가 β위로 결합되어 있으며 주사슬에 대한 가지사슬의 존재 비율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인삼 다당체와는 상이한 구조의 물질인 것이다.
또한 항암 면역증강제로는 독성을 약화시킨 소의 결핵균인 BCG, Streptococcus pyrogenes Su주에 페니실린 G를 첨가하고 열처리하여 얻은 분말인 OK-432, 표고버섯으로부터 추출된 다당체인 렌티난(Lentinan)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 중 렌티난은 다당체 구조이나, 이 역시 미생물로부터 얻어진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인삼 다당체와는 전혀 상이한 구조의 물질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조혈 촉진제, 방사선 부작용 억제제, 항암제 부작용 억제제, 항암 면역치료제, 암 예방제 및 방사선 민감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인삼으로부터 찾아낼 목적으로, 인삼 뿌리 분말로부터 유효 성분의 분리를 시도한 결과,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 작용이 있는 글루코오스를 주요 구성당으로 하는 인삼 다당체를 인삼으로부터 분리 정제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인삼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당체의 분리 정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인삼 다당체의 부분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각 분획들을 얻은 도면이다.
도 4는 인삼다당체의 가수분해물의 구성당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수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탄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DQF-COSY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HMBC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방사선에 대한 골수방어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생체내 항암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에 의한 싸이토카인 전사 RNA의 발현증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에 의한 암 세포주에서의 질소산화물 생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에 의한 암 세포주에서의 방사선 민감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암 세포주에 대한 생체내 방사선 민감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삼 뿌리 분말 1중량부에 대해 2∼4 중량부의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불용성 잔사를 음건한 후, 3∼5 중량부의 증류수를 가하여 추출하고, 수 가용성 분획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시키고, 상기 수득물에 에탄올을 가하여 40% 에탄올 불용성 분획을 수득한 후 이를 셀룰로오스 투석막으로 투석시켜 다당체를 추출한 다음, 세파크릴 S-50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DEAE 세파덱스 A-5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인삼 다당체들을 순수 정제하였으며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 작용이 우수한 인삼 다당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성분은 당 성분 함량이 98.5% 이상의 중량부를 지닌 것으로, 상기 다당체는 글루코피라노오스가 α(1→6)으로 결합한 주사슬에 글루코피라노오스가 α(1→3) 결합한 가지사슬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분자량이 1,800,000∼2,200,000, 1,350,000∼1,650,000, 620,000∼780,000, 105,000∼130,000, 23,000∼27,000 및 5,000∼6,000 달톤인 다당체가 각각 11.4∼13.4 : 3.6∼4.2 : 4.5∼5.1 : 0.7∼0.9 : 40.1∼48.1 : 31.0∼37.0 으로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인삼 다당체를 조혈 촉진제, 방사선 부작용 억제제, 항암제 부작용 억제제, 항암 면역치료제, 암 예방제 및 방사선 민감제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분리방법과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으로부터 다당체를 분리하기 위해 6년근 백삼(Panax ginseng C. A. Meyer) 1㎏에 3배량의 메탄올을 가하여 메탄올 분획을 추출하고 남은 잔사를 냉암소에서 건조시킨 후 4배량의 증류수로 4℃에서 24시간씩 3회 추출하여 물 가용성 분획을 얻어 동결 건조하였다. 이를 40% 에탄올을 가하여 에탄올 가용성 분획과 불용성 분획으로 나누었다. 40% 에탄올 불용성 분획을 셀룰로오스 투석막을 사용하여 증류수로 투석시킨 후 투석막 안쪽의 분획만을 모아 동결 건조하였으며 이를 세파크릴 S-50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6개의 분획을 얻었으며 이들을 각각 DEAE-셀룰로오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인삼 다당체들을 순수히 분리정제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도 1, 2 및 3 참조).
( 인삼 다당체 중 분획 1(GⅠ)의 구조 분석 )
1) 인삼 다당체의 당 함량 측정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인삼 다당체의 당 함량은 페놀-황산법으로 측정하였다. 0.1㎎/㎖의 농도로 인삼 다당체를 증류수에 용해시킨 용액 20㎕에 5% 페놀용액 30㎕와 진한 황산 0.2㎖를 가하고 진탕한 후, 60℃에서 20분간 반응시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품으로는 글루코오스를 사용하여 표준용량곡선을 작성하였다. 인삼 다당체의 당 함량은 98.5%이상 이였다.
2) 인삼 다당체의 단백질 함량 측정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인삼 다당체의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포드법을 기본으로 제품화된 단백질 함량 측정 키트(Protein Assay Kit, Bio-Rad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소의 혈청 알부민을 표준품으로 하여 표준용량곡선을 작성하였으며 인삼 다당체의 단백질 함량은 1.0% 미만 이였다.
3) 실리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인삼 다당체의 구성당 분석
인삼 다당체 20㎎을 2㎖의 1몰 황산용액을 가하고 100℃에서 4시간 가수분해하여 수산화바륨을 가해 중화시킨 후 실리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그 구성당이 글루코오스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4)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인삼 다당체에 함유된 구성당 분석
검체 20㎎을 취해 디메칠 설폭사이드 2㎖에 녹인후 질소기류하에서 60℃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0.5㎖의 methylsulfinyl carbanion을 가하고 25℃에서 1.5시간 가열하였다. 메틸화된 인삼 다당체는 물로 투석하고 감압건조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이 조작은 적외선 분광스펙트럼에서 3400∼3200cm-1부근의 히드록시기가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였다. 메틸화된 인삼다당체는 먼저 0.5㎖의 90% 개미산을 가하고 100℃에서 8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 후, 0.5㎖의 2몰-삼플루오르화아세트산을 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켰다. 가수분해된 메틸화된 당들은 붕소수소나트륨으로 환원시키고 생성된 알디톨들을 0.2㎖의 아세트산무수물-피리딘(v/v, 1:1)으로 아세틸화시킨 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하여 구성당을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컬럼은 HP-5 캐필러리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주입기 온도는 280℃, 불꽃이온화검출기 온도는 300℃로 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인삼 다당체의 구성당 분석
유도체들 머무름 시간(분) 면적비(%) 주요단편들(m/z)
1,5-Ac-2,3,4,6-Me-D-Glucitol 8.31 7.7 43, 45, 71, 88, 101, 115, 129, 145, 161, 205
1,5,6-Ac-2,3,4-Me-D-Glucitol 9.33 76.9 43, 71, 88, 101, 115, 129, 143, 161, 186
1,3,5-Ac-2,4,6-Me-D-Glucitol 9.44 7.8 43, 87, 101, 127, 143, 186
1,3,5,6-Ac-2,4-Me-D-Glucitol 10.74 7.6 43, 71, 88, 101, 115, 129, 143, 161, 186
Ac=아세틸 ; Me=메틸
표 1에 의하면 인삼다당체의 구조는 [→6)-α-D-Glup-(1→]의 반복단위 10개당 α(1→3) 결합이 1개 정도의 비로 결합한 것으로 그 구조를 도 2에 나타내었다.
5) 인삼 다당체의 분자량 확인
인삼 다당체의 분자량확인은 겔 여과 컬럼을 장치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 (hewrette-packard HP-600S)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 0.1몰-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1.5㎖/분, 검출기는 굴절율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40%에탄올 추출물을 셀룰로오스 투석막으로 투석하여 제조한 인삼 다당체 추출물의 겔 여과 액체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는 표 2와 같으며 각 분자량 크기별 조성비는 11.4∼13.4 : 3.6∼4.2 : 4.5∼5.1 : 0.7∼0.9 : 40.1∼48.1 : 31.0∼37.0 이었다.
겔 여과 컬럼을 장치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인삼 다당체의 분자량 확인
시료 머무름 시간(분) 분자량(달톤) 면적비(%)
GⅠ 10.012 1,800,000∼2,200,000 11.4∼13.4
GⅡ 10.658 1,350,000∼1,650,000 3.6∼4.2
GⅢ 12.230 620,000∼780,000 4.5∼5.1
GⅣ 14.459 105,000∼130,000 0.7∼0.9
GⅤ 18.693 23,000∼27,000 40.1∼48.1
GⅥ 21.997 5,000∼6,000 31.0∼37.0
6) 인삼 다당체의 적외선흡수 스펙트럼 분석
인삼 다당체를 브롬화칼륨(KBr)을 사용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분석용 박편을 만든 다음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기(Fourier Transform-Infra Red spectroscopy, Bomem DA8.12, Hartman and Braun사, Canad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3400 cm-1부근의 히드록시기(-OH), 1000∼1100 cm-1부근의 에스테르기(C-O), 2800∼2900 cm-1의 탄화수소의 흡수 스펙트럼이 확인되어 전형적인 다당체의 흡수 스펙트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7) 인삼 다당체의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에 의한 분석
인삼 다당체를 D2O에 녹여1H,13C-핵자기 공명장치(500MHz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Bruker AMX 500,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1H-NMR에서 δ3.5∼4.2 ppm 부근의 하이드록실레이티드 메틴 또는 메틸렌 수소 피크와 4.76ppm 및 4.98ppm 부근의 아노메릭 수소 피크를 확인하였다.13C-NMR에서는 6개의 메이저 탄소 피크(δ62.6, 66.0, 77.8, 78.9, 82.8 및 106.7 ppm)와 12개의 마이너 탄소 피크(δ63.0, 64.8, 63.6, 65.1, 72.3, 76.9, 77.3, 79.2, 82.1, 83.6, 83.8, 106.1, 106.2 및 106.7 ppm)를 확인하였다(도 6 및 도 7 참조).
HMQC(Heteronuclear Multiple Quantum Correlation)로 탄소와 수소원자 간의 스핀결합을 확인하였으며, DQF-COSY spectrum으로부터 δ3.89의 수소는 δ3.56의 수소와, δ4.10의 수소는 δ4.19의 수소와, δ3.67의 수소는 δ3.79 및 δ4.10의 수소와, 그리고 δ3.69의 수소는 δ3.79의 수소와 스핀결합함을 확인하여 α(1→6) 결합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HMBC(Heteronuclear Multiple Bond Coherence) spectrum으로부터 δ4.10의 수소는 δ66.0의 탄소와, δ3.56 및 δ4.10의 수소는 δ82.8의 탄소와, δ4.19의 수소는 δ71.8의 탄소와, δ3.79 및 δ4.10의 수소는 δ78.9의 탄소와, δ4.19의 수소는 δ62.6의 탄소와, 그리고 δ3.79의 수소는 δ106.7의 탄소와 스핀결합함을 확인하여 α(1→6) 결합이 존재함을 재확인하였다(도 9 참조).
이하 상기 수득한 글루코오스로 구성된 인삼 다당체의 활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인삼 다당체가 조혈촉진효과 및 골수방어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조혈 촉진제, 방사선 유발 조혈장해 억제제, 항암제 유발 조혈장해 억제제,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작용에 의한 항암면역치료제, 암 예방제, 방사선 민감 작용에 의한 방사선 암치료율 증강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조혈 촉진 시험
1) 골수모세포 생성작용(Granulocyte macrophage-colony forming unit, GM-CFU)
35mm 배양 용기(with 2mm grid, Nalge Nunc. International, Corning, NY, USA)에 인삼 다당체를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0.3%의 아가(agar)와 20%의 말의 혈청(horse serum), 10%의 GM-CSF 상등액을 함유한 IMDM배지를 사용하여 골수 세포를 1 x 105세포/㎖로 넣고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인삼 다당체를 처리하지 않고 배지만 가하였으며, 7일 후 광학 현미경으로 50개 이상의 세포로 구성된 콜로니만을 세었다. 인삼 다당체가 함유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40.67개의 콜로니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인삼 다당체를 50㎍/㎖ 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64.67개의 콜로니를 형성함으로써 1.59배의 증가를 나타냈다(표 3 참조).
인삼 다당체에 의한 골수모세포(GM-CFU) 생성 작용
배 양 GM-CFU 콜로니 수 ±표준편차
골수세포 40.67 ±4.67
골수세포 + 인삼 다당체 (100㎍/㎖) 62.33 ±1.20
골수세포 + 인삼 다당체 (50㎍/㎖) 64.67 ±2.91
골수세포 + 인삼 다당체 (10㎍/㎖) 54.00 ±3.51
(실시예 2) 골수방어시험
1) 방사선 유발 조혈 장해 억제 작용
체중이 18∼22g인 자성 BALB/c마우스를 아크릴 상자에 가둔 후 97.1cGy/분으로 코발트 감마선(60Co γ-ray)을 전신에 조사하였다. 인삼 다당체는 인산완충용액(PBS, pH7.4)에 적정 농도로 녹여 0.45㎛ 일회용 여과필터(corning, NY)로 여과한 다음 동물에 투여하기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대조군은 PBS를 투여하였으며 모두 복강 내 주사로 1회 0.4㎖이 넘지 않도록 조제하였다. 채혈은 마우스의 안구 기저부 정맥총에서 헤파린이 처리된 모세 유리관(Chase instruments corp., Norcross, GA)을 이용하여 신속히 채혈하였으며 K3-EDTA 처리된 3 ㎖ 채혈관에 모아 자동 혈구 측정기인 cell-DYN 4000으로 말초 혈액을 검사하였다.
① 방사선 조사 후 골수 및 비장 세포수에 대한 영향
준 치사선량인 4.5 Gy를 조사한 후 5일째 마우스를 희생시켜 골수와 비장 세포를 얻은 다음, 트리판 블루 배제법으로 각각의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PBS를 투여한 대조군은 방사선 조사 후 5일째 골수 세포가 정상군 마우스의 62%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인삼 다당체를 방사선 피폭 24시간 전에 100㎎/㎏로 투여한 군에서는 정상의 78%에 해당하는 수치를 나타냈다. 비장 세포는 방사선에 훨씬 민감한 변화를 보였으며 방사선 단독 조사군이 정상군의 8%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이에 비해 인삼 다당체 100㎎/㎏를 투여한 군에서는 방사선 단독 조사군의 1.8배(P〈0.01)에 해당하는 수치를 나타냈다(도 10 참조).
② 골수모세포 생성 작용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forming unit, GM-CFU)
방사선을 조사하기 24시간 전에 PBS 및 인삼 다당체를 100㎎/㎏, 200㎎/㎏로 마우스의 복강내 주사한 다음 준 치사선량의 방사선을 전신 조사하고 5일째 마우스를 희생시켜 GM-CFU를 측정하였다. GM-CFU는 위에서 기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5일째 방사선 단독 조사군은 정상군에 비해 17% 수준으로 증식능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인삼 다당체 투여군에서는 정상군의 63-80%로 방사선 단독 조사군의 3.7∼4.7배(P〈0.05)에 해당하는 정도로 빠른 회복을 나타냈다(표 4 참조).
인삼 다당체 투여시 방사선 조사 마우스의 GM-CFU 증가 실험
배 양 GM-CFU 콜로니 수 ±표준편차
정상마우스의 골수세포 59.33 ±2.29
방사선조사 마우스의 골수세포 10.00 ±1.14
방사선 조사 전 인삼 다당체 투여(100㎎/㎏) 마우스의 골수세포 47.33 ±3.96**
방사선 조사 전 인삼 다당체 투여(200㎎/㎏) 마우스의 골수세포 37.17 ±2.77*
③ 말초 혈액 수치의 개선 효과
방사선 조사 후 5일째 말초 혈액 세포의 변화를 보면 백혈구가 3.463± 0.236에서 0.476±0.034 x103/㎕로 86% 감소하였다. 혈소판의 수치도 585.0±39.0에서 354.5±26.0 x103/㎕로 정상군의 60% 수준으로 줄어들었으며, 과립구수와 임파구수가 정상군의 10%정도로 감소하였다. 100㎎/㎏ 인삼 다당체 투여군은 방사선 단독 조사군에 비해 백혈구수가 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P〈0.001) 특히 과립구수의 증가가 두드러진다(표 5 참조).
준치사량의 방사선 피폭 마우스의 5일째 인삼 다당체의 말초 혈액 개선 효과
혈 구 정상군 방사선 조사군
PBS 대조군 100㎎/㎏인삼다당체 200㎎/㎏인삼다당체
백혈구수×103/㎕ 3.463 ±0.236 0.476 ±0.034 0.948 ±0.111* 0.793 ±0.055*
과립구수×103/㎕ 0.367 ±0.043 0.0404 ±0.005 0.182 ±0.028* 0.271 ±0.037
임파구수×103/㎕ 2.975 ±0.259 0.330 ±0.041 0.680 ±0.099+ 0.378 ±0.036
적혈구수×103/㎕ 8.565 ±0.121 7.550 ±0.379 7.935 ±0.145 7.663 ±0.131
혈소판수×103/㎕ 585.0 ±39.0 354.5 ±26.0 441.5 ±38.2 360.1 ±20.4
결과는 평균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방사선 조사 마우스의 경우 군당 12마리를, 정상군의 경우 6마리를 사용하였다.
* PBS대조군에 비해 P〈0.001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음 .
+PBS대조군에 비해 P〈0.05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음.
④ 비장 콜로니 형성 유니트(Colony forming unit-spleen) 증가 작용
4.5 Gy의 방사선을 조사하기 24시간 전에 PBS와 인삼 다당체 100㎎/㎏을 주사하고(5마리/군) 5일째 치사시켜 골수 세포를 얻은 다음 9 Gy의 방사선을 쪼인 마우스(10마리/군)에 골수 이식을 하였다. 8일째 비장에 생긴 콜로니 수를 보면 PBS 대조군은 하나도 생기지 않은 반면 인삼 다당체 투여군은 17.47 ±2.33 (P=0.012)개로 확실한 효과를 나타냈다. 정상적인 마우스의 골수를 이식한 경우 39개 정도의 콜로니를 확인할 수 있었다(표 6 참조).
인삼 다당체의 CFU-s 형성능 측정
시험군 CFU-s/1 x 105골수 세포
정상군 39.25 ±4.26
방사선 조사군 검출되지 않음
방사선 조사 전 인삼 다당체 투여군(100㎎/㎏) 17.47 ±2.33
2) 항암제 유발 조혈 장해 억제 작용
①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와 병용 투여 시 골수 및 비장 세포수, GM-CFU측정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투여(250㎎/㎏)후 24시간째에 인삼 다당체 50㎎/㎏를 복강 내 투여하였으며 9일째 마우스를 희생시켜 골수 세포와 비장 세포를 얻은 다음, 트리판 블루 배제법(trypan blue exclusion)으로 각각의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투여시 골수 세포의 경우는 정상보다 24% 정도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변화를 볼 수 없었다. 비장 세포수는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투여시 정상의 68% 선으로 세포 수를 유지하였으며, 인삼 다당체를 투여하였을 때는 골수 세포 수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지만 비장 세포수는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투여군보다 2.1배(P〈0.01)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GM-CFU는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단독 투여시 19.25 ±1.93으로 정상 수준(46.50 ±6.31)의 40%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골수 세포수의 변화에 비해서 훨씬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01). 인삼 다당체 투여군에서는 37.25 ±4.57로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단독 투여군에 비해 1.94배 증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인삼 다당체와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병용 투여시 골수 세포 및 비장 세포수, GM-CFU의 증가 실험
시험군 골수 세포 수(x 106) ±표준편차 비장 세포 수(x 107) ±표준편차 GM-CFU콜로니 수 ±표준편차
정상군 30.72 ±1.39 17.53 ±0.77 46.50 ±6.31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처리군 23.36 ±1.61 11.99 ±2.35 19.25 ±1.93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처리후 인삼 다당체 투여군 25.66 ±2.37 25.65 ±1.55 37.25 ±4.57
(실시예 3)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작용
1) 자연살해세포 생성작용
C3H/HeN 마우스 5 마리를 한 그룹으로 하여 인삼 다당체를 10, 50 100, 200㎎/㎏로 복강내 주사한 다음 24시간 후에 비장세포를 꺼내 자연살해세포 생성능을51Cr 유리법으로 확인하였다. 대조군에는 PBS를 주사하였으며 96웰 배양용기에 작동세포와 표적세포를 100:1, 30:1. 10:1의 비율로 분주한 다음 37℃에서 4시간 배양하였다. 표적세포인 Yac-1 암세포에 대한 살해능 (작동세포:암세포=100:1)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Yac-1를 12.1% 살해하였으나 인삼 다당체를 100㎎/㎏로 처리한 군에서는 암세포에 대해 42.4%(3.5배)의 높은 살해능을 나타내었다(표 8 참조).
인삼 다당체에 의한 자연살해세포 생성 효과
시 험 군 Yac-1 암세포 살해능(%)(작동세포:암세포=100: 1)
대조군 12.1 ±0.2
인삼 다당체 투여군(10㎎/㎏) 18.4 ±2.4
인삼 다당체 투여군(50㎎/㎏) 25.3 ±0.5
인삼 다당체 투여군(100㎎/㎏) 42.4 ±3.6
인삼 다당체 투여군(200㎎/㎏) 12.4 ±1.2
2) 암세포 살해 임파구 생성 작용
MOPC 315 plasmacytoma 세포주(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를 항생제(penicillin, streptomycin)와 10% 태아우혈청(FCS)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에서 배양하였다. Balb/c마우스에 마리당 1×106개의 MOPC315 세포를 피하주사한 다음, 3일 후부터 인삼 다당체를 50, 10, 2㎎/㎏로 격일 4회 복강내 투여하였다. 14일 후에 비장을 떼어내어51Cr 유리법에 의한 세포독성실험을 수행하였다. 3×106개의 비장세포에51Cr이 표지된 MOPC 315세포에 대한 살해능(임파구:암세포=100:1)을 측정한 결과, 인삼 다당체를 투여하지 않은 마우스는 암세포를 0.9 % 살해하였으나 인삼 다당체를 50, 10, 2㎎/㎏ 투여한 마우스에서는 각각의 농도에 따라 17.8, 22.4, 18.6 %의 암세포 살해 독성을 나타내었다(표 9 참조).
생체내 인삼 다당체 투여에 의한 세포독성 임파구 생성 효과
시험군 MOPC 315 암세포 살해능(%)(작동세포:암세포=100: 1)
대조군 0.9 ±0.2
인삼 다당체 50㎎/㎏, 4회 투여군 17.8 ±1.2
인삼 다당체 10㎎/㎏, 4회 투여군 22.4 ±1.6
인삼 다당체 2㎎/㎏, 4회 투여군 18.6 ±1.0
3) 암세포에 대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 시험
C3H/HeN 마우스에서 복강내 대식세포를 분리하여 96웰 배양용기에 2×106세포/웰로 3시간 부착시킨 다음 인삼 다당체를 가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인삼 다당체를 세척하여 제거하고 Yac-1 암세포 1×105개/웰을 2μCi/웰의3H-티미딘을 함께 넣어 24시간 동안 더 배양한 다음 Yac-1의 증식억제정도를 측정하였다. 인삼 다당체가 함유되지 않은 배지에서 대식세포를 배양한 경우 Yac-1 암세포를 16% 살해하였으나 인삼 다당체를 100, 50, 10㎍/㎖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각각 60, 69, 53%의 암세포 살해능을 보였다(표 10 참조).
인삼 다당체에 의한 대식세포의 암세포 살해능 증강 효과
배 양 Yac-1 암세포 살해능(%)
대식세포 15.9 ±4.1
대식세포 + 인삼다당체(100㎍/㎖) 52.6 ±5.0
대식세포 + 인삼 다당체(50㎍/㎖) 69.2 ±2.6
대식세포 + 인삼 다당체(10㎍/㎖) 59.8 ±6.9
4) 생체내 항종양성 실험
Balb/c 마우스(10마리/군)에 MOPC 315 세포를 1×106개씩 피하주사한 다음 3일째부터 인삼 다당체를 10, 2, 0.5㎎/㎏로 격일 8회 복강내 투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30일째 종양크기가 각각의 용량에서 22%, 46%, 16% 감소하였다(도 11 참조).
5) 인삼 다당체의 암 예방효과
Balb/c 마우스 50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생후 24시간 이내에 화학적 발암물질인 벤조피렌 0.5㎎씩 견갑부에 주사하고 생후 3주부터 이유시켜 인삼 다당체를 식수 1㎖당 10㎎, 2㎎, 1㎎의 농도로 용해하여 마우스에 투여하고 9주 째에 마우스를 치사시켜 폐를 적출하였다. 적출된 폐를 부앙용액(Bouin's fixative)에 고정시켜 폐선종수를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각각의 인삼 다당체 농도에서 폐선종 발생율이 45%, 23%, 31% 감소되었다(표 11 참조).
벤조피렌에 의해 유발된 동종 암세포에 대한 인삼 다당체의 암 예방효과
시험군 폐선종 발생율(%)
벤조피렌 60
벤조피렌 + 인삼다당체(10㎎/㎖) 44
벤조피렌 + 인삼다당체(2㎎/㎖) 22
벤조피렌 + 인삼다당체(0.5㎎/㎖) 30
6) 인삼 다당체에 의한 사이토카인 전사 RNA(mRNA)의 생성
2 ×106세포/㎖의 C3H/HeN 마우스 비장세포를 여러 가지 농도의 인삼 다당체(5㎍/㎖, 50㎍/㎖, 200㎍/㎖)가 함유된 6웰 배양용기에 취하여 1, 3, 6, 24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세척하고 총 RNA를 분리하여 정량하였다. 이 중 1㎍을 취하여 상보되는 DNA를 합성하고(역전사, reverse transcription), 발현을 보고자 하는 싸이토카인의 시발체(primer)와 함께 DNA 합성효소(polymerase)존재하에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을 수행하였다. 그 산물을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 염색제)가 존재하는 1% 아가로즈 젤 상에서 전기영동하여 싸이토카인의 전사 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T 헬퍼 타입 1세포(Th1 cell)에서 분비되는 IL-2, IFNγ, IL-12의 증가와 T 헬퍼 타입 2세포(Th 2 cell)의 IL-4, IL-5, IL-10,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증매개 싸이토카인인 TNFα, GM-CSF, IL-1β의 증가를 세포내에서 일정하게 존재하는 β-액틴(actin)을 표준으로 하여 확인하였다(도 12 참조).
(실시예 4) 방사선 민감 작용
1) 질소산화물 생성 시험
NO의 방사선 민감성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인삼 다당체, IFN 그리고 인삼 다당체와 IFN-γ를 동시에 처리한 마우스 페암세포주 Line 1에서 생성되는 질소산화물의 최종산물인 NO2 -의 양을 측정하였다. 96웰 배양용기에 5×104세포/웰로 분주한 다음 인삼 다당체(50㎍/㎖), IFN-γ(50 U/ml)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다음, 100㎕의 세포 상등액을 100㎕의 그리스 시약 (0,1% naphthylethylene diamine dihydrochloride in H2O : 1 % sulfanilamide in 5% H3PO4=1 : 1)과 섞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나트륨(NaNO2)을 사용하여 표준 용량 곡선을 작성하여 대상 시약 처리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IFN-γ를 처리한 경우 NO2 -생성은 16.7μM이고, 인삼 다당체를 100㎍/㎖처리한 경우 NO2 -는 21.6μM 생성되었으며 병용처리하였을 때 상가적인 작용을 나타내었다(도 13 참조).
2) 인삼 다당체의 방사선 민감성 측정
마우스 폐암 세포주인 Line-1을 지름 6cm 배양용기에 분주한 다음 인삼 다당체, IFN-γ, 혹은 인삼 다당체와 IFN-γ를 동시에 처리하여 16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7일 동안 배양한 후 1% 메틸렌블루-메탄올 용액으로 염색하여 콜로니수를 세었다.
방사선 민감도 증가율(Enhancement Ratio, ER)은 생존율(surviving fraction)이 1%일 때의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상태의 방사선 조사용량을 약물이 처리된 상태의 방사선 조사용량으로 나눈 값이다. 인삼 다당체(100㎍/㎖)와 IFN-γ (50 U/ml)를 처리했을 경우, Line1 세포에서의 ER은 각각 1.28과 1.14이고, 두 가지를 동시에 처리해 준 경우의 ER은 1.66이다(도 14 참조).
3) 생체내 방사선 민감 작용
Line1 세포를 Balb/c 마우스에 2×106개 이식한 후 종양의 평균 부피가 1000 mm3에 이르렀을 때, 생리식염수 혹은 인삼 다당체(200 mg/kg)를 복강내로 격일 3회 주사한 다음 20 그레이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군의 경우 종양이 대조군에 비하여 20%억제되나, 인삼 다당체 투여군에 방사선을 조사한 경우, 종양이 대조군에 비하여 45% 억제되는 것을 보여주었다(도 15 참조).
(실시예 5) 인삼 다당체의 급성 독성 시험
인삼 다당체의 급성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0마리를 1군으로 하여 BALB/c 웅성 마우스에 인삼 다당체를 2g/㎏, 1g/㎏, 200㎎/㎏ 및 40㎎/㎏의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하고, 주사한 다음 날부터 죽은 마우스의 수 및 육안으로의 이상여부를 30일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12 참조).
독성시험 결과
인삼 다당체의 용량 2 g/㎏ 1 g/㎏ 200㎎/㎏ 40㎎/㎏
죽은 마우스의 수 0 0 0 0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를 사용하여 각종의 용량 형태, 예를 들어, 정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환제, 액제, 주사제 등의 형태로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 다당체의 임상학적 용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나이, 성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하되, 일반적으로 100∼1,000 ㎎/일/60㎏(체중)의 용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새로운 조성의 인삼 다당체를 이용하여 조혈 촉진 및 골수방어효과로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시 발생하는 임파구, 과립구, 혈소판수의 감소에 의한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골수 세포 수를 증가시켜 회복을 촉진함으로써 병용 투여시 치료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방사선 피폭에 의한 골수장애 방어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연살해세포와 암 세포 살해 임파구를 생성하고, 대식세포를 활성화함으로써 암 면역 치료제 및 암 예방제로도 유용하다. 또한 질소산화물을 생성함으로써 방사선 민감도를 증대시켜 암세포에 대한 방사선 치료효능을 상승시키므로 방사선 민감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인삼 뿌리 분말 1중량부에 대해 2∼4 중량부의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메탄올 불용성 잔사를 음건한 후, 3∼5 중량부의 증류수를 가하여 추출하고, 수 가용성 분획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시키고, 상기 수득물에 에탄올을 가하여 40% 에탄올 불용성 분획을 수득한 후 이를 셀룰로오스 투석막으로 투석시켜 내부 분획을 세파크릴 S-500 크로마토그래피, DEAE-셀룰로오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분리정제한 다당체로 분자량 1,800,000∼2,200,000, 1,350,000∼1,650,000, 620,000∼780,000, 105,000∼130,000, 23,000∼27,000 및 5,000∼6,000 달톤의 다당체가 각각 11.4∼13.4 : 3.6∼4.2 : 4.5∼5.1 : 0.7∼0.9 : 40.1∼48.1 : 31.0∼37.0 으로 존재하며 글루코피라노오스가 α(1→6)으로 결합한 주사슬에 글루코피라노오스가 α(1→3) 결합한 가지사슬을 가진 구조로 조혈촉진 효과, 골수방어효과, 암 세포 살해 면역세포 생성 효과, 암 예방 효과 및 방사선 민감 효과가 우수한 인삼 다당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체는 당 성분 함량 98.5 중량% 이상 및 단백질 함량 1.0 중량% 미만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다당체
  3. 제 1항의 인삼 다당체를 이용하는 조혈 촉진제, 골수 방어제, 방사선 부작용 억제제, 항암제 부작용 억제제, 항암 면역치료제, 암 예방제 및 방사선 민감제
KR1020000049173A 1999-08-27 2000-08-24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작용이 우수한 인삼 다당체 KR100361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35857 1999-08-27
KR1019990035857 199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186A true KR20010050186A (ko) 2001-06-15
KR100361187B1 KR100361187B1 (ko) 2002-11-18

Family

ID=1960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173A KR100361187B1 (ko) 1999-08-27 2000-08-24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작용이 우수한 인삼 다당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55527B1 (ko)
EP (1) EP1124982B1 (ko)
JP (1) JP3797930B2 (ko)
KR (1) KR100361187B1 (ko)
AU (1) AU6737900A (ko)
DE (1) DE60035406T2 (ko)
WO (1) WO200101634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9308A1 (en) * 2002-05-28 2003-12-04 Md Bioalpha Co., Ltd. Active fraction having anti-cancer and anti-metastasis isolated from leaves and stems of ginseng
KR100773136B1 (ko) * 2007-05-30 2007-11-05 주식회사 코인텍 다당체 함량이 우수한 수용성 인삼다당체 추출분말
KR100973202B1 (ko) * 2009-11-17 2010-07-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한 당지질단백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122112B1 (ko) * 2011-01-12 2012-03-16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로타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다당체를 함유한 약학조성물
KR101305000B1 (ko) * 2011-06-10 2013-09-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탄올을 이용하여 인삼으로부터 식용 가능한 조 진토닌의 제조방법
WO2016003063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헬스바이오메드 면역 증강용 인삼 다당체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면역 증강용 인삼 다당체
WO2016148448A3 (ko) * 2015-03-13 2016-11-10 (주)아모레퍼시픽 암백신 조성물 및 키트
KR20170021826A (ko) * 2017-02-21 2017-02-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박 유래 갈락토유로노글루코올리고당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2454B1 (en) * 1997-12-12 2002-08-13 C. V. Technologies, Inc. Processes of making north american ginseng fractions, products containing them, and use as immunomodulators
US6555527B1 (en) * 1999-08-27 2003-04-29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Hematopoietic, myeloprotecting, antitumor immune cells generating and radiosensitizing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Panax ginseng
KR101083348B1 (ko) * 2003-10-09 2011-11-15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로타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다당체
US20050287230A1 (en) * 2004-06-25 2005-12-29 Jeffrey Young Method of producing ginsenoside 20 (R)-Rh2 and composition of matter thereof
KR100456089B1 (ko) * 2004-07-15 2004-11-09 박용진 항암 활성을 갖는 산삼 추출정제액을 정제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97016B1 (ko) 2007-01-25 2008-01-22 주식회사 코인텍 면역증강 활성을 나타내는 인삼다당체 고농축정제액과 그제조방법
MY158195A (en) 2008-02-29 2016-09-15 Afexa Life Sciences Inc Activation of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by a ginseng extract
RU2520625C2 (ru) * 2008-11-06 2014-06-27 Унхва Корпорейшн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новообразований, содержащая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линию стволовых растительных клеток, полученных из камбия panax ginseng, включая дикий женьшень или женьшень
EP2399596A4 (en) 2009-02-23 2012-08-29 Unhwa Corp Immune enhancing composition which contains a plant stem cell line derived from cambium panax ginseng with wild ginseng or ginseng as the active ingredient
KR101083350B1 (ko) * 2011-01-12 2011-11-15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로타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다당체를 함유한 식품첨가물
KR101083349B1 (ko) * 2011-01-12 2011-11-15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로타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다당체를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KR101434741B1 (ko) 2012-09-06 2014-08-29 김종석 페실로마이세스 바리오티 바라이어티 브른네오러스 gpp1101b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제제
KR101487541B1 (ko) * 2014-06-30 2015-01-29 주식회사 헬스바이오메드 인삼 다당체의 유효성분 및 인체반응 분석방법
CN111973467A (zh) * 2020-09-09 2020-11-24 许文斌 一种基于人参多糖的保湿乳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0444B1 (en) * 1979-12-03 1985-01-30 Kitasato Kenkyusho A process for preparing substances having interferon inducing activity
JPS6118722A (ja) 1984-07-05 1986-01-27 Wakunaga Seiyaku Kk 生体防御能亢進剤
JPS61109732A (ja) * 1984-10-31 1986-05-28 Wakunaga Seiyaku Kk 殺腫瘍性物質誘発剤
US5071839A (en) * 1987-11-02 1991-12-10 Yaguang Liu Saf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decreasing side effects of antiviral drugs and increasing the immune function (SDI) II
JPH0245499A (ja) * 1988-08-06 1990-02-15 Wakunaga Pharmaceut Co Ltd オタネニンジン糖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用途
JPH0245501A (ja) * 1988-08-06 1990-02-15 Wakunaga Pharmaceut Co Ltd 竹節ニンジン多糖およびその用途
JP3246683B2 (ja) * 1993-02-15 2002-01-15 日東電工株式会社 細胞増殖促進物質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19990068441A (ko) * 1999-05-20 1999-09-06 이승준 인삼으로부터다당체를추출정제하는방법
US6555527B1 (en) * 1999-08-27 2003-04-29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Hematopoietic, myeloprotecting, antitumor immune cells generating and radiosensitizing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Panax ginseng
KR101205880B1 (ko) * 2011-09-19 2012-11-30 노회현 터치 카운트식 절수밸브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9308A1 (en) * 2002-05-28 2003-12-04 Md Bioalpha Co., Ltd. Active fraction having anti-cancer and anti-metastasis isolated from leaves and stems of ginseng
US7901716B2 (en) 2002-05-28 2011-03-08 Md Bioalpha Co., Ltd. Active fraction having anti-cancer and anti-metastasis isolated from leaves and stems of ginseng
KR100773136B1 (ko) * 2007-05-30 2007-11-05 주식회사 코인텍 다당체 함량이 우수한 수용성 인삼다당체 추출분말
KR100973202B1 (ko) * 2009-11-17 2010-07-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한 당지질단백질 및 그 제조방법
WO2011062354A3 (ko) * 2009-11-17 2011-07-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으로부터 신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
KR101122112B1 (ko) * 2011-01-12 2012-03-16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로타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다당체를 함유한 약학조성물
KR101305000B1 (ko) * 2011-06-10 2013-09-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탄올을 이용하여 인삼으로부터 식용 가능한 조 진토닌의 제조방법
WO2016003063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헬스바이오메드 면역 증강용 인삼 다당체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면역 증강용 인삼 다당체
US10695389B2 (en) 2014-06-30 2020-06-30 Health Bio Mad Co., Ltd. Method for preparing ginseng polysaccharide for immune stimulation and ginseng polysaccharide for immune stimulation prepared therefrom
WO2016148448A3 (ko) * 2015-03-13 2016-11-10 (주)아모레퍼시픽 암백신 조성물 및 키트
KR20170021826A (ko) * 2017-02-21 2017-02-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박 유래 갈락토유로노글루코올리고당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5406D1 (de) 2007-08-16
DE60035406T2 (de) 2008-04-17
KR100361187B1 (ko) 2002-11-18
WO2001016347A1 (en) 2001-03-08
US6555527B1 (en) 2003-04-29
AU6737900A (en) 2001-03-26
JP2003508460A (ja) 2003-03-04
EP1124982A1 (en) 2001-08-22
EP1124982B1 (en) 2007-07-04
JP3797930B2 (ja)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187B1 (ko) 조혈 촉진작용, 골수 방어작용, 암세포 살해 면역세포생성작용 및 방사선 민감작용이 우수한 인삼 다당체
Nie et al. Bioactive polysaccharides from Cordyceps sinensis: Isolation, structure features and bioactivities
Sun et al. Studies on antiviral and immuno-regulation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fucoidan from Laminaria japonica
KR101349136B1 (ko) 곤충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93510A1 (zh) 一种灵芝孢子多糖的分离纯化方法
CN110128562A (zh) 一种抗肿瘤补骨脂多糖及其提取分离方法和在制备抗肿瘤药物方面的应用
Su et al. Structure elucidation, immunomodulatory activity, antitumor activity and its molecular mechanism of a novel polysaccharide from Boletus reticulatus Schaeff
Zhu et al. Characterization and lymphocyte proliferation activity of an oligosaccharide degraded from Astragalus polysaccharide
KR100278928B1 (ko) 펠리누스린테우스로부터분리한다당류물질의신규한용도
Jimenez-Estrada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he hypoglycemic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s from Psacalium decompositum
JPH0245499A (ja) オタネニンジン糖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用途
KR100450061B1 (ko) 홍삼으로부터 분리된 항암 면역 조절효과를 갖는 신규산성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 면역 조절용 조성물
CN113637089B (zh) 一种醇水两溶性党参葡果聚糖、制备工艺及抗肿瘤应用
Choi et al. Korean Ginseng Berry Polysaccharide Enhances Immunomodulation Activities of Peritoneal Macrophages in Mice with Cyclophosphamide-Induced Immunosuppression
CN100532395C (zh) 一种源自灰树花子实体的α-葡聚糖、其制备方法及用途
Qian et al. Physical-chemical properties of heteropolysaccharides from different processed forms of Rehmanniae Radix
JPH0245501A (ja) 竹節ニンジン多糖およびその用途
JP2008050313A (ja) 肝障害保護剤及びその分取法
KR100729213B1 (ko)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잎새 버섯의 액체배양물로부터분리한 세포외 생체고분자
Yang et al. Structure characterization, immunological activity, and mechanism of a polysaccharide from the rhizome of Menispermum dauricum DC
CN115141288B (zh) 知母活性多糖、知母粗多糖及制备方法和应用
CN108752498A (zh) 一种具有增强免疫活性的返魂草多糖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078842B (zh) 皱盖假芝多糖f212的制备方法和用于预防和/或治疗乳腺癌的应用
CN108359024B (zh) 一种黄芪醇溶低聚糖及其制备方法及其抗肿瘤应用
CN117886962A (zh) 一种提取具有免疫调节活性的地皮菜多糖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