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064A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064A
KR20010050064A KR1020000046756A KR20000046756A KR20010050064A KR 20010050064 A KR20010050064 A KR 20010050064A KR 1020000046756 A KR1020000046756 A KR 1020000046756A KR 20000046756 A KR20000046756 A KR 20000046756A KR 20010050064 A KR20010050064 A KR 2001005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reaction
carried out
carboxymethylcellulose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0097B1 (ko
Inventor
하이코 틸킹
볼프강 코흐
클라우스 나흐트캄프
베른트 온드루스카
마티아스 뉘히터
우테 하인체
디터 클렘
Original Assignee
프리드리히-쉴러-우니페르지테트 예나
한스-위르겐마이쓰너,우베드뢰게, 악셀 씨. 하이트만, 리타 채드윅
볼프발스로데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드리히-쉴러-우니페르지테트 예나, 한스-위르겐마이쓰너,우베드뢰게, 악셀 씨. 하이트만, 리타 채드윅, 볼프발스로데에이지 filed Critical 프리드리히-쉴러-우니페르지테트 예나
Publication of KR2001005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1/00Preparation of cellulose ethers
    • C08B11/02Alkyl or cycloalkyl ethers
    • C08B11/04Alkyl or cycloalkyl eth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8B11/10Alkyl or cycloalkyl eth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with acid radicals
    • C08B11/12Alkyl or cycloalkyl eth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with acid radicals substituted with carboxylic radicals, e.g. carboxymethylcellulose [CM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6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27Process aspects
    • B01J2219/00029Bat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27Process aspects
    • B01J2219/00033Continuous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0873Materials to be treated
    • B01J2219/0881Two or more materials
    • B01J2219/089Liquid-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12Processe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2219/1203Incoherent waves
    • B01J2219/1206Microwaves
    • B01J2219/1275Controlling the microwave irradiation variables
    • B01J2219/1278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12Processe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2219/1203Incoherent waves
    • B01J2219/1206Microwaves
    • B01J2219/1275Controlling the microwave irradiation variables
    • B01J2219/1281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12Processe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2219/1203Incoherent waves
    • B01J2219/1206Microwaves
    • B01J2219/1287Features relating to the microwave source
    • B01J2219/129Arrangements thereof
    • B01J2219/1293Single sour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셀룰로오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활성화된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를 10MHz 내지 23G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장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arboxymethylcellulose}
본 발명은 고주파장에 노출시켜 불연속 또는 연속 공정으로 반응을 수행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이하 CMC라 칭함)와 같은 셀룰로오스의 미세화 생성물은, 그 특성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재생가능한 미가공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다용도의 물질이다. 따라서, CMC와 같은 물질은 생물공학, 제약업, 제지 및 식료품 산업, 화장품 업계, 의료 공학 및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중간체 및 보조 물질로서의 그 역할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음이온 셀룰로오스 에테르로서 CMC를 사용하는 중요한 분야는 석유 생산에서 시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고, 또한 통상적으로 드릴링 기술에 사용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하고 있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통상 수산화물 수용액 및 저급 알코올의 존재하에 미리 활성화된 셀룰로오스를 클로로아세트산 또는 그의 나트륨염과 함께 가열하여 제조한다. 게다가, 경제적인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기본 합성의 변형으로 간주되는 무수한 추가의 공정이 존재한다(문헌 ["Comprehensive Cellulose Chemistry", D. Klemm, B. Philipp, Th. Heinze, U. Heinze 및 W. Wagenknecht, Wiley-VCH, Weinheim, 1998] 참조).
카르복시메틸화 과정에서, 개개의 포도당 단위(이하 AGU=anhydroglucose unit이라 칭함)에 다양한 치환도를 갖는 혼합물이 장시간의 반응(1 내지 10시간)을 통해 5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생성된다.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 것 뿐만 아니라, 불연속 공정은 고도의 프로세스-공학을 필요로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응 및 반응 생성물은 장시간의 반응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부산물(글리콜레이트)의 생성이 촉진되는데, 그 결과 추가의 정제 단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정 비용이 추가로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화된 셀룰로오스를 10MHz 내지 23GHz 주파수 범위의 전자기장에서 카르복시메틸화시켜, 반응 시간이 짧고 부산물이 적게 축적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카르복시메틸화가 전자기장에서 수행되는 경우, 짧은 반응 시간내에 부산물을 적게 축적시키며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셀룰로오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활성화된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를 10MHz 내지 23G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장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활성화된 셀룰오로스와 그 자체로 공지된 카르복시메틸화제의 반응은 10MHz 내지 23GHz,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GHz, 특히 바람직하게는 2.45G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자기장의 영향하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전자기장에 노출시키는 시간은 1분 내지 120분,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60분이다.
놀랍게도, 상기의 고주파장의 영향하에서 셀룰로오스가 반응하여 실질적으로 짧은 시간에 특정 주파수 범위의 전자기 방사선에 의해 분해되지 않으면서(즉, 셀룰로오스의 탈중합이 검출되지 않음) 다양한 DS값을 갖는 생성물이 제조되었다. 이에 반하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DS값은 유효한 에너지 유입의 선택을 통해 영향을 받아 변화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에너지 유입의 크기, 압력 및 반응 온도와 같은 반응 조건의 적합한 선택을 통해 에너지 수요를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에너지 유입, 압력 및 온도가 조절되는 압력 또는 대기압하의 장비 내에서 반응 혼합물이 고주파 방사선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반응 시간이 매우 짧아졌고, 그 결과 불필요한 부산물이 적게 축적된 반응 생성물은 원하는 순도로 제조 공정에서 이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가 생성되었기 때문에, 이후의 정제 단계가 필요하지 않거나 필요하더라도 공정 비용에 대해 대수롭지 않은 정제 단계만을 필요로 할 뿐이다.
또한, 배치 공정 및 연속 공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 단계는 유기 용매 및 물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한다. 예를 들면, 알코올, 에테르 또는 케톤이 유기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적합한 알코올은 저급 C1-C4-알코올 또는 그의 혼합물, 특히 이소프로판올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5 내지 20 중량%의 물이 함유된 알코올 및 물의 혼합물이다.
단계 b)를 위해, 예를 들면, 알칼리 수용액에 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단계 a)에서 상기 셀룰로오스를 활성화시킨다. 수산화칼륨 수용액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특히 10 내지 7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15%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고체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한다. 통상, 알칼리화는 1 내지 150분 동안, 특히 100분 동안 수행한다.
통상, 클로로아세트산 또는 그의 나트륨염을 카르복시메틸화제(이하 CMR이라 칭함)로서 사용한다. 80%의 클로로아세트산이 바람직하다.
반응 단계 b)는 통상 20 내지 150℃, 특히 50 내지 100℃의 승온 조건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주파수의 범위가 10MHz 내지 23GHz,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GHz, 특히 2.45GHz인 전자기 고주파장을 반응 단계 b)에서 유도작용을 위해 사용한다. 통상, 조사(照射) 시간은 1 내지 120분, 특히 1 내지 60분이다.
전자기장은 마그네트론(magnetron)에 의해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생성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전자레인지도 배치 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연속 공정의 경우, 전자기장의 유도를 위해 특히, 연속-유출(continuous-flow) 반응기(예를 들면, Cont FlowMLS Lautkirch)에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주제를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이소프로판올 30ml 중 소나무 아황산펄프 1g의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미리 활성화시켰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고 나서 카르복시메틸화제를 가하였다. 특정 조건하의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압 용기 내에서 500W(2.45GHz)의 전력으로 조사하였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단리하기 위해 반응 혼합물을 표준 방법에 의해 수집하였다. 다양한 조건하의 반응에 대한 몇 가지 예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다양한 조건하의 고주파장에서 CMC의 합성
몰비AGUa):CMRb):NaOH 온도[℃] 시간[분] DSc) 점도f)[mPas]
1:2d):2 70 30 1.2 1580
1:3d):2 70 60 1.3 456
1:2c):4 70 30 0.85 164
a)AGU=무수포도당 단위(anhydroglucose unit)
b)CMR=카르복시메틸화제(carboxymethylation reagent)
c)DS=치환도
d)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e)클로로아세트산
f)2% 수용액의 점도, D=2.55s-1
실시예 2
소나무 아황산펄프 15g 및 이소프로판올 400ml의 혼합물을 1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40ml로 1시간 동안 미리 활성화시켰다.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18g을 가하고 나서, 반응 혼합물을 가압 용기 내에서 55℃가 넘지 않게 온도를 유지하면서 500W(2.45GHz)의 전력으로 20분 동안 조사하였다. 냉각 및 수집 후에, DS값이 1.1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이소프로판올 30ml 중 소나무 아황산펄프 1g의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1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66ml로 미리 활성화시켰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고 나서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1.2g을 가하였다. 용기 내에서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70℃가 넘지 않는 온도에서 13.65MHz 주파수의 500W 전력으로 조사하였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단리하기 위해 반응 혼합물을 표준 방법에 의해 수집하였다. DS값은 1.2이었다.
실시예 4
이소프로판올 30ml 중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DS=1.3) 1g의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1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66ml로 미리 활성화시켰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고 나서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1.2g을 가하였다. 용기 내에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70℃가 넘지 않는 온도에서 2.45GHz 주파수의 500W 전력으로, 조사하였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단리하기 위해 반응 혼합물을 표준 방법에 의해 수집하였다. DS값은 2.1이었다.
실시예 5
펄(pearl) 셀룰로오스 100g, 이소프로판올 3000ml, 1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70ml 및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120g이 포함된 미리 활성화된 혼합물을, 100℃의 최대 온도, 20bar의 압력, 350W(2.45GHz)의 전력 및 약 10분의 평균 유지 시간으로, 연속 유출 반응기를 통해 공급하였다. 반응기의 말단에서 반응을 멈추게 하고,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평상시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반응물을 정량화하였다. 제조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DS값은 1.3이었다.
실시예 6
이소프로판올 174ml 및 물 26ml 중 소나무 아황산 펄프 10g의 현탁액에 수산화나트륨 5.2g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모노클로로아세트산 9.9g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5℃에서 500W(2.45GHz)의 전력으로 20분 동안 조사하였다. 냉각시키고 나서 표준 방법으로 수집하여, DS값이 0.64이고 점도가 η2.55s -1=1880[mPas]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
이소프로판올 16g, 메탄올 1g 및 물 1.7g의 현탁액에 고체 수산화나트륨 0.6g을 가하고, 상온에서 80분 동안 알칼리화시켰다. 75%의 클로로아세트산 0.8g을 가한 후에, 약 1분 동안 균질화시키고 나서, 4 내지 8분 동안 가정용 표준 전자레인지에서 240 내지 500W의 전력으로 반응을 수행하였다. 표준 방법으로 수집한 후에, 표 2에 기재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이소프로판올 450ml, 메탄올 31ml 및 물 36ml 중 셀룰로오스 25.9g의 현탁액에 수산화나트륨 10.8g 및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31.45g을 가하였다. 불화성화시킨 후에,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사(2.45GHz)에 의해 80℃로 가열하고, 80℃에서 약 18분 동안 에테르화시켰다. 냉각 및 표준 수집 후에, DS값이 1.13이고 점도가 η2.55s -1=17469mPas (2% 수용액)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9
이소프로판올 490ml, 메탄올 34ml 및 물 39ml 중 셀룰로오스 25.2g의 현탁액에 수산화나트륨 8.4g을 가하였다. 불화성화시킨 후에,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25g을 가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사(2.45GHz)에 의해 80℃로 가열하고, 80℃에서 약 22분 동안 에테르화시켰다. 냉각 및 표준 수집 후에, DS값이 0.96이고 점도가 η2.55s -1=6079mPas(2% 수용액)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수득하였다.
다양한 조건하의 고주파장에서 CMC의 합성
에테르화 시간[분] 전력[와트] DSa)[-] 점도b)[mPas]
4 500 0.53 1730
8 240 0.73 3066
2×4 500 0.71 1406
a)DS=치환도
b)2% 수용액의 점도, D=2.55s-1
본 발명에서는
a) 셀룰로오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활성화된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종래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를 10MHz 내지 23G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장에서 수행하여 반응 시간이 짧고 부산물이 적게 생성되는 효율적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제조 방법을 제공하였다.

Claims (7)

  1. a) 셀룰로오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활성화된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를 10MHz 내지 23G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장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 단계 b)를 2 내지 3GHz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장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반응 단계 b)에 20℃ 내지 150℃의 온도 범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 단계 b)를 전자기장에서 1 내지 120분의 반응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반응 공정을 불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반응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반응 후에 단리하고, 염 및 부산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KR1020000046756A 1999-08-13 2000-08-1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KR100650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8501A DE19938501A1 (de) 1999-08-13 1999-08-13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arboxymethylcellulose
DE19938501.7 1999-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064A true KR20010050064A (ko) 2001-06-15
KR100650097B1 KR100650097B1 (ko) 2006-11-27

Family

ID=791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756A KR100650097B1 (ko) 1999-08-13 2000-08-1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83182B1 (ko)
JP (1) JP2001048901A (ko)
KR (1) KR100650097B1 (ko)
AT (1) ATE238350T1 (ko)
BR (1) BR0003502B1 (ko)
CA (1) CA2315505A1 (ko)
DE (2) DE19938501A1 (ko)
MX (1) MXPA00007822A (ko)
NO (1) NO20004037L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58A (ko) * 2016-11-18 2018-05-2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전처리를 이용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5780B (zh) * 2020-01-02 2021-09-07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利用微波连续反应装置解聚木质素的方法
KR20230080099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지엘켐 고치환도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463A (en) * 1968-12-14 1975-08-19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alkali carboxymethyl cellulose
DE2823710A1 (de) * 1978-05-31 1979-12-06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quellfaehiger, vernetzter carboxyalkylcellulose in faserform aus natuerlich vorkommender cellulose und deren verwendung
JPS62185701A (ja) * 1986-02-10 1987-08-14 Daicel Chem Ind Ltd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スアルカリ金属塩の製造方法
JPH09176201A (ja) * 1995-12-26 1997-07-08 Daicel Chem Ind Ltd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DE19624990A1 (de) * 1996-06-22 1998-01-08 Gluesenkamp Karl Heinz Dr Verfahren zur chemischen kontrollierten Modifizierung von Oberflächen sowie von Acyl- und/oder Hydroxyl-Gruppen tragenden Polymeren
CA2262631A1 (en) * 1996-07-10 1998-01-15 Sound Pipe Ltd. Acetylation of lignocellulosic materials and applications thereof
DE19842637A1 (de) * 1997-10-06 1999-04-08 Henkel Kgaa Retardierte Polysaccharidderivat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58A (ko) * 2016-11-18 2018-05-2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전처리를 이용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5505A1 (en) 2001-02-13
EP1083182B1 (de) 2003-04-23
MXPA00007822A (es) 2004-12-09
BR0003502B1 (pt) 2009-05-05
DE50001841D1 (de) 2003-05-28
ATE238350T1 (de) 2003-05-15
NO20004037D0 (no) 2000-08-11
JP2001048901A (ja) 2001-02-20
BR0003502A (pt) 2001-08-07
KR100650097B1 (ko) 2006-11-27
DE19938501A1 (de) 2001-02-15
NO20004037L (no) 2001-02-14
EP1083182A1 (de) 200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wal et al. Single and multi-step carboxymethylation of water yam (Dioscorea alata) starch: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Singh et al. Optimization of reaction conditions for preparing carboxymethyl cellulose from corn cobic agricultural waste
JP5283294B2 (ja) アルキルヒドロキシアルキル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JPH04306245A (ja) 高固形分、低粘度の多糖組成物
JPH0645641B2 (ja) 高置換カルボキシアルキルセルロ−ズ類およびその混合エ−テル類の製造法
JP6505900B1 (ja) カルボキシメチル化セルロース
TW500728B (en) Hydrophobically modified cellulose ethers, preparation process thereof,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N101550195A (zh) 一种改性玉米秸秆的制备方法
KR100650097B1 (ko)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JPH10158302A (ja) ヒドロキシプロピルメチル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US4501887A (en) Preparing cellulose ethers in a dimethoxyethane/(dispersing auxiliary) medium
JPS5996101A (ja) 水溶性セルロ−スエ−テルの製造方法
JP3572213B2 (ja) 低置換度ヒドロキシプロピルセルロース
CN106749712B (zh) 一种半干法制备羧甲基淀粉的方法
KR100650096B1 (ko) 셀룰로스 유도체의 제조 방법
KR20150091081A (ko)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WO2003086281A2 (en) Chitosan production
CN106167529A (zh) 一种改性羟丙基淀粉醚的制备方法
JPH03146503A (ja) トウモロコシ澱粉粕のカルボキシメチルエーテル塩の製造方法
JP2021161320A (ja) 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の製造方法
KR20030066076A (ko) 변성전분의 제조방법
JP2019199532A (ja) カルボキシメチル化セルロース
JPH10259201A (ja) 低置換度ヒドロキシプロピルセルロース、その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46502A (ja) サツマイモ澱粉粕のカルボキシメチルエーテル塩の製造方法
JP2021507003A (ja) セルロースエーテルの酸化分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