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744A - 가스 코크 - Google Patents

가스 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744A
KR20010049744A KR1020000039056A KR20000039056A KR20010049744A KR 20010049744 A KR20010049744 A KR 20010049744A KR 1020000039056 A KR1020000039056 A KR 1020000039056A KR 20000039056 A KR20000039056 A KR 20000039056A KR 20010049744 A KR20010049744 A KR 20010049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m plunger
operation shaft
rota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820B1 (ko
Inventor
미즈야게이이치
시미즈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성모
Publication of KR20010049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35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the angle the spindle makes with the housing being other than 90 degre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5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tap or c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07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articular plug arrangements, e.g. particular shape or built-i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0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16K5/103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specially adapted for gas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회동조작축을 회동하여 화력을 조절하는 가스코크로는, 점화위치까지 회동조작축을 회동하여 점화한 후 점화위치를 넘어 더 회동조작축을 회동할 수 있는 형태와 점화위치를 넘을 수 없는 형태가 있고, 양자는 별개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을 공용할 수 없었다. 점화위치를 넘어 회동조작을 할 수 있는 형태의 가스코크의 제조량은 적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비싸다.
캠 플런저(5)와 스토퍼(6)를 떼어내어 별개의 캠 플런저를 조합하면, 점화위치를 넘지 않는 형태의 가스코크가 되도록 하여, 캠 플런저 및 스토퍼 이외의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가스 코크{A gas cock}
본 발명은, 회동조작축을 회동시킴으로써, 가스버너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하는 가스코크에 관한 것으로서, 회동조작도중에 설정된 점화위치에서 가스버너에 점화한 후, 점화위치를 넘어서 회동조작축을 더 회동하여 조작하는 가스코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가스코크로서, 예를 들어 밸브폐쇄위치를 0°로하고, 115°위치로 설정된 점화위치까지 회동조작축을 회동하여 가스버너에 점화하고, 회동조작축을 일단 95°위치인 완전밸브열림위치까지 되돌린 후, 150°위치에 설정된 약화위치와 45°위치로 설정된 소불위치와의 사이에 화력조절을 실시하도록한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실용 제4-24310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점화위치에서 다시 회동조작축을 회동하여 조작하는 형태의 가스코크에서는 회동조작축을 밸브폐쇄위치에서 점화위치로 회동조작할 때, 회동조작축이 점화위치를 넘지 않도록 규제함과 동시에 점화완료후 약화위치까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필요로 한다.
상기 점화위치를 넘어 회동하여 조작하는 가스코크 이외에, 점화위치의 바로 앞에 완전밸브열림위치를 설정하여 점화한 후에는 밸브폐쇄위치로부터 밸브열림위치까지의 사이에서 화력을 조절하도록 하고, 점화한 후 점화위치를 넘어서 회동하여 조작할 수 없는 형태의 가스코크가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동하여 조작할 수 있는 형태의 가스코크와 회동하여 조작할 수 없는 형태의 가스코크는 모두 별개로 설계되어 공용할 수 있는 부품이 없다. 일본에서는 회동하여 조작할 수 없는 형태의 가스코크의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대량으로 제조되어 가스코크의 비용을 낮출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회동하여 조작할 수 있는 형태의 가스코크의 사용빈도는 낮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화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회동하여 조작할 수 없는 형태의 가스코크와 부품을 공용할 수 있는 회동하여 조작할 수 있는 가스코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회동조작축의 회동위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캠 플런저와 스토퍼의 형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도,
도 5는, 점화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점화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회동조작축의 회동위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가스코크
2 회동조작축
3 폐쇄구
4 밸브봉
5 캠 플런저
6 스토퍼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축선방향으로 자유롭게 왕복운동할 수 있는 봉형상의 밸브봉에 축선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결합핀을 돌설함과 동시에, 선단에 파인홈이 각설되고 파인홈내에 결합핀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동조작축과, 밸브봉을 회동조작밸브축측에 탄발시키는 탄발수단과, 회동조작축을 밸브폐쇄위치에서 밸브열림위치로 회동조작할 때에 상기 결합핀에 결합하고 회동조작축의 밸브열림방향으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봉을 상기 탄발수단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동조작축에 대한 밸브열림방향의 회동력을 제거함으로써 결합핀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밸브봉을 탄발수단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 왕복운동시키는 캠 플런저를 구비한 가스코크에 있어서, 캠 플런저의 외주에 통형상의 스토퍼를 유동가능하게 끼워서 해당 스토퍼를 축선방향의 회동조작축측으로 탄발시키는 제 2 탄발수단을 설치하고, 캠 플런저의 외주면에 결합편을 돌설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핀이 캠 플런저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결합편에 결합하여 스토퍼의 회동조작축측으로의 이동을 금지하고, 결합핀의 캠 플런저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면 제 2 탄발수단에 의해 스토퍼의 회동조작축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결합홈을 스토퍼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또한 스토퍼의 외주면에 스토퍼편을 돌설함과 동시에 스토퍼를 둘러싸는 케이스본체의 내면에 회동조작축을 밸브폐쇄위치로부터 밸브열림위치로 회동조작할 때에 회동도중에 설정된 점화위치에서 스토퍼편에 맞닿아 회동조작축의 새로운 회동을 규제하나, 스토퍼가 회동조작축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스토퍼편에 맞닿지 않는 제 1 돌출맞닿음부와, 스토퍼부가 회동조작축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동조작축의 회동종단위치를 규정하는 제 2 돌출맞닿음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조작축에 결합하여 밸브봉을 왕복운동시키는 기능을 캠 플런저에 분담시키고, 회동조작축의 회동을 점화위치나 회동종단위치에서 규제하는 기능을 스토퍼에 분담시키고, 또한, 스토퍼를 캠 플런저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서 2중구조로함으로써, 회동하여 조작할 수 없는 형태의 가스코크에서의 캠 플런저의 취부스페이스에 본 발명의 상기 캠 플런저와 스토퍼를 조합할 수 있고, 이로써 회동하여 조작할 수 없는 형태의 가스코크에 있어서의 캠 플런저 이외의 대부분의 부품을 공용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을 참조하면, 1은 가스코크이다. 2는 회동조작축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폐쇄위치를 O°로하고, 115°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점화위치까지 한번에 회동하면 회동조작축은 점화위치에서 그 이상의 회동이 금지됨과 동시에 도면 바깥(圖外)의 점화장치가 작동하여 도시하지 않은 가스버너에 점화가 이루어진다. 점화가 완료되면, 회동조작축(2)에서 손을 뗌으로써 회동조작축(2)은 자동적으로 95°위치로 설정된 대불위치(완전열림)까지 되돌아온다. 그 후에는 점화위치를 넘어 150°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약화위치까지 회동조작축(2)을 회동시킬 수 있고, 해당 약화위치로부터 45°위치에 설정된 소불위치까지의 사이에서 화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를 완료한 후에는 회동조작축(2)을 밸브폐쇄위치까지 되돌린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코크(1) 내부에는 테이퍼형의 폐쇄구(3)이 내장되어 있어, 회동조작축(2)의 회동에 연동하여 폐쇄구(3)가 회동되어 가스토출구(11)로부터 가스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조절된다. 또한, 폐쇄구(3) 중심을 관통하여 밸브봉(4)이 취부되어 있다. 도 1에서 상하방향을 축선방향으로 하여, 밸브봉(4)은 축선방향으로 자유롭게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밸브봉(4)에 고정되어 밸브봉(4)의 일부를 이루는 밸브세터(setter)(41)에는 축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결합핀(42)이 고정되어 있다. 회동조작축(2)의 선단에는 파인홈(21)이 각설되어 있고, 결합핀(42)은 파인홈(21)내에 위치하며, 회동조작축(2)을 회동하면 회동조작축(2)에 연동하여 결합핀(42)이 회전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캠 플런저(5)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산형상이 캠(51)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코크(1)의 케이스(1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7)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지만, 해당 베이스 플레이트(7)에는 캠(51)에 대응하는 반달모양의 창구멍(71)이 개설(開設)되어 있다. 회동조작축(2)이 밸브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캠(51)이 창구멍(71)내에 삽입되고, 회동조작축(2)을 점화위치를 향해 회동하면 캠(51)이 베이스 플레이트(7)의 하방으로 들어가 캠 플런저(5)를 베이스 플레이트(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캠 플런저(5) 내주면에는 결합핀(42)의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삽입되는 종홈(52)이 각설되어 있다. 종홈(52)은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부(52a)와 해당 경사면부(52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속하는 스트레이트부(5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캠 플런저(5)는 스프링(5a)에 의해 상방으로 탄발되고, 밸브봉(4)은 스프링(4a)에 의해 상방으로 탄발되지만, 회동조작축(2)이 밸브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결합핀(42)의 선단은 경사면부(52a)에 맞닿아 있고, 회동조작축(2)을 점화위치로 회동하면 회동력은 결합핀(42)으로부터 캠 플런저(5)로 전달된다. 결합핀(42)의 양단과 경사면부(52a)는 마찰력에 의해 어긋남없이 점화위치까지 회동한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플런저(5)가 하강함에 따라 밸브봉(4)도 하강하고 전자석식(電子石式) 안전밸브의 밸브체(1a)를 밀어서 연다. 이때, 가스토출구(12)로부터 가스가 파이롯트버너로 공급된다. 또, 이 상태에서 도면 바깥(圖外)의 점화장치가 작동하여 도시하지 않은 가스버너에 점화가 이루어진다. 가스버너 근방에는 불꽃에 의해 가열되는 열전대(熱電對)가 취부되어 있고, 해당 열전대의 열기전력에 의해 안전밸브에 내장된 전자석이 여자(勵磁)되어 밸브체(1a)의 하방으로 연장된 밸브축이 흡착됨으로써 밸브체(1a)는 밸브열림으로 유지된다. 점화를 확인하여 회동조작축(2)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4a)의 탄발력에 의해 결합핀(42)의 양단은 경사면부(52a)에서 미끄러져 스트레이트부(52b)로 이동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a)의 탄발력에 의해 밸브봉(4)은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안전밸브의 밸브체(1a)로부터 떨어진다. 다만, 안전밸브내의 전자석이 여자되어 있기때문에 밸브체(1a)는 밸브열림상태인채로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캠 플런저(5)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결합편(53)이 돌설되어 있고,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6)의 내주면에는 결합편(53)에 결합하는 결합홈(61)이 각설되어 있다. 결합홈(61)은 경사면부(61a)와 해당 경사면부(61a)에 연속하는 스트레이트부(61b)로 구성되어 있다. 회동조작축(2)이 밸브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결합편(53)은 경사면부(61a)에 맞닿아 회동조작축(2)을 밸브폐쇄위치로부터 점화위치로 회동하면 회동력이 결합편(53)을 통해 경사면부(61a)에 전달되며, 회동중에는 마찰력에 의해 결합편(53)과 경사면부(61a)가 어긋나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중에는 캠 플런저(5)는 하강하기 때문에 스토퍼(6)도 캠 플런저(5)를 따라 스프링(6a)의 탄발력에 저항하면서 하강한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조작축(2)에서 손을 떼어 회동조작축(2)이 약간 되돌아오면 결합편(53)은 경사면부(61a)로부터 스트레이트부(61b)로 이동하고, 스토퍼(6)는 스프링(6a)의 탄발력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스토퍼(6)의 외주면에는 하나의 스토퍼편(62)이 돌설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케이스(10)의 내주면에는 회동조작축(2)을 점화위치까지 회동한 상태에서 스토퍼편(62)이 맞닿고, 스토퍼(6)의 더 이상의 회동을 금지하는 제 1 돌출맞닿음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해당 제 1 돌출맞닿음부(10b)는 스토퍼(6)가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토퍼편(62)에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와 같이 스토퍼(6)가 스프링(6a)에 의해 밀어올려진 상태로 되면, 스토퍼편(62)은 제 1 돌출맞닿음부(10b)에 맞닿지 않게 된다. 그러면, 회동조작축(2)은 다시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스토퍼편(62)이 제 2 돌출맞닿음부(10c)에 맞닿을 때까지 회동조작축(2)을 회동시킬 수 있다. 제 2 돌출맞닿음부(10c)는, 회동조작축(2)이 약화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스토퍼편(62)이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동조작축(2)을 밸브폐쇄위치까지 되돌리면 스토퍼편(62)은 원점돌출맞닿음부(10a)에 맞닿아 그 이상 회동조작축(2)을 되돌리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게 한다.
그러나, 상기 가스코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위치를 넘어 약화위치까지 회동조작할 수 있는 형태의 가스코크이지만, 회동조작축(2)을 일단 점화위치까지 회동조작한 후에는, 완전열림위치이상으로 회동조작할 수 없는 형태의 가스코크로 변경할 때에는, 캠 플런저(5)와 스토퍼(6)를 떼어 내어, 전용의 캠 플런저를 한 세트 설치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점화하고, 점화후 더 회동하여 조작함으로써 화력이 약화위치까지 감소하도록하였으나,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불상태에서 점화하여 더 회동하여 조작함으로써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최근 최대연소량이 크지 않은 고칼로리의 가스버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고칼로리 가스버너로는 중불상태에서도 충분히 점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점화하면 점화음이 강해지거나 조리용기로부터 화염이 넘어들어와 사용자가 놀라기 때문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화위치를 넘어서 회동하여 조작할 수 없는 형태의 가스코크와 부품을 대폭적으로 공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갯수가 적은 회동하여 조작할 수 있는 형태의 가스코크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Claims (1)

  1. 축선방향으로 자유롭게 왕복운동할 수 있는 봉형상의 밸브봉에 축선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결합핀을 돌설함과 동시에, 선단에 파인홈이 각설되고 파인홈내에 결합핀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동조작축과, 밸브봉을 회동조작밸브축측에 탄발시키는 탄발수단과, 회동조작축을 밸브폐쇄위치에서 밸브열림위치로 회동조작할 때에 상기 결합핀에 결합하고 회동조작축의 밸브열림방향으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봉을 상기 탄발수단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동조작축에 대한 밸브열림방향의 회동력을 제거함으로써 결합핀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밸브봉을 탄발수단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 왕복운동시키는 캠 플런저를 구비한 가스코크에 있어서, 캠 플런저의 외주에 통형상의 스토퍼를 유동가능하게 끼워서 해당 스토퍼를 축선방향의 회동조작축측으로 탄발시키는 제 2 탄발수단을 설치하고, 캠 플런저의 외주면에 결합편을 돌설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핀이 캠 플런저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결합편에 결합하여 스토퍼의 회동조작축측으로의 이동을 금지하고, 결합핀의 캠 플런저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면 제 2 탄발수단에 의해 스토퍼의 회동조작축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결합홈을 스토퍼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또한 스토퍼의 외주면에 스토퍼편을 돌설함과 동시에 스토퍼를 둘러싸는 케이스본체의 내면에 회동조작축을 밸브폐쇄위치로부터 밸브열림위치로 회동조작할 때에 회동도중에 설정된 점화위치에서 스토퍼편에 맞닿아 회동조작축의 새로운 회동을 규제하나, 스토퍼가 회동조작축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스토퍼편에 맞닿지 않는 제 1 돌출맞닿음부와, 스토퍼부가 회동조작축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동조작축의 회동종단위치를 규정하는 제 2 돌출맞닿음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코크.
KR10-2000-0039056A 1999-07-14 2000-07-08 가스 코크 KR100376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00281 1999-07-14
JP20028199A JP3660164B2 (ja) 1999-07-14 1999-07-14 ガスコ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744A true KR20010049744A (ko) 2001-06-15
KR100376820B1 KR100376820B1 (ko) 2003-03-19

Family

ID=1642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056A KR100376820B1 (ko) 1999-07-14 2000-07-08 가스 코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60164B2 (ko)
KR (1) KR100376820B1 (ko)
CN (1) CN113807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2174B2 (ja) * 2002-06-10 2006-11-08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制御装置
DE102005026211A1 (de) * 2005-06-07 2006-12-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shahn
JP5208235B2 (ja) * 2011-03-01 2013-06-12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装置
JP5441992B2 (ja) * 2011-11-25 2014-03-12 リンナイ株式会社 火力調節装置
CN102607073A (zh) * 2012-02-27 2012-07-25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燃气灶具
CN105299309B (zh) * 2014-06-13 2019-02-12 林内株式会社 煤气旋塞
JP6491877B2 (ja) * 2014-12-25 2019-03-27 株式会社フジキン 流体制御器
CN105240559B (zh) * 2015-09-25 2018-03-16 浙江新涛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凸轮限位机构的燃气旋塞阀
CN105805330B (zh) * 2016-05-13 2017-12-08 张卫 自锁式燃气阀
CN108150664B (zh) * 2018-01-31 2024-04-26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远程关火安全性的机械阀
TWI784666B (zh) * 2021-08-16 2022-11-21 關隆股份有限公司 瓦斯開關裝置
US11572955B1 (en) 2021-11-04 2023-02-07 Grand Mate Co., Ltd. Gas switc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27337A (ja) 2001-01-30
CN1138079C (zh) 2004-02-11
JP3660164B2 (ja) 2005-06-15
KR100376820B1 (ko) 2003-03-19
CN1281120A (zh) 200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820B1 (ko) 가스 코크
JP4128179B2 (ja) 火力調節装置
KR20010050286A (ko) 가스 코크
JP3066787B2 (ja) ガス器具の点火装置
JP2004012062A (ja) ガス制御装置
JPH0424310Y2 (ko)
KR20010015242A (ko) 점화기구
KR100223575B1 (ko) 가스콕
JP3793859B2 (ja) 自動点火用ガスコック
JP3831976B2 (ja) ガスコックの操作装置
JP4976799B2 (ja) 回転操作式のガス器具栓
EP1299675B1 (en) Remote-control device for gas cocks
JP3793861B2 (ja) 自動点火用ガスコック
JPH09196224A (ja) ガス器具の手動バルブ
JPH059577Y2 (ko)
KR920003011Y1 (ko) 가스 레인지용 가스밸브
TWI576543B (zh) Gas cocks (a)
JP2004012064A (ja) ガス制御装置
KR101584173B1 (ko) 가스코크
KR840001147Y1 (ko) 가스콕크 장치
TWI558952B (zh) Gas cocks (b)
JP3876454B2 (ja) ガス器具栓装置
KR910007487Y1 (ko) 무단조절밸브의 가스콕크
JPH08296836A (ja) ガス器具のバルブ装置
JP2019184126A (ja) 親子バーナ用火力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