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147Y1 - 가스콕크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콕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147Y1
KR840001147Y1 KR7905482U KR790005482U KR840001147Y1 KR 840001147 Y1 KR840001147 Y1 KR 840001147Y1 KR 7905482 U KR7905482 U KR 7905482U KR 790005482 U KR790005482 U KR 790005482U KR 840001147 Y1 KR840001147 Y1 KR 840001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safety valve
shaf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5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317U (ko
Inventor
마사히고 고우무라
마사히로 오구무라
히로시 이도오
Original Assignee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또오 스스무
Priority to KR7905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147Y1/ko
Publication of KR830000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9/00Pilot flame igniters
    • F23Q9/08Pilot flame igniters with interlock with main fuel supply
    • F23Q9/10Pilot flame igniters with interlock with main fuel supply to determine the sequence of supply of fuel to pilot and main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콕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1 실시예의 절단 측면도.
제2(a)도, 제2(b)도는 그의 작동을 설명하는 제1도의 Ⅱ-Ⅱ선의 절단면도.
제3(a)도, 제3(b)도는 그의 작동을 설명하는 제1도의 Ⅲ-Ⅲ선의 절단면도.
제4(a)도, 제4(b)도, 제4(c)도는 그의 작동을 설명하는 제1도의 Ⅳ-Ⅳ선의 절단면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절단 측면도.
제6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절단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변형예의 절단 측면도.
제8도는 연결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선도(線圖)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작축 2 : 가스콕크
2a : 가스 유입구 2b : 구화가스 유출구
2c : 주가스 유출구 3 : 안전 밸브기구
3a : 가스유입구 3b : 가스유출구
4 : 구동축 4a : 되돌리기스프링
4b : 슬리트 5 : 연결부재
6 : 연결자 6a : 스프링
6b : 캠 7 : 테이퍼 개폐장치
7a : 주가스통공 7b : 구화가스통공
8 : 밸브체 9 : 구화가스밸브
A : 주가스실 B : 구화가스실
10 : 점화스위치 10a : 작동용 볼
11 : 전자석 12 : 밸브체
12a : 스프링 12b : 흡착편
13 : 작동간 14 : 연결자
14a : 스프링 14' : 링
15 : 크로스핀 16 : 캠
17 : 캠기구 18 : 제1연결편
18a : 걸어맞춤편 19 : 제2연결편
19a : 걸어 맞춤요부 20 : 회동판
20a : 걸어맞춤편 20b : 걸어맞춤요부
21 : 스톱퍼 22 : 안전밸브
23 : 밸브체 24 : 작동간
25 : L형홈 25a : 수직홈부
25b : 수평홈부
본 고안은 가스오븐 기타의 가스 연소기에 사용하는 가스 콕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종류의 장치로서, 가스콕크와 일체로 하여 생(生) 가스의 방출을2방지하기 위한 안전 밸브나 자동 점화를 하기위한 구화(口火) 가스밸브나 점화스위치 기타의 기구를 구비하는 식의 것들은 알려져 있었으나, 기존의 가스콕크에는 이들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것도 있어서, 이와 같은 가스콕크에도 그의 외측에 필요에 따라 이들 기구를 병설하여 이것을 그 가스콕크의 조작축에 연통시켜 작동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었고, 이 경우 그 연동기구를 가스콕크에 특별히 가공할 필요도 없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하는 것이 요망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조작축(1)의 외단부에 걸어맞춤 돌편(18a)(18a)을 형성한 제1연결편(18)을 굴대 붙임하고, 걸어 맞춤편(20a)(20a)을 돌출되게 설치시키며 외주에 걸어 맞춤요부(20b)(20b)가 형성된 회동판(20)을 상기의 제1연결편(18) 하측의 조작축(1)의 굴대설치하여 스톱퍼(21)를 형성하고, 조작축(1)에 굴대 설치된 브래키트(bracket)(20c)에 회동판(20)을 유설시키며, 우측에 형성된 구동축(4)의 외단부에 걸어 맞춤 요부(19a)(19a)를 갖는 제2연결편(19)을 회동판(20)의 걸어 맞춤편(20a)(20a)에 항상 걸어 맞춤되도록 하여 연결부재(5)를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조작축(1)의 하단에 연결자(6)를 굴대붙임하며 상기연결자(6)를 가스콕크(2) 내부에 굴대설치된 테이퍼 개폐장치(7)에 유설하고, 연결자(6)의 하단에 굴대 붙임한 밸브체(8)를 구화가스밸브(9)에 굴대설치하며, 연결자(6)의 하단과 테이퍼 개폐장치(7)의 내부에 스프링(6a)를 탄력설치시키며 테이퍼 개폐장치(7)에 주가스실(A)과 구화가스실(B)을 형성시켜 주가스실(A)과 구화가스실(B)에 주가스통공(7a)과 구화가스통공(7b)을 각각 천공시킨 것이다.
또한 가스콕크(2)의 외측에 점화 스위치(10)의 작동용 볼(10a)은 연결자(6)의 둘레면의 캠(6b)에 의해 유동 되게구성 시킨 것이고, 상기의 테이퍼 개폐장치(7)를 내장한 가스콕크(2)는 일측에 가스 유입구(2a)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구화 버어너에 연결되는 구화가스 유출구(2b)와 주버어너에 연결되는 하단의 주가스 유출구(2c)를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회동판(20)의 외부에 돌출하여 설치된 걸어 맞춤편(20a)(20a)은 제2연결편(19)의 걸어맞춤 요부(19a)(19a)와 항시 걸어 맞춤 되어 있으며 상기의 제 2연결편(19)을 굴대 설치한 구동축(4)은 되돌리기 스프링(4a)으로 탄력지지되고, 구동축(4)의 하단에 슬리트(4b)를 형성하여크로스핀(15)을 걸어 맞춤한 후 캠(16)을 형성한 캠기구(17)에 개재시키고, 상기 구동축(4)의 슬리트(4b)의 하단에 동작간(13)을 굴대 설치하고 내부에 링(14')을 끼워 맞춤한 연결자(14)를 위치시켜 연결자(14)의 하단에 스프링 (14a)을 탄력설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안전 밸브 기구(3)의 내부 하단에 전자석(11)을 설치하여 밸브체(12)와 일체로 굴대 붙임한 흡착편(12b)을 전자석(11)에 붙였다 떨어졌다하게 설치하고, 상기 안전밸브 기구(3)의 일측에 가스 유입구(3a)을 형성하며 타측에 가스유출구(3b)를 형성하여 가스콕크(2)의 가스유입구(2a)와 접속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5도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단의 안전 밸브(22)를 갖는 가스 콕크(2)와 상기 안전밸브(22)에 비접속인 안전밸브(3)를 병설하고, 가스콕크(2)는 내장된 구화가스 밸브(9)에 밸브체(8)의 하단을 하방에 연장하여 동작간(24)을 형성시켜 하단의 안전밸브(22)의 밸브체(23)에 대향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제6도 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의 안전 밸브(22)를 구비한 가스콕크(2)에 안전밸브(3)를 병설하고, 안전밸브(3)의 가스유출구(3b)를 상기의 안전 밸브(22)에 형성한 가스 유입구(2a)에 접속되게 구성한 것이고,
제8도는 다른 예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 연결편(19)에 제1 연결편(18)을 삽입하는 L형 홈(25)을 형성하여 일단에 수직홈부(25a)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수평홈부(25b)가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1)과 일체로 형성된 제1연결편(18)을 아래로 누르면서 회전시키면 걸어 맞춤 돌편(18a)(18a)이 회동판(20)외주의 걸어 맞춤 요부(20b)(20b)에 걸어 맞춤 하는 동시에 회동하면서 제1연결편(18)의 걸어 맞춤편(20a)에 제2연결편(19)의 걸어 맞춤 요부(19a)가 항상 걸어 맞춤 되어 있으므로 제2연결편(19)을 굴대붙임시킨 구동축(4)도 되돌리기 스프링(4a)에 저항하면서 회동을 하게 된다.
아래쪽으로 회동한 상기 조작축(1)의 하단에 굴대붙임된 연결자(6)는 스프링(6a)의 저항을 받으면서 회동하여 아래로 움직이며 상기 연결자(6)의 하단에 굴대 붙임된 밸브체(8)도 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1도, 제2(a)도, 제3(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화가스 유출구(2b)와 구화가스통공(7b), 가스유입구(2a)와 주가스통공(7a)이 폐쇄된 위치에서 제2(b)도 및 제3(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연결자(6)의 회동으로 테이퍼 개폐장치(7)가 회동되어 구화가스 유출구(2b)와 구화가스통공(7b)의 통로가 일치하고 또한 가스 유입구(2b)와 주가스통공(7a)도 일치하여 통로가 형성되고 아래로 움직인 상기 밸브체(8)가 구화가스 밸브(9)를 개재하여 주가스실(A)로 유지되어 밸브가 열리게 되므로 가스유입구(2a)를 통과한 가스는 주가스실(A) 및 주가스통공(7a)을 경유하여 주가스유출구(2c) 및 구화가스실(B)로 가스송기가 행하여 진다.
구화가스실(B)로 송기된 가스는 구화가스통공(7b)을 경유하여 구화가스 유출구(2b)로 통과되어 구화버어너로 가스의 송기가 행하여져 상기의 가스콕크 (2)의 외측에 구비한 점화 스위치(10)의 작동용 볼(10a)이 연결자(6)의 둘레면의 캠(6b)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려나서 스위치(10)까 폐로가 되므로 구화 버어너에 점화가 발생하며 주가스 유출구(2c)로 송기된 가스는 구화 버어너에 의한, 점화에 의하여 주 버어너도 점화가 이루어지게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회동판(20)이 회전하면, 외부에 돌출하여 설치된 걸어 맞춤핀(20a)과 제2 연결편(19)에 형성된 걸어 맞춤 요부(19a)의 걸어 맞춤에 의해 구동축(4)은 되돌리기 스프링(4a)의 저항을 받으면서 회동하며, 구동축(4)을 회전시키면 그 하단의 슬리트(4b)에 위아래 움직임이 자유롭게 걸어맞춤 시킨 크로스핀(15)은 구동축(4)과 일체로 형성된 캠 기구(17)에 의해 회동되면서 연결자(14)에 끼워 맞춤시킨링(14')의 상면 테두리에 맞닿게 되고, 계속하여 핀(15)이 캠(16)의 하단 경사 테두리면에 안내되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링(14')이 아래로 이동하므로 링(14')을 끼워 맞춤시킨 연결자(14)가 아래로 이동된다.
이때 연결자(14)는 회동은 하지 않고 스프링(14a)의 저항을 받으면서 아래로 이동만 하는 것이고. 연결자(14)가 아래로 이동하게되면 동작간(13)도 연결자(14)에 의해 아래로 이동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링(14')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자(14)의 상면 테두리에 크로스핀(15)을 직접 맞닿게하여도 좋은 것이다.
아래로 움직인 동작간(13)은 안전밸브기구(3) 내부에 장설된 흡착편(12b)을 눌러서 전자석(11)에 압접되어 상기한 주 버어너의 점화에 의하여 열전대 기타의 화염검출 소자의 출력에 의해 전자석(11)의 여자로 밸브체(12)가 전자석(11)에 흡착되는 동시에 밸브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스 유입구(3a)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가스 유출구(3b)로 가스 송기가 행하여진다.
상기의 가스 송기 경로를 집약하면 밸브체(12)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통로가 열리므로 가스 유입구(3a)로 유입된 가스는 가스 유출구(3b)로 가스송기되고, 가스유출구(3b)로 송기된 가스는 가스 유입구(2a)로 유입되어 주 가스실(A)을 경유하여 주가스유출구 (2c) 및 구화가스실(B)로 가스 송기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구화가스실(B)로 송기된 가스는 구화가스통공(7b)을 경유하여 구화가스 유출구(2b)로 가스 송기가 행하여져 구화버어너로 송기되며 이때 상기의 가스콕크(2)의 외측에 설치한 점화스위치(10)의 작동용 볼(10a)이 연결자(6)의 회동으로 연결자(6)의 둘레면의 캠(6b)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려나서 점화스위치(10)가 폐로가 되므로 구화버어너에 점화가 행하여 지며, 주가스 유출구(2c)로 송기된 가스는 주 버어너로 송기되어 점화된 구화버어너에 의해 주버어너도 점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조작축(1)을 누르는 조작을 중지하면 연결자(6)의 하단에 탄력 설치된 스프링(6a)의 탄력에 의하여 연결자(6)가 위쪽으로 움직이며, 연결자(6)를 굴대 붙임한 조작축(1)도 위쪽으로 움직이므로 구동축(4)에 굴대 붙임된 제2연결편 (19)도 되돌리기스프링(4a)에 의해 되돌림 회동하면서 원위치로 되고, 상기의 제2연결편(19)에 의해 회동판(20)도 되돌림 회동이 되며, 제4(c)도 표시의 상태와 같이 제1 연결편(18)의 걸어 맞춤 돌편(18a)(18a)이 회동판(20)의 걸어맞춤요부(20b)(20b)의 위쪽으로 이탈하면서 축방으로 벗어나게 되어 제1연결편(18)과 제2연결편(19)의 연결이 풀리게 되어 불작동 상태로 변환 되게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작축(1)의 하단에 굴대 붙임된 연결자(6)가 스프링(6a)에 의해 위쪽으로 움직일때 연결자(6)에 굴대 붙임된 밸브체(8)도 위쪽으로 이동하여 밸브체(8)에 의해 구화가스 밸브(9)가 닫히게 되므로 구화가스실(B)로 이송된 생가스는 정지하게 되며 주 가스실(A)로 이송된 생가스는 주 가스 유출구(2c)를 통해 주버어너로만 송기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연결자(6)의 캠(6b)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났던 작동용 불(10a)이 연결자(6)이 회동과 함께 위쪽으로의 움직임에 의하여 점화스위치(10)에서 이탈하여 점화스위치(10)의 개로가 이루어지고, 연결 부재(5)가 불작동 상태로 변환되며 구동축(4)이 스프링(4a)에 의해 회동되어 연결자(14)와 동작간(13)이 실화사고에 대한 안전밸브(3)의 밸브닫힘작동에 대비하게끔 스프링(14a)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기의 불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제4(c)도에 표시한 상태에서 조작축(1)을 누르면 제1 연결편(18)의 일측의 걸어 맞춤 돌편(18a)이 회동판(20) 상면에 맞닿게 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즉, 회동판(20)은 조작축(1)의 닫힘 위치에서의 누르는 조작을 저지하는 스톱퍼(21)로서의 기능을 하게된다. 예를 들어, 점화후 조작축(1)을 닫힘 위치로 되돌리지 아니하였음에도 바람등의 영향으로 버어너가 사용도중 실화하는 경우에 실화후 안전밸브(3)가 닫힐때까지의 사이에 버어너로부터 방출되는 생가스가 버어너의 부근에 잠시 머무르게 되고, 소정의 닫힘 위치에 있는 조작축(1)을 실화직후에 그대로의 위치에서 눌러 조작하여 점화스위치(10)를 폐로로 하면 이 잔류가스에의 폭발착화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잔류가스의 확산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작축(1)의 닫힘 위치 이외에서의 누르는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하여 조작축(1)을 열림 위치에서 일단 닫힘 위치로 되돌린후에 눌러돌림에 의한 점화조작을 행하지 아니하는 한재점화가 이루어질 수 없게하여 실화직후의 누르는 조작에 의한 재점화로 잔류가스에 폭발착화를 일으킬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스 콕크(2)의 상단의 조작축(1)과 구동축(4)을 각축(1)(4)의 외단부에서 연결부재(5)로 개재하여 연결하고, 그 가스콕크(2)에 특별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고 조작축(1)에 연동하여 그 기구(3)를 작동할 수 있게한 것으로서 상기의 요망을 확실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은 안전밸브를 구비하지 않은 가스콕크(2)에 안전밸브(3)를 병설한 것에 대하여 설명 하였으나, 상화용(上火用)버어너와 하화용(下火用)버어너를 갖는 오븐등의 복수의 버어너를 구비하는 연소기에 있어서는 안전밸브를 구비하는 가스콕크라 하여도 버어너수에 따라 다시 안전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5도는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조작축(1)을 눌러 회전시키게하는 조작에 의하여 구화 가스 밸브(9)의 열림과 테이퍼 개폐장치(7)의 열림, 그리고 안전밸브(22)의 열림이이루어지게 되고, 그 안전밸브(22)에 설치한 가스 유입구(2a)에서 가스가 테이퍼 개폐장치(7)의 주가스실(A)로 송기하여 주가스통공(7a)을 경유하여 주가스 유출구(2c)로 송기되며, 주가스 유출구(2c)에 송기된 가스는 주버어너로 공급되고 또한 주가스실(A)로 유입된 가스는 구화가스 밸브(9)를 경유하여 구화가스실(B)로 송기되어 구화가스통공(7b)과 이에 접속된 구화가스 유출구(2b)에 가스송기가 행하여져 구화 버어너에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가스콕크(2)에 병설하는 안전밸브(3)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것으로 구성하고, 조작축(1)을 눌러 회전시키게 하는 조작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와 같은 연결부재(5)를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구동축(4)이 되돌리기 스프링(4a)의 저항을 받으면서 열려 가스 유입구(3a)에서 가스 유출구(3b)로 가스가 공급되게한 것이다.
여기에서, 가스콕크(2)의 주가스 유출구(2c)와 안전밸브(3)의 가스 유출구(3b)에 대한 예를들면 연소기일방의 버어너와 타방의 버어너를 각각 별개로 접속하고, 각 버어너에 구비한 구화 버어너를 가스콕크(2)의 구화가스 유출구(2b)에 통공으로 접속하고 조작축(1)을 눌러 회전하게 조작을 하면 점화스위치(10)의 폐로에 의하여 각구화 버어너에 점화가 행하여져 각 구화 버어너에 의해 양 버어너에 점화가 행하여지고, 또한 각 안전밸브(3)(22)를 개재하여 가스 송기되는 각각 별개의 버어너의 화염으로 열림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어느 것이든 일방의 버어너에서 실화가 발생하면 이것에 대응되는 안전 밸브(3) 또는 다른 안전 밸브(22)가 닫혀서 그 버어너에서의 생가스의 방출이 방지되게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6 도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단의 안전밸브(22)를 구비한 가스콕크(2)에 안전밸브(3)를 병설하고, 그 안전밸브(3)의 가스유출구(3b)를 상기 안전밸브(22)에 설치한 가스유입구(2a)에 접속한 것으로, 그 가스콕크(2)의 주가스 유출구(2c)에 연소기의 일방고 타방의 버어너를 공통으로 접속하고, 각 안전밸브(3)(22)를 각각 별개의 화염으로 열림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어느것이든 일방의 버어너에서 실화가 발생하면 이것에 대응하는 안전밸브(3) 또는 다른 안전밸브(22)의 닫힘에 의하여 양버어너에 가스 송기가 정지되어 실화가 발생한 버어너의 생가스가 타방의 버어너의 화염에 의해 폭발하는 위험을 확실하게 방지할수 있게한 것이다.
그리고 제8도는 연결부재(5)를 다른 예로 실시하는 것으로, 제2연결편(19)에 제1연결편(18)을 삽입하는 L형 홈(25)을 형성하고, 조작축(1)을 닫힌 위치에서 누르는 조작에 의하여 제1연결편(18)이 그 L형 홈(25)의 일단의 수직홈부(25a)에 걸어맞춤하는 작동 상태로 되며, 누르는 조작을 중지하면 제1연결편(18)이 L형 홈(25)의 수평홈부(25b)에 상방으로 움직여 불작동 상태로 변환되고, 또한 그 수평홈부(25b)가 조작축(1)의 닫흰 위치와 누르는 조작을 저지하는 스톱퍼(21)로서의 기능을 하도록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스콕크(2)의 외측에 안전 밸브기구(3)의 1개를 병설할 수 있고, 또한 2개 이상의 안전 밸브기구를 병설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고, 상기한 구화 가스 밸브(9)나 점화스위치(10)를 구비하지 않는 가스콕크에 있어서는 그 안전밸브 기구(3)를 구화 가스 밸브나 점화스위치로 구성할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서 변환 밸브나 타이머 등으로 구성 할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단의 조작축(1)에 의하여 개폐작동 되는 가스콕크(2)의 외측에 이 조작축(1)의 폐쇄위치로부터의 눌러돌림에 의한 점화 조작시에만 작동하는 안전밸브 기타의 기구(3)를 적어도 1개 병설하는 것에 있어서, 이 기구(3)를, 상단에 구동 축(4)을 장치하여 이축(4)의 되돌림 스프링(4a)에 대향한 회동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구성하고, 이 조작축(1)과 이 구동축(4)을 이들 양측(1)(4)의 외단부에 각각 굴대붙임한 제1, 제2의 연결편(18)(19)이 있는 연결부재(5)를 통하여 연결하는 동시에, 이 연결부재(5)를 이 조작축(1)의 누르는 조작과 누르는 조작의 해방에 따르는 이제 1연결편(18)의 아래쪽과 위쪽으로의 이동으로서 이양연결편(18)(19)이 연결되는 작동 상태와 이 연결이 해제되는 불작동 상태의 변환이 자유롭게 하고, 이 불작동상태로의 변환에 의하면 이 구동축(4)에 이 되돌림 스프링(4a)에 의한 되돌림 회동이 부여되도록 하여서 구성된 가스콕크 장치.
KR7905482U 1979-09-10 1979-09-10 가스콕크 장치 KR840001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5482U KR840001147Y1 (ko) 1979-09-10 1979-09-10 가스콕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5482U KR840001147Y1 (ko) 1979-09-10 1979-09-10 가스콕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17U KR830000317U (ko) 1983-04-30
KR840001147Y1 true KR840001147Y1 (ko) 1984-06-30

Family

ID=7247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5482U KR840001147Y1 (ko) 1979-09-10 1979-09-10 가스콕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1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17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2200A (en) Thermo-electric safety igniter with reignition lock
US3348561A (en) Control apparatus for gas burners
KR840001147Y1 (ko) 가스콕크 장치
KR20010049744A (ko) 가스 코크
GB1320307A (en) Gas control system with thermo-electric ignition safety device
JPH0424310Y2 (ko)
US2777316A (en) Safety attachment for a stove
CA2516063A1 (en) Gas regulating valve
JPS6014121Y2 (ja) ガスコツク装置
GB2088021A (en) Fluid flow control valve
US3026927A (en) Device for the control and selection of fuel to a burner
JPS5931651B2 (ja) ガス燃焼器における安全装置
KR900009722Y1 (ko) 2개의 주가스분출구를 가지는 코크
US9772110B2 (en) Gas control valve featuring magnetic control and gas ignition system having the same
EP1299675B1 (en) Remote-control device for gas cocks
JPS605249Y2 (ja) ガス器具における点火装置
KR900005860Y1 (ko) 가스 레인지의 안전장치
JPS60228821A (ja) 電磁安全弁の開閉検知装置を備える弁装置
US2402011A (en) Pilot valve construction
KR890005964Y1 (ko) 가스 히터의 가스 공급 조절장치
JPS6021665Y2 (ja) ガスコツク
KR930000769Y1 (ko) 가스기기의 자동 점화장치
KR910007487Y1 (ko) 무단조절밸브의 가스콕크
JPH0141015Y2 (ko)
KR930005322Y1 (ko) 가스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6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