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425A - 직기 기동방법 - Google Patents

직기 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425A
KR20010049425A KR1020000028645A KR20000028645A KR20010049425A KR 20010049425 A KR20010049425 A KR 20010049425A KR 1020000028645 A KR1020000028645 A KR 1020000028645A KR 20000028645 A KR20000028645 A KR 20000028645A KR 20010049425 A KR20010049425 A KR 20010049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loom
weft yarn
yarn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나다마사루
Original Assignee
데라다 도키오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다 도키오,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라다 도키오
Publication of KR2001004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42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34Weft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공타 기간중에는, 공타 기간 종료후에 대비하여, 측장부 및 저류부를 위사에 대한 필요한 처리를 바로 재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대기상태로 설정한다.
직기(1)의 주축(3)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한쌍의 로울러(4,5) 사이에 위사(6)를 접촉시켜 위사(6)를 송출하는 측장부(7)와, 이 측장부(7)로부터 송출된 위사(6)를 가동부(8,39)의 회전운동에 의해 위사넣기 될 때까지의 동안에 위사(6)를 저류하는 저류부(9)를 가진 측장저류장치(2)를 구비한 직기에 있어서, 직기(1)의 기동시에, 기동직후로부터 수 피크 동안의 공타 기간중에 위사넣기를 하지 않고서 바디치기하고, 이 공타 기간의 경과후에 위사넣기를 개시하는 과정으로, 공타 기간중에는 주축(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측장부(7)의 로울러(4)에 대하여 위사(6)를 접촉시키지 않고서 위사(6)의 송출을 정지하고, 또한 저류부(9)의 가동부(8,39)의 회전운동을 계속하면서, 위사(6)의 저류를 정지시켜, 위사(6)에 적당한 장력을 부가하여 측장저류장치(2)를 대기상태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직기 기동방법{ACTIVATING METHOD FOR A LOOM}
본 발명은, 측장부(測長部) 및 저류부(貯留部)로 구성되어 있는 측장저류장치를 구비한 직기(織機)에 있어서, 기동직후로부터 수 피크의 공타 기간중에 위사넣기를 하지 않고 바디치기하면서 기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타 기간중에 상기 측장부 및 저류부를 대기상태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소 59-21751호 공보는, 직물의 제직중에 발생한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직기의 기동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그 기동방법에서, 기동후에 적어도 2회전할 때까지는, 위사넣기를 하지 않고 공타(空打)로 하는 것에 의해, 소위 공타상태로 설정하고 있다. 이 기동직후부터 위사넣기를 하지 않는 기간, 소위 공타 기간에는 위사넣기노즐을 분사시키게 되지만, 위사의 측장저류장치의 이외에, 감는장치, 송출장치 등과, 이들 장치의 구동원인 직기의 주축(主軸)과의 연결을 클러치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그들 장치를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로 설정하고 있다.
공타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클러치가 맞물림하여 측장저류장치를 직기의 주축에 연결하면, 급격한 기동에 의해 측장저류장치에 충격이 가해져서,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클러치에 슬립이 발생하여 위사길이가 정확하지 않게 되거나, 또는 공타 기간중에 위사의 느슨해짐에 따른 꼬임이 생겨, 위사넣기 할 때에 위사넣기노즐에서 위사의 막힘이 발생하거나, 위사넣기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분사식의 직기에 있어서, 기동직후부터 수 피크의 공타 기간중에, 위사넣기를 하지 않고 바디치기하면서 기동하는 기동방법에 있어서, 공타 기간중에는 공타 기간의 종료후에 대비하여, 측장부 및 저류부를 위사에 대해 필요한 처리를 바로 재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대기상태로 설정함으로써, 그 후의 위사넣기가 개시될 때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위사넣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물분사식의 직기에 측장저류장치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정지드럼식의 저류부의 단면도,
도 3은, 정지드럼의 사시도,
도 4는, 드럼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직기의 운전개시시에 있어서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공타에서 측장준비의 개시까지의 동작 설명도,
도 7은, 측장·저류동작의 개시 시점에서의 동작 설명도,
도 8은, 측장·저류동작중의 동작 설명도,
도 9는, 위사넣기 개시시의 동작 설명도,
도 10은, 위사넣기 중의 동작 설명도,
도 11은, 위사넣기 종료로부터 다음 피크의 측장·저류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동작 설명도,
도 12는, 회전드럼식의 측장부의 일부 파단정면도,
도 13은, 회전드럼식의 측장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기 2 : 측장저류장치
3 : 주축 4 : 측장용 로울러
5 : 종동측 로울러 6 : 위사
7 : 측장부 8 : 얀가이드
9 : 저류부 10 : 실공급체
11 : 가이드 12 : 제 1 클램퍼
13 : 제 1 풀리 14 : 벨트
15 : 제 2 풀리 16 : 풀리
17 : 레버 18 : 지지점
19 : 솔레노이드 20 : 구동로울러
21 : 모터 22 : 케이스
23 : 축 24 : 축받이
25 : 실안내관 26 : 정지드럼
26a : 홈 27 : 홀더
28 : 축받이 29 : 아암
30,31 : 영구자석 32 : 커버
33 : 걸림핀 34 : 솔레노이드
35 : 가이드 36 : 제 2 클램퍼
37 : 위사넣기노즐 38 : 노즐홀더
39 : 회전드럼 40 : 커버
41 : 기류발생수단 42 : 공급구
상기의 목적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직기 기동방법은, 청구항 1에서, 직기의 주축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한쌍의 로울러 사이에 위사를 접촉시켜 위사를 송출하는 측장부와, 이 측장부로부터 송출된 위사를 가동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위사넣기가 될 때까지의 동안에 위사를 저류하는 저류부를 가진 측장저류장치를 구비한 직기에 있어서, 직기의 기동시에, 기동직후로부터 수 피크 동안의 공타 기간중에 위사넣기를 하지 않고서 바디치기하고, 이 공타 기간의 경과후에 위사넣기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공타 기간중에는, 주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측장부의 로울러에 대하여 위사를 접촉시키지 않고서 위사의 송출을 정지하고, 또한 저류부의 가동부의 회전운동을 계속하면서 위사의 저류를 정지시켜, 위사에 적당한 장력을 부가하여 측장저류장치를 대기상태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2의 직기 기동방법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측장부에서, 한쌍의 로울러중, 한쪽의 측장용 로울러를 직기의 주축에 동기하여 회전시켜 두고, 다른쪽의 종동측 로울러를 공타 기간중에 측장시와 동일한 상태로 회전시키고 있다.
청구항 3의 직기 기동방법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저류부를, 위사를 저류하기 위한 정지드럼, 이 정지드럼의 바깥둘레에 위사를 감아 붙이기 위한 가동부로서의 얀가이드, 정지드럼 상에서 위사를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림핀에 의해 구성하며, 공타 기간중에 걸림핀을 풀림위치에 두고, 얀가이드의 회전운동를 계속시키는 것에 의해, 위사에 적당한 장력을 부가하고 있다.
청구항 4의 직기 기동방법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저류부를, 위사를 저류하기 위한 회전드럼, 이 회전드럼의 바깥둘레에 선회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류발생수단에 의해 구성하며, 공타 기간중에 가동부로서의 회전드럼을 회전시키고, 또한 기류발생수단에 의해, 회전드럼의 바깥둘레에 선회기류를 발생시켜 두는 것에 의해, 위사에 적당한 장력을 부가하고 있다.
여기에서, 대상이 되는 직기는, 유체(물·공기)분사식 직기이며, 1색의 위사넣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색 위사넣기에 대한 공타 기동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측장부의 2개의 로울러중, 적어도 한쪽은 주축에 동기한 상태로 구동된다. 또한 측장부가 측장하는 위사의 길이는, 직기의 주축의 1회전에 대응하여 1피크분을 측장하는 것이며, 측장부에 미리 수 피크분의 위사를 저류하는 형식의 측장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용할 수 없다.
공타 기간중의 측장부의 대기상태는, 위사를 송출하지 않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어 측장부의 2개의 로울러를 떨어뜨리게 하거나, 또는 적극적으로 구동하지 않는 종동측 로울러를 정지상태로 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로울러를 정상운전시의 둘레속도로 예비회전시켜 둔다. 이 예비회전에 의해, 측장개시시에 한쌍의 로울러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위사에 필라멘트 깨짐·위사 절단 등의 손상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다.
공타 기간중의 저류부의 대기상태에 있어서, 적당한 장력은 위사를 얽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정 부여된다. 대기상태를 정상운전과 같은 상태로 설정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위사에 대한 손상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그 보다 약한 조건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이러한 설정은, 얀가이드의 회전속도의 변경, 기류발생수단에 의한 기류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또 저류부에 있어서의 가동부로서의 얀가이드·회전드럼의 회전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위사에 꼬임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스판 위사이더라도 위사강도가 저하하지 않고, 직물 품질도 유지된다.
공타 기간중에는, 측장저류장치의 상류 및 하류에서, 위사가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수단을 배치하면 좋다. 기존의 구성으로 충분한 유지력을 기대할 수 있으면 유지수단을 생략하여도 좋다. 실공급체로부터 위사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공급체와 저류부의 사이에 저지수단(클램퍼·텐서)을 배치하여, 공타 기간중에는 위사에 유지력을 작용시킨다. 또한 측장저류장치로부터 위사넣기수단(위사넣기노즐) 사이에서의 위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측장저류장치로부터 위사넣기노즐의 사이에 저지수단(클램퍼·텐서)을 배치하여, 공타 기간중에는 위사에 유지력을 작용시킨다. 공타 기간중에는 저류에 의해 되돌리려는 힘이 작용하여, 위사의 선단이 측장저류장치로 끌려들어가는 소위 노즐빠짐이 생기거나, 또 위사넣기노즐의 분사가 행해지면, 저류부에 존재하는 위사가 위사넣기된다는 문제가 있으나, 이들은 상기 저지수단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
공타 기간중에는, 측장부 및 저류부를 정상 위사넣기시에 가까운 대기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위사는 송출되지 않고, 더구나 저류부에서는 원하는 장력부여상태에 의해, 위사가 서로 얽히지 않고 유지된다. 그 후에 정상 위사넣기를 위해 측장저류동작을 개시하면, 위사에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위사의 저류동작이 개시되기 때문에, 공타 기간중에 생긴 위사의 느슨함으로 인해 위사끼리 얽히거나, 위사넣기 재개시에 위사넣기노즐에서 실의 막힘이 발생하여, 위사넣기 미스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으며, 공타 기간의 종료후에도 확실하게 위사넣기를 계속 할 수 있다.
(실시형태)
도 1은, 직기(1)로서, 예를 들면 물분사식 직기에 측장저류장치(2)를 조립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측장저류장치(2)는 직기(1)의 주축(3)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한쌍의 로울러(4,5)에 위사(6)를 접촉시켜 송출하는 측장부(7)와, 이 측장부(7)로부터 송출된 위사(6)를 가동부로서의 얀가이드(8)의 회전운동에 의해, 위사넣기가 될 때까지의 동안에 저류하는 정지드럼식의 저류부(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위사(6)는 실공급체(10)로부터 공급되어, 가이드(11), 저지수단으로서의 제 1 클램퍼(12)를 지나서 한쌍의 로울러(4,5)의 사이에 끼워져, 저류부(9)의 입구측에 이르고 있다. 한쪽의 로울러(4)는 측장용이며, 주축(3)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풀리(13), 얀가이드(8)의 축(23) 부분에 고정된 제 2 풀리(15), 이들에 감겨 걸려진 타이밍벨트 등의 벨트(14) 및 이 벨트(14)에 접속하는 로울러(4)의 풀리(16)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측의 측장용 로울러(4)에 대하여 종동측 로울러(5)는, 레버(17)의 선단부분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레버(17)의 지지점(18) 및 레버(17)의 기초끝단부분에 부착된 솔레노이드(19)에 의해, 로울러(4)에 대하여 접착 및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 종동측 로울러(5)가 구동측의 측장용 로울러 (4)로부터 떨어졌을 때, 구동로울러(20)에 접속하며, 이 구동로울러(20)에 연결된 모터(21)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종동측 로울러(5)의 바깥둘레면에는 탄성재, 예를 들면 우레탄고무가 장착되어, 로울러(5)와 위사(6)의 마찰적인 접촉도가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로울러 (5)가 로울러(4)에 접촉하였을 때, 탄성재는 가압력에 의해 변형하고, 변형한 상태에서 위사(6)에 접한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로울러(4)로부터 로울러(5)가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위사(6)는 그 자체의 장력으로 측장용 로울러(4)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사(6)를 끼워넣기 위한 얀가이드 등을 별도로 설치하여, 실의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한쌍의 로울러(4,5)에 대하여 위사(6)가 적극적으로 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는, 정지드럼식의 저류부(9)를 나타내고 있다. 얀가이드 (8)는 축(23), 축받이(24)에 의해, 케이스(22)의 내부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실안내관(25)과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측장부(7)에 의해 측장된 위사 (6)를 정지드럼(26)의 바깥둘레면으로 유도한다. 또 얀가이드(8)는 주축(3)의 1회전에 대하여 n회전하도록 제 1 풀리(13), 제 2 풀리(15)의 바깥직경이 정해져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정수이다. 그 구체예로서 정지드럼(26)은 4분할되어 있으며, 홀더(27)를 개재하여 축받이(28)에 의해, 축(23)에 대하여 축(23)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 얀가이드(8) 및 실안내관(25)은, 아암(29)에 의해 축(23)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홀더(27)는 바깥둘레면의 소정 위치에, 영구자석(30)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케이스(22)에 고정되어 있는 나팔형상의 커버(32)의 영구자석(31)에 대향시킴으로써, 축(23)의 회전에 대하여, 정지드럼(26)과 함께 정지(회전방지)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정지드럼(26)에 감겨진 위사(6)는, 걸림핀(33)에 의해 걸어멈춤되도록 되어 있다. 걸림핀(33)은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34)에 의해 정지드럼(26)의 홈 (26a)의 내부로 진출함으로써, 위사(6)를 걸어멈춤하고, 또한 위사넣기 타이밍에서 풀림위치까지 후퇴함으로써, 정지드럼(26)의 바깥둘레면에 저류되어 있는 위사(6)를 풀어낸다. 풀려진 위사(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35), 저지수단으로서의 제 2 클램퍼(36)를 지나서, 위사넣기노즐(37)의 내부에 이르고 있다. 또 위사넣기노즐(37)은 노즐홀더(38)에 의해 위사넣기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11은, 직기(1)의 공타 기동으로부터 위사넣기를 개시할 때까지의 측장저류장치(2)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중의 각도는 직기의 주축(3)의 회전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직기(1)의 운전을 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직기(1)의 주축 (3)이 회전함으로써, 이에 연이어 동작하는 측장용 로울러(4) 및 얀가이드(8)는, 주축(3)의 회전에 동기한 상태로 회전한다. 이 때 솔레노이드(19)가 레버(17)를 구동하여, 종동측 로울러(5)를 로울러(4)로부터 떼어놓고 있기 때문에, 위사(6)는 저류부(9)의 방향으로 송출되지 않는다. 또 이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제 1 클램퍼 (12)가 닫힌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위사(6)의 송출을 확실하게 저지하고 있다. 한편 걸림핀(33)은 풀림위치로 후퇴하고 있기 때문에, 위사(6)는 얀가이드(8)의 회전에 따라, 정지드럼(26)의 주위를 회전이동한다. 얀가이드(8)의 회전에 의해, 위사(6)에 적절한 장력이 부여된다. 그 동안에 모터(21)는, 구동로울러(20)를 구동하여, 로울러(5)를 설정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후의 측장동작에 대비한다.
도 6은, 공타 기간중에서 측장동작의 준비를 개시하기까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공타 기간중에, 제 1 클램퍼(12) 및 제 2 클램퍼(36)가 닫혀 있으며, 측장용 로울러(4)로부터 위사(6)가 떨어져,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위사(6)는 측장부(7)로부터 저류부(9)로 송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저류부(9)에 있어서, 위사(6)는 얀가이드(8)의 회전에 의해, 정지드럼(26)의 바깥둘레를 계속 회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위사(6)에는 원하는 장력을 계속 가할 수 있다.
도 7은, 공타 기간의 경과에 의해, 측장·저류동작을 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측장동작의 개시를 위해, 솔레노이드(19)는 레버(17)를 구동하여, 로울러(5)를 측장용 로울러(4)에 접촉시킨다. 이 타이밍은 얀가이드(8)로 안내된 위사 (6)가 걸림핀(33)에 의해 걸어멈춤되는 시기에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정해진다. 걸림핀(33)의 돌입시기는, 상기한 만큼 정확하지 않아도 좋으며, 저류동작의 개시시기에 적합하도록 설정된다. 측장동작의 개시시에, 제 1 클램퍼(12)가 개방상태로 되는데, 이 개방시기도 위사(6)와 로울러(4,5)의 접촉시기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종동측 로울러(5)가 모터(21)에 의해, 측장시와 동일한 상태에서, 소정의 둘레속도로 구동되어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로울러(5)가 측장용 로울러(4)에 접촉했을 때에, 그들 로울러(4,5)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슬립에 따른 장해[위사 (6)의 손상이나 실의 끊어짐·측장 오차의 발생)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은 측장·저류의 동작중을 나타내고 있다. 로울러(4,5)에 의해 송출된 위사(6)는 정지드럼(26)의 바깥둘레에서, 걸림핀(33)에 걸어멈춤된 상태에서 감겨진다.
도 9는, 위사넣기 개시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위사넣기시에 걸림핀(33)은 솔레노이드(34)로 구동되어 후퇴하여, 풀림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제 2 클램퍼 (36)도 개방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위사넣기노즐(37)은 유체를 분사하여, 풀림상태의 위사(6)를 정지드럼(26)의 바깥둘레로부터 인출하여, 개구 속으로 위사넣기한다. 이 때 위사(6)는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유로운 상태로 개구 속을 주행한다.
도 10은, 위사넣기 중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위사(6)가 정지드럼(26)의 바깥둘레면에서 모두 풀리게 되면, 위사(6)는 얀가이드(8)의 안내나, 로울러(4,5)에 의해 구속되면서 구속주행의 상태로 된다. 이 때 걸림핀(33)은 걸어멈춤위치로 진출함으로써, 이 후의 저류동작에 대비한다. 정상 위사넣기에 있어서, 위사(6)는 자유주행에서 구속주행으로 전환된 후, 위사넣기가 안정된다. 구속주행에 의해 위사(6)의 주행속도가 감속된다. 이 감속에 의해 위사(6)가 걸림핀(33)에 접촉할 때, 위사(6)에 접촉흔적이 생기지 않는다.
도 11은, 위사넣기 종료로부터 다음의 위사넣기 피크의 측장·저류동작의 개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측장부(7)는 계속해서 위사(6)를 송출한다. 한편 제 2 클램퍼(36)는 닫히는 동시에, 저류부(9)에서는 얀가이드(8)의 회전운동에 의해 정지드럼(26)의 주위를 돌고 있는 위사(6)는 걸림핀(33)에 걸어멈춤되기 때문에, 이 시점부터 위사(6)는 정지드럼(26)의 바깥둘레에 감겨진다.
도 12 및 도 13은, 정지드럼식의 저류부(9)에 대신하는 것으로서, 회전드럼식의 저류부(9)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드럼식의 저류부(9)는, 회전드럼(39), 이 회전드럼(39)의 바깥둘레를 둘러싸는 커버(40) 및 회전드럼(39)의 바깥둘레와 커버 (40)의 안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블로어 등의 기류발생수단(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전드럼(39)은, 주축(3)의 회전과 동기한 상태로 회전하여,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발생하고 있는 선회기류에 의해, 바깥둘레위치에서 측장후의 위사(6)를 저류한다. 또 이 회전드럼(39)은 바깥둘레부분에서, 측장용 로울러(4)에 접하며, 로울러(4,5)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2개의 로울러(5,4)의 사이에서 위사(6)를 측장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종동측 로울러(5)는, 상기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측장용 로울러(4)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가 자유로우며, 또한 떨어져 있을 때에, 모터(21) 및 구동로울러(20) 등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위사넣기시에, 제 2 클램퍼(36)는 위사(6)를 개방하고, 동시에 위사넣기노즐 (37)은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풀려진 위사(6)를 개구 내로 위사넣기한다. 이 때 회전드럼(39)의 바깥둘레부분에서 저류되어 있던 위사(6)는 위사넣기노즐(37)로부터의 분사유체(물)에 견인되어, 회전드럼(39)의 바깥둘레로부터 풀려나와, 커버(40)의 공급구(42)를 지나서 송출된다. 이 구체예로서 저류부(9)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클램퍼(36)는, 정지드럼식의 저류부(9)에서의 걸림핀(33)의 기능을 하고 있다. 또 기류발생수단(41)은 회전드럼(39)의 바깥둘레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된 돌기(핀)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의 직기 기동방법에서는, 직기의 주축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한쌍의 로울러 사이에 위사를 접촉시켜 위사를 송출하는 측장부와, 이 측장부로부터 송출된 위사를 가동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위사넣기 될 때까지의 동안에 위사를 저류하는 저류부를 가진 측장저류장치를 구비한 직기에 있어서, 직기의 기동시에, 기동직후부터 수 피크 동안의 공타 기간중에 위사넣기를 하지 않고 바디치기하며, 이 공타 기간의 경과후에 위사넣기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공타 기간중에는, 주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측장부의 로울러에 대하여 위사를 접촉시키지 않고서 위사의 송출을 정지하고, 또한 저류부의 가동부의 회전운동을 계속하면서 위사의 저류를 정지시켜, 위사에 적당한 장력을 부가하여, 측장저류장치를 대기상태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공타 기간중에는, 측장부 및 저류부를 정상 위사넣기시에 가까운 대기상태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위사는 송출되지 않고, 더구나 저류부에서는 원하는 장력부여상태에 의해 서로 얽히지 않고 유지된다. 그 후의 정상 위사넣기를 위해, 측장부 및 저류부가 측장저류동작을 개시하면, 위사에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서 위사의 저류동작이 개시되기 때문에, 공타 기간중에 생긴 위사의 느슨함으로, 위사끼리 얽히거나, 위사넣기 재개시에 위사넣기노즐에서 실의 막힘이 발생하여, 위사넣기 미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없고, 공타 기간의 종료후에도 확실하게 위사넣기를 계속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직기 기동방법에 의하면, 측장부에서, 한쌍의 로울러중, 한쪽의 측장용 로울러를 직기의 주축에 동기하여 회전시켜 두고, 다른쪽의 종동측 로울러를 공타 기간중에 측장시와 같은 상태로 회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 예비회전에 의해, 측장개시시에, 한쌍의 로울러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위사에 필라멘트 깨짐·위사절단 등의 손상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청구항 3, 4의 직기 기동방법에 의하면, 공타 기간중인 가동부(정지드럼식 저류부의 얀가이드·회전드럼식 저류부의 회전드럼)의 회전운동에 의해, 공타 기간의 종료후에, 저류동작의 개시가 신속히 이행되기 때문에, 위사넣기 재개에 대비하여, 저류부에 의한 위사의 저류동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Claims (4)

  1. 직기의 주축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한쌍의 로울러 사이에 위사를 접촉시켜 위사를 송출하는 측장부와, 이 측장부로부터 송출된 위사를 가동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위사넣기 될 때까지의 동안에 위사를 저류하는 저류부를 가진 측장저류장치를 구비한 직기에 있어서,
    직기의 기동시에, 기동직후부터 수 피크 동안의 공타 기간중에 위사넣기를 하지 않고서 바디치기하고, 이 공타 기간의 경과후에 위사넣기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공타 기간중에는, 주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측장부의 로울러에 대하여 위사를 접촉시키지 않고서 위사의 송출을 정지하고, 또한 저류부의 가동부의 회전운동을 계속하면서 위사의 저류를 정지시켜, 위사에 적당한 장력을 부가하여 측장저류장치를 대기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기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로울러중, 한쪽의 측장용 로울러를 직기의 주축에 동기하여 회전시켜 두고, 다른쪽의 종동측 로울러를 공타 기간중에 측장시와 같은 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기동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저류부를, 위사를 저류하기 위한 정지드럼, 이 정지드럼의 바깥둘레에 위사를 감아붙이기 위한 가동부로서의 얀가이드, 정지드럼 상에서 위사를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림핀에 의해 구성하고, 공타 기간중에 걸림핀을 풀림위치에 두고, 얀가이드의 회전운동을 계속시키는 것에 의해, 위사에 적당한 장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기동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저류부를, 위사를 저류하기 위한 회전드럼, 이 회전드럼의 바깥둘레에 선회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류발생수단에 의해 구성하여, 공타 기간중에 가동부로서의 회전드럼을 회전시키고, 또한 기류발생수단에 의해, 회전드럼의 바깥둘레에 선회기류를 발생시켜 두는 것에 의해, 위사에 적당한 장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기동방법.
KR1020000028645A 1999-05-27 2000-05-26 직기 기동방법 KR200100494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758899A JP3442001B2 (ja) 1999-05-27 1999-05-27 織機起動方法
JP147588 1999-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425A true KR20010049425A (ko) 2001-06-15

Family

ID=1543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645A KR20010049425A (ko) 1999-05-27 2000-05-26 직기 기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42001B2 (ko)
KR (1) KR20010049425A (ko)
TW (1) TW4735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648A (ja) * 2001-12-27 2003-07-18 Tsudakoma Corp 緯糸測長貯留装置
CN112030325B (zh) * 2020-08-06 2022-02-15 佛山市南海西樵力舜纺织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纬纱检测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36551A (ja) 2000-12-05
TW473570B (en) 2002-01-21
JP3442001B2 (ja)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9425A (ko) 직기 기동방법
JP2007303004A (ja) エアージェット織機
JPH0512450B2 (ko)
EP0580267B1 (en) A device for feeding a periodically operating yarn-consuming device
TW200307069A (en) Yarn processing method in loom
KR840001521B1 (ko) 무북직기의 위사 저축장치
JPS633984B2 (ko)
JPS5842468Y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装置
JP2003020544A (ja) 緯糸引き戻し制御方法
JPS61174443A (ja) 流体噴射式織機の緯入れ糸除去装置
JP3405885B2 (ja) 織機のよこ糸供給装置
JP2623683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準備装置
JP3961899B2 (ja) 織機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S61167048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吸引装置
JPS5876552A (ja) 断片織機におけるドラム式緯糸貯留装置のスリツプ防止装置
JP3622900B2 (ja) 不良緯糸除去方法
JPH0248461Y2 (ko)
JPS6215358A (ja) 空気噴射式織機の再始動準備方法
JP2761921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制御装置
JPH0414469Y2 (ko)
JPH11107133A (ja) 無杼織機における不良糸除去方法
KR20040107350A (ko) 북이 없는 직기에서의 씨실 측장저류장치 및 이 씨실측장저류장치의 계지핀 위치의 설정방법
JP2002069801A (ja) 不良糸除去における緯糸切断方法
JPH05230740A (ja) 巻き付け糸排出方法
JPH02269838A (ja) 織機の緯糸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