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416A -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416A
KR20010048416A KR1019990053094A KR19990053094A KR20010048416A KR 20010048416 A KR20010048416 A KR 20010048416A KR 1019990053094 A KR1019990053094 A KR 1019990053094A KR 19990053094 A KR19990053094 A KR 19990053094A KR 20010048416 A KR20010048416 A KR 20010048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beam
vehicle
axle assembly
rear axle
t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진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5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8416A/ko
Publication of KR2001004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21Trailing arms connected by a torsional beam, i.e. twist-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3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액슬 어셈블리에 포함된 토션 빔의 단면구조를 개선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조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12)측에 피봇 연결되는 피봇보스부(22)를 일단에 갖고 타단에 휠캐리어(24)가 설치되는 한쌍의 컨트롤암(26A,26B)을 구비하되 각 컨트롤암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부(28)를 두고, 상기 한쌍의 컨트롤암을 토션 빔(50)으로 연결하여서 된 차량의 후륜에 설치된 리어 액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토션 빔(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으로 벌려진 대략 U자형의 단면으로 구성하되, 그 양끝단부를 외측으로 완만하게 절곡시킨 곡부(52)를 포함하여, 토션빔의 토션센터가 토션 빔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REAR ASSEMBLY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액슬 어셈블리에 포함된 토션 빔의 단면구조를 개선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조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rear axle assembly)는 차량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후륜차량의 경우 엔진의 회전력을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것으로 종감속기어, 차동기어장치, 액슬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종래 전륜차량의 경우 리어 액슬어셈블리의 정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종래 리어 액슬어셈블리(10)는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12)측에 피봇 연결되는 피봇보스부(22)를 일단에 갖고 타단에 휠캐리어(24)가 설치되는 한쌍의 컨트롤암 (26A,26B)을 구비하되 각 컨트롤암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부(28)를 두고, 상기 한쌍의 컨트롤암은 토션 빔(50)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토션 빔(50)은 길이방향을 따라 도 3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차량 전방으로 벌려진 대략 U자형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어 액슬어셈블리(10)측 토션 빔(50)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먼저, 토션 빔(50)의 양단이 취약하여 파단될 염려가 크다. 이는 토션 빔이 프레스 판금으로 제작될 경우 그 양단에 커터의 절단작용시 파단력이 부분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흔적으로 파단균열이 발생할 여지를 남기기 때문이다.
이는 차량의 조향시 토션 빔(50)에 발생되는 토션 센터(T.C.)의 위치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기서 발생되는 토션 빔(50)의 토션 센터는 토션 빔(50)의 후방이 된다.
따라서 차량의 조향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빔(50)의 단면중심방향으로 크랙이 일어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리어 액슬 토션 빔의 단면구조를 개선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조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차체(12)측에 피봇 연결되는 피봇보스부(22)를 일단에 갖고 타단에 휠캐리어 (24)가 설치되는 한 쌍의 컨트롤암(26A,26B)을 구비하되, 각 컨트롤암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부(28)를 두고, 상기 한쌍의 컨트롤암을 토션 빔(50)으로 연결하여서 된 차량의 후륜에 설치된 리어 액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토션 빔(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으로 벌려진 대략 U자형의 단면으로 구성하되, 그 양끝단부를 외측으로 완만하게 절곡시킨 곡부(52)를 포함하여, 토션빔의 토션센터가 토션 빔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종래 전륜차량의 경우 리어 액슬 어셈블리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액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차량 조향정도에 따른 토션 빔의 각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차체 22 : 피봇 보스부
24 : 휠 캐리어 26A,26B : 컨트롤 암
28 : 스프링 받이부 50 : 토션 빔
52 : 곡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액슬어셈블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토션 각도에 따른 롤 스티어 특성선도를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낸 선도이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2)측에 피봇 연결되는 피봇보스부(22)를 일단에 갖고 타단에 휠캐리어(24)가 설치되는 한쌍의 컨트롤암(26A,26B)을 구비하되 각 컨트롤암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부(28)를 두고, 상기 한쌍의 컨트롤암을 토션 빔(50)으로 연결하여서 된 차량의 후륜에 설치된 리어 액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토션 빔(50)은 도 5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으로 벌려진 대략 U자형의 단면으로 구성하되, 그 양끝단부를 외측으로 완만하게 절곡시킨 곡부(52)를 포함하여, 토션빔의 토션센터(T.C.)가 토션 빔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션 빔(50)은 다음과 같은 특성 및 작용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빔(50)의 토션 센터가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향시 토션을 받는 토션 빔(50)의 단부에서는 종래와 다른 부분에서 응력이 발생한다.
즉, 종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빔(50)의 끝단면에서 크랙응력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은 토션 빔(50)의 절곡되는 부위(사선영역으로 도시된 부분)의 마주보는 내측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토션 빔(50)의 단부측 절단시 존재하게 되는 크랙측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구조적인 강성에서 유리하다.
더욱이 도 6의 선도에서와 같이 같은 조향 각도에서의 차량 주행시 토션각도 (Tortion Degree)가 작게 나타나므로 차량 선회 안전성에서도 유리하다.(이때 'a'는 본 발명의 선도이고, 'b'는 종래 선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암(26A,26B)의 단면구조를 원형 파이프형태로 개선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상,하판으로 성형 제작에 비해 강도가 우수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용접공수도 줄어드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토션빔의 단면구조 및 그 배치방향을 개선함으로써 토션빔의 단부측에서 발생하는 크랙현상을 방지하여 내구 강성의 증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조향시 쏠림현상이 적어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차체(12)측에 피봇 연결되는 피봇보스부(22)를 일단에 갖고 타단에 휠캐리어 (24)가 설치되는 한 쌍의 컨트롤암(26A,26B)을 구비하되, 각 컨트롤암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부(28)를 두고, 상기 한쌍의 컨트롤암을 토션 빔(50)으로 연결하여서 된 차량의 후륜에 설치된 리어 액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토션 빔(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으로 벌려진 대략 U자형의 단면으로 구성하되, 그 양끝단부를 외측으로 완만하게 절곡시킨 곡부(52)를 포함하여, 토션빔의 토션센터가 토션 빔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암(26A,26B)의 단면을 원형 파이프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
KR1019990053094A 1999-11-26 1999-11-26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 KR20010048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094A KR20010048416A (ko) 1999-11-26 1999-11-26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094A KR20010048416A (ko) 1999-11-26 1999-11-26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416A true KR20010048416A (ko) 2001-06-15

Family

ID=1962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094A KR20010048416A (ko) 1999-11-26 1999-11-26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841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6030A (en) * 1981-12-14 1984-12-04 Mazda Motor Corporation Rear suspension apparatus for motor vehicle
US5507518A (en) * 1993-12-24 1996-04-16 Yorozu Corporation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6030A (en) * 1981-12-14 1984-12-04 Mazda Motor Corporation Rear suspension apparatus for motor vehicle
US5507518A (en) * 1993-12-24 1996-04-16 Yorozu Corporation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6401B1 (en)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JPH10236123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20100134129A (ko) 차량 서스펜션 아암
JPH11254935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
JP4487890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3056178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3551039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5488453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5513946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599479B1 (ko)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서스펜션
JP4768159B2 (ja) サスペンションの製造方法
KR20010048416A (ko) 차량의 리어 액슬 어셈블리 구조
JP2007168478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7083995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4299513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4011868B2 (ja) 独立懸架式サスペンション
JP452973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KR200278494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용 토션빔
JP2000280718A (ja) トーコレクトブッシュ
KR100622475B1 (ko) 차량의 서스펜션 구조
JPH11208231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00507117B1 (ko) 차량의 이중 비율 토션 빔 액슬
JPH08132834A (ja) 連接桿
JPH11180106A (ja)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2002166716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