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5670A -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5670A
KR20010045670A KR1019990049016A KR19990049016A KR20010045670A KR 20010045670 A KR20010045670 A KR 20010045670A KR 1019990049016 A KR1019990049016 A KR 1019990049016A KR 19990049016 A KR19990049016 A KR 19990049016A KR 20010045670 A KR20010045670 A KR 2001004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x
toothpaste composition
caries
oral
spinolip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789B1 (ko
Inventor
김현준
박찬구
김남기
Original Assignee
김현준
주식회사 인터코즘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주식회사 인터코즘바이오텍 filed Critical 김현준
Priority to KR101999004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78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치 유발균에 대한 억제효과와 구강 염증 치료 및 치석 제거 효과를 가진 인체지질 성분인 스핀고리피드,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 또는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를 함유한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치약조성물은 사람 및 동물의 피부, 치아, 구강 및 질 점막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치아 우식증을 예방하거나 구강내 점막에 손상을 입었을 때 충치균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손상된 구강점막의 세포막의 복원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핀고리피드 자체로서 충분한 구강내 유해 미생물 억제 기능이 있는 만큼 스핀고리피드,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가 사람 및 동물의 피부, 치아, 구강 및 질 점막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거나 구강내 점막에 손상을 입었을 때 충치균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손상된 구강점막의 세포막의 복원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Toothpaste Composition for Curing Dental Caries and Inflammation of Oral Cavity}
본 발명은 충치 유발균에 대한 억제효과와 구강 염증 치료 및 치석 제거 효과를 가진 인체지질 성분인 스핀고리피드,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 또는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를 함유한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충치(dental caries; 치아우식증)는 인류가 오래 전부터 고민해온 질환중의 하나로서 설탕이 일상적인 감미료로 이용되게 되면서 충치의 발병율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 질환은 한때 문명의 척도가 되기도 하였으나,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만연되고 있는 문화병의 하나로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도 발병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있는 추세다. 충치는 치아의 파괴를 동반한 감염성 질환으로 치구(齒垢; 치아세균막; dental plaque)내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다인성 질환이다. 치구내 세균 중에서도 스트랩토코쿠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S. mutans)]가 주 원인균이며, 치면에 부착, 증식 및 산 생성 과정을 거쳐 치아우식을 유발한다. 즉, 충치균(S. mutans)은 치면의 피막에 부착한 후 자신이 생산하는 글루코실트랜스퍼라제(glucosyltransferase(Gtase))에 의하여 음식물 중의 자당(sucrose)으로부터 과당 폴리머(glucose polymer)인 불용성 글루칸(glucan)을 합성한다. 이 불용성 글루칸(glucan)은 거의 대부분이 α-1,3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합성된 글루칸(glucan)은 치면에서 증식하는 세균간의 결합을 증가시키며, 이렇게 치면에 부착한 충치균(S. mutans)은 치면에 자리잡고 당질 대사과정에서 젖산(lactic acid) 등 유기산을 생성하여 치아의 에나멜질을 탈회(decalcification)시켜 충치를 유발한다.
치석(齒石; dentalis lapis)은 충치의 원인임과 동시에 치주염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치은 즉 잇몸에 염증이 국한된 경우에는 치은염이며, 더욱 진행된 상태로 치주조직, 특히 치조골에 이미 염증이 확산된 상태라면 치주염이다. 플라그가 석회화되면 치석이 되는데 이는 파괴양상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세균성 플라그는 치은염을 일으키는 주범이며 만성 치은염은 치주염을 초래한다.
최근에는 충치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으로 주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천연물질로부터 항충치물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 예로 카카오빈(cacao bean) 및 감잎 등으로부터 글루코실트랜스퍼라제 (Gtase) 저해 활성을 지닌 수종의 탄닌(tannin) 화합물을 분리한 바 있으나 이들 탄닌계 화합물은 글루코실트랜스퍼라제 뿐 만 아니라 거의 모든 효소 작용을 비특이적으로 저해한다는 보고가 있어 실제 산업적 응용면에서 많은 제약을 가지고있다. 또한 녹차 및 우롱차 중의 카테친(catechin)등 폴리페놀(polyphenol)화합물이 글루코실트랜스퍼라제에 강력한 저해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충치를 효과적으로 예방 하려면 충치 유발균을 억제하고 동시에 치아의 에나멜질을 강화시켜 유기산에 의한 치아의 탈회과정을 방어하여야 하며 잇몸의 염증 및 상처에 의한 궤양을 예방하거나 조속히 치료하여야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는 스핀고리피드가 항균물질임에 착안하고 여기에 불소를 결합한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를 합성하여 충치유발균의 억제성과 불소에 의한 치아표면의 산 난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이 물질 뿐 만 아니라 스핀고리피드 및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도 충치유발균을 억제하며 구강점막의 재생능력도 우수하여 충치예방목적의 첨가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구강염증 치유에도 충분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치약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충치 유발균에 대한 억제효과와 구강 염증 치료 및 치석 제거 효과를 가진 인체지질 성분인 스핀고리피드,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 또는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를 함유한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핀고리피드는 피토스핀고신, 스핀고신, 스핀가닌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피부의 수분손실 방지와 손상된 피부 보호층의 복원을 하는 중요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세라마이드의 전구체로서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로부터 피부를 정상상태로 유지해주는 항생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에 알려졌다.
이러한 기능은 피부 뿐만 아니라 구강점막에서도 작용하여 구강내 염증이나 궤양에 의한 상처치유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알아 내었다. 또한 스핀고리피드와 결합된 불소의 충치예방 기전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나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소가 충치를 예방하는 기전은 다음의 3가지로 요약된다.
1) 불소가 치아경조직의 주성분인 수산화인회석과 결합하여 산에 용해가 잘되지 않는 불화 인회석을 형성한다.
2) 불소는 무기염이 유리상태로 포함되어 있는 타액 중에서 인산칼슘같은 무기염이 치아 표면에 침착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한다.
3) 효소계로에 불소가 작용하여 충치를 예방한다. 그러나 치아경조직에 반응하는 불화물의 농도에 따라서 반응에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즉 불소농도가 1백ppm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치아경조직과 반응하여 우선 불화칼슘(CaF2)을 형성하게 되는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불화칼슘은 다시 분해되어 여기서 유래된 불소는 일부 이탈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불화인회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1백ppm이하의 저농도 불소가 치아경조직과 반응하면 불화 칼슘을 형성치 않고 직접 불화인회석을 형성하여 치아의 산에 대한 난용성을 부여케 되는 것이다. 불소의 침착은 건전한 치아표면보다도 충치부위의 치아표면에 더욱 잘 일어난다. 특히 충치가 일어난 초기부위에 불소가 대량 침착하여 불화인회석을 형성 함으로서 효과적으로 충치를 치유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핀고리피드가 항균 및 항염 물질임에 착안하고 여기에 불소를 결합한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를 합성하여 충치유발균의 억제성과 구강내 염증 치료 및 불소에 의한 치아표면의 산 난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였고, 이 물질이 충치예방목적 및 구강질환 치료물질로서 충분한 용도를 갖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 및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 제조방법
[실시예 1-1] 피토스핀고신-불산 복합체(F-PS) 제조방법
클로로포름 에탄올(1:1)용액에 피토스핀고신을 용해한 후 진한 불산 (Hydrofluoric Acid)
용액을 서서히 가하여 pH를 7로 중화한다. 30분간 교반 후 아세톤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한다. 이 여과물을 건조하여 원하는 물질을 얻었다.
[실시예 1-2] 스핀고신-불산 복합체(F-SS) 제조방법
피토스핀고신 대신에 스핀고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스핀고신-불산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스핀가닌-불산 복합체(F-SN) 제조방법
피토스핀고신 대신에 스핀가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스핀가닌-불산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피토스핀고신-클로라이드 복합체(Cl-PS) 제조방법
클로로포름 에탄올(1:1)용액에 피토스핀고신을 용해한 후 진한 염산(HCl) 용액을 서서히 가하여 pH를 7로 중화한다. 30분간 교반 후 아세톤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한다. 이 여과물을 건조하여 원하는 물질을 얻었다.
[실시예 1-5] 스핀고신-클로라이드 복합체(Cl-SS) 제조방법
피토스핀고신 대신에 스핀고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스핀고신-클로라이드 복합체(Cl-SS)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스핀가닌-클로라이드 복합체(Cl-SN) 제조방법
피토스핀고신 대신에 스핀가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스핀가닌-클로라이드 복합체(Cl-SS)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사람 및 동물의 피부, 치아, 구강 및 질 점막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치아 우식증을 예방하거나 구강내 점막에 손상을 입었을 때 충치균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손상된 구강점막의 세포막의 복원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핀고리피드 자체로서 충분한 구강내 유해 미생물 억제 기능이 있는 만큼 스핀고리피드,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가 사람 및 동물의 피부, 치아, 구강 및 질 점막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거나 구강내 점막에 손상을 입었을 때 충치균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손상된 구강점막의 세포막의 복원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사용이 가능하다.
스핀고리피드의 첨가량은 제제에 따라 0.1중량%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다. 스핀고리피드 복합체(complex)로서 사용하는 경우, 스핀고리피드-불산복합체는 충치균 억제 등 구강 유해 미생물 억제 및 치아 표면의 산 난용성 증대 목적으로 0.1 ~ 5중량% 범위내에서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핀고리피드 및 스핀고리피드 클로라이드 복합체는 구강내 유해 세균 억제 목적으로 치약조성물에 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불산 복합체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소의 원천으로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여 0.1 ~ 1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그 외 성분들은 연마제로서 인산일수소칼슘, 함수알미나, 경질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실리카겔 등이 3 ~ 50중량% 함유하는 것이 적당하며, 습윤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자이리톨 및 글리세린 중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1~40중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기포제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등의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5~5중량% 사용할 수 있다.
소량 사용되는 첨가제로서는 치약에서 통상 사용되는 감미제, pH조절제, 방부제, 착색제, 결합제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충치예방제, 치석예방제 및 약용성분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미제로서는 삭카린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pH 조절제로서는 인산나트륨, 인산삼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주석산 등이 있고,
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등이 있다. 결합제로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카라기난, 산탄검, 폴리비닐피롤리돈, 알긴산나트륨, 기타 검류 등이 있다.
충치예방제로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치석예방제로서는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염화아연, 구연산아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약용성분으로는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클로로헥시딘, 초산토코페롤, 염산피리독신 중에서 단독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1에서와 같이 스핀고리피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치약을 제조하는 순서는 습윤제인 글리세린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잔탄검, 사카린산나트륨, 피토스핀고신 불산복합체를 분산시키고 정제수로 묽힌 다음 혼합기에서 1차 혼합한 다음 연마제인 인산일수소칼슘을 넣고 2차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포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과 향료를 넣고 3차 혼합함으로써 치약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치약조상물의 대조군으로서 스핀고리피드를 첨가하지 않은 치약조성물을 종래의 기술(비교예 2-1)로서 비교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인 용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2: 스핀고리피드가 함유된 치약 조성물
시험예 1 : 충치균 억제 실험
구강미생물의 균주는 충치 유발세균인 스트랩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랩토코쿠수 크리세투스(Streptococcus cricetus), 스트랩토코쿠스 라투스(Streptococcus rattus), 스트랩토코쿠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및 치육염 유발세균인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을 이용하였다. 스트랩토콕사이(Streptococci)는 엠에스 한천(MS(Mitis-Salivarius) agar)배지 상에서, 액티노마이세스(Actinomyces)는 비에이치아이 한천(BHI agar)배지 상에서 각각 37℃, 혐기 챔버(anaerobic chamber)에서 1 3일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였다. 이들 각 배양액은 다시 비에이치아이 배양액(BHI broth)에 접종하여 37℃에서 1일간 정치 배양하고 이들을 본 배양에 앞선 전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항균성시험은 스핀고리피드의 불산복합체들(F-PS, F-SS 및 F-SN)을 증류수에 적당한 농도로 녹인 후 멸균하고, 멸균이 끝난 비에이치아이(BHI)배지에 일정량 첨가하여 잘 섞은 후 무균적으로 건조시켰다. 여기에 전배양액을 각각 1.5ml씩 소시험관으로 옮기고 건조시킨 한천배지에 일정량씩 배양하였다. 유리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의 대비물질로서 녹차에서 분리한 탄닌계 화합물인 카테친(catechin), 페놀(phenol)성 물질인 시나믹 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를 이용하였다. 스핀고리피드(PS, SS, SN)와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Cl-PS, Cl-SS, Cl-SN) 및 실시예 2-1과 비교예 2-1에서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 또한 같은 방법으로 실험에 임하였다.
하기 표1에서와 같이 피토스핀고신 불산복합체(F-PS) 및 스핀고신 불산복합체(F-SS)는 각 균주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스핀가닌 불산복합체(F-SN)은 이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녹차에서 분리한 탄닌계 화합물인 카테친, 페놀성 물질인 시나믹 알데하이드에 비해서는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최소저지농도(MIC)는 각 균주에 대해 동일하게 나타났다.
표 1-2 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스핀고리피드 불산복합체가 함유된 조성물의 항균효과가 스핀고리피드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2-1의 조성물 보다 월등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충치균(Streptococcus mutans)의 산생성력과 플라그(Dental plaque) 형성능력 비교
플라그(Dental plaque)를 형성하는 구강미생물로 알려진 스트랩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를 비에치아이 배양액(Brain heart Infusion broth)에서 3회 계대 배양시킨 다음 트립틱 소이 배양액(tryptic soy broth)을 조제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계대 배양하였다. 여기에 각각의 스핀소리피드 불산복합체들 (F-PS, F-SS, F-SN)을 30ppm, 60ppm, 120ppm씩 첨가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시켜 pH변화(초기 pH에서 배양 후 pH를 뺀 감소치)를 측정하여 산 생성력을 측정하였다. 스핀고리피드(PS, SS, SN) 및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는 60ppm씩 첨가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시켜 pH변화(초기 pH에서 배양 후 pH를 뺀 감소치)를 측정하여 산 생성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충치균(Streptococcus mutans)의 플라그(dental plaque) 생성 능력을 배양액에 생성된 침착물의 양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즉 30ppm, 60ppm, 120ppm의 스핀고리피드 불산복합체(F-PS, F-SS, F-SN )를 트립틱 소이 배양액(tryptic soy broth)에 넣어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버리고 1ml의 증류수로 시험관벽을 가볍게 씻어낸 후 0.5노말 가성소다(0.5N-NaOH) 용액 2ml를 가하여 시험관 벽에 붙은 침착물의 양을 용해시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스핀고리피드(PS, SS, SN) 및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는 60ppm씩, 그리고 실시예 2-1 조성물과 비교예 2-1 조성물은 1%씩 트립틱 소이 배양액(tryptic soy broth)에 넣어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버리고 1ml의 증류수로 시험관벽을 가볍게 씻어낸 후 0.5N-NaOH 용액 2ml를 가하여 시험관 벽에 붙은 침착물의 양을 용해시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핀고리피드 불산복합체(F-PS, F-SS, F-SN)를 첨가한 배지의 pH감소치가 매우 적게 나타났고 특히 120ppm첨가군에서 pH감소는 가장 낮았다. 또한 시험관 벽에 부착된 폴리머(polymer)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스핀고리피드 불산복합체 첨가군들의 흡광도가 현저히 낮아 충치 예방효과가 뚜렸하게 나타났다. 또한 조성물에 대한 비교에서도 스핀고리피드가 함유된 실시예 2-1의 충치 예방 효과가 비교예 2-1 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하기표 2 참조).
시험예 3 :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이용한 박토 스나이더 한천 시험(Bacto Snyder agar test)
산을 형성하여 치아를 부식시키는 주요 세균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엠알에스 배양액(MRS broth)에서 2회 계대 배양시켜 균체를 분리하였다. 지시약 첨가로 미량의 산생성 여부를 알 수 있는 박토 스나이더 한천(Bacto Snyder agar)을 유리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 스핀고리피드 및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 그리고 실시예 2-1과 비교예 2-1의 조성물의 농도만 달리 첨가하여 제조한 후 균체를 접종시켜 재빨리 혼합시켰다. 수직으로 세운 위치로 한천을 굳힌 후 24, 48, 및 72시간 후의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의 농도에 따라 색 변화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는 구강미생물의 억제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의하여 치아를 부식시키는 산의 생성도 억제하여 충치 예방 능력이 확실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1의 조성물이 비교예 2-1 보다 월등한 충치 예방 능력이 있음을 나타내었다(하기표 3 참조).
실험예 4 : 구강점막 궤양의 치유 효과 측정
실험동물은 체중 80g 내외의 수컷 햄스터를 사용하였다. 햄스터를 에테르(ether)로 마취 후 구강내 좌측 볼주머니(cheek pouch)부위 점막하에 20%의 초산 1㎕를 마이크로 시린지(micro-syringe)로 주입하였다. 초산 투여 다음날부터 1일 3회 10일간 경구투여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상처부위에 0.1%, 0.2% 및 0.5%의 유리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를 100㎕씩 도포하였고 대조약물로서 D사의 구강연고를 일정량 도포하였다. 마지막 투여 다음날에 햄스터를 에테르로 치사시켜 궤양 부위를 포함하는 구강점막을 채취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에 담구어 고정시켰다. 이 점막피부를 유리판 위에 전개하고 궤양 면적을 측정하여 치료율을 계산하였다. 스핀고리피드와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는 0.5%를 100㎕씩 도포하였고 실시예2-1 조성물과 비교예2-1 조성물도 100mg씩 도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유리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 뿐만아니라 스핀고리피드 및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는 대조군에 비하여 구강점막의 상처 치유에 유의성 있는 상처치유 촉진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2-1 조성물이 비교예2-1 보다 월등한 상처 치유력을 보여 주었다.(하기 표5 참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치약조성물은 사람 및 동물의 피부, 치아, 구강 및 질 점막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치아 우식증을 예방하거나 구강내 점막에 손상을 입었을 때 충치균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손상된 구강점막의 세포막의 복원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핀고리피드 자체로서 충분한 구강내 유해 미생물 억제 기능이 있는 만큼 스핀고리피드, 스핀고리피드-불산 복합체, 스핀고리피드-클로라이드 복합체가 사람 및 동물의 피부, 치아, 구강 및 질 점막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거나 구강내 점막에 손상을 입었을 때 충치균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손상된 구강점막의 세포막의 복원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에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스핀고리피드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고리피드는 피토스핀고신, 스핀고신 및 스핀가닌으로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고리피드는 불산 (Hydrofluoric Acid) 또는 염산(HCl)으로 복합체(Complex)화한 피토스핀고신-불산 복합체, 스핀고신-불산 복합체, 스핀가닌-불산 복합체, 피토스핀고신-클로라이드 복합체, 스핀고신-클로라이드 복합체, 스핀가닌-클로라이드 복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고리피드는 치약 조성물에 0.1중량%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KR1019990049016A 1999-11-05 1999-11-05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KR100314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016A KR100314789B1 (ko) 1999-11-05 1999-11-05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016A KR100314789B1 (ko) 1999-11-05 1999-11-05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670A true KR20010045670A (ko) 2001-06-05
KR100314789B1 KR100314789B1 (ko) 2001-11-17

Family

ID=1961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016A KR100314789B1 (ko) 1999-11-05 1999-11-05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7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92010A1 (it) * 2009-11-16 2011-05-17 Icf Srl Composizione per la prevenzione ed il trattamento delle patologie odontostomatologiche degli animali e relativi usi
US20150147361A1 (en) * 2012-04-27 2015-05-28 Stichting Vu-Vumc Protection of materials by sphingosine based compound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92010A1 (it) * 2009-11-16 2011-05-17 Icf Srl Composizione per la prevenzione ed il trattamento delle patologie odontostomatologiche degli animali e relativi usi
EP2322161A1 (en) * 2009-11-16 2011-05-18 I.C.F. S.r.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dontostomatological pathologies of animals
US20150147361A1 (en) * 2012-04-27 2015-05-28 Stichting Vu-Vumc Protection of materials by sphingosine based compounds
US11273113B2 (en) * 2012-04-27 2022-03-15 Stichting Vu Protection of materials by sphingosine based compounds
US11944701B2 (en) 2012-04-27 2024-04-02 Stichting Vu Protection of materials by sphingosine based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789B1 (ko) 200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46778A (zh) 一种具有消炎抑菌作用的牙膏
US4559223A (en) Silver sulfadiazine and/or zinc sulfadiazine-containing toothpaste or oral medicament
JPH03240721A (ja) 口腔用組成物
JPH05310544A (ja) 抗う蝕および抗歯周病剤
JPH0436228A (ja) 口腔用組成物
US6180599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medium-chain fatty acids as active ingredients, for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KR100314789B1 (ko) 충치 예방 및 구강내 염증 치료용 치약 조성물
JP3336688B2 (ja) 口腔用組成物
KR20030089047A (ko)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EP0376162B1 (en) Dental plaque inhibitor
KR20190124073A (ko)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JP2000229823A (ja) 口腔用組成物
KR20020082308A (ko)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JP3022047B2 (ja) 口腔用組成物
KR102540804B1 (ko)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100387091B1 (ko)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JPH089529B2 (ja) 口腔用組成物
JP2979444B2 (ja) 口腔用組成物
KR100665891B1 (ko) 하이드록시타이로졸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67539A (ko) 신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우식증 치료용 조성물
JP3039831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90124074A (ko) 매발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