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626A -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626A
KR20010043626A KR1020007012789A KR20007012789A KR20010043626A KR 20010043626 A KR20010043626 A KR 20010043626A KR 1020007012789 A KR1020007012789 A KR 1020007012789A KR 20007012789 A KR20007012789 A KR 20007012789A KR 20010043626 A KR20010043626 A KR 2001004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ir
protrusion
symmetriz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천용
Original Assignee
이수자
동진모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자, 동진모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수자
Publication of KR2001004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 for cooling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는 돌출부 13의 끝에는 2개소의 공기유입구멍 14가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모타의 상면까지 커버링할 수 있는 모타보호관 11이 형성된 인너바디 10과,
2-웨이 방식의 돌출부 23들의 안쪽에는 공기유입구멍 2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23들과 연결되면서 외측으로 라운딩을 이루는 돌출부 22의 안쪽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멍 26들과 관통되는 유입공기확산실 "A"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22는 돌출관 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아웃바디 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AIR GUIDING CONFIGURATION FOR REERIGERATION OF MOTOR IN AIR SYMMETRIZE DEVICE OF CAR}
1.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구조에 비해 유입되는 공기가 모타의 넓은 면적에 단시간내에 미치도록 하여 모타의 냉각효과가 탁월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공수가 절감되며, 간단한 구조로 인해 사용할 때 진동이나 소음 발생의 우려가 격감되고 수송 및 보관이 편리함은 물론 탁월한 냉각효과와 견고한 구조로 인해 모타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의 특징을 가지는 공기안내구조를 제공키 위해 안출되었다.
2. 발명 분야의 종래기술
자동차의 공기조화기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 100의 외부공기유입구 101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는 블로어의 팬 103이 모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강한 바람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공기는 토출구 102를 통해 송풍로를 따라 자동차의 실내로 냉풍 또는 온풍화되어 공급되며, 상기와 같이 발생된 공기의 일부(송풍로로 진입되기 전의 공기)를 안내하여 블로어의 모타 110을 냉각시키는데 이러한 이유를 만족시키기 위한 공기안내구조는 자동차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안출된 일본실용신안 공고번호 평성5년(1993) 26933호의 구조를 살핀다. 이는 도 6과 도 6a에 해당되며 도 7은 상기 일본실용신안의 명세서에 나타나 있는 또 다른 구조로서 상기 일본실용신안의 출원일자보다 앞서 알려진 구조에 해당된다. 도 6을 살펴보면, 상부하우징 200과 하부하우징 201로 구성되는 하우징(블로어)에 있어서 하부하우징 201의 저면에는 바디 210이 나사 207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상기 바디 210의 안쪽에는 모타 206이 삽입되며 상기 모타 206의 상부를 감쌀수 있도록 한 돌출단 211이 바디 2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돌출단 211은 모타 206의 상면까지를 충분히 감싸주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타 206의 모타축에는 팬 205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 210의 일측에는 턱 214의 안쪽으로 제1유로 2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유로 212와 직각으로 연결된 제2유로 21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 210의 일측에는 도 6a와 같은 보조캡 220이 나사 208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데, 이것은 함몰된 제1유로 221이 형성되어 있고 제1유로 221과 직각으로 꺽이는 제2유로 2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의 사이에는 저항턱 2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와 다시 직각으로 꺽이면서 제3유로 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바디 210에 조립시킨 상태는 도 6과 같다. 따라서 팬 205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일부는 바디 210의 턱 214와 보조캡 220의 제1유로 221이 만나는 작은 틈을 통해 보조캡의 제1유로 221과 바디의 제1유로 212 안으로 진입되고 진입된 공기는 저항턱 224에 부딪히면서 와류를 일으킴과 동시에 저항턱 224를 넘어서 직각으로 꺽여서 바디의 제2유로 213과 보조캡의 제2유로 222의 안으로 진입하고 이어서 보조캡의 제3유로 223 쪽으로 다시 직각으로 꺽이면서 진입하여 바디 210의 구멍안으로 삽입되어 있는 보조캡의 제3유로 223만을 통해 모타 206의 하방으로 진입된다. 모타 206의 하방으로 진입된 공기는 모타를 냉각시키면서 상승하여 다시 팬 205 쪽으로 배출되고 이러한 작용은 반복된다. 이 과정에서 모타 206은 냉각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구조는 바디 210 자체에 제1유로와 제2유로가 직각으로 꺽인 채 형성되어 있고 제2유로 213의 하방에는 보조캡의 제3유로 223이 삽입될 수 있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진입초기의 공기가 와류되도록 하는 턱 214가 형성되는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보조캡 220 역시 제1유로와 제2유로, 제3유로가 각기 직각으로 꺽인 채 형성되어 있고 와류를 유도하는 저항턱 224가 형성되어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조캡은 나사 208에 의해 바디 210에 조립된다. 이러한 복잡다단한 구조로 인해 생산단가가 상승됨은 물론 조립이 용이치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여러단계로 직각으로 꺽이면서 공기가 모타의 하방으로만 진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작용이 불량함은 물론 모타로 진입되는 공기의 량도 적어서 모타의 냉각효과가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나사 208에 의해 바디에 조립되는 보조캡은 진동과 충격에 취약하여 바디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크며 사용할 때 진동음이 발생될 우려가 큰 문제가 있다.
참고로 도 7의 제품을 살펴보면, 하우징 300의 저면에 원판형태의 캡 310이 조립되는데 상기 캡의 일측에는 반원형의 터널식으로 구성된 돌출유로 3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공기가 진입되도록 되어 있다. 진입된 공기는 모타케이스 320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 321을 통해 모타 330의 측면으로 진입되고 이는 모타를 냉각시킨다. 이는 모타 330 전체를 냉각시켜 주는 장점은 있으나 모타케이스 320의 안쪽에 모타 330이 타이트하게 삽입되지 않고 도시와 같이 중간에 머물고 있는 것이어서 모타로부터의 진동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역시 모타쪽으로 진입되는 공기의 량이 적어서 모타의 냉각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다음, 도 8과 도 8a는 한국의 실용신안공개번호 96-38853호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살핀다. 이는 상기한 일본의 실용신안공고 내용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즉 일본의 실용신안공고 내용의 보조캡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보조캡 430이 적용되어 있다는 점과 바디 400의 일측에 제1유로 401과 직각으로 꺽인 채 연결되는 제2유로 402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바디 400의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커버링하듯 보조캡 430이 바디의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바디의 제1유로 401의 위쪽에 보조캡 430의 공기안내구 431이 위치한다. 그리고 저항판 432는 모타 4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바디의 제2유로 402와의 사이에는 진입된 공기가 모타쪽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작은 직경의 공기진입통로 433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일본의 실용신안공고 내용과 비교하여 볼 때 유로의 안으로 진입된 공기가 여러단계(4단계)로 직각으로 꺽인 후 모타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고 3단계로만 꺽인 후 모타로 진입하도록 하는 차이와 보조캡 430이 바디의 안쪽에서 조립되도록 하는 차이뿐이다. 이는 일본의 실용신안공고 내용보다 구조가 간단하지도 않으며 공기의 흐름작용이 더욱 양호한 것도 아니고 모타의 냉각작용이 더욱 진보된 것도 아니지만 보조캡이 바디의 안쪽에서 삽입되고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차이로 인해 조립공수가 절감되어 생산단가가 다소 저하되고 진동과 충격에 다소 강한 장점이 있다고 할 수 는 있으나 기능적으로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의문이 없지 않은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유입되는 공기가 모타의 넓은 면적에 단시간내에 미치도록 하여 모타의 냉각효과가 탁월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공수가 절감되며, 간단한 구조로 인해 사용할 때 진동이나 소음 발생의 우려가 격감되고 수송 및 보관이 편리함은 물론 탁월한 냉각효과와 견고한 구조로 인해 모타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의 특징을 가지는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를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돌출부 13의 끝에는 2개소의 공기유입구멍 14가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모타의 상면까지 커버링할 수 있는 모타보호관 11이 형성된 인너바디 10과, 2-웨이 방식의 돌출부 23들의 안쪽에는 공기유입구멍 2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23들과 연결되면서 외측으로 라운딩을 이루는 돌출부 22의 안쪽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멍 26들과 관통되는 유입공기확산실 "A"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22는 돌출관 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아웃바디 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사시도(저면위주 도시).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단면도.
도 6,6a,7,8,8a는 종래 제품을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진고무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아웃바디 11:모타보호관
13:돌출부 14:공기유입구멍
20:인너바디 21:돌출관
22,23:돌출부 26:공기유입구멍
A:유입공기확산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면을 기준한 참고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가장 요부에 해당되는 아웃바디 20의 돌출부 22와 2-웨이 방식의 돌출부 23 및 인너바디 10의 돌출부 13의 구성을 알 수 있고, 도 3과 도 4, 도 5를 살펴보면 돌출부 23의 안쪽에 공기유입구멍 26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 13에도 상기 공기유입구멍 26과 각각 관통되는 공기유입구멍 14가 형성되어 있음을 상세히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정중앙을 기준하여 절개한 단면도의 형식으로 도면이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공기유입구멍 26과 공기유입구멍 14는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도 3,4,5를 통해 이들의 구성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103은 팬이며 24는 모타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컨넥터가 삽입될 컨넥터삽입구멍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인너바디와 아웃바디는 나사 25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인너바디 10은 다시 나사조립구멍 15를 통해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하우징(블로어)과 결합됨을 알 수 있는데, 인너바디와 하우징간의 나사조립 상태는 일반적인 것이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은 인너바디와 아웃바디 2개로 간단히 구성되며 상술한 종래의 구조와 같이 별도의 보조캡이 사용되지 않는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인너바디의 공기유입구멍 14를 통해 2갈래로 유입된 공기는 아웃바디의 공기유입구멍 26을 통해 돌출부 22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공기확산실 "A"로 진입된다. 공기유입확산실 "A"로 진입된 공기는 도시와 같이 모타 110의 하방 1/2 정도에 이르는 유입공기확산실 "A"의 넓은 틈을 통해 모타 110의 하방에 단시간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이는 즉시 화살표(점선으로 표시함)의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상승하고 따라서 신속히 모타의 전체를 냉각시키게 된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구조는 공기유입구멍 26을 통해 유입공기확산실 "A"로 진입된 공기가 강제적으로 꺽이거나 또는 와류를 일으키도록 간섭을 받거나 또는 여러단계의 유로를 통과하여야 하는 방식이 아니고 또한 별도의 보조캡 등의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아닌 상태에서 공기유입구멍 26을 통해 안으로 진입된 공기는 스트레이트로 강하게 유입공기확산실 "A" 안으로 진입하여 확산됨과 동시에 가장 단시간내에 모타에 접촉됨과 아울러 모타의 넓은 면적에 걸쳐 동시에 냉각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진고무패드 700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인너바디와 아웃바디를 조립시킬 때 중앙에 체결되어 모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억제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도시와 같이 인너바디와 아웃바디가 나사에 의해 일체화되고 크기가 작은 보조캡 등의 수단이 불필요한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 모타의 진동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견고함이 인정되고, 특히 인너바디에는 모타의 상면까지 커버링하듯 타이트하게 감쌀 수 있는 모타보호관 11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타의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발명은, 종래의 구조에 비해 유입되는 공기가 모타의 넓은 면적에 단시간내에 미치도록 하여 모타의 냉각효과가 탁월하고 구조가 간단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공수가 절감되며, 간단한 구조로 인해 사용할 때 진동이나 소음 발생의 우려가 격감되고 수송 및 보관이 편리함은 물론 탁월한 냉각효과와 견고한 구조로 인해 모타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돌출부 13의 끝에는 2개소의 공기유입구멍 14가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모타의 상면까지 커버링할 수 있는 모타보호관 11이 형성된 인너바디 10과,
    2-웨이 방식의 돌출부 23들의 안쪽에는 공기유입구멍 2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23들과 연결되면서 외측으로 라운딩을 이루는 돌출부 22의 안쪽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멍 26들과 관통되는 유입공기확산실 "A"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22는 돌출관 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아웃바디 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
KR1020007012789A 1999-03-13 1999-03-13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 KR20010043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1999/000114 WO2000054996A1 (en) 1999-03-13 1999-03-13 Air guiding configuration for refrigeration of motor in air symmetrize device of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626A true KR20010043626A (ko) 2001-05-25

Family

ID=1957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789A KR20010043626A (ko) 1999-03-13 1999-03-13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0043626A (ko)
AU (1) AU2857499A (ko)
WO (1) WO2000054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493B1 (ko) * 2001-12-20 2007-12-24 한라공조주식회사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1750B1 (fr) * 2010-06-24 2012-08-10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fermeture d'un support moteur d'un groupe moto-ventilateur
CN102211510B (zh) * 2011-04-29 2012-12-26 上海贝洱热系统有限公司 车用空调器的降噪进风结构
DE102014211768A1 (de) 2014-06-18 2015-12-24 Mahle International Gmbh Befestigungsanordnung
JP6651491B2 (ja) 2017-11-27 2020-02-19 シナノケンシ株式会社 送風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438A (ja) * 1992-11-26 1994-06-10 Shibaura Eng Works Co Ltd ファン装置
JPH08163823A (ja) * 1994-11-30 1996-06-21 Tokushu Denso Kk 送風機
JPH08172743A (ja) * 1994-12-20 1996-07-02 Fujitsu General Ltd モールドモータ
JPH09121510A (ja) * 1995-10-25 1997-05-06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ファン付モータ
KR970053906U (ko) * 1996-03-13 1997-10-13 자동차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36384A5 (en) * 1973-07-05 1975-01-31 Ferodo Sa Vehicle ventilating and heating fan unit - air passes around motor casing, and through holes in fan blade
FR2737062B1 (fr) * 1995-07-21 1997-08-29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pour supporter un moteur electrique entrainant une turbine, notamment pour appareil de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DE19547674A1 (de) * 1995-12-20 1997-06-26 Temic Auto Electr Motors Gmbh Radialgebläse, insbesondere für Heizungs- und Klimaanlagen von Kraftfahrzeug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438A (ja) * 1992-11-26 1994-06-10 Shibaura Eng Works Co Ltd ファン装置
JPH08163823A (ja) * 1994-11-30 1996-06-21 Tokushu Denso Kk 送風機
JPH08172743A (ja) * 1994-12-20 1996-07-02 Fujitsu General Ltd モールドモータ
JPH09121510A (ja) * 1995-10-25 1997-05-06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ファン付モータ
KR970053906U (ko) * 1996-03-13 1997-10-13 자동차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493B1 (ko) * 2001-12-20 2007-12-24 한라공조주식회사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857499A (en) 2000-10-04
WO2000054996A1 (en) 200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2504B1 (en) HVAC motor and cover structure
US20020131861A1 (en) Centrifugal blower having noise-reduction structure
US20230016042A1 (en) Fresh air module and air conditioner
KR20010043626A (ko)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모타 냉각용 공기안내구조
EP0985829A3 (de) Gebläsegehäuse und Radialgebläse
JPH0732933Y2 (ja) 電動フューエルポンプ
US20020159885A1 (en) Heat dissipating fan
KR100284146B1 (ko) 레크레이션어블 비이클용 공기 조화기의 스크롤하우징
CN212618747U (zh) 新风模块、空调室内机以及空调器
CN109282466B (zh) 一种风道组件以及空调器
CN211408866U (zh) 一种真空吸尘器
KR200310310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의 피드백센서 조립체
CN219257001U (zh) 一体式汽车空调风机和具有其的汽车
CN211408865U (zh) 一种可防电池过热的真空吸尘器
CN220884043U (zh) 前端冷却模块和冷却系统
CN221009922U (zh) 电机以及车辆
CN220275125U (zh) 吹风机
KR100381471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CN212213637U (zh) 一种真空吸尘器
CN218347629U (zh) 电风扇及出风结构
CN216278572U (zh) 蜗壳、离心风机、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20248402U (zh) 风扇模组及手持风扇
CN220524221U (zh) 导风装置及空调器
CN212204772U (zh) 壁挂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2325382A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