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127A -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의 변환 - Google Patents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의 변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127A
KR20010042127A KR1020007010529A KR20007010529A KR20010042127A KR 20010042127 A KR20010042127 A KR 20010042127A KR 1020007010529 A KR1020007010529 A KR 1020007010529A KR 20007010529 A KR20007010529 A KR 20007010529A KR 20010042127 A KR20010042127 A KR 20010042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luminance
response
picture elem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3622B1 (ko
Inventor
가데인코엔
반덴베르흐패트릭
Original Assignee
미첼 반데플러스,패트릭 켄드리
바르코 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370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4212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첼 반데플러스,패트릭 켄드리, 바르코 앤.브이. filed Critical 미첼 반데플러스,패트릭 켄드리
Publication of KR2001004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디스플레이 상에서 증가 및 감소하는 다른 휘도응답시간으로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를 변환하거나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신호를 변환하거나 발생시킴으로써 대영역 휘도점프, 대영역 플리커, 순간결점대영역 휘도와 같이, 증가 및 감소하는 휘도응답시간의 차이에 의해서 야기되는 아티펙트가 표시된 화상에서 근본적으로 제거된다.

Description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의 변환{Conversion of a video signal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이나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비디오 화상을 표시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다. CRT나 LCD디스플레이 장치를 갖추고 있는 화상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25Hz이상의 리프레시 속도(refresh rate)로 리프레시되는 다수의 화상요소(또는 화소)로 구성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들은 단색 혹은 다색이거나 전체 색(full-colour)일 수 있다. 프레임의 연속으로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공통표준이 사용된다.
CRT나 LCD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연속되는 프레임의 빛은 사람의 눈에 통합되어 보인다. 초당 표시되는 프레임의 수-소위 프레임 비율-가 충분히 크다면, 화상이 연속되는 것처럼 보임으로서 움직이는 화상으로 보일 수 있다.
CRT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화상이 형성되는 방법은 LCD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화상이 형성되는 방법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CRT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요소의 휘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광층 영역에 기록전자빔(writing electron beam)이 조사될 때, 상기 영역에 의해서 생성된다.
LCD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요소의 휘도는 화상요소의 위치에서 LCD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하나 이상의 액정요소의 빛투과상태에 의해서 결정되며, 빛은 주변광이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다.
움직이는 화상이나 화상의 움직이는 부분의 정확한 재생을 위해서는 사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응답이 가장 중요하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휘도응답과 휘도응답시간은 CRT디스플레이 장치와 LCD디스플레이 장치가 매우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응하는 구동신호의 즉각적인 변화에 응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정확한 휘도가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인 휘도응답시간은 CRT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주기보다 짧으나, 상기 기술의 상태에 따라서 전형적인 LCD디스플레이 장치의 여러 프레임 주기에까지 이른다.
또한, LCD디스플레이 장치용으로, 어두운 쪽에서 밝은 쪽으로의 휘도전이를 위한 휘도응답과 휘도응답시간은 밝은쪽에서 어두운쪽으로의 유사한 휘도전이의 휘도응답 및 휘도응답시간과 비교할 때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우기, 휘도응답과 휘도응답시간은 온도 및 구동전압범위에 의존적이며, 생산허용차로 인하여 LCD스크린 영역에 걸쳐서 불균등하다(위치 의존적).
LCD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응답시간을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해결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은 전체 휘도응답시간을 짧게하며, 휘도의 증가시간과 감소시간은 동등하게 만들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P(유럽 특허) 0 487 140은 디스플레이 프레임 비율을 배로 늘림으로써 표시응답시간에 속도를 가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휘도증가시간과 휘도감소시간은 다르게 남아있다. EP 0 553 865는 휘도응답과 관련된 휘도 플리커(fliciker) 현상을 기술하지만, 이 플리커는 휘도증가시간과 휘도감소시간 사이의 차이로 인한 것이 아니라, 화상선이 기록되는 방법에 의한 것이다.
휘도 증가시간과 감소시간이 다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걸쳐서 이동하는 특정한 화상으로 불리는 많은 화상들은, 휘도응답이 짧아질 때조차도 표시된 화상에서 눈에 띄고 측정 가능한 아티펙트(artefact)가 증가한다.
상기 특정 화상들은 상기 화상의 주위에서 높은 컨트라스트(contrast)를 갖는 분리되어 있거나 다발로 있는 많은 화소점들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아티펙트는 LCD디스플레이 장치용의 전형적인 휘도증가시간과 휘도감소시간 사이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이는 백색 스폿이 제 1위치로부터 제 2위치로 이동할 때, 제 1위치에서의 백색 스폿의 휘도감소(혹은 증가)가 제 2위치에서의 백색 스폿의 동시적인 휘도증가(혹은 감소)와 다르도록 야기한다. 백색점의 이동직전이나 이동하는 동안 및 이동후에 스크린 영역에 걸쳐서 집적된 전체 휘도는 일정하지 않다. 집적된 휘도는‘휘도 점프(luminance jump)’를 나타낸다.
실제로, 더 많은 화상요소가 시청자의 시야 내에서 동시에 휘도를 변화시킬 때, 상기 아티펙트가 눈에 띌 것이다.
실제로, 다양한 다른 아티펙트들은 휘도 증가시간과 감소시간 사이의 차이, 표시된 화상의 프레임 비율, 비디오 신호 레벨, 화상이 스크린에 걸쳐서 이동하는 속도, 화상 용량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에 달려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상기 눈에 띄는 아티펙트는 표시된 화상의 질을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열등하게 만든다. 이미 알려진 프레임 비율을 증가시키는 해결방법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최상의 경우에 눈에 덜 띄도록 할 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이 이동하는 동안이나 이동 직후에 표시된 화상에서의 상기 휘도 점프와 상기 휘도 점프로부터 야기되는 눈에 띄는 모든 아티펙트와,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휘도 증가시간 및 감소시간의 차이로 인한 휘도점프 및 아티펙트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디스플레이상에 다른 휘도 증가 및 감소응답시간을 갖는 화상의 표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액정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상의 TV화상 및 데이터정보의 표시에 관한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특정 비디오 신호의 표시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에 걸친 그 화면이동을 나타낸다.
도 2는 특정“텍스트 윈도우(text window)”비디오 신호의 표시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걸친 그 이동을 나타낸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제 1위치와 제 2위치 사이의 백색점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4는 백색점이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이동할 때,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휘도응답을 나타낸다(종래 기술).
도 5는 백색점이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이동할 때,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휘도응답을 나타낸다(종래 기술).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두 개의 백색점의 수평이동을 나타낸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세 개의 백색점의 수평이동을 나타낸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두 개의 백색점의 수직이동을 나타낸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한 무리의 백색점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백색점의 3단계 이동을 나타낸다.
도 11은 세개의 연속적인 프레임 주기동안에 백색점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을 이동할 때,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휘도응답을 나타낸다(종래 기술).
도 12는 화상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발생기를 접속하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4a는 먼저 흑색에서 백색으로 바뀌고 나중에 백색에서 흑색으로 바뀌는 화상점에 대응하는 제 1비디오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4b는 휘도를 먼저 흑색에서 백색으로 바꾸고 나중에 백색에서 흑색으로 바꾸도록 하기 위해서 LCD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개의 액정셀에 대한 종래 기술의 RMS구동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르며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짧은 LCD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화상요소의 휘도응답을 나타낸다.
도 15b는 휘도를 먼저 흑색에서 백색으로 바꾸고 나중에 백색에서 흑색으로 바꾸도록 하기 위해서 LCD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개의 결정셀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RMS구동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5c는 먼저 흑색에서 백색으로 바뀌고 나중에 백색에서 흑색으로 바뀌는 화상요소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비디오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6은 휘도응답이 본 발명에 따라서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7a는 본 발명에 따르며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긴 LCD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화상요소의 휘도응답을 나타낸다.
도 17b는 휘도를 먼저 흑색에서 백색으로 바꾸고 나중에 백색에서 흑색으로 바꾸도록 하기 위해서 LCD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개개의 결정셀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RMS구동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7c는 먼저 흑색에서 백색으로 바뀌고 나중에 백색에서 흑색으로 바뀌는 화상요소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비디오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장치를 나타낸다.
도 19는 비디오 발생기와 화상 디스플레이 사이에 접속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다.
도 20은 화상 디스플레이에 접속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장치를 갖고 있는 비디오 발생기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화상 디스플레이에 접속되어 있는 비디오 발생기를 나타낸다.
이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며, 상기 제 2비디오 신호는 다른 휘도증가시간과 감소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프레임 주기에서 작동한다. 상기 변환에 의하여 제 2비디오 신호는, 제 2진폭값으로부터 제 1진폭값으로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화에 대한 상기 화상의 동일한 화상요소나 혹은 다른 화상요소의 휘도시간응답과 비교할 때, 제 1진폭값으로부터 제 2진폭값으로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화에 대한 화상의 화상요소 휘도시간응답이 형태와 진폭은 대략 동등하지만 기울기가 반대로 되도록 한다. 상기 휘도시간응답은‘소정의 휘도시간응답’과 실질적으로 같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휘도시간응답은 변환없이 표시될 때, 제 1비디오 신호에 의해서 야기되는 동일한 화상요소나 다른 화상요소의 진폭과 거의 동등하며, 휘도응답보다 느리지 않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동일한 화상요소 혹은 다른 화상요소의 선택은 상기 동일한 화상요소 그 자체, 상기 동일한 화상요소가 속한 화상요소들의 분류된 군으로부터의 기준화상요소,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화상요소일 수 있다. 선택된 상기 동일한 화상요소나 혹은 다른 화상요소는 휘도응답이 가장 느리게 표시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화상요소들의 화상요소일 수 있다. 상기 변환은 휘도증가시간 및 감소시간의 온도의존성의 보상(compensation)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걸친 휘도증가시간 및 감소시간의 불균일함의 상쇄를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변환은 대응하는 연속적인 정정주기동안에 연속적인 단계로 실시간 일어난다.
다음 단계의 결정을 위해서, 이하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정정주기의 개시시에 고려될 수 있다:
- 바로 이전의 정정주기에서 예측되는 바와 같은 화상요소의 현재 휘도
- 제 1비디오 신호의 현재 진폭
-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화상요소의 물리적 위치
- 화상요소 위치에서의 현재 온도.
바람직하게, 정정주기는 제 2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주기의 배수와 같다.
제 2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비율은 제 1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비율의 배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비디오 신호의 제 2비디오 신호로의 변환은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환을 위한 화상요소의 더 빠른 휘도응답이 제때에 휘도응답을 매치시키고, 제 1비디오 신호의 역변환을 위한 동일한 화상요소나 다른 화상요소의 이미 알려진 더 느린 휘도응답에 진폭을 매치시키기 위해서 느려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비디오 신호의 제 2비디오 신호로의 변환은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환을 위한 화상요소의 더 느린 휘도응답이 제때에 휘도응답을 매치시키고, 제 1비디오 신호의 역변환을 위한 동일한 화상요소나 다른 화상요소의 이미 알려진 더 빠른 휘도응답에 진폭을 매치시키기 위해서 가속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환에 의하여 제 2비디오 신호는, 제 2진폭값으로부터 제 1진폭값으로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화에 대한 상기 화상의 동일한 화상요소나 혹은 다른 화상요소의 휘도시간응답과 비교할 때, 제 1진폭값으로부터 제 2진폭값으로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화에 대한 화상의 화상요소 휘도시간응답이 형태와 진폭은 대략 동등하지만 기울기가 반대로 되도록 한다.
더우기, 이하에 설명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장치가 요구된다.
특정 화상의 제 1예시는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나 있다. 화상 디스플레이(1)는 그 디스플레이 스크린(2)에 잡음이 심한 특정 화상(3)을 가지며, 상기 화상은 화면이동 단계가 분명하게 인식될 수 있을 만큼 느린 속도로 화면이동을 한다. 도 1b는 특정 화상(3)의 확대된 부분(4)을 나타내며,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나 있는 화상과 관련된 그것의 위치는, 화면이동단계 전의 밝은 화상점(6)에서 화상 윗쪽 테두리까지의 거리(5)와 화면이동단계 후의 거리(7)의 차이만큼 아래쪽으로의 화면이동단계를 나타낸다. 특정 화상의 제 2예시는 도 2에 나타나 있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2)상에서 위치(9)로부터 위치(10)으로 이동하는, 내측에 텍스트가 있는 윈도우(8)를 나타낸다. 아티펙트는 휘도증가응답과 감소응답 및 화면이동이나 이동속도에 의해 좌우되며, 대영역 휘도 플래시, 대영역 휘도 플리커, 순간 결점 대영역 휘도로서 보여진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제 1위치(12)(도 3a)로부터 제 2위치(13)(도 3c)로 화상요소의 치수를 가지고 백색점(11)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을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두 개의 위치(12, 13)를 둘러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작은 부분(14)만이 확대되어 나타난다.
백색점이 상기 제 1위치(12)에서 상기 제 2위치(13)로 즉시 바뀔 때, 이하의 현상이 일어난다.
휘도응답이 즉각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백색점이 제 1위치(12)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동시에 제 2위치(13)에 완전하게 다시 나타나며, 백색점의 이동전이나 이동하는 동안 및 이동후에 스크린영역(14)에 걸쳐서 집적된 휘도는 백색점에 대응하는 휘도와 같을 것이다.
전형적인 LCD디스플레이 장치용일 때, 휘도감소시간과 비교하여 다른 휘도증가시간을 갖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제 1위치(12)에서의 백색점의 휘도감소(혹은 증가)는 제 2위치(13)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백색점의 휘도증가(혹은 감소)와 다르며, 스크린영역(14)에 걸쳐서 집적된 총휘도는 백색점의 이동직전이나 이동하는 동안 및 이동후에 같지 않을 것이다.
도 4는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T0시간에 제 1위치(12)로부터 제 2위치(13)로 백색점(11)이 이동하기 전이나 이동하는 동안 및 이동후의 휘도를 나타낸다. 수평축(15)은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축(16)은 휘도를 나타낸다. 그래프(17)는 제 1위치(12)에서의 화상요소의 휘도를 나타내며, 그래프(18)는 제 2위치(13)에서의 화상요소의 휘도를 나타내고, 그래프(19)는 스크린 영역(14)에 걸쳐서 집적된 휘도를 나타낸다.
도 5는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T0시간에 제 1위치(12)로부터 제 2위치(13)로 백색점(11)이 이동하기 전이나 이동하는 동안 및 이동후의 휘도를 나타낸다. 그래프(20)는 제 1위치(12)에서의 화상요소의 휘도를 나타내며, 그래프(21)는 제 2위치(13)에서의 화상요소의 휘도를 나타내고, 그래프(22)는 스크린 영역(14)에 걸쳐서 집적된 휘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백색점(11)이 제 1위치(12)로부터 제 2위치(13)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증가시간 및 감소시간이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짧은 휘도점프가 일어난다. 같은 시간주기 내에서, 제 2위치(13)에서의 화상요소의 휘도는 제 1위치(12)에서의 화상요소의 휘도와 비교하여 다르게 바뀌며, 상기 다른점이 휘도점프의 진폭을 결정한다. 이 휘도점프는 상술한 아티펙트에서 기인하며, 이하에 더 설명될 것이다.
더 많은 백색점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동일한 작은 영역내에서 이동한다면, 역시 휘도점프는 일어나지만, 그 진폭은 백색점들이 같은 영역내에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달라진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나란히 놓여있는 두 개의 백색점이 한 개의 화상요소의 간격만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b는 하나의 화상요소는 휘도가 바뀌지 않는 반면에, 다른 두개의 화상요소는 휘도가 바뀌는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백색점의 이동과 비교할 때, 영역(14)내에서의 휘도점프의 진폭은 동일하지만, 이동하는 점의 총휘도와 관련있는 절대 휘도점프인 상대 휘도점프는 더 작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나란히 놓여있는 세개의 백색점이 한개의 화상요소의 간격만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7b는 두개의 화상요소는 휘도가 바뀌지 않는 반면에, 다른 두개의 화상요소는 휘도가 바뀌는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백색점의 이동과 비교할 때, 영역(14)내에서의 휘도점프의 진폭이 동일하고, 상술한 두개의 백색점의 이동과 비교할 때, 영역(14)내에서의 휘도점프의 진폭이 동일하지만, 이동하는 점의 총휘도와 관련있는 절대 휘도점프인 상대 휘도점프는 더 작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두개의 백색점이 한개의 화상요소의 간격만큼 수직방향으로 서로 위로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네 개의 화상요소가 동시에 휘도를 바꾸는 것을 나타낸다. 하나의 백색점의 이동과 비교할 때, 휘도점프는 배가 되지만, 상대 휘도점프는 동일하다.
화상 스크린의 영역내에서 제 1위치로부터 제 2위치로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백색점의 다른 결합은 상기 영역 내에서 다른 절대휘도점프 및 상대휘도점프를 제공할 것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하나의 위치로부터 더 많은 우측하방의 위치로 더 큰 결합이나 무리의 백색점들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스크린 영역(14)내에서 위치(23)으로부터 위치(26)으로 위치(24, 25)를 걸쳐서 3프레임 주기의 시간간격 T0-T3동안에 이동하는 백색점(11)을 나타낸다. 도 11은 영역(14)에 걸쳐서 집적된, 시간에 대한 휘도의 그래프(27)를 나타낸다. 백색점이 이동하는 동안에 순간적으로 낮은 휘도(28)가 나타난다. 그 휘도는 순간적인 결점이다. 이 아티펙트는 화상점프와 관련이 있으며,‘순간결점휘도’로서 언급된다.
‘휘도점프’및‘순간결점휘도’아티펙트는 하나 이상의 백색점으로 구성된 화상을 단순 이동하기 위해서 상기에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 아티펙트들은 다른 휘도증가시간과 감소시간을 갖는 화상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는 화상과 함께 더 눈에 띄고 측정가능하거나 또는 덜 눈에 띄고 측정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특정 화상,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낸 화상이 스크린에 걸쳐서 이동하여 그 내용이 변하지 않고 남아있을 때, 아티펙트는 이동속도에 따라 좌우되면서, 휘도점프(혹은 더 밝거나 더 어두운 휘도 플래시)로부터 연유되어 대영역 플리커에 걸쳐서 대영역 결점휘도로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아티펙트는 화상에서만 일어나거나 혹은 이동하는 화상의 부분에서 일어난다.
도 12는 화상 디스플레이(1)에 비디오 발생기(29)가 접속된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3의 블록도와 파형에 의해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제 1비디오 신호가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32)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입력은 제 1비디오 신호(33)이며, 출력은 제 1비디오 신호(33)의 변환인 제 2비디오 신호(34)이다. 이 장치(32)는 임의 역감마(γ-1)정정(35), 감산기(36), 제 1가산기(37), 제 2가산기(38), 처리블록(39), 1-프레임 메모리FM, 임의 감마정정(40)의 여러 기능적인 블록들로 구성된다. 상기 기능적인 블록들은 그들 간의 값을 상호교환하기 위해서 여러 상호접속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상기 값들은, 장치(32)가 비디오 발생기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비디오 체인에서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휘도나 감마정정된 비디오 신호, 혹은 감마정정없는 비디오 신호나 이들의 하나 이상의 결합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장치(32)를 설명하기 위해서, 상기 값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휘도에 직선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제 1비디오 신호 및 제 2비디오 신호는 감마정정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입력측에서의 역감마정정(35)과 출력측에서의 감마정정(40)을 추가하고, 감마-자각(gamma-awareness)을 장치(32)로 집적시킴으로써 감마정정된 비디오 신호를 위한 장치를 확장하는 것이 쉬울 것이다.
처리블록(39)은 TL값용 임의입력을 가지며, 상기 값들은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시에 보상(compensation)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도, 처리될 화소의 위치, 생산 배치(batch)간의 표시의 차이, 디스플레이의 노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화상요소의 현재상태와 관련이 있다. 이 값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센서로부터 발생하거나 스크린상이나 외부데이터 입구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이 장치(32)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비디오 신호 IN1이 선택된다. 이 선택된 제 1비디오 신호는 흑색배경상의 백색화상요소에 대응하며, 그 백색화상요소는 T0시간에 나타나서 T10시간에 사라진다. 도 14a에서, 수평축은 제 1비디오 신호의 프레임주기에 대응하는 TF1의 분할로 시간을 나타내며, 수직축은 전압을 나타낸다. 제 1비디오 신호 진폭은 T0시간에 I0에서 I1으로, T10시간에 I1에서 I0로 바뀐다.
도 14b는 제 1비디오 신호 IN1의 백색점을 표시하기 위해서 구동되는 LCD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나 이상의 액정화상셀에 대하여 전형적인 LCD디스플레이 장치내에 인가되는 RMS구동전압의 파형을 나타내며, 이는 종래기술에 의한 것이다.
도 15a는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짧은 LCD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의 화상요소의 수많은 휘도시간응답을 나타낸다. 수평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축(41)은 휘도를 나타낸다. 도 15a의 휘도응답은 유일한 LCD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하며, 이 응답은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스크린 에서의 화상요소의 위치, 온도에 따라서 좌우된다.
도 15a의 그래프(42)는 표시된 화상요소의 위치에서 제 1비디오 신호 IN1에 대응하는 이전 기술의 휘도응답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휘도는 시간 T0부터 몇몇 프레임 주기동안 L0부터 L1으로 증가하며, T10으로부터 몇몇 프레임 주기동안 감소한다. 이 휘도증가시간은 휘도감소시간보다 짧다.
그래프(43)는 비디오 신호 IN1과 비교하여 진폭이 반대로 되어 있으며, 또한 IN1으로 불리는 제 1비디오 신호에 대한 동일한 화상요소의 이전 기술 휘도응답을 나타낸다. 휘도증가시간 및 휘도감소시간은 그래프(42)와 같다.
비디오신호 IN1과 -IN1은 동일한 화상요소를 구동하기 위해서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백색의 화상요소가 화상내에서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입력 프레임 주기보다 짧은 시간간격 내에서 둘다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증가시간과 휘도감소시간은, 더 느린 응답에 맞추기 위해서 더 빠른 응답을 느리게 하거나, 더 빠른 응답에 맞추기 위해서 더 느린 응답을 가속화하거나, 혹은 더 빠른 응답과 더 느린 응답을 소정의 휘도응답과 같게 만듦으로써 같아지며, 이 세가지 방법들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더 느린 응답을 가속화하는 것은 더 높은 구동전압이 필요하며, 화상 디스플레이에서 포화(saturation)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항상 사용가능한 것은 아니다.
더 빠른 응답을 더 느리게 만들기 위한 해결법만이 충분히 설명된다. 더 느린 응답을 더 빠르게 만드는 것이나, 더 빠른 응답과 더 느린 응답을 소정의 응답과 동일하게 만드는 것은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서 쉽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5a의 그래프(42)는 휘도가 증가하는 시간간격동안에 그래프(44)에 비해 느리게 되며, 그래프(43)와 반대인 그래프(45)에 가능한 가까이에 매치된다. 휘도가 감소하는 간격동안(T10부터), 응답은 변경되지 않으며, 그래프(42)로서 남아있게 된다.
도 16은 도 15a의 일부분, 즉 T0부터 T3사이를 확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화상의 휘도와 제 2비디오 신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 1수직축(41)에 제 2수직축(46)이 부가된다.
또한,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은 도 13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상기 변환은 대응하는 연속적인 정정주기 TC동안 연속적인 단계로 실시간 구축되는 것과 같다. 정정주기 TC는 표시된 화상의 프레임 주기와 같은 것이 좋다. 정정주기는 제 1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주기 TF1과 다를 수 있다.
이전에 1정정주기에서 휘도가 예측될 때, 감산기(36)에서 제 1비디오 신호(33)의 현재값으로부터 현재휘도에 대응하는 값 FR을 뺀다. 결과는 Δ값이다. Δ값은 다음 정정주기동안에 휘도가 어떻게 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휘도는 Δ가 양일 때 증가하고, Δ가 음일 때 감소하며, Δ가 0일 때 여전히 같다. Δ값은 처리블록(39)의 제 1입력에 적용된다. 제 2입력에서 예측된 휘도 FR이 적용된다. 입력값으로서의 Δ와 FR, 그리고 존재한다면 접속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관계된 하나 이상의 온도값 TL에 따라 두 개의 출력값 ΔC와 ΔR이 결정된다. 이들 값 ΔC와 ΔR이 결정되는 방법이 또한 설명된다. ΔC는 다음 정정주기의 끝에서 선택된 휘도에 도달하기 위해서(선택된 응답에 매치시키기 위해서) 예측된 휘도 FR에 부가되는 정정값이다. ΔR은 ΔC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파라미터(스크린 위치, 전압, 온도 의존)를 고려한 예측된 휘도 FR에 부가할 때, 휘도가 다음 정정주기 후에 변하게 될 값이다.
상기 값 ΔC는 제 1가산기(37)에서 예측된 휘도 FR에 부가된다. 상기 예측된 휘도 FR은 이전의 정정주기 처음에 예측되며, 하나의 정정주기 메모리 FM에서 하나의 정정주기에 걸쳐서 지연된다. 제 1가산기(37)의 출력은 임의 감마정정 없이 제 2비디오 신호(34)인 값이다.
상기 값 ΔR은 제 2가산기(38) 블록에서 예측된 휘도 FR의 값에 부가된다. 이 출력은 다음 정정주기 동안에 예측된 휘도이다.
비록 제 2비디오 신호로의 정정이 몇몇 정정주기를 취한다 할지라도, 유일한 정정주기(혹은 유일한 제 2비디오 신호 프레임 주기)의 메모리 FM이 필요하다. 이전의 정정주기 시작시에 계산되어 하나의 정정주기동안 기억되는 본 휘도에 기초하여 새로운 정정값이 정정주기마다 결정된다.
상술한 장치(32)는 상기 언급한 모든 기능적인 블록들과 제 1비디오 신호(33)를 제 2비디오 신호(34)로 변환함으로써 연속적인 단계에서 휘도응답을 바꾸기 위한 접속을 포함한다. 그러나, 휘도응답을 바꿀 필요가 항상 있는 것은 아니다. 즉, 휘도응답이 이미 제 1비디오 신호와 함께 가장 느린 응답을 따를 때, 이 장치는 투명하게 작동할 수 있다. 이는 처리블록(39)에서 실현될 수 있다.
이제, 또 다른 설명을 위해서 휘도응답이 시간 T0로부터 T3까지 세 개의 연속적인 정정주기 동안에 구축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 16을 참조한다.
T0로부터 T1까지, 휘도증가는 정정없이 그래프(42)를 따라서 LF로부터 LA1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휘도응답은 그래프(45)를 따르며, LF에서 LB1까지 증가한다. 증가하는 휘도경사의 형태는 감소하는 휘도경사의 역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그래서, 증가하는 휘도를 그래프(45)에 매치시키고, 이와 동시에 시간 T1에 휘도 LB1에 도달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T0에서 T1까지의 정정주기에 걸쳐서 집적된 휘도가 정확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휘도는 집적된 휘도가 그래프(45)를 따르며, T1에 LB1에 도달하는 것과 같이 되기 위해서 증가하여야 한다. 이는 휘도가 지수 그래프(47)를 따를 때 그렇게 함으로써, 휘도는 T1에서 LD1이다. 정정된 휘도응답은 도 16(그리고 도 15a)에서 (44)로 표시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ΔC는 제 2비디오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서 적당한 값을 가짐으로써 휘도는 수많은 정정 주기에 걸쳐서 LC1까지 증가한다. LD1은 정정주기 T0-T1의 끝에 예측된 휘도FR이다.
T1에서, T1-T2의 정정주기가 시작된다. 휘도는 그래프(45)에 가능한 가까이 따르고, 이와 동시에 T1-T2에 걸쳐서 집적된 휘도는 휘도응답이 그래프(45)를 따르는 것과 같이 동일하도록 연속된다. 그러므로, 휘도는 휘도 LC2까지 증가하며(그래프(48)), 정정주기 T1-T2내에서 LD1으로부터 LD2까지 증가한다. LD2는 정정 T1-T2후에 예측된 휘도이다. 비디오 신호가 정정되지 않는다면, 휘도 LA2는 T2에서 도달될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도 16의 수직축에 값이 정해진다. 제 1비디오 신호의 진폭값은 T0에서 INF로부터 INT에 이른다. T1에서, 제 1비디오 신호의 값과 T0에서 예측된 휘도 FR사이의 차이는 Δ1=INT-FR1이다. 처리블록의 출력은 ΔC1이며, 새로운 제 2비디오 신호값이 되기 위해서 FR1에 부가된다. 정정주기 T1-T2 이후의 예측된 휘도의 증가는 ΔR1이며, T2에서 예측된 휘도는 FR1+ΔR1=FR2이다. T2에서부터, 휘도응답은 설명한 바와 같이 휘도 LT까지 증가한다. 도 15a는 T10에서부터, 휘도응답은 더 느린 휘도감소응답을 따르며, 정정이 실행되지 않고, 장치(32)는 투명하게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b는 도 14b를 참조하여 RMS구동전압의 파형을 나타내나, 제 2비디오 신호에 응하여 나타낸다.
도 15c는 도 14a에서 나타낸 제 1비디오 신호가 변환된 제 2비디오 신호를 나타낸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도 15a, 도 15b 및 도 15c와 비교하여 유사한 파형을 나타내나, 이는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긴 디스플레이 장치용이다. 휘도감소는 T10에서부터 더 느려진다.
처리블록(39)에서, 출력값 ΔC와 ΔR은 입력값 Δ과 FR, 임의 온도값 및 위치값으로 결정된다. 이에 의해서 이하의 C언어함수가 사용된다.
상기 나타낸 C언어 함수에서, 1/60초마다 정정이 결정된다(프레임 비율 60Hz). 그것은 휘도증가시간이 휘도감소시간보다 긴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화상의 표시를 위해서 기록된다. “delta_out”(ΔC)과“dres”(ΔR)의 값은“delta_in”(Δ)과“from”(FR)으로부터 계산한다. “delta_in”이 양일 때, 휘도는 증가하며(양의 기울기), 정정이 일어나지 않는다. “dout(또는 ΔC)”의 계산은 T가 정정주기인 이하의 수학식 1에 기초한다.
“dres”(ΔR)의 계산은 이하의 수학식 2에 기초한다.
τs(또는 tau_rising)와 τf(또는 tau_decaying)는 휘도시간응답에 대응하는 지수함수의 시간상수이다.
C프로그램 함수는 온도(temp_function)와 위치(location_funtion)의 함수에서 정정을 포함한다.
처리블록(39)은 다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처리블록(39)은 출력되기 전에 온도 및 위치의존적 정정을 위해서 승산기를 거쳐 보내지는, 입력값으로서의 Δ와 FR 및 출력값으로서의 ΔC와 ΔR을 가지고 미리 계산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일 수 있다.
그것은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은 C프로그램 함수의 하드웨어의 실행일 수 있다.
그것은 온도함수에서 룩업 테이블의 값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룩업 테이블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8, 도 19,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 및 적용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비디오 신호(33)가 제 2비디오 신호(34)로 변환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관련된 TL값을 위한 임의입력(50)을 갖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임의 온도센서(51)를 갖는 자립형 장치(49)를 나타낸다. 도 19는 비디오 발생기(29)와 화상 디스플레이(1) 사이에 접속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52)를 나타낸다. 도 20은 화상 디스플레이(1)에 접속된 신호발생기(29)내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52)를 나타낸다. 도 21은 비디오 발생기(29)에 접속된 화상 디스플레이 내에 있는 본 발명 따른 장치(52)를 나타낸다.
또한, 비디오 신호가 신호 발생기 내에서 발생되거나 변환됨으로써 다른 휘도증가시간 및 감소시간을 가지고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시된, 화상의 화상요소 휘도시간응답이 비디오 신호의 진폭변화 및 비디오 신호의 역진폭변화와 동일한 것이 본 발명의 가능한 적용이다.

Claims (10)

  1.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비디오 신호는 다른 휘도증가 및 감소시간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환에 의하여 제 2비디오 신호가, 제 2진폭값으로부터 제 1진폭값으로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화에 대한 상기 화상의 동일한 화상요소나 혹은 다른 화상요소의 휘도시간응답과 비교할 때, 제 1진폭값으로부터 제 2진폭값으로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화에 대한 화상의 화상요소 휘도시간응답이 형태와 진폭은 대략 동등하지만 기울기가 반대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주기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응답시간은 실질적으로 진폭은 동일하며, 변환없이 표시된 제 1비디오 신호에 의해서 야기된 동일한 화상요소나 다른 화상요소의 휘도응답보다 느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시간응답은 소정의 휘도시간응답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비디오 신호가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됨으로써 제 2비디오 신호가 대응하는 연속정정주기 동안에 연속적인 단계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정정 주기의 시작시에 다음 단계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전의 정정주기에서 정해진 것과 같은 화상요소의 휘도와, 제 1비디오 신호의 진폭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의 화상요소의 물리적 위치 및 화상요소의 위치에서의 온도의 파라미터중에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6.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정정주기가 제 1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주기의 배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비율은 제 1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비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8. 제 1, 2, 4, 5, 6,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화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화상요소의 휘도응답은 제 1비디오 신호의 역변화를 위한 동일한 화상요소나 혹은 다른 화상요소의 이미 알려진 더 느린 휘도응답에 대하여 시간과 진폭에서 휘도응답을 매치시키기 위해서 느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9. 제 1, 2, 4, 5, 6,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제 1비디오 신호의 변화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화상요소의 휘도응답이 제 1비디오 신호의 역변화를 위한 동일한 화상요소나 혹은 다른 화상요소의 이미 알려진 더 빠른 휘도응답에 대하여 시간과 진폭에서 휘도응답을 매치시키기 위해서 가속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를 제 2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10. 제 1비디오 신호(33)를 제 2비디오 신호(34)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 1비디오 신호(33)에서 예측된 휘도를 빼기 위한 감산기(36)와,
    감산기의 출력과 예측된 휘도를 입력하고, 제 1 및 제 2정정값을 출력하는 처리블록(39)과,
    처리블록(39)의 제 1정정값과 예측된 휘도를 부가함으로써 제 2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제 1가산기(37)와,
    제 2정정값과 예측된 휘도를 부가함으로써 다음의 예측된 휘도를 형성하기 위한 제 2가산기와,
    다음에 예측된 휘도를 지연시킴으로써 다음의 정정주기동안 예측된 휘도를 형성하기 위한 1프레임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비디오 신호(33)를 제 2비디오 신호(34)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
KR1020007010529A 1998-04-17 1999-03-25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의 변환 KR100623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870086A EP0951007B1 (en) 1998-04-17 1998-04-17 Conversion of a video signal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EP98870086.0 1998-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127A true KR20010042127A (ko) 2001-05-25
KR100623622B1 KR100623622B1 (ko) 2006-09-12

Family

ID=823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529A KR100623622B1 (ko) 1998-04-17 1999-03-25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의 변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359663B1 (ko)
EP (1) EP0951007B1 (ko)
JP (1) JP4808843B2 (ko)
KR (1) KR100623622B1 (ko)
CA (1) CA2327429C (ko)
DE (1) DE69800055T2 (ko)
ES (1) ES2143883T3 (ko)
NO (1) NO316652B1 (ko)
WO (1) WO19990548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7500B2 (en) 2002-02-06 2006-01-17 Nec Lcd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signal correcting circuit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6811D0 (en) * 2000-03-22 2000-05-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ler ICs for liquid crystal matrix display devices
WO2001095023A1 (fr) * 2000-06-08 2001-1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e d'affichage d'image et procede pour afficher une image
US6909440B1 (en) 2000-09-30 2005-06-21 Bae Systems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tepped-decay video morphing for liquid crystal displays
US7071909B2 (en) * 2001-03-09 2006-07-04 Thomson Licensing Reducing sparkle artifacts with low brightness processing
US7119774B2 (en) * 2001-03-09 2006-10-10 Thomson Licensing Reducing sparkle artifacts with low brightness filtering
US7495640B2 (en) * 2001-03-12 2009-02-24 Thomson Licensing Reducing sparkle artifacts with post gamma correction slew rate limiting
US7030846B2 (en) * 2001-07-10 2006-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corr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same
KR100840316B1 (ko) 2001-11-26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6961039B2 (en) * 2002-02-19 2005-11-01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sparkle reduction by reactive and anticipatory slew rate limiting
US7427976B2 (en) 2002-05-17 2008-09-2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KR20030090849A (ko) * 2002-05-22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212610A (ja) * 2002-12-27 2004-07-29 Sharp Corp 表示装置の駆動方法、表示装置の駆動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7046262B2 (en) 2003-03-31 2006-05-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on a display
JP2007531045A (ja) * 2004-04-01 2007-11-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の駆動
KR100629179B1 (ko) * 2004-12-31 200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US8253678B2 (en) * 2005-03-15 2012-08-28 Sharp Kabushiki Kaisha Drive unit and display device for setting a subframe period
WO2006098194A1 (ja) * 2005-03-15 2006-09-21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の駆動方法、表示装置の駆動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WO2006098246A1 (ja) * 2005-03-15 2006-09-21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液晶表示装置
WO2006100906A1 (ja) * 2005-03-18 2006-09-28 Sharp Kabushiki Kaish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モニター、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090122207A1 (en) * 2005-03-18 2009-05-14 Akihiko Inoue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onitor,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106561B1 (ko) * 2005-12-19 2012-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7952545B2 (en) * 2006-04-06 2011-05-3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ompensation for display device flicker
US20090201282A1 (en) * 2008-02-11 2009-08-1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of tuning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s
JP2011515704A (ja) * 2008-02-11 2011-05-19 クォルコム・メ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表示駆動機構と統合された表示要素の検知、測定、または特性評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れを使用するシステムおよび応用
EP2109094A1 (en) 2008-04-09 2009-10-14 Barco NV LCD inversion control
JP5337764B2 (ja) * 2010-07-02 2013-11-06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表示装置、液晶制御回路、フリッカ防止方法、および液晶駆動方法
KR102084714B1 (ko) * 2013-07-22 2020-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6461990B (zh) * 2014-06-04 2018-03-20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以及显示方法
US20190147811A1 (en) * 2016-04-28 2019-05-16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for setting signal to be written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24075359A1 (ja) * 2022-10-04 2024-04-11 Eizo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3011A (en) * 1970-04-16 1972-02-15 Zenith Radio Corp Luminance signal channel
JPH0654423B2 (ja) * 1986-06-12 1994-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S63114472A (ja) * 1986-10-31 1988-05-19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処理装置
US5010328A (en) 1987-07-21 1991-04-23 Thorn Emi Plc Display device
DK159354C (da) * 1987-08-26 1991-03-11 Bang & Olufsen As Fjernsynsmodtager med midler til undertrykkelse aflinieflicker
JP2565260B2 (ja) * 1987-10-17 1996-12-1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用画像欠陥補正装置
JP3167351B2 (ja) * 1990-09-03 2001-05-21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EP0548113B1 (en) * 1990-09-14 1996-12-04 THOMSON multimedi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ertical sharpness of picture tubes
US5526129A (en) * 1990-11-19 1996-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me-base-correction in video recording using a frequency-modulated carrier
GB2249855A (en) 1990-11-19 1992-05-20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video display systems.
JPH07109544B2 (ja) 1991-05-15 1995-11-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表示装置並びにそ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JPH05210085A (ja) 1992-01-30 1993-08-20 Canon Inc 表示制御装置
JP2674416B2 (ja) * 1992-02-05 1997-11-1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映像信号磁気再生装置
AU5445894A (en) 1992-10-20 1994-05-09 Panocorp Display Systems Display device and its drive method
JP3141312B2 (ja) * 1992-12-21 2001-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素子
EP0608056B1 (en) 1993-01-11 1998-07-29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line dispatcher apparatus
FI95526C (fi) 1993-04-05 1996-02-12 Antti Aarni Tapani Iivanainen Kuvapinnan väripisteosajoukkojen eriaikainen käsittely ja liikkeen esittämisen tehostaminen
US5627555A (en) * 1993-04-14 1997-05-06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Line flicker suppression by adaptive de-interlacing
US5592190A (en) 1993-04-28 1997-01-07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rive method
JP3346843B2 (ja) * 1993-06-30 2002-11-18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3407447B2 (ja) * 1993-12-22 2003-05-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システム及び電源供給方法
JP3089924B2 (ja) * 1993-12-27 2000-09-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Crt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
JP3145552B2 (ja) 1993-12-28 2001-03-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WO1997012355A1 (en) 1995-09-25 1997-04-03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US5870154A (en) * 1996-03-08 1999-02-09 Honeywell Inc. Signal enhancement system
US5936621A (en) * 1996-06-28 1999-08-10 Innovision Lab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flicker on a display
JPH08340505A (ja) * 1996-07-12 1996-12-24 Casio Comput Co Ltd 液晶駆動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7500B2 (en) 2002-02-06 2006-01-17 Nec Lcd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signal correcting circuit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2386A (ja) 2002-04-23
CA2327429C (en) 2005-01-04
ES2143883T3 (es) 2000-05-16
US6909472B2 (en) 2005-06-21
DE69800055D1 (de) 2000-01-27
CA2327429A1 (en) 1999-10-28
DE69800055T2 (de) 2000-08-03
NO20004555L (no) 2000-11-16
EP0951007A1 (en) 1999-10-20
JP4808843B2 (ja) 2011-11-02
NO316652B1 (no) 2004-03-22
US20020097345A1 (en) 2002-07-25
KR100623622B1 (ko) 2006-09-12
US6359663B1 (en) 2002-03-19
WO1999054865A1 (en) 1999-10-28
EP0951007B1 (en) 1999-12-22
NO20004555D0 (no) 2000-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622B1 (ko)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의 변환
KR100791185B1 (ko) 표시 장치
KR100524456B1 (ko) 화상표시장치와 방법
US69776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JP4559099B2 (ja) 表示方法、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装置
US75288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8063921B2 (en) Display drive method, display, and program therefor
US8217880B2 (en)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3255915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20082790A (ko)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방법 및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7133051A (ja) 画像表示装置
KR20070059077A (ko) 액정 셀의 모션 블러 감소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프로그램
JP200314962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7046262B2 (en)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on a display
JP2001184016A (ja) ガンマ補正装置
JP2004020738A (ja) 液晶表示素子
JP2002062853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009174B2 (ja) 液晶表示装置
JP3990624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8039816A (ja) 表示装置
KR20040085494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2000250456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H04318515A (ja) 階調補正機能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JP3500145B1 (ja) 液晶表示装置
JP2019184743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