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770A - 나일론 6 혹은 66기초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 Google Patents

나일론 6 혹은 66기초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770A
KR20010041770A KR1020007010020A KR20007010020A KR20010041770A KR 20010041770 A KR20010041770 A KR 20010041770A KR 1020007010020 A KR1020007010020 A KR 1020007010020A KR 20007010020 A KR20007010020 A KR 20007010020A KR 20010041770 A KR20010041770 A KR 2001004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copolymer
composition
semicrystallin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967B1 (ko
Inventor
칸나야쉬피
푸터보그프랭크하베르트쥬니어
쿤윌리엄폴
쉐나마틴제임스
Original Assignee
크리스 로저 에이치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 로저 에이치,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리스 로저 에이치
Publication of KR2001004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46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나일론 공중합체의 혼화성이 우수한 나일론 공중합체로된 혼합물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된 다층 필름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나일론 조성물은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Ⅰ 및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Ⅱ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각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된다. 상기 나일론 조성물은 매우 균일하고, 단 하나의 융점을 갖으며 나일론 공중합체 성분부분의 개별 융점을 갖지 않는다. 본 나일론 조성물과 올레핀 함유 공중합체층의 공압출된 필름은 컬을 감소시키는, 향기 차단 필름과 같은 차단 필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Description

나일론 6 혹은 66 기초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NYLON 6 OR 66 BASED COMPOSITIONS AND FILMS FORMED THEREFROM}
나일론 중합체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통상 가공 조건하에 N6과 N66을 용융혼합하여 개별 특성 융점에 의해 나타나는 2개의 분리상을 갖는 비균질 산물을 낳는다. N6과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T, 나일론 46등과 같은 다른 폴리아미드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혼합물이 나일론 6 혹은 나일론 66을 특정비로 각각 함유하여 2개의 다른 나일론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될 때, 균질하고, 혼화성이 우수한(super-misible) 혼합물이 개선된 특성을 갖고 형성된다는 것을 예기치않게 발견하였다. 2중의 나일론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폴리올레핀 필름과 접착시 기대치않게 컬이 감소된 다층 구조를 낳는다.
미국 특허 제 5,206,309는 N6과 N6/N66의 용융 혼합물에 기초한 열 안정한 필름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053,259 및 5,344,679는 비정질 나일론, 공폴리아미드 및 임의의 폴리아미드 단일중합체의 혼합물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877,684는 나일론 6과 N6/N66의 혼합물에 기초한 필름을 청구하고 있다. 유럽 특허 제408,390은 어떠한 폴리아미드, 어떠한 공폴리아미드 혹은 폴리아미드와 비정질 폴리아미드 혹은 공폴리아미드의 혼합물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115,4752호는 지방족 폴리아미드와 부분 방향족 비정질 폴리아미드의 EVOH와의 혼합물에 기초한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오스트렐리아 특허 제8825700호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나일론 6 혹은 N6/66 공중합체 및 비정질 폴리아미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각 발명은 모두 균질하고, 혼화가능한 상 조성물을 형성하도록 나일론의 랜덤 공중합체를 특정비로 가르치고 있지 않다. 미국 특허 4,647483; 4,665135 및 4,683,170은 N6과 N6이 풍부한 N6/N66 혹은 N6/N12로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개시하였다.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이 미국 특허 제4,444,829에 개시되어 있다.
각각이 나일론 6 혹은 나일론 66 분획을 갖는 비정질 나일론 공중합체의 혼화성이 우수한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나일론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다층 필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임의의 접착 조성물에 의해 그 사이에 최소 하나의 올레핀 함유 중합체층에 접착된 최소 하나의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층을 갖는 공압출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구조는 말림(컬, curl)이 감소된 향기(aroma) 차단 필름과 같은 차단 필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나일론 조성물은 매우 균일하며, 나일론 공중합체 성분의 개별 융점이 아닌 하나의 융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Ⅰ 및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Ⅱ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각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되며;
(a)공중합체 Ⅰ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B로된 공중합체이며, 이중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Ⅰ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Ⅰ내에 약7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B는 공중합체 Ⅰ내에 약5-약3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b)공중합체 Ⅱ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최소 1종이상이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C로된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Ⅱ내에 약4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C는 공중합체 Ⅱ내에 약5-약6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c)상기 나일론 A와 나일론 B는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d)상기 나일론 C는 나일론 9,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46 및 나일론 69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나일론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의하면,
(ⅰ)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Ⅰ 및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Ⅱ의 고형분 입자로된 혼합물을 형성하며,
여기서 각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되고, 상기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 및
(ⅱ) 상기 혼합물을 공중합체 Ⅰ 혹은 공중합체 Ⅱ의 융점보다 적어도 높은 온도에서 용융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나일론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의하면,
최소 하나의 올레핀 함유 중합체 필름층에 접착된 최소 하나의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은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Ⅰ 및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Ⅱ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각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되며; 상기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층 필름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견지에 의하면,
용융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과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의 최소 일측상에 접착시킨 용융 폴리올레핀층을 공압출 다이를 통하여 공압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층은 최소 하나의 올레핀 함유 중합체이며,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은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Ⅰ 및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Ⅱ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각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되며; 상기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층 필름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같은 공중합체는 말림 방지성이 개선되고 단일 융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일론 공중합체는 결과 산물이 일성분, 균일 물질이도록 혼화가능한 혼합물내로 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물은 단 하나의 융점을 갖으므로 통상의 혼합물과는 다르다. 덧붙여, 본 발명은 비정질 나일론을 다중성분 공폴리아미드에 비-균질성이 관찰되지 않으면서 편입되게끔 한다.
도 1은 공중합체 혼합된 필름의 용융 패턴 그래프,
도 2는 다른 공중합체 혼합된 필름의 용융 패턴 그래프,
도 3은 다른 공중합체 혼합된 필름의 용융 패턴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나일론 A 및 이와는 다른 나일론 B의 공중합체인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와 나일론 A 및 이와는 다른 나일론 C의 공중합체인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나일론 공중합체를 용융 혼합함으로써 조성물이 제조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비결정질인 비정질 나일론 공중합체 D로 임의로 이루어진다. 제조된 조성물은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는 것으로 측정된다. 본 발명을 위하여,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는다는 것은 만약 일 융점이 관찰된다면 제2 융점은 주 융점 피크의 3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 융점 피크의 20%이하,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주 융점 피크의 10%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만약 관찰된다면, 제2 융점 피크의 강도는 공지 DSC법으로 측정된다. 이같은 강도 측정은 시험하려는 필름을 진공하에 수시간동안 25-45℃에서 건조후 분석함을 포함한다. DSC내 주 및 어떠한 소 피크 강도는 개별 피크의 융점 범위상에 융합 집적열에 의해 측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단 하나의 융점을 가지며, 다른 융점은 전혀 갖지 않는다.
본 발명 조성물의 제1성분은 나일론 A 및 이와는 다른 나일론 B의 반결정질 공중합체이다. 나일론 A 및 나일론 B 각각은 나일론 6 혹은 나일론 66일 수 있다. 나일론 6은 또한 폴리(카프로락탐)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일론 66은 또한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제2 성분은 나일론 A의 공중합체인 반결정질 나일론 공중합체 및 이와는 다른 나일론 9-폴리(9-아미노노난산), 나일론 11-폴리(11-아미노운데칸산), 나일론 12-폴리(12-아미노도데칸산), 나일론 46 혹은 나일론 69일 수 있는 최소 하나의 나일론 C의 혼합물이다.
상기 나일론 A/나일론 B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나일론 A/나일론 C 공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수 평균 분자량은 버팀없이 서있는(free standing) 필름을 형성할 정도로는 충분히 높으면서 혼합물을 용융 가공시킬 수 있을 정도로는 충분히 낮아야 한다. 이같은 수 평균 분자량은 필름 형성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포름산 점도(FAV)법(ASTM D-789)에 의해 측정시 보통은 최소 약5,000이다. 이 방법에서, 25℃에서 90% 포름산 100㎖에 용해시킨 지방족 폴리아미드 11g의 용액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견지에 있어서, 나일론 A뿐만 아니라 나일론 A/나일론 B의 수 평균 분자량은 약5,000-약100,000, 바람직하게는 약10,000-약6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20,000-약40,000이다.
상기 나일론 조성물은 임의의 결정질이 아니고, 결정화가능하지 않은, 비정질 나일론 성분 D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비정질 나일론은 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비정질 나일론은 최소 하나의 디아민 및 이와는 다른 최소 2개의 이산(diacid)의 반응에 의해 전형적으로 제조된다. 그 결과, 융점을 측정불가능한 비-균질 나일론이 제조된다. 이들 비정질 나일론은 스위스, EMS사로부터 구입가능한 Grivory 21 및 DuPont사로부터 구입가능한 Zytel 비정질 나일론이다.
공중합체 Ⅰ및 Ⅱ 각각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Ⅰ의 양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75%-약95%이고, 공중합체 Ⅱ의 양은 약5%-약25%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중합체 Ⅰ의 양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90%-약93%이고, 공중합체 Ⅱ의 양은 약7%-약10%이다.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Ⅰ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Ⅰ내에 약70%-약95%의 양으로 존재하고, 그리고 나일론 B는 약5%-약30%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Ⅰ내 나일론 A의 양은 공중합체 Ⅰ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75%-약90%이고, 그리고 나일론 B의 양은 약10%-약25%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Ⅰ내 나일론 A의 양은 공중합체 Ⅰ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80%-약85%이고, 나일론 B의 양은 약15%-약20%이다.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Ⅱ내에 약40%-약95%의 양으로 존재하고, 그리고 나일론 C는 공중합체 Ⅱ내에 약5%-약60%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Ⅱ내 나일론 A의 양은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약50%-약80%이고, 그리고 나일론 B의 양은 약30%-약50%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Ⅱ내 나일론 A의 양은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약50%-약65%이고, 그리고 나일론 B의 양은 약35%-약50%이다.
비정질 나일론이 조성물내에 포함될 때, 나일론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전체 조성물내에 약1%-약5%, 바람직하게는 약2%-약4%,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2%-약3%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나일론 조성물은 각 나일론 성분의 고형분 입자 혹은 펠릿을 건조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성분의 융점이상의 온도에서 용융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인 용융 온도는 약175℃-약260℃, 바람직하게는 약215℃-약225℃,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220℃-약223℃이다. 혼합은 압출기, 롤 믹서등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용기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혼합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시간동안 수행된다. 이같은 혼합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다면, 상기 조성물은 후공정을 위하여 냉각시키고 펠릿으로 절단하거나, 혹은 필름내로 형성되고, 임의로 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수단에 의해 단축 혹은 이축 신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다층 필름은 넓게는 나일론 공중합체 조성물층과 상기 나일론층의 최소 일측에 임의의 접착제로 접착된 폴리올레핀층으로 이루어져 제조된다. 상기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카복시산 혹은 그 무수물의 최소 하나의 작용성 분획을 갖는 최소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폴리올레핀은 약2-약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폴리올레핀 단량체로된 중합체를 포함하며, α-올레핀의 단일중합체, 공중합체(그라프트 공중합체 포함), 및 삼합체를 포함한다. 단일중합체의 예로는 초저밀도(ULDPE), 저밀도(LDPE), 선형 저밀도(LLDPE), 중간 밀도(MDPE), 혹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텐; 폴리부텐-1; 폴리-3-메틸부텐-1; 폴리-펜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부틸렌; 및 폴리헥센;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은 통상적으로 분자 구조내 폴리에틸렌 주쇄에 1,000탄소원자당 사슬 분지수로부터 낳은 밀도에 기초하여 차등화된다. 분지는 전형적으로는 C3-C8올레핀이며, 부텐, 헥센 혹은 옥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HDPE는 단쇄 분지(1,000탄소 원자당 20이하)를 매우 낮은수 갖으며, 그 결과 상대적으로 고밀도, 즉, 밀도가 약0.94gm/cc-약0.97gm/cc이다. LLDPE는 약0.91gm/cc-약0.93gm/cc의 밀도를 갖는 1,000탄소 원자당 20-60의 보다 단쇄 분지를 갖는다. 밀도가 약0.91-0.93gm/cc인 LDPE는 LLDPE 및 HDPE내 단쇄 분지대신 장쇄분지(1,000탄소 원자당 20-40)를 갖는다. ULDPE는 LLDPE 및 HDPE보다 더 고농도 단쇄 분지를 갖으며, 즉, 1,000탄소 원자당 약80-약250범위이고, 밀도는 0.88gm/cc-약0.91gm/cc이다. 공중합체 및 삼합체의 예로는 α-올레핀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와 같은 다른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및 삼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폴리올레핀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중합체, 올레핀과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α-올레핀,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중합체, 공중합체 및 삼합체로부터 제조된 것이다. 상기 폴리올레핀은 어떠한 공지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1,000-약1,0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약10,000-약500,000을 갖는다.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립부틸렌 및 그 공중합체와, 혼합물이다. 가장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절한 접착제는 불포화 폴리카복시산의 최소 하나의 작용성 분획을 갖는 폴리올레핀 및 그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개질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은 상기 열거된 것중 어떠한 것을 포함한다.
불포화 카복시산 및 그 무수물은 말레산 및 그 무수물, 퓨마르산 및 그 무수물, 크로톤산 및 그 무수물, 시트라콘산 및 그 무수물, 이타콘산 및 그 무수물등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말레산 무수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개질 폴리올레핀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편입된 미국 특허 제3,481,910; 3,480,50; 4,612,155 및 4,751,270에 기술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접착제는 선형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알려진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개질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개질 폴리올레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작용성 분획을 약0.001-약10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용성 분획은 약0.005-약5중량%,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0.01-약2중량%이다. 개질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또한 미국 특허 제5,139,878에 기술된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와 알킬 에스테르를 최대 약40중량% 함유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접착제는 에틸렌과 부텐의 10%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공중합체인 Union Carbide사로부터 제공된 Flexomer 1373이다.
상기 다층 필름 구조의 각층은 이같은 필름에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같은 첨가제의 예로는 안료, 염료, 슬립 첨가제, 충진제, 핵생성제, 가소화제, 윤활제, 보강제, 블록생성 방지제(antiblocking agent), 안정화제 및 산화억제제, 열안정화제, 및 자외선 안정화제이다. 바람직하게는 이같은 첨가제는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10%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공압출, 취입 필름 및 압출 라미네이션 기술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데 통상 사용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필름이 공압출로 형성되는 것이다. 폴리아미드 및 폴리오레핀층 물질의 스트림은 용융 및 가소화된 공압출 다이로 공급된다. 다이내에서, 상기 층은 인접 위치되고 결합된 다음 중합체 물질로된 단일 다층 필름으로서 다이로부터 방출된다. 적절한 공압출 기술은 본 발명에서 공압출을 약460℉(238℃)-약510℉(266℃)하에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미국 특허 제5,1349,878 및 4,677,017에 보다 충분히 기술되어 있다. 공압출 기술은 표준 다이를 갖는 공급 블록, 원형 다이와 같은 멀티매니폴드 다이뿐만 아니라 평판 주조 필름과 주조 시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다층 필름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멀티매니폴드 다이를 사용함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대체 방안으로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취입 필름 장치를 사용하여 필름내로 형성될 수 있다.
공압출시킨 필름의 잇점은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 혼합물의 필름층 각각의 용융층을 단일 필름 구조내로 결합함으로써 일공정 단계에 의해 다층 필름을 형성한다는데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층은 서로 밀접한(inseparate) 결합으로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밀접한 결합"은 ASTM D-3359-90 및 F88-85에 기술된 절차에 의해 필름을 시험함으로써 측정된 바, 결합강도가 최소 약700g/인치인 것을 의미한다.
공압출 공정에 의해 다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각 개별 필름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성분들이 필름 압출 공정에서 양립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양립한" 필름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필름-형성 조성물이 공압출시키도록 하는 것과 충분히 유사한 용융 특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관심있는 용융 특성으로는, 예를 들면 융점, 용융 흐름 지수, 겉보기 점도뿐만 아니라 용융 안정성을 포함한다. 이같은 양립성은 제조된 필름의 너비를 가로질러 우수한 접착력과 상대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다층필름 산물을 제조하도록 하기에 중요하다.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공압출 공정에 사용하기에 충분히 양립적이지 않은 필름-형성 조성물은 불량한 계면 라미네이션, 불량한 물성뿐만 아니라 불량한 외관을 갖는 필름을 흔히 제조한다.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별도의 실험을 거칠 필요없이 바람직한 물성을 갖는 중합체를 선택하고 인접층내 상대적 특성의 최적 결합을 결정하도록 상기 양립성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공압출 공정이 사용되면,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성분은 보통의 다이를 통하여 압출을 수행하도록 비교적 근접한 온도 범위내에서 양립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견지에 있어서, 나일론이 ASTM D-789에 의해 약120-250의 포름산 점도 FAV를 갖을 때 그리고 폴리올레핀층이 ASTM D-1238에 의해 측정시 약0.5-3의 용융 지수 유니트(MI)를 갖을 때, 필름은 양립할 것이다. 즉, 나일론과 폴리올레핀층은 공압출기내에서 균일하게 흐를 것이다. 상기 다층 구조는 나일론 및 폴리올레핀 교대층의 2, 3 혹은 그이상의 층을 갖고, 각 층 중간에 임의의 접착제를 가질 수 있다.
대체 방안으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다층 필름구조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예비-제조된 필름 가닥으로부터 제조되는 라미네이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필름 라미네이팅 기술에 사용된 기본 방법은 융합, 습윤 결합 및 열 재활성화이다. 열 및 압력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여 2이상의 필름 가닥을 라미네이팅하는 공정인 융합은 계면 접착을 쉽게 형성하는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습한 결합 및 열 재활성화는 접착제 물질을 사용하여 양립되지 않은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데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단일 필름내로 층 결합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열과 압력 조건하에 서로상에 본 발명의 개별 필름층을 재치시킴으로써 라미네이팅이 수행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과 폴리아미드층은 서로상에 재치되며, 그 결합은 미국 특허 제3,355,347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에 의해 한쌍의 가열된 라미네이팅 롤러의 닙을 통과한다. 라미네이팅 가열은 약5초 내지 약5분간, 바람직하게는 약30초 내지 약1분간, 약75-175℃의 온도 약5psig(0.034MPa)-약100psig(0.69MPa)의 압력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2,3 혹은 그이상의 층구조로 이루어진 다층 필름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어떠한 바람직한 방향으로 신장 혹은 배향될 수 있다. 이같은 방법의 예가 미국 특허 제4,510,310에 기술되어 있다. 임의로, 상기 필름은 필름 형성 장치로부터 연신된 필름의 이동 방향, 소위 "기계 방향"으로, 혹은 기계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소위 "역방향"으로 단축, 혹은 기계 방향과 역방향모두 이중 신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기계방향, 역방향 혹은 둘다로 최소 1.5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배이상,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상-약10배 신장되기에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배향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연신비가 약1.5:1-약6:1이고, 바람직하게는 약3:1-약4:1인 것이 본 발명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연신비"는 연신 방향으로의 치수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연신비가 2:1인 필름은 연신 공정동안 그 길이가 2배가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필름은 일련의 예열 및 가열 롤상을 통과함으로써 연신된다. 가열된 필름은 상방에서 필름이 닙롤로 들어가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일련의 닙 롤을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속도 변화는 필름내 신장에 의해 보상받는다.
다층필름구조의 각층이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더라도, 다층 구조의 총두께는 약0.3mil(7.6㎛)-약5.0mil(127.0㎛) 및 바람직하게는 약0.5mil(12.7㎛)-약1.5mil(37.5㎛)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용이하게 휨성 필름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하나, 다른 필름 두께가 특정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사상내에 또한 포함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실시예를 제시하며,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사용된 출발 중합체들을 표준 절차를 사용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GC)에 의해 분석하였다. 이들 측정의 정밀도는 ±2%이다. 상기 필름을 로보트 시스템이 장착된 Seiko RDC-220 열 분석기를 사용하는 차등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에 의해 분석하였다. 필름시료 약 7.5(±0.5)mg을 알루미늄 팬에 권축하고, 실온으로 부터 약 280℃까지 10℃/min의 가열 속도로 가열하여 결정성 기억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후속적으로, 상기 시료를 280℃로 부터 실온까지 10℃/min의 냉각 속도로 냉각시킨 다음 동일 속도로 재가열하였다. 실시예에서 Tm은 초기 가열 사이클상에서 얻어진, 즉 동일한 조건에서 주조된 "수득 필름(as-received films)"에 상응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등급의 나일론은 상업적으로 쉽게 구입가능하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나일론 6/나일론 66 공중합체와 나이론 6/나일론 12 공중합체의 물리적 혼합물들을 제조하는 것이다. 나일론 6(85)/나일론 66(15) 50% 및 나일론 6(81)/나일론 12(19) 공중합체 50%로된 건조 펠릿을 하기표 1에 나타낸 중량%로 물리적으로 혼합하였다. 그 조성물들을 약 18시간동안 82℃에서 건조하였으며 그 다음 3개의 가열 영역(232℃, 257℃ 및 260℃) 및 두개의 어댑터(260℃)가 장착된 Killion 단일 스크류 압출기(D=1.5in; L/D=24/1)를 통해 압출시켰다.
용융온도는 267℃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260℃로 유지된 압출 필름 다이를 통과시킨 후, 그 압출물을 82℃로 유지된 롤상에 주조하고 43℃로 유지된 냉각 롤을 거쳤다. 결과 필름의 총두께는 약2mil이었다.
필름# 필름 명세 Tm, ℃
1 100% N6(85)/N66(15)(대조군) 196.7
2 50% N6(85)/N66(15) 공중합체50% N6(81)/N12(19) 공중합체 198.0
3 100% N6(81)/N12(19) 공중합체(대조군) 203.5
각 필름의 용융 패턴을 도 1에 도식화하였다. 이러한 데이타는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6/66 공중합체와 나일론 6/12 공중합체의 물리적 혼합물(필름 2)이 단 하나의 검출가능한 융점을 갖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물이 균질하며 그리고 단일 Tm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결정상에서 혼화가능함을 명확히한다. 이들 데이타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나일론 6/나일론 66 공중합체와 나일론 6/나일론 12 공중합체의 물리적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나일론 6(85)/나일론 66(15) 및 나일론 6(50)/나일론 12(50) 공중합체의 건조 펠릿들을 하기표 2에 나타낸 중량%로 물리적으로 혼합하였다. 그 조성물들을 약 18시간동안 82℃에서 건조시킨 다음 3개의 가열 영역(232℃, 257℃ 및 260℃) 및 두개의 어댑터(260℃)가 장착된 Killion 단일 스크류 압출기(D=1.5in; L/D=24/1)를 통해 압출시켰다.
용융온도는 267℃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260℃로 유지된 압출 필름 다이를 통과후, 그 압출물을 82℃로 유지된 롤상에 주조하고 43℃로 유지된 냉각 롤을 거쳤다. 결과 필름의 총두께는 약 2mil이었다.
필름# 필름 명세 Tm, ℃
1 100% N6(85)/N66(15)(대조군) 196.7
2 75% N6(85)/N66(15) 공중합체25% N6(50)/N12(50) 공중합체 195.3
3 100% N6(50)/N12(50) 공중합체(대조군) 132.0
각 필름의 용융 패턴을 도 2에 도식화하였다. 이들 데이타는 본 발명에 의한 나일론 6/66 공중합체와 나일론 6/12 공중합체의 물리적 혼합물(필름 2)이 단 하나의 검출가능한 융점을 갖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물이 균일하며 그리고 단일 Tm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결정상에서 혼화가능함을 명백히한다. 이들 데이타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나일론 6/나일론 66 공중합체의 물리적 혼합물을 다양한 비로 제조하는 것이다. 나일론 6(85)/나일론 66(15) 및 나이론 6(50)/나일론 69(50) 공중합체의 건조 펠릿들을 하기표 3에 나타낸 중량%로 물리적으로 혼합하였다. 그 조성물들을 약 18시간동안 82℃에서 건조후 3개의 가열 영역(232℃, 257℃ 및 260℃) 및 두개의 어댑터(260℃)가 장착된 Killion 단일 스크류 압출기(D=1.5in; L/D=24/1)를 통해 압출시켰다. 용융온도는 267℃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260℃로 유지된 압출 필름 다이를 통과후, 그 압출물을 82℃로 유지된 롤상에 주조하고 43℃로 유지된 냉각 롤을 거쳤다. 결과 필름의 총두께는 약2mil이었다.
필름# 필름 명세 Tm, ℃
1 100% N6(85)/N66(15)(대조군) 196.7
2 95% N6(85)/N66(15) 공중합체5% N6(50)/N66(50) 공중합체 196.8
3 90% N6(85)/N66(15) 공중합체10% N6(50)/N69(50) 공중합체 196.7
4 75% N6(85)/N66(15) 공중합체25% N6(50)/N69(50) 공중합체 195.4 및 128
5 100% N6(50)/N69(50) 공중합체(대조군) 129.0 및 139.6
각 필름의 용융 패턴을 도 3에 도식화하였다. 이들 데이타는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나일론 공중합체의 물리적 혼합물들(필름 2 및 3)이 단 하나의 검출가능한 융점을 갖는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을 나타낸다. 공중합체 II의 양을 25%로 증가시킴(필름 4)에 따라 하나의 뚜렷한 융점이 검출될 뿐만아니라 128℃에서 미세한 융점이 검출되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물이 균일하며 그리고 단일 Tm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결정상에서 혼화가능함을 명확히하였다. 이들1 데이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물이 균일하며 그리고 하나의 뚜렷한 융점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결정상에서 혼화가능함을 명백히한다. 실시예 1-3은 두개의 공중합체가 하나 또는 지배적으로 하나의 용융피크가 관찰되는한 어떠한 비율로도 혼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즉 상기 혼합된 조성물이 우수한-혼화성에 대한 기준을 만족함을 보이는 것이다.
실시예 4
3개의 압출기 시스템은 3.2cm(1 1/4",)Killion 단일 스크류 압출기(2개:L/D=24/1 및 1개:L/D=30/1)로 구조되었다.
나일론 6(85)/나일론 66(15) 50% 및 나일론 6(81)/나일론 12(19) 50% 공중합체로된 건조 펠릿들을 물리적으로 혼합하고 가열 영역 1-3에 대해 232℃, 254℃ 및 260℃ 그리고 어댑터에 대해 260℃로 설정된 압출 프로파일을 갖는 L/D가 30/1인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용융 온도는 257℃로 측정되었다.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폴리올레핀 결착(tie) 수지(190℃에서 밀도: 0.88gm/cc, 용융지수: 1.0gm/10min)는 4개의 가열 영역과 2개의 어댑터가 장착된 3.2cm(1 1/4")직경, L/D=24/1인 Killion 단일 스크류 압출기를 통해 압출되었다. 상기 압출기 온도 프로파일은 영역 1-4에 대해 238℃, 249℃, 260℃, 266℃로 그리고 상기 어댑터는 266℃로 유지하였다. 결과 용융 온도는 263℃이었다. 가열 영역 1-4에 대해 238℃, 252℃, 257℃ 및 260℃ 그리고 어댑터에 대해 260℃로 설정된 압출 프로파일을 갖는 L/D=24/1인 압출기로 폴리에틸렌을 압출시켰다. 용융 온도는 260℃로 측정되었다. 260℃로 유된는 동시압출 필름 다이를 통해 통과시킨 다음, 압출물을 38℃로 유지된 롤상에 주조후, 35℃로 설정된 냉각 롤을 거쳤다. 결과 필름의 두께는 25㎛이었다. 사용된 폴리에틸렌은 LDPE: 저 밀도 PE - 밀도=0.919, 용융지수=0.65; LLDPE: 선형 저밀도 PE - 밀도=0.920, 용융지수=1; MDPE: 중간 밀도 PE - 밀도=0.941, 용융지수=4; HDPE: 고밀도 PE - 밀도=0.954, 용융지수=6이었다. 이들 필름들을 억제제가 없는 환경에 노출시켰다. 어떠한 필름으로 부터 엣지 컬(edge curl)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로 부터 본 발명은 우수한 컬 저항성을 갖는 필름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사용된 나일론이 나일론 6 단일중합체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제조된 다층 필름으로부터 뚜렷한 엣지 컬이 나타났다.
실시예 6
사용된 나일론이 나일론 66 단일중합체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제조된 다층 필름으로부터 뚜렷한 엣지 컬이 나타났다.
실시예 7
사용된 나일론이 N6(85)/N66(15) 공중합체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제조된 다층 필름으로부터 뚜렷한 엣지 컬이 나타났다.
실시예 8
사용된 나일론이 추가로 2%의 비정질 나일론을 함유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제조된 다층 필름으로부터 뚜렷한 엣지 컬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 나일론 조성물과 올레핀 함유 공중합체층의 공압출된 필름은 컬을 감소시키는, 향기 차단 필름과 같은 차단 필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Claims (30)

  1.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Ⅰ 및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Ⅱ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각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되며;
    여기서 (a)공중합체 Ⅰ 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B로된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Ⅰ 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Ⅰ내에 약7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B는 공중합체 Ⅰ내에 약5-약3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b)공중합체 Ⅱ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최소한 1종이상이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C로된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Ⅱ내에 약4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C는 공중합체 Ⅱ내에 약5-약6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c)상기 나일론 A와 나일론 B는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d)상기 나일론 C는 나일론 9,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46 및 나일론 69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나일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융점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Ⅰ의 양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75%-약95%이고, 공중합체 Ⅱ의 양은 약5%-약25%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Ⅰ의 양은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약90%-약93%이고, 공중합체 Ⅱ의 양은 약7%-약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Ⅰ내 나일론 A의 양은 공중합체 Ⅰ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75%-약90%이며, 나일론 B의 양은 약10%-약25%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Ⅰ내 나일론 A의 양은 공중합체 Ⅰ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80%-약85%이고, 나일론 B의 양은 약15%-약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Ⅱ내 나일론 A의 양은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약50%-약80%이고, 나일론 B의 양은 약30%-약5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Ⅱ내 나일론 A의 양은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약50%-약65%이고, 나일론 B의 양은 약35%-약5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나아가 최소 하나의 비-결정질인, 비정질 나일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나아가 최소 하나의 비-결정질, 비정질 나일론을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약1-약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A는 나일론 6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A는 나일론 66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C는 나일론 69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ⅰ)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Ⅰ 및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Ⅱ의 고형분 입자로된 혼합물을 형성하며,
    여기서 각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되고;
    여기서 (a)공중합체 Ⅰ 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B로된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Ⅰ 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Ⅰ내에 약7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B는 공중합체 Ⅰ내에 약5-약3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b)공중합체 Ⅱ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최소한 1종이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C로된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Ⅱ내에 약4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C는 공중합체 Ⅱ내에 약5-약6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c)상기 나일론 A와 나일론 B는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d)상기 나일론 C는 나일론 9,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46 및 나일론 69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단계; 및
    (ⅱ) 상기 혼합물을 공중합체 Ⅰ 혹은 공중합체 Ⅱ의 융점이상 온도에서 용융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나일론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나아가 최소 하나의 비결정질인, 비정질 나일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A은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A는 나일론 66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최소 하나의 올레핀 함유 중합체 필름층에 접착된 최소 하나의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은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Ⅰ 및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Ⅱ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각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되며;
    여기서 (a)공중합체 Ⅰ 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B로된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Ⅰ 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Ⅰ내에 약7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B는 공중합체 Ⅰ내에 약5-약3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b)공중합체 Ⅱ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최소한 1종이상이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C로된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Ⅱ내에 약4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C는 공중합체 Ⅱ내에 약5-약6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c)상기 나일론 A와 나일론 B는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d)상기 나일론 C는 나일론 9,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46 및 나일론 69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다층 필름 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은 나아가 최소 하나의 비결정질인, 비정질 나일론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구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 및 올레핀 함유 중합체 필름층은 중간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구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과 올레핀 함유 중합체 필름층은 불포화 카르복시산 혹은 그 무수물의 최소 하나의 작용성 분획을 갖는 최소 하나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구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함유 중합체 필름층은 α-올레핀의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및 삼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구조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함유 중합체 필름층은 초저밀도, 저밀도, 선형 저밀도, 중간밀도, 혹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부텐-1, 폴리-펜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헥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합체, 올레핀과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필름 구조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하나의 올레핀 함유 중합체 필름층과 최소 하나의 나일론 조성물층은 중간 접착제를 통하여 함께 라미네이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필름 구조
  25. 용융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과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의 최소 일측상에 접착된 용융 폴리올레핀층을 공압출 다이를 통하여 공압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층은 최소 하나의 올레핀 함유 중합체이며;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은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Ⅰ 및 최소 하나의 반결정질 공중합체 Ⅱ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각 공중합체 Ⅰ 및 공중합체 Ⅱ의 중량비는 조성물이 단 하나의 뚜렷한 융점을 갖도록 선택되며;
    여기서 (a)공중합체 Ⅰ 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B로된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Ⅰ 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Ⅰ내에 약7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B는 공중합체 Ⅰ내에 약5-약3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b)공중합체 Ⅱ은 반결정질 나일론 A 및 이와는 최소 1종이상이 다른 반결정질 나일론 C로된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나일론 A는 공중합체 Ⅱ의 중량기준으로 공중합체 Ⅱ내에 약40-약95%의 양으로 존재하며, 나일론 C는 공중합체 Ⅱ내에 약5-약60%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c)상기 나일론 A와 나일론 B는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d)상기 나일론 C는 나일론 9,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46 및 나일론 69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다층 필름 구조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나아가 주조 혹은 취입으로 이루어지며, 임의로 단축 혹은 다축 신장된 다층 필름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은 나아가 최소 하나의 비결정질인, 비정질 나일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과 폴리올레핀층은 중간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조성물 필름층과 폴리올레핀층은 불포화 카르복시산 혹은 그 무수물의 최소 하나의 작용성 분획을 갖는 최소 하나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간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층은 α-올레핀의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및 삼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10020A 1998-03-10 1999-03-04 나일론 6 혹은 66기초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KR100592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38,201 US6040392A (en) 1998-03-10 1998-03-10 Nylon 6 or 66 based compositions and films formed therefrom having reduced curl
US09/038,201 1998-03-10
US9/038,201 1998-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770A true KR20010041770A (ko) 2001-05-25
KR100592967B1 KR100592967B1 (ko) 2006-06-23

Family

ID=2189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020A KR100592967B1 (ko) 1998-03-10 1999-03-04 나일론 6 혹은 66기초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40392A (ko)
EP (1) EP1084192B1 (ko)
JP (1) JP2002506108A (ko)
KR (1) KR100592967B1 (ko)
AU (1) AU2981299A (ko)
BR (1) BR9909648B1 (ko)
CA (1) CA2323365C (ko)
DE (1) DE69900757T2 (ko)
WO (1) WO1999046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47238A1 (en) * 1998-10-16 2000-04-27 Wolff Walsrode Ag Transparent high strength polyamide film
US6340530B1 (en) * 2000-04-28 2002-01-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tte coextruded nylon film for book covers
US6736971B2 (en) * 2000-08-07 2004-05-18 Cuno Incorporated Pre-metered, unsupported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US6994789B2 (en) * 2000-08-07 2006-02-07 Cuno Incorporated Pre-metered, unsupported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AU8315701A (en) * 2000-08-07 2002-02-18 Cuno Inc Unsupported multizone microporous membrane
DE10064334A1 (de) 2000-12-21 2002-06-27 Degussa Polyamid-Mehrschichtverbund
JP4549072B2 (ja) * 2004-01-30 2010-09-22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脂肪族ポリアミド樹脂系熱収縮性フィルム
US20070092744A1 (en) * 2005-10-13 2007-04-26 Plasticos Dise S.A. Polymer compositions and films and method of making
JP5358787B2 (ja) * 2008-12-24 2013-12-04 東レ・モノフィラメント株式会社 ラケットガット用モノフィラメント
FR2984334B1 (fr) * 2011-12-15 2018-01-12 Albea Services Produit plastique partiellement metallise et procede de fabrication
CN105658612A (zh) 2013-10-22 2016-06-08 英派尔科技开发有限公司 用于生产尼龙6,6的方法和化合物
WO2015060829A1 (en) 2013-10-22 2015-04-3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ompounds and methods for producing nylon 6
US10131610B2 (en) 2013-10-25 2018-11-2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thods of producing dicarbonyl compounds
KR102561014B1 (ko) 2015-09-29 2023-07-27 어센드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오퍼레이션즈 엘엘씨 결정화 속도가 저감되는 코폴리아미드 조성물
BR112019001710B8 (pt) 2016-07-28 2022-09-06 Advansix Resins & Chemicals Llc Método para formar um filme soprado, filme soprado, e copolímero de poliamida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14541A (en) * 1965-09-16 1968-05-22 Ici Ltd Polyamide copolymers
NL134009C (ko) * 1967-08-14
DE1769040B2 (de) * 1968-03-23 1975-08-07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Thermoplastische Polyamid-Formmassen
US3937752A (en) * 1969-03-06 1976-02-10 Toyo Seikan Kabushiki Kaisha Homopolyamide and terpolyamide blend
US3645932A (en) * 1969-05-22 1972-02-29 Gen Mills Inc Nucle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amides
DE2256217C3 (de) * 1972-11-16 1981-07-30 Hoechst Ag, 6000 Frankfurt Mischungen thermoplastischer Polyamide
GB1598823A (en) * 1977-02-18 1981-09-23 Unilever Emery Polyamides
US4444829A (en) * 1979-10-10 1984-04-24 Allied Corporation Polyamide release film for sheet molding compound
GB2087862B (en) * 1980-11-18 1984-08-01 Dearborn Chemicals Ltd Process for dispersing particulate material in aqueous systems
US4404317A (en) * 1981-07-09 1983-09-13 E. I. Du Pont De Nemours & Co. Polyamide blends
US4556696A (en) * 1984-04-26 1985-12-03 Allied Corporation Process to form film from blends of polycaprolactam and poly(hexamethylene adipamide)
US4647483A (en) * 1984-06-29 1987-03-03 American Can Company Nylon copolymer and nylon blends and films made therefrom
US4683170A (en) * 1984-06-29 1987-07-28 American Can Company Nylon copolymer and nylon blends and films made therefrom
US4665135A (en) * 1984-06-29 1987-05-12 American Can Company Nylon blends and films made therefrom
JPS62143969A (ja) * 1985-12-17 1987-06-27 Mitsubishi Chem Ind Ltd ポリアミドフイルムの製造法
US4714740A (en) * 1985-12-23 1987-12-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w coefficient of friction nylon blend
US4919874A (en) * 1986-05-06 1990-04-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 nylon fiber with reduced spherulites
GB8615268D0 (en) * 1986-06-23 1986-07-30 Domnick Hunter Filters Ltd Polyamide membranes
US4877684A (en) * 1987-08-24 1989-10-31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Nylon carrier for polymer concentrate, and films and packages made with the concentrate
NZ222632A (en) * 1987-11-20 1989-07-27 Transpak Ind Ltd Films comprising semi-crystalline polyamide and amorphous polyamide either as a blend or in a multi-layer film having at least one layer each of semi-crystalline and amorphous polyamide
JPH069916B2 (ja) * 1987-12-11 1994-02-09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共押出複合フィルム
DE3823803A1 (de) * 1988-07-14 1990-01-18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amidmischungen
DE3826950A1 (de) * 1988-08-09 1990-02-22 Basf Ag Polyamid-formmassen
US5053259A (en) * 1988-08-23 1991-10-01 Viskase Corporation Amorphous nylon copolymer and copolyamide films and blends
US4886115A (en) * 1988-10-14 1989-12-12 Eastern Oil Tools Pte Ltd. Wireline safety mechanism for wireline tools
US4980407A (en) * 1988-10-21 1990-12-25 Toyoda Gosei Co., Lt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US5266655A (en) * 1989-07-11 1993-11-30 Rhone-Poulenc Chimie Single phase/amorphous blends of amorphous semiaromatic polyamides and semicrystalline nylon polyamides
GB8916221D0 (en) * 1989-07-14 1989-08-31 Du Pont Canada Deep draw thermoformable nylon film
JP2618721B2 (ja) * 1989-10-20 1997-06-11 豊田合成 株式会社 エンジン用制振性樹脂成形品
US5147944A (en) * 1990-10-16 1992-09-1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amide resin, and polyamide resin compositions
KR960011610B1 (ko) * 1990-08-27 1996-08-24 롱쁠랑 비스코쉬스 소시에떼아노님 폴리아미드 필라멘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US5359013A (en) * 1990-11-06 1994-10-25 Alliedsignal Inc. Polymer nylon compositions featuring improved rates of crystallization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U664163B2 (en) * 1990-11-20 1995-11-09 Invista Technologies S.A.R.L. Terpolyamides and multipolyamides containing amide units of 2-methylpentamethylenediamine and products prepared therefrom
US5223196A (en) * 1990-11-20 1993-06-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ing of pigmented nylon fibers using modified polymers
US5414051A (en) * 1991-02-19 1995-05-09 Alliedsignal Inc. Nylon compositions featuring improved rates of crystallization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5206309A (en) * 1991-03-06 1993-04-27 Allied Signal Inc. Heat stable film composition comprising polyepsiloncaprolactam
WO1993021276A1 (en) * 1992-04-14 1993-10-28 Allied-Signal Inc. Misci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containing polyamide/amorphous polyamide blends
US5330834A (en) * 1992-05-12 1994-07-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ye-retarded nylon 6/6,6 block copolymer fibers
US5344708A (en) * 1992-05-12 1994-09-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ulked random copolyamide yarns of nylon 6 and nylon 6,6 having enhanced dye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40392A (en) 2000-03-21
BR9909648A (pt) 2007-07-31
CA2323365C (en) 2007-07-10
BR9909648B1 (pt) 2009-08-11
WO1999046333A1 (en) 1999-09-16
JP2002506108A (ja) 2002-02-26
CA2323365A1 (en) 1999-09-16
EP1084192A1 (en) 2001-03-21
KR100592967B1 (ko) 2006-06-23
DE69900757T2 (de) 2002-08-14
EP1084192B1 (en) 2002-01-02
DE69900757D1 (de) 2002-02-28
AU2981299A (en)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967B1 (ko) 나일론 6 혹은 66기초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US4416942A (en) Laminates of lamellar articles and polyolefins
KR100232842B1 (ko) 적층필름
JP4977694B2 (ja) 少なくとも1つの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evoh)から成るフィルム層を備え同時押出成形された多層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US4579784A (en) Laminates on the basis of polypropylene and process for preparing such laminates
MXPA03008153A (es) Peliculas de envasado que contienen capas de nylon y poliester coextruidas.
ZA200503055B (en) Biaxially oriented film comprising a layer consisting of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evoh)
EP0904198B1 (en) Three-layer Polyamide Film Structure
US5858550A (en) High temperature release films
EP1240012B1 (en) High temperature release films
JPH0511030B2 (ko)
KR100479335B1 (ko) 다층폴리아미드필름구조체
JPH0760920A (ja) 易剥離性多層構造物の製造方法
CA2257724C (en) Multilayer polyamide film structures
JPS60198223A (ja) 多層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S6028661B2 (ja) 積層構造物
MXPA98010494A (es) Estructuras de pelicula de poliamida de capas multiples
JPH01282278A (ja) 接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