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739A - 줄자 - Google Patents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739A
KR20010041739A KR1020007009973A KR20007009973A KR20010041739A KR 20010041739 A KR20010041739 A KR 20010041739A KR 1020007009973 A KR1020007009973 A KR 1020007009973A KR 20007009973 A KR20007009973 A KR 20007009973A KR 20010041739 A KR20010041739 A KR 20010041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operation member
main body
body case
measur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833B1 (ko
Inventor
수토무 우사미
Original Assignee
기이치 오카모토
케이디에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이치 오카모토, 케이디에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기이치 오카모토
Publication of KR2001004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3/1007Means for locking
    • G01B2003/101Means for locking acting on the dr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3/1007Means for locking
    • G01B2003/1015Means for locking engaging the tape in a direction transversal to the tape itsel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이 간단하고, 하나의 부품을 이용하여 와인딩 드럼에 브레이크를 걸고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measuring tape)를 고정시킬 수 있는 줄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줄자에 있어서, 손잡이(4)가 달린 조작부재(7)의 전방에 고정장치 단편(8)이 설치되고 그리고 그것의 후방에 브레이크 단편(9)이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측정 테이프(5)를 자유롭게 꺼낼 수 있고, 상기 꺼내어진 테이프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감김이 풀린다. 감겨진 것이 풀리는 때에 상기 손잡이(4)를 누르면 상기 브레이크 단편(9)이 와인딩 드럼(6)의 둘레 말단과 접하여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측정 테이프를 꺼낸 상태에서 손잡이(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고정장치 단편(8)이 수용부(18)로 측정 테이프를 눌러서 꺼내어진 상태에서 측정 테이프(5)를 유지시킨다.

Description

줄자{Tape Measure}
가요성(flexible)이 있는 측정 테이프를 케이스 내에 포함하고 있는 줄자는 케이스내의 와인딩 드럼(winding drum)에 감겨져 있다. 와인딩 드럼에는 인장 스프링(tension spring)이 붙어 있고, 그리고 상기 측정 테이프를 꺼낼 경우에 이 스프링은 응축되고 탄성력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상기 꺼낸 측정 테이프로부터 손을 떼면 그것은 스프링의 힘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상기 케이스 속으로 감겨지게 된다.
그러나, 측정 테이프가 감겨질 경우에는 가속도가 가해져서 감기는 속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고 또한 테이프가 감긴 반경이 커짐에 따라서 상기 측정 테이프는 꼬이거나 또는 케이스를 잡고 있는 사람의 손가락 또는 기타 등등을 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상기 감기는 속도를 억제하기 위해서 브레이크(brake) 장치가 결합된 줄자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측정 테이프를 꺼낸 상태에서 측정할 경우에, 상기 측정 테이프가 무심결에 케이스 속으로 말려 들어가는 문제점도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브레이크 장치뿐만 아니라 고정(lock) 장치를 결합시켜서, 이것을 조작함에 따라 꺼내어진 테이프가 요구되는 위치에서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줄자도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10-89901호에 개시되어 있는 줄자에서는, 케이스의 측면에 브레이크 버튼(button)을 제공하고, 이 브레이크 버튼을 손가락으로 눌러서 브레이크 버튼이 와인딩 드럼의 측면과 맞물려서 상기 와인딩 드럼이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중단시킨다.
또한 케이스의 정면 상부에 브레이크 버튼을 제공하고, 브레이크 버튼을 손가락으로 눌러서 브레이크 버튼이 와인딩 드럼의 측면(와인딩 드럼의 깃 부분)과 맞물려서 와인딩 드럼의 회전을 정지 또는 중단시키는 도구도 사용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출원 심사후 공개 제49-39338호에 개시되어 있는 줄자에서는, 케이스의 측면에 있는 원형의 구멍에 의해서 와인딩 드럼의 회전축의 한쪽을 바깥쪽으로 냄으로써 와인딩 드럼에 직접 손을 접촉시키고, 와인딩 드럼의 회전을 정지 또는 중단시키는 기구도 사용되고 있다.
이들 브레이크 기구는 와인딩 드럼에 부재와 손가락을 직접 닫게 함으로써 브레이크 작용을 부여하는 것이고, 고정장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브레이크 장치를 계속하여 조작할 경우는 빼내어진 측정 테이프를 멈추는 것이 가능하지만, 손을 뗀다면 측정 테이프가 말려 들어가게 되어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본 실용신안출원 심사후 공개 제41-10935호에 개시되어 있는 줄자에서는, 케이스 정면의 내부면에 탄성 브레이크 부재가 미끄러지도록 설치하고, 이것을 밑으로 조작하여 측정 테이프가 케이스의 벽면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으며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줄자들은 꺼내어진 테이프를 집어넣을 경우 브레이크를 걸때에는 탄성 브레이크 부재를 누르는 힘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고속으로 이동하는 측정 테이프와 마찰되는 탄성 브레이크 부재의 말단에 의해 측정 테이프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실용신안 제59-47802호에 기재되어 있는 줄자는 일본 실용신안 심사후 공개 제41-10935호에 개시되어 있는 줄자와 동일한 모양의 고정장치에 더하여, 곡선형의 브레이크 탄성 단편을 설치하여 드럼과 맞물리도록 하여 브레이크를 걸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고정장치와 브레이크 장치를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작이 간단하면서도 하나의 부품을 사용하여 와인딩 드럼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이 있는 측정 테이프를 케이스(case)내에 포함하고 있는 줄자(tape measure)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줄자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제2A도는 제1도의 정면도에 있어서 손잡이를 전방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제2B도는 제1도의 정면도에 있어서 손잡이를 고정장치 위치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3도는 본체 케이스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 줄자의 측면도이다.
제4도는 본체 케이스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 본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제5A도는 조작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조작부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5B도는 제5A도의 조작부재를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제5C도는 제5A도의 조작부재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제6도는 일시적으로 정지상태에 있는 줄자의 본체 케이스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 측면도이다.
제7도는 손잡이를 중도까지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는 줄자의 본체 케이스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 측면도이다.
제8도는 손잡이를 더욱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는 줄자의 본체 케이스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줄자의 실시 형태의 하나의 구체예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측정 테이프의 정면의 말단에 설치되어 있는 후크(hook), 2 및 3은 본체 케이스의 성분을 도시하며 2등분으로 나뉘어지는 구조이다. 4는 손잡이를 나타낸다. 손잡이(4)는 후술하는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손잡이(4)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크(1)에 손가락을 놓고서 측정 테이프(도시되지 않음)를 자유롭게 꺼낼 수 있으며, 또한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측정 테이프는 꺼낼 때에 저장되어 있던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감겨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가 후방에 있을 때 본체 케이스(2 및 3)의 내부를 향하여 손잡이(4)를 누를 경우에 손잡이(4)가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재의 브레이크 단편이 와인딩 드럼으로 눌려져서 브레이크의 작용을 부여할 수 있고, 따라서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감겨져 있는 측정 테이프에 브레이크를 걸고 감기는 속도를 떨어뜨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 테이프를 꺼낸 상태에서 손잡이(4)를 눌러서 브레이크를 조작함에 따라,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를 일시 정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A도는 손잡이(4)를 전방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부재가 고정되고, 손잡이(4)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도 손잡이(4)는 제1도의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고, 조작부재의 고정장치 단편은 측정 테이프를 누르고 꺼내어진 테이프를 고정시킨다.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4)가 전방 또는 고정 위치로부터 약간 떨어지는 경우에 조작부재의 고정장치 단편이 측정 테이프를 누르고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측정 테이프를 일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손잡이(4)로부터 손가락을 뗀다면, 이러한 정지 상태가 해제된다.
제1도,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체예에 따른 줄자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체 케이스(3)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 줄자의 측면도이고, 제4도는 본체 케이스(3)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 본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또한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는 조작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5A도는 조작부재의 측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조작부재의 좌측면도이며, 제5C도는 제5A도의 조작부재의 우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제1도, 제2A도, 제2B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재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5는 측정 테이프(measuring tape)이고, 6은 와인딩 드럼(winding drum)이고, 7은 조작부재(operating member)이며, 8은 고정장치 단편(locking piece)이고, 9는 브레이크 단편(braking piece)이고, 10은 피안내부(guided section)이고, 11은 플랜지부(flange section), 12는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lock position holding projection), 13은 피계지부(engaging section), 14 및 15는 안내부(guide section), 16은 홈(groove), 17은 나사 구멍(screw hole), 18은 수용부(receiving section), 19는 계지부(engaging section), 20은 탄성부재(elastic member)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 및 3) 내부에는 와인딩 드럼(6)에 감겨져 있는 측정 테이프(5)가 수납되어 있다. 와인딩 드럼(6)과 중심축과의 사이에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 테이프(5)를 꺼내면 상기 스프링이 장력을 받게 되고 그리고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5)가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긴다. 본체 케이스(2 및 3)의 정면으로 조작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면에는 측정 테이프(5)의 인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면이고, 그리고 사용자는 측정 테이프(5)를 꺼내고, 감겨지는 상태를 관찰하면서 조작부재(7)의 손잡이(4)를 조작할 수 있다. 손잡이(4)는 본체 케이스(2 및 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작부재(7)를 제어함에 따라 제1도, 제2A도, 제2B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작이 실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조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조작부재(7)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작부재(7)는 개략적으로 와인딩 드럼의 바깥 원주를 따라서 곡선의 형상을 가지며, 이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와 같은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부터 일체로 제작된다. 손잡이(4)의 표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의 홈이 형성되며, 그 전방(도면의 아랫부분이지만, 조작부재(7)가 진행되는 방향이므로 그 방향을「전방」이라 함)으로 고정장치 단편(8)이, 그 후방(도면의 윗부분이지만, 조작부재(7)가 되돌아가는 방향이므로 그 방향을「후방」이라 함)에는 브레이크 단편(9)이 제공된다. 피안내부(10)는 본체 케이스(후술함)의 안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조작부재(7)는 이동할 경우에 본체 케이스의 안내부에 의해 유도된다. 조작부재(7)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는 이에 적합한 구조로 선택되어야 한다. 11은 플랜지부이고, 그 일부에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피안내부(13)는 조작부재(7)가 후방에 위치할 경우에 이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 및 3)의 내부에는 안내부(14 및 15)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14 및 15)의 안내면은 동일 평면상에 놓여지고, 상기에서 서술한 조작부재(7)의 피안내부(10)의 측면과 미끄러지도록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7)의 전후이동을 유도한다. 안내부(15)의 방사상으로 바깥쪽에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홈(16)은 조작부재(7)가 안내부(14 및 15)에 적합한 경우에, 플랜지부(11)가 그 안으로 들어가도록 제공된다. 홈(16)의 폭은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12)가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부(11)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이다. 나사 구멍(17)은 두 개의 본체 케이스(2 및 3)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나사가 들어갈 구멍이며, 이는 적합하도록 다른 위치에 주어진다. 수용부(18)는 조작부재(7)의 고정장치 단편(8)이 측정 테이프를 누르는 경우에, 측정 테이프의 배면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계지부(19)는 조작부재(7)의 피계지부(13)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20)는 측정 테이프가 감겨지는 경우에 후크(1)를 수용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4도에서는 하나의 본체 케이스(3)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본체 케이스(2)의 내부 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 케이스(2)의 내부 구조는 본체 케이스(3)의 내부 구조와 대칭적이며, 상기 본체 케이스(3)의 다양한 부(section)들이 동일한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2 및 3)의 여러 부들은 탄성부재(20)를 제외하고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들의 수는 본체 케이스(2 및 3)와 탄성부재(20), 즉 3개이다. 본체 케이스(2 및 3)는 와인딩 드럼(6)의 중심축과 수직한 면을 따라서 소위 '수직 분할' 상태로 동일하게 이등분된다. 줄자를 조립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하나의 본체 케이스(3)를 횡으로 놓고 안내부(14 및 15)쪽으로 조작부재(7)를 배치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본체 케이스(2)의 홈(16)에 상기 조작부재(7)의 플랜지부(11)를 삽입시키면서, 상기 본체 케이스(2)를 그 상부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7)는 상기 두 개의 본체 케이스(2 및 3) 사이에 들어가게 되고, 본체 케이스(2 및 3) 내부에 올바른 위치를 갖는다. 이와 같이 조작부재(7)의 조립은 극히 용이하다.
제3도로 다시 돌아가서, 제3도는 제4도에서 설명한 본체 케이스 내부에 측정 테이프(5)가 감겨져 있는 와인딩 드럼(6)과 조작부재(7)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제1도의 상태와 대응된다. 손잡이(4)는 후방에 위치하고, 조작부재(7)의 피계지부(13)가 계지부(19)에 의해서 걸리고, 그래서 손잡이(4)가 무심결에 이동하지 않는다. 이런 경우에 조작부재(7)는 와인딩 드럼(6) 또는 측정 테이프(5)의 어느 것과도 접해있지 않은 상태, 즉 고정장치 단편(8)이 측정 테이프(5)와 접촉하지 않고, 그리고 브레이크 단편(9)도 와인딩 드럼(6)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측정 테이프(5)를 자유롭게 꺼낼 수 있으며, 상기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5)를 놓을 경우에는 상기 측정 테이프(5)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기게 된다.
제6도는 일시 정지 상태이다. 측정 테이프를 꺼낸 상태에서 손잡이(4)를 본체 케이스(2 및 3)를 향하여 누른다. 그러면 조작부재(7)가 구부러지고, 브레이크 단편(9)이 와인딩 드럼의 둘레를 압박하게 되고, 와인딩 드럼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게 된다. 측정을 행하기 위하여 또는 탄성력에 의해 측정 테이프(5)가 감길 경우에 감기는 속도를 제재하기 위하여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5)를 일시 정지시킬 때에, 브레이크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와인딩 드럼(6)과 접촉하기 때문에, 측정 테이프의 계측 면과 접하지 않고도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제7도는 손잡이(4)를 중간 위치까지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다. 이는 제2B도의 상태에 대응한다. 이러한 상태는 제3도의 상태에서부터 피계지부(13)의 계지부(19)와의 맞물림을 풀기 위하여 조작부재(7)의 손잡이(4)를 약간 누르고, 그리고 이를 전방으로 조심스럽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잡이(4)를 누르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제7도에서는 고정장치 단편(8)의 정면 말단이 측정 테이프(5)와 접하고, 꺼내어진 상태의 측정 테이프(5)를 일시정지 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는 탄성력에 의해 측정 테이프(5)가 감길 때 감기는 속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를 거는 조작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제8도는 손잡이(4)를 더욱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며, 제2A도와 대응된다. 이 경우는 피안내부(10) 및 플랜지부(11)가 방사상의 내부 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구부러지며, 동시에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12)가 안내부(15)의 정면 말단에서부터 풀린다. 그리고 안내부(15)의 말단은 고정장치 유지용 돌기(12)에 대한 계지부를 형성하고,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를 걸어서, 조작부재(7)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4)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경우에도 상기 조작부재(7)가 이전 상태로 돌아오지 않고, 측정 테이프(5)는 피안내부(10) 및 플랜지부(1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고정장치 단편(8)과 수용부(18)와의 사이에 끼어 들어간다. 이에 따라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5)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상태의 해제는 손잡이(4)에 힘을 가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제7도 또는 제3도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 피안내부(10) 및 플랜지부(11)가 약간 구부러지고,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12)와 안내부(15) 말단의 사이에 걸려있던 맞물림이 풀리고, 그리고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12)가 안내부(15)의 말단을 끌어올리고, 제7도의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줄자에 의하면, 꺼내어진 테이프를 일시 정지시키고, 감길 때 테이프에 브레이크를 걸고, 그리고 꺼내어진 테이프를 고정시키는 동작들이 줄자를 잡고 있는 사용자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인딩 드럼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기 때문에, 측정 테이프에 닿지 않고도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닳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의 손잡이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정지와 브레이크 작동이 공통으로 행해질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워서 오조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의 손잡이를 누르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이기 때문에 감기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감지하고 빠르게 반응할 수 있으며, 조작성,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정지 도구를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줄자에 비하여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즉 비용의 상승을 막을 수 있으면서도, 하나의 조작부재로 브레이크 작용과 고정 작용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본특허출원 제11-009652호(1999. 1. 18. 출원)를 우선권의 기초로 한 것이며, 상기 일본특허출원의 내용은 본원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가용성을 가지는 측정 테이프를 케이스 내에 함유하고 있는 줄자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미끄러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부에는 브레이크 단편(braking piece)이 설치되고 전면에는 고정장치(locking piece)가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재(operating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작부재의 후방부에서 상기 조작부재를 누를 경우에 와인딩 드럼(winding drum)의 둘레와 접하도록 되어 있는 브레이크 단편에 의해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측정 테이프에 대하여 눌러지는 상기 고정장치 단편에 의해서 이 측정 테이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재는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를 함유하며, 상기 조작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와 맞물리는 상기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에 의해 고정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계지부(engaging member)와 맞물릴 수 있는 피계지부(engaging member)가 상기 조작부재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와인딩 드럼의 바깥 원주를 따라서 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재는 가요성(flexible)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재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고정장치 단편과 수용부(receiving section) 사이에서 상기 측정 테이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guide section)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측면들은 상기 안내부와 미끄러지도록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는 방사상으로 안쪽과 바깥쪽에 한 쌍이 제공되고, 이들 안내부의 사이에 홈(groove)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홈에 조작부재상에 설치되는 플란지부(flange section)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란지부에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는 방사상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부의 말단과 맞물려서 측정 테이프가 고정장치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가 자동적으로 감기도록 하기 위한 인장 스프링을 가지는 와인딩 드럼, 및 상기 와인딩 드럼 또는 상기 측정 테이프와 접함으로써 브레이크 작용 또는 고정 작용을 부여하기 위한 조작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재는 본체 케이스의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는 가요성(flexible) 물질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후방에 브레이크 단편을, 전방에 고정장치 단편을, 그리고 중간부에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knob)를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가 해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는 후방 위치를 선택하여, 상기 와인딩 드럼 또는 상기 측정 테이프의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취하며 따라서 상기 측정 테이프를 자유로이 꺼내거나 또는 감을 수 있으며, 이 상태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를 향하여 누를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는 구부러지게(distort) 되고, 상기 브레이크 단편은 상기 와인딩 드럼의 둘레와 접해서 상기 측정 테이프에 브레이크를 걸고, 상기 손잡이를 중간 위치까지 앞으로 누를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가 중간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고정장치 단편이 상기 측정 테이프와 접해서 상기 측정 테이프에 브레이크를 걸고, 그리고 상기 손잡이를 최전방으로 누를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가 최전방으로 이동하고 구부러지며, 상기 고정장치 단편과 상기 본체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측정 테이프를 삽입시키고, 상기 측정 테이프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재는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는 상기 조작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본체 케이스와 맞물려서 고정장치 위치에 상기 조작부재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계지부와 맞물릴 수 있는 피계지부가 상기 조작부재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가 해제되는 정상의 상태에서는 상기 피계지부가 맞물려서, 상기 조작부재의 전후 이동이 규제되고, 그리고 상기 손잡이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맞물림이 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와인딩 드럼의 바깥 원주를 따라서 곡선 모양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케이스가 상기 고정장치 단편과 수용부의 사이에서 상기 측정 테이프를 끼워 넣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측면이 상기 안내부와 미끄러지도록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는 방사상으로 안쪽과 바깥쪽에 한 쌍이 제공되고, 이들 안내부의 사이에 홈(groove)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홈에 조작부재상에 설치되는 플란지부(flange section)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란지부에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가 설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 위치 유지용 돌기는 방사상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부의 말단과 맞물려서 측정 테이프가 고정장치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8)

  1.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미끄러지도록 설치된 조작부재(operating member);
    상기 조작부재의 후방부에 설치된 브레이크 단편(braking piece); 및
    상기 조작부재의 전방부에 설치된 고정장치 단편(locking piece);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재가 후방 위치에서 가압될 경우에 와인딩 드럼(winding drum)의 둘레에 접해 있는 상기 브레이크 단편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이 행해지고,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가 전방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측정 테이프(measuring tape)에 대하여 가압되는 상기 고정장치 단편에 의하여 상기 측정 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tape measur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lock position holding projection)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와 맞물려있는 상기 고정 위치 유지용 돌기에 의해서 고정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계지부(engaging member)와 맞물리는 피계지부(engaging member)가 상기 조작부재의 후방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와인딩 드럼의 바깥 원주를 따라서 곡선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가요성(flexible)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측정 테이프가 상기 고정장치 단편과 수용부(receiving section)의 사이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guide section)가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의 측면이 상기 안내부와 미끄러지도록 접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가 방사상으로 안쪽과 바깥쪽에 한 쌍이 제공되며, 상기 안내부의 사이에 홈(groove)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부(flange section)가 상기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가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가 방사상에서 안쪽 안내부의 말단과 맞물려서 상기 측정 테이프가 고정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11. 본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꺼내어진 측정 테이프가 자동적으로 감기도록 하기 위한 인장 스프링을 가지는 와인딩 드럼; 및
    상기 와인딩 드럼 또는 상기 측정 테이프와 접하여 브레이크 또는 고정 작용을 부여하기 위한 조작부재;
    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재는 가요성(flexible)을 가지는 물질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후방에 브레이크 단편을, 전방에 고정 단편을, 그리고 중간부에 상기 본체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knob)를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가 해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는 후방 위치를 선택하여, 상기 와인딩 드럼 또는 상기 측정 테이프의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서, 상기 측정 테이프를 자유로이 꺼내거나 또는 감을 수 있으며, 이 상태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를 향하여 누를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는 구부러지게 되고, 상기 브레이크 단편은 상기 와인딩 드럼의 둘레와 접해서 상기 측정 테이프에 브레이크를 걸고, 상기 손잡이를 중간 위치까지 앞으로 누를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가 중간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고정장치 단편이 상기 측정 테이프와 접해서 상기 측정 테이프에 브레이크를 걸고, 그리고 상기 손잡이를 최전방으로 누를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가 최전방으로 이동하고 구부러지며, 상기 고정장치 단편과 상기 본체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측정 테이프를 삽입시키고, 상기 측정 테이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가 전방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가 상기 본체 케이스와 맞물려서 상기 조작부재를 고정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계지부와 맞물리는 피계지부가 상기 조작부재의 후방에 설치되고, 손잡이가 해제되는 정상의 상태에서는 상기 피계지부가 맞물려서, 상기 조작부재의 전후 이동이 규제되고, 그리고 상기 손잡이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맞물림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와인딩 드럼의 바깥 원주를 따라서 곡선 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고정장치 단편과 수용부의 사이에서 상기 측정 테이프를 끼워 넣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상기 조작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의 측면이 상기 안내부와 미끄러지도록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가 방사상으로 안쪽과 바깥쪽에 한 쌍이 제공되며, 상기 안내부의 사이에 홈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부가 상기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장치의 위치 유지용 돌기가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위치 유지용 돌기가 방사상에서 안쪽 안내부의말단과 맞물려서 상기 측정 테이프가 고정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
KR1020007009973A 1999-01-18 2000-01-18 줄자 KR100595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09652 1999-01-18
JP11009652A JP2000205805A (ja) 1999-01-18 1999-01-18 巻 尺
PCT/JP2000/000200 WO2000042378A1 (fr) 1999-01-18 2000-01-18 Metre a rub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739A true KR20010041739A (ko) 2001-05-25
KR100595833B1 KR100595833B1 (ko) 2006-07-03

Family

ID=1172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973A KR100595833B1 (ko) 1999-01-18 2000-01-18 줄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63670B1 (ko)
JP (1) JP2000205805A (ko)
KR (1) KR100595833B1 (ko)
TW (1) TW433456U (ko)
WO (1) WO2000042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6698B2 (en) * 2001-08-10 2003-03-25 Cheng-Hui Hsu Dual mode tape rule blade arrestor structure
DE10229437A1 (de) * 2002-07-01 2004-01-15 Weiss Messwerkzeuge Gmbh Messinstrument
US6760979B1 (en) * 2002-12-24 2004-07-13 Cheng-Hui Hsu Stop block device of measuring tape
US20050011082A1 (en) * 2003-07-14 2005-01-20 Smith Michael J. Tape measure device
US7377050B2 (en) * 2006-04-03 2008-05-27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Tape measure
US20080203207A1 (en) * 2007-02-26 2008-08-28 Innovative Textiles, Inc. Line holder
KR101657556B1 (ko) * 2015-07-21 2016-09-30 임재호 감속기능을 갖는 안전 줄자
KR101758843B1 (ko) 2015-07-21 2017-07-17 임재호 감속기능을 갖는 안전 줄자
EP3557181B1 (en) 2016-11-03 2020-09-09 Stanley Black & Decker, Inc. Tape measure
US10429164B2 (en) * 2017-10-17 2019-10-01 Top Long Industrial Co., Ltd. Tape measure structure
KR102219215B1 (ko) * 2019-07-18 2021-02-23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측정장치
USD1015909S1 (en) * 2021-07-21 2024-02-27 Guilin Jeray Technology Co., Ltd. Health tap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8259A (en) * 1968-05-13 1971-05-11 Cooper Ind Inc Coilable rule locking mechanism
JPS5129855U (ko) * 1974-08-27 1976-03-04
JPS5720728B2 (ko) 1974-09-06 1982-05-01
US3942738A (en) * 1974-09-16 1976-03-09 The Stanley Works Coilable rule
JPS5947802A (ja) 1982-09-10 1984-03-17 Nec Corp 導波管スイツチ
JPS5947802U (ja) * 1982-09-22 1984-03-30 株式会社竹内製作所 巻尺
JPH0421802A (ja) 1990-05-16 1992-01-24 Idemitsu Petrochem Co Ltd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ーカールコード
JP2502890Y2 (ja) * 1990-06-11 1996-06-26 株式会社田島製作所 巻尺ケ―スのテ―プロック
DK0531570T3 (da) * 1991-09-12 1996-01-29 Sicfo Stanley Societe Ind Et C Oprullende båndmål med bremseanordning
KR0111136Y1 (en) 1993-08-09 1997-12-22 Um Jung Tae Auto moving forward tapeline
JP3432733B2 (ja) 1997-12-29 2003-08-04 原度器株式会社 巻 尺
JP3880722B2 (ja) 1998-04-06 2007-02-14 原度器株式会社 巻尺の制動装置
US6032896A (en) * 1998-05-14 2000-03-07 Liu; Simon Intermittent stop device for tape measures
US6167635B1 (en) * 1998-11-09 2001-01-02 Index Measuring Tape Co., Ltd. Pushing suspending device of a measuring tape
US6276071B1 (en) * 1999-08-14 2001-08-21 Olympia Group, Inc. Tape measure with tape braking control mechanism
GB2359799A (en) * 2000-03-03 2001-09-05 Index Measuring Tape Co Ltd A tape measure featuring braking and lock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2378A1 (fr) 2000-07-20
TW433456U (en) 2001-05-01
JP2000205805A (ja) 2000-07-28
KR100595833B1 (ko) 2006-07-03
US6463670B1 (en) 200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833B1 (ko) 줄자
US6276071B1 (en) Tape measure with tape braking control mechanism
JP4656756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制御装置
KR101217156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JP4932000B2 (ja) カセット式診断テープ
US6273982B1 (en) Manual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carrier tape to a substrate
US20170292821A1 (en) Tape measure with flexible finger brake and related method
US3570782A (en) Tape measures
US9125473B2 (en) System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product, in particular a cosmetic product
GB2359799A (en) A tape measure featuring braking and locking means
US6098299A (en) Chalk line holder
EP3401715A1 (en)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JP3774617B2 (ja) 巻尺
EP1098320A3 (en) Magnetic tape cartridge
WO2009048284A2 (en) Tape measure
JP3880722B2 (ja) 巻尺の制動装置
WO2000060306A2 (en) Improved tape measure
KR100911212B1 (ko) 줄자
US6032896A (en) Intermittent stop device for tape measures
JP3432733B2 (ja) 巻 尺
WO2008053237A1 (en) Brake mechanism for tape measures
US11065778B2 (en) Optical fiber cutter
KR102393459B1 (ko) 광섬유 절단기 및 광섬유 절단 방법
JP3362339B2 (ja) 巻 尺
JPH11194001A (ja) 巻 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