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459B1 - 광섬유 절단기 및 광섬유 절단 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절단기 및 광섬유 절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459B1
KR102393459B1 KR1020207002840A KR20207002840A KR102393459B1 KR 102393459 B1 KR102393459 B1 KR 102393459B1 KR 1020207002840 A KR1020207002840 A KR 1020207002840A KR 20207002840 A KR20207002840 A KR 20207002840A KR 102393459 B1 KR102393459 B1 KR 10239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utter
cutting
alignment groov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533A (ko
Inventor
모토요시 기무라
다이조 니시오카
유스케 다카이
가즈유키 미와
츠요시 이마이즈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츠신 덴자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츠신 덴자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Knives (AREA)

Abstract

광섬유 절단기(100)는 제 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광섬유가 탑재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본체부(10)에 대해서 개폐 가능한 덮개부(30)와, 제 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고, 본체부(10)에 대해서 덮개부(30)가 폐쇄되었을 때에, 서로의 사이에서 광섬유를 보지하는 한 쌍의 보지부(70, 72)와, 한 쌍의 보지부(70, 72) 사이에 있어서, 제 1 방향(D1)에 교차하는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부터 광섬유에 접촉하여 광섬유에 상처를 가하는 칼날 부재(58)와, 칼날 부재(58)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50)로서, 칼날 부재(58)를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부터 광섬유에 접촉시키고 나서 제 1 방향(D1) 및 제 2 방향(D2)에 교차하는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50)를 구비하여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절단기 및 광섬유 절단 방법
본 개시는 광섬유 절단기 및 광섬유 절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12월 12일 출원의 일본 출원 제 2017-237521 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원판 형상의 칼날 부재를 광섬유의 유리섬유 부분에 가압한 상태로 이동시켜서, 해당 유리섬유 부분의 표면을 창상(創傷)을 가하는 광섬유 절단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평6-186436 호 공보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광섬유 절단기는,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된 광섬유가 탑재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개폐 가능한 덮개부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상기 덮개부가 폐쇄되었을 때에, 서로의 사이에서 상기 광섬유를 보지하는 한 쌍의 보지부와,
상기 한 쌍의 보지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일방향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접촉하여 상기 광섬유에 상처를 가하는 칼날 부재와,
상기 칼날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로서, 상기 칼날 부재를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접촉시키고 나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교차하는 제 3 방향의 일방향측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된 광섬유 절단 방법은,
상기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에 상기 상처를 가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 후에, 상기 광섬유 절단기가 더 구비하는 가압부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처를 진전(進展)시켜서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제 2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광섬유 절단 방법은,
상기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에 상기 상처를 가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 후에, 상기 광섬유를 인장(引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처를 진전(進展)시켜서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가 이용되는 광섬유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섬유 절단기의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의 광섬유 절단기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5는 슬라이더를 갖는 덮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칼날 부재를 갖는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홀더에 보지된 광섬유를 절단할 때의 광섬유 절단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 후의 광섬유 절단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의 (a) 내지 (e)는 슬라이더의 이동 가능 방향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동작 후의 광섬유 절단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동작 후의 광섬유 절단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광섬유를 보지한 상태에서의 광섬유 절단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동작 후의 광섬유 절단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슬라이더에 형성된 얼라인먼트 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광섬유 절단기의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상태의 광섬유 절단기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9의 H-H선 일부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0의 I-I선 일부 단면도이다.
도 26a는 홀더에 보지된 광섬유를 절단할 때의 도 19에 도시하는 광섬유 절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b는 홀더에 보지된 광섬유를 절단할 때의 도 19에 도시하는 광섬유 절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a는 도 26a의 동작 후의 광섬유 절단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b는 도 26b의 동작 후의 광섬유 절단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광섬유의 절단에 따라 나사 부재가 상방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19의 광섬유 절단기가 구비하는 카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 장치는, 광섬유의 피복을 벗긴 유리섬유 부분을 파지하는 상하 한 쌍의 클램프 부재와, 해당 클램프 부재에 의해 고정된 유리섬유 부분의 하방을 이동하여 유리섬유 부분의 외주면에 상처를 가하는 원판 형상의 칼날 부재와, 해당 칼날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유리섬유 부분의 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장비(裝備)되어서 유리섬유 부분의 상면에 굽힘 하중을 부하하는 베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클램프 부재에 의해 고정된 유리섬유 부분에 칼날 부재에 의해서 상처를 가한 후, 베개 부재에 의해 유리섬유 부분에 굽힘 하중을 걺으로써, 광섬유의 벽개(劈開)에 의한 파단면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FTTH(Fiber To The Home)의 보급에 수반하여, 광섬유에 광섬유 절단 장치를 함께 넣어서, 고객에게 송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광섬유 절단 장치의 더 나은 저비용화 및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저비용으로 제작 가능하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 가능한 광섬유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간편한 구성으로 광섬유를 가상(加傷) 및 파단시킬 수 있는 광섬유 절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효과]
본 개시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제작 가능하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 가능한 광섬유 절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광섬유를 가상 및 파단시킬 수 있는 광섬유 절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로 본 개시된 실시형태의 내용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는,
(1)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된 광섬유가 탑재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개폐 가능한 덮개부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상기 덮개부가 폐쇄되었을 때에, 서로의 사이에서 상기 광섬유를 보지하는 한 쌍의 보지부와,
상기 한 쌍의 보지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일방향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접촉하여 상기 광섬유에 상처를 가하는 칼날 부재와,
상기 칼날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로서, 상기 칼날 부재를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접촉시키고 나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교차하는 제 3 방향의 일방향측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여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에 의해서 칼날 부재를 제 2 방향으로부터 제 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간편한 구성으로 광섬유에 상처를 부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저비용으로 제작 가능하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 가능한 광섬유 절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어느 일방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어느 일방과 상기 이동부 중 어느 일방의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을 포함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어느 일방과 상기 이동부 중 어느 타방의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을 포함하는 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에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는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제 2 방향의 타방향측으로 이동되어진 후에 상기 제 3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 이동 가능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가 한 쌍의 보지부에 보지된 상태로 유저가 이동부를 조작함으로써, 칼날 부재를 광섬유에 대해서 적절한 방향으로 접촉 및 가상시킬 수 있다.
(3) 상기 (2)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은 상기 칼날 부재의 상기 제 3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의 이동량이 소정 값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칼날 부재를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에 퇴피시키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로의 가상 후에 칼날 부재가 광섬유와 간섭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상기 (3)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로부터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후술의 탄성부 등에 의해 이동부를 부세(付勢)할 필요가 없고, 용이한 구성으로, 광섬유로의 가상 후에 칼날 부재가 광섬유와 간섭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3)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 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볼록부에 의해 돌기부를 안내함으로써, 칼날 부재를 소망한 방향으로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일방에 마련된 탄성부에 의해 상기 제 3 방향의 타방향측으로 부세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이동부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에, 탄성부의 부세력에 의해서 이동부 및 칼날 부재를 초기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7) 상기 (6)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3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을 향하는 성분과 상기 제 3 방향의 상기 타방향측을 향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부세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로의 가상 후에 칼날 부재가 광섬유에 간섭하지 않도록, 칼날 부재를 광섬유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확실히 퇴피시킬 수 있다.
(8) 상기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은 제 1 얼라인먼트 홈과, 상기 제 1 얼라인먼트 홈과는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마련된 제 2 얼라인먼트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제 1 얼라인먼트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얼라인먼트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2 돌기부를 포함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얼라인먼트 홈 및 돌기부가 복수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이동부의 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칼날 부재의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칼날 부재에 의한 상기 광섬유의 절단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와,
상기 절단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광섬유의 절단을 정지하는 절단 정지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의 절단 횟수가 일정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광섬유의 절단을 정지함으로써, 칼날 부재의 소모에 의한 광섬유의 절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10) 상기 (9)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하는 래치부를 갖고,
상기 절단 정지부는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부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절단 정지부를 상기 제 2 방향의 일방향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이동부를 갖고,
상기 절단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기어부의 회전이 정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이 제한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의 절단 횟수가 일정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기어부의 회전을 정지한다고 하는 간편한 구성으로,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11) 상기 (10)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광섬유의 절단 횟수를 단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상기 카운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 정지부의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운터와 상기 절단 정지부의 선단부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절단 횟수가 표시 가능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해당 광섬유 절단기의 현재의 사용 횟수나 수명을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칼날 부재의 절단연부는 직선 형상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에 가해진 상처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절단 기구는 상기 칼날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서, 상기 제 2 방향의 타방향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여, 상기 칼날 부재에 의해 상기 상처가 가해진 상기 광섬유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절단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칼날 부재에 의해 광섬유에 상처를 가한 후에, 가압부에 의해 광섬유를 칼날 부재와는 반대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광섬유를 간편하게 파단시킬 수 있다.
(1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절단 후의 상기 광섬유의 부스러기를 수용 가능한 부스러기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절단 후의 광섬유 부스러기를 확실히 회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의 절단 방법은,
(15)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에 상기 상처를 가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 후에, 상기 (13)에 기재된 가압부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처를 진전시켜서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제 2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광섬유를 가상 및 파단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의 절단 방법은,
(16)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에 상기 상처를 가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 후에, 상기 광섬유를 인장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처를 진전시켜서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광섬유를 가상 및 파단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가 이용되는 광섬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가 이용되는 광섬유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광섬유(1)는 코어와 해당 코어를 덮는 클래드로 구성되는 유리섬유(2)와, 유리섬유(2)를 덮는 절연층(3)과, 절연층(3)의 주위를 덮는 외피(4)를 구비하여 있다. 광섬유(1)는 선단부(a)에 있어서, 외피(4) 및 절연층(3)이 단계적으로 제거되고, 유리섬유(2)가 노출되어 있다. 광섬유(1)는 유리섬유(2)가 노출되어 있는 선단부(a)에 있어서, 후술의 광섬유 절단기(100)를 이용하여 절단된다.
(제 1 실시형태)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10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6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100)의 정면측 사시도이며, 도 3은 광섬유 절단기(100)의 덮개부(30)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측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덮개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되는 상태에 있어서, 광섬유 절단기(100)(본체부(10))의 장변 방향을 제 1 방향(D1)으로 하고, 광섬유 절단기(100)의 단변 방향을 제 2 방향(D2)으로 하고, 광섬유 절단기(100)의 두께 방향을 제 3 방향(D3)으로 한다. 또한,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화살표측)을 상측, 제 2 방향(D2)의 타방향측을 하측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섬유 절단기(100)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개폐 가능하게 접속된 덮개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는 지지대(12)와, 레일(14)과,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0, 22)와, 가압부(24)(절단 기구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14)은 지지대(12)의 제 2 방향(D2)과 제 3 방향(D3)을 포함한 면의 일방측으로부터 제 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레일(14) 상에는, 광섬유(1)가 보지된 홀더(160)가 탑재된다(도 7 참조).
지지대(12)는 제 1 방향(D1)과 제 2 방향(D2)을 포함하는 면의 일방측에,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2개의 결합 돌기부(16)를 구비하여 있다. 결합 돌기부(16)는 후술의 덮개부(30)의 결합 구멍부(38)와 결합하여, 덮개부(30)가 본체부(10)에 대해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지지대(12)의 중앙부에는, 제 2 방향(D2)을 따라 지지대(12)를 관통하는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0, 22)는 지지대(12)의 제 1 방향(D1)과 제 3 방향(D3)을 포함한 면 중 덮개부(30)와 대향하는 면(12A) 상에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0, 22)는 제 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어 있다. 본체부측 보지부(20, 22)는 예를 들면, 평판 형상의 고무판, 불소계 수지판, 아크릴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면(12A) 상에 첩착(貼着)되어 있다.
가압부(24)는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0, 22)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18) 내에 수용되어 있다. 가압부(24)는 도 9 및 도 10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부(24A)와, 접촉부(24B)와, 가압 버튼(24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24B)는 기부(24A)의 덮개부(30)와 대향하는 측(면(12A)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24B)는 본체부측 보지부(20, 22)와 마찬가지로, 평판 형상의 고무판, 불소계 수지판, 아크릴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부(24A)에 첩착되어 있다. 가압 버튼(24C)은 접촉부(24B)가 첩착된 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기부(24A)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압 버튼(24C)은 개구부(18)로부터 지지대(12)의 외부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압 버튼(24C)의 제 1 방향(D1)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제 2 방향(D2)을 따라 접촉부(24B)측으로 굴곡된 굴곡부(24C1)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24C1)의 선단에는, 클로부(24C2)가 형성되고, 클로부(24C2)가 개구부(18) 내의 단차(18A)와 결합함으로써, 가압 버튼(24C)의 제 2 방향(D2)을 따른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가압 버튼(24C)은 용수철(28)(도 9 참조)에 의해서 제 2 방향(D2)의 타방향측(하측)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압 버튼(24C)은 유저의 조작에 의해, 용수철(28)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부(30)는 덮개부 본체(32)와, 용수철(34)과, 커터(58)를 지지하는 슬라이더(50)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 본체(32)는 접속부(36)와, 결합 구멍부(38)와, 한 쌍의 덮개부측 보지부(40, 42)를 구비하여 있다. 접속부(36)는 덮개부 본체(32)의 제 3 방향(D3)을 따른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 본체(32)는 접속부(36)에 의해서, 지지대(1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결합 구멍부(38)는 덮개부 본체(32)의 제 3 방향(D3)을 따른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구멍부(38)와 지지대(12)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16)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덮개부 본체(32)가 지지대(12)에 대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된다. 한 쌍의 덮개부측 보지부(40, 42)는 덮개부 본체(32)의 제 1 방향(D1)과 제 3 방향(D3)을 포함한 면 중 본체부(10)와 대향하는 면(32A) 상에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덮개부측 보지부(40, 42)는 제 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하면서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0, 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덮개부측 보지부(40, 42)는 본체부측 보지부(20, 2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평판 형상의 고무판, 불소계 수지판, 아크릴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면(32A) 상에 첩착되어 있다.
덮개부 본체(32)의 중앙부에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덮개부 본체(32)를 관통하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의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4)를 형성하는 면 중 제 2 방향(D2)과 제 3 방향(D3)을 포함한 면에는, 제 1 방향(D1)을 따라 개구부(44) 내에 돌출하는 돌기부(46)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1개의 돌기부(46)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해당 돌기부(46)와 대향하는 측에도 마찬가지로 제 1 방향(D1)을 따라 개구부(44) 내에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50)는 후술의 커터(58)를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화살표측)을 향해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개구부(44) 내에 수용된 슬라이더(50)는, 용수철(34)에 의해 제 3 방향(D3)의 타방향측으로 부세된다. 슬라이더(50)의 상세 구조는 후술한다.
본체부(10)에 마련된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0, 22)와 덮개부(30)에 마련된 한 쌍의 덮개부측 보지부(40, 42)로부터 한 쌍의 보지부(70, 72)가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보지부(70, 72)는 본체부(10)의 결합 돌기부(16)가 덮개부(30)의 결합 구멍부(38)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서로의 사이에 광섬유(1)의 유리섬유(2)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연장되도록, 광섬유(1)를 보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지부(70)(본체부측 보지부(20) 및 덮개부측 보지부(40))가 광섬유(1)의 외피(4)로부터 절연층(3)이 노출된 부분을 보지하고, 보지부(72)(본체부측 보지부(22) 및 덮개부측 보지부(42))가 광섬유(1)의 절연층(3)으로부터 유리섬유(2)가 노출된 부분(도 1에 도시되는 선단부(a))을 보지한다.
다음에, 도 6a, 도 6b를 참조하여, 슬라이더(5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6a는 슬라이더(50)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0)는 장변 방향이 제 3 방향(D3)을 따라 연장되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50)의 제 1 방향(D1)과 제 2 방향(D2)을 포함한 면의 일방측에는, 용수철 받침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 본체(32)의 개구부(44)에 수용된 슬라이더(50)는, 용수철 받침부(52)에 있어서 용수철(34)에 의해 제 3 방향(D3)의 타방향측으로 부세된다. 슬라이더(50)의 제 1 방향(D1)과 제 3 방향(D3)을 포함한 면의 일방측(본체부(10)으로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요철 형상의 슬라이드 조작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유저가 손가락을 슬라이드 조작부(54)에 접촉시켜서 슬라이더(5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50)는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을 향해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50)의 제 1 방향(D1)과 제 3 방향(D3)을 포함한 면의 타방측(본체부(10)와 대향하는 면)에는, 제 3 방향(D3)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56)의 내부에는,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터(58)(칼날 부재의 일례)가 수용되어 있다. 커터(58)는 예를 들면, 금속(강철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커터(58)의 선단의 절단연부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릿(56)으로부터 제 2 방향(D2)을 향해 외부로 돌출하여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50)는 커터(58)를 제 3 방향(D3)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있다.
슬라이더(50)의 제 2 방향(D2)과 제 3 방향(D3)을 포함한 면(50A, 50B)에는, 얼라인먼트 홈(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홈(60)은 슬라이더(50)의 면(50A, 50B) 모두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하에서는, 도 6a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는 면(50A)에 형성된 얼라인먼트 홈(60)에 대해서 대표하여 설명한다. 얼라인먼트 홈(60)은 예를 들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얼라인먼트 홈(60)은 삼각 형상의 3개의 정점 중,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의 정점(頂点)과, 제 3 방향(D3)의 타방향측의 정점이 절결된 형상을 갖고 있다. 슬라이더(50)가 덮개부 본체(32)의 개구부(44)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얼라인먼트 홈(60)에는, 개구부(44)로부터 돌출된 돌기부(46)가 결합된다. 얼라인먼트 홈(60) 내에는, 돌기부(46)를 소정의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대략 평행사변형상의 가이드 볼록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광섬유 절단기(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7은 도 2 등에 도시되는 광섬유 절단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의 (a) 내지 (e)는 슬라이더(50)의 이동 가능 방향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우선,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는 광섬유 절단기(100)의 덮개부(30)를 본체부(10)에 대해서 개방한 상태로 하고 나서, 광섬유(1)를 보지한 홀더(160)를 레일(14) 상에 탑재한다. 홀더(160)의 장변 방향(도 7에 있어서의 제 1 방향(D1))의 일단부에는 V홈(162)이 형성되어 있고, 이 V홈(162) 내에 외피(4)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절연층(3)이 부착된 유리섬유(2)가 삽입되어 있다. 홀더(160)의 V홈(162)측의 단부를 레일(14)과 지지대(12)의 경계에 접촉시킴으로써, 광섬유(1)가 광섬유 절단기(10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광섬유(1)의 홀더(160)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부분(절연층(3)으로부터 노출된 유리섬유(2)의 선단 부분)이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0, 22) 사이로 연장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는 광섬유 절단기(100)의 덮개부(30)를 본체부(10)에 대해서 개방하고, 지지대(12)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16)를 덮개부 본체(32)에 형성된 결합 구멍부(38)에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섬유(1)의 유리섬유(2)가, 한 쌍의 보지부(70, 72)(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0, 22) 및 한 쌍의 덮개부측 보지부(40, 42))에 의해서 보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수철(34)은 제 3 방향(D3)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용수철(34)은 슬라이더(50)를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을 향하는 성분과 제 3 방향(D3)의 타방향측을 향하는 성분을 포함한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8의 상태에서는, 슬라이더(50)에 지지된 커터(58)는 제 2 방향(D2) 및 제 3 방향(D3)에 있어서 유리섬유(2)와는 이격된 위치에 있다(도 11의 (a) 참조).
다음에,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는 슬라이더(50)를 용수철(34)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도 11의 (b) 및 도 11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얼라인먼트 홈(60)에 결합하여 있는 돌기부(46)가 얼라인먼트 홈(60) 및 가이드 볼록부(62)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50)는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한다(즉, 소정의 방향 이외의 이동이 규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유저에 의해 슬라이더(50)를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슬라이더(50)에 가해지면, 도 11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부(46)가 얼라인먼트 홈(60) 내를 방향(A1)으로 이동하도록, 슬라이더(50)가 이동된다. 이에 의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0)에 지지된 커터(58)가 유리섬유(2)에 대해서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어서, 더욱 유저에 의해 슬라이더(50)를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슬라이더(50)에 가해지면, 도 11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부(46)가 얼라인먼트 홈(60) 내를 방향(A2)측으로 이동하도록, 슬라이더(50)가 이동된다. 이에 의해, 유리섬유(2)에 대해서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부터 접촉한 커터(58)가, 유리섬유(2)에 접촉한 상태로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을 향해 이동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얼라인먼트 홈(60)의 삼각형상의 3개의 정점 중,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의 정점이 제 3 방향(D3)을 따른 변(L1)으로 절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유리섬유(2)에 커터(58)가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더(50)가 변(L1)의 길이분만큼 제 3 방향(D3)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커터(58)에 의해 유리섬유(2)에 상처가 가해진다(제 1 공정의 일례).
이어서, 더욱 유저에 의해 슬라이더(50)를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슬라이더(50)에 가해지면, 도 11의 (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부(46)가 얼라인먼트 홈(60) 내를 방향(A3)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슬라이더(50)가 이동된다. 즉, 돌기부(46)가 변(L1)의 일단부에 부딪치면, 슬라이더(50)는 변(L1)의 해당 일단부로부터 제 2 방향(D2)의 타방향측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된 변(L2)에 돌기부(46)가 따르도록 하여 이동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50)에 의해 지지된 커터(58)는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을 향해서 이동된다. 즉, 커터(58)는 유리섬유(2)에 대해서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 퇴피된다. 이와 같이, 얼라인먼트 홈(60)은 커터(58)의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으로의 이동량이 소정 값(변(L1)의 길이)을 넘었을 때에, 커터(58)를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 퇴피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유저에 의해 슬라이더(50)가 개구부(44)의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의 단부까지 이동되어서, 유저가 슬라이더(5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도 11의 (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부(46)가 얼라인먼트 홈(60) 내를 방향(A4)으로 이동하도록, 슬라이더(50)가 이동된다. 이는 용수철(34)에 의해, 슬라이더(50)가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을 향하는 성분과 제 3 방향(D3)의 타방향측을 향하는 성분을 포함한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50) 및 커터(58)는 도 11의 (a)에 도시되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온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는 본체부(10)의 지지대(12)의 하측에 마련된 가압 버튼(24C)을 제 2 방향(D2)의 타방향측으로부터 가압한다. 또한, 도 15에서는, 광섬유(1)를 보지하는 홀더(16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압부(24)의 접촉부(24B)가 커터(58)에 의해 상처가 가해진 부분의 유리섬유(2)를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리섬유(2)를 구부림으로써, 유리섬유(2)에 가해진 상처가 진전하여, 유리섬유(2)가 절단된다(제 2 공정의 일례).
마지막으로,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는 덮개부(30)를 개방하여, 유리섬유(2)의 선단이 절단된 광섬유(1)가 보지된 홀더(160)를 광섬유 절단기(100)의 레일(14)로부터 취출한다. 또한, 유리섬유(2)의 절단면보다 선단부측의 부분(한 쌍의 보지부(72)로 보지된 부분)은 광섬유(1)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파기된다.
이상으로, 광섬유 절단기(100)를 이용하여 광섬유(1)의 유리섬유(2)를 절단하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100)는, 제 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광섬유(1)가 탑재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본체부에 대해서 개폐 가능한 덮개부(30)와, 제 1 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고, 본체부(10)에 대해서 덮개부(30)가 폐쇄되었을 때에, 서로의 사이에서 광섬유(1)를 보지하는 한 쌍의 보지부(70, 72)를 구비하여 있다. 게다가, 광섬유 절단기(100)는 한 쌍의 보지부(70, 72) 사이에 있어서,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부터 광섬유(1)에 접촉하여 광섬유(1)에 상처를 가하는 커터(58)와, 커터(58)를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부터 광섬유(1)에 접촉시키고 나서 제 3 방향(D3)의 일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50)와, 광섬유(1)에 가해진 상처를 진전시켜서 광섬유(1)를 절단하는 가압부(24)를 구비하여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50)에 지지된 커터(58)를 제 2 방향(D2)으로부터 제 3 방향(D3)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간편한 구성으로 광섬유(1)에 상처를 부여하여, 광섬유(1)를 절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저비용으로 제작 가능하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 가능한 광섬유 절단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50)는 커터(58)를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부터 광섬유(1)에 접촉시키고 나서 제 3 방향(D3)의 일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키지만, 커터(58)의 광섬유(1)에의 접촉 방향은 제 2 방향(D2)을 따른 방향(제 2 방향(D2)에 평행한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D2)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A1)을 따라서 슬라이더(50) 및 커터(58)를 이동시키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에 있어서는, 슬라이더(50)는 덮개부(3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슬라이더(50)의 제 2 방향(D2) 및 제 3 방향(D3)을 포함하는 면에는, 얼라인먼트 홈(60)이 형성되고, 덮개부(30)의 제 2 방향(D2) 및 제 3 방향(D3)을 포함하는 면에는, 얼라인먼트 홈(60)에 결합 가능한 돌기부(4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50)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얼라인먼트 홈(60)의 형상을 따라서 제 2 방향(D2)의 타방향측으로 이동되어진 후에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1)가 한 쌍의 보지부(70, 72)에 보지된 상태로 유저가 슬라이더(50)를 조작함으로써, 커터(58)를 광섬유(1)에 대해서 적절한 방향으로 접촉 및 가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에 있어서는, 얼라인먼트 홈(60)은 커터(58)의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으로의 이동량이 소정 값을 초과했을 때에, 커터(58)를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으로 퇴피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1)에의 가상 후에 커터(58)가 광섬유(1)와 간섭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에 있어서는, 얼라인먼트 홈(60) 내에는, 돌기부(46)를 제 2 방향(D2) 및 제 3 방향(D3)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볼록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볼록부(62)에 의해 돌기부(46)를 가이드함으로써, 슬라이더(50)에 지지된 커터(58)를 소망의 방향으로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에 있어서는, 슬라이더(50)는 덮개부(30)에 마련된 용수철(34)에 의해 제 3 방향(D3)의 타방향측으로 부세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슬라이더(50)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에, 용수철(34)의 부세력에 의해서 슬라이더(50) 및 커터(58)를 초기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에 있어서는, 용수철(34)은 제 3 방향(D3)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슬라이더(50)를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을 향하는 성분과 제 3 방향(D3)의 타방향측을 향하는 성분을 포함한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1)에의 가상 후에 커터(58)가 광섬유(1)에 간섭하지 않도록, 커터(58)를 광섬유(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확실히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에 있어서는, 커터(58)의 절단연부는 직선 형상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1)에 가해진 상처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에 있어서는, 가압부(24)는 커터(58)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서, 제 2 방향(D2)의 타방향측으로부터 광섬유(1)를 가압하여, 커터(58)에 의해 상처가 가해진 광섬유(1)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광섬유(1)를 절단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터(58)에 의해 광섬유(1)에 상처를 가한 후에, 가압부(24)에 의해 광섬유(1)를 커터(58)와는 반대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광섬유(1)를 간편하게 파단시킬 수 있다.
(변형예)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50)는 얼라인먼트 홈(60)(제 1 얼라인먼트 홈의 일례)에 더하여, 얼라인먼트 홈(60)과는 적어도 제 2 방향(D2)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홈(60A)(제 2 얼라인먼트 홈의 일례)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덮개부(30)의 개구부(44) 내에는, 얼라인먼트 홈(6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돌기부(46)에 더하여, 얼라인먼트 홈(6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얼라인먼트 홈 및 돌기부가 1개의 면에 있어서 복수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초기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150)의 장변 방향이 제 3 방향(D3)에 대해서 경사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터(58)의 소정 방향(예를 들면, 도 11의 (a) 내지 (e)에 도시되는 방향(A1 내지 A4))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더(50)에 얼라인먼트 홈(60)이 형성되고, 덮개부 본체(32)에 돌기부(46)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슬라이더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덮개부 본체에 얼라인먼트 홈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슬라이더(50)의 제 2 방향(D2)과 제 3 방향(D3)을 포함한 면(50A, 50B) 중 한쪽면에만 얼라인먼트 홈(60)이 형성되고, 해당 1개의 얼라인먼트 홈(60)에 대응하는 위치에 1개의 돌기부(46)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얼라인먼트 홈(60) 내에는, 돌기부(46)를 소정의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대략 평행사변형상의 가이드 볼록부(62)가 형성되어 있지만, 가이드 볼록부(62)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는, 슬라이더(50)의 방향(A1) 및 방향(A2)으로의 이동은, 유저의 손가락에 의한 가압에 의해 보증되고, 슬라이더(50)의 방향(A3) 및 방향(A4)으로의 이동은, 용수철(34)의 제 3 방향(D3)에 대한 경사에 의해 보증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볼록부(62)를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슬라이더(50)의 미끄럼운동성이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덮개부(30)에 커터(58)를 지지하는 슬라이더(50)가 마련되고, 본체부(10)에 커터(58)에 의해 가상된 광섬유(1)를 가압하여 구부리는 가압부(24)가 마련되어 있지만, 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부(10)측에 커터(58) 및 슬라이더(50)에 상당하는 구성을 마련하고, 덮개부(30) 측에 가압부(24)에 상당하는 구성을 마련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압부(24)의 접촉부(24B)는 비가압 상태에 있어서는, 유리섬유(2)로부터 제 2 방향(D2)에 있어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부(24B)의 상면이 비가압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0, 22)의 상면과 면일(面一)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유리섬유(2)가 한 쌍의 보지부(70, 72)에 보지된 상태로, 접촉부(24B)가 제 2 방향(D2)에 있어서의 타방향측으로부터 유리섬유(2)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접촉부(24B)는 유리섬유(2)가 커터(58)에 의해 제 2 방향(D2)에 있어서의 일방향측으로부터 힘을 받았을 때, 해당 유리섬유(2)가 제 2 방향의 타방향측으로 회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용수철(34)은 제 3 방향(D3)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제 3 방향(D3)에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공정 후에, 가압부(24)에 의해 유리섬유(2)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유리섬유(2)에 가해진 상처를 진전시켜서, 유리섬유(2)를 절단하여 있지만, 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공정 후에, 광섬유(1)를 인장하는 것에 의해서 상처를 진전시켜서 광섬유(1)를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제 3 공정의 일례).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200)에 대해서, 도 19 내지 도 29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200)의 정면측 사시도이며, 도 20은 광섬유 절단기(200)의 덮개부(230)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측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상태의 광섬유 절단기(200)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F-F선 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19의 G-G선 단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200)는 본체부(210)측에 커터(258)를 지지하는 슬라이더(250)가 마련되고, 덮개부(230)측에 가압부(240)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100)와 상이하여 있다. 또한, 광섬유 절단기(200)의 각부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9에 도시되는 상태에 있어서, 광섬유 절단기(200)(본체부(210))의 장변 방향을 제 1 방향(D1)으로 하고, 광섬유 절단기(200)의 단변 방향을 제 2 방향(D2)으로 하고, 광섬유 절단기(200)의 두께 방향을 제 3 방향(D3)으로 한다. 또한, 제 2 방향(D2)의 일방향측(화살표측)을 상측, 제 2 방향(D2)의 타방향측을 하측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200)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에 개폐 가능하게 접속된 덮개부(230)를 구비하여 있다.
본체부(210)는 지지대(212)와, 레일(214)과,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20, 222)와, 커터(258)를 지지하는 슬라이더(250)와, 부스러기 수용부(280)를 구비하여 있다.
지지대(212)는 제 1 방향(D1)과 제 2 방향(D2)을 포함한 면의 일방측에,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1개의 결합 돌기부(216)를 구비하여 있다. 결합 돌기부(216)는 덮개부(230)의 결합 구멍부(239)와 결합하여, 덮개부(230)가 본체부(210)에 대해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지지대(212)의 중앙부에는, 제 2 방향(D2)을 따라 지지대(212)를 관통하는 개구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212)의 일방의 본체부측 보지부(222)에 인접하도록, 커터(258)에 의한 광섬유의 절단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300)가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30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개구부(218)의 내부에는, 커터(258)를 지지한 상태의 슬라이더(250)가 수용되어 있다. 개구부(218) 내에 수용된 슬라이더(250)는, 제 3 방향(D3)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250)의 상세 구조는 후술한다.
부스러기 수용부(280)는 본체부(210)의 레일(214)과는 지지대(212)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부스러기 수용부(280)의 상부에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부재로 형성된 수용 커버(282)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 커버(282)의 지지대(212)측의 단부에는, 개구부(284)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커버(282)의 개구부(284)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장척(長尺) 형상의 연결부(288)를 거쳐서 폐색 마개(28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88)를 굴곡시킴으로써, 폐색 마개(286)에 의해 개구부(284)를 막을 수 있다.
덮개부(230)는 덮개부 본체(232)와, 한 쌍의 덮개부측 보지부(234, 236)와, 가압부(240)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 본체(232)는 접속부(238)에 의해서, 지지대(21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 본체(232)에 마련된 결합 구멍부(239)와, 지지대(212)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216)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덮개부 본체(232)가 지지대(212)에 대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된다. 한 쌍의 덮개부측 보지부(234, 236)는 제 1 방향(D1)을 따라서 서로 이격하면서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220, 2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가압부(240)는 한 쌍의 덮개부측 보지부(234, 236)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242) 내에 수용되어 있다. 가압부(240)는 도 22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촉부(240A)와 가압 버튼(24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240A)는 본체부(210)의 개구부(218)에 수용된 슬라이더(25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 버튼(240B)은 개구부(242)로부터 덮개부(230)의 외부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압 버튼(240B)의 제 3 방향(D3)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굴곡된 클로부(240C)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240C)가 개구부(242) 내의 단차(242A)와 결합함으로써, 가압 버튼(240B)의 제 2 방향(D2)을 따른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슬라이더(25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50)는 제 3 방향(D3)을 따라 연신하는 조작부(254)와, 조작부(254)로부터 상방(제 2 방향(D2))측으로 세워 마련되는 칼날 보지부(256)를 구비하여 있다. 유저가 손가락을 조작부(254)에 접촉시켜서 슬라이더(25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250)는 제 3 방향(D3)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250)의 칼날 보지부(256)에는, 커터(258)가 수용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50)의 제 2 방향(D2)과 제 3 방향(D3)을 포함한 외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얼라인먼트 홈(260)이 형성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홈(260)은 대략 W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U자형의 홈이 제 3 방향(D3)을 따라서 2개 나열된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홈(260)으로서, U자 홈이 1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U자 홈이 제 2 방향(D2)을 따라서 병렬되어 있어도 좋다. 슬라이더(250)가 본체부(210)의 개구부(218)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얼라인먼트 홈(260)에는, 개구부(218)로부터 돌출된 2개의 돌기부(246)가 결합된다. 2개의 돌기부(246)는 2개의 U자형의 홈의 각각에 결합 가능하게 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얼라인먼트 홈(260)으로서, U자 홈이 1개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얼라인먼트 홈(260)에 결합되는 돌기부(246)도 1개만으로 좋다. 이와 같이, 얼라인먼트 홈(260)은 제 2 방향(D2)에 있어서, 얼라인먼트 홈(260) 내에서의 1개의 돌기부(246)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중앙부(262)가 양단부(264)보다 하방의 위치(유리섬유(2)로부터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본체부(210)의 지지대(212) 내에 형성되는 광섬유의 절단 횟수 카운터와 절단 정지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는 도 19의 H-H선 일부 단면도이며, 도 25는 도 20의 I-I선 일부 단면도이다.
도 2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대(212)에 형성된 개구부(218) 내에 있어서, 슬라이더(250)와 부스러기 수용부(280) 사이에 개재된 위치에는, 절단 정지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나사 부재(290)가 수용되어 있다. 나사 부재(290)는, 그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292)와, 중앙부에 형성된 기어부(294)와, 기어부(294)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신하는 연신부(296)를 구비하여 있다.
수나사부(292)는 지지대(212)에 형성된 암나사부(219)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나사 부재(290)의 하단은 광섬유 절단기(20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지지대(212)의 암나사부(219)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있다.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50)에는, 제 1 방향(D1)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하는 래치부(259)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294)에는, 기어부(294)의 방사 방향으로부터 약간 경사지게 돌출하도록 복수의 톱니(294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톱니(294A)는 회전 상태에 있어서, 래치부(259)와 각각 접촉 가능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218) 내에 있어서, 래치부(259)가 마련되어 있는 개소와 기어부(294)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는, 스토퍼(218A)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218A)의 일부는, 래치부(259)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이 기어부(294)의 회전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톱니(294A)와 각각 접촉 가능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되는 위치(우단)로부터 제 3 방향(D3)을 따라서 슬라이더(250)가 좌측으로 이동된 경우, 래치부(259)가 복수의 톱니(294A) 중 1개의 톱니(294A)의 예각측의 측면에 접촉하여 톱니(294A)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기어부(294)는 제 4 방향(D4)으로 일정량만큼 회전한다. 이 때, 스토퍼(218A)는 다른 톱니(294A)의 둔각측의 측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스토퍼(218A)가 기어부(294)의 회전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도 25와는 반대로, 슬라이더(250)가 좌단으로부터 제 3 방향(D3)을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 래치부(259)가 1개의 톱니(294A)의 둔각측의 측면에 접촉하고, 스토퍼(218A)가 다른 톱니(294A)의 예각측의 측면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기어부(294)의 제 4 방향(D4)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250)의 제 3 방향(D3)을 따른 왕복 이동에 따라서, 기어부(294)는 일방향(제 4 방향(D4))으로 회전된다.
다음에, 광섬유 절단기(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a 내지 도 29는 도 19 등에 도시되는 광섬유 절단기(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우선,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는 광섬유 절단기(200)의 덮개부(230)를 본체부(210)에 대해서 개방한 상태로 하고 나서, 광섬유를 보지한 홀더를 레일(214) 상에 탑재한다. 광섬유 및 홀더의 도시는 생략한다.
다음에,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는 광섬유 절단기(200)의 덮개부(230)를 본체부(210)에 대해서 개방한다. 이에 의해, 광섬유의 유리섬유가 광섬유 절단기(200)에 보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250)에 지지된 커터(258)는 제 2 방향(D2) 및 제 3 방향(D3)에 있어서 유리섬유(2)와는 이격된 위치에 있다(도 22 참조).
다음에,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는 슬라이더(250)를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얼라인먼트 홈(260)에 결합하여 있는 돌기부(246)가 얼라인먼트 홈(260)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50)는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한다(즉, 소정의 방향 이외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술한 대로, 얼라인먼트 홈(260)은 제 2 방향(D2)에 있어서, 얼라인먼트 홈(260) 내에서의 1개의 돌기부(246)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중앙부(262)가 양단부(264)보다 하방의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저에 의해 슬라이더(25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슬라이더(250)에 가해지면, 돌기부(246)가 얼라인먼트 홈(260)의 양단부(264)로부터 중앙부(262)를 향하는 내리막 경사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슬라이더(250)가 이동된다. 이에 의해, 도 2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50)가 좌측 경사 상방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더(250)에 지지된 커터(258)가 유리섬유(2)에 대해서 하방측(제 2 방향(D2)의 타방향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어서, 더욱 유저에 의해 슬라이더(25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슬라이더(250)에 가해지면, 도 2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부(246)가 얼라인먼트 홈(260) 내를 중앙부(262)를 따라서 이동한 후에 중앙부(262)로부터 양단부(264)를 향하는 오르막 경사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슬라이더(250)가 이동된다. 이에 의해, 도 2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50)가 평행 이동한 후에 좌측 경사 하방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더(250)에 의해 지지된 커터(258)는 유리섬유(2)에 대해서 접촉한 상태로 일정량 이동된 후에 좌측 경사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커터(258)는 유리섬유(2)에 대해서 하방으로 퇴피된다.
다음에, 유저가 덮개부(230)에 마련된 가압 버튼(240B)을 상방측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가압부(240)의 접촉부(240A)가 커터(258)에 의해 상처가 가해진 부분의 유리섬유(2)를 하방측으로 가압하고, 유리섬유(2)를 구부러져서 절단된다. 그리고, 유저는 덮개부(230)를 개방하여, 유리섬유(2)의 선단이 절단된 광섬유가 보지된 홀더(도시되지 않음)를 광섬유 절단기(200)의 레일(214)로부터 취출한다. 또한, 유리섬유(2)의 절단면보다 선단부측의 부분은 부스러기 수용부(280)의 수용 커버(282)에 마련된 개구부(284)로부터 유저가 손가락으로 압입하는 것에 의해, 부스러기 수용부(280) 내에 수용된다.
이상으로, 광섬유 절단기(200)를 이용하여 광섬유(1)의 유리섬유(2)를 절단하는 동작이 종료된다. 또한, 유저가 제 3 방향(D3)의 일방향측으로 이동된 슬라이더(250)를 타방향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음의 광섬유(1)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200)에서는, 슬라이더(250)의 제 3 방향(D3)을 따른 왕복 이동에 의해, 2회의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저가 슬라이더(250)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광섬유의 절단 횟수가 거듭되어 가면, 나사 부재(290)의 기어부(294)가 제 4 방향(D4)(도 25 참조)으로 회전되고, 도 2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나사 부재(290)가 서서히 상방 이동한다. 그러면, 도 2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나사 부재(290)의 상단부면(298)이 솟아올라간다. 지지대(212) 상의 본체부측 보지부(222)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복수의 단차(3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복수의 단차(310)와 나사 부재(290)의 상단부면(298)에 의해 카운터(300)를 구성하여 있다. 각 단차(310)의 옆에는, 광섬유의 나머지 절단 가능 횟수(앞으로 몇 회 광섬유를 절단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횟수)를 나타내는 숫자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25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서서히 솟아오르는 나사 부재(290)의 상단부면(298)과 복수의 단차(310)의 위치 관계를 보고, 유저는 나머지 절단 가능 횟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에 있어서는, 나사 부재(290)의 상단부면(298)은 「0」의 숫자가 마련된 개소의 단차(310)와 대략 면일한 위치에 솟아오르고 있기 때문에, 유저는 광섬유의 나머지 절단 가능 횟수가 거의 「0」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50)의 이동 횟수, 즉, 광섬유의 절단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도 2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방 이동한 나사 부재(290)의 기어부(294)의 상단부면(294B)이, 개구부(218)의 상벽 돌기(218B)에 접촉한다. 나사 부재(290)의 하단측은 수나사부(292)에 의해, 지지대(212)에 형성된 암나사부(219)에 나사 결합하여 있다. 그 때문에,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250)를 제 3 방향(D3)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나사 부재(290)의 기어부(294)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슬라이더(250)도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기어부(294)의 상단부면(294B)이 개구부(218)의 상벽 돌기(218B)에 접촉한 단계에서, 광섬유 절단기(200)는 그 기능(광섬유의 절단)이 정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200)의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250)에 지지된 커터(258)를 제 2 방향(D2)으로부터 제 3 방향(D3)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간편한 구성으로 광섬유에 상처를 부여하여, 광섬유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와 마찬가지로, 저비용으로 제작 가능하고, 또한, 소형화를 실현 가능한 광섬유 절단기(2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200)에 있어서의 얼라인먼트 홈(260)은, 제 2 방향(D2)에 있어서, 1개의 돌기부(246)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중앙부(262)가 양단부(264)보다 하방의 위치(즉, 광섬유로부터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100)가 구비하는 용수철(34)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슬라이더(250)를 부세할 필요가 없고, 용이한 구성으로, 광섬유에의 가상 후에 커터(258)가 광섬유와 간섭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200)는, 커터(258)에 의한 광섬유의 절단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300)와, 광섬유의 절단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된 경우에 슬라이더(250)의 이동을 제한하여, 광섬유의 절단을 정지하는 나사 부재(290)(절단 정지부의 일례)를 구비하여 있다. 이에 의해, 광섬유의 절단 횟수가 일정 이상이 된 경우에는 광섬유의 절단을 정지함으로써, 커터(258)의 소모에 의한 광섬유의 절단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섬유의 절단 횟수가 일정 이상이 된 경우에, 나사 부재(290)에 마련된 기어부(294)의 회전이 정지한다고 하는 간편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더(250)의 제 3 방향(D3)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절단기(200)에 의하면, 나사 부재(290)의 상방 이동에 따라 카운터(300)와 나사 부재(290)의 상단부면(298)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 광섬유의 절단 횟수가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섬유 절단기(200)의 현재의 사용 횟수나 수명을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기(200)에 있어서는, 본체부(210)의 일단부에, 절단 후의 광섬유의 부스러기를 수용 가능한 부스러기 수용부(28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단 후의 광섬유의 파기 부분(부스러기)을 확실히 회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태양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또한, 상기 설명한 구성 부재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수, 위치, 형상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1 : 광섬유 2 : 유리섬유
3 : 절연층 4 : 외피
10, 210 : 본체부 12, 212 : 지지대
14, 214 : 레일 16, 216 : 결합 돌기부
18, 218 : 개구부
20, 22 : 한 쌍의 본체부측 보지부 24 : 가압부(절단 기구의 일례)
24A : 기부 24B : 접촉부
24C : 가압 버튼 28 : 용수철
30, 230 : 덮개부 32, 232 : 덮개부 본체
34 : 용수철 36 : 접속부
38 : 결합 구멍부
40, 42 : 한 쌍의 덮개부측 보지부 44 : 개구부
46 : 돌기부
50, 250 : 슬라이더(이동부의 일례) 52 : 용수철 받침부
54 : 슬라이드 조작부 56 : 슬릿
58, 258 : 커터(칼날 부재의 일례) 60, 260 : 얼라인먼트 홈
62 : 가이드 볼록부 70, 72 : 한 쌍의 보지부
100, 200 : 광섬유 절단기 160 : 홀더
218A : 스토퍼 218B : 상벽 돌기
219 : 암나사부 240 : 가압부
240A : 접촉부 240B : 가압 버튼
254 : 조작부 256 : 칼날 보지부
259 : 래치부 280 : 부스러기 수용부
282 : 수용 커버 290 : 나사 부재
294 : 기어부 300 : 카운터

Claims (16)

  1.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된 광섬유가 탑재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개폐 가능한 덮개부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상기 덮개부가 폐쇄되었을 때에, 서로의 사이에서 상기 광섬유를 보지하는 한 쌍의 보지부와,
    상기 한 쌍의 보지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일방향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접촉하여 상기 광섬유에 상처를 가하는 칼날 부재와,
    상기 칼날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로서, 상기 칼날 부재를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접촉시키고 나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교차하는 제 3 방향의 일방향측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광섬유에 가해진 상기 상처를 진전시켜서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절단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어느 일방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어느 일방과 상기 이동부 중 어느 일방의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을 포함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어느 일방과 상기 이동부 중 어느 타방의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을 포함하는 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에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는 유저 조작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제 2 방향의 타방향측으로 이동되어진 후에 상기 제 3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 이동 가능한
    광섬유 절단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은 상기 칼날 부재의 상기 제 3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의 이동량이 소정 값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칼날 부재를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 퇴피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섬유 절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의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로부터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광섬유 절단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 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광섬유 절단기.
  6.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일방에 마련된 탄성부에 의해 상기 제 3 방향의 타방향측으로 부세되어 있는
    광섬유 절단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 3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를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을 향하는 성분과 상기 제 3 방향의 상기 타방향측을 향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광섬유 절단기.
  8.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얼라인먼트 홈은 제 1 얼라인먼트 홈과, 상기 제 1 얼라인먼트 홈과는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제 3 방향 중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마련된 제 2 얼라인먼트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제 1 얼라인먼트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얼라인먼트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2 돌기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절단기.
  9.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부재에 의한 상기 광섬유의 절단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와,
    상기 절단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광섬유의 절단을 정지하는 절단 정지부를 더 구비하는
    광섬유 절단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하는 래치부를 갖고,
    상기 절단 정지부는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부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절단 정지부를 상기 제 2 방향의 일방향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이동부를 갖고,
    상기 절단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기어부의 회전이 정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광섬유 절단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광섬유의 절단 횟수를 단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상기 카운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 정지부의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향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운터와 상기 절단 정지부의 선단부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절단 횟수가 표시 가능한
    광섬유 절단기.
  12.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부재의 절단연부는 직선 형상인
    광섬유 절단기.
  13.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기구는 상기 칼날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서, 상기 제 2 방향의 타방향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여, 상기 칼날 부재에 의해 상기 상처가 가해진 상기 광섬유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절단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절단기.
  14.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절단 후의 상기 광섬유의 부스러기를 수용 가능한 부스러기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광섬유 절단기.
  15.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에 상기 상처를 가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절단 기구는 상기 칼날 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서, 상기 제 2 방향의 타방향측으로부터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여, 상기 칼날 부재에 의해 상기 상처가 가해진 상기 광섬유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절단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정 후에, 상기 가압부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처를 진전시켜서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제 2 공정을 포함하는
    광섬유 절단 방법.
  16.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섬유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에 상기 상처를 가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 후에, 상기 광섬유를 인장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처를 진전시켜서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는
    광섬유 절단 방법.
KR1020207002840A 2017-12-12 2018-12-11 광섬유 절단기 및 광섬유 절단 방법 KR102393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7521 2017-12-12
JPJP-P-2017-237521 2017-12-12
PCT/JP2018/045492 WO2019117139A1 (ja) 2017-12-12 2018-12-11 光ファイバ切断機、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533A KR20200017533A (ko) 2020-02-18
KR102393459B1 true KR102393459B1 (ko) 2022-05-02

Family

ID=6682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840A KR102393459B1 (ko) 2017-12-12 2018-12-11 광섬유 절단기 및 광섬유 절단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20593B2 (ko)
EP (1) EP3726264B1 (ko)
JP (1) JP7122326B2 (ko)
KR (1) KR102393459B1 (ko)
CN (1) CN111033337B (ko)
ES (1) ES2957333T3 (ko)
WO (1) WO2019117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815406D0 (en) * 2018-09-21 2018-11-07 Oxford Fiber Ltd Optical fibre cleaving to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9594A1 (en) * 2002-08-26 2005-08-04 Ilsin Precision Co., Ltd. Automatic optical-fiber cutter
JP2013218233A (ja) * 2012-04-12 2013-10-24 Sekisui Chem Co Ltd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用カッタ
JP2016514860A (ja) * 2013-04-08 2016-05-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コストの使い捨て光ファイバ切断器、及び光ファイバを切断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6436A (ja) 1992-12-21 1994-07-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心線の自動切断装置
JP3325181B2 (ja) 1996-05-23 2002-09-17 河村電線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US20020064355A1 (en) 2000-11-29 2002-05-30 Ware Scot K. Automatic fiber preparation unit for splicing
JP3877005B2 (ja) * 2004-03-15 2007-02-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4775084B2 (ja) * 2006-04-10 2011-09-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7506567B2 (en) * 2006-11-20 2009-03-24 Zlatan Simokovic Universal window blind trimmer with double camming
JP5084466B2 (ja) * 2007-11-21 2012-11-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用カッター、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用カッターを備えた光ファイバ切断機
AU2010200788B2 (en) 2010-03-02 2015-02-12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cleaving a stripped end section of an optic fibre core
JP5200064B2 (ja) * 2010-06-28 2013-05-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ッタ
JP2012168260A (ja) 2011-02-10 2012-09-06 Star Micronics Co Ltd 光ファイバ切断装置
KR101663067B1 (ko) 2014-10-31 2016-10-07 주식회사 토르그룹 광섬유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9594A1 (en) * 2002-08-26 2005-08-04 Ilsin Precision Co., Ltd. Automatic optical-fiber cutter
JP2013218233A (ja) * 2012-04-12 2013-10-24 Sekisui Chem Co Ltd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用カッタ
JP2016514860A (ja) * 2013-04-08 2016-05-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コストの使い捨て光ファイバ切断器、及び光ファイバを切断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3337B (zh) 2021-08-27
US11320593B2 (en) 2022-05-03
KR20200017533A (ko) 2020-02-18
EP3726264A4 (en) 2021-07-21
EP3726264A1 (en) 2020-10-21
EP3726264B1 (en) 2023-08-23
US20210080652A1 (en) 2021-03-18
JP7122326B2 (ja) 2022-08-19
WO2019117139A1 (ja) 2019-06-20
CN111033337A (zh) 2020-04-17
JPWO2019117139A1 (ja) 2020-12-17
ES2957333T3 (es)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6038B2 (ja) 外科用メス刃用ホルダ
US20030024124A1 (en) Artistic knife with spare blades
EP1864766A1 (en) Safety cutter knife
KR102393459B1 (ko) 광섬유 절단기 및 광섬유 절단 방법
JP2012194465A (ja) 光ファイバカッタ
KR100309122B1 (ko) 절단기
KR101792303B1 (ko) 광 파이버 커터 수납 케이스
US9039316B2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protective element for the retractable tip
US20090094842A1 (en) Device for Opening Envelopes
KR20230150968A (ko) 광 파이버 커터
KR100595833B1 (ko) 줄자
CN215589227U (zh) 实用刀
WO2022011848A1 (zh) 一种光纤切割装置
GB2462658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sliding cover to protect a USB terminal.
JP6385742B2 (ja) 手持ち具
KR200476212Y1 (ko) 엄지칼
KR100562157B1 (ko) 슬라이드형 커터칼
KR200231249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200350387Y1 (ko) 슬라이드형 커터칼
TWI785741B (zh) 美工刀
CN220757332U (zh) 一种边刷装置及清洁机器人
CN217416673U (zh) 尾纤收纳盒
KR20090059178A (ko) 바닥재 마감용 절단칼
CN113001594A (zh) 实用刀
JP3177100U (ja) 爪切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