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12Y1 - 엄지칼 - Google Patents

엄지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12Y1
KR200476212Y1 KR2020140006777U KR20140006777U KR200476212Y1 KR 200476212 Y1 KR200476212 Y1 KR 200476212Y1 KR 2020140006777 U KR2020140006777 U KR 2020140006777U KR 20140006777 U KR20140006777 U KR 20140006777U KR 200476212 Y1 KR200476212 Y1 KR 200476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ressing
present
thumb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진
강서희
김수빈
김영수
김현지
박진영
배지은
성동민
이동훈
이승미
주희영
Original Assignee
안영진
강서희
김수빈
김영수
김현지
박진영
배지은
성동민
이동훈
이승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진, 강서희, 김수빈, 김영수, 김현지, 박진영, 배지은, 성동민, 이동훈, 이승미 filed Critical 안영진
Priority to KR2020140006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나 테이핑 된 박스를 자르기 위해 엄지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엄지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10)와 몸체 가이드부(12)로 이루어지고 엄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면부에 결합장공(22)이 형성되고 일측면부에는 인출공(18)이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수납부(13)가 형성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수납부(13)에 수납되도록 설치되고 좌우로 이동하면서 종이 또는 테이핑된 박스를 자르기 위한 절단날(36)을 구비하는 절단수단(104)과; 상기 몸체부(102)의 결합장공(22)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절단수단(104)을 눌러서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수단(106) 및 상기 몸체부(102)의 좌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수단(106)의 상하이동시 직선 이동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08)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엄지칼{The finger cutter}
본 고안은 엄지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나 테이핑 된 박스를 자르기 위해 엄지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엄지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나 테이핑 된 박스를 자르기 위해서 종래에는 칼 또는 가위를 사용하였는바, 사용하기에 번거로우며, 힘이 들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오이, 호박, 참외, 수박, 고추 등의 농작물의 꼭지를 따기 위해서 사용하기에 쉬우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칼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고안을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나 테이핑 된 박스를 자르기 위한 엄지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손으로 눌러서 압력을 가했을 경우, 절단날이 돌출하고, 압력을 가하지 않으며 탄력부재에 의해 절단날이 들어가도록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종이, 테이프 뿐만 아니라 오이, 호박, 참외, 수박, 고추 등의 농작물의 꼭지를 용이하게 잘라내서 딸 수 있는 엄지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10)와 몸체 가이드부(12)로 이루어지고 엄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면부에 결합장공(22)이 형성되고 일측면부에는 인출공(18)이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수납부(13)가 형성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수납부(13)에 수납되도록 설치되고 좌우로 이동하면서 종이 또는 테이핑된 박스를 자르기 위한 절단날(36)을 구비하는 절단수단(104)과; 상기 몸체부(102)의 결합장공(22)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절단수단(104)을 눌러서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수단(106) 및 상기 몸체부(102)의 좌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수단(106)의 상하이동시 직선 이동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08)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수단(104)은 경사면(26)이 형성된 몸체(24)와, 상기 몸체(24)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삽입홈(34)이 구비된 절단날 지지부(32)와, 상기 절단날 지지부(32)의 삽입홈(34) 내측부에 끼워지는 절단날(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4)의 일측부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13)에 삽입 설치되는 탄력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수단(106)은 상기 몸체부(102)의 수납부(13)에 결합되도록 상부몸체(38)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8)의 하부에 누름면(42)이 형성된 누름몸체(40)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24)의 경사면(26)과 상방향에서 접촉 가압하여서 상기 절단수단(104)의 몸체(24)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날(36)은 톱니형 또는 일자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8)의 좌우측부에는 고정돌기(50)가 형성된 고정바(48)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102)의 좌우측면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엄지칼에 따르면, 종이나 테이핑 된 박스를 손쉽게 자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작업시간이 빠르며, 절단날에 의해 손을 베거나 다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오이, 호박, 참외, 수박, 고추 등의 농작물의 꼭지를 용이하게 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엄지칼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엄지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엄지칼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엄지칼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단수단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고안은, 몸체(10)와 몸체 가이드부(12)로 이루어지고 엄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면부에 결합장공(22)이 형성되고 일측면부에는 인출공(18)이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수납부(13)가 형성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수납부(13)에 수납되도록 설치되고 좌우로 이동하면서 종이 또는 테이핑된 박스를 자르기 위한 절단날(36)을 구비하는 절단수단(104)과; 상기 몸체부(102)의 결합장공(22)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절단수단(104)을 눌러서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수단(106) 및 상기 몸체부(102)의 좌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수단(106)의 상하이동시 직선 이동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08)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수단(104)은 경사면(26)이 형성된 몸체(24)와, 상기 몸체(24)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삽입홈(34)이 구비된 절단날 지지부(32)와, 상기 절단날 지지부(32)의 삽입홈(34) 내측부에 끼워지는 절단날(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4)의 일측부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13)에 삽입 설치되는 탄력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수단(106)은 상기 몸체부(102)의 수납부(13)에 결합되도록 상부몸체(38)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8)의 하부에 누름면(42)이 형성된 누름몸체(40)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24)의 경사면(26)과 상방향에서 접촉 가압하여서 상기 절단수단(104)의 몸체(24)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날(36)은 톱니형 또는 일자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8)의 좌우측부에는 고정돌기(50)가 형성된 고정바(48)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102)의 좌우측면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엄지칼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엄지칼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의 적용이라면 엄지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엄지칼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도 1은 본 고안의 엄지칼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엄지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엄지칼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엄지칼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단수단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우선, 본 고안의 엄지칼(100)은 엄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몸체(10)와 몸체 가이드부(12)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02)의 내측부에 끼워져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전후로 인출입하면서 종이, 테이프, 테이핑된 박스 등을 절단하도록 절단날(36)을 구비한 절단수단(104)과, 상기 절단수단(104)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설치되고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버튼부(44)를 구비하는 누름수단(10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수단(104)를 덮어줌과 동시에 상기 누름수단(106)을 고정하도록 커버(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8)는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좌측부에서 상기 몸체부(102)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누름수단(106)에 의해 상기 절단수단(104)가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몸체부(10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수단(106)은 손으로 눌러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절단수단(104)은 상기 누름수단(106)을 눌러서 몸체부(102)의 바깥으로 인출되고, 누름수단(106)을 놓으면 탄력적으로 복귀하여 몸체부(102)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엄지칼(1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부에는 상기 절단수단(104)이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13)가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연장되어 요(凹)자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가이드부(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와 몸체 가이드부(12)의 사이에 엄지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양측부 바람직하기로는 전후면에는 한 쌍의 오목한 결합홈(11)이 형성되고, 몸체(10)의 좌측면부에는 결합면(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면(14)에는 결합턱(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턱(16)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10)의 좌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턱(16)은 후술되는 상기 커버(108)의 결합면(54)과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몸체(10)의 우측부에는 직사각형상의 인출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공(18)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나, 더 나아가서는 장공,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의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상기 인출공(18)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수단(104)이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좌측 내측부에는 고정돌기(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20)는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더 나아가서는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의 다각형 기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이루어져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좌우 한 쌍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일측부가 개구된 결합장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장공(2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수단(106)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13)에는 절단수단(104)이 수납되는바, 상기 절단수단(104)은 절단날(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날(36)은 탄력부재(30)에 의해 탄력적으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력부재(30)는 그 일측부- 바람직하기로는 좌측부가 고정돌기(28)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그 타측부 - 바람직하기로는 우측부가 고정돌기(20)에 끼워져서 고정되어서 상기 탄력부재(30)가 수납부(13)에 개재되어 상기 절단수단(104)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절단수단(104)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수납부(13)에 삽입되는 몸체(24)와, 상기 몸체(24)의 우측부에 끼워져서 탄력적으로 작용하는 탄력부재(30)와, 상기 몸체(24)의 우측부에 끼워져서 종이 또는 테이프, 테이핑 된 박스 등을 자르기 위한 절단날(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4)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면이 일측부로 경사지도록 절단되어 경사면(26)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24)의 우측면부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고정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28)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한 쌍을 이루도록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28)의 중앙부 사이에는 절단날 지지부(32)가 우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날 지지부(32)의 가운데에는 삽입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34)에는 종이, 테이프, 테이핑 된 박스 또는 호박, 참외, 수박, 고추 등의 농작물의 꼭지를 자를 수 있는 절단날(36)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좌우 한 쌍의 상기 고정돌기(28)에는 탄력부재(30)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탄력부재(30)로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상 즉, 원추형, 장구형, 항아리형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탄력부재(30)의 작용으로 상기 절단수단(104)이 우측방향으로 눌려졌다가 탄력적으로 밀려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즉, 탄력부재(30)가 눌리면서 우측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압축된 스프링의 힘에 의해 다시 좌측방향으로 절단수단(104)의 몸체(24)를 밀어내는 것이다.
상기 절단날(36)은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단부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더 나아가서는 일자형, 원호형, 타원형 등 다양한 칼날의 단부를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절단수단(104)의 상부에는-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24)의 경사면(26)과 접촉되는 상부면에는 상기 누름수단(106)이 결합되는바, 상기 누름수단(106)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누름수단(106)은, 먼저 평판형상의 상부몸체(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38)의 하부에는 누름몸체(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몸체(40)의 하부면에는 일측방형으로 경사지도록 누름면(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면(42)은 상기 몸체(24)의 경사면(26)과 마주하며 접하도록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누름면(42)과 경사면(26)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경사진 기울기를 따라 상호작용하여 미끄럼이동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누름몸체(40)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몸체(24)를 가압하면서 상기 몸체(24)를 우측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누름면(42)과 경사면(24)의 접촉에 따라 원할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38)의 상부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직사각형상의 버튼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44)는 엄지칼(100)을 엄지 손가락에 끼웠을 때, 손쉽게 누를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수단(106)의 버튼부(44)는 상기 몸체부(102)에 형성된 결합장공(22)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상부몸체(38)는 수납부(13)에 수납 설치된다.
상기 누름수단(106)이 상기 몸체부(102)에 결합되면, 상기 누름수단(102)의 좌측부에는 커버(108)가 결합되는바, 상기 커버(108)는 상기 몸체부(102)의 좌측부에 대응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커버몸체(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몸체(46)의 좌우측부에는 돌출된 아암(arm)형상의 한 쌍의 마주보는 고정바(4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고정바(48)의 안쪽에는 고정돌기(50)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50)는 전술된 몸체부(102)의 몸체(10)에 형성된 결합홈(11)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커버(108)를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48)의 우측부에는 결합턱(5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턱(52)의 내측부에는 결합면(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버몸체(48)의 내측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격판(56)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부로 수납부를 형성하여 각각 상부의 제 1수납부(58) 및 하부의 제 2수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커버몸체(48)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합장공(22)과 마주보도록 결합장공(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장공(62)에는 상기 누름수단(106)의 버튼부(44)가 결합된다.
전술된 상기 제 1수납부(58)에는 누름수단(106)이 눌려졌을 때, 상부몸체(4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되어 진다.
상기 격판(58)은 상기 누름몸체(40)의 좌측면부에 접촉되고, 상기 누름몸체(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누름몸체(4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엄지칼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우선, 몸체부(102)의 수납부(13)에 절단수단(104)이 수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단수단(104)의 상부에는 누름수단(106)이 접촉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102)의 좌측부에는 커버(108)가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단수단(104)은 절단날(36)이 몸체부(102)의 내측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누름수단(106)에 의해 상방향에서 가압되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절단날(36)이 종이 또는 테이핑된 박스 등을 자를 수 있도록 인출된다.
상기 누름수단(106)은 하부에 형성된 누름몸체(40)의 누름면(42)이 상기 몸체(24)의 경사면(26)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누름면(42)이 상기 경사면(26)을 상방향에서 눌러서 상기 절단날(36)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력부재(30)는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진다.
한편, 몸체부(102)와 결합되는 커버(108)는 상기 결합턱(52)이 몸체(10)의 결합면(14)과 접촉되고, 상기 몸체(10)의 결합턱(16)은 결합면(54)와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절단수단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절단수단(105)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수납부(13)에 삽입되는 몸체(24)와, 상기 몸체(24)의 우측부에 끼워져서 탄력적으로 작용하는 탄력부재(30)와, 상기 몸체(24)의 우측부에 끼워져서 종이 또는 테이프, 테이핑 된 박스 등을 자르기 위한 절단날(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4)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면이 일측부로 경사지도록 절단되어 경사면(26)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24)의 우측면부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고정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28)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한 쌍을 이루도록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28)의 중앙부 사이에는 절단날 지지부(32)가 우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날 지지부(32)의 가운데에는 삽입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34)에는 종이, 테이프, 테이핑 된 박스 또는 호박, 참외, 수박, 고추 등의 농작물의 꼭지를 자를 수 있는 절단날(36)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단날(36)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커터날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칼날의 형상은 일자형, 톱니형, 경사형 등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그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34)에 자유롭게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탈착이 자유롭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엄지칼(100)의 몸체(10)와 몸체 가이드부(12) 사이에 엄지 손가락을 넣고 끼워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서술된 본 고안의 엄지칼(100)의 구성에 따라 그 동작 및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엄지손 가락을 상기 몸체(10)와 몸체 가이드부(12) 사이에 끼우고, 상기 누름수단(106)의 버튼부(44)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른다.
상기 버튼부(44)를 누르면, 상기 누름수단(106)이 하향 이동하고, 누름면(42)과 가압 접촉되는 경사면(26)이 우측방향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상기 절단수단(108)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절단수단(108)이 상기 탄력부재(30)를 가압하면서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절단수단(108)의 이동에 따라 절단날(36)이 인출공(18)을 통해 돌출되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단날(36)을 인출하여 사용한 후, 상기 버튼부(44)를 놓으면 가압된 상기 탄력부재(30)의 반발력에 의해 인출공(18)을 통해서 수납부(13)의 내측으로 복귀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결합홈
12 : 몸체 가이드부 14, 54 : 결합면
16, 52 : 결합턱 18 : 인출공
20,28 : 고정돌기 22,62 : 결합장공
24 : 몸체 26 : 경사면
30 : 탄력부재 32 : 끼움 고정부
34 : 절단날 지지부 36 : 절단날
38 : 상부몸체 40 : 누름몸체
42 : 누름면 44 : 버튼부
46 : 커버몸체 48 : 고정바
50 : 고정돌기 56 : 격판
58 : 제 1수납부 60 : 제 2수납부
62 : 결합장공
100 : 엄지칼 102 : 몸체부
104 : 절단수단 106 : 누름수단
108 : 커버

Claims (7)

  1. 몸체(10)와 몸체 가이드부(12)로 이루어지고 엄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면부에 결합장공(22)이 형성되고 일측면부에는 인출공(18)이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수납부(13)가 형성되는 몸체부(102)와;
    상기 몸체부(102)의 수납부(13)에 수납되도록 설치되고 좌우로 이동하면서 종이 또는 테이핑된 박스를 자르기 위한 절단날(36)을 구비하는 몸체(24)로 이루어지는 절단수단(104)과;
    상기 몸체부(102)의 결합장공(22)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절단수단(104)을 눌러서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수단(106); 및
    상기 몸체부(102)의 좌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수단(106)의 상하이동시 직선 이동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08)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108)의 내측부에는 상기 누름수단(106)을 지지하는 격판(5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104)은 경사면(26)이 형성된 몸체(24)와, 상기 몸체(24)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삽입홈(34)이 구비된 절단날 지지부(32)와, 상기 절단날 지지부(32)의 삽입홈(34) 내측부에 끼워지는 절단날(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4)의 일측부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13)에 삽입 설치되는 탄력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106)은 상기 몸체부(102)의 수납부(13)에 결합되도록 상부몸체(38)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8)의 하부에 누름면(42)이 형성된 누름몸체(40)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24)의 경사면(26)과 상방향에서 접촉 가압하여서 상기 절단수단(104)의 몸체(24)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36)은 톱니형 또는 일자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8)의 좌우측부에는 고정돌기(50)가 형성된 고정바(48)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102)의 좌우측면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칼.
KR2020140006777U 2014-09-17 2014-09-17 엄지칼 KR200476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77U KR200476212Y1 (ko) 2014-09-17 2014-09-17 엄지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77U KR200476212Y1 (ko) 2014-09-17 2014-09-17 엄지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12Y1 true KR200476212Y1 (ko) 2015-02-09

Family

ID=5259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777U KR200476212Y1 (ko) 2014-09-17 2014-09-17 엄지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979B1 (ko) 2017-11-15 2019-03-29 주식회사 제이링 손가락 커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260Y1 (ko) * 2007-01-19 2007-11-19 윤재영 반지칼
KR20140064429A (ko) * 2012-11-20 2014-05-28 이영화 골무형 안전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260Y1 (ko) * 2007-01-19 2007-11-19 윤재영 반지칼
KR20140064429A (ko) * 2012-11-20 2014-05-28 이영화 골무형 안전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979B1 (ko) 2017-11-15 2019-03-29 주식회사 제이링 손가락 커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0482B1 (en) Box cutter with retractable blade
US20050015996A1 (en) Automatically loadable and blade-stabilizing utility knife
KR200476212Y1 (ko) 엄지칼
KR102393459B1 (ko) 광섬유 절단기 및 광섬유 절단 방법
US20160288343A1 (en) Box cutter structure
US20160136825A1 (en) Multi-locking utility cutter
KR101585879B1 (ko) 가이드가 구비된 가위
JP2007305349A (ja) カバー付スイッチ及びスイッチ用カバー
KR101663391B1 (ko) 다기능 사무용 칼
KR200231249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EP2919066B1 (en) Lens cap
CN214870723U (zh) 一种折叠刀
KR101601910B1 (ko)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TWI785741B (zh) 美工刀
JP2004331334A (ja) 引き出し式かくし刃片付きテープホルダー
CN113001594B (zh) 实用刀
KR200473213Y1 (ko) 사무용 칼
JP3097780U (ja) 引き出し式かくし刃片付きテープホルダー
KR101929740B1 (ko) 커터 칼
KR20170114373A (ko) 다용도 커터칼
JP2016011463A (ja) 作業用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面取付け構造
JP2023134404A (ja) カッター組立体
JP2016007467A (ja) 手持ち具
KR101695919B1 (ko) 안전 커터날을 구비한 문구용 커터
CN109291080A (zh) 一种防划破手的美工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