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13Y1 - 사무용 칼 - Google Patents

사무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13Y1
KR200473213Y1 KR2020120009905U KR20120009905U KR200473213Y1 KR 200473213 Y1 KR200473213 Y1 KR 200473213Y1 KR 2020120009905 U KR2020120009905 U KR 2020120009905U KR 20120009905 U KR20120009905 U KR 20120009905U KR 200473213 Y1 KR200473213 Y1 KR 200473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roove
inner space
cut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726U (ko
Inventor
김한수
정다한
서호찬
Original Assignee
김한수
서호찬
정다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수, 서호찬, 정다한 filed Critical 김한수
Priority to KR2020120009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1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2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segmented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 홈(12)이 형성되며 양단 부위가 개구되는 본체(10)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단선(22)이 구비되는 칼날(20)과, 상기 칼날(20)의 하측 부위와 결합되어 칼날을 이동시키는 밀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무용 칼로서, 내부 공간(122)과, 일측 부위가 상기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122)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 홈(126)과, 상기 관통 홈(126)의 타측 부위와 연통되며 상기 관통 홈(126)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는 단차 홈(128)과, 일측 부위는 개구되고 타측 부위는 상기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칼날 가이드 홈(124)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일 측 개구부에 삽입되는 지지부(120)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 부위에는 경사면(142)이 마련되고, 누름 면(144)이 형성되는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부(120)의 외부로 노출되며, 중간 부위 일측 외주 면에는 상기 단차 홈(126)의 내주 면에 밀착되는 걸림 단(146)이 구비되는 절단부(140)와; 상기 단차 홈(128)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절단부(14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60)로; 구성되는 칼날 절단기(100)가 구비되는 사무용 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무용 칼{A cutter for office work}
본 고안은 사무용 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 홈이 형성되며 양단 부위가 개구되는 본체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단선이 구비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의 하측 부위와 결합되어 칼날을 이동시키는 밀대, 그리고 본체의 일 측에 칼날 절단기가 구비되는 사무용 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커터라 불리는 사무용 칼은, 도 4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일 측면에 길이 방향의 절개 홈이 형성되는 본체(20)와, 밀대(34)에 의해 본체(20) 내부에서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는 칼날(32), 그리고 본체(20)의 일 측 단부에 장착되는 칼날 절단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 시에는 밀대(34)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운동시켜 칼날(32)을 본체(20) 외부로 필요한 길이만큼 노출시켜 사용하고, 칼날(32)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밀대(34)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운동시켜 칼날(32)을 본체(20) 내부에 넣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데, 잦은 사용으로 인해 칼날이 무디어지면 일 측 단부에서부터 절단 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분리 절단함으로써 칼날(32)의 끝단 부위를 항상 예리한 상태로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무용 칼에서 칼날(32)의 절단은, 칼날 절단기(5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 홈(도면 미도시)에 칼날의 일 단부를 삽입하여 칼날 절단기(50)를 단단히 잡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칼날을 일 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꺾어 분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절단된 칼날 일부가 외부로 강하게 튕겨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6786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 없이 칼날의 끝단 부위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구조의 사무용 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 홈(12)이 형성되며 양단 부위가 개구되는 본체(10)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단선(22)이 구비되는 칼날(20)과, 상기 칼날(20)의 하측 부위와 결합되어 칼날을 이동시키는 밀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무용 칼로서, 내부 공간(122)과, 일측 부위가 상기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122)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 홈(126)과, 상기 관통 홈(126)의 타측 부위와 연통되며 상기 관통 홈(126)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는 단차 홈(128)과, 일측 부위는 개구되고 타측 부위는 상기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되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는 타측 부위는 상기 관통 홈(126)의 일측 부위와 접하도록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칼날 가이드 홈(124)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일 측 개구부에 삽입되는 지지부(120)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 부위가 상기 관통 홈(126)을 통해 내부 공간(122)으로 돌출되되 상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칼날 가이드 홈(124)을 통해 내부 공간(122)으로 삽입되는 칼날(20)의 일면과 예각으로 접하면서 칼날의 상측 부위를 절단선에 따라 절단하도록 경사면(142)이 마련되고, 누름 면(144)이 형성되는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부(120)의 외부로 노출되며, 중간 부위 일측 외주 면에는 상기 단차 홈(126)의 내주 면에 밀착되는 걸림 단(146)이 구비되는 절단부(140)와; 상기 단차 홈(128)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절단부(14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60)로; 구성되는 칼날 절단기(100)가 구비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절단이 필요한 칼날의 단부 부위를 비스듬하게 위치시킨 다음, 칼날의 위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절단부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칼날의 단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칼날의 절단을 외부와 격리된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절단된 칼날 조각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칼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칼에 있어서 칼날 절단기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칼날 절단기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4는 종래 사무용 칼의 일 구성도.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칼에 있어서 칼날 절단기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체(10)와, 칼날(20)과 밀대(30), 그리고 칼날 절단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10)는 칼날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때,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며, 그 양단 부위(14, 16)는 개방된다. 또한,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 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 홈(12)의 양측에는 연속하는 복수 개의 요철(13)이 형성된다.
상기 칼날(20)은 일정한 폭을 이루는 스트립 구조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절단 선(22)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칼날(20)은 본체(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위치하며, 그 단부는 밀대(30)의 작용으로 본체(10)의 일 측 단부(14)를 통해 출몰한다.
상기 밀대(30)는 칼날(20)을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시키는 부분으로서, 칼날(20)의 하측 부위와 결합된다. 밀대(3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 각각에는 본체(10)의 요철(13)에 대응하는 돌출단(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밀대(30)의 외부 표면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한 복수 개의 요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칼날 절단기(100)는 칼날(20)의 단부를 절단하기 위하여 본체(10)의 타 측 단부에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120)와, 절단부(140)와, 탄성부(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일정 형상의 공간(122)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는 칼날 가이드 홈(124)과 관통 홈(126)이 각각 구비된다. 지지부(120)의 일 측에는 삽입단(125)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단(125)이 본체(10)의 타 측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6)에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단 및 개구부의 구성은 관련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칼날 가이드 홈(124)은 칼날(20)이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일측 부위는 개구되고 타측 부위는 내부 공간(122)과 연통된다. 특히,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는 타측 부위는 관통 홈(126)의 일측 부위와 접하도록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날 가이드 홈(124)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내부 공간(122)의 일 측면 역시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 홈(126)은 절단부(140)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 하는 부분으로서, 일측 부위는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어 이 내부 공간(122)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타측 부위는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관통 홈(126)의 축 상에는 단차 홈(128)이 구비된다. 상기 단차 홈(128)은 관통 홈(126)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넓은 체적을 가지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140)는 전체적으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 단부 부위가 상기 관통 홈(126)을 통해 내부 공간(122)으로 돌출되며, 타측 단부는 지지부(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내부 공간(122)으로 돌출되는 절단부의 일측 단부에는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일정 각도의 경사면(142)이 마련된다. 이 경사면(142)은 도 3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칼날 가이드 홈(124)을 통해 내부 공간(122)으로 삽입되는 칼날(20)의 일면과 예각(θ)으로 접하면서 칼날의 상측 부위를 절단선에 따라 절단하게 된다. 외부로 노출되는 타측 단부에는 누름 면(144)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 면(144)에는 마찰력 증진을 위해 복수 개의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단부(140)의 중간 부위 일 측 외주 면에는 걸림 단(146)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 단(146)은 절단부(140)가 관통 홈(126)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기능하는 부분으로서, 단차 홈(128)의 내주 면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단(146)은 구체적으로 환형의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160)는 절단부(140)에 적절한 복원력을 제공해주는 부분으로서, 단차 홈(128) 내부에 장착되며, 구체적으로는 걸림 단(146)과 단차 홈(128) 사이 공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16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동을 전술한 구성요소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잦은 사용으로 인해 칼날(20)의 끝단 부위가 무디어지면 칼날 절단기(10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밀대(30)를 전진시켜 칼날(20)의 무디어진 끝단 부위를 포함하는 일부를 본체(10) 일 측 개구부(12) 외부로 노출시킨다.
칼날(20)의 끝단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면, 칼날의 단부 부위를 칼날 절단기(100)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한 다음, 칼날을 칼날 가이드 홈(124)을 따라 계속 밀어넣어 그 상측 단부 부위가 내부 공간(122)까지 이르도록 한다. 칼날(20)이 칼날 가이드 홈(124)을 지나 내부 공간(122)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진입하면(①), 내부 공간(122)으로 돌출되어 있던 절단부(140)의 절단 면(142)은 칼날(20)의 일면과 예각 θ로 접하면서, 진입하는 칼날(20)의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들어간다(②). 이때 칼날(20)에 작용하는 외력은 절단부(140)에 작용하는 탄성부(160)의 복원력보다 커야 함은 물론이다.
칼날(20)의 단부 부위가 내부 공간(122)에 적절하게 진입하게 되면, 칼날(2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절단부(140)의 누름 면(144)을 가압한다.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절단부(140)의 경사 면(142)은 내부 공간(122)에 비스듬하게 경사져 위치하고 있던 칼날(20)의 상측 단부 부위와 예각 θ로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력이 계속 작용하면, 비스듬한 상태로 내부 공간(122)에 위치하고 있던 칼날(20)의 상측 단부 부위는 절단선(22)을 따라 절단된다(③). 절단이 완료되면 누름 면(144)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고, 절단된 칼날 조각을 내부 공간(122)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다음, 칼날 절단기(100)를 본체(10)에 다시 삽입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절단 작업이 완료된다.
즉, 내부 공간(122)에 위치하고 있던 칼날(20)의 위치 각도와 반대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경사 면(142)을 이용함으로써, 무디어진 칼날의 단부 부위를 보다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내부 공간(122)을 이용하여 절단된 칼날의 조각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칼날 조각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칼날
30 : 밀대 100 : 칼날 절단기

Claims (1)

  1.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 홈(12)이 형성되며 양단 부위가 개구되는 본체(10)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단선(22)이 구비되는 칼날(20)과, 상기 칼날(20)의 하측 부위와 결합되어 칼날을 이동시키는 밀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무용 칼로서,
    내부 공간(122)과, 일측 부위가 상기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122)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 홈(126)과, 상기 관통 홈(126)의 타측 부위와 연통되며 상기 관통 홈(126)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는 단차 홈(128)과, 일측 부위는 개구되고 타측 부위는 상기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되 내부 공간(122)과 연통되는 타측 부위는 상기 관통 홈(126)의 일측 부위와 접하도록 일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칼날 가이드 홈(124)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일 측 개구부에 삽입되는 지지부(120)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 부위가 상기 관통 홈(126)을 통해 내부 공간(122)으로 돌출되되 상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칼날 가이드 홈(124)을 통해 내부 공간(122)으로 삽입되는 칼날(20)의 일면과 예각으로 접하면서 칼날의 상측 부위를 절단선에 따라 절단하도록 경사면(142)이 마련되고, 누름 면(144)이 형성되는 타측 단부는 상기 지지부(120)의 외부로 노출되며, 중간 부위 일측 외주 면에는 상기 단차 홈(126)의 내주 면에 밀착되는 걸림 단(146)이 구비되는 절단부(140)와;
    상기 단차 홈(128)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절단부(14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60)로; 구성되는 칼날 절단기(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칼.
KR2020120009905U 2012-10-31 2012-10-31 사무용 칼 KR200473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05U KR200473213Y1 (ko) 2012-10-31 2012-10-31 사무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05U KR200473213Y1 (ko) 2012-10-31 2012-10-31 사무용 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26U KR20140002726U (ko) 2014-05-09
KR200473213Y1 true KR200473213Y1 (ko) 2014-06-19

Family

ID=5149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905U KR200473213Y1 (ko) 2012-10-31 2012-10-31 사무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398B1 (ko) * 2018-03-15 2018-12-03 김병철 안전성이 강화된 커터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118A (ja) 2004-06-01 2005-12-15 Toru Yagyu 刃物用具及び刃物
KR20080003092U (ko) * 2007-01-31 2008-08-05 우재신 칼날절단장치가 구비된 커터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118A (ja) 2004-06-01 2005-12-15 Toru Yagyu 刃物用具及び刃物
KR20080003092U (ko) * 2007-01-31 2008-08-05 우재신 칼날절단장치가 구비된 커터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26U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3163A (zh) 具有可调式刀片的毛发修剪器刀片组
JP2007144196A (ja) カッタ
US20110302785A1 (en) Automatic POP-UP Cigar Cutter
JP2014033963A (ja) 2方向から押圧可能なスライダーを有するカッター及びカッター用スライダー
ES321830A1 (es) Un aparato para cortar un alambre y para recalcar al extremo cortado del alambre un casquillo electrico de seccion esencialmente en pup.
KR200473213Y1 (ko) 사무용 칼
TW200500029A (en) Nail clipper
US20140250700A1 (en) Aluminum can puncturing device
KR20070025302A (ko) 안전 커터칼
CN201216167Y (zh) 自动手握式雪茄刀
CA2515799C (en) An improved nail restrainer and a nailing machine equipped with said restrainer
CN106584126A (zh) 一种带料剪切打点装置
US2343953A (en) Hand compression tool for dies and cutters
CN211137236U (zh) 多功能刀
KR101350392B1 (ko) 손톱 깎기
CN103103700B (zh) 一种剪线切带装置
CN201456026U (zh) 内置式刀片锁紧装置
CN214136125U (zh) 一种美工刀的推手
KR100717084B1 (ko) 휴대용 금긋기 공구
CN210791071U (zh) 一种美工刀的刀匣定位固定装置
CN215789997U (zh) 一种美工刀
CN218946069U (zh) 一种冲切模具的冲针组件
CN208906521U (zh) 一种带夹角定位剪切刀具
CN212044831U (zh) 一种多用刀
CN220051924U (zh) 一种方便更换刀片的美工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