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643A - 고체 연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고체 연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643A
KR20010040643A KR1020007008515A KR20007008515A KR20010040643A KR 20010040643 A KR20010040643 A KR 20010040643A KR 1020007008515 A KR1020007008515 A KR 1020007008515A KR 20007008515 A KR20007008515 A KR 20007008515A KR 20010040643 A KR20010040643 A KR 20010040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fuel
weight
additive composition
fuel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코프클라우스페터
베르크리스토프
쉬반하랄드
포셀트디트마르
Original Assignee
요헨 카르크, 안드레아스 비베르바흐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헨 카르크, 안드레아스 비베르바흐,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요헨 카르크, 안드레아스 비베르바흐
Publication of KR2001004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6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43Organic compounds mixtures of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10L10/06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acilitating soot remov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중에서 가용성인 고형 압축제 및 1 종 이상의 액체 연료 첨가제의 균질 혼합물을 포함하며, 첨가제 함량이 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40 중량% 이상∼99 중량%인 고형 또는 페이스트형 연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체 연료 첨가제{SOLID FUEL ADDITIVE}
가솔린 엔진의 카뷰레터 및 흡입 계통 뿐 아니라, 가솔린 및 디이젤 엔진에서의 연료 계측을 위한 분사 계통은 불순물로 인해서 그 오염이 점차로 증가된다. 이러한 불순물은 엔진에 의해 흡입된 공기, 연소실로부터의 미연소 탄화수소 잔류물 및 카뷰레터로 유입된 크랭크 케이스 배기 가스로부터의 분진 입자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잔류물은 아이들링 동안 공기/연료비를 이동시키고, 부분 부하를 낮은 범위로 이동시키므로써 혼합물이 더욱 농축되고 연소가 더욱 불완전하게 된다. 그 결과, 배기 기체 및 가솔린 연소 중의 미연소되거나 또는 부분 연소된 탄화수소의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밸브 및 카뷰레터 또는 분사 계통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연료 첨가제는 전술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참고 문헌[M. Rossenbeck, Katalysatoren, Tenside, Mineraloladditive, 편저 J. Falbe 및 U. Hasserodt, 223 페이지, G. Thieme Verlag, 스튜트가르트 1978]. 이러한 세정 첨가제의 작용 유형 및 바람직한 부위에 따라서, 첨가제 유형을 2 세대의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세대 첨가제로는 존재하는 부착물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흡입 계통 내의 부착물의 형성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반대로, 제2세대 첨가제는 부착물을 방지하고 제거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청결 유지 효과 및 청소 효과 모두를 지닌다. 특히, 이는 비교적 고온의 영역 내에서, 특히 흡입 밸브에서 열 안정성이 우수하게 된다.
각종 유형의 화학적 물질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이러한 세제는 일반적으로 담체 오일 및, 필요할 경우, 예를 들면 부식 방지제 및 해유화제와 같은 첨가제 성분과의 조합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액체 첨가제 배합물을 적절한 계측 장치에 의해 이들의 작용이 나타나는 연료에 첨가한다. 그러나, 연료의 저장 및 유통에서는 액체 연료 첨가제에 대한 적절한 계측 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연료 중에 용해되는 고형의 연료 첨가제가 존재하므로써 유용하게 된다. 이들은 기술적 복잡성 및 고 비용 문제를 안고 있는 계측 장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액체 첨가제에 비해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DE-A-44 31 409호에는 연료 공급 라인에서 직접 계측 가능한 펌프를 사용하는 연료 첨가제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페이스트는 첨가제 함량이 약 5∼35 중량%가 되며, 오일, 지방 및/또는 왁스 10∼60 중량% 및 틱크너,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1∼10 중량%를 함유한다. 이러한 연료 첨가제 배합물의 단점으로는 페이스트형 생성물의 취급 특성이 불량하고, 페이스트를 연료로 계측하는데 따른 기술적 복잡성을 들 수 있다.
CA-A-2,143,140호에는 내연 기관용 고체 첨가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체 배합물은 다공의 고형 연료 가용성 담체, 바람직하게는 나프탈렌계 담체상에서 액체 첨가제를 흡착시키고, 첨가제의 흡착후 담체의 공극을 폐쇄시키므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고형 첨가제의 단점은 이의 제조 방법이 불편하다는 점이다. 또한,이의 추가의 단점으로는 사용된 나프탈렌 펠릿의 흡착도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펠릿 1.6 g은 통상적으로 이의 부피의 1/3에 해당하는 첨가제의 양만을 흡수할 수 있다.
US-A-4,639,255호에는 각종 고체 연료 첨가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의 명세서에 기재된 제1의 실시태양에 의하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첨가제 함량이 약 25∼약 75 중량%인 펠릿화 첨가제 배합물이 제공되어 있다. 첨가제는 연료 분산 가능한 압축제, 예를 들면 파라핀 왁스 중에 함유되며, 첨가제 펠릿은 이의 표면에서 실링된다. 바람직한 첨가제의 예로는 분자량이 약 700∼약 1100이고, 설폰산으로 추가로 탈활성화되는, 1 종 이상의 식물성 오일 및 폴리에틸렌이민의 반응 생성물인 수소화 폴리부텐 등이 있다. 또한, US-A-4,639,255호에는 압축제로서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나프탈렌 또는 승화가 용이한 두렌(1,2,4,5-테트라메틸벤젠)을 약 50∼95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고체 연료 첨가제 배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압축제 이외에도, 추가의 고형 첨가제 배합물은 융점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질제로서 장쇄 알콜을 함유한다. 또다른 고형 첨가제 배합물은 첨가제 함량이 5∼40 중량%이고 첨가제 펠릿은 발포 파라핀 왁스의 코팅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US-A-4,639,255호에는 발포 담체를 포함하는 첨가제 배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고형 첨가제 배합물 모두는 이의 첨가제 함량과 관련하여 및/또는 이들의 비교적 복잡한 공정으로 인해서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US-A-4,639,255호에는 미피복 배합물 중의 첨가제 함량이 40 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10∼30 중량%, 특히 약 15∼25 중량%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지적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연료용 고형 또는 페이스트형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가제 함량이 높고 제조 공정이 단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또는 페이스트형 연료 첨가제 배합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고농축 고형 또는 페이스트형 세정 첨가제 배합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놀랍게도 표준의 온도 및 압력 조건하에서 특히 가솔린 연료에 사용할 수 있는 비유동성의 고형 또는 페이스트형의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써 달성되며, 이는 연료 중에서의 가용성 또는 분산성의 고형 압축제 및 1 종 이상의 액체 연료 첨가제의 균일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조성물은 첨가제 함량이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약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0∼95 중량%, 예를 들면 약 60∼90 중량% 또는 약 75∼90 중량%가 된다.
신규한 첨가제 조성물은 이의 첨가제 함량이 높음으로 인해서 실질적으로 개선된 성능을 나타내는 잇점을 갖는다. 또한, 이들은 예를 들면 상온에서 고형인 압축제의 용융물에 첨가제(들)를 배합하고, 이 혼합물을 균질화시키고, 필요할 경우, 이를 냉각시키고, 적절한 방법으로 이를 제조하므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이는 압축제를 발포시킬 필요도 없고 또한 예를 들면 펠릿을 생성하도록 처리한 고형 배합물을 표면 처리할 필요도 없다. 신규한 배합물은 펌프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들을 연료에 첨가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또한, 이들의 사용량은 조절이 더욱 용이하고, 첨가제 함유 생성물의 점도 요건도 충족이 용이하다.
고체, 액체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응집물의 상태와 관련하여서는 약 20℃ 및 약 1 atm 의 압력과 같은 표준의 온도 및 압력 조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를 참조한다.
신규한 고형 또는 페이스트형 조성물은 융점 또는 그 범위가 약 25℃∼95℃, 바람직하게는 약 30℃∼90℃, 특히 약 35℃∼70℃, 예를 들면 약 35℃∼50℃가 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언급된 첨가제의 함량은 압축제를 제외한 각각의 배합물에 대한 모든 성분의 함량의 총합이 된다.
상 경계 또는 분리 영역이 신규한 고형물 중에서 육안으로 검출되지 않는한 균일한 조성물이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신규한 조성물은 첨가제 주성분으로서 세정 첨가제 1 종 이상을 함유한다. 특히, 흡입 밸브 중의 부착물의 형성을 방지하고, 이미 형성되어 있는 부착물을 제거를 동시에 하는 첨가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첨가제는 청결 유지 효과 및 세정 효과 모두를 갖는다.
본 발명에 적합한 첨가제는 폴리에테르아민, 예컨대 폴리-C2-C6알킬렌옥시아민 및 폴리알켄아민, 예컨대 폴리-C2-C6알켄아민 및 이의 작용성 유도체로부터 선택된다. 세정 첨가제는 폴리이소부텐아민 및 이의 작용성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의 폴리이소부텐 부분은 열 분해 반응 또는 촉매 분해 반응으로부터 통상적으로 얻으며, 이는 예를 들면 양이온 중합 반응에 의해 이소부텐 함량이 높게 된다. 또한, 폴리이소부텐 부분은 예를 들면 양이온 중합 반응에 의해 n-부텐 및 i-부텐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여기서 n-부텐:i-부텐의 몰비는 예를 들면 1:20∼20:1, 특히 1:10∼10:1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폴리이소부텐 부분은 예를 들면 양이온 중합 반응에 의해 거의 순수한 i-부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이는 중합된 형태 중의 i-부텐의 약 100% 단위를 함유한다. 상기의 폴리알킬렌아민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이른바 반응성 폴리알킬렌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말단의 이중 결합의 함량이 약 ≥50% 또는 ≥70% 또는 ≥90% 정도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용성 유도체는 세정 첨가제의 세정 효과와 완전히 동일한 농도 또는 강도를 지닐 필요는 없으나, 정성적으로 유사한 세정 효과를 지니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세정 첨가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세정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그자체로서 공지되어 있다. 폴리이소부텐아민은 예를 들면 EP-A-0,244,616호 및 EP-A-0,578,323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적합한 추가의 세정 첨가제는 예를 들면 EP-A-0,277,345, EP-A-0,356,725, EP-A-0,476,485, EP-A-0,484,736, EP-A-0,539,821, EP-A-0,543,225, EP-A-0,548,617, EP-A-0,561,214, EP-A-0,567,810 및 EP-A-0,568,873; 독일 특허 출원 DE-A-39 42 860, DE-A-43 09 074, DE-A-43 09 271, DE-A-43 13 088, DE-A-44 12 489, DE-A-0 44 25 834, DE-A-195 25 938, DE-A-196 06 845, DE-A-196 06 846, DE-A-196 15 404, DE-A-196 06 844, DE-A-196 16 569, DE-A-196 18 270 및 DE-A-196 15 349, 및 WO-A-96/03479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독일 루드빅스하펜에 소재하는 바스프 아게에서 등록상표 Kerocom PIBA로 시판하는 액체 세정 첨가제가 유용하다. 이는 지방족 C10-C14탄수화물 중에 용해된 폴리이소부텐아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세정 첨가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 폴리이소부텐아민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수평균 분자량 Mn이 약 150∼약 5,000 g/mol, 바람직하게는 약 500∼약 2,000 g/mol, 특히 약 800∼약 1500 g/mol이다.
세정 첨가제, 예를 들면 폴리이소부텐아민 및 이의 작용성 유도체의 함량은 신규한 조성물 중에 함유된 첨가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0∼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특히 4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약 45∼70 중량%가 된다. 세정 첨가제 성분이 이와 같은 함량으로 존재하는 경우, 용어 조성물의 첨가제 주성분을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한다.
세정 첨가제는 고형 또는 페이스트형 첨가제 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15∼30 중량% 이상, 예컨대 약 40∼99 중량% 또는 50∼95 중량% 또는 60∼90 중량% 또는 75∼90 중량%가 될 수 있다.
세정 첨가제 이외에도, 추가의 통상의 연료 첨가제 및 기타의 첨가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예컨대 부식 방지제, 해유화제 및 염료 등이 존재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담체 오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사용 가능한 담체 오일 또는 담체 액체의 예로는 사용된 첨가제(들) 및 연료와 혼화성을 갖는 무기 담체 오일, 합성 담체 오일 및 이의 혼합물 등이 있다. 적합한 무기 담체 오일로는 방향족 탄화수소, 파라핀계 탄화수소 및 알콕시알칸올 뿐 아니라, 등유 또는 나프타, Brightstock 또는, 점도가 SN 500-900인 광유와 같은 광유 처리시에 얻은 유분이 있다.
적합한 합성 담체 오일의 예로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알콕실레이트 및 특히 지방족 폴리에테르, 지방족 폴리에테르아민, 알킬페놀 개시된 폴리에테르, 알킬페놀 개시된 폴리에테르아민 등이 있다. 적합한 담체 오일계는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하는 문헌 DE-A-38 38 918, DE-A-38 26 608, DE-A-41 42 241, DE-A-43 09 074, US-A-4,877,416 및 EP-A-0,452,328호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적합한 담체 오일의 예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옥시드, n-부틸렌 옥시드 및 이소부틸렌 옥시드 단위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C3-C6알킬렌 옥시드 단위 약 15∼30 개, 예를 들면 약 20∼25 개를 포함하는 알콜 개시된 폴리에테르 등이 있다.
신규한 조성물 중에 함유된 통상의 첨가제 혼합물은 예를 들면
a) 1 종 이상의 폴리이소부텐아민 또는 이의 1 종의 작용성 유도체 약 2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0∼80 중량%,
b) 예를 들면 약 15∼30, 예를 들면 약 20∼25 개의 C3-C6알킬렌 옥시드 단위, 예를 들면 프로필렌 옥시드, n-부틸렌 옥시드 또는 이소부틸렌 옥시드 단위 또는 이의 혼합물 및/또는 1 종 이상의 광유계 담체 오일로 이루어진 1 종 이상의 합성 담체 액체, 예를 들면 알킬페놀 개시된 폴리에테르 약 2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0∼40 중량%,
c) 상기 a)와는 상이한 전술한 유형의 추가의 첨가제 1 종 이상 0∼약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4 중량%를 포함하며, 전술한 중량은 압축제에 첨가된 성분 a), b) 및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적절한 첨가제 혼합물은 예를 들면 비점이 약 120℃ 이상, 예를 들면 150℃ 또는 180℃이고, 밀도(15℃, DIN 51757)는 약 0.8∼0.9 g/㎤, 점도(20℃, DIN 51562)는 약 50∼20 ㎟/s, 예를 들면 약 70∼160 ㎟/s이다. 이러한 첨가제 혼합물은 등록상표 Keropur 3222, 3131 및 ES 3401로 시판되는 제품이 있다.
신규한 첨가제의 제조에 사용된 압축제는 연료 가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융점 또는 연화점은 생성된 조성물의 해당 수치보다 높은, 예를 들면 약 30℃∼100℃, 바람직하게는 약 30℃∼90℃, 특히 40℃∼70℃이다. 특히, 압축제는 연료 가용성 (a) 천연 왁스, 예를 들면 석유 왁스, 특히 파라핀 왁스 및 바셀린; (b) 화학적 개질된 왁스, 예를 들면 경질 왁스, 및 (c) 합성 왁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왁스 및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텐으로부터 선택된다[참조 문헌: Ullmann's Encyc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 3판, Vol. 18, 262 페이지 이하 참조]. 적합한 연료 가용성 왁스의 예로는 US-A-4,639,255호에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상기 압축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압축제는 사용된 연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연료 용해도가 약 10% 이하이다.
신규한 연료 첨가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압축제는 연화 온도로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지하며, 연료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 및 필요할 경우 담체 오일을 교반하면서 첨가하며, 교반은 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될 때까지 지속한다. 액체 혼합물이 고화되도록 한다. 또한, 혼련 또는 용융 압출에 의해 압축제에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생성된 조성물은 압출 또는 펠릿화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조성물은 필 또는 분말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펠릿 또는 필의 캡슐화가 가능하나, 필수 사항은 아니다.
신규한 첨가제 조성물은 탱커 트럭에 직접 첨가한 후 특정의 기술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연료에 첨가할 수 있다. 계측 유닛, 예를 들면 펠릿은 세정 첨가제 농도가 약 20∼5000, 예를 들면 약 400∼900 ㎎/㎏ 연료가 되도록 하기 위한 필수 함량으로 첨가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밀도 측정은 DIN 51757에 의해 수행되며, 점도 측정은 DIN 51562에 의해 수행된다.
실시예 1
고체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a) 가솔린 연료용 통상의 첨가제 조성물(등록상표 Keropur 3222)[비점: 〉165℃, 밀도(15℃)=0.865 g/㎖, 점도(20℃)=120 ㎟/s, 25 중량%의 폴리이소부텐아민, Mn=1000, 세정제로서]을 용융된 통상의 경질 파라핀(융점=55℃) 함량의 절반과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균질화시킨 후,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파라핀을 다시 고화시킨 후, 첨가제를 캡슐화시켰다. 생성된 고체 연료 첨가제는 통상의 연료 중에 가용성을 지닌다.
b) 첨가제 및 경질 파라핀을 1:1의 비율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a)를 반복하였다. 연료 중에서 가용성인 고체 연료 첨가제 조성물을 마찬가지로 얻었다.
실시예 2
고체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폴리이소부텐아민(Mn=1000) 80 g을 혼련기(워너 앤 플라이더러의 200 ㎖ 들이 혼련기) 중에서 동량의 경질 파라핀(융점=55℃)와 함께 1 시간 동안 20℃에서 혼련하였다.
이 처리 단계 이후, 세정제는 고체 형태(융점 35℃∼40℃)로 존재하였다.
실시예 3
고체 첨가제 배합물의 세정 효과 측정
신규한 고체 연료 첨가제를 흡입 밸브 클리너로서 이의 적합성에 대하여 테스트하였으며, 엔진 테스트는 CEC F-04-A-87에 의한 Opel Kadett 엔진을 사용하여 테스트 베드 시험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1b)에 의해 제조한 첨가제는 연료 1 ㎏당 Keropur 600 ㎎의 함량에 해당하는 함량으로 통상의 가솔린 연료에 첨가하였다.
첨가제 사용량(㎎/㎏) 흡입 밸브 부착물(㎎/밸브)
1 2 3 4
기본값 - 510 277 250 467
실시예 1b)에 의한고체 가솔린 연료 첨가제 1200 6 7 9 45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흡입 밸브 부착물은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기본값에 비해서 상당히 감소되었다.
실시예 4∼8
실시예 1의 실험 방법을 기초로 하여 추가의 신규한 첨가제 제제를 제조하였으며, 융점 양상, 연료 가용해도 및 블리딩(bleeding)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측정한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측정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신규한 고농도의 안정한 첨가제 배합물은 액체 연료 첨가제로부터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첨가제 첨가제:파라핀혼합비5) PIBA7)(중량부) 컨시스턴시(20℃) 융점(℃) 블리딩6)(20℃) 용해도4)(중량%) 실시예
Keropur ES 34011) 2:1 16.5 고형 35∼40 없음 10 4
4:1 20 페이스트형 35∼40 없음 10 5
Keropur 32222) 2:1 16.5 고형 35∼40 없음 10 1a
4:1 20 페이스트형 35∼40 없음 10 6
Keropur 31313) 2:1 16.5 고형 35∼40 없음 10 7
4:1 20 페이스트형 35∼40 없음 10 8
1)담체 광유 조성물 중의 PIBA(Mn=1000) 25 중량%를 함유하는 액체 가솔린 연료 첨가제, 비점 〉150℃, 밀도(15℃)=0.86 g/㎤, 점도(20℃)=160 ㎟/s2)담체 광유 및 합성 폴리에테르 담체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담체 오일 조성물 중의 PIBA(Mn=1000) 25 중량%를 함유하는 액체 가솔린 연료 첨가제.3)합성 폴리에테르계 담체 오일 혼합물 중의 PIBA(Mn=1000) 25 중량%를 함유하는 액체 가솔린 연료 첨가제, 비점 〉180℃, 밀도(15℃)=0.87 g/㎤, 점도(20℃)=70 ㎟/s4)20℃의 가솔린 연료 중에서 측정함5)통상의 경질 파라핀; 융점=55℃6)육안으로 검출함7)폴리이소부틸렌아민, Mn=1000

Claims (10)

  1. 연료 중에 가용성인 고형의 압축제 및 1 종 이상의 액체 연료 첨가제의 균질 혼합물을 포함하며, 첨가제 함량이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40 이상∼약 99 중량%이고, 표준의 온도 및 압력 조건하에서 고형 또는 페이스트형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약 25℃∼95℃ 범위내에서 용융되는 것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아민 및 폴리알켄아민으로부터, 특히 폴리이소부텐아민 및 이의 작용성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한 세정 첨가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세정 첨가제의 함량은 조성물 중에 함유된 첨가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0∼약 100 중량%인 것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부식 방지제, 해유화제 및 염료, 필요할 경우 1 종 이상의 담체 오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압축제는 융점이 약 30℃∼100℃인 것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압축제는 연료 가용성 천연 왁스, 화학적 개질된 왁스 및 합성 왁스, 특히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텐 및 바셀린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8. a) 1 이상의 폴리이소부텐아민 약 20∼80 중량%,
    b) 1 종 이상의 합성 담체 액체 또는 1 종의 광유계 담체 오일 약 20∼80 중량%,
    c) 1 종 이상의 추가의 첨가제 약 0∼5 중량%를 포함하는 첨가제 혼합물을 함유하며, 각 성분의 함량은 압축제에 첨가된 성분 a), b) 및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Mn이 약 150∼5000인 폴리이소부텐아민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형물, 바람직하게는 미피복된 사용량 단위로 생성되는 것인 연료 첨가제 조성물.
KR1020007008515A 1998-02-06 1999-02-05 고체 연료 첨가제 KR20010040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4756A DE19804756A1 (de) 1998-02-06 1998-02-06 Feste Kraftstoffadditive
DE19804756.8 1998-02-06
PCT/EP1999/000778 WO1999040166A1 (de) 1998-02-06 1999-02-05 Feste kraftstoffadditi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643A true KR20010040643A (ko) 2001-05-15

Family

ID=785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515A KR20010040643A (ko) 1998-02-06 1999-02-05 고체 연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312480B1 (ko)
EP (1) EP1051462B1 (ko)
JP (1) JP2002502910A (ko)
KR (1) KR20010040643A (ko)
AT (1) ATE243245T1 (ko)
AU (1) AU754706B2 (ko)
BR (1) BR9910386A (ko)
CA (1) CA2319526A1 (ko)
DE (2) DE19804756A1 (ko)
EE (1) EE04197B1 (ko)
ES (1) ES2203066T3 (ko)
HU (1) HUP0102107A3 (ko)
IL (1) IL137400A (ko)
NO (1) NO20003935D0 (ko)
NZ (1) NZ505969A (ko)
PL (1) PL342230A1 (ko)
SK (1) SK11112000A3 (ko)
TR (1) TR200002269T2 (ko)
WO (1) WO1999040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4432A (ja) * 2004-06-11 2008-02-14 ハネウェ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自動車用添加剤組成物
US20060229215A1 (en) * 2005-03-29 2006-10-12 Burrington James D Solid additive compostion and method thereof
CA2642263A1 (en) * 2006-02-15 2007-08-23 David J. Chaiko Polymer composites, polymer nanocomposites and methods
US20090000186A1 (en) * 2007-06-28 2009-01-01 James Kenneth Sanders Nano-sized metal and metal oxide particles for more complete fuel combustion
US8182555B2 (en) * 2009-03-31 2012-05-22 James Kenneth Sanders Nano-sized zinc oxide particles for fuel
US8182554B2 (en) * 2009-03-31 2012-05-22 James Kenneth Sanders Fuels for cold start conditions
US8545577B2 (en) * 2009-03-31 2013-10-01 James K. And Mary A. Sanders Family Llc Catalyst component for aviation and jet fuels
US8377290B2 (en) * 2009-03-31 2013-02-19 James K. and Mary A. Sanders Family L.L.C. Low sulfur fuels
JP6254609B2 (ja) 2012-12-27 2017-12-27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esloten Vennootshap 組成物
US9315754B2 (en) 2012-12-27 2016-04-19 Shell Oil Company Compositions
US10800988B2 (en) * 2014-09-30 2020-10-13 Sicpa Holding Sa Method for liquid authentication by detection of flavonoid derivatives
MX2021014590A (es) 2019-05-30 2022-01-11 Ecolab Usa Inc Sistema de dispensacion para transferir productos quimicos a un ensamblaje de cesta coladora.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255A (en) * 1980-01-15 1987-01-27 Phillips Petroleum Company Solid form additives and method of forming same
IT1206306B (it) * 1980-02-22 1989-04-14 Giudice Maria Assunta Complesso solido con additivo per carburanti.
US4515740A (en) * 1980-10-16 1985-05-07 Phillips Petroleum Company Method of forming solid form fuel additives
IT1156129B (it) * 1982-12-02 1987-01-28 Anic Spa Composti chimici da impiegare come supporti solidi di additivi per carburanti
FR2557587B1 (fr) * 1984-01-04 1986-10-17 Polaroil Sa Additif pour hydrocarbur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utilisation pour abaisser la temperature limite de filtrabilite des fueloils et gasoils
DE4128381A1 (de) * 1991-08-27 1993-03-04 Mobil Oil Deutschland Vergaser kraftstoff additiv
GB9318908D0 (en) 1993-09-13 1993-10-2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Additive concentrate for use with gasolines
DE4431409A1 (de) * 1994-09-02 1996-05-15 Svendborg Dampskibs As Pumpfähige Paste zur Additivierung flüssiger Kraftstoffe
DE4434603A1 (de) 1994-09-28 1996-04-04 Basf Ag Als Kraft- und Schmierstoffadditiv geeignete Mischung aus Aminen, Kohlenwasserstoffpolymeren und Trägerölen
CA2143140A1 (en) 1995-02-22 1996-08-23 Roger Paradis Solid fuel additiv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0002269T2 (tr) 2000-12-21
ATE243245T1 (de) 2003-07-15
DE59905998D1 (de) 2003-07-24
EE200000457A (et) 2001-12-17
HUP0102107A3 (en) 2002-02-28
HUP0102107A2 (hu) 2001-09-28
AU754706B2 (en) 2002-11-21
NZ505969A (en) 2003-01-31
CA2319526A1 (en) 1999-08-12
IL137400A (en) 2004-02-08
PL342230A1 (en) 2001-06-04
NO20003935L (no) 2000-08-03
BR9910386A (pt) 2001-01-16
EP1051462A1 (de) 2000-11-15
NO20003935D0 (no) 2000-08-03
WO1999040166A1 (de) 1999-08-12
US6312480B1 (en) 2001-11-06
IL137400A0 (en) 2001-07-24
JP2002502910A (ja) 2002-01-29
DE19804756A1 (de) 1999-08-12
ES2203066T3 (es) 2004-04-01
EE04197B1 (et) 2003-12-15
SK11112000A3 (sk) 2001-04-09
AU2522499A (en) 1999-08-23
EP1051462B1 (de)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6424B2 (en) Fuel composition
DE102007004887B4 (de) Kraftstoffzusammensetzungen, die Kohlenwasserstoffölträger umfassen, und Verfahren zu ihrer Verwendung
CA2306709C (en) Polymeric fuel additiv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fuel containing the additive
KR101320732B1 (ko) 연료 조성물
KR20010040643A (ko) 고체 연료 첨가제
KR100727363B1 (ko) 점성이 개선되고 ivd 성능이 우수한 내연 기관의연료용 연료 첨가제 조성물
JP3830510B2 (ja) 脂肪族アミン、ポリオレフィン及び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モノオールを含有する燃料添加剤組成物
DE102006033242A1 (de) Mannich-Detergenzien für Kohlenwasserstofftreibstoffe
BR102020001943A2 (pt) método de redução de depósitos em injetor de combustível, e, concentrado de aditivo de combustível
MXPA00007248A (en) Solid fuel additive
CZ20002847A3 (cs) Aditivní prostředek
WO2005121285A2 (en) Biodiesel motor fuel additive composition
JPS59549B2 (ja) 微粉炭−油混合物用添加剤
JP5048329B2 (ja) ガソリン組成物
US6514297B1 (en) Detergents for use in preventing formation of iron complexes in hydrocarbon fuels
JPS5951986A (ja) 微粉炭−油混合物用添加剤
JPS63165488A (ja) 微粉炭−油混合物用添加剤
MXPA00003795A (en) Polymeric fuel additiv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fuel containing the additive
JPS63179997A (ja) 微粉炭−油混合物用添加剤
JPS63254194A (ja) 微粉炭−油混合物用添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