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454A - 부품 배치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454A
KR20010040454A KR1020007008291A KR20007008291A KR20010040454A KR 20010040454 A KR20010040454 A KR 20010040454A KR 1020007008291 A KR1020007008291 A KR 1020007008291A KR 20007008291 A KR20007008291 A KR 20007008291A KR 20010040454 A KR20010040454 A KR 2001004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lacement
head
receiving means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222B1 (ko
Inventor
존 마이클 로우
Original Assignee
존 마이클 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마이클 로우 filed Critical 존 마이클 로우
Publication of KR2001004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52Mounting machines or li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tools for guiding different components to the same mounting pla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78Simultaneously mounting of different components
    • H05K13/0482Simultaneously mounting of different components using templates; using magazines, the configuration of which corresponds to the sites on the boards where the components have to be attach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31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by utilizing optical sight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1Means to apply vacuum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Die Bond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부품배치장치(1)는 프린트 회로기판(4)의 위치조절을 위한 지지테이블(3)을 가지는 부품배치 스테이션(2)을 포함한다. 세 개의 운반용 판(7a,b,c)은 부품배치장치(1) 주위로 주기운동한다. 판(7a)는 선택-배치헤드(9)가 장착되는 헤드마운트(8)를 지나간다. 헤드마운트(8)는 수직평면상을 상하운동하며 판(7a)은 선택-배치헤드(9) 아래쪽에서 수평면상을 움직인다. 마이크로칩이나 다른 부품(11)들을 운반하는 테잎(10)은 롤러(12) 위에서 판(7a)과 같은 방향으로 수평면 상에서 움직인다. 판(7a,b,c)은 관통하는 구멍(13)들이 있으며, 부품(11)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4)를 가진다. 선택-배치헤드(9)는 판(7a)이 헤드마운트(8)를 지날 때 구멍(13)을 통하여 상하운동하며, 헤드(9)는 테잎(10)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려 판(7a) 위로 들어올린다. 판(7a)이 계속 움직임에 따라 헤드(9)는 다시 하강하고 부품(11)을 오목부(14)에 내려놓는다. 부품들은 판(7a) 상의 구멍을 통하여 진공효과를 사용해 위치에 고정된다. 판(7a)은 프린트 회로기판(4) 시트(sheet)상에 부품을 위치시키도록 움직인다.

Description

부품 배치 장치{COMPONENT PLACEMENT APPARATUS}
프린트 회로기판위에 마이크로칩과 같은 부품을 장착하는 종래기술에 의한 장치는 부품운반수단(component carrying means)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려, 프린트기판상의 부품의 장착위치로 선택-배치헤드(pick and place head)을 이동시켜 프린트 기판상에 부품을 장착한다. 이 방법은 선택-배치헤드의 위치를 부품운반수단과 프린트 회로기판상에 상당히 정확히 위치시켜야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매우 느리다.
종래기술에 의한 부품배치장치의 문제점은 정확하고 충분히 빠른 속도로 작동되지 못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부품배치장치와 관련되며, 특히 프린트 회로기판상에 마이크로칩을 장착하는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아래에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배치장치의 도식적 투시도;
도 2 는 도 1의 부품배치장치에서의 도식적 부분상세도;
도 3 은 도 2의 부품배치장치에서의 도식적 부분상세도; 그리고
도 4 는 도 3의 부품배치장치에서의 도식적 부분 측면상세도.
* 도면부호설명
1 ... 부품배치장치 2 ... 부품배치 스테이션
3 ... 지지테이블 4 ... 프린트 회로기판
5 ... 수송수단 6 ... 광학적 정렬장치
7a,b,c ... 운반용 판 8 ... 헤드 마운트(head mount)
9 ... 선택-배치헤드 10 ... 테잎(tape)
11 ... 부품 12 ... 롤러(roller)
13,16 ... 구멍 14 ... 오목부
15 ... 테이퍼 측면 17 ... 상부판
18 ... 스테인레스 스틸층 19 ... 알루미늄층
20 ... 기저층
본 발명에 의한 부품배치장치는
부품운반수단(component carrying means)과;
부품수용수단(component receiving means)과; 그리고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려 부품수용수단 상에 장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가지는 헤드마운트(head mount)를 포함하며;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움직일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은 픽업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가로지르는 평면상을 움직일 수 있으며;
부품수용수단은 장착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가로지르는 평면상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배치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배치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을 왕복운동할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 운동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부품운반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첫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며, 부품수용수단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두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두 번째 평면은 첫 번째 평면보다 헤드마운트에 보다 가깝게 놓이며; 그리고
부품수용수단은 내부에 구멍을 가지며, 선택-배치헤드는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려 구멍을 통하여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배치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 운동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첫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위치하며,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두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고, 첫 번째 평면은 두 번째 평면보다 헤드마운트에 보다 가깝게 놓이며; 그리고
부품운반수단은 구멍을 가져 이 구멍을 통하여 선택-배치헤드가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리고 이 구멍을 지나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거나 혹은 부품운반수단은 선택-배치헤드와 부품이 일렬로 정렬되는 첫 번째 위치와, 선택-배치헤드가 첫 번째 위치에서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리고 그 부품을 부품수용수단 상에 배치하는 선택-배치헤드와 일렬이 아닌 두 번째 위치로부터 움직인다.
본 발명에 따른 세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선택-배치헤드가 부품을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집어 올릴 수 있는 첫 번째 픽업위치로 헤드를 움직이기 위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헤드마운트는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는 두 번째 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회전한다.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픽업위치와 배치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배치헤드의 위치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 선호된다.
적어도 하나의 선택-배치헤드의 운동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부품운반수단을 움직이기 위한 장치가 있는 것이 좋다. 부품운반수단을 움직이기 위한 장치로는 롤러가 유리하다. 두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부품운반수단을 지그재그나 사인형태로 앞과 옆으로 움직이기 위한 장치는 나선형 롤러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부품운반수단은 로타리드럼(rotary drum)이 사용될 수 있다.
부품수용수단은 운반용 판(carrier plate)을 포함하고, 부품을 운반용 판으로부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프린트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장치는 운반용 판을 프린트 회로기판 상에서 역행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운반용 판은 판상에 부품을 유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운반용 판상에 부품을 유지하는 장치는 판상에 많은 구멍을 포함하며, 부품들이 여기에 위치하여 구멍들을 통하여 진공을 만들어 줌으로써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좋다. 진공장치는 운반용 판하부에 진공장치판을 부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한 진공장치판은 부품들이 놓여지는 표면상에 많은 오목부(indentation)를 가지는 것이 좋다. 만약 진공장치가 운반용 판상의 부품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면, 오목부의 바닥에 구멍을 갖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선택-배치헤드가 관통하는 부품수용수단의 구멍은 부품수용수단의 움직임에 대하여 오목부 전단에 위치한다. 선택-배치헤드는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리기 위해 구멍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움직이며, 부품을 구멍을 통해 들어올리고 오목부내에서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시킨다. 오목부는 약간의 어긋난 정렬을 수정하기 위해 테이퍼(taper) 형태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운반용 판은 상부판과 기저판 두 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부판은 많은 둥근 구멍을 가지며 윗면은 식각된 구멍이 있는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알루미늄판이 선호되고, 식각된 구멍은 둥근구멍과 일치한다; 식각과정은 이 구멍들이 칩을 위치시키고 정렬시키는 테이퍼 벽을 자동적으로 형성하게 한다. 기저판은 진공펌프를 상부판의 구멍에 연결하는 도관(channel)을 포함한다.
부품수용수단은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리기 위하여 선택-배치헤드가 관통하는 그러한 구멍을 가지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프린트 회로기판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멍을 통해 부품을 들어올려 직접 프린트 회로기판 상에 배치한다.
헤드마운트는 여러 개의 선택-배치헤드를 지지하는 것이 선호된다. 헤드마운트의 운동은 수직평면 상에서 왕복운동 하는 것이 유리하다.
부품운반수단은 보통 부품들이 장착되는 테잎을 포함한다. 테잎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수평인 평면상에서 평행하게 움직이는 것이 좋다. 테잎은 항상 동일 속도로 운동하지만, 일부 장치에서는 다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부품운반수단은 부품들이 장착되는 시트(sheet)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품운반수단은 다른 어떠한 적절한 프리젠테이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부품수용수단은 부품운반수단과 같은 방향으로 동일속도 혹은 다른 낮은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부품수용수단은 부품운반수단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의 운동은 수치화 되는 것이 좋다. 이들의 운동은 스텝모터나 유사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부품수용수단이 로딩(loading)되고 부품을 놓기 위해 움직일 때, 부품운반수단은 다음 부품수용수단이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움직일 준비가 될 때까지 멈추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크린 인쇄 스테이션(screen printing station)과 부품배치 스테이션을 가지는 스크린 인쇄겸 부품배치 장치를 제공하며, 부품배치 스테이션은;
여러개의 선택-배치헤드를 가지는 헤드마운트와;
부품운반수단과; 그리고
부품수용수단;을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를 포함하고,
선택-배치헤드는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리도록 배열되고,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며: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선택-배치헤드를 작동하기 위해 움직일 수 있고;
부품운반수단은 픽업위치에서 선택-배치헤드를 가로지르는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그리고
부품수용수단은 배치위치에서 선택-배치헤드를 가로지르는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스크린 인쇄겸 부품배치장치를 제공하며: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의 운동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고;
부품운반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첫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위치하고,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두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위치하며, 두 번째 평면은 첫 번째 평면보다 헤드마운트에 더 가까이 있고; 그리고
부품수용수단은 구멍들을 가지며,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올리기 위하여 선택-배치헤드가 이 구멍을 관통해 지나갈 수 있고, 구멍을 통해 부품을 들어올려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실시예는 스크린 인쇄겸 부품배치장치를 제공하며:
헤드마운트는 단일 평면상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고,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의 운동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첫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고,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두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며, 첫 번째 평면은 두 번째 평면보다 헤드마운트에 보다 가까이 있고; 그리고
부품운반수단은 구멍을 가져 이 구멍을 통하여 선택-배치헤드가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리고 이 구멍을 지나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거나 혹은 부품운반수단은 선택-배치헤드와 부품이 일렬로 정렬되는 첫 번째 위치와, 선택-배치헤드가 첫 번째 위치에서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리고 그 부품을 부품수용수단 상에 배치하는 선택-배치헤드와 일렬이 아닌 두 번째 위치로부터 움직인다.
본 발명에 의한 세 번째 실시예는 스크린 인쇄겸 부품배치장치를 제공하며,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선택-배치헤드가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리는 첫 번째 픽업위치로 선택-배치헤드를 움직이기 위해 회전할 수 있고, 헤드마운트는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는 두 번째 위치로 선택-배치헤드를 움직이기 위해 회전한다.
부품운반수단은 세 개의 운반용 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부품배치장치를 통하여 하나의 판은 로딩되고, 다른 하나는 부품들을 프린트 회로기판에 전달하기 위해 역행하며, 다른 하나는 다시 로딩을 위해 되돌아 오는 사이클 과정을 거치는 것이 유리하며; 로딩된 판은 이전판이 부품을 프린트 회로기판에 전달하자마자 바로 부품을 회로보드에 전달하도록 세 개의 판이 싸이클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보다나은 효율을 만들 수 있다면 세 개 이상의 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운반용 판 자신들은 스크린 인쇄스테이션에서 스크린 인쇄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생산된 프린트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배치장치(1)는 프린트 회로기판(4)의 시트(sheet) 위치조정을 위한 지지테이블(support table,3)을 가지는 부품배치스테이션(2)을 포함하며, 프린트 회로기판(4)은 보통 스크린 프린트 스테이션(도시안됨)에서 스크린 인쇄되고 수송수단(5)에 의해 지지테이블(3)로 옮겨진다. 전도성 접착제는 부품배치장치(1)에 의해 프린트 회로기판(4) 상에 장착될 마이크로칩 혹은 다른 부품들의 배치를 위하여 스크린 인쇄 스테이션 중의 하나에서 프린트 회로기판(4)상에 놓여진다. EP-A-0574459에 기술된 바와 같은 광학적 정렬장치(6)는 지지테이블(3)상에서 프린트 회로기판(4)의 위치를 체크한다.
운반용 판(7a,7b,7c)들은 부품배치장치(1) 주변을 주기 운동한다. 판 7a는 선택-배치헤드(9)가 장착되는 헤드마운트(8)를 지나 운동한다. 헤드마운트(8)는 수직평면상을 상하운동하며 판 7a는 수평면상에서 선택-배치헤드(9) 아래에서 움직인다. 마이크로칩이나 혹은 다른 부품(11)들을 운반하는 테잎(10)들은 판 7a와 같은 방향으로 보다 빠른 속도로 수평면 상에서 롤러(12) 위를 움직인다. 판 7a,7b,7c와 테잎(10)은 편리하게 색인화(indexed) 되어 있다.
판 7a,7b,7c는 부품(11)을 받기위한 오목부(14)와 판을 통하는 구멍(13)들을 가진다. 도 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배치헤드(9)는 헤드마운트(8)에 의하여 상하여 움직이며 판 7a가 헤드마운트(8)를 통과할 때 구멍(13)을 통하여 아래로 내려간다. 선택-배치헤드(9)는 테잎(10)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려 판 7a 위로 들어올린다. 판 7a가 계속 움직임에 따라 선택-배치헤드(9)는 다시 하강하고 오목부(14)에 부품(11)들을 내려놓는다. 선택-배치헤드(9)는 구멍(13)을 통과하느냐 혹은 오목부에 부품(11)을 놓느냐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상하운동 한다. 헤드마운트(8)에 스프링이나 탄성체(도시안됨)를 사용한 선택-배치헤드(9)의 장착은 헤드(9)와 부품(11)이 잠재적으로 손상을 주는 압력을 받지 않도록 확실히 해준다.
선택-배치헤드(9)는 진공을 사용해 부품(11)을 고정한다. 종래기술로 알려진 진공장치(도시안됨)는 헤드마운트(8)에 부착되고 헤드(9)가 부품(11)을 픽업하도록 작동되며 헤드(9)가 부품(11)을 놓아주기 위해 작동을 멈춘다.
도 3과 4에 보다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4)는 테이퍼 측면(15)과 기저에 구멍(16)을 갖는다. 구멍(16)은 판(7a)이 움직일 때 오목부(14)에서 부품(11)을 고정하기 위한 진공장치(도시안됨)와 연결되어 있다. 판(7a)은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층(19)과 부착된, 식각된 오목부(14)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스틸층(18)을 포함하는 상부판(17)을 가진다. 판(7a)은 또한 진공장치(도시안됨)와 구멍을 연결하는 도관(도시안됨)을 포함하는 기저층(20)을 가진다.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4)의 테이퍼측면(15)은 부품(11)이 오목부(14) 안에 정확히 미끄러져 위치하도록 하여준다.
도 1을 재 참조하면, 필요한 개수의 부품(11)이 오목부(14)에 위치하였을 때 진공장치는 부품을 고정하기 위하여 판(7a)의 기저층(20)을 통과하여 작동된다. 판(7a)은 헤드마운트(8)를 지나서 운동을 멈추며, 프린트 회로기판(4) 위의 판(7b)에 의하여 도시된 위치로 역행한다. 광학적 정렬장치(6)는 프린트 회로기판(4)에 대하여 판(7b)의 위치를 수정하며, 판(7b)은 프린트 회로기판(4) 위로 내려오고, 진공은 해제되어 부품(11)이 판(7b)에 놓여지고 기판(4)위에 전도성 접착제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제 비어진 판(7b)은 판 7a에 의하여 보여진 바와 같은 헤드마운트(8) 아래로 지날 수 있는 위치로부터 판 7c에 보여진 다시 역행한 위치로 옮겨진다. 프린트회로기판(4)은 화살표(21) 방향으로 부품배치 스테이션(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움직이며, 다음 프린트 회로기판(4) 시트가 스크린 인쇄스테이션으로부터 들어오게 된다.
단지 상하운동을 하는 선택-배치헤드(9)를 사용하고, 판(7)을 프린트 회로기판(4)으로 역행시키며 다시 로딩 되도록 판(7)을 되돌려 부품(11)을 배치하는 운반용 판(7)의 로딩사이클은 빠르고 정확하게 부품을 프린트 회로기판에 배치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에 의한 장치들의 많은 문제점을 극복해준다.
도 1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크린 인쇄스테이션과 부품배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완전한 스크린 인쇄겸 부품배치장치는 단일장치에 있어서 회로기판의 스크린 인쇄와 빠르고 정확한 부품배치를 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Claims (36)

  1. 부품배치장치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선택-배치헤드를 가지는 헤드마운트와;
    부품운반수단; 그리고
    부품수용수단을 포함하며,
    최소한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는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려 부품수용수단 위에 부품을 배치시키도록 장착되며,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최소한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움직이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은 픽업위치에서 최소한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가로지르는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부품수용수단은 배치위치에서 최소한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가로지르는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의 운동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부품운반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첫 번째 평면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고,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두 번째 평면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며, 두 번째 평면은 첫 번째 평면보다 헤드마운트에 보다 가까이 놓여있고; 그리고
    부품수용수단은 구멍을 가지며, 선택-배치헤드는 이 구멍을 통하여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리기 위해 통과하고 다시 구멍을 통해 부품을 들어올리며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배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의 운동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부품운반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첫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고,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두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며, 첫 번째 평면은 두 번째 평면보다 헤드마운트에 보다 가까이 있고; 그리고
    부품운반수단은 구멍을 가져 이 구멍을 통하여 선택-배치헤드가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리고 이 구멍을 지나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거나 혹은 부품운반수단은 선택-배치헤드와 부품이 일렬로 정렬되는 첫 번째 위치와, 선택-배치헤드가 첫 번째 위치에서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리고 그 부품을 부품수용수단 상에 배치하는 선택-배치헤드와 일렬이 아닌 두 번째 위치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배치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헤드마운트의 왕복운동은 수직평면상에 존재하는 부품배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릴 수 있는 첫 번째 픽업위치에 선택-배치헤드를 놓기 위하여 단일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선택-배치헤드가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는 두 번째 배치위치로 선택-배치헤드를 움직이기 위해 회전할 수 있는 부품배치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부품을 들어 올리는 위치와 배치하는 위치에서 최소한 하나의 선택-배치헤드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부품배치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운반수단을 최소한 하나의 선택-배치수단의 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수단이 있는 부품배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부품운반수단을 움직이는 수단은 롤러를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9. 제 4 항에 종속되는 제 7 항 혹은 제 8 항에 있어서, 부품운반수단을 움직이기 위한 수단은 부품운반수단을 지그재그나 사인경로로 앞과 옆으로 움직이기 위한 나선형 롤러를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부품운반수단은 로타리 드럼(rotary drum)을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수용수단은 운반용 판을 포함하며, 상기 운반용 판으로부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프린트 회로기판으로 부품을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12. 부품이 전달되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 상의 원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한 표면에 많은 오목부를 가지는 운반용 판과 상기 오목부에 부품을 배치시키는 장치와 상기 운반용 판으로부터 서브스트레이트로 부품을 전달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운반용 판은 부품이 배치되는 한 표면에 많은 오목부를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14. 제 12 항 혹은 제 13 항에 있어서 오목부는 약간의 비정렬(misalignment)을 허용하기 위해 테이퍼(taper) 형태인 부품배치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용 판을 프린트 회로기판 위에서 역행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용 판은 부품을 운반용 판 상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부품을 운반용 판에 고정하는 수단은 판 상에 많은 구멍을 포함하고, 부품이 판 상에 놓여지면 이 구멍들을 통하여 진공압력을 만들어 냄으로써 부품을 고정시키는 부품배치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진공장치는 운반용 판의 기저부에 부착된 진공수단을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19.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용 판은 상부판과 기저판의 두 개의 판을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부판은 많은 둥근 구멍이 있는 알루미늄판을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 판의 상층부에는 둥근 구멍의 위치에 대응하는 식각된 구멍을 가진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판이 있는 부품배치장치.
  21. 제 19 항 혹은 제 20 항에 있어서, 기저판은 진공펌프와 상부판의 구멍을 연결하는 도관을 가진 판을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22. 제 1 항 혹은 제 2 항에 있어서, 부품수용수단은 구멍을 가지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프린트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선택-배치헤드가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상기 구멍을 통하여 들어올리기 위하여 통과할 수 있고, 부품을 들어올려 직접 프린트 회로기판상에 부품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배치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여러개의 선택-배치헤드를 지지하는 부품배치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운반수단은 부품이 장착되는 테잎을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테잎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수평인 평면에 평행하게 움직이는 부품배치장치.
  26.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운반수단은 부품이 장착되는 시트(sheet)를 포함하는 부품배치장치.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수용수단은 부품운반수단과 같은 방향으로, 보다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부품배치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수용수단은 부품운반수단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배치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수용수단과 부품운반수단의 운동은 색인화(indexed)되어 있는 부품배치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부품수용수단과 부품운반수단의 운동은 스텝모터나 적당한 유사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부품배치장치.
  31.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크린 인쇄 스테이션과 부품배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 겸 부품배치장치에 있어서, 부품배치 스테이션은:
    여러개의 선택-배치헤드를 가지는 헤드마운트와;
    부품운반수단; 그리고
    부품수용수단을 포함하며,
    선택-배치헤드는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려 부품수용수단 위에 부품을 배치시키도록 장착되며,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최소한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움직이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은 픽업위치에서 최소한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가로지르는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부품수용수단은 배치위치에서 최소한 하나의 선택-배치헤드를 가로지르는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배치장치를 포함하는 부품배치 스테이션을 갖는 스크린 인쇄 겸 부품배치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의 운동에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부품운반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첫 번째 평면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고,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두 번째 평면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며, 두 번째 평면은 첫 번째 평면보다 헤드마운트에 보다 가까이 놓여있고; 그리고
    부품수용수단은 구멍을 가지며, 선택-배치헤드는 이 구멍을 통하여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리기 위해 통과하고 다시 구멍을 통해 부품을 들어올리며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인쇄 겸 부품배치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단일평면상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으며, 부품운반수단과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의 운동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부품운반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첫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고, 부품수용수단은 헤드마운트에 대하여 두 번째 평면상에서 움직이도록 위치하며, 첫 번째 평면은 두 번째 평면보다 헤드마운트에 보다 가까이 있고; 그리고
    부품운반수단은 구멍을 가져 이 구멍을 통하여 선택-배치헤드가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리고 이 구멍을 지나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거나 혹은 부품운반수단은 선택-배치헤드와 부품이 일렬로 정렬되는 첫 번째 위치와, 선택-배치헤드가 첫 번째 위치에서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집어 올리고 그 부품을 부품수용수단 상에 배치하는 선택-배치헤드와 일렬이 아닌 두 번째 위치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인쇄 겸 부품배치장치.
  34. 제 32 항 혹은 제 33 항에 있어서, 헤드마운트의 왕복운동은 수직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인쇄 겸 부품배치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헤드마운트는 부품운반수단으로부터 부품을 들어올릴 수 있는 첫 번째 픽업위치에 선택-배치헤드를 위치하기 위하여 단일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선택-배치헤드가 부품수용수단 상에 부품을 배치하는 두 번째 배치위치로 선택-배치헤드를 움직이기 위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인쇄 겸 부품배치장치.
  36. 제 31 항 내지 제 3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운반수단은 운반용 판을 포함하는 스크린인쇄 겸 부품배치장치.
KR1020007008291A 1998-01-29 1999-01-28 부품배치장치 KR100631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801875.7 1998-01-29
GB9801875A GB2333904B (en) 1998-01-29 1998-01-29 Component place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454A true KR20010040454A (ko) 2001-05-15
KR100631222B1 KR100631222B1 (ko) 2006-10-02

Family

ID=1082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291A KR100631222B1 (ko) 1998-01-29 1999-01-28 부품배치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557247B1 (ko)
EP (1) EP1051893B1 (ko)
JP (1) JP2002502136A (ko)
KR (1) KR100631222B1 (ko)
AT (1) ATE224131T1 (ko)
AU (1) AU741235B2 (ko)
BR (1) BR9908708A (ko)
CA (1) CA2318153A1 (ko)
DE (1) DE69902882T2 (ko)
DK (1) DK1051893T3 (ko)
ES (1) ES2184410T3 (ko)
GB (1) GB2333904B (ko)
HK (1) HK1032709A1 (ko)
PT (1) PT1051893E (ko)
RU (1) RU2218682C2 (ko)
WO (1) WO1999039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2007208A (es) * 2001-07-30 2003-02-06 Esec Trading Sa Dispositivo para el transporte y dotacion de substratos con chips semiconductores.
AU2003272055A1 (en) * 2002-10-10 2004-05-04 Ofer Avineri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rrays of functional elements to substrates
TW200604060A (en) * 2004-06-11 2006-02-01 Assembleon Nv Component placement apparatus, component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70916B1 (ko) * 2006-02-24 2011-10-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기판 스트립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08015B (en) * 1981-08-24 1985-03-06 Tdk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mounting chip type circuit elem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DE3502257A1 (de) 1985-01-24 1986-07-24 Robert 7992 Tettnang Buck Bestueckungsautomat
EP0190372A1 (en) * 1985-01-29 1986-08-13 TEKMA KINOMAT S.p.A. Process for the automatic positioning of chips on printed circuits and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same
BE903742A (nl) * 1985-11-29 1986-05-29 Burndy Electra Nv Machine en werkwijze voor het selektief insteken van electrische kontaktpennen in een plaat met gedrukte schakelingen.
DE3623031A1 (de) * 1986-07-09 1988-01-14 Raetz Klaus Montagevorrichtung fuer elektronikleiterplatten der mikroelektronik
JPH01295500A (ja) * 1988-05-24 1989-11-29 Taiyo Yuden Co Ltd チップ状電子部品マウント方法及びその装置
US5042709A (en) * 1990-06-22 1991-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cise alignment of objects
DE4022316A1 (de) * 1990-07-13 1992-01-16 Neubecker Karl A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it elektronischen baugruppen bestueckten leiterplatten
EP0497129B1 (de) * 1991-01-28 1995-07-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Bestücken von Leiterplat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290699A (en) 1999-08-16
GB9801875D0 (en) 1998-03-25
PT1051893E (pt) 2003-01-31
DE69902882D1 (de) 2002-10-17
RU2218682C2 (ru) 2003-12-10
ATE224131T1 (de) 2002-09-15
KR100631222B1 (ko) 2006-10-02
ES2184410T3 (es) 2003-04-01
EP1051893B1 (en) 2002-09-11
AU741235B2 (en) 2001-11-29
CA2318153A1 (en) 1999-08-05
BR9908708A (pt) 2000-12-05
DE69902882T2 (de) 2003-04-30
JP2002502136A (ja) 2002-01-22
DK1051893T3 (da) 2002-10-14
GB2333904A (en) 1999-08-04
WO1999039559A1 (en) 1999-08-05
GB2333904B (en) 2002-07-17
US6557247B1 (en) 2003-05-06
EP1051893A1 (en) 2000-11-15
HK1032709A1 (en) 200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6370B2 (en) Workpiece carrier and workpie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4393579A (en) Device for mounting chip-type electronic components on a substrate
US5932065A (en) Universal fixture for supporting and holding populated sides of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during processing
US6334840B1 (en) Electric-component transfer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component holders therein
KR101014293B1 (ko) 전자 부품의 실장 장치 및 실장 방법
US6170737B1 (en) Solder ball placement method
US9497895B2 (en) Lower receiving pin arrangement method and lower receiving pin return method
US7021357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JP4546663B2 (ja) プリント板保持装置および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JPH0253954B2 (ko)
KR20010040454A (ko) 부품 배치 장치
JP2017038012A (ja) トレイ搬送装置及び実装装置
US6550133B1 (en) Surface mounting apparatus installed with tray feeder
JP2001015988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JP2017143161A (ja) バックアップ用治具を備える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用治具
JP4627643B2 (ja) 実装用電子部品の供給装置
JP3758932B2 (ja) マウンタの基板セット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ピン切替え方法
JPH08279695A (ja) プリント基板支持装置
JP2004047927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H0777306B2 (ja) 部品装着装置
WO2023286130A1 (ja) 部品実装機およびバックアップピンの収容方法
JP2000151088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KR20240000376A (ko) 개별화된 기판의 정렬
JPH0446693B2 (ko)
JP2001111297A (ja) チップの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