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200A -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200A
KR20010038200A KR1019990046084A KR19990046084A KR20010038200A KR 20010038200 A KR20010038200 A KR 20010038200A KR 1019990046084 A KR1019990046084 A KR 1019990046084A KR 19990046084 A KR19990046084 A KR 19990046084A KR 20010038200 A KR20010038200 A KR 2001003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naphthalate
ethylene
dimethy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일
김윤수
김범상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9004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8200A/ko
Publication of KR2001003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2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Abstract

본 발명은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80:20 내지 95:5의 몰비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반복 단위로 포함하는 제 1 수지층, 및 65:35 내지 97:3의 몰비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를 반복 단위로 포함하는 제 2 수지층이 65:35 내지 97:3의 두께비로 적층된,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방향과 횡방향의 F-5의 합이 32 kg/mm2이상이고 제막공정중 연신파단 없이 외관이 양호하고 열접착성이 우수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우수한 열접착성 및 고강력화가 요구되는, 금속판 접착, 건축의장재 및 식품저장용 필름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STRONG POLYESTER FILM HAVING HEAT-ADHESIVENESS}
본 발명은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를 반복 단위로 하는 2종의 수지층이 적층되어 우수한 열접착성을 가지면서도 제막공정중 연신 파단을 일으키지 않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산업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용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소재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성형성이 우수하고 가벼운 고분자 수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서로 다른 물성면에서 각각 장점을 갖는 다양한 단량체 및 고분자 수지들을 각각 공중합 및 공압출 등의 가공방법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지닌 최종 필름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이에 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는 저온부터 고온에 이르기까지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 물성의 안정성이 뛰어나고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 표면특성 및 두께의 균일성이 양호하고 다양한 용도와 공정조건에 우수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산업용, 의료용, 자기테이프용, 콘덴서용, 포장용, 사진필름용 및 라벨용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식품포장에 요구되는 위생성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고, 환경보호를 위한 재생처리시에도 안정성이 높으며,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식품 용기, 음료수 용기 등의 포장용기 또는 포장필름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기는 하나, 열접착성을 요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조과정에서 접착제나 기타의 수지를 PET 필름에 코팅하거나 라미네이트시켜 열접착성을 부여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접착제나 기타 수지의 코팅만으로는 최종 필름의 접착성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유지하기가 곤란하며, 라미네이트시키는 경우에는 열접착성은 개선된다고 하더라도 공정이 복잡하고 라미네이션이라는 추가공정이 필요하므로 최종 필름의 단가가 높아져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기재 필름인 PET 수지의 고유 특성이 약화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용도가 확대된 열접착성 필름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공정의 가속화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제막 연신 조건이 변화하면서 필름의 연신파단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필름의 수율을 낮추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필름을 피착물에 부착한 후 장시간 경과시 필름의 변형이 생겨 외관이 불량해지고 필름 고유의 내구성 및 기체 비투과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고탄성율의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고배율 연신, 다단계 연신 등의 연신방법을 변화시켜 탄성율을 높이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 방법은 필름의 탄성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서 일정수준 이상으로 필름을 강력화하는 경우 제막공정중 연신파단이 발생하여 공업적 실용화가 곤란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를 반복 단위로 하는 2종의 수지를 적층시킴으로써 우수한 열접착성을 가지면서도 제막공정중 연신 파단을 일으키지 않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열접착성을 가지면서도 제막공정중 연신 파단을 일으키지 않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80:20 내지 95:5의 몰비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반복 단위로 포함하는 제 1 수지층, 및 65:35 내지 97:3의 몰비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를 반복 단위로 포함하는 제 2 수지층이 65:35 내지 97:3의 두께비로 적층된, 열접착성의 강력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수지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각각의 반복 단위를 갖기 위한 방향족 디카복실산을 80:20 내지 95:5의 몰비로 혼합하고 디올 성분과 공중합하거나, 또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를 각각 중합하여 형성한 다음 80:20 내지 95:5의 몰비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또한, 제 2 수지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각각의 반복 단위를 갖기 위한 방향족 디카복실산을 65:35 내지 97:3의 몰비로 혼합하고 디올 성분과 공중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수지는 모두 에스테르 교환법 또는 직접 중합법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회분식 또는 연속식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수지를 구성하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반복 단위를 갖기 위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테레프탈산 등과 같은 방향족 디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수지를 구성하는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 단위를 갖기 위한 방향족 디카복실산으로서는 디메틸-2,6-나프탈레이트를 전체 대비 90 몰% 이상 사용하고, 10 몰% 이하로 디메틸-1,2-나프탈레이트, 디메틸-1,5-나프탈레이트, 디메틸-1,6-나프탈레이트, 디메틸-1,7-나프탈레이트, 디메틸-1,8-나프탈레이트, 디메틸-2,3-나프탈레이트 및 디메틸-2,7-나프탈레이트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수지에 있어서,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 단위의 구성비율은 전체 고분자에 대해 5 내지 20 몰%가 바람직하며, 7 내지 18 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비율이 5 몰% 미만이 되면 강력 필름의 제조 효과를 볼 수 없으며, 20 몰%를 초과하면 중합공정중 반응성이 저하되고 고유점도가 떨어져 반응시간이 길어지고 부반응이 다량 진행되어 양질의 수지를 얻기 힘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수지를 구성하는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반복 단위를 갖기 위한 방향족 디카복실산으로서 디메틸이소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수지에 있어서,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반복 단위의 구성비율은 전체 고분자에 대해 3 내지 35 몰%가 바람직하며, 15 내지 25 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비율이 3 몰% 미만이 되면 열접착력의 효과를 볼 수 없고, 35 몰%를 초과하면 건조시 융착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필름 성형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올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p-크실렌글리콜,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이들중 에틸렌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본 발명의 수지를 제조하는데에 통상적인 첨가제들, 예를 들면,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 중축합촉매, 분산제, 정전인가제, 결정화 촉진제, 기핵제, 블록킹 방지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해도 무방하다. 이때,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로는 망간 아세테이트, 칼슘 아세테이트 및 아연 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디메틸 나프탈레이트의 반응 활성이 높아 반응시간 면에서 유리한 망간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무기물 충진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무기물 충진제는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또는 활석 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전체 충진제의 첨가량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20 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기계적 물성의 저하와 경량화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20 중량%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의 제 1 및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티이-다이(T-die)법 등에 의해 용융 및 공압출하여 상이한 두 층이 적층된 미연신 시트를 만든 후 이를 종 및 횡방향으로 이축연신하고 냉각하여 이축배향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각 수지의 용융온도는 공중합되는 원료의 조성비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용융압출시 온도조건을 설정하는 기준이 되는데, 제 1 수지는 190 내지 235℃의 용융온도를, 제 2 수지는 185 내지 230℃의 용융온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제 1 수지가 10 몰%의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수지의 용융온도는 약 220℃이고, 제 2 수지가 20 몰%의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제 2 수지의 용융온도는 약 200℃로서, 두 수지를 250℃에서 공압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수지의 층의 두께는 총 두께의 3 내지 3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수지의 층의 두께가 총 두께의 3% 미만인 경우에는 열접착성이 떨어져 실용적이지 못하고, 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얻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지의 용융온도가 낮아져 공정트러블을 야기하게 된다.
연신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연신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첨가물에 의한 공정의 변화는 없다. 연신온도는 60 내지 150℃이고, 연신배율은 종방향이 2.5 내지 6.0 배, 횡방향이 2.5 내지 6.0 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용도에 따라 적절한 두께의 설계가 가능하나 통상적으로 2.0 내지 200㎛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신도 5%에서의 종 및 횡방향의 인장강도 값의 합이 32 kg/mm2이상이고 제막공정중 연신파단 없이 외관이 양호하고 열접착성이 우수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우수한 열접착성 및 고강력화가 요구되는, 금속판 접착, 건축의장재 및 식품저장용 필름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의 각종 성능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열접착강도
140℃로 가열된 막대 위에 필름을 높고 40psi의 압력으로 1초동안 누른 다음 180도 박리실험을 실시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열접착강도를 나타내는 힛실링(heat-sealing)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과정에서 주름의 발생, 필름의 수축, 백탁현상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관찰하였다.
(2) 공정 안정성
24시간동안 필름의 파단 발생 빈도수를 측정하여 빈도수에 따라 A, B, C 및 D로 구분하였다:
A: 1회 이하
B: 1 내지 5회
C: 5 내지 10회
D: 10회 이상
(3) F-5 (5% 신도에서의 인장강도)
인스트롱사의 UTM을 사용하여 ASTM D 882에 의한 방법으로 필름의 F-5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메틸-2,6-나프탈레이트를 9.2 대 0.8의 몰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방향족 디카복실산과 에틸렌 글리콜의 몰비가 1:2가 되도록 에틸렌 글리콜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로서의 망간아세테이트를 넣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 단량체를 생성한 후, 여기에 무기충진제로서 1 중량%의 이산화규소와 중축합 촉매로서 삼산화 안티몬을 첨가하고 중축합 반응을 수행하여 고유점도 0.620㎗/g인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수지의 공중합 함량을 NMR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공중합된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함량이 9.2 대 0.8로 원료사입비와 차이없음을 확인하였다.
별도로,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82 대 18의 몰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방향족 디카복실산과 에틸렌 글리콜의 당량비가 1:2가 되도록 에틸렌 글리콜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1 중량%의 이산화규소, 중축합 촉매로서 삼산화 안티몬 및 열안정제로서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첨가하고 중축합 반응을 수행하여 고유점도 0.650㎗/g인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 2 수지의 용융온도는, 수지를 300℃까지 승온시켜 용융시킨 다음 급냉하고 다시 20℃/분의 속도로 온도를 올리면서 시차열분석기(DSC-7, 퍼킨엘머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206℃이었다.
상기 제조된 제 1 수지로 된 층과 제 2 수지로 된 층의 두께비가 85:15가 되도록 조절하면서 두 개의 압출기와 피드 블록이 장착된 티이-다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를 용융 및 공압출시킨 다음, 30℃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미연신 시트에 대해 이축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3.5배. 횡방향으로 3.5배 연신시켜 두께 30㎛의 이축배향된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적층 필름의 두께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제 1 수지의 층은 25.5㎛, 제 2 수지의 층은 4.5㎛이었다. 상기 제조된 필름의 열접착강도, F-5 값, 공정 안정성 및 외관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메틸-2,6-나프탈레이트의 혼합비율,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비율, 및 제 1 및 제 2 수지의 층의 두께비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열접착강도, F-5 값, 공정 안정성 및 외관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1수지(몰%) 제2수지(몰%) 제2 수지의 층두께(%) 열접착강도(gf/in) F-5(kg/mm2) 공정안정성 외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2,6-나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실시예 1 92 8 82 18 15 625 16.8 16.2 A
실시예 2 83 17 82 18 15 624 18.1 17.7 A
실시예 3 88 12 88 12 15 500 17.5 17.2 A
실시예 4 88 12 75 25 15 635 17.6 17.2 A
실시예 5 88 12 82 18 12 605 17.7 17.4 A
실시예 6 88 12 82 18 30 628 17.1 16.9 A
비교예 1 100 0 82 18 15 625 14.5 14.1 A
비교예 2 75 25 82 18 15 625 18.8 18.4 C ×
비교예 3 88 12 98.5 3 15 15 17.6 17.2 A
비교예 4 88 12 60 40 15 632 17.3 17.0 C ×
비교예 5 88 12 82 18 1.5 20 18.0 17.4 A
비교예 6 88 12 82 18 40 625 16.1 15.6 D ×
실시예 7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글리콜을 1:2의 몰비로 섞고, 이 혼합물에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로서의 망간 아세테이트를 넣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량체를 생성한 후, 여기에 무기충진제로서 1 중량%의 이산화규소와 중축합 촉매로서 삼산화 안티몬을 첨가하고 중축합 반응을 수행하여 고유점도 0.620㎗/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또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신에 디메틸-2,6-나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두 수지를 92 대 8의 몰비로 혼합하고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에 의해 건조하여 제 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 2 수지를 제조한 후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를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필름의 열접착강도, F-5 값, 공정 안정성 및 외관 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내지 12 및 비교예 7 내지 12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의 혼합비율,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비율, 및 제 1 및 제 2 수지의 층의 두께비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열접착강도, F-5 값, 공정 안정성 및 외관 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1수지(몰%) 제2수지(몰%) 제2 수지의 층두께(%) 열접착강도(gf/in) F-5(kg/mm2) 공정안정성 외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실시예 7 92 8 82 18 15 625 17.2 16.7 A
실시예 8 83 17 82 18 15 623 18.3 18.0 A
실시예 9 88 12 88 12 15 500 17.8 17.6 A
실시예 10 88 12 75 25 15 632 17.6 17.5 A
실시예 11 88 12 82 18 12 606 18.1 17.9 A
실시예 12 88 12 82 18 30 632 17.6 17.5 A
비교예 7 100 0 82 18 15 627 14.5 14.1 A
비교예 8 75 25 82 18 15 627 19.0 18.7 C ×
비교예 9 88 12 98.5 3 15 20 18.0 17.5 A
비교예 10 88 12 60 40 15 630 17.4 17.1 C ×
비교예 11 88 12 82 18 1.5 25 18.1 17.6 A
비교예 12 88 12 82 18 40 624 16.2 15.6 D ×
상기 표 1 및 2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은 종 및 횡방향의 F-5 값이 각각 17 및 16 kg/mm2이상으로 그 합이 32 kg/mm2이상이 되는 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열접착강도가 우수하며 제막공정중 파단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필름의 외관 또한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디메틸 나프탈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필름의 인장강도가 낮고, 과량 사용한 경우에는 공정안정성이 떨어짐과 동시에 부반응으로 인해 외관이 불량해지며, 이소프탈산을 소량 사용하거나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제 2 수지의 층을 얇게 공압출하는 경우에는 열접착강도가 낮고, 과량 사용하거나 제 2 수지의 층을 두껍게 공압출하는 경우에는 열접착강도는 우수하나 공정안정성 및 외관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신도 5%에서의 종 및 횡방향의 인장강도 값의 합이 32 kg/mm2이상이고 제막공정중 연신파단 없이 외관이 양호하고 열접착성이 우수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Claims (4)

  1. 80:20 내지 95:5의 몰비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반복 단위로 포함하는 제 1 수지층, 및 65:35 내지 97:3의 몰비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를 반복 단위로 포함하는 제 2 수지층이 65:35 내지 97:3의 두께비로 적층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지가, 테레프탈산 유도체 및 나프탈산 유도체를 미리 혼합한 후 디올 성분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지가, 테레프탈산 유도체 및 나프탈산 유도체를 각각 독립적으로 디올 성분과 공중합하여 형성된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반복 단위가 90몰% 이상의 디메틸-2,6-나프탈레이트와, 10 몰% 이하의 디메틸-1,2-나프탈레이트, 디메틸-1,5-나프탈레이트, 디메틸-1,6-나프탈레이트, 디메틸-1,7-나프탈레이트, 디메틸-1,8-나프탈레이트, 디메틸-2,3-나프탈레이트 및 디메틸-2,7-나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90046084A 1999-10-22 1999-10-22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10038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084A KR20010038200A (ko) 1999-10-22 1999-10-22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084A KR20010038200A (ko) 1999-10-22 1999-10-22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200A true KR20010038200A (ko) 2001-05-15

Family

ID=1961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084A KR20010038200A (ko) 1999-10-22 1999-10-22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82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063B1 (ko) * 2021-02-01 2022-01-10 조익래 열 부착 pet 필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594A (ja) * 1994-12-14 1996-06-25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材料
JPH1044354A (ja) * 1996-08-05 1998-02-17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容器
JPH10193547A (ja) * 1996-12-20 1998-07-28 Hoechst Diafoil Gmbh ヒートシール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使用方法
KR0170070B1 (ko) * 1996-07-30 1999-03-30 한형수 금속판 열접착 라미네이트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9990031350A (ko) * 1997-10-10 1999-05-06 장용균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11286095A (ja) * 1989-10-19 1999-10-19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多層フィルム又はシ―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6095A (ja) * 1989-10-19 1999-10-19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多層フィルム又はシ―ト
JPH08164594A (ja) * 1994-12-14 1996-06-25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材料
KR0170070B1 (ko) * 1996-07-30 1999-03-30 한형수 금속판 열접착 라미네이트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H1044354A (ja) * 1996-08-05 1998-02-17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ラミネート金属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容器
JPH10193547A (ja) * 1996-12-20 1998-07-28 Hoechst Diafoil Gmbh ヒートシール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使用方法
KR19990031350A (ko) * 1997-10-10 1999-05-06 장용균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063B1 (ko) * 2021-02-01 2022-01-10 조익래 열 부착 pet 필름
CN114834122A (zh) * 2021-02-01 2022-08-02 赵益来 热贴附pet膜
CN114834122B (zh) * 2021-02-01 2023-09-22 赵益来 热贴附pet膜
US11975470B2 (en) 2021-02-01 2024-05-07 Ig Lae JO Heat-seal-laminating PET fil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752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가스 배리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721323B1 (ko) 성형가공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필름
US4636442A (en) Laminated structur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elastomeric copolyesterethers
JP4405120B2 (ja) ヒートシール性を有するポリ乳酸系二軸延伸積層フィルム
EP2433796A1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film
US5780158A (en) Biaxially oriented film to be laminated on a metal
JP4583699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成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部材
KR100913290B1 (ko) 열수축성 적층필름 및 이를 기재로 이용한 열수축성 라벨
KR100872280B1 (ko) 생분해성 이축 연신 적층 필름
JP2002187963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10038200A (ko) 열접착성을 갖는 강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937315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EP0677382B1 (en) Polyester film for laminated drawn and ironed aluminum can
JP549256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190996A (ja) ヒートシール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55888A (ja) 成形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06422B1 (ko)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0185609B1 (ko) 이활성이 우수한 투명 폴리에스테르계 다층시트 및 그 컷판
KR100262444B1 (ko) 열접착성 고분자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193692B1 (ko)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679776A (ja) 柔軟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161843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KR100226307B1 (ko) 금속상에 적층된 2축 연신 필름
KR0173021B1 (ko) 백색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65180A (ko)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