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5180A -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5180A
KR19990065180A KR1019980000358A KR19980000358A KR19990065180A KR 19990065180 A KR19990065180 A KR 19990065180A KR 1019980000358 A KR1019980000358 A KR 1019980000358A KR 19980000358 A KR19980000358 A KR 19980000358A KR 19990065180 A KR19990065180 A KR 19990065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film
resin layer
weight
multi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일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101998000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5180A/ko
Publication of KR1999006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180A/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및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적어도 일면상에 적층된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극한점도가 0.5 내지 0.7dl/gr이고, 주반복단위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용융온도가 185 내지 230℃이고, 주반복단위중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의 중량비가 95:5 내지 65:35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며,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자외선 안정제를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 전체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접착성, 내후성을 비롯한 제반 물성이 우수하여 건축외장용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필름에 사용적합하다.

Description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하, 자외선 안정성이라 한다) 및 열접착성이 우수하여 건축 외장재로 사용적합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용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소재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경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분자 수지는 특히, 서로 다른 물성면에서 각각 장점을 갖는 다양한 고분자 수지들을 공중합, 공압출 등의 가공방법을 통해 우수한 물성을 지닌 최종 필름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이하 PET라 칭함)는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 및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하여 의료용, 전자기용, 포장용, 사진필름용 등의 각종 산업용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포장용이나 금속판 접합용 등 열접착성을 요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조과정에서 접착제나 기타의 수지를 PET 필름에 코팅하거나 라미네이트시킴으로써 열접착성을 부여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접착제나 기타의 수지 등의 코팅만으로는 최종 필름의 접착성 향상효과를 바람직한 수준으로 유지하기가 곤란하며, 라미네이트시키는 경우에는 열접착성의 향상은 기대할 수 있으나, 복잡한 단계로 이루어진 라미네이션이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필름의 단가가 높아져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열접착성은 부여되지만 기재필름인 PET 수지의 고유특성이 약화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열접착성을 갖는 수지를 공압출하여 다층구조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할 경우에는, 다양한 열접착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열접착력의 조절이 용이함은 물론, 라미네이션 공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매우 간단하게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서 경제적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열접착성-보유 필름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포장용 필름 이외에도 강판, 원목, 유리 등 여러 가지 자재의 외면에 접착시켜 내부자재를 보호하고 외관을 개선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열접착성- 보유 필름이 건물 외장용 건축자재에 접합하여 사용될 경우에는 필름 외면에 직사광선을 직접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고분자 사슬이 끊어져 열화됨으로써 PET 필름 고유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단시일내에 상실하고 필름이 부서짐으로써 내부자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열접착성, 내후성 및 자외선 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다양한 건축외장재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및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적어도 일면상에 적층된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극한점도가 0.5 내지 0.7dl/gr이고, 주반복단위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용융온도가 185 내지 230℃이고, 주반복단위중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의 중량비가 95:5 내지 65:35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며,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자외선 안정제를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 전체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로는 휘발성이 낮고 열안정성이 높은 것을 선택하는데,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의 두께는 30㎛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그 두께가 전체 필름 두께 기준으로 3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35%인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테레프탈산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디카르복시산과 에틸렌글리콜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알킬렌글리콜을 중축합시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 후, 자외선 안정제와 블랜딩하여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함유하는 디카르복시산과 에틸렌글리콜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알킬렌글리콜을 혼합한 다음, 중축합시켜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공압출시켜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 층의 적어도 일면상에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 층이 적층된 다층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시이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연신단계는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모두 2.5 내지 6배의 연신비로 수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용융, 공압출 단계에서는 필름 전체의 두께를 30㎛ 이상으로, 그리고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를 상기 시이트의 두께 기준으로 3 내지 40%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테레프탈산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디카르복시산과 에틸렌글리콜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알킬렌글리콜을 중축합촉매의 존재하에서 중축합시켜 극한점도가 0.5 내지 0.7dl/gr인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중축합 공정중에는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분산제, 정전인가제, 결정화 촉진제, 블로킹 방지제 또는 무기활제 등을 투입할 수 있다.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이 바람직한데,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메틸테레프탈산, 테레프탈산, 디메틸이소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시산, 디페닐디카르복시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시산, 안스타젠디카르복시산 또는 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렌글리콜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또는 헥실렌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자외선 안정제를 첨가한 다음, 잘 혼합하여 컴파운더에서 블랜딩함으로써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이 때, 투입되는 자외선 안정제의 적정 투입량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기준으로 0.5 내지 2.5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2.0중량%이다. 자외선 안정제의 투입량이 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필름의 내후성이 개선효과가 미약하며, 투입량이 2.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폴리에스테르 고유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함유하는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알킬렌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이 때,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 중량비는 95:5 내지 65:35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탈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결정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열접착성이 불량해진다. 한편, 이소프탈산의 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용융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점도가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보다 낮아지는데, 이 경우 두 종류의 수지로 이루어진 다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공압출을 실시하는 단계에서 티다이 출구에서 컬링(curling)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피이드 블록내에서 두 종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층간의 접촉면에서 유동이 일어나 층간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어 두께가 불균일한 다층 필름이 얻어질 우려가 크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공압출시켜 미연신 시이트를 얻는다. 상기 공압출과정에서는,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가 시이트 전체 두께의 3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35%가 되도록 조절한다. 왜냐하면,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가 3%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열접착성이 불량해지며, 40%를 초과할 경우에는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롤 융착 등과 같은 설비에서 장애가 발생하여 필름의 성형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고가인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미연신 시이트에 대해 2축연신을 실시하는데, 종방향으로 2.5 내지 6배, 횡방향으로 2.5 내지 6배 연신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체 필름의 두께가 30㎛ 이상이 되도록,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0㎛ 이상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적당한데, 전체 필름의 두께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내후성의 개선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다가 알코올로서 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하였는데, 제조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성능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용융온도
수지의 용융온도는 시차열분석기(DSC-7, 퍼킨엘머사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300℃까지 승온시켜 시료를 용융시킨 다음 급냉한 후 다시 20℃/분의 속도로 승온시켜 측정하였다.
(2) 열접착강도
140℃로 가열된 막대위에 필름을 놓고 40psi의 압력으로 1초동안 누른 다음, 180℃ 박리실험을 실시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열접착강도를 나타내는 핫실링(hot-sealing)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과정에서 주름의 발생, 필름의 수축, 백탁현상 여부에 대해서도 관찰하였다.
(3) 내후성
필름의 내후성은 가속내후성 시험기(Q.U.V., Q-Panel사 제품)를 이용하여 신도가 20% 낮아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고, 자외선 분광기(UV-Visible Recording Spectrophotometer, Shimadzu사 제품)를 이용하여 자외선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4) 공정안정성
24시간 동안 필름의 파단 발생 빈도수를 측정하여 A, B, C 및 D로 표기하였다.
A : 1회 이하
B : 2 내지 5회
C : 6 내지 10회
D : 10회 초과
(5) 필름의 두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1:2 당량비로 혼합한 뒤, 이 혼합물에 대하여 중축합촉매(Sb2O3, 니혼 세이코(Nihon Seiko)사 제품), 열안정제(트리 메틸 포스페이트, 다이하치(Daihachi)사 제품) 및 무기활제(SiO2, 후지 실리시아(Fuji Silisia)사 제품)를 부가하여 중축합반응을 실시한 후, 질소분위기하에서 120℃에서 약 2시간, 170℃에서 약 3시간 건조시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자외선 안정제로서 아사히 덴카 코교(ASAHI DENKA KOGYO)사 제품인 2,2-메틸렌 비스-[4-(1,1,3,3,-테트라메틸 부틸)-6-(2H-벤조트리아졸-2-yl)페놀](제품명: ADK STAB LA-31) 1.0중량%를 첨가하여 컴파운더에서 280℃의 온도로 블랜딩한 뒤, 다시 질소분위기, 120℃에서 약 2시간, 170℃에서 약 3시간 건조시켜 극한점도 0.60dl/gr의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이 82:18의 중량비로 구성된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1:2 당량비로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에 대하여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에서와 같은 중축합 촉매, 열안정제 및 무기활제를 부가한 뒤, 중축합반응을 실시하여 극한점도가 0.60dl/gr인 고체화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융온도 210℃)를 제조하였다. 이 수지를 질소분위기, 80℃에서 약 200분간, 120℃에서 약 120분간, 160℃에서 약 120분간, 182℃에서 약 350분간 건조 및 고상중합시켜 극한점도 0.65dl/gr인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된 층과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된 층의 두께비가 80:20이 되도록 조절된 두 개의 압출기와 피이드 블록이 장착된 티다이를 사용하여 상기 수지를 용융, 공압출시킨 다음, 30℃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미연신 시이트를 얻었다. 상기 미연신 시이트에 대해 2축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3.5배, 횡방향으로 3.5배 연신시켜 두께 50㎛, 강도 21.2 kgf/㎟의 2축연신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 때,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를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는 40㎛,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는 10㎛였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평가방법에 따라 그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열접착 박리강도는 625gf/inch였고, 주름은 발생하지 않았다. Q.U.V 실험결과 및 자외선 투과도 등의 자외선 안정성 실험결과도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24시간 제조과정동안에 파단현상은 1회 이하였고 겉보기 밀도, 표면저항, 필름파단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2 내지 8
필름의 두께,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 이소프탈산의 함량 및 자외선 안정제의 함량을 표 1에서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 후, 필름의 특성을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여러 가지 성분 및 제조공정상의 변수들이 위에서 한정한 바람직한 범위내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열접착특성, 내후성 또는 제반 물성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분자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내지 7
필름의 두께,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 이소프탈산의 함량 및 자외선 안정제의 함량을 표 1에서와 같이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 후, 필름의 특성을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제조공정상의 변수와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조성을 상기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도록 조절하여 얻은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평가된 특성 중 어느 하나이상이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필름 제조조건 필름 물성
필름두께 제 2층의두께비1 이소프탈산함량2 UV안정제 함량3 강도 외관 Q.U.V UV투과도 박리강도 공정안정성 질감
단위 % 중량% 중량% kg/㎟ - Day % gf/in - -
실시예 1 50 20 18 1.0 21.2 양호 22 5 625 A 양호
실시예 2 80 20 18 1.0 22.8 양호 27 0 620 A 양호
실시예 3 50 12 18 1.0 21.4 양호 23 3 600 A 양호
실시예 4 50 27 18 1.0 21.0 양호 21 6 650 A 양호
실시예 5 50 20 10 1.0 21.6 양호 22 5 500 A 양호
실시예 6 50 20 25 1.0 20.8 양호 21 7 635 A 양호
실시예 7 50 20 18 0.5 22.3 양호 17 10 620 A 양호
실시예 8 50 20 18 2.5 19.8 양호 26 1 625 A 양호
비교예 1 25 20 18 1.0 17.1 양호 10 20 620 A 양호
비교예 2 50 2.5 18 1.0 22.0 양호 24 6 100 A 양호
비교예 3 50 60 18 1.0 14.9 불량 12 22 630 B 불량
비교예 4 50 20 5 1.0 25.4 양호 23 5 40 A 양호
비교예 5 50 20 40 1.0 14.4 불량 20 5 625 C 보통
비교예 6 50 20 18 0.1 24.0 양호 10 65 625 A 보통
비교예 7 50 20 18 3.0 15.1 불량 24 0 625 C 보통
상기 표 1에서,
제 2층의 두께비1: 전체 필름에 대한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분율
이소프탈산 함량2: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이소프탈산의 함량
UV안정제 함량 :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UV안정제의 함량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접착성, 내후성을 비롯한 제반 물성이 우수하므로 산업용, 특히 건축 외장용으로 사용적합하다.

Claims (9)

  1.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및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적어도 일면상에 적층된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극한점도가 0.5 내지 0.7dl/gr이고, 주반복단위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용융온도가 185 내지 230℃이고, 주반복단위중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의 중량비가 95:5 내지 65:35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며;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자외선 안정제를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층 전체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및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전체의 두께는 30㎛ 이상이고,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는 전체 필름 두께 기준으로 3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테레프탈산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디카르복시산과 에틸렌글리콜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알킬렌글리콜을 중축합시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 후, 자외선 안정제와 블랜딩하여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함유하는 디카르복시산과 에틸렌글리콜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알킬렌글리콜을 혼합한 다음, 중축합시켜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공압출시켜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 층의 적어도 일면상에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 층이 적층된 다층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시이트를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극한점도가 0.5 내지 0.7dl/gr이고, 주반복단위중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이 8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용융온도가 185 내지 230℃이고, 주반복단위중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의 중량비가 95:5 내지 6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및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를 상기 제 1폴리에스테르 수지 기준으로 0.5 내지 2.5중량%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공압출단계는 상기 필름 전체의 두께를 30㎛ 이상으로, 상기 제 2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두께를 상기 시이트 두께 기준으로 3 내지 40%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80000358A 1998-01-09 1998-01-09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65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358A KR19990065180A (ko) 1998-01-09 1998-01-09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358A KR19990065180A (ko) 1998-01-09 1998-01-09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180A true KR19990065180A (ko) 1999-08-05

Family

ID=6572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358A KR19990065180A (ko) 1998-01-09 1998-01-09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5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770A1 (ko) * 2013-01-15 2014-07-2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2770A1 (ko) * 2013-01-15 2014-07-2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837B2 (en) Polyester film having improved oxygen barrier, comprising poly(m-xyleneadipamide) and a barrier coating,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US7005169B2 (en) Polyester film having improved oxygen barrier, comprising poly(m-xyleneadipamide) and also an overlayer and a barrier coating,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KR100576528B1 (ko) 산소차단성이큰투명한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JP2003520148A (ja) 熱成型可能な耐紫外線性共押出し艶消し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20099186A (ko) 고함량의 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디카르복실산 주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부성분을 함유하는 투명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9990078205A (ko) 산소 차단성이 큰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270057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528747A (ja) シール性および難燃性を有する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US9416268B2 (en) Shrinkabl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60109623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060286349A1 (en) Multilayer, transparent polyester film with high oxygen barrier
KR20040067918A (ko) 산소차단성이 개선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 함유기저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US7087312B2 (en) Polyester film having improved oxygen barrier and poly(m-xyleneadipamide)-containing overlayer,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JP2004075713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成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部材
JP2006009025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108849A1 (en) Polyester film for protecting rear surface of solar cell
JP2006007779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500259A (ja) 耐紫外線性共押出艶消し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9990065180A (ko)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6190996A (ja) ヒートシール性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06422B1 (ko)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260077B1 (ko) 공압출된열접착성고분자필름및그의제조방법
KR100193692B1 (ko)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580944B2 (ja) ポリエステル積層フイルム
KR19990031350A (ko)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