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000A -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000A
KR20010033000A KR1020007006352A KR20007006352A KR20010033000A KR 20010033000 A KR20010033000 A KR 20010033000A KR 1020007006352 A KR1020007006352 A KR 1020007006352A KR 20007006352 A KR20007006352 A KR 20007006352A KR 20010033000 A KR20010033000 A KR 20010033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ape
weight
adhesive
majo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케케네쓰지.
월너마크알.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1003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00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4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24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the rotating body being a vehicle wheel
    • F16F15/328Multiple weights on adhesive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24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the rotating body being a vehicle whee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2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 C09J2400/226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4Presence of a foam
    • C09J2400/243Presence of a foam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1/00Presence of unspecified rubber
    • C09J2421/006Presence of unspecified rubb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30)의 균형을 잡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휠/테이프 제품을 개시하고, 제품(22)은 제거시 휠 상에 접착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다. 휠(30)의 균형을 이루도록 제품(22)을 사용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WHEEL WEIGHT ATTACHMENT SYSTEM}
다수의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은 그 위에 종래의 공기압 타이어가 장착된 회전 휠의 균형을 향상시키도록 제안되어 사용되어 왔다. 균형잡힌 타이어는 원활하게 작동하여 진동을 감소시키고 조향 작동과 제동 작동을 향상시킨다. 휠 웨이트는 림 플랜지에 통상 부착된다.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러한 웨이트는 타이어 균형 장치에 의해 지시되는 반경 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림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공지된 부착 기술에 대해 단점이 존재하며, 이러한 단점의 대부분은 후에 재조정이 필요할 때 제거하는 관점에 관한 것이다. 강 부착 클립을 갖는 성형된 납 휠 웨이트는 타이어의 불완전한 기밀 분배에 대해 보상함으로써 타이어의 균형잡는 데에 오래동안 사용되어 왔다. 클립 웨이트의 사용은 2개의 상이한 금속(즉, 클립과 휠)의 접촉을 유발한다. 한겨울 및 염기있는 운전 상태에 있어서, 부식에 대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클립 웨이트는 긁힘에 의해 휠을 잠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 휠 웨이트를 제거 또는 재배치하면 긁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동차용 알루미늄 휠은 표준이 되어 가고 있으며 강 휠과 허브 캡을 대체하고 있다. 알루미늄 휠은 경량이고 스탬핑 가공되기보다는 성형 가공되기 때문에 보다 장식적일 수 있다. 강 클립 휠 웨이트는 알루미늄 휠 상에 사용되도록 제공되지만, 허브 캡 뒤에 숨겨지지 않을 때 시각적 효과가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휠의 외부 측면 상에 종종 사용되지 않았다. 휠의 내부 또는 하부 구조에만 웨이트를 집어넣어서 균형이 잡히는 휠들은 양호한 핸들링과 외관 사이에서 타협하게 된다.
강 클립 웨이트는 부착된 알루미늄 휠 표면의 침식 및 함몰을 촉진한다. 헌 타이어 또는 휠 웨이트가 교체될 때 침식에 대한 손상이 뚜렷해진다. 새로운 타이어는 타이어가 교체됨에 따라 휠 웨이트를 정확히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킬 것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침식에 대한 손상은 차량 소유자에 의해 수리되거나 허용되어야 한다. 수리 비용은 알루미늄 휠의 교체 비용과 종종 비슷해진다.
발포 테이프는 알루미늄 휠과 같이 휠 웨이트를 휠에 부착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접착식 백킹형 휠 웨이트는 발포 테이프를 약 0.3cm(1/8in) 두께의 납 시트 스톡으로 적층하고 7.1g(1/4oz)의 조각으로 스탬핑함으로써 통상 형성된다. 휠 웨이트를 휠에 부착하기 위해 발포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제거 시에 발포 테이프가 휠 표면 상에 백킹 잔여물, 접착 잔여물과 같은 테이프 찌꺼기를 남길 수 있다는 점에서 단점이 있다. 잔여물이 먼지 또는 더러움 등을 묻힘에 따라 잔여물이 상당하게 되고 이는 점점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휠 기판은 (예컨대, 브러쉬, 블레이드, 용매에 의해) 잔여물을 제거하는 순서에 의해 잠재적으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58152612호는 2개 부분의 웨이트 시스템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사용하고, 하나의 상부 층은 상대적으로 큰 분자 웨이트 고무이고 하부 고무층은 웨이트 균형 구성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낮은 인장 강도 재료이다. 이는 항공기 휠용으로 권장되며 다른 운반 휠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국제 특허 공개 제WO93/17315호 및 미국 특허 제4,269,451호는 휠 웨이트 제거 문제를 피하는 다른 방법을 제안한다.
국제 특허 공개 제WO93/17315호는 균형 웨이트를 차량의 휠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참고하면, 웨이트와 차량의 휠로의 보유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균형 웨이트를 기계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장치, 타이어와 림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는 보유 스프링과, 보유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차량 웨이트 상에 균형 웨이트를 기계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분리가능한 부착 시스템이 제공되는 장치를 생성하기 위해서, 장치는 추진될 때 부착 시스템 외부로 균형 웨이트를 밀어내는 분리가능한 부착 시스템 후방에 장착된 쇼크 유닛 또는 퍼큐션 유닛을 포함해야 한다.
미국 특허 제4,269,451호는 링 장착 웨이트, 림 내에 위치한 균형 매체를 포함하는 환형 부재 및 휠과 브레이크 드럼 사이에 쇼크 완충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및 3개 이상의 균형 요소로 구성되는 림 상에 장착된 타이어를 갖는 휠을 위한 균형 시스템을 개시한다. 웨이트는 너비가 상대적으로 좁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외주연 방향보다는 타이어 측벽의 주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림 상에 장착된다. 환형 부재는 타이어의 공기 캐버티의 반경 방향 외부 내에서 타이어로부터 현수되고 타이어가 회전하는 동안 불균형 영역으로의 균형 매체 및/또는 환형 부재의 주연 방향 이동 및/또는 환형 부재의 반경 방향 이동에 의해 불균형이 자동적 수정된다.
현재 계류 중인 월너에 의해 일자로 출원된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 및 그 사용 방법"으로 제목을 붙인 국제 출원 제 호(대리인 서류 번호 제53529PCT9A)는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을 개시하며, 상기 테이프는 탭을 가진다. 휠 웨이트는 탭을 파지하고 휠 표면으로부터 35도보다 작은 각으로 당김으로써 제거된다. 휠 웨이트가 휠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접착 잔여물 또는 다른 테이프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서도)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이어의 균형을 잡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제품은 휠 표면에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고 나중에 휠 표면의 손상을 입히지 않고 또는 접착제 잔여물 또는 다른 테이프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에 의한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 및 휠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1b는 본 발명에 의한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 및 휠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1c는 본 발명에 의한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 및 휠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1d는 본 발명에 의한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 및 휠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1f는 본 발명에 의한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 및 휠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1g는 본 발명에 의한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 및 휠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2는 휠 웨이트를 상승시키기 바로 전에 도1a에 도시된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과 휠 조립체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3은 휠 웨이트가 부분적으로 상승되고 접착층(28)이 휠 표면(30)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접합 해제된 상태이지만, 도2와 유사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4는 휠에 부착된 도1a의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5는 차량 휠에 부착된 도1a의 제품의 측면도이다.
휠 표면 상에 손상을 입히거나 접착 잔여물을 잠기지 않는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소정의 상황에 있어서, 깨끗하게 제거되고 탭을 이용하지 않는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상황에 있어서, 탭이 보이지 않는 것이 보다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노출된 탭은 휠이 겪게되는 기상 및 다른 상황에 종속될 것이다.
탭을 가지지 않고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는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을 개시하였다.
본 발명의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의 테이프는 (아크릴 투명 코팅된 알루미늄 휠 표면과 같은) 휠 표면으로의 접착 강도를 초과하는 결합 강도를 제공하여 테이프의 휠 웨이트와의 접착력이 테이프의 휠과의 접착력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은 집게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휠로부터 웨이트를 상승시킴으로써 휠 표면으로부터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반사성 및/또는 장식성 층(들)은 그 외관이 (알루미늄 휠과 같은) 휠의 표면과 어울어지거나 또는 장식성 제품 또는 기능적인 반사성 안전 장치와 같이 두드러지도록 웨이트의 표면에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제거가능하고 감압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품은 (a) 제1 주요 표면과 이에 대향된 제2 주요 표면을 갖는 테이프와, (b) 테이프의 제1 주요 표면에 접합되는 웨이트를 포함하고, 테이프는 테이프의 제1 주요 표면이 테이프의 제2 주요 표면의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충분히 큰 웨이트와의 접착 강도를 가지고, 테이프가 테이프의 제2 주요 표면을 통해 휠에 확실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테이프는 웨이트가 휠로부터 상승될 때 웨이트가 아니라 휠로부터 접합 해제될 수 있고, 테이프는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큰 결합 강도를 가진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는 접착제가 어느 한 측면 상에 코팅되어 있는 상태로 (소성 또는 탄성 백킹과 같은) 백킹을 포함할 수도 있다. 테이프가 어느 한 측면 상에 접착층을 갖는 백킹을 포함할 때, 접착층은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이 부착되는 휠로부터 제거될 때 백킹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는 단일 접착층 또는 다중 접착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테이프는, 예컨대 이중 접착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테이프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해 유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휠에 확실하게 접합될 수 있고, 그런 후 휠로부터 웨이트를 상승시키도록, 예컨대 (집게와 같이)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통상, 상승 작업은 휠 웨이트의 일 측면을 상승시킨 후, 접착제가 접착 잔여물, 백킹 잔여물, 다른 테이프 잔여물의 찌꺼기를 남기지 않고 휠 표면에 눈에 띄는 손상을 입히지 않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웨이트의 대향된 측면을 향해 접합 해제됨에 따라 상승 운동을 계속함으로써 완료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승 작업"은 공구가 휠 표면 상에 안착하여 휠 웨이트에서 분리되도록 상승시키는 데에 사용되고 휠 표면 상에 잠재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방법으로 공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 "상승 작업"은 집게와 같은 공구에 의해 취해지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구는 휠 상에 안착되지 않고 휠 웨이트를 파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집게와 같은 공구는, 예컨대 일단부에서 웨이트를 상승시키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상승되는 단부와 대향된 웨이트의 측면은 웨이트가 휠로부터 자유로울 때까지 상승 운동을 계속함으로써 사실상 압력이 가해진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백킹과 2개의 외부 접착층을 갖는 테이프의 각 접착층은 동일하거나 다른 화학 조성,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 동일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코팅 또는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다중 접착 테이프의 접착층(들)은 동일하거나 다른 화학 조성,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 동일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코팅 또는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을 사용하여 휠의 균형을 잡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제1 주요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제2 주요 표면을 가지는 테이프와, 테이프의 제1 주요 표면에 접합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제품의 제2 주요 표면의 접착제를 통해 제품을 휠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테이프는 테이프의 제1 주요 표면이 테이프의 제2 주요 표면의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충분히 큰 웨이트와의 접착 강도를 가지고 테이프가 테이프의 제2 주요 표면을 통해 휠에 확실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테이프는 웨이트가 휠로부터 상승될 때 웨이트가 아니라 휠로부터 접합 해제될 수 있고, 테이프는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큰 결합 강도를 가진다.
이 방법은 휠로부터 웨이트를 상승시킴으로써 휠로부터 제품을 제거하는 단계(c)를 더 포함하고, 제품의 감압 접착제를 휠 상에 거의 남기지 않는다.
휠에 부착된 후에,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의 접착 테이프는 휠에 확실하게 접합되게 되지만,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은 간단한 지렛대 작용 또는 휠로부터 휠 웨이트를 상승시킴으로써 휠 표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용예 및 휠 웨이트(들)의 제거의 결과로) 제거시에 긁힘이 아주 적거나 또는 전혀없이, 대부분 통상 전혀 긁힘이 없이, 접착 잔여물을 아주 적게 또는 전혀 남기지 않고, 대부분 통상 전혀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휠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는 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테이프
본 발명은 휠 웨이트에 부착되고 휠 표면에 부착될 수 있어서 (휠 웨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휠 표면 상에 손상을 입히거나 사실상 접착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휠로부터 제거되는 이중 측면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중 측면 접착 테이프 구조에서, 휠에 접합되는 접착 표면은 (휠 웨이트를 상승시킴으로서) 휠 웨이트를 제거하면 접합이 해제된다. 휠 웨이트에 접합되는 테이프의 접착 표면은 휠로부터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을 제거하면 휠 웨이트에 접합되어 남게된다.
유용한 백킹은, 예컨대 필름, 발포체 및 필름 및/또는 발포체의 적층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소성 백킹은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테이프에 유용하다. 소성 백킹은 신장시에 영구적으로 변형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 회복을 갖는다. 테이프 백킹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된 소성 재료와 반대되는 탄성은 사실상 소성 변형없이 신장가능하고 신장 및 해제 후에 높은 탄성 회복을 갖는 재료를 의미한다.
테이프가 백킹없는 고체형 접착제일 때 테이프는, 예컨대 모든 외부 표면의 접착식 억제부를 제공하는 단일 감압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프는 그 외부 표면의 접착 억제부들 중의 하나를 한정하는 각 대향된 주 표면을 따라 억제성 감압 접착층을 갖는 중합체 백킹층을 구비한다. 이 중합체 백킹층은, 예컨대 중합체 필름, 중합 발포체, 중합 발포체에 적층된 중합체 필름, 또는 중합 발포체 층의 대향된 측면 상에 적층되는 2개 중합체 필름층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백킹은 필름/발포체 적층체, 필름/발포체/필름 적층체 또는 발포체/필름/발포체 적층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테이프는 선택적으로 신장가능할 수도 있지만 이는 필수적이지는 않다.
테이프는 이에 부착된 웨이트(들)을 지나 연장하도록 길이 및 폭에 따른 형태가 있지만, 테이프의 길이 및 폭은 이에 부착된 웨이트(들)과 동일하고, 휠 웨이트를 상승시킴으로써 제거되기 때문에 파지하기 위해 "탭"이 밖으로 연장할 필요가 없다. 테이프는 휠 웨이트(들) 보다 다소 작은 길이와 폭 치수를 가질 수도 있지만 테이프 치수가 웨이트 치수와 근접할수록 통상 보다 양호한 보유 강도를 갖기 때문에 이는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도면에 의하면,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도1a에서, 제1 접착제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과 휠 조립체가 기술될 것이다. 도1a에서,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은 3으로 도시된다. 특별하게는, 접착 테이프 구조부(10)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휠에 부착된 접착층을 휠에서 접합 해제하게 하도록 휠 웨이트를 상승시키도록 설계된다. 테이프(10)는 그 대향된 주 표면 상에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감압 접착 조성의 접착층(26, 28)과 백킹층(24)을 포함한다. 접착층(26)은 휠 웨이트(22)에 부착된다. 접착층(28)은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이 사용되기 전에 각각 (도시되지 않은) 라이너에 의해 각각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28)은 휠(30)에 부착된다. 접착층(26)은 부착되는 휠 웨이트(22)의 표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28)은 부착되는 휠(30)의 표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킹층(24)은 중합 발포체 층을 포함한다. 백킹층(24)은 선택적으로 중합체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 발포체인지 중합체 필름인지에 대한 선택은 테이프(10)에 대한 특정 요구 조건에 따른다. 중합 발포체는 테이프(10)가 휠 웨이트 또는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휠(30)에 부착될 때 유용한 탄성 특성과 순응성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중합체 필름은 테이프(10)의 내력 강도와 파열 강도를 증가시키는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필름은 휠 웨이트(22)와 휠(30)이 모두 매우 원활할 때 보다 적절하다. 또한, 필름 및/또는 발포체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고체 접착제는 필름 또는 발포체를 2개의 접착층과 결합하는 대신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는 고무계 고체 접착제 및 아크릴계 고체 접착제가 있다.
도1b는 접착층이 도면 부호 33으로 지시되어 휠 웨이트(22)와 접촉하고 접착층이 도면 부호 35로 지시되는 휠(30)과 접촉하는 이중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a와 동일하다.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은 17로 지시된다.
도1c는 단일의 접착층(2)을 포함하는 것보다는 어느 한 측면 상에 코팅된 접착제를 갖는 백킹이 아니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b와 동일하다. 고체 접착층(2)의 어느 한 측면은 휠 웨이트(22)에 부착되고 접착층(2)의 다른 측면은 휠(30)에 부착된다.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은 19로 지시된다.
도1d는 다른 테이프(100)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a와 동일하다.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은 101로 지시된다. 도1d에 의하면, 테이프(100)는 감압 접착층(106)에 의해 다른 하나에 부착되는 중합 발포체 층(102)과 중합체 필름층(104)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는, 발포체 층(102)과 필름층(104)은 열 또는 공동 압출 등에 의해 다르게 적층될 수 있다. 중합체 필름층(104)은 특히 중합 발포체 층(102)이 상승하여 제거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백킹에 요구되는 것과 달리 특성이 부족한 경우에 테이프(10)의 내력 강도와 파열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필름층(104)의 포함은, 예컨대 순응성 및 탄성 특성을 최적화하도록 발포체 층(102)을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 넓은 범위를 허용한다. 발포체 층(102), 필름층(104) 및 감압 접착층(106)은 테이프(100)의 백킹을 구성한다. 또한, 발포체 층(102)과 필름층(104)은 테이프(100)를 휠 웨이트(22)와 휠 표면(30)에 부착하기 위해 코팅된 동일한 또는 다른 감압 접착 구성물의 접착층(108, 110)을 각각 가진다.
도2는 휠 웨이트(22)를 상승시키기 바로 전 상태의 도1a에 도시된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제품(3)과 휠(30)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3은 휠 웨이트(22)가 부분적으로 상승되고 접착층(28)이 휠 표면(30)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접합 해제된 상태인 도2와 유사한 확대 측면도이다.
내력 강도와 파열 강도를 동일하게 증가시키기 위해 중합체 필름층(104)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은 전술된 실시예에 필요한 상대적인 특성을 또한 나타내야하는 부직포 스크림, 플라스틱 메쉬 등과 같은 종래의 강화 스크림일 것이다.
도1e는 테이프(203)를 제외하고는 도1a와 동일하다.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은 211로 지시된다. 도1e에서, 백킹은 중합 발포체 층(204)과 중합체 필름층(206)을 자체에 포함하는 적층된 필름/발포체 층(202)을 포함한다. 임의 개수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다른 종래의 적층 방법 또는 공동 압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중합 발포체 층(204)과 중합체 필름층(206)이 서로 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필름층(208)은 감압 접착 조성체(210)에 의해 필름/발포체 층(202)에 더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필름/발포체 층(202), 중합체 필름층(208) 및 감압 접착 층(201)은 테이프 백킹을 구성한다. 발포체 층(204)과 필름층(206)은 테이프(200)를 휠 웨이트(22)와 휠 표면(30)에 부착하기 위해 동일한 또는 다른 접착 조성의 주요 표면 접착층(212, 214) 상에서 보유한다.
발포체 층(204)과 필름층(206)에 적절한 재료는 테이프 백킹에 통상 적절하고 전술된 특성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층(204)은 중합 발포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층(204)은 중합체 필름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다른 적절한 백킹 재료는 종이층 또는 종이 제품, 부직 웨브, 포일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1f는 테이프(300)를 제외하고는 도1a와 동일하다. 휠 웨이트 테이프 제품은 301로 지시된다. 테이프(300)는 중합 발포체 층(302), 중합 발포체 층(394) 및 중합체 필름층(306)을 구비하는 발포체/필름/발포체 적층체로 구성되는 백킹을 포함한다. 필름층(306)은 서로 유사하게 또는 다르게 발포체 층(302, 304)과 적층되어, 이와 공동 압출되고 또는 이에 부착될 수 있다. 발포체 층(302, 304)은 테이프(300)를 휠 웨이트(22)와 휠 표면(30)에 부착하기 위한 동일한 또는 다른 접착 조성의 그 주요 표면 접착 층(314, 312) 상에서 보유한다.
백킹은, 예컨대 발포체/필름/발포체 백킹이다.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는 발포체 층은 부착을 위한 각각의 표면에 대한 순응성과 탄성에 대해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최적화된다. 필름층은 신장률, 내력 강도 및 파열 강도를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1g는 테이프를 제외하고는 도1a와 동일하다. 도1g에서, 백킹은 중합체 필름층(515), 중합 발포체 층(516) 및 중합체 필름층(517)을 구비하는 필름/발포체/필름 적층체이다. 필름층(515, 517)은 통상 발포체 층(516)에 대향된 측면에 통상 적층되어 공동 압출되고 부착될 수 있다.
발포체 층(516)은 휠 웨이트(501)와 휠 표면(502)과 같은 표면에 접착층(510, 511)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순응성과 탄성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필름층(515, 517)은 신장률, 내력 강도, 및 파열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관점에서, 특정 적용예에 대해 최적화된 다양한 층을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통상, 필름이 내력 강도 및 파열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안, 발포체는 탄성력과 순응력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킹층의 구성요소에 대해, 결합된 백킹은 접합 해제 시에 파열되지 않도록 인장 강도가 충분해야 한다. 다른 재료들은 기계적 특성, 표면 마감 또는 해제 특성에 의해 선택되어야 한다. 보다 많은 층(필름, 발포체 등)이 적용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또한 알 것이다.
휠 표면(30)으로부터 휠 웨이트(22)를 제거하는 것이 도2 및 도3에 도시된다. 도2를 시작으로, 차동 양력(F)이 휠 웨이트(22)에 가해진다. 도2는 접착층(28)이 접합 해제되기 바로 전의 테이프(10)를 도시한다. 힘(F)이 연속적으로 휠 웨이트(22)에 가해짐에 따라,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착층(28)은 휠 표면(30)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접합 해제된다. 도3은 접착층(28)의 대향 단부를 향해 접착층(28)이 점진적으로 접합 해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웨이트(22)가 일 단부에서 상승됨에 따라, 접착층(28)은 휠 웨이트(30)로부터 떼어내져 접합 해제한다. 상승시키는 작업이 계속됨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접착층(28)은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3)을 완전히 해제시킨다.
백킹
백킹은 테이프가 고체 접착제일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테이프에서 필요하지 않다. 소성 백킹을 사용하는 본 발명 형태에 의해 유용한 테이프의 백킹에 중합 발포체 층 또는 고체 중합체 필름층에 적합한 재료의 대표적인 일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극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가소성 물질(plasticized) 및 비가소성 물질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올레핀계 공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및 그의 결합물을 구비한다.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임의의 소성 및 탄성 재료의 혼합물 또는 혼화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유용한 테이프의 소성 백킹에 사용하기 위한 중합 발포체 층은 약 32 내지 약 481㎏/㎥의 밀도(통상 2 내지 30lb/ft3)를 통상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유용한 테이프의 백킹의 소성 중합 발포체 층용으로 폴리올레핀 발포체가 바람직하다. 중합 발포체 층은 메세츄세스주 로렌스 소재의 세키수이 아메리카 코포레이션 디비젼의 상품명 보렉스트라 및 볼라라로 입수가능한 폴리올레핀 발포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유용한 테이프를 위한 백킹으로 적절한 탄성중합체 재료는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프렌(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폴리술피드 고무, 시스-1,4-폴리이소프렌, 에틸렌-프로필렌 삼원공중합체(EPDM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폴리이소부틸, 천연 고무, 아크릴 고무, 스틸렌 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고무 및 TPO 고무 재료를 구비한다.
고체 중합체 필름 백킹은 대부분의 양호한 재료들이 선형 저밀도 및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비배향된 상태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양호한 폴리에틸렌 필름은 일리노이주 쉠버그 소재의 콘솔리데이티드 써모플라스틱스 컴파니로부터 상품명 XMAX로 입수가능하다.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낮은 신장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이 백킹으로 유용할 것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백킹은 충분한 집적성이 처리가능하고 조작가능한 동안 전체 두께가 다를 수도 있고 웨이트가 휠로부터 상승됨에 따라 웨이트가 아니라 휠 표면으로부터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의 테이프를 접합 해제시키기 위한 특성에 대해 소정의 성능을 제공한다. 백킹용으로 선택되는 특정한 전체 두께는 백킹을 형성하는 중합 발포체 층 또는 중합 발포체 층들 및 임의의 고체 중합체 필름층의 물리적 특성에 의할 것이다.
도1a, 도1d, 도1e, 도1f 및 도1g의 구성에 포함되는 것과 같은 플라스틱 중합체 필름층은 약 0.01 내지 0.254mm(약 0.4 내지 10mil)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약 0.4 내지 0.15mm(약0.4 내지 6mil)의 두께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접착제
휠 웨이트와 접촉하는 접착층과 휠과 접촉하는 접착층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통상, 다를 것이다. 유사하던지 유사하지 않던지, 휠 웨이트와 접촉하는데 있어서 접착제의 휠 웨이트와의 접착 강도는 휠과 접촉하는데 있어서 접착제의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커야될 것이다.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 이는 휠 웨이트 테이프 제품을 아크릴 투명 코팅된 알루미늄 휠에 부착하고, 이어서 도2 및 도3에 기술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로부터 휠 웨이트를 상승시키는 것과 같이 제품을 제거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접착제의 접착 강도는 다수의 경우에 기판 특성이다. 동일한 접착제가 테이프의 어느 한 측면상에 사용된다면, 접착제의 휠 웨이트와의 접착 강도가 접착제의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크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접착층의 접착제는 특정 접착 특성이 테이프의 사용에 의하고 테이프의 양호한 접착 특성이 180도의 필 각도(peel angle)로 통상 약 40 내지 2000N/m(약 4 내지 200N/dm)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1000N/m(약 25 내지 100N/dm)의 범위이며 12.7cm/min의 필 비율 각으로 PSTC-1 및 PSTC-3 및 ASTM D 903-83에 의해 측정되는 상태인 임의의 감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높은 수준의 필 수준을 갖는 접착제는 통상 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백킹을 필요로 한다.
적절한 시험은 접착 테이프/휠 웨이트 구조 및 배치가 날씨 상태, 휠 회전, 부하 조건, 안전성 요건을 견디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입증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품에 적절할 수도 있는 감압 접착제는 천연 고무와 같은 가고무 접착제, 올레핀, 실리콘,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및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및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기타 합성 탄성 중합체와 같은 합성 고무 접착제, 및 이소옥틸아크릴 및 아크릴 산의 공중합체와 같은 진아크릴 접착제 또는 가아크릴 접착제를 구비하며, 이는 방사선, 용액, 현탁액 또는 유상액 기술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합성 고무 접착제 또는 아크릴이 바람직하다.
각 접착층의 두께는 백킹이 약 0.015 내지 1.0mm(약 0.6 내지 30mil)의 범위를 통상 사용할 때 약 0.025 내지 0.41mm(약 1 내지 16mil)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킹이 사용되지 않을 때, 고체 접착제 테이프의 전체 두께는 약 0.5 내지 2mm의 범위이다.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의 노출 접착층은 사용 전에 종래의 해제 라이너에 적층될 수도 있다.
하나의 중합 발포체 층을 다른 중합 발포체 층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는 전술된 감압 접착 조성체를 구비한다. 백킹의 하나의 중합체 층을 다른 중합체 층에 접합하기 위한 접착층은 두께가 약 0.025 내지 0.25 mm(1 내지 10mil)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백킹의 중합체 층을 다른 중합체 층에 접합하는 다른 방법은 공동 압출 또는 열 용접과 같은 이러한 종래의 방법을 구비한다.
백킹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테이프는 감압 접착 테이프를 준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제는 백킹 상에 직접 코팅될 수도 있고, 또는 개별 층으로 형성되어 후에 백킹에 적층될 수 있다.
휠 웨이트/휠
다양한 휠 웨이트는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휠 웨이트는 형상이 통상 대칭이고 휠 표면에 부착되려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 표면 또는 굴곡된 표면을 통상 가진다. 휠 웨이트는 통상 금속을 포함한다. 휠 웨이트는 납과 같은 고밀도 재료를 대부분 통상 포함한다. 대부분의 휠 웨이트는 통상 3차원의 사각형 형상이고 약 7 내지 85g(약 1/4 내지 3oz)로 무게가 다양하다.
제품이 부착될 수도 있는 휠은, 예컨대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을 포함할 수도 있다. 휠은 (아크릴 투명 코팅과 같은) 투명 코팅 또는 페인트 마감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휠의 다양한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이 자동차, 트럭, 밴, 오토바이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의 휠에 유용할 것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웨이트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통상, 하나의 웨이트 또는 다수의 웨이트부는 접착 테이프에 부착된다. 하나 이상의 개별 웨이트부를 단일 테이프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장식성 덮개/반사성 덮개
장식성 코팅, 필름, 또는 시트는 노출 휠 웨이트 표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일예는 반사성 시트이다. 다른 일예는 동형 필름이다. 다양한 반사성 시트는 휠 웨이트 표면에 적층될 수도 있다. 고밀도이고 다이아몬드급의 시트가 반사성을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휠 웨이트와 동형인 필름은 최고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제품을 휠에 부착하기
제품과 휠이 겪게 될 수도 있는 속도, 날씨, 잠재적 오염 상태 등의 하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휠에 제품이 부착되어 남아있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기 전에 본 발명의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을 적절하게 시험하는 관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테이프의 특정 구조, 즉 (있다면,) 백킹 형태, 접착 조성물(들) 형태, 및 (있다면,) 백킹의 상대 위치 및 접착층은 휠 웨이트의 크기, 겪게될 수도 있는 날씨 상태, 겪게될 수도 있는 오염, 제품이 부착될 수도 있는 차량 형태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휠 웨이트 테이프/제품은 크리닝되어 건조된 휠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도4에 의하면, 도1a의 제품(3)은 감압 접착층(26)에 의해 휠 웨이트(22)에 부착되고 감압 접착층(28)에 의해 휠(602)에 부착된다. 휠 웨이트(22)는 웨이트(22)가 휠(602)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상승될 수 있고 또는 들어올려 질 수 있다. 타이어는 600으로 지시된다.
도5는 차량(700)의 휠(706)에 부착된 본 발명의 도1a의 제품(3)을 도시한다. 타이어는 도면 부호 702로 지시된다.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종래의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접합된 휠 웨이트는 벽의 표면을 문지르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휠 웨이트를 부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휠 웨이트는 사용 중에 적소에 견고하게 보유될 수 있고 휠의 표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거나 잔여물을 상당히 남기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거될 수 있다.
백킹(24)의 대향 측면 상의 접착층(28)은 휠 웨이트(22)와 같이 통상 금속인 휠 표면(706)에 확실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3)을 사용하기 위해서, (도시되지 않은) 보호성 라이너는 휠 웨이트(22)에 대향되는 백킹(24)의 측면에서 접착층(28)을 노출시키도록 벗겨진다. 그런 후,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3)은 소정의 위치에서 휠(706) 상에 가압된다.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3)을 제거하기 위해서, 휠 웨이트(22)는 일 단부에서 시작하여 휠(706)로부터 통상 상승되거나 들어올려진다. 접착층(28)은 휠(706)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된다.
본 발명의 각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은 웨이트를 보유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17.8kg/m(15lb/in)를 초과하더라고 휠의 표면 상에 임의의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구성 요소들이 선택되어 제품이 겪게되는 원심력 또는 회전력 및 날씨 및 기타 환경 상태를 견딜 수 있는 것을 측정하도록 시험되어야 한다.
현재 사용 중인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은 견고한 접착 내구성을 제공하는 억압성 감압 접착제를 현재 사용한다. 그러나, 기판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열 건, 열 펌프 또는 온수로부터의) 열 및/또는 유기 용매 및/또는 공구를 이용한 문지르기를 사용한다. 열에 의한 제거는 유기 용매로 제거되어야 할 기판 상의 접착제의 찌꺼기를 여전히 남길 수도 있다. 용매와 벗기기 작업은 페인트 또는 기타 마감을 제거되어야 하는 표면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용매는 적당한 환기, 화재 방지, 저장 및 폐기처리에 대한 조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몇몇 방법들은 최소 온도 이상 또는 특정 온도 범위 내일 것이 요구된다. 또한, 문지르기 작업은 휠의 긁힘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은 억압성 접착제의 사용을 허용하지만, 보다 간단하고 용이한 제거 수단을 제공한다. 휠 웨이트는 전술된 바와 같이 휠 웨이트를 상승시킴으로써 휠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제거 방법은 세척되고 건조되고, 유기 용매와 관련된 환경, 건강, 저장 및 폐기처리 문제를 방지한다. 또한, 테이프는 휠 상에 접착 잔여물을 전혀 남기지 않고 휠에 페인트 및/또는 다른 코팅을 제거하는 휠 손상을 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사용자에게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게 한다. 테이프를 제거하면, 휠에 최소한의 손상을 미치거나 전혀 손상을 입히지 않을 것이고(통상 손상을 전혀 입히지 않음), 잔류 접착제는 아주 적게 남거나 전혀 남지 않을 것이다(통상 전혀 남지 않음).
휠 웨이트에 대한 적절한 부착을 제공하는 다수의 테이프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없고 휠 표면 상에 접착 잔여물을 남긴다. 너무 용이하게 제거가능한 종래의 테이프는 적절한 접착력을 제공하지 않아 사용 중에 분리되어 휠의 균형을 깨뜨린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테이프는, 예컨대 일 단부에서 웨이트를 상승시키도록 집게를 사용하여 휠로부터 휠 웨이트를 상승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고 휠과 접촉된 테이프 표면이 휠로부터 완전히 접합 해제될 때까지 상승 운동을 계속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용한 테이프는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사용 중에 적소에 확실하게 보유될 수 있고 접합되는 표면에 접착 잔여물을 남기지 않거나 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휠 웨이트는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집게 또는 기타 공구의 파지 능력을 돕는 만입부 및 또는 돌출부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 방법
접착 잔여물
휠 또는 기타 실험 표면 상에 남아있는 접착 잔여물의 양은 시각적으로 점검하여 측정되었다.
표면 손상
휠 표면 또는 기타 실험 표면의 손상 발생은 시각적으로 점검하여 측정되었다.
테이프 특성
결합 강도 대 접착 강도
테이프의 결합 강도가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크다는 것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서, 7.1g(1/4 oz) 납 무게와 같은 표준형 차량 휠을 선택할 수 있고, 측정을 하는 데에 세척하고 건조하는 파우더 코팅된 또는 (예컨대, 투명 코팅 알루미늄 휠과 같은) 투명 코팅된 알로이 자동차 휠과 같은 표준형 자동차 휠을 선택할 수 있다. 휠 웨이트는 테이프(제1 주요 표면인) 일 측면에 부착될 것이고 (테이프의 제2 주요 표면인) 테이프의 다른 측면은 세척되고 건조된 휠에 부착될 것이다. 그런 후, 테이프는 일단부에서 웨이트를 상승시켜서 웨이트가 휠로부터 자유로울 때까지 계속하는 차동 양력을 적용하여 도2 및 도3에 기술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로 휠 웨이트를 파지하여 일단부에 상승시킴으로써 제거될 것이다. 테이프의 결합 강도가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크다면 테이프가 갈라지거나 분리되지 않는 방법으로 테이프는 휠로부터 해제될 것이다.
이후의 비제한적인 일예는 본 발명의 휠 웨이트/테이프 및 그 사용을 더욱 더 기술할 것이다. 일예의 모든 부품, 백분율, 비율 등과 기타 다른 사항들은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다면 중량으로 표시된다.
예 1
휠 웨이트 테이프/제품은 다음과 같이 준비되었다. 메틸디프닐 디이오시아네이트(MDI) 경화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발포체 백킹이 제공되었다. 아크릴 접착제 90/10 이소옥틸 아크릴(IOA)/아크릴 산(AA)은 백킹의 일측면 상에 코팅되었다. (사각형 형상인) 백킹은 0.79mm(1/32in)의 두께, 1.8cm(15/16in)의 길이 및 1.2cm(1/2in)의 너비를 가졌다. 고무계 접착제는 백킹의 다른 일측면 상에 코팅되었다. 7.2g(1/4oz) 납 휠 웨이트는 1.2cm × 1.8cm (1/2in × 15/16in)의 면적과 0.3cm(1/8in)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공되었다. 휠 웨이트는 테이프의 고무 접착 코팅된 측면 상에 부착되었다. 테이프의 다른 측면은 페인트 코팅된 강판에 부착되었다. 페인트 코팅된 강판은 휠을 모의 시험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웨이트는 테이프에 의해 페인트 코팅된 강판에 확실하게 부착되었고 활주 또는 전단 모드의 수동 압력에 의해 해제될 수 없었다. 그러나, 웨이트는 집게를 사용한 상승 운동에 의해 페인트 코팅된 강판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고 깨끗하게 제거되었다. 테이프는 찢어지거나 분리되지 않고 휠 웨이트에 부착되어 남아있다. 테이프는 접착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페인트 코팅된 강판으로부터 깨끗하게 제거되었다. 어떠한 표면 손상도 페인트 코팅된 강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예 2
(예 1의 순서에 의해 준비되는) 휠 웨이트 테이프 제품은 회전 휠 시험 장치 상에 위치되었다. 제품은 세척되고 건조된 페인트 코팅된 강판 상에 위치되었다. 제품은 휠의 하방측 상에 위치되었다. 시험 장치는 타어어가 분당 820번의 회전을 하도록 설정되었다. 휠 웨이트 테이프는 4시간 후에 관찰되었고 여전히 휠에 부착되었다. 휠 웨이트 테이프 제품은 집게를 사용하여 휠 웨이트를 파지하여 일 단부에 양력을 가함으로써 제거되었고 휠 상에 접착 잔여물을 전혀 남기지 않았다.
테이프는 접착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가해진 휠 웨이트와 페인트 패널로부터 깨끗하게 떼어졌다. 휠의 표면 손상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본 발명의 사상과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당업계에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은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으로 이해할 것이다.

Claims (13)

  1. (a) 제1 주요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제2 주요 표면을 갖는 테이프와,
    (b) 상기 테이프의 제1 주요 표면에 접합되는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테이프의 제1 주요 표면이 상기 테이프의 제2 주요 표면의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충분히 큰 웨이트와의 접착 강도를 가지고 상기 테이프가 테이프의 제2 주요 표면을 통해 상기 휠에 확실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웨이트가 상기 휠로부터 상승될 때 상기 웨이트가 아니라 상기 휠로부터 접합 해제될 수 있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큰 결합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백킹을 포함하고, 상기 백킹은 제1 주요 표면과 제2 주요 표면을 가지고 감압 접착층을 상기 제1 및 제2 주요 표면의 각각에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은 소성 및 탄성 백킹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 발포체 층과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필름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은 중합체 필름, 중합 발포체, 중합 발포체에 적층된 중합체 필름 및 중합 발포체 층의 대향된 양 측면에 적층되는 2개의 중합체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고체 접착체의 단일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약 7 내지 85g의 금속 웨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납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9. 청구항 제1항에 의한 제품의 제2 주요 표면을 통해 접합되는 상기 제품을 갖는 휠을 포함하는 조립체.
  10. 청구항 제1항에 의한 제품의 제2 주요 표면을 통해 차량의 휠에 접합되는 상기 제품을 갖는 차량을 포함하는 조립체.
  11. (a) 제1 주요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제2 주요 표면을 가지는 테이프와, 상기 테이프의 제1 주요 표면에 접합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제품의 제2 주요 표면 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품을 휠에 접합하는 단계와,
    (b) 상기 제품의 제2 주요 표면 상의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품을 휠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테이프의 제1 주요 표면이 상기 테이프의 제2 주요 표면의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충분히 큰 웨이트와의 접착 강도를 가지고 상기 테이프가 테이프의 제2 주요 표면을 통해 상기 휠에 확실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웨이트가 상기 휠로부터 상승될 때 상기 웨이트가 아니라 상기 휠로부터 접합 해제될 수 있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휠과의 접착 강도보다 큰 결합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휠로부터 상기 웨이트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를 상기 휠과 상기 웨이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c)를 이어서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의 감압 접착제를 휠 상에 거의 남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휠로부터 상기 웨이트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를 상기 휠과 상기 웨이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의 감압 접착제를 휠 상에 전혀 남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6352A 1997-12-12 1997-12-12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 KR200100330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7/022929 WO1999031406A1 (en) 1997-12-12 1997-12-12 Wheel weight attach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000A true KR20010033000A (ko) 2001-04-25

Family

ID=2226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352A KR20010033000A (ko) 1997-12-12 1997-12-12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38121A1 (ko)
JP (1) JP2002508486A (ko)
KR (1) KR20010033000A (ko)
AU (1) AU5602598A (ko)
CA (1) CA2313235A1 (ko)
WO (1) WO199903140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164A (ko) * 2012-02-29 2017-10-10 웨그만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앤드 씨오 케이지 다층 접착 테이프를 가지는 밸런스 웨이트
KR102026057B1 (ko) * 2019-08-19 2019-09-26 소우섭 복합형 접착식 휠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220B1 (ko) * 2019-06-14 2019-11-04 소우섭 복합형 접착식 휠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7338B2 (en) * 2001-03-26 2003-04-15 Illinois Tool Works Inc. Individual segment adhesive correction weight
DE20307952U1 (de) * 2003-05-21 2004-03-04 Bettchen, Uwe Fahrzeugrad-Wuchtgewichtsstrang
DE102007050528A1 (de) * 2007-10-19 2009-04-23 Nuovakautschuk Gmbh Werkzeug, Verfahren und Werkzeugset zum Ablösen von Auswucht-Klebegewichten von Fahrzeugfelgen
RU2687002C1 (ru) * 2017-11-22 2019-05-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рыл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Локальный вибропоглотитель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3941A (en) * 1964-10-28 1966-09-20 Donald Gottwald Resiliently mounted wheel balancing weights
US4269451A (en) 1977-06-17 1981-05-26 Narang Rajendra K Wheel and tire balancing system
US4300803A (en) * 1979-09-14 1981-11-17 Plumbium Manufacturing Corporation Adhesive vehicle wheel weight and method
US4379596A (en) * 1979-09-14 1983-04-12 Speed Clip Manufacturing Corp. Superpositioned vehicle wheel balance weights and method
JPS58156612A (ja) 1982-03-12 1983-09-17 ギユンタ−・フエルスタ− 走行路のためのガイド制限装置
DE3331016A1 (de) * 1983-04-06 1984-10-11 Beiersdorf Ag, 2000 Hamburg Klebfolie fuer wiederloesbare klebbindungen
DE9013697U1 (ko) * 1990-06-26 1991-10-31 Nuovakautschuk Gmbh, 8499 Traitsching, De
FR2687747B1 (fr) * 1992-02-21 1997-06-06 Glaenzer Spicer Sa Masselotte d'equilibrage d'un organe de transmission de vehicule automobile.
DE9202618U1 (ko) 1992-02-28 1993-07-01 Koepcke, Gert, Enskede, Se
WO1995006691A1 (en) * 1993-08-31 1995-03-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foam adhesive tap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164A (ko) * 2012-02-29 2017-10-10 웨그만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앤드 씨오 케이지 다층 접착 테이프를 가지는 밸런스 웨이트
US10184543B2 (en) 2012-02-29 2019-01-22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Balancing weights with multi layer adhesive tape
KR102022220B1 (ko) * 2019-06-14 2019-11-04 소우섭 복합형 접착식 휠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26057B1 (ko) * 2019-08-19 2019-09-26 소우섭 복합형 접착식 휠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8121A1 (en) 2000-09-27
AU5602598A (en) 1999-07-05
WO1999031406A1 (en) 1999-06-24
JP2002508486A (ja) 2002-03-19
CA2313235A1 (en) 199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3626B1 (en) Wheel weight/tape article and a method of using
JP3667764B2 (ja) 保護接着物品
AU685159B2 (en) Removable foam adhesive tape
JP3878988B2 (ja) 調節された連続剥離を含む剥離可能接着テープ
JP5676081B2 (ja) 接着テープアセンブリ及び両面感圧性接着テープの適用方法
JP5652094B2 (ja) 成形品加飾用粘着シート
JP2015193259A (ja) 剥離可能なシートを有する落書き防止および/または環境保護物品、それにより保護された基板、並びに使用方法
RU2671068C1 (ru) Балансировочный груз с многослойной клейкой лентой и способ его удаления с обода колеса (варианты)
US7181875B2 (en) Stock material for trim caps
JPH01138284A (ja) 両面粘着テープ及びその使用方法
SK16122000A3 (sk) Výrobok indikujúci falšovanie na opätovne použiteľné substráty
GB2453309A (en) Protective sheet for exterior damage prevention
JP2008255185A (ja) 塗膜保護用シート
WO2008111663A1 (ja) ホイール貼着用粘着フィルム
JP2017132941A (ja) ショットピーニング工程用マスキングテープ
US20020090509A1 (en) Electrostatic sheets with adhesive
KR20010033000A (ko) 휠 웨이트 부착 시스템
JPH02293145A (ja) 接着成形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33038A (ko) 휠 웨이트/테이프 제품 및 그 사용 방법
JP2009280128A (ja) ホイール保護用フィルム
JPWO2007114450A1 (ja) 自動車ブレーキディスク用アンチラスト粘着フィルム
JP2001348544A (ja) カバーシート
JP3342977B2 (ja) 塗膜保護用シート
JP2009227746A (ja) ホイール保護用フィルム
AU5574899A (en) Masking tapes for pa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