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853A - 분산 보상 모듈 - Google Patents

분산 보상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853A
KR20010032853A KR1020007006180A KR20007006180A KR20010032853A KR 20010032853 A KR20010032853 A KR 20010032853A KR 1020007006180 A KR1020007006180 A KR 1020007006180A KR 20007006180 A KR20007006180 A KR 20007006180A KR 20010032853 A KR20010032853 A KR 20010032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rsion compensation
optical
wavelength
loss
sign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쿠노도시아키
이시카와신지
Original Assignee
오카야마 노리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야마 노리오,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야마 노리오
Publication of KR2001003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7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principle based on material dispersion
    • G02B6/2937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principle based on material dispersion in an optical light guide
    • G02B6/2937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principle based on material dispersion in an optical light guide coupling light guides for controlling wavelength dispersion, e.g. by concatenation of two light guides having different dispersion properties
    • G02B6/29377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principle based on material dispersion in an optical light guide coupling light guides for controlling wavelength dispersion, e.g. by concatenation of two light guides having different dispersion properties controlling dispersion around 1550 nm, i.e. S, C, L and U bands from 1460-1675 n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diffraction, e.g. grating
    • G02B6/29316Light guides comprising a diffractive element, e.g. grating in or on the light guide such that diffracted light is confined in the light guide
    • G02B6/29317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79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use of the complete device
    • G02B6/29392Controlling dispersion
    • G02B6/29394Compensating wavelength disp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04B10/2513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 H04B10/2519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using Bragg gra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04B10/2513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 H04B10/25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using dispersion-compensating fib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3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evanescent wave coupling
    • G02B6/29335Evanescent coupling to a resonator cavity, i.e. between a waveguide mode and a resonant mode of the cavity
    • G02B6/29337Cavities of the linear kind, e.g. formed by reflectors at ends of a light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전송로 속에서 발생하는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그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이 작아 광 전송 시스템으로의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구비한 분산 보상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은 신호 광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분산 보상 광 파이버 등의 분산 보상 수단과, 적어도 해당 분산 보상 수단에 있어서의 파장에 의존한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기 위한 손실 등화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분산 보상 모듈{Dispersion compensation module}
종래의 광 통신 시스템은 광 전송로로서 주로 전송용 광 파이버가 사용되며, 적당한 중계 간격마다 광 증폭기가 배치된 구성이 일반적이다. 광 증폭기는 신호 광이 전송용 광 파이버 속을 전파하는 동안에 감쇠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 파장의 신호 광 성분을 포함하는 WDM 신호 등의 신호 광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광 디바이스이다. 이 광 증폭기는 통상, 각 신호 광 성분의 광 파워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각 신호 광 성분 사이에서 생기는 이득 차를 저감하기 위한 등화부를 구비하며, 광 증폭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이득 등화 작용도 한다. 따라서, WDM 전송을 행할 경우에 있어서는, 광 증폭기는 이 WDM 신호의 각 신호 광 성분 각각을 대략 일정한 이득으로 광 증폭할 수 있다.
한편, 전송용 광 파이버로서는, 통상, 싱글 모드 광 파이버가 사용된다. 이 싱글 모드 광 파이버는 파장 1.55μm대(15O0nm 내지 1600nm)에서 양의 파장 분산(약 +17ps/nm/km)을 갖지만, 큰 파장 분산이 존재하면 WDM 신호의 펄스 파형이 무너져 수신 에러를 초래할 경우가 있다. 특히, 수 기가bit/sec 내지 수 기가bit/sec 정도로까지 고속화, 즉 고대역화가 진행하면, 파장 분산의 존재는 큰 문제가 된다. 그래서, 이 파장 분산을 보상하기 위해 분산 보상기가 광 전송로 중에 배치된 광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1997년 전자 정보 통신 학회 통신 소사이어티 B-10-70 및 동일 B-10-71을 참조). 또, 이 분산 보상기로서는, 예를 들면, 파장 1.55μm대에서 큰 음의 파장 분산(약 -90ps/nm/km)을 갖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가 사용된다.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WDM) 전송 등의 광 통신에 적합한 광 전송로 중에 설치되며, 해당 광 전송로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분산 보상 모듈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분산 보상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도 1a 중 화살표(A1)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파장 λ1내지 λ4)를 도시하는 도면,
도 1c는 도 1a 중 화살표(B1)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d는 도 1a 중 화살표(C1)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e는 도 1a 중 화살표(D1)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한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도 2a 중 화살표(A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파장 λ1내지 λ4)를 도시하는 도면,
도 2c는 도 2a 중 화살표(B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d는 도 2a 중 화살표(C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e는 도 2a 중 화살표(D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f는 도 2a 중 화살표(E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분산 보상 수단 혹은 손실 등화 수단에 적용 가능한 광 파이버의 일반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분산 보상 수단인 분산 보상 광 파이버의 굴절율 프로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4a는 분산 보상 수단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손실 등화 수단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해당 분산 보상 모듈 전체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2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3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4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5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6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 6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7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 7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8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 8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9 실시예 및 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a는 제 9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b는 제 9 실시예의 제 1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c는 제 9 실시예의 제 2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d는 제 9 실시예의 제 3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된 제 9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10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 1O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0a 내지 도 20f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이 적용된 광 전송 시스템 전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2Oa는 해당 광 전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Ob는 도 20a 중 화살표(A3)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파장 λ1내지 λ4)를 도시하는 도면,
도 2Oc는 도 20a 중에 화살표(B3)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d는 도 2Oa 중 화살표(C3)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Oe는 도 20a 중 화살표(D3)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Of는 도 20a 중 화살표(E3)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발명자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과제를 발견했다. 즉, 분산 보상기에 있어서,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각 신호 광 성분 사이의 전송 손실 불균일은 파장 의존성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 전송로 중의 광 증폭기(1)와 다음 단의 광 증폭기(2) 사이에 분산 보상기(3)가 설치된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광 전송로에서는, 광 증폭기(1)로부터 출력되는 WDM 신호에 있어서의 각 신호 광 성분(파장 λ1내지 λ4)의 광 파워는 일정하다고 하자.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광 성분이 광 증폭기(1)에 입력되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증폭된 신호 광 성분이 출력된다. 이 광 증폭기(1)로부터 출력된 신호 광 성분이 분산 보상기(3)에 입력됨으로써, 전송용 광 파이버의 파장 분산이 보상된다. 한편, 분산 보상기(3)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은 파장 의존성을 갖기 때문에, 분산 보상기(3)로부터 출력된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는 일정해지지 않는다(도 1d 참조). 또, 분산 보상기(3)로부터 출력된 신호 광 성분이 또한 광 증폭기(2)에 입력되어도, 광 증폭기(2)로부터 출력된 신호 광 성분(도 1e 참조)은 입력 시의 각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차가 포함된 상태에서 증폭되어버린다. 따라서, 송신국에서 수신국까지의 사이에 복수 개의 분산 보상기가 설치될 경우에는, 수신국에 도달하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차는 순차 누적하여 보다 커져버린다. 이렇게 수신국에 도달하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차가 크면, 신호 광 성분에 따라서는 S/N의 열화를 초래하여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분산 보상기를 삽입할 경우에는 광 전송 시스템 전체를 재설계하여 상술한 과제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광 전송로 중에서 발생하는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그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이 작아 광 전송 시스템으로의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구비한 분산 보상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은 각각의 중심 파장이 소정 파장대에 포함되는 1 또는 2이상의 신호 광 성분(WDM 신호에 포함된다)이 입사되는 입력단과, 해당 WDM 신호가 출사되는 출력단을 구비하며, 송신국과 수신국 사이 뿐만 아니라, 송신국과 중계기 사이, 중계기 사이, 중계기와 수신국 사이에 설치 가능하다. 또, 해당 분산 보상 모듈은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을 저감하도록,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의 광로 중에 배치된 분산 보상 광 파이버 등의 분산 보상 수단과, 적어도 해당 분산 보상 수단에 대해, 파장에 의존한 해당 분산 보상 수단의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기 위한 손실 등화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은 보상 대상에 의해 상기 WDM 신호의 파장 대역(예를 들면 15O0nm 내지 16OOnm)에 있어서 양 또는 음 중 어느 하나의 분산 슬로프를 갖는다. 더욱이, 보상 대상에 의해 이 분산 보상 수단의 분산은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 양 또는 음 중 어느 한 값을 취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은 더욱 광 증폭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중계기로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의 각 신호 광 성분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와, 상기 광 증폭기의 각 신호 광 성분의 파장에 의존하는 이득 불균일을 적어도 보상한다(손실 혹은 이득을 평탄화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은 상기 신호 광 성분을 각각 분파하는 분파기와, 해당 분파기에 의해 분파된 각 신호 광 성분을 합파하는 합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은 입사단과 분파기 사이에 있어서 큰 파장 대역의 분산 보상을 행함과 동시에, 분파된 각 신호 광 성분마다의 작은 파장 대역의 분산 보상을 행한다.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분파된 각 신호 광 성분의 광 파워를 조정한다. 또, 이 손실 등화 수단은 해당 분산 보상 모듈의 입사단과 분산 보상 수단 사이의 광로 중, 즉 각 신호 광 성분의 전파 방향에 대해,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의 전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당 분산 보상 모듈에 입력한 신호 광 성분은 손실 등화 수단에 각 파장에 따른 원하는 값만큼 감쇠시켜진 후에 분산 보상 수단에 입력하기 때문에, 분산 보상 수단에 있어서 비선형 광학 현상이 생기기 어려워, 신호 광 성분의 파형 열화가 회피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광 전송로 중의 파장 분산은 소정 부위에 적당히 배치된 분산 보상 수단에 의해 보상되는 한편, 분산 보상 수단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은 입사단과 분산 보상 수단 사이에 있어서 각 신호 광 성분마다의 광 파워를 조정하는 손실 등화 수단에 의해 보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천이 금속이 첨가된 코어 영역과 해당 코어 영역의 외주에 설치된 클래드 영역을 갖는 손실 등화 광 파이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손실 등화 광 파이버는 코어 영역 중에 첨가된 Cr 원소나 Co 원소 등의 천이 금속의 종류나 량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분산 보상 수단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도록 용이하게 설계된다.
또,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은 파장 1.3μm대에 영분산(零分散) 파장을 갖는 싱글 모드 광 파이버 혹은 분산 보상 광 파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전파 모드와 방사 모드를 결합하는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이 작성된 광 파이버를 포함한다. 이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은 소정 파장의 신호 광 성분만을 반사시키는 단주기 파이버 그레이팅과 명확히 구별되는 광 부품이다. 이러한 손실 등화 수단인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은 해당 분산 보상 모듈 전체의 전송 손실을 크게 열화시키지 않고 각 신호 광 성분 사이에 있어서의 손실 불균일의 평탄화가 가능해지고, 또, 넓은 파장 대역에 있어서 원하는 손실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분산 보상 수단인 광 파이버에 직접 손실 등화 수단인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이 형성된 구성은 해당 분산 보상 수단에 손실을 초래하는 접속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해당 접속부에 있어서의 손실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특성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파이버 융착형 커플러(파이버 커플러)를 포함한다. 특히, 이 파이버 커플러는 0.2dB 이하의 편파 의존 손실(PDL)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O.2dB을 넘는 PDL을 갖는 파이버 커플러에서는, 해당 PDL의 보상을 엄격히 제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1쌍의 광 파이버의 각 끝 부분을 융착 접속함으로써 얻어진 융착부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융착부에 있어서의 해당 1쌍의 광 파이버는 각각의 광 축이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융착 접속되어도 되고, 또 각각의 코어 영역이 외곡된 상태에서 융착 접속되어도 된다. 더욱이, 융착 접속되는 1쌍의 광 파이버 각각이 직경이 해당 융착부를 향해 확대되어 있는 코어 영역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져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적합하게 원하는 특성(파장 의존성이 작은 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30nm 내지 1565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0.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에르븀 첨가 파이버 증폭기(EDFA)에 있어서의 사용 파장 대역에서, 관련되는 값 이하로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를 억제함으로써, 수백 km에 걸쳐 양호한 전송 특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158Onm대의 WDM 전송에서는,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60nm 내지 1600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수백 km에 걸쳐 양호한 전송 특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10O0km를 넘는 장거리 광 전송에서는,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35nm 내지 1560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0.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75nm 내지 1595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1OOOkm를 넘는 장거리 광 전송으로 1O기가bit/sec 이상의 고속 전송인 경우, BER(Bit Error Ratio)이 1O-15이하의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50nm 내지 1560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2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75nm 내지 1585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0.2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정 모듈의 각 실시예를 도 2a 내지 도 4c, 도 5 내지 도 14, 도 15a 내지 도 15d, 도 16 내지 도 19 및 도 20a 내지 도 2Of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1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a에 있어서, 화살표(A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파장 λ1내지 λ4)는 도 2b에 도시되며, 화살표(B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는 도 2c에 도시되며, 화살표(C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는 도 2d에 도시되며, 화살표(D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는 도 2e에 도시되며, 화살표(E2)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는 도 2f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는 송신국(15)과 해당 송신국(15)으로부터 출사되어 소정의 전송로를 전파하여 온 신호 광 성분을 광 증폭하는 전단의 광 증폭기(1)와, 광 증폭기(1)의 출력단과 광학적으로 접속된 입력단(10a)을 갖는 분산 보상 모듈(10)과, 해당 분산 보상 모듈(1O)의 출력단(10b)과 그 입력단이 광학적으로 접속된 후단의 광 증폭기(2)와, 해당 광 증폭기(2)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을 수신하는 수신국(16)을 구비한 WDM 전송에 적합한 광 전송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10)은 분산 보상 수단인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와, 손실 등화 수단인 손실 등화기(12)를 구비하며, 이들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와 손실 등화기(12)는 각각 해당 분산 보상 모듈(10)의 입력단(1Oa)과 출력단(10b) 사이의 광로 중에 배치되며, 서로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는 이 분산 보상 광 모듈(10)이 삽입되는 광 전송로의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광 전송로로서 사용되는 싱글 모드 광 파이버는 양의 파장 분산 슬로프를 갖기 때문에, 해당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로서는, 음의 파장 분산 슬로프를 갖는 광 파이버가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이 제 1 실시예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는 도 3a에 도시된 광 파이버(3O0)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한다. 즉, 광 파이버(3O0)는 외경(a)의 코어 영역(310)과, 해당 코어 영역(310)의 외주에 설치된 외경(b)의 클래드 영역(320)을 구비한다. 특히, 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W형 굴절율 프로필(클래드 영역(320)이 굴절율이 다른 2층으로 구성된 디프레스트 클래드 구조를 갖는 굴절율 프로필)을 갖는다. 또한, 분산 슬로프는 소정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분산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의 기울기로 정의된다.
한편, 손실 등화기(12)는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 적어도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을 보상한다. 이 손실 등화기(12)로서, 예를 들면, 다층막 필터,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 패브리 페로 에탈론 등이 적합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특히, 도 4a는 분산 보상 수단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도 4b는 손실 등화 수단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도 4c는 해당 분산 보상 모듈 전체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의 전송 손실은 파장 1.55μm대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파장이 길수록 손실이 작다. 이에 대해, 손실 등화기(12)의 전송 손실은 도 4b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장이 길수록 손실이 커,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의 손실 파장 특성을 보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10) 전체의 종합 손실은 분산 보상 광 파이버(11) 및 손실 등화기(12) 각각의 전송 손실을 종합한 것으로, 도 4c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파장 의존성이 작게 되어 있다(파장마다의 손실 불균일이 작게 되어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2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20)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력단(20a)과 출력단(2Ob) 사이의 광로 중에 분산 보상 수단과 손실 등화 수단이 광학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제 2 실시예는 분산 보상 수단으로서 3단자 서큘레이터(21) 및 채프트 그레이팅(22)으로 이루어지는 파장 분산기(23)를 구비한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3단자 서큘레이터(21)는 단자(21A)에 입사한 광을 단자(21B)에 출력하고, 또, 단자(21B)에 입력한 광을 단자(21C)에 출력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한편, 채프트 그레이팅(22)은 3단자 서큘레이터(21)의 단자(21B)에 광학적으로 접속된 광 파이버의 광 도파 영역에 형성된 그레이팅으로, 전송로 중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3단자 서큘레이터(21) 및 채프트 그레이팅(22)으로 이루어지는 분산 보상기(23)의 입력단(2Oa)으로부터 입사한 WDM 신호는 우선 3단자 서큘레이터(21)의 단자(21A)에 입사하여 단자(21B)로부터 출사한다. 그리고, 채프트 그레이팅(22)에 있어서 각 신호 광 성분은 파장에 따라서 브래그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서 반사된다(브래그 반사). 채프트 그레이팅(22)의 소정 위치에서 반사된 각 신호 광 성분은 다시 3단자 서큘레이터(21)의 단자(21B)에 입사하여 단자(21C)로부터 출사한다. 즉, 입사단(2Oa)을 개재시켜 입사한 WDM 신호는 3단자 서큘레이터(21)의 단자(21A)에 입사하여 단자(21C)로부터 출사할 때까지 각 신호 광 성분의 파장에 따라서 전파 시간이 다르다. 따라서, 이 분산 보상기(23)는 해당 제 2 실시예의 분산 보상 모듈(2O)이 삽입되는 광 전송로의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을 보상한다.
손실 등화기(24)는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 적어도 분산 보상기(23)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이 손실 등화기(24)로서, 예를 들면, 다층막 필터,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 패브리 펠로 에탈론 등이 적합하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분산 보상 모듈(20) 전체의 종합 손실은 분산 보상기(23), 손실 등화기(24) 각각의 전송 손실을 종합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파장 의존성이 작아진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3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3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3O)도 입력단(30a)과 출력단(30b) 사이의 광로 중에 분산 보상 수단과 손실 등화 수단이 광학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분산 보상 수단으로서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31)와, 손실 등화 수단으로서의 손실 등화기(32)와, 광 증폭기(33)가 각각 광학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분산 보상 광 파이버(31)는 해당 분산 보상 모듈(30)이 삽입되는 광 전송로의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광 증폭기(33)는 입사단(3Oa)을 개재시켜 입사한 WDM 신호에 포함되는 각 신호 광 성분의 광 파워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광 디바이스로, 그 이득 특성은 반드시 파장에 대해 평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광 증폭기(33)로서는, 예를 들면 Er(에르븀) 원소가 첨가된 광 파이버(EDF:Erbium-Doped fiber)를 사용한 광 파이버 증폭기(EDFA:Erbium-Doped fiber amplifier)가 적합하다. 한편, 손실 등화기(32)는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 분산 보상 광 파이버(31)가 갖는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와, 광 증폭기(33)가 갖는 파장에 의존하는 이득 불균일을 동시에 보상한다(평탄화한다). 이 손실 등화기(32)도 예를 들면, 다층막 필터, 장주기 그레이팅, 패브리 페로 에탈론 등이 적합하다.
이 제 3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30) 전체의 종합 손실도 분산 보상 광 파이버(31) 및 손실 등화기(32) 각각에 있어서의 손실 불균일의 파장 의존성이나, 광 증폭기(33)에 있어서의 이득 불균일의 파장 의존성과 비교하여, 보다 파장 의존성이 작은 것이 된다.
제 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4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WDM 신호가 3파장의 신호 미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여, 그 3파장을 각각 λ1, λ2및 λ31〈λ2〈λ3)으로 한다.
이 제 4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40)도 입력단(40a)과 출력단(40b)을 가지며, 이들 입력단(40a)과 출력단(40b) 사이의 광로 중에 분산 보상 수단과 손실 등화 수단이 각각 광학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이 분산 보상 모듈(4O)은 WDM 신호를 각 신호 광 성분마다 분파하는 분파기(42)와, 이 분파기(42)에 의해 분파된 각 신호 광 성분을 합파하여 출력하는 합파기(48)를 구비한다. 더욱이, 분산 보상 모듈(40)은 분산 보상 수단으로서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 43 및 44)를 구비함과 동시에, 손실 등화 수단으로서 광 감쇠기(45 내지 47)를 구비한다.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는 분파기(42)의 입력 측(입력단(4Oa)과 분파기(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로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치드형 굴절율 프로필(중심의 고굴절율의 코어 영역 주위에 저굴절율 클래드 영역을 구비하는 굴절율 프로필)을 갖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가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광 전송로로서 사용되는 싱글 모드 광 파이버는 양의 파장 분산 슬로프를 가지고, 또,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도 양의 파장 분산 슬로프를 갖기 때문에,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는 3파장의 신호 광 성분 중 1파장(여기서는 중심 파장(λ2)으로 한다)의 신호 광 성분에 대해 주로 파장 분산을 보상할 수 있다. 단,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는 다른 파장(λ1및 λ3)의 신호 광 성분 각각에 대해서는 파장 분산을 완전히 보상할 수 없다.
한편,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로부터 출력된 WDM 신호는 분파기(42)에 의해 각 신호 광 성분마다 분파된다. 그리고, 파장(λ1)의 신호 광 성분은 광 감쇠기(45) 및 분산 보상 광 파이버(43)를 순차 전파하여 합파기(48)에 도달한다. 파장(λ2)의 신호 광 성분은 광 감쇠기(46)를 통과하여 합파기(48)에 도달한다. 파장(λ3)의 신호 광 성분은 광 감쇠기(47) 및 분산 보상 광 파이버(44)를 순차 전파하여 합파기(48)에 도달한다.
분산 보상 광 파이버(43)는 파장(λ1)의 신호 광 성분의 잔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로, 분산 보상 광 파이버(44)는 파장(λ3)의 신호 광 성분의 잔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즉, 분산 보상 광 파이버(43 및 44)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에 있어서 파장(λ1및 λ3)의 신호 광 성분 각각에 대해 다 보상할 수 없는 잔류 파장 분산을 보상한다. 또한, 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43 및 44) 각각도 매치드형 굴절율 프로필(도 3c 참조)을 갖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가 적용 가능하다. 광 감쇠기(45 내지 47)는 파장(λ1내지 λ3)의 신호 광 성분 각각의 광 파워를 조정하여, 합파기(48)에 의해 합파된 후의 3파장의 신호 광 성분의 광 파워를 평탄화한다.
이상과 같이, 이 제 4 실시예의 분산 보상 모듈(4P)은 파장(λ1)의 신호 광 성분에 대해서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 및 43)에 의해 분산 보상하고, 파장(λ2)의 신호 광 성분에 대해서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에 의해 분산 보상하며, 파장(λ3)의 신호 광 성분에 대해서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 및 44)에 의해 분산 보상한다. 또, 분산 보상 모듈(40)은 광 감쇠기(45 내지 47)에 의해 3파장(λ1내지 λ3)의 신호 광 성분 각각에 대해 광 파워를 조정하여, 전체적으로 각 신호 성분 사이의 이득 불균일 및/또는 이득 불균일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분산 보상 모듈(40)은 도 3b에 도시된 W형 굴절율 프로필을 갖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와 비교하여, 싸게 제조할 수 있는 매치드형 굴절율 프로필을 갖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를 분산 보상 수단에 포함되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 43 및 44)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각 광 파이버 사이의 접속 양태는 각종의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산 보상 광 파이버(41)는 합파기(48)의 출력 측(출력단(40b)과 합파기(48) 사이)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광 감쇠기(45 내지 47)는 각 신호 광 성분의 파장마다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감쇠 파장 특성을 갖는 1개의 광 감쇠기를 분파기(42)의 입력 측(입사단(40a)과 분파기(42) 사이) 혹은 합파기(48)의 출력 측에 설치해도 된다.
제 5 실시예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5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5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50)도 앞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력단(5Oa)과 출력단(50b)을 가지고, 이들 입력단(5Oa)과 출력단(5Ob) 사이의 광로 중에 분산 보상 수단과 손실 등화 수단이 각각 광학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이 분산 보상 모듈(5O),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손실 등화 수단인 손실 등화기(51)가 분산 보상 수단인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의 전단(입력단(50a)과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 제 5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는 해당 분산 보상 모듈(5O)이 삽입되는 광 전송로의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또, 손실 등화기(51)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에 있어서 파장에 의존하는 전송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분산 보상 모듈(5O) 전체의 종합 손실은 손실 등화기(51) 및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 각각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과 비교하여, 보다 파장 의존성이 작게 되어 있다.
더욱이,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손실 등화기(51)가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효과도 낸다. 즉,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에 입력하는 WDM 신호의 광 파워가 최대 허용치를 넘으면,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에 있어서 비선형 광학 현상이 생겨 각 신호 광 성분이 열화하기 때문에,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에 입력하는 WDM 신호의 광 파워는 최대 허용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손실 등화기(51)를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의 전단에 설치함으로써, 해당 분산 보상 모듈(50)의 입사단(50a)을 개재시켜 입사하는 WDM 신호의 광 파워는 상기 최대 허용치와 손실 등화기(51)에 있어서의 손실 값을 더한 값까지 허용되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경우, 상술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분산 보상 모듈(50)의 입사단(5Oa)을 개재시켜 입사되는 WDM 신호의 파워 마진이 증가하여, 분산 보상 광 파이버(52)에 있어서 비선형 광학 현상이 생기기 어려워, WDM 신호의 열화가 회피된다.
제 6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6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6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6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5O)도 앞의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력단(6Oa)과 출력단(60b)을 가지고, 이들 입력단(60a)과 출력단(6Ob) 사이의 광로 중에 분산 보상 수단과 손실 등화 수단이 각각 광학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특히, 분산 보상 모듈(6O)은 분산 보상 수단으로서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61)와, 손실 등화 수단으로서의 손실 등화 광 파이버(62)가 접속부(63)에 있어서 융착 접속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분산 보상 광 파이버(61)는 해당 분산 보상 모듈(6O)이 삽입되는 광 전송로의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한편, 손실 등화 광 파이버(62)는 기본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광 파이버(3OO)와 마찬가지로, 코어 영역(310)과 해당 코어 영역(310)의 외주에 설치된 클래드 영역(320)을 구비하며, Cr 원소나 Co 원소 등의 천이 금속이 적어도 코어 영역(310) 중에 첨가된 광 파이버이다. 이 코어 영역(310)에 첨가되는 천이 금속의 종류나 량이 적절히 선택됨으로써, 손실 등화 광 파이버(62)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61)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도록, 그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이 조절된다. 따라서, 해당 분산 보상 모듈(60)에서도 전체 종합 손실은 분산 보상 광 파이버(61) 및 손실 등화 광 파이버(62) 각각의 손실 불균일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파장 의존성이 작아진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 6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면 중, A100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61)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B10O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손실 등화 광 파이버(62)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C10O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61) 및 손실 등화 광 파이버(62)를 포함하는 해당 분산 보상 모듈(6O)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DCF)(61)의 전송 손실은 파장 1.55μm대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파장이 길수록 손실이 작다. 이에 대해, 손실 등화 광 파이버(62)는 코어 영역에 Co 원소가 농도 10ppm 정도 첨가된 싱글 모드 광 파이버로, 파장이 길수록 그 전송 손실이 크고, 또한 분산 보상 광 파이버(61)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을 보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6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60)의 전체 종합 손실은 분산 보상 광 파이버(61) 및 손실 등화 광 파이버(62) 각각의 전송 손해를 종합한 것으로, 파장 152Onm 내지 1570nm의 범위에서 손실 편차는 0.1dB 이하가 된다(각 구성 요소와 비교하여 파장 의존성이 작게 되어 있다).
제 7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7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7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7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70)도, 앞의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력단(70a)과 출력단(70b)을 가지고, 이들 입력단(70a)과 출력단(70b) 사이의 광로 중에 분산 보상 수단과 손실 등화 수단이 각각 광학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특히, 분산 보상 모듈(70)은 분산 보상 수단으로서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71)와, 손실 등화 수단으로서의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72)이 형성된 광 파이버(73)가 접속부(74)에 있어서 융착 접속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광 파이버(73)로서는, 파장 1.3μm대에 0분산 파장을 갖는 싱글 모드 광 파이버 혹은 분산 보상 광 파이버인 것이 적합하다.
분산 보상 광 파이버(71)는 해당 분산 보상 모듈(70)이 삽입되는 광 전송로의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72)은 광 파이버(73)의 적어도 코어 영역 중에 일정 주기의 굴절율 변화를 생기게 함으로써 얻어지며, 그 굴절율 변화의 주기가 수백 μm 정도의 장주기로, 광이 코어 영역을 전파하는 모드인 전파 모드와 광이 클래드 영역으로 방사되는 모드인 방사 모드를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72)은 그 굴절율 변화의 주기나 길이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면, 파장 152Onm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을 최소로 하는 한편, 파장 157Onm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을 최대로 하여, 분산 보상 광 파이버(71)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7 실시예의 분산 보상 모듈(70)도 전체 종합 손실은 분산 보상 광 파이버(71) 및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72) 각각 손실 불균일와 비교하여, 보다 파장 의존성이 작아진다. 이렇게 손실 등화 수단으로서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72)을 사용함으로써, 분산 보상 모듈(70) 전체 전송 손실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각 신호 광 성분 사이의 손실 불균일의 평탄화가 가능해진다. 또, 넓은 파장 대역에 있어서 원하는 전송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72)은 소정 파장의 신호 광 성분만을 반사시키는 단주기 파이버 그레이팅과 명확히 구별되는 광 부품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 7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 도면 중, A200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71)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B2O0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72)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C2OO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71) 및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72)을 포함하는 해당 분산 보상 모듈(7O)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DCF)(71)는 파장 1.55μm대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파장이 길수록 전송 손실이 작다. 이에 대해,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장주기(FG))(72)는 파장이 길수록 그 전송 손실이 크고, 분산 보상 광 파이버(71)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해당 분산 보상 모듈(70) 전체의 종합 손실도 분산 보상 광 파이버(71) 및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72) 각각의 전송 손실을 종합한 것으로, 파장 1520nm 내지 157Onm의 범위에서 전송 손실 편차는 0.1dB 이하가 된다.
제 8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8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8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8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80)도 앞의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력단(80a)과 출력단(8Ob)을 가지고, 이들 입력단(80a)과 출력단(80b) 사이의 광로 중에 분포 보상 수단과 손실 등화 수단이 각각 광학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특히, 분산 보상 모듈(80)은 분산 보상 수단으로서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에 직접 손실 등화 수단인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는 해당 분산 보상 모듈(80)이 삽입되는 광 전송로 중의 WDM 신호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은 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의 적어도 코어 영역 중에 일정 주기의 굴절율 변화를 생기게 함으로써 얻어지며, 그 굴절율 변화의 주기가 수백 μm 정도의 장주기로, 광이 코어 영역을 전파하는 모드인 전파 모드와 광이 클래드 영역으로 방사되는 모드인 방사 모드를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은 그 굴절율 변화의 주기나 길이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면, 파장 1520nm에서 전송 손실을 최소로 하는 한편, 파장 1570nm에서 전송 손실을 최대로 하여,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8 실시예의 분산 보상 모듈(80) 전체의 종합 손실도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의 전송 손실과, 작성된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에 기인한 전송 손실을 종합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파장 의존성이 작아진다. 이렇게 손실 등화 수단으로서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분산 보상 모듈(8O) 전체 전송 손실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각 신호 광 성분 사이의 손실 불균일의 평탄화가 가능해진다. 또, 넓은 파장 대역에 있어서 원하는 손실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 이 제 8 실시예에서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에 직접 손실 등화 수단인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을 형성했음으로써, 손실을 초래하는 접속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해당 접속부에 있어서의 손실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 8 실시예의 분산 보상 모듈(80)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면 중, A3O0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이 형성되기 전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C300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이 형성된 후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이 형성되기 전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 본래의 전송 손실은 파장 1.55μm대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파장이 길수록 손실이 작다. 이에 대해,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의 전송 손실은 파장이 길수록 손실이 크고,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 본래의 각 신호 광 성분 사이의 손실 불균일을 보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이 형성된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 즉 분산 보상 모듈(8O) 전체의 종합 손실은 분산 보상 광 파이버(81) 본래의 전송 손실 및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82)의 전송 손실을 종합한 것으로, 파장 152Onm 내지 1570nm의 범위에서 각 신호 광 성분 사이의 전송 손실 편차는 O.1dB 이하가 된다.
제 9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9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9 실시예 및 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a는 제 9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b는 제 9 실시예의 제 1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c는 제 9 실시예의 제 2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d는 제 9 실시예의 제 3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9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90)은 분산 보상 수단으로서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와,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가 융착부(93)에 있어서 융착 접속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분산 광 파이버(91)는 이 분산 보상 모듈(9O)이 삽입되는 광 전송로의 신호 광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을 보상하는 광 디바이스이다. 융착부(93)는 손실을 생기게 하지만, 그 파장 특성은 융착 접속 시의 가열 온도나 파이버의 가압량 등의 조건으로 달라지기 때문에, 그 융착 조건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해당 융착부(93)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을 조정할 수 있다.
융착부(93)의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의 코어 영역(91a)과,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의 코어 영역(92a)을 서로의 광 축(AX1, AX2)을 소정 간격(D) 만큼 벗어난 상태에서 융착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의 코어 영역(91b)과,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의 코어 영역(92b)에 각각 작은 외곡을 준 상태에서,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와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를 융착 접속해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의 코어 영역(91c)과,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의 코어 영역(92c)을 서로 융착부(93)를 향해 그 직경이 확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구체예는 각각 조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융착부(93)에 있어서 코어 영역의 만곡 직경을 확대시키거나 만곡 구조로 조합시켜도 된다. 이들 어느 경우에도, 분산 보상 모듈(9O) 전체적으로 파장 152Onm 내지 157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종합 손실 편차는 0.1dB 이하가 된다.
도 16은 제 9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과 파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DCF)(91)의 전송 손실은 파장 1.55μm대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파장이 길수록 손실이 작다. 이에 대해, 융착부(93)의 전송 손실은 파장이 길수록 손실이 크기 때문에,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을 보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분산 보상 모듈(90) 전체의 종합 손실은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 및 융착부(93) 각각의 전송 손실을 종합한 것으로, 파장 152Onm 내지 1570nm의 범위에서 손실 편차는 O.1dB 이하가 된다.
또, 융착부(93)에 있어서의 손실 불균일은 해당 융착부(93)에 있어서의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 및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 각각 사이의 광 축 어긋남 양에도 의존하는 것으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 접속 시에 광 축 어긋남 양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화살표(A400)로 나타낸 그래프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화살표(B40O)로 나타낸 그래프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와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와의 융착부(93)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화살표(C400)는 이 제 9 실시예의 분산 보상 모듈(9O) 전체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 및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 각각의 광 축을 서로 어긋나게 하여 융착 접속한 경우(도 15b 참조)의 해당 분산 보상 모듈(90)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 중, 화살표(A5OO)로 나타낸 그래프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또, 화살표(B5OO)로 나타낸 그래프는 광 축의 어긋남 양(D)이 제 1 값인 융착부(A)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화살표(C5O0)로 나타낸 그래프는 해당 융착부(A)를 갖는 분산 보상 모듈(9O) 전체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화살표(B55O)로 나타낸 그래프는 광 축의 어긋남 양(D)이 제 1 값과는 다른 제 2 값인 융착부(B)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하며, 화살표(C55O)로 나타낸 그래프는 해당 융착부(B)를 갖는 분산 보상 모듈(9O) 전체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의 코어 영역(91a)과 싱글 모드 광 파이버(91b)의 코어 영역(91b)과의 융착 접속에 있어서, 각각 광 축(AX1, AX2)의 어긋남 양이 변함으로써, 해당 분산 보상 모듈(9O) 전체에 있어서의 파장과 전송 손실과의 관계도 크게 변조한다. 이렇게, 융착부(93)에 있어서의 광 축 어긋남 양(D)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분산 보상 모듈(9O) 전체적으로, 파장 1520nm 내지 1570nm 범위에서 손실 편차는 O.1dB 이하가 된다.
또한, 이 제 9 실시예에서는,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와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를 융착 접속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융착부(9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분산 보상 광 파이버(91) 대신에 싱글 모드 광 파이버라도 되고, 싱글 모드 광 파이버(92) 대신에 분산 보상 광 파이버 또는 다른 광 파이버라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양자 사이의 융착부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을 조정함으로써, 분산 보상 모듈 전체에 있어서의 종합 손실의 파장 의존성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10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10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의 제 10 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제 1O 실시예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1O0)도 제 5 실시예(도 8)와 마찬가지로, 입력단(1OOa)과 출력단(1OOb) 사이의 광로 중에 분산 보상 수단과 손실 등화 수단이 광학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제 10 실시예는 분산 보상 수단으로서 분산 보상 광 파이버(1O1)와, 손실 등화 수단으로서 파이버 융착형 커플러(WDM 커플러)(102)를 구비한다. 이 WDM 커플러(1O2)는 O.2dB 이하의 편파 의존 손실(PDL)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분산 보상 광 파이버(1O1)는 도 19의 화살표(A6OO)로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파장이 길어질수록 전송 손실이 증가하는 파장 의존성을 갖는다. 한편, WDM 커플러(102)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은 도 19 중의 화살표(B6O0)로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파장이 짧아질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분산 보상 광 파이버(1O1)와 WDM 커플러(1O2)로 이루어지는 제 1O 실시예의 분산 보상 모듈(100)의 종합 손실도 이들 부재(102 및 102)의 전송 손실을 종합한 것으로, 도 19 중의 화살표(C6OO)로 나타낸 그래프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파장 의존성이 작아진다.
또한, 도 2O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이 적용된 광 전송 시스템 전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광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국(15)과 수신국(16) 사이의 전송로 중에는, 적어도 중계기로서의 광 증폭기(51O)와, 전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싱글 모드 광 파이버(52O)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5OO)이 적어도 배치되어 있다. 이 광 전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분산 모듈(5O0)은 적어도 전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WDM 신호의 입력단(500a)과 출력단(50Ob)을 구비하며, 해당 입력단(500a)과 출력단(5O0b) 사이의 광로 중에는, 각각 광학적으로 접속된 분산 보상 광 파이버(501)와 손실 등화기(5O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광 전송 시스템에서는, 분산 보상 모듈(5OO) 대신 상술된 제 1 실시예 내지 제 1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분산 보상 모듈(10 내지 100)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분산 보상 광 파이버(501)의 보상 대상은 전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싱글 모드 광 파이버(520) 뿐만 아니라, 해당 광 전송로 전체(예를 들면, 광 증폭기(51O) 등을 포함한다)라도 된다. 또, 손실 등화기(5O2)의 보상 대상은 적어도 분산 보상 광 파이버(501)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 증폭기(51O)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도 합쳐 보상하도록 해당 손실 등화기(502)를 설계해도 된다.
또한, 도 2O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화살표(A3)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파장(λ1내지 λ4))를 도 20b에 도시한다. 또, 화살표(B3)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 2OC에 도시하며, 화살표(C3)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 2OD에 도시하며, 화살표(D3)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 2Oe에 도시하며, 화살표(E3)로 나타낸 부위에 있어서의 WDM 신호를 도 2Of에 도시한다. 이들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 증폭기(51O)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과 분산 보상 광 파이버(5O1)에 있어서의 전송 손실의 파장 의존성이 역특성이기 때문에, 해당 광 전송 시스템 전체로서, 파장 의존성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보상 모듈에 있어서,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30nm 내지 1565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0.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에르븀 첨가 파이버 증폭기(EDFA)에 있어서의 사용 파장 대역에서, 관련되는 값 이하로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를 억제함으로써, 수백 km에 걸쳐 양호한 전송 특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1580nm대의 WDM 전송에서는,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6Onm 내지 1600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수백 km에 걸쳐 양호한 전송 특성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100Okm를 넘는 장거리 광 전송에서는,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35nm 내지 1560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0.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75nm 내지 1595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5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1OOOkm를 넘는 장거리 광 전송으로 1O기가bit/sec 이상의 고속 전송의 경우, BER(Bit Error Ratio)이 1O-l5이하의 양호한 전송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50nm 내지 156O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0.2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75nm 내지 1585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2d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실시예 각각에 있어서, 분산 보상 수단 및 손실 등화 수단의 접속 순서는 임의이다. 단, 제 5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손실 등화 수단이 분산 보상 수단의 전단에 설치될 경우에는, 분산 보상 모듈에 있어서의 입사 광 파워의 허용치를 증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에 의하면, 광 전송로 중에서 발생하는 소정 파장대의 파장 분산은 분산 보상 수단에 의해 보상되며, 적어도 분산 보상 수단에 있어서의 파장에 의존하는 손실 불균일은 해당 분산 보상 수단에 광학계에 접속된 손실 등화 수단에 의해 보상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광 전송로의 파장 분산이 보상되는 것 뿐만 아니라, 분산 보상 모듈 전체의 손실 불균일의 파장 의존성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 전송로 속을 전파하는 WDM 신호에 포함되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격차는 작고, 또, 각 신호 광 성분은 충분한 광 파워로 또한 양호한 S/N비로 수신국에 도달하기 때문에, 해당 수신국에 있어서의 수신 에러는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산 보상 모듈을 광 전송로 속에 삽입할 때에는, 광 전송로 전체를 재설계할 필요 없이, 광 전송로 속에 기존에 설치한 광 증폭기나 손실 등화기 등의 특성을 조정할 필요도 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각각의 중심 파장이 소정 파장대에 포함되는 1 또는 2이상의 신호 광 성분이 입사되는 입사단과 해당 신호 광 성분이 출사되는 출사단을 구비하고, 또한 해당 신호 광 성분이 전파하는 광 전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분산 보상 모듈로서,
    상기 입사단과 상기 출사단 사이의 광로 중에 배치되고, 또한 양의 분산 슬로프를 갖는 분산 보상 수단과,
    상기 입사단과 상기 출사단 사이의 광로 중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분산 보상 수단과 광학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분산 보상 수단에 대해 파장에 의존하는 해당 분산 보상 수단의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는 손실 등화 수단을 구비한 분산 보상 모듈.
  2. 각각의 중심 파장이 소정 파장대에 포함되는 1 또는 2이상의 신호 광 성분이 입사되는 입사단과 해당 신호 광 성분이 출사되는 출사단을 구비하고, 또한 해당 신호 광 성분이 전파하는 광 전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분산 보상 모듈로서,
    상기 입사단과 상기 출사단 사이의 광로 중에 배치되고, 또한 음의 분산 슬로프를 갖는 분산 보상 수단과,
    상기 입사단과 상기 출사단 사이의 광로 중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분산 보상 수단과 광학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분산 보상 수단에 대해 파장에 의존하는 해당 분산 보상 수단의 손실 불균일을 보상하는 손실 등화 수단을 구비한 분산 보상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은 상기 소정 파장대에 있어서 양의 분산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은 상기 소정 파장대에 있어서 음의 분산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단과 상기 출사단 사이의 광로 중에 배치되고, 또한 해당 입사단을 개재시켜 입사된 상기 신호 광 성분을 증폭하는 광 증폭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파장에 의존한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의 손실 불균일 및 상기 광 증폭 수단의 이득 불균일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광 성분을 각각 분파(分波)하는 분파기와, 해당 분파기에 의해 분파된 각 신호 광 성분을 합파(合波)하는 합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은 상기 입사단과 상기 분파기 사이의 광로 중, 상기 분파기와 상기 합파기 사이의 광로 중 및 상기 합파기와 상기 출사단 사이의 광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상기 입사단과 상기 분산 보상 수단 사이의 각 광로 중에 배치되며, 상기 분파된 신호 광 성분의 광 파워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상기 입사단과 상기 분산 보상 수단 사이의 광로 중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천이 금속이 첨가된 코어 영역과 해당 코어 영역의 외주에 설치된 클래드 영역을 갖는 손실 등화 광 파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전파 모드와 방사 모드를 결합하는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이 만들어진 광 파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보상 수단은 파장 1.3μm대에 영분산(零分散) 파장을 갖는 싱글 모드 광 파이버 및 분산 보상 광 파이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 보상 수단 중에는, 상기 손실 등화 수단으로서, 전파 모드와 방사 모드를 접합하는 장주기 파이버 그레이팅이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파이버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커플러는 0.2dB 이하의 편파(偏波) 의존 손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등화 수단은 1쌍의 광 파이버의 각 끝 부분을 융착 접속함으로써 얻어진 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에 있어서, 상기 1쌍의 광 파이버는 각각의 광 축이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융착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에 있어서, 상기 1쌍의 광 파이버는 각각의 코어 영역이 만곡된 상태에서 융착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접속되는 1쌍의 광 파이버 각각은 직경이 해당 융착부를 향해 확대되어 있는 코어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30nm 내지 1565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5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6Onm 내지 1600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5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35nm 내지 156O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5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75nm 내지 1595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0.5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5Onm 내지 1560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0.2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단으로부터 출사된 신호 광 성분 중, 적어도 파장 범위 1575nm 내지 1585nm에 그 중심 파장을 갖는 신호 광 성분 사이의 광 파워 편차는 O.2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보상 모듈.
KR1020007006180A 1997-12-08 1998-10-09 분산 보상 모듈 KR20010032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37169 1997-12-08
JP33716997 1997-12-08
JP98-86296 1998-03-31
JP8629698 1998-03-31
PCT/JP1998/004564 WO1999030445A1 (fr) 1997-12-08 1998-10-09 Module de compensation de la disper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853A true KR20010032853A (ko) 2001-04-25

Family

ID=2642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180A KR20010032853A (ko) 1997-12-08 1998-10-09 분산 보상 모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11637B1 (ko)
EP (1) EP1049275B1 (ko)
JP (1) JP4284866B2 (ko)
KR (1) KR20010032853A (ko)
CN (1) CN1246982C (ko)
AU (1) AU757249B2 (ko)
CA (1) CA2313051A1 (ko)
WO (1) WO19990304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295B1 (ko) * 2000-04-11 2007-08-14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분산 보상 광 화이버, 광 전송로 및 분산 보상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4691B1 (en) * 1998-09-24 2001-10-16 Lucent Technologies,Inc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reduced short wavelength loss
JP4240612B2 (ja) 1998-12-02 2009-03-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分散補償モジュール
US6853766B2 (en) 1998-12-02 2005-02-0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Dispersion-compensating module
TW518431B (en) 1999-07-19 2003-01-2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Scatter compensating system
JP2001197003A (ja) 2000-01-11 2001-07-19 Fujitsu Ltd 分散補償装置および方法
JP4592887B2 (ja) * 2000-08-07 2010-12-08 富士通株式会社 波長分散を補償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2054631A2 (en) * 2000-12-30 2002-07-11 University Of Rochester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chromatic dispersion
JP2002341157A (ja) * 2001-03-15 2002-11-27 Fujikura Ltd 波長多重伝送路およびこれに用いる分散補償光ファイバ
JP2003232952A (ja) * 2002-02-13 2003-08-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光ファイバを用いた光通信システム
US20030175032A1 (en) * 2002-03-15 2003-09-18 Ranalli Eliseo R. Planar device having an IIR tapped delay line for multiple channel dispersion and slope compensation
US20040000635A1 (en) * 2002-06-27 2004-01-01 Stephan Wielandy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for accumulated chromatic dispersion in a fiber optic transmission system
US7133619B2 (en) * 2002-07-10 2006-11-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module
JP4161808B2 (ja) * 2002-08-21 2008-10-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伝送システム
US8064771B2 (en) * 2005-06-30 2011-11-22 Infinera Corporation Active control loop for power control of optical channel group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43A (en) 1977-06-07 1979-01-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Variable light attenuator
JPH0537472A (ja) * 1991-07-31 1993-02-12 Fujitsu Ltd 光増幅装置
JPH05152645A (ja) * 1991-11-29 1993-06-18 Hitachi Ltd 光等化増幅器及びそれを用いた光フアイバ伝送システム
JPH08122531A (ja) 1994-10-25 1996-05-1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固定減衰器
JPH08220370A (ja) * 1995-02-13 1996-08-3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カプラ
US5550940A (en) 1995-02-24 1996-08-27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tapping filters employing long period gratings
JPH08237222A (ja) * 1995-02-27 1996-09-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伝送方式
JPH08271738A (ja) 1995-03-31 1996-10-18 Japan Energy Corp 光固定減衰器
EP0818088B1 (en) * 1995-03-31 2001-10-24 PIRELLI CAVI E SISTEMI S.p.A. Optical pre-amplifier
JPH08278523A (ja) * 1995-04-05 1996-10-22 Hitachi Ltd 光増幅装置
JP3327081B2 (ja) * 1995-12-04 2002-09-24 ケイディーディーアイ株式会社 光伝送システム
US6137604A (en) * 1996-12-04 2000-10-24 Tyco Submarine Systems, Ltd. Chromatic dispersion compensation i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JPH10276172A (ja) * 1997-03-28 1998-10-13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波長分割光処理装置およびこの波長分割光処理装置を用いた光通信伝送路
JP3969807B2 (ja) * 1997-10-20 2007-09-05 富士通株式会社 分散補償装置
KR100424772B1 (ko) * 1997-11-14 2004-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증폭기시스템
US6304691B1 (en) * 1998-09-24 2001-10-16 Lucent Technologies,Inc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reduced short wavelength loss
JP4240612B2 (ja) 1998-12-02 2009-03-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分散補償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295B1 (ko) * 2000-04-11 2007-08-14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분산 보상 광 화이버, 광 전송로 및 분산 보상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9275B1 (en) 2004-06-23
AU9459098A (en) 1999-06-28
US6611637B1 (en) 2003-08-26
CA2313051A1 (en) 1999-06-17
JP4284866B2 (ja) 2009-06-24
CN1281604A (zh) 2001-01-24
WO1999030445A1 (fr) 1999-06-17
CN1246982C (zh) 2006-03-22
EP1049275A4 (en) 2003-07-16
EP1049275A1 (en) 2000-11-02
AU757249B2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8289E1 (en) Chromatic dispersion compensation i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US5701194A (en) Amplifie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s capable of limiting variations in the output power
EP1202477B1 (en) Distributed optical amplifying apparatus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6191854B1 (en) Optical telecommunications system
EP1083446B1 (en) Optical transmission line, negative dispersion optical fiber used for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optical transmission line
US6034812A (en) Gain equalizer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having the gain equalizer
KR20010032853A (ko) 분산 보상 모듈
EP0935146A2 (en) Dispersion compensating fibers and systems
US5978131A (en) In-fiber two-stage amplifier providing WDM signal conditioning
EP1441454B1 (en) Optical amplifier having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function
EP0777347B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repeater
EP1764634A1 (fr) Fibre de compensation de la dispersion chromatique et de la pente de dispersion cumulées
GB2299473A (en) Broadband long-distance optical fibre communications
US6304691B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reduced short wavelength loss
US6349157B1 (en) Dispersion compensation optical fibre transmission
JP2000174700A (ja) 分散補償モジュール
KR20020012319A (ko) 분산 보상 시스템
Mukasa et al. Dispersion-managed transmission lines with reverse-dispersion fiber
JPH09167995A (ja) 光伝送路補償装置および光波長多重伝送システム
US6687443B2 (en) Optical fiber transmission line, optical cable,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20030169986A1 (en) Optical fiber, optical component, dispersion compensating fiber modul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EP0887956B1 (en) Optical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chromatic dispersion compensator
JP3889323B2 (ja) 減衰ファイバおよびこれを備えた分散補償ファイバモジュール
YAMAMOTO et al. Low Loss Optical Fibers for Terrestrial Long-Haul Networks, PureAdv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