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486A - 카드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카드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486A
KR20010032486A KR1020007005728A KR20007005728A KR20010032486A KR 20010032486 A KR20010032486 A KR 20010032486A KR 1020007005728 A KR1020007005728 A KR 1020007005728A KR 20007005728 A KR20007005728 A KR 20007005728A KR 20010032486 A KR20010032486 A KR 2001003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rd
electronic device
frame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끼따마끼
무까이지마가쯔또시
Original Assignee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로리 비. 키팅
아이오메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142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339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717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06353A/ja
Application filed by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로리 비. 키팅, 아이오메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루타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1003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4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카드형 전자기기는 직사각형을 한 틀 (5) 과 틀 (5) 의 상하면을 덮는 2 장의 커버 (6, 7) 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4) 를 구비한다. 커버 (6, 7) 의 긴 변측연부에 부분적으로 돌출시킨 돌출편 (10) 을 그 선단을 다른 쪽 커버 (6, 7) 를 향하여 구부리고, 또한 그 선단을 내주측으로 절곡함으로써, 대략 U 자형상의 걸림편 (11a, 11b) 을 형성한다. 한편, 틀 (5) 의 측면에 걸림편 (11a, 11b) 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오목부 (19a, 19b) 와, 이 오목부에 끼운 걸림편 (11a, 11b) 이 케이스 (4) 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걸어맞추는 걸림부 (20a, 20b) 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카드형 전자기기{card type electronic device}
포터블 컴퓨터 등의 정보기기는 기능을 부가하거나 처리 데이터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슬롯에 카드형 전자기기 (PC 카드) 를 장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카드형 전자기기에는 디스크형의 기록매체를 셀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가 장착된다.
이상과 같은 카드형 전자기기의 1 종래예를 도 14, 도 15 a 및 도 15 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드형 전자기기 (1) 는, PCMCIA (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규격의 타입 Ⅱ 에 준거한 외형치수를 갖는 케이스 (4) 를 구비한다. 케이스 (4) 는 금속제의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와 합성 수지제의 틀 (5) (도 15 a, 도 15 b 참조) 을 조합하여 형성된다.
케이스 (4) 의 내부에는, 카트리지 (17) 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자기기록 디스크 (52) 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재생기록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의 기구부 (도시하지 않음) 와 이들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 (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 (4) 의 전단부에는, 컴퓨터 (도시하지 않음) 에 설치된 커넥터에 걸어맞출 수 있는 커넥터 (2) 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4) 의 후단부에는 카트리지 (17) 를 카드형 전자기기 (1) 의 내부에 (즉, 케이스 (4) 의 카트리지 수납공간에) 삽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삽입구 (90) 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17) 는 디스크케이스 (95) 와, 디스크케이스 (95) 에 수납되어 디스크케이스 (95) 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얹어진 자기기록 매체로서의 자기기록 디스크 (52) 로 이루어진다.
카드형 전자기기 (1) 는, 도 14 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컴퓨터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고, 커넥터 (2) 는 그 컴퓨터에 설치된 핀과 걸어맞춘다. 또, 카트리지 (17) 는, 도 14 의 화살표 B 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트리지 삽입구 (90) 를 통과하여 카드형 전자기기 (1) 의 내부에 장전된다.
이 카드형 전자기기 (1) 는 전술한 바와 같이, PCMCIA 규격의 타입 Ⅱ 에 준거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외형치수 (폭 ×길이 ×두께) 는 54.0㎜ ×85.60㎜ ×5.0㎜ 이다.
또, PCMCIA 규격에 의하면, 케이스 (4) 를 구성하는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전단부 (후술하는 커넥터 수납부 (6b, 7b)) 및 좌우 양측 (후술하는 삽입 가이드부 (6d, 7d). 단, 하커버 (7) 의 삽입 가이드부 (7d) 는 도 14 에서는 보이지 않음) 에는, 중앙부 (후술하는 내부 구성요소 수납부 (6a, 7a)) 보다 0.8㎜ 내지 0.9㎜ 낮은 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또, 커넥터 (2) 의 칼등부(鍔部) (2a:후술) 의 두께 (도 15 a 의 T1) 와, 또한 컴퓨터의 슬롯에 삽입될 때의 가이드가 되는 상커버 (6) 의 삽입 가이드부 (6d) 와 하커버 (7) 의 삽입 가이드부 (7d) 와의 간격 (이 간격은 도 15 b 의 T1, 즉, 삽입 가이드부 (6d) 와 면이 일치한 커넥터 수납부 (6b) 와, 삽입 가이드부 (7d) 와 면이 일치한 커넥터 수납부 (7b) 와의 간격과 동일함) 은 모두 3.3㎜ (규격) 이다.
이와 같은 PC 카드에 있어서는,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3024721 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5-254286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하 커버의 주위부에 단 조임에 의한 주연부를 형성하고, 이 주연부의 내면을 틀 (5) 의 상하면에 접착 및 레이저 용접 또는 납땜 등으로 고착(固着)시키고, 상하 커버와 틀 (5) 을 조립하여 케이스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도 14 에 나타낸 카트리지 (17) 는, 내부에 자기기록 디스크 (52) 를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하는 등의 이유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이와 같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카트리지 (17) 를 상커버 (6), 하커버 (7) 및 틀 (5) 로 구성되는 케이스 (4) 의 내부에 수용하려면, 그 케이스 (4) 에 충분한 두께를 부여하지 않으면 안된다.
케이스 (4) 에 충분한 두께를 부여하려면, PCMCIA 규격으로 규정된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전단부 및 좌우측 양측부에 형성된 저단부 (즉, 커넥터 수납부 (6b, 7b) 와 삽입 가이드부 (6d, 7d)) 의 면적을 좁게 하여, 그 만큼 중앙의 높은 부분 (내부 구성요소 수납부 (6a, 7a)) 의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전단부 및 좌우측 양측부의 저단부는 틀 (5) 과의 접착면적으로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면적을 좁게 하는 것은 금속제의 커버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와 합성 수지제의 틀 (5) 과의 접착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되고, 그 때문에 금속제의 커버 (6, 7) 와 합성수지제의 틀의 결합력을 약화시킨다. 그 결과, PC 카드를 사용 중에 금속제의 커버 (6, 7) 가 틀 (5) 로부터 박리(剝離)되어 버리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또, 내부에 디스크형의 자기기록용 매체 (52) 를 수납한 카트리지 (17) 를 장착하는 타입의 PC 카드에서는 기구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점검을 위해 케이스 (4) 를 열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지만, 금속제 커버 (6, 7) 와 합성수지의 틀 (5) 을 용접 및 납땜으로 고착시키거나 강력하게 접착해 버리면 금속제 커버 (6, 7) 를 분리할 수 없게 되어 불편하다.
또한, 합성수지의 틀 (5) 로부터 금속제 커버 (6, 7) 를 무리하게 벗기려고 하면 케이스 (4) 에 큰 외력이 작용하여 내부의 구성요소를 파괴해 버릴 염려가 있다.
다음으로, 도 14 의 상커버 (6) 와 하커버 (7) 와의 사이에 커넥터 (2) 를 접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도 15 a 및 도 15 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커버 (6) 와 하커버 (7) 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두께 (t1) 가 0.20㎜ 정도의 얇은 SUS 판을 프레스 가공하고, 그 중앙부에 제 1 평탄부 (즉, 내부 구성요소 수납부 (6a, 7a)) 를, 또 그 전방부로부터 양측부에 걸쳐서 제 1 평탄부 보다도 내면측으로 한 단 들어가서 제 2 평탄부 (즉, 커넥터 수납부 (6b, 7b) 및 삽입 가이드부 (6d, 7d)) 를 형성한다.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각 제 1 평탄부간에서 기록재생 헤드체, 디스크 구동모터 등의 내부 구성요소가 수납된다. 따라서,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각 제 1 평탄부는 내부 구성요소 수납부 (6a, 7a) 가 된다.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각 제 2 평탄부는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에 대해 삽입 가이드가 되는 삽입 가이드부 (6d, 7d) 와, 커넥터 (2) 를 수납하는 커넥터 수납부 (6b, 7b) 로 이루어진다. 이들 삽입 가이드부 (6d, 7d) 와 커넥터 수납부 (6b, 7b) 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없고,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에 각각 제 1 평탄부 및 제 2 평탄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 공정으로, 면이 일치하게 형성된다.
한편, 커넥터 (2) 에 있어서, 상하 커버부재 (6, 7) 에 형성한 제 2 평탄부의 커넥터 수납부 (6b, 7b) 에서 외측으로 노출하는 부분 (칼등부 (2a)) 은 그 두께 (T1) 는 3.3㎜ (규격) 이고, 또 커넥터 수납부 (6b, 7b) 간에 수납되는 부분 (접합단부 (2b)) 은 그 두께 (T2) 는 2.8㎜ 정도이다. 따라서, 도 15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T1 과 T2 간의 단차 (T3) 가 0.25㎜ 가 된다.
또, 도 15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 (5) 의 판두께 (T4) 는 2.8㎜ 로 커넥터 (2) 에 형성된 접합단부 (2b) 의 두께 (T2) (= 2.8㎜) 와 일치한다.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에 각각 형성한 제 2 평탄부의 커넥터 수납부 (6b, 7b) 와 커넥터 (2) 의 접합단부 (2b) 및 틀 (5) 과의 고착은, 일반적으로 접착제 (38) 를 스크린인쇄법으로 도포하여 행하지만, 접착층의 두께 (t2) (접착재료) 는 0.05㎜ 내지 0.06㎜ 정도이고, 이 두께의 접착재료는 접착의 작업성도 좋고 필요로 하는 접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판두께 (t1) 에 접착재료 (t2) 를 포함한 치수 (= t1 + t2) 는 0.25㎜ 가 되고, 커넥터 (2) 에 형성된 상기 단차 (T3) 의 치수 (0.25㎜) 와 일치한다. 따라서, 커넥터 (2) 의 칼등부 (2a) 의 표면과,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에 형성한 제 2 평탄부인 커넥터 수납부 (6b, 7b) 의 표면과는 면이 일치하게 되어 커넥터 (2) 가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에 고착된다.
그러나, 전술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공간의 확장이 불가피해진다. 따라서,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각각의 판두께 (t1) 를 0.20㎜ 에서 0.15㎜ 까지 얇게 하여 수납 공간의 확장을 도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면, 내부 구성요소 (예를 들면 회로기판에 실장(室裝) 되는 전자부품 등) 를 수납하는 공간의 확장을 확보하면서 상커버 (6) 및 하커버 (7) 를 커넥터 (2) 에 접착하려면 접착재료 (t2) 를 0.05㎜ 내지 0.06㎜ 에서 0.1㎜ 의 범위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두께 1㎜ 의 접착재료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강도를 확보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커넥터 (2) 의 접합단부 (2b) 의 두께 (T2) (= 2.8㎜) 는 메이커에 따라 설정 치수가 상이하다. 예를 들면, T2 = 2.7㎜, 2.9㎜ 의 치수인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의 칼등부 두께 (T1 = 3.3㎜) (규격) 를 유지하면, 접착재료가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접착강도의 저하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드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커버 및 하커버의 판두께를 얇게 하여 내부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공간의 확장을 도모하고, 기기의 기능 향상이 가능하며, 또 커넥터의 설정 치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나아가 가공정도(精度)가 좋고 작업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포터블 컴퓨터 등의 정보기기에 장착하여 정보를 취하고, 또 제공할 수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그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카드형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커버와 하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낸 카드형 전자기기의 상면, 측면, 전면 및 후면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낸 카드형 전자기기의 틀 및 프레임플레이트를 상커버를 분리하여 비스듬한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 은 도 2 에 나타낸 카드형 전자기기의 틀 및 프레임플레이트를 하커버를 분리하여 비스듬한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상커버 및 하커버를 동일하게 도 1 에 나타내는 틀에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특히 그 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특히 그 케이스의 측면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카드형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 a 는 도 11 의 카드형 전자기기의 A-A 단면도이고, 도 13 b 는 도 11 의 B-B 단면도이다.
도 14 는 종래의 카드형 전자기기의 일례의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 a 는 도 14 의 카드형 전자기기의 긴 변을 따른 커넥터 근방의 단면도이고, 도 15 b 는 도 14 의 카드형 전자기기의 짧은 변을 따른 커넥터 근방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구성요소의 수납부가 되는 틀과, 틀의 상하면을 각각 덮는 상커버 및 하커버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구비한 카드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하 커버와 틀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한편, 필요에 따라 상 또는 하커버를 간단히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카드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적어도 한쪽 커버의 긴 변측연부에 대략 U 자형상의 걸림편을 형성한다. 이 걸림편은 커버의 긴 변측연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시킨 돌출편의 선단을 다른 쪽 커버를 향하여 구부리고, 또한 그 선단을 내주측으로 절곡함으로써 대략 U 자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틀의 측면에 상기 커버의 걸림편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오목부와, 그 오목부에 끼운 걸림편을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이 걸림편과 걸어맞추는 걸림부를 형성한다.
걸림편과 걸림부가 걸어맞춰지면 커버와 틀은 임시고정의 상태가 되고, 커버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탈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를 분리할 때는, 커버를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장착시와는 반대측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걸림편과 걸림부와의 걸어맞춤을 푸는 조작을 행하여, 걸림편을 오목부의 위치로 되돌린 후, 오목부로부터 걸림편을 뺀다.
본 발명의 카드형 전자기기는 또한 이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와 틀을 걸림편과 걸림부와의 걸어맞춤으로 임시고정된 후에, 상기 걸림편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슬라이드 저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커버와 틀과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다. 그 슬라이드 저지수단에는, 나사고정, 접착 또는 코킹 등이 포함된다. 단, 탈착을 필요로 하는 커버에 대한 경우는, 나사고정 및 약한 접착 등으로 슬라이드 저지수단을 구성하여 커버로부터 틀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드 저지수단을 케이스의 짧은 변측에 설치한다. 케이스의 짧은 변측은 긴 변측에 비해 나사고정 및 접착을 위한 영역을 크게 취하기 쉽고, 확실한 슬라이드 저지수단을 형성하기 쉽기 때문이다.
커버의 긴 변측연부에 단 조임에 의한 주연부를 형성하고, 그 연부의 선단연에 돌출편을 설치한다.
커버의 단 조임에 의한 연부의 선단측을 전장에 걸쳐 다른 쪽 커버를 향하여 구부린 절곡벽으로 형성하고, 그 절곡벽의 선단연에 상기 돌출편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또한 돌출편을 절곡벽의 선단연을 따라 내측으로 구부려 걸림편으로 한다.
상측면 커버의 절곡벽의 상하방향치수와 하면측 커버의 절곡벽의 상하방향치수에 상이함을 갖게 한다.
틀에 각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프레임플레이트를 아웃사트 성형 등으로 일체로 설치하고, 이 프레임플레이트에 자기적인 기록 및 판독을 행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넣는다.
틀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함과 동시에, 프레임플레이트가 아웃서트에 의해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상면의 커버와 틀을 슬라이드에 의해 임시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프레임플레이트의 상면측에 자기기록용 장치를 부착함과 동시에, 하면측에 회로기판을 배치한다. 자기기록용 장치는 복잡하고 미세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점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고, 그 때에 상면의 커버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해두면 점검 작업이 용이하다.
회로기판에 외부 정보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부착하고, 이 커넥터를 케이스의 한쪽의 짧은 변측으로 노출시킨다. 또, 케이스의 다른 쪽의 짧은 단변측으로 자기기록용 매체의 삽입구를 형성한다. 어느 쪽이든 종래의 PC 카드와 동일하고 취급하기 쉽다.
슬라이드 저지수단을 상하 케이스의 한쪽의 짧은 변측에 설치한다.
커버의 슬라이드 저지수단을, 분리를 예정한 고정수단 또는 분리를 예정하지 않은 고정수단으로 한다. 커버의 한쪽, 예를 들면 상면측 커버의 슬라이드 저지수단은, 분리를 예정한 고정수단으로 해두고, 점검시에 커버를 분리하기 쉽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또 하면의 커버를 틀체에 대해 확실한 고정을 함으로써 케이스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드형 전자기기 (1) 는 도 2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4) 와, 케이스 (4) 내부에 수납된 커넥터 (2), 회로기판 (3), 자기기록용 장치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4) 는 내부에 각 구성요소의 수납부를 형성하는 틀 (4) 과, 틀 (5) 의 상하면을 각각 덮는 금속제의 상커버 (6) 및 하커버 (7) 로 이루어진다.
카드형 전자기기 (1) 의 외형치수는 PCMCIA 타입 Ⅱ 의 규격에 따라, 그 상면 및 하면이 한변 54.0㎜, 다른 변 85.60㎜ 의 직사각형이고 두께는 5.00㎜ 이다.
상커버 (6) 및 하커버 (7) 는 두께 0.15㎜ 의 스테인리스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한다. 스테인리스판은 비교적 단단하고 얇은 판이라도 강성이 높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커버 (6) 및 하커버 (7) (또는, 상커버 (6), 하커버 (7) 및 틀 (5) 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4)) 에 대해 커넥터 (2) 가 장착되는 쪽을 전방으로 하고, 카트리지 (17) 를 받아들이는 입구 (탈착구 (18)) 가 있는 쪽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커버 (6) 및 하커버 (7) 는 그 전측단부에 약 10㎜ 폭의 단 조임에 의한 전연부(前緣部) (8) 를 형성하고, 그 좌우양측단부에 1 내지 1.5㎜ 폭의 단 조임에 의한 측연부 (8') 를 형성한다.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상기 전연부 및 좌우의 측연부를 제외한 중앙의 부분은 상기 전연부 (8) 보다 (동일하게 측연부 (8') 보다) 0.8 내지 0.9㎜ 높은 융기부 (9) (단 조임에 의한 융기부) 로 되어 있다 (도 3). 이 융기부 (9) 를 형성함으로써 구성요소의 수납부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전연부 (8) 및 좌우의 측연부 (8') 는 도 14, 도 15 a 및 도 15 b 에 나타내는 커넥터 수납부 (6b, 7b) 및 삽입 가이드부 (6d, 7d) 에 상당하고 융기부 (9) 는 내부 구성요소 수납부 (6a, 7a) 에 상당한다.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측연부 (8') 의 단연에 복수개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 개) 의 돌출편 (10) (도 1 에 점선으로 나타냄) 을 상호간에 적당한 간격을 두어 돌출형성한다. 돌출편 (10) 은 5 내지 6㎜ 의 폭을 갖고 도 1 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을 대향하는 커버방향으로 (즉, 상커버 (6) 의 돌출편 (10) 이면 하커버 (7) 쪽으로, 또 하커버 (7) 의 돌출편 (10) 이면 상커버 (6) 쪽으로) 틀 (5) 의 측면을 따라 구부리고, 또한 내측으로 구부려서 단면이 대략 U 자형상의 걸림편 (11a, 11b) 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커버 (6) 의 전연부 (8') 의 좌우측부에는 도 2 에 나나낸 바와 같이 나사삽입통과공 (12)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커버 (7) 의 후단연(後端緣)의 내측에는 그 전장에 걸쳐 케이스 (4) 의 후단면을 개폐가 자유롭게 막는 셔터 (13) 가, 내측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 2), 그 셔터 (13) 가 외측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기립벽(起立壁) (31) 이 설치되어 있다 (도 3). 셔터 (13) 는 항상 기립하여 기립벽 (31) 의 내면에 맞닿도록 탄성지지되어 있다.
틀 (5) 은 유리필러를 혼입하여 보강한 폴리카보네이트수지를 소재로 하고,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틀부 (14), 좌측틀부 (14'), 전틀부 (15), 및 후틀부 (16) 로 이루어진다.
전틀부 (15) 는 우측틀부 (14) 의 전단과 좌측틀부 (14') 의 전단과의 사이에 커넥터 (2) 를 끼워맞추기 위해, 커넥터 (2) 의 폭만큼 측틀부 (14, 14') 의 전단보다도 후퇴한 위치에 가설해 둔다. 또, 전틀부 (15) 의 하면에 커넥터 (2) 를 접속하는 회로기판 (3) 의 선단연을 중합(重合)할 수 있도록, 전틀부 (15) 의 두께 (상하방향의 치수) 는 측틀부 (14, 14') 의 그것보다 얇게 하고 있다. 단,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틀부 (15) 는 그 상면이 측틀부 (14, 14') 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오도록 가설되어 있다.
후틀부 (16) 는 카트리지 (17) (도 2, 도 4) 를 빼고 삽입하기 위한 탈착구 (18) 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두께 (상하방향치수) 를 측틀부 (14, 14') 의 그것보다도 얇게 하고, 하면을 측틀부 (14, 14') 의 하면에 맞추고, 또 셔터 (13) 의 회전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측틀부 (14, 14') 의 후단보다도 약간 전방의 위치에 가설해 둔다.
또한, 이 탈착구 (18) 는 카트리지 (17) 를 장착하지 않을 때는 하커버 (7) 의 셔터 (13) 로 폐쇄해 둔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 (5) 의 측틀부 (14, 14') 의 외측면에 상커버 (6) 의 걸림편 (11a) 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오목부 (19a) 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커버 (7) 의 걸림편 (11b) 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오목부 (19b) 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해 둔다.
상커버 (6) 는 그 걸림편 (11a) 을 측틀부 (14, 14') 의 오목부 (19a) 에 끼워맞춘 후, 상커버 (6) 를 후방으로 (도 1 의 화살표 (Y)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측틀부 (14, 14') 의 외측면에 형성한 걸림부 (20a) (후술) 에 걸어맞추게 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오목부 (19a) 의 개구 (걸림변 (11a) 을 받아들이는 입구) 는 측틀부 (14, 14') 의 상커버 (6) 의 걸림편 (11a) 의 대응위치보다도 전방으로 (도 1 의 화살표 (Y) 와 반대방향으로) 있는 거리로 이동한 위치에 형성해 둔다.
하커버 (7) 는 그 걸림편 (11b) 을 측틀부 (14, 14') 의 오목부 (19a) 에 끼워맞춘 후, 하커버 (7) 를 후방으로 (도 1 의 화살표 (Y')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측틀부 (14, 14') 의 외측면에 형성한 걸림부 (20b) (후술) 에 걸어맞추게 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오목부 (19b) 의 개구 (걸림변 (11b) 을 받아들이는 입구) 는 측틀부 (14, 14') 의 하커버 (7) 의 걸림편 (11a) 의 대응위치보다도 전방으로 (도 1 의 화살표 (Y') 와 반대방향으로) 있는 거리로 이동한 위치에 형성해 둔다.
이하에, 오른쪽의 측틀부 (14) 에 형성되는 오목부 (19a) 와 오목부 (19b) 의 위치관계를 설명한다.
오목부 (19a) 와 오목부 (19b) 는 측틀부 (14) 에 그 길이방향으로 (전후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로 배치한다. 이것은, 상커버 (6) 의 걸림편 (11a) 을 측틀부 (14) 의 오목부 (19a) 에 끼우고, 또 하커버 (7) 의 걸림편 (11b) 을 동일한 측틀부 (14) 의 오목부 (19b) 에 끼웠을 때 걸림편 (11a) 의 하면과 걸림편 (11b) 의 상면이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오목부 (19a) 와 오목부 (19b) 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틀부 (14) 의 상하방향 중간부위에서 연결해도 좋다.
또, 오목부 (19a) 에서 걸림부 (20a) 의 하면에 도달하는 걸림편 (11a) 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통로와, 또한 오목부 (19b) 로부터 걸림부 (20b) 의 상면에 이르는 걸림편 (11b) 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통로는 모두 측틀부 (14) 의 상하방향중간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1 개의 통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오른쪽의 측틀부 (14) 에 형성되는 오목부 (19a) 와 오목부 (19b) 의 위치관계는 왼쪽의 측틀부 (14') 에 형성되는 오목부 (19a) 와 오목부 (19b) 의 위치관계에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오목부 (19a) 및 오목부 (19b) 의 상커버 (6) 의 걸림편 (11a) 및 하커버 (7) 의 걸림편 (11b) 을 받아들이는 개구의 폭 (전후방향의 치수) 은 걸림편 (11a, 11b) 의 폭보다 약간 크게 해둔다.
틀 (5) 의 측틀부 (14, 14') 의 외측면에서의 상면쪽으로는 오목부 (19a) 의 후방으로 (도 1 의 Y 방향으로) 오목부 (19a) 에 인접하고, 상커버 (6) 의 걸림편 (11a) 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걸림부 (20a) 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다. 동일하게, 측틀부 (14, 14') 의 외측면에서의 하면쪽으로는 오목부 (19b) 의 후방에 오목부 (19b) 에 인접하여 하커버 (7) 의 걸림편 (11b) 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걸림부 (20b) 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다.
이들 걸림부 (20a, 20b) 는 대응하는 걸림편 (11a, 11b) 의 상하방향치수보다 약간 얇은 돌조(突條)이다. 오목부 (19a, 19b) 에 끼워진 걸림편 (11a, 11b) 을 측틀부 (14) 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걸림편 (11a, 11b) 은 걸림부 (20a, 20b) 와 걸어맞춰진다.
또, 걸림부 (20a, 20b) 의 후방에는 이들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공통의 스토퍼 (30) 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30) 는 걸림편 (11a, 11b) 이 그 이상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측틀부 (14, 14') 의 전단부 상면에는 상커버 (6) 의 나사삽입통과공 (12) 에 대응하는 나사고정공 (21)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
틀 (5) 의 내측에는 스테인리스제의 프레임플레이트 (22) 가 틀 (5) 과 일체로 몰드성형 (아웃서트성형) 되어 있다. 이 프레임플레이트 (22) 는 원형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자기기록용 매체 (자기기록 디스크 (52)) 를 셸 내에 수납한 카트리지 (17) 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카트리지 (17) 의 자기기록 디스크 (52) 를 회전운동시키는 디스크구동모터 (23) 와, 기록재생 헤드체 (24) 와, 탈착구 (18) 로부터 케이스 (4) 내에 진입한 카트리지 (17) 를 위치결정하여 지지하는 카트리지잠금기구 (25) 와, 그리고 카트리지 (17) 를 케이스 (4) 로부터 밀어내는 카트리지송출레버 (26) 등을 부착하고 있다.
디스크구동모터 (23) 는 프레임플레이트 (22) 의 후방부위에 형성한 제 1 함몰부 (32) (도 5, 도 6) 에 장착된다. 기록재생 헤드체 (24) 의 회전운동축 (24a) 은 프레임플레이트 (22) 의 전방부위에 형성한 제 2 함몰부 (37) (도 5, 도 6) 에 부착된다. 또, 프레임플레이트 (22) 상에서 기록재생 헤드체 (24) 의 측방에는 카트리지잠금기구 (25) 중의 이젝트기구 (60) 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프레임플레이트 (22) 상에서 기록재생 헤드체 (24) 의 후방에는 카트리지송출레버 (26) 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다.
프레임플레이트 (22) 의 전방부에서 우측틀부 (14') 에 가까운 부위에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27) 를 삽입통과하기 위한 투과공 (34) 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 (4) 에 카트리지 (17) 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는, 송출레버 (26) 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전운동하여 그 선단부가 디스크구동모터 (23) 의 상면영역에 도달한다. 그 결과, 상커버 (6) 를 송출레버 (26) 로 밑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상커버 (6) 가 위에서 눌려도 눌려부서지는 것이 방지된다.
회로기판 (3) 은 CPU 등의 제어장치를 실장하고 있다. PCMCIA 의 규격에 합치하는 커넥터 (2) 는 그 단자를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 (3) 의 전단연에 납땜됨으로써 회로기판 (3) 과 일체가 된다.
또, 회로기판 (3) 은 프레임플레이트 (22) 의 하면측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구동모터 (23) 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로기판 (3) 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 기록재생 헤드체 (24) 는 상기의 FPC (24) 를 통하여 회로기판 (3) 과 접속하고 있다.
카드형 전자기기 (1) 를 조립하려면, 우선 프레임플레이트 (22) 의 상면에 디스크구동모터 (23), 기록재생 헤드체 (24), 카트리지잠금기구 (25) 및 카트리지송출레버 (26) 등의 요소를 장착한다. 그리고, 틀 (5) 을 뒤집어서 프레임플레이트 (22) 의 하면에 절연시트 (28) 를 통하여 회로기판 (3) 을 중합시키고, 회로기판 (3) 과 디스크구동모터 (23) 및 기록재생 헤드체 (24) 를 접속한다.
또, 회로기판 (3) 의 전단부에 장착한 커넥터 (2) 를 측틀부 (14, 14') 의 전단간에 끼워맞추고 케이스 (4) 의 전단에 노출시킨다 (도 4).
다음으로, 틀 (5) 의 상면에 상커버 (6) 를 대고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편 (11a) 을 측틀부 (14, 14') 의 오목부 (19a) 의 입구에 합치시키고, 도 1 의 화살표 (X) 방향으로 (하측으로) 밀어넣어 오목부 (19a) 에 걸림편 (11a) 을 끼워맞춘다. 이어서 상커버 (6) 를 측틀부 (14, 14') 에 누르면서 도 1 의 화살표 (Y) 방향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러면, 상커버 (6) 의 걸림편 (11a) 은 케이스 (4) 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걸림부 (20a) 에 걸어맞추고 상커버 (6) 와 틀 (5) 과는 임시고정상태가 된다 (도 7).
하커버 (7) 는 동일하게 틀 (5) 의 하면에 대고, 걸림편 (11b) 을 측틀부 (14, 14') 의 오목부 (19b) 의 입구에 합치시키고, 도 1 의 화살표 (X') 방향으로 (상측으로) 밀어넣어 오목부 (19b) 에 걸림편 (11b) 을 끼워맞춘다.
이어서 하커버 (7) 를 측틀부 (14, 14') 에 누르면서 도 1 의 화살표 (Y') 방향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러면, 하커버 (7) 의 걸림편 (11b) 은 케이스 (4) 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걸림부 (20b) 에 걸어맞추고 하커버 (6) 와 틀 (5) 과는 임시고정상태가 된다 (도 7).
이때, 상커버 (6) 의 단 조임에 의한 전연부 (8) 의 내면에는 인쇄기술에 의해 감열타입의 풀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임시고정으로 한 다음에 전연부 (8) 를 140 내지 150℃ 로 가열하여 그 풀층을 녹이고, "박리가능" 한 약접착의 상태로 한다. 그리고, 상커버 (6) 의 전연부 (8) 의 내면을 약접착상태의 풀층을 통하여 커넥터 (2) 의 상면에 접착시킨다. 여기서 "박리가능" 이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박리되는 경우는 없지만, 점검 등으로 상커버 (6) 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즉, 분리를 예정하고 있기 때문에 "박리가능" 으로 하고 있다. 이 접착에 의해 상커버 (6) 의 전단부가 틀 (5) 의 상면으로부터 뜨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박리가능한 약접착에 의한 접착과 나사 (29) (도 2) 에 의한 고착이 상커버 (6) 의 걸림편 (11a) 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저지수단이 되고, 걸림편 (11a) 이 불규칙하게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또한 오목부 (19a)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하커버 (7) 의 전단부의 단 조임에 의한 전연부 (8) 의 내면은 거기에 감열성인 박리되기 어려운 강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하커버 (7) 의 전연부 (8) 의 내면과 커넥터 (2) 의 하면을 강접착제를 통하여 접착시킨다. 이 접착은 분리를 예정하지 않는 것으로 고착이 된다. 하커버 (7) 의 전단부는 이 접착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뜨는 것이 방지된다.
또, 이 강접착제에 의한 접착은 걸림편 (11b) 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방지하는 슬라이드 저지수단이 되고, 걸림편 (11b) 이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또한 오목부 (19b)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프레임플레이트 (22) 상에 장착된 디스크구동모터 (23), 기록재생 헤드체 (24), 카트리지잠금기구 (25), 카트리지송출레버 (26) 등을 점검할 때에는, 우선 나사 (29) 를 뺀다. 그러면, 상커버 (6) 와 틀 (5) 과의 접착은 비교적 용이하게 벗길 수 있기 때문에, 상커버 (6) 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걸림편 (11a) 을 길이방향 전방으로 (도 1 에서 Y 방향과 반대방향)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오목부 (19a) 를 따라 상측 (도 1 에서 X 방향과 반대방향) 으로 뺌으로써 상커버 (6) 를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플레이트 (22) 의 상면이 노출된다.
또한, 점검이 종료하면, 일단 분리시킨 상커버 (6) 의 전부 (8) 의 내면에 약접착제를 도포하고, 다시 틀 (5) 의 상면에 부착한다. 또한, 상커버 (6) 가 분리시에 변형되어 버릴 경우에는 새로운 상커버 (6) 를 동일하게 하여 부착하면 된다.
또한, 하커버 (7) 도 상커버 (6) 와 동일하게 나사와 약접착제에 의해 틀 (5) 에 분리가 가능하게 (분리를 예정하고) 고정해 두면 프레임플레이트 (22) 의 하면측의 점검도 용이해진다.
또, PCMCIA 타입 Ⅱ 의 PC 카드에서는 전단부의 두께를 중앙부보다도 얇게 하기 위해,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전단부에 단 조임에 의한 전연부 (8)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커버 (6, 7) 를 탈착할 때, 전연부 (8) 가 틀 (5) 에 걸리지 않도록 상커버 (6) 및 하커버 (7) 를 후방 (도 1 의 화살표 (Y) 및 화살표 (Y') 방향) 으로 슬라이드시켜 걸림편 (11a 및 11b) 과 걸림부 (20a 및 20b) 를 걸어맞추고 있다. 그러나, PC 카드가 단 조임에 의한 연부 (8) 를 형성하고 있지 않을 경우는 상커버 (6) 또는 하커버 (7) 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걸림편 (11a 및 11b) 과 걸림부 (20a 및 20b) 를 걸어맞추게 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8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4) 의 측면에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즉, 금속제의 상커버 (6) 는 좌우의 측연부 (8') 로 전장에 걸쳐 하측으로 구부려진 절곡벽 (수직벽) (35) 을 구비한다. 이 절곡벽 (35) 에 이 벽 (35) 의 선단선 (L1) 보다도 더욱 하측으로 돌출한 돌출편을 3 곳에 설치하고, 이 돌출편을 상기의 선단선 (L2) 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함으로써 단면 대략 U 자형상의 걸림편 (11b) 을 형성하고 있다.
동일하게, 금속제의 하커버 (7) 는 좌우의 측연부 (8') 로 전장에 걸쳐 상측으로 구부려진 절곡벽 (수직벽) (36) 을 구비한다. 이 절곡벽 (36) 에 이 벽 (36) 의 선단선 (L2) 보다도 더욱 상측으로 돌출한 돌출편을 3 곳에 설치하고, 이 돌출편을 상기의 선단선 (L2) 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함으로써 단면 대략 U 자형상의 걸림편 (11b) 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커버 (6) 의 절곡벽 (35) 에서, 돌출편이 (즉 걸림편 (11a)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선단가장자리(하단가장자리) 은 걸림편 (11a) 의 하면과 선단선 (L1) 에서 일치하기 때문에, 상커버 (6) 의 측면은 그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정 높이의 연속적인 절곡벽 (35) 으로 되어 있다.
하커버 (7) 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그 절곡벽 (36) 에서 돌출편이 (즉 걸림편 (11b)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선단가장자리(상단가장자리) 은 걸림편 (11b) 의 상면과 선단선 (L2) 에서 일치하기 때문에, 하커버 (7) 의 측면은 그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정 높이의 연속적인 절곡벽 (36) 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편 (10) 을 절곡가공하여 걸림편 (11a, 11b) 을 형성하기 쉽도록, 돌출편 (10) 의 양측에 절곡벽 (35, 36) 부분을 향하여 칼집을 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커버 (6) 에서의 절곡벽 (35) 의 폭 (A) 을 하커버 (7) 에서의 절곡벽 (36) 의 폭 (B) 의 약 반 (A ≒ B/2) 으로 하고 있다.
측틀부 (14, 14') 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의 그들과 거의 동일하고, 각각 상커버 (6) 및 하커버의 걸림편 (11a 및 11b) 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오목부 (19a 및 19b) 와 걸림편 (11a 및 11b) 을 걸어맞추는 걸림부 (20a 및 20b) 를 구비한다.
단, 틀 (5) 에 상커버 (6) 및 하커버를 부착하여 케이스 (4) 를 구성한 상태에서는 그 케이스 (4) 의 길이방향 측면은 상커버 (6) 의 절곡벽 (35) 과 하커버 (7) 의 절곡벽 (36) 에서 그 전면이 거의 덮인 상태가 된다 (도 10). 이 결과, 케이스 (4) 의 측면에는 요철이 없고, 정보기기 등의 슬롯으로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다.
포터블 컴퓨터의 슬롯에는 그 내부측벽에 거기에 받아들인 카드형 전자기기 (1) 의 GND 를 취하기 위한 스프링 (도시하지 않음) 등이 돌출하고 있다. 이 GND 용의 스프링은 상기한 상커버 (6) 의 절곡벽 (35) 과 하커버 (7) 의 절곡벽 (36) 에서 그 측면 전체가 거의 덮인 케이스 (4) 와 접촉할 때 걸림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카드형 전자기기 (1) 의 케이스 (4) 와의 안정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GND 용의 스프링은 슬롯의 내부측벽의 높이방향 (두께방향) 의 거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거기서, 상커버 (6) 의 절곡벽 (35) 의 폭 (A) 과 하커버 (7) 의 절곡벽 (36) 의 폭 (B) 을 상이하게 해두면 GND 용의 스프링은 상커버 (6) 의 절곡벽 (35) 이나 하커버 (7) 의 절곡벽 (36) 중 어느 한쪽 (폭이 큰 쪽의 절곡벽) 에 대향하고, 상커버 (6) 의 절곡벽 (35) 과 하커버 (7) 의 절곡벽 (36) 과의 간격 또는 경계에는 대향하지 않는다. 따라서, GND 용위 스프링은 카드형 전자기기 (1) 의 케이스 (4) 와의 더욱 안정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카드형 전자기기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11 내지 도 13 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커버 (6) 및 하커버의 판두께를 얇게 하여 내부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공간을 그 만큼 크게 했을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커넥터 (2) 의 상커버 (6) 및 하커버 (7) 간으로의 장착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커버 (26) 는 판두께 (t1) 가 0.15㎜ 의 얇은 SUS 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도 14 내지 도 15 b 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기술과 같이, 그 중앙부에 제 1 평탄부를, 또 전방부로부터 양측부에 걸쳐 제 1 평탄부보다도 내면측에 한 단 들어간 제 2 평탄부를 형성한다. 제 1 평탄부는 내부 구성요소 수납부 (6a) 가 되고, 제 2 평탄부는 커넥터 수납부 (6b) 및 삽입 가이드부 (6d) 가 된다.
상기 종래예에서는 상커버 (6) 는 판두께 (t1) 가 0.20㎜ 의 것을 사용하지만, 본 예의 상커버 (6) 는 그보다도 0.05㎜ 얇은 0.15㎜ 의 것을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의 상커버 (6) 는 더욱 그 제 2 평탄부 (커넥터 수납부 (6b)) 의 내면측에 상커버 (6) 의 판두께를 얇게 한 것 (0.05㎜) 만큼 들어간 제 3 평탄부 (커넥터 접합부 (6c)) 를 형성한다. 그렇게 하여, 그 제 3 평탄부의 내면측과 커넥터를 접착제로 고착한다.
이상은 상커버 (6) 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지만, 하커버 (7) 도 상커버 (6) 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한다. 즉, 하커버 (7) 도 0.15㎜ 의 얇은 SUS 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 1 평탄부, 제 2 평탄부 및 제 3 평탄부를 형성한다.
한편, 외부접속용의 커넥터 (2) 는 종래예와 동일한 치수이다. 즉, 칼등 (2a) 의 두께 (T1) 는 3.3㎜ (규격), 상커버 (6) 의 제 2 평탄부 (커넥터 수납부 (6b)) 와 하커버 (7) 의 제 2 평탄부 (커넥터 수납부 (7b)) 와의 사이에 삽입되는 접합단부 (2b) 의 두께 (T2) 는 2.8㎜ 이다. T1 과 T2 와의 단차 (T3) 는 0.25㎜ (= (3.3-2.8)/2) 가 된다.
또, 틀 (5) 의 판두께 (T4) 는 종래의 틀 (5) 의 판두께 (T4) (= 2.8㎜) 보다 0.1㎜ (편측 0.05㎜) 두껍운 2.9㎜ 가 된다.
상커버 (6) 의 커넥터 수납부 (6b) (및 커넥터 수납부 (6b) 와 면이 일치한 삽입 가이드부 (6d)) 의 외표면으로부터 하커버 (7) 의 커넥터 수납부 (7b) (및 커넥터 수납부 (7b) 와 면이 일치한 삽입 가이드부 (7d)) 의 외표면까지의 간격은 상하커버 (6, 7) 의 두께 (t1 ×2 = 0.3㎜) 와 접착재료 (t2 ×2 = 0.1㎜) 와 틀 (5) 의 두께 (T4 = 2.9㎜) 를 합계한 값 (3.3㎜) 이 된다. 이 값은 커넥터 칼등 (2a) 의 두께 (T1) (= 3.3㎜) 와 동등하다.
따라서, 커넥터 (2) 의 칼등부 (2a) 의 상하면과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에 형성한 제 2 평탄부인 삽입 가이드부 (6d, 7d) 및 커넥터 수납부 (6b, 7b) 의 표면의 면이 일치하게 된다.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커넥터 수납부 (6b 및 7b) 는 종래와 동일하게 커넥터 단자 (2d) 및 회로기판 (3) 등을 위한 수납공간을 충분히 형성할 수 있다.
또,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제 3 평탄부는 커넥터 (2) 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 접합부 (6c, 7c) 가 된다.
또한,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평탄부인 커넥터 접합부 (6c, 7c) 는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커넥터 수납부 (6b 및 7b) 의 선단부 중앙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평탄부는 상기 커넥터 수납부의 선단부의 좌우 양단부와 또한 상기 제 3 평탄부의 후방에 형성된다.
커넥터 가이드부 (6e, 7e) 는 도 13 b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커넥터 접합부 (6c, 7c) 보다도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판두께를 얇게 한 것 (t3) (= 0.05㎜) 만큼 외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접착재료 (t2) 를 0.05㎜ 로 하기 위해, 틀 (5) 의 두께를 상하 각각 0.05㎜ 증가시켜 틀 (5) 의 두께 (T4) 를 2.9㎜ 로 하고 있다.
커넥터 가이드부 (6e, 7e) 는 커넥터 접합부 (6c, 7c) 보다도 커버 부재의 판두께를 얇게 한 것 (t3) (= 0.05㎜) 만큼 외면측으로 돌출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커넥터 가이드부 (6e 와 7e) 간의 거리는 삽입 가이드부 (6d, 7d) (도 12) 의 두께와 동일한 값이 되고 규격으로 정해진 치수값 3.3㎜ 로 된다.
따라서, 외부전자기기측에 설치되어 있는 받는 측 커넥터 (도시하지 않음) 에 여백없이 원활하게 걸어맞출 수 있고, 외부전자기기에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에 형성한 삽입 가이드부 (6d 및 7d) 및 커넥터 수납부 (6b, 7b) 의 각각의 내면측과 틀 (5) 의 표면과의 접착과, 또한 커넥터 접합부 (6c, 7c) 의 내면측과 커넥터 (2) 의 접합면 (2c) 과의 접착은 종래와 동일하게, 접착제 (38) 를 스크린인쇄법으로 도포하여 실행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층의 두께 (t2) (접착재료) 는 0.05㎜ 정도이고, 이 두께의 접착재료로 원하는 접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38) 의 도포 대신에 양면테이프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판두께를 얇게 해도 그 얇은 것만큼 프레스 성형으로 조임으로써 접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종래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메이커에 따라 설정치수가 상이한 커넥터의 접합단부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커버 부재의 프레스 가공시의 조임깊이의 조정만으로 처리할 수 있고, 접착 작업성이 좋아 원하는 접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이 도 11 내지 도 13 b 에 나타낸 상커버 (6) 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판두께 (t1) 가 0.15㎜ 이고 소정 크기의 대략 직사각형을 한 1 장의 평면판부재 (SUS 판) 를 프레스 가공한다.
우선, 제 1 프레스 가공 공정에서 제 2 평탄부 (커넥터 수납부 (6b) 및 삽입 가이드부 (6d)) 를 기준면으로 하고 제 1 평탄부 (내부 구성요소 수납부 (6a)) 를 평면판의 외면측에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2 프레스 가공 공정에서 제 2 평탄부를 기준면으로 하고 커넥터 (2) 와 상커버 (6) 이 접합하는 제 3 평탄부 (커넥터 접합부 (6c)) 를 평면판의 내면측 (제 1 평탄부와 반대측) 에 형성한다.
도 11 내지 도 13 b 에 나타낸 하커버 (7) 의 제조방법도 상기한 상커버 (6) 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고 하커버 (7) 는 상기와 같은 제 1 및 제 2 프레스 가공 공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 1 및 제 2 프레스 공정에서의 가공정도는 제 2 평탄부를 기준면으로 하고 외면측에 제 1 평탄부를 내면측에 제 3 평탄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가공오차는 누적되지 않고 정도가 좋게 가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1 내지 도 13 b 에 나타낸 카드형 전자기기 (1) 에서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그 제 2 평탄부 (커넥터 수납부 (6b)) 의 내면측에 거의 0.05㎜ 만큼 들어간 제 3 평탄부 (커넥터 접합부 (6c)) 를 형성하고, 그 제 3 평탄부의 내면측과 커넥터를 접착제로 고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제의 접착강도를 확보한 채 상커버 (6) 및 하커버 (7) 의 각각의 판두께를 극도로 얇게 하여 내부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는 각별한 효과를 갖고 있다.
또, 제 3 평탄부에서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제 2 평탄부의 커넥터 수납부를 남김으로써, 외부전자기기측의 받는 측 커넥터에 대해 여백없이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로서 PCMCIA 규격의 소위 PC 카드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카드형 전자기기는 PC 카드 이외의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0)

  1. 틀과, 틀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덮는 2 장의 커버로 구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적어도 한쪽 커버의 적어도 일측연부에 선단부가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곡 부분을 갖는 단면 U 자형상의 걸림편을 1 개 또는 복수개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또,
    상기 커버의 측연부에 대응하는 상기 틀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편을 받아들이고 그 걸림편을 케이스의 두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인접하여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춘 걸림편과 걸어맞추고 그 걸림편을 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걸림부를 형성한,
    카드형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의 걸림부는 그 단면형상이 상기 걸림편의 단면형상에 대응한 것으로, 이 걸림부에 상기 커버의 걸림편이 걸어맞춰졌을 때, 그 걸림편의 상기 절곡부분의 내측면이 상기 걸림부의 일측면과 접촉하고, 커버가 틀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의 걸림부에는 이 걸림부에 걸어맞추고 상기 커버의 걸림편이 슬라이드하는 것을 도중에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이 형성된 상기 커버의 측연부는 그 커버의 중앙부보다도 한 단 낮게 형성되어 있는 평탄부인 카드형 전자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커버의 적어도 일측연부와 하커버의 적어도 일측연부로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틀에는 상커버의 상기 일측연부와 하커버의 상기 일측연부에 각각 대응한 위치에 각각 상기 오목부와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걸림편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부와 걸림부와, 상기 하커버의 걸림편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부와 걸림부가 틀의 동일한 변에 형성되어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걸림편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하커버의 걸림편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부는 틀의 상기 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걸림편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하커버의 걸림편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부는 틀의 거의 높이방향 중앙으로 연이어 통하고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에 형성되는 걸림편의 수직벽부분의 높이는 상기 하커버에 형성되는 걸림편의 수직벽부분의 높이와 상이하게 한 카드형 전자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커버는 그 일측연부의 전장에 걸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구부려진 소정 높이의 수직벽을 갖고, 또한 그 수직벽의 선단연으로부터 소정 폭의 돌출편을 1 개 또는 그 이상 그 선단부가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연부와 상기 수직벽과 상기 돌출편으로 단면 U 자형상의 걸림편을 형성한 카드형 전자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연부는 상기 커버의 중앙부보다도 한 단 낮게 형성된 평탄부인 카드형 전자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에서 상기 돌출편의 양측에는 칼집이 나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커버의 적어도 일측연부와 그 측연부와 대응하는 하커버의 측연부에 각각 상기 측연부와 상기 수직벽과 상기 돌출편으로 구성된 단면 U 자형상의 상기 걸림편이 형성되고, 또 상기 상커버 및 하커버의 상기 측연에 대응하는 틀의 변에는 상커버의 걸림편과 하커버의 걸림편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상기 오목부와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틀의 걸림부에 상커버 및 하커버의 걸림편이 걸어맞춰졌을 때에는 상커버의 걸림편의 수직벽의 하단과, 하커버의 걸림편의 수직벽의 상단은 거의 맞닥뜨리고, 양자간에 거의 간격이 없는 상태가 되는 카드형 전자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벽의 높이는 상기 하커버에 형성되는 걸림편의 수직벽의 높이와 상이하도록 한 카드형 전자기기.
  15. 제 4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카드형 전자기기의 외형치수, 즉 폭, 길이, 및 두께가 소정의 값인 것, 및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커버 및 하커버의 측연부가 각각 중앙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은 모두 PCMCIA 규격의 타입 Ⅱ 에 준거한 것인 카드형 전자기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커버 및 하커버는 금속제재료로 이루어지고, 틀은 합성수지제인 카드형 전자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 및 상기 하커버의 전단부에는 각각 커넥터를 수납하는 커넥터 수납부가 형성되고, 또 상기 상커버 및 상기 하커버의 양측부에는 커넥터를 장착한 카드형 전자기기를 외부기기의 슬롯에 삽입할 때의 삽입 가이드가 되는 삽입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또 이들 상커버 및 하커버의 각각의 중앙내면측에 카드형 전자기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수납하고,
    게다가, 상커버 및 하커버 중의 적어도 한쪽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내부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제 1 평탄부와, 이 제 1 평탄부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삽입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 2 평탄부와, 이 제 2 평탄부보다도 더욱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된 제 3 평탄부를 갖고,
    이 제 3 평탄부의 내면측과 상기 커넥터를 접착수단으로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카드형 전자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수납하고 있는 커넥터 수납부는 상기 제 2 및 제 3 평탄부를 갖고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평탄부는 상기 커넥터 수납부의 선단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또 상기 제 2 평탄부는 상기 커넥터 수납부의 선단부의 좌우 양단부와 그리고 상기 제 3 평탄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 및 하커버 양쪽에 각각 상기 제 1 평탄부와, 상기 제 2 평탄부와, 또한 상기 제 3 평탄부를 갖고 있는 카드형 전자기기.
KR1020007005728A 1998-10-27 1999-10-26 카드형 전자기기 KR200100324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142198A JP2000133968A (ja) 1998-10-27 1998-10-27 カード型電子機器
JP98-321421 1998-10-27
JP99-171742 1999-06-18
JP11171742A JP2001006353A (ja) 1999-06-18 1999-06-18 カード型電子機器及びカード型電子機器の製造方法
PCT/JP1999/005921 WO2000025316A1 (fr) 1998-10-27 1999-10-26 Dispositif electronique de type car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486A true KR20010032486A (ko) 2001-04-25

Family

ID=2649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728A KR20010032486A (ko) 1998-10-27 1999-10-26 카드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77506B1 (ko)
EP (1) EP1073058A4 (ko)
KR (1) KR20010032486A (ko)
CN (1) CN1176467C (ko)
WO (1) WO2000025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142T2 (de) * 2002-03-05 2004-07-08 Agilent Technologies Inc., A Delaware Corp., Palo Alto Opto-elektronisches Modul mit elektromagnetischer Abschirmung
JP2004110960A (ja) * 2002-09-19 2004-04-08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装置
JP4382460B2 (ja) * 2003-12-05 2009-12-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用カード
US7038916B2 (en) * 2004-02-13 2006-05-02 George Chen Express card housing structure
US20050195580A1 (en) * 2004-03-08 2005-09-08 Frank Lin Electronic card
JP2006294170A (ja) * 2005-04-13 2006-10-26 Toshiba Corp ディスク装置
CN201238309Y (zh) * 2008-08-13 2009-05-13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
JP4364939B1 (ja) * 2009-04-21 2009-11-18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装置
JP2018160299A (ja) * 2017-03-23 2018-10-11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装置
CN112530733A (zh) * 2020-12-23 2021-03-19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锁紧机构及隔离开关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1525B1 (en) * 1991-11-22 2005-12-28 Fujitsu Limited Disk drive
JP2885515B2 (ja) * 1992-10-08 1999-04-26 モバイル・ストーレッジ・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レール式取り付け構造を備えたディスクドライブ
JPH0798620A (ja) * 1992-11-13 1995-04-11 Seiko Epson Corp 電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
WO1994015331A1 (en) * 1992-12-18 1994-07-07 Lockhart Wayne C Portable low profile information storage system
US5339222A (en) * 1993-04-06 1994-08-16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printed circuit card holder
US5476387A (en) * 1993-06-07 1995-12-19 Methode Electronics Inc. Memory card frame and cover kit
US5392175A (en) * 1993-06-09 1995-02-21 Maxtor Corporation PCMCIA type HDD connector mount
JP2581343Y2 (ja) * 1993-09-10 1998-09-21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Icカード
US5768049A (en) * 1994-07-05 1998-06-16 Integral Peripherals, Inc. Disk drive apparatus
EP0717472A3 (en) * 1994-12-13 1999-03-31 Molex Incorporated Grounding clip for IC-cards
US5563450A (en) * 1995-01-27 1996-10-0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pring grounding clip for computer peripheral card
JPH08267971A (ja) * 1995-03-30 1996-10-15 Hitachi Ltd Pcカード
JPH08282168A (ja) * 1995-04-19 1996-10-29 Toshiba Chem Corp Icカード
JPH0963245A (ja) * 1995-08-24 1997-03-07 Hitachi Ltd 磁気ディスク装置
US6324076B1 (en) * 1997-05-22 2001-11-2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onic card with shield cover having tabs where each tab engages with recess of corresponding shield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467C (zh) 2004-11-17
WO2000025316A1 (fr) 2000-05-04
US6577506B1 (en) 2003-06-10
EP1073058A1 (en) 2001-01-31
EP1073058A4 (en) 2001-05-23
CN1287671A (zh) 200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7389A (en) Disk cartridge having a single closing energizer for closing two independently opened shutters
US7551450B2 (en) External memory device
TWI227891B (en) External storage device
KR100256629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KR20010032486A (ko) 카드형 전자기기
JP2000501881A (ja) Pcカードアダプタ
KR100231319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KR100222481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헤드 이송기구
JP2000133968A (ja) カード型電子機器
JPH11272830A (ja) カード型メモリパッケージおよびこのメモリパッケージを用いたメモリ装置
JP357737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21453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移送機構
JP335245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移送機構
JP340890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0173036A (ja) 基板接合体
JP2001067859A (ja) ディスク装置
JP361421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1006353A (ja) カード型電子機器及びカード型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H06262891A (ja) メモリカード
JP2001084751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98201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移送機構
JPH10222957A (ja)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098201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移送機構
JP2002237166A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H098200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