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820A -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820A
KR20010024820A KR1020007007315A KR20007007315A KR20010024820A KR 20010024820 A KR20010024820 A KR 20010024820A KR 1020007007315 A KR1020007007315 A KR 1020007007315A KR 20007007315 A KR20007007315 A KR 20007007315A KR 20010024820 A KR20010024820 A KR 20010024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management information
data
cont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570B1 (ko
Inventor
무라키겐지
곤도사토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4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기록 매체에 기록된 AV 데이터 및 그 부속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 적은 처리량으로써 관리 정보의 판독 기록 및 복수 컨텐츠의 동기 재생 등을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이다. 오디오 리스트(201)는, 타이틀에의 포인터(222), 텍스트 파일 정보에의 포인터(323) 등으로 구성된다. 타이틀에의 포인터(222)에는,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1오브젝트(233)에의 링크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텍스트 파일 정보에의 포인터(323)에는,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제1오브젝트(353)에의 링크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리스트 구조로 함으로써, 외부 장치로부터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DATA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AND METHOD}
최근 디지털 데이터의 직렬 전송 방식으로서 IEEE 1394 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IEEE 1394 방식은, 종래의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방식 등에 의한 컴퓨터 데이터의 전송에 대신해서 이용할 수 있는 것만이 아니고, AV 데이터의 전송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IEEE 1394 방식에서는, 2개의 통신 방법, 즉 비동기 통신과 등시성(等時性; isochronous) 통신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등시성 통신은, AV 데이터와 같은 형태의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다. 등시성 통신에서는, 전송 개시에 앞서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필요한 대역을 취득한다. 그리고, 이 대역을 사용해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한다. 이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의 실시간성이 보증된다. 한편, 비동기 통신은, 컴퓨터 데이터의 전송과 같은, 실시간성이 요구되지 않는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되는 전송 방법이다. 이 것은, 종래의 SCSI 방식 등의 전송 방식과 동등한 방식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IEEE 1394 위의 상위 전송 프로토콜로서,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 중의 하나로서 AV 프로토콜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 AV 프로토콜은, IEC 61883으로서 규격화되어 있고, 실시간성이 필요한 AV 데이터를 등시성 통신으로써 송수신하는 방법, 기기에 부여되는 제어 명령을 비동기 통신으로써 송수신하는 방법 등이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명령 체계 중의 하나로서 AV/C 명령이 있다. AV/C 명령에는, VCR 등에 대한 제어 명령이 규정되어 있다. AV/C 명령에는 기기가 소유하는 정보(기기 상태,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 등)를 리스트(list)를 이용해서 표현하는 방법이 규정되어 있다.
종래의 예로서, 이 방법을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AV/C 명령으로써 규정되어 있는 리스트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模式圖)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스트 A(2001)는, 리스트 헤더 (header)(2002)와 0개 이상(도면에서는 N개)의 오브젝트(object)(2003)로 구성된다. 리스트 헤더(2002)에는 리스트 A(2001) 전체에 관한 정보를 기술한다. 또한, 오브젝트(2003)는, 예로서,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트랙과 같은 단위에 상당하는 것이고, 오브젝트(2003)에는, 예로서, 각각의 오디오 트랙에 관한 관리 정보를 기술한다. 그리고, 오브젝트로서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에 있어서의 디렉토리 개념과 동일한 것을 가질 수도 있고, 이 것으로부터 계층 구조를 갖는 리스트를 표현할 수도 있다. 도 13에서는, 리스트 A(2001)의 오브젝트 #3이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리스트 A(2001)의 오브젝트 #3의 하위 계층 리스트로서 리스트 B(2101)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리스트 B(2101)는, 리스트 A(2001)와 마찬가지로 리스트 헤더(2102)와 오브젝트(2103)를 갖는다.
이러한 리스트를 기기의 내부에서 생성하고, 이 리스트에 외부 기기가 IEEE 1394를 통해서 액세스함으로써, 외부 기기는 상대 기기가 소유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AV 데이터 등의 관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이 오브젝트의 ID를 지정해서 재생 명령 등을 기기에 전송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AV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리스트를 지정해서 재생 명령을 기기에 보낸 경우에는, 이 리스트에 기술되어 있는 순서로 AV 데이터를 재생한다.
그리고, 이 리스트 구조를 이용해서 여러가지 정보를 기술할 수 있다. 예로서, AV 디스크를 취금하는 기기의 경우에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기술할 수 있기도 하고,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기술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기술하는 리스트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액세스함으로써, 외부 기기로부터 프로그램 재생 순서를 지정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4를 이용하여,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타이틀 (title), 텍스트(text) 파일 등의 액세스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4는, 도 13의 리스트를 오디오 트랙, 오디오의 타이틀, 텍스트 등이 기록되어 있는 광 디스크에 적용한 경우의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컨텐츠(contents) 리스트(1301), 오디오 리스트(1311), 타이틀 리스트(1351)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광 디스크에는 곡(曲) A, B의 2곡분의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정보 중, 타이틀 정보는 컨텐츠 리스트(1301)와는 독립해서 타이틀 리스트(1351)로서 나타나 있다.
컨텐츠 리스트(1301)는, 광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전체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컨텐츠 리스트(1301)는 제1오브젝트(1303), 제2오브젝트(1304)를 포함하고 있다. 제1오브젝트(1303), 제2오브젝트(1304)는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이고, 제1오브젝트(1303)는 오디오 리스트(1311)를, 제2오브젝트(1304)는 텍스트 파일 리스트(1331)를 각각 1 계층 하위의 리스트로서 가지고 있다.
오디오 리스트(1311)는, 리스트 헤더(1312), 제1오브젝트(1313), 제2오브젝트(13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오브젝트(1303), 제2오브젝트(1304)는, 각각 곡 A, B의 관리 정보에 대응한다(오디오 데이터 그 자체는 아니다). 또한, 리스트 헤더(1312)는 곡 수(오브젝트 수)(132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곡 수는 2가 된다. 그리고, 제1오브젝트(1303), 제2오브젝트(1304)는, 각각, 각 곡 A, B의 재생 시간 (1322, 1324), 각각의 곡의 타이틀에의 포인터(1323, 1325)로 구성된다.
텍스트 파일 리스트(1331)는, 리스트 헤더(1332), 제1오브젝트(1333), 제2오브젝트(1334), 제3오브젝트(1335)로 구성되고, 텍스트 파일 관리 정보를 유지한다. 텍스트 파일에 관한 관리 정보로서는, 이 텍스트 파일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가사(歌詞) 파일인가, 예술가 정보 파일인가 등의 식별자), 및 파일 크기, 파일 작성 일시 등의 정보가 있다. 여기서, 제1오브젝트(1333)는, 광 디스크 전체를 대표하는 텍스트 파일, 예로서, 1인의 예술가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만이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의 경우의 예술가 정보 등의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텍스트 파일 데이터 그 자체는 아니다)에 대응한다. 제2오브젝트(1334), 제3오브젝트(1335)는, 각각 곡 A, B에 대응하는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텍스트 파일 데이터 그 자체는 아니다)에 대응한다. 여기서는, 가사 파일, 예술가 정보 파일에 관한 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타이틀 리스트(1351)의 각각의 오브젝트에는, 타이틀 데이터 그 자체가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제1오브젝트(1333)에 오디오 리스트 전체를 대표하는 디스크 타이틀이, 제2오브젝트(1354)에 곡 A의 타이틀이, 제3오브젝트(1355)에 곡 B의 타이틀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오디오 리스트(1311)의 곡 A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제1오브젝트(1313) 내의 타이틀에의 포인터(1323)에는, 타이틀 리스트(1351)의 제2오브젝트(1354)에의 링크(link) 정보(제2오브젝트(1354)의 ID)가 기술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곡 B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제2오브젝트(1314) 내의 타이틀에의 포인터(1325)에는, 타이틀 리스트(1351)의 제3오브젝트(1355)에의 링크 정보(제3오브젝트(1355)의 ID)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식의 리스트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부 기기는 각각의 기기 고유의 데이터 유지 구조를 몰라도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보유하는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로서, 외부 기기가 데이터 송수신 장치 내의 디스크 타이틀에 액세스하고 싶은 경우, 타이틀 리스트(1351)에 액세스하고, 제1오브젝트(1333)를 판독해 낸다. 이 경우에는, 타이틀 리스트의 제1오브젝트가 디스크 타이틀인 것을 미리 규정해 놓는다. 또한, 곡 A의 타이틀에 액세스하고 싶은 경우에는, 골든 리스트(golden list)(1301)를 판독하고,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취득해서, 오디오 리스트를 판독하여, 곡 A의 타이틀에 대한 포인터(1323)을 취득하고, 이 것을 기본으로 타이틀 리스트(1351)의 제2오브젝트(1334)에 액세스한다. 이 경우, 오디오 리스트의 오브젝트에 액세스 가능하면, 대응하는 타이틀 정보의 액세스 방법은 기계적으로 알 수 있다. 더욱이 또한, 곡 A(오디오 리스트의 제1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에 액세스하고 싶은 경우에는, 텍스트 파일 리스트(1331)의 제2오브젝트에 액세스한다. 이 경우에도, 텍스트 파일(1331)의 제2오브젝트가 곡 A(오디오 리스트의 제1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가 텍스트 파일 리스트(1331)의 제2오브젝트인 것을 규정해 놓는다.
이상과 같이, 각각의 타이틀 및 텍스트 파일 관리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동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동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동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동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동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동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의 동기 재생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서의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서의 구체적 리스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는,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때에,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액세스하는 순서가 상이하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가 곤란하였다.
즉, 타이틀의 경우에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에 타이틀 정보 포인터가 있고, 이 포인터를 더듬어 찾으면, 액세스할 수 있지만, 텍스트 파일의 경우에는, 직접 텍스트 파일 리스트에 액세스해야 한다. 또한, AV 데이터 파일의 오브젝트에는 제1번부터 각각의 곡의 데이터의 관리 정보가 기술되지만, 텍스트 파일의 오브젝트에는 제1번은 디스크 전체에 관계되는 텍스트의 관리 정보가 기술되는 등, 기재 순서도 통일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각각의 AV 오브젝트에 대응하지 않는 디스크 타이틀에의 액세스 방법도, 각각의 AV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타이틀과 상이하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는, AV 데이터의 속성인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할 때에, 외부 기기가 새로이 타이틀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외부 기기가 기록하는 위치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처리가 복잡하다.
즉, 타이틀의 경우에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에 타이틀 정보 포인터가 있고, 이 포인터를 더듬어 찾으면 액세스할 수 있지만, 텍스트 파일의 경우에는, 직접 텍스트 파일에 액세스해야 한다. 더욱이, AV 데이터 파일의 오브젝트와 텍스트 파일의 오브젝트의 기재 순서도 통일되어 있지 않고, 각각의 AV 오브젝트에 대응하지 않는 데스크 타이틀에의 액세스 방법도, 각각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타이틀과 상이하다. 이 때문에, 각각의 기록에 대해서 상이한 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고, 처리가 번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는, AV 데이터가 삭제된 경우에, 삭제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가타의 오브젝트를 외부 기기가 삭제하지 않으면 안되고, 처리가 복잡하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는, 외부 기기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있는 AV 데이터를 분할한 경우에,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외부 기기가 생성할 필요가 있고, 처리가 복잡하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방법에는 수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에서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때에,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액세스하는 순서를 통일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할 때에, 외부 기기가 새로이 타이틀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외부 기기가 기록하는 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AV 데이터가 삭제된 경우에, 삭제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기타의 오브젝트를 외부 기기가 삭제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 기기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있는 AV 데이터를 분할한 경우에,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외부 기기가 생성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방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群)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할 때에, 제1관리 정보를 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제4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1리스트와, 제3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2리스트 군을 생성하여, 제2리스트 군의 리스트 헤더에, 제3관리 정보 중의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을 기술하고, 제1리스트의 리스트 헤더에 제3관리 정보 중의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으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이다.
이 것에 의해서, 제3관리 정보 중,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으로의 액세스 순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종래 기술보다 유효한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써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관리 정보의 리스트에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이 것에 의해서,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할 때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 전체를 대표하는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 기타의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의 리스트에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이 것에 의해서,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할 때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AV 데이터 전체를 대표하는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는 별개의 파일에 수용되고, 각각의 AV 데이터에 부속하는 텍스트 정보 및 기타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가 수용된 리스트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가 수용된 리스트와 동일한 구조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로부터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동일한 순서로 액세스할 수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의 리스트에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이 때,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등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의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공백으로 놓아둔다. 이것에 의해서,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할 때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이 동일한 구조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로부터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동일한 순서로 액세스할 수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타이틀 등의 텍스트 정보 등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도 공백의 오브젝트를 생성해 두었으므로, 외부 기기가 새로이 타이틀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하는 위치를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의 리스트에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그리고, AV 데이터가 삭제된 경우에는, 삭제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타이틀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텍스트 파일 내의 오브젝트도 동시에 삭제한다. 이것에 의해서,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할 때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이 동일한 구조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로부터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동일한 순서로 액세스할 수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AV 데이터가 삭제된 경우에, 삭제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타이틀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텍스트 파일 내의 오브젝트도 동시에 삭제하므로, 삭제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 및 관리 정보(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파일)를 외부 기기가 삭제할 필요가 없고, 리스트 관리의 일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즉석에서 리스트에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의 리스트에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그리고, 어느 AV 데이터가 분할된 경우에는, 분할된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를 새로운 오브젝트로 하여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 리스트에 추가한다. 또한,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에, 새로이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 오브젝트에 대한 링크 정보를 기술한다. 이것에 의해서,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할 때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이 동일한 구조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로부터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동일한 순서로 액세스할 수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어느 AV 데이터가 분할된 경우에, 분할된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해서도, 타이틀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텍스트 파일 내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의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를 확장한다. 따라서, 외부 기기로부터의 명령에 의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AV 데이터를 분할한 경우에도, 외부 기기로부터는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 및 관리 정보(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파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생성할 필요가 없고, 리스트 관리의 일원화, 처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AV 데이터, 정지 화면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써 표현한다. 이러한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 기록 매체를 대표하는 정지 화면 데이터, 기타의 정지 화면 데이터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AV 데이터의 리스트를 지정한 재생 명령이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된 경우에는, AV 데이터 리스트 선두의 제1오브젝트에 대응하는 AV 데이터로부터 재생을 개시한다. 이 것에 의해서, AV 데이터에 부수(付隨)하지 않는 데이터 군도,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AV 데이터에 부수하는 데이터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관리되므로, 리스트 구조의 통일화를 도모할 수 있고, 동시에 외부 기기로부터 이 들 데이터 또는 이 들 데이터의 관리 정보에 액세스할 때에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AV 데이터와, 이 것에 부수하는 데이터, 부수하지 않는 데이터를 동기시켜서 재생하는 경우에도, 리스트 형식이 동일하기 때문에,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리스트 변환 수단은, 제1관리 정보를 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제4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1리스트와, 제3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2리스트 군을 생성하여, 제2리스트 군의 리스트 헤더에, 제3관리 정보 중의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을 기술하고, 제1리스트의 리스트 헤더에 제3관리 정보 중의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으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제1관리 정보 및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리스트 변환 수단은, 제1관리 정보를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제2∼제4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여,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제1관리 정보 및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리스트 변환 수단은, 제1관리 정보를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여, 제2∼제4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분할할 때에, 제2∼제4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백인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제1관리 정보 및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리스트 변환 수단은, 제1관리 정보를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제2∼제4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여,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며, 컨텐츠 군 중의 제1컨텐츠가 삭제된 경우에는, 제1컨텐츠의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5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제1관리 정보 및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리스트 변환 수단은, 제1관리 정보를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제2∼제4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여,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컨텐츠 군을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며, 컨텐츠 군 중의 제1컨텐츠가 제2 및 제3컨텐츠으로 분할된 경우에는, 제1컨텐츠의 제4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1리스트 내의 제1오브젝트를 제2, 제3의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제1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제4, 제5의 오브젝트로 분할하며, 제1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제6, 제7의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제2오브젝트에 제4 및 제6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며, 제3오브젝트에 제5 및 제7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6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리스트 변환 수단은, 관리 정보를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1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으로서는, 오디오 데이터를 예로 든다. 또한, 이 것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 타이틀, 오디오 데이터 수(곡 수) 등을 예로 든다. 이 것들은 통상 TOC (table of contents)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제3관리 정보로서는 타이틀 정보, 제4관리 정보로서는 각각의 곡의 재생 시간, 제1리스트로서 오디오 리스트, 제2리스트 군으로서 타이틀 리스트(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틀 리스트는 하나뿐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리스트를 갖는 경우도 있다), 제3관리 정보 중의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디스크 타이틀을 예로 든다.
도 1은, 기록 재생 신호 처리 수단(101), 시스템 제어 수단(103), 데이터 유지 수단(104), 데이터 송신 수단(105), 광 헤드(106), 광 디스크(107), 디지털 인터페이스(108), 리스트 변환 수단(109)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광 디스크 (107)에는, 오디오 데이터, 및 이 오디오 데이터의 부속 데이터, 및 이 들 데이터의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광 디스크(107)가 장착되면, 관리 정보 데이터를 재생한다. 재생된 데이터는, 기록 재생 신호 처리 수단(101)으로써 복조, ECC 디코딩 등의 처리를 행하여, 시스템 제어 수단(103)에 입력된다. 시스템 제어 수단(103)에 입력된 관리 정보 데이터는 데이터 유지 수단(104)에 입력되고, 데이터 유지 수단(104)에서 유지된다.
데이터 유지 수단(104)에서 유지되는 관리 정보 데이터로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 타이틀, 오디오 데이터 수(곡 수) 등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로부터 디지털 인터페이스(108)를 통해서 광 디스크(107)의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입출력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관리 정보의 입출력은,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를 이용해서 표현하고, 이 리스트에 액세스(판독, 기록)를 행하여 실행한다.
외부 장치로부터 디지털 인터페이스(108)를 통해서, 광 디스크(107)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판독하는 명령 패킷(packet)이 데이터 송수신 수단(105)에 입력되면, 데이터 송수신 수단(105)은 명령 패킷의 헤더 등의 해석을 실행하고, 이 명령을 시스템 제어 수단(103)에 입력한다. 시스템 제어 수단(103)은 판독 명령을 수신하면, 데이터 유지 수단(104)에 유지된 관리 정보를 리스트 변환 수단(109)에 대해서 출력한다. 리스트 변환 수단(109)은 데이터 유지 수단(104)으로부터 관리 정보를 수취하면, 이 것을 미리 정해진 리스트 구조로 변환하고, 시스템 제어 수단(103)에 대해서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 수단(103)은 리스트 변환 수단 (103)으로부터 입력된 리스트를 데이터 송수신 수단(105)에 대해서 출력하고, 데이터 송수신 수단(105)은 이 리스트에 헤더 등을 부가해서 패킷화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108)에 대해서 출력한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디지털 인터페이스(108)를 통해서, 광 디스크(107)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명령을 나타내는 패킷이 데이터 송수신 수단(105)에 입력되면, 데이터 송수신 수단(105)은 패킷의 헤더 등의 해석을 실행하고, 이 명령을 시스템 제어 수단(103)에 입력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 수단 (103)은 기록 명령을 수신하면, 리스트 변환 수단(109)이 유지하고 있는 리스트에 대해서 기록 명령에 기술된 기록을 행한다. 그리고, 리스트 변환 수단(109)에 대해서 실행된 변경을, 데이터 유지 수단(104)에 유지되어 있는 관리 정보에 대해서도 실행한다. 시스템 제어 수단(103)은, 광 디스크(107)가 배출될 때, 및 기타 경우에 데이터 유지 수단(104)에 유지된 관리 정보를 판독해서, 기록 재생 처리 수단(101)을 통해서 광 디스크(107)에 기록한다.
여기서, 리스트 변환 수단(109)이 생성하는 리스트의 구조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는, 컨텐츠 리스트(271), 오디오 리스트(201), 타이틀 리스트(231)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광 디스크(107)에는 곡 A, B의 2곡분의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정보 중, 타이틀 정보를 컨텐츠 리스트(271)와는 독립해서 타이틀 리스트(231)로서 표현한다.
컨텐츠 리스트(271)는, 광 디스크(107)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전체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컨텐츠 리스트(271)는 제1오브젝트(273)를 포함하고 있다. 제1오브젝트 (273)는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이고, 오디오 리스트를 1계층 하위의 리스트로서 가지고 있다.
타이틀 리스트(231)는 컨텐츠 리스트(271)와는 독립적인 리스트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틀 리스트는 1개의 예만을 나타내지만, 예로서, 광 디스크(107)가 복수의 언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타이틀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언어마다 독립적인 리스트를 만들어도 좋다. 이 경우, 컨텐츠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기본 리스트에 각각의 언어마다의 종속 리스트가 매달리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오디오 리스트(201)는, 리스트 헤더(202), 제1오브젝트(203), 제2오브젝트 (2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오브젝트(203), 제2오브젝트(204)는 각각 곡 A, B의 관리 정보에 대응한다(오디오 데이터 그 자체는 아님). 또한, 리스트 헤더(202)는, 곡 수(오브젝트 수)(213), 및 디스크 타이틀에의 포인터(21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곡 수는 2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오브젝트(203), 제2오브젝트(204)는 각각, 각 곡의 재생 시간(221, 224), 각 곡의 타이틀에의 포인터(222, 225)로 구성된다.
타이틀 리스트(231)의 각각의 오브젝트는 타이틀 데이터 그 자체가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는 리스트 헤더에 오디오 리스트 전체를 대표하는 디스크 타이틀이, 제1오브젝트(233)에 곡 A의 타이틀이, 제2오브젝트(234)에 곡 B의 타이틀이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오디오 리스트(201)의 리스트 헤더 내의 디스크 타이틀로의 포인터(214)에는 타이틀 리스트(231)의 리스트 헤더(232)로의 링크 정보 (ID)가 기술되어 있다. 곡 A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제1오브젝트(203) 내의 타이틀로의 포인터(222)에는,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1오브젝트(233)로의 링크 정보(제1오브젝트(233)의 ID)가 기술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곡 B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제2오브젝트(204) 내의 타이틀로의 포인터(225)에는,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2오브젝트(234)로의 링크 정보(제2오브젝트(234)의 ID)가 기술되어 있다.
이 것에 의해서, 외부 기기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08)를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보유하는 오디오 리스트의 오브젝트로부터 이 오브젝트(곡)에 대응하는 타이틀을 찾아 낼 수 있다. 예로서, 외부 기기가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내의 디스크 타이틀에 액세스하고 싶은 경우에 대해서,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도 3에 나타낸다. (1)우선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대해서 컨텐츠 리스트(271)의 판독 요구를 보낸다. (2)이 것에 따라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컨텐츠 리스트(271)를 판독해서, 외부 기기에 송신한다. 이 결과 외부 기기는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취득한다. (3)그리고 외부 기기는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기본으로 하여, 오디오 리스트(201)의 판독 요구를 발송한다. (4)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오디오 리스트(201)를 판독하고, 송신한다. 외부 기기는 디스크 타이틀로의 포인터(214)를 취득한다. (5)그리고, 이 포인터(214)를 기본으로 외부 기기는 타이틀 리스트(231)의 리스트 헤더(232)에 수용된 디스크 타이틀(243)의 판독 요구를 보낸다. (6)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디스크 타이틀(243)을 판독하고, 외부 기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해서, 외부 기기는 디스크 타이틀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의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관리 정보의 리스트로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도 1,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2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예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 2∼5의 설명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으로서는, 오디오 데이터를 예로 든다. 또한, 이 것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 타이틀, 오디오 데이터 수(곡 수) 등을 예로 든다. 이 것들은 통상 TOC(table of contents)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제2컨텐츠 군으로서, 텍스트 데이터 파일, 제2관리 정보로서, 오디오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 파일의 관계(어느 오디오 데이터에 어느 텍스트 데이터 파일이 부속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 텍스트 데이터 파일의 크기 등, 제3관리 정보로서는 타이틀 정보, 제4관리 정보로서는 각각의 곡의 재생 시간, 제1리스트로서 오디오 리스트, 제2리스트 군으로서 타이틀 리스트(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틀 리스트는 하나뿐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리스트를 갖는 경우도 있다), 제3리스트로서 제1텍스트 파일 리스트, 제4리스트로서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 제3관리 정보 중의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디스크 타이틀을 예로 든다.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본적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광 디스크(107)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속 데이터로서는, 가사, 예술가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유지 수단(104)에서 유지되는 관리 정보 데이터로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 타이틀, 오디오 데이터 수(곡 수), 오디오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 파일과의 관계(어느 오디오 데이터에 어느 텍스트 데이터 파일이 부속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 텍스트 데이터 파일의 크기 등이 있는 것으로 한다.
리스트 변환 수단(109)이 생성하는 리스트의 구조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는, 컨텐츠 리스트(271), 오디오 리스트(201), 타이틀 리스트(231), 제1텍스트 파일 리스트(381),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광 디스크(107)에는 곡 A, B의 2곡분의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정보 중, 타이틀 정보를 컨텐츠 리스트(271)와는 독립해서 타이틀 리스트(231)로서 표현한다.
컨텐츠 리스트(271)는, 광 디스크(107)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전체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컨텐츠 리스트(271)는 제1∼제3오브젝트(273∼275)를 포함하고 있다. 제1∼제3오브젝트(273∼275)는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이고, 각각 오디오 리스트(201), 제1텍스트 파일 리스트(381),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를 1계층 아래의 리스트로서 가지고 있다.
오디오 리스트(201)는, 리스트 헤더(202), 제1오브젝트(203), 제2오브젝트 (2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오브젝트(203), 제2오브젝트(204)는 각각 곡 A, B의 관리 정보에 대응한다(오디오 데이터 그 자체는 아님). 또한, 리스트 헤더(202)는, 곡 수(오브젝트 수)(213), 디스크 타이틀에의 포인터(214), 커버(cover) 텍스트 (31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곡 수는 2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오브젝트 (203), 제2오브젝트(204)는 각각, 각 곡의 재생 시간(221, 224), 각 곡의 타이틀에의 포인터(222, 225), 각 곡의 텍스트 파일에의 포인터(323, 326)로 구성된다.
타이틀 리스트(231)의 각각의 오브젝트는 타이틀 데이터 그 자체가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는 리스트 헤더에 오디오 리스트 전체를 대표하는 디스크 타이틀이, 제1오브젝트(233)에 곡 A의 타이틀이, 제2오브젝트(234)에 곡 B의 타이틀이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오디오 리스트(201)의 리스트 헤더 내의 디스크 타이틀로의 포인터(214)에는 타이틀 리스트(231)의 리스트 헤더(232)로의 링크 정보 (ID)가 기술되어 있다. 곡 A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제1오브젝트(203) 내의 타이틀로의 포인터(222)에는,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1오브젝트(233)로의 링크 정보(제1오브젝트(233)의 ID)가 기술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곡 B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제2오브젝트(204) 내의 타이틀로의 포인터(225)에는,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2오브젝트(234)로의 링크 정보(제2오브젝트(234)의 ID)가 기술되어 있다.
이 것에 의해서, 외부 기기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08)를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보유하는 오디오 리스트의 오브젝트로부터 이 오브젝트(곡)에 대응하는 타이틀을 찾아 낼 수 있다. 예로서, 외부 기기가 곡 B의 타이틀에 액세스하고 싶은 경우에는, 우선 컨텐츠 리스트(271)를 판독해서,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취득한다. 그리고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기본으로 하여, 오디오 리스트(201)를 판독하고, 곡 B의 타이틀로의 포인터(225)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 포인터(225)를 기본으로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2오브젝트(234), 즉, 곡 B의 타이틀(242)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제1텍스트 파일 리스트(381)에는, 디스크 전체를 대표하는 텍스트 파일에 관한 관리 정보(텍스트 파일의 데이터 그 자체는 아님)가 수용된다. 예를 들면, 1인의 예술가에 의해서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만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의 예술가 정보와 같은 텍스트 파일이다. 이러한 텍스트 파일은, 예로서, 디스크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재생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오디오 리스트(201)의 리스트 헤더(202) 내의 커버 텍스트 파일 정보로의 포인터(315)에는, 제1텍스트 파일 리스트(381)의 제1오브젝트(383)로의 링크 정보(제1오브젝트(383)의 ID)가 기술되어 있다.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각각의 오브젝트는 텍스트 파일에 관한 관리 정보(텍스트 파일의 데이터 그 자체는 아님)가 기술되어 있다. 텍스트 파일에 관한 관리 정보로서는, 텍스트 파일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가사 파일인가, 예술가 정보 파일인가 등의 식별자)과, 파일 크기, 파일의 작성 일시 등의 정보가 있다. 여기서는, 제1오브젝트(353)에 곡 A의 텍스트 파일에 관한 정보가, 제2오브젝트(354)에 곡 B의 텍스트 파일에 관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오디오 리스트(201) 내의 곡 A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제1오브젝트(203) 내의 텍스트 파일 정보로의 포인터(323)에는,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제1오브젝트(353)로의 링크 정보(제1오브젝트(353)의 ID)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곡 B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제2오브젝트(204) 내의 텍스트 파일 정보로의 포인터(326)에는,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제2오브젝트(354)로의 링크 정보(제2오브젝트(354)의 ID)가 기술되어 있다.
이 것에 의해서, 외부 기기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08)를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보유하는 오디오 리스트의 오브젝트로부터 이 오브젝트(곡)에 대응하는 텍스트 파일의 정보를 찾아 낼 수 있다. 예로서, 외부 기기가 곡 B의 가사 파일의 관리 정보에 액세스하고 싶은 경우의, 외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도 5에 나타낸다. 우선 컨텐츠 리스트(271)를 판독해서,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취득한다( (1), (2) ). 그리고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기본으로 하여, 오디오 리스트(201)를 판독하고, 곡 B의 텍스트 파일 정보로의 포인터 (326)를 취득한다( (3), (4) ). 그리고, 이 포인터(326)를 기본으로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제2오브젝트(354) 내에 기술되어 있는 곡 B의 가사 파일의 관리 정보(364)에 액세스할 수 있다( (5), (6) ). 또한, 가사 파일과 예술가 정보 파일의 데이터를 디스크로부터 재생 출력시키는 경우에는,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오브젝트를 지정해서 재생 명령(데이터 출력 명령)을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대해서 송신함으로써(7),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 전체를 대표하는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 기타의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의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의 리스트로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AV 데이터 전체를 대표하는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는 별개의 파일에 수용되어 있고, 각각의 AV 데이터에 부속되는 텍스트 정보 및 기타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가 수용된 리스트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가 수용된 리스트와 동일한 구성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로부터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동일한 순서로 액세스할 수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도 1,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3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예이다. 또한,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본적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 리스트 변환 수단(109)이 생성하는 리스트의 구조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은, 컨텐츠 리스트(271), 오디오 리스트(201), 타이틀 리스트(231), 제1텍스트 파일 리스트(381),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광 디스크(107)에는 곡 A, B의 2곡분의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컨텐츠 리스트(271), 오디오 리스트(201), 타이틀 리스트(231), 제1텍스트 파일 리스트(381),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기본적 구조는 제2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3실시 형태에서는, 곡 B 자체는 광 디스크(107)에 기록되어 있지만, 곡 B의 타이틀 정보 및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때, 타이틀 리스트(231)에는 곡 B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 제2오브젝트 (334)가 존재하지만, 그 내용(타이틀(442))은 아무 것도 기술되지 않는 공백의 상태로 한다.
여기서, 외부 기기가 곡 B의 타이틀을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7(a)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컨텐츠 리스트(271)를 판독해서,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취득한다( (1), (2) ). 그리고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기본으로 하여, 오디오 리스트 (201)를 판독하고, 곡 B의 타이틀로의 포인터(225)를 취득한다( (3), (4) ). 이 것에 의해서, 곡 B의 타이틀이,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2오브젝트(234)에 기술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는 원하는 타이틀을 타이틀 리스트 (231)의 제2오브젝트(234)에 기록한다(5). 이것에 의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광 디스크(107)에 기록되어 있는 곡 B에 대해서 타이틀(442)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에는 곡 B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 제2오브젝트(354)는 존재하지만, 그 내용(예술가 정보 파일의 관리 정보(463), 가사 파일의 관리 정보(464))은 아무 것도 기술되지 않는 공백의 상태로 된다. 여기서, 외부 기기가 곡 B의 가사 파일의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7(a)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컨텐츠 리스트(271)를 판독해서,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취득한다( (1), (2) ). 그리고 오디오 리스트의 ID를 기본으로 하여, 오디오 리스트 (201)를 판독하고, 곡 B의 텍스트 파일 정보로의 포인터(326)를 취득한다( (3), (4) ). 이 것에 의해서, 곡 B의 텍스트 파일 정보가,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제2오브젝트(354)에 기술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오브젝트를 지정해서, 기록 명령(데이터 입력 명령)을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내림으로써(5),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6).
여기서,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로의 액세스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제1텍스트 파일 리스트(381)로의 액세스도 마찬가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의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의 리스트로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이 경우에,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의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공백으로 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이 동일한 구성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로부터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동일한 순서로 액세스할 수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타이틀 등의 텍스트 정보 등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도 공백인 오브젝트를 생성해 둠으로써, 외부 기기가 새로이 타이틀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하는 위치를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도 1, 도 4,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4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예이다.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본적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또한, 광 디스크(107)에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초기 상태에 있어서 리스트 변환 수단(109)이 생성하는 리스트의 구조는 도 4와 같다.
여기서, 곡 B가 삭제된 경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때, 곡 B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 오디오 리스트(201)의 제2오브젝트(204)가 삭제된다. 이 것으로부터 제2오브젝트(204)의 내용인, 재생 시간(224), 타이틀로의 포인터(225), 텍스트 파일 정보로의 포인터(326)도 삭제된다. 그리고, 타이틀로의 포인터(225)가 가리키는 곳, 즉,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2오브젝트(234), 및 텍스트 파일 정보로의 포인터(326)가 가리키는 곳, 즉,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 (351)의 제2오브젝트(354)도 삭제된다. 이 들 오브젝트의 삭제는, 타이틀(242), 가사 파일의 관리 정보(364), 예술가 정보 파일의 관리 정보(363)의 삭제를 의미한다.
이상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내의 동작에 의해서, 곡 B가 삭제된 후에 리스트 변환 수단(109)이 생성하는 리스트 구조는 도 8과 같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의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의 리스트로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그리고, AV 데이터가 삭제된 경우에는, 삭제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타이틀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텍스트 파일 내의 오브젝트도 동시에 삭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이 동일한 구성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로부터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동일한 순서로 액세스할 수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AV 데이터가 삭제된 경우에, 삭제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타이틀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텍스트 파일 내의 오브젝트도 동시에 삭제하므로, 삭제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와, 관리 정보(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를 외부 기기가 삭제할 필요가 없이, 리스트 관리의 일원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내용을 즉시 리스트에 반영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도 1, 도 4,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5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예이다.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본적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또한, 광 디스크(107)에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초기 상태에 있어서 리스트 변환 수단(109)이 생성하는 리스트의 구조는 도 4와 같다.
여기서, 곡 B가 분할되어서 곡 Ba와 곡 Bb로 되는 경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때, 곡 B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 오디오 리스트(201)의 제2오브젝트(204)가 2개로 분할되어서, 제2오브젝트 (604)와 제3오브젝트(605)로 된다. 여기서 제2오브젝트(604)의 구성은 분할되기 전의 제2오브젝트(204)와 동일하다. 단, 재생 시간(624)은 분할된 분만큼만 짧은 값으로 된다.
또한, 새로이 생성된 오브젝트인, 제3오브젝트(605)는, 제1오브젝트(203), 제2오브젝트(604)와 마찬가지로, 재생 시간(627), 타이틀로의 포인터(628), 텍스트 파일 정보로의 포인터(629)로 구성된다.
그리고, 타이틀 리스트(231)에는, 새로이 제3오브젝트(635)가 생성되고, 타이틀로의 포인터(628)에는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3오브젝트(635)로의 포인터(ID)가 기술된다. 타이틀 리스트(231)의 제3오브젝트(635)의 내용은 곡 Bb의 타이틀 (643)이다. 분할된 시점에서의 타이틀(643)의 내용은, 곡 B의 타이틀을 그대로 복사(copy)한 내용을 유지하거나, 또는 공백으로 하는, 등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에는, 새로이 제3오브젝트(655)가 생성되고, 타이틀로의 포인터(629)에는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제3오브젝트(655)로의 포인터(ID)가 기술된다.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의 제3오브젝트(655)의 내용은, 제1오브젝트(353), 제2오브젝트(354)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곡 Bb에 대응하는 가사 파일의 관리 정보(665), 예술가 정보 파일의 관리 정보(666)로 구성된다. 곡 B가 분할된 시점에서의 곡 Bb의 가사 파일(텍스트 파일 그 자체)은, 공백 파일, 또는 곡 B가 분할된 시점으로부터의 가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 등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만일, 가사 파일이 가사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형식의 파일인 경우, 이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가사 파일을 2개의 파일로 분할해도 된다. 예로서, 븐할 전의 곡 B가 180초의 길이를 갖고 있고, 이 것을 최초로부터 60초의 곡 Bb와, 이후의 120초의 곡 Bb로 분할한 경우, 가사 파일도 시간 정보 60초까지를 곡 Ba의 가사 파일, 60초 이후를 곡 Bb의 가사 파일로 분할하고, 이 것들의 새로운 가사 파일 관리 정보를 가사 파일의 관리 정보(664, 666)로 기술해도 좋다.
또한, 곡 B가 분할된 시점에서의, 곡 Bb의 예술가 정보 파일(텍스트 파일 그 자체)은, 곡 B의 예술가 정보 파일의 복사(copy), 또는 공백 파일 등의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텍스트 파일의 상태에 의해서, 곡 Bb에 대응하는 가사 파일의 관리 정보(665)와 예술가 정보 파일의 관리 정보(666)의 내용(예로서 파일 크기)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는, AV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타이틀 등의 텍스트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하고, AV 데이터의 리스트의 오브젝트에는 관련되는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의 리스트로의 포인터를 기술한다. 그리고, 어느 AV 데이터가 분할된 경우에는, 분할된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를 새로운 오브젝트로서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 리스트에 추가한다. 또한,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에, 새로이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의 오브젝트에 대한 링크 정보를 기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AV 데이터의 속성 데이터인,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파일에 대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부터 링크를 더듬어 찾아서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이 경우에,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이 동일한 구성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로부터는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에 동일한 순서로 액세스할 수 있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어떤 AV 데이터가 분할된 경우에, 분할되어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해서도, 타이틀 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텍스트 파일 내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의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를 확장한다. 따라서, 외부 기기로부터의 명령에 의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AV 데이터를 분할한 경우에도, 외부 기기로부터는 새로이 생성된 AV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 및 관리 정보(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파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생성할 필요가 없고, 리스트 관리의 일원화, 처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도 1,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6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예이다.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본적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컨텐츠 군으로서는 정지 화면, 제1리스트로서는 제2정지 화면 리스트를 예로 든다.
여기서, 광 디스크(107)에는, 오디오 데이터(곡 A, B), 정지 화면 데이터(A∼C)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리스트 변환 수단(109)이 생성하는 리스트의 구조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은, 컨텐츠 리스트(271), 오디오 리스트 (201), 정지 화면 리스트(631)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컨텐츠 리스트(271)는, 광 디스크(10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전체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컨텐츠 리스트(271)는 제1∼제3오브젝트(273∼275)를 포함하고 있다. 제1∼제3오브젝트(273∼275)는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이고, 각각 오디오 리스트(201), 제1정지 화면 파일 리스트(781), 제2정지 화면 파일 리스트 (751)를 1계층 하위의 리스트로서 가지고 있다.
오디오 리스트(201)는, 리스트 헤더(202), 제1오브젝트(203), 제2오브젝트 (2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오브젝트(203) 및 제2오브젝트(204)는 각각 곡 A, B의 관리 정보에 대응한다. 또한, 리스트 헤더(202)는, 오브젝트 수(2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수는 2로 되어 있다.
제1오브젝트(203), 제2오브젝트(204)는 각각, 곡 A, B의 관리 정보(재생 시간, 기록 일시, 데이터 포맷 등)(221, 224)로 구성된다.
제1정지 화면 리스트(781)는, 리스트 헤더(782), 제1오브젝트(783)로 구성된다. 제1오브젝트(753)는 정지 화면 A에 대응하고, 정지 화면 A의 관리 정보(데이터 크기, 데이터 포맷 등)(791)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제1오브젝트로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지 화면 A는, 디스크 전체를 대표하는 정지 화면이고, 예로서 재킷 화면(jacket picture)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정지 화면은, 예로서 디스크가 정지해 있을 때에 재생하도록 하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여기서, 제1정지 화면 리스트(781)는 1개의 오브젝트밖에 갖고 있지 않은 예를 나타냈지만, 오브젝트의 수는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전체를 대표하는 정지 화면의 매수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기록 매체를 대표하는 정지 화면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제1정지 화면 파일(781)은 적어도 1개의 공백 오브젝트를 준비해 둔다.
제2정지 화면 리스트(781)는, 리스트 헤더(752), 제1오브젝트(753), 제2오브젝트(754)로 구성된다. 제1오브젝트(753), 제2오브젝트(754)는 각각 정지 화면 B, C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제1오브젝트(753), 제2오브젝트(754)는 각각 정지 화면 B, C의 관리 정보(데이터 크기, 데이터 포맷 등)(761, 763)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것에 의해서, 디스크 전체를 대표하는 정지 화면 파일에 관한 관리 정보는 제1정지 화면 리스트(781)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로부터 디스크 전체를 대표하는 정지 화면 파일의 관리 정보에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리스트 (271)를 판독해서 제1정지 화면 리스트(781)의 ID를 판독한 후에, 제1정지 화면 리스트(781)에 액세스한다. 또한, 디스크 전체를 대표하는 정지 화면 파일의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경우에는, 컨텐츠 리스트(271)를 판독해서 제1정지 화면 리스트 (781)의 ID를 판독한 후에, 정지 화면 리스트(631)를 지정해서 재생 명령(데이터 출력 명령)을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각각의 정지 화면에 대한 액세스도 마찬가지의 순서로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는, AV 데이터, 정지 화면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 기록 매체를 대표하는 정지 화면 데이터, 기타의 정지 화면 데이터마다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AV 데이터의 리스트를 지정한 재생 명령이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경우에는, AV 데이터의 리스트의 선두의 제1오브젝트에 대응하는 AV 데이터로부터 재생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AV 데이터에 부속되지 않는 데이터 군도,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AV 데이터에 부속되는 데이터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관리되므로, 리스트 구조의 통일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외부 기기로부터 이 들 데이터 또는 이 들 데이터의 관리 정보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액세스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AV 데이터와 이 것에 부속되는 데이터, 부속되지 않는 데이터를 동기시켜서 재생하는 경우에도, 리스트의 형식이 동일하므로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 이 예를 나타낸다.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하고, 리스트 변환 수단(109)이 생성하는 리스트의 구조는 도 4에, 단, 정지 화면 리스트에 대해서는, 도 10에 나타낸 것으로 한다. 더욱이, 리스트 변환 수단(109)은, 도 4, 도 10에 나타낸 리스트에 추가해서, 도 11의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01), 동기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51)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01)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정지 화면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을 기술하기 위한 리스트이다.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01)는, 리스트 헤더(902), 제1오브젝트(903), 제2오브젝트(9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오브젝트(903), 제2오브젝트(904)는 디렉토리 오브젝트이고, 각각 하위 계층 리스트인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 A(911),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 B(921)를 갖고 있다.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01)의 제1오브젝트(902)의 하위 계층 리스트인,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 A(911)는, 리스트 헤더(912), 제1오브젝트(913), 제2오브젝트 (914)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것들에는, 오디오 리스트(201)의 제1오브젝트(203)(곡 A)와 동기시켜서 재생해야 하는 정지 화면(정지 화면 A, B)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화면 A에 대응하는 오브젝트(753)로의 포인터와, 정지 화면 B에 대응하는 오브젝트(754)로의 포인터이다. 여기서 광 디스크(107)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 A에 대해서 정지 화면 B, A가 어떤 타이밍에서 표시되도록 기술된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 B(921)에는, 오디오 리스트(201)의 제2오브젝트(204)(곡 B)와 동기시켜서 재생해야 하는 정지 화면(정지 화면 A)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즉, 제1오브젝트(923)에는 정지 화면 A의 관리 정보(오브젝트(754))로의 포인터(948)가 기술되어 있다.
동기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51)는, 오디오 데이터, 정지 화면 데이터, 텍스트 파일 등을 동기시켜서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리스트이다. 동기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51)는, 리스트 헤더(952), 제1오브젝트(953), 제2오브젝트(954)로 구성된다. 리스트 헤더(952)에는, 동기시켜서 재생하기를 원하는 리스트의 번호를 지정한다. 여기서는, 오디오 리스트(201),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01)를 동기시켜서 재생하기를 원하므로, 이 들 3개의 리스트 번호를 리스트 번호(961)에 기술한다. 제1오브젝트(953), 제2오브젝트(954)에는 3개의 리스트에 기술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번호를 지정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생을 실행하도록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제1오브젝트(953)에는 오브젝트 번호 1, 제2오브젝트(954)에는 오브젝트 번호 2가 기술된다.
동기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51)가 지정되어서, 재생 명령이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송신되어 오면,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동기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51)의 리스트 헤더(952)로부터 동기 재생해야 하는 리스트를 판단하고, 각각의 리스트에 기술되어 있는 순서, 재생 타이밍으로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 정지 화면 데이터, 가사 파일의 재생을 행한다.
또한, 도 12의 정지 화면 데이터의 재생 타이밍 등을 외부 기기로부터 재생하고 싶은 경우에는,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901)에 대해서 변경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는, AV 데이터, 정지 화면 데이터, AV 데이터에 대한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액세스할 때에,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를 리스트 구조로서 표현한다. 이 리스트 구조로서는, AV 데이터, 정지 화면 데이터의 관리 정보, 텍스트 파일의 관리 정보마다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AV 데이터의 재생 중에 정지 화면 데이터를 어느 타이밍에서 어느 기간만 표시할 것인가를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로서 기술하고, AV 데이터의 리스트, 텍스트 파일의 리스트, 프로그램 재생 리스트를 동기시켜서 재생하도록 하는 재생 명령을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면, AV 데이터, 정지 화면 데이터, 텍스트 파일을 동기시켜서 재생한다. 정지 화면 리스트, 텍스트 리스트는, 동기 재생의 경우에도, 동기 재생이 아닌 경우에도 동일한 리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매체로서 광 디스크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 것은 데이터의 관리 정보, 관리 정보를 기록 하는 기록 매체이면,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반도체 메모리 등이라도 상관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AV 데이터 컨텐츠로서 오디오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것은 비디오 데이터와 정지 화면을 취급하는 기록 매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장치가 관리 정보에 액세스해 왔을 때에, 데이터 유지 수단(104)에 유지된 관리 정보를 리스트 변환 수단(109)에 의해서 변환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관리 정보를 항상 리스트 구조로서 데이터 유지 수단(104)에 유지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AV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서, 텍스트 정보 및 텍스트 파일을 예로 들어, 이 것 들을 리스트 구조(타이틀 리스트(231), 제1,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81, 351))로서 나타내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것은 기타의 관리 정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텍스트 파일로서, 가사 파일, 예술가 파일 정보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 것은 기타 종류의 텍스트 파일이라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오디오 리스트(201), 제1,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81, 351)를 컨텐츠 리스트(271)의 하위 계층 리스트로서 설명했지만, 이 것은 기타의 구조라도 좋다. 예로서, 오디오 리스트(201)와 제2텍스트 파일 리스트(351)만이 컨텐츠 리스트(271)의 하위 계층 리스트이고, 타이틀 리스트(231)는 컨텐츠 리스트와 동일한 계층의 리스트인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텍스트 파일 리스트의 오브젝트에 가사 파일 리스트의 속성 정보와, 예술가 정보 파일의 속성 정보 모두를 기술했지만, 이 것은 디렉토리 오브젝트를 이용함으로써, 개별 오브젝트로서 표현해도 좋다. 개별 오브젝트로 함으로써, 데이터의 재생 출력을 개별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36)

  1.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상기 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상기 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제4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2리스트 군을 생성하여, 상기 제2리스트 군의 리스트 헤더에, 상기 제3관리 정보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을 기술하고, 상기 제1리스트의 리스트 헤더에 상기 제3관리 정보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으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2.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상기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관리 정보 및 상기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여,
    상기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상기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3.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상기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관리 정보 및 상기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여,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의 경우에,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백인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상기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4.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상기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관리 정보 및 상기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여,
    상기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상기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며,
    상기 컨텐츠 군 중의 제1컨텐츠가 삭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1컨텐츠의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5.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상기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관리 정보 및 상기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여,
    상기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상기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며,
    상기 컨텐츠 군 중의 제1컨텐츠가 제2 및 제3의 컨텐츠로 분할된 경우에는, 상기 제1컨텐츠의 제4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제1오브젝트를 제2, 제3의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제1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제4, 제5의 오브젝트로 분할하며, 상기 제1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제6, 제7의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제2오브젝트에 상기 제4 및 상기 제6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며, 상기 제3오브젝트에 상기 제5 및 상기 제7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4오브젝트 또는 제5오브젝트는, 분할되기 전의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의 복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제6오브젝트 또는 제7오브젝트는, 분할되기 전의 제3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의 복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제4, 제5, 제6 또는 제7의 오브젝트가 공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리스트의 리스트 헤더에, 제3리스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텐츠 군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관리 정보가 컨텐츠의 타이틀 등의 텍스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2.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속 컨텐츠가 정지 화면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3.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상기 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를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상기 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컨텐츠가 정지 화면 데이터이고,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컨텐츠가 표지 화면(cover pict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컨텐츠가 텍스트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6.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수단과,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유지하고 있는 상기 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수단과,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를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브젝트를 공백 오브젝트로 하는 제1리스트와, 상기 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컨텐츠가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가 광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19.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공정과,
    상기 데이터 유지 공정에서 유지하고 있는 상기 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공정과,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에서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상기 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제4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제2리스트 군을 생성하여, 상기 제2리스트 군의 리스트 헤더에, 상기 제3관리 정보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을 기술하고, 상기 제1리스트의 리스트 헤더에 상기 제3관리 정보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것으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0.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상기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공정과,
    상기 데이터 유지 공정에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관리 정보 및 상기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공정과,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에서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여,
    상기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상기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1.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상기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공정과,
    상기 데이터 유지 공정에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관리 정보 및 상기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공정과,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에서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여,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의 경우에,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백인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상기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2.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상기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공정과,
    상기 데이터 유지 공정에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관리 정보 및 상기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공정과,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에서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상기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여,
    상기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상기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며,
    상기 컨텐츠 군 중의 제1컨텐츠가 삭제된 경우에는, 상기 제1컨텐츠의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3.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1관리 정보와, 상기 제1컨텐츠 군에 부속하는 제2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인, 제2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공정과,
    상기 데이터 유지 공정에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관리 정보 및 상기 제2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공정과,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에서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은, 상기 제1관리 정보를 제1컨텐츠 군과는 독립해서 표현하는 제3관리 정보와, 상기 제3관리 정보 이외의 제4관리 정보로 분류하고,
    상기 제2, 제3, 제4의 관리 정보의 각각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여,
    상기 제4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상기 제3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 군과, 상기 제2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 중의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3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제4리스트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3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 및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상기 제2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며,
    상기 컨텐츠 군 중의 제1컨텐츠가 제2 및 제3의 컨텐츠로 분할된 경우에는, 상기 제1컨텐츠의 제4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제1리스트 내의 제1오브젝트를 제2, 제3의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제1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상기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제4, 제5의 오브젝트로 분할하며, 상기 제1오브젝트로부터 링크되어 있는 상기 제4리스트 내의 오브젝트를 제6, 제7의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제2오브젝트에 상기 제4 및 상기 제6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며, 상기 제3오브젝트에 상기 제5 및 상기 제7오브젝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제4오브젝트 또는 제5오브젝트가, 분할되기 전의 제2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의 복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제6오브젝트 또는 제7오브젝트가, 분할되기 전의 제3리스트 내의 오브젝트의 복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제4, 제5, 제6 또는 제7의 오브젝트가 공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7. 제20항 내지 제2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리스트의 리스트 헤더에, 제3리스트로의 링크 정보를 기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8. 제19항 내지 제2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텐츠 군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9. 제19항 내지 제2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관리 정보가 컨텐츠의 타이틀 등의 텍스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0. 제19항 내지 제2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속 컨텐츠가 정지 화면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1.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공정과,
    상기 데이터 유지 공정에서 유지하고 있는 상기 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공정과,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에서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은, 상기 관리 정보를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1리스트와,
    이 것 이외의 상기 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컨텐츠가 정지 화면 데이터이고,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컨텐츠가 표지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컨텐츠가 텍스트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4.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 군의 관리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유지 공정과,
    상기 데이터 유지 공정에서 유지하고 있는 상기 관리 정보와 리스트를 상호 변환하는 리스트 변환 공정과,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이 변환하는 리스트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변환 공정은, 상기 관리 정보를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단위인 오브젝트로 분할하고,
    상기 컨텐츠 군을 대표하는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브젝트를 공백 오브젝트로 하는 제1리스트와, 상기 관리 정보의 오브젝트 군으로 구성되는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컨텐츠가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6. 제19항 내지 제2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가 광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000-7007315A 1998-11-02 1999-11-02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368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176298A JP3551045B2 (ja) 1998-11-02 1998-11-02 データ送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98-311762 1998-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820A true KR20010024820A (ko) 2001-03-26
KR100368570B1 KR100368570B1 (ko) 2003-01-24

Family

ID=1802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315A KR100368570B1 (ko) 1998-11-02 1999-11-02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29364B1 (ko)
EP (1) EP1067543A4 (ko)
JP (1) JP3551045B2 (ko)
KR (1) KR100368570B1 (ko)
CN (1) CN1306513C (ko)
ID (1) ID26826A (ko)
TW (1) TW453077B (ko)
WO (1) WO200002691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299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KR100563680B1 (ko) * 2001-11-27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가사 데이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KR100679405B1 (ko) * 2006-02-1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2024B1 (en) * 1999-07-29 2006-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for devices connected digital interface and command structure therefor
JP4741133B2 (ja) * 1999-12-03 2011-08-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適合化装置、データ適合化方法
JP2002100156A (ja) * 2000-09-25 2002-04-05 Sharp Corp 記録再生装置
US7191190B2 (en) * 2001-03-27 2007-03-13 Microsoft Corporation Meta data management for media content objects
JP4564021B2 (ja) * 2001-11-30 2010-10-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
TW200300928A (en) * 2001-11-30 2003-06-16 Sony Corpor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N1204489C (zh) * 2002-04-03 2005-06-01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可同步播放相关联的语音及文字的方法
KR20030087193A (ko) 2002-05-07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채널 방송 스트림의 기록 관리방법
EP1516329A4 (en) 2002-06-21 2009-07-1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VIDEO DATA RECORDED ON THIS RECORDING MEDIUM
KR100620185B1 (ko) 2002-06-21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갖는 기록 매체
KR20040000290A (ko) 2002-06-24 200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멀티 경로 데이터 스트림 관리방법
CN100378854C (zh) 2002-06-24 2008-04-02 Lg电子株式会社 具有用于管理记录在其上面的多个再现路径视频数据的再现的数据结构的记录介质及其记录和再现方法及装置
CN101350215B (zh) 2002-06-24 2012-08-29 Lg电子株式会社 记录和再现用于视频数据的再现的数据结构的方法及装置
US7917557B2 (en) 2002-09-05 2011-03-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s for creating a second playlist based on a first playlist
KR100665439B1 (ko) 2002-10-14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된 복수의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데이터 구조를 갖는 기록 매체, 그에 따른 기록 및 재생방법 및 장치
EP1552520B1 (en) 2002-10-15 2012-02-29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graphics stream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693394B2 (en) 2003-02-26 2010-04-06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data stream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809775B2 (en) 2003-02-27 2010-10-0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playback control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RU2369919C2 (ru) 2003-02-28 2009-10-1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о структурой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м в произвольном порядке/с перемешиванием записанных на нем видеоданных и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KR100565060B1 (ko) * 2003-03-14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언어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재생가능한 데이터 구조로기록된 정보저장매체, 그 재생 방법 및 장치
US7620301B2 (en) 2003-04-04 2009-11-17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uming playback
US20040210949A1 (en) * 2003-04-21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eption and playback apparatus, data reception and playback method, and data reception and playback processing program
CN100372018C (zh) * 2003-08-04 2008-02-27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可再记录光盘的编辑用概要信息管理方法
JP3979432B2 (ja) * 2003-08-08 2007-09-19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avシステム
KR100565080B1 (ko) * 2004-09-13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표 타이틀 정보가 부가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av데이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 재생장치 및 메타데이터 검색방법
US7516122B2 (en) * 2004-12-02 2009-04-07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anagement component that exposes attributes
JP4277218B2 (ja) 2005-02-07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07026666A1 (ja) * 2005-08-31 2009-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属性に対する管理情報を格納する記録媒体、そのような記録媒体に対する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5270288B2 (ja) * 2007-10-01 2013-08-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
US8860865B2 (en) * 2009-03-02 2014-10-14 Burning Moon, Llc Assisted video creation utilizing a camera
JPWO2010113824A1 (ja) * 2009-03-31 2012-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装置
JPWO2010125875A1 (ja) * 2009-04-28 2012-10-25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装置
CN101605235B (zh) * 2009-07-31 2011-09-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通信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0572A (en) * 1988-06-24 1994-01-18 Time Warner Interactive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text data in subcode packs
BE1008964A3 (nl) * 1994-11-18 1996-10-01 Philips Electronics Nv Werkwijze voor overdracht van informatie, een informatiedrager, alsmede een inrichting voor ontvangen en een inrichting voor verzenden van informatie.
US5778142A (en) * 1994-11-24 1998-07-07 Kabushiki Kaisha Toshiba Large capacity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a large-capacity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 large-capacity recording medium
KR0136025B1 (ko) * 1994-12-30 1998-05-15 배순훈 캡션기능을 갖춘 비디오 디스크와 그 재생장치(video compact disc with caption data recorded thereon and system for handling the same)
JP3493825B2 (ja) * 1995-08-02 2004-02-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JP3484838B2 (ja) * 1995-09-22 2004-01-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方法及び再生装置
JP3698805B2 (ja) * 1996-03-25 2005-09-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H1021261A (ja) * 1996-07-05 1998-01-23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ベース検索方法及びシステム
JPH10154373A (ja) * 1996-09-27 1998-06-09 Sony Corp データデコード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デコード方法、伝送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6226672B1 (en) * 1997-05-02 2001-05-0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users to access and/or share media libraries, including multimedia collections of audio and video information via a wide area network
US6243725B1 (en) * 1997-05-21 2001-06-05 Premier International, Ltd. List building system
JPH1125611A (ja) * 1997-07-02 1999-01-2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情報記録媒体
US6141702A (en) * 1997-07-30 2000-10-31 Sony Corporation Of Japan Model and command set for an AV/C-based disc media player recorder
JPH1173730A (ja) * 1997-08-27 1999-03-16 Sony Corp 放送記録装置
JPH11110911A (ja) * 1997-10-07 1999-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送受信装置
US6288990B1 (en) * 1997-10-21 2001-09-11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O1999031590A1 (fr) * 1997-12-18 1999-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de memorisation de fichiers, appareil de memorisation de donnees, procede de gestion de supports d'information, procede de gestion de fichiers, procede d'ecriture des donnees recues dans les supports d'information, et supports de memorisation de programmes
DE69940867D1 (de) * 1998-03-17 2009-06-25 Panasonic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unter Verwendung von angepassten Befehlen
US6248946B1 (en) * 2000-03-01 2001-06-19 Ijockey, Inc. Multimedia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3131B2 (en) 2001-11-27 2010-09-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suring synchronous presentation of additional data with audio data
KR20030043299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US8683252B2 (en) 2001-11-27 2014-03-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suring synchronous presentation of additional data with audio data
US7181636B2 (en) 2001-11-27 2007-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nsuring synchronous presentation of additional data with audio data recorded on a rewritable recording medium
US7293189B2 (en) 2001-11-27 2007-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additional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main data using time information
US7715933B2 (en) 2001-11-27 2010-05-1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naging lyric data of audio data recorded on a rewritable recording medium
KR100563680B1 (ko) * 2001-11-27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가사 데이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US8041978B2 (en) 2001-11-27 2011-10-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suring synchronous presentation of additional data with audio data
US8108706B2 (en) 2001-11-27 2012-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suring synchronous presentation of additional data with audio data
US8108707B2 (en) 2001-11-27 2012-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suring synchronous presentation of additional data with audio data
US8074095B2 (en) 2001-11-27 2011-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suring synchronous presentation of additional data with audio data
US8185769B2 (en) 2001-11-27 2012-05-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suring synchronous presentation of additional data with audio data
US8671301B2 (en) 2001-11-27 2014-03-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suring synchronous presentation of additional data with audio data
KR100679405B1 (ko) * 2006-02-1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7543A1 (en) 2001-01-10
CN1287667A (zh) 2001-03-14
CN1306513C (zh) 2007-03-21
JP3551045B2 (ja) 2004-08-04
JP2000149405A (ja) 2000-05-30
KR100368570B1 (ko) 2003-01-24
TW453077B (en) 2001-09-01
US6429364B1 (en) 2002-08-06
EP1067543A4 (en) 2005-08-03
ID26826A (id) 2001-02-15
WO2000026911A1 (fr) 200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570B1 (ko)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6206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virtual file folder structure converter and method therefor
CN100511457C (zh) 通过网络再现交互式光盘的方法和设备
CN1993755B (zh) 包括元数据的存储介质及其再现设备和方法
US8279722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20100081868A (ko) 통합 채널 관리를 통한 컨텐트 재생 방법 및 장치
US7487175B2 (en) Recording apparatus, file management method, program for file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file management method recorded thereon
JP2001157155A (ja)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とり可能な記録媒体
JP3036099B2 (ja) データ管理方法
WO2020255757A1 (ja) ファイル処理装置、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63170B1 (ko) 기록매체, 그 재생장치, 및 그 텍스트 디스플레이방법
KR100329161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1069460A (ja) 記録方法、記録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20064463A (ko) 서브 타이틀을 타이틀에 관련지어 재생가능한 데이터구조를 갖는 기록매체, 그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JP2000134565A (ja)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タ読みとり可能な記録媒体
JP4042224B2 (ja) データ送受信装置
KR20050085530A (ko) 기록 및 재생시스템,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매체, 기록및 재생방법, 기록방법, 재생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8437615B2 (en) Data recording method
WO2020255756A1 (ja) ファイル処理装置、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334992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US6345017B1 (en)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mechanical noise during access of sub data and main data
JP2000215201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401228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파일 기록 장치 및 방법
CN1871656B (zh) 用于管理和再现交互式光盘的附加音频文件的方法
US7693846B2 (en)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ata synchro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