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405B1 -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405B1
KR100679405B1 KR1020060014652A KR20060014652A KR100679405B1 KR 100679405 B1 KR100679405 B1 KR 100679405B1 KR 1020060014652 A KR1020060014652 A KR 1020060014652A KR 20060014652 A KR20060014652 A KR 20060014652A KR 100679405 B1 KR100679405 B1 KR 10067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data
data
audio
record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626A (ko
Inventor
김형선
서강수
김병진
엄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40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 저장된 다수의 오디오 곡 데이터들에 해당되는 가사(Lyric) 데이터 또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User Input Data)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를, 다수 개의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 기록하고, 그 분할 기록된 부가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 재생하기 위한 관리정보, 예를 들어 재생시간 길이 또는 재생 시작시간을 부가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 연속 재생되는 오디오 곡 데이터와 동기시켜 구분 인식할 수 있도록 재생 출력하거나 또는 구분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오디오 곡 데이터에 대한 가사 또는 다양한 부가 정보들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부가 데이터,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정보, 분할 기록, 동기, 가사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 재생방법 {Method for managing and reproducing a synchronization between audio data and additional data}
도 1은 일반적인 광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RTR_AMG) 정보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RTR_AMG) 정보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정보(CI)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사 데이터 유니트(SG_L_TXT)가 재생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RTR_AMG) 정보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 테이블(ALFIT)과 오디오 가사 파일(ALF)간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기록 가능 디브이디 2 : 광픽업(P/U)
3 : 기록신호처리부 4 : 엔코더(Encoder)
5 : 샘플러(Sampler) 6 : 시스템 제어부
7 : 메모리(Memory) 8 : 재생신호처리부
9 : 디코더(Decoder)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오디오 곡 데이터와 함께 기록되는 가사 데이터(Lyric Data)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 데이터(User Input Data)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곡 데이터와 동기되도록 기록 재생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음질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저장할 수 있는 씨디(CD: Compact Disk)와 같은 기록매체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편화된 디지털 오디오 기록매체로서, 상기 씨디는, 고음질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기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고화질의 동영상 데이터 또는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기록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고밀도 광디스크인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가 개발 출시되어, 널리 보급 상용화될 것이 기대되고 있는 데, 상기 디브이디 종류에는, 재생 전용의 DVD-ROM, 1회 기록 가능한 DVD-R, 그리고 재기록 가능한 DVD-RAM 또는 DVD-RW(DVD-Rewritable) 등이 있으며, DVD-RAM 또는 DVD-RW 등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포맷에 대한 규격화 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도 1은,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재생하는 일반적인 광디스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광디스크 장치에는, 재기록 가능한 DVD, 예를 들어 DVD-RW(10)에 기록된 신호를 독출하거나, 또는 기록신호 처리된 데이터 스트림을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광픽업(11); 상기 광픽업(11)으로부터 독출되는 신호를 재생신호 처리하는 재생신호처리부(12); 상기 재생신호를 디코딩 출력하는 디코더(13);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신호, 예를 들어 LPCM데이터로 변환 출력하는 샘플러(18); 상기 변환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앰팩(MPEG) 방식, 또는 에이 쓰리(AC-3) 방식 등으로 엔코딩하는 엔코더(17); 상기 엔코딩된 디지털 데이터 또는 상기 LPCM데이터를 기록에 적합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기록신호처리부(16);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구성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4); 및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5)가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광디스크 장치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샘플러(18)에서는, 그 오디오 신호를 소정 주파수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엔코더(17)로 인가하게 되고, 상기 엔코더(17)에서는, 그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포맷, 예를 들어 앰팩 포맷으로 엔코딩하여, 상기 기록신호처리부(16)에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록신호처리부(16)에서는, 상기 엔코딩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에 적합한 신호로 바꾸어서, 상기 DVD-RW(10)에 기록하게 되며, 또한 앰팩 포맷으로 이미 엔코딩된 후, 입력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에 적합한 신호로 바꾸어서 상기 DVD-RW(10)에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DVD- RW(10)에 기록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데이터를 생성 기록하게 된다.
도 2는, 네비게이션 데이터로서,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RTR_AMG: Real Time Record Audio Management) 정보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RTR_AMG) 정보는, 상기 DVD-RW(10)에 기록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네비게이션 데이터로서, 실시간 오디오 관리 일반정보(RTR_AMGI), 오디오 파일 정보 테이블(AUDFIT), 오디오 스틸 비디오 파일 정보 테이블(ASVFIT), 오리지널 프로그램 체인정보(ORG_PGCI), 사용자 정의 프로그램 체인정보 테이블(UD_PGCIT), 텍스트 데이터 관리(TXTDT_MG), 및 제조 정보 테이블(MNFIT)에 대한 관리 정보들이 포함 기록된다.
한편, 상기 텍스트 데이터 관리(TXTDT_MG) 정보에는, 상기 DVD-RW(10)에 기록 저장된 다수의 오디오 곡 데이터들에 대한 가사(Lyric) 데이터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가 포함 기록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제어부(14)에서는, 상기 DVD-RW(10)에 기록 저장된 다수의 오디오 곡 데이터들 중 임의의 한 오디오 곡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는 경우, 그 오디오 곡 데이터에 해당하는 가사 데이터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관리정보 상에서 검색 독출한 후, 영상 화면을 통해 문자로 재생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DVD-RW(10)에 기록 저장된 다수의 오디오 곡 데이터들 중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오디오 곡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 청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그 오디오 곡 데이터에 대한 가사 데이터를 영상 화면을 통해 문자로 확 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텍스트 데이터 관리(TXTDT_MG) 정보에 포함 기록되는 가사 데이터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는, 하나의 오디오 곡 데이터 전체에 각각 대응되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동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재생되는 오디오 곡의 속도에 맞추어서 가사와 같은 부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 저장된 다수의 오디오 곡 데이터들에 해당되는 가사(Lyric) 데이터 또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User Input Data)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를, 사용자가 실시간 연속 재생되는 오디오 곡 데이터와 세부적으로 동기시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은,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오디오 곡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를,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하는 1단계; 및 상기 분할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대응되는 오디오 곡 데이터와의 동기 재생을 위한 정보, 예를 들면, 재생시간 길이 또는 재생 시작시간을,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재생방법은,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곡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로 분할 기록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탐색하는 1단계; 및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된 오디오 곡 데이터와의 동기 재생을 위한 정보, 예를 들면 재생시간 길이 또는 재생 시작시간에 따라,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재생 출력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 재생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에서는, DVD-RW 등과 같은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곡 데이터에 해당되는 가사(Lyric) 데이터 또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User Input Data)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를,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Unit)로 분할하여, 상기 오디오 곡 데이터의 각 부분에 연계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연속 재생되는 오디오 곡 데이터와 동기시켜 구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 기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RTR_AMG) 정보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정보에는,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오디오 관리 일반정보(RTR_AMGI), 오디오 파일 정보 테이블(AUDFIT), 오디오 스틸 비디오 파일 정보 테이블(ASVFIT), 오리지널 프로그램 체인정보(ORG_PGCI), 사용자 정의 프로그램 체인정보 테이블(UD_PGCIT), 텍스트 데이터 관리(TXTDT_MG) 및 제조 정보 테이블(MNFIT)에 대한 관리 정보들이 포함 기록되되, 상기 텍스트 데이터 관리(TXTDT_MG) 정보는, 각 곡에 대한 가사 데이터의 위치정보(ALUI Search Pointer #k)와, 실제 가사가 저장되는 항목(ALUI #k)로 구성되며, 각 가사 항목은, 다수 개로 분할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 예를 들어 분할된 가사 데이터 유니트들(SG_L_TXT #1 ∼ #n)과, 그 분할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대한 시간 정보(Time)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시간 정보(Time)는, 각각의 가사 데이터 유니트(SG_L_TXT)가 재생 출력될 시간 길이(Time Duration)를 나타내는 시간 정보, 또는 상기 가사 데이터 유니트가 재생 출력될 재생 시작시간(Start Time)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로서 부가 기록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시간 정보는, 인접 기록된 해당 가사 데이터 유니트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다른 가사 데이터 유니트들과 함께 표시되되, 다른 가사 데이터 유니트들과는 구별되는 특정 색(Color) 또는 특정 문자 폰트(Font) 등으로 소정 시간 동안 구분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시간 정보로서 부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할 기록되는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 코드(IDCD: ID Code)가 부가 기록될 수 있는 데, 상기 식별 코드 는, 상기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시간 정보가 부가 기록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식별 코드로서 부가 기록되거나, 또는 상기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기록된 데이터의 유형이 가사 데이터인 지 또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인 지를 나타내기 위한 식별 코드로서 부가 기록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부가 기록된 시간 정보의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식별 코드로서 부가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시간 정보와 식별 코드가 부가 기록된 다수 개의 가사 데이터 유니트들, 즉 하나의 오디오 곡에 대응되는 다수 개의 가사 데이터 유니트들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텍스트 데이터 관리정보(TXTDT_MG)에 포함 기록된 서치 포인터(Search Pointer)에 지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ALUI Search Pointer)는, 하나의 오디오 곡에 대응되는 다수 개의 가사 데이터 유니트들 중 첫 번째 가사 데이터 유니트의 시작 기록위치를 가리키게 된다.
한편, 상기 오리지널 프로그램 체인정보(ORG_PGCI)에 포함 기록되는 셀 정보(CI)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셀에 대응되는 오디오 집합체(AOB: Audio Object)(보통, 기록된 한 곡과 대응된다)를 탐색 독출하기 위한 오디오 집합체 정보 서치 포인터 번호(AOBI_SRPN)와, 그 오디오 집합체에 연계된 정지 영상 데이터인 오디오 스틸 비디오 유니트(ASVU: Audio Still Video Unit)를 탐색 독출하기 위한 오디오 스틸 비디오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 번호(ASVUI_SRPN), 그리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 관리(TXTDT_MG) 정보에 포함 기록된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를 가리키는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 번호(ALUI_SPRN)가 포함 기록된다.
즉,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RTR_MG) 정보에 포함 기록된 오리지널 프로그램 체인정보(ORG_PGCI)의 셀 정보(CI)에는,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 번호(ALUI_SRPN)가 포함 기록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 관리(TXTDT_MG) 정보에는, 상기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 번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가 기록되며, 상기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가사 데이터는, 다수 개의 가사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되어, 상기 텍스트 데이터 관리정보에 포함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 기록된 다수 개의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는,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시간 정보(Time)와 식별 코드(IDCD)가 부가 기록된다.
따라서, 광디스크 장치의 시스템 제어부(14)에서는, 특정 곡, 즉, AOB가 선택되면, 그 AOB와 연결된 셀 정보에 포함 기록된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 번호(ALUI_SPRN)를 검색 확인한 후, 그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 번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ALUI_Search Pointer)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 관리(TXTDT_MG) 정보에서 검색하여, 그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가 가리키는 첫 번째 가사 데이터 유니트(SG_L_TXT #1)의 시작 기록위치를 탐색하게 된다.
그리고. 그 첫 번째 가사 데이터 유니트(SG_L_TXT #1)에 분할 기록된 가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출 재생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시스템 제어부(14)에서는. 상기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부가 기록된 식별 코드가, 상기 시간 정보의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식별 코드로서 부가 기록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가사 데이터 유니트(SG_L_TXT)에 부가 기록된 식별 코드(IDCD)에 의해, 상기 시간 정보(Time)가 가사 데이터 유니트(SG_L_TXT)가 재생 출력될 시간 길이(Time Duration)를 나타내는 시간 정보라고 판별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분할된 오디오 가사 데이터를 상기 시간정보 필드에서 지정된 시간만큼씩만 차례로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연속 재생되는 오디오 곡 데이터와 부분적으로 동기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별 코드(IDCD)에 의해, 상기 시간 정보가, 가사 데이터 유니트가 재생 출력될 재생 시작시간(Start Time)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라고 판별되는 경우에는, 해당 고의 재생시작 후 경과시간이, 가사 데이터 유니트의 재생 시작시간이 되면, 그 시간에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분할 기록된 오디오 가사 데이터를 각각 재생 출력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연속 재생되는 오디오 곡 데이터와 부분적으로 동기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14)에서는, 상기 식별 코드가, 상기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부가 기록된 시간 정보의 유형을 나타내는 식별코드로서 부가 기록된 경우, 그 시간 정보의 유형에 해당하는 가사 데이터 재생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게 되며, 또한 상기 식별 코드가, 상기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부가 기록된 데이터의 유형을 나타내는 식별코드로서 부가 기록된 경우, 그 부가 데이터의 유형에 상응하는 재생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별코드가, 상기 시간 정보의 기록유무를 나타내는 식별코드, 예를 들어 상기 시간 정보가 부가 기록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로서 부가 기록된 경우에는, 상기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분할 기록된 가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출 재생하는 통상적인 가사 데이터 재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할 기록되는 가사 데이터 유니트는, 상기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정보에 포함 기록되는 텍스트 데이터 관리(TXTDT_MG) 정보와는, 별도의 독립된 부가 데이터 파일에 기록 저장될 수 있는 데, 이 경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RTR_AMG) 정보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실시간 기록 오디오 관리정보에는, 가사 데이터 또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 기록된 별도의 부가 데이터 파일, 예를 들어 사전에 정의된 오디오 가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 테이블(ALFIT)이 추가로 포함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 테이블(ALFIT)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 테이블 정보(ALFITI)와,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ALFI)가 포함 기록되며, 상기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 테이블 정보(ALFITI)에는,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들에 대한 개수(ALFI_Ns) 정보와, 오디오 가사 정보들에 대한 개수(AL_I_Ns) 정보, 그리고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 테이블에 대한 끝 어드레스(ALFIT_EA) 정보가 포함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ALFI)에는,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에 대한 일반정보(ALFI_GI)와, 다수의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들이 포함 기록되며, 상기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에는, 해당되는 오디오 가사 유니트의 시작 어드레스(ALU_SA)와 사이즈(ALU_SZ), 그리고 가사 속성(L_ATR) 정보가 포함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에서의 시작 어드레스(ALU_SA) 정보는, 별도로 기록 관리되는 오디오 가사 파일, 예를 들어 'AR_Lyric.ARO' 파일에 포함 기록된 임의의 한 오디오 가사 유니트(ALU)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게 되며, 상기 오디오 가사 유니트(ALU)에는, 하나의 오디오 곡 데이터에 해당되는 가사 데이터(Lyric Text)가 기록되되, 상기 가사 데이터는, 다수 개의 가사 데이터 유니트(SG_L_TXT # 1 ∼ #k)로 분할 기록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 코드와 시간 정보가 부가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셀 정보(CI)에서의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 번호(AULI_SRPN)는, 상기 오디오 가사 파일 정보(ALFI)에서의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를 지시하게 되고, 상기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는, 별로의 오디오 가사 파일에 포함 기록된 오디오 가사 유니트의 기록 시작위치를 지시하게 되므로, 상기 시스템 제어부(14)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셀 정보에 포함 기록된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 번호(ALUI_SPRN)를 검색 확인한 후, 그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처리 포인터 번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ALUI_Search Pointer)를, 상기 오디오 가사 파일정보(ALFI)에서 검색하여, 그 오디오 가사 유니트 정보 서치 포인터가 가리키는, 오디오 가사 유니트의 기록 시작위치를, 상기 오디오 가사 파일 'AR_Lyric.ARO' 에서 검색하게 된다.
즉, 상기 오디오 가사 파일 'AR_Lyric.ARO' 에 포함 기록된 오디오 가사 유니트(ALU)를 탐색하여, 결국 그 오디오 가사 유니트에 분할 기록된 첫 번째 가사 데이터 유니트(SG_L_TXT #1)를 탐색하게 되고, 그 가사 데이터 유니트에 부가 기록된 식별 코드와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분할 기록된 가사 데이터 유니트를, 실시간으로 연속 재생되는 오디오 곡 데이터와 동기되도록 재생하거나, 또는 구별 표시되도록 하는 일련의 가사 데이터 재생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변경, 대체 또는 부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 재생방법은,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 저장된 다수의 오디오 곡 데이터들에 해당되는 가사(Lyric) 데이터 또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User Input Data)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를,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 기록 하고, 그 분할 기록된 부가 데이터를 재생 제어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부가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 연속 재생되는 오디오 곡 데이터와 동기시켜 구분 인식할 수 있도록 재생 출력하거나 또는 구분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오디오 곡 데이터에 대한 가사 또는 부가 정보들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8)

  1. 기록매체에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구분하여 기록하되,
    상기 부가 데이터를,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1단계; 및
    상기 분할된 각 부가 데이터 유니트별 재생시간 길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2. 기록매체에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구분하여 기록하되,
    상기 부가 데이터를,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1단계; 및
    상기 분할된 각 부가 데이터 유니트별 재생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3. 기록매체에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구분하여 기록하되,
    상기 부가 데이터를,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1단계; 및
    상기 분할된 각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와의 동기 재생을 위한 정보를, 상기 각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4. 기록매체에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구분하여 기록하되,
    상기 부가 데이터를,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1단계; 및
    상기 분할된 각 부가 데이터 유니트가, 해당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되어, 다른 부가 데이터 유니트와 구별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각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문자 데이터, 또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된 정보의 기록 유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를,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더 부가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기록된 데이터의 유형 식별을 위한 식별 코드를,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더 부가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된 정보의 유형 식별을 위한 식별 코드를,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더 부가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제어를 위한 관리정보 내에 포함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제어를 위한 관리정보와는 독립된 별도의 파일에 포함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방법.
  11.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가 구분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로 분할 기록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탐색하는 1단계; 및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된 재생시간 길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일정 시간 동안 재생 출력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재생방법.
  12.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가 구분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로 분할 기록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탐색하는 1단계; 및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된 재생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일정 시점에 재생 출력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재생방법.
  13.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가 구분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로 분할 기록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탐색하는 1단계; 및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와의 동기 재생을 위한 정보에 따라,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시켜 재생 출력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재생방법.
  14.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가 구분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하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로 분할 기록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탐색하는 1단계; 및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되어, 다른 부가 데이터 유니트와 구별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정보에 따라,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를 다른 부가 데이터 유니트와 구별 표시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재생방법.
  15.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가 구분 기록되되,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하여 기록됨과 아울러,
    상기 분할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의 재생시간 길이에 대한 정보가,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6.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가 구분 기록되되,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하여 기록됨과 아울러,
    상기 분할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의 재생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가,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7.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가 구분 기록되되,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하여 기록됨과 아울러,
    상기 분할된 부가 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와의 동기 재생을 위한 정보가,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8.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연계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가 구분 기록되되,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부가 데이터가. 다수 개의 부가 데이터 유니트로 분할하여 기록됨과 아울러,
    상기 분할된 부가 데이터 유니트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되어 구별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정보가, 상기 부가 데이터 유니트에 인접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60014652A 2006-02-15 2006-02-15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KR100679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652A KR100679405B1 (ko) 2006-02-15 2006-02-15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652A KR100679405B1 (ko) 2006-02-15 2006-02-15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382A Division KR20030043299A (ko) 2001-11-27 2001-11-27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084A Division KR100737696B1 (ko) 2006-11-01 2006-11-01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626A KR20060019626A (ko) 2006-03-03
KR100679405B1 true KR100679405B1 (ko) 2007-02-06

Family

ID=3712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652A KR100679405B1 (ko) 2006-02-15 2006-02-15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4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820A (ko) * 1998-11-02 2001-03-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1202755A (ja) * 2000-01-19 2001-07-27 Toshiba Corp 音声情報に同期した表示情報の記録方法もしくは編集方法、あるいは表示情報が記録された情報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820A (ko) * 1998-11-02 2001-03-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1202755A (ja) * 2000-01-19 2001-07-27 Toshiba Corp 音声情報に同期した表示情報の記録方法もしくは編集方法、あるいは表示情報が記録された情報記憶媒体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24820
1320275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626A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3299A (ko)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JP2008171557A (ja) 再記録可能記録媒体のオーディオデータ記録管理方法
JP2005531256A (ja) 音声付きスライドショー
KR100679405B1 (ko)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KR100737696B1 (ko)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KR100563680B1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가사 데이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KR100711336B1 (ko) 기록매체의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 재생방법
CN1532833A (zh) 音频数据和附加数据之间的同步记录管理以及播放方法
KR100710951B1 (ko) 기록매체의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 재생방법
JP2007080329A (ja) ディスクの静止画切換位置検索装置
JP2006041706A (ja) 音声静止画同時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静止画データ付加情報編集方法
KR20020036662A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데이터 기록 관리 및 재생방법
JP2007048377A (ja) ディスクのレイヤ切換ポイント解析装置
KR20010082677A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데이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JP2006048889A (ja) 記録方法、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