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596A - 환자의 눈을 입체적으로 검사하는 입체 검안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의 눈을 입체적으로 검사하는 입체 검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596A
KR20010024596A KR1020007004980A KR20007004980A KR20010024596A KR 20010024596 A KR20010024596 A KR 20010024596A KR 1020007004980 A KR1020007004980 A KR 1020007004980A KR 20007004980 A KR20007004980 A KR 20007004980A KR 20010024596 A KR20010024596 A KR 20010024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lens
patient
viewing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울베르스게르트
비드메르한스루디
페르츠에버하르트
스투더레토
로벨다비드
프랑크하우제르한스
Original Assignee
쥬리그 에이치. 슈네처
하그-스트라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2387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2459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쥬리그 에이치. 슈네처, 하그-스트라이트 아게 filed Critical 쥬리그 에이치. 슈네처
Publication of KR2001002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5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3Ophthalmic microscopes
    • A61B3/135Slit-lamp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3Ophthalmic microscopes
    • A61B3/132Ophthalmic microscopes in binocular arran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극등 현미경(slit-lamp microscope)(3)을 사용하여 환자의 눈을 입체적으로 검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환자의 눈(1)은 광원(5)에 의해 방출되는 소정 단면적을 갖는 광 빔에 의해 조명된다. 상기 광원(5)은 지지부(7)의 수직암(20)위에 설치된다. 검안될 눈(1)은 상기 지지부(7)의 일측상의 수평면에 위치한다. 상기 입체 현미경(3)은 근본적으로 상기 지지부(7)의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측에 위치한 평면상에 놓인다. 상기 지지부(7)의 상기 수직암(20)은 상기 입체 현미경(3)과 상기 환자의 눈 사이에서 광학 차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좁은 단면적을 갖는 지주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입체 현미경(3)으로부터 최소 하나의 빔(30b)을 사용하면, 부분 광선이 조여지고 상기 광선의 이미지 정보는 상기 입체 현미경(3)에 배치된 수신 장치(44)로 보내진다.

Description

환자의 눈을 입체적으로 검사하는 입체 검안 장치 {Device for the Stereoscopic Examination of a Patient's Eye}
예컨대, "최초 세극등 900 BM"이라는 상품명으로 Haag Striet 사(社)에서 제조된 세극등(細隙燈) 현미경(slit lamp microscope)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세극등 현미경은 사람의 눈을 입체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뷰잉 장치(viewing unit) 및 검사할 눈을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illumination unit)를 구비한다. 사람의 눈 표면 또는 그 눈 속에 비추게 될 조명 지점의 횡단면은 폭과 높이가 조절 가능한 조리개(diaphram)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홀딩 장치(holding unit)의 수직 연장 분기부(branch)상에 배치된다. 피검안 눈은 상기 홀딩 장치의 일측상의 거의 수평에 가까운 연장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뷰잉 장치는 상기 피검안 눈에 대향하도록 상기 홀딩 장치의 일측상의 평면에 임의로 위치한다. 상기 홀딩 장치는 3개의 지주부(columns)를 구비한다. 상기 조명 장치는 두 개의 외측 지주부상에 놓인다. 스터브 지주부(stub column)로서 제조된 세 번째 중앙 지주부상에는 상기 조명 장치의 빔(beam)을 눈으로 안내하는 편향 거울(deflection mirror)이 위치한다. 상기 한쪽 외측 지지부와 상기 중앙 지주부사이의 중간 공간에서 빔 경로가 상기 뷰잉 장치로 안내된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 제 1 항, 제 6 항, 제 8 항 및 제 11 항에서 청구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및 특허 청구의 범위 제 13 항에서 청구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의 부속품인 렌즈 지지 장치(lense supporting unit)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사람의 눈을 향해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세극등 현미경의 측면도로서, 그 영상 기록 장치(46)가 예컨대, 도 6에 도시되고, 하우징 개구부가 플러그(plug)(50b)로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의 도 1의 Ⅱ방향으로 절취한 세극등 현미경 배면도이다.
도 3은 환자의 눈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세극등 현미경의 홀딩 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편향 거울을 향해 바라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공지된 Greenough 현미경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뷰잉 장치인 수정된 Greenough 현미경의 횡단면도로서, 단일 도면에 광학 요소들의 두 개의 상이한 위치가 하나의 서로 다른 확대도로서 도시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Greenough 현미경의 하나의 빔 경로을 통해 도 5의 Ⅵ의 방향으로 절취한 영상 기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러한 빔 경로의 하나의 부분 빔이 상기 영상 기록 장치의 기록 요소로 안내되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Greenough 현미경의 두 개 빔 경로에 있는 광학 요소들 및 그들 광학 요소간의 간격 배치에 대한 두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 참조 부호는 첨부 도면의 구성요소에 대응하고, 수치 데이터는 밀리미터로 표시되며, O'는 보호 유리(31)가 없는 물체 평면이고, B는 시각 검사를 위한 이미지 평면이고, Bv는 영상 기록 요소의 이미지 평면이며, 그 중 도 7a, 7c 및 도 7e는 광학 요소의 위치에 대한 한 쪽 확대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 7d 및 7f는 광학 요소의 위치에 대한 다른 쪽 확대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뷰잉 장치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방향으로 절취한 영상 기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관찰 빔 들중 하나의 빔으로부터 분리되고 영상 기록 장치의 영상 기록 요소로 안내되는 부분 빔의 작용이 도시된다.
도 10은 도 9에 분리 요소로서 도시된 영상 기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세극등 현미경의 조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뷰잉 방향 ⅩⅢ으로 바라본 조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뷰잉 방향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세극등 현미경의 가이드 레버(guide lever)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가이드 레버의 상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5는 이동 가능한 렌즈지지 장치를 구비한 도 1에 도시된 세극등 현미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세극등 현미경의 분리된 부품인 지지 장치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뷰잉 방향 XVII으로 바라본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뷰잉 방향 XVIII으로 바라본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와 의사간에 호의적인 접촉관계를 허용하고, 효율적인 검안 과정을 보장하며, 뛰어난 광학적 특성을 갖고 미적으로도 만족스런 형태로서 경제적으로 제조 가능한 장치인 세극등 현미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 제 1 항, 제 6 항, 제 8 항, 제 11 항 및 제 13 항의 주제를 구현함으로써 달성된다.
관찰 및 검안을 수행하는 의사와 환자간에 가능한 한 적은 구성요소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권리로서 청구되는 구조 설계에 의해서만, 효율적인 검안 과정이 보장되고 환자와 의사간에 호의적인 접촉관계가 허용되는데, 이러한 것은 미적으로 달성된 형태에 의해 지지된다. 의사와 환자간의 구성 요소를 회피하는 구조는, 조명 장치를 위한 홀딩 장치의 수직 연장 지주부가 좁은 지주부 단면을 갖는 단일의 지주부로서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좁은 지지부 영역은 눈의 높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효율적인 검안 과정은 청구 범위 제 6 항에 따른 영상 기록의 가능성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달성된 소형 구조로 인해 제조시 경제적으로 유리해질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 8 항의 특징에 의하면, 바라보고 관찰하거나 검안하는 의사가 조절 장치를 찾기 위해 더 이상 상기 뷰잉 장치에서 그가 응시하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검안 동작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제어장치는 한 손만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때, 만약, 관찰 장치인 Greenough 현미경이 홀딩 장치로서 가느다란 홀딩 지주부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본 발명의 장치의 크기를 추가로 줄일 수 있는 구조적인 해결 방안이 있다. 물론, Greenough 현미경을 구비한 후술될 영상 뷰잉 장치(video viewing arrangement)는 대응하여 개조한 다른 세극등 현미경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으나, 단일 지주 홀딩 장치(single-colomn holding unit)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그 질량은 줄어들지 않는다.
영상 기록 장치의 기록 요소에 안내되는 하나의 부분 빔은 표시 및 평가를 위해 상기 Greenough 현미경의 두 개의 빔 경로중 한 경로에서 마스킹된다. 만약, 종래에는 일반화되었던 상기 부분 빔의 분리현상(decoupling)이 Greenough 현미경과 유사하지 않은 현미경의 평행한 빔 경로에서 발생되면, 치수는 훨씬 더 커질 것이다.
더욱이, 후술되는 선택된 구조로 인해 광학 필터가 용이하게 통합됨으로써 보다 나은 관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 가지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 지지 장치(lens supporting unit)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간단히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을 사용하여, 특히, 안구의 유리체(vitreous body) 및 안저(眼底:ocular fundus)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들 검안은, 과거에는 소위 "이동 가능한 Hruby 어댑터 유리(movable Hruby adapter glass)"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수단은 회전 능력을 갖춘 하나의 검안 렌즈가 배치되는 로드(rod)를 구비한다. 상기 로드는 상기 세극등 현미경 표면에 형성된 하나의 슬롯에서 환자의 방향으로 안내되는 수직 연장 안내 로드(vertically running guide rod)를 구비한다. 이러한 안내 로드는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턱 받침대(chin holder)에 부착되는 부착판을 통해 안내된다. 상기 렌즈 바로 아래에는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 즉, 소형 레버(small lever)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가 이동된 렌즈의 속박 상태를 해제시키기 때문에, 상기 공지된 "어댑터 유리(adapter glass)"를 사용하여 수행된 검안은 재현되지 못할 때도 있다. 따라서, 증거자료 입증용 사진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및 특징들은 이하에 상술될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고,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도면에 병기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사람의 눈(1)을 입체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입체 검안 장치로서 도시되는 소위 세극등 현미경은 뷰잉 장치(3) 및 조명 장치(5)를 구비한다. 상기 뷰잉 장치(3)는 홀딩 장치(23)로 유지 지탱되고, 상기 조명 장치(5)는 L 자 모양의 홀딩부(7)로 유지 지탱된다. 이하에 상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 장치(5)는 상기 홀딩부(7)상에 위치한 편향 거울(10)을 통해 상기 눈(1)속으로 또는 눈(1) 표면으로 안내될 수 있는 방사선인 광 빔(9)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 빔(9)의 단면적은 얇은 광선 줄기로서 이하의 설명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7)는 수직 회전 축과 함께 스위블 장치(swivel unit)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입체 검안 장치의 푸트부(foot)위에 배치된다.
상기 홀딩부(7)는 수직 축(14)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스위블 관 이음쇠(swivel joint)(15)의 수직 연장 레그부(leg)(13)의 단부상에서 상기 입체 검안 장치의 푸트부(11)상의 회전 능력을 갖고 위치하는 L 자 모양의 요소로서 형성된다. 상기 수직축(14)의 위치는, 상기 수직축이 헤드 홀더(head holder)(도시생략)의 이마 밴드(17)에 맞대어 위치하는 사람의 이미에 대해 눈의 앞쪽을 지나 연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상기 L자 모양 홀딩부(7)의 다른 쪽 레그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단일 지주부(single column)로서 형성된다. 환자의 눈(1)과 상기 뷰잉 장치(3)사이에 약간의 광학 왜곡(optical distortion)만이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단일 지주부가 선택된다. 환자의 눈높이 영역(18)에서 상기 조명 장치(5)의 수평 단면적은 크게 감소한다. 상기 환자 눈높이 영역(18)에는 상기 조명 장치(5)의 수평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편향 거울(deflection mirror)(10)이 배치된다. 상기 단면적은 가능한 한 좁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 단면적의 감소는 조명 빔을 안내하는데 필요한 상기 편향 거울(10)의 폭과 기계적 안정성의 제약(mechanical stability constraints)에 의해 제한된다. 더욱이, 내부에 공동(hollow)이 형성된 레그부(20)내에서 요소들의 안내는 상기 영역(18)의 폭의 감소에 영향을 준다.
상기 수직 레그부(20)의 내부 공동에는, 상기 수직 레그부(2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조명 장치(5)의 슬릿 폭(slit width)의 조절을 위해 막대 형상의 조절 기구(rod-shaped adjustment mechanism)(도시생략)가 연장된다. 상기 막대 형상의 조절 기구(도시 생략)는, 상기 두 개의 레그부 13과 20사이의 외부 영역의 상기 홀딩부(7)내에 위치하는 캠(cam)으로 작동한다. 상기 캠의 두 개의 각 단부에는 조절 손잡이(adjustment knob)(21a 및 21b)가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조절 손잡이(21a 및 21b)의 표면을 용이하게 손으로 쥘 수 있다.
상기 뷰잉 장치(3)는 상기 조명 장치(5)와 유사하게 L자 모양의 홀딩 장치(23)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홀딩 장치(23)는 수평 및 수직으로 연장하는 레그부(24,25)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 레그부(24)의 단부는 상기 홀딩부(7)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 축(14)주위에서 회전 장착되고, 하향하여 길게 신장되는 상기 스위블 관 이음쇠(15)가 상기 홀딩부(7)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기 입체 검안 장치의 푸트부(11)상에 회전 장착된다. 상기 수직 레그부(25)의 외측부에는 정치 보호 실드(breathing protection shield)(27) 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 레그부(25)의 상단부에는 상기 뷰잉 장치(3)가 눈(1)을 바라볼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다.
상기 뷰잉 장치(3)는 근본적으로 Greenough 현미경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입체 현미경은, 출판사 Werner Dausin, Hanau/Main에서 1961년 출판된 Karl Muetze의 "광학의 기초", 키워드 "입체 현미경 검사(stereomicroscopy)"에 나오는 샘플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다. 이 같은 참조에 따르면, Greenough 현미경은 직접적인 3 차원 뷰잉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Greenough 현미경은 서로에 대해 14도 내지 16도 각도로 경사진 두 개의 분리된 현미경을 구비하고, 이러한 경사각도는 종래의 25 cm의 시야 거리에서 물체를 바라볼 때 대략적으로 사람의 눈 축의 수렴각도에 해당한다. 제 1 또는 제 2 형태의 일련의 포로 프리즘(porro prism) P는 상(image)을 정렬시킴으로써, 물체와 동일한 위치에서 보여진다. 이것은 정확한 깊이를 갖는 정상(整像:orthoscopic image)을 얻는데 필요하다.
Greenough 현미경에 있어서, 대물렌즈들은 서로 매우 근접해 있어, 이들 대물렌즈에 의해 전술한 인용 내용에 따라 높은 구경비(high aperature)가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5의 단면도로 도시된 것과 같은 전형적인 Greenough 현미경과는 다르다. 도 5는 13도 각도로 서로를 향해 경사져 있는 단면에서 상호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각각의 현미경(29a,29b)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각 현미경(29a,29b)의 빔 경로는 각각 30a 및 30b로 표시된다. 도면의 상부에는 광학 요소들의 위치가 확대 눈금(enlargement scale)으로 도시되고, 도면의 하반부에는 또 다른 확대 눈금으로 도시된다. 상기 확대 눈금은 도 2에 도시될 수 있는 스위치 레버(switch lever)(59)로 스위칭된다.
상기 Greenough 현미경, 즉 뷰잉 장치(3)내부의 관찰 빔 입사구(observation beam inlet)에는, 하나의 확대 눈금에 대한 두 개의 대물렌즈(33a) 및 다른 확대 눈금에 대한 두 개의 대물렌즈(33b)의 각 전방에 있는 두 개의 빔 경로을 위한 단일 보호 유리(31)가 설치된다. "상부(upper)" 빔 경로(30a)에서 분할 프리즘(splitter prism)(37)에 광학적으로 정합하기 위한 평면 평행판(35)은 대물렌즈 33a뒤에 위치하는 "하부(lower)" 빔 경로(30b)의 대물렌즈(33a)의 하류쪽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빔 경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좌우 빔 경로이다. 상기 평면 평행판(35) 앞에는 접안 렌즈(39), 특히 교체 가능한 접안 렌즈(39)의 상류쪽에 위치하는 포로 프리즘(36)이 위치한다. 이들 두 요소는 상기 "하부" 빔 경로에만 도시된다.
상기 하부 빔 경로(30b)에는, 영상 기록 장치(46)를 위한 상(像) 분리 동작이 수행된다. 이것은 상기 포로 프리즘(40)을 통해 상기 상부 빔 경로를 하나의 성분 빔(42a)으로 분할하여 상기 대물 렌즈(39)로 지향하도록 하고 상기 편향 프리즘(41) 및 영상 대물 렌즈(43)를 통해 또 다른 성분 빔(42b)으로 분할하여 영상 요소(44) 및 상기 영상 기록 장치(46)로 지향하도록 하는 분할 프리즘(37)으로 수행된다. 상기 영상 기록 장치(46)는 분할 프리즘(37), 편향 프리즘(41), 영상 대물 렌즈(43) 및 영상 기록 요소(44)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 기록 요소(44)는 조절 슬리브(adjustment sleeve)(48b)속에 꽉 끼여 설치되는 장장부(48a)에 고정 유지된다. 상기 장착부(48a)는 상기 조절 슬리브(48b)에 고정 나사(clamp screw)(48c)로 고정 유지된다. 상기 조절 슬리브(48b)는, 회전 및 변위 가능한 하우징 구멍(housing hole)(50a)속에 위치하고, 조절 슬리브(48b)의 외측 재킷(jacket)표면에 형성된 주변 홈(groove)속에 끼워지는 고정 나사(48d)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이미지는 장착부(48a) 및 상기 조절 슬리브(48b)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오물이 상기 하우징 구멍(50a)을 통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구멍(50a)은 이동 가능한 플러그(50b)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영상 기록 장치(46)는 전체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영상 기록 요소역시 교체 가능하다.
시각 검사이외에도, 영상 사진을 찍어 직접 관찰 하거나 (증거 자료 입증을 위해)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기록 요소(44)는 도 6에 도시된다.
도 7a 및 도 7f는 서로 다른 확대 눈금에 대한 두 가지 광학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도 7c 및 도 7e는 각각 1.6x 확대된 하나의 대물 렌즈(33a,33b)의 한 형태와, 1.6x 확대된 하나의 영상 대물 렌즈(43)에 형성된 영상 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 도 7d 및 7f에 도시된 다른 광학 형태에 있어서, 도 7a, 도 7c 및 도 7e에 도시된 광학 형태와는 다른 요소들은 아포스트로피(')로 표시된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각각 1:1 영상 비율을 갖는 대물 렌즈(33a', 33b')와, 동일한 확대율을 갖는 대물 렌즈(43')가 영상 빔 경로에서 사용된다.
상기 조명 장치(5)는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호간에 상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레버(levers)(45a, 45b)를 구비한다. 이들 레버(45a,45b)를 사용하여 조리개 개구부(diaphragm opening)의 높이 및 폭이 조절 될 수 있다. 상기 조리개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눈(1)을 향하는 가는 광선 줄기(9)의 단면적을 한정한다. 이들 레버를 사용하여, 청색 또는 회색 필터(blue or gray filter)는 추가로 상기 조명 빔 경로(9)속에서 회전 가능하고 다시 외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동작은 상기 레버(45a, 45b)의 회전 과정 중 단부 영역에서 안팎으로 움직이면서 발생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황색 필터(yellow filter)(58)는 상기 뷰잉 장치(3)의 조절 장치로 상기 빔 경로 30a, 30a',30b 및 30b'속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황색 필터(58)는 상기 보호 유리(31)의 내측면상에 형성된 두 개의 부분적인 기상 성장부(partial vapor depositions)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 장치(47)를 사용하여, 상기 보호 유리(31)가 회전되어 상기 두 개의 부분 기상 성장부의 한쪽은 (도 3 및 도 5에서 제시된 빔 경로 30a 및 30b에 있는) 상기 대물 렌즈 33a 및 33b의 앞에 위치하고 그 다른 한쪽은 (상기 빔 경로 30a 및 30b에 없는)상기 대물 렌즈 33a 및 33b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예컨대, 콘택트 렌즈(도시생략)가 눈에 삽입될 때 형광체가 상기 눈의 표면에 가해지고 푸른 빛으로 조명되면(청색 필터가 포개짐), 관찰 빔 경로에 황색 필터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콘택트 렌즈의 착용상태 검사), Greenough 현미경(3)을 사용하여 발광 현상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상기 뷰잉 장치(3)에는 스위칭 레버(switching lever)(59)가 배치된다. 상기 스위칭 레버(59)를 사용하면, 원하는 확대크기에 따라 도 7a, 도 7c 및 도 7c에 도시된 상기 대물 렌즈 33a, 33b, 33a' 및 33b'는 상기 빔 경로에서 교대로 번갈아 회전될 수 있고, 다른 레버 위치에서 도 7b, 도 7d 및 도 7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도 7e 및 도 7f는 도 7a 내지 도 7d에 대해 90도 만큼 회전된 위치에 있는 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입체 검안 장치의 푸트부(11)상에는 상기 조명 장치(5)의 광원 및 상기 영상 기록 장치(46)를 위한 전력 연결부(61)가 설치된다.
전체 시야를 관찰하기 위해, 45도 각도로 배치된 편향 거울(10)아래에는 냉광(cold light) 안내부(도시생략)가 배치된다. 눈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안압계(tonometer)가 상기 Greenough 현미경의 하우징위에 배치된 어댑터(63)내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5)의 "세극등"의 휘도(brightness)는 상기 입체 검안 장치의 푸트부(11)상에 배치되는 수동 컨트롤러(49)에 의해 조절된다. 휘도 조절 및 전원을 위한 전기 케이블은 속이 빈 홀딩부(7)내에서 연장배치된다. 상기 입체 검안 장치의 X 방향 및 Y 방향으로의 수평 및 수직 위치 이동은 "조이스틱(joistick)"이라 불리우는, 상기 입체 검안 장치의 상기 푸트부(51)상에 배치된 가이드 레버(guide lever)(51)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측방향으로의 편향 이동(53)에 의해 상기 입체 검안 장치의 상기 푸트부(11)는 Y 방향(54)으로 축(52)상에서 측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버(51)를 전후로 선회시킴으로써(55) X 방향(56)으로의 이동이 가능해 진다. 상기 X 방향(56)으로의 이동은, 상기 축(52)의 양쪽에 배치되어 베이스부(도시생략)에 부착된 레일(rail)(도시생략)위에서 굴러가는 휠(wheel)(57a, 57b)의 전후진 회전운동을 통해 발생한다. 또한, 이마 밴드(17)를 구비한 헤드 지지대(head holder)(도시생략)가 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 레버(51)는 그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양호한 회전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변 뼈대를 갖는 상부 재킷 영역에 결합 레버(coupling lever)(51)가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 성능으로 인해, 상기 홀딩 장치(23) 및 홀딩부(7)가 동시에 수직 이동 조절이 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뷰잉 장치(5)와 함께 상기 눈(1)속으로 조사되는 가는 광선(9)이 수직으로 조절된다.
상기 홀딩부(7)의 수직 레그부(20)는 굵기가 매우 가늘기 때문에, 제조상의 이유로 인해 그 내부의 전력 케이블의 배치를 포기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은 상기 전력 연결부(61)를 통과하여 상기 전력 연결부(61)에서 상기 수동 컨트롤러(49)로 통과한 다음, 다시 상기 수동 컨트롤러(49)에서 상기 전력 연결부(61)로 통과하고 상기 전력 연결부(61)에서 외부 케이블(도시생략) 및 헤드 지지부(도시생략)를 경유하여 상기 조명 장치(5)로 통과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기록 장치(44)를 위해 영상을 분리하는 대신, 예컨대, 상기 분할 프리즘(37)을 통해 부분적으로 투명한 요소들과 함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분할 거울(decoupling mirror) 또는 분할 프리즘(decoupling prism)을 이용하면 빔 단면적의 일부만이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뷰잉 장치(5)(Greenough 현미경)의 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현미경(69a, 69b)의 입력 대물 렌즈(67a, 67b) 및 이들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대물 렌즈(33a, 33b')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성분 빔(71a)은, 입사 빔(73a)(상기 빔(30b)과 유사함)의 일부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영상 기록 요소(44)(도 9 및 도 10에 도시됨)와 유사하게 구성된 영상 기록 요소(70)에 대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평면 평행판(35)과 유사한 평면 평행판에 의한 광학 보상(optical compensation)이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뷰잉 장치(65)의 구조는 도 5의 뷰잉 장치(3)에 비해 상당히 단순화된다.
성분 빔(71a)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빔(73a)의 단면적에 부분적으로 투사되는 프리즘(75)이 사용된다. 상기 분리된 성분 빔(71a)은 제 2 프리즘(76)으로 한번 더 편향되고 상기 영상 기록 요소(70)의 수신 평면상에 이미징 광학부(imaging optics)(영상 대물 렌즈:video objective)(77)로 비취진다. 상기 영상 기록 장치(79)는 성분 빔을 기하학적으로 분리시키는 프리즘(75), 프리즘(76), 이미징 광학부(77) 및 영상 기록 요소(70)로 구성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상기 영상 기록 장치(카메라)(79)는 전제적으로 교체가 가능하지만, 상기 영상 기록 요소(70)만이 교체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75 및 76, 상기 이미징 광학부(77) 및 상기 영상 기록 요소(70)는, 상기 프리즘 75가 상기 성분 빔(71a)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빔(73a)에 정확히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뷰잉 장치(65)의 하우징 개구부(82)속에 밀어 넣을 수 있는 광학 부품을 구비한 하우징(81)속에 배치 및 고정된다.
또한,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영상 기록 요소(70)가 이동 및 회전된다. 도 6과 유사한 상기 하우징(81)(도 9)은 상기 영상 기록 요소(70) 및 조절 슬리브를 위한 장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는 결합용 나사(83a, 83b)로 고정된다.
상기 영상 기록 장치(79)의 교환성에 의해, 다른 구성요소들 중에서 상기 영상 기록 장치(79)를 구비한 상기 뷰잉 장치(65)는 판매 수완면에서 용이하게 수리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영상 기록 장치(79)를 제거한 후, 관찰 빔 경로 73a 및 73b에서의 이미지 대비는 동일하다. 상기 뷰잉 장치(65)는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뷰잉 장치(3)에 비해 가격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상기 조명 장치(5)속에 삽입 배치되는 광원(86)의 구조는 도 11에 확대 단면도로서 도시된다. 설치 베이스(87)에 교환 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위 고온 석영 수은등(high temperature quartz lamp)인 상기 광원(86)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7)는 슬리브(89)에 틈새 끼워맞춤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87)는 상기 베이스(87)로부터 분리 가능한 플러그 편(plug piece)(91)의 정합 슬리브속에 끼워지는 접촉 핀(90)을 구비한다. 케이블(93)이 상기 플러그 편(91)에서 전기 접속편(94)으로 통과한다. 상기 베이스(87)는 상기 베이스(87)의 홈(groove)(97)에 위치하는 스프링 와이어(spring wire)의 탄성 클립(elastic clip)(95)으로 미끄럼 방지된다. 상기 클립(95)은, 예컨대, 5회 감겨"튜브 편(tube piece)"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일측상의 원통형 실린더에 대충 감긴다. 상기 "튜브 편(99)"은, 상기 "튜브 편(99)" 및 상기 클립(95)이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디스크(clamp disk)(Seeger circlip 링(101)을 지지하는 상단부를 갖는 핀(100)위로 미끄러진다.
상기 클립의 타 단부는 핀(106)의 상부에 형성된 주변 홈(105)속에 삽입될 수 있는 풀 루프(pull loop)(103)를 갖는다. 상기 클립(95)은, 상기 베이스(87)를 압착하여 상기 슬리브(89)속으로 작용하고 상기 홈(105)에 대해 압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사전 만곡 처리된다. 상기 광원(86)을 교체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편(91)을 제거한 다음, 상기 풀 루프(103)를 상기 핀(106)의 상단부 위로 들어올려야 한다. 상기 광원(86)은 상기 베이스(87)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7)를 용이하게 붙잡기 위해, 상기 베이스(87)는 상기 슬리브(89)의 외측 가장자리위로 약간 돌출된다.
상기 광원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의 장점은 간단한 구조에 있다. 더욱이, 상기 광원을 교체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없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버(51)의 상부(109)에는, 상기 입체 검안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뷰잉 장치와 연결된 주변 장치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스위칭 요소(110a, 110b)가 배치된다. 도 14에 상기 가이드 레버(51)의 상부(109)에 배치된 스위칭 요소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신호 전달 요소로서 서로 인접해 있는 두 개의 마이크로스위치(110a,110b)가 배치된다.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스위치 110a 및 110b는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가이드 레버(51)의 상부(109)의 윗면(111)을 조작하여 작동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입체 검안 장치가 거친 환경에서 사용되면, 상기 가이드 레버(51)의 상부(109)의 윗면(111)은 더럽혀지지 않도록 탄성 필름에 의해 커버링된다.
마이크로스위치대신, 푸시버튼(pushbuttons) 또는 순간 접촉 텀블러 스위치(momentary-contact tumbler switches)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예컨대, 순간 접촉 텀블러 스위치로 구성된 상기 가이드 레버(51)의 상부(109)의 윗면(111)이 눌려지면, 모터 구동기(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광원의 빛의 슬릿 폭(light slit width)은 줄어든다. 이때, 만약, 상기 스위치 110a의 하부가 눌려지면, 슬릿은 확대될 것이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또 다른 손으로 조절 손잡이(21a, 21b)의 수동 조작이 제거된다. 상기 스위치 110b를 통해, 휘도가 유사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동 컨트롤러(49)를 통한 조절 기능이 제거된다. 이때, 치료 의사는 이들 조절 요소들을 응시하지 않고도 계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치료 조작의 자유로운 조절을 위해 미리 요구되는 손을 갖고 있다.
이들 두 개의 스위치/순간 접촉 텀블러 스위치 110a, 110b를 사용하여 다른 장치들이 조절될 수 있다. 전기 및 신호 처리 연결은 터미널(61) 또는 별도의 터미널(도시생략)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안압계는 눈의 표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스위치/순간 접촉 텀블러 스위치 110a, 110b를 작동함으로써 동력 구동기를 사용하여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의사가 해당 장치 또는 슬릿 폭 또는 휘도가 발견되는 위치를 알기 위해, 데이터를 상기 뷰잉 장치 3 또는 65의 빔 경로속으로 반사시키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반사 동작은 상기 영상 기록 장치 44 또는 70을 위해 빔 반사와 유사하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영상 기록요소(44) 대신, 내부 반사되는 영상 정보를 갖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요소만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리즘 35 및 75는 내부 반사를 위해 도 5 및 도 8에 표시된 것에 대해 180도 회전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환자의 안구 유리체 및 안저를 바람직하게 검안하는데 사용되면, 결합부(201)를 통해 손으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재차 부착 및 제거가 가능한 렌즈지지 장치(203)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검안 렌즈(204)와 함께 관찰 빔 경로에서의 상기 뷰잉 장치(3)의 관찰 빔의 입사부 앞과 상기 보호 유리(30) 앞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검안 렌즈(204)는 회전 능력으로 자동잠금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렌즈지지 장치(203)와 함께 조절 능력으로 모든 3 차원 방향으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렌즈지지 장치(203)는, 세극등과 함께 사용 가능한 공지된 Hruby 어댑터 유리와는 대조적으로, 환자의 머리 지지대 및 턱 지지대에 연결된 기계 연결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상기 렌즈지지 장치(203)는 원통형 스터드(207)가 돌출된 판형 지지부(205)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스터드(207)의 단면적은, 도 1에 도시된 축방향 구멍(209)에 틈새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축방향 구멍(209)은 상기 스위블 관 이음쇠(15)의 수직축에 대해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스위블 관 이음쇠(15)를 통해, 상기 조명 장치(5)의 홀딩부(7) 및 상기 뷰잉 장치(3)의 홀더(23)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207)와 상기 축방향 구멍(209)은 플러그 결합부(201)를 형성한다. 상기 렌즈지지 장치(203)의 잠금 기능은 노치(notch)(210)를 구비한 상기 지지부(206)의 플레이트 가장자리에 의해 달성된다. 삽입 상태에서, 상기 홀딩부(7)의 수평 레그부(13)의 전방에 위치하는 시트 스트립(sheet strip)(211)의 돌출부는 상기 노치(210)속에 끼워진다. 상기 지지부(205)의 상방향 연장부에는 입방형의 베이스부(213)가 배치되고, 그 수평 상단부에는 제 1 운반대(214)가 상기 입방형의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설치상태에서 환자의 눈(1)을 향하는 방향과 그 눈(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운반대(214)는 예컨대, 보다 잘 쥘 수 있도록 널링(knurling)을 구비한 결합용 나사(215)로 고정될 수 있는 더브테일 가이드부(dovetail guide)의 베이스부(213)상으로 안내된다. 상기 결합용 나사(215)가 느슨해지면, 손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같은 안내 동작으로, 환자의 눈(1)으로부터 상기 렌즈(204)의 거리를 대충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운반대(214)위에는, 상기 제 1 운반대(214)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운반대(217)가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은 널링 처리된 미세 조절 나사(219)를 통해 발생된다. 회전에 의해 미세 조절 나사(221)를 통해 이동 가능한 제 3 운반대(220)가 상기 제 1 및 제 2 운반대(214, 217)에 수평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두 개의 미세 조절 나사 219 및 221을 통해, 상기 검안 렌즈(204)가 수평면으로 미세하게 조절된다.
수직 높이 조절을 위해, 상단부에서 상기 검안 렌즈(204)를 지탱하는 두 개 부분으로 이루어진 렌즈 기둥부(233)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225)는 상기 제 3 운반부(220)상에 배치되고 프리즘같이 상방향으로 폭이 가늘어진다. 상기 하부(225)의 상단부로부터는, 막힌 구멍(226)이 대칭 축으로 상기 하부(225)속 중앙으로 연장된다. 상기 막힌 구멍(226)에서는, 상기 렌즈 기둥부(223)의 상부 요소편(upper component piece)(229)속으로 통과하는 맨드릴(mandrel)(227)이 받치고 있다. 상기 맨드릴의 돌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요소편(229)은 프리즘같이 상방향으로 폭이 넓어진다. 상기 맨드릴(227)은 상기 막힌 구멍(226)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검안 렌즈(204)의 수직 높이는 상기와 같은 이동동작으로 손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은 마찰력 끼워맞춤(frictional force-fit) 방식에 기초하여 자동 잠금(self-locking)동작으로 수행된다. 상기 자동 잠금 동작은 상기 하부(225)에 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도 상기 맨드릴(227)의 표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영구 자석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맨드릴(227)은 강자성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막힌 구멍(226)속으로 삽입된 상기 맨드릴(227)의 영구 자석은 그 표면에 대해 밀어 넣어지고, 그에 따라 자동 잠금 동작에 의해 수직 변위 위치를 로킹시킨다. 그러나, 그러한 잠금 동작은 너무 강하기 때문에, 상기 검안 렌즈(204)의 고유 무게의 결과로서 그 상부 요소편(229)의 움직임이 억제된다. 그러나, 손으로 조절 가능하다. 상기 영구 자석의 위치는 디스크 형태의 장착 보조물(231)에 의해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다. 상기 검안 렌즈(204)는 장착 재킷(233)상의 상기 요소편(229)의 상단부상의 V자형 리세스(232)에 배치된다.
상기 검안 렌즈(204)는 체인 형상 구조를 갖는 밴드 모양의 신축성 렌즈 지지 요소(hand-like flexible lens holding element)(23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신축성 렌즈 지지 요소(235)의 일단부는 상기 상부 요소편(229)의 측면 길이방향의 홈(groove)(237)의 단부상의 중앙에 있는 스프링(236)으로 고정된다. 체인 형상 구조로 된 상기 신축성 렌즈 지지 요소(235)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간격져 있고 가는 밴드 단면의 중간 간격(240)에 의해 분리되는 마디부(239)를 갖는다. 이들 중간 간격들(240) 중 하나는, 상기 측면 길이방향 홈(237)에 대향하는 측면상의 측면 길이방향의 홈(243)의 두 개의 돌기부 241a와 241b사이에 갈고리 형태로 걸려있다. 상기 스프링(236)은 상기 렌즈 지지 요소(235)에 인장력을 가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안 렌즈(204)를 상기 리세스(232)속으로 끌어당겨 고정시킨다.
상기 렌즈 지지 요소(235)는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지지 요소(235)는 예컨대, 상기 마디부(239) 및 상기 좁은 중간 간격(240)과는 달리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인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돌기부 241a 및 241b가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체인은 그 외측 영역에 매달리게 되지만, 하나의 체인이 한번에 매달리는 단일 돌기부만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지지 장치(203)는 상기 노치(210) 및 상기 노치(210)를 상기 지지부(7)상에 끼우는 시트 스트립(sheet strip)(211)에 의해 로킹된다. 그러나, 상기 스터드(207)에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홀딩부(7)의 대응 구멍속에 끼워지는 핀과 같은 다른 캐치 요소(catch elements)가 동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핀과 구멍의 위치는 바뀔수 있다. 또한, 서로간에끼워지는 구조를 갖는 조직 표면(textured surfaces)이 사용될 수 있다.
검안시 파괴적인 반사를 제거하고 관찰 빔의 경로를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 기둥부의 상부 요소편(229)은 상기 검안 렌즈(204)를 위한 경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수단은 단일 회전축일 수 있다. 그러나, 서로 이격되어 있는 3 개의 스위블 관 이음쇠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회전축과 사용될 수 있다. 즉, 조절 가능한 선단 각도를 갖는 앵글 레그(angle leg)가 위치하고, 상기 앵글 레그의 타 단부는 스위블 관 이음쇠와 회전될 수 있다. 최상부 레그 단부상에는, 상기 검안 렌즈(204)가 회전 능력(swivelling capacity)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렌즈는 간격내의 규정된 지점에 상기 렌즈의 중심을 유지함으로써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지지 장치(203)를 사용함으로써, 의사는 정확한 3 차원 조절을 통해 환자의 눈(1)에 대해 최적으로 상기 검안 렌즈(204)를 조절할 수 있다. 의사는 상기 검안 렌즈 조절 후 양손으로 자유롭게 환자에 대해 검안 및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특히 상기 영상 기록 장치 46 및 70을 사용하여 해당 문서 자료의 분류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영상 기록 장치대신, 카메라가 설치되어 해당 문서 자료의 분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검안 렌즈는 자동 잠금 동작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미지 추출 및 첨예도 조절(sharpness adjustments)의 선택을 통해 영상이 기록될 수 있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단일 지주(colomn)의 상기 홀딩부(7)의 수직 연장 레그부(20)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상기 렌즈 지지 장치(203)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검안 렌즈(204)를 사용하여 환자의 안구 유리체 및 안저를 최적으로 검안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지지 장치(204)는 명세서 도입부에서 전술한 바 있는 공지된 3 개의 지주 홀딩 장치(three-colomn holding unit)를 구비한 세극등 현미경에 사용될 수 있다. 대응 결합부가 설치되는 경우, 다른 세극등 현미경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여러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개시는 단지 본 발명의 적용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 모드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뷰잉 장치(3,65)를 사용하여 환자의 눈(1)을 입체적으로 검안하기 위한 장치, 특히 세극등 현미경으로서, 상기 눈(1)이 홀딩 장치(7)의 수직 연장 레그부(20)상에 위치하는 조명 장치(5)로부터 조사되고 규정 단면적을 갖는 광 빔(9)으로 조명되고, 검안될 상기 눈(1)이 상기 홀딩 장치(7)의 일측상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뷰잉 장치(3)가 이에 대향하는 상기 홀딩 장치(7)의 측면상의 평면에 대략 위치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7)의 상기 수직 연장 레그부(20)는 좁은 지주 단면적을 갖는 단일의 지주부로 형성되어 상기 뷰잉 장치(3)와 상기 환자의 눈(1)사이에서 시각이 광학적으로 왜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7)의 상기 수직 연장 레그부(20)상에는, 상기 조명 장치의 방출 광선(9)이 상기 눈(1)속으로 또는 상기 눈(1) 표면으로 지향하도록 해주는 편향 거울(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장치(7)는 L 자 모양의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 장치(5)는 상기 홀딩 장치(7)의 레그부의 일단부상에 배치되고, 그 타단부의 영역은 수직 회전 축(14)을 갖는 스위블 관 이음쇠(15)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장치(3)를 위해 L 자 모양의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제 2 홀딩 장치(23)에 의해, 상기 뷰잉 장치(3)는 상기 홀딩 장치(23)의 레그부의 일단부상에 배치되고, 그 타단부의 영역은 수직 회전 축(14), 특히 일치하는 상기 뷰잉 장치(3) 및 상기 조명 장치(5)의 상기 홀딩 장치(7,23)를 위한 회전 축(14)을 갖는 스위블 관 이음쇠(15)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5)를 위한 상기 홀딩 장치(7)는 그 속이 공동(空洞)으로 비어 있게 형성되고, 상기 조명 장치(5)의 조리개 개구부의 단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힘 전달 요소가 상기 공동으로 안내되어 규정된 단면적의 가는 광선 줄기를 생성하고, 조절 요소(21a, 21b)가 상기 제 1 L자 모양의 홀딩 장치(7)의 레그부(20)의 기시점(起始點)에서 상기 힘 전달 요소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체 현미경, 특히 Greenough 현미경으로 구성되는 뷰잉 장치(3,65)를 사용하여 환자의 눈(1)을 입체적으로 검안하기 위한 장치, 특히 세극등 현미경으로서, 상기 눈(1)이 홀딩 장치(7)의 수직 연장 레그부(20)상에 위치하는 조명 장치(5)로부터 조사되고 규정 단면적을 갖는 가는 광선 줄기(9)로 조명되고, 검안될 상기 눈(1)이 상기 홀딩 장치(7)의 일측상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뷰잉 장치(3)가 이에 대향하는 상기 홀딩 장치(7)의 측면상의 평면에 대략 위치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에 있어서, 성분 빔(42b,71a)이 상기 뷰잉 장치(3,65)의 최소 하나의 빔 경로(30b,73a)으로부터 마스킹될 수 있고, 상기 성분 빔의 영상 정보는 상기 뷰잉 장치(3,65)에 위치하는 영상 기록 장치(46,79)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79)는 상기 뷰잉 장치(65)속에 삽입 배치되거나 상기 뷰잉 장치(65)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되고, 기하학적인 빔 분할에 의해 상기 기록 장치(79)의 상기 성분 빔(71a)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체 현미경, 특히 Greenough 현미경으로 구성되는 뷰잉 장치(3,65)를 사용하여 환자의 눈(1)을 입체적으로 검안하기 위한 장치, 특히 세극등 현미경으로서, 상기 눈(1)이 홀딩 장치(7)의 수직 연장 레그부(20)상에 위치하는 조명 장치(5)로부터 조사되고 규정 단면적을 갖는 가는 광선 줄기(9)로 조명되고, 검안될 상기 눈(1)이 상기 홀딩 장치(7)의 일측상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뷰잉 장치(3)가 이에 대향하는 상기 홀딩 장치(7)의 측면상의 평면에 대략 위치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뷰잉 장치(3)와 함께 상기 환자의 눈속으로 지향될 상기 가는 광선 줄기(9)를 X 및 Y 방향으로(즉, 하나의 수평면으로) 그리고, Z 방향으로(즉, 하나의 수직면으로) 위치설정하기 위해, 가이드 레버(51)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버의 상부에는 신호 전달 요소(110a,119b)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신호 전달 요소들의 작용에 의해 상기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및/또는 상기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주변 장치의 기능들이 제어 가능함으로써, 검안자는 상기 뷰잉 장치(3)로부터 응시하던 시선을 더 이상 다른 곳으로 돌릴 필요가 없고, 상기 가이드 레버(51)를 작동시키던 손으로 동시에 검안 장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미지, 문자 정보를 발생시키는 요소 및, 상기 뷰잉 장치의 접안 렌즈로 관찰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가 상기 검안 장치의 최소 하나의 빔 경로속으로 삽입되도록 해주는 광학 결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가이드 레버의 작동에 의해 수정되거나 조절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5)는 조명 빔속에 배치 가능한 최소 하나의 광학 필터, 특히, 청색 및/또는 회색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뷰잉 장치(3)는 상기 뷰잉 빔 경로속에 배치 가능한 최소 하나의 부가 필터, 특히 황색 필터(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것과 같이, 뷰잉 장치(3,65)를 사용하여 환자의 눈(1)을 입체적으로 검안하기 위한 장치, 특히 세극등 현미경으로서, 상기 눈(1)이 홀딩 장치(7)의 수직 연장 레그부(20)상에 위치하는 조명 장치(5)로부터 조사되고 규정 단면적을 갖는 광 빔(9)으로 조명되고, 검안될 상기 눈(1)이 상기 홀딩 장치(7)의 일측상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뷰잉 장치(3)가 이에 대향하는 상기 홀딩 장치(7)의 측면상의 평면에 대략 위치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에 있어서, 관찰 빔 경로에 배치된 상기 뷰잉 장치(3)의 관찰 빔의 입사구의 전방에 놓여 특히 상기 환자 눈의 안구 유리체 및 안저를 검사하는데 사용되는 검안 렌즈(204)를 위한 결합부(201)를 통해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렌즈 지지 장치(203)가 부착 및 제거될 수 있고, 상기 검안 렌즈(204)는 회전 능력에 의해 자동 잠금 상태에서 유지되고 상기 렌즈 지지 장치(203)를 사용하여 조절 능력을 통해 모든 3 차원 방향으로 자동 잠금 상태에서 유지되며, 상기 렌즈 지지 장치(203)는 머리 지지대 및 턱 지지대와 같은, 상기 입체 검안 장치에 근접한 다른 장치들에 연결되는 어떠한 기계적 연결부도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12. 제 1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1)는, 상기 홀딩 장치(7)위에 배치하기 위한 지지부(205)와 결합하는 잠극 플러그 결합부(207,209,210,211)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01)중 한 결합부는 상기 홀딩 장치(7)의 상기 수직 회전 축(14)에 대해 중앙 축 구멍(209)으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 지지 장치(203)의 정합 스터드(207)가 상기 축 구멍(209)속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능력은 최소 하나의 캐치 요소(210,21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캐치 요소들중 하나(211)는 상기 홀딩 장치(7)상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210)는 상기 렌즈 지지 장치(203)상에 위치하며, 상기 두 개의 요소들(210,211)은 상호간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부품인 렌즈 지지 장치(203)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환자 눈 입체 검안 장치의 조명 장치(5)를 위한 홀딩 장치(7)위에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상기 렌즈 지지 장치(203)가 배치되도록 해주는 결합부(207)와;
    환자 눈(1)의 안구 유리체 및 안저를 검사하기 위한 검안 렌즈(204)와;
    일측 요소부(229)가 타측 요소부(225)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검안 렌즈(204)의 수직 높이 조절을 위해 자동 잠금 기능을 갖는 두 개의 편으로 구성된 렌즈 기둥부(223)와;
    서로에 대해 직각인 두 개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렌즈 기둥부(223)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214,217,2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지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둥부(223)의 상기 일측 요소부(229)는 상기 렌즈 기둥부(223)의 상기 타측 요소부(225)의 하나의 막힌 구멍(266)속에서 틈새 끼워맞춤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맨드릴(227)을 구비하고, 상기 맨드릴(227)은 강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막힘 구멍(226)속에는 꼭잡아 상기 막힌 구멍(226)속으로 밀어 넣어졌던 상기 맨드릴(227)의 표면에 대해 압착하는 제한된 움직임을 갖는 영구 자석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렌즈 기둥부(223)의 상기 일측 요소부(229)가 설정된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지지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36)를 갖는 상기 렌즈 기둥부(223)의 상기 일측 요소부(229)상에서 일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인장되도록 유지되는 체인 형상 구조를 갖는 밴드 모양의 렌즈 홀딩 요소(235)와;
    상기 렌즈 기둥부(223)의 상기 일측 요소부(229)상에 배치되는 상기 검안 렌즈(204)를 위한 렌즈 지지부(232)와;
    렌즈 가장자리(233)주위에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검안 렌즈(204)가 상이한 초점 거리를 갖는 또 다른 검안 렌즈로 용이하게 교체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렌즈 홀딩 요소(235)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현수 요소(241a,24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지지 장치.
  16. 제 13 항 또는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 렌즈(204)를 경사지게 하기 위한 렌즈 경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경사 장치는, 상기 렌즈가 기울어질 때 렌즈 중심점이 공간내의 규정된 지점에서 유지되도록 서로에 대해 평행한 회전 축을 갖고 상호 이격되어 있는 3 개의 스위블 관 이음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지지 장치.
KR1020007004980A 1997-04-29 1998-11-11 환자의 눈을 입체적으로 검사하는 입체 검안 장치 KR200100245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810857 1997-11-11
EP98810380 1998-04-29
EP97810857.9 1998-09-09
EP98810380.0 1998-09-09
EP98810895.7 1998-09-09
EP98810895A EP0916306B9 (de) 1997-11-11 1998-09-09 Vorrichtung zur stereoskopischen Untersuchung eines Patientenauges
PCT/CH1998/000480 WO1999023937A1 (de) 1997-11-11 1998-11-11 Vorrichtung zur stereoskopischen untersuchung eines patientenau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596A true KR20010024596A (ko) 2001-03-26

Family

ID=2723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980A KR20010024596A (ko) 1997-04-29 1998-11-11 환자의 눈을 입체적으로 검사하는 입체 검안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474815B1 (ko)
EP (1) EP0916306B9 (ko)
JP (1) JP2001522624A (ko)
KR (1) KR20010024596A (ko)
CN (1) CN1272050A (ko)
AT (1) ATE207721T1 (ko)
AU (1) AU742916C (ko)
CA (1) CA2308525A1 (ko)
DE (1) DE59801938D1 (ko)
DK (1) DK0916306T3 (ko)
ES (1) ES2166138T3 (ko)
PT (1) PT916306E (ko)
WO (1) WO19990239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11A (ko) * 2002-01-12 2003-07-23 정하철 자연광의 발생을 위한 조명장치
KR20160022003A (ko) * 2014-08-19 2016-02-29 주식회사 텍코드 신경 성형용 내시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001951D1 (de) 1999-01-22 2003-06-05 Haag Streit Ag Koeniz Ophthalmologisches gerät mit einem beleuchtungs- und/oder strahlenbehandlungsstrahl, dessen flächige intensitätsverteilung einstellbar ist, sowie anordnung mit diesem gerät zur augenbehandlung
US6275335B1 (en) 1999-07-16 2001-08-14 Sl3D, Inc. Single-lens 3D method, microscope, and video adapter
DE10036965B4 (de) * 1999-07-30 2014-09-04 Nidek Co., Ltd. Spaltlampen-Biomikroskop
US6758814B2 (en) * 1999-12-25 2004-07-06 Leica Microsystems (Schweiz) Ag Combination magnifying device, particularly a microscope comprising a measuring device
DE10140402B4 (de) * 2000-09-26 2012-08-30 Carl Zeiss Meditec Ag Bildumkehrsystem, Ophthalmoskopie-Vorsatzmodul und Operationsmikroskop
JP3750935B2 (ja) * 2002-03-26 2006-03-0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AUPS219002A0 (en) * 2002-05-08 2002-06-06 Lion Eye Institute, The Digital hand-held imaging device
EP1417925A1 (de) * 2002-11-07 2004-05-12 Haag-Streit Ag Vorrichtung zur Betrachtung eines Auges
DE10335466B4 (de) * 2003-08-02 2005-09-01 Leica Microsystems Heidelberg Gmbh Rastermikroskop
DE202005007013U1 (de) * 2005-05-02 2005-10-13 Heine Optotechnik Gmbh & Co Kg Ophthalmoskop
DE102005050252A1 (de) * 2005-10-20 2007-04-26 Carl Zeiss Meditec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nahme und Dokumentation von Stereobildern des Augenhintergrundes
DE102005051070B4 (de) * 2005-10-25 2008-06-12 Carl Zeiss Surgical Gmbh Optisches Gerät
EP1857043A3 (de) * 2006-05-18 2007-12-12 Rhine-tec Gesellschaft für Virtuelle Instrumentierung mbH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Untersuchung eines Auges
US7670003B2 (en) 2007-07-26 2010-03-02 Ophthalmology Associates of Northwestern Ohio, Inc. Examination assembly with improved access for the wheelchair bound patient
US20100134759A1 (en) * 2008-06-26 2010-06-03 Silvestrini Thomas A Digital imaging system for eye procedures
ES2380469B2 (es) * 2010-10-15 2013-04-10 Universidad De Murcia Instrumento para la medida rápida de las propiedades ópticas del ojo en todo el campo visual.
JP5864941B2 (ja) 2011-07-29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2014033733A (ja) * 2012-08-07 2014-02-24 Topcon Corp 細隙灯顕微鏡
US9681805B2 (en) * 2012-11-05 2017-06-20 Babak Kamkar Afferent pupil tester
CN102894952B (zh) * 2012-11-09 2015-03-25 苏州四海通仪器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裂隙灯显微镜
US9445718B2 (en) * 2013-04-17 2016-09-20 Tsu-Wang SHEN Optical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thereof
CN106236010B (zh) * 2016-07-19 2018-12-25 重庆康华瑞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裂隙宽度电动调节裂隙灯显微镜检查仪功能单元装置
US11890051B2 (en) * 2017-02-06 2024-02-06 Sensor, LLC Apparatus with filter to treat macular degeneration and method of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JP6771093B2 (ja) * 2017-04-13 2020-10-21 株式会社ライト製作所 細隙灯顕微鏡
CN107582023B (zh) * 2017-09-01 2023-07-14 杭州爱视界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3d检查眼睑板腺的裂隙灯显微镜
DE102018127469B4 (de) * 2018-11-05 2021-02-04 Oculus Optikgeräte GmbH Positioniereinheit und Beobachtungsvorrichtung
US11890055B2 (en) * 2019-10-03 2024-02-06 Jitander Dude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ssembly
CN113476008B (zh) * 2021-06-11 2022-10-21 新疆维吾尔自治区人民医院 一种高可靠性眼科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33911B (de) * 1956-12-28 1962-07-26 Haag Streit A G Spaltlampengeraet zur Augenuntersuchung
US4331392A (en) * 1977-08-16 1982-05-25 Tokyo Kogaku Kikai Kabushiki Kaisha Ophthalmoscopic slit lamp
FR2524298A1 (fr) * 1982-04-01 1983-10-07 Essilor Int Appareil de chirurgie ophtalmologique a laser
US5216456A (en) * 1990-10-29 1993-06-01 Volk Donald A Optical device for use with a slit lamp biomicroscope
DE9308464U1 (ko) * 1993-06-07 1993-07-22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De
JP3642812B2 (ja) * 1994-11-17 2005-04-27 株式会社町田製作所 医療用観察装置
DE29514224U1 (de) * 1995-09-05 1995-10-26 Rodenstock Instr Mikroskop mit einem Videomodu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11A (ko) * 2002-01-12 2003-07-23 정하철 자연광의 발생을 위한 조명장치
KR20160022003A (ko) * 2014-08-19 2016-02-29 주식회사 텍코드 신경 성형용 내시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66138T3 (es) 2002-04-01
WO1999023937A1 (de) 1999-05-20
EP0916306B1 (de) 2001-10-31
ATE207721T1 (de) 2001-11-15
US6474815B1 (en) 2002-11-05
EP0916306A1 (de) 1999-05-19
CA2308525A1 (en) 1999-05-20
AU742916B2 (en) 2002-01-17
PT916306E (pt) 2002-04-29
AU742916C (en) 2003-01-09
EP0916306B9 (de) 2005-01-12
DK0916306T3 (da) 2001-11-19
CN1272050A (zh) 2000-11-01
AU1017799A (en) 1999-05-31
DE59801938D1 (de) 2001-12-06
JP2001522624A (ja) 200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4596A (ko) 환자의 눈을 입체적으로 검사하는 입체 검안 장치
US7085046B2 (en) Microscope for operation
JP3206923B2 (ja) 眼科用レーザ手術装置
US7286287B1 (en) Visual aid in the form of telescopic spectacles with an automated focusing device
US4717246A (en) Microscope with movable binocular tube
JP3377238B2 (ja) 細隙灯顕微鏡
US4807987A (en) Deep cavity binocular loupe
JP4417036B2 (ja) 眼科用手術顕微鏡
EP0614540B1 (en) Binocular bent-axis loupes
JPH11503836A (ja) 顕微鏡、特に、立体顕微鏡
US4801198A (en) Slit lamp attachment
CA1253474A (en) Binocular indirect ophthalmoscope
US4786161A (en) Apparatus for examination and surgery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portions of the eye
US4964708A (en) Microscope for medical surgery
JP3891663B2 (ja) 実体顕微鏡
JPH10503693A (ja) 内視鏡を用いて腔を検査する装置
US4976535A (en) Endothelvorsatz
JP2019092844A (ja) 前置レンズ装置及び眼科用顕微鏡
JP7002817B2 (ja) 前置レンズ装置及び眼科用顕微鏡
JP2938483B2 (ja) 眼科手術用実体顕微鏡
US5652639A (en) Indirect ophthalmoscope producing an erect stereoscopic image
WO2019066027A1 (ja) 前置レンズ装置及び眼科用顕微鏡
CN212483980U (zh) 一种多位体视中视多波长视频眼科手术显微镜
JP3027513B2 (ja) 眼屈折測定装置
JPH0980316A (ja) 複視野顕微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