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447A - 자동차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 회로장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 회로장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447A
KR20010022447A KR1020007001032A KR20007001032A KR20010022447A KR 20010022447 A KR20010022447 A KR 20010022447A KR 1020007001032 A KR1020007001032 A KR 1020007001032A KR 20007001032 A KR20007001032 A KR 20007001032A KR 20010022447 A KR20010022447 A KR 20010022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ower stage
turned
storage capacitor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807B1 (ko
Inventor
호르스트 벨라우
크리스티안 첼거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1002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60R21/0173Diagnostic or record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07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ir Bag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장치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와, 트리거링 엘리먼트(2) 및 제어가능 전력단(3)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를 포함하고 에너지 소스(5)로부터 검사 전류(ICHARGE)가 전달되는 병렬 회로를 가진다.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크게 방전될때 및 전력단(3)이 검사를 위하여 턴온될때, 직렬 회로(2, 3) 양단의 검사 전압(UTEST)은 이용되고 평가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 회로 장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CIRCUIT DEVICE FOR CONTROLLING AN AUTOMOBILE PASSENGER PROTECTION MECHANISM}
자동차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장치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가 제 1 제어가능 전력단, 승객 보호 수단용 트리거링 엘리먼트 및 추가의 제어가능 전력단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와 병렬로 배열되는 EP 0 684 163 B1에 개시되었다. 에어백 또는 미리 조여진 좌석벨트 형태인 승객 보호 수단은 두개의 제어 가능한 전력단이 턴온되는 경우에만 트리거된다. 전력단의 동작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트리거링 엘리먼트가 트리거되지 않도록 제어 회로는 전력단의 각각의 단이 검사를 위해 턴온되도록하고, 동시에 다른 전력단이 턴오프되게 한다. 각각의 전류 센서는 각각의 전력단에 배치된다. 상기된 검사 루틴 동안 결정된 전류는 검사된 전력단의 동작성에 관한 결과가 나오게한다.
특히 집적 회로로서 실행될때 제어가능 전력단의 갯수로 인해, 두개의 제어가능 전력단 및 트리거링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직렬 회로는 큰 영역을 요구하고 따라서 생산하기에 복잡하고 값이 비싸다.
WO 93/17893 A1은 자동차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장치를 개시하는데, 에너지 저장소는 트리거링 엘리먼트 및 단일 제어가능 전력단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와 병렬로 배열된다. 에어백 또는 미리 조여진 좌석벨트 형태의 승객 보호 수단은 제어가능 전력 스위치가 턴온될때 트리거된다. 상기 회로 장치는 제어가능 전력단의 동작성이 검사될수없는데, 그 이유로서 검사 목적을 위한 임의의 구동은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가 트리거링 엘리먼트를 통하여 방전되게 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승객 보호 수단의 트리거링이 바람직하지 않게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 회로 장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장치의 전력단 동작을 검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장치의 단점을 방지하고, 특히 작은 수의 구성요소에도 불구하고 신뢰할수있는 동작 검사를 할수있는 승객 보호용 회로 장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에 관련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에 관련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10 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개선 사항은 청구항 제 1 항 및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종속항의 특징부에 의해 식별된다.
본 발명, 개선점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전류 소스 형태의 에너지 소스(5)는 한편으로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와 트리거링 엘리먼트(2) 및 제어가능 전력단(3)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를 포함하는 병렬 회로에 대해 검사 전류(ICHARGE)를 전달한다. 단자(KL1 및 KL2)는 에너지 소스(5)에 접속된 상기 회로 지점을 식별한다. 평가기(4)는 전력단(3)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ST)를 사용하고 트리거링 엘리먼트(2) 및 전력단(3) 사이의 접합 지점(V)에서 접지 전위(단자 KL2)라 불리는 검사 전압(UTEST)을 분기한다. 게다가, 평가기(4)는 에러 신호(F)를 평가기의 출력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된 병렬 회로는 상기된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 및 직렬 회로(2, 3)와 병렬로 배열되고 저항기(6)와, 평가기(4)로부터의 추가의 제어 신호(STX)에 의해 작동될수있는 제어가능 스위치(7)를 포함하는 추가의 직렬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어 개념은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방전되었을때, 턴온(turn on) 하기 위한 전력단(3)의 동작성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에너지 소스(5)에 의해 전달된 검사 전류(ICHARGE)는 이런 검사 전류(ICHARGE)가 트리거링 엘리먼트에 인가된후 트리거링 엘리먼트(2)가 즉각적으로 트리거되지 않도록 조절된다. 결국, 검사 전류(ICHARGE)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매우 짧은 시간내에 트리거링 전압(Uc)으로 충전될수있도록 높은 레벨을 가지지 않는다. 만약 평가기(4)로부터의 제어 신호(ST)로 인해 전력단(3)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방전되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를 사용하여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화하도록 하면, 그 결과 에너지 소스(5)에 의해 전달된 검사 전류(ICHARGE)는 트리거링 엘리먼트(2) 및 전력단(3)을 통하여 흐른다. 만약 검사 전압(UTEST)이 대략적으로 일정하다면(상기 경우 만약 상기 경우가 접합 지점(V) 및 접지 전위(KL2) 사이의 전위차이고, 따라서 전력 트랜지스터(3)의 컬렉터-이미터 전압인 것으로 이해된다면, 현재 검사 전압(UTEST)이 접지 전위와 대략적으로 같다), 이것은 전력단(3)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스위칭되고 따라서 동작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만약 검사 전압(UTEST)이 기준 접지 또는 접지 전위(KL2)보다 매우 높은 값으로 상승한다면, 제어가능 전력단(3)은 오프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화될수없고 따라서 동작하지 못한다. 결국, 검사 전압(UTEST)의 상승은 검사 전류(ICHARGE)에 의해 충전되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로 인한 것일수있다. 특히, 만약 검사 전압(UTEST)이 소정 값 또는 소정 상승치를 초과한다면, 제어 회로(4)는 전력단(3)이 동작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표시로서 에러 신호(F)를 제공한다.
만약 제어가능 전력단(3)이 턴온되면, 점화기 저항 및/또는 에너지 소스(5)에 의해 전달된 검사 전류(IL)는 트리거링 엘리먼트(2) 양단의 전압 강하를 측정함으로써 검사될수있다. 이것은 에너지 소스(5) 및 트리거링 엘리먼트(2)의 동작성에 관한 결과가 유도되게 한다.
턴온될 제어가능 전력단(3)의 능력 검사후, 검사는 전력단(3)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변화될수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대응하는 제어 신호(ST)는 차례로 평가기(4)에 의해 공급된다. 만약 전력단(3)이 턴오프될수있어서 동작할수있다면, 에너지 소스(5)에 의해 전달된 검사 전류(ICHARGE)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에 대한 충전 전류로서 완벽하게 작동하고 충돌이 발생할때 점화를 위하여 추후에 사용되는 트리거링 전압(U2)으로 상기 캐패시터를 충전한다. 이것은 특히 접합 지점(V)에서 전위의 큰 증가를 유발한다. 평가기(4)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의 충전동안 또는 소정 시간 주기후 검사 전압(UTEST)을 검사하고, 그 후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는 트리거링 전압(U2)까지 충전된다. 만약 전력단(3)이 턴오프될수없으면, 검사 전류(ICHARGE)는 계속하여 트리거링 엘리먼트(2) 및 전력단(3)을 통하여 흐른다: 따라서 검사 전압(UTEST)은 단자(KL2)에서 대략적으로 접지 전위에 대응하고 규정 시간 이외에도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전력단(3)이 턴오프되면, 검사 전압(UTEST)은 단자(KL2)에서 접지 전위보다 상당히 높은 전위인 전압 값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만약 제어 신호(ST)가 전력단(3)을 턴오프하도록 출력될때 검사 전압(UTEST)이 최소 전압 상승치를 초과하는 것을 평가기(4)가 검사하면, 전력단(3)은 턴오프인 것으로 간주된다. 선택적으로, 제어 신호(ST)가 제어가능 스위치(3)를 턴오프되도록 출력된후의 최소 시간후, 검사 전압(UTEST)은 검사 전압이 최소 전압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검사될수있다. 만약 상기 경우이면, 전력단(3)은 턴오프인 것으로 간주되고, 따라서 이런 경우 역시 동작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만약 검사 신호(UTEST)가 최소 전압 상승 또는 최소 전압 값을 얻지 못하면, 전력단(3)은 동작하지 않고, 상기에 대해서는 전력단이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화될수없다. 이런 경우, 평가기(4)는 에러 신호(F)를 공급한다. 동시에 전력단(3)이 턴오프될수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검사가 수행된다. 검사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 및 전류 소스(5)가 동작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장점은, 에어백, 조여진 좌석벨트 같은 승객 보호 수단용 트리거링 회로에서 단일 제어가능 전력단(3)만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전력단(3)과 직렬로 배열된 트리거링 및 트리거링 엘리먼트(2)없이 동일 전력단(3)이 턴오프 및 턴오될수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검사될수있다는 것이다. 사용된 구성요소의 수는 최소화된다. 따라서 각각 제어가능 트리거링 엘리먼트는 각각의 경우 단일 제어가능 전력 스위치만을 요구한다.
에너지 소스(5)는 특히 검사 전류(ICHARGE)를 공급하는 전류 소스이다. 선택적으로, 특정 전압 소스가 사용될수있지만, 비교적 높은 내부 저항을 가져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특정의 로드에 독립적이고, 따라서 제한된 검사 전류(ICHARGE)가 공급될수있다. 만약 예를들어, 전력단(3)이 턴오프될때 검사 전류(ICHARGE)가 일정 시간 너무 높게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를 충전하면, 검사 전류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를 충전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값(즉 전력단(3)의 능력이 턴온된후 검사되는 것을 말한다)을 나타낼수있다. 트리거링 엘리먼트(2)는 승객 보호 수단과 연관되어, 트리거된 상기 보호 수단에 응답하여, 가스가 방출되고 에어백 또는 에어백의 적어도 일부를 충전한다. 제어가능 전력단은 바람직하게 트리거링 엘리먼트(2)를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로부터 발생하는 트리거링 전류를 위하여 설계된 제어가능 전력 트랜지스터이다. 평가기(4)는 단지 평가 루틴뿐 아니라, 특히 제어 루틴을 수행할수있고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지만, 아날로그 회로 또는 다른 측정 및/또는 제어 및/또는 평가 장치로서 설계될수있다. 에너지 소스와 관련된 장치의 측면에서, 제어가능 전력단(3) 및 트리거링 엘리먼트(2)가 배열되어, 상기 장치들은 서로 교환되고, 이것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를들어 트리거링 엘리먼트(2)가 접지 전위(KL2)에 접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검사 전압(UTEST)은 에너지 소스(5)의 제 2 단자(KL2)로서 접지 전위라 불릴뿐 아니라, 제 1 단자(KL1)에 대한 접지 전위라 불릴수있다. 따라서, 신호 및 최소 임계값의 검사 전압(UTEST) 평가는 매칭되어야 한다.
전력단(3)이 턴온될수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검사하기 전에, 검사는 바람직하게 전력단(3)이 턴온될때 잔류 전하로 인해 트리거링 엘리먼트(2)가 트리거되는 범위로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방전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이 때문에, 캐패시터 전압(UC)은 바람직하게 평가기(4)에 의해 모니터된다. 만약 캐패시터 전압(UC)이 최소 임계값보다 낮으면,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는 실질적으로 방전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런 검사후, 상기된 방법이 시작된다. 만약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요구된 최소 범위로 방전되지 않으면, 예를들어 상기된 방법이 레지스터(6)를 통하여 제어 회로(4)로부터의 적당한 제어 신호(STX)에 의해 시작되기전, 그 다음 단계에서, 제어 신호(ST)로 인해 전력단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화하도록 하고 검사 전압(UTEST)이 측정되고 처리되기전 방전될수있고, 상기 제어 신호(STX)는 제어가능 스위치(7)를 턴온한다.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의 제어된 방전후 및 전력단(3)이 턴온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가능성 검사전에,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의 충전 상태는 바람직하게 다시 검사되어야 한다.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의 트리거링 전압(UC) 또는 전력단(3)이 소정 측정 시간에서 전압 상승 또는 전압 값을 평가함으로써 턴오프될때 충전 동작 동안 검사 전압(UTEST)을 평가함으로써, 상기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의 캐패시턴스에 관한 결과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 캐패시터(1)의 캐패시턴스(C)는 du/dt = ICHARGE/C로부터 발생되고, 여기서 du/dt는 캐패시터(1)가 충전되는 동안의 전압 변화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 방법의 종료 시점에서,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가 전압(UZ)을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충전될때 전력단(3)을 턴온하는 제어 회로(4)는 트리거링 엘리먼트(2)가 트리거되게 한다. 이런 이유로, 평가기(4)는 적당한 센서에 의해 기록된 자동차로부터의 충돌 신호를 처리하고, 만약 충돌이 승객 보호 수단을 트리거하기에 충분히 강한 것으로 간주될때만 트리거링 엘리먼트(2)를 트리거하도록 적당한 제어 신호(ST)를 공급한다.
도 2 및 도 1의 본질적인 차이는 높은 저항의 분리된 저항기(8)가 단자(KL2) 및 단자(KL1)에 접속되거나 에너지 소스(5)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들 분리된 저항기(8)의 효과는 트리거링 엘리먼트(2)의 접속 단자중 하나 및 공급 전위중 하나 사이에 단락 회로가 있을때,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의 에너지 저장이 트리거링을 위하여 요구된 트리거링 전류가 얻어지는 범위까지 트리거링 엘리먼트(2)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공간 측면에서, 회로 장치는 다른 방식으로 자동차에 배열될수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리거링 엘리먼트(2)를 제외한 전체 회로 장치는 자동차 중앙에 바람직하게 배열되는 공통 제어 유니트에 수용된다. 트리거링 엘리먼트(2)는 트리거링 라인을 통하여 제어 유니트에 접속된다. 선택적으로, 전체 회로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를들어 자동차 공급기에 직접 접속되거나 인간 보호를 위한 중앙 제어 유니트에 접속된 부착된 에너지 공급기에 대한 하나의 라인을 가지는 분리된 저항기(8)를 가지는 승객 보호 수단에 밀접하게 배치될수있다. 특히, 상기 회로 장치의 분산 배열은 분리된 저항기(8)에 접속된 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데이타 형태의 메시지를 가질수있다. 상기 메시지는 트리거링 엘리먼트(2)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링 명령, 특정 명령 또는 특정 결과 또는 초기화 메시지를 포함한다. 데이타 스트림은 출력되고 코드화된 메시지를 번역하고 전력단(3)을 적당한때 오프 또는 온하는 제어 회로(4)에 공급된다. 접속된 라인은 특히 다수의 회로 장치(상기된)가 분리된 레지스터(8)를 통하여 접속되는 버스로서 설계된다. 분리된 레지스터(8)의 효과는 회로 장치의 단락 회로의 경우(예를들어, 트리거링 엘리먼트 트리거링의 결과로서), 전체 버스가 단락 회로가 되지 않고 추가의 회로 장치가 더이상 트리거될 수 없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도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단계(S1)에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회로 장치에서 전력 스위치(3)의 동작성을 검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 루틴이 시작된다: 그 다음, 단계(S2)에서, 검사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적어도 크게 방전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만약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크게 방전되면, 단계(S4)가 수행되고, 만약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방전되지 않으면, 단계(S3)에서 실질적으로 완전히 방전된다. 단계(S4)에서, 전력단(3)은 검사 전압(UTEST)이 사용되기전(단계 S42),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화된다(단계 S41). 단계(S5)에서, 검사는 검사 전압(UTEST)이 최소 전압 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 만약 초과하면, 에러 신호(F)는 단계(S6)에서 생성되는데, 왜냐하면 전력단이 턴온될수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검사 전압(UTEST)이 최소 전압 값 이하이면, 전력단(3)은 단계(S7)에서 우선 구동되어 상기 전력단은 턴오프된다(S71). 그 다음 검사 전압(UTEST)이 단계(S5)로부터 최소 임계값과 가능하면 같은 추가의 임계값과 비교되기전 소정 시간(T) 동안 지연이 존재한다. 만약 검사 전압(UTEST)이 이런 임계 값을 초과하면,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장치의 정상적인 기능 동작은 단계(S10)으로 계속된다. 그렇지 않으면, 에러 신호(f)(광학 또는 음향학)는 전력단(3)이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변화될 수 없기 때문에 단계(S9)에서 차례로 발생된다.
도 3에 도시된 검사 방법은 회로 장치의 정상 동작 동안(즉, 자동차 점화 장치가 턴온될때) 수행될수있고, 상기 경우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를 방전하기 위하 단계(S3)는 모든 환경에서 필요하다. 만약 제어 장치가 시작될때, 즉 자동차가 점화 장치에 의해 출발할때 제안된 방법이 수행되면,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는 일반적으로 방전 상태로 된다.

Claims (11)

  1.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 회로 장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 장치는 트리거링 엘리먼트(2) 및 제어가능 전력단(3)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와 병렬로 배열된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를 가지며,
    상기 병렬 회로는 에너지 소스(5)로부터 검사 전류(ICHARGE)가 전달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크게 방전될때 및 전력단(3)이 턴온될때, 직렬 회로(2, 3) 양단의 검사 전압(UTEST)은 평가기(4)에 의해 이용되고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전압(UTEST)은 트리거링 엘리먼트(2) 및 전력단(3) 사이의 접합 지점(V) 및 에너지 소스(KL1, KL2)의 단자 사이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4)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크게 방전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 양단 전압 강하(UC)를 사용하고, 상기 전력단(3)은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크게 방전될때만 검사 목적을 위하여 평가기(4)에 의해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스(1)에 의해 전달된 검사 전류(ICHARGE)는 트리거링 엘리먼트(2)를 트리거하기 위하여 필요한 트리거링 전류(ITRIG)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러 신호(F)는 평가기(4)에 의한 검사 전압(UTEST)의 평가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검사 목적을 위하여 턴온되고, 상기 전력단(3)은 턴오프되고 그 다음 검사 전압(UTEST)이 평가기(4)에 의해 이용되고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전압(UTEST)은 전력단(3)이 턴오프될때부터 시작하는 소정 시간 주기(T)후 이용되고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신호(F)는 전력단(3)이 턴오프된후 결정된 검사 전압(UTEST)의 평가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저항기(8)는 병렬 회로(1, 2, 3)와 직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자동차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 회로 장치를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로 장치는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와, 트리거링 엘리먼트(2) 및 제어가능 전력단(3)을 포함하는 직렬 회로를 포함하는 병렬 회로를 가지며, 상기 병렬 회로는 에너지 소스(5)로부터 검사 전류(ICHARGE)가 전달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1)가 크게 방전될때, 전력단(3)은 턴온되고,
    상기 전력단(3)이 턴온된후, 상기 직렬 회로(2, 3) 양단 검사 전압(UTEST)은 이용되고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턴온되고, 상기 전력단(3)은 턴오프되고, 상기 검사 전압(UTEST)은 이용되고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1032A 1997-07-29 1998-07-17 차량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 회로 장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370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2677.3 1997-07-29
DE19732677A DE19732677A1 (de) 1997-07-29 1997-07-29 Anordnung und Verfahren zum Testen einer Schaltungsvorrichtung, die zum Steuern eines Insassenschutzmittels eines Kraftfahrzeugs vorgesehen i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447A true KR20010022447A (ko) 2001-03-15
KR100370807B1 KR100370807B1 (ko) 2003-02-05

Family

ID=783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032A KR100370807B1 (ko) 1997-07-29 1998-07-17 차량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 회로 장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48784B1 (ko)
EP (1) EP0999956B1 (ko)
JP (1) JP3378855B2 (ko)
KR (1) KR100370807B1 (ko)
BR (1) BR9811563A (ko)
DE (2) DE19732677A1 (ko)
ES (1) ES2175781T3 (ko)
WO (1) WO199900624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330A (ko) * 2012-01-24 2014-09-3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탑승자 보호 수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리거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910414D1 (de) 1999-12-16 2004-10-07 Siemens Ag Verfahren zum prüfen einer zündeinrichtung sowie zündeinrichtung
US6758547B2 (en) * 2002-07-10 2004-07-06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specific overcurrent detection
DE10255429A1 (de) * 2002-11-28 2004-06-09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s einer Betriebsspannungsquelle versorgten elektronischen Baugruppe
DE102004032585B4 (de) * 2004-07-05 2008-09-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ordnung zum Steuern eines Personenschutzmittels eines Kraftfahrzeugs
TW200624826A (en) * 2004-10-29 2006-07-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diagnosing impedances having accurate current source and accurate voltage level-shift
JP2006200983A (ja) * 2005-01-19 2006-08-03 Denso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試験方法
WO2008020408A2 (en) 2006-08-15 2008-0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w voltage electronic module interface
DE102006047379B4 (de) * 2006-10-06 2016-12-1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romung einer Zündkreisschaltung für Personenschutzmittel
DE102007044345A1 (de) * 2007-09-17 2009-03-19 Robert Bosch Gmbh Schaltung und Verfahren zum Prüfen von elektrisch steuerbaren Leistungsschaltern für ein Ansteuern von Personenschutzmitteln
DE102008028726A1 (de) * 2007-09-27 2009-04-02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WO2012143750A1 (en) * 2011-04-22 2012-10-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reservoir capacitor of a vehicle passenger protection system, and vehicle safety system incorporating such device
US9225269B2 (en) * 2011-07-20 2015-12-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PT106074B (pt) * 2011-12-27 2014-01-31 Americo Vicente Teixeira Leite Traçador de curvas corrente-tensão de módulos e fileiras de módulos fotovoltaicos
US9561767B2 (en) * 2012-08-21 2017-02-07 Autoliv Development Ab Drive arrangement for driving a vehicle safety device
CN105353248A (zh) * 2015-11-21 2016-02-2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江门供电局 一种电能质量现场移动测试平台
CN105652163B (zh) * 2015-12-21 2019-06-04 国网四川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购电卡抗静电能力测试装置
US10014716B2 (en) 2015-12-22 2018-07-03 Robert Bosch Gmbh Discrete energy reservoir with diagnostics
CN109828130B (zh) * 2019-03-28 2024-03-12 深圳创维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产品的老化测试车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0512A (en) * 1986-05-19 1987-07-14 Caterpillar Industrial Inc. Fault protection apparatus for traction motor circuit
DE3619098A1 (de) * 1986-06-06 1987-12-10 Bosch Gmbh Robert Schutzvorrichtung gegen stoersignale
US4933570A (en) * 1987-02-24 1990-06-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Circuit arrangement for triggering a safety system
DE3920693A1 (de) * 1989-06-24 1991-01-10 Bosch Gmbh Robert Ausloesekreis-ueberwachungsschaltung, insbesondere in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en
DE3924805A1 (de) * 1989-06-29 1991-01-03 Bosch Gmbh Robert Gleichspannungswandler
JPH0748934B2 (ja) * 1990-04-16 1995-05-24 日本電装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故障検出装置
GB2259616B (en) * 1991-07-25 1995-07-0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ignition circuit for an air-bag
EP0629161B1 (de) * 1992-03-12 1996-01-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uslöseschaltung eines crashsensor-gesteuerten schutzsystemes eines fahrzeuges
JP2692497B2 (ja) * 1992-06-29 1997-12-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乗員保護システムの故障検出装置
DE69429168T2 (de) * 1993-06-28 2002-06-06 Autoliv Japan Ltd Zündungsvorrichtung für sicherheitssystem für passagiere
DE4418293A1 (de) * 1994-05-26 1995-11-30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r Aktivierung einer Endstufe für Sicherheitseinrichtungen eines Kraftfahrzeuges
JP3369307B2 (ja) * 1994-06-20 2003-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起動装置
JP3481315B2 (ja) * 1994-07-26 2003-12-22 オートリブ・ジャパン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診断システム
US5541523A (en) * 1994-09-19 1996-07-30 Ford Motor Company System for detecting operability of an airbag squib resistor
US5646454A (en) * 1994-09-24 1997-07-08 Robert Bosch Gmbh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vehicle occupants including a memory device for storing fault conditions and associated control commands
DE19505334C2 (de) * 1995-02-17 2003-08-14 Bosch Gmbh Robert Elektronisches Gerät
JPH0919003A (ja) * 1995-06-27 1997-01-17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におけるコンデンサの劣化判定装置
DE19539070C2 (de) * 1995-10-20 2003-12-18 Bosch Gmbh Robert Anordnung zum Ansteuern einer Auslösevorrichtung eines Rückhaltesystems
JP3301903B2 (ja) * 1995-10-30 2002-07-15 ボッシュ 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におけるエネルギーリザーバ保護装置
DE19619118C1 (de) * 1996-05-11 1997-10-02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r Überprüfung der Funktionsfähigkeit eines Ausgangsschaltkreises einer Auslöseschaltung eines Sicherheitssystems
US5898122A (en) * 1996-07-02 1999-04-27 Motorola, Inc. Squib ignitor circuit and method thereof
DE19627877A1 (de) * 1996-07-11 1998-01-15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r Auslösung eines passiven Insassen-Schutzsystems für Kraftfahrzeu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330A (ko) * 2012-01-24 2014-09-3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탑승자 보호 수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리거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0807B1 (ko) 2003-02-05
JP3378855B2 (ja) 2003-02-17
BR9811563A (pt) 2000-09-12
DE19732677A1 (de) 1999-03-04
US6448784B1 (en) 2002-09-10
WO1999006245A3 (de) 1999-04-08
ES2175781T3 (es) 2002-11-16
WO1999006245A2 (de) 1999-02-11
EP0999956A2 (de) 2000-05-17
EP0999956B1 (de) 2002-03-27
JP2001512069A (ja) 2001-08-21
DE59803536D1 (de)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807B1 (ko) 차량용 승객 보호 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 회로 장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44644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riggering a vehicle passenger protection system
KR100230564B1 (ko) 차량의 승객 안전시스템에 대한 시험 방법 및 회로장치
US6597181B2 (en) High and low side driver tests for airbag module
KR950003268B1 (ko) 에어백 시스템의 점화회로
EP0453236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existence of an abnormality in a vehicle operator protection system
EP0701928B1 (en) Testing of an airbag squib resistor
KR930002297B1 (ko) 차량용 안전장치의 제어장치
KR950013357B1 (ko) 승무원 보호장치
US484537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he actuation of a safety system
US65802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the capacitance of a storage capacitor provided in a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6465907B2 (en) Activating device for vehicle passenger protection system
US4999775A (en) Power apparatus for diagnosing air bag equipment
KR20210114532A (ko) 차량에 있어서 보호 기능을 개시하기 위한 장치
US6486566B1 (en) Circuit for monitoring the ignition system for a safety device in an automobile
JP2728600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回路
US6495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an electric circuit, in particular an ignition circuit of a mot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6188225B1 (en) Circuit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ontacting of a switch or pushbutton
JP3795182B2 (ja) 乗員保護装置
JPH0396638A (ja) 車両搭載機器の自己診断装置
JP2004509802A (ja) 乗員保護システムのドライブ装置および乗員保護システムのテスト方法
JP3403836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リセット回路
JP2000009781A (ja) 乗員保護装置の故障検出装置
US6633088B1 (en) Control circuit for an alternating-current ignition circuit of a restraining means
JPH0379451A (ja) エアバック用トリ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