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259A - 생리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생리대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16259A KR20010016259A KR1020000071289A KR20000071289A KR20010016259A KR 20010016259 A KR20010016259 A KR 20010016259A KR 1020000071289 A KR1020000071289 A KR 1020000071289A KR 20000071289 A KR20000071289 A KR 20000071289A KR 20010016259 A KR20010016259 A KR 200100162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ay
- sanitary napkin
- molding machine
- raw material
- pul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34—Making fibrous pads between sheets or we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0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from pul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된 속지(펄프섬유)의 제조공정으로 인한 부자재의 손실이 거의 없게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하고, 외음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착용하여 분비물의 완벽한 차단을 할 수 있도록 한 생리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생리대의 부자재중의 하나인 속지를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는 길이가 긴 원단을 소망하는 형상과 모양으로 커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어 부자재의 손실이 많아 생산원가의 상승요인 및 착용 후 누었을시 외음부로부터 생리대가 이격되게 되어 분비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등의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생리대의 속지 제조시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생리대의 부자재중의 하나인 속지를 펄프원단으로터 일정한 형상과 모양으로 커팅하는 방식에서 펄프원료를 이용하여 직접 속지 모양으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속지 제조시 발생되는 부산물로 인해 비롯되는 부자재 손실을 최소화하여 생산비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생리대를 제조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리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리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된 속지(펄프섬유) 제조에 따른 손실이 없게하여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외음부와 밀착되게 착용되어 분비물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생리대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여성들의 경우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생리기간중에는 무의식적으로 분비되는 생리현상 즉, 멘스액, 혈액, 뇨 및 기타분비물 등으로 인해 속옷이 더렵혀지지 않을까 하는 긴장과 불안감으로 위축되어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리고 이때 분비되는 분비물들로 인해 속옷이 더렵혀진 경우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여성의 생리기간동안 뒷처리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생리대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생리대(A)는 도 1에 나타내 바와 같이 신체와 접촉하는 상측으로 부터 분비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무수히 많은 구멍이 천공된 망사형 PE 및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내피(10), 분비물을 흡수하여 이를 응고시키도록 된 펄프섬유로 이루어진 속지(20), 분비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외피(30)가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외피(30)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고정부재(4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40)을 이용하여 생리대(A)를 팬티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생리대(A)는 생리기간중인 여성의 외음부를 감싸도록 팬티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면 상기 생리대(A)는 여성의 외음부에 위치하여 분비물이 생리대(A)의 속지(20)에 모두 흡착되게 함으로써 이들 분비물로 인해 속옷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으며, 분비물로 인해 생리대가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생리대만을 분리하여 새로운 생리대로 교체할 경우 불쾌감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들 생리대의 형상과 구조 개선을 통해 착용감이 좋게 하고, 분비물이 많고 적은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형태의 생리대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종래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생리대(A)를 제조함에 있어 부자재중의 하나인 생리대의 속지(20) 즉,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된 펄프섬유는 일정한 두께와 폭으로 되어 길이가 긴 원단(100) 형태로 제조되고 있어 이들 원단(100)으로부터 속지모양으로 커팅(재단)하는 방법을 통해 속지를 성형하여 내피와 외피 사이에 삽입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생리대의 속지(20)를 구성하는 부자재를 길이가 긴 원단(100)을 이용하므로써 이를 속지 모양으로 커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팅공정이 요구되었고, 원단은 속지의 크기 보다 큰 소재를 선택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부자재의 선택 영역이 줄어드는 단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원단을 속지 모양으로 커팅하게 되는 경우 재단된 속지만 이용될 뿐 그 나머지 부산물(200)(속지모양으로 커팅되는 가장자리 부위)은 모두 폐기시킴으로써 이들 폐기되는 부산물(200)에 의한 원자재 손실이 크다.
이들 원자재의 손실은 모두 생산원가에 반영되게 되어 코스트 상승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생리대의 속지를 일정한 두께와 폭으로 되어 길이가 긴 원단으로부터 소망하는 형상과 모양으로 되는 속지를 커팅하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비롯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생리대의 속지 제조시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생리대의 부자재중의 하나인 속지를 펄프섬유 원단이 아닌 펄프섬유 원사가루를 이용한 펄프원료에 의해 직접 성형하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부산물로 인해 비롯되는 부자재 손실을 최소화하여 생산비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에서 유리한 생리대를 공급할 수 있는 생리대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인 바, 이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생리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생리대 속지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생리대 속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속지를 성형하는 성형기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생리대 제조장치의 속지성형기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피 20 : 속지
30 : 외피 40 : 고정부재
50 : 저장조 52: 제2저장조
54 : 로울러 60 : 성형기
62 : 속기성형부 64: 압착로울러
66 : 안내가이드 A : 생리대
B : 펄프섬유 B': 제2원료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생리대 속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 속지를 제조하는 속지성형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생리대(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체와 접촉하는 상측으로 부터 내피(10), 속지(20), 외피(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외피(30)의 외주면에는 고정부재(40)가 구비되는 구성은 종래와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된 생리대를 제조함에 있어서, 내피(10)와 외피(30) 사이에 삽입되는 속지(20)가 펄프원료(B)가 저장되는 저장조(50)가 구비된 성형기에 의해 직접 속지 모양으로 제조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속지 성형기는 펌프원료가 저장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부설되어 속지를 성형하는 성형기로 구성되어 있다.
저장조(50)는 그 내측으로 투여되는 펄프원료(B)의 이송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부측은 넓고 하부측은 좁게 형성되는 호퍼모양으로 되어 있다.
성형기(60)는 원통 로울러 모양으로 되어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 운동하도록 되고, 상기 성형기(60)는 콘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재(내피 또는 외피)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기(60)의 외원주면에는 속지(20)의 형태와 모양을 이루며 부분적으로 함몰되는 속지성형부(62)가 형성되고 상기 속지성형부(62)는 성형기(60)의 외원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다.
속지성형부(62,62,62,…)에 의해 성형된 속지(펄프원료)는 성형기(60)를 안내하는 안내가이드(66)를 따라 회전 이송할 때 상기 속지성형기(62)가 가장 하부측에 위치할 때 속지성형부(62)에 의해 성형된 속지가 이탈 및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한 성형기(60)의 일측에는 압착로울러(64)가 배치되어 성형기(60)의 속지성형부(62)로 충진되는 펄프원료(B)를 상기 압착로울러(64)가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주어 펄프원료가 소망하는 두께를 이루도록 압착되어지며 안내가이드(66)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조(50)의 내측에는 별도의 숯이나 세라믹과 같은 항균 소재 등과 같은 별도의 제2원료(B')가 공급되는 제2저장조(52)를 함께 병설되고, 상기 제2저장조(52)에는 제2원료(B')를 일정하게 계량하여 공급하는 로울러(54)가 구비되어 속지성형부(62)에 채워지게 되는 펄프원료(B)의 표면으로 제2원료(B')가 얇게 코팅되듯이 도포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속지성형기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 제조장치에 있어 콘베이어를 따라 외피(10)(또는 내피(10)가 공급되는 생산라인상에 배치하여 속지 성형기(60)에 의해 성형된 속지(20)가 외피(30) 또는 내피(10)의 상면으로 하나씩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를 도 6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생리대 제조장치는 신체와 접촉하는 내피(10)의 하부측으로 속지(20)와 외피(30)가 차례로 적층되는 구성으로 생리대를 성형하며, 상기 외피(30)에는 상기 생리대(A)를 팬티에 고정시키도록 된 고정부재(40)가 부설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생리대(A)의 내피(10)와 외피(30)를 공급하는 이송라인상에 속지 성형기를 배치하여 속지를 제조하도록 되어 있다.
속지성형기의 저장조(50)에 일정량의 펄프섬유 원사가루로 되는 펄프원료(B)를 투여하게 되면 상기 펄프원료(B)는 성형기(60)의 속지성형부(62)에 하나씩 채워지고, 펄프원료(B)가 채워지는 성형기(60)가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 운동할 때 인접되는 로울러(64)는 속지성형부(62)에 채워진 펄프원료(B)의 상면부를 눌러 압착시키게 된다.
이때 속지의 표면부에만 별도의 제2원료를 도포하여 보다 나은 효과과 증진된 생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저장조에 도파하고자 하는 숫, 세라믹 가루를 투여하면 상기 저장조에 부설되는 로울러가 이를 일정하게 계량하여 공급하게 되면 제2원료는 로울러에 의해 압착되어지는 펄프원료의 표면부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성형기는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하게 되므로 제2저장조에서 공급되는 제2원료는 펄프원료의 표면에 균일하게 두께로 도포되어진 채 안내가이드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로울러(64)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압착되고 제2원료가 도포된 펄프원료(B)는 성형기(60)의 회전운동에 의해 안내가이드(66)쪽으로 이송되고, 안내가이드(66)로 이송되는 펄프원료(B)는 속지성형부(62)가 가장 하부쪽에 위치하게 될 때 배출부(68)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출부(68)는 콘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내피(10)(또는 외피(30))의 이송 라이상에 배치되고 있어 성형기에 의해 성형된 펄프원료(속지)는 이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소재 위에 성형기(60)의 속지성형부(62)에 의해 성형되어지는 속지(20)를 하나식 올려놓듯이 배출하게 된다.
이처럼 속지(20)가 공급된 내피(또는 외피)는 그 상면으로 인접되는 외피(또는 내피)에 의해 감싸여지고, 이들이 압착로울러(80)를 통과하게 될 때 압착로울러(80)는 내피(10)와 외피(30)의 가장자리부위를 접합시키게 되어 속지(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내피(10)와 외피(30) 사이에 속지(20)가 삽입된 소재는 커팅로울러(90)에 의해 소망하는 형상과 모양으로 커팅하게 되면 하나의 완성된 제품(생리대)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피(10)와 외피(30)를 접합시킬 때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속지(20) 고정 및 속지(20)에 흡수된 분비물이 바깥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주파 가열기를 이용하여 속지의 일부가 압착되는 경계부를 형성하는 작업을 병행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기(60)의 속지성형부(62)에 의해 성형되는 속지(20)는 성형기(60)가 회전 운동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자동으로 이탈되는 구성만을 도시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속지성형부62)의 내측에 속지(20)를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배출장치와 센서를 부가하여 성형기(60)가 하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에 의해 배출장치가 속지를 일시적으로 바깥쪽으로 밀어내도록 구성하면 속지의 취출이 보다 완벽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취출장치는 속지를 바깥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별도의 공기장치 또는 캠과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속지를 외부로 밀어낼 수 있는 것이면 그 어느 것이나 가능한 것이다.
저장조(50)내에는 그 내측으로 투여되는 펄프원료의 원할한 이송과 공급을 위해 회전 교반기를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생리대(A)는 생리대(A)의 이면에 부착된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생리대(A)가 외음부과 근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팬티의 내측에 부착하게 되면 생리중 유출되는 분비물은 생리대(A)의 망사형 PE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내피(10)을 통과하여 속지(20)에 모두 흡착시킴으로써 분비물로 인해 속옷이 더렵혀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생리대의 속지를 미리 성형한 원단으로부터 일정한 모양으로 커팅하는 방식이 아닌 펄프원료에 의해 직접 속지 형태와 모양을 가공하는 방식에 의해 속지를 구성함으로써 원자재 손실이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속지 제작에 따른 제조원가가 기존 보다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하므로써 가격경쟁력에 크게 앞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생리대 속지에 별도의 숯이나 세라믹 층을 형성하여 생리대가 항균 및 살균 작용을 도모할 수 있게함으로써 종래의 단순 기능을 가지는 생리대 보다 향상된 기능으로 인해 상품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등의 작용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 내피(10)와 외피(30) 사이에 속지(20)가 삽입되고, 외피(30)에는 고정부재(40)가 구비되는 생리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속지(20)는 펄프원료(B)가 저장되는 저장조(50)에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 운동하도록 된 성형기(60)가 부설되며, 상기 성형기(60)의 외원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속지성형부(62)가 형성되고, 성형기(60)의 일측에는 압착로울러(64)가 배치되어 속지성형부(62)로 충진되는 펄프원료(B)를 압착로울러(64)로 압착 후 안내가이드(66)를 따라 회전하도록 된 성형기(60)에 의해 공급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성형기(60)는 생리대 제조장치의 콘베이어를 따라 외피(10)(또는 내피(10))가 이송되는 생산라인상에 배치되어 속지성형기(60)에 의해 성형된 속지(20)를 그 상부측에 하나씩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50)의 내측에는 제2원료(B')가 투여되는 제2저장조(52)가 내설되며 상기 제2저장조(52)에는 제2원료(B')를 계량 공급하는 로울러(54)가 구비되어 상기 로울러에 의해 계량된 제2원료를 속지의 표면에 도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1289A KR20010016259A (ko) | 2000-11-28 | 2000-11-28 | 생리대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1289A KR20010016259A (ko) | 2000-11-28 | 2000-11-28 | 생리대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16259A true KR20010016259A (ko) | 2001-03-05 |
Family
ID=1970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1289A KR20010016259A (ko) | 2000-11-28 | 2000-11-28 | 생리대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16259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05957A (en) * | 1974-05-16 | 1977-02-01 | Scott Paper Company | Apparatus for forming fibrous pads |
JPH02111365A (ja) * | 1988-10-21 | 1990-04-24 | Kao Corp |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
JPH04161153A (ja) * | 1990-10-25 | 1992-06-04 | Kao Corp | 繊維の積繊方法及びその装置 |
JPH11318977A (ja) * | 1998-05-12 | 1999-11-24 | Uni Harts Kk | 吸収体の製造方法 |
-
2000
- 2000-11-28 KR KR1020000071289A patent/KR200100162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05957A (en) * | 1974-05-16 | 1977-02-01 | Scott Paper Company | Apparatus for forming fibrous pads |
JPH02111365A (ja) * | 1988-10-21 | 1990-04-24 | Kao Corp |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
JPH04161153A (ja) * | 1990-10-25 | 1992-06-04 | Kao Corp | 繊維の積繊方法及びその装置 |
JPH11318977A (ja) * | 1998-05-12 | 1999-11-24 | Uni Harts Kk | 吸収体の製造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19281B (zh) | Absorbent items | |
EP3595603B1 (en) | Mould for forming an absorbent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 |
CN102802579B (zh) | 具有波浪形压缩线的月经卫生棉条 | |
TWI513453B (zh) | Absorbent items | |
RU2633227C2 (ru) | Тампон с вытянутыми формами желобка | |
JP5319262B2 (ja) |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894122B1 (ko) | 흡수성 물품 | |
TWI691313B (zh) | 吸收性物品 | |
JP5114081B2 (ja)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
JP5792997B2 (ja) | 吸収性物品 | |
JP2007510526A (ja) | 凹部分を有するタンポン | |
JP5097423B2 (ja)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
GB2191098A (en) | Sanitary towels | |
JP2010136899A (ja) |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 | |
JP2007510527A (ja) | 突起部を有するタンポン | |
KR920700603A (ko) | 체액흡수용 흡수패드의 성형 및 열압축용 장치 | |
KR101876595B1 (ko) | 흡수성 물품 | |
HU212852B (en) | Method of producing absorption body, and absorption body | |
CN103957858A (zh) | 吸收构造体和采用该吸收构造体的吸收性穿着物品 | |
JP5552091B2 (ja) | 吸収性物品 | |
JP5581192B2 (ja) | 吸収性物品 | |
JP4291495B2 (ja) |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コアの製造方法 | |
KR20010016259A (ko) | 생리대 제조장치 | |
CN109414899B (zh) | 包括至少一层无纺布的多层材料 | |
JP2023117774A (ja) | 吸収性シート、及び、吸収性シー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