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122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122B1
KR101894122B1 KR1020137029829A KR20137029829A KR101894122B1 KR 101894122 B1 KR101894122 B1 KR 101894122B1 KR 1020137029829 A KR1020137029829 A KR 1020137029829A KR 20137029829 A KR20137029829 A KR 20137029829A KR 101894122 B1 KR101894122 B1 KR 101894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s weight
weight portion
groove
absorbent
low ba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880A (ko
Inventor
다케히로 이시카와
다카히로 가토
신스케 나가하라
미치오 야스다
히로미 다치카와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18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20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98000A external-priority patent/JP56043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09339A external-priority patent/JP57794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887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09946A/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2/06346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165327A1/ja
Publication of KR2014002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58Forming continuous, e.g. composite, fibrous webs, e.g.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pulverulent material on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1Treating webs, e.g. for giving them a fibrelike appearance, e.g. by embo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 flat barrier on or inside the absorbent article, e.g. backsheet wrapped around the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regions, e.g.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4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 A61F13/534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having an undulated or corrugated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4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urine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65Dimensions
    • A61F2013/15373Calliper, i.e.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22Dens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63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8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with channels or deep spot depressions on th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0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from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8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 A61F2013/53059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in granules or particles
    • A61F2013/5306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in granules or particles in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체 (4A) 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 (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흡수성 코어 (40) 는,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 (41) 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 (42) 를 가지며,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는, 흡수성 물품 (1) 의 길이 방향 (X) 및 폭방향 (Y) 각각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 (1) 에는, 표면 시트 (2) 및 흡수성 코어 (40) 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홈 (7) 이 형성되어 있다. 홈 (7) 은, 적어도, 길이 방향 (X) 또는 폭방향 (Y) 으로 늘어선 2 개의 고평량부 (41, 41) 와 2 개의 그 고평량부 (41, 41) 에 끼워진 1 개의 저평량부 (42)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는, 흡수성 코어 (40) 의 두께 방향 중앙 (Tc) 보다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이나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액 유지성의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이러한 구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경혈 등의 배설액을 막아 외측으로 누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등의 목적에서, 그 피부 맞닿음면측으로 , 표면 시트 및 흡수체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누출 방지홈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흡수체의 일부 (중앙부) 가 피부 맞닿음면측에 두께가 증가된 중고부(中高部)를 가지며, 그 중고부의 주위에 누출 방지홈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로서, 신축성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반 시트의 편면에 복수의 흡수부를 서로 이간시켜 고정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흡수체에 있어서, 인접하는 흡수부간에는, 흡수성 소재가 그 흡수부보다 저평량으로 배치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이러한 구성의 흡수체를 구비함으로써, 복잡하게 기복하는 피부면에 맞추어 변형되고, 또, 장착자의 신체의 동작에 맞추어 변형되고, 게다가 변형의 유무에 상관없이 높은 액체 등의 흡수 유지성을 실현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체로서, 개개로 독립된 다수의 흡수부를 평면 방향에 걸쳐서 배치한 것을 사용하고, 그 흡수부를,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된 중간 시트에 고정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는, 어느 것이나 액 흡수성을 갖는 부위 (흡수성 코어) 가 복수의 영역 (흡수부) 에 구획화되어 있는 점, 및 복수의 흡수부가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시트에 접합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공통된다.
또,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액 유지성의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출원인은, 먼저, 흡수성 물품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착용 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서, 소정의 투습도를 갖는 투습 시트로 이루어지는 이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안했다 (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 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물크러짐, 끈적거림 등의 불쾌감이 적고, 쾌적한 감촉을 가지며, 가려움, 발진 등의 피부 트러블이 발증하기 어렵다.
또, 본 출원인은, 먼저, 소정의 투습도를 갖는 이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과는 별도로,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함몰되는 다수의 압축부가 서로 이간하여 형성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제안했다 (특허문헌 5 참조).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사용시에 있어서의 액 복귀성이 우수하고, 표면에 액을 남기지 않아 산뜻한 습윤감이 저감된 쾌적한 장착감을 부여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화되어 있지 않은 통상적인 흡수체에 누출 방지홈을 형성한 경우, 배설액이 누출 방지홈에서 막힘으로써 누출 방지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발휘되는 한편, i) 배설액이 국소적으로 체류하기 쉬워, 젖음에서 기인하는 장착자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없고, ii) 고밀도의 누출 방지홈이 흡수체에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흡수체가 부분적으로 경화되기 때문에, 장착자의 신체에 조화되기 어려워 피트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는, 흡수성 코어가 복수의 영역 (흡수부) 으로 구획화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흡수체와 비교하면 상기 i) 및 ii), 특히 상기 ii) 의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지만, 복수의 흡수부가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시트에 접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그 흡수부 및 그 시트가 동일한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양자간에 있어서의 배설액의 이행성이 떨어져, 누출 방지홈과의 제휴에 의한 배설액의 확산·흡수 작용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와 누출 방지홈의 조합을 채용한 흡수성 물품은, 특히, 누출 방지홈에 의한 배설액의 막음 효과 (옆샘 방지 효과) 에 개선의 여지가 있고, 특히, 1 회의 배설량이 많은 경우, 그 배설액이 피부 맞닿음면 상을 이동하여 누출 방지홈에 도달하고, 다시 그 누출 방지홈을 넘어 흡수성 물품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옆샘을 초래하는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누출 방지홈을 넘은 배설액의 이동에서 기인하는 옆샘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누출 방지홈보다 흡수성 물품의 외측에 흡수체를 배치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출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누출 방지홈보다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내방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를, 그 누출 방지홈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방으로 연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그러한 연장 부분을 갖는 어느 정도 사이즈 (폭) 가 큰 흡수체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흡수체의 사이즈 (폭) 를 좁게 하는 것이 어렵고, 요즈음의 요구인 흡수성 물품의 콤팩트화가 곤란하여, 제품 설계의 자유도가 열등하다. 흡수체와 누출 방지홈의 제휴에 의한 배설액의 확산·흡수 작용 효과가 우수하고,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해소하고, 피트성도 우수한 흡수성 물품은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 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최근, 또한, 착용 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습윤감을 더욱 저감시키고, 더욱 쾌적한 장착감을 주는 흡수성 물품의 수요가 높아져 왔다.
본 발명 (제 1 발명) 은,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흡수성 코어는,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와,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를 가지며, 그 고평량부와 그 저평량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 각각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성 코어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은, 적어도,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방향으로 늘어선 2 개의 상기 고평량부와 2 개의 그 고평량부에 끼워진 1 개의 상기 저평량부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을 획성하는 저벽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 중앙보다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제 1 발명 및 제 3 발명) 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배설액을 재빠르게 흡수·확산하여,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제 2 발명) 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배설액을 재빠르게 흡수·확산하여,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누출 방지홈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유연성을 가져 우수한 피트성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 (제 4 발명) 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사용시의 착용 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습윤감을 더욱 저감시키고, 또한 쾌적한 장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제 1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3(a) 는, 도 1 에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고 있는 흡수성 코어를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b) 는, 도 3(a) 의 일부 (원으로 둘러싼 부분) 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b) 의 II-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b) 의 III-I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b) 의 IV-IV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3 에 나타내는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양태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내는 회전 드럼에 있어서의 외주면측의 일부 (오목부) 의 폭방향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회전 드럼의 오목부에 흡수성 재료가 퇴적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0 은, 퇴적물의 압축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1 은, 걸리 시험기법에 의한 통기성의 평가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 (제 2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4(a) 는, 도 12 에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고 있는 흡수성 코어를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4(b) 는, 도 14(a) 의 일부 (원으로 둘러싼 부분) 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b) 의 II-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 14(b) 의 III-I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4(b) 의 IV-IV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은, 도 18(a) 는, 도 14(a) 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b) 상당도) 이며, 도 18(b) 및 도 18(c) 는, 각각 본 발명 (제 2 발명) 의 범위 외의 흡수성 코어 및 홈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 (제 3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9 의 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21(a) 는, 도 19 에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고 있는 흡수성 코어를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1(b) 는, 도 21(a) 의 일부 (원으로 둘러싼 부분) 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 는, 도 21(b) 의 II-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은, 도 21(b) 의 III-I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 는, 도 21(b) 의 IV-IV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는, 도 21(b) 의 일부 (갈라진 곳 및 그 근방) 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 (제 4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피부 대향면측에서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7 은, 도 26 의 Y1-Y1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 은, 도 26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고 있는 흡수성 코어를 피부 대향면측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9(a) 는, 도 28 의 Y2-Y2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9(b) 는, 도 28 의 Y3-Y3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 (제 1 발명 및 제 3 발명) 은, 배설액을 재빠르게 흡수·확산하여,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 (제 2 발명) 은, 배설액을 재빠르게 흡수·확산하여,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해소하고, 또한 누출 방지홈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유연성을 가져 피트성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 (제 4 발명) 은, 전술한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 (제 1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인 생리용 냅킨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A)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2),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3), 및 양 시트 (2, 3) 간에 개재된 흡수체 (4A) 를 구비하고 있고, 세로로 (일방향으로 긴 형상) 길다. 냅킨 (1A)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시에 장착자의 배설부 (질구) 에 대향 배치되는 배설부 대향부 (11) 와, 장착시에 배설부 대향부 (11) 보다 장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전방부 (12) 와, 장착시에 배설부 대향부 (11) 보다 장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후방부 (13) 를, 길이 방향 (X) 으로 가지고 있다. 배설부 대향부 (11) 는 후술하는, 좌우에 1 쌍의 윙부 (6, 6) 를 갖는 부분이다. 1 쌍의 윙부 (6, 6) 는, 냅킨 (1A) 을 쇼츠 등의 속옷에 고정시킬 때에, 속옷의 가랑이부 (크로치부) 에 감겨져 사용되는 부위이다. 또한, 본 발명 (제 1 발명) 의 흡수성 물품 (생리용 냅킨) 이 윙부를 가지지 않은 경우, 그 생리용 냅킨의 배설부 대향부는, 제품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가 25 cm 이하의 이른바 단시간 낮용의 냅킨에서는, 그 냅킨을 길이 방향으로 3 등분하여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로 한 경우의 중앙부 (앞에서 2 번째의 영역) 이며, 제품 길이 방향 전체 길이가 25 cm 를 초과하는 이른바 장시간 낮용 및 밤용의 냅킨에서는, 이들의 냅킨을 길이 방향으로 4 등분한 경우의 앞에서 2 번째의 영역 (뒤에서 3 번째의 영역)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구성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장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면이며, 비피부 맞닿음면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피부측과는 반대측 (의류측) 으로 향해지는 면이다. 또, 길이 방향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구성 부재의 장변을 따르는 방향이며, 폭방향은,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면 중, 부호 X 로 나타내는 방향은, 흡수성 물품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길이 방향이며, 부호 Y 로 나타내는 방향은, 흡수성 물품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폭방향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 는, 흡수체 (4A) 의 피부 맞닿음면 (4a) 의 전체 영역을 피복하고, 또한 흡수체 (4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 이면 시트 (3) 는, 흡수체 (4A) 의 비피부 맞닿음면 (4b) 의 전체 영역을 피복하고, 또한 흡수체 (4A) 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표면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는, 흡수체 (4A) 의 길이 방향 (X) 의 전단 및 후단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 (X) 의 외방으로도 연장되어 있고, 그들의 연장부에 있어서, 접착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냅킨 (1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좌우 양 측부에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사이드 시트 (5, 5) 가 냅킨 (1A)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 (5) 는, 그 폭방향 (Y) 의 내방측의 측부가,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표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 (2a) 에 접합되어 있고, 외방측의 측부가, 흡수체 (4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측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부가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이면 시트 (3) 에 있어서의, 흡수체 (4A) 의 측가장자리로부터의 연장부에 접합되어 있다. 이면 시트 (3) 및 사이드 시트 (5) 는,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 흡수체 (4A) 의 측가장자리로부터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의 연장 길이가 최대로 되어 있고, 그들의 최대 연장부에 의해 1 쌍의 윙부 (6, 6) 가 형성되어 있다.
냅킨 (1A) 의 비피부 맞닿음면 (이면 시트 (3) 의 비피부 맞닿음면 (3b)) 은, 장착시에 쇼츠의 크로치부 등, 의류측으로 향해진다. 비피부 맞닿음면 (3b) 에는, 냅킨 (1A) 을 쇼츠 등의 속옷의 크로치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또, 1 쌍의 윙부 (6, 6) 의 비피부 맞닿음면 (이면 시트 (3) 의 비피부 맞닿음면 (3b)) 에는, 쇼츠의 외면 (비피부 맞닿음면) 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착부는, 핫멜트 점착제를 소정 지점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냅킨 (1A) 의 사용 전에 있어서는 필름, 부직포,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되지 않은 박리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흡수체 (4A) 는, 흡수성 재료 (펄프 등의 섬유 재료, 흡수성 폴리머 등) 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 (40A)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 (4A) 는, 흡수성 코어 (40A) 를, 티슈 페이퍼나 투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랩 시트 (도시 생략) 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 (40A) 는, 후술하는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모두, 펄프 등의 섬유 재료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그 섬유 재료 및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후자의 경우, 섬유 재료간에 흡수성 폴리머가 균일하게 혼합된 형태여도 되고, 혹은 섬유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섬유층과 흡수성 폴리머를 주체로 하는 폴리머층을 포함하여, 상하 2 층의 그 섬유층의 사이에 그 폴리머층이 끼워진 형태여도 된다. 표면 시트 (2) 와 흡수체 (4A) 의 사이, 흡수체 (4A) 와 이면 시트 (3) 의 사이는, 도트, 스파이럴, 스트라이프 등의 패턴 도공된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등) 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성 코어 (40A)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 (41) 와,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 (42)(42X, 42Y) 를 가지며,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는, 길이 방향 (X) 및 폭방향 (Y) 각각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코어 (40A)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와 폭방향 (Y) 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저평량부 (42Y) 가 각각 복수 형성되고, 저평량부 (42) 전체적으로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42Y) 로 구획된 부위가, 고평량부 (41) 로 되어 있다. 복수의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는, 각각 흡수성 코어 (40A)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직선상의 저평량부 (42Y) 는, 각각 흡수성 코어 (40A) 의 폭방향 (Y)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고평량부 (41) 는, 각각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A) 는 그 외관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평량부 (41) 는 저평량부 (42)(42X, 42Y) 에 비해 두께가 크고, 그 때문에 흡수성 코어 (40A) 는,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에 비해 융기한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다. 흡수성 코어 (40A) 가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요철 구조를 가지지 않고 피부 맞닿음면 및 비피부 맞닿음면의 어느 것이나 대략 평탄한 경우에 비해, 냅킨 (1A) 의 장착시에 흡수성 코어 (40A) (흡수체 (4A)) 의 변형,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코어 (40A) 의 냅킨 장착자의 피부를 향해 융기하는 형상으로의 변형이 유도되기 쉽다. 이와 같은 흡수성 코어 (40A) 의 변형 용이성에 의해, 냅킨 (1A) 의 장착시에 배설부 대향부 (11) 가 냅킨 장착자의 피부에 바짝 대어지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피트성이 향상되어, 장착자에게 쾌적한 장착감을 부여함과 함께, 경혈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흡수성 코어 (40A) 의 단면에서 보아, 저평량부 (42)(42X, 42Y) 는,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으로 편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평량부 (4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편재되어 있다. 그리고, 저평량부 (42) 가 이와 같이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편재되어 있음으로써, 고평량부 (41) 는, 피부 맞닿음면 (4a) 과는 반대측, 즉,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는, 피부 맞닿음면 (4a) (표면 시트 (2) 와의 대향면) 은, 후술하는 홈 (7) 의 형성 부위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요철이 없고 대략 평탄 (요철이 없고 평탄) 한데 대해, 비피부 맞닿음면 (4b) (이면 시트 (3) 와의 대향면) 은, 돌출 형성된 고평량부 (41) (볼록부) 와 고평량부 (41, 41) 사이에 위치하는 저평량부 (42)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에 의한 요철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 저평량부 (42) 가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편재되어 있으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맞닿음면 (4a) 측과는 반대측의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저평량부 (42) 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의한 공간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가 형성되는 점에서, 흡수성 코어 (40A) 는, 피부 맞닿음면 (4a) 측의 저평량부 (42) 를 기축으로서 냅킨 장착자의 피부를 향해 융기하는 형상으로 변형되기 쉽고, 그 때문에, 피트성의 향상 효과나 경혈의 누출 방지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 (제 1 발명) 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의 저평량부 (42)(42X, 42Y) 의 편재 위치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것과는 반대로,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이어도 된다. 즉, 흡수성 코어 (40A) 의 단면에서 보아, 저평량부 (42) 는,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편재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고평량부 (41) 는,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과는 반대측, 즉,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측으로 돌출하고, 흡수성 코어 (40A) 전체적으로, 도 2 에 나타내는 것과는 상하가 반대로 된다. 따라서, 저평량부 (42) 가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편재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는, 비피부 맞닿음면 (4b) (이면 시트 (3) 와의 대향면) 은, 실질적으로 대략 평탄한데 대해, 피부 맞닿음면 (4a) (표면 시트 (2) 와의 대향면) 은, 돌출 형성된 고평량부 (41) (볼록부) 와 고평량부 (41, 41) 간에 위치하는 저평량부 (42)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에 의한 요철을 가지며,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저평량부 (42) 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의한 공간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가 형성된다. 이 피부 맞닿음면 (4a) 측의 공간부는,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41, 41) 간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냅킨 장착시도 그 공간부의 형상이 유지되기 쉽고, 그 때문에, 그 공간부에 의해 냅킨 장착자의 피부와 냅킨 (1A) 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환기되어, 냅킨 장착자가 느끼는 물크러짐이 저감된다.
또, 본 발명 (제 1 발명) 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 (40A) 의 단면에서 보아, 저평량부 (42)(42X, 42Y) 는,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과 비피부 맞닿음면 (4b) 의 대략 중앙부에 편재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고평량부 (41) 는,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측 및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 각각에 돌출한다. 따라서, 저평량부 (42) 가 피부 맞닿음면 (4a) 과 비피부 맞닿음면 (4b) 의 대략 중앙부에 편재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는, 피부 맞닿음면 (4a) 및 비피부 맞닿음면 (4b) 각각이, 돌출 형성된 고평량부 (41) (볼록부) 와 고평량부 (41, 41) 간에 위치하는 저평량부 (42)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에 의한 요철을 가지며, 피부 맞닿음면 (4a) 측 및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 각각에, 저평량부 (42) 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의한 공간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흡수성 코어 (40A) 는, 그 두께 방향 (T) 의 대략 중앙부 (흡수성 코어 (40A) 의 외관 두께의 대략 중앙부) 에 위치하는 저평량부 (42) 를 기축으로서 냅킨 장착자의 피부를 향해 융기하는 형상으로 변형되기 쉽고, 또한, 상기 공간부에 의해 냅킨 장착자의 피부와 냅킨 (1A) 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환기되는 효과도 발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제 1 발명) 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의 저평량부 (42)(42X, 42Y) 의 편재 위치는, 그것에서 기인하여 발휘되는 효과 (흡수성 코어 (40A) 의 변형 유도 효과, 환기 효과) 의 어느 것을 특히 원하는가 등에 따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피부 맞닿음면 (4a) 측, 혹은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 혹은 피부 맞닿음면 (4a) 과 비피부 맞닿음면 (4b) 의 대략 중앙부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코어 (40A) (상기 요철 구조) 는, 그 외관이, 얇은 판형상으로 성형된 흡수성 재료의 일면측에,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의 흡수부가 서로 이간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 (복수의 흡수부를 시트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체) 와 유사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코어 (40A)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요철 구조를 갖도록 흡수성 재료를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가, 접착제나 열융착 등의 접합 수단을 개재하지 않고 일체화되어 있고, 동일한 재료에 의한 경계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의 경계) 를 갖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는, 복수의 상기 흡수부를 그 흡수부와는 별체의 상기 시트에 고정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흡수부와 상기 시트가 접합 수단을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흡수부와 상기 시트의 경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이 점에서 양자는 상이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의 차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는, 액이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데 대해,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부와 상기 시트는, 양자간 (경계) 에 접합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계 부분에서의 액 확산이 일어나기 쉽고, 액이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냅킨 (1A) 에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 및 흡수성 코어 (40A) 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홈 (7) 이 형성되어 있다. 홈 (7) 은, 후술하는 저벽부 (71) 와 측벽부 (72) 에 의해 획성된, 공간 (냅킨 (1A) 의 형성 재료가 존재하지 않은 부위) 이다. 홈 (7) 은,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세로홈 (7X, 7X) 과, 폭방향 (Y)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2 개의 가로홈 (7Y1, 7Y2)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4 개의 홈이 각각의 단부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고리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1 쌍의 세로홈 (7X, 7X) 은, 흡수성 코어 (40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좌우 양 측부에 있어서, 배설부 대향부 (11)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전방부 (12) 및 후방부 (13) 각각에도 연장되어 있다. 가로홈 (7Y1) 은 전방부 (12) 에, 가로홈 (7Y2) 은 후방부 (13) 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가로홈 (7Y1, 7Y2) 은, 어느 것이나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 (X)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양 가로홈 (7Y1, 7Y2) 각각의 볼록한 정부(頂部)는, 폭방향 (Y) 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홈 (7)(7X, 7Y1, 7Y2) 은, 열을 수반하거나 또는 수반하지 않는 엠보스, 혹은 초음파 엠보스 등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즉, 냅킨 (1A)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흡수체 (4A) (요철 구조를 갖는 흡수성 코어 (40A)) 의 일면 상에 표면 시트 (2) 를 공급한 후, 엠보스 가공에 의해 소정 부위를 표면 시트 (2) 측으로부터 흡수체 (4A) 측을 향해 오목 형상으로 밀어넣음 (압착함) 으로써, 그 소정 부위에 홈 (7) 을 형성할 수 있다. 홈 (7) 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 (2) 및 흡수체 (4A) 가 열융착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홈 (7) 은,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 정방형, 마름모꼴, 원형, 십자 등의 다수의 깊게 패임부 (상대적으로 깊게 패여 있는 부분. 고엠보스부.) 와 얕게 패임부 (상대적으로 얕게 패여 있는 부분. 저엠보스부.) 가, 교대로 이어져 전체적으로 연속선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다수의 패임부가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간헐적으로란, 패임부의 인접하는 간격이 5 mm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을 말한다.
홈 (7) 은, 적어도, 길이 방향 (X) 또는 폭방향 (Y) 으로 늘어선 2 개의 고평량부 (볼록부) (41, 41) 와 이들 2 개의 고평량부 (41, 41) 에 끼워진 1 개의 저평량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42) 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즉, 홈 (7) 은, 흡수성 코어 (40A)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에 관해서는, 배설액을 직접 받는 부위인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 홈 (7) 의 일부인 1 쌍의 세로홈 (7X, 7X) 각각이, 길이 방향 (X) 으로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41, 41) 및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1 개의 저평량부 (42Y)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 (X) 으로 이어지는 흡수성 코어 (40)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폭방향 (Y) 에 관해서는, 전방부 (12) 에 있어서, 홈 (7) 의 일부인 가로홈 (7Y1) 이, 폭방향 (Y) 에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41, 41) 및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1 개의 저평량부 (42X)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또한, 후방부 (13) 에 있어서, 홈 (7) 의 일부인 가로홈 (7Y2) 이, 동일하게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홈 (7) 과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위치 관계는, 후술하는 본 발명 (제 1 발명) 에 의한 배설액의 흡수·확산 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도록 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고,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홈 (7) (세로홈 (7X)) 이 길이 방향 (X) 으로 이어지는 흡수성 코어 (40A)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은, 배설액의 폭방향 (Y) 으로의 이동에서 기인하는 외부로의 누출 (이른바 옆샘) 의 방지 효과에 관련되는 것으로, 중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홈 (7) 의 요철을 걸치는 배치가 보다 확실하게 얻어지도록 하기 위한 연구로서, 냅킨 (1A) 의 길이 방향 (X) 에 있어서, 저평량부 (42) 를,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 (42X) 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또 홈 (7) 을, 평면에서 보아 만곡부를 가지고 또한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부분 (7X) 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 (7) 의 일부인 1 쌍의 세로홈 (7X, 7X) 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의 냅킨 (1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양 측부 각각에, 냅킨 (1A) 의 폭방향 (Y)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세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A) 의 저평량부 (42X) 를, 흡수성 코어 (40A) 의 길이 방향 (X) 으로 완전하게 일치하는 직선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세로홈 (7X) 을 길이 방향 (X) 과는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만곡부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세로홈 (7X) 의 그 만곡부는,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와 완전하게는 일치하는 일이 없고, 세로홈 (7X) 이, 길이 방향 (X) 으로 이어지는 흡수성 코어 (40A)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저평량부 (42) 를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 (42Y) 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또 홈 (7) 을, 평면에서 보아 만곡부를 가지고 또한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부분 (7Y1, 7Y2) 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 (7) 의 일부인 가로홈 (7Y1, 7Y2) 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 (1A) 의 전방부 (12) 또는 후방부 (13) 에 있어서, 냅킨 (1A) 의 길이 방향 (X)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적어도 가로홈 (7Y1, 7Y2) 각각의 만곡부는, 평면에서 보아,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저평량부 (42Y) 와 완전하게는 일치하는 일이 없고, 가로홈 (7Y1, 7Y2) 이, 폭방향 (Y) 으로 이어지는 흡수성 코어 (40A)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기 쉬워진다.
도 4 ∼ 도 6 에는, 흡수성 코어 (40A) 의 각 부에 있어서의 홈 (7) 의 단면이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홈 (7)(7X, 7Y1, 7Y2) 은,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부 (71) 와 그 저벽부 (71) 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측벽부 (72) 에 의해 획성되어 있다.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 중앙 (Tc) 보다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위치하고 있다. 두께 방향 중앙 (Tc) 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A) 가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요철 구조를 갖는 흡수성 코어 (40A) 의 외관 두께의 중앙이며, 그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과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가장 돌출하고 있는 부위의 중간에 위치한다. 또한, 흡수성 코어 (40A) 가 요철 구조를 가지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중앙 (Tc) 은, 그 흡수성 코어 (40A) 의 실질 두께의 중앙이며, 그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과 비피부 맞닿음면 (4b) 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가 두께 방향 중앙 (Tc) 보다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위치하도록 설계하면, 홈 (7) 의 형성시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 (40A) 의 피부 맞닿음면 (4a) 측으로부터의 압착에 있어서, 1) 고평량부 (41) 에서는, 상기 압착 후에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가 되는 부분 및 측벽부 (72) 가 되는 부분이 각각 압착됨으로써 홈 (7) 의 형상이 안정되고, 2) 저평량부 (42) 에서는, 그 저평량부 (42) 가 상기 압착에 의해 피부 맞닿음면 (4a) 측으로부터 홈 (7) 의 형상에 맞추어 변형됨으로써 그 저평량부 (42) 가 부분적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 후에 얻어진 홈 (7), 즉, 저벽부 (71) 가 두께 방향 중앙 (Tc) 보다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위치하고 있는 홈 (7) 은,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는, 홈 (7) 의 형상이 안정되어 있음으로써, 모관력에 의한 액의 흡인성이 높아지고 있고, 또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는, 홈 (7) 이 신장되어 두께가 얇아져 있음으로써, 액의 확산량이 저하되고 있고, 그것에 의해 홈 (7) (주로 측벽부 (72)) 에 있어서, 고평량부 (41) 로의 액 이동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도록 하는 관점에서,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는, 두께 방향 중앙 (Tc) 으로부터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0.1 mm 이상, 특히 0.2 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를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 중앙 (Tc) 보다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위치시키는 것은, 홈 (7) 을 형성할 때의 압착력 등을 조정함으로써 기본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흡수성 코어 (40A) 의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보다 확실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 (7) 은 흡수성 코어 (40A) 를 표면 시트 (2) 와 함께 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바, 특히 저평량부 (42) 와 같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부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홈 (7) 이 흡수성 코어 (40A)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됨으로써, 고평량부 (41) 에 비해 압착의 정도가 낮게 억제되어 압착 후에 부피가 어느 정도 회복되는 경향이 있다. 또, 고평량부 (41) 에서는, 홈 (7) 의 형성시에 있어서, 압착 후에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가 되는 부분으로부터 측벽부 (72) 가 되는 부분에 걸쳐 압착됨으로써, 홈 (7) 의 형상이 비교적 유지되기 쉬운 상태에 있는 데 대해, 저평량부 (42) 에서는, 홈 (7) 의 형성에 의해 압착되는 부분은 저벽부 (71) 및 그 주변이며, 고평량부 (41) 에 비해 압착되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압착 후에 압착된 부분의 부피가 회복되기 쉽다. 그 때문에, 압착 직후는, 압착에 의해 형성된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가 두께 방향 중앙 (Tc) 보다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시간 경과에 의한 부피의 회복에 의해 저벽부 (71) 가 피부 맞닿음면 (4a) 측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는, 저벽부 (71) 가 두께 방향 중앙 (Tc) 보다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위치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여, 고평량부 (41) 뿐만 아니라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도,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를 두께 방향 중앙 (Tc) 보다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확실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홈 (7) 이 저평량부 (42) 를 횡단하는 거리 (L1) (도 3 참조), 즉, 직선상의 저평량부 (42)(42X, 42Y) 의 폭 (L1) 을 너무 길게 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효하다. 저평량부 (42) 의 폭 (L1) 을 어느 정도 짧게 함으로써, 홈 (7) 의 형성을 위한 압착 후에 있어서의, 저평량부 (42) 의 부피 회복이 억제되어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를 두께 방향 중앙 (Tc) 보다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보다 확실해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저평량부 (42) 의 폭 (L1) 은, 바람직하게는 1 ∼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 mm 이다. 저평량부 (42X) 와 (42Y) 에서, 폭 (L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덧붙여서, 홈 (7) 이, 전술한 바와 같이, 깊게 패임부와 얕게 패임부가 교대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저평량부 (42) 에만 홈 (7) 의 깊게 패임부가 형성되도록 흡수성 코어 (40A) 를 압착하면, 압착된 부분의 부피가 압착 후에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전술한 효과를 얻기 어렵다. 그래서, 전술한 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깊게 패임부의 냅킨 (1A) 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를, 직선상의 저평량부 (42)(42X, 42Y) 의 폭 (L1) 보다 길게 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는, 홈 (7) 의 형성 방향 (선상의 홈 (7) 의 연장되는 방향) 을 저평량부의 형성 방향 (선상의 저평량부의 연장되는 방향) 에 대해 경사시키는 (양 형성 방향간에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방법이 유효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평량부 (41), 저평량부 (42) 그리고 홈 (7) 및 그 근방에,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보다 고밀도로 되고, 또한 홈 (7)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밀도 구배가 존재한다. 즉, 도 3(b) 및 도 4 ∼ 도 6 중, 부호 A ∼ E 로 나타낸 부위의 밀도는, A≤B<<C<<E, 보다 바람직하게는 A<B<<C<D<E 로 되어 있고, 홈 (7) (세로홈 (7X)) 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밀도가 낮고 (부위 (A)), 홈 (7) 에 가까워질수록 밀도가 높아지고 (부위 (B) 및/또는 (C)), 홈 (7) (저벽부 (71)) 에 있어서 밀도가 최대가 된다 (부위 (D) 및 (E)). 또, 홈 (7) (저벽부 (71)) 에 대해서는, 저평량부 (42)(42Y) 에 있어서의 부위 (D) 는,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부위 (E) 에 비해, 약간 밀도가 낮게 되어 있음으로써 홈 (7) 을 따르는 액의 확산성 (옆샘 방지 효과) 이 높아져 있고,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홈 (7) 의 근방인 부위 (C) 에 비하면, 밀도가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홈 (7) 에 가까워질수록 밀도가 높아진다는 밀도 구배는, 주로, 전술한 엠보스 가공에 의한 홈 (7) 의 형성 (흡수성 코어 (40A) 의 압착) 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종래의 누출 방지홈이 형성된 흡수체에 있어서도 존재한다. 밀도 구배에 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부위 (C) 가 부위 (B) 보다 고밀도 (B<<C) 라는 점이며, 홈 (7) 의 근방은,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에서 밀도가 상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홈의 근방」이란, 홈 (7) 을 획성하는 측벽부 (72) (도 4 ∼ 도 6 참조) 및 그 근방을 의미하며, 주로, 홈 (7) (측벽부 (72) 의 외면) 으로부터 홈 (7)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홈 (7) 의 폭방향) 의 외방으로 5 mm 이내의 부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홈 (7) (세로홈 (7X)) 의 근방인 부위 (B 및 C) 는, 홈 (7) 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고평량부 (41) 에 위치하는 부위 (C) 가, 저평량부 (42)(42Y) 에 위치하는 부위 (B) 보다 밀도가 높은 이유는, 흡수성 코어 (40A) 의 압착에 의한 홈 (7) 의 형성 전에 있어서,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보다 흡수성 재료가 많이 존재하여 밀도가 높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코어 (40A)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를 갖도록 흡수성 재료를 퇴적하여 요철 구조를 갖는 퇴적물을 얻고, 그 퇴적물 전체를 가압 롤 등에 의해 균일한 압축력으로 압축함으로써 제조되는 바, 이러한 압축 공정에 있어서는, 볼록부로서의 고평량부 (41) 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로서의 저평량부 (42) 보다 강하게 압축되기 때문에, 고평량부 (41) (부위 (C)) 가 저평량부 (42) (부위 (B)) 보다 고밀도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위 (B) 와 부위 (C) 에는 홈 (7) 의 형성 전부터 밀도차가 존재하고 있고, 또한, 압착에 의해 부위 (B) 및 부위 (C) 에 홈 (7) 을 형성하면, 홈 (7) 을 획성하는 측벽부 (72)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이 밀도차가 반영되고, 그 결과로서 밀도에 관하여 B<<C 가 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A) 은, 홈 (7) 이 형성되는 흡수성 코어로서, 고평량부 (볼록부) (41) 와 저평량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42) 로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갖는 흡수성 코어 (40A) 를 채용한 것에 의해, 종래의 요철이 없는 평탄한 흡수성 코어와 누출 방지홈의 조합을 채용한 흡수성 물품이 갖는 상기 과제 ii) 를 해결할 수 있고,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 에 고밀도인 홈 (7) 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흡수체 (4A) 의 부분적인 경화가 생기기 어려워, 피트성이 우수하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평량부 (42) 가 홈 (7) 보다 냅킨 (1A) 의 외방 (홈 (7) 의 외방 부위) 에 형성되어 있으면, 홈 (7) 에 의한 누출 방지 효과가 한층 높아져, 냅킨 (1) 의 주연부(周緣部) (특히 냅킨 (1A)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 에 부드러운 감촉을 줄 수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A) 의 대략 전체에,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로 둘러싸인 부위가 배치되어 있으면, 냅킨 (1A) 의 장착시에 있어서 장착자에 대한 감촉이 부드러워져, 유연한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냅킨 (1A) 은, 주로 홈 (7) 이 소정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41, 41) 와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1 개의 저평량부 (42)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 (40A)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경혈 등의 배설액을, 그 양의 다소에 상관없이, 재빠르게 흡수·확산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종래의 요철이 없는 평탄한 흡수성 코어와 누출 방지홈의 조합을 채용한 흡수성 물품이 갖는 상기 과제 i) 을 해결할 수 있고, 누출 방지성 (옆샘 방지성) 이 우수하고, 흡수체의 사이즈 다운,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콤팩트화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A) 에 있어서의 배설액의 흡수·확산 작용에 대해, 도 3(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냅킨 (1A) 의 장착자가 배설한 경혈 등의 배설액 (W) 은, 통상적으로,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Y) 의 중앙부에서 받아들여지고, 피부 맞닿음면 (표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 (2a)) 상으로부터 홈 (7) (세로홈 (7X)) 을 향해 폭방향 (Y) 으로 이동하고, 예를 들어 도 3(b) 에 있어서, 부위 (A)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Y) 의 중앙부 근방) 로부터 부위 (B)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의 근방) 를 향해, 냅킨 (1A) 의 각종 구성 부재 (표면 시트 (2), 흡수성 코어 (40A) 등) 를 따라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위 (B) 와 부위 (C) 에는 밀도차가 존재하여 밀도가 B<<C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위 (B) 에 도달한 배설액 (W) 은, 모관력에 의해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홈 (7) 의 근방인 부위 (C) 로 이동하기 쉽고, 부위 (B) 에는 체류하기 어렵다. 이렇게 하여, 배설액 (W) 은, 홈 (7) 의 근방에서 또한 홈 (7)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있어서, 홈 (7) 을 따라 냅킨 (1A) 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설부 대향부 (11) 로부터 길이 방향 (X) 으로 신속하게 확산된다.
부위 (B) 는, 인접하는 고평량부 (41, 41) 간에 위치하는 단순한 간극 (공간) 이 아니고, 흡수성 코어 (40A) 의 일부 (저평량부 (42)) 로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배설액의 유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배설액 (W) 의 양이 많고, 부위 (A) 로부터 부위 (B) 로의 배설액 (W) 의 이동 속도가, 부위 (B) 로부터 부위 (C) 로의 배설액 (W) 의 이동 속도 (길이 방향 (X) 의 확산 속도) 보다 빠른 경우여도, 부위 (B) 에서 일시적으로 배설액을 유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부위 (B) 보다 냅킨 (1A) 의 폭방향 (Y) 의 외방에 위치하는 부위 (D)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에 대량의 배설액이 한 번에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배설액 (W) 이 홈 (7) 을 넘어 냅킨 (1A) 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이동하여 옆샘으로 이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부위 (B) 자체가, 홈 (7) 의 형성시에 있어서의 압착에 의해 비교적 고밀도로 되어 있는 것도, 부위 (B) 로부터 부위 (D) 로의 액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 나아가서는 옆샘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배설액 (W) 은, 홈 (7) 의 근방에서 또한 홈 (7)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있어서 부위 (B) 로부터 부위 (C) 로 이동하는 도중에서, 고평량부 (41) 에 재빠르게 흡수·유지되고, 고평량부 (41) 의 흡수 용량을 넘은 양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위 (C) 보다 폭방향 (Y) 의 외방에 위치하는 부위 (E)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로 이동한다. 부위 (E) 는, 홈 (7) 의 형성시에 있어서 가장 압축된 부위이며, 폭방향 (Y) 에 인접하는 부위 (C) 에 비해 압도적으로 밀도가 높기 때문에, 배설액 (W) 의 부위 (E) 로부터 부위 (C) 로의 이동은 일어나기 어렵고, 따라서, 배설액 (W) 이 홈 (7) 을 넘어 냅킨 (1A) 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일어나기 어렵다. 이것은, 전술한,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부위 (B) 와 부위 (D) 의 관계와 동일하다. 부위 (C) 를 경유하여 부위 (E) 로 이동한 배설액 (W) 은, 홈 (7) 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고 홈 (7) 을 지나, 인접하는 부위 (D)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로 이동하고, 또한,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부위 (E) 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홈 (7) 을 이동하는 배설액 (W) 은, 그 이동 중에 주로 고평량부 (41) 에 흡수·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냅킨 (1A) 에 있어서는,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Y) 의 중앙부에 배설된 배설액은, 세로홈 (7X), 및 세로홈 (7X) 의 근방에서 또한 세로홈 (7X)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위치하는 부위의 양방에 있어서, 냅킨 (1A) 의 전후 방향으로 신속하게 확산되고, 이러한 확산 도중에서 주로 고평량부 (41) 에 신속하게 흡수·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냅킨 (1A) 은, 이와 같은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와 홈 (7) 의 제휴에 의한 배설액의 확산·흡수 작용에 의해, 배설된 배설액을 재빠르게 확산·흡수할 수 있어 옆샘을 일으키기 어렵고,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냅킨 (1A) 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도록 하는 관점에서, 각 부의 치수 등은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 (40A) 의 고평량부 (41) 의 평량 S41 과 저평량부 (42) 의 평량 S42 의 비 (S41/S42) 는,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평량 S41 은, 바람직하게는 10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60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g/㎡ 이하이며, 저평량부 (42) 의 평량 S42 는,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g/㎡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두께 T41 과 저평량부 (42) 의 두께 T42 의 비 (T41/T42) 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두께 T41 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mm 이하이며, 저평량부 (42) 의 두께 T42 는,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면에서 본 크기는, 흡수성 물품의 종류·용도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냅킨 (1A) 과 같은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X) 의 길이 (L2) (도 3(a) 참조) 가,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며, 폭방향 (Y) 의 길이 (L3) (도 3(a) 참조) 가,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그리고, 3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는, 면적 50 c㎡ 당, 바람직하게는 5 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개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70 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개 이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7)(7X, 7Y1, 7Y2) 의 폭 (L5) (도 3(b) 참조) 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mm 이하이다.
홈 (7) 의 깊이 (L6) (도 5 참조) 는,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이다.
또한, 전술한 홈 (7) 의 각 부의 치수는, 육안으로 자 등을 사용하여 측정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예를 들어, KEYENCE 사 제조 디지털 현미경 VHX-1000 을 사용하여 홈 (7) 을 확대 촬영하고, 각 부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조홈 (7) 의 폭 (L5) 은, 조홈 (7) 의 저면에서 측정한 것이다. 또, 상기 조홈 (7) 의 깊이 (L6) 는, 조홈 (7) 의 단면을 디지털 현미경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냅킨 (1A) 에 있어서의 각 부의 형성 재료에 대해 설명하면, 표면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 (2) 로서는, 예를 들어,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의 액 투과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 (3) 로서는, 예를 들어, 투습성을 가지지 않는 수지 필름이나, 미세 구멍을 가지며, 투습성을 갖는 수지 필름, 발수 부직포 등의 부직포, 이들과 다른 시트의 라미네이트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이드 시트 (5) 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수성의 부직포나 수지 필름제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 (40A) 의 형성 재료인 흡수성 재료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섬유 재료로서 목재 펄프, 코튼, 삼 등의 천연 섬유 ;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 ; 아세테이트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흡수성 재료로서 이들의 섬유 재료에 더하여, 추가로 입자상 등의 각종 형상의 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 본 발명 (제 1 발명) 에 관련된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제조 방법에 대해, 전술한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의 제조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 에는, 흡수체 (4A) 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양태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조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흡수체의 제조 장치는,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 (50) 과, 회전 드럼 (50) 의 외주면에 흡수성 코어 (40A) 의 원료인 흡수성 재료 (45) 를 공급하는 덕트 (60) 와, 회전 드럼 (50) 의 경사 하방에 배치되고,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트랜스퍼 롤 (70) 과, 회전 드럼 (5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 (60) 와 트랜스퍼 롤 (70) 의 사이에 배치된 진공 박스 (65) 와, 진공 박스 (65) 와 회전 드럼 (50) 의 사이 및 트랜스퍼 롤 (70) 과 회전 드럼 (50) 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시트상의 통기성 부재인 메시 벨트 (75) 와, 트랜스퍼 롤 (70) 의 하방에 배치된 진공 컨베이어 (80) 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드럼 (50)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며, 모터 등의 원동기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그 외주면을 형성하는 부재가 수평축 둘레를 회전한다. 회전 드럼 (50) 의 내측 (회전축측) 의 비회전 부분에는 내부가 감압 가능한 공간 (56) 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 (56) 에는, 흡기 팬 등의 공지된 배기 장치 (도시 생략) 가 접속되어 있고, 그 배기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공간 (56) 내가 부압으로 유지 가능하다. 한편, 회전 드럼 (50) 의 내측 (회전축측) 의 공간 (57 및 58) 에는, 장치 외의 공기가 수용 가능한 배관 (도시 생략) 이 접속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드럼 (50) 의 외주면에는, 제조하는 흡수성 코어 (40A) 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 (51)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51) 의 저면부 (52) 에는 다수의 세공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51) 가 부압으로 유지된 공간 (56) 상을 통과하고 있는 동안, 오목부 (51) 의 저면부 (52) 의 세공이 흡수성 재료 (45) 의 흡인공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오목부 (51)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 드럼 (50) 의 외주면의 좌우 양 측부는, 금속제의 강체로 이루어지는 회전 드럼 (50) 의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며, 비통기성이다.
오목부 (51) 의 저면부 (52) 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51) 내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 (53) 가 복수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구획 부재 (53) 는 비통기성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오목부 (51) 내는, 복수의 구획 부재 (53) 에 의해, 전술한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의 복수의 고평량부 (41) 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 (54) 으로 구획되어 있다. 각 구획 영역 (54)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고평량부 (41) 의 평면에서 본 형상과 동일 형상 (직사각형 형상) 이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수성 재료가 구획 부재 (53) 의 저면부 (52) 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초과하여 오목부 (51) 내에 퇴적되도록 하기 위해, 구획 부재 (53) 의 저면부 (52) 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오목부 (51) 의 깊이보다 짧아져 있다.
덕트 (6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단측이 부압으로 유지되는 공간 (56) 상에 위치하는 회전 드럼 (50) 의 외주면을 덮고 있고, 도시되지 않은 타단측에는 섬유 재료 도입 장치를 가지고 있다. 섬유 재료 도입 장치는, 예를 들어, 시트상의 목재 펄프를 분쇄하여 해섬 펄프로 하고, 그 해섬 펄프 (섬유 재료) 를 덕트 내에 이송하는 분쇄기를 구비하고 있다. 덕트 (60) 의 도중에 흡수성 폴리머를 도입하는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트랜스퍼 롤 (70) 은, 통기성을 갖는 원통형의 외주부를 가지고 있고, 모터 등의 원동기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그 외주부가 수평축 둘레를 회전한다. 트랜스퍼 롤 (70) 의 내측 (회전축측) 의 비회전 부분에는, 내부가 감압 가능한 공간 (71) 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 (71) 에는, 흡기 팬 등의 공지된 배기 장치 (도시 생략) 가 접속되어 있고, 그 배기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공간 (71) 내가 부압으로 유지 가능하다.
진공 박스 (65) 는, 회전 드럼 (50) 의 회전 방향 R1 에 있어서, 덕트 (60) 의 하류측 단부 (61) 와, 트랜스퍼 롤 (70)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진공 박스 (65) 는, 상하면, 좌우의 양 측면 및 배면을 갖는 상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며, 배면에 대향하는 부위에, 회전 드럼 (50) 방향을 향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진공 박스 (65) 는, 배기관 (61) 을 개재하여 흡기 팬 등의 공지된 배기 장치 (도시 생략) 가 접속되어 있고, 그 배기 장치의 작동에 의해, 진공 박스 (65) 내가 부압으로 유지 가능하다.
메시 벨트 (75) 는, 시트상의 통기성 부재이며, 망목을 갖는 띠형상의 통기성 벨트가 무단상으로 연결된 것이며, 복수의 프리 롤 및 트랜스퍼 롤 (70) 에 안내되어 소정의 경로를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메시 벨트 (75) 는, 트랜스퍼 롤 (70) 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메시 벨트 (75)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60) 의 하류측 단부 (61) 의 근방에 있어서, 회전 드럼 (50) 의 외주면 상에 도입된 후, 진공 박스 (65) 와 회전 드럼 (50) 의 사이 및 트랜스퍼 롤 (70) 과 회전 드럼 (50) 의 사이를 순차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메시 벨트 (75) 는, 진공 박스 (65) 의 상기 개구부의 앞을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는, 회전 드럼 (50) 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고, 트랜스퍼 롤 (70) 과 회전 드럼 (50) 이 가장 접근하고 있는 최접근부 부근에서, 회전 드럼 (50) 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져 트랜스퍼 롤 (70) 상으로 이행한다.
진공 컨베이어 (80) 는, 구동 롤 (81) 및 종동 롤 (82) 에 걸쳐진 무단상의 통기성 벨트 (83) 와 통기성 벨트 (83) 를 사이에 끼고 트랜스퍼 롤 (70) 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진공 박스 (84) 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흡수체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흡수체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흡수체 (4A) 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회전 드럼 (50) 내의 공간 (56), 및 진공 박스 (65) 내를, 각각에 접속된 배기 장치를 작동시켜 부압으로 한다. 공간 (56) 내를 부압으로 함으로써, 덕트 (60) 내에 흡수성 재료 (45) 를 회전 드럼 (50) 의 외주면에 반송하는 공기류가 생긴다. 또, 회전 드럼 (50) 및 트랜스퍼 롤 (70) 을 회전시키고, 또, 진공 컨베이어 (80) 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섬유 재료 도입 장치를 작동시켜, 덕트 (60) 내에 섬유 재료를 공급하고, 나아가서는 흡수성 폴리머를 공급하면, 이들의 흡수성 재료 (45) 는, 덕트 (60) 내를 흐르는 공기류를 타고, 비산 상태가 되어 회전 드럼 (50) 의 외주면을 향하여 공급된다.
덕트 (60) 에 덮인 부분이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회전 드럼 (50) 의 오목부 (51) 에는, 흡수성 재료 (섬유 재료와 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 (45) 가 흡인된다. 흡수성 재료 (45) 는, 오목부 (51) 의 각 구획 영역 (54) 의 저면부 (52) 상에 서서히 퇴적되어 가고, 최종적으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 부재 (53) 의 저면부 (52) 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초과하여 오목부 (51) 내에 퇴적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퇴적물 (46) 에 있어서는, 구획 부재 (53) 상에 흡수성 재료 (45) 가 퇴적되어 이루어지는 부위 (구획 부재 대응부) (46a) 가, 상대적으로 흡수성 재료 (45) 의 퇴적량이 적고, 그 밖의 부위 (구획 영역 대응부) (46b) 가, 상대적으로 흡수성 재료 (45) 의 퇴적량이 많아져 있고, 퇴적물 (46) 전체적으로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회전 드럼 (50) 이 회전하여, 오목부 (51) 가 진공 박스 (65) 의 대향 위치에 오면, 오목부 (51) 내의 퇴적물 (46) 이 진공 박스 (65) 로부터의 흡인에 의해, 메시 벨트 (75) 에 흡착된 상태가 된다. 오목부 (51) 내의 퇴적물 (46) 은, 그 상태에서, 트랜스퍼 롤 (70) 과 회전 드럼 (50) 의 최접근부의 직전까지 반송되고, 그 최접근부 부근에서 트랜스퍼 롤 (70) 측에서의 흡인에 의해, 메시 벨트 (75) 에 흡착된 상태인 채 오목부 (51) 로부터 이형되어, 트랜스퍼 롤 (70) 상으로 이행한다.
이렇게 하여, 메시 벨트 (75) 와 함께 트랜스퍼 롤 (70) 상으로 이행한 퇴적물 (46) 은, 트랜스퍼 롤 (70) 상의 메시 벨트 (75) 에 흡착된 채로, 진공 컨베이어 (80) 와의 수수부(受授部) (트랜스퍼 롤 (70) 의 최하단부) 까지 반송되고, 그 수수부에 있어서, 진공 박스 (84) 에 의한 흡인에 의해 진공 컨베이어 (80) 상으로 이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적물 (46) 이 재치되기 전의 진공 컨베이어 (80) 상에, 티슈 페이퍼나 투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 1 코어랩 시트 (47) 가 도입되고, 그 제 1 코어랩 시트 (47) 상에 퇴적물 (46) 이 이행한다. 그리고, 또한, 퇴적물 (46) 의 상면측에 제 2 코어랩 시트 (48) 가 도입된 후, 양 코어랩 시트 (47, 48) 에 피복된 상태의 퇴적물 (46) 이 소정 간격으로 절단되어, 냅킨 1 개분의 치수로 절단된 흡수체 전구체 (49) 가 얻어진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서는, 양 코어랩 시트 (47, 48)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이렇게 하여 얻어진 흡수체 전구체 (49) 를 가압 수단 (90) 에 의해 압축하고, 흡수체 전구체 (49) 를 구성하는 퇴적물 (46) 의 두께를 적극적으로 감소시켜, 목적으로 하는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를 얻는다. 가압 수단 (90)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평활한 1 쌍의 롤 (91, 92) 을 구비하고, 롤 (91, 92) 간에 도입된 피가압물을 상하면으로부터 가압하여 두께 방향으로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0 에는, 퇴적물 (46) 의 압축 전후의 상태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 의 화살표를 사이에 끼고 좌측의 도면은 압축 전의 퇴적물 (46), 우측의 도면은 압축 후의 퇴적물 (46) (흡수성 코어 (40A)) 을 나타내고, 또, 좌우 양 도면에 있어서, 상단은 퇴적물 (46) (흡수성 코어 (40A)) 의 단면도, 하단은 퇴적물 (46) 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가압 수단 (90) 에 의해 퇴적물 (46) 을 압축하면,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아 두께가 큰 구획 영역 대응부 (46b) (볼록부) 는,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어 두께가 작은 구획 부재 대응부 (46a)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보다 강하게 압축된다. 그 결과, 퇴적물 (46) 에 있어서의 구획 영역 대응부 (46b) 는,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고평량부 (41) 로 되고, 퇴적물 (46) 에 있어서의 구획 부재 대응부 (46a) 는,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저평량부 (42) 가 된다.
전술한 흡수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고평량부 (41) 와 상대적으로 저밀도의 저평량부 (42) 가 길이 방향 (X) 및 폭방향 (Y) 의 양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를 갖는, 흡수성 코어 (40A) 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고평량부 (41) 의 밀도 D41 과 저평량부 (42) 의 밀도 D42 의 비 (D41/D42) 는, 바람직하게는 1.5 ∼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10 이다.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된다.
<밀도의 측정 방법>
고평량부 (41) 의 밀도는, 고평량부 (41) 의 중량을 고평량부 (41) 의 체적 (두께×길이×폭) 으로 나누어 산출했다. 저평량부 (42) 의 밀도는, 저평량부 (42) 의 중량을 저평량부 (42) 의 체적 (두께×길이×폭) 으로 나누어 산출했다.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각각의 체적의 산출에 사용하는 「두께」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했다. 세로 37 mm, 가로 37 mm, 두께 3 mm 의 아크릴 플레이트를, 측정 대상의 흡수성 코어 (40A) 상에 놓고, 그 흡수성 코어 (40A) 의 고평량부 (41) 의 두께에 대해서는, KEYENCE 사 제조 비접촉식 레이저 변위계 (레이저 헤드 LK-G30, 변위계 LK-GD500)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저평량부 (42) 의 두께에 대해서는, KEYENCE 사 제조 현미경 VHX-1000 을 사용하여 그 흡수성 코어 (40A) 의 단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 을 관찰함으로써 측정했다. 또,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각각의 「중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했다. 측정 대상의 흡수성 코어 (40A) 에 FEATHER 사 제조 면도칼 (패더 면도칼 S 편날) 을 바짝 대어,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를 각각 잘라내고, 잘라낸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각각의 중량을 전자 천칭 (A&D 사 제조 전자 천칭 GR-300, 정밀도 : 소수점 이하 4 자리수) 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본 발명 (제 1 발명) 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평량부 (42) 는,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편재되어 있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과는 반대로,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편재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피부 맞닿음면 (4a) 과 비피부 맞닿음면 (4b) 의 대략 중앙부에 편재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성 코어 (40A) 의 단면에서 보아, 저평량부 (42) 가, 흡수성 코어 (40A)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편재되어 있는 경우, 그 비피부 맞닿음면 (4b) 은, 실질적으로 요철이 없고 대략 평탄 (요철이 없고 평탄) 하다.
또, 평면에서 보아 직선상의 저평량부 (42)(42X, 42Y)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A) 전체에 형성 (전방부 (12), 배설부 대향부 (11) 및 후방부 (13) 를 걸치도록 형성) 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의, 적어도 1 쌍의 홈 (7, 7) (세로홈 (7X, 7X)) 및 그 근방 (홈 주변 영역) 에 끼워진 영역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내방부) 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저평량부 (42)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직선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곡선상이어도 된다.
또, 흡수성 코어 (40A) 에 있어서, 고평량부 (41) 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다수의 고평량부 (41) 를 길이 방향 (X) 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고평량부 열을 형성하고, 그 고평량부 열을 폭방향 (Y) 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하는 고평량부 열에 있어서의 고평량부 (41) 의 피치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평량부 (41) 는, 소정의 고평량부 열에 있어서의 고평량부 (41) 를, 그 고평량부 열과 직교하는 방향 (폭방향 (Y)) 으로 투영했을 때에, 인접하는 고평량부 (41) 의 투영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령,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홈 (7) (가로홈 (7Y1) 및 (7Y2)) 이, 상기 실시형태 (도 3 참조) 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냅킨 (1A) 의 길이 방향 (X)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예를 들어, 가로홈 (7Y1, 7Y2) 이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그 가로홈 (7Y1, 7Y2) 과 저평량부 (42) 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홈 (7) 을, 냅킨 (1A) 의 길이 방향 (X) 또는 폭방향 (Y) 으로 늘어선 2 개의 고평량부 (41, 41) 와 2 개의 그 고평량부 (41, 41) 에 끼워진 1 개의 저평량부 (42) 에 이어져 형성하는 방법, 바꾸어 말하면, 홈 (7) 과 흡수성 코어 (40A) 의 저평량부 (42) 를 완전하게는 일치시키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홈 (7) 을 평면에서 보아 냅킨 (1A)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저평량부 (42) 를 평면에서 보아 직선상으로 형성하는 방법 외에, a)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고평량부 (41) 의 둘레에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저평량부 (42) 를 배치하는 방법, b) 저평량부 (42) 와 조합되는 고평량부 (41) 로서, 평면에서 본 형상이 5 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의 고평량부 (41) 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c) 홈 (7) 의 형성 방향 (선상의 홈 (7) 의 연장되는 방향) 과 저평량부의 형성 방향 (선상의 저평량부의 연장되는 방향) 이 이루는 각도를 30 ∼ 60 °로 설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 (제 1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의 적용예의 하나로서 생리용 냅킨을 들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패드, 팬티 라이너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제 2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인 생리용 냅킨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B) 은,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2),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3), 및 양 시트 (2, 3) 간에 개재된 흡수체 (4B) 를 가지고 있고, 세로로 (일방향으로 긴 형상) 길다. 냅킨 (1B) 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시에 장착자의 배설부 (질구) 에 대향 배치되는 배설부 대향부 (11) 와, 장착시에 배설부 대향부 (11) 보다 장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전방부 (12) 와, 장착시에 배설부 대향부 (11) 보다 장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후방부 (13) 를 길이 방향 (X) 으로 가지고 있다. 배설부 대향부 (11) 는 후술하는 좌우에 1 쌍의 윙부 (6, 6) 를 갖는 부분이다. 1 쌍의 윙부 (6, 6) 는, 냅킨 (1B) 을 쇼츠 등의 속옷에 고정시킬 때에, 속옷의 가랑이부 (크로치부) 에 감겨져 사용되는 부위이다. 또한, 본 발명 (제 2 발명) 의 흡수성 물품 (생리용 냅킨) 이 윙부를 가지지 않은 경우, 그 생리용 냅킨의 배설부 대향부는, 제품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가 25 cm 이하의 이른바 단시간 낮용의 냅킨에서는, 그 냅킨을 길이 방향으로 3 등분하여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로 한 경우의 중앙부 (앞에서 2 번째의 영역) 이며, 제품 길이 방향 전체 길이가 25 cm 를 초과하는 이른바 장시간 낮용 및 밤용의 냅킨에서는, 이들의 냅킨을 길이 방향으로 4 등분한 경우의 앞에서 2 번째의 영역 (뒤에서 3 번째의 영역)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구성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장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면이며, 비피부 맞닿음면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피부측과는 반대측 (의류측) 으로 향해지는 면이다. 또, 길이 방향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구성 부재의 장변을 따르는 방향이며, 폭방향은,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면 중, 부호 X 로 나타내는 방향은, 흡수성 물품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길이 방향이며, 부호 Y 로 나타내는 방향은, 흡수성 물품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폭방향이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 는, 흡수체 (4B) 의 피부 맞닿음면 (4a) 의 전체 영역을 피복하고, 또한 흡수체 (4B)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 이면 시트 (3) 는, 흡수체 (4B) 의 비피부 맞닿음면 (4b) 의 전체 영역을 피복하고, 또한 흡수체 (4B) 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표면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는, 흡수체 (4B) 의 길이 방향 (X) 의 전단 및 후단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 (X) 의 외방으로도 연장되어 있고, 그들의 연장부에 있어서, 접착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냅킨 (1B)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좌우 양 측부에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사이드 시트 (5, 5) 가 냅킨 (1B)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 (5) 는, 그 폭방향 (Y) 의 내방측의 측부가,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표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 (2a) 에 접합되어 있고, 외방측의 측부가, 흡수체 (4B)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측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부가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이면 시트 (3) 에 있어서의, 흡수체 (4B) 의 측가장자리로부터의 연장부에 접합되어 있다. 이면 시트 (3) 및 사이드 시트 (5) 는,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 흡수체 (4B) 의 측가장자리로부터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의 연장 길이가 최대로 되어 있고, 그들의 최대 연장부에 의해 1 쌍의 윙부 (6, 6) 가 형성되어 있다.
냅킨 (1B) 의 비피부 맞닿음면 (이면 시트 (3) 의 비피부 맞닿음면 (3b)) 은, 장착시에 쇼츠의 크로치부 등 의류측으로 향해진다. 비피부 맞닿음면 (3b) 에는, 냅킨 (1B) 을 쇼츠 등의 속옷의 크로치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또, 1 쌍의 윙부 (6, 6) 의 비피부 맞닿음면 (이면 시트 (3) 의 비피부 맞닿음면 (3b)) 에는, 쇼츠의 외면 (비피부 맞닿음면) 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착부는, 핫멜트 점착제를 소정 지점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냅킨 (1B) 의 사용 전에 있어서는 필름, 부직포,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되지 않은 박리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흡수체 (4B) 는, 흡수성 재료 (펄프 등의 섬유 재료, 흡수성 폴리머 등) 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 (40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 (4B) 는, 흡수성 코어 (40B) 를, 티슈 페이퍼나 투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랩 시트 (도시 생략) 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 (40B) 는, 후술하는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모두, 펄프 등의 섬유 재료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그 섬유 재료 및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후자의 경우, 섬유 재료 사이에 흡수성 폴리머가 균일하게 혼합된 형태여도 되고, 혹은 섬유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섬유층과 흡수성 폴리머를 주체로 하는 폴리머층을 포함하여, 상하 2 층의 그 섬유층의 사이에 그 폴리머층이 끼워진 형태여도 된다. 표면 시트 (2) 와 흡수체 (4B) 의 사이, 흡수체 (4B) 와 이면 시트 (3) 의 사이는, 도트, 스파이럴, 스트라이프 등의 패턴 도공된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등) 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체 (4B) 는, 상대적으로 평량이 높은 고평량부 (41) 와, 그 고평량부 (41) 에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평량이 낮은 저평량부 (42) 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B) 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 (40B) 가,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 (41) 와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 (42)(42X, 42Y) 가 소정 방향 (길이 방향 (X) 및 폭방향 (Y) 각각) 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B) 의 외관 두께는 균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코어 (40B) 에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선상 (연속 직선상) 의 저평량부 (42X) 와 폭방향 (Y) 을 따라 연장되는 선상 (연속 직선상) 의 저평량부 (42Y) 가 각각 복수 형성되고, 저평량부 (42) 전체적으로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42Y) 로 구획된 부위 (격자의 눈의 위치) 가 고평량부 (41) 로 되어 있다. 복수의 선상의 저평량부 (42X) 는, 각각 흡수성 코어 (40B)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선상의 저평량부 (42Y) 는, 각각 흡수성 코어 (40B) 의 폭방향 (Y)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고평량부 (41) 는, 각각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저평량부 (42)(42X, 42Y) 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 (1B) (흡수성 코어 (40B)) 의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편재되어 있다. 그리고, 저평량부 (42) 가 이와 같이 두께 방향 (T) 의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편재되어 있음으로써, 고평량부 (41) 는, 피부 맞닿음면 (4a) 과는 반대측, 즉, 두께 방향 (T) 의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 (40B) 에 있어서는, 피부 맞닿음면 (4a) (표면 시트 (2) 와의 대향면) 은, 후술하는 홈 (7) 의 형성 부위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요철이 없고 대략 평탄한 것에 대해, 비피부 맞닿음면 (4b) (이면 시트 (3) 와의 대향면) 은, 돌출 형성된 고평량부 (41) (볼록부) 와 고평량부 (41, 41) 간에 위치하는 저평량부 (42)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에 의한 요철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코어 (40B) (상기 요철 구조) 는, 그 외관이, 얇은 판형상으로 성형된 흡수성 재료의 일면측에,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의 흡수부가 서로 이간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 (복수의 흡수부를 시트에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흡수체) 와 유사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코어 (40B)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요철 구조를 갖도록 흡수성 재료를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가, 접착제나 열융착 등의 접합 수단을 개재하지 않고 일체화되어 있고, 동일한 재료에 의한 경계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의 경계) 를 가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는, 복수의 상기 흡수부를 그 흡수부와는 별체의 상기 시트에 고정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흡수부와 상기 시트가 접합 수단을 통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흡수부와 상기 시트의 경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이 점에서 양자는 상이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의 차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는, 액이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 데 대해,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부와 상기 시트는, 양자간 (경계) 에 접합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계 부분에서의 액 확산이 일어나기 쉽고, 액이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냅킨 (1B) 은, 도 12 ∼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 및 흡수체 (4B) (흡수성 코어 (40B)) 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홈 (7) 을 가지고 있다. 홈 (7) 은, 후술하는 저벽부 (71) 와 측벽부 (72) 에 의해 획성된, 공간 (냅킨 (1B) 의 형성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 이다. 홈 (7) 은,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세로홈 (7X, 7X) 과, 폭방향 (Y)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2 개의 가로홈 (7Y1, 7Y2)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4 개의 홈이 각각의 단부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고리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1 쌍의 세로홈 (7X, 7X) 은, 흡수성 코어 (40B)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좌우 양 측부에 있어서, 배설부 대향부 (11)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전방부 (12) 및 후방부 (13) 각각으로도 연장되어 있다. 가로홈 (7Y1) 은 전방부 (12) 에, 가로홈 (7Y2) 은 후방부 (13) 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가로홈 (7Y1, 7Y2) 은 어느 것이나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 (X)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양 가로홈 (7Y1, 7Y2) 각각의 볼록한 정부는, 폭방향 (Y) 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홈 (7)(7X, 7Y1, 7Y2) 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얕게 함몰되어 있는 얕은 홈부 (73) 와, 상대적으로 깊게 함몰되어 있는 깊은 홈부 (74)를 가지고 있다. 홈 (7) 은, 얕은 홈부 (73) 와 깊은 홈부 (74) 가 홈 (7) 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늘어섬으로써, 전체적으로 연속선을 형성하고 있다. 홈 (7) 은, 엠보스 가공에 의해 흡수성 코어 (40B) 를 표면 시트 (2) 와 함께 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바, 얕은 홈부 (73) 는, 그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약하게 압착되어 저부 깊이 (저벽부 (71) 의 피부 맞닿음면 (2a) 으로부터의 깊이) 가 얕은 부위이며, 깊은 홈부 (74) 는, 그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압착되어 그 저부 깊이가 깊은 부위이다. 얕은 홈부 (73) 및 깊은 홈부 (74)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각각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장방형, 정방형, 마름모꼴, 원형, 십자 등으로 할 수 있다.
홈 (7)(7X, 7Y1, 7Y2) 은, 열을 수반하거나 또는 수반하지 않는 엠보스, 혹은 초음파 엠보스 등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즉, 냅킨 (1B)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흡수체 (4B) (요철 구조를 갖는 흡수성 코어 (40B)) 의 일면 상에 표면 시트 (2) 를 공급한 후, 엠보스 가공에 의해 소정 부위를 표면 시트 (2) 측으로부터 흡수체 (4B) 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밀어넣음 (압착함) 으로써, 그 소정 부위에 홈 (7) 을 형성할 수 있다. 홈 (7) 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 (2) 및 흡수체 (4B) 가 열융착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홈 (7) 은, 고평량부 (볼록부) (41) 와 저평량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42) 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홈 (7) 은, 소정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볼록부) (41, 41) 와 양 고평량부 (41, 41) 에 끼워진 1 개의 저평량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42)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에 관해서는, 배설액을 직접 받는 부위인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 홈 (7) 의 일부인 1 쌍의 세로홈 (7X, 7X) 각각이, 길이 방향 (X) 에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41, 41) 및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1 개의 저평량부 (42Y)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 (X) 으로 이어지는 흡수성 코어 (40B)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폭방향 (Y) 에 관해서는, 전방부 (12) 에 있어서, 홈 (7) 의 일부인 가로홈 (7Y1) 이, 폭방향 (Y) 에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41, 41) 및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1 개의 저평량부 (42X)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또한, 후방부 (13) 에 있어서, 홈 (7) 의 일부인 가로홈 (7Y2) 이 동일하게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홈 (7) 과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위치 관계는, 후술하는 본 발명 (제 2 발명) 에 의한 배설액의 흡수·확산 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도록 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고,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홈 (7) (세로홈 (7X)) 이 길이 방향 (X) 으로 고평량부 (볼록부) (41) 와 저평량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42) 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은, 배설액의 폭방향 (Y) 으로의 이동에서 기인하는 외부로의 누출 (이른바 옆샘) 의 방지 효과와 관계되는 것으로, 중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세로홈 (7X) 의 요철을 걸치는 배치가 보다 확실하게 얻어지도록 하기 위한 연구로서, 「냅킨 (1B) 이 그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선상 (연속 직선상) 의 저평량부 (42X) 를 포함하고 있고,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세로홈 (7X) 이, 그 선상의 저평량부 (42X) 와는 길이 방향이 상이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라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평량부 (42X) 를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으로 형성하고, 또, 세로홈 (7X) 을, 평면에서 보아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의 냅킨 (1B)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양 측부 각각에, 냅킨 (1B) 의 폭방향 (Y)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세로로 긴 형상 (만곡부) 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와는 길이 방향이 상이한 부분으로서, 그 만곡부로 이루어지는 곡선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B) 의 저평량부 (42X) 를, 흡수성 코어 (40B) 의 길이 방향 (X) 으로 완전하게 일치하는 직선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세로홈 (7X) 을, 길이 방향 (X) 과는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만곡부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세로홈 (7X) 의 그 만곡부는,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와 완전하게 일치하는 일이 없고, 세로홈 (7X) 이, 길이 방향 (X) 으로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를 걸치도록 형성되기 쉬워진다.
도 15 ∼ 도 17 에는, 흡수성 코어 (40B) 의 각 부에 있어서의 홈 (7) 의 단면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홈 (7)(7X, 7Y1, 7Y2) 은, 도 15 ∼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부 (71) 와 그 저벽부 (71) 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측벽부 (72) 에 의해 획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 ∼ 도 17 에서는, 설명 용이의 관점에서, 얕은 홈부 (73) 및 깊은 홈부 (74) 의 도시를 생략하고, 저벽부 (71) 를, 홈 (7)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차가 없는 대략 평탄부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얕은 홈부 (73) 와 깊은 홈부 (74) 에서 그 저벽부의 흡수성 코어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상이하고, 얕은 홈부 (73) 의 저벽부 (71) 는 상대적으로 표면 시트 (2) 로부터 가깝고, 깊은 홈부 (74) 의 저벽부 (71) 는 상대적으로 표면 시트 (2) 로부터 멀고, 따라서 실제의 저벽부 (71) 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얕은 홈부 (73) 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깊은 홈부 (74) 에 대응한 단차가 생기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에 비해 고밀도로 되어 있고, 고평량부 (41), 저평량부 (42) 그리고 홈 (7) 및 그 근방에, 밀도 구배가 존재한다. 즉, 도 14(b) 및 도 15 ∼ 도 17 중, 부호 A ∼ E 로 나타낸 부위의 밀도는, A≤B<<C<<E, 보다 바람직하게는 A<B<<C<D<E 로 되어 있고, 홈 (7) (세로홈 (7X)) 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밀도가 낮고 (부위 (A)), 홈 (7) 에 가까워질수록 밀도가 높아지고 (부위 (B) 및/또는 (C)), 홈 (7) (저벽부 (71)) 에 있어서 밀도가 최대가 된다 (부위 (D) 및 (E)). 또, 홈 (7) (저벽부 (71)) 에 대해서는, 저평량부 (42) (42Y) 에 있어서의 부위 (D) 는,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부위 (E) 에 비해, 약간 밀도가 낮게 되어 있음으로써 홈 (7) 을 따르는 액의 확산성 (옆샘 방지 효과) 이 높아져 있고,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홈 (7) 의 근방인 부위 (C) 에 비하면, 밀도가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홈 (7) 에 가까워질수록 밀도가 높아진다는 밀도 구배는, 주로 전술한 엠보스 가공에 의한 홈 (7) 의 형성 (흡수성 코어 (40B) 의 압착) 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종래의 누출 방지홈이 형성된 흡수체에 있어서도 존재한다. 밀도 구배에 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B<<C, 즉, 흡수성 코어 (40B) 전체에 있어서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에 비해 고밀도라는 점이며, 홈 (7) 의 근방에 있어서도 이 관계가 성립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홈의 근방」이란, 홈 (7) 을 획성하는 측벽부 (72) (도 15 ∼ 도 17 참조) 및 그 근방을 의미하고, 주로 홈 (7) (측벽부 (72) 의 외면) 으로부터 홈 (7)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홈 (7) 의 폭방향) 의 외방으로 5 mm 이내의 부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홈 (7) (세로홈 (7X)) 의 근방인 부위 (B) 및 (C) 는, 홈 (7) 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고평량부 (41) 에 위치하는 부위 (C) 가, 저평량부 (42)(42Y) 에 위치하는 부위 (B) 보다 밀도가 높은 이유는, 흡수성 코어 (40B) 의 압착에 의한 홈 (7) 의 형성 전에 있어서,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보다 흡수성 재료가 많이 존재하여 밀도가 높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코어 (40B)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를 갖도록 흡수성 재료를 퇴적하여 요철 구조를 갖는 퇴적물을 얻고, 그 퇴적물 전체를 가압 롤 등에 의해 균일한 압축력으로 압축함으로써 제조되는 바, 이러한 압축 공정에 있어서는, 볼록부로서의 고평량부 (41) 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로서의 저평량부 (42) 보다 강하게 압축되기 때문에, 고평량부 (41) (부위 (C)) 가 저평량부 (42) (부위 (B)) 에 비해 고밀도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위 (B) 와 부위 (C) 에는 홈 (7) 의 형성 전부터 밀도차가 존재하고 있고, 또한 압착에 의해 부위 (B) 및 부위 (C) 에 홈 (7) 을 형성하면, 홈 (7) 을 획성하는 측벽부 (72)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이 밀도차가 반영되고, 그 결과로서 밀도에 관하여 B<<C 가 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7) (세로홈 (7X)) 을 획성하는 측벽부 (72) (부위 (B), 「홈의 근방」) 는, 측벽부 (72) 보다 홈 (7) (세로홈 (7X)) 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있는 부위 (A) (「홈의 근방」보다 그 홈으로부터 이간된 부위) 에 비해 저평량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으로부터의 거리에서 기인한 평량차는, 엠보스 가공에 의한 홈 (7) 의 형성 (흡수성 코어 (40B) 의 압착) 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즉, 엠보스 가공에 의해 홈 (7) 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저평량부 (42) 는, 최종적으로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가 되는 부위 (부위 (D)) 를 밀어넣기 중심으로 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밀어넣어지는 바, 이 저평량부 (42) 의 밀어넣기에 의해, 그 밀어넣기 중심의 근방 (부위 (B)) 은 선택적으로 연신되어 평량이 저감되는데 대해, 그 밀어넣기 중심으로부터 보다 먼 부위 (부위 (A)) 는 실질적으로 연신되지 않고 (평량은 변화되지 않는다), 그 결과, 그 밀어넣기 중심의 근방 (부위 (B)) 은, 부위 (A) 에 비해 저평량의 측벽부 (72) 가 된다. 이와 같이,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 홈 (7) 을 획성하는 측벽부 (72) 가 홈 (7) 으로부터 보다 멀어진 부위보다 저평량으로 되어 있으면, 측벽부 (72) 에 의한 배설액의 수송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설액이 홈 (7) 을 넘어 냅킨 (1B) 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이러한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도록 하는 관점에서,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측벽부 (72)〔홈 (7) 의 근방 (측벽부 (72) 의 외면으로부터 홈 (7) 의 폭방향으로 5 mm 이내의 부위)〕의 평량을 W1,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측벽부 (72) 보다 홈 (7) 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있는 부위 (측벽부 (72) 의 외면으로부터 홈 (7) 의 폭방향으로 5 mm 이상 떨어진 부위) 의 평량을 W2 로 한 경우, 양 평량의 비 (W1/W2) 는, 바람직하게는 1.1 ∼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3.0 이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B) 은, 이와 같이, 흡수체 (4B) (흡수성 코어 (40B)) 가 고평량부 (41) 와 이것에 인접하여 저평량부 (42) 를 가지고 또한 홈 (7) 이 이들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에 걸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하에 설명하는 배설액의 흡수·확산 작용이 기능하고, 그것에 의해 경혈 등의 배설액을, 그 양의 다소에 상관없이 재빠르게 흡수·확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B) 에 있어서의 배설액의 흡수·확산 작용에 대해, 도 14(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냅킨 (1B) 의 장착자가 배설한 경혈 등의 배설액 (W) 은, 통상적으로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Y) 의 중앙부에서 받아들여져, 피부 맞닿음면 (표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 (2a)) 상으로부터 홈 (7) (세로홈 (7X)) 을 향해 폭방향 (Y) 으로 이동하고, 예를 들어 도 14(b) 에 있어서, 부위 (A)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Y) 의 중앙부 근방) 로부터 부위 (B)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의 근방) 를 향해, 냅킨 (1B) 의 각종 구성 부재 (표면 시트 (2), 흡수성 코어 (40B)등) 를 따라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위 (B) 와 부위 (C) 에는 밀도차가 존재하여 밀도가 B<C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위 (B) 에 도달한 배설액 (W) 은, 모관력에 의해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홈 (7) 의 근방인 부위 (C) 로 이동하기 쉽고, 부위 (B) 에는 체류하기 어렵다. 이렇게 하여, 배설액 (W) 은, 홈 (7) 의 근방에서 또한 홈 (7)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있어서, 홈 (7) 을 따라 냅킨 (1B) 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설부 대향부 (11) 로부터 길이 방향 (X) 으로 신속하게 확산된다.
부위 (B) 는, 인접하는 고평량부 (41, 41) 간에 위치하는 단순한 간극 (공간) 이 아니고, 흡수성 코어 (40B) 의 일부 (저평량부 (42)) 로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배설액의 유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배설액 (W) 의 양이 많고, 부위 (A) 로부터 부위 (B) 로의 배설액 (W) 의 이동 속도가, 부위 (B) 로부터 부위 (C) 로의 배설액 (W) 의 이동 속도 (길이 방향 (X) 의 확산 속도) 보다 빠른 경우여도, 부위 (B) 에서 일시적으로 배설액을 유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부위 (B) 보다 냅킨 (1B) 의 폭방향 (Y) 의 외방에 위치하는 부위 (D)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에 대량의 배설액이 한 번에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배설액 (W) 이 홈 (7) 을 넘어 냅킨 (1B) 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이동하여 옆샘으로 이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위 (B) 는, 부위 (A) 에 비해 저평량으로 되어 있고, 그 저평량에서 기인하여 배설액의 수송량이 저하되고 있는 바, 이 부위 (B) 의 배설액 수송능의 저하도, 부위 (B) 로부터 부위 (D) 로의 액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 나아가서는 옆샘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배설액 (W) 은, 홈 (7) 의 근방에서 또한 홈 (7)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있어서 부위 (B) 로부터 부위 (C) 로 이동하는 도중에서, 고평량부 (41) 에 재빠르게 흡수·유지되고, 고평량부 (41) 의 흡수 용량을 넘은 양이,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위 (C) 보다 폭방향 (Y) 의 외방에 위치하는 부위 (E)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로 이동한다. 부위 (E) 는, 홈 (7) 의 형성시 (압착시) 에 있어서 가장 압축된 부위이며, 폭방향 (Y) 에 인접하는 부위 (C) 에 비해 압도적으로 밀도가 높기 때문에, 배설액 (W) 의 부위 (E) 로부터 부위 (C) 로의 이동은 일어나기 어렵고, 따라서, 배설액 (W) 이 홈 (7) 을 넘어 냅킨 (1B) 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일어나기 어렵다. 이것은, 전술한,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부위 (B) 와 부위 (D) 의 관계와 동일하다. 부위 (C) 를 경유하여 부위 (E) 로 이동한 배설액 (W) 은, 홈 (7) 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고 홈 (7) 을 지나, 인접하는 부위 (D)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로 이동하고, 또한,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부위 (E) 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홈 (7) 을 이동하는 배설액 (W) 은, 그 이동 중에 주로 고평량부 (41) 에 흡수·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냅킨 (1B) 에 있어서는,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Y) 의 중앙부에 배설된 배설액은, 세로홈 (7X), 및 세로홈 (7X) 의 근방에서 또한 세로홈 (7X)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위치하는 부위의 양방에 있어서, 냅킨 (1B) 의 전후 방향으로 신속하게 확산되고, 이러한 확산의 도중에서 주로 고평량부 (41) 에 신속하게 흡수·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냅킨 (1B) 은, 이와 같은 흡수체 (4B) (흡수성 코어 (40B)) 와 홈 (7) 의 제휴에 의한 배설액의 확산·흡수 작용에 의해, 배설된 배설액을 재빠르게 확산·흡수할 수 있어 옆샘을 일으키기 어렵고,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냅킨 (1B)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흡수체 (4B) 와 홈 (7) 의 제휴에 의한 배설액의 확산·흡수 작용의 발현을 전제로 하여, 홈 (7) 의 구성을 연구하여 그 유연성을 높이고, 그것에 의해 냅킨 (1B) 의 장착자의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고 있다. 이 홈 (7) 의 구성 상의 연구란, 얕은 홈부 (73) 가, 깊은 홈부 (74) 에 비해,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다는 구성이다. 즉,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세로홈 (7X) 을 예로 들면, 도 1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얕은 홈부 (73) 의, 세로홈 (7X) 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 (L8) 는, 깊은 홈부 (74) 의 그 길이 방향 (X) 의 길이 (L9) 보다 길어져 있다. 이 얕은 홈부 (73) 와 깊은 홈부 (74) 의 길이의 관계는, 가로홈 (7Y)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얕은 홈부 (73) 는, 홈 (7) 의 형성시에 있어서의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약하게 압착된 저밀도부이며, 깊은 홈부 (74) 는, 그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압착된 고밀도부인 바, 고밀도인 깊은 홈부 (74) 의 길이 (L9) 가 저밀도인 얕은 홈부 (73) 의 길이 (L8) 보다 길어져, 홈 (7) 에 있어서의 깊은 홈부 (74) 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면 (즉 얕은 홈부 (73) 가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된다), 홈 형성에서 기인하는 홈 (7) 이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영향에 더하여 홈 (7) 전체적으로 단단해지기 때문에, 냅킨 (1B) 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냅킨 (1B) 이 장착자의 신체에 조화되기 어려워 피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깊은 홈부 (74) 는, 홈 (7) 의 구조 안정과, 배설액이 홈 (7) 을 초과하여 냅킨 (1B) 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이동하는 것 (옆샘) 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완수하는 부위이며, 홈 (7) 에 있어서의 깊은 홈부 (74) 가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되면 (즉 얕은 홈부 (73) 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된다), 홈 (7) 에 의한 옆샘 방지성이 저감될 우려가 있다.
도 18(b) 및 도 18(c) 는, 이와 같은 홈에 있어서의 유연성 (피트성) 과 옆샘 방지성의 이율 배반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b) 및 도 1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평량부 및 저평량부를 갖지않고 평량이 균일한 흡수성 코어 (40B') 에, 얕은 홈부 (73) 및 깊은 홈부 (74) 를 갖는 홈 (7) (세로홈 (7X)) 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도 1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얕은 홈부 (73) 와 깊은 홈부 (74) 에서 홈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면 (L8 = L9 로 한다), 세로홈 (7X) 이 단단해져 유연성 (피트성) 의 점에서 불리해지는 한편, 옆샘 방지성에 대해서는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배설액 (W) 은, 세로홈 (7X) 을 초과하여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세로홈 (7X)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있어서 세로홈 (7X) 을 따라 이동하기 쉬워진다. 또, 도 1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8 > L9 로 하면, 저밀도인 얕은 홈부 (73) 의 세로홈 (7X) 에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세로홈 (7X) 의 유연성 (피트성) 에 대해서는 도 18(b) 에 나타내는 형태보다 개선되지만, 옆샘 방지성에 대해서는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도 18(c) 중 부호 W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액이 세로홈 (7X) 을 초과하여 냅킨 (1B) 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이동할 우려가 높아진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 (7) 이 형성되는 흡수체 (흡수성 코어) 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평량부 (41) 와 이것에 인접하는 저평량부 (42) 를 가지며, 얕은 홈부 (73) 와 깊은 홈부 (74) 의 길이의 대소 관계에 상관없이, 배설액에 대해 우수한 확산·흡수 작용을 나타내는 흡수체 (4B) (흡수성 코어 (40B)) 를 채용하고, 또한 전술한 홈 (7) 주변의 구조 유래의 액 이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홈 (7) 의 유연성 (피트성) 의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대소 관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얕은 홈부 (73) 가 깊은 홈부 (74) 에 비해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다」라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냅킨 (1B) 의 유연성 (피트성) 이 높아지고 있다. 얕은 홈부 (73) 의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 (L8) (도 18(a) 참조) 와 깊은 홈부 (74) 의 그 길이 방향의 길이 (L9) (도 18(a) 참조) 의 비 (L8/L9) 는, 바람직하게는 1.2 ∼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4.0 이다. 또, 얕은 홈부 (73) 의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 (L8) 는, 바람직하게는 1.2 ∼ 18.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4.0 mm 이다.
전술한 냅킨 (1B) 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도록 하는 관점에서, 각 부의 치수 등은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 (40B) 의 고평량부 (41) 의 평량 S41 과 저평량부 (42) 의 평량 S42 의 비 (S41/S42) 는,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평량 S41 은, 바람직하게는 10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60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g/㎡ 이하이며, 저평량부 (42) 의 평량 S42 는,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g/㎡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두께 T41 과 저평량부 (42) 의 두께 T42 의 비 (T41/T42) 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두께 T41 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mm 이하이며, 저평량부 (42) 의 두께 T42 는,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다.
저평량부 (42) 의 폭 (L1) (도 14(a) 참조) 은,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이다. 저평량부 (42X) 와 (42Y) 에서, 폭 (L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고평량부 (41) 의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면에서 본 크기는, 흡수성 물품의 종류·용도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냅킨 (1B) 과 같은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X) 의 길이 (L2) (도 14(a) 참조) 가,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며, 폭방향 (Y) 의 길이 (L3) (도 14(a) 참조) 가,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는, 면적 50 c㎡ 당, 바람직하게는 5 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개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70 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개 이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7)(7X, 7Y1, 7Y2) 의 폭 (L5) (도 14(b) 참조) 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mm 이하이다.
홈 (7) 의 깊이 (L6) (도 16 참조) 는,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다. 또한, 깊이 (L6) 는, 홈 (7) 에 있어서 가장 깊이가 깊은 부위인, 깊은 홈부 (74) 의 깊이를 의미한다. 얕은 홈부 (73) 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이다.
또한, 전술한 홈 (7) 의 각 부의 치수는, 육안으로 자 등을 사용하여 측정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예를 들어, KEYENCE 사 제조 디지털 현미경 VHX-1000 을 사용하여 홈 (7) 을 확대 촬영하고, 각 부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홈 (7) 의 폭 (L5) 은, 홈 (7) 의 저면에서 측정한 것이다. 또, 상기 홈 (7) 의 깊이 (L6) 는, 홈 (7) 의 단면을 디지털 현미경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얕은 홈부 (73) 는, 고평량부 (41) 에 비해 냅킨 (1B) 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세로홈 (7X) 을 예로 들면, 그 얕은 홈부 (73) 의 길이 (L8) (도 18(a) 참조) 가, 고평량부 (41) 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 (L2) (도 14(a) 참조)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로홈 (7X) 에 있어서의 깊은 홈부 (74) 가, 고평량부 (41) 에 반드시 형성되게 되고, 그것에 의해, 홈 구조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높은 액 체류 성능이 발휘된다. 얕은 홈부 (73) 의 길이 (L8) 와 고평량부 (41) 의 길이 방향 (X) 의 길이 (L2) 의 비 (L8/L2) 는, 바람직하게는 0.06 ∼ 0.9,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 ∼ 0.2 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 (40B) (흡수체 (4B)) 의 비피부 맞닿음면 (4b) 에 있어서의, 홈 (7) 에 대응하는 부위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를 형성하는 부위) 는, 저평량부 (42) 가 고평량부 (41) 보다 표면 시트 (2) 에 가까운 (이면 시트 (3) 로부터 먼)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세로홈 (7X) 을 예로 들면,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세로홈 (7X) 에 대응하는 부위 (세로홈 (7X)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를 형성하는 부위) 의 비피부 맞닿음면과 이면 시트 (3) 의 이간 거리를 L42,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그 비피부 맞닿음면과 이면 시트 (3) 의 이간 거리를 L41 로 한 경우, L42 > L41 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엠보스 가공에 의한 홈 (7) 의 형성시 (흡수성 코어 (40B) 의 압착시) 에 저평량부 (42) 가 밀어넣어져 파단된다는 문제가 회피되어, 홈 (7) 이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된다. L42 = L41 혹은 L42 < L41 이면,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을 획성하는 측벽부 (72) 나 그 근방이 파단될 우려가 있다.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 (L42) 와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 (L41) 의 차 (L42-L41) 는, 바람직하게는 1.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이다. 통상적으로, 이간 거리 L41 은 0.5 mm 이하이다.
냅킨 (1B) 에 있어서의 각 부의 형성 재료에 대해 설명하면, 표면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 (2) 로서는, 예를 들어,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의 액 투과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 (3) 로서는, 예를 들어, 투습성을 가지지 않는 수지 필름이나, 미세 구멍을 가지며, 투습성을 갖는 수지 필름, 발수 부직포 등의 부직포, 이들과 다른 시트와의 라미네이트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이드 시트 (5) 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수성의 부직포나 수지 필름제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 (40B) 의 형성 재료인 흡수성 재료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섬유 재료로서 목재 펄프, 코튼, 삼 등의 천연 섬유 ;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 ; 아세테이트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흡수성 재료로서 이들의 섬유 재료에 더하여, 추가로 입자상 등의 각종 형상의 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 2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흡수성 코어) 는, 전술한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B) (흡수성 코어 (40B)) 는, 도 7 에 나타내는 흡수체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와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 2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B) (흡수성 코어 (40B)) 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이 적용된다.
본 발명 (제 2 발명) 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 (40B) 에 있어서, 고평량부 (41) 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다수의 고평량부 (41) 를 길이 방향 (X) 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고평량부 열을 형성하고, 그 고평량부 열을 폭방향 (Y) 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하는 고평량부 열에 있어서의 고평량부 (41) 의 피치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평량부 (41) 는, 소정의 고평량부 열에 있어서의 고평량부 (41) 를, 그 고평량부 열과 직교하는 방향 (폭방향 (Y)) 으로 투영했을 때에, 인접하는 고평량부 (41) 의 투영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령,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홈 (7) (가로홈 (7Y1) 및 (7Y2)) 이, 상기 실시형태 (도 14 참조) 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냅킨 (1B) 의 길이 방향 (X)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예를 들어, 가로홈 (7Y1, 7Y2) 이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그 가로홈 (7Y1, 7Y2) 과 저평량부 (42) 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홈 (7) 을, 냅킨 (1B) 의 길이 방향 (X) 또는 폭방향 (Y) 으로 늘어선 2 개의 고평량부 (41, 41) 와 2 개의 그 고평량부 (41, 41) 에 끼워진 1 개의 저평량부 (42) 에 이어져 형성하는 방법, 바꾸어 말하면, 홈 (7) 과 흡수성 코어 (40B) 의 저평량부 (42) 를 완전하게는 일치시키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홈 (7) 을 평면에서 보아 냅킨 (1B)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저평량부 (42) 를 평면에서 보아 직선상으로 형성하는 방법 외에, a)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고평량부 (41) 의 둘레에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저평량부 (42) 를 배치하는 방법, b) 저평량부 (42) 와 조합되는 고평량부 (41) 로서 평면에서 본 형상이 5 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의 고평량부 (41) 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c) 홈 (7) 의 형성 방향 (선상의 홈 (7) 의 연장되는 방향) 과 저평량부의 형성 방향 (선상의 저평량부의 연장되는 방향) 이 이루는 각도를 30 ∼ 60 °로 설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 (제 2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의 적용예의 하나로서 생리용 냅킨을 들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패드, 팬티 라이너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제 3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인 생리용 냅킨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C) 은,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2),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3), 및 양 시트 (2, 3) 간에 개재된 흡수체 (4C) 를 구비하고 있고, 세로로 (일방향으로 긴 형상) 길다. 냅킨 (1C)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시에 장착자의 배설부 (질구) 에 대향 배치되는 배설부 대향부 (11) 와, 장착시에 배설부 대향부 (11) 보다 장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전방부 (12) 와, 장착시에 배설부 대향부 (11) 보다 장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후방부 (13) 를 길이 방향 (X) 으로 가지고 있다. 배설부 대향부 (11) 는, 후술하는 좌우에 1 쌍의 윙부 (6, 6) 를 갖는 부분이다. 1 쌍의 윙부 (6, 6) 는, 냅킨 (1C) 을 쇼츠 등의 속옷에 고정시킬 때에, 속옷의 가랑이부 (크로치부) 에 감겨져 사용되는 부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 (생리용 냅킨) 이 윙부를 가지지 않은 경우, 그 생리용 냅킨의 배설부 대향부는, 제품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가 25 cm 이하의 이른바 단시간 낮용의 냅킨에서는, 그 냅킨을 길이 방향으로 3 등분하여 전방부, 중앙부, 후방부로 한 경우의 중앙부 (앞에서 2 번째의 영역) 이며, 제품 길이 방향 전체 길이가 25 cm 를 초과하는 이른바 장시간 낮용 및 밤용의 냅킨에서는, 이들의 냅킨을 길이 방향으로 4 등분한 경우의 앞에서 2 번째의 영역 (뒤에서 3 번째의 영역)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구성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장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면이며, 비피부 맞닿음면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에 피부측과는 반대측 (의류측) 으로 향해지는 면이다. 또, 길이 방향은, 흡수성 물품 또는 그 구성 부재의 장변을 따르는 방향이며, 폭방향은,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면 중, 부호 X 로 나타내는 방향은, 흡수성 물품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길이 방향이며, 부호 Y 로 나타내는 방향은, 흡수성 물품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폭방향이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 는, 흡수체 (4C) 의 피부 맞닿음면 (4a) 의 전체 영역을 피복하고, 또한 흡수체 (4C)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 이면 시트 (3) 는, 흡수체 (4C) 의 비피부 맞닿음면 (4b) 의 전체 영역을 피복하고, 또한 흡수체 (4C) 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표면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는, 흡수체 (4C) 의 길이 방향 (X) 의 전단 및 후단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 (X) 의 외방으로도 연장되어 있고, 그들의 연장부에 있어서, 접착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냅킨 (1C)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좌우 양 측부에는,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사이드 시트 (5, 5) 가 냅킨 (1C)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 (5) 는, 그 폭방향 (Y) 의 내방측의 측부가,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표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 (2a) 에 접합되어 있고, 외방측의 측부가, 흡수체 (4C)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측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부가,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이면 시트 (3) 에 있어서의, 흡수체 (4C) 의 측가장자리로부터의 연장부에 접합되어 있다. 이면 시트 (3) 및 사이드 시트 (5) 는,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 흡수체 (4C) 의 측가장자리로부터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의 연장 길이가 최대로 되어 있고, 그들의 최대 연장부에 의해 1 쌍의 윙부 (6, 6) 가 형성되어 있다.
냅킨 (1C) 의 비피부 맞닿음면 (이면 시트 (3) 의 비피부 맞닿음면 (3b)) 은, 장착시에 쇼츠의 크로치부 등 의류측으로 향해진다. 비피부 맞닿음면 (3b) 에는, 냅킨 (1C) 을 쇼츠 등의 속옷의 크로치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또, 1 쌍의 윙부 (6, 6) 의 비피부 맞닿음면 (이면 시트 (3) 의 비피부 맞닿음면 (3b)) 에는, 쇼츠의 외면 (비피부 맞닿음면) 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착부는, 핫멜트 점착제를 소정 지점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냅킨 (1C) 의 사용 전에 있어서는 필름, 부직포,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되지 않은 박리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흡수체 (4C) 는, 흡수성 재료 (펄프 등의 섬유 재료, 흡수성 폴리머 등) 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 (40C)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 (4C) 는, 흡수성 코어 (40C) 를, 티슈 페이퍼나 투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랩 시트 (도시 생략) 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 (40C) 는, 후술하는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모두, 펄프 등의 섬유 재료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그 섬유 재료 및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후자의 경우, 섬유 재료 사이에 흡수성 폴리머가 균일하게 혼합된 형태여도 되고, 혹은 섬유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섬유층과 흡수성 폴리머를 주체로 하는 폴리머층을 포함하여, 상하 2 층의 그 섬유층의 사이에 그 폴리머층이 끼워진 형태여도 된다. 표면 시트 (2) 와 흡수체 (4C) 의 사이, 흡수체 (4C) 와 이면 시트 (3) 의 사이는, 도트, 스파이럴, 스트라이프 등의 패턴 도공된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등) 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성 코어 (40C) 는, 도 20 및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 (41) 와,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 (42) (42X, 42Y) 를 가지며,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는, 소정 방향 (길이 방향 (X) 및 폭방향 (Y) 각각) 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코어 (40C) 에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와 폭방향 (Y) 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의 저평량부 (42Y) 가 각각 복수 형성되어 저평량부 (42) 전체적으로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42Y) 로 구획된 부위가, 고평량부 (41) 로 되어 있다. 복수의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는, 각각 흡수성 코어 (40C)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직선상의 저평량부 (42Y) 는, 각각 흡수성 코어 (40C) 의 폭방향 (Y)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고평량부 (41) 는, 각각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C) 는 그 외관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평량부 (41) 는 저평량부 (42)(42X, 42Y) 에 비해 두께가 크고, 그 때문에 흡수성 코어 (40C) 는,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에 비해 융기한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다. 흡수성 코어 (40C) 가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요철 구조를 가지지 않아 피부 맞닿음면 및 비피부 맞닿음면의 어느 것이나 대략 평탄한 경우에 비해, 냅킨 (1C) 의 장착시에 흡수성 코어 (40C) (흡수체 (4C)) 의 변형이 유도되기 쉽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C) 의 단면에서 보아, 저평량부 (42)(42X, 42Y) 는, 흡수성 코어 (40C) 의 두께 방향으로 편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평량부 (42) 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C) 의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편재되어 있다. 그리고, 저평량부 (42) 가 이와 같이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편재되어 있음으로써, 고평량부 (41) 는, 피부 맞닿음면 (4a) 과는 반대측, 즉,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 (40C) 에 있어서는, 피부 맞닿음면 (4a) (표면 시트 (2) 와의 대향면) 은, 후술하는 홈 (7) 의 형성 부위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요철이 없고 대략 평탄한데 대해, 비피부 맞닿음면 (4b) (이면 시트 (3) 와의 대향면) 은, 돌출 형성된 고평량부 (41) (볼록부) 와 고평량부 (41, 41) 간에 위치하는 저평량부 (42)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에 의한 요철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코어 (40C) (상기 요철 구조) 는, 그 외관이, 얇은 판상으로 성형된 흡수성 재료의 일면측에,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의 흡수부가 서로 이간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 (복수의 흡수부를 시트에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흡수체) 와 유사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코어 (40C)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요철 구조를 갖도록 흡수성 재료를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가, 접착제나 열융착 등의 접합 수단을 개재하지 않고 일체화되어 있고, 동일한 재료에 의한 경계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의 경계) 를 가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는, 복수의 상기 흡수부를 그 흡수부와는 별체의 상기 시트에 고정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흡수부와 상기 시트가 접합 수단을 통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흡수부와 상기 시트의 경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이 점에서 양자는 상이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의 차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는, 액이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데 대해,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부와 상기 시트는, 양자간 (경계) 에 접합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계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계 부분에서의 액 확산이 일어나기 쉽고, 액이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냅킨 (1C) 에는, 도 19 ∼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 및 흡수성 코어 (40C) 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홈 (7) 이,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1 쌍 형성되어 있다. 홈 (7) 은, 후술하는 저벽부 (71) 와 측벽부 (72) 에 의해 획성된, 공간 (냅킨 (1C) 의 형성 재료가 존재하지 않은 부위) 이다. 홈 (7) 은,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세로홈 (7X, 7X) 과, 폭방향 (Y)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2 개의 가로홈 (7Y1, 7Y2)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4 개의 홈이 각각의 단부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고리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1 쌍의 세로홈 (7X, 7X) 은, 흡수성 코어 (40C)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좌우 양 측부에, 폭방향 (Y) 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각 세로홈 (7X) 은, 배설부 대향부 (11)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전방부 (12) 및 후방부 (13) 각각에도 연장되어 있다. 가로홈 (7Y1) 은 전방부 (12) 에, 가로홈 (7Y2) 은 후방부 (13) 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가로홈 (7Y1, 7Y2) 은, 어느 것이나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 (X)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양 가로홈 (7Y1, 7Y2) 각각의 볼록한 정부는, 폭방향 (Y) 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홈 (7)(7X, 7Y1, 7Y2) 은,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얕게 함몰되어 있는 얕은 홈부 (73) 와, 상대적으로 깊게 함몰되어 있는 깊은 홈부 (74) 를 가지고 있다. 홈 (7) 은, 얕은 홈부 (73) 와 깊은 홈부 (74) 가 홈 (7) 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이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연속선을 형성하고 있다. 홈 (7) 은, 엠보스 가공에 의해 흡수성 코어 (40C) 를 표면 시트 (2) 와 함께 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바, 얕은 홈부 (73) 는, 그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약하게 압착되어 저부 깊이 (저벽부 (71) 의 피부 맞닿음면 (2a) 으로부터의 깊이) 가 얕은 부위이며, 깊은 홈부 (74) 는, 그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압착되어 그 저부 깊이가 깊은 부위이다. 얕은 홈부 (73) 및 깊은 홈부 (74)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각각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장방형, 정방형, 마름모꼴, 원형, 십자 등으로 할 수 있다.
홈 (7)(7X, 7Y1, 7Y2) 은, 열을 수반하거나 또는 수반하지 않는 엠보스, 혹은 초음파 엠보스 등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즉, 냅킨 (1C)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흡수체 (4C) (요철 구조를 갖는 흡수성 코어 (40C)) 의 일면 상에 표면 시트 (2) 를 공급한 후, 엠보스 가공에 의해 소정 부위를 표면 시트 (2) 측으로부터 흡수체 (4C) 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밀어넣음 (압착함) 으로써, 그 소정 부위에 홈 (7) 을 형성할 수 있다. 홈 (7) 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 (2) 및 흡수체 (4C) 가 열융착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홈 (7) 은, 적어도 소정 방향으로 늘어선 2 개의 고평량부 (볼록부) (41, 41) 와 이들 2 개의 고평량부 (41, 41) 에 끼워진 1 개의 저평량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42)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즉, 홈 (7) 은, 흡수성 코어 (40C)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에 관해서는, 배설액을 직접 받는 부위인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 홈 (7) 의 일부인 1 쌍의 세로홈 (7X, 7X) 각각이, 길이 방향 (X) 에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41, 41) 및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1 개의 저평량부 (42Y)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 (X) 으로 이어지는 흡수성 코어 (40C)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폭방향 (Y) 에 관해서는, 전방부 (12) 에 있어서, 홈 (7) 의 일부인 가로홈 (7Y1) 이, 폭방향 (Y) 에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41, 41) 및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1 개의 저평량부 (42X)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또한, 후방부 (13) 에 있어서, 홈 (7) 의 일부인 가로홈 (7Y2) 이, 동일하게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홈 (7) 과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위치 관계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설액의 흡수·확산 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도록 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고,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홈 (7) (세로홈 (7X)) 이 길이 방향 (X) 으로 이어지는 흡수성 코어 (40C)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은, 배설액의 폭방향 (Y) 으로의 이동에서 기인하는 외부로의 누출 (이른바 옆샘) 의 방지 효과와 관계되는 것으로, 중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홈 (7) 의 요철을 걸치는 배치가 보다 확실하게 얻어지도록 하기 위한 연구로서, 냅킨 (1C) 의 길이 방향 (X) 에 있어서, 저평량부 (42) 를,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 (42X) 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또 홈 (7) 을, 평면에서 보아 만곡부를 가지고 또한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부분 (7X) 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 (7) 의 일부인 1 쌍의 세로홈 (7X, 7X) 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의 냅킨 (1C)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양 측부 각각에, 냅킨 (1C) 의 폭방향 (Y)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세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C) 의 저평량부 (42X) 를, 길이 방향 (X) 으로 완전하게 일치하는 직선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세로홈 (7X) 을, 길이 방향 (X) 과는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만곡부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세로홈 (7X) 의 그 만곡부는, 평면에서 보아,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와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고, 세로홈 (7X) 이, 길이 방향 (X) 으로 이어지는 흡수성 코어 (40C)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저평량부 (42) 를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 (42Y) 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또 홈 (7) 을, 평면에서 보아 만곡부를 가지고 또한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부분 (7Y1, 7Y2) 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 (7) 의 일부인 가로홈 (7Y1, 7Y2) 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 (1C) 의 전방부 (12) 또는 후방부 (13) 에 있어서, 냅킨 (1C) 의 길이 방향 (X)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적어도 가로홈 (7Y1, 7Y2) 각각의 만곡부는, 평면에서 보아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저평량부 (42Y) 와 완전하게는 일치하지 않고, 가로홈 (7Y1, 7Y2) 이, 폭방향 (Y) 으로 이어지는 흡수성 코어 (40C)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기 쉬워진다.
도 22 ∼ 도 24 에는, 흡수성 코어 (40C) 의 각 부에 있어서의 홈 (7) 의 단면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홈 (7)(7X, 7Y1, 7Y2) 은, 도 22 ∼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부 (71) 와 그 저벽부 (71) 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측벽부 (72) 에 의해 획성되어 있다. 또한, 도 22 ∼ 도 24 에서는, 설명 용이의 관점에서, 얕은 홈부 (73) 및 깊은 홈부 (74) 의 도시를 생략하고, 저벽부 (71) 를, 홈 (7)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차가 없는 대략 평탄부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얕은 홈부 (73) 와 깊은 홈부 (74) 에서 그 저벽부의 흡수성 코어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상이하고, 얕은 홈부 (73) 의 저벽부 (71) 는 상대적으로 표면 시트 (2) 로부터 가깝고, 깊은 홈부 (74) 의 저벽부 (71) 는 상대적으로 표면 시트 (2) 로부터 멀고, 따라서 실제의 저벽부 (71) 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얕은 홈부 (73) 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깊은 홈부 (74) 에 대응한 단차가 생기고 있다.
본 발명의 주된 특장의 하나로서, 도 21, 도 22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평량부 (42)(42Y) 에 있어서의 측벽부 (72) 를 구성하는 부위에, 저평량부 (42)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갈라진 곳 (78) 이 형성되어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25 에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 형상의 갈라진 곳 (78) 및 그 근방이 확대되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갈라진 곳 (78) 은, 엠보스 가공에 의한 홈 (7) (세로홈 (7X)) 의 형성시 (흡수성 코어 (40C) 의 압착시) 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 (40C) 가 피부 맞닿음면 (4a) 측으로부터 비피부 맞닿음면 (4b) 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밀어넣어져 변형했을 때에, 저평량부 (42) 가 그 변형 형상을 따라 늘어져 파단된 결과 형성된 것으로, 흡수성 코어 (40C) 의 형성 재료가 존재하지 않은 공간이다. 갈라진 곳 (78) 이 공간이기 때문에, 배설액은 갈라진 곳 (78) 을 따라 이동할 수 없다. 갈라진 곳 (78) 에 있어서의 배설액의 이러한 거동은, 배설액이 경혈과 같은 비교적 점성이 높은 액인 경우에 특히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혈의 흡수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예를 들어 생리용 냅킨이나 팬티 라이너에 적용한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갈라진 곳 (78) 은 배설액의 이동을 저해하는 기능을 가지며, 갈라진 곳 (78) 의 이러한 기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설액의 냅킨 (1C) 의 전후 방향으로의 확산에 기여한다.
갈라진 곳 (78)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엠보스 가공에 의한 홈 (7) 의 형성에서 기인하고,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측벽부 (72) 를 구성하는 부위에 형성되지만,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측벽부 (72) 를 구성하는 부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고평량부 (41) 는, 저평량부 (42) 에 비해 두께가 커서 볼록부로서 융기되어 있기 때문에, 홈 (7) 의 형성시의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밀어넣어졌을 때에, 그 밀어넣기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기 쉽고, 저평량부 (42) 와 같이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추찰된다.
또, 갈라진 곳 (78) 의 형성 부위에 관하여, 동일한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측벽부 (72) 라도, 갈라진 곳 (78) 이 형성되기 쉬운 부위와 형성되기 어려운 부위가 있다. 즉, 1 쌍의 홈 (7, 7) (1 쌍의 세로홈 (7X, 7X)) 에 끼워진 영역, 바꾸어 말하면, 세로홈 (7X) (저벽부 (71)) 보다 냅킨 내방측에 위치하는 측벽부 (72) 는, 갈라진 곳 (78) 이 형성되기 쉬운 부위이며, 세로홈 (7X) 을 개재하여 그 반대측 (냅킨 외방측) 에 위치하는 측벽부 (72) 는, 갈라진 곳 (78) 이 형성되기 어려운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갈라진 곳 (78) 은, 홈 (7) (저벽부 (71)) 보다 냅킨 내방측에 위치하는 측벽부 (72) 에 형성되어 있고, 냅킨 외방측에 위치하는 측벽부 (72) 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엠보스 가공에 의한 홈 (7) 의 형성시에 있어서, 1 쌍의 세로홈 (7X, 7X) 에 끼워진 영역은, 그 영역의 폭방향 (Y) 의 양단이 상방 (표면 시트 (2) 측) 으로부터 동시에 엠보스 가공되기 때문에, 위로부터 밀어넣어지는 힘에 의한, 흡수체 변형의 응력의 도피처가 없고, 그 때문에 갈라진 곳 (78) 이 형성되기 쉬운데 대해, 세로홈 (7X) 보다 폭방향 (Y) 의 외방측은, 흡수체 변형의 응력의 도피처가 폭방향 (Y) 의 외측에 있기 때문에, 갈라진 곳 (78) 이 형성되기 어렵다고 추찰된다. 따라서, 갈라진 곳 (78) 의 형성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1 쌍의 홈 (7, 7) (세로홈 (7X, 7X)) 의 존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갈라진 곳 (78) 은, 후술하는 배설액의 냅킨 (1C) 의 전후 방향으로의 확산 작용을 최대한으로 살리는 관점에서, 적어도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의, 홈 (7) (세로홈 (7X))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측에 위치하는 측벽부 (72) 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갈라진 곳 (78) 은, 배설부 대향부 (11) 뿐만 아니라, 전방부 (12) 및 후방부 (13) 에도 형성되고, 또, 세로홈 (7X) 의 측벽부 (냅킨 내방측의 측벽부) (72) 뿐만 아니라, 가로홈 (7Y1, 7Y2) 각각의 측벽부 (냅킨 내방측의 측벽부) (72) 에도 형성되어 있다. 가로홈 (7Y1, 7Y2) 은, 갈라진 곳 (78) 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완수하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1 쌍의 홈」에 상당한다.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측벽부 (72) 를 구성하는 부위에 갈라진 곳 (78) 을 확실하게 형성하는 관점에서,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깊은 홈부 (74) 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보아 저평량부 (42) 와 겹쳐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깊은 홈부 (74) 는, 홈 (7) 을 형성하기 위한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얕은 홈부 (73) 에 비해 강하게 압착된 부위이며, 그러한 강압착부인 깊은 홈부 (74) 가, 평면에서 보아 저평량부 (42) 와 겹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술한 그 엠보스 가공에서 기인하는 저평량부 (42) 의 파단이 촉진되어,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측벽부 (72) 를 구성하는 부위에 갈라진 곳 (78) 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깊은 홈부 (74) 는,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7) (세로홈 (7X)) 의 폭방향 (홈 (7)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깊은 홈부 (74) 의 폭방향 외방에, 얕은 홈부 (73) 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얕은 홈부 (73) 의 폭방향의 길이를 L9, 깊은 홈부 (74) 의 폭방향의 길이를 L10 으로 한 경우, 양자의 비 (L9/L10) 는, 바람직하게는 0.05 ∼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0.4 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평량부 (41), 저평량부 (42) 그리고 홈 (7) 및 그 근방에,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보다 고밀도로 되고, 또한 홈 (7)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밀도 구배가 존재한다. 즉, 도 21(b) 및 도 22 ∼ 도 24 중, 부호 A ∼ E 로 나타낸 부위의 밀도는, A≤B<<C<<E, 보다 바람직하게는 A<B<<C<D<E 로 되어 있고, 홈 (7) (세로홈 (7X)) 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밀도가 낮고 (부위 (A)), 홈 (7) 에 가까워질수록 밀도가 높아지고 (부위 (B) 및/또는 (C)), 홈 (7) (저벽부 (71)) 에 있어서 밀도가 최대가 된다 (부위 (D) 및 (E)). 또, 홈 (7) (저벽부 (71)) 에 대해서는, 저평량부 (42)(42Y) 에 있어서의 부위 (D) 는,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부위 (E) 에 비해, 약간 밀도가 낮게 되어 있음으로써 홈 (7) 을 따르는 액의 확산성 (옆샘 방지 효과) 이 높아져 있고,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홈 (7) 의 근방인 부위 (C) 에 비하면, 밀도가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홈 (7) 에 가까워질수록 밀도가 높아진다는 밀도 구배는, 주로, 전술한 엠보스 가공에 의한 홈 (7) 의 형성 (흡수성 코어 (40C) 의 압착) 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종래의 누출 방지홈이 형성된 흡수체에 있어서도 존재한다. 밀도 구배에 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부위 (C) 가 부위 (B) 보다 고밀도 (B<<C) 라는 점이며, 홈 (7) 의 근방은,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에서 밀도가 상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홈의 근방」이란, 홈 (7) 을 획성하는 측벽부 (72) (도 22 ∼ 도 24 참조) 및 그 인접부 (홈 (7) 의 평면에서 보아 측벽부 (72) 에 인접하는 부위) 를 의미하고, 그 인접부는, 홈 (7) (측벽부 (72) 의 외면) 으로부터 홈 (7)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홈 (7) 의 폭방향) 의 외방으로 5 mm 이내의 부위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측벽부와 상기 인접부의 경계는 명료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맞닿음면측 (표면 시트측) 에, 평탄한 아크릴판 (무게 5 g) 을, 홈을 그 폭방향으로 걸치도록 올려놓고, 그 상태에서 아크릴판의 하방의 홈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 그 홈의 근방 (상기 인접부) 으로부터 그 홈의 폭방향을 향해 그 홈에 도달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아크릴판으로부터 피부 맞닿음면 (표면 시트) 이 이간되는 부위를 상기 경계라고 정의한다.
이와 같이, 홈 (7) (세로홈 (7X)) 의 근방인 부위 (B) 및 (C) 는, 홈 (7) 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고평량부 (41) 에 위치하는 부위 (C) 가, 저평량부 (42)(42Y) 에 위치하는 부위 (B) 보다 밀도가 높은 이유는, 흡수성 코어 (40C) 의 압착에 의한 홈 (7) 의 형성 전에 있어서,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보다 흡수성 재료가 많이 존재하여 밀도가 높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코어 (40C)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를 갖도록 흡수성 재료를 퇴적하여 요철 구조를 갖는 퇴적물을 얻고, 그 퇴적물 전체를 가압 롤 등에 의해 균일한 압축력으로 압축함으로써 제조되는 바, 이러한 압축 공정에 있어서는, 볼록부로서의 고평량부 (41) 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로서의 저평량부 (42) 보다 강하게 압축되기 때문에, 고평량부 (41) (부위 (C)) 가 저평량부 (42) (부위 (B)) 보다 고밀도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위 (B) 와 부위 (C) 에는 홈 (7) 의 형성 전부터 밀도차가 존재하고 있고, 또한 압착에 의해 부위 (B) 및 부위 (C) 에 홈 (7) 을 형성하면, 홈 (7) 을 획성하는 측벽부 (72)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이 밀도차가 반영되고, 그 결과로서 밀도에 관하여 B<<C 로 되는 것이다. 또한, 갈라진 곳 (78) 은, 도 2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7) (세로홈 (7X)) 을 사이에 끼고 부위 (B) 와 좌우 대칭의 위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갈라진 곳 (78) 의 근방 (갈라진 곳 (78) 의 주연으로부터 3 mm 이내의 영역) 은, 부위 (B) 와 밀도가 대략 동일하고, 따라서, 그 갈라진 곳 (78) 의 근방도 부위 (C) 에 비해 저밀도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갈라진 곳 (78) 의 근방<<C) 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C) 은, 홈 (7) 이 형성되는 흡수성 코어로서, 고평량부 (볼록부) (41) 와 저평량부 (비볼록부 혹은 오목부) (42) 로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갖는 흡수성 코어 (40C) 를 채용한 것에 의해, 종래의 요철이 없는 평탄한 흡수성 코어와 누출 방지홈의 조합을 채용한 흡수성 물품이 갖는 상기 과제 ii) 를 해결할 수 있고, 흡수체 (4C) (흡수성 코어 (40C)) 에 고밀도인 홈 (7) 이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흡수체 (4C) 의 부분적인 경화가 생기기 어려워, 피트성이 우수하다. 또,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평량부 (42) 가 홈 (7) 보다 냅킨 (1C) 의 외방 (홈 (7) 의 외방 부위) 에 형성되어 있으면, 홈 (7) 에 의한 누출 방지 효과가 한층 높아져, 냅킨 (1C) 의 주연부 (특히 냅킨 (1C) 의 길이 방향 (X) 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부) 에 부드러운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C) 의 대략 전체에,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로 둘러싸인 부위가 배치되어 있으면, 냅킨 (1C) 의 장착시에 있어서 장착자에 대한 감촉이 부드러워져, 유연한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냅킨 (1C) 은, 주로, 홈 (7) 이, 소정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고평량부 (41, 41) 와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1 개의 저평량부 (42) 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 (40C) 의 요철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경혈 등의 배설액을, 그 양의 다소에 상관없이, 재빠르게 흡수·확산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종래의 요철이 없는 평탄한 흡수성 코어와 누출 방지홈의 조합을 채용한 흡수성 물품이 갖는 상기 과제 i) 을 해결할 수 있고, 누출 방지성 (옆샘 방지성) 이 우수하고, 흡수체의 사이즈 다운,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콤팩트화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 (1C) 에 있어서의 배설액의 흡수·확산 작용에 대해, 도 21(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냅킨 (1C) 의 장착자가 배설한 경혈 등의 배설액 (W) 은, 통상적으로,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Y) 의 중앙부에서 받아들여져 피부 맞닿음면 (표면 시트 (2) 의 피부 맞닿음면 (2a)) 상으로부터 홈 (7) (세로홈 (7X)) 을 향해 폭방향 (Y) 으로 이동하고, 예를 들어 도 21(b) 에 있어서, 부위 (A)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Y) 의 중앙부 근방) 로부터 갈라진 곳 (78)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의 근방) 을 향해, 냅킨 (1C) 의 각종 구성 부재 (표면 시트 (2), 흡수성 코어 (40C) 등) 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나, 갈라진 곳 (78) 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재료 등의 흡수성 코어 (40C) 의 형성 재료 (냅킨 (1C) 의 형성 재료) 가 존재하지 않은 공간이기 때문에, 갈라진 곳 (78) 의 근방에 도달한 배설액 (W) 은, 갈라진 곳 (78) 을 따라 이것을 횡단할 수 없고, 그 때문에, 도 2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갈라진 곳 (78) 의 근방을 따라 갈라진 곳 (78) 을 피하도록 하여,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홈 (7) 의 근방인 부위 (C) (홈 (7)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측의 부위 (C)) 로 이동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갈라진 곳 (78) 의 근방은, 홈 (7) (세로홈 (7X)) 을 사이에 끼고 그 갈라진 곳 (78) 과 좌우 대칭 위치에 있는 부위 (B) 와 동일하게, 부위 (C) 에 비해 저밀도 (B<<C) 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갈라진 곳 (78) 의 근방과 부위 (C) 의 사이에는 모관력이 작용하기 쉽고, 이 모관력에 의해서도 배설액 (W) 의 부위 (C) 로의 이동이 촉진된다. 이렇게 하여, 배설액 (W) 은, 홈 (7) 의 근방에서 또한 홈 (7)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있어서, 홈 (7) 을 따라 냅킨 (1C) 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설부 대향부 (11) 로부터 길이 방향 (X) 으로 신속하게 확산된다.
배설액 (W) 은, 홈 (7) 의 근방에서 또한 홈 (7)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있어서 부위 (B) 로부터 부위 (C) 로 이동하는 도중에서, 고평량부 (41) 에 재빠르게 흡수·유지되고, 고평량부 (41) 의 흡수 용량을 넘은 양이,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위 (C) 보다 폭방향 (Y) 의 외방에 위치하는 부위 (E) (고평량부 (41) 에 있어서의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로 이동한다. 부위 (E) 는, 홈 (7) 의 형성시에 있어서 가장 압축된 부위이며, 폭방향 (Y) 에 인접하는 부위 (C) 에 비해 압도적으로 밀도가 높기 때문에, 배설액 (W) 의 부위 (E) 로부터 부위 (C) 로의 이동은 일어나기 어렵고, 따라서, 배설액 (W) 이 홈 (7) 을 넘어 냅킨 (1C) 의 폭방향 (Y) 의 외방으로 이동하는 일은 일어나기 어렵다. 부위 (C) 를 경유하여 부위 (E) 로 이동한 배설액 (W) 은, 홈 (7) 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고 홈 (7) 을 지나, 인접하는 부위 (D) (저평량부 (42) 에 있어서의 홈 (7) 을 획성하는 저벽부 (71)) 로 이동하고, 또한,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부위 (E) 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홈 (7) 을 이동하는 배설액 (W) 은, 그 이동 중에, 주로 고평량부 (41) 에 흡수·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냅킨 (1C) 에 있어서는,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Y) 의 중앙부에 배설된 배설액은, 세로홈 (7X), 및 세로홈 (7X) 의 근방에서 또한 세로홈 (7X) 보다 폭방향 (Y) 의 내방에 위치하는 부위의 양방에 있어서, 냅킨 (1C) 의 전후 방향으로 신속하게 확산되고, 이러한 확산의 도중에서 주로 고평량부 (41) 에 신속하게 흡수·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냅킨 (1C) 은, 이와 같은 흡수체 (4C) (흡수성 코어 (40C)) 와 홈 (7) 의 제휴에 의한 배설액의 확산·흡수 작용에 의해, 배설된 배설액을 재빠르게 확산·흡수할 수 있어 옆샘을 일으키기 어렵고,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냅킨 (1C) 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도록 하는 관점에서, 각 부의 치수 등은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 (40C) 의 고평량부 (41) 의 평량 S41 과 저평량부 (42) 의 평량 S42 의 비 (S41/S42) 는,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평량 S41 은, 바람직하게는 10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60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g/㎡ 이하이며, 저평량부 (42) 의 평량 S42 는,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g/㎡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두께 T41 과 저평량부 (42) 의 두께 T42 의 비 (T41/T42) 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의 두께 T41 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mm 이하이며, 저평량부 (42) 의 두께 T42 는,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다.
저평량부 (42) 의 폭 (L1) (도 21(a) 참조) 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7.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다. 저평량부 (42X) 와 (42Y) 에서, 폭 (L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고평량부 (41) 의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면에서 본 크기는, 흡수성 물품의 종류·용도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냅킨 (1C) 과 같은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X) 의 길이 (L2) (도 21(a) 참조) 가,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며, 폭방향 (Y) 의 길이 (L3) (도 21(a) 참조) 가,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이하이다.
고평량부 (41) 는, 면적 50 c㎡ 당, 바람직하게는 5 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개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70 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개 이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7)(7X, 7Y1, 7Y2) 의 폭 (L5) (도 21(b) 참조) 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mm 이하이다.
홈 (7) 의 깊이 (L6) (도 23 참조) 는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다. 또한, 깊이 (L6) 는, 홈 (7) 에 있어서 가장 깊이가 깊은 부위인, 깊은 홈부 (74) 의 깊이를 의미한다. 얕은 홈부 (73) 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이다.
갈라진 곳 (78) 의 홈 (7)(7X, 7Y1, 7Y2)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길이 (L7) (도 25 참조) 는, 당해 갈라진 곳 (78) 이 형성되어 있는 저평량부 (42) 의 그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길이 (예를 들어 도 25 에서는, 저평량부 (42Y) 의, 홈 (7X) 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길이)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80 % 이다.
갈라진 곳 (78) 의 홈 (7)(7X, 7Y1, 7Y2) 의 폭방향을 따르는 길이 (L8) (도 25 참조) 는, 상기 길이 (L7) 이하 (L7 ≥ L8)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홈 (7) 의 각 부의 치수는, 육안으로 자 등을 사용하여 측정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예를 들어, KEYENCE 사 제조 디지털 현미경 VHX-1000 을 사용하여 홈 (7) 을 확대 촬영하여, 각 부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홈 (7) 의 폭 (L5) 은, 홈 (7) 의 저면에서 측정한 것이다. 또, 상기 홈 (7) 의 깊이 (L6) 는, 홈 (7) 의 단면을 디지털 현미경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냅킨 (1C) 에 있어서의 각 부의 형성 재료에 대해 설명하면, 표면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 (2) 로서는, 예를 들어,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의 액 투과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 (3) 로서는, 예를 들어, 투습성을 가지지 않는 수지 필름이나, 미세 구멍을 가지며, 투습성을 갖는 수지 필름, 발수 부직포 등의 부직포, 이들과 다른 시트와의 라미네이트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이드 시트 (5) 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발수성의 부직포나 수지 필름제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 (40C) 의 형성 재료인 흡수성 재료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섬유 재료로서 목재 펄프, 코튼, 삼 등의 천연 섬유 ;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 ; 아세테이트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흡수성 재료로서 이들의 섬유 재료에 더하여, 추가로 입자상 등의 각종 형상의 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 3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흡수성 코어) 는, 전술한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C) (흡수성 코어 (40C)) 는, 도 7 에 나타내는 흡수체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와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 3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C) (흡수성 코어 (40C)) 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이 적용된다.
본 발명 (제 3 발명) 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평량부 (42) 는, 흡수성 코어 (40C)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 (4a) 측에 편재되어 있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비피부 맞닿음면 (4b) 측에 편재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고평량부 (41) 는, 피부 맞닿음면 (4a) 측으로 돌출하고, 흡수성 코어 (40C) 전체적으로, 도 20 에 나타내는 것과는 상하가 반대로 된다.
또, 평면에서 보아 직선상의 저평량부 (42)(42X, 42Y) 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C) 전체에 형성 (전방부 (12), 배설부 대향부 (11) 및 후방부 (13) 를 걸치도록 형성) 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배설부 대향부 (11) 에 있어서의, 적어도 1 쌍의 홈 (7, 7) (세로홈 (7X, 7X)) 및 그 근방 (홈 주변 영역) 에 끼워진 영역 (배설부 대향부 (11) 의 폭방향 내방부) 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저평량부 (42)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직선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곡선상이어도 된다.
또, 흡수성 코어 (40C) 에 있어서, 고평량부 (41) 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다수의 고평량부 (41) 를 길이 방향 (X) 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고평량부 열을 형성하고, 그 고평량부 열을 폭방향 (Y) 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하는 고평량부 열에 있어서의 고평량부 (41) 의 피치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평량부 (41) 는, 소정의 고평량부 열에 있어서의 고평량부 (41) 를, 그 고평량부 열과 직교하는 방향 (폭방향 (Y)) 으로 투영했을 때에, 인접하는 고평량부 (41) 의 투영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령,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홈 (7) (가로홈 (7Y1) 및 (7Y2)) 이, 상기 실시형태 (도 21 참조) 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냅킨 (1C) 의 길이 방향 (X)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예를 들어, 가로홈 (7Y1, 7Y2) 이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그 가로홈 (7Y1, 7Y2) 과 저평량부 (42) 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홈 (7) 을, 소정 방향 (냅킨 (1C) 의 길이 방향 (X) 또는 폭방향 (Y)) 으로 늘어선 2 개의 고평량부 (41, 41) 와 2 개의 그 고평량부 (41, 41) 에 끼워진 1 개의 저평량부 (42) 에 이어져 형성하는 방법, 바꾸어 말하면, 홈 (7) 과 흡수성 코어 (40C) 의 저평량부 (42) 를 완전하게는 일치시키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홈 (7) 을 평면에서 보아 냅킨 (1C) 의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저평량부 (42) 를 평면에서 보아 직선상으로 형성하는 방법 외에, a)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고평량부 (41) 의 둘레에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저평량부 (42) 를 배치하는 방법, b) 저평량부 (42) 와 조합되는 고평량부 (41) 로서, 평면에서 본 형상이 5 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의 고평량부 (41) 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c) 홈 (7) 의 형성 방향 (선상의 홈 (7) 의 연장되는 방향) 과 저평량부의 형성 방향 (선상의 저평량부의 연장되는 방향) 이 이루는 각도를 30 ∼ 60 °로 설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 (제 3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의 적용예의 하나로서 생리용 냅킨을 들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패드, 팬티 라이너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제 4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 26 ∼ 도 29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 (1D) (이하, 「흡수성 물품 (1D)」이라고도 한다.) 으로서는, 생리용 냅킨,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패드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물품 (1D) 은, 피부 대향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면) 측에 배치된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2) 와, 비피부 대향면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으로 향해지는 면) 측에 배치된 액 난(難)투과성의 이면 시트 (3) 와, 이들 시트 (2, 3) 간에 개재된 세로로 긴 흡수체 (4D) 를 구비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 (10) 를 가지고 있다. 흡수성 물품 (1D) 은,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10)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CL) 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에 나타내는 「X」방향은, 중심선 (CL) 에 평행한 방향이며, 흡수성 본체 (10) 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기도 하다. 또 각 도면에 나타내는 「Y」방향은, 중심선 (CL) 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흡수성 본체 (10) 의 폭방향과 동일한 방향이기도 하다.
흡수성 본체 (10) 를 형성하는 표면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는, 어느 것이나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10) 의 길이 방향 (X 방향) 으로 긴 세로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고, 흡수성 본체 (10) 의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는,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 (2) 와 이면 시트 (3) 가 동일 형상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 (2) 및 이면 시트 (3) 각각은, 도 26,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D) 의 피부 대향면측의 전체면 및 비피부 대향면측의 전체면을 덮고 있고, 흡수체 (4D) 의 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들 연장 부분이 열 엠보스 가공에 의해 접합되어, 주연부에 주연 시일부 (5)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주연 시일부 (5) 가 열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초음파 시일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핫멜트 등의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체 (4D) 는, 흡수성 재료 (45) (펄프 등의 섬유 재료, 흡수성 폴리머 등) 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 (40D)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 (4D) 는, 흡수성 코어 (40D) 를, 티슈 페이퍼나 투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랩 시트 (도시 생략) 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 (40D) 는, 후술하는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모두, 펄프 등의 섬유 재료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 섬유 재료 사이에 흡수성 폴리머를 유지시켜도 된다. 표면 시트 (2) 와 흡수체 (4D) 의 사이, 흡수체 (4D) 와 이면 시트 (3) 의 사이는, 도트, 스파이럴, 스트라이프 등의 패턴 도공된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등) 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 (제 4 발명) 에 있어서, 흡수체 (4D) 는, 상대적으로 평량이 높은 고평량부 (41) 와, 그 고평량부 (41) 에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평량이 낮은 저평량부 (42) 를 가지고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도 27,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D) 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 (40D) 가,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 (41) 와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 (42)(42X, 42Y) 를 가지고 있다.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D) 의 외관 두께는 균일하다. 흡수성 코어 (40D) 에는, 도 27,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을 따라 연장되는 선상 (연속 직선상) 의 저평량부 (42X) 와, 폭방향 (Y) 을 따라 연장되는 선상 (연속 직선상) 의 저평량부 (42Y) 가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저평량부 (42) 는, 도 27,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선상의 저평량부 (42X) 와,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선상의 저평량부 (42Y) 에 의해, 전체적으로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직선상의 저평량부 (42X, 42Y) 로 구획된 부위 (격자의 눈의 위치) 에, 고평량부 (41) 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선상의 저평량부 (42X) 는, 각각 흡수성 코어 (40D) 의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선상의 저평량부 (42Y) 는, 각각 흡수성 코어 (40D) 의 폭방향 (Y)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제 4 발명) 에 있어서,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는 일체 성형되어 있고, 흡수체 (4D) 의 이면 시트 (3) 측에는, 고평량부 (41) 인 볼록부 및 저평량부 (42) 인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흡수체 (4D) 의 표면 시트 (2) 측에는 저평량부 (42) 가 편재되어 있다. 여기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란,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가, 접착제나 열융착 등의 접합 수단을 개재하지 않고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고, 동일한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가 일체 성형되어 있으면, 체액이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연속성을 갖게 된다. 저평량부 (42) 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D) 의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 표면 시트 (2) 측 (흡수체 (4D) 의 피부 대향면측) 에 편재되어 있다. 그리고, 저평량부 (42) 가 이와 같이 두께 방향 (T) 의 표면 시트 (2) 측에 편재되어 있음으로써, 고평량부 (41) 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 측과는 반대측, 즉, 두께 방향 (T) 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 (3) 측 (흡수체 (4D) 의 비피부 대향면측) 에 돌출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 (40D) 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 (40D) 의 피부 대향면 (표면 시트 (2) 측의 면) 측이, 저평량부 (42) 로 이루어지고, 실질적으로 대략 평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흡수성 코어 (40D) 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 (40D) 의 비피부 대향면 (이면 시트 (3) 측의 면) 측으로 ,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평량부 (41) (볼록부) 와 고평량부 (41, 41) 간에 위치하는 저평량부 (42) (오목부) 에 의해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평량부 (오목부) (42) 는 표면 시트 (2) 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고평량부 (볼록부) (41) 는 이면 시트 (3) 측으로 볼록하다. 즉, 흡수체 (4D) 의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측으로 함몰된 오목부가, 주로 저평량부 (42)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흡수체 (4D) 의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 (3) 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가, 주로 고평량부 (41)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가 주로 저평량부 (42) 에 의해 형성된다」란, 저평량부 (42) 와 고평량부 (41) 의 경계 부근의 고평량부 (41) 가 그 오목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마찬가지로, 「상기 볼록부가 주로 고평량부 (41) 에 의해 형성된다」란,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의 경계 부근의 저평량부 (42) 가 그 볼록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저평량부 (42) 의 폭 (L1) 은, 흡수성 물품 (1D) 이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몸의 형상에 맞추어 만곡하기 쉽고, 또한 표면의 평활성을 고려하여, 착용자에게 우수한 장착감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m 이하이다.
또, 저평량부 (42) 의 폭 (L1) 은, 흡수성 물품 (1D) 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저밀도부가 일시적으로 액을 획득하여, 액을 재빠르게 표면으로부터 빼내는 것을 고려하면 생리용 냅킨의 설계치보다는 약간 크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7.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이다.
또한, 길이 방향 (X) 의 저평량부 (42X) 와 폭방향 (Y) 의 (42Y) 에서, 폭 (L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폭 (L1) 은, 흡수체 (4D) 의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저부의 위치에서의 측정치이다.
흡수성 물품 (1D) 이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저평량부 (42)(42X, 42Y) 는, 그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2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이다. 또, 볼록부를 형성하는 고평량부 (41) 는, 그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5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g/㎡ 이하이다. 또, 저평량부 (42) (오목부) 의 두께는 고평량부 (41) (볼록부) 의 두께의 80 %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며, 저평량부 (42) (오목부)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이하이다. 또한, 고평량부 (41) (볼록부)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7.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이다.
흡수성 물품 (1D) 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저평량부 (42)(42X, 42Y) 는 일시적으로 액을 획득하여, 액을 재빠르게 표면으로부터 빼내는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그 평량은 생리용 냅킨의 설계치보다 약간 크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그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g/㎡ 이하이다. 또, 볼록부를 형성하는 고평량부 (41) 는, 그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10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70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g/㎡ 이하이다. 또, 저평량부 (42) (오목부) 의 두께는 고평량부 (41) (볼록부) 의 두께의 80 %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며, 저평량부 (42) (오목부)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다. 또한, 고평량부 (41) (볼록부)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9.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mm 이하이다.
또한, 고평량부 (41) (볼록부) 및 저평량부 (42)(42X, 42Y) (오목부) 의 두께는, 흡수성 물품 (1D) 을 예리한 면도칼로, 도 29(a) 에 나타내는 폭방향 (Y 방향), 또는 길이 방향 (X) 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샘플의 단면을 측정한다. 고평량부 (41) (볼록부) 의 두께는 볼록부 중에서 가장 두꺼운 위치에서 측정한 값이며, 저평량부 (42) (오목부) 의 두께는 오목부 중에서 가장 얇은 위치에서 측정한 값이다. 육안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절단된 샘플의 단면을, 예를 들어, 현미경 (KEYENCE 사 제조 VHX-1000) 을 사용하여 25 ∼ 50 배의 배율로 관찰하여, 측정해도 된다.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평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된다.
<평량의 측정 방법>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평량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흡수체 (4D) 로부터,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의 경계선 부분에서 패더사 제조 편날 면도칼을 사용하여 절단한다. 절단하여 얻어진 고평량부 (41) 의 소편(小片) 10 개를 각각 전자 천칭 (A&D 사 제조 전자 천칭 GR-300, 정밀도 : 소수점 이하 4 자리수) 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평균하여 고평량부 (41) 의 소편 1 개의 중량을 구한다. 구한 중량을 고평량부 (41) 의 설계 치수로부터 산출한 고평량부 (41) 의 소편 1 개당 면적으로 나누어 고평량부 (41) 의 평량을 산출한다.
이어서, 고평량부 (41) 와 저평량부 (42) 의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경계선을 따라, 길이 100 mm, 폭은 저평량부 (42) 의 폭의 설계 치수에 맞추어, 패더사 제조 편날 면도칼을 사용하여, 가는 스트라이프상의 저평량부 (42) 의 샘플 5 개를 자른다. 얻어진 샘플 5 개를 각각 전자 천칭 (A&D 사 제조 전자 천칭 GR-300, 정밀도 : 소수점 이하 4 자리수) 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평균하여 저평량부 (42) 의 샘플 1 개의 중량을 구한다. 구한 중량을 저평량부 (42) 의 샘플의 면적으로 나누어 저평량부 (42) 의 평량을 산출한다.
흡수성 물품 (1D) 의 흡수체 (4D) 에 있어서는, 고평량부 (41) 가 저평량부 (42) 보다 흡수성 재료가 많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고평량부 (41) 는, 저평량부 (42)(42X, 42Y) 에 비해 고밀도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 (1D) 이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고평량부 (41) 의 밀도 D41 과 저평량부 (42) 의 밀도 D42 의 비 (D41/D42) 는, 1/4 ∼ 3/4 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 2/3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오목부를 형성하는 저평량부 (42) 는, 그 밀도가 0.03 ∼ 0.18 g/㎤ 이며, 0.05 ∼ 0.15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볼록부를 형성하는 고평량부 (41) 는, 그 밀도가 0.05 ∼ 0.50 g/㎤ 이며, 0.10 ∼ 0.40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 (1D) 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고평량부 (41) 의 밀도 D41 과 저평량부 (42) 의 밀도 D42 의 비 (D41/D42) 는, 1/5 ∼ 3/4 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 2/3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오목부를 형성하는 저평량부 (42) 는, 그 밀도가 0.01 ∼ 0.20 g/㎤ 이며, 0.03 ∼ 0.15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볼록부를 형성하는 고평량부 (41) 는, 그 밀도가 0.05 ∼ 0.50 g/㎤ 이며, 0.10 ∼ 0.40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된다.
<밀도의 측정 방법>
KEYENCE 사 제조 현미경 VHX-1000 을 사용하여, 흡수체 (4D) 의 도 27 상당한 단면을 관찰하고,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두께를 측정한다.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구한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평량을 각각 측정한 두께로 나누어,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의 밀도를 산출한다.
볼록부를 형성하는 고평량부 (41) 는,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코너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물품 (1D) 의 고평량부 (41) 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네 코너가 원호상이며, 각 코너의 곡률 반경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다. 이와 같이, 고평량부 (41) 의 코너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회전 드럼 (50) 상에 형성된 드럼 오목부 (51) 에 적섬된 고평량부 (41) 가 메시 벨트 (75) 상에 전사될 때에 드럼 오목부 (51) 로부터 신속하게 전사되기 쉽고, 고평량부 (41) 의 성형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고평량부 (41) 를 평면에서 보아, 코너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원호상이 아니어도 되고, 고평량부 (41) 의 평면에서 본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 타원 등이어도 된다.
볼록부를 형성하는 고평량부 (41) 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흡수성 물품 (1D) 이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길이 방향 (X) 의 길이 (L2) 가,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 이하이다. 또, 그 폭방향 (Y) 의 길이 (L3) 가,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이하이다.
볼록부를 형성하는 고평량부 (41) 는, 흡수성 물품 (1D) 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길이 방향 (X) 의 길이 (L2) 가,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7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mm 이하이다. 또, 그 폭방향 (Y) 의 길이 (L3) 가,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mm 이하이다.
본 발명 (제 4 발명) 에 있어서는, 도 27,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D) 의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측으로 함몰된 오목부 (저평량부) (42) 와 이면 시트 (3)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6) 이, 적어도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도 27,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평량부 (42)(42X, 42Y) 가 전체적으로 격자상으로 형성되고, 격자의 눈의 위치에 고평량부 (41) 가 배치되어 있고, 오목부 (저평량부 (42)) 는 볼록부 (고평량부 (41)) 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도 27,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연속 직선상의 복수의 오목부 (저평량부 (42X)) 와 이면 시트 (3) 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 (6X) 이, 길이 방향 (X) 으로 각각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연속 직선상의 복수의 오목부 (저평량부 (42Y)) 와 이면 시트 (3) 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 (6Y) 이, 폭방향 (Y) 으로 각각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는, 착용 내의 습도는, 특히 경혈의 흡수에 의해 높아지고,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착용 내의 습도는, 특히 뇨(尿)의 흡수에 의해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는, 사용시의 착용 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흡수성 물품 (1D) 이,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공간 (6X) (저평량부 (42X) 와 동일한 갯수) 은, 2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생리용 냅킨 한 장당 흡수하는 경혈의 양에 비해, 일회용 기저귀 한 장당 흡수하는 뇨의 양이 많은 것, 일반적으로 생리용 냅킨에 비해 일회용 기저귀가 흡수체의 폭이 넓은 점에서, 사용시의 착용 내의 습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흡수성 물품 (1D) 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공간 (6X) (저평량부 (42X) 와 동일한 갯수) 은, 3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4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과 동일한 이유에서, 흡수성 물품 (1D) 이,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폭방향 (Y)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공간 (6Y) (저평량부 (42Y) 와 동일한 갯수) 이, 8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 (1D) 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폭방향 (Y)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공간 (6Y) (저평량부 (42Y) 와 동일한 갯수) 이, 1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체 (4D) 는,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도 2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D) 의 표면 시트 (2) 측에, 이면 시트 (3) 측의 요철 구조의 오목부 (저평량부 (42)) 에 대응하여, 이면 시트 (3) 측으로 함몰된 표면측 오목부 (43) 를 가지고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오목부 (저평량부 (42)) 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연속 직선상의 복수의 오목부 (저평량부 (42X)) 와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연속 직선상의 복수의 오목부 (저평량부 (42Y)) 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흡수체 (4D) 는,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연속 직선상의 복수의 오목부 (저평량부 (42X)) 에 각각 대응하여, 표면 시트 (2) 측의 면에 이면 시트 (3) 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표면측 오목부 (43X) (도 28, 도 29(a) 참조) 를 가지며, 각 표면측 오목부 (43X) 는,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연속 직선상의 복수의 오목부 (저평량부 (42Y)) 에 각각 대응하여, 표면 시트 (2) 측의 면에 이면 시트 (3) 측으로 함몰된 복수의 표면측 오목부 (43Y) (도 28 참조) 를 가지며, 각 표면측 오목부 (43Y) 는, 폭방향 (Y) 으로 연속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평량부 (42X) (공간 (6X)) 의 갯수와, 표면측 오목부 (43X) 의 갯수는 동일수이며, 저평량부 (42Y) (공간 (6Y)) 의 갯수와, 표면측 오목부 (43Y) 의 갯수는 동일수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D) 의 흡수체 (4D) 는, 도 2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구조의 오목부 (저평량부 (42X, 42Y)) 에 대응하여 표면측 오목부 (43X, 43Y) 를 가지고 있지만, 흡수성 물품 (1D) 이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기 쉬워 피트성을 높이고, 누출을 방지한다는 관점 및 흡수체 (4D) 의 착용자의 피부 맞닿음면에 비해 비피부 맞닿음면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흡수된 액이, 보다 비피부 맞닿음면으로부터 증산되는 것을 촉구하여, 피부 맞닿음면측의 습도의 상승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오목부 (저평량부 (42X, 42Y)) 의 깊이 d2 가, 표면측 오목부 (43X, 43Y) 의 깊이 d1 보다 깊어져 있다. 오목부 (저평량부 (42X, 42Y)) 의 깊이 d2 는, 표면측 오목부 (43X, 43Y) 의 깊이 d1 의 3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깊이 d1 의 5 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측 오목부 (43X, 43Y) 의 깊이 d1 은, 흡수체 (4D) (흡수성 코어 (40D)) 에 있어서의 볼록부 (고평량부 (41)) 의 두께의 2 ∼ 2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1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오목부 (저평량부 (42X, 42Y)) 의 깊이 d2, 및 표면측 오목부 (43X, 43Y) 의 깊이 d1 은, 상기 서술한 고평량부 (41) (볼록부) 및 저평량부 (42) (오목부) 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다.
흡수성 물품 (1D) 의 흡수체 (4D) (흡수성 코어 (40D)) 는, 도 2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 (Y 방향) 으로 걸치는 단면으로 단면에서 보아, 이면 시트 (3) 측의 하변 (L5) 의 길이가, 표면 시트 (2) 측의 상변 (L4) 의 길이보다 길어져 있다.
특히, 흡수성 물품 (1D) 이,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흡수체 (4D) 에 흡수한 경혈로부터 발생하는 습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하변 (L5) 의 길이가, 상변 (L4) 의 길이의 1.5 ∼ 5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4 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특히, 흡수성 물품 (1D) 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흡수체 (4D) 에 흡수된 뇨로부터 발생하는 습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하변 (L5) 의 길이가, 상변 (L4) 의 길이의 1.5 ∼ 7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5 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하변 (L5) 의 길이는, 상기 서술한 고평량부 (41) (볼록부) 및 저평량부 (42) (오목부) 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다. 하변 (L5) 이란, 윤곽 경로를 말하며, 하변 (L5) 은, 이면 시트 (3) 측의 요철 구조의 볼록부 (고평량부 (41)) 정부에 있어서의 폭방향 (Y 방향) 의 길이, 볼록부 (고평량부 (41)) 를 형성하는 Y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벽의 길이, 및 요철 구조의 오목부 (저평량부 (42)) 저부에 있어서의 폭방향 (Y 방향) 의 길이를 측정하여, 그들을 더하여 산출한 길이이다. 상변 (L4) 도, 하변 (L5) 과 동일하게 하여 윤곽 경로 길이를 측정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면 시트 (3) 측의 요철 구조의 오목부 (저평량부 (42)) 와 이면 시트 (3)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6) 은,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도 27,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공간 (6X) 과, 폭방향 (Y)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공간 (6Y) 으로 이루어진다.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공간 (6X) 과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공간 (6Y) 의 교차 영역 (6XY) 에 있어서의 저평량부 (42) 는,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도 2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차 영역 (6XY) 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가장 두께가 얇아져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공간 (6X) 을 형성하는 저평량부 (42X) (오목부) 는, 도 2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오목부의 저부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 (Y)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공간 (6Y) 을 형성하는 저평량부 (42Y) (오목부) 도 단면에서 보아, 오목부의 저부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 (X) 의 공간 (6X) 과 폭방향 (Y) 의 공간 (6Y) 의 교차 영역 (6XY) 에 있어서는, 중앙 부분이 표면 시트 (2) 측으로 가장 함몰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이, 인접하는 볼록부 (고평량부 (41)) 의 경계보다 두께가 얇고, 저평량부 (42) 중에서 가장 두께가 얇아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흡수된 액은 교차 영역 (6XY) 을 통하여, 재빠르게 길이 방향 (X) 의 공간 (6X) 과 폭방향 (Y) 의 공간 (6Y) 에 침투하고, 표면 시트 (2) 로부터 재빠르게 액을 흡수하여, 착용자에게 우수한 드라이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흡수성 물품 (1D) 의 흡수체 (4D) 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저평량부 (42X) 에 대응하여 표면측 오목부 (43X) 를 가지며, 폭방향 (Y) 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저평량부 (42Y) 에 대응하여 표면측 오목부 (43Y) 를 가지고 있고, 표면측 오목부 (43X) 는, 도 2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표면측 오목부 (43X) 의 저부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측 오목부 (43Y) 도, 단면에서 보아, 오목부의 저부에 있어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길이 방향 (X) 의 표면측 오목부 (43X) 와 폭방향 (Y) 의 표면측 오목부 (43Y) 의 교차 영역에 있어서는, 중앙 부분이 이면 시트 (3) 측으로 가장 함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표면측 오목부 (43X) 와 표면측 오목부 (43Y) 의 교차 영역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과, 길이 방향 (X) 의 공간 (6X) 과 폭방향 (Y) 의 공간 (6Y) 의 교차 영역 (6XY) 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의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고, 교차 영역 (6XY) 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의 두께가 저평량부 (42) 중에서 가장 얇아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교차 영역 (6XY) 을 통하여, 흡수성 물품 (1D) 과 착용자의 피부의 사이에 존재하는 습기를 흡습하여, 착용자에게 물크러짐을 잘 느끼지 않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흡수성 코어) 는, 전술한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흡수성 코어) 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D) (흡수성 코어 (40D)) 는, 도 7 에 나타내는 흡수체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와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 3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D) (흡수성 코어 (40D)) 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체 (4A) (흡수성 코어 (40A)) 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이 적용된다.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의 형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표면 시트 (2) 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 (2) 로서는, 예를 들어, 부직포나 개공 필름 등의 액 투과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 (40D) 의 형성 재료인 흡수성 재료 (45) 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섬유 재료로서 목재 펄프, 코튼, 삼 등의 천연 섬유 ;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 ; 아세테이트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흡수성 재료로서 이들의 섬유 재료에 더하여, 추가로 입자상 등의 각종 형상의 흡수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 시트 (3) 로서는, 투습성을 갖는 투습 시트가 사용된다. 투습 시트로서는, 미세 구멍을 다수 가지며, 높은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시트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산칼슘, 황산바륨 등의 무기 분체, 나일론, 폴리스티렌 등의 상용성이 없는 유기 고분자를 혼련한 폴리에틸렌 필름을 1 축 또는 2 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미세 구멍을 가지며, 높은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시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입경 0.5 ∼ 1.0 ㎛ 의 탄산칼슘 등을 30 ∼ 60 중량% 함유하는 평량 20 ∼ 50 g/㎡ 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MD 방향으로 2 배로 연신한, 평량 13 ∼ 28 g/㎡ 의 투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습 시트로서는, 발수성 부직포, 또는 상기의 시트와 그 발수성 부직포의 복합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성 물품 (1D) 이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와 생리용 냅킨 표면의 사이에 존재하는 습기를 재빠르게 배출하기 위해서 충분한 통기량을 가지며, 또한, 공기를 통과시키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경혈을 배어 나오지 않게 하는 충분한 내수압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이면 시트 (3) 에 사용되는 투습 시트의 투습도는, 바람직하게는 0.5 g/100 c㎡·h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g/100 c㎡·hr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 g/100 c㎡·hr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g/100 c㎡·hr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5 ∼ 3.0 g/100 c㎡·hr,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g/100 c㎡·hr 이다.
흡수성 물품 (1D) 이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뇨로부터 발생한 다량의 습기를 재빠르게 일회용 기저귀 내부로부터 증산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경혈에 비해 뇨는 이면 시트 (3) 를 적시기 어려워 겉돌기 쉽기 때문에, 이면 시트 (3) 에 의해 많은 미세 구멍이 존재해도 충분한 내수압이 발현되기 쉽다는 관점에서, 이면 시트 (3) 에 사용되는 투습 시트의 투습도는, 바람직하게는 0.7 g/100 c㎡·h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1.2 g/100 c㎡·hr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0 g/100 c㎡·hr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100 c㎡·hr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2 ∼ 3.0 g/100 c㎡·hr,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 4.0 g/100 c㎡·hr 이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 (제 4 발명) 의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 (1D) 을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 (1D) 이 구비하는 흡수체 (4D) 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체 성형된 고평량부 (41) (볼록부) 및 저평량부 (42) (저평량부 (42X, 42Y)) (오목부) 를 가지며, 저평량부 (42) (저평량부 (42X, 42Y)) 가 표면 시트 (2) 측에 편재되어, 흡수체 (4D) 의 이면 시트 (3) 측에 요철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저평량부 (42X, 42Y)) 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 (1D) 의 사용시에, 표면 시트 (2) 측에 편재된 저평량부 (42) (저평량부 (42X, 42Y)) 로부터 고평량부 (41) 로 체액이 이동하기 쉽고, 또한, 흡수성 물품 (1D) 의 흡수체 (4D) 가 고평량부 (41) 및 저평량부 (42) (저평량부 (42X, 42Y)) 에 의한 요철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면 시트 (3) 측의 하변 (L5) 의 길이가 표면 시트 (2) 측의 상변 (L4) 의 길이보다 길어져 있고, 즉, 흡수체 (4D) 의 이면 시트 (3) 측의 면의 표면적이 표면 시트 (2) 측의 면의 표면적보다 커져 있어, 이면 시트 (3) 측에서의 증기 발산량이 증가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흡수체 (4D) 의 이면 시트 (3) 측의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오목부 (저평량부 (42) (저평량부 (42X)) 와 투습성의 이면 시트 (3)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6X) 이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6X) 을 통로로 하여, 사용시의 착용 내의 습기가 확산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 (1D) 에 의하면, 사용시의 착용 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습윤감을 저감시켜, 쾌적한 장착감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고평량부 (41) (볼록부) 가 저평량부 (42)(42X, 42Y) (오목부) 에 비해 고밀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수성 물품 (1D) 의 사용시에, 표면 시트 (2) 측에 편재된 저평량부 (42) (저평량부 (42X, 42Y)) 로부터 고평량부 (41) 로 체액이 더욱 이동하기 쉽다. 고평량부 (41) 는 저평량부 (42) 에 대해 흡수 용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또한, 고밀도이기 때문에 저평량부 (42) 보다 빠르게 액을 흡수한다. 이 때문에, 저평량부 (42) 는 고평량부 (41) 에 비해, 보다 액을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팽윤되기 어렵고, 흡수체 (4D) 가 액을 비교적 대량으로 흡수한 후에도, 저평량부와 인접하는 공간 (6X) 및 (6Y) 는 소실되지 않는다. 특히, 흡수성 물품 (1D) 에 있어서는, 오목부 (저평량부 (42) (저평량부 (42Y))) 와 투습성의 이면 시트 (3)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6Y) 이 폭방향 (Y) 으로도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습기는 보다 이동 통로가 짧은 공간 (6Y) 을 통로로 하여, 제품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사용시의 착용 내의 습기가 더욱 확산되기 쉽다.
또, 흡수성 물품 (1D) 이 구비하는 흡수체 (4D) 는, 도 2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구조의 오목부 (저평량부 (42X, 42Y)) (오목부) 에 대응하여 표면측 오목부 (43X, 43Y) 를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 맞닿음면측, 비피부 맞닿음면측, 어느 방향으로도 굴곡하기 쉬워, 보다 복잡하게 변형되기 쉽다. 이 때문에 흡수성 물품 (1D) 은 착용자의 복잡한 몸의 라인을 따라 플렉시블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함과 함께, 피트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누출 방지성도 제공한다.
본 발명 (제 4 발명) 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체 (4D) 의 흡수성 코어 (40D) 에 있어서, 고평량부 (41) 는, 도 26,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 (X) 및 폭방향 (Y) 으로 대략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지만,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오목부 (저평량부 (42) (저평량부 (42X))) 와 투습성의 이면 시트 (3)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6X) 이 길이 방향 (X) 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고평량부 (41) 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다수의 고평량부 (41) 를 길이 방향 (X) 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고평량부 열을 형성하고, 그 고평량부 열을 폭방향 (Y) 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하는 고평량부 열에 있어서의 고평량부 (41) 의 피치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평량부 (41) 는, 소정의 고평량부 열에 있어서의 고평량부 (41) 를, 그 고평량부 열과 직교하는 방향 (폭방향 (Y)) 으로 투영했을 때에, 인접하는 고평량부 (41) 의 투영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술한 일 실시형태만이 갖는 부분은, 각 발명 (제 1 ∼ 제 4 발명) 내 또는 각 그 발명간에 있어서, 모두 적절히 서로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추가로 이하의 부기 (흡수성 물품) 를 개시한다.
[1]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흡수성 코어는,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와,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를 가지며, 그 고평량부와 그 저평량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 각각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성 코어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은, 적어도,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방향으로 늘어선 2 개의 상기 고평량부와 2 개의 그 고평량부에 끼워진 1 개의 상기 저평량부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을 획성하는 저벽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 중앙보다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2] 상기 홈의 근방은, 상기 고평량부와 상기 저평량부에서 밀도가 상이한 상기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 상기 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배설부 대향부에 있어서의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 측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그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세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 상기 저평량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 상기 저평량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평면에서 보아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 상기 고평량부는 상기 저평량부에 비해 두께가 크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그 고평량부가 그 저평량부에 비해 융기한 요철 구조를 갖는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 상기 흡수성 코어의 단면에서 보아, 상기 저평량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측에 편재되어 있는 상기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8]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맞닿음면은, 상기 홈의 형성 부위를 제외하고, 요철이 없고 평탄한 상기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9] 상기 흡수성 코어의 단면에서 보아, 상기 저평량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편재되어 있는 상기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0] 상기 흡수성 코어의 비피부 맞닿음면은, 요철이 없고 평탄한 상기 [1] ∼ [6] 및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1]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흡수성 코어는,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와,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를 가지며, 그 고평량부와 그 저평량부는 소정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성 코어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저벽부와 그 저벽부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측벽부에 의해 획성되고 또한 적어도, 소정 방향으로 늘어선 2 개의 상기 고평량부와 2 개의 그 고평량부에 끼워진 1 개의 상기 저평량부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평량부에 있어서의 상기 측벽부를 구성하는 부위에, 그 저평량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갈라진 곳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2] 상기 흡수성 코어의 단면에서 보아, 상기 저평량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측에 편재되어 있는 상기 [1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3]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흡수체를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흡수성 코어는,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와, 그 고평량부에 인접하고 또한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를 가지고 있고, 그 저평량부는, 그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측에 편재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성 코어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가지고 있고, 그 홈은, 상기 고평량부와 상기 저평량부에 걸쳐 형성되고, 또한, 그 홈에는, 상대적으로 얕게 함몰되어 있는 얕은 홈부와, 상대적으로 깊게 함몰되어 있는 깊은 홈부가, 그 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얕은 홈부는, 상기 깊은 홈부에 비해, 상기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긴 흡수성 물품.
[14]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맞닿음면은, 상기 홈의 형성 부위를 제외하고, 요철이 없고 평탄한 상기 [12] 또는 [13]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5] 상기 홈의 근방은, 상기 고평량부와 상기 저평량부에서 밀도가 상이한 상기 [11] ∼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6] 상기 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배설부 대향부에 있어서의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 측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그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세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11] ∼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7] 상기 저평량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11] ∼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8] 상기 저평량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평면에서 보아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11] ∼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9]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는, 투습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흡수체는, 상대적으로 평량이 높은 고평량부와, 그 고평량부에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평량이 낮은 저평량부를 가지며, 그 고평량부 및 그 저평량부는 일체 성형되어 있고, 그 흡수체의 상기 이면 시트측에는, 그 고평량부인 볼록부 및 그 저평량부인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그 흡수체의 상기 표면 시트측에는, 그 저평량부가 편재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표면 시트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이면 시트측으로 볼록하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이면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0] 상기 고평량부는 상기 저평량부에 비해 두께가 크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그 고평량부가 그 저평량부에 비해 융기한 요철 구조를 갖는 상기 [11] ∼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21]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흡수체를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상대적으로 평량이 높은 고평량부와, 그 고평량부에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평량이 낮은 저평량부를 가지고 있고, 그 저평량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측에 편재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체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가지고 있고, 그 홈은, 상기 고평량부와 상기 저평량부에 걸쳐 형성되고, 또한, 그 홈에는, 상대적으로 얕게 함몰되어 있는 얕은 홈부와, 상대적으로 깊게 함몰되어 있는 깊은 홈부가, 그 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얕은 홈부는, 상기 깊은 홈부에 비해, 상기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긴 흡수성 물품.
[22] 상기 저평량부에 있어서, 상기 홈을 획성하는 측벽부는, 그 측벽부보다 그 홈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있는 부위에 비해 저평량인 상기 [2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23]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상기 홈에 대응하는 부위는, 상기 저평량부가 상기 고평량부보다 상기 표면 시트에 가까운 상기 [21] 또는 [2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24] 상기 고평량부는, 상기 저평량부에 비해 고밀도인 상기 [21] ∼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25] 상기 얕은 홈부는, 상기 고평량부에 비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은 상기 [21] ∼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26] 상기 흡수체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의 상기 저평량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홈은, 그 선상의 저평량부와는 길이 방향이 상이한 부분을 가지고 있는 상기 [21] ∼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27]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흡수성 코어는,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와,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를 가지며, 그 고평량부와 그 저평량부는 소정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성 코어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저벽부와 그 저벽부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측벽부에 의해 획성되고 또한 적어도, 소정 방향으로 늘어선 2 개의 상기 고평량부와 2 개의 그 고평량부에 끼워진 1 개의 상기 저평량부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평량부에 있어서의 상기 측벽부를 구성하는 부위에, 그 저평량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갈라진 곳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8] 상기 홈의 근방은, 상기 고평량부와 상기 저평량부에서 밀도가 상이한 상기 [27]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29] 상기 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배설부 대향부에 있어서의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 측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그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세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27] 또는 [28]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0] 상기 저평량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29]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1] 상기 저평량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평면에서 보아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27] ∼ [3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2] 상기 홈은, 상대적으로 얕게 함몰되어 있는 얕은 홈부와, 상대적으로 깊게 함몰되어 있는 깊은 홈부를 가지며, 그 깊은 홈부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저평량부와 겹쳐져 있는 상기 [27] ∼ [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3] 상기 깊은 홈부는, 상기 홈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 깊은 홈부의 그 폭방향 외방에, 상기 얕은 홈부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3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4]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세로로 긴 흡수체를 구비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으로서,
상기 이면 시트는, 투습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흡수체는, 상대적으로 평량이 높은 고평량부와, 그 고평량부에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평량이 낮은 저평량부를 가지며, 그 고평량부 및 그 저평량부는 일체 성형되어 있고, 그 흡수체의 상기 이면 시트측에는, 그 고평량부인 볼록부 및 그 저평량부인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그 흡수체의 상기 표면 시트측에는, 그 저평량부가 편재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표면 시트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이면 시트측으로 볼록하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이면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5]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간은 길이 방향 및 폭방향 각각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34]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6] 상기 흡수체는, 그 흡수체의 상기 표면 시트측에, 상기 이면 시트측의 상기 요철 구조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여, 그 이면 시트측으로 함몰된 표면측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상기 표면측 오목부의 깊이보다 깊은 상기 [34] 또는 [35]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7] 상기 고평량부는, 상기 저평량부에 비해 고밀도인 상기 [34] ∼ [3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8] 상기 공간은 길이 방향 및 폭방향 각각에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과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의 교차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저평량부는, 그 교차 영역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가장 두께가 얇은 상기 [35] ∼ [3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9]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는 상기 고평량부는, 평면에서 보아, 코너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35] ∼ [3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실시예
이하, 본 발명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 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A〕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냅킨 (1A) 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그것을 실시예 1A 의 샘플로 했다. 표면 시트로서는, 2 층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 (자세한 것은 후술) 를 사용하고, 이면 시트로서는, 평량 30 g/㎡ 의 비투습 폴리에틸렌제 필름을 사용하고, 사이드 시트로서는, 평량 20 g/㎡ 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하고, 흡수성 코어를 피복하는 코어랩 시트로서는, 평량 16 g/㎡ 의 흡수지를 사용했다. 흡수성 코어로서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한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는, 도 3 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 (40A) 와 동일한 구성 (요철 구조) 을 갖는 블록형 흡수성 코어로, 흡수성 재료로서 침엽수 노출 크라프트 펄프 (NBKP, 섬유 재료) 및 입자상의 흡수성 폴리머를 중량비로 전자 : 후자 = 4 : 1 로 포함한, 혼합 적섬 타입의 흡수성 코어이며, 흡수성 코어 전체에 있어서의 펄프 평량 200 g/㎡, 흡수성 폴리머 평량 50 g/㎡, 고평량부의 평량 300 g/㎡, 고평량부의 두께 2.0 mm, 저평량부의 평량 140 g/㎡, 저평량부의 두께 0.8 mm,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 200 mm, 폭방향의 전체 길이 75 mm 였다. 또, 고평량부에 관하여, 길이 방향의 길이 (L2) (도 3(a) 참조) 는 20 mm, 폭방향의 길이 (L3) (도 3(a) 참조) 는 10 mm 였다. 또, 고평량부는, 면적 50 c㎡ 당 18 개 형성되어 있었다. 또, 홈의 폭 (L5) (도 3(b) 참조) 은 2 mm, 홈의 깊이 (L6) (도 5 참조) 는 0.5 mm 였다.
실시예 1A 에서 사용한 2 층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는,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상층과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하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별도 제조한 그 상층과 그 하층을 일체화하여 제조했다. 상기 상층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했다. 즉, 먼저, 비열수축성 융착 섬유로서, 야마토 방적 주식회사 제조의 심초(core/sheath)형 복합 섬유 (상품명 NBF-SH, 코어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스 : 폴리에틸렌, 코어/시스 중량비 = 5/5, 섬도 2.2 dtex, 섬유 길이 51 mm) 를 사용하고, 그 융착 섬유를 카드기를 사용하여 해섬하여 웨브로 하고, 이어서, 그 웨브를 에어스루 방식에 의해 열처리 (120 ℃) 하여 평량 20 g/㎡ 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얻고, 그 에어스루 부직포를 상기 상층으로 했다. 또, 상기 하층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했다. 즉, 잠재 권축성 섬유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을 시스 성분으로 한 열수축성을 나타내는 심초형 복합 섬유, 섬도 2.2 dtex, 야마토 방적 주식회사 제조, 권축 개시 온도 90 ℃) 를 원료로서 사용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카드기를 사용하여 평량 20 g/㎡ 의 웨브를 제조하고, 그 웨브를 상기 하층으로 했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별도 제조한 상층과 하층을 중첩하여 중합체를 얻고, 그 중합체를 조각 롤과 평활 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열 엠보스 롤 장치에 통과시켜 히트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고, 그것에 의해 양 층을 부분적으로 접합 일체화하여, 엠보스부 (오목부) 를 갖는 부직포를 얻었다. 그 때, 조각 롤을 하층에 맞닿게 하여, 하층의 측으로부터 엠보스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조각 롤은 175 ℃ 로, 평활 롤은 125 ℃ 로 설정했다. 조각 롤의 엠보스 패턴은, 이른바 지그재그 격자상의 패턴이며, 그 패턴을 구성하는 개개의 엠보스점이 원형 (엠보스 면적 0.047 c㎡) 이고 또한 기계 방향을 따르는 엠보스점의 거리 (피치) 는 7 mm, 횡방향을 따르는 엠보스점의 거리 (피치) 는 7 mm, 기울기 45 °의 방향을 따르는 엠보스점의 거리는 5 mm 였다. 이 시점에서의 엠보스 면적률은 7.2 % 였다. 이어서, 얻어진 부직포를 130 ℃ 로 가열한 열 건조기 내에서 1 ∼ 3 분간 열처리 (에어스루 가공) 했다. 이러한 부직포의 열처리에 의해, 부직포에 포함되는 열 신장성을 나타내는 섬유 (상층의 비열수축성 융착 섬유) 가, 상기 엠보스부 (오목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신장되고, 이 때, 그 섬유의 일부가 상기 엠보스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신장된 그 섬유의 신장분은,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의 갈 곳을 잃어, 그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로서, 부직포의 피부 맞닿음면 및 비피부 맞닿음면의 양면 각각에 있어서의, 지그재그 격자상의 패턴의 상기 엠보스부에 둘러싸인 복수의 영역 각각에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양면에 돌기부를 갖는 2 층 구조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를 얻었다. 이 표면 시트 (2 층 구조의 부직포) 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에 존재하는 돌기부의 섬유 밀도는 0.04 g/㎤, 비피부 맞닿음면에 존재하는 돌기부의 섬유 밀도는 0.10 g/㎤, 상기 엠보스부의 섬유 밀도는 0.70 g/㎤ 였다. 또, 표면 시트의 표면적 (q1) 에 대한 상기 엠보스부의 합계 면적 (q2) 의 비율 (q2/q1) 은 0.29 였다.
〔실시예 2A〕
흡수성 코어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A 와 동일하게 하여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그것을 실시예 2A 로 했다.
실시예 2A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 :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저평량부의 편재 위치가,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와는 반대로, 비피부 맞닿음면측인 흡수성 코어 (블록형 흡수성 코어). 이 흡수성 코어는, 이상의 점 이외에는, 치수를 포함하여 실시예 1A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비교예 1A〕
흡수성 코어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A 와 동일하게 하여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그것을 비교예 1A 로 했다.
비교예 1A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 : 복수의 소정 평량의 흡수부 (실시예 1A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에 있어서 고평량부에 상당하는 부분) 가, 흡수성 코어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 각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인접하는 2 개의 그 흡수부간은, 흡수성 재료가 존재하고 있지 않아 공간부로 되어 있는 (즉, 실시예 1A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에 있어서의 저평량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 흡수성 코어 (블록형 흡수성 코어). 이 흡수성 코어는, 이상의 점 이외에는, 치수를 포함하여 실시예 1A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비교예 2A〕
흡수성 코어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A 와 동일하게 하여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그것을 비교예 2A 로 했다.
비교예 2A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 : 흡수성 재료가 균일한 평량으로 코어 전체에 분포하고 있어 저평량부 및 고평량부를 가지지 않고, 요철 구조를 가지지 않는, 피부 맞닿음면 및 비피부 맞닿음면이 대략 평탄한 흡수성 코어 (플랫형 흡수성 코어). 이 흡수성 코어는, 이상의 점 이외에는, 치수를 포함하여 실시예 1A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평가 A〕
실시예 1A ∼ 2A 및 비교예 1A ∼ 2A 의 각 샘플 (생리용 냅킨) 에 대해, 하기 방법에 따라, 동적 최대 흡수량, 유연성, 통기성을 평가했다. 그들의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동적 최대 흡수량의 평가 방법>
생리용 냅킨을 생리용 쇼츠에 고정시키고, 이 생리용 쇼츠를 인체의 동적 모델에 장착했다. 동적 모델의 보행 동작을 개시시키고, 보행 동작 개시부터 1 분 후에, 1 회째의 액 주입 조작으로서, 동적 모델의 액 배설점부터 생리용 냅킨에 2 g 의 마혈(馬血)을 주입하고, 또한 1 회째의 액 주입 조작 종료로부터 3 분 후에, 2 회째의 액 주입 조작으로서, 동적 모델의 액 배설점부터 생리용 냅킨에 3 g 의 마혈을 주입하고, 또한 2 회째의 액 주입 조작 종료로부터 3 분 후에, 3 회째의 액 주입 조작으로서, 동적 모델의 액 배설점부터 생리용 냅킨에 2 g 의 마혈을 주입한다. 3 회째 이후의 액 주입 조작은, 전회의 액 주입 조작 종료로부터 3 분 후에 동적 모델의 액 배설점부터 생리용 냅킨에 2 g 의 마혈을 주입함으로써 실시한다. 이러한 액 주입 조작을, 생리용 냅킨의 윙부로부터 액 (마혈) 이 배어나올 때까지 반복하고, 액이 배어나오기 전까지 실시한 액 주입 조작에 의해 주입된 액의 총량을, 동적 최대 흡수량으로 했다. 동적 최대 흡수량의 값이 클수록 경혈의 누출 방지성이 우수하고, 고평가가 된다.
<유연성의 평가 방법>
JIS L-1096 (일반 직물 시험 방법) 에 준하여,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의 휨 강성을 평가한다. 평가 장치로서 타이에이 과학 정기 제작소사 제조의 한드로미터 (형식 : HOM-3) 를 사용했다. 한드로미터의 슬릿폭은 40 mm 로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리용 냅킨으로부터 흡수체 (흡수성 코어를 코어랩 시트로 피복한 것) 를 꺼내고, 상기 한드로미터를 사용하여, 꺼낸 흡수체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 200 mm, 폭방향의 전체 길이 75 mm) 의 전단부로부터 100 mm 의 부위에서 그 흡수체를 길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 각각 접어 구부리고, 그 때의 하중치를 측정했다. 이 하중치가 작을수록 유연성이 우수하고, 고평가가 된다.
<통기성의 평가 방법>
생리용 냅킨으로부터 표면 시트 및 흡수체 (흡수성 코어를 코어랩 시트로 피복한 것) 의 적층체를 꺼내고, 그 적층체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측의 중앙부에, 타원형의 주입구 (길이 5 cm, 가로 2.2 cm, 면적 11 ㎠) 가 형성된 아크릴판을 사용하여, 그 주입구로부터 6 g 의 응혈을 일괄 주입 후, 1 분간 방치한다. 그 후, 상기 적층체로부터 표면 시트를 제거하고, 남은 흡수체를 평가 샘플로 하여, 그 통기성을 평가했다. 통기성의 평가는, JIS P8117 (1998) 에 규정되는 「종이 및 판지-투기도 시험 방법-걸리 시험기법」을 참고로 하여, 걸리 시험기 B 형 (상품명 「GURLEY DENSOMETER」, 쿠마가이 리키 공업 (주) 제조) 을 사용하여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횡 50 mm 의 정방형상의 2 매의 아크릴판 (91, 92) 간에, 평가 샘플 90 (흡수성 코어를 코어랩 시트로 피복한 것) 을, 그 평가 샘플 (90) 의 피부 맞닿음면이 공기 주입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아크릴판 (91) 과 맞닿도록 사이에 끼고, 걸리 시험기에 세트한다. 일방의 아크릴판 (91) 은, 그 중앙부에, 그 아크릴판 (91) 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종횡 10 mm 의 정방형상의 관통공 (93) 을 가지고 있는데 대해, 타방의 아크릴판 (92) 은 관통공을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일방의 아크릴판 (91) 의 중량은 9.7 g 이며, 평가 샘플 (90) 의 크기는 아크릴판 (91, 92) 의 크기를 초과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JIS P8117 (1998) 에 기재된 방법으로 300 ㎖ 의 공기가 통과하는 시간 (주입에 필요로 하는 시간, 초) 을 측정하고, 그 측정치로부터 통기 속도 (㎖/초) 를 산출했다. 이 통기 속도의 값이 클수록 통기성이 우수하고, 고평가가 된다.
Figure 112013102306651-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결과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A 및 2A 는, 비교예 1A 및 2A 에 비해 동적 최대 흡수량의 값이 커서, 경혈의 누출 방지가 우수함과 함께, 접어 구부렸을 때의 하중치가 작아 유연성도 우수했다. 이 결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저평량부와 고평량부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된 흡수성 코어 (블록형 흡수성 코어) 에 특정 구조의 홈을 특정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은, 배설액의 흡수·확산성이 우수하고,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잘 일으키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얻는데 있어서 유효한 것이 시사되었다. 또, 실시예 1A 및 2A 그리고 비교예 1A 와 비교예 2A 의 비교로부터, 요철 구조를 갖는 블록형 흡수성 코어는, 요철 구조를 가지지 않는 플랫형 흡수성 코어에 비해, 통기성이 우수하고, 냅킨 장착자의 피부와 냅킨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의 환기 효과가 우수한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B〕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냅킨 (1B) 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그것을 실시예 1B 의 샘플로 했다. 표면 시트로서는, 2 층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를 사용하고, 이면 시트로서는, 평량 30 g/㎡ 의 비투습 폴리에틸렌제 필름을 사용하고, 사이드 시트로서는, 평량 20 g/㎡ 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하고, 흡수성 코어를 피복하는 코어랩 시트로서는, 평량 16 g/㎡ 의 흡수지를 사용했다. 흡수성 코어로서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한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1B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는, 도 14 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 (40B) 와 동일한 구성 (요철 구조) 을 갖는 것으로, 흡수성 재료로서 침엽수 노출 크라프트 펄프 (NBKP, 섬유 재료) 및 입자상의 흡수성 폴리머를 중량비로 전자 : 후자 = 4 : 1 로 포함한, 혼합 적섬 타입의 흡수성 코어이며, 흡수성 코어 전체에 있어서의 펄프 평량 200 g/㎡, 흡수성 폴리머 평량 50 g/㎡, 고평량부의 평량 300 g/㎡, 고평량부의 두께 2.0 mm, 저평량부의 평량 140 g/㎡, 저평량부의 두께 0.8 mm,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 200 mm, 폭방향의 전체 길이 75 mm 였다. 또, 고평량부에 관하여, 길이 방향의 길이 (L2) (도 14(a) 참조) 는 20 mm, 폭방향의 길이 (L3) (도 14(a) 참조) 는 10 mm 였다. 또, 고평량부는 면적 50 c㎡ 당 18 개 형성되어 있었다. 또, 홈의 폭 (L5) (도 14(b) 참조) 은 2 mm, 홈의 깊이 (L6) (도 16 참조) 는 0.5 mm 였다. 또, 얕은 홈부의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 (L8) (도 18(a) 참조) 는 3.4 mm, 깊은 홈부의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 (L9) (도 18(a) 참조) 는 1.0 mm 였다.
〔비교예 1B〕
흡수성 코어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고 또한 얕은 홈부의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 (L8) 및 깊은 홈부의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 (L9) 를 각각 1.2 mm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B 와 동일하게 하여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그것을 비교예 1B 로 했다.
비교예 1B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 : 흡수성 재료가 균일한 평량으로 코어 전체에 분포하고 있어 저평량부 및 고평량부를 가지지 않고, 요철 구조를 가지지 않는, 피부 맞닿음면 및 비피부 맞닿음면이 대략 평탄한 흡수성 코어. 이 흡수성 코어는, 이상의 점 이외에는, 치수를 포함하여 실시예 1B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비교예 2B〕
흡수성 코어로서, 비교예 1B 에서 사용한 흡수성 코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B 와 동일하게 하여 생리용 냅킨을 제작하고, 그것을 비교예 2B 로 했다.
〔평가 B〕
실시예 1B 및 비교예 1B ∼ 2B 의 각 샘플 (생리용 냅킨) 에 대해, 상기 방법에 따라 동적 최대 흡수량, 유연성을 평가했다. 그들의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102306651-pct00002
표 2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B 는, 비교예 1B 및 2B 에 비해 동적 최대 흡수량의 값이 커서, 경혈의 누출 방지가 우수함과 함께, 접어 구부렸을 때의 하중치가 작아, 유연성도 우수했다. 이 결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저평량부와 고평량부가 특정 패턴으로 형성된 흡수성 코어에 특정 구조의 홈을 특정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은, 배설액을 재빠르게 흡수·확산하여, 장착자의 젖음에서 기인하는 불쾌감을 해소하고, 또한 누출 방지홈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유연성을 가지며 피트성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얻는데 있어서 유효한 것이 시사되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된 흡수체를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흡수성 코어는,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평량부와, 그 고평량부에 인접하고 또한 그 흡수성 재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저평량부를 가지고 있고, 그 저평량부는, 그 흡수성 코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측에 편재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성 코어가 일체적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가지고 있고, 그 홈은, 상기 고평량부와 상기 저평량부에 걸쳐 형성되고, 또한, 그 홈에는, 상대적으로 얕게 함몰되어 있는 얕은 홈부와, 상대적으로 깊게 함몰되어 있는 깊은 홈부가, 그 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얕은 홈부는, 상기 깊은 홈부에 비해, 상기 홈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긴 흡수성 물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맞닿음면은, 상기 홈의 형성 부위를 제외하고, 요철이 없고 평탄한 흡수성 물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근방은, 상기 고평량부와 상기 저평량부에서 밀도가 상이한 흡수성 물품.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배설부 대향부에 있어서의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 측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그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세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평량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평량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평면에서 보아 그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외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가로로 긴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9. 삭제
  20. 삭제
KR1020137029829A 2011-05-27 2012-05-25 흡수성 물품 KR101894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8620 2011-05-27
JP2011118621A JP5552091B2 (ja) 2011-05-27 2011-05-27 吸収性物品
JPJP-P-2011-118621 2011-05-27
JP2011118620 2011-05-27
JPJP-P-2011-198000 2011-09-12
JP2011198000A JP5604393B2 (ja) 2011-09-12 2011-09-12 吸収性物品
JP2011209339A JP5779464B2 (ja) 2011-09-26 2011-09-26 吸収性物品
JPJP-P-2011-209339 2011-09-26
JP2012088729A JP2013009946A (ja) 2011-05-27 2012-04-09 吸収性物品
JPJP-P-2012-088729 2012-04-09
PCT/JP2012/063467 WO2012165327A1 (ja) 2011-05-27 2012-05-25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880A KR20140022880A (ko) 2014-02-25
KR101894122B1 true KR101894122B1 (ko) 2018-08-31

Family

ID=4813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829A KR101894122B1 (ko) 2011-05-27 2012-05-2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94122B1 (ko)
CN (2) CN103561703B (ko)
TW (1) TWI5847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0467B2 (ja) * 2016-07-08 2018-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27103B2 (ja) * 2017-10-03 2022-03-01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吸収体の製造装置
JP6749610B2 (ja) * 2017-11-29 2020-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CN112004509B (zh) * 2018-06-05 2022-04-15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CN109223317B (zh) * 2018-10-12 2024-05-14 广东昱升个人护理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型吸收芯体的制备方法及其生产设备
JP7126430B2 (ja) * 2018-11-27 2022-08-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0232472A1 (en) * 2019-05-15 2020-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N110179594A (zh) * 2019-05-31 2019-08-30 重庆百亚卫生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吸收型芯体结构
KR102405032B1 (ko) * 2019-10-14 2022-06-08 김영창 샘 방지 처리된 슬림형 위생팬티
JP7411430B2 (ja) * 2019-12-23 2024-01-11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9154A (ja) * 2007-11-16 2009-06-04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0148708A (ja) * 2008-12-25 2010-07-08 Uni Charm Corp 薄型吸収性物品
WO2010134456A1 (ja) 2009-05-20 2010-11-25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JP2010273810A (ja) * 2009-05-27 2010-12-09 Kao Corp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193B2 (ja) 1993-06-21 2000-10-10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167406B2 (ja) 2001-05-30 2008-10-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80865B2 (ja) * 2002-09-09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可撓軸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173844B2 (ja) 2004-08-19 2008-10-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331331B2 (ja) * 2007-12-06 2013-10-30 花王株式会社 伸縮性吸収体
WO2009081744A1 (ja) 2007-12-25 2009-07-02 Ka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JP5294837B2 (ja) * 2008-12-25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9154A (ja) * 2007-11-16 2009-06-04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0148708A (ja) * 2008-12-25 2010-07-08 Uni Charm Corp 薄型吸収性物品
WO2010134456A1 (ja) 2009-05-20 2010-11-25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JP2010273810A (ja) * 2009-05-27 2010-12-09 Kao Corp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84791B (zh) 2017-06-01
CN103561703A (zh) 2014-02-05
CN103561703B (zh) 2016-08-17
CN105997356B (zh) 2017-11-14
KR20140022880A (ko) 2014-02-25
TW201302176A (zh) 2013-01-16
CN105997356A (zh)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122B1 (ko) 흡수성 물품
CN110478133B (zh) 吸收性物品
JP6257297B2 (ja) 吸収性物品
US10667961B2 (en) Absorbent article and wearable article including absorbent article
JP5319262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05583B1 (ko)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JP4173844B2 (ja) 吸収性物品
EP3747417B1 (en) Absorbent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absorbent article
JP2008206539A (ja) 吸収体の製造方法
JP6378624B2 (ja) 吸収性物品
WO2012165327A1 (ja) 吸収性物品
JP2011255116A (ja) 吸収性物品
JP5552091B2 (ja) 吸収性物品
JP2017086620A (ja) 吸収性物品
JP6875806B2 (ja) 吸収性物品
JP6632343B2 (ja) 吸収性物品
JP2011167573A (ja) 吸収性物品
JP2013009946A (ja) 吸収性物品
JP5779464B2 (ja) 吸収性物品
JP6436708B2 (ja) 吸収性物品
JP2019154650A (ja) 吸収性物品
KR102631170B1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TWI839512B (zh) 吸收性物品及其製造方法
JP2008125761A (ja) 吸収性物品
JP5604393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