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906A - 유리 패널 - Google Patents

유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906A
KR20010013906A KR1019997011928A KR19997011928A KR20010013906A KR 20010013906 A KR20010013906 A KR 20010013906A KR 1019997011928 A KR1019997011928 A KR 1019997011928A KR 19997011928 A KR19997011928 A KR 19997011928A KR 20010013906 A KR20010013906 A KR 2001001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
glass panel
linear expansion
plat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089B1 (ko
Inventor
미나아이데쓰오
가토미치히로
기쿠타마사시
Original Assignee
이즈하라 요우조우
닛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하라 요우조우, 닛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즈하라 요우조우
Publication of KR2001001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10T428/12597Noncrystalline silica or noncrystalline plural-oxide component [e.g., glas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1Glass, ceramic, or sintered, fused, fired, or calcined metal oxide or metal carbide containing [e.g., porcelain, brick, cement, etc.]
    • Y10T428/1317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10T428/192Sheets or webs coplan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4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with heat sealable or heat releasable adhesiv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2)가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주에 걸쳐 열 융해형의 외주 밀폐부가 설치되어 있고, 양 판유리(1A, 1B) 사이의 공극부(V)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어 있는 유리 패널로서, 한 쌍의 판유리(1A, 1B) 중 한 쪽 판유리(1A)의 선 팽창 계수(α1)와 다른 쪽 판유리(1B)의 선 팽창 계수(α2)가 소정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리 패널{Glass Panel}
1매의 판유리보다 단열 성능이 높은 판유리로서,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단열층이 되는 공기층을 개재시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층(複層) 유리가 알려져 있지만, 이 종류의 유리 패널에서는 그 자체의 두께가 커지며 새시를 포함하여 미관을 해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두께가 얇고 보다 단열성이 높은 것으로,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복수의 간격 유지 부재를 배치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 각각의 외연부(外緣部) 사이에 전주에 걸쳐 열 융해형의 외주 밀폐부(예를 들면 저융점 유리)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를 감압 상태로 하여, 보다 얇고 또한 열 관통률이 작은 유리 패널로 만드는 것을 고려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외주 밀폐부의 형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저융점 유리의 페이스트(paste)를 양 판유리의 외주 에지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저융점 유리의 융점 이상으로 온도를 높여, 융해된 상기 저융점 유리를 상기 양 판유리의 외주 에지부 사이에 골고루 퍼뜨린 후 상온(常溫)으로 복귀시킴으로써 고화(固化)된 저융점 유리로 상기 외주 밀폐부가 형성된다.
종래, 이 종류의 유리 패널은 한 쌍의 판유리로서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종류의 판유리(예를 들면, 플로트(float) 판유리)를 선정하거나, 방화 구획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 쪽 판유리를 망입(網入) 판유리로 구성하거나 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리 패널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외주 밀폐부의 형성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패널의 분위기 온도를 높이거나 상온으로 복귀시키거나 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때, 한 쌍의 판유리 각각은 분위기 온도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거나 한다. 이와 같은 판유리의 팽창이나 수축은 각각의 선(線) 팽창 계수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가 상이한 경우에는, 분위기 온도가 상승하면 선 팽창 계수가 큰 쪽의 판유리가 팽창량이 더 커진다.
한편, 분위기 온도가 상온으로 복귀되면 양 판유리 모두 각각 수축되어 원래의 치수로 되돌아간다.
양 판유리의 외주 에지부 끼리를 상기 외주 밀폐부에서 연결할 때는 승온(昇溫) 상태의 분위기 하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양 판유리는 상이한 팽창량을 가진 채 연결되게 되어, 분위기 온도가 상온으로 복귀됨에 따라 선 팽창 계수가 큰 쪽의 판유리는 따른 쪽의 판유리에 비하여 더 수축되려고 한다.
그 결과, 양 판유리의 수축량의 차가 휘어짐이 되어 나타나 유리 패널에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그 휘어지는 양이 큰 경우에는 내부를 감압하려 할 때 대기압에 의하여 유리 패널이 파손되거나 한다.
전술한 종래의 유리 패널에 의하면, 한 쌍의 판유리에 각각 상이한 종류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양 판유리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파손되거나 파손까지는 되지 않아도 양 판유리에 큰 내부 응력이 잔류(殘留)되어 소정의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팽창률이 상이한 판유리를 조합함에 있어서, 적절한 강도가 얻어지기 쉬워 내부가 감압되어 있어도 장기적으로 안정된 유리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양 판유리의 외연(外緣) 전주(全周)에 걸쳐 열 융해형의 외주 밀폐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판유리 사이의 공극부가 감압(減壓) 상태로 밀폐되어 있는 유리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유리 패널을 도시한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유리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대기압 환경 하에서의 유리 패널의 형성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감압 환경 하에서의 유리 패널의 형성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의 특징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의한 유리 패널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양 판유리의 외연 전주에 걸쳐 열 융해형 외주 밀폐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판유리 사이의 공극부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어 있는 유리 패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중 한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α1)와 다른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α2)가
1-α2) ×T ≤6 ×10-5…(1)
단, α1>α2
α1:한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
α2:다른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
T:(외주 밀폐부의 응고 온도-유리 패널의 사용 환경 온도)(℃)
를 만족시키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중 한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와 다른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가 식 (1)을 만족시키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주 밀폐부의 형성 단계에서의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양 판유리에 휘어짐이 발생해도 양 판유리에 과도한 잔류 내부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패널의 형성 단계, 특히 내부를 감압할 때 판유리가 파손되거나 파손까지는 되지 않아도 양 판유리에 큰 내부 응력이 잔류된 채가 되어, 작은 외력(外力)이 작용하는 것만으로 유리 패널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유리 패널로서의 적절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고 또한 유리 패널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유리 재료 등의 생산성도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식 (1)은 선 팽창 계수가 상이한 판유리를 조합하여 형성한 복수의 유리 패널을 대상으로 하여 분위기 온도를 변화시키는 실험을 실시하고, 그 때의 유리 패널의 휘어지는 양으로부터 응력 상태의 적성(適性)을 판단하여 도출하였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양 판유리의 외연 전주에 걸쳐 열 융해형의 외주 밀폐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판유리 사이의 공극부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어 있는 유리 패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중 한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α1)와 다른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α2)가
{(α1×L1-α2×L2) ×T}/L1≤6 ×10-5…(2)
단, α1>α2
α1:한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
α2:다른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
L1:한 쪽 판유리의 길이 치수(m)
L2:다른 쪽 판유리의 길이 치수(m)
T:(외주 밀폐부의 응고 온도-유리 패널의 사용 환경 온도)(℃)
를 만족시키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구성과 같이,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중 한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와 다른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가 식 (2)를 만족시키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쪽 판유리의 길이 치수(양단부의 각 외주 밀폐부와 각각 따로 접한 판유리 부분끼리의 내간격(內間隔) 치수)와, 다른 쪽 판유리의 길이 치수(양단부의 각 외주 밀폐부와 각각 따로 접한 판유리 부분끼리의 내간격 치수)가 상이한 경우에도, 상기 외주 밀폐부의 형성 단계에서의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의한 양 판유리의 휘어짐으로 양 판유리에 과도한 잔류 내부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 패널의 형성 단계에서 판유리가 파손되거나 파손까지는 되지 않아도 양 판유리에 큰 내부 응력이 잔류되어, 작은 외력이 작용하는 것만으로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유리 패널로서의 적절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고 또한 유리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의 판유리 재료 등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 (2)는 선 팽창 계수가 상이한 판유리를 조합하여 형성한 복수의 유리 패널을 대상으로 하여 분위기 온도를 변화시키는 실험을 실시하고, 그 때의 유리 패널의 휘어지는 양으로부터 응력 상태의 적성을 판단하여 도출하였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유리 패널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패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당해 유리 패널(P)은 한 쌍의 판유리(1)(플로트 판유리) 사이에 판면(板面)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페이서(spacer)(2)(간격 유지 부재에 상당함)를 개재시켜 형성한 유리 패널 본체(P1)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판유리(1)인 한 쪽 판유리(1A)와 다른 쪽 판유리(1B) 사이의 공극부(V)를 감압 밀폐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판유리(1) 중 한 쪽 판유리(1A)를 두께 치수 6.8mm(실질적으로는 두께 오차를 고려하면 6.2∼7.4mm이 됨)의 망입 판유리로 구성하고, 다른 쪽 판유리(1B)를 두께 치수 3mm(실질적으로는 두께 오차를 고려하면 2.5∼3.5mm가 됨)의 투명한 플로트 판유리로 구성한다(후술하는 표 1에서의 시험체 No. 11에 상당). 이와 같이 한 쪽 판유리(1A)를 망입 판유리로 하는 유리 패널(P)은 예를 들면 방화 구획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한 쪽 판유리(1A)의 길이 치수(L1) 및 다른 쪽 판유리(1B)의 길이 치수(L2)는 모두 대략 2.1m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한 쪽 판유리(1A)의 선 팽창 계수(α1)는 89.1 ×10-7/℃이고, 다른 쪽 판유리(1B)의 선 팽창 계수(α2)는 88.4 ×10-7/℃이다. 그리고,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주에 걸쳐서는 저융점 유리(예를 들면 땜납 유리)를 사용하여 실링부(4)(열 융해형의 외주 밀폐부에 상당함)를 형성하여 상기 공극부(V)의 밀폐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공극부(V)는 예를 들면 진공 환경 하에서 유리 패널 본체(P1)를 제작하거나 유리 패널 본체(P1)를 제작한 후에 공극부(V)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감압 상태(1.0 ×10-2Torr 이하)로 만든다.
단, 유리 패널 제작 후에 흡인하는 후자의 방법에서는, 상기 한 쌍의 판유리(1A, 1B) 중 어느 하나의 판유리(1B(또는 1A))에 또는 실링부(4)에 양 판유리(1) 사이의 공극부(V)를 감압 밀폐하기 위한 흡인부(3)를 설치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양 판유리(1A, 1B)의 외주 에지부는 한 쪽 판유리(1A)가 판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링부(4) 형성 시에 이 돌출부(5)에 실링 재료(예를 들면 상기 저융점 유리)를 탑재한 상태에서, 효율적이며 또한 확실하게 공극부(V)의 외주부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2)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鋼)으로 이루어진 원주(圓柱)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치수는 직경이 0.30∼1.00mm이고, 높이 치수가 0.1∼0.5mm로 설정되어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양 판유리(1A, 1B)와 접촉하는 부분을 원(圓) 형상으로 형성해 두므로, 양 판유리(1A, 1B)에 대한 접촉 부분에 응력 집중을 발생시키기 쉬운 각부(角部)를 만들지 않으며 양 판유리(1A, 1B)가 잘 파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2)는 10∼25mm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 패널(P)을 구성하는 양 판유리(1A, 1B)의 조합은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6.8mm 두께의 판유리와 3mm 두께의 판유리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두께의 판유리를 조합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패널(P)은 각종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먼저 대기압 환경 하에서 당해 유리 패널(P)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한 쪽 판유리(1A)의 소정 위치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2)를 배치한다.
[2] 이 한 쪽 판유리(1A) 상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쪽 판유리(1B)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5)에 실링부 형성용 저융점 유리(8)(연화점은 320∼390℃)를 탑재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5)에 실링부 형성용 저융점 유리(8)를 도포한 후 충분히 건조하여 다른 쪽 판유리(1B)를 겹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쪽 판유리(1B)에 미리 상기 흡인부(3)가 되는 흡인구(3a)를 형성해 둔다.
[3] 이들 양 판유리(1A, 1B)를 가열(분위기 온도가 500℃ 정도)하여 상기 실링부 형성용 저융점 유리(8)를 융해시킨 후, 상온(본 실시예에서는 20℃)까지 냉각시킨다. 이에 따라서, 실링부 형성용 저융점 유리(8)를 고화시켜 실링부를 형성한다(도 5 참조).
[4] 상기 흡인구(3a)로부터 공극부(V)의 공기를 흡인한 후, 상기 흡인부를 밀봉하고 유리 패널(P)을 형성한다(도 6, 도 7 참조).
또,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패널(P)은 이하와 같이 감압 환경 하에서도 제조할 수 있다.
[1] 먼저 한 쪽 판유리(1A)의 소정 위치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2)를 배치한다.
[2]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 환경 하(예를 들면 진공로 내)에서 상기 돌출부(5)에 실링부 형성용 저융점 유리(8)(연화점은 320∼390℃)를 도포한 한 쪽 판유리(1A)에 다른 쪽 판유리(1B)를 겹친다. 이 경우에는, 다른 쪽 판유리(1B)에 흡인구(3a)를 설치해 둘 필요는 없다.
[3]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판유리(1A, 1B)를 가열(분위기 온도가 500℃ 정도)하여 상기 실링부 형성용 저융점 유리(8)를 융해시키고, 상온(본 실시예에서는 20℃)까지 냉각시킨다. 이에 따라서, 실링부 형성용 저융점 유리(8)를 고화시켜 실링부를 형성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된 공극부(V)를 가지는 유리 패널(P)을 형성한다.
(유리 패널의 평가)
통상 양 판유리(1A, 1B)의 선 팽창 계수가 상이한 경우에는, 실링부(4)를 형성하기 위해 양 판유리(1A, 1B)를 승온 상태로부터 상온 상태로 냉각할 때 양 판유리(1A, 1B)에 생기는 수축량에 차이가 생긴다. 이 차이가 원인이 되어 유리 패널(P)에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패널(P)은 서로 열 팽창 계수가 상이한 판유리(1A, 1B)끼리를 조합하는 것이면서, 상기 식 (1) 또는 식 (2)를 만족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내부 응력의 상승을 방지하여 상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식 (1) 또는 식 (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은 복수의 유리 패널(P)을 사용하여 행한 평가 시험의 결과로부터 구하였다. 당해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표 1]
유리 패널의 평가 시험 결과
여기에서, α1은 한 쪽 판유리(1A)의 선 팽창 계수이고 α2는 다른 쪽 판유리(1B)의 선 팽창 계수이다. L1은 상기 한 쪽 판유리(1A)의 길이 치수이고 L2는 상기 다른 쪽 판유리(1B)의 길이 치수이다. d1은 한 쪽 판유리(1A)의 두께이고, d2는 다른 쪽 판유리(1B)의 두께이다.T는 실링부의 응고 온도와 유리 패널(P)의 사용 환경 온도의 온도차이다. 그리고, 실링부의 응고 온도는 320℃이고 유리 패널(P)의 사용 환경 온도(상온에 상당함)는 20℃로 하였다.
평가는 휘어짐이 발생한 상태에서의 양 판유리(1A, 1B)의 내부 응력도가 장기(長期) 허용 응력도 내에 들어가 있는 것을 「양호」라고 하고, 장기 허용 응력도를 넘는 것을 「불량」이라고 하고, 승온 상태로부터 상온 상태로 냉각되는 과정에서 또는 공극부(V)를 감압하는 과정에서 파괴된 것을 「파손」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판유리의 내부 응력도는 유리 패널(P)의 휘어지는 양으로부터 산출하였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식 (1) 또는 식 (2)의 좌변의 값이 6×10-5이하인 경우에 양호한 유리 패널(P)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식 (1) 또는 식 (2)를 만족시키는 것이면, 만일 어느 한 쪽 판유리의 내부 응력도가 높아졌다고 해도 그 상승 온도는 양 판유리(1A, 1B)의 장기 허용 응력도의 범위 내에 들어가게 되어, 공극부(V)를 감압 상태로 한 경우에도 유리 패널(P)로서의 강도를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표 1에는 양쪽 판유리(1A, 1B)의 두께 조건을 기재하였다. 그러나, 유리 패널(P)의 파손 가능성 등을 판단함에 있어서, 판유리의 두께는 그다지 큰 요인이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시험체 No. 28∼32의 그룹에 주목하면 선 팽창 계수(α1·α2), 판유리의 길이 치수(LL2), 실링부의 응고 온도와 유리 패널의 사용 환경 온도의 온도차(T)는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판유리 두께(d1·d2)의 조건만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No. 28∼32의 평가 결과는 모두 양호하였다.
시험체 18∼23의 그룹 및 시험체 No. 24∼27의 그룹에 대해서도 동일하며, 판유리 두께(d1·d2)만을 변화시켜도 각각의 그룹에서의 평가 결과는 동일하였다.
즉, 유리 패널(P)을 구성하는 판유리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아도 상기 식 (1) 또는 식 (2)의 좌변 값을 고려하면 유리 패널의 평가를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망입 판유리 및 플로트 판유리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 외에도 유리의 종별은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형(型) 판유리, 불투명 유리(표면 처리에 의하여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부여한 유리), 강화 유리나 열선(熱線) 흡수, 자외선 흡수, 열선 반사 등의 기능을 부여한 판유리나 이들과의 조합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유리의 조성에 대해서는 소다 규산 유리(소다 석회 실리카 유리)나, 붕규산 유리나, 알루미노 규산 유리나, 각종 결정화 유리로 할 수도 있다.
〈2〉상기 판유리는 한 쪽 판유리(1A)와 다른 쪽 판유리(1B)가 길이나 폭 치수가 상이한 것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양 판유리(1A, 1B)를 겹치는 방법은 단연부(端緣部)끼리가 일치하는 상태로 중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3〉상기 실시예에서는, 실링부(4)에 저융점 유리(8)를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 외에도 금속 땜납 등의 각종 금속을 사용하여 양 판유리(1A, 1B)의 단연부를 밀봉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 양쪽 판유리(1A, 1B) 중 최소한 한 쪽을 용융시켜 밀봉하는 것, 또는 저융점 유리 이외의 기타 유리를 사용하여 밀봉하는 것일 수도 있다.
〈4〉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인코넬 718이나 그 이외에도 다른 금속·석영 유리·세라믹스 등일 수도 있으며, 요컨대 외력을 받아 양 판유리끼리가 접하지 않도록 잘 변형되지 않는 것이면 된다.
〈5〉상기 판유리(1)는 평판(平板) 형상의 유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곡면 형상으로 형성한 구부러진 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P)은 여러 종류에 걸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축용·탈것(vehicle)용(자동차의 창유리, 철도 차량의 창유리, 선박의 창유리)·기기 요소용(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표면 유리나, 냉장고의 개폐 도어나 벽부, 보온 장치의 개폐 도어나 벽부) 등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

  1.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2)가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外緣) 전주(全周)에 걸쳐 열 융해형의 외주 밀폐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의 공극부(V)가 감압(減壓) 상태로 밀폐되어 있는 유리 패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유리(1A, 1B) 중 한 쪽 판유리(1A)의 선(線) 팽창 계수(α1)와 다른 쪽 판유리(1B)의 선 팽창 계수(α2)가
    1-α2) ×T ≤6 ×10-5…(1)
    단, α1>α2
    α1:한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
    α2:다른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
    T:(외주 밀폐부의 응고 온도-유리 패널의 사용 환경 온도)(℃)
    를 만족시키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유리 패널.
  2.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2)가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주에 걸쳐 열 융해형의 외주 밀폐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의 공극부(V)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어 있는 유리 패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유리(1A, 1B) 중 한 쪽 판유리(1A)의 선 팽창 계수(α1)와 다른 쪽 판유리(1B)의 선 팽창 계수(α2)가
    {(α1×L1-α2×L2) ×T}/L1≤6 ×10-5…(2)
    단, α1>α2
    α1:한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
    α2:다른 쪽 판유리의 선 팽창 계수(/℃)
    L1:한 쪽 판유리의 길이 치수(m)
    L2:다른 쪽 판유리의 길이 치수(m)
    T:(외주 밀폐부의 응고 온도-유리 패널(P)의 사용 환경 온도)(℃)
    를 만족시키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유리 패널.
KR10-1999-7011928A 1998-05-19 1999-05-17 유리 패널 KR100461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634498 1998-05-19
JP98-136344 1998-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906A true KR20010013906A (ko) 2001-02-26
KR100461089B1 KR100461089B1 (ko) 2004-12-09

Family

ID=1517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928A KR100461089B1 (ko) 1998-05-19 1999-05-17 유리 패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09733B1 (ko)
EP (1) EP1010679B1 (ko)
JP (1) JP3312159B2 (ko)
KR (1) KR100461089B1 (ko)
CN (1) CN1217876C (ko)
CA (1) CA2296063C (ko)
DE (1) DE69911156T2 (ko)
DK (1) DK1010679T3 (ko)
WO (1) WO1999059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8100A1 (en) * 2000-06-14 2003-04-02 Nippon Sheet Glass Co., Ltd. Glass panel
AU2002350220B2 (en) * 2001-06-22 2007-02-15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panel
JP3984946B2 (ja) * 2002-12-06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829231B2 (en) * 2005-04-22 2010-1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cell design with an integrated heat exchanger and gas humidification unit
EP3272720B1 (en) * 2015-03-20 2020-05-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lass panel unit, glass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JP6425175B2 (ja) * 2015-03-20 2018-1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真空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187160A (zh) * 2017-05-31 2017-09-22 苏州鑫河镜业有限公司 一种防紫外线夹层硅酸盐玻璃镜片
KR20200130682A (ko) * 2018-01-23 2020-11-19 에이쥐씨 글래스 유럽 비대칭적 진공-단열 게이징 유닛
KR20210044184A (ko) * 2018-05-14 2021-04-22 에이쥐씨 글래스 유럽 비대칭적인 진공-절연된 글레이징 유닛
JP7437321B2 (ja) * 2018-05-14 2024-02-22 エージーシー グラス ユーロップ 非対称真空絶縁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154A (en) * 1985-08-19 1987-07-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Laser sealed vacuum insulation window
JPH0687633A (ja) * 1992-09-03 1994-03-29 Kazuo Kuroiwa 真空断熱ガラス板とその歪抜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11156D1 (de) 2003-10-16
CN1272099A (zh) 2000-11-01
EP1010679B1 (en) 2003-09-10
EP1010679A4 (en) 2002-08-21
KR100461089B1 (ko) 2004-12-09
EP1010679A1 (en) 2000-06-21
CA2296063C (en) 2005-09-13
CN1217876C (zh) 2005-09-07
US6309733B1 (en) 2001-10-30
WO1999059931A1 (fr) 1999-11-25
DE69911156T2 (de) 2004-07-22
DK1010679T3 (da) 2003-12-29
JP3312159B2 (ja) 2002-08-05
CA2296063A1 (en)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984B1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peripheral seal at least partially diffused at temper
EP1506945B1 (en) Translucent glass panel
US7244480B2 (en) Glass panel
US6541084B2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polymer spacers
JP4049607B2 (ja) 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と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ガラスパネル
KR100461089B1 (ko) 유리 패널
EP3728148B1 (en) Multi-layer insulated glass unit comprising a low cte glass layer
US20020064610A1 (en) Glass panel
US6733850B1 (en) Glass pan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200130682A (ko) 비대칭적 진공-단열 게이징 유닛
JP2022513155A (ja) 低cte中央板ガラスを有する断熱ガラスユニット
US20020078711A1 (en) Glass panel and its method of manufacturing
JP2002241149A (ja) ガラスパネル
DE102008034842A1 (de) Wärmedämmformkörper mit einem eine Glasumhüllung aufweisenden Stützkörpe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597131B2 (ja) 複層硝子及びその製造法
JP2002255593A (ja) 低圧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JP2002080247A (ja) 低圧複層ガラス
JP2000054744A (ja) ガラスパネル用間隙保持部材
JP2001180986A (ja) 低圧複層ガラス
TW386134B (en) Glass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