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735A -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735A
KR20010013735A KR1019997011750A KR19997011750A KR20010013735A KR 20010013735 A KR20010013735 A KR 20010013735A KR 1019997011750 A KR1019997011750 A KR 1019997011750A KR 19997011750 A KR19997011750 A KR 19997011750A KR 20010013735 A KR20010013735 A KR 2001001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circumferential
elbow
gap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트젠존제이.
Original Assignee
쿡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쿡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쿡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1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7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8Inflatable balloon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33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phase between adjacent bands
    • A61F2002/91541Adjacent bands are arranged out of ph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8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peak to pe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66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trough to troug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13Horseshoe-shaped, e.g. crescent-shaped, C-shaped, U-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54V-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외과용 스텐트(10)는 동맥과 같은 몸체 관강내에서 중심축(2)으로 부터 이격되게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스텐트(10)는 이 스텐트(10)의 원통 형상을 둘러 싸고 있는 일련의 스트럿(20)으로 부터 형성된다. 각각의 스트럿(20)은 그 곳내에 형성된 일련의 굽힘부(30)를 구비하고, 이들 각각의 굽힘부는 적어도 하나의 트로프(32)와 적어도 하나의 크레스트(36)를 포함한다. 갭(40)은 인접된 스트럿(20)사이에 제공된다. 각 갭(40)은 묶음 바아(50) 또는 링크(180)과 같은 축방향 요소에 의해 스팬된다. 각각의 묶음 바아(50)는 트로프(32)를 통하여 인접된 스트럿(20)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스텐트(10)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상기 스트럿(20)은 함께 수축되지 않고, 이들의 위치를 유지하며, 그래서 수축이 없이 이것의 축방향 길을 유지한다. 상기 링크(180)과 같은 다른 요소는 링크(180)를 포함하는 외과용 스텐트(110)을 위한 향상된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갭(140)을 스팬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Enhanced flexibility surgical stent}
외과용 스텐트는 관강을 강화하고, 지지하며, 보수하거나 또는 관강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맥과 같은 몸체 관강내로 외과적으로 이식될 수 있는 것이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심장 혈관 수술에서, 동맥이 손상되거나 또는 허탈하기 쉽게 되는 위치에서 관상 동맥에 스텐트를 위치시키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일단 위치되면 상기 스텐트는 동맥을 통한 정상적인 피흐름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동맥의 상기 부분을 강화한다. 동맥 및 다른 몸체의 관강에 이식을 위하여 특히 바람직한 스텐트의 하나의 형태는 제 1의 작은 직경으로 부터 제 2의 큰 직경까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는 원통형 스텐트이다. 이러한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는 카테테르를 위치됨으로써 동맥내로 삽입될 수 있고, 팽창되지 않는 스텐트가 바람직하게 위치될 때 까지 환자의 동맥 경로를 통하여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카테테르는 상기 스텐트를 보다 큰 직경으로 반경방향 팽창되도록 하는 스텐트의 외향으로 반경방향 압력을 발생시키는 발룬 또는 다른 팽창 매카니즘과 결합된다. 이러한 팽창가능한 스텐트는 팽창된 이후에 충분한 강성을 나타내고, 이들은 카테테르가 제거된 이후에 팽창되게 남아 있을 것이다.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는 다양하고 서로 다른 특정의 환경에 적절한 수행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서로 다른 형상된다. 예를 들면, 라우(Lau)의 특허(미국특허 제 5,514,154 호, 제 5,421,955 호 및 5,242,399 호)와, 바라시(Baracci)의 특허(특허 제 5,531,741 호)와, 가테루드(Gaterud)의 특허(특허 제 5,522,882 호)와, 지안투르코(Gianturco)의 특허(특허 제 5,507,771 호와 5,314,444 호)와, 터민(Termin)의 특허(특허 제 5,496,277 호)와, 레인(Lane)의 특허(특허 제 5,494,029 호)와, 마에다(Maeda)의 특허(특허 제 5,507,767 호)와, 마린(Marin)의 특허(특허 제 5,443,477 호)와, 크호스라비(Khosarvi)의 특허(특허 제 5,441,515 호)와, 제센(Jessen)의 특허(특허 제 5,425,739 호)와, 힉클(Hickle)의 특허(특허 제 5,139,480 호)와, 샤츠(Schatz)의 특허(특허 제 5,195,984 호)와, 포르덴바케르(Fordenbacher)(특허 제 5,549,662 호)와, 윅토르(Wiktor)(특허 제 5,133,732 호)는 각각 몸체 관강내로 이식하기 위하여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몇몇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각각은 바람직한 것으로 만들지 못하는 다양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이들 많은 팽창가능한 스텐트는 특히 가요성이 아니고, 이들은 스텐트가 팽창하기 못할 때에 거의 선형으로 남아 있게 되는 중심축을 가진다. 이러한 가요성의 결점은 스텐트를 환자의 몸내에서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동맥 경로를 따라서 관통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몇몇 동맥 경로는 이들 동맥 경로의 비비꼬인 성질로 인하여 종래 기술의 외과용 스텐트에 의해서는 접근하기 어렵다. 이들 비비꼬인 동맥 경로를 조종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는 스텐트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동맥이 공지된 종래 기술의 스텐트를 사용해서는 회복될 수 없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각각에 의하여 나타나는 다른 문제점은 이들이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이들 스텐트의 축방향 길이가 감소되는 것이다. 라우의 특허(특허 제 5,514,154호)일지라도, 즉 상기 특허가 축방향 수축을 제한하는 스텐트 디자인을 기재할 지라도, 몇몇의 축방향 수축 특히 일단부에서의 수축을 여전히 나타내고 있다.
외과 의사가 스텐트를 동맥 또는 다른 몸체의 관강내에 위치시킬 때에, 외과 의사가 스텐트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스텐트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결정적인 것이다. 종래 기술의 스텐트에 발생되는 공통적인 것은 상기 스텐트가 반경방향 팽창이전에 바람직한 곳에 정확하게 위치되고, 그 다음에 상기 스텐트가 팽창될 때, 이것의 축방향 수축은 상기 스텐트를 바람직한 곳에 마지막으로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잘못된 위치선정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스텐트가 쉽게 팽창만 하지, 일단 팽창이 발생되면은 쉽게 수축하지 못하는 사실에 의하여 발생된다.
또한, 본 기술분야의 의료 이미징 장치에서도, 몸체 관강내에서의 이식동안에 스텐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종종 어렵다. 위치에 대하여 정확하게 결정하는 어려움은 바람직한 곳에 스텐트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문제점을 혼합하는 스텐트의 위치이다.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거의 또는 어떠한 축방향 수축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스텐트 위치선정 방법동안에 의료적인 이미징 장치에 의하여 쉽게 위치될 수 있는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동맥과 같은 몸체의 관강(lumen)내로 외과적으로 이식될 수 있으며 또한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의 외과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비꼬인 동맥 경로와 다른 날카롭게 굽혀진 몸체 관강을 통하는 통로용의 향상된 가요성을 나타내는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외과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반경방향 팽창이 발생하기 전에 본 발명의 외과용 스텐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반경방향 팽창이 발생한 이후에 도 1에 도시된 스텐트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스텐트의 형상을 상세하기 나타내기 위하여 평면에 스텐트의 원통형 돌출부가 있은 이후에 도 1에 도시된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반경방향 팽창이후에 스텐트의 형상을 상세하기 나타내기 위하여 평면위에 스텐트의 원통형 돌출부가 있은 후에 도 2에 도시된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반경방향 팽창이전에 도 3에 도시된 것의 제 1의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는 스텐트의 평면도.
도 6은 반경방향 팽창이 발생한 이후에 도 5에 도시된 스텐트의 평면도.
도 7은 반경방향 팽창이전에 도 3에 도시된 것의 제 2의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는 스텐트의 평면도.
도 8은 반경방향 팽창이 발생한 이후에 도 7에 도시된 스텐트의 평면도.
도 9는 반경방향 팽창이전에 도 3에 도시된 것의 제 3의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는 스텐트의 평면도.
도 10은 반경방향 팽창이 발생한 이후에 도 9에 도시된 스텐트의 평면도.
도 11은 반경방향 팽창이전에 방사 불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된 단부 스트럿으로서 도 9에 도시된 것의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는 스텐트의 평면도.
도 12는 반경방향 팽창이후에 도 11에 도시된 스텐트의 평면도.
도 13은 비방사 불투명한 물질보다 방사 불투명한 물질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는 의료 이미징 장치에 의하여 관찰될 때 나타나는 것으로서, 상기 관강은 방상 불투명한 염료에 의하여 명확하게 외형이 나타나고, 비방사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된 스텐트의 부분은 단지 모호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도시하는 파선으로 도시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스텐트의 정면 사시도.
도 14는 보다 많은 수의 축방향 링크 요소가 스텐트의 스트럿사이의 스팬 갭을 구비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스텐트의 다른 실시예의 원통형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5개의 링크가 각각의 갭을 스팬하도록 제공되고, 5개의 묶음 바아가 각 갭을 스팬하도록 제공되며, 그리고 보다 많은 수의 굽힘부가 각 스트럿을 위하여 제공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의 다른 실시예의 원통형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4개의 묶음 바아가 각 갭을 스팬하도록 제공되고, 4개의 링크가 각 갭을 스팬하도록 제공되며,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수의 굽힘부가 제공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의 또 다른 실시예의 원통형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상기 스트럿이 스텐트의 보다 큰 반경방향 팽창량의 보다 큰 크기를 나타내는 도 16에 도시된 것에 대한 다른 원통형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가요성의 축방향 링크 요소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17에 도시된 부분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 내지 도 21은 상기 스텐트의 가요성의 축방향 링크 요소 엘보우용의 3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8에 도시된 부분의 원통형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상기 스텐트의 반경방향 팽창이전에 몸체 관강에서 날카로운 곡선부를 통과할 때와 같이 굽혀지는 카테테르를 가진 카테테르의 위치에서 본 발명의 스텐트중의 하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어떻게 상기 스텐트가 비비꼬인 동맥 경로를 충분히 따르도록 굽혀질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스텐트중의 하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외과용 스텐트 이식을 위하여 몇몇의 잠재적인 사이트를 나타내는 심장의 동맥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스텐트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전체 축길이를 따라서 거의 또는 아무런 수축을 발생시키지 않는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를 제공한다. 상기 스텐트는 이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는 원주 요소로 작용하는 일련의 스트럿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트럿은 인접된 스트럿의 다른 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의 중심축에 수직인 분리된 평면으로 정렬된다. 상기 스텐트는 이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조인트되는 다양하고 서로 다른 스트럿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2개의 단부 스트럿은 이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 1 단부 스트럿과 제 2 단부 스트럿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중간 스트럿은 2개의 단부 스트럿사이에 통상적으로 제공된다.
이들 스트럿의 각각은 이들이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을 때 파형 외형을 나타낸다. 그래서, 각각의 스트럿은 이 스트럿의 길이를 따라서 교대로 있는 트로프(trough)와 크레스트(crest)를 가지는 일련의 굽힘부를 가진다. 각각의 트로프는 인접된 스트럿으로 부터 가장 이격된 스트럿 부분을 형성하고, 각각의 크레스트는 인접된 스트럿에 가장 근접된 스트럿의 부분을 형성한다. 각각의 트로프의 저부와 각 크레스트의 상부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스트럿의 크기는 이 크기가 일반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텐트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수정된다.
상기 단부 스트럿은 2개의 인접된 스트럿을 함께 연결하는 축방향 요소로 작용하는 묶음 바아에 의하여 인접된 중간 스트럿에 부착된다. 또한, 묶음 바아는 서로에 대하여 인접된 중간 스트럿을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묶음 바아는 이 묶음 바아의 하나의 말단에서 제 1 접합부와, 이 묶음 바아의 대향된 말단에서 제 2 접합부를 통하여 인접된 스트럿에 부착된다. 상기 제 1 접합부와 제 2 접합부는 스트럿의 트로프내에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묶음 바아는 갭의 최대 폭 부분에서 인접된 스트럿사이의 갭을 스팬한다. 모든 갭은 묶음 바아의 축방향 요소에 의하여 스팬될 필요는 없다. 또한, 분리된 중간 원주 요소는 트로프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중간 요소에 연결된 링크를 통하여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스텐트의 가요성을 최대로 하고, 스텐트가 매우 굽혀지고 비비꼬인 동맥 경로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향상된 가요성의 링크 요소의 형태로 있는 축방향 요소는 몇몇 스트럿사이의 스팬 갭에 제공된다. 링크 요소에 의하여 스팬되는 상기 갭은 이러한 링크 요소가 축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기 때문에 쉽게 굽혀질 수 있다. 각각의 링크 요소는 엘보우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는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을 구비한다. 상기 엘보우는 어느 정도 굽혀지도록 충분히 얇게 되고, 이것은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을 서로로 향하게 하고 그리고 이격되게 굽혀지도록 하고, 또한 가요성의 링크 축방향 요소에 인접된 갭 부분을 교대로 좁히거나 팽창시킨다. 상기 스텐트가 굽혀질 때, 갭에서 몇몇의 링크 요소는 수축되고, 갭에서 몇몇 링크 요소는 팽창되며, 갭이 스텐트의 곡선 내부에서는 보다 작게 되고 스텐트의 곡선 외부에서는 보다 크게되는 가변성 폭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스텐트가 굽혀진 동맥 경로를 통하여 이동할 때, 상기 링크 축방향 요소는 필요에 따라서 팽창되고 수축될 수 있으며, 이것은 갭이 굽혀지도록 하며, 그리고 스텐트 그자체가 통과하는 동맥경로의 외형을 가요성으로 채택하도록 한다.
상기 스텐트의 가요성의 필요와 강도 요구에 의존하면서, 서로 다른 수의 트로프가 인접된 스트럿을 서로에 대하여 부착하는 묶음 바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많은 전체수의 파동형이고 축방향 요소가 제공된다. 향상된 가요성이 바람직하다면, 보다 작은 수의 축방향 요소가 인접된 스트럿 사이에 제공될 수 있거나, 링크 축방향 요소의 아암이 길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요소가 위치되는 갭은 넓혀질 수 있다. 상기 스트럿의 파동형 외형은 이들의 길이를 따라서 굽혀져 있기 보다는 평면이 모자라는 스트럿을 가진 구불구불한 형상이 될 수 있거나, 상기 스트럿은 선형의 굴곡 섹션에 의하여 함께 결합되는 선형의 트로프 섹션과 선형의 크레스트 섹션을 포함하는 일련의 선형 섹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하고 서로 다른 의료 이미징 장치에 의하여 관찰될 때 상기 스텐트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텐트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형성하는 스트럿은 스텐트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가 환자의 몸체 관강내에서 스텐트의 이식동안 또는 그 이후에 의료 이미징 장치를 통하여 뚜렷하게 볼수 있도록, 금,은 또는 백금과 같은 방사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스텐트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형성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도면을 통하여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 부호 10은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 축방향으로 비수축적인 외과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도 1 및 도 2). 상기 스텐트(10)는 스트럿(20)으로 언급되고 다중의 축방향 요소에 의하여 함께 묶어지며 많은 것들이 묶음 바아(50)로 언급되는 일련의 원주 요소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스트럿(20)은 상기 스텐트(20)의 직경이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스트럿(20)의 크기(22)(도 4)가 감소될 수 있으며 그리고 스트럿(20)의 직경이 증가할 수 있는 파형 형태이다.
기본적으로 특히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스텐트(10)는 다음의 기본적인 특징을 포함한다. 스트럿(20a,20b,20c,20d,20e,20f)과 같은 일련의 원주 요소는 각각 스텐트(10)의 원통형상을 둘러싸는 방법으로 배향된다. 각각의 스트럿(20)은 파형 형태를 가지고 상기 스트럿(20)을 제공하는 일련의 굽힘부(30)(도 3 및 도 4)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트럿(20)은 인접된 스트럿사이에서 갭(40)에 의하여 인접된 스트럿(20)으로 부터 이격된다. 일련의 묶음 바아(50)는 인접된 스트럿(20)사이에서 연장되고, 갭(40)을 가로지르며, 인접된 스트럿(20)을 서로 대하여 연결시킨다. 상기 묶음 바아(50)는 스텐트(10)가 화살표 R를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동안에 인접된 스트럿(20)의 축방향 위치를 유지하는 축방향 요소로 작용한다(도 2). 상기 묶음 바아(50)는 충분히 가요성이고 다른 묶음 바아(50)로 부터 충분하게 이격됨으로써, 상기 전체 스텐트(10)는 이 스텐트(10)의 반경방향 팽창이전에 동맥 경로 또는 다른 몸체 관강을 통하여 상기 스텐트(10)가 이동할 때에 중심축(2)을 어느 정도 굽히도록 굽혀질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에서, 외과용 스텐트(10)의 상세한 것이 제공된다. 각각의 스트럿(20)은 스텐트(10)를 형성하는 원통형상내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금속과 같은 재료의 얇고 긴 스트랜드이다. 각각의 스트럿(20)은 이것이 스텐트(10)의 원통 형상을 둘러싸고 있을 때에 일정한 크기(22)(도 4)및 파형(24)(도 4)을 가지는 파형 형상을 나타낸다. 그래서, 각각의 스트럿(20)은 일련의 교대로 있는 트로프(32)와 크레스트(36)를 제공하는 그 곳내의 굽힘부(30)를 가진다. 각각의 인접된 트로프(32)와 크레스트(36)사이에서, 편향점(34)은 트로프(32)와 크레스트(36)사이의 전이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굽힘부(30)는 이것이 트로프(32) 또는 크레스트(36)이든 간에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크게 도시된다. 일치를 위하여 도 4에서, 상기 트로프(32)는 굽힘부가 대면하고 있는 인접된 스트럿(20)로 부터 가장 이격된 각각의 굽힘부(30)의 부분으로 정의 될 것이고, 상기 크레스트(36)는 굽힘부(30)가 대면하는 인접된 스트럿(20)에 가장 근접된 각각의 굽힘부(30)의 부분이다. 각각의 트로프(32)와 크레스트(36)는 각각의 굽힘부(30)의 특정점이 아니고, 하나의 편향점(34)으로 부터 각각의 스트럿(20)을 따라서 다음의 인접된 편향점(34)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굽힘부(30)의 부분이 트로프(32) 또는 크레스트(36)인지 하는 것은 분석되는 각각의 굽힘부(30)의 측부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텐트(10)의 제 1 단부(600와 제 2 단부(70)로 부터 이격된 굽힘부(30)는 제 1 단부(60)에 가장 가까운 굽힘부(30)의 한쪽에 있는 크레스트(36)와, 제 2 단부(70)에 가장 가까운 동일한 굽힘부(30)의 다른쪽의 트로프(32)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편향점(34)은 굽힘부(30)가 하나의 방향(즉 시계방향)에서 굽혀짐으로 부터 대향된 방향(즉 반시계 방향)으로 굽혀지도록 전이하는 점이다. 각각의 편향점(34)은 각각의 스트럿(20)의 각 파장(24)의 시작과 중간에서 발생되는 단일 점이 양호하다. 그러나, 상기 편향점(34)은 단순히 점이라고 하기 보다는 각각의 크레스트(36)와 각각의 트로프(32)사이의 선형 영역이 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각각의 스트럿(20)은 인접된 스트럿(20)과 정렬됨으로써, 인접된 스트럿(20)의 트로프(32)는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각각의 스트럿(20)의 크레스트(36)는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갭(40)은 인접된 스트럿(20)의 각 쌍사이에 위치된다. 그래서, 제 1 단부(60)에 인접된 스트럿(20a)과, 제 2 단부(70)에 인접된 스트럿(20f)과 같은 단부 스트럿(20)에서 인접된 단지 하나의 갭(40)을 가지고, 중간 스트럿(20b,20c,20d,20e)은 어느 하나의 측부에서 갭(40)을 가진다. 양호하게는, 각각의 갭(40)은 이 갭(40)에 인접된 어느 하나의 스트럿(20)에 의하여 교차되지 않는 인접된 스트럿(20)사이의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묶음 바아(50)는 갭(40)을 스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각각의 갭(40)은 이 갭(40)이 인접된 스트럿(20)의 인접된 트로프(32) 또는 인접된 스트럿(20)의 인접된 크레스트(36)인지에 의존하면서 변화되는 폭을 가진다. 인접된 스트럿(20)의 크레스트(36)에 인접된 갭(40)의 위치에서, 갭(40)의 최소폭(42)이 형성된다(도 4). 인접된 스트럿(20)의 트로프(32)에 인접된 갭(40)을 따라 있는 위치에서, 갭(40)의 최대 폭(44)이 형성된다(도 4). 그래서, 각각의 갭(40)은 이 갭(40)이 스텐트(10)의 원통형상을 둘러싸고 있을 때 최소(42)와 최대(44)의 교대로 있는 패턴을 나타낸다.
또한, 각각의 최대(44)는 상기 갭(40)이 갭(40)의 중심평면으로 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인접된 스트럿(20)을 향하는 중요한 거리로 연장되는 측방향 슬롯(46)(도 4)을 형성한다. 상기 슬롯(46)은 인접된 스트럿(20)의 굽힘부(30)의 형성과 스텐트(10)의 반경방향 팽창상태(즉, 도 2의 화살표 R를 따른 반경방향 팽창이전 또는 반경방향 팽창 이후)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형을 가진다. 양호하게는, 화살표 R를 따른 반경방향 팽창이전에, 각각의 슬롯(46)(도 4)은 굽힘부(30)의 구근모양(bulbous) 외형을 미러하는 구근형상을 가짐으로써(도 3), 먼저 슬롯(46)은 좁게되고, 그 다음 상기 슬롯(46)이 갭(40)의 중심면으로 부터 이격되게 연장되고 인접된 스트럿(20)의 굽힘부(30)중의 하나에서 트로프(32)중의 하나로 다운될 때 팽창한다. 상기 스텐트(10)가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이후에(도 4), 상기 슬롯(46)은 이 구근형상의 특성을 잃게 되고, 상기 슬롯(46)이 갭(40)의 중심면으로 부터 이격되게 연장될 때 폭이 테이퍼지는 외형을 가진다.
구근 형상으로 굽힘부(30)의 상기 특성을 갖도록 상기 스트럿(20)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46)을 좁게 제공하고, 그 다음 폭을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럿(20)은 화살표 R를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부가로 팽창된다. 이러한 점은 상기 스텐트(10)가 화살표 C를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보다 큰 길이로 연장되도록 하고(도 2 및 도 4), 반경방향 팽창성을 최대로 한다. 이러한 슬롯(46)의 구근형상은 스트럿(20)의 크기(22)(도 4)가 스텐트(10)의 반경방향 초기 팽창동안에 변하지 않고 남아 있도록 한다. 단지 중요한 반경방향 팽창과 원주 팽창이 발생한 이후에만, 상기 스트럿(20)의 크기(22)는 크게 감소하기 시작한다.
적어도 하나의 묶음 바아(50)는 각 갭(40)내에 배향된다. 상기 묶음 바아(50)는 제 2 말단으로 부터 이격된 제 1 말단을 가지는 얇고 긴 구조인 것이 양호하다. 상기 제 1 말단은 제 1 접합부(52)에서 제 1의 인접된 스트럿(20)에 부착되고, 제 2 말단은 제 2 접합부(54)에서 제 2의 인접된 스트럿(20)에 부착된다. 상기 제 1 접합부(52)와 제 2 접합부(54) 둘다는 묶음 바아(50)에 의하여 스팬되는 갭(40)에 인접된 스트럿(20)의 트로프(32)내에 위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스텐트(10)의 반경방향 팽창동안에 화살표 A(도 2)에 따른 축방향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단부(60)와 제 2 단부(70)에 인접된 단부 스트럿(20a,20f)에 연결되는 묶음 바아(50)의 적어도 말단은 단부 스트럿(20a,20f)의 트로프(32)에 부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제 1 단부(60)와 제 2 단부(70)로 부터 이격된 중간 스트럿(20)에 연결된 상기 묶음 바아(50)의 제 2 말단부는 트로프(32) 또는 크레스트(36)에 부착될 수 있다.
각 갭(40)을 가로 질러 있는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묶음 바아(50)와, 트로프(32)에 위치된 접합부(52,54)으로서, 갭(40)에서의 슬롯(46)의 길이는 유지된다. 그래서, 각 갭(40)에 인접된 스트럿(20)의 크기(22)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점까지 화살표 R를 따라서 상기 스텐트(10)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각 갭(40)에 인접된 스트럿(20)은 함께 수축되지 않는다. 또한, 갭(40)에서의 최소(42)는 확대되고, 상기 스트럿(20), 특히 단부 스트럿(20a,20f)은 이들의 위치를 유지한다. 그래서, 어떠한 축방향 수축도 화살표 A를 따라서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스텐트(10)를 형성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 1 단부(60)와 제 2 단부(70)를 형성하는 스트럿(20a,20f)에서 트로프(32)내에 부착되는 묶음 바아(50)에 의하여 스팬되는 제 1 단부(60)와 제 2 단부(70)에 인접된 갭(40)이다. 또한, 중간 스트럿(20b,20c,20d,20e)사이의 다른 묶음 바아(50)는 트로프(32) 또는 크레스트(36)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인접된 중간 스트럿(20b,20c,20d,20e)사이의 묶음 바아(50)는 이 묶음 바아(50)가 단지 트로프(32)에만 부착되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인 보다 많은 수의 트로프(32)가 아니다면 적어도 동일한 수의 트로프(32)와 크레스트(36)에 부착되어야만 한다.
상기 묶음 바아(50)의 얇은 단면은 이 묶음 바아(50)가 다소간 많은 경우에 굽혀지도록 하는 것을 경험으로 부터 결정된다. 그래서, 묶음 바아(50)의 굽힘 가능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크레스트(36)에 부착되는 묶음 바아(50)보다 트로프(32)에서 인접된 스트럿(20)에 연결되는 묶음 바아(50)에 의하여 스팬되는 보다 많은 수의 갭(40)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양호하게는, 각 갭(40)은 각 인접된 스트럿(20)의 트로프(34)로 부터 연장되는 묶음 바아(50)를 구비한다. 이론상으로는, 상기 형상은 화살표 R를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화살표 A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상기 스텐트(10)를 실질적으로 팽창시키도록 할 수 있지만, 상기 묶음 바아(50)는 몸체 관강내에 위치될 때 다소간 굽혀지며, 그래서 약간 짧게 되며, 이것은 수축 또는 팽창의 최소량의 약간의 가능성만 가지고 팽창이전에 상기 스텐트(10)가 거의 동일한 축방향 길이로 현실적으로 남아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라우의 특허(특허 제 5,514,154 호)에 기재된 팽창가능한 스텐트와 같은 소위 비수축적인 스텐트는 종래 기술의 스텐트를 형성하는 원주 요소의 크기의 반만큼 수축할 수 있다. 특히, 라우 특허에 기재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스텐트의 수축은 축방향 요소가 원주 요소의 크레스트에서 원주 요소를 결합하는 스텐트의 단부에 발생한다.
상기 스트럿(20)과 스텐트(10)의 다른 요소을 형성하는 물질은 스트럿(20)을 형성하는 물질의 탄성 제한을 초과하는 점까지 화살표 R(도 2)를 따라서와 같이 반경방향 힘으로 상기 스트럿(20)이 쉽게 하중이 걸릴 수 있는 충분한 최소 단면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반경방향 힘이 적용될 때, 스트럿(20)을 형성하는 물질은 가소성으로 변형되고, 이것은 상기 스트럿(20)이 반경방향으로 팽창되게 하고, 원주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하며, 그리고 크기가 수축되도록 한다. 상기 스트럿(20)을 형성하는 물질의 이와 같은 변형은 이론상으로는 부가의 변형이 인장상태에서 스트럿(20)의 실폐를 궁극적으로 발생시키기 전에 상기 스트럿(20)이 원형상으로 변형될 때 까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상기 스텐트(10)는 이것의 최대 가능한 양까지 이 스텐트(10)를 팽창시키지 않음으로서 전체적인 구조 강도를 갖지만, 그러나 상기 스트럿(20)이 단지 약간 증가되는 크기로 파형 형상을 여전히 나타내고 그리고 스트럿(20)의 파형 길이가 각 스트럿(20)의 원주 길이에서의 확대량과 유사한 양으로 확대되는 점까지는 확대된다. 상기 스트럿(20)이 가소성 변형을 겪게될지라도, 상기 스트럿(20)을 형성하는 물질의 최종의 강도는 초과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물질은 관심이 있는 강도는 물론 유사한 특성을 여전히 나타내고, 팽창된 형상에서 몸체 관강을 지지하는 바람직한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은 인치 제곱당 40,000과 75,000 파운드 사이의 항복강도를 가지고, 인치 제곱당 90,000과 125,000 파운드 사이의 극한 강도를 가진다. 그래서, 상기 스트럿(20)을 형성하는 물질이 초과되는 항복강도를 가지지만 그러나 초과되지 않은 극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텐트(10)에 충분한 반경방향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거의 직선으로 전방으로 있다. 이러한 점은 상기 스트럿(20)이 반경방향 팽창 공정 동안에 실질적으로 "굽힘"으로 있지만 "스트레칭"으로 있지 않는 것이다. 상기 스텐트(10)와 같은 스텐트를 팽창하기 위한 기술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공기 또는 다른 유체로 채워질 수 있는 스텐트내의 팽창가능한 발룬을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이것은 발룬이 탄성적으로 팽창하도록 하고, 스텐트에 반경방향 힘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팽창 기술의 상세한 것은 본 발명의 배경에서 언급된 특허에 기재되어 있고, 참고로 본원에 합체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외과용 스텐트(10)에 대한 변경예로서, 외과용 스텐트(110)(도 5 및 도 6)는 스텐트(110)의 어떠한 부분을 스팬하는 특징적인 링크(18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텐트(110)는 아래에서 특별히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양호한 실시예의 스텐트(10)의 형상과 유사하다. 그래서, 상기 스텐트(110)는 인접된 스트럿(120)사이의 갭(140)과 양호한 실시예의 스트럿(20)에서 굽힘부(30)와 유사한 굽힘부(130)를 가진 스텐트(110)용의 원주 요소를 제공하는 스트럿(120)을 포함한다. 각각의 굽힘부(130)는 교대로 있는 일련의 트로프(132)와 크레스트(136)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의 묶음 바아(50)와 유사한 묶음 바아(150)는 몇몇의 갭(140)을 가로질러 개재되는 반면에, 다른 갭(140)은 링크(180)를 구비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제 1 단부(160)와 제 2 단부(170)에 인접된 갭(140)은 그 곳에서 묶음 바아(150)를 구비한다. 또한, 이들 묶음 바아(150)는 인접된 스트럿(120)의 트로프(132)사이에 배향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제 1 단부(160)와 제 2 단부(170)으로 부터 이격된 다른 갭(140)은 묶음 바아(150) 또는 링크(18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180)는 왼쪽 단부(182)(도 6)와, 오른쪽 단부(184) 및, 왼쪽 단부(182) 및 오른쪽 단부(184)사이의 중간에 위치된 엘보우(186)를 구비하는 얇고 긴 구조체이다. 그래서, 상기 링크(180)는 왼쪽 단부(182)로 부터 엘보우(186)으로 연장되는 왼쪽 아암(187)와, 오른쪽 단부(184)로 부터 엘보우(186)까지 연장되는 오른쪽 아암(188)을 구비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엘보우(186)는 왼쪽 아암(187)이 오른쪽 아암(188)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상기 엘보우(186)는 각 링크(180)의 왼쪽 아암(187)과 오른쪽 아암(188)이 동맥 경로를 통하여 관통될 때 전체 스텐트(110)를 위한 가요성을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화살표 F(도 6)에 대하여 서로로 향하거나 또는 이격되게 굽혀질 수 있는 특정 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링크(180)는 양호하게는 링크(180)가 위치되는 갭(140)에 최소(142)로 배향된다. 양호하게는, 위치된 링크(180)를 가지는 갭(140)은 위치된 묶음 바아(150)를 가지는 갭(140)으로 교대로 되며, 상기 제 1 단부(160)와 제 2 단부(170)에 인접된 갭(140)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스텐트(10)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굽힘부(130)와 스트럿(120)의 크기는 감소되고, 상기 링크(180)는 갭(140)을 가로질러서 인접된 스트럿(120)의 크레스트(136)를 함께 유지할 것이다. 이것은 스텐트(110)에 수축 효과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트로프(132)와 인접된 스트럿(120)사이에 개재된 상기 묶음 바아(150)는 스텐트(110)에 팽창 효과를 가질 것이다. 축방향의 팽창 효과를 제공하는 묶음 바아(150)의 네트 결과와, 축방향의 수축 효과를 제공하는 링크(180)는 상기 스텐트(110)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이 스텐트(110)가 거의 또는 최소의 네트 수축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양호하게는, 묶음 바아(150)를 가지는 갭(140)은 3개의 묶음 바아(150)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럿(120)은 6개의 트로프(132)와 6개의 크레스트(136)를 가짐으로써, 가능한 묶음 바아(150)의 위치의 단지 반만이 사용된다. 양호하게는, 링크(180)과 결합되는 갭(140)은 단지 2개의 링크만을 포함한다. 그래서, 4개의 최소(142)가 비게 남겨진다. 상기 링크(180)의 위치는 스텐트(110)의 가요성을 부가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묶음 바아(150)의 위치와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이 양호하다. 링크(180)를 특징지우는 외과용 스텐트(110)와 유사한 다른 스텐트 디자인은 가요성을 향상시키는 스텐트의 상세한 설명이 부가로 기재된 도 14 내지 도 23에 상세히 도시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링크를 특징지우는 스텐트(10)와 각각의 선형 세그먼트로 형성된 스트럿의 제 2의 다른 실시예가 제공된다. 이러한 스텐트(210)는 다수의 스트럿(220)에 의하여 형성된 원통형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스텐트(10)와는 다른 상기 스텐트(210)의 상세한 것은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의 스트럿(220)은 위치된 일련의 굽힘부(230)을 가진 파형 외형을 가진다. 그러나, 각각의 굽힘부(230)는 다수의 평탄한 크레스트(236)로 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그 곳에 평행하고 평탄한 트로프(234)(도 8)를 구비한다. 각각의 평탄한 트로프(234)와 평탄한 크레스트(236)는 스텐트(210)의 중심축(도 2의 중심축(2)을 참고하기 바람)에 수직인 평면내에 배향되는 것이 양호하다.
각각의 평탄한 트로프(234)는 굽힘 레그(235)에 의하여 인접된 평탄한 크레스트(236)에 연결된다. 각각의 굽힘 레그(235)는 평탄한 트로프(234) 또는 평탄한 크레스트(236)에 양호하게는 선형이고 비평행이다. 코너(237)는 굽힘 레그(235)의 단부사이와 평탄한 트로프(234) 및 평탄한 크레스트(236)에 인접된 전이부에 제공된다. 상기 스텐트(210)는 스트럿(220)이 굽힘부(230)의 사변형 형상에 대하여 굽힘부(230)을 위한 다소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부터 변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양호한 실시예의 스텐트(10)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된다. 상기 스트럿(220)의 크기(222)는 반경방향 팽창이 발생될 때 감소되고, 스트럿(220)의 파장(224)은 반경방향 팽창이 양호한 실시예의 스텐트(10)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발생될 때 증가된다.
갭(240)은 상기 스텐트(210)에서 인접된 스트럿(220)사이에 배치된다. 묶음 바아(250)는 인접된 스트럿(220)과 갭(240)을 스팬하는 평탄한 트로프(234)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묶음 바아(250)는 제 1 단부(260)와 제 2 단부(270)에 인접된 갭(240)에 위치되는 것이 양호하고, 스텐트(210)의 다른 갭(240)에 선택적으로 된다.
상기 묶음 바아(250)에 대신에, 상기 갭(240)은 아치형으로 된 링크(280)에 의하여 스팬될 수 있다(도 8). 양호하게는, 각각의 아치형으로 된 링크(280)는 오른쪽 단부(284)로 부터 이격된 왼쪽 단부(282)를 구비하고, 왼쪽 단부(282)와 오른쪽 단부(284)사이에서 굽혀진다. 양호하게는, 상기 아치형 링크(280)는 이 아치형 링크(280)에 의하여 스팬된 갭(240)에 인접된 스트럿(220)의 인접되고 평탄한 크레스트(236)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아치형 링크(280)는 묶음 바아(250)에 의하여 발생되는 국부적인 팽창을 오프셋하기 위하여 국부적인 수축을 제공하고, 상기 스텐트(210)가 전체로서 반경방향을 팽창될 때 축방향에서 어떠한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한다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점에서 제 1 의 다른 실시예의 링크(180)에 의하여 제공되는 유사한 작용을 제공한다.
상기 스트럿(220)을 대신하여서, 상기 아치형 링크(280)는 링크(180)와 대신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상기 실시예에서, 갭(240)에 대면된 각각의 평탄한 트로프(234)는 그 곳에 있는 묶음 바아(250)를 포함하고, 갭(240)에 인접된 각각의 평탄한 크레스트(236)는 그 곳에 부착된 아치형 링크(280)를 포함한다. 그래서, 평탄한 트로프(234) 또는 평탄한 크레스트(236)에는 어떠한 빈공간도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형상에서, 상기 스텐트(210)는 반경방향 강도가 제 1 중요점이고 가요성이 제 2 중요점인 곳에 최소의 가요성으로 제공된다. 다른 것으로서, 제 1의 다른 실시예 또는 양호한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트로프(234)와 크레스트(236)에 빈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9 및 도 10에서, 제 3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한 것은 양호한 실시예의 외과용 스텐트(10)를 구비한다. 상기 제 3의 다른 실시예는 그 곳에서 다중요소의 접합부(380)를 특징하는 스텐트(310)용이다. 상기 스텐트(310)의 상세한 것은 아래에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스텐트(210)의 것과 유사하다. 그래서, 상기 스텐트(310)는 이 스텐트(310)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으며 그리고 굽힘부(330)를 가지는 파형 외형을 나타내는 일련의 스트럿(320)을 포함한다. 갭(340)은 인접된 스트럿(320)사이에 제공된다. 교대로 있는 갭(340), 특히 제 1 단부(360)와 제 2 단부(370)에 인접된 상기 갭(340)은 그 곳에 있는 묶음 바아(350)와 결합된다. 다른 갭(340)은 묶음 바아(350)와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0으로 감소되는 폭을 가지며, 다중 요소의 접합부(380)에서 함께 부착되는 갭(340)에 인접된 스트럿(320)의 크레스트를 가진다.
기본적으로, 상기 다중요소의 접합부(380)는 제 2의 다른 실시예의 아치형 링크(280)를 대체하며, 다중요소의 접합부(380)를 가지는 갭(340)이 0의 폭으로 감소되도록 한다. 상기 스텐트(310)는 스텐트(210)와 유사한 방법으로 팽창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묶음 바아(250)가 다중 요소의 접합부(280)와 정렬되기 때문에, 각각의 묶음 바아(250)는 제 1 단부(360)로 부터 제 2 단부(370)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축방향 요소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스텐트(310)의 축방향 길이는 높은 정밀도로 수축되지 않고서 유지된다. 축방향 수축의 어떠한 가능성도 상기 스텐트(310)를 형성하는 요소의 장치보다는 가능한 묶음 바아(350)의 굽힘으로 발생된다. 또한, 상기 묶음 바아(350)는 스텐트(310)용의 제한된 양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스텐트(310)는 다른 실시예의 스텐트(10,110,210)만큼의 큰 가요성을 나타내지 않고, 특히 가요성이 제 2의 중요성을 가지고 축방향의 수축 및 반경방향의 강도의 부족은 제 1 중요성을 가지는 곳에 특히 적합하다.
도 11, 도 12 및 도 13에서, 제 4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한 것이 제공된다. 상기 스텐트(410)는 제 3의 다른 실시예의 스텐트(310)의 상세한 것으로 부터 분명한 것을 나타내는 정도로만 설명된다. 그래서, 상기 스텐트(410)는 이 스텐트(410)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는 일련의 스트럿(420)을 포함한다. 제 1 단부 스트럿(426)은 제 1 단부(460)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제 2 단부 스트럿(428)은 제 2 단부(470)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단부 스트럿(426,428)은 중간 스트럿(420)과 스텐트(410)의 다른 요소를 형성하는 물질로 부터 유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단부 스트럿(426,428)용의 스텐트(410)의 다른 요소를 형성하는 물질과는 다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유사한 방법으로 다른 실시예의 다른 스텐트(10,110,210,310)내로 유사하게 합체될 수 있다.
상기 단부 스트럿(426,428)을 형성하는 물질은 스텐트(41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물질보다 더 큰 정도로 의료 이미징 장치에 의하여 관찰될 때 불투명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양호하다.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이 스텐트(41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상기 단부 스트럿(426,428)은 의료 이미징 장치에 의하여 관찰될 때 분명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금, 플라티늄, 은 또는 몇몇의 합금 또는 이러한 것의 혼합물 또는 다른 유사하고 충분한 밀도의 물질로 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 스트럿(426,428)은 방사 불투명의 물질로 도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부 스트럿(426,428)은 방사 불투명 물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점은 스텐트(410)와 같은 스텐트의 도금이 이 스텐트를 형성하는 요소의 두께가 몇천 분의 일 인치정도로 증가되도록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 다음, 상기 도금된 스텐트는 동맥 경로를 통하여 조종하기 어렵게 되고, 성능에서 다른 저하를 발생시킨다. 또한, 단부 스트럿이 도금에 의하여 두껍게 될 때, 방사 불투명한 물질은 형광 투시경 또는 다른 의료 이미징 장치로 관찰될 때 매우 밝게 될 수 있는 매우 넓은 형상을 가지고, 이것은 상기 스텐트의 방사 불투명한 단부가 흐릿하게 되게 하고 선명하게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단부 스트럿(426,428) 전체를 방사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함으로써, 도금의 결점은 피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스트럿(426,428)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때, 상기 스텐트(410)의 단부(460,470)은 의료 이미징 장치를 사용할 때 분명하게 인식된다. 또한, 상기 스텐트(410)가 위치된 관강(L)은 공지된 기술에서와 같이 방사 불명한 염료로 관강(L)을 도금함으로써 의료 이미징 장치에서 가장 밝게 빛나게 된다. X선과 같은 의료 이미징 장치는 상기 스텐트(410)의 팽창 이전 또는 그 이후에 관강(L)내에서 스텐트(410)의 정확한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텐트(410)의 다른 부분은 도 13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이미징 장치로 볼 때에 눈에 잘 안보이거나 또는 단지 모호하게 구별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단부 스트럿(426,428)을 형성하는 방사 불투명한 물질은 단부 스트럿(426,428)에 적용되는 단지 도금이 아니고, 상기 단부 스트럿(426,428)은 선택된 물질로 완전하게 형성된다.
사용과 작동시에, 도 1, 도 2 및 도 14에서, 상기 스텐트(10,110,210,310,410) 작동의 상세한 것이 설명된다. 초기에는, 상기 스텐트(10) 또는 다른 실시예의 스텐트(110,210,310,4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반경방향으로 팽창되지 않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스텐트는 스텐트(10)가 바람직한 곳에 위치될 때 까지 카테테르를 꼽는 것는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서 바람직한 위치에 위치된다. 그 다음, 상기 스텐트(10)는 화살표 R를 따라서(도 2의 화살표 C를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되고, 상기 파장(24)을 증가하도록 하며, 크기(22)를 증가시키도록 하고, 상기 스텐트(10)가 특정의 의료 목적을 위하여 바람직한 팽창된 직경을 구비할 때 까지 원주방향 길이(도 2의 화살표 C를 따라서)를 증가시킨다. 상기 스텐트(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부(60)와 제 2 단부(70)는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전체적인 팽창공정동안에 몸체 관강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남아 있다. 그래서, 상기 스텐트(10)의 어떠한 또는 거의 아무런 팽창 또는 수축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 4의 다른 실시예의 스텐트(410)가 사용될 때, 상기 스텐트(410)는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 스텐트(410)의 팽창이전에, 방사 불투명한 염료는 포함된 관강내로 사출되고, X선 기계와 같은 의료 이미징 장치는 상기 스텐트(410)가 바람직한 곳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스텐트(410)의 위치가 바람직한 곳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는다면, 상기 스텐트(410)의 부가적인 조정은 스텐트(410)의 팽창이 발생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 상기 스텐트(410)가 바람직한 곳에 위치되는 것을 의료 전문가가 확인한다면, 상기 스텐트(410)는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된다. 그 다음, 의료 이미징 장치는 상기 스텐트(410)가 최대의 의료적인 효율을 위하여 바람직한 위치에 여전히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그 다음 즉시 그리고 그에 뒤따르는 기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3에서, 스텐트(110)의 축방향 요소 스팬 갭(140)과 같은 링크(180)를 특징지우는 스텐트(110)(도 5 및 도 6)에 대한 변경예의 상세한 것이 설명된다. 이러한 다른 변경예는 스텐트(110)가 향상된 가요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갭(140)을 스팬하는 묶음 바아(150) 또는 링크(180)으로 갭(140)에 의하여 이격되는 스트럿(120)의 기본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의 범위를 예시한다. 도 5 및 도 6의 스텐트(1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지 2개의 링크(180)보다는 3개의 링크(180)가 이 링크(180)이 위치된 각 갭(140)을 스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의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a)는 도 5 및 도 6의 스텐트(110)와 유사한 도 14에 도시된다. 이러한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a)는 도 5 및 도 6의 스텐트(110)보다 더 반경방향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짐으로써, 균일한 가요성이 상기 스텐트(110a)를 위하여 제공된다.
도 15의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b)는 각 갭(140)을 스팬하는 묶음 바아(150) 또는 링크(180)로 갭(140)에 의하여 서로로 부터 이격된 일련의 스트럿(120)을 유사하게 형성한다. 상기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b)(도 15)는 상술된 다른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과는 다른점은, 스텐트(110,110a)용으로 도 5, 도 6,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지 6개의 굽힘부(130)보다는 상기 스트럿(120)이 스텐트(110b)를 둘러싸고 있을 때 각각의 스트럿(120)이 10개의 굽힘부(130)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또한, 5개의 묶음 바아(150)와 5개의 링크(180)는 각각의 갭(140)내에 제공된다. 또한, 부가의 스트럿(120), 전체 16개가 도 14의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부(160)과 제 2 단부(170)사이의 14개의 스트럿(120) 보다 제 1 단부(160)와 제 2 단부(170)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c)는 도 16에 도시된다. 8개의 굽힘부(130)가 각각의 스트럿(120)과, 4개의 묶음 바아(150)와, 각 갭(140)을 스팬하는 4개의 링크(180)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스텐트(110c)는 도 15의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b)와 유사하다.
상기 스트럿(120)이 도 16의 향상된 가요성에서 보다는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d)에서 약간 다른 외형을 가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7에 도시된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d)는 도 16의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c)와 유사하다. 특히,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d)의 스트럿(120)은 도 5, 6 및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다른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110a,110b,110c)의 스트럿(120)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도 4에 도시된 크기(22)와 유사함)를 가진다. 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서, 상기 스트럿(120)은 보다 큰 양으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 관강내에서 이식동안에 반경방향의 큰 양을 가질 수 잇다.
도 18에서, 상기 스텐트(110)의 각 구성품의 특정 형상은 상세히 도시된 상기 스텐트(110a,110b,110c,110d)에 의하여 유사하게 분할된다. 각각의 스트럿(120)은 트로프(132)와 크레스트(136)사이에서 교대로 있는 일련의 굽힘부(130)를 포함한다. 갭(140)은 각 스트럿(120)사이에 제공된다. 각 갭(140)은 동일한 것이 아니다. 또한, 양호하게는 상기 갭(140)은 좁은 갭(140a)과 넓은 갭(140b)으로 분할된다. 상기 좁은 갭(140a)은 묶음 바아(150)가 위치되는 스트럿(120)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넓은 갭(140b)은 상기 링크(180)가 제공되는 곳에 제공된다. 상기 갭(140b)을 갭(140a)보다 더 넓게 만들고 상기 넓은 갭(140b)내에 상기 링크(180)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갭(140b)의 대향쪽에 있는 스트럿(120)이 서로에 대하여 간섭되기 전에 넓은 갭(140b)내에서 링크(180)에 의하여 보다 큰 양의 가요성이 허용된다. 각각의 갭(140a,140b)은 인접된 스트럿(120)사이의 적어도 공간이 제공되는 갭(140a,140b)의 부분을 형성하는 최소폭(142a,142b)을 포함한다. 각 갭(140a,140b)은 또한 최대폭이 인접된 스트럿(120)사이에 제공되는 최대(144)를 포함한다.
각각의 묶음 바아(150)는 제 1 접합부(152)와 제 2 접합부(154)사이에서 선형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접합부와 제 2 접합부(154)는 각 굽힘부(130)에서 트로프(132)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묶음 바아(150)는 좁은 갭(140a)의 최대 폭 부분(144)을 스팬한다.
각각의 링크(180)는 스텐트(110)에 가요성을 부가하는 축방향 요소로 작용한다. 도 5 및 도 6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링크(180)의 기본적인 요소에 부가하여서, 상기 링크(180)는 스텐트(110)의 전체 가요성을 향상하는 화살표 F를 따라서 굽히기 위한 수단으로 형성된 엘보우(186)를 양호하게 형성한다. 특히, 도 19 내지 도 21은 상기 스텐트(110) 링크(180)의 엘보우(186)의 가요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3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3개의 굽힘이 향상된 링크(580,680,780)를 나타낸다.
상기 제 1의 굽힘이 향상된 링크(580)는 하나의 크레스트(136)에 인접된 왼쪽 단부(582)와, 다른 크레스트(136)에 인접된 오른쪽 단부(584)를 형성한다. 엘보우(586)는 왼쪽 단부(582)로 부터 연장되는 왼쪽 아암(587)과, 오른쪽 단부(584)로 부터 연장되는 오른쪽 아암(588)사이에 위치된다. 각각의 아암( 587,588)은 단부(587,584)중의 하나로 부터 엘보우(586)로 선형(2개의 2차원 돌출에서 볼 때에)으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아암(587,588)은 스텐트(110)의 원통형 외형에 따라서 약간 굽혀진다(도 22 및 도 23 참조).
상기 엘보우(586)는 엘보우(586)의 내부위의 만곡부(590)와, 왼쪽 아암(587)에 인접된 엘보우(586)의 외부위의 왼쪽 홈부(592)와, 상기 오른쪽 아암(588)에 인접된 엘보우(586)의 부분위의 오른쪽 홈부(594)를 포함한다. 상기 엘보우(586)는 만곡부(590)와, 상기 왼쪽 아암(587)과 오른쪽 아암(588)의 두께보다 작은 왼쪽 홈부(592)와 오른쪽 홈부(594)사이의 폭을 가진다.
두께에서의 이러한 감소는 초기의 바람직한 두께를 가진 엘보우(586)를 형성함으로써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스텐트(110)의 형성에서 보다 이후의 단계동안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연마 또는 다른 연마 기술이 사용될 때, 상기 엘보우(586)는 날카로운 굽힘이 발생되는 곳에 있게 되고, 이것은 전기 연마가 발생하는 보다 큰 양이 있는 집중된 충전 영역을 제공하고, 이것은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외형으로 아래로 연마되는 엘보우(586)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된다.
제 2의 굽힘 향상 링크(680)(도 20)는 엘보우(686)에서 단일의 좁은 위치가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의 굽힘 향상 링크(680)의 엘보우(686)는 만곡부(780)에 대향된 외부의 홈부(592)를 가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의 굽힘 향상 링크(580)와 유사하다. 상기 제 3의 굽힘 향상 링크(780)(도 21)는 엘보우(586,686,786)에서 링크(580,680,780)의 굽힘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의 굽힘 향상 링크(580)의 아암(587,588)와 같은 아암에 비교하여서 바람직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엘보우(786)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엘보우(786)가 만곡부(590)에 대향된 평탄한 외부 절두부(792)를 가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2의 굽힘 향상 링크(680)와 유사하다.
바람직하다면, 상기 엘보우(186)가 링크(180)의 아암(187,188)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한, 상기 아암(187,188)이 엘보우(186)에 인접된 링크(180)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보다 확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화살표(F)를 따라서 링크(180)를 굽히는 것은 엘보우(186)에서 집중된다. 화살표 F를 따라서 굽히는 것은 링크(180)에 적용되는 인장 또는 압축력에 따라서 링크(180)를 위한 신장 방법과 짧게하는 방법에서 발생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스텐트(110)가 굽혀질 때(도 22 및 도 23 참조), 링크(180)를 가지는 각각의 갭(140)은 압축되는 스텐트(110)의 내부 곡선에서 몇몇의 링크(180)와, 상기 스텐트(110)의 곡선 외부에 있게 되고 그래서 신장되는 동일한 갭(140)위의 다른 링크(180)를 가질 것이다.
양호하게는, 상기 링크(180)의 엘보우(186)는 상기 아암(187,188)이 서로를 향하고 이격되게 굽혀지도록 탄성적이지 못하고, 굽혀진 후에 하중을 받지 않는다면 상기 아암(187,188)이 압축 또는 인장 하중으로 하중될 때 나타나는 배향을 가질 수 있도록 소성 방법으로 굽혀지게 된다. 그러나, 힘이 다시 대향된 방향에서 적용될 때, 상기 엘보우(186)가 링크(180)의 적어도 두께 영역에 있기 때문에, 링크(180)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하고, 스텐트(110)가 굽혀지게 하기 위하여 요구될 때 다른 형상으로 굽혀지도록 하는 대향된 방향에서 쉽게 굽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소성 굽힘은 상기 스텐트(110)가 몸체 관강내에서 곡선을 유지도록 하고, 상기 스텐트(110)가 위치되는 몸체 관강을 직선으로 하지 않는다.
링크(180)의 소성 변형과, 스텐트(110)의 다른 부분이 스텐트(110)의 파열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스텐트(110)용의 취성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스텐트(110)가 가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상기 스텐트(110)의 제조 이후에, 상기 스텐트(110)은 가열될 수 있고, 그 다음 바람직한 강도 특성을 부여하고 그리고 초과적인 취성을 피하게 하는 경도와 가요성의 양으로 균일한 입자 크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담금질된다.
도 22 및 도 23에서, 상기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c)의 굽힘 특성에 대한 상세한 것이 도시된다. 도 22에서, 상기 스텐트(110c)는 안내 와이어(G)와, 이 안내 와이어(G)를 둘러 싸고 있는 발룬(B)를 포함하는 카테테르(J)를 중첩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카테테르(J)와 스텐트(110c)는 화살표 E로 도시된 곡선을 따라서 굽혀지게 된다. 상기 묶음 바아(150)와 이 묶음 바아(150)에 인접된 스트럿(120)의 각각은 어떠한 굽힘도 없이 축방향의 선형으로 정렬되게 남아 있게 된다. 그러나, 링크(180)를 포함하는 갭(140)(도 7)은 갭(140)의 부분이 압축되고 갭(140)의 부분이 팽창될 수 있도록 변형된다. 갭(140)내의 링크(180)는 링크(180)가 곡선(E)의 내부쪽 또는 곡선(F)의 외부쪽위에 있는 지에 의존하면서 보다 작은 전체 길이로 압축되거나 또는 보다 큰 전체 길이로 팽창된다.
상기 안내 와이어(G)는 이식을 위한 바람직한 동맥경로 아래로 상기 스텐트(110)를 가진 카테테르(J)를 도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발룬(B)은 바람직한 마지막 직경으로 상기 스텐트(110c)를 반경방향으로 팽창시키기 위하여 부풀러 오르게 될 수 있다. 상기 스텐트(110c)가 종래 기술의 스텐트와 비교할 때 향상된 가요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스텐트(110c)는 카테테르(J)가 나타낼 수 있는 가요성의 양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텐트(110c)는 카테테르(J)를 따라서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고, 동맥 경로가 스텐트(110c)의 이식을 위하여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카테테르(J)를 따라가게 한다. 상기 스텐트(110c)는 단일축에 대하여 곡률반경으로 단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스텐트(110c)는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관상 동맥과 같은 동맥 경로를 순환할 때의 통상적인 경우에서와 같이 나선형 또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굽혀질 수 있다.
도 24에서, 상기 스텐트(110c)와 같은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의 이식이 바람직한 심장(H)내에서의 동맥 경로의 상세한 것이 도시된다. 상기 심장(H)은 대동맥(AO)에서 분기되고 피를 심장(H)로 공급하기 위하여 동맥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일련의 동맥 경로를 통하여 피를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동맥 경로에서 장애가 발생할 때, 약한 점에서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를 위치시키고, 그 다음에 동맥을 통한 피의 흐름이 연속적으로 방해받지 않도록 장애에 인접된 동맥의 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동맥의 벽에 대하여 이들 스텐트를 반경방향으로 팽창시키는 것이 양호하다.
오른쪽 관상 동맥(RCA)과, 왼쪽 관상 동맥(LCA)과, 왼쪽의 구불구불한 동맥(LCX) 및, 왼쪽의 전방으로 내려가는 동맥(LADA)과 같은 주 동맥 경로에서 스텐트를 이식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지만, 몇몇의 제 2 동맥 경로는 종래 기술로 쉽게 접근할 수 없다. 또한, 이들은 상기 스텐트(110c)(도 22)와 같은 향상된 가요성을 가진 스텐트를 요구한다.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c) 또는 다른 향상된 가요성의 외과 스텐트(110,110a,110b,110d)의 이식으로 부터 장점을 얻을 수 있는 제 2의 동맥 경로는 상기 AC 가장자리 동맥(AC), 오른쪽의 후방의 측방 동맥(RPL1,RPL2,RPL3)와, 상기 격벽 동맥(S)과 동맥(RA)을 따라서 왼쪽 내부의 하강하는 동맥(LADA)의 대각선 동맥(D1,D2,D3) 및, 왼쪽의 구불구불한 동맥(LCX)의 가장자리 동맥(M1,M2,M3)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동맥 경로는 이들이 주 동맥 경로의 보다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분기되고 위치선정과 이식을 위하여 작은 직경의 높은 가요성의 스텐트를 요구하는 점을 통상적으로 특징으로 한다. 향상된 가요성의 스텐트(110,110a,110b,110c,110d)를 가지고, 도 24에 도시된 제 2의 동맥 경로와 같은 관강의 구불구불한 경로가 접근할 수 있고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본 발명에서, 다양하고 서로 다른 수정예가 본원에 기재된 상기 스텐트(10,110,210,310,410)를 형성하는 요소의 특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실시예가 다른 형태와, 다수의 원주 요소와 축방향 요소를 특징지워지는 반면에, 이러한 많은 특징들은 상기 특징들이 특별히 도시된 것과는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합부(380)와 같은 다중 요소의 접합부가 양호한 실시예의 스텐트(10)의 스트럿(20)의 인접된 크레스트(36)를 함께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양호한 실시예의 스텐트(10)는 모든 슬롯(46)에 위치된 묶음 바아(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된 양호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는 단지 실시예로 제공되었으며,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수축되지 않는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를 제공하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상기 스텐트가 환자내의 동맥 경로를 통하여 관통될 때 중심축이 굽혀지도록 하는 충분한 가요성을 나타내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단부에서 어떠한 또는 거의 축방향 수축을 나타내지 않는 외과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료 이미징 장치에 의하여 쉽게 관찰될 수 있는 방사 불투명 물질로 형성되는 단부를 가지는 외과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는 원주 요소를 형성하는 일련의 스트럿으로 부터 형성되는 외과용 스텐트를 제공하고, 각각의 스트럿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스트럿이 함께 수축되는 것을 제한하는 축방향 요소로 작용하는 묶음 바아에 의하여 함께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 광 에칭 및 다른 정밀하고 낮은 가격의 기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술로 부터 제조되는 형상을 가지는 외과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식될 때와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몸체 관강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강도를 나타내는 형상을 가지는 외과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위치 정밀도를 가지고 외과의사에 의해 몸체 관강내에 위치될 수 있는 외과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왼쪽의 전방으로 하강하는 동맥과, 왼쪽의 구불구불한 동맥의 가장자리 동맥과, 심장의 오른쪽 후방 측방향 동맥을 포함하는 잠재적인 스텐트 이식 자리의 최대 수까지 구불구불한 동맥 경로를 통하여 루트될 수 있는 충분히 굽혀질 수 있는 외과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반경방향으로 팽창되는 직경의 2배이상으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고,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때 축방향으로 거의 수축되지 않으며, 상기 스텐트를 위치시키고 반경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스텐트 위치선정 카테테르의 안내 와이어의 가요성에 매치하기 위하여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는 외과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방향으로 팽창되고 수축될 수 있는 가요성의 링크형태로 축방향 요소를 특징지우며, 상기 스텐트에 가요성을 부여하고 굽혀지는 가요성 링크에 의하여 스팬되는 갭을 발생시키는 외과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명세서와 청구범위를 상세하게 읽어보고 그리고 도면을 관찰함으로서 명백하게 이해된다.

Claims (31)

  1. 반경방향 팽창 이전과 이후에 일반적으로 원통형 외형을 가지며, 동맥과 같은 몸체 관강내로 이식하기 위한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며 축방향으로는 비수축적인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원통형 외형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긴 회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원주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원주 요소는 각각의 원주 요소가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을 때 파형의 일련의 굽힘부를 가지며;
    상기 굽힘부는 트로프와 크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로프는 상기 원주 요소가 이 원주 요소의 다른 부분보다 근접된 상기 원주 요소로 부터 더 이격된 원주 요소의 한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크레스트는, 상기 원주 요소가 이 원주 요소의 다른 부분보다 인접된 원주 요소에 근접된 원주 요소의 한 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적어도 3개의 원주 요소사이에서 상기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 싸고 있는 적어도 2개의 갭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갭은 2개의 말단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를 구비하고, 한 쌍의 인접된 원주 요소사이의 상기 갭을 스팬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말단부 각각은 인접된 원주 요소의 쌍중의 서로 다른 하나에 부착되며, 상기 원주 요소의 쌍을 함께 결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은 상기 트로프의 하나에서 원주 요소중의 인접된 하나에 부착된 상기 각각의 말단부를 구비하는 축방향 요소에 의해서만 스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은 상기 갭 부분이 스텐트를 굽히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스텐트의 중심축이 굽혀지도록 상기 스텐트에 힘이 적용될 때에 축방향으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에 의하여 스팬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상기 축방향 요소의 말단부는 상기 크레스트중의 하나에서 상기 원주 요소중의 인접된 하나에 각각 부착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상기 축방향 요소에 의하여 스팬되는 상기 갭과 교대로 있는 트로프에 부착된 상기 각각의 말단부를 가지는 축방향 요소에 의해서만 스팬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에서 원주용 요소에 부착된 축방향 요소의 말단부를 가지고 상기 갭을 스팬하는 상기 축방향 요소는 형태가 선형이고, 상기 스텐트의 중심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좁은 갭과 넓은 갭을 포함하고, 상기 넓은 갭은 좁은 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넓은 갭은 좁은 갭을 교대로 하고 있으며, 상기 넓은 갭은 축방향으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축방향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좁은 갭은 트로프에서 상기 원주 요소에 부착된 축방향 요소를 구비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중심축이 굽혀지도록 하는 상기 스텐트에 힘이 적용될 때 상기 축방향으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축방향 요소는 축방향으로 수축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갭중의 하나의 부분은 축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고, 상기 갭 부분은 축방향으로 수축되어서 상기 스텐트를 굽히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7. 제 6 항에 있어서, 팽창하기 위한 상기 수단과 수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을 구비하는 축방향 요소에 의하여 스팬되는 상기 갭은 적어도 2개의 축방향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축방향 요소는 서로 독립적으로 팽창하고 수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하기 위한 수단은 왼쪽 단부에서 원주 요소중의 하나에 부착되는 왼쪽 아암과, 상기 원주 요소중의 인접된 하나에 오른쪽 단부에서 부착되는 오른쪽 아암을 구비하는 축방향 요소와, 상기 왼쪽 아암을 오른쪽 아암에 부착하는 엘보우를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굽히지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며, 상기 엘보우는 왼쪽 단부에 대향된 왼쪽 아암의 단부에서 상기 왼쪽 아암에 부착되며, 상기 엘보우는 오른쪽 단부에 대향된 오른쪽 아암의 단부에서 오른쪽 아암에 부착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의 굽히기 위한 수단은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을 가지는 공통의 물질로 형성되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구비하는 엘보우를 포함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는 엘보우의 외부쪽의 적어도 하나의 홈부와, 엘보우의 내부쪽의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의 두께보다 상기 홈부와 만곡부사이의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는 오른쪽 아암에 인접된 상기 엘보우의 부분에서 엘보우의 오른쪽 홈부와, 상기 왼쪽 아암에 인접된 엘보우의 단부에서 왼쪽홈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홈부와 오른쪽 홈부는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의 폭보다 더 작은 폭에 의해서 만곡부로 부터 이격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13. 거의 원통형 외형을 가지고 반경방향으로 팽창하며 몸체 관강내로 이식하기 위한 외과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각각 둘러싸고 있는 복수의 원주 요소와;
    파동형의 원주 요소가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을 때에 적어도 하나의 트로프와 적어도 하나의 크레스트를 포함하는 파동형태를 구비하는 다수의 원주 요소중의 적어도 2개와;
    상기 2개의 인접된 원주 요소사이에 위치되고, 제 1 접합부에서 인접된 원주 요소중의 하나에 부착되고 제 2 접합부에서 원주 요소중의 다른 것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는 상기 스텐트의 중심축이 굽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외과용 스텐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는 제 1 접합부에 인접된 왼쪽 단부와, 제 2 접합부에 인접된 오른쪽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단부는 왼쪽 단부로 부터 연장되는 왼쪽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단부는 오른쪽 단부로 부터 연장되는 오른쪽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이들 사이의 엘보우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엘보우는 굽혀지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왼쪽 단부는 오른쪽 단부로 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축방향 요소를 신장하도록 하는 외과용 스텐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서로에 대하여 선형의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외과용 스텐트.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히기 위한 수단은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의 두께 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엘보우를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이 엘보우가 굽혀지도록 하기 위한 충분히 좁은 두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서로 보다 접근되게 그리고 이격되게 되는 왼쪽 단부와 오른쪽 단부로써 서로를 향하게 그리고 이격되게 굽혀질 수 있는 외과용 스텐트.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유사한 길이이며, 상기 아암 각각은 왼쪽 단부와 오른쪽 단부사이의 갭 폭의 반보다 더 큰 길이를 구비하는 외과용 스텐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요소의 왼쪽 단부는 원주 요소중의 하나의 크레스트중의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축방향 요소의 오른쪽 단부는 원주 요소중의 다른 하나의 크레스트중의 하나에 부착되는 외과용 스텐트.
  19. 반경방향 팽창을 할 수 있는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는 다수의 원주 요소에 의하여 형성되는 일반적인 원통형 외형과, 상기 원주 요소의 인접된 각각의 쌍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축방향 요소중의 적어도 하나는 조정가능한 길이의 축방향 요소인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외과용 스텐트의 조정가능한 길이의 축방향 요소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길이의 축방향 요소는,
    제 1 단부에서 원주 요소의 쌍의 하나의 요소에 부착된 제 1 아암과;
    제 2 단부에서 원주 요소의 쌍의 제 2 원주 요소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아암과는 평행하지 않는 제 2 아암과;
    상기 제 1 아암을 제 2 아암에 결합하며, 상기 아암들을 서로에 대하여 피봇되게 하고 상기 원주 요소의 쌍을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굽히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엘보우를 포함하는 조정가능한 길이의 축방향 요소.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를 굽히기 위한 수단은 아암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엘보우를 포함하며, 상기 엘보우는 아암보다 더 큰 가요성을 나타내는 조정가능한 길이의 축방향 요소.
  21. 동맥과 같은 몸체 관강내로 이식하기 위한 것이며, 반경방향 팽창 이전과 이후에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 축방향으로 비수축적인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외형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긴 회로를 각각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원주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원주 요소는 상기 각각의 원주 요소가 상기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 싸고 있을때 파형의 일련의 굽힘부를 구비하며;
    상기 파형의 일련의 굽힘부는 트로프와 크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로프는 원주 요소가 이 원주 요소의 다른 부분보다 인접된 원주 요소로 부터 보다 더 이격된 상기 원주 요소의 한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크레스트는 원주 요소가 이 원주 요소의 다른 부분보다 인접된 원주 요소에 더 근접한 원주 요소의 한 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적어도 3개의 원주 요소사이에서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는 적어도 2개의 갭을 포함하고;
    상기 갭의 각각은 2개의 말단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를 구비하고, 한 쌍의 인접된 원주 요소사이에서 상기 갭을 스팬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말단부는 인접된 원주 요소의 쌍중의 서로 다른 하나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원주 요소의 쌍을 함께 결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은 상기 트로프중의 하나에서 상기 원주 요소중의 인접된 하나에 부착되는 상기 말단부의 각 하나를 구비하는 축방향 요소에 의해서만 스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은 상기 스텐트의 중심축이 굽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텐트에 힘이 적용될 때 축방향으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에 의하여 스팬됨으로써, 상기 갭의 부분은 스텐트를 굽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고,
    상기 갭은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축방향 요소에 의하여 스팬되는 갭으로 교대로 있는 트로프에 부착되는 각각의 말단부를 구비하는 축방향 요소에 의해서만 스팬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에서 원주 요소에 부착되는 축방향 요소의 말단부로 상기 갭을 스팬하는 축방향 요소는 형상이 선형이며, 상기 스텐트의 중심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좁은 갭과 넓은 갭을 포함하고, 상기 넓은 갭은 좁은 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상기 넓은 갭은 좁은 갭을 교대로 하며, 상기 넓은 갭은 축방향으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축방향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좁은 갭은 트로프에서 원주 요소에 부착된 축방향 요소를 구비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24. 반경방향 팽창 이전과 이후에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며, 동맥과 같은 몸체 관강내로 이식을 하기 위한 것이며,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 축방향으로 거의 비수축적인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원통형 외형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긴 회로를 각각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원주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원주형 요소는 각각의 원주 요소가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을 때에 파형의 일련의 굽힘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파형의 일련의 굽힘부는 트로프와 크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로프는 상기 원주 요소가 이 원주 요소의 다른 부분보다 인접된 원주 요소로 부터 보다 이격된 원주요소의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크레스트는 상기 원주 요소가 이 원주 요소의 다른 부분보다 인접된 원주 요소에 더 근접한 원주 요소의 부분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적어도 3개의 원주 요소사이에서 상기 스텐트의 원통형 외형을 둘러싸고 있는 적어도 2개의 갭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갭은 2개의 말단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를 구비하고 한 쌍의 인접된 원주 요소사이에서 상기 갭을 스팬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말단부 각각은 인접된 원주 요소의 쌍의 서로 다른 하나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원주 요소의 쌍을 함께 결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갭은 상기 트로프의 하나에서 원주 요소의 인접된 하나에 부착되는 상기 말단부의 각각을 구비하는 축방향 요소에서만 스팬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은 상기 스텐트의 중심축이 굽혀지도록 상기 스텐트에 힘이 적용될 때 축방향으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에 의하여 스팬됨으로써, 상기 갭의 부분은 스텐트가 굽혀지도록 축방향을 신장할 수 있으며;
    상기 팽창하기 위한 수단은 왼쪽 단부에서 상기 원주 요소의 하나에 부착된 왼쪽 아암과, 원주요소의 인접된 하나에 대하여 오른쪽 단부에 부착된 오른쪽 아암와, 상기 오른쪽 아암에 왼쪽 아암을 부착하는 엘보우를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굽혀지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서로에 대하여 비평행으로 배치되며, 상기 엘보우는 왼쪽 단부에 대향된 왼쪽 아암의 단부에서 상기 왼쪽 아암에 부착되고, 상기 엘보우는 상기 오른쪽 단부에 대향된 오른쪽 아암의 단부에서 오른쪽 아암에 부착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의 굽히기 위한 수단은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과 공통의 물질로 형성된 엘보우를 포함하고,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구비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는 엘보우의 내부쪽의 만곡부와, 상기 엘보우의 외부쪽의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의 두께보다 상기 홈부와 만곡부사이의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는 왼쪽 아암에 인접된 상기 엘보우의 단부에서 좌측 홈부와, 상기 오른쪽 아암에 인접된 엘보우의 부분위에서 엘보우의 오른쪽 홈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홈부와 오른쪽 홈부는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의 폭보다 더 작은 폭에 의하여 상기 만곡부로 부터 이격되는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28. 거의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 몸체 관강내로 이식하기 위한 외과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스텐트의 원통형 형상을 각각 둘러싸고 있는 다수의 원주 요소를 포함하고;
    다수의 원주 요소중의 적어도 2개는 파동형 원주 요소가 상기 스텐트의 원통 형상을 둘러싸고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트로프와 적어도 하나의 크레스트를 포함하는 파동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스텐트는 2개의 인접된 원주 요소사이에 위치되며, 제 1 접합부에서 상기 인접된 원주 요소중의 하나와, 제 2 접합부에서 상기 원주 요소중의 다른 것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는 축방향으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텐트의 중심축은 굽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는 제 1 접합부에 인접된 좌측 단부와, 제 2 접합부에 인접된 오른쪽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단부는 왼쪽 단부로 부터 연장되는 왼쪽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단부는 오른쪽 단부로 부터 연장되는 오른쪽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이들 사이의 중간에 위치된 엘보우에서 함께 연결되며, 상기 엘보우는 굽혀지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좌측 단부는 오른쪽 단부로 부터 이격되게 이동되고 상기 축방향 요소는 신장하며;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서로에 대하여 선형의 비평행으로 연장되는 외과용 스텐트.
  29. 거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 몸체 관강내로 이식하기 위한 외과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스텐트의 원통 형상을 각각 둘러싸고 있는 다수의 원주 요소를 포함하고;
    다수의 원주 요소중의 적어도 2개는 상기 파동형 원주 요소는 스텐트의 원통 형상을 둘러 싸고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트로프와 적어도 하나의 크레스트를 포함하는 파형 형상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스텐트는, 2개의 인접된 상기 원주 요소사이에 위치되고, 제 1 접합부에서 상기 인접된 원주 요소중의 하나와 제 2 접합부에서 원주 요소의 다른 것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는 축방향으로 신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텐트의 중심축은 굽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는 제 1 접합부에서 인접된 좌측 단부와, 상기 제 2 접합부에 인접된 오른쪽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단부는 왼쪽 단부로 부터 연장되는 왼쪽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단부는 오른쪽 단부로 부터 연장되는 오른쪽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이들 사이의 엘보우에서 함께 연결되며, 상기 엘보우는 굽혀지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좌측 단부는 오른쪽 단부로 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축방향 요소는 신장되며,
    상기 굽혀지기 위한 수단은 왼쪽 아암과 오른쪽 아암의 두께 보다 더 작은 두께를 구비하고, 상기 엘보우는 엘보우가 굽혀지도록 하기 위한 충분히 좁은 두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좌측 아암과 오른쪽 아암은 서로에 대하여 보다 근접되고 그리고 보다 이격되게 되는 왼쪽 단부와 오른쪽 단부를 가지고 서로로 향하고 그리고 이격되게 굽혀질 수 있는 외과용 스텐트.
  30.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구비하는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외과용 스텐트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팽창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텐트의 원통형 형상을 둘러 싸고 있는 다수의 원주 요소와;
    인접된 원주 요소 쌍의 각각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요소는 조정가능한 길이의 축방향 요소가 되며,
    상기 조정가능한 길이의 축방향 요소는,
    제 1 단부에서 원주 요소 쌍의 하나의 원주 요소에 부착되는 제 1 아암과;
    제 2 단부에서 원주 요소 쌍의 제 2 원주 요소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아암과는 평행하지 않는 제 2 아암 및;
    상기 제 2 아암에 제 1 아암을 결합하는 중간에 위치된 엘보우를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아암들이 서로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하고, 상기 원주 요소 쌍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굽히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외과용 스텐트.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를 굽히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아암들의 두께 보다 더 작은 두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엘보우는 아암들 보다 더 큰 가요성을 나타내는 외과용 스텐트.
KR1019997011750A 1997-06-13 1998-06-12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KR200100137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74,975 1997-06-13
US08/874,975 US5843175A (en) 1997-06-13 1997-06-13 Enhanced flexibility surgical s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735A true KR20010013735A (ko) 2001-02-26

Family

ID=2536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750A KR20010013735A (ko) 1997-06-13 1998-06-12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43175A (ko)
EP (1) EP0987999B1 (ko)
JP (2) JP4453786B2 (ko)
KR (1) KR20010013735A (ko)
AU (1) AU750756B2 (ko)
CA (1) CA2293469C (ko)
DE (1) DE69827386T2 (ko)
WO (1) WO19980563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213B1 (ko) * 2000-01-19 2002-05-24 장양수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
KR100360364B1 (ko) * 2000-05-22 2002-11-13 주식회사 정성메디칼 관상동맥 설치용 금속 스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1020A (en) 1994-02-09 2000-04-18 Boston Scientific Technology, Inc. Bifurcated endoluminal prosthesis
US7204848B1 (en) 1995-03-01 2007-04-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Longitudinally flexible expandable stent
US6036702A (en) 1997-04-23 2000-03-14 Vascular Science Inc. Medical grafting connectors and fasteners
US6033433A (en) * 1997-04-25 2000-03-07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configurations including spirals
EP0884029B1 (en) * 1997-06-13 2004-12-22 Gary J. Becker Expandable intraluminal endoprosthesis
EP0888757B1 (de) 1997-06-30 2004-01-21 Medex Holding GmbH Intraluminales Implantat
US6042606A (en) 1997-09-29 2000-03-28 Cook Incorporated Radially expandable non-axially contracting surgical stent
US6224625B1 (en) * 1997-10-27 2001-05-01 Iowa-India Investments Company Limited Low profile highly expandable stent
WO1999038454A2 (en) 1998-01-30 1999-08-05 St. Jude Medical Cardiovascular Group, Inc. Medical graft connector or plug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same
US6994713B2 (en) * 1998-01-30 2006-02-07 St. Jude Medical Atg, Inc. Medical graft connector or plug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same
US5938697A (en) * 1998-03-04 1999-08-17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having variable properties
US5935162A (en) * 1998-03-16 1999-08-10 Medtronic, Inc. Wire-tubular hybrid stent
IT1298752B1 (it) * 1998-03-18 2000-02-02 Medical Technology S P A Struttura di stent a maglie espandibile
US6179868B1 (en) * 1998-03-27 2001-01-30 Janet Burpee Stent with reduced shortening
US7208010B2 (en) 2000-10-16 2007-04-24 Conor Medsystems, Inc. Expandable medical device for delivery of beneficial agent
US6241762B1 (en) * 1998-03-30 2001-06-05 Conor Medsystems, Inc. Expandable medical device with ductile hinges
US20040254635A1 (en) 1998-03-30 2004-12-16 Shanley John F. Expandable medical device for delivery of beneficial agent
DE19822157B4 (de) * 1998-05-16 2013-01-10 Abbott Laboratories Vascular Enterprises Ltd. Radial aufweitbarer Stent zur Implantierung in ein Körpergefäß
US6171334B1 (en) * 1998-06-17 2001-01-0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xpandable stent and method of use
US6461380B1 (en) 1998-07-28 2002-10-08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 configuration
US6293967B1 (en) 1998-10-29 2001-09-25 Conor Medsystems, Inc. Expandable medical device with ductile hinges
US6113612A (en) 1998-11-06 2000-09-05 St. Jude Medical Cardiovascular Group, Inc. Medical anastomosis apparatus
US6508252B1 (en) 1998-11-06 2003-01-21 St. Jude Medical Atg, Inc. Medical grafting methods and apparatus
US6152937A (en) 1998-11-06 2000-11-28 St. Jude Medical Cardiovascular Group, Inc. Medical graft connector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same
US8092514B1 (en) 1998-11-16 2012-01-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retchable anti-buckling coiled-sheet stent
US6325820B1 (en) 1998-11-16 2001-12-04 Endotex Interventional Systems, Inc. Coiled-sheet stent-graft with exo-skeleton
US6083259A (en) * 1998-11-16 2000-07-04 Frantzen; John J. Axially non-contracting flexible radially expandable stent
DE69938058T2 (de) * 1998-12-18 2009-01-22 Cook Inc., Bloomington Kanülenstent
US6743252B1 (en) 1998-12-18 2004-06-01 Cook Incorporated Cannula stent
US6187034B1 (en) 1999-01-13 2001-02-13 John J. Frantzen Segmented stent for flexible stent delivery system
US6022359A (en) * 1999-01-13 2000-02-08 Frantzen; John J. Stent delivery system featuring a flexible balloon
US6355057B1 (en) 1999-01-14 2002-03-12 Medtronic, Inc. Staggered endoluminal stent
AU2087500A (en) * 1999-01-22 2000-08-07 Khalid Al-Saadon Expandable intravascular tubular stents
JP4518609B2 (ja) * 1999-03-05 2010-08-04 テルモ株式会社 生体留置用ステント
AU3729400A (en) 1999-03-09 2000-09-28 St. Jude Medical Cardiovascular Group, Inc. Medical grafting methods and apparatus
US6712836B1 (en) 1999-05-13 2004-03-30 St. Jude Medical Atg,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osing septal defects and occluding blood flow
US6699256B1 (en) 1999-06-04 2004-03-02 St. Jude Medical Atg, Inc. Medical grafting apparatus and methods
CA2373970C (en) * 1999-07-02 2008-12-30 Endotex Interventional Systems, Inc. Flexible, stretchable coiled-sheet stent
US6409754B1 (en) * 1999-07-02 2002-06-25 Scimed Life Systems, Inc. Flexible segmented stent
US7815590B2 (en) 1999-08-05 2010-10-19 Broncus Technologies, Inc. Devices for maintaining patency of surgically created channels in tissue
DE19951475A1 (de) * 1999-10-26 2001-05-10 Biotronik Mess & Therapieg Stent
DE19951611A1 (de) * 1999-10-26 2001-05-10 Biotronik Mess & Therapieg Stent mit geschlossener Struktur
US6602263B1 (en) * 1999-11-30 2003-08-05 St. Jude Medical Atg, Inc. Medical grafting methods and apparatus
US6585759B1 (en) 1999-12-16 2003-07-01 Israel Aircraft Industr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dical support devices
US7278195B2 (en) * 1999-12-16 2007-10-09 Israel Aircraft Industries Ltd. Method for producing a coated medical support device
EP1132060A2 (en) * 2000-03-09 2001-09-12 LPL Systems Inc. Expandable stent
US7722663B1 (en) * 2000-04-24 2010-05-25 Scimed Life Systems, Inc. Anatomically correct endoluminal prostheses
US6616689B1 (en) 2000-05-03 2003-09-0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EP1284683B1 (en) 2000-05-22 2011-08-10 OrbusNeich Medical, Inc. Self-expanding stent
US20020072792A1 (en) * 2000-09-22 2002-06-13 Robert Burgermeister Stent with optimal strength and radiopacity characteristics
US6695833B1 (en) 2000-09-27 2004-02-24 Nellix, Inc. Vascular stent-graft apparatus and forming method
US7037330B1 (en) * 2000-10-16 2006-05-02 Scimed Life Systems, Inc. Neurovascular stent and method
JP2004511297A (ja) 2000-10-16 2004-04-15 コナー メド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有益な薬剤を搬送するための拡張可能な医療装置
US6764507B2 (en) 2000-10-16 2004-07-20 Conor Medsystems, Inc. Expandable medical device with improved spatial distribution
US6547818B1 (en) 2000-10-20 2003-04-15 Endotex Interventional Systems, Inc. Selectively thinned coiled-sheet stent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6506211B1 (en) * 2000-11-13 2003-01-14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designs
US6626935B1 (en) 2000-12-21 2003-09-30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US6929660B1 (en) * 2000-12-22 2005-08-16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JP4727070B2 (ja) * 2001-06-01 2011-07-20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
AU2002219569B2 (en) 2001-01-15 2005-05-05 Terumo Kabushiki Kaisha Stent
US20040073294A1 (en) 2002-09-20 2004-04-15 Conor Med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 beneficial agent into an expandable medical device
FR2822369A1 (fr) * 2001-03-20 2002-09-27 Nicolas Plowiecki Anneau apte a epouser la paroi interieure d'un vaisseau sanguin et dispositif comportant de tels anneaux
US6719804B2 (en) 2001-04-02 2004-04-13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stent and related methods
WO2002091952A2 (en) * 2001-05-14 2002-11-21 St. Jude Medical Atg, Inc. Medical grafting methods and apparatus
US20020183769A1 (en) * 2001-05-30 2002-12-05 St. Jude Medical Atg, Inc. Medical grafting methods and apparatus
US7338514B2 (en) 2001-06-01 2008-03-04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Closure devices, related delivery methods and tool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6939373B2 (en) * 2003-08-20 2005-09-06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US6629994B2 (en) 2001-06-11 2003-10-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US6635083B1 (en) 2001-06-25 2003-10-2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 with non-linear links and method of use
US6749629B1 (en) 2001-06-27 2004-06-1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 pattern with figure-eights
US7520892B1 (en) 2001-06-28 2009-04-2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Low profile stent with flexible link
US6607554B2 (en) 2001-06-29 2003-08-1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Universal stent link design
US6605110B2 (en) 2001-06-29 2003-08-12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 with enhanced bendability and flexibility
US7842083B2 (en) 2001-08-20 2010-11-30 Innovational Holdings, Llc. Expandable medical device with improved spatial distribution
US7708712B2 (en) * 2001-09-04 2010-05-04 Broncu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aintaining patency of surgically created channels in a body organ
IES20010828A2 (en) * 2001-09-12 2003-03-19 Medtronic Inc Medical device for intraluminal endovascular stenting
US6620202B2 (en) 2001-10-16 2003-09-16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stent with variable coil and related methods
US8562664B2 (en) * 2001-10-25 2013-10-22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Manufacture of fine-grained material for use in medical devices
US7163553B2 (en) * 2001-12-28 2007-01-16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and method of use
US7976564B2 (en) 2002-05-06 2011-07-12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PFO closur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6656220B1 (en) 2002-06-17 2003-12-02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AU2003249001A1 (en) * 2002-08-02 2004-02-23 Auxetica Limited Auxetic tubular liners
US9561123B2 (en) 2002-08-30 2017-02-07 C.R. Bard, Inc. Highly flexible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878162B2 (en) 2002-08-30 2005-04-12 Edwards Lifesciences Ag Helical stent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expandability
US20040116997A1 (en) 2002-09-20 2004-06-17 Taylor Charles S. Stent-graft with positioning anchor
US6786922B2 (en) 2002-10-08 2004-09-07 Cook Incorporated Stent with ring architecture and axially displaced connector segments
DE10300475B4 (de) * 2003-01-09 2008-11-13 Alveolus Inc. Stent mit einem tubulären aufweitbaren Stützgerät
EP2272544A1 (en) 2003-03-28 2011-01-12 Conor Medsystem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beneficial agent concentration gradient
US20040267306A1 (en) 2003-04-11 2004-12-30 Velocimed, L.L.C. Closure devices, related delivery method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8372112B2 (en) 2003-04-11 2013-02-12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Closure devices, related delivery methods, and related methods of use
DE10323628A1 (de) * 2003-05-20 2004-12-30 Biotronik Ag Stents aus einem Material geringer Bruchdehnung
US7491227B2 (en) * 2003-06-16 2009-02-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iled-sheet stent with flexible mesh design
US8114102B2 (en) * 2003-06-16 2012-02-14 St. Jude Medical Atg, Inc. Temporary hemostatic plu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8308682B2 (en) 2003-07-18 2012-11-13 Broncus Medical Inc. Devices for maintaining patency of surgically created channels in tissue
US8002740B2 (en) 2003-07-18 2011-08-23 Broncus Technologies, Inc. Devices for maintaining patency of surgically created channels in tissue
US7785653B2 (en) 2003-09-22 2010-08-31 Innovational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 beneficial agent into an expandable medical device
GB0324173D0 (en) * 2003-10-15 2003-11-19 Anson Medical Ltd Flexible delivery system
EP1684668B1 (en) 2003-11-08 2018-10-1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orta and branch vessel stent grafts and system
US20050149168A1 (en) * 2003-12-30 2005-07-07 Daniel Gregorich Stent to be deployed on a bend
JP4542360B2 (ja) * 2004-03-30 2010-09-15 テルモ株式会社 自己拡張型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
US20050222671A1 (en) * 2004-03-31 2005-10-06 Schaeffer Darin G Partially biodegradable stent
US7578840B2 (en) * 2004-03-31 2009-08-25 Cook Incorporated Stent with reduced profile
DE102004022044B4 (de) * 2004-05-03 2008-12-18 Qualimed Innovative Medizinprodukte Gmbh Stent
US8409167B2 (en) 2004-07-19 2013-04-02 Broncus Medical Inc Devices for delivering substances through an extra-anatomic opening created in an airway
US8048145B2 (en) 2004-07-22 2011-11-01 Endologix, Inc. Graft systems having filling structures supported by scaffold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7780721B2 (en) 2004-09-01 2010-08-24 C. R. Bard, Inc.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nt
US20060064155A1 (en) * 2004-09-01 2006-03-23 Pst, Llc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nt
US8292944B2 (en) 2004-12-17 2012-10-23 Reva Medical, Inc. Slide-and-lock stent
US7837726B2 (en) * 2005-03-14 2010-11-23 Abbott Laboratories Visible endoprosthesis
EP1871439B1 (en) * 2005-03-24 2012-05-30 Medtronic Vascular, Inc. Hybrid biodegradable/non-biodegradable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treating a vascular condition
WO2006108010A2 (en) 2005-04-04 2006-10-12 Burpee Materials Technology, Llc Flexible stent
CA2614203A1 (en) 2005-07-07 2007-01-18 Nell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dovascular aneurysm treatment
US20070100431A1 (en) * 2005-11-03 2007-05-03 Craig Bonsignore Intraluminal medical device with strain concentrating bridge
WO2007095466A2 (en) 2006-02-14 2007-08-23 Angiomed Gmbh & Co. Medizintechnik Kg Highly flexible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00010622A1 (en) * 2006-03-13 2010-01-14 Abbott Laboratories Hybrid segmented endoprosthesis
GB0609841D0 (en) 2006-05-17 2006-06-28 Angiomed Ag Bend-capable tubular prosthesis
US9259336B2 (en) * 2006-06-06 2016-02-1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tent with a crush-resistant zone
JP5038423B2 (ja) * 2006-08-22 2012-10-03 アボット、カーディオバスキュラ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血管内ステント
US8778009B2 (en) 2006-10-06 2014-07-15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GB0622465D0 (en) * 2006-11-10 2006-12-20 Angiomed Ag Stent
US20080177376A1 (en) * 2007-01-18 2008-07-24 Medtronic Vascular, Inc. Stent With Improved Flexibility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333799B2 (en) 2007-02-12 2012-12-18 C. R. Bard, Inc. Highly flexible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328865B2 (en) 2007-02-12 2012-12-11 C. R. Bard, Inc. Highly flexible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2007016415A1 (de) * 2007-04-05 2008-10-09 Biotronik Vi Patent Ag Medizinisches Gefäß-Stützimplantat, insbesondere Stent
US20080319528A1 (en) * 2007-06-25 2008-12-25 Abbott Laboratories Modular endoprosthesis with flexible interconnectors between modules
US7867273B2 (en) 2007-06-27 2011-01-11 Abbott Laboratories Endoprostheses for peripheral arteries and other body vessels
US7988723B2 (en) 2007-08-02 2011-08-02 Flexible Stenting Solutions, Inc. Flexible stent
US8226701B2 (en) * 2007-09-26 2012-07-24 Trivascular, Inc. Stent and delivery system for deployment thereof
US20090082847A1 (en) * 2007-09-26 2009-03-26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stent barbs
US8663309B2 (en) 2007-09-26 2014-03-04 Trivascular, Inc. Asymmetric stent apparatus and method
US8066755B2 (en) 2007-09-26 2011-11-29 Trivascular, Inc. System and method of pivoted stent deployment
AU2008308474B2 (en) 2007-10-04 2014-07-24 Trivascular, Inc. Modular vascular graft for low profile percutaneous delivery
US8083789B2 (en) 2007-11-16 2011-12-27 Trivascular, Inc. Secur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expandable endovascular device
US8328861B2 (en) * 2007-11-16 2012-12-11 Trivascular, Inc.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bifurcated graft
WO2009070180A1 (en) 2007-11-30 2009-06-04 Reva Medical, Inc. Axially-radially nested expandable device
WO2009086200A1 (en) * 2007-12-20 2009-07-09 Trivascular2, Inc. Hinged endovascular device
JP5248165B2 (ja) * 2008-03-31 2013-07-31 テルモ株式会社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CA2721950A1 (en) 2008-04-25 2009-10-29 Nellix, Inc. Stent graft delivery system
JP2011522615A (ja) 2008-06-04 2011-08-04 ネリ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封止装置および使用方法
US9149376B2 (en) 2008-10-06 2015-10-06 Cordis Corporation Reconstrainable stent delivery system
CA2737753C (en) 2008-10-10 2017-03-14 Reva Medical, Inc. Expandable slide and lock stent
CN102413791B (zh) * 2009-04-24 2014-10-29 灵活支架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挠性装置
AU2010300295B2 (en) 2009-10-02 2013-06-1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Thoracic stent graft with guide arrangement
US20110276078A1 (en) 2009-12-30 2011-11-10 Nellix, Inc. Filling structure for a graft system and methods of use
WO2014176361A1 (en) * 2013-04-25 2014-10-30 Reva Medical, Inc. Expandable deformable slide and lock stent
CN102843997B (zh) 2010-04-10 2015-02-25 雷瓦医药公司 可膨胀滑动锁紧支架
US8801768B2 (en) 2011-01-21 2014-08-12 Endologix, Inc. Graft systems having semi-permeable filling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ir use
JP5847160B2 (ja) * 2011-03-25 2016-01-20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5976777B2 (ja) 2011-04-06 2016-08-24 エンドーロジ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内動脈瘤治療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709034B2 (en) 2011-05-13 2014-04-29 Broncus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iagnosing, monitoring, or treating medical conditions through an opening through an airway wall
US9486229B2 (en) 2011-05-13 2016-11-08 Broncus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excision of tissue
US10285798B2 (en) * 2011-06-03 2019-05-14 Merit Medical Systems, Inc. Esophageal stent
US8986368B2 (en) 2011-10-31 2015-03-24 Merit Medical Systems, Inc. Esophageal stent with valve
WO2013078235A1 (en) 2011-11-23 2013-05-30 Broncus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iagnosing, monitoring, or treating medical conditions through an opening through an airway wall
US8992595B2 (en) 2012-04-04 2015-03-31 Trivascular, Inc. Durable stent graft with tapered struts and stable delivery methods and devices
US9498363B2 (en) 2012-04-06 2016-11-22 Trivascular, Inc. Delivery catheter for endovascular device
CA3081285C (en) 2012-05-14 2022-05-31 C.R. Bard, Inc. Uniformly expandable stent
KR102313261B1 (ko) 2012-06-05 2021-10-14 메리트 메디컬 시스템즈, 인크. 식도 스텐트
US9028541B2 (en) 2012-07-18 2015-05-12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 with actively varying ring density
EP2908772B1 (en) * 2012-10-22 2019-12-11 Orbusneich Medical Pte. Ltd Medical device for implantation into luminal structures
EP2964148A4 (en) 2013-03-05 2016-08-24 Merit Medical Systems Inc REINFORCED VALVE
USD723165S1 (en) 2013-03-12 2015-02-24 C. R. Bard, Inc. Stent
JP6533776B2 (ja) 2013-03-14 2019-06-19 エンドーロジ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体内の動脈瘤を治療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作動方法
US9408732B2 (en) 2013-03-14 2016-08-09 Reva Medical, Inc. Reduced-profile slide and lock stent
CA2892269C (en) 2013-03-15 2021-05-25 Merit Medical Systems, Inc. Esophageal stent
CN105722480A (zh) * 2013-06-20 2016-06-29 生物传感器国际集团有限公司 具有混合构型的连接体的血管支架
US9980835B2 (en) * 2013-10-22 2018-05-29 Orbusneich Medical Inc. Medical device for implantation into luminal structures incorporating corrugated structural elements
WO2015061492A1 (en) * 2013-10-22 2015-04-30 Orbusneich Medical, Inc. Medical device for implantation into luminal structures incorporating corrugated structural elements
EP3388032B1 (en) 2014-03-18 2019-06-2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duced granulation and inflammation stent design
DE102014016588A1 (de) 2014-11-11 2016-05-12 medicut Stent Technology GmbH Stentprothese
US20170231790A1 (en) * 2016-02-17 2017-08-17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Bioresorbable scaffold delivery system with improved distal integrity
US10850010B2 (en) * 2016-02-25 2020-12-01 Pentas Inc. Stent
CA3018182A1 (en) 2016-03-31 2017-10-05 Vesper Medical, Inc. Intravascular implants
US10905572B2 (en) * 2016-11-14 2021-02-02 Covidien Lp Stent
US10449069B2 (en) * 2016-11-14 2019-10-22 Covidien Lp Stent
US10258488B2 (en) * 2016-11-14 2019-04-16 Covidien Lp Stent
US10238513B2 (en) 2017-07-19 2019-03-26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US10849769B2 (en) * 2017-08-23 2020-12-01 Vesper Medical, Inc. Non-foreshortening stent
US11628076B2 (en) 2017-09-08 2023-04-18 Vesper Medical, Inc. Hybrid stent
US11357650B2 (en) 2019-02-28 2022-06-14 Vesper Medical, Inc. Hybrid stent
US10271977B2 (en) 2017-09-08 2019-04-30 Vesper Medical, Inc. Hybrid stent
US11364134B2 (en) 2018-02-15 2022-06-21 Vesper Medical, Inc. Tapering stent
US10500078B2 (en) 2018-03-09 2019-12-10 Vesper Medical, Inc. Implantable stent
US10575973B2 (en) 2018-04-11 2020-03-03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avascular stent having high fatigue performance
US20230036591A1 (en) * 2021-07-30 2023-02-02 Stryker Corporation Medical stent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882A (en) * 1987-03-13 1989-01-31 Cook Incorporated Endovascular stent and delivery system
US5133732A (en) * 1987-10-19 1992-07-28 Medtronic, Inc. Intravascular stent
CA1322628C (en) * 1988-10-04 1993-10-05 Richard A. Schatz Expandable intraluminal graft
US5425739A (en) * 1989-03-09 1995-06-20 Avatar Design And Development, Inc. Anastomosis stent and stent selection system
US5221261A (en) * 1990-04-12 1993-06-22 Schneider (Usa) Inc. Radially expandable fixation member
US5242399A (en) * 1990-04-25 1993-09-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stent delivery
US5139480A (en) * 1990-08-22 1992-08-18 Biotech Laboratories, Inc. Necking stents
US5330500A (en) * 1990-10-18 1994-07-19 Song Ho Y Self-expanding endovascular stent with silicone coating
CA2079417C (en) * 1991-10-28 2003-01-07 Lilip Lau Expandable st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07767A (en) * 1992-01-15 1996-04-16 Cook Incorporated Spiral stent
US5507771A (en) * 1992-06-15 1996-04-16 Cook Incorporated Stent assembly
US5494029A (en) * 1992-09-29 1996-02-27 Hood Laboratories Laryngeal stents
US5441515A (en) * 1993-04-23 1995-08-1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atcheting stent
JP2703510B2 (ja) * 1993-12-28 1998-01-26 アドヴァンスド カーディオヴァスキュラ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拡大可能な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443477A (en) * 1994-02-10 1995-08-22 Stent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ployment of radially expandable stents by a mechanical linkage
US5733303A (en) * 1994-03-17 1998-03-31 Medinol Ltd. Flexible expandable stent
US5449373A (en) * 1994-03-17 1995-09-12 Medinol Ltd. Articulated stent
CA2147709C (en) * 1994-04-25 1999-08-24 Sharon S. Lam Radiopaque stent markers
US5531741A (en) * 1994-08-18 1996-07-02 Barbacci; Josephine A. Illuminated stents
US5522882A (en) 1994-10-21 1996-06-04 Impr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lloon expandable stent-graft delivery
IL115756A0 (en) * 1994-10-27 1996-01-19 Medinol Ltd Stent fabrication method
US5549662A (en) * 1994-11-07 1996-08-27 Scimed Life Systems, Inc. Expandable stent using sliding members
US5591197A (en) * 1995-03-14 1997-01-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xpandable stent forming projecting barbs and method for deploying
US5697971A (en) * 1996-06-11 1997-12-16 Fischell; Robert E. Multi-cell stent with cells having differing characteristics
US5868782A (en) * 1996-12-24 1999-02-09 Global Therapeutics, Inc. Radially expandable axially non-contracting surgical stent
DE29702671U1 (de) * 1997-02-17 1997-04-10 Jomed Implantate Gmbh Stent
US5741327A (en) * 1997-05-06 1998-04-21 Global Therapeutics, Inc. Surgical stent featuring radiopaque mark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213B1 (ko) * 2000-01-19 2002-05-24 장양수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
KR100360364B1 (ko) * 2000-05-22 2002-11-13 주식회사 정성메디칼 관상동맥 설치용 금속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24469B2 (ja) 2011-02-02
AU8068698A (en) 1998-12-30
JP2002504838A (ja) 2002-02-12
DE69827386D1 (de) 2004-12-09
EP0987999B1 (en) 2004-11-03
CA2293469A1 (en) 1998-12-17
US5843175A (en) 1998-12-01
AU750756B2 (en) 2002-07-25
EP0987999A1 (en) 2000-03-29
JP4453786B2 (ja) 2010-04-21
WO1998056313A1 (en) 1998-12-17
CA2293469C (en) 2009-04-14
JP2009261983A (ja) 2009-11-12
DE69827386T2 (de)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735A (ko)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KR100455593B1 (ko)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하고 축방향으로 비수축적인 외과용 스텐트
ES2216145T3 (es) Protesis intravascular.
EP0846450B1 (en) A flexible expandable stent
US6423090B1 (en) Stent pattern with staged expansion
US6190403B1 (en) Low profile radiopaque stent with increased longitudinal flexibility and radial rigidity
JP4015204B2 (ja) 脈管内ステント
CA2523347C (en) Extendable soft stent with excellent follow-up capability to blood vessel
JP5042417B2 (ja) 長さ方向の可撓性と半径方向の剛性を増強した低プロフィール放射線不透過性ステント
EP1629861A1 (en) Soft stent with excellent follow-up capability to blood vessel
US20070168010A1 (en) Hinged Stent
JP5114353B2 (ja) 柔軟性拡張可能ステント
JP2004329790A (ja) 血管追従性・管腔径保持性の優れた柔軟な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