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213B1 -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 - Google Patents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213B1
KR100338213B1 KR1020000002472A KR20000002472A KR100338213B1 KR 100338213 B1 KR100338213 B1 KR 100338213B1 KR 1020000002472 A KR1020000002472 A KR 1020000002472A KR 20000002472 A KR20000002472 A KR 20000002472A KR 100338213 B1 KR100338213 B1 KR 10033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branches
width
present
highly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692A (ko
Inventor
장양수
정광회
김도훈
Original Assignee
장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양수 filed Critical 장양수
Priority to KR102000000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2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1Cross-sections or two-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112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002/30136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undulated or wavy, e.g. serpentine-shaped or zigzag-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99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224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2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elasticity, flexibility, spring rate or mechanical ten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로분지와 세로분지가 교차된 망형(網形) 원통형상의 몸통부, 선단부 및, 근위부가 일체화되어 구성된 망형 원통구조의 고유연성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는 좁은 병변 및 굴곡진 관상조직을 잘 통과할 수 있도록 높은 유연성을 갖는 바, 본 발명의 스텐트가 관상조직에 삽입될 경우, 협착되고 전후에 굴곡을 지니고 있는 관상조직을 조직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통과하고, 굴곡을 지난 후에도 스텐트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게 되므로, 스텐트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재협착 및 재축소 등의 부작용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A Stent With Improved Flexibility}
본 발명은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로분지와 세로분지가 교차된 망형(網形) 원통형상의 몸통부, 선단부 및, 근위부가 일체화되어 구성된 망형 원통구조의 고유연성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경을 갖는 관상형 조직은 혈관, 식도, 장, 기관지, 기도, 담도, 요도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구조물에서는 혈관의 경우 동맥경화반, 기타 장기의 경우 암 등에 의해서 내경의 협착을 가져온다. 예를 들어, 협심증 환자의 경우 콜레스테롤 침적 등으로 인하여 관상동맥, 말초혈관 등의 인체내 혈관의 협착이 발생하여, 혈류의 흐름이 저하되거나 이로 인하여 심한 통증이나 급작스런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기관지암, 식도암, 담도암 등에 의한 환자의 경우 암종괴에 의한 협착으로 호흡곤란, 음식섭취장애, 소화장애 등이 발발하므로 결국은 환자가 사망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치료방법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알려져 있다: 첫째, 수술을 통하여 좁아진 혈관 및 관상형 조직을 우회술로서 인공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은 환자의 통증뿐만 아니라, 공포감을 수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둘째, 내경이 좁아진 혈관 및 관상형 조직에 가는 풍선카테터(balloon catheter)를 삽입하여 협착된 부위에 고정시킨 후 풍선확장을 통하여 협착된 곳을 넓혀주는 새로운 방법으로, 이 방법은 통증이나 공포감의 문제는 다소 해결하였으나, 재협착 발생률이 70%를 상회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전기의 풍선카테터를 이용한 방법의 문제점인 높은 재협착률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및 각종 금속으로 제조된 금속망 스텐트(stent)를 협착된 관상형 조직에 삽입 장착시켜 원래의 관상형 조직의 크기로 넓혀줌으로써, 혈관 및 관상형 조직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스텐트를 시술하는 방법은 전술한 다른 치료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었으나, 여전히 재협착, 재축소, 급성혈전증 등의 재발률이 높고, 스텐트시술 후스텐트의 이동 및 붕괴와 스텐트로 인한 혈관의 경련등 지금까지와는 다른 형태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특히, 스텐트를 사용하여 시술하는 경우 스텐트에게 상반된 성격을 요구하여 관상형 조직에 용이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텐트에 풍선카테터를 삽입하여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고정시킨 후 풍선 확장에 의하여 협착된 부위를 확장 시켜주는 스텐트의 시술을 위하여 어느 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면 그 힘에 쉽게 적응하려는 성격인 연성이 스텐트에 요구되지만, 스텐트의 시술이 끝난 후 혈관 및 관상형 조직의 수축, 혈류 및 관상형 조직을 통과하는 물질들의 흐름 등의 요인에 의하여 스텐트의 구조가 변형되어 결과적으로 스텐트의 기능이 저해되지 않으려면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재빨리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성격인 탄성이 스텐트에 요구되었다.
따라서, 스텐트를 심한 굴곡부위를 갖거나 굴신운동이 심한 부위에 위치하는 혈관 및 관상형 조직에 적용할 경우, 적용 및 시술이 용이하고 시술 후 증상의 재발률을 저하시키며 스텐트의 이동, 붕괴 및 혈관경련 같은 부작용의 발생률이 최소화되도록 연성과 탄성이 이상적으로 조화된 성격을 갖는 고유연성 스텐트를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연성과 탄성이 이상적으로 조화된 성격을 갖는 고유연성 스텐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상반된 방향의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물결모양의 돌기를 포함하는 가로분지와 상반된 방향의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세로분지가 교차된 망형 원통형상으로 교차된 몸통부, 선단부 및 근위부를 포함하는 망형 원통구조의 고유연성 스텐트를 제작하고, 전기 제작된 스텐트가 연성 및 탄성이 우수하여 굴곡진 관상형 조직에 쉽게 시술할 수 있으며, 시술 후 스텐트의 구조적인 변형이 최소화되며, 협착된 관상형 조직에 종래의 스텐트들보다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가로분지와 세로분지가 교차된 망이 말려 형성된 망형 원통형상의 몸통부, 선단부 및, 근위부가 일체화되어 구성된 망형 원통구조의 고유연성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유연성 스텐트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유연성 스텐트의 완성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연성 스텐트의 가로분지 및 세로분 지의 분지간의 폭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유연성 스텐트의 단위구조를 보여주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관상형 조직용 스텐트의 일부 확대사진이다.
도 6은 종래의 스텐트 몸체가 와이어를 통과 후의 외경의 변화를 표현한 사 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텐트 몸체가 와이어를 통과 후의 외경의 변화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 8은 종래의 스텐트 몸체가 와이어를 통과 후의 선단부의 변화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텐트 몸체가 와이어를 통과 후의 선단부의 변화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상방향의 곡률을 갖는 가로분지
2: 세로분지
3: 하방향의 곡률을 갖는 가로분지
(1): 스텐트의 선단부의 확대도
(2): 스텐트의 선단부의 확대도
(3): 스텐트의 몸통부의 확대도
(4): 스텐트의 몸통부의 확대도
(5): 스텐트의 근위부의 확대도
(6): 스텐트의 근위부의 확대도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는 상반된 방향의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물결모양의 돌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가로분지와 상반된 방향의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세로분지가 30 내지 90°의 각도로 교차된 망이 말려 형성된 망형 원통형상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와 원통길이방향으로 인접하고, 세로분지간의 폭이 몸통부의 세로분지간의 폭의 50 내지 85%이며, 세로분지를 이루는 2개의 곡선의 길이가 몸통부의 세로분지를 이루는 2개의 곡선의 길이의 50 내지 85%인 구성을 포함하는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 반대방향에서 몸통부와 인접하고, 가로분지의 너비가 세로분지의 너비와 동일한 근위부가 일체화되어 구성된 망형 원통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는 0.04 내지 0.16㎜,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14㎜, 가장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2㎜ 두께의 스테인레스 스틸관을, 적용하고자 하는 관상형 조직의 크기에 따라, 직경 0.6 내지 16㎜,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길이 5 내지 64㎜, 바람직하게는 7 내지 62㎜, 가장 바람직하게는 9 내지 60㎜이 되도록 레이저 빔으로 잘라내고, 스텐트의 전개도에 따라(참조: 도 1, 도 3, 도 4), 너비 0.01 내지 0.13㎜,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1㎜,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09㎜의 가로분지, 가로분지간의 폭은 0.6 내지 3.4㎜,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3.2㎜,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너비 0.05 내지 0.30㎜,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27㎜, 가장 바람직하게는 0.09 내지 0.25㎜의 세로분지 및 세로분지간의 폭은 1.1 내지 4.9㎜,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4.7㎜,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로 성형한 후, 표면과 모서리는 매끄럽게 가공하여 망형원통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참조: 도 2). 한편,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에 사용되는 재질 및 가공 기술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텐트는 스텐트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반된 방향의 상이한 곡률을 갖는 가로분지, 즉 상방향의 곡률을 갖는 가로분지 1과 하방향의 곡률을 갖는 가로분지 3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물결모양의 돌기를 포함하는 가로분지와 상반된 방향의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세로분지 2가 교차된 망형 원통구조의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가로분지와 세로분지의 교차각도를 3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45-75°로 유지하여 최대 지지력을 갖도록 하며, 스텐트 근위부의 세로분지에 부착되는 가로분지를 세로분지를 이루는 2개의 곡선의 접촉부에 위치시킨다. 또한, 선단부의 세로분지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분지의 길이를 몸통부의 세로분지의 간격에 비하여 50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로 짧게 하고 근위부 가로분지의 두께를 근위부 세로분지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로 두껍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유연성 스텐트를 제조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는 선단부, 몸통부 및 근위부로 구성되는데, 스텐트의 시술시 가장 먼저 삽입되는 선단부는 도면의 좌측 끝의 세로분지에서 다음 세로분지까지의 부분이고, 가장 나중에 삽입되는 근위부는 도면의 우측 끝의 세로분지에서 다음 세로분지까지의 부분이며, 몸통부는 선단부와 근위부의 사이의 부분이다.
도 4는 상기한 도 3에서 나타낸 스텐트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또는 도 4의 (1)과 (2)는 스텐트를 시술할 때 관상형 조직에 가장 먼저 삽입되는 스텐트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스텐트의 몸통부 또는 근위부와 비교하여, 스텐트의 선단부는 세로분지를 구성하는 2개의 곡선의 길이가 몸통부의 세로분지를 구성하는 2개의 곡선의 길이의 50 내지 85%이며, 다음 세로분지까지의 거리가 짧으며, 반타원의 형태가 차지하는 너비가 몸통부에 비하여 좁다. (3)과 (4)는 스텐트의 몸통부를 확대한 그림으로, 몸통부의 가로분지는 2개의 상반된 곡률을 갖는 물결모양의 돌기로 구성되고, 세로분지의 너비는 가로분지의 너비에 비하여 넓다. 한편, (5)와 (6)은 스텐트의 근위부를 확대한 그림으로, 전기한 선단부 및 몸통부와는 달리 가로분지의 너비가 세로분지의 너비와 동일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5는 스텐트의 선단부 및 몸통부의 가로분지와 세로분지의 너비가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스텐트의 몸통부의 일부 확대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유연성 스텐트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스텐트의 유연성을 극대화하는 상기한 가로분지와 세로분지의 구성 및 가로분지와 세로분지의 교차각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스텐트를 시술할 경우, 스텐트의 유연성을 상승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제작된 구성으로 인하여 시술된 관상조직의 수축 및 굴곡운동에 의하여 스텐트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도록 스텐트의 기능을 유지시킨다. 또한, 몸통부, 선단부 및 근위부로 명확히 구별되는 구성을 포함하는망형 원통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는 0.08 내지 0.12㎜의 충분히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협착된 혈관내부에 적용하는 경우, 정상적인 혈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게 되어, 혈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혈관이 재협착 되어 질환이 재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유연성 스텐트의 가로분지 및 세로분지의 분지간의 폭을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확대도인 바, 이러한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따라 시술된다: ⑴ 시술하고자 하는 관상조직의 부위를 절단하여 관상조직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⑵ 스텐트의 내부에 적절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풍선카테터가 장착된 고유연성 스텐트를 상기한 개구부에 삽입시키는 단계; ⑶ 삽입된 고유연성 스텐트를 협착부위 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및, ⑷ 협착부위 까지 이동된 스텐트의 내부에 장착된 풍선카테터를 관상형 조직의 내경만큼 확장시켜 스텐트를 협착된 관상형 조직의 내벽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술한 스텐트의 시술단계 중 스텐트를 관상조직의 개구부에 삽입할 때, 제일 먼저 삽입되는 부위인 스텐트의 선단부는 선단부의 세로분지간의 폭이 몸통부의 세로분지간의 폭에 비하여 40 내지 75%정도로 짧을 뿐만 아니라, 세로분지를 이루는 2개의 곡선의 길이가 몸통부의 세로분지를 이루는 2개의 곡선의 길이의 50 내지 85%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유연성 스텐트의 선단부는 몸통부에 비하여 탄성이 우수하다. 이처럼 탄성이 우수한 선단부는 좁아진 관상형 조직의 협착된 부위를 용이하게 확장시키므로, 이로 인하여 관상조직의 협착부위에 스텐트의 몸통부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선단부의 세로분지간의 폭이, 몸통부 및 근위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시술하는 관상조직에 굴곡이 심한 관상조직에 고유연성 스텐트를 삽입할 경우에도, 고유연성 스텐트의 선단부는 관상조직의 굴곡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도 시술하는 관상조직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상기한 선단부에 인접한 몸통부는 최종적으로 관상조직의 협착된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바, 시술 후 관상조직의 수축 및 굴곡운동에 대하여 스텐트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몸통부는 연성과 탄성이 이상적으로 조화된 고유연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고유연성을 본 발명의 스텐트의 몸통부가 가지도록, 상반된 방향의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물결모양의 돌기를 포함하는 가로분지와 상반된 방향의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세로분지의 구성; 가로분지의 너비가 세로분지의 너비보다 좁게되어 있는 구성; 및, 가로분지와 세로분지의 교차각도가 45 내지 75°인 구성이 몸통부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몸통부의 구성요소들은 스텐트의 유연성을 상승적으로 증가시켜서 협착된 관상조직에 고유연성 스텐트가 시술된 후, 시술된 관상조직의 수축 및 굴곡운동에 의하여 스텐트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도록 스텐트의 기능을 유지시킨다.
상기한 몸통부와 선단부의 인접방향의 반대방향에서 몸통부와 인접한 근위부는 가로분지의 너비가 세로분지의 너비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근위부에 상기한 구성을 포함하는 이유는 관상형 조직의 개구부의 높은 탄성으로 인하여 다른 부위에 비하여 더 큰 확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스텐트근위부의 가로분지의 너비를 세로분지의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개구부의 강력한 확장을 꾀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의 선단부 또는 몸통부의 가로분지의 너비가 세로분지의 너비보다 좁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너비의 차이는 전기한 상반된 방향의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물결모양의 돌기를 포함하는 곡선형의 가로분지의 구성과 함께 고유연성 스텐트의 유연성을 상승적으로 증가시켜, 본 발명의 스텐트를 굴곡진 협착된 관상형 조직의 내부에 적용시키는데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는 종래의 스텐트에 비하여 고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술과정에서 스텐트의 형태가 변형되는 정도가 종래의 스텐트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한다. 이를 입증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 및 종래의 스텐트를 사용하여 변형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유연성 스텐트의 변형실험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스텐트를 혈관에 적용하였을 경우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스텐트가 지녀야 할 성능 중, 스텐트가 관상형 조직의 굴곡부를 통과한 후에도 스텐트 고유의 구조와 기능이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스텐트의 직경과 선단부의 구조 및 직경이 가장 중요하다. 즉, 관상형 조직의 협착된 부위를 통과한 후에도 스텐트의 직경이줄어든 상태로 있다면, 스텐트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것이며, 또한, 선단부는 스텐트의 부위 중 관상형 조직을 제일 먼저 접촉하게 되는 부위이므로, 협착된 부위를 통과한 후, 선단부의 형태나 직경에 변형이 생긴다면 시술받은 조직에 치명적인 위험을 줄 수도 있다.
상술한 이유로, 본 발명의 스텐트가 금속제 와이어(wire)를 통과한 후 발생하는 스텐트의 외경 및 선단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우선, 반복되어 75°이상 두 곳이 굴곡진 직경 0.014인치(inch)의 와이어를 준비하고, 준비된 와이어에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규격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스텐트를 통과시켰다.
와이어를 통과한 스텐트의 외경의 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통과 전의 0.9 ±0.1mm에서 통과 후에도 거의 변화가 없었고(참조: 도 7), 와이어를 통과한 스텐트의 선단부의 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통과 전에 비하여 통과 후에 선단부가 약 15 ±3°벌어졌다(참조: 도 9).
종래의 스텐트의 변형실험
상기 실험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의 성능과 비교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98-28444호에 개시된 스텐트로서 재질, 가공방법, 직경 및 길이가 상기와 동일한 스텐트를 가지고 상술한 방법으로 변형정도를 측정하였다.
와이어를 통과한 스텐트의 외경의 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통과 전의 0.9 ±0.1mm에서 통과 후의 1.2 ±0.1mm로 약 33%정도 확대되었으며(참조: 도 6), 와이어를 통과한 스텐트의 선단부의 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통과 전에 비하여 통과 후에 선단부가 약 35 ±6°벌어졌다(참조: 도 8).
이상의 비교 실험결과, 본 발명의 스텐트가 종래의 스텐트에 비하여 스텐트 시술 후 스텐트의 구조적인 변형이 적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종래의 스텐트보다 본 발명의 스텐트가 각기 다른구성의 몸통부, 선단부 및 근위부의 작용이 상호 보완되는 안정적인 구조를 포함하기 때문에, 외부의 힘이 가해질 때는 변형이 쉽게 되지만, 외부의 힘이 소멸되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원상복위율이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즉, 본 발명의 스텐트는 연성과 탄성이 잘 조화된 고유연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저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가로분지와 세로분지가 교차된 망형(網形) 원통형상의 몸통부, 선단부 및, 근위부가 일체화되어 구성된 망형 원통구조의 고유연성 스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유연성 스텐트는 좁은 병변 및 굴곡진 관상조직을 잘 통과할 수 있도록 높은 유연성을 갖는 바, 본 발명의 스텐트가 관상조직에 삽입될 경우, 협착되고 전후에 굴곡을 지니고 있는 관상조직을 조직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통과하고, 굴곡을 지난 후에도 스텐트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게 되므로, 스텐트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재협착 및 재축소 등의 부작용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Claims (2)

  1. 상반된 방향의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 루어진 물결모양의 돌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가로분지와 상반된 방향의 동일 한 곡률을 가지는 2개의 곡선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세로 분지가 30 내지 90°의 각도로 교차된 망(網)이 말려 형성된 망형 원통형상 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와 원통길이방향으로 인접하고, 세로분지간의 폭이 몸통부의 세로분지간의 폭의 50 내지 85%이며, 세로분지를 이루는 2개의 곡 선의 길이가 몸통부의 세로분지를 이루는 2개의 곡선의 길이의 50 내지 85% 인 구성을 포함하는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 반대방향에서 몸통부와 인접하 고, 가로분지의 너비가 세로분지의 너비와 동일한 근위부가 일체화되어 구성 된 망형(網形) 원통구조의 고유연성 스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가로분지는 0.01 내지 0.13㎜의 너비, 0.04 내지 0.16㎜의 두께 및 분 지간의 폭이 0.6 내지 3.4㎜이고,
    세로분지는 0.05 내지 0.30㎜의 너비, 0.04 내지 0.16㎜의 두께 및 분지간의 폭이 1.1 내지 4.9㎜이며,
    망형원통은 직경 0.6 내지 16㎜ 및 길이 5 내지 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연성 스텐트.
KR1020000002472A 2000-01-19 2000-01-19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 KR10033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472A KR100338213B1 (ko) 2000-01-19 2000-01-19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472A KR100338213B1 (ko) 2000-01-19 2000-01-19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692A KR20010073692A (ko) 2001-08-01
KR100338213B1 true KR100338213B1 (ko) 2002-05-24

Family

ID=1963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472A KR100338213B1 (ko) 2000-01-19 2000-01-19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2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458A (ko) * 2004-02-23 2005-08-26 장양수 개량된 연결부재로 구성된 스텐트
WO2007035023A1 (en) * 2005-09-23 2007-03-29 Humed Co Ltd Stent for blood vesse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617A (ja) * 1996-05-30 1997-12-09 Piolax Inc ステント
JPH1066730A (ja) * 1996-08-28 1998-03-10 Sumitomo Bakelite Co Ltd 管腔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728158A (en) * 1991-10-28 1998-03-1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xpandable stents
KR19990013858A (ko) * 1997-07-16 1999-02-25 장양수 혈관용 스텐트
KR20010013735A (ko) * 1997-06-13 2001-02-26 쿡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KR20010030765A (ko) * 1997-09-29 2001-04-16 쿡 인코포레이티드 방사형으로 팽창가능한 니켈-티타늄제 외과용 스텐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8158A (en) * 1991-10-28 1998-03-1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xpandable stents
JPH09313617A (ja) * 1996-05-30 1997-12-09 Piolax Inc ステント
JPH1066730A (ja) * 1996-08-28 1998-03-10 Sumitomo Bakelite Co Ltd 管腔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13735A (ko) * 1997-06-13 2001-02-26 쿡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외과용 스텐트
KR19990013858A (ko) * 1997-07-16 1999-02-25 장양수 혈관용 스텐트
KR20010030765A (ko) * 1997-09-29 2001-04-16 쿡 인코포레이티드 방사형으로 팽창가능한 니켈-티타늄제 외과용 스텐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458A (ko) * 2004-02-23 2005-08-26 장양수 개량된 연결부재로 구성된 스텐트
WO2007035023A1 (en) * 2005-09-23 2007-03-29 Humed Co Ltd Stent for blood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692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8463B2 (en) Endoluminal device
US5807404A (en) Stent with variable features to optimize support and method of making such stent
US5860999A (en) Stent and method of using same
JP6189214B2 (ja) 薄ストラット厚および可変ストラット形状を有するステント
JP4636634B2 (ja) 脈管内ステント
JP3814596B2 (ja) 可変状態維持型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可変状態維持型ステント
KR100455975B1 (ko) 팽창 가능한 스텐트
JP4484249B2 (ja) 脈管内ステント
EP0737452B1 (en) Stent
US20020133222A1 (en) Expandable stent hav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expansion modules
EP0890346A1 (en) Expandable intraluminal endoprosthesis
US20060173531A1 (en) Stent with variable features to optimize support and method of making such stent
JP2017533806A (ja) ステントプロテーゼ
JP2007536056A (ja) 内腔プロテーゼ
JP6081948B2 (ja) 柔軟性ステント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338213B1 (ko) 개량된 고유연성 스텐트
JP3343335B2 (ja) 血管用ステント
WO2017124375A1 (zh) 一种医用自膨胀支架
CN112656543B (zh) 迁移能力降低的外周血管支架
KR20010009743A (ko) 스텐트
KR100550498B1 (ko) 개량된 원주부재를 갖는 스텐트
JPH1099449A (ja) 管状器官の治療具
RU2253410C1 (ru) Внутрисосудистый протез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и/или сохранения просвета кровеносного сосуда (варианты)
CN116059018A (zh) 一种医用支架及支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