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623A - 흡기형 에어백 팽창 장치 - Google Patents

흡기형 에어백 팽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623A
KR20010013623A KR19997011633A KR19997011633A KR20010013623A KR 20010013623 A KR20010013623 A KR 20010013623A KR 19997011633 A KR19997011633 A KR 19997011633A KR 19997011633 A KR19997011633 A KR 19997011633A KR 20010013623 A KR20010013623 A KR 20010013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ixing chamber
intake
air in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셰피로버트에스
피셔필립디
사이즈제임스알
Original Assignee
바치 폴 에프
아틀랜틱 리서치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치 폴 에프, 아틀랜틱 리서치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바치 폴 에프
Publication of KR2001001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6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30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draw ambient air into the flow line and mix such air with th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3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module or part thereof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에어백(16)을 팽창시키며 차량의 탑승자가 에어백의 완전한 팽창전에 이와 접촉을 하는 경우 상기 에어백(16)의 팽창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는 차량의 일정한 충돌에 반응하여 팽창 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생성 유니트(14)와 상기 가스 생성 유니트(14)에 그리고 상기 에어백(16)에 연결된 흡기 유니트(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기 유니트(12)는 외부 공기 인입부(22)와, 상기 공기 인입부(22)와 연통하는 혼합실(28)과, 상기 가스 생성 수단(14)과 연통하는 노즐(32)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실(28)은 상기 팽창 가스를 상기 혼합실(28)로 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 인입구(22)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혼합실(28)로 흡기되어 상기 에어백(16)을 팽창하는 외부 공기와 생성된 팽창가스의 혼합이 생성된다.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16)의 완정한 팽창전에 탑승자가 에어백과 접촉할 때, 상기 혼합실(28)에서는 백 프레셔가 생성되어 흡기 공기의 상기 혼합실로의 흐름이 줄어들거나 막히고 따라서 에어백(16)의 팽창속도를 줄여서 에어백의 계속되는 빠른 팽창을 막고 탑승자의 가능한 심각한 부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흡기형 에어백 팽창 장치 {Aspiration-type air bag inflation apparatus}
통상의 자동차 충돌의 경우, 에어백의 팽창은 탑승자가 제대로 착석한 위치에서 시작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팽창한 에어백과 접촉하는 때에 필수적으로 완료된다. 이 경우, 전방으로 이동하는 탑승자는 거의 차량의 충돌 직전에 차량이 가졌던 속력에서 상기 백의 표면과 접촉한다. 상기 백으로 이동하는 탑승자는 백에 감싸지고 압입(壓入)된 백의 쿠션 효과(cusion effect)에 의하여 멈추어진다. 그러나, 차량의 충돌시에 좌석에 제대로 착석하지 않고 대신 전방으로 기울거나, 전방에 앉거나, 좌석의 전방에 서있거나 또는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의 커버에 접촉하고 있는 탑승자는 에어백의 팽창 동안에 에어백과 간섭한다. 이 경우, 상기 백의 표면은 상기 차량에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후방으로 팽창하여 차량의 내부로 후퇴한다. 상기 백은 상술한 방식으로 탑승자의 전방이동을 가로막고 탑승자는 에어백의 표면과 200 m.p.h정도의 속력으로 충돌한다. 부분적으로 팽창한 백은 탑승자를 감싸, 처음에는 차량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멈추게 하고, 다음, 상기 백이 계속하여 압입됨에 따라 상당한 힘으로 후방에서 백과 접촉하고 있는 탑승자의 몸의 일부를 가속시키는데, 이는 치명적인 부상을 불러올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충돌시 차량 에어백 모듈에 대한 근접성 여부에 불구하고, 에어백에 개발된 압력을 탑승자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수준으로 제한 하도록 에어백의 팽창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에어백 팽창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에어백 팽창장치(air bag inflation apparutus)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흡기형 에어백 팽창 장치(aspiration air bag inflation apparutus)로서 차량 탑승자가 에어백이 완전히 팽창되기 전에 이와 충돌하였을 경우 에어백의 팽창 속도를 줄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에어백의 전개이후의 본 발명의 에어백 팽창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에어백의 팽창전의 닫힌 위치의 도 1에서 보인 에어백 팽창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에어백의 팽창동안과 팽창후의 열린 위치의 도 2에서 보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일부가 분리된 도 3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연소가스 노즐의 변형된 배열을 보이는 도 4의 경우와 유사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백 팽창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에어백의 팽창전의 닫힌 위치에서의 변형된 흡기, 혼합, 디퓨져 장치를 보이는 것이며; 그리고
도 7은 에어백의 팽창동안과 팽창후의 열린위치의 도 6에서 보인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에어 백 팽창 장치는 그 팽창이 진행되는 동안에 에어 백으로 흘러가는 추진 가스에 더하기 위하여 차량의 탑승자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인다. 에어 백은 이러한 방식으로 팽창되어 그 평상의 제한받지 않은 부피로 팽창한다. 제대로 착석한 탑승자는 에어백이 완전히 팽창한후 상기 에어백에 접촉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보호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흡기 기구의 작동원리상 압력이 제한되는 펌핑능력(pumping capability) 때문에, 원리는 본 발명에서 구현된다, 제대로 된 위치에서 벗어난 탑승자의 팽창하는 에어백과의 조기 충돌은 상기 팽창 장치로 하여금 에어백으로 흘러가는 가스 흐름을 조정하게 한다. 상기 백의 압력은, 그러므로,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의 설계 압력을 넘지 않을 것이며 충돌의 나머지 동안에 상기 설계값에 필수적으로 동일하게 머물러 위치에서 벗어난 탑승자의, 계속된 에어백의 압력유입(pressurization)과 난폭하게 차량의 후부를 향한 뒤쪽 방향으로의 탑승자의 결과적 추력에서 유래하는 결과인, 심각한 부상이나 죽음을 막는다.
이는 차량의 탑승자 구획으로부터 외부 공기를 끌어들여 흡기공기와 연소가스가 에어백을 채우게 하는 추진 연소물의 고속 방출 운동량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차량의 충돌전에 제대로 위치한 탑승자에 의하여 수축되기 전에 에어백은 완전히 팽창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충돌 순간에 너무 에어 백 모듈에 근접하게 잡승자가 위치하면, 탑승자는 에어백이 전개됨에 따라 에어백과 간섭을 할 것이고 에어백이 완전히 팽창하기전에 에어백과 만날 것이다. 에어 백의 그 완전한 부피로의 팽창은 방해될 것이고 제한된 에어백의 압력은 미리 앞서 증가하여 설계된 최종 팽창압력에 접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백 팽창 장치는 일찍 증가된 백 압력에 반응한 흡기를 줄이거나 끝마치게 하고 그러므로서 전개하는 에어 백의 과도한 압력 유입에 따른 부적절하게 위치한 탑승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부상을 방지한다.
흡기된 공기를 위한 공기 인입구에는 체크밸브가 제공되어 이를 통한 추진 연소의 역 흐름을 방지하여 단지 흡기되지 않은 연소 생성물의 에어백으로의 감소된 흐름을 유발한다. 대안으로서, 에어백으로의 흐름은 상기 공기 유입구가 상기 체크 밸브를 가지지 않는 경우 완전히 종료될 수 있고, 그러므로서 상기 공기 인입구를 통한 추진 연소 가스의 역흐름이 초래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어백 팽창장치 10은 일반적으로 흡기 유니트(aspiration unit) 12와, 상기 흡기 유니트의 일단부와 연결된 가스 생성 유니트 14와, 상기 흡기 유니트의 타단부와 연결된 팽창가능한 에어백 16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 생성 유니트 14는 적당한 구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진 방식으로 일정 차량 충돌량에 의하여 발화되는 적절한 고체 추진제 충진(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가스 생성 유니트는 압축 불활성 가스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이브리드 구조로서 추진체와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에어백 16도 적절한 구조로서 적절한 물질로 만들어 진다. 흡기 유니트 12는 열린 위치에서 보여지며 여기서 에어백 16은 후술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어 있다. 전개 전(前)에 에어백 16은 상기 흡기 유니트 12의 내부 또는 바깥에 저장된다.
상기 흡기 유니트의 제 1 실시예가 도 2부터 도 5에서 보인다. 도 2에서, 상기 흡기 유니트 12는 닫힌 위치에 있으며 상기 에어백 16은 유니트내에 또는 그 외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의 저장위치는 상기 흡기 유니트의 구조와 에어백 팽창 장치 10을 위한 차량의 가용한 공간에 의존한다.
상기 흡기 유니트 12는 바람직하게는 일쌍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겹쳐지는(telescoping) 구획부(sections) 18과 20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구획 18은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내부 구획부 29을 덮는 닫힌 위치와 도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내부 구획부의 복수개의 공기 인입구(air inlet) 22를 노출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외부 구획부 18의 반대편 또는 외부단은 일쌍의 디퓨져 플랩(diffuser flap) 24로 이루어지며, 일 실시예에서, 이들은 적당한 방법으로 도 2의 닫힌 위치로 향하여 있으며 또한 적당한 힌지 26 또는 이러한 것에 의하여 상호간에 겹쳐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백 16은 도 2에서 실선으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흡기 유니트의 외부에 저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져 플랩 24는 도 2의 파선으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흡기 유니트의 내부에 저장되는데, 여기서 상기 디퓨져 플랩들은 내부를 향하여 있으며 각각은 그 외부단에서 거의 상기 흡기 유니트의 높이의 이분의 일정도의 폭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백 16은 도 2의 파선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흡기 유니트의 내부에 저장된다.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외부 흡기 구획부 18은 혼합실 28을 정의하며, 상기 내부 흡기 구획부 20은 그 상부와 하부측의 복수개의 공기 인입구 22를 포함하는데, 이는 복수개의 모티브 가스 노즐(motive gas nozzle) 32를 가지는 벽부 30에 의하여 분리된다. 상기 모티브 가스 노즐 32는 가스 생성 유니트 14와 통한다. 각각의 공기 인입구 22는 적절한 힌지 수단 38 또는 이와 같은 것에 의하여 도 4에서 보이는 닫힌 위치로 향하여진 플랩 벨브(falp valve) 34에 의하여 공기유동에 대하여 열리거나 닫힌다. 여기서 상기 플랩 밸브는 공기인입구를 닫고 있으며 후술하는 방식으로 도 3에서 보이는 열린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공기 인입구 22는 상기 벽부 30으로부터 상부와 하부로 연장되는 칸막이 40에 의하여 분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공기 입입구 22는 내부로 경사진 표면 34를 가지는며 상기 플랩 밸브 36은 도 3의 열린 위치일 때 이와 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로 경사진 표면 34 대신에, 상기 플랩 벨브 36은 열린 위치에서 경사진 공기 인입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절히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흡기 유니트 12의 다른 실시예가 도 5에서 보이는데, 여기서 많은 수의 작은 모티브 가스 노즐 32a가 칸막이 40의 내부 단 표면들을 따라 정렬되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노즐들 32a는 가스 생성 유니트 14와 통하여져 있다. 상기 모티브 가스 노즐 32 와 32a의 숫자, 크기 그리고 배열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원리에 따라 외부 흡기 유니트 18의 혼합실 28의 크기를 결정할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백 팽창 장치 10의 작동에서, 외부 흡기부 18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저장된 에어백을 가지는 차량에서 상기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흡기부 18은,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내부 구획부 20을 덮으며 그리고 상기 공기인입구 22를 닫는다. 이 위치에서, 상기 디퓨져 플랩 24는 도 2의 실선으로 보인 것과 같이 접혀져 닫힌다. 상기 에어 백 16은 도 1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흡기 유니트 12에 외부적으로 부착된다. 다음, 에어 백은 접혀져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방식으로 상기 디퓨져 플랩에 대항하여 적소에 보관된다. 도 2의 파선으로 보이는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져 플랩 24와 에어 백 16은 외부 구획부 18에서 상기 흡기 유니트 12의 내부에 보관된다.
일정한 충격이 차량에 가해지면, 상기 가스 생성 유니트 14는 모티브 가스 노즐 32 또는 32a를 통하여 외부 흡기부 18의 혼합실 28로 향하는 가스를 생성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혼합실 28에서의 모티브 가스 압력의 형성은 디퓨져 플랩 24를 개방하고 에어백 16을 펼치고, 외부 흡입부를 도 3의 열린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이 경우, 내부 흡기부 20에서 상기 공기 인입구 22가 노출되며 압력차이를 생성하여 상기 플랩 밸브 36을 개방하고 외기 공기가 공기 인입구 22를 통하여 이동가능한 흡기부 18의 혼합실 28로 흡기되도록 한다. 상기 모티브 가스의 초기 혼합실로의 이동동안에, 상기 플랩밸브들 36은 도 4의 닫힌 위치에 있어 상기 모티브 가스가 공기 인입구 22를 통하여 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생성된 모티브 가스와 흡기된 공기에 의한 상기 외부 흡기부 18의 혼합실 28에서의 압력의 형성은 도 1에서 보인 방식으로 에어백 16을 팽창시킨다. 적절한 멈춤 수단(미도시)이 제공되어 내부 구획 20에 상대적으로 외부 흡기부 18의 이동을 제한 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져 플랩 24의 도 3에서 보이는 열린 위치로의 이동은 힌지 수단 26 또는 다른 적절한 멈춤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어 상기 디퓨져 플랩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방식에 따라서 원하는 각도에 놓인다.
상기 디퓨져 플랩 24는 상기 에어 백 16에 부착된 밧줄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열리거나 또는 상기 가스 생성 유니트 14로부터 생성되는 가스에의하여 공압적으로 열린다. 이들은 내부 가스 압력에 의하여 정확히 반각도(half-angle)에서 유지된다. 차량의 에어 백 또는 장착 설비 어느 것이나 디퓨져 플랩의 각각의 측면상의 칸막이 역할을 하여 이를 통한 축상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 백 팽창 장치 10의 일반적인 동작에서는, 상기 에어 백 16은 그 탑승자가 접촉하기 전에 완전히 팽창되어 질 것이다. 만일 탑승자가 위치에서 벗어나고 에어 백이 완전히 팽창되기 전에 이와 접촉한다면, 혼합실 28에서 한정된 에어 백에 의하여, 증가함에 따라 흡기를 방해하는 백 프레셔(back pressure)가 생성되어, 상기 플랩 밸브 36은 생성된 모티브 가스의 역 흐름을 닫고 방해하여, 따라서, 에어 백의 팽창속도를 줄이고 탑승자의 심각한 부상을 막는다. 상기 백 프레셔는 상기 흡기기의 펌핑(pumping) 압력 한계를 초월하므로, 상기 플랩 밸브 36은 닫히어 추진 가스의 상기 공기 인입구 22를 벗어난 역 흐름을 막고 추진 가스가 계속하여 감소된 팽창 속력에서 에어 백을 채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플랩 밸브 36 또는 다른 체크 밸브(check valve)는 상기 공기 인입구로부터 생략 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위치를 벗어난 탑승자가 일부만이 팽창한 에어백과 접촉하여 생성된 백 프레셔는 상기 공기 인입구 22를 통하여 상기 혼합실로부터 역 흐름을 일으키고 에어백의 추가의 팽창을 막아 탑승자의 심각한 부상을 막는다.
만일 플랩 백 36 또는 다른 체크 밸브가 상기 공기 인입구로부터 생략된다면, 공기 인입구 22를 통한 모티브 가스의 중요한 역흐름이 없이 상기 외부 흡기부 18을 열린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스 생성 유니트 14에 의하여 생성된 모티브 가스가 혼합실에서 충분한 압력을 생성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원리에 의하여 상기 모티브 가스 노즐과 상기 혼합실은 구조지워진다.
도 6과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흡기 유니트 100은 은 일쌍의 상호간 끼워넣어져 겹쳐지는(telescoping) 두 개의 구획부 118과 12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구획부 118은 도 6의 닫힌 위치로부터 내부 구획부 120의 공기 인입구 122를 노출하는 도 7의 열린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내부 흡기부 120의 구조는 도 3부터 5에서 보인 내부 흡기부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외부 이동가능한 흡기부 118의 구조는 도 2 및 3에서 보이는 흡기부 18의 구조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닫혀있는 디퓨져 플랩을 가지지 않는다. 대신 상기 외부 흡기부 118은 외부 흡기부의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 모두에서 열려 있으며, 각 측면에 칸막이를 가져 축상이동(axial folw)이 보장되는 디퓨져 플랩 124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져 플랩 124는 에어 백의 적절한 팽창을 위하여 원하는 각도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 유니트의 저장높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디퓨져 플랩 124는 도 6에서 보여진 제 1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데, 여기서 이들 플랩들은 상기 흡기부 118과 인접하는 상부 및 하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또한 상기 디퓨져 플랩 124는 에어 백의 팽창동안에 상기 흡기부 118이 도 7에서 보이는 열린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적절한 힌지 수단 126 또는 이러한 것을 통하여 원하는 각도에 관한 도 7에서 보인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닫힌 위치에서 공간을 유지할 목적으로, 외부의 이동가능한 흡기부 118은 두 개의 상호간 끼워넣어져 겹쳐지는 구획부와, 혼합부 118a와 혼합부 118a에 대하여 상호간 끼워넣어져 겹쳐지는 방식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디퓨져부 118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시예는 개략적으로 도 6 및 도 7에서 파선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가 예로서 보여졌지만,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보여진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 팽창 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5)

  1. 에어백을 팽창시키며 차량의 탑승자가 에어백의 완전한 팽창전에 이와 접촉을 하는 경우 상기 에어백의 팽창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로서,
    차량의 일정한 충돌에 반응하여 팽창 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생성 유니트와; 그리고
    상기 가스 생성 유니트에 그리고 상기 에어백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흡기수단으로서, 외부 공기 인입부와, 상기 공기 인입부와 연통하는 혼합실과, 상기 가스 생성 수단과 연통하는 노즐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실은 상기 팽창 가스를 상기 혼합실로 향하게 하여 상기 공기 인입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혼합실로 흡기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하는 외부 공기와 생성된 팽창가스의 혼합이 생성되는, 흡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의 완정한 팽창전에 탑승자가 에어백과 접촉할 때, 상기 혼합실에서는 백 프레셔가 생성되어 흡기 공기의 상기 혼합실로의 흐름이 줄어들고 에어백의 팽창속도를 줄여서 에어백의 계속되는 빠른 팽창을 막고 탑승자의 가능한 심각한 부상을 방지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수단은 그 일단에서 상기 가스 생성 수단에 연결되며 다른 단에서는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수단은 복수개의 외기 공기 인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수단은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수단은 내부 구획과 상기 내부 구획과 끼워넣어져 겹쳐지는 관계에 있는 외부 구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구획은 상기 가스 생성 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공기 인입부와 상기 노즐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 구획은 상기 혼합실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백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구획은 팽창 가스와 외부 공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외부 구획이 상기 내부구획에서 상기 상기 외부 공기 인입부를 덮는 닫힌 위치에서 상기 외부 구획이 상기 외부 공기 인입부를 상기 내부구획에서 노출하는 열린 위치로 상기 혼합실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인입부는 평상시 상기 공기 인입부를 닫기위하여 작동하며 상기 공기 인입부를 통한 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열리는 체크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크 밸브 수단은 상기 혼합실에서 백 프레셔의 생성시에 상기 공기 인입구를 닫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수단은 상기 흡기공기와 상기 생성 가스 혼합 압력을 상기 에어백을 팽창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으로 증가시키는 상기 에어백에 인접하게 놓이는 디퓨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수단은 상기 혼합실과 상기 에어백 사이에서 연통을 방해하기 위하여 평상시 닫힌 위치를 향한 일 쌍의 플랩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퓨져 플랩은 상기 혼합실에서 상기 팽창 가스와 외부 공기 압력을 형성하는 열린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수단은 상기 혼합실 내부에 놓이는 비작동 위치로 평상시 향하여져 있는 일쌍의 디퓨져 플랩을 포함하고 그 내부의 생성가스와 외부공기 압력의 형성시 상기 혼합실 외부의 열린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플랩은 상기 에어백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플랩은 상기 에어백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흡기 구획은 그 반대편측에 놓인 복수개의 공기 인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인입부는 그 내부에 놓인 상기 노즐 수단을 가지는 벽부에 의하여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흡기부는 상기 공기 인입부를 분리하며 그 내부에 노즐수단을 가지는 칸막이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흡기부는 혼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부는 상기 혼합실과 상기 혼합부에 끼워넣어져 겹쳐지는 방식으로 장착된 디퓨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인입부는 상기 혼합실을 향하여 내부로 경사진 표면을 가지며, 상기 체크밸브 수단은 상기 경사진 표면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된 플랩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 수단은 상기 공기 인입부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된 플랩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9997011633A 1997-06-10 1998-05-19 흡기형 에어백 팽창 장치 KR20010013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72,325 US5890736A (en) 1997-06-10 1997-06-10 Aspiration-type air bag inflation apparatus
US08/872,325 1997-06-10
PCT/US1998/009892 WO1998056624A1 (en) 1997-06-10 1998-05-19 Aspiration-type air bag infl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623A true KR20010013623A (ko) 2001-02-26

Family

ID=2535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11633A KR20010013623A (ko) 1997-06-10 1998-05-19 흡기형 에어백 팽창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90736A (ko)
EP (1) EP0988186B1 (ko)
JP (1) JP2002503178A (ko)
KR (1) KR20010013623A (ko)
AT (1) ATE258511T1 (ko)
CA (1) CA2293540A1 (ko)
DE (1) DE69821356T2 (ko)
WO (1) WO19980566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4987B2 (en) 2006-07-10 2009-09-08 Hyundai Motor Company Housing structure of an airbag
KR20200066713A (ko) * 2017-11-01 2020-06-10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에어백 흡인 모듈 및 관련 밸브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3384B1 (en) 2000-04-18 2002-04-16 Gary William Ferguson Inflatable security device
US7232001B2 (en) * 2004-08-24 2007-06-19 Sam Hakki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US11673528B2 (en) * 2017-01-11 2023-06-1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irbag inflators including aspirators
US11155235B2 (en) * 2017-01-11 2021-10-26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irbags including inflator assemblies
CN108454555B (zh) * 2017-01-11 2022-07-08 自动化技术国际公司 超音速流动的气体发生器
CN112263795B (zh) * 2020-10-16 2022-09-13 山东中昊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消防防火门推门自动吸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8698A (en) * 1959-03-18 1961-10-04 Kidde Walter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flation devices
US3910595A (en) * 1970-10-27 1975-10-07 Rocket Research Corp Aspi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rash restraint system
US3791669A (en) * 1972-08-16 1974-02-12 Allied Chem Cone aspirating structure for air cushion inflation
US3868125A (en) * 1973-04-09 1975-02-25 Atlantic Res Corp Inflation system for vehicle crash bag
US3909037A (en) * 1974-05-22 1975-09-30 Olin Corp Safety device with coanda effect
JPS5754337B2 (ko) * 1974-08-21 1982-11-1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4987B2 (en) 2006-07-10 2009-09-08 Hyundai Motor Company Housing structure of an airbag
KR20200066713A (ko) * 2017-11-01 2020-06-10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에어백 흡인 모듈 및 관련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8186A1 (en) 2000-03-29
WO1998056624A1 (en) 1998-12-17
ATE258511T1 (de) 2004-02-15
JP2002503178A (ja) 2002-01-29
EP0988186B1 (en) 2004-01-28
US5890736A (en) 1999-04-06
EP0988186A4 (en) 2001-04-25
DE69821356T2 (de) 2004-07-01
DE69821356D1 (de) 2004-03-04
CA2293540A1 (en) 199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505B2 (en) Airbag device
US3910595A (en) Aspi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rash restraint system
US5100172A (en) Inflator module
US6918614B2 (en) Inflation assembly for variable profile air bag
JP2780937B2 (ja) 乗物の側面衝撃に対する搭乗者拘束手段及びその拘束方法
US3747952A (en) Protective device
US3961806A (en) Two stage inflation system
US3801127A (en) Crash restraint aspirating inflation system with canted nozzles
JP5099619B2 (ja) 助手席エアバックハウジング構造
JPH08230591A (ja) 膨張可能な車両乗員拘束器
JP2003034215A (ja) 乗員保護装置
JPH09164899A (ja) 横方向衝撃に対するガスバッグ保護装置
JPH09175316A (ja) 効率的な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EP1405772B1 (en) Air bag device
KR20010013623A (ko) 흡기형 에어백 팽창 장치
JP433485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790744B2 (ja)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H0332957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2001213256A (ja) エアベルト装置
JPH0446836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JPH05246296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60130944A (ko) 자동차의 에어백
JP4058717B2 (ja) エアバッグ装置
MXPA99011428A (en) Aspiration-type air bag inflation apparatus
WO2015017841A1 (en) Single stage dual chambered passenger air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