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713A - 에어백 흡인 모듈 및 관련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백 흡인 모듈 및 관련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713A
KR20200066713A KR1020207014137A KR20207014137A KR20200066713A KR 20200066713 A KR20200066713 A KR 20200066713A KR 1020207014137 A KR1020207014137 A KR 1020207014137A KR 20207014137 A KR20207014137 A KR 20207014137A KR 20200066713 A KR20200066713 A KR 20200066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airbag cushion
valve
nozzles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013B1 (ko
Inventor
제프리 디. 윌리엄스
데이비드 더블유. 파킨슨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6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30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draw ambient air into the flow line and mix such air with th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9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fluid flow controll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팽창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위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 일부 실시예는 팽창기, 및 팽창기와 유동적으로 결합되고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를 에어백 쿠션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팽창 노즐을 포함하는 팽창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과 결합된 하우징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수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흡인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팽창 노즐은 팽창기의 작동시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와 함께 주위 공기를 에어백 쿠션 내로 끌어들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가 팽창 노즐들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팽창기의 작동시 자동으로 개방되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또는 팽창 후에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흡인 모듈 및 관련 밸브 조립체
자율 차량과 같은 차량 기술에서의 다양한 개선은 에어백 조립체(airbag assembly)가 작동하는 방식에서의 변화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자율 차량 또는 다른 보다 새로운 차량을 위해, 더 큰 에어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에어백 모듈과 차량 탑승자 사이의 더 큰 거리로 인해 필요할 수 있다. 일부 시스템에서, 다수의 탑승자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단일 쿠션이 사용될 수 있음이 심지어 고려된다.
그러나, 대형 에어백 쿠션 또는 다수의 에어백 쿠션을 동시에 전개하는 것은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개에 기인한 차량 내부의 공기의 변위에 의해 유발되는 압력의 증가를 완화시키기 위해 차량 내의 주위 공기의 통기가 필요할 수 있다. 전개 동안 에어백 쿠션 내로 주위 공기를 흡인하는 에어백 조립체가 이들 어려움 중 일부를 완화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흡인식 에어백 조립체는 대형임, 부피가 큼, 그리고/또는 복잡함과 같은 많은 단점을 겪어, 종종 많은 상이한 구성요소 및 밸브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그러한 조립체가 폐쇄-개방-폐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조립체는 초기에 폐쇄되고, 팽창 동안 개방되어 주위 공기를 끌어들여 팽창 가스를 보조하고, 이어서 팽창 동안 또는 팽창 후에 원하는 시점에서 다시 폐쇄되어 팽창 가스 및/또는 주위 공기의 과도한 누출, 따라서 구속(restraint)의 손상을 방지한다. 일부 그러한 조립체는 폐쇄에서의 원하지 않는 지연을 제공하고, 그렇지 않으면 팽창의 종료 시에 또는 그 부근에서 요구될 것보다 더 많은 누출을 허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전술한 제한들 및/또는 다른 제한들 중 하나 이상을 극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을 알아내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은, 예를 들어 제트(jet)들 또는 가스 지향 구성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플라스틱 하우징 내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가스 유동을 흡인하는 방향을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비교적 간단한 밸브 특징부들을 조립체 내로 재봉 또는 달리 결합시킴으로써, 그리고/또는 흡인을 위해 허용되는 시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충돌전(pre-crash) 전개 센서(들)를 채용함으로써, 이전 시스템들의 복잡한 구성요소들의 대체를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트들 및/또는 팽창 노즐들은, 에어백 쿠션에 대해 플랩(flap)들 및/또는 밸브들 위에 위치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플랩들/밸브들이 흡인 유입구(aspiration inlet)와 에어백 쿠션 사이에 위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밸브 기능성을 팽창 노즐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허용하여 원하는 폐쇄 특성을 개선하고/하거나 원하지 않는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팽창 가스들을 쿠션 내로 도입하는 기능은 밸브(들)/플랩(들)을 폐쇄하는 기능으로부터 분리되어, 팽창기(inflator)로부터 팽창 노즐들/튜브들을 통해 쿠션으로 들어가는 팽창 가스들과는 독립적으로 쿠션으로부터의 압력이 밸브(들)/플랩(들)을 폐쇄하게 함으로써 더 효율적인 폐쇄를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조립체는 에어백 쿠션; 및 에어백 쿠션과 결합된 팽창 단부 및 팽창 단부의 반대편의 흡인 단부를 포함하는 팽창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모듈은 팽창기를 포함하는 팽창기 하우징, 팽창기와 유동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팽창 노즐들, 및 팽창기 하우징에 결합된 밸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인 유입구가 밸브 하우징 내에 위치되거나 달리 밸브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수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흡인 유입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되거나 팽창 노즐들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다른 예에서, 조립체는 에어백 쿠션, 및 흡인측(aspiration side)과 팽창측(inflation side)을 포함하는 팽창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모듈은 팽창기, 및 팽창기와 유동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팽창 노즐들, 예를 들어 고속 팽창 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팽창 노즐들은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를 팽창 모듈의 팽창측으로부터 에어백 쿠션 내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이 팽창 모듈의 팽창측에 인접하여 에어백 쿠션에 결합될 수 있는데, 하우징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수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흡인 유입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팽창 노즐들은 팽창기의 작동시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와 함께 주위 공기를 에어백 쿠션 내로 끌어들이도록 구성된다. 에어백 쿠션 조립체는, 팽창기의 작동시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폐쇄되어 공기 및 팽창 가스가 흡인 유입구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흡인 유입구와 복수의 팽창 노즐들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 모듈의 흡인측은 팽창측으로부터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미리 결정된 단계에서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복수의 플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플랩들 중 적어도 하나는 흡인 유입구의 적어도 2개의 별개의 개구들을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된 나비형 플랩(butterfly flap)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팽창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팽창 노즐들은 팽창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팽창 하우징과 결합된 밸브 조립체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조립체는 밸브 조립체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폐쇄 위치를 향해 편의될(biased)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의 예에서, 모듈은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과 결합된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수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흡인 유입구를 포함하는 팽창기 하우징; 팽창기; 및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팽창 노즐들, 예를 들어 고속 팽창 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팽창 노즐들은 팽창기의 작동시 흡인 유입구를 통해 주위 공기를 끌어들이도록 구성된다. 모듈은 팽창기의 작동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은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과 결합된 에어백 쿠션의 흡인 후에 폐쇄되어 에어백 쿠션의 팽창 후에 공기 및 팽창 가스가 흡인 유입구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이 복수의 팽창 노즐들의 노즐 개구들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흡인 유입구가 차단되는 폐쇄 위치를 향해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을 편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흡인 유입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 및 흡인 유입구가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 위치 둘 모두에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이 에어백 쿠션에 대해 복수의 고속 노즐들의 반대측에 완전히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복수의 고속 노즐들의 유동 경로로부터 멀리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을 내장하도록 구성된 밸브 조립체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 하우징은 에어백 쿠션에 대해 복수의 고속 노즐들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팽창 모듈의 다른 예에서, 모듈은 에어백 쿠션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수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흡인 유입구를 포함한다. 모듈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팽창기, 및 팽창기와 유동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팽창 노즐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팽창 노즐들은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를 전달하도록 그리고 팽창기의 작동시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와 함께 주위 공기를 흡인 유입구를 통해 끌어들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가 복수의 팽창 노즐들과 흡인 유입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는 주위 공기가 흡인 유입구를 통과하게 하는 개방 위치 및 밸브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흡인 유입구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폐쇄 위치에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에어백 쿠션의 내부와 주위 공기 압력 사이의 압력차로부터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일부 그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밸브 플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밸브 플랩을 폐쇄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한 수단, 예를 들어 스프링-부하식 힌지(spring-loaded hing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흡인 동안에 휘어지고 형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는 밸브 플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부, 구조, 단계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망라하지 않은 비제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팽창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에어백 팽창 모듈의 상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에어백 팽창 모듈의 하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에어백 팽창 모듈의 저면도.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라 취해진, 도 1의 에어백 팽창 모듈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전개 동안의 도 5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선 7-7을 따라 취해진, 도 6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단면도.
도 8은 압축 가스 팽창기를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에어백으로서 2개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평면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일치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의 상세한 설명이 이하에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가 기술되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다수의 대안예, 수정예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한 상세 사항이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지만, 일부 실시예는 이들 상세 사항 중 일부 또는 전부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명확성을 위해,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된 소정의 기술 자료는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주위 공기를, 일부 경우에 팽창 가스와 함께, 이용하도록 그리고 더 큰 에어백 쿠션,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탑승자들을 위한 에어백 쿠션, 자율 차량을 위한 에어백 쿠션, 또는 보행자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키도록 구성된 흡인식 에어백 쿠션 조립체에 관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사한 부분들이 유사한 도면 부호로 표시될 수 있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요소가 매우 다양한 상이한 구성으로 배열되고 설계될 수 있음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게다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방법의 단계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또는 심지어 순차적으로 실행될 필요도 없고, 단계들이 한 번만 실행될 필요도 없다. 이제,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에 관한 부가적인 상세 사항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소정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에어백 팽창 모듈(110)을 도시한다. 에어백 팽창 모듈(110)은 팽창기(140)와 복수의 팽창 노즐(135)을 포함하는 팽창 모듈 하우징(120), 및 밸브 하우징(151)과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150)를 포함한다. 에어백 팽창 모듈(110)이 에어백 쿠션(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밸브 조립체의 밸브(들)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을 단계적으로 허용하도록 흡인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하우징(120, 151)들이 서로 결합된 별개의 하우징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팽창 모듈(110)의 다양한 요소들 모두가 단일 하우징(일부 실시예에서, 일체형 하우징) 내에 내장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밸브 조립체(150)의 밸브(들)는 바람직하게는 초기에 폐쇄 구성으로 작동하고, 이어서 팽창 동안에 자동적으로 개방되는데, 이는 예를 들어 노즐(135)들의 팽창 가스에 의해 에어백 쿠션 내에 부분적인 진공을 생성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팽창 후에, 시스템은 탑승자 접촉 동안에 쿠션 내에서 가스(주위 공기 및 팽창 가스 둘 모두)를 유지하도록 자동적으로 다시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은 밸브(들) 및 팽창 노즐들의 위치설정 및 구성에 의해 원하는 시간들에 이들 3개의 단계를 자동적으로 제공하도록 특별히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수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흡인 유입구(125)를 일 단부에서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흡인 유입구(125)는 팽창기 도관(130a, 130b, 130c)들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개구에 의해 한정되며, 팽창기 도관들 각각은 팽창기 도관(130a, 130b, 130c)들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132)와 함께 복수의 고속 노즐(135)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흡인 유입구(125)는 노즐(135)들로부터의 팽창 가스와 함께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도입을 허용하도록 적합한 밸브를 개방할 때 주위 공기와 에어백 쿠션의 내부 부분을 유동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밸브 조립체 하우징(151)은 흡인 유입구(125)와 유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흡인 유입구(155)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152)들이 폐쇄 구성에 있을 때, 흡인 유입구(125, 155)들은 차단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수반되는 에어백 쿠션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억제한다. 유사하게, 밸브(152)들이 개방 구성에 있을 때, 흡인 유입구(125, 155)들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을 용이하게 하도록 주위 공기가 관통 유동할 수 있는 일련의 개구들을 제공한다.
흡인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차를 생성하고, 흡인을 구동하는 팽창 가스의 균일한 분포를 제공하기 위해 비교적 많은 개수의 노즐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36개의 노즐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정확한 개수가 요구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고속 노즐(135)들 각각은 가스 기둥(plume of gas)으로 확장되기보다는 에어백 쿠션 내로 전달되는 동안에 비교적 꽉찬 컬럼(relatively tight column)으로 고속 노즐을 통해 팽창 가스가 전달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흡인 과정을 구동시키기 위한 원하는 압력차의 생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135)들을 구동하는 압력이 약 500 psi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력은 약 100 psi 이상인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팽창기 도관(130) 내의 압력은 약 100 내지 약 500, 또는 일부 그러한 실시예에서 100 내지 500 psi이다.
비교적 고속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노즐(135)로부터의 가스의 속도가 소정 상한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에어백 팽창 모듈(110)은 노즐(135)로부터 전달되는 가스가 초음속 미만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입하는 가스에 의해 생성되는 기둥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135)들로부터의 가스를 가능한 한 수직 컬럼/스트림으로의 전달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확장하는 가스의 스트림라인(streamline)이 교차하지 않거나 적어도 최소로 교차하도록 노즐들이 충분히 서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노즐들은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같은, 흡인 유입구에 할당된 영역 내의 각각의 인접 노즐 사이에서 최대량의 공간을 가지고 이격된다.
에어백 팽창 모듈(110)은 팽창기(140)를 추가로 포함한다. 팽창기(140)는 팽창기 도관(130a, 130b, 130c)들과 유동적으로 결합되며, 이들은 이어서 노즐(135)들과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노즐(135)들은 팽창기(140)로부터의 팽창 가스를 에어백 쿠션 내로 높은 속도율 및/또는 체적/시간율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주위 공기가 흡인 유입구(125 및/또는 155)들을 통해 노즐(135)들로부터의 팽창 가스와 함께 에어백 쿠션 내로 끌어들이게 하여 에어백 쿠션이 팽창 가스 및 주위 공기 둘 모두에 의해 함께 팽창되도록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격된 노즐을 제공하기보다는, 도관(130)들에는 그들 각자의 상단부들 중 하나 이상을 따라 위치된 선형 슬릿 또는 다른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150)는 하나 이상의 밸브 플랩(15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밸브 플랩(152), 즉 중앙 나비형 밸브(butterfly valve) 플랩(152b) 및 2개의 대향하는 밸브 플랩(152a, 152c)이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횡단 부재(153)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흡인 유입구(155)의 일부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플랩(152)들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들이 팽창 동안에 휘어지도록 충분히 가요성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플랩(152)들은 그들 각자의 폐쇄 구성을 향해 편의력을 유지하도록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밸브 플랩(152)들은 (연관된 에어백 쿠션 내의 부분적인 진공에 의해 생성되는) 개방 힘을 필요로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그들 각자의 폐쇄 구성을 향해 편의된다. 밸브 플랩(152)들 자체는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원하는 개방 및 폐쇄 기능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러한 밸브 플랩들의 지지 부재, 예를 들어 힌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플랩(152)은 강성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플랩(152)은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실시예에서, 이들 홈은 밸브 플랩(들)(152)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같은 원하는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플랩(들)(152)은, 예를 들어 핀(pin), 나사, 보트(bot), 접착제, 또는 다른 체결구에 의해, 횡단 부재(153)와 같은 하우징의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에 인접한 밸브 플랩(들)(152)의 구역에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홈(들)은 밸브의 개방 및/또는 폐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힌지"로서 역할하도록 밸브 플랩(들)(152)이 결합되는 하우징의 다른 구역 또는 횡단 부재(153)에 평행하게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밸브(들)를 폐쇄 구성을 향해 편의시키기 위해, 밸브 플랩(152)들이 밸브 조립체 하우징(151) 또는 밸브 조립체(150)의 다른 부분과 결합되는 구조 및/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힌지 또는 힌지들은 밸브 플랩(152)들이 흡인 유입구(125 및/또는 155)들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덮는 폐쇄 위치를 향해 밸브 플랩(152)들을 편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기(140)의 작동시, 밸브 조립체(150)는 바람직하게는 흡인을 통한 에어백 쿠션(102)(도 6 및 도 7 참조) 내로의 주위 공기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노즐(135)들을 통해 전달되는 팽창 가스에 기인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그리고/또는 에어백 쿠션(102)이 전개 및 확장되어 내부에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노즐(135)들을 통한 팽창 가스로부터의 힘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노즐(135)들은 팽창기(140)의 작동시 노즐(135)들을 통한 팽창 가스의 전달이 밸브 플랩(152)들을 간접적으로 개방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의 변화를 초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밸브 플랩(152)들에 의해 한정된 밸브는 일방향 수동 밸브를 포함한다. 게다가, 아래의 논의와 관련하여 더욱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밸브는 에어백 쿠션(102)의 팽창 동안에 미리 결정된 단계에서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되며, 이 단계는 에어백 쿠션과 연관된 압력차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수동 밸브가 예를 들어 비용 이유로 인하여 소정 실시예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지만, 다른 밸브, 예를 들어 전기식 및/또는 기계식 밸브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부하식 힌지와 같은 힌지가 흡인 밸브를 폐쇄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한 수단의 일례이다. 흡인 개구에 인접한 가요성 밸브 플랩의 강성 커플링은 흡인 밸브를 폐쇄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한 수단의 다른 예이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플랩(들)(152)의 일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홈(들)은 에어백 쿠션(102)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 단독에 의한 밸브의 개방 및/또는 폐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힌지"로서 역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기 도관(130)들 중 하나 이상(일부 실시예에서는 전부)은 팽창기 도관(130)이 팽창기(140)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팽창 동안 다양한 노즐(135) 각각을 통한 가스의 균일하거나 적어도 더 균일한 분포를 갖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그러한 실시예에서, 팽창기 도관(들)의 단면 직경은 팽창기(140)로부터 각각의 각자의 팽창기 도관(130)의 말단 단부까지 점진적인 테이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단면 직경 및/또는 다른 치수는 다른 방식들로, 예를 들어 그러한 단면 직경/치수에서의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달리 더 급격한 변화를 통해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팽창기 도관(130) 및 일부 실시예에서 노즐(135), 하우징(120 및/또는 151) 및/또는 전체 팽창 모듈(110)은 성형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는 전술된 팽창 모듈(110)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100)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팽창 전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 조립체(100)는 에어백 쿠션(102)을 포함한다. 또한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플랩(152a, 152b, 152c)들 각각은 흡인 유입구(155)가 차단되는 폐쇄 위치에 있음으로써, 노즐(135)들로부터의 팽창 가스들이 흡인 유입구(155)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전개시, 쿠션(102)이 커버를 뚫고 나가기(전개의 "브레이크아웃(breakout) 단계") 전에 쿠션(102)에서 달성되는 상당한 압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고압에 의해, 흡인 유입구(155)의 차단 없이는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흡인 유입구(155)의 차단 실패는 또한 원하는 쿠션 구속을 저해할 수 있다. 브레이크아웃 단계 후에, 주위 공기가 팽창 과정을 돕게 하기 위해 흡인 유입구(155)가 가능한 한 빨리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에어백 쿠션(102)의 팽창 동안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조립체(150)의 밸브 플랩(152)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주위 공기가 에어백 쿠션(102)에 들어가게 하여 팽창을 용이하게 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팽창 노즐(135)들은 밸브 플랩(152)들이 자동적으로 개방되게 하기에 충분한 압력차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동일한 압력차는 주위 공기가 에어백 쿠션(102)의 팽창을 돕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팽창 가스들이 에어백 쿠션(102) 내로 강제 방식으로 도입된다. 따라서, 압력차에 더하여 그리고/또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노즐(135)들을 통해 전달되는 가스의 속도 및/또는 체적율은 주위 공기가 팽창 가스 내에 유입되게 하고 따라서 이러한 팽창 가스와 함께 에어백 쿠션(102) 내로 흡인되게 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조립체(150)는 또한 주위 공기 및 팽창 가스가 팽창 후에 흡인 유입구(155)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된 압력차의 감소, 반대 방향으로 발달되는 압력차, 및/또는 팽창 노즐(135)들을 통해 전달되는 팽창 가스들의 중단에 뒤이어, 밸브 플랩(152)들은 다시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플랩(152)들은 이러한 팽창 단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들 각자의 폐쇄 위치들을 향해 편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에어백 쿠션 통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될 수 있고, 원하는 전개/구속 특성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플랩(152)과 같은 밸브(들)는 바람직하게는 흡인 유입구(들)와 팽창 노즐(들)(135)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자들은, 그러한 플랩들 또는 다른 밸브 요소들이 팽창 가스의 경로 위에 그리고/또는 그 경로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고려되지만, 그러한 설계는 밸브의 원하는 폐쇄를 저해하고 흡인 유입구(들)를 통해 이상적일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누출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는 의도적으로 이들 밸브 요소를 팽창 노즐들 아래에 배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플랩들은 팽창 노즐들의 유동 경로로부터 멀리 위치되고, 팽창 노즐들의 노즐 개구들로부터 이격되며, 흡인 유입구와 팽창 노즐들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서술 각각은 폐쇄 및 개방 구성들 둘 모두에 적용되지만, 이들 서술 중 하나 이상이 폐쇄 구성에서만 적용되고/되거나 이들 서술 중 하나 이상(또는 전부)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고려된다.
게다가, 도시된 실시예는 비-중첩 밸브 플랩(152)들을 포함하지만, 밸브 플랩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가 고려된다.
도 8 및 도 9는, 전술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행으로 배열될 수 있고 하우징(820) 내에 위치된 각자의 팽창 도관들(팽창 도관(830b)이 도 8의 단면도에 도시됨)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일련의 팽창 노즐(835)들 아래에 위치된 밸브 조립체(850)를 갖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80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팽창 모듈(810)은 에어백 쿠션(802)에 결합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작동시 주위 가스가 에어백 쿠션(802) 내로 흡인되게 하는 흡인 유입구를 갖는 개방된 저부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도관(830a, 830b, 830c) 중 하나 이상은 팽창기 또는 이 경우에 가스 분배 챔버(848)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단면 직경 또는 다른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팽창 도관(830)들 및/또는 노즐(835)들 각각을 통한 단위 시간당 가스의 속도 및 다른 체적이 더욱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노즐(835)들 각각은 다른 노즐(835)들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공기의 유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팽창 모듈(810)은, 압축된 팽창 가스의 챔버(844)를 포함하는 팽창기(84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팽창 모듈(110)과 상이하다. 팽창기(840)는 챔버(844)의 대향 단부들 상에 위치된 개시기(initiator)(842) 및 확산기(84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모듈(810)은 팽창 가스가 전달되어 나오도록 구성되는 챔버(844)의 단부에서 확산기(846)에 인접하게 위치된 가스 분배 챔버(84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분배 챔버(848)는 팽창 도관(830a, 830b, 830c)들 각각과 유동적으로 결합되어, 전개시 챔버(844)로부터의 가스가 팽창 도관(830a, 830b, 830c)들 각각을 통해 그리고 팽창 도관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고속 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노즐(835) 각각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챔버(844)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다수의 탑승자를 위한 쿠션들 또는 보행자 쿠션들과 같은 소정의 더 큰 에어백 쿠션의 보다 신속한 팽창을 허용하도록 에어백 쿠션 내에서 점화될 수 있는 불활성 가스와 인화성 및/또는 휘발성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챔버(844)에는 산화 가스가 없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흡인 동안에 주위 공기로부터 얻어진 산소가 에어백 쿠션 내에서의 가스의 점화 동안에 산화 가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화성 가스는 수소 및 메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불활성 가스는 질소 및 아르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실시예에서, 가스 혼합물은 예를 들어 약 30 몰% 내지 약 40 몰%의 양으로 (예를 들어, 수소와 같은) 인화성 가스 또는 가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약 60 몰% 내지 약 70 몰%의 양으로 (예를 들어,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 또는 가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압축 가스 팽창기 내의 전형적인 저장 압력에서 약 섭씨 -40도 내지 약 섭씨 90도 범위의 임의의 기체 탄화수소가 소정 실시예에 대해 허용가능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게다가, 인화성 및 불활성 가스들을 단일 챔버 내로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들 가스가 별개의 챔버들 내에 있을 수 있고/있거나 개별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고려된다.
도 9는 팽창 모듈(810), 밸브 조립체(850), 및 압축 가스 팽창기(840)를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800)의 보다 넓은 도면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 조립체(800)는 에어백 쿠션(802), 및 팽창 동안에 흡인 유입구(855)를 통한 주위 공기의 도입을 위하여 에어백 쿠션(802)을 자동으로 개방하고 이어서 충분한 팽창이 일어난 후에 흡인 유입구(855)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된 일방향 밸브 조립체(850)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자동 개방은 노즐(835)들을 통해 고속으로 도입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야기되는 에어백 쿠션(802) 내의 진공 또는 압력차의 결과로서 일어날 수 있다. 유사하게, 팽창 동안의 미리 결정된 단계에서, 이러한 압력차는 밸브 조립체(850)의 밸브, 예를 들어 플랩(852a, 852b, 852c)들이 폐쇄되게 하도록 강하 및/또는 역전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85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에어백 쿠션(802)의 천(fabric)과 비교하여) 비교적 강성인 재료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플랩(85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밸브는 그러한 플랩들을 흡인 유입구(855)에 인접하여 단순히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원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랩(들)(852)은 플랩(들)(852)이 그들 각자의 폐쇄 위치들을 향해 편의되도록 일 단부에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서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첩되는 플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플랩(852b)은 흡인 유입구(855)의 제1 개구 또는 복수의 개구를 덮도록 구성된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도 8의 관점에서, 페이지 내로 연장되는 개구들을 덮도록 구성된 제1 부분 및 이 도면에서 보이지 않고 페이지 밖으로 연장되는 개구들을 덮도록 구성된 제2 부분). 그러나, 물론, 이러한 단일 플랩은 대신에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별개의 플랩 또는 다른 밸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 조립체(800)는 에어백 쿠션(802) 내에서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는 제2 개시기/점화기(860)를 추가로 포함한다. 흡인을 통해 충분한 체적의 팽창 가스 및 주위 공기를 도입한 후에, 개시기(860)는 주위 공기 및 챔버(844)로부터의 가스 혼합물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802) 내부의 인화성 가스를 점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연소 반응은 에어백 쿠션(802)을 팽창시키는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비교적 큰 에어백 쿠션(일부 실시예에서, 600 L 이상의 쿠션)의 신속한 팽창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850)의 플랩(852)들 및/또는 밸브들은 개시기(860)에 의한 에어백 쿠션(802) 내에서의 가스의 점화로부터의 힘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기(860)는 가스 혼합물 및 주위 공기의 도입 동안에 특정의 원하는 시점에서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시기(860)는 챔버(844)로부터의 모든 가스들의 고갈/방출 후에 조합된 공기 및 가스 혼합물을 점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고갈/방출 및 점화 사이에는 지연이 없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지연이 없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기(860)로부터의 스파크는, 주위 공기와 함께 챔버(844)로부터의 가스들을 에어백 쿠션(802) 내로 도입하는 과정의 기술적으로 이후라기보다는, 이 과정의 말기 부근에서 전달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기(860)는 팽창기 모듈(810)과 직접 결합되기보다는 팽창기 모듈(8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기/점화기(860)가 대신에 팽창기 모듈(810) 내로 포함되고/되거나 이와 직접 결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고려된다. 어느 방식이든, 바람직하게는 개시기(860)는 에어백 쿠션(802) 내로 연장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팽창기(840)로부터 전달된 에어백 쿠션(802) 내의 가스와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탑승자 공간 내에서 인화성 가스의 점화에 의해 에어백을 전개하는 것의 암시로 인해, 에어백 쿠션 조립체(800)는 충돌 동안에 차량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전개되어 충돌 동안에 보행자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된 보행자 에어백, 또는 밀폐된 탑승자 공간의 외부에서 전개되도록 구성된 다른 에어백에 대해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압축 가스 챔버들을 포함할 수 있는 흡인식 에어백 팽창 모듈(1010a, 1010b)들에 의해 각각 팽창되도록 구성된 2개의 외부/보행자 에어백 쿠션 조립체(1000a, 1000b)들을 포함하는 차량(10)을 도시한다.
차량(10)은 충돌전 센서(pre-crash sensor)(S1/S2)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센서가 각각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센서들은 충돌에 대한 충분한 쿠션을 제공하기 위해 보행자와 충돌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 내에 팽창이 일어나게 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S1 및/또는 S2)들은, 예를 들어 카메라, 레이더, 및/또는 레이저를 포함한 충돌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명세서는 다양한 실시예 및 구현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동작 단계뿐만 아니라 동작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는 특정 응용에 따라 또는 시스템의 동작과 연관된 임의의 개수의 비용 기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삭제되거나 수정되거나 다른 단계와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한적인 의미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모든 그러한 수정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마찬가지로, 이익, 다른 이점, 및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되었다. 그러나 이익, 이점, 문제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이익, 이점 또는 해결책이 발생하게 하거나 더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요소(들)가 중요하거나 요구되거나 필수적인 특징부 또는 요소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된 실시예들의 상세 사항에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에어백 쿠션 조립체(airbag cushion assembly)로서,
    에어백 쿠션;
    흡인측(aspiration side) 및 팽창측(inflation side)을 포함하는 팽창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모듈은,
    팽창기(inflator);
    상기 팽창기와 유동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팽창 노즐들로서,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은 상기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를 상기 팽창 모듈의 상기 팽창측으로부터 상기 에어백 쿠션 내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
    상기 팽창 모듈의 상기 팽창측에 인접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에 결합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상기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수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흡인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은 상기 팽창기의 작동시 상기 팽창기로부터의 상기 팽창 가스와 함께 주위 공기를 상기 에어백 쿠션 내로 끌어들이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
    상기 팽창기의 작동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폐쇄되어 공기 및 팽창 가스가 상기 흡인 유입구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흡인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밸브 조립체
    를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모듈의 상기 흡인측은 상기 팽창측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은 복수의 고속 노즐들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미리 결정된 단계에서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복수의 플랩(flap)들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랩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흡인 유입구의 적어도 2개의 별개의 개구들을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된 나비형 플랩(butterfly flap)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팽창 하우징으로서,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이 상기 팽창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상기 팽창 하우징; 및
    상기 팽창 하우징과 결합되는 밸브 조립체 하우징으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밸브 조립체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상기 밸브 조립체 하우징
    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폐쇄 위치를 향해 편의되는(biased), 에어백 쿠션 조립체.
  9.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과 결합된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상기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수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흡인 유입구를 포함하는 팽창기 하우징;
    팽창기;
    상기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고속 노즐들로서, 상기 복수의 고속 노즐들 각각은 상기 팽창기의 작동시 상기 흡인 유입구를 통해 주위 공기를 끌어들이도록 구성되는, 상기 복수의 고속 노즐들; 및
    상기 팽창기의 작동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과 결합된 에어백 쿠션의 흡인 후에 폐쇄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 후에 공기 및 팽창 가스가 상기 흡인 유입구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밸브 조립체
    를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이 상기 복수의 고속 노즐들의 노즐 개구들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흡인 유입구가 차단되는 폐쇄 위치를 향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을 편의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흡인 유입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 및 상기 흡인 유입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 위치 둘 모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이 상기 에어백 쿠션에 대해 상기 복수의 고속 노즐들의 반대측에 완전히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상기 복수의 고속 노즐들의 유동 경로로부터 멀리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
  14. 제9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은 상기 밸브 조립체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 하우징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대해 상기 복수의 고속 노즐들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에어백 쿠션 팽창 모듈.
  16. 에어백 팽창 모듈로서,
    에어백 쿠션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상기 에어백 쿠션 내로의 주위 공기의 수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흡인 유입구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팽창기;
    상기 팽창기와 유동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팽창 노즐들로서,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 각각은 상기 팽창기로부터의 팽창 가스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 각각은 상기 팽창기의 작동시 상기 팽창기로부터의 상기 팽창 가스와 함께 주위 공기를 상기 흡인 유입구를 통해 끌어들이도록 구성되는,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 및
    상기 복수의 팽창 노즐들과 상기 흡인 유입구 사이에 위치된 밸브 조립체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주위 공기가 상기 흡인 유입구를 통과하게 하는 개방 위치 및 상기 밸브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흡인 유입구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폐쇄 위치에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밸브 조립체
    를 포함하는, 에어백 팽창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복수의 밸브 플랩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 플랩들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와 주위 공기 압력 사이의 압력차로부터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 동안에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백 팽창 모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을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에어백 팽창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시키기 위한 수단은 스프링-부하식 힌지(spring-loaded hinge)를 포함하는, 에어백 팽창 모듈.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플랩은 흡인 동안에 휘어지고 형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가요성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백 팽창 모듈.
KR1020207014137A 2017-11-01 2018-10-16 에어백 흡인 모듈 및 관련 밸브 조립체 KR102365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01,228 US10988104B2 (en) 2017-11-01 2017-11-01 Airbag aspiration modules and related valve assemblies
US15/801,228 2017-11-01
PCT/US2018/056124 WO2019089222A1 (en) 2017-11-01 2018-10-16 Airbag aspiration modules and related valve assembl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713A true KR20200066713A (ko) 2020-06-10
KR102365013B1 KR102365013B1 (ko) 2022-02-18

Family

ID=6624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137A KR102365013B1 (ko) 2017-11-01 2018-10-16 에어백 흡인 모듈 및 관련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8104B2 (ko)
EP (1) EP3703982A4 (ko)
JP (1) JP6960533B2 (ko)
KR (1) KR102365013B1 (ko)
CN (1) CN111212763B (ko)
WO (1) WO2019089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3528B2 (en) 2017-01-11 2023-06-1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irbag inflators including aspirators
US11155235B2 (en) 2017-01-11 2021-10-26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irbags including inflator assemblies
US11608189B2 (en) * 2020-08-11 2023-03-21 Textron Innovations Inc Multistage infrared suppression exhaust system
KR20220052170A (ko) * 2020-10-20 2022-04-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외장 에어백 장치
US11535182B2 (en) * 2020-10-29 2022-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umper assembly
US11794685B2 (en) * 2021-11-01 2023-10-24 Autoliv As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airbag aspi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595A (en) * 1970-10-27 1975-10-07 Rocket Research Corp Aspi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rash restraint system
JPH0744710U (ja) * 1989-03-08 1995-11-28 オートモチ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込み式膨張装置
KR20010013623A (ko) * 1997-06-10 2001-02-26 바치 폴 에프 흡기형 에어백 팽창 장치
US20140361522A1 (en) * 2010-06-02 2014-12-1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teering Wheel Mounted Aspirated Airba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8785A (fr) * 1962-01-12 1963-02-22 Bertin & Cie Perfectionnements aux trompes à jets inducteurs minces, utilisables, notamment, à la sustentation
US3801127A (en) * 1971-06-14 1974-04-02 Rocket Research Corp Crash restraint aspirating inflation system with canted nozzles
US3791669A (en) * 1972-08-16 1974-02-12 Allied Chem Cone aspirating structure for air cushion inflation
US3909037A (en) 1974-05-22 1975-09-30 Olin Corp Safety device with coanda effect
US4368009A (en) 1980-08-15 1983-01-11 The B. F. Goodrich Company Aspirator
US5699965A (en) * 1989-06-30 1997-12-23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Infrared suppressor for a gas turbine engine
JPH03227745A (ja) * 1989-12-25 1991-10-08 Mazda Motor Corp 乗員の姿勢制御装置
US5100172A (en) * 1991-04-12 1992-03-3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module
DE4228617C1 (de) 1992-08-28 1993-10-21 Daimler Benz Ag Luftansaugendes Gassack-Aufprallschutzsystem für einen Kraftwageninsassen
US5588675A (en) 1993-12-20 1996-12-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gas augmentation
US7338069B2 (en) 2004-04-02 2008-03-04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irbags with internal valves
US5586615A (en) 1995-06-07 1996-12-24 Simula Inc. Vacuum packaged escape slide
US5605347A (en) 1995-10-10 1997-02-25 Takata, Inc. Airbag module with simplified cushion attachment
US6155600A (en) 1996-01-25 2000-12-05 Reynolds; George L. Safety air bag inflation device
JPH11222095A (ja) 1998-02-10 1999-08-17 Takata Kk 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6513602B1 (en) 2000-09-13 2003-02-04 Universal Propolsion Company Gas generating device
EP1364839A3 (en) * 2002-05-24 2004-02-25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mproved curtain air bag assembly
US6799777B2 (en) 2002-11-15 2004-10-05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of venting gas in an airbag module
US7695009B2 (en) 2005-01-13 2010-04-13 Autoliv Development Ab Inflator for an air-bag
US7325830B2 (en) 2005-09-05 2008-02-05 Honda Motor Co., Ltd. Airbag device for vehicles
US7367585B2 (en) 2005-09-21 2008-05-06 Gsk Intex Co., Ltd. Inflating device for an air bag of a vehicle
KR100747909B1 (ko) 2006-07-10 2007-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 구조
JP4923879B2 (ja) 2006-09-06 2012-04-25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510212B2 (en) 2007-03-26 2009-03-31 Autoliv Asp, Inc. Airbag tether cutter and vent closer
US7878535B2 (en) * 2008-04-29 2011-02-01 Arc Automotive, Inc. Airbag inflator with adaptive valve
US7938443B1 (en) 2010-08-20 2011-05-10 Autoliv Asp, Inc. Shipping-safe inflator for an airbag module
GB2524292A (en) * 2014-03-19 2015-09-23 Ford Global Tech Llc An airbag system
US10124759B2 (en) * 2016-09-20 2018-11-13 Autoliv Asp, Inc. Aspirating airbag assembl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595A (en) * 1970-10-27 1975-10-07 Rocket Research Corp Aspi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rash restraint system
JPH0744710U (ja) * 1989-03-08 1995-11-28 オートモチ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吸込み式膨張装置
KR20010013623A (ko) * 1997-06-10 2001-02-26 바치 폴 에프 흡기형 에어백 팽창 장치
US20140361522A1 (en) * 2010-06-02 2014-12-1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teering Wheel Mounted Aspirated Airba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0264A (ja) 2021-01-07
CN111212763A (zh) 2020-05-29
EP3703982A4 (en) 2021-03-10
CN111212763B (zh) 2022-07-22
KR102365013B1 (ko) 2022-02-18
US20190126887A1 (en) 2019-05-02
US10988104B2 (en) 2021-04-27
WO2019089222A1 (en) 2019-05-09
JP6960533B2 (ja) 2021-11-05
EP3703982A1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6713A (ko) 에어백 흡인 모듈 및 관련 밸브 조립체
CN109789846B (zh) 抽吸气囊组件
CN103010147B (zh) 乘员气囊设备
US9150189B1 (en) Airbag systems with side venting
US8905433B2 (en) Bag-in-bag safety restraint with directional inflation
KR101491276B1 (ko) 에어백 장치
CN102089189A (zh) 安全气囊装置
JP2016020195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5014863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20180120448A (ko) 에어백 장치
US11214228B2 (en) Airbag device
KR101619390B1 (ko) 에어백 시스템
JP518793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9172172A (ja) エアバッグ装置
US11597345B2 (en) Driver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JP676676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2303952A (ja)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533287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20120129473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90047512A (ko) 에어백 장치
KR20190024134A (ko) 에어백 장치
KR102434040B1 (ko) 에어백 장치
KR101695219B1 (ko) 차량용 에어백
KR101695221B1 (ko) 차량용 에어백
KR20190030860A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