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320A -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을 함유하는 반고형 약제 - Google Patents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을 함유하는 반고형 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320A
KR20010013320A KR19997011315A KR19997011315A KR20010013320A KR 20010013320 A KR20010013320 A KR 20010013320A KR 19997011315 A KR19997011315 A KR 19997011315A KR 19997011315 A KR19997011315 A KR 19997011315A KR 20010013320 A KR20010013320 A KR 20010013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methamine
agent
gel
triethanolamine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KR100543558B1 (ko
Inventor
가르시아페레쯔루이사
팔로머베네트알버트
마울레온캐셀라스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코르코이 조아퀸 퓌그
라보라토리오스 메나리니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르코이 조아퀸 퓌그, 라보라토리오스 메나리니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코르코이 조아퀸 퓌그
Publication of KR2001001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덱스케토프로펜 및 중화제로서 다양한 아민을 함유하는 반고형 약제(겔 또는 크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낮은 알러지 및 광알러지 유발 활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여도 제품의 형상에 큰 변화가 없는 높은 저장 안정성을 비롯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을 함유하는 반고형 약제{Semisolid pharmaceutical formulation containing dexketoprofen trometamol}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NSAIDS)를 함유하는 반고형제(겔 또는 크림)는 통상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예를들어, 아릴프로피온산 또는 아릴아세트산 유도체와 같은 치료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는 그들의 구조상 산으로 작용한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등록 상표명 카르보머(carbomer) 또는 카르보폴(carbopol))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로 겔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겔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폴리머는 겔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겔화가 올바르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중화제로서 염기와 반드시 함께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형태의 화합물로 겔화가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염기는 겔화제와 활성성분을 모두 중화시킬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염기는 트리에탄올아민과 디에탄올아민과 같은 아민이다. 최근에는, 독성이 낮고 적절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트로메타민[DCI 트로메타몰, 2-아미노-2-(하이드록시에틸)-1,3-프로판디올]이 치료용 겔을 제조하기 위한 중화제로서 사용되고 있다(Bremeker K.D. Pharm. Ind. 51(2) 199-202(1989)).
트로메타민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트리에탄올아민과 디에탄올아민과 같은 아민에 비하여 물리-화학적 및 독성학적 측면 모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물리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트로메타민은 혈장의 pH에서 완충액을 형성하는 약염기성의 극성 아민(pkb= 7.8)이기 때문에 등장액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Martindal 31판), 주입되는 동안에 체액 또는 혈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독성학적 측면에 있어서, 트리에탄올아민과 디에탄올아민은 국소 투여 뿐만 아니라 경구 투여에서 시험관내 세포 모델(Santamaria A. et al. Ecotoxicol. Environ. Saf. 34 (1) 56-58 (1996))과 설치류 생체내(Konishi Y. et al. Fundament. Appl. Toxicol. 18 (1) 25-29 (1992); Melnick R. L. et al. J. Appl. Toxicol. 14 (1) 1-9 (1994) 및 14 (1) 1-9(1994)) 모두에서, 잠재적인 해로운 화합물, 특히 발암성 화합물로 판명되었다. 한편, 크림과 겔에 포함될 때, 트리에탄올아민은 예를 들어,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약제내 다른 성분과 함께 사용되어 자극을 일으킨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인체에서 강력한 자극 반응을 보였다(Batten T. L. et al. Contact Dermatitis 30, 159-161 (1994)). 그와 반대로, 트로메타민은 1차 아민이고, 니트로소화제의 존재하에서 분해되는 불안정한 니트로소아민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트로메타민은 발암성 니트로소아민 형성의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킨다(Bremeker K.D. Pharm Ind. 51 (2) 199-202 (1989)). 더욱이, 트로메타민 그 자체가 호흡기 및 대사성 산성혈증의 치료제로 사용된다(미국 약전 XXIII 및 유럽 약전 3판)
비스테로이계 항염 화합물의 경구 투여를 위한 트로메타민을 포함하는 약제의 제조방법은 문헌상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제에 있어서, 디플루니살과 같은 치료제는 트로메타민 및 필요한 부형제와 혼합되거나(Phillips A. EP 293529, 1988), 예를 들어,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과 같은 치료제의 염이 사용되는데(Carganico G. et al. IS 9202260, 1992), 이는 치료제의 진통작용의 개시 뿐만 아니라 약제의 경구 흡수율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에 트로메타민은 치료용 겔형 제제의 제조에 있어서 중화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생성되는 약제의 물리적 특징은 pH, 점도, 감각 수용성(orgnoleptic) 특성 및 저장 안정성에 있어서 트리에탄올아민에 의해 얻어지는 약제와 유사하다(Kim H. et al. JP 07309938, 1995 및 Tambruick S. et al. Pharm. Res. 13 (2) 279-83 (1996)). 더욱이, 트로메타민의 낮은 염기성때문에 중화제로서 트로메타민의 사용하면 화학량론에 의한 아민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을 부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을 사용하는 경우처럼 아민을 화학량론 부가하였을 때가 아니라 더 많은 양의 아민을 부가하였을 때에 최대 점도 영역에 도달하며, 그로 인해 생성되는 약제는 더 우수한 완충 능력을 가진다(Bremecker K.D. Pharm Ind. 51 (2) 199-202 (1989)). 트로메타민은, 여드름 및 건선의 치료를 위한 반고형 약제(겔 또는 리포솜)의 제조(Charu P.M. WO 9533489, 1995 및 Hanger J.-C. DE 4322158, 1995), 프로스글란딘 E, A 및 F2a를 포함하는 옥시토신 겔의 제조(Kravciv M. et al. CS 276067, 1992 및 CS 277720, 1993) 및 류마티즘 및 관절염 기원의 근육통 또는 운동 연습 후 통증의 국소적 진통 치료를 위한 살리실산과 니코틴산을 포함하는 연고의 제조(GB 1106580, 1968)에 사용되어 왔다. 마지막으로, 치주염 및 다른 구강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케토롤락 트로메타민 염을 포함하며, 겔상의 치약(Cavanaugh, P.F. et al. WO-9628144 A1, 1996) 또는 구강 세정액(Cavanaugh, P.F. et al. inframmopharmcology 3(4) 313 (1995) 및 Kelm G.R. et al. J. Pharm. Sci. 85(8) 842 (1996)) 형태로 이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반고형 약제는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체의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덱스케토프로펜 및 중화제로서 다양한 아민을 함유하는 반고형 약제(겔 또는 크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약제는 알러지 및 광알러지 유발 활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여도 제품의 형상에 큰 변화가 없는 높은 저장 안정성을 비롯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제품의 형상에 커다란 변화가 없는 완전한 저장 안전성을 가진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 진통 및 항염 겔형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아릴프로피온산의 폴리아크릴 겔은 유리 산으로서 활성 물질을 출발물질로 하여, 이를 에탄올과 같은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카르보머와 물로 형성된 분산액에 가하고 마지막으로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로메타민과 같은 생리학적으로 양립가능한 아민으로 중화시킴으로써 바람직한 겔을 제조할 수 있다. 아민으로서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따라 (1 내지 3%의 범위의 농도로)제조된 덱스케토프로펜 겔은 중화제인 아민과 염으로써 또는 염처럼 활성성분이 침전되어 1 내지 6개월 후에는 진흙과 처럼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침전은, 종종 통상적인 저장조건과 일치하는 20℃ 이하의 온도에서 더욱 명백하게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특히 중화제로서 트로메타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겔은 침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저장성이 매우 높고(2년 이상) 유변학적 특성 및 요변성이 우수한 겔을 얻을 수 있다.
놀랍게도, 이러한 형태의 겔은 활성 성분으로서 덱스케토프로펜 대신에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 및 겔화제를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양만큼의 아민을 사용하여 제조될 때에도, 사용한 아민에 의한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또는 트로메타민과 같은 매우 다양한 아민이 중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을 염화하여 균질성이 확보되고 결국 독성이 낮게 발휘된다는 측면에서 중화제로서 트로메타민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고 편리하다.
트로메타민으로 제조된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 겔은 통상적인 겔보다 광알러지 반응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겔내의 아민 함량을 감소시키고자 한다면, 디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과 함께 치료제로서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 1.5 내지 4.5% 농도(덱스케토프로펜으로서 1 내지 3%)로 함유하는 겔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적절한 정유(0.05 내지 0.5%)의 존재 또는 부존재하에 0.5 내지 5%의 카르보머, 10 내지 40%의 에탄올 및 60 내지 90%의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분산액의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탈이온수(겔 총량을 기준으로 4 내지 10%)내에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겔 총량에 대해 1.5 내지 4.5%), 및 트로메타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탄올아민과 같은 적절한 아민(겔 총량에 대해 0.5 내지 3%)을 포함하는 용액을 상기 분산액에 부가한다. 그런 후에, 겔화가 올바르게 이루어진다면, pH는 5 내지 7, 바람직하게는 6 내지 6.5로 확인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온화한 진공분위기하에서 상기 겔에서 공기를 제거한다.
중화제로서 트로메타민이 사용된다면, 원 위치에서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 역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조방법은 적절한 정유(0.05 내지 0.5%)를 포함하는 에탄올(25 내지 40%)내에 겔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의 덱스케토프로펜 용액을 제조한 후에 물에 카르보머 0.5 내지 5%를 분산한 액에 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형성된 분산액의 적절한 균질화를 위해 15 내지 30분내의 적절한 시간 후에 트로메타민을 덱스케토프로펜(0.5 내지 1.5% 사이의)과 동일 당량 부가하고, 다음으로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또는 트로메타민과 같은 생리학적으로 양립가능한 아민을 0.5 내지 3% 부가하여 카르보머를 중화시켜 pH를 5 내지 7, 바람직하게는 6 내지 6.5로 조절한다, 마지막으로 온화한 진공분위기하에서 상기 겔에서 공기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겔은 장기간 동안 통상적인 저장조건(15 내지 35℃)하에서 저장 안정성이 뛰어나며, 피부에 직접 도포하였을 때 주목할만한 부작용없이 우수한 항염작용 및 진통작용을 보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중화제로 트로메타민을 사용하고, 트로메타민 (+)-(S)-2-(3-벤조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출발하여 겔의 제조
교반기가 장착된 200ℓ의 반응기에 에탄올 40.8ℓ, 적절한 정유 0.1㎏, 탈이온수 57.5ℓ 및 카르보머 1.5㎏을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여(15분) 균질한 분산액을 만들었다. 그 결과 제조된 분산액에 트로메타민 1.4㎏, 트로메타민 (+)-(S)-2-(3-벤조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1.85㎏ 및 물 5.65ℓ로 이루어진 용액을 부가하고 교반하여(15분) 균질한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시간 후에 교반을 멈추고 pH를 확인한 결과 6 내지 6.5였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겔은 온화한 진공분위기하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실시예 1: 중화제로 디에탄올아민을 사용하고, 트로메타민 (+)-(S)-2-(3-벤조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출발하여 겔의 제조
교반기가 장착된 200ℓ의 반응기에 에탄올 40.8ℓ, 적절한 정유 0.1㎏, 탈이온수 57.5ℓ 및 카르보머 1.5㎏을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여(15분) 균질한 분산액을 만들었다. 그 결과 제조된 분산액에 디에탄올아민 1.04㎏, 트로메타민 (+)-(S)-2-(3-벤조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1.85㎏ 및 물 6.01ℓ로 이루어진 용액을 부가하고 교반하여(15분) 균질한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시간 후에 교반을 멈추고 pH를 확인한 결과 6 내지 6.5였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겔은 온화한 진공분위기하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실시예 3: 중화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고, 트로메타민 (+)-(S)-2-(3-벤조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출발하여 겔의 제조
교반기가 장착된 200ℓ의 반응기에 에탄올 40.8ℓ, 적절한 정유 0.1㎏, 탈이온수 57.5ℓ 및 카르보머 1.5㎏을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여(15분) 균질한 분산액을 만들었다. 그 결과 제조된 분산액에 트리에탄올아민 1.58㎏, 트로메타민 (+)-(S)-2-(3-벤조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1.85㎏ 및 물 5.47ℓ로 이루어진 용액을 부가하고 교반하여(15분) 균질한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시간 후에 교반을 멈추고 pH를 확인한 결과 6 내지 6.5였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겔은 온화한 진공분위기하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실시예 4: (+)-(S)-2-(3-벤조일페닐)프로피온산으로부터 출발하여 겔의 제조
교반기가 장착된 1500ℓ의 반응기에 에탄올 408ℓ, 트로메타민 (+)-(S)-2-(3-벤조일페닐)프로피온산 12.5㎏ 및 적절한 정유 0.1㎏을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시간 후에 카르보머(15㎏)와 탈이온수(575ℓ)의 두가지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분산액을 부가하고 기계적 교반기로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분산액에 교반하여(20분) 균질화하고, 계속해서 탈이온수(55.5ℓ)에 트로메타민(21kg)의 용액를 부가하고 교반하여(15분) 균질한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시간 후에 교반을 멈추고 pH를 확인한 결과 6 내지 6.5였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겔은 온화한 진공분위기하에서 공기를 제거하였다.

Claims (10)

  1. 적절한 용매에 겔화제를 분산한 분산액에 중화제인 아민 용액과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 용액을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제로서 (+)-(S)-2-(3-벤조일페닐)프로피온산 트로메타민염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 겔화제 및 중화제로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아민을 함유하는 반고형 약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가 카르복실비닐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가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트로메타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가 트로메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5 내지 7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H가 6 내지 6.5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형 약제가 겔 또는 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겔화제와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트로메타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 약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가 트로메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 약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 약제.
KR1019997011315A 1997-06-04 1998-06-04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을 함유하는 반고형 약제 KR100543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P9701213 1997-06-04
ES009701213A ES2124196B1 (es) 1997-06-04 1997-06-04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forma farmaceutica semisolida conteniendo dexketoprofeno trometamol y su utilizacion en el tratamiento topico de la inflamacion.
PCT/EP1998/003333 WO1998055113A1 (en) 1997-06-04 1998-06-04 Semisolid pharmaceutical formulation containing dexketoprofen trometam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320A true KR20010013320A (ko) 2001-02-26
KR100543558B1 KR100543558B1 (ko) 2006-01-20

Family

ID=829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315A KR100543558B1 (ko) 1997-06-04 1998-06-04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을 함유하는 반고형 약제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EP (1) EP0996437B1 (ko)
JP (1) JP2002502407A (ko)
KR (1) KR100543558B1 (ko)
CN (1) CN1195510C (ko)
AT (1) ATE201137T1 (ko)
AU (1) AU728442B2 (ko)
BG (1) BG64299B1 (ko)
BR (1) BR9810072B1 (ko)
CA (1) CA2293589C (ko)
CU (1) CU22866A3 (ko)
CZ (1) CZ290118B6 (ko)
DE (1) DE69800804T2 (ko)
DK (1) DK0996437T3 (ko)
EA (1) EA002026B1 (ko)
EC (1) ECSP014108A (ko)
EE (1) EE03905B1 (ko)
ES (2) ES2124196B1 (ko)
GR (1) GR3036319T3 (ko)
HK (1) HK1027753A1 (ko)
HN (1) HN2001000137A (ko)
HU (1) HU226686B1 (ko)
ID (1) ID26240A (ko)
NZ (1) NZ501487A (ko)
PL (1) PL190779B1 (ko)
PT (1) PT996437E (ko)
SK (1) SK284317B6 (ko)
TR (1) TR199903018T2 (ko)
UA (1) UA57075C2 (ko)
WO (1) WO1998055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5159A1 (de) * 1999-07-27 2001-02-22 Schuster Wolfgang Mittel zur Muskelentspannung
FR2797766B1 (fr) * 1999-08-27 2003-04-04 Menarini France Nouvelles formes topiques a consistance pateuse sous forme d'un gel distribue en doses
WO2013022410A2 (en) 2011-08-08 2013-02-14 Mahmut Bilgic Production method for effervescent formulations comprising dexketoprofen
ES2512497T1 (es) * 2013-02-06 2014-10-24 Galenicum Health S.L. Proceso para preparar una composición farmacéutica estable que comprende dexketoprofeno trometamol
FR3024360A1 (fr) * 2014-07-30 2016-02-05 Pf Medicament Emulsions aux stearates
RU2667465C2 (ru) * 2015-10-28 2018-09-19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армфирма "Сотекс"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соль декскетопрофен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CN109303762A (zh) * 2017-07-28 2019-02-05 韩美药品株式会社 含有酮洛芬的半固体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935830B1 (ko) * 2018-02-13 2019-01-07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외부역박동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9340A1 (fr) * 1975-07-28 1977-02-25 Roussel Uclaf Nouveau sel de l'acide a-methyl benzoyl-5 thiophene-2 acetique, procede de preparation et application a titre de medicament
IT1124398B (it) * 1979-12-05 1986-05-07 Menarini Sas Utilizzazione della forma farmaceutica gel contenente acido 23 benzoilfenil propionico impiegabile in terapia per uso topico
IT1207994B (it) * 1986-01-03 1989-06-01 Therapicon Srl Sali idrosulubili di composti adattivita' antiinfiammatoria ed analgesica, loro preparazione ed utilizzo in composizioni farmaceutiche.
US4960892A (en) * 1988-06-10 1990-10-02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Naphthalenepropionic acid derivatives as anti-inflammatory/anti-allergic agents
US5091182A (en) * 1990-07-23 1992-02-25 Syntex (U.S.A.) Inc. Dispensing units for ketorolac topical gel formlations
ES2058024B1 (es) * 1992-11-10 1995-05-01 Menarini Lab Nuevo derivado arilpropionico,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l mismo y su utilizacion como analges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5510C (zh) 2005-04-06
AU8624498A (en) 1998-12-21
EA199900998A1 (ru) 2000-06-26
HN2001000137A (es) 2001-10-29
TR199903018T2 (xx) 2000-05-22
SK164999A3 (en) 2000-09-12
EE03905B1 (et) 2002-12-16
DE69800804T2 (de) 2001-09-13
ES2156446T3 (es) 2001-06-16
PL190779B1 (pl) 2006-01-31
HUP0002734A2 (hu) 2001-01-29
KR100543558B1 (ko) 2006-01-20
AU728442B2 (en) 2001-01-11
CZ431399A3 (cs) 2000-05-17
GR3036319T3 (en) 2001-11-30
NZ501487A (en) 2001-06-29
ES2124196B1 (es) 1999-12-01
CU22866A3 (es) 2003-08-13
DK0996437T3 (da) 2001-08-06
SK284317B6 (sk) 2005-01-03
WO1998055113A1 (en) 1998-12-10
DE69800804D1 (de) 2001-06-21
HU226686B1 (en) 2009-06-29
EE9900556A (et) 2000-06-15
ID26240A (id) 2000-12-07
EA002026B1 (ru) 2001-12-24
CA2293589A1 (en) 1998-12-10
CZ290118B6 (cs) 2002-06-12
ECSP014108A (es) 2002-02-25
CN1259048A (zh) 2000-07-05
EP0996437A1 (en) 2000-05-03
BR9810072B1 (pt) 2010-07-13
JP2002502407A (ja) 2002-01-22
CA2293589C (en) 2008-01-22
HK1027753A1 (en) 2001-01-23
BG64299B1 (bg) 2004-09-30
BG103926A (en) 2000-09-29
ATE201137T1 (de) 2001-06-15
PL337156A1 (en) 2000-07-31
ES2124196A1 (es) 1999-01-16
EP0996437B1 (en) 2001-05-16
BR9810072A (pt) 2000-09-19
PT996437E (pt) 2001-09-28
HUP0002734A3 (en) 2003-05-28
UA57075C2 (uk) 200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075B1 (en)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of a medicaments onto a mammalian body surface
EP0506207B1 (en) Pharmaceutical vehicles for reducing transdermal flux
JPH078786B2 (ja) アリ−ルプロピオン酸誘導体の経皮的に吸収しうる含水製剤とその製造方法
AU3417595A (en)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and method
EP0101178A2 (en)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IT9020944A1 (it) Composizioni farmaceutiche orali liquide ad attivita' antiinfiammatoria
KR100543558B1 (ko) 덱스케토프로펜 트로메타몰을 함유하는 반고형 약제
EP3097907B1 (en) A gel formulation comprising analgesic and anesthesic agents
JP3608209B2 (ja) クロタミトン配合外用剤
WO2016137411A1 (en) Topical spray composition comprising ibuprofen and lidocaine
WO1988003799A1 (en) Pharmaceutical vehicles for reducing transdermal flux
EP2340016B1 (en) Topical formulation of 3-(2,2,2-trimethylhydrazinium) propionate dihydrate
GB2327041A (en) Topical Analgesic Composition
JP2893807B2 (ja) アズレン誘導体含有液剤
JPS63287721A (ja) 消炎鎮痛ゲル剤
MXPA99011180A (en) Semisolid pharmaceutical formulation containing dexketoprofen trometamol
EP2563351A1 (de) Adhesive retardformulierungen zur lokalen verabreichung von curcumin
JPS597115A (ja) 消炎鎮痛外用剤
JPH05117141A (ja) 副腎エキス含有消炎鎮痛ゲ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