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128A - 제어가능한 오버런닝 커플링 - Google Patents

제어가능한 오버런닝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128A
KR20010012128A KR19997009947A KR19997009947A KR20010012128A KR 20010012128 A KR20010012128 A KR 20010012128A KR 19997009947 A KR19997009947 A KR 19997009947A KR 19997009947 A KR19997009947 A KR 19997009947A KR 20010012128 A KR20010012128 A KR 20010012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strut
retainer plate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0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론해리슨
브라이언디.클렉커
Original Assignee
민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민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1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12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12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 F16D41/1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the action being rever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12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 F16D41/125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the pawl movement having an axi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12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 F16D41/1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hinged pawl co-operating with teeth, cogs, or the like the effective stroke of the pawl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평면 오버런닝 커플링은 한쌍의 중심선에 근접하게 장착된 회전 가능한 커플링 판(10, 20)을 포함하며, 스트럿 리테이너판은 그들의 사이에 놓여있다. 스트럿(38)은 커플링 판(20)내에 형성된 홈(26, 28, 30, 32, 34, 36)내에서 움직이며, 각각의 스트럿(38)아래에 배열된 스프링(52)에 의하여, 다른 커플링 판(10)내에 형성된 홈(48)의 내부로 일반적으로 압축되어 결합한다. 리테이너판(22)은 각지게 공간이 형성된 틈새(46)을 포함하며, 다른 커플링 판(20)과 관련하여 제 1각도위치에 있을때, 주어진 스트럿(38)은 리테이너 판 틈새를 통하여 다른 커플링 판(10)의 내측으로 뻗어 결합된다. 리테이너판(22)이 다른 커플링 판(20)과 관련된 제2 리테이너판(22)이 다른 커플링판(10)으로부터 주어진 스트럿(38)과 결합되는것을 방지하고, 그것에의하여 주어진 스트럿과 다른 커플링판(10) 사이의 유해하게 잠기는 접촉을 제거하게된다.

Description

제어가능한 오버런닝 커플링{CONTROLLABLE OVERRUNNING COUPLING}
오버런닝 커플링 조립부품들은 구조적 환경의 다양성 내에서 구동축 으로부터 피구동축으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왔다. 이것은 구동요소들의 자유회전운동을 허용하는동안 구동요소 로부터 피구동요소로 토크전달을 허용하며, 토크가 끊겼을 때 피구동요소들과 관련있다.
1997년 1월 28일 반포된 미국특허 No.5,597,057은 닫힌 병렬관계내에서 한쌍의 평면 커플링 판이 놓여있는것들을 포함하는 오버런닝 커플링 어셈블리를 밝히고 있고, 각각의 커플링 판은 공통된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밝히고 있다. 각각의 평면 커플링판은 그것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홈을 포함하고 있다. 토크 전달 스트럿들은 하나의 커플링판의 홈 내에서 받고 있으며, 스프링은 각각의 스트럿밑에 위치되어 스트럿을 압박하고, 그것에의하여 각각의 스트럿은 홈으로부터 다른 커플링판의 내부로 돌출하며, 다른 커플링판 내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한다.
토크가 한 방향내에서 커플링 판으로부터 다른 커플링 판으로 전달될 때, 최소 하나의 스트럿은 각각의 홈 내부로 잠기게된다. 만일 피구동 커플링판이 구동커플링 판에서 오버런할 때 토크전달은 끊기며, 스트럿들은 피구동판의 홈들을 넘어 걸리게되며, 각각의 스트럿들은 그들의 각각의 스프링에의해 계속 압축되는동안 각각의 피벗축에 대하여 피벗하며, 피구동 커플링과 결합되며 그속으로 잠기게된다. 오버런닝 조건내에서의 스트럿과 피구동 커플링의 잠기는 결합은 양쪽 스트럿과 피구동판이 바람직하지않게 마모가 일어나는 동안에 원치않은 소음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구동 요소로부터 피구동요소로 토크 전도를 수용하기위한 토크전달 커플링이나, 토크 전도에서 구동과 피구동요소가 자유롭게 회전하여 오버런링 운동을 허용하는 것과 관련 있다.
도 1은 구동축 으로부터 피구동 커플링 판으로의 토크가 전달되는것과 시계방향으로 자유회전운동을 허용하게되는 것에 있어서 오버런닝 커플링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제 1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각각의 방향에서 자유회전 운동이 허용되는 것에서의작동모드를 지시하고 있는 것;
도 3은 1도, 2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반시계 방향에서 자유회전운동을 허용하는동안 구동축으로부터 피구동 판으로 토크가 전달 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도면;
도 4는 1도, 2도와 3도에서 도시된 평면 커플링의 부분적인 분해 사시도;
도 5a는 1도, 2도 와 3도의 커플링 어셈블리를 위한 피구동 클러치판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커플링판 끝단의 정면도;
도 6a는 평면 커플링 구동판과 제 4도에서 지시된 평면 커플링 피구동판 사이에 위치한 스트럿 리테이너판의 평면도;
도 6b는 6a도 리테이너판의 끝단 정면도;
도 7은 평면 커플링 구동판내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트럿 스프링의 상세화된 사시도;
도 8a는 도7의 스프링을 유지하기위한 홈으로 평면 커플링 구동판의 평면도;
도 9a는 도 8a에서보인 판의 홈내부에 위치되어 적용되는 스트럿의 평면도;
도 9b는 9a도의 스트럿 끝단의 정면도;
도 10은 피구동 커플링 판에 대하여 조립된 관계내에서 구동 커플링판을 유지하기위한 평면 커플링 어셈블리로 사용되는 스냅링의 사시도;
도 11b는 도11a의 구동축의 측면도;
도 12a는 부분적인 조립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스트럿 리테이네판, 스트럿 그리고 구동 커플링 판의 조립된 관계에있어, 스트럿 리테이너판이 한방향으로 토크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위해 모나게 위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b는 12a도와 유사하며 스트럿 리테이너가 반대방향으로 토크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위치된 것을 나타낸도면;
도 12c는 12a, 12b와 유사하며, 리테이너 플레이트가 각각의 방향내에서 자유회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위치된 것을 나타낸도면;
도 13a는 평면 커플링 어셈블리의 단면도로써, 스트럿 리테이너판이 제 1방향내에서 토크전달을 위해 위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b는 13a와 유사하며, 스트럿 리테이너판이 제 2방향내에서 토크전달의 허용을 위해 각도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c는 13a, 13b와 유사하며 스트럿 리테이너판은 양측의 회전방향 내에서 커플링 판의 자유회전과 관계하는 운동과 조화되기위해 이동하여 위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커플링 어셈블리 절단면내의 부분적인 평면도로써, 중앙작동기 축이 커플링 판 내부로 위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a는 일부 변경된 평면 커플링 어셈블리로써, 한방향내에서 토크전달을 위해 적용되나, 반대방향 내에서 커플링판의 자유회전과 관계하는 운동을 허용하며 스트럿 리테이너판은 자유회전 운동을 허용하기위해 위치되고;
도 15b는 15a와 유사한 것으로, 스트럿판은 다른 커플링 판으로부터 커플링 판으로 토크전달을 허용하기위해 위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발명의 목적은 오버런닝 조건에서 커플링 판이 있는 어떤 스트럿의 래칭 결합의 부재에 의하여 특징지어지는 개선된 평면 오버런닝 커플링 어셈블리를 공급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방향, 제2방향 또는 둘다아닌 방향 내에서 선택적으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개선된 평면 오버런닝 커플링 어셈블리를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선된 평면 커플링 어셈블리는 닫힌 병렬관계에 놓인 한쌍의 평면 커플링판을 포함하며, 각각의 커플링 판들은 동일한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다수의 토크전달 스트럿들은 커플링 판 내에 형성된 홈 내에서 받는다. 각각의 스트럿은 스프링에의해 피벗하도록 압축되며 피벗축과 커플링판내의 홈으로부터 돌출된것에의하여 다른 커플링 판 내에 형성된 홈에 결합한다.
발명의 커플링 어셈블리는 커플링판과 일반적으로 회전가능한 하나의 커플링 판 사이에 노출되어있는 스트럿 리테이너판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스트럿 리테이너판은 다수의 모가나서 공간이 형성된 틈새를 포함하고 있다. 리테이너판은 제1각도의 위치로부터 커플링 부재에관해 각지게 이동할 수 있으며, 최소하나의 주어진 스트럿은 다른 커플링판과함께 제2각도 위치의 틈새를 통하여 속으로 연장하며, 그것에의해 최소 하나의 주어진 스트럿은 리테이너판 속의 틈새를 통하여 연장되지 않거나, 최소일 때 만족한 방법으로 틈새속으로 연장하지 않으며 다른 커플링과 결합한다.
스트럿을 사용함으로, 피구동 커플링 판과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오버런닝 조건에서의 래칭을 없애게되며, 피구동판의홈을 넘는 스트럿의 래칭과 관련된 어떠한 소음도 제거된다. 더욱이 스트럿과 커플링판의 마모가능성은 실질적으로 줄어든다. 그런것으로써, 우리의 개선된 커플링 어셈블리는 특히 고속작동 조건과 적은양의 윤활유 작동조건에 적용된다. 게다가 우리의 개선된 커플링 어셈블리의 생산은 정밀한 기계작동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전형적인 스프래그 커플링과 롤러 커플링의 생산조건이 요구되며, 진동 또는 다른 존재하 는 결점들이 생기지 않으면 구성요소의 마모가 줄어든다, 실제로, 발명의 또다른 특징과 관련하면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분말주조와 성형기술의 이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발명의 또다른 특성에 따르면, 커플링 어셈블리는 세가지의 작동을 나타낸다. 그들의 각각은 스트럿 리테이너판의 분리된 각진 부분에의해 특징지워지며 일반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커플링판과 관련있다. 스트럿 리테이너판이 제 1각진 부분내에 있을 때 다른 커플링판과 관계하며, 스트럿은 커플링판에에 홈의 제1연속의 각각의 내부에서 노출되며, 그것들은 스트럿 리테이너 판 내의 틈새를 통하여 피벗할 수 있고 연장하는 것을 허용하며, 다른 커플링판 내의 보충적인 홈의 제 1연속내로 접촉한다. 그러는 사이에, 스트럿은 다른 커플링 판 내의 홈의 제 2연속내에서 노출되며, 피벗은 홈의 제1연속 내의 스트럿의 피벗운동의 각도의 방향에 반대되는 각도의 방향에 있게되고, 다른 커플링 판에서의 보완하는 홈의 제2연속과함께 결합되는것으로부터 리테이너판에의해 보호된다. 이것은 단지 제1 회전방향 내에서 구동부재로부터 피구동 부재로의 토크 전달을 허용한다.
스트럿 리테이너 판이 제2 각진 위치에서 다른 커플링 판과 관계하고 있을 때, 스트럿은 홈의 제2연속에서 노출되며 피벗하도록 하는것과 리테이너 플레이트 틈새를 통하여 연장하는 것을 허용하며 다른 커플링 판내의 보완하기위한 홈의 제 2 연속내부로 결합한다. 그러는 사이에, 스트럿들은 홈의 제1 연속내에 노출되며 다른 커플링 판 내의 보완하는 홈의 제 1연속과 결합으로부터 리테이너판에의해 보호된다. 이것은 단지 제2 구동방향과 반대되는 제 1구동 방향내에서의 구동부재로부터 피구동 부재로의 토크전달을 허용한다.
스트럿 리테이너 판이 제 3각도 위치에서 다른 커플링판과 관계하여 일반적으로 회전한다고 추측할 때 스트럿이 다른 커플링 부재내의 각각의 홈 내에서 홈의 다른 연속들을 잡으며, 그것에 의하여 양방향에서 커플링 판의 자유회전 운동을 허용한다.
도 1은 평면 커플링 어셈블리의 피구동판을 도면부호 (10)으로 보이고 있다. 도 1에서 구동 커플링 판은 도시되지 않았으며, 피구동 커플링 판의 내부에 있다. 구동 커플링 판은 구동할 수 있도록 토크 입력축(12)에 연결되어있다. 구동 연결은 구동 커플링 판위에 형성된 내측 스플라인에의해 이루어지며, 축(12)위의 외측 스플라인(14)와 구동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피구동 커플링판(10) 구동 키홈(10)에 회전으로써 공급할 수 있으며, 구동 커플링 부재와함께 구동 연결을 이루는데, 예를들면, 동력 전달 구조와 같은 것이다. 스트럿 리테이너 작동기 축(18)은 토크 입력축(12) 내에 놓인다. 작동기 축은 도 14에 가장 잘 나타나있다. 그것의 중심선에대해 진동할 수 있으며, 축(12)에 각도로 배열되도록 하며 바꿀 수 있다. 작동기 축(18)은 회전가능 하도록 스트럿 리테이너판에 연결되어있고 다음에 설명되며, 그것에의해 축(12)의 중심선에 관하여 스트럿 리테이너 판이 각도로 조정된다,
도 2는 도 14와 일치한다. 도 2는 피구동 커플링 판(10)이 양측 각도방향으로 자유회전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도시된 것은 도 2에서 나타내고있는 두방향으로 지시된 화살표로 나타낸다. 두방향 자유회전 운동은 제 2도에 도시된 작동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작동기 축(18)은 중심위치의 위치에 축(12)과 관련된 중심선 위에서 조정되며, 제 1방향과 위치내에서의 토크전달 효과는 반대방향내의 토크전달 효과와 같다.
도 3은 도1, 도2와 유사하지만 한 방향의 화살표를 도시하고 있다. 이 화살표는 도 1의 자유회전운동의 방향에서 반대방향내의 자유회전운동을 나타내기는하지만 반대방향을 나타내고있는 것에서의 토크전달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나타낸 작동상태는 축(12)와 관계하고잇는 제3 작동위치에 작동기 축(12)에 의해 조정이 이루어지며, 그것에의해, 토크전달위치에서 스트럿 리테이너판이 조정되며, 작동모드를위한 토크전달 위치는 1도에 도시되어있다.
도 4는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클러치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있다. 구동 커플링 판은 도면부호 (20) 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피구동 클러치판(10)을 받을 수 있도록 적용된다. 커플링 판의 중앙에 병렬로 대하여 놓인것과 커플링 판(10)이 스트럿 리테이너(22) 판이다.
구동 커플링판은 스플라인(24)을 공급하며, 축(12) 위의 외측 스플라인(1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있다. 구동 커플링 판(20)은 제1의 한쌍의 홈(26)(28)을 가지며, 제1각도 부분에 놓이고; 제 2의 한쌍의 홈(30)(32)은 제 1각도 위치로부터 120°바뀌어진 제 2각도 위치에 놓이며; 제 3의 한쌍의 홈(34)(36)은 제 2 각도 위치로부터 120°바뀌어진 제 3각도 위치에 놓인다.
여섯 개의 스트럿(38)들은 구동 커플링 판(20)내의 여섯 개의 홈(26)(28)(30)(32)(34)(36)을 받는다. 각각의 스트럿(38)들은 평면의 실질적인 직사각형 부분(40)과 한쌍의 귀(42)를 갖으며, 스트럿의 가장자리에 나중에 놓인다. 귀(42) 위에있는 스트럿의 모서리는 피벗되는 모서리로 형성되며, 그것의 짝의 홈의 다른 모서리(44)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에 따르면, 홈(26) 내의 스트럿의 피벗식 모서리는, 제1각도 위치에서의 홈(28)내에 인접하는 스트럿을 위해 피벗식 모서리(44)에 가깝게 위치된다. 유사하게, 제 2각도 지점에놓인 스트럿을 위한 피벗식 모서리는 다른것에 대하여 가깝게 인접해있다. 이것은 또한 제 3의 각도 위치에서 홈(34) 과 (36)을 위한 스트럿이다.
스트럿 리테이너 판(22)은 여섯 개의 틈새를 공급한다. 그것들은 A로 도시된 클러치의 중심선에 관하여 각도로 배열되어있다. 여섯 개의 틈새(46)들은 쌍을 이루며 배열되고, 각각의 쌍은 다른 홈의 쌍에 관한 위치의 바깥으로 120°로 배열되어있다.
리테이너판(22)은 한 방향 내에서 토크 전달을 위해 제 1각도 위치에 위치하게되면, 다른 틈새(46)는 홈(30)을 넘어 직접 배열되고, 다른것들도 홈(34)을 넘어 배열된다. 그러므로 다른홈은 판(20)내의 각각 다른 홈중 하나의 홈을 넘어 배열될 것이다. 택일적으로 제 2각도 위치에 반대되는 방향 내에서 리테이너판이 각도로 조정되었을 때, 리테이너판(22)의 틈새(46)는 각각의 홈(28)(32)(36)과 함께 직접적으로 결합된다.
피구동 커플링 판(10)은 그것의 내측 평면내에 각도로 중간이 형성된 홈(48)을 공급한다. 이러한 홈(48)들은 중심선에 관하여 고르게 공간이 형성되며, 구동 커플링판(20) 내의 홈(46)의 방사상의 위치에 일치하게 방사상의 위치로 배열되어있다.
틈새(46)와 홈(48)은 스트럿(38)들의 모서리(50)가 구동 커플링 판(10) 내의 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크기가 형성되며, 홈(48)의 다른 모서리와 결합되어 스트럿들과 피구동 커플링 판(10)사이에서 잠금작용을 이루도록 하고, 구동 커플링 판(20)과 피구동 커플링 판(10) 사이에서 토크전달을 허용하게 될 것이다.
만일 리테이너판(22)이 홈(26)이 형성된 틈새(46)와 같은 그것의 제 1각도에서 부분적으로 중심선 A에 대하여 조정되었다면, 홈(28)은 인접하는 틈새(46) 밖으로 나오며, 리테이너판(22)에의하여 최소한의 부분으로 덮인다. 그러므로, 스트럿은 홈(28)에 장착되며, 피벗 모서리(44)에 대하여 피벗운동이 이루어지지않게 하기위해 홈(28)내의 위치에 잡게된다. 이러한 스트럿의 진입방지는 클러치판(10)의 홈(48)속으로 이루어진다. 유사하게, 그것의 제1각도 위치내의 리테이너판(22)과 함께, 틈새(46)는 홈(32)이 판(22)에의해 최소부분으로 덮이는동안 홈(30)에 완전하게 맞추어지며, 틈새(46)는 홈(36)이 판(22)에 의해 최소 부분으로 덮이는동안 틈새(46)는 홈(34)에 완전하게 맞추어진다. 이런 것들이 구동 커플링 판(20)으로부터 제 1방향내의 피구동 커플링 판(10)으로의 토크 전달을 허용한다.
만일 판(22)이 홈(28)(32)(36)과 맞추어지는 틈새(46)와 같은 제 2각도 위치에서의 중심선에 대하여 조정되었다면, 이들 홈내의 스트럿들은 틈새(46)와 피구동 커플링 판(10)내의 홈을 통하여 통과할 수도 있다. 동시에, 리세스(26)(30)(34) 들은 리테이너판(22)에의해, 피구동 커플링 판(10)내의 홈과 결합되어 피벗팅 되는 것으로부터 스트럿들이 이러한 홈내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 부분으로 덮이게된다. 이런 것들은 구동커플링 판으로부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내의 피구동 커플링 판(10)으로의 토크 전달을 허용하게된다.
만일 리테이너판(22)이 두 개의 토크전달위치의 제3각도 부분 중간에서 조정된다면, 제 1의 홈(26)(28)의 쌍내의 양측 스트럿(38)은 리테이너판(22)에의해 최소 부분으로 덮이게 될 것이며, 그러므로 각각의 피벗 모서리에 대하여 피벗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피구동 커플링 판(10)속으로 결합한다. 유사하게, 스트럿(38)들은 제 2 및 제3의 쌍을 이루는 홈(32)(34)(36)(38)내에 위치되며 피벗식의 움직임을 방지하며 피구동 커플링 속으로 결합된다. 리테이너 판(22)이 제 3각도 위치내에 위치될 때, 구동 커플링판(20)과 피구동 커플링판(10)은 다른것에 대하여, 다른 방향에 대하여 자유회전 할 수 있다.
5도에 도시된 것에 따르면, 피구동 커플링 판(10)은 커플링의 중심선 A에 관하여 동일하게 공간이 형성된 홈(48)들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구동판(20)에 의해 이동된 스트럿의 세쌍중의 각각의 하나와 결합을 허용하는 세 개와 같이 전략적으로 위치되어있다. 토크 전도가 다른 방향내에 있는동안, 홈(48)의 전략적 위치는 커플링 판(20)내의 스트럿의 세쌍중 각각의 스트럿과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에서 어떠한 적절한 스트럿이 사용된다 할 지라도, 도7에서는 발명의 이런 구체화 내에서 사용되는 스트럿 스프링(52)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스프링은 각각의 스트럿 아래로 장착된다. 스프링(52)위의 스프링 리액션암(54)은 구동판 홈의 바닥과 결합한다. 중간의 작동기 위치(56)는 각각의 스트럿 평면과 결합한다.
도 8a는 구동 커플링 판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에서는 홈을 (26)에서 (36)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홈은 스프링(52)의 암을 받는 측면이 있는 일반적인 말발굽 형태의 포켓을 가지고 있다. 말발굽 형태의 포켓은 도8a에서 (58)로 도시되어있다. 도 8a에서는 스트럿들을 받는 홈의 연장된 부분(60)을 또한 보이고 있다. 홈(60)들은 각각의 스트럿의 피벗 모서리에서의 귀부분(42)이 제 위치에 견고하게 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피구동 커플링판(10)내의 각각의 홈(48)의 모서리는 리테이너판(22)이 제1또는 제2각도 부분내에 있을 때 모서리(50)에 의해 결합되며, 제1또는 제2각도 부분은 도 4에서 참조번호(62)에의해 도시되어있다.
도11a와 도11b에 따르면, 축(12)은 중심선으로 연장된 슬롯(64)을 공급하며, 스플라인이 현성된 축의 부분에서 형성된 원주방향의 홈으로 연장하며, 도면부호(14)로 보이고 있다. 홈(66)의 내측지름은 스플라인의 작은 지름과 일반적으로 일치한다. 구동 커플링판(20)이 피구동 커플링판(10)이내에서 받고 있을 때, 판들은 리테이너링 또는 스냅링(68)에의해 축(12)위에서 중심선으로 빨리 잡게된다. 스냅링(68)은 피구동 커플링판(10) 내에서 형성된 내측홈(69)에 의해 받으며, 도 5a에 가장 잘 나타나있다.
커플링이 조립되었을 때, 리테이너판(22)은 홈(66)내에 위치하게된다. 도 6b에 도시된 것에 다르면, 리테이너판(22)은 내측 스플라인(70)을 공급하며, 스플라인(70)의 작은 지름은 홈(66)의 바닥 위에서 안내된다. 그러므로 리테이너 플레이트(22)는 클러치의 중심선 A에관해 모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6a에서 도시된 리테이너판(22)은 작동기 탭(72)을 공급하며, 조립되었을 때 축(12)내의 슬롯(64)을 받는다. 제 14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14도에 따른 작동기 축(18)은 또한 슬롯(74)을 공급한다. 작동기 탭(72)의 내측 앞쪽 끝단은 축(18)내의 슬롯(74)을 받는다.
슬롯(74)의 폭은 실질적으로 슬롯(64)의 폭보다 작다. 그러므로 작동기 축(18)이 축(12)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게하며, 구동 커플링 판(20)내의 홈과 관계하는 커플링의 중심선에 대하여 각지게 조절될 것이다. 작동기 축이 한 방향 내에서 이동 했을 때, 리테이너판은 그위에서 조절될 것이며, 쌍을 이루는 스트럿들 (26)또는(28), (30)또는(32), (34)또는(36)의 각각의 스트럿 중 하나는, 각쌍의 다른 스트럿들이 틈새를 통하여 피구동 클러치 판의 홈과 결합되는동안 유지될 것이다. 축(18)이 반대방향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때, 구동판(20)내의 각각의 홈 내에서 쌍의 스트럿 중 다른 스트럿은 피구동 커플링판의 홈에 각쌍의 스트럿이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는동안 잡게 될 것이다.
도 12a, 12b, 12c는 리테이너판(22)의 세 개의 작동위치를 보이고 있다. 도12a에 도시된 제1각도 위치내에 리테이너판(22)이 위치했을 때, A위치의 스트럿은 틈새(46)에 완전히 포함되며, 반대로 B의 위치의 스트럿은 틈새(46)에서 해제된다. 유사하게, 쌍을 이루는 C와 D의 위치에서의 스트럿과 쌍을 이루는 E와 F위치에서의 스트럿은 틈새가있는 완전결합 내에서 해제되는 하나의 스트럿과 다른 스트럿을 갖는다.
판(22)이 12b에 도시된 것에따른 그것의 제2각도 위치에서 조정되었을 때, A, C, E의 위치에서 스트럿은 그들 각각의 틈새(46)에 쌍을 이루는 B, D, F위치의 스트럿이 각각 리테이너판 틈새(46)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는동안 정렬되지 않는다. 이것은 도 12a와 관련있는 토크 전달의 방향에서 반대방향내로 토크전달을 허용한다.
도 12C는 리테이너판의 제3각도 위치로 양방향 내에서 자유회전운동을 허용할 것을 보이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판(22)은 축(12)과 관계하며 틈새에 관하여 쌍의 스트럿의 양 스트럿에 해제하도록 각도로 조정된다.
도 13a는 커플링이 도12a에 도시한 작동상태에서 토크전달을 위해 조절되었을 때 커플링판(10)과 (20)에 관하여 스트럿의 관계를 더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13a의 작동상태를위한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토크가 전달되었을 때 커플링판(10), (20)과 관계있는 리테이너판의 위치를 보이고 있다. 도 13c는 어셈블리가 각방향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자유회전 에서의 작동상태를 위하여 조절되었을 때, 커플링판(10),(20)과 관련있는 리테이너판(22)의 위치를 보이고 있다.
도 15a, 도15b에서 발명의 구체화를 보이고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토크는 한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거나 그러지 않을수도있고 다른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방향내의 자유회전 운동은 수용된다.
도 15a에서 리테이너판(22')은 커플링판 내의 홈에 관하여 틈새들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판(20')과 관련있는 위치에서 조정된다. 리테이너 판(22')은 그때 각각의 피벗 모서리(44)들에 관하여 스트럿(38)들의 피벗운동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15a에서 보인 작동상태내의 커플링은 자유회전운동을 허용하게될 것이다. 도15a에서 보인 작동상태내의 커플링은 자유회전 운동을 허용하게 될 것이다. 어셈블리가 도15b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리테이너판(22')은 틈새(46')가 커플링 판내의 홈과 완전하게 결합되도록 기재되어있다. 이것은 피구동 커플링판 내에서 스트럿(38')들을 홈에 결합되도록 허용하고 있다.
도 15a와 도 15b의 구체화된 요소들은 1-14도와 일치하는 참조번호의 근본적인 표시의 구체화에서 부본을 가지고 있다.
도 15a와 도 15b에서 도시한 구체화 에서의 판(20')은 로케이터 핀(76)을 다루며, 리테이너판(22)내의 슬롯(78) 내부로 받는다. 이러한 핀과 슬롯의 배열이 리테이너 판(22)에서의 각진 이동을 제한하며, 한 위치나 다른 위치로 가정될 것이다. 도 15b에서, 커플링 판 내부에 관한 틈새(46)의 완전한 결합을 허용하기위해 슬롯의 끝단과 핀이 결합된다.
토크 전달이 커플링 구조를 통해 끝나고, 도 15a에서 오버런닝 상태의 커플링 어셈블리를 가정할 때 리테이너판(22)은 오버런닝 작동상태동안 도 15에 도시된 위치에 기재되도록 윤활유에서 유체의 다이내믹한 인장력에의해 끌려갈 것이다. 토크의 반전 위에서, 리테이너판(22')위의 인장력은 반대로되며, 그것에 의하여 홈과 커플링판 그리고 한방향 토크전달 통로가 확립됨과 함께 틈새(46')에 결합하는 것을 허용한다.
스트럿을 사용함으로, 피구동 커플링 판과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오버런닝 조건에서의 래칭을 없애게되며, 피구동판의홈을 넘는 스트럿의 래칭과 관련된 어떠한 소음도 제거된다. 더욱이 스트럿과 커플링판의 마모가능성은 실질적으로 줄어든다. 그런것으로써, 우리의 개선된 커플링 어셈블리는 특히 고속작동 조건과 적은양의 윤활유 작동조건에 적용된다. 게다가 우리의 개선된 커플링 어셈블리의 생산은 정밀한 기계작동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전형적인 스프래그 커플링과 롤러 커플링의 생산조건이 요구되며, 진동 또는 다른 존재하 는 결점들이 생기지 않으면 구성요소의 마모가 줄어든다, 실제로, 발명의 또다른 특징과 관련하면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분말주조와 성형기술의 이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Claims (9)

  1. 한 쌍의 평면 커플링 판은 닫힌 병렬관계에 놓이고, 각각의 커플링 판은 동일 중심선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다수의 스트럿은 각지게 공간이 형성되고 커플링판의 내부에 형성된 홈을 받으며, 각각의 스트럿은 커플링 판의 홈으로부터 다른 커플링 판 내에 형성된 홈 내부로 결합되어 돌출되고, 커플링판과 커플링판과함께 일반적으로 회전할 수 잇는 것들 사이에 노출된 스트럿 리테이너에의해 개선된 것들을 특징지으며, 스트럿 리테이네판은 제1각도 위치로부터 다른 커플링 부재와 각지게 회전하도록 관계하는것에 있어서, 제 1의 스트럿은 틈새 내측을 통하여 뻗어 다른 커플링 판에 결합하며, 제 2각도 위치에 있어서, 제 1의 스트럿은 리테이너 판의 내측을 통하여 뻗지않고 다른 커플링 판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면 오버런닝 커플링.
  2. 제 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판은, 리테이너가 다른 커플링 부재와 관계있는 제 2각도 위치에 있을 때, 다른 커플링 부재내의 홈 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면 커플링.
  3. 제 1항에 있어서,
    커플링 판 내의 스트럿은 개별적인 피벗축에대한 홈내에서 각각 피벗하며, 피벗축에대한 피벗 운동을 위하여 최소 하나의 스프링이 커플링 판의 스트럿을 압박하기위해 지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면 커플링.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각도 위치와 제 2각도 위치 사이의 커플링 판과 관련있는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각도 운동 효과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면 커플링.
  5. 제 4항에 있어서,
    리테이너판은 커플링 판 사이에 노출된 윤활유를 포함하는것의 각도 운동 효과와, 커플링 판이 다른 것에 대하여 오버런할 때 윤활유는 리테이너 판위에서 유체적인 인력을 일으키고, 리테이너판은 제 1각도 지점으로부터 제 2각도 지점으로 옮겨지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면 커플링.
  6. 제 4항에 있어서,
    리테이너판의 각도운동 효과를위한 수단은 커플링판과 리테이너판 사이의 핀과 슬롯 연결을 포함하고, 리테이너판의 제 1각도 위치는 슬롯과 관련된 제 1위치에 핀이 있을 때 정의되며, 리테이너판의 제 2각도 위치는 슬롯과 관련된 제 2위치에 핀이 있을 때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면 커플링.
  7. 제 1항에 있어서,
    커플링 판은 스트럿홈의 쌍의 여섯세트를 가지며, 리테이너판 틈새는 쌍을 이루는 홈 각각의 세트의 홈에 커플링 판과 관련있는 제 1각도 위치내에 리테이너 판이 있을 때 쌍을 이루는 홈의 각각의 세트에 결합되며, 리테이너판 틈새는 쌍을 이루는 각각의 세트의 홈에 리테이너판이 커플링과 관련된 제 3각도 위치내에 있을 때 결합되며, 리테이너 판 틈새들은 커플링 판 내의 홈에서, 리테이너판이 커플링 판과 관련된 제 2각도의 위치에 있을 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면 커플링.
  8. 제 7항에 있어서,
    리테이너판은 작동기 부분과 다른 부분에서 각도 부분의 한 곳으로 리테이너를 각도로 놓기위한 작동기 수단을 포함하며, 두 방향 내에서 자유 회전과 관련된 운동을위한 작동모드를 바꾸며, 한 방향과 반대방향내의 자유회전 운동을 위한 토크전달을 위함과 다른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자유회전과 관련된 운동을 위한 토크전달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면 커플링.
  9. 제 1항에 있어서,
    작동기 수단은 다른 커플링 판과 관련되어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뻗는 리테이너 판 위의 작동기 탭을 포함하며, 작동기 축은 커플링 판과 결합 가능한 작동기 탭과 작동하도록 연결되며, 리테이너판은 커플링 판과 관련된 작동기축의 회전운동에의 커플링 판과 관련하여 각도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면커플링.
KR19997009947A 1997-04-28 1998-04-28 제어가능한 오버런닝 커플링 KR200100121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810597A 1997-04-28 1997-04-28
US10043197P 1997-04-28 1997-04-28
US60/100,431 1997-04-28
US8/848,105 1997-04-28
PCT/US1998/008496 WO1998049456A1 (en) 1997-04-28 1998-04-28 Controllable overrunning coup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128A true KR20010012128A (ko) 2001-02-15

Family

ID=2679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09947A KR20010012128A (ko) 1997-04-28 1998-04-28 제어가능한 오버런닝 커플링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79360B1 (ko)
JP (1) JP4105240B2 (ko)
KR (1) KR20010012128A (ko)
AT (1) ATE269500T1 (ko)
CA (1) CA2287184C (ko)
DE (1) DE69824577T2 (ko)
ES (1) ES2224384T3 (ko)
WO (1) WO19980494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019A (ko) * 2013-08-15 2016-04-20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프리 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96484B4 (de) * 2001-06-05 2014-03-06 Valeo Vorrichtung zum Sperren der Zahnräder einer Kraftübertragung
US7258214B2 (en) * 2005-06-09 2007-08-21 Means Industries, Inc. Overrunning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f planar members
JP4887941B2 (ja) * 2006-06-30 2012-02-29 マツダ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JP2008008440A (ja) * 2006-06-30 2008-01-17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
JP4887940B2 (ja) * 2006-06-30 2012-02-2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
JP2008082477A (ja) * 2006-09-28 2008-04-10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
US7699746B2 (en) * 2007-06-28 2010-04-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ne way clutch and synchronizer assembly
US8267231B2 (en) * 2007-09-28 2012-09-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an axially-moveable selectable one-way clutch assembly
JP5094660B2 (ja) * 2008-09-19 2012-12-12 株式会社ユニバンス クラッチ装置
US8602187B2 (en) * 2009-03-13 2013-12-10 Means Industries, Inc. Overrunning one-way clutch or coupling assembly
EP2895758A1 (en) * 2013-01-10 2015-07-22 Means Industries, Inc. Controllable or selectable coupling assembly having an overrun mode and a retained control element
WO2015061380A1 (en) * 2013-10-22 2015-04-30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Electromechanical, unidirectional, rotary clutch systems and methods
JP6083447B2 (ja) * 2015-03-09 2017-0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エイクラッチ
JP6229682B2 (ja) * 2015-03-10 2017-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ェイクラッチの固定構造
JP6229683B2 (ja) * 2015-03-12 2017-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6222150B2 (ja) 2015-03-23 2017-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エイクラッチ
JP6274143B2 (ja) * 2015-03-31 2018-0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10151358B2 (en) 2015-04-01 2018-12-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lectable one-way clutch
JP6319160B2 (ja) * 2015-04-08 2018-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エイクラッチ
JP6612516B2 (ja) * 2015-04-14 2019-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エイクラッチ
JP6413963B2 (ja) * 2015-07-10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システム
JP2017072180A (ja) * 2015-10-06 2017-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ェイクラッチ
DE102018124736B3 (de) * 2018-10-08 2019-08-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ppel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sowie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7040396B2 (ja) * 2018-10-16 2022-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WO2020136856A1 (ja) * 2018-12-28 2021-11-25 株式会社ユニバンス クラッチ
US11022187B2 (en) * 2019-07-05 2021-06-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ngagement device
US11692598B2 (en) * 2021-09-28 2023-07-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witchable one-way clutc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7643A (en) * 1937-04-03 1938-11-22 Cirac Automatic Reverse Contro Overrunning clutch
US5597057A (en) * 1993-10-26 1997-01-28 Brenco, Inc. One-way clutch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019A (ko) * 2013-08-15 2016-04-20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프리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7184C (en) 2005-04-12
ES2224384T3 (es) 2005-03-01
ATE269500T1 (de) 2004-07-15
EP0979360A1 (en) 2000-02-16
WO1998049456A1 (en) 1998-11-05
DE69824577T2 (de) 2005-06-09
DE69824577D1 (de) 2004-07-22
CA2287184A1 (en) 1998-11-05
EP0979360A4 (en) 2000-04-05
JP2002514292A (ja) 2002-05-14
JP4105240B2 (ja) 2008-06-25
EP0979360B1 (en)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2128A (ko) 제어가능한 오버런닝 커플링
US6244965B1 (en) Controllable overrunning coupling
US6854577B2 (en) Sound dampened one-way clutch
US7344010B2 (en) Overrunning coupling assembly including clustered paw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f planar members
US7484605B2 (en) Overrunning radial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f inner and outer members of the assembly
ITRM960426A1 (it) Complesso di giunto universale con cappellotto di copertura e sporgen= ze antirotazione
US5699889A (en) One way drive device with a dog clutch to transmit torque and a ratchet clutch to provide an overrun function
US5432582A (en) Ratcheting, compliant magazine drive coupling
JPH11108085A (ja) オーバーランニングクラッチ
US4033438A (en) Roller spline
US6896111B2 (en) One-way drive device with reduced engagement impact
JP6524291B1 (ja) リンク部材を利用するフリー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US6244032B1 (en) Chain
WO2021054480A1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US6032774A (en) One way drive device with a dog clutch to transmit torque and a ratchet clutch to provide an overrun function
JP4187905B2 (ja) クラッチユニット
JP2000346086A (ja) 回転軸連結構造
US5439421A (en) Structure comprising shaft and outer member having improved play-preventing sleeve
JP7403915B2 (ja) 切り替え式ラチェット型クラッチ
US3574277A (en) Frictionless universal joint
EP0892189A1 (en) One-way clutch with grouped sprags and cage
US4679675A (en) Coupling clutch
JP3865350B2 (ja) 両方向クラッチ
US3745790A (en) Slip clutch
WO2023281894A1 (ja) カム及び一方向カム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50908

Effective date: 2005122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