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769A - 개인용 장식 밴드 - Google Patents

개인용 장식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769A
KR20010005769A KR19997008840A KR19997008840A KR20010005769A KR 20010005769 A KR20010005769 A KR 20010005769A KR 19997008840 A KR19997008840 A KR 19997008840A KR 19997008840 A KR19997008840 A KR 19997008840A KR 20010005769 A KR20010005769 A KR 20010005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guide surface
pin
guide groove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0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527B1 (ko
Inventor
하시모토노리오
야스이가즈마사
Original Assignee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루타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1000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Adorn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각각 한 쌍의 다리(4a, 4b)가 있는 복수 개의 링크(2)와, 상기 다리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5)와, 상기 오목부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각각 인접한 상기 링크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출부(6)와, 연결 다리 및 상기 링크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링크를 연결시키는 연결핀(3)을 구비하는 개인용 장식 밴드에 있어서, 상기 링크(2)들 각각은 구멍들 중 하나에 고정된 핀 잠금 실린더(7)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핀(3)은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조작부(14a)와, 이 조작부 상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둘출된 맞물림 러그(17)와, 상기 조작부에 바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핀 잠금 실린더(7)는 연결핀 삽입 단부에 형성된 안내 표면(21)과, 이 안내 표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홈(22)과, 원주 방향으로 안내 홈의 안쪽 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구멍(23)과, 이 맞물림 구멍 및 안내 홈의 바깥쪽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 러그(24)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14a)는 스크루드라이버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맞물림 러그를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표면으로부터 상기 안내 홈 및 맞물림 구멍에 삽입시키고 맞물림 구멍의 스토퍼 러그와 맞물리게 한다.

Description

개인용 장식 밴드{BAND-LIKE ACCESSORY}
손목 시계의 링크를 연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구조체가 제안되어 왔다. 밴드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체로서, 헤어핀 형태의 연결핀이 인접한 링크의 구멍에 삽입되어 링크를 연결시키는 구조체가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그러한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연결핀이 작기 때문에 핀을 삽입하고 끄집어내는데 특수한 공구가 필요하고, 또 핀은 밴드 길이를 조정하는 작업 중에 분실될 수 있다. 게다가, 링크를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정밀한 횡단면 형태가 요망되며, 반복 사용은 가능하지 않았다. 조정할 때, 하나의 핀은 끄집어내기가 어려운 반면 다른 것은 구멍과 연결핀의 치수 차에 의해 쉽사리 떨어져 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밴드 길이의 조정에 있어서 작업성은 빈약하고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는 일본 실용 신안 출원 공개 공보 제57-45312호에 개시된 구조체가 있다. 그 구조체에서, 잠금부인 키 홈(keyway)이 케이스에 형성된 각각의 러그(lug)의 구멍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하지만, 키 홈을 기계 가공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또한, 가공 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대량 생산이 어렵다.
일본 실용 신안 출원 공개 공보 제6-74309호는 종래 구조체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구조체를 개시한다. 상기 구조체는 키 홈이 마련되어 잠금 부재를 형성하는 스토퍼 링(stopper ring)을 구비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밴드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연결핀의 키 홈과 돌출부는 모두 매우 작으므로 작업 중에 연결핀을 삽입하고 돌출부를 키 홈과 맞물리게 하기 위해 그들을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키 홈과 돌출부의 위치 설정이 어려우므로 작업성은 빈약하다. 게다가, 구조체는 예컨대 연결핀을 잠금 부재에 견고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는 연결핀을 축 방향으로 밀어 넣고 핀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성이 극히 빈약하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또는 손목 시계 케이스와, 밴드의 링크가 용이하게 연결 및 해제될 수 있는 밴드의 링크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목 시계 밴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밴드를 형성하는 목걸이, 팔찌 등의 개인용 장식 밴드에 링크를 연결시키기 위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연결된 밴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연결핀의 단면도이고,
도 4a는 핀 잠금 실린더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핀 잠금 실린더의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제2 실시예의 연결된 밴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7a는 핀 잠금 실린더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핀 잠금 실린더의 전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제3 실시예의 연결된 밴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10a는 핀 잠금 실린더의 사시도이며,
도 10b는 핀 잠금 실린더의 전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개인용 장식 밴드가 제공되며, 이 밴드는 각각 한 쌍의 다리가 있는 복수 개의 링크와, 상기 다리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각각 인접한 상기 링크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연결 다리 및 상기 링크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링크를 연결시키는 연결핀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상기 링크 중 적어도 몇 개는 구멍들 중 하나에 고정된 핀 잠금 실린더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연결핀은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조작부와, 이 조작부 상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둘출된 맞물림 러그(lug)와, 상기 조작부에 바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핀 잠금 실린더는 연결핀 삽입 단부에 형성된 안내 표면과, 이 안내 표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홈과, 원주 방향으로 안내 홈의 안쪽 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구멍과, 이 맞물림 구멍의 바깥쪽 내벽 및 안내 홈 사이에 형성된 스토퍼(stopper)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스크루드라이버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맞물림 러그를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표면으로부터 상기 안내 홈 및 맞물림 구멍에 삽입시키고 맞물림 구멍의 상기 스토퍼 러그와 맞물리게 한다.
안내 홈은 맞물림 러그를 맞물림 구멍으로 도입시키도록 나선형이다.
안내 표면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안쪽을 향해 축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다.
안내 표면은 중앙부로부터 양 단부 쪽으로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다.
안내 표면의 단부에는 맞물림 러그를 정지시키기 위한 러그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손목 시계를 더 제공하며, 이 손목 시계는 각각 한 쌍의 다리가 있는 복수 개의 링크와, 상기 다리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각각 인접한 상기 링크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손목 시계 케이스의 연결 다리의 쌍 및 상기 밴드의 단부 링크의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는 상기 연결 다리의 구멍에 고정된 핀 잠금 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핀은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조작부와, 이 조작부 상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맞물림 러그와, 상기 조작부에 바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핀 잠금 실린더는 연결핀 삽입용 단부에 형성된 안내 표면과, 이 안내 표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홈과, 원주 방향으로 상기 안내 홈의 안쪽 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구멍과, 이 맞물림 구멍의 바깥쪽 내벽 및 안내 홈 사이에 형성된 스토퍼 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는 스크루드라이버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맞물림 러그를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표면으로부터 상기 안내 홈 및 맞물림 구멍에 삽입시키고 맞물림 구멍의 상기 스토퍼 러그와 맞물리게 한다.
밴드의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홈은 맞물림 러그를 맞물림 구멍에 도입시키도록 나선형이다.
밴드의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표면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안쪽을 향해 축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다.
밴드의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표면은 중앙부로부터 양 단부 쪽으로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다.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표면의 단부에는 맞물림 러그를 정지시키기 위한 러그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손목 시계 밴드용으로 구성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밴드(1)는 연결핀(3)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링크(2)를 구비한다. 각각의 링크(2)는 한 쌍의 연결용 다리(4a, 4b)와, 이 다리들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5)를 한쪽 단부에 구비하며, 연결용 돌출부(6)를 다른 단부에 구비한다. 돌출부(6)는 인접한 링크의 오목부(5)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밴드(1)를 형성하는 적어도 몇 개의 링크들에는, 핀 잠금 실린더(7)를 삽입하기 위한 연결 다리(4a)에 구멍(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연결 다리에는 막힌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6)는 구멍(10)을 가지므로, 링크(2)의 오목부가 인접한 링크(2)의 돌출부(6)와 맞물릴 때 구멍(8, 10)과 막힌 구멍(9)이 서로 통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3)은 통상의 스프링 작용식 핀과 구조가 유사하며, 파이프(11)와, 이 파이프(11)에 삽입된 스프링(12)과, 파이프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고 스프링(12)의 양 단부에 대해 압박되는 전방 및 후방 단부 핀(13, 14)을 구비한다.
전방 단부 핀(13)은 작은 직경 부분(13a)과 큰 직경 부분(13b)을 구비하며, 파이프(11)의 내부 플랜지(15)에 의해 파이프(11)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후방 단부 핀(14)은 후방 단부에 있는 큰 직경의 조작부(14a)와, 핀(14) 중간의 작은 직경 부분(14b)과, 전방 단부의 큰 직경 부분(14c)을 구비하며, 플랜지(16)에 의해 유지된다.
조작부(14a)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맞물림 러그(17)를 구비하며, 맞물림 홈(20)이 단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 스크루드라이버의 끝이 홈(20)과 맞물릴 수 있다(도 1).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잠금 실린더(7)는 외부 단부에 있는 경사진 안내 표면(21)과, 축방향으로 연장된 나선형 안내 홈(22)과, 원주 방향으로 안내 홈(22)의 내부 단부에 형성되어 안내 홈과 연결된 맞물림 구멍(23)을 구비한다.
경사진 안내 표면(2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21a)로부터 타단부(21b)로 연장함에 따라 실린더(7)의 안쪽을 향해 내려가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맞물림 구멍(23)은 바깥쪽의 원주형 내벽(23a) 및 대향된 원주형 내벽(23b)을 갖는다. 내벽(23a)과 안내 홈(22) 사이에는 스토퍼(stopper) 러그(24)가 형성되어 있다. 내벽(23a)과 대향된 내벽(23b)의 원주 길이는 맞물림 러그(17)가 맞물릴 수 있을 만큼 충분하다.
전술한 구조의 핀 잠금 실린더(7)는 금속 파이프를 직접 기계 가공하거나, 금속 플레이트를 도 4b의 전개도에 의해 도시된 형태로 절삭하고 이를 원통형으로 형상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는 결합 표면(26)들이 상호 대면하도록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핀 잠금 실린더(7)는 링크(2)의 구멍(8) 내에 삽입되어 용접, 납땜, 스테이킹(staking) 또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된다.
하나의 링크(2)를 다른 링크에 연결하기 위해, 하나의 링크의 돌출부(6)를 다른 링크의 오목부(5)와 맞물리게 하고, 연결핀(3)을 핀 잠금 실린더(7)를 통해 삽입시키며, 전방 단부 핀(13)을 막힌 구멍(9) 내에 삽입한다. 그 때, 후방 단부 핀(14)의 조작부(14a)는 핀 잠금 실린더(7)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한다. 이어서, 스크루드라이버(18)의 끝은 조작부(14a)의 홈(20)과 맞물리며, 러그(17)는 조작부가 스프링(12)의 작용에 대해 안쪽으로 압박될 때 경사진 안내 표면(21)에 대해 접지된다.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손목 시계용 스크루드라이버는 상호 회전되는 본체(18a)와 헤드(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본체의 중간부를 엄지 및 가운데 손가락으로 유지하며, 헤드를 집게 손가락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엄지 및 가운데 손가락이 본체(18a)로부터 해제되고 헤드가 그 상태에서 압박되면, 러그(17)는 경사진 안내 표면(21)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힘을 받는다. 본체(18a)는 핀(14)과 함께 그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러그(17)는 활주하여 자동적으로 안내 홈(22) 쪽으로 안내되어 안내 홈(22)에 진입할 수 있다. 더 압박하면, 러그(17)는 내벽(23b)에 대해 접지하여 정지할 때까지 맞물림 구멍(23)에 진입한다. 작업 중에, 안내 홈(22)이 나선형이므로, 러그(17)는 맞물림 홈(23) 안으로 자동적으로 이송된다. 그 후에, 스크루드라이버를 해제하면, 스프링(12)은 조작부(14a)에 힘을 가해 철수시키며, 러그(17)는 내벽(23a)과 접지되어 정지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러그(17)는 원주 방향, 즉 안내 홈(2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스토퍼 러그(24)에 의해 방지됨으로써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4a)의 외부 단부 표면은 핀 잠금 실린더(7)의 외부 단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크를 해제하기 위해, 통상의 스크루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조작부(14a)를 압박함으로써 러그(17)를 러그(24)로부터 분리시킨다. 조작부는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스크루드라이버는 해제된다. 조작부(14a)가 스프링(12)에 의해 힘을 받아 러그(17)를 해제되도록 안내 홈(22)을 따라 바깥으로 이동시킨다. 조작부(14a)는 링크(2)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으로 조작부를 죔으로써 핀(3)을 용이하게 빼내고 링크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밴드(1)를 손목 시계 케이스(27)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체에 적합하다.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체의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손목 시계 케이스는 한 쌍의 연결 다리(28a, 28b)와, 링크(2)의 돌출부(6)가 맞물리는 오목부(30)를 구비한다. 연결 다리(28a) 내에는 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 다리(28b) 내에는 막힌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막힌 구멍(32)은 개방된 구멍일 수 있다.
핀 잠금 실린더(7)의 경사진 안내 표면(33)은 제1 실시예의 것과 상이하다.
더 상세하게는,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안내 표면(33)의 중앙부는 가장 높은 위치이며 이 표면은 안내 홈(22) 쪽으로 어느 측면을 따라 점진적으로 경사져 있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그에 따라 구성된 구조체에서, 연결핀을 케이스 및 링크의 각각의 구멍에 삽입하며, 조작부(14a)를 스크루드라이버로 압박된다. 그에 따라 러그(17)는 안내 표면(33)에 대해 접지되고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활주하여 안내 홈(22) 안으로 안내된다. 그 후의 작업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도 8은 폭이 작은 밴드에 적절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링크(35)는 한 쌍의 연결 다리(36a, 36b)와, 오목부(37)와, 돌출부(38)를 구비한다. 각각의 연결 다리(36a, 36b)는 폭이 작으므로, 내부에 핀 잠금 실린더(40)를 제공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핀 잠금 실린더(40)는 돌출부(38)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큰 직경 부분(41a)이 있는 만입된 구멍(41)이 돌출부(38) 내에 마련된다. 아니면, 구멍(41)은 돌출부 전체에서 큰 직경 부분(41a)의 직경으로 천공될 수 있다. 연결 다리(36a) 내에는 핀(42)의 조작부(42a)에 형성된 러그(43)가 다리를 통해 지나갈 수 있도록 큰 직경의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핀(42)의 조작부(42a)는 러그(43)가 핀 잠금 실린더(40)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신장되어 있다. 또한, 큰 직경의 구멍(44)은 핀(42)의 조작부(42a)보다 직경이 약간 더 크고, 러그(43)가 이 구멍(44)을 통해 지나갈 수 있도록 키 홈 형태로 형상화될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잠금 실린더의 단부 표면(45)은 축에 수직인 직선이며, 단부 표면(45)의 단부에는 안내 러그(46)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핀(45)이 구멍(44, 41) 및 막힌 구멍(47)에 삽입된 후, 통상의 스크루드라이버(48)가 조작부(42a)에 형성된 홈(50)과 맞물린다. 조작부는 도 8 및 10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러그(43)가 러그(46)에 대해 접지되면 정지한다. 이어서, 스크루드라이버는 압박되며, 그에 따라 러그(43)를 안내 홈(52)에 진입시켜 핀이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잠기게 한다. 연결 다리(36b)의 막힌 구멍(47)은 구멍일 수 있다.
링크를 제거할 때에는, 제1 실시예의 작업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핀 잠금 실린더(7)의 외부 단부가 경사진 안내 표면(21)을 형성하고, 핀 잠금 실린더(7)의 안내 홈(22a)이 나선형 대신 축에 평행한 직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 홈(22a)이 직선이므로, 러그(17)는 맞물림 구멍(23)에 자동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핀(3)은 러그(17)에 힘을 가해 구멍(23)에 진입시키도록 스크루드라이버(18)에 의해 압박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다른 작업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라, 연결핀의 러그는 사용자가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핀 잠금 실린더 내에 형성된 맞물림 구멍과 용이하게 맞물려 질 수 있으므로, 링크의 연결 및 해제 작용은 현저히 용이하게 수행될 뿐 아니라 안정된 맞물림으로 귀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핀의 러그는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홈과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다.

Claims (10)

  1. 각각 한 쌍의 다리가 있는 복수 개의 링크와, 상기 다리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각각 인접한 상기 링크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연결 다리 및 상기 링크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링크를 연결시키는 연결핀을 구비하는 개인용 장식 밴드로서,
    상기 링크 중 적어도 몇 개는 구멍들 중 하나에 고정된 핀 잠금 실린더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연결핀은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조작부와, 이 조작부 상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둘출된 맞물림 러그(lug)와, 상기 조작부에 바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핀 잠금 실린더는 연결핀 삽입 단부에 형성된 안내 표면과, 이 안내 표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홈과, 원주 방향으로 안내 홈의 안쪽 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구멍과, 이 맞물림 구멍의 바깥쪽 내벽 및 안내 홈 사이에 형성된 스토퍼(stopper) 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스크루드라이버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맞물림 러그를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표면으로부터 상기 안내 홈 및 맞물림 구멍에 삽입시키고 맞물림 구멍의 상기 스토퍼 러그와 맞물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장식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상기 맞물림 러그를 상기 맞물림 구멍에 도입시키도록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장식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면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안쪽을 향해 축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장식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면은 중앙부로부터 양 단부 쪽으로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장식 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면의 단부에는 상기 맞물림 러그를 정지시키기 위한 러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장식 밴드.
  6. 각각 한 쌍의 다리가 있는 복수 개의 링크와, 상기 다리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각각 인접한 상기 링크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손목 시계 케이스의 연결 다리의 쌍 및 상기 밴드의 단부 링크의 돌출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구비하는 손목 시계로서,
    상기 손목 시계 케이스는 상기 연결 다리의 구멍에 고정된 핀 잠금 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핀은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조작부와, 이 조작부 상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맞물림 러그와, 상기 조작부에 바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핀 잠금 실린더는 연결핀 삽입용 단부에 형성된 안내 표면과, 이 안내 표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홈과, 원주 방향으로 상기 안내 홈의 안쪽 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구멍과, 이 맞물림 구멍의 바깥쪽 내벽 및 안내 홈 사이에 형성된 스토퍼 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는 스크루드라이버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맞물림 러그를 핀 잠금 실린더의 안내 표면으로부터 상기 안내 홈 및 맞물림 구멍에 삽입시키고 맞물림 구멍의 상기 스토퍼 러그와 맞물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상기 맞물림 러그를 상기 맞물림 구멍에 도입시키도록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면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안쪽을 향해 축방향으로 하강되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면은 중앙부로부터 양 단부 쪽으로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면의 단부에는 상기 맞물림 러그를 정지시키기 위한 러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KR1019997008840A 1998-01-29 1999-01-29 개인 장신구용 밴드 KR100572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036898A JP3924370B2 (ja) 1998-01-29 1998-01-29 バンドの連結構造
JP98-30368 1998-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769A true KR20010005769A (ko) 2001-01-15
KR100572527B1 KR100572527B1 (ko) 2006-04-24

Family

ID=1230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840A KR100572527B1 (ko) 1998-01-29 1999-01-29 개인 장신구용 밴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98394A (ko)
EP (1) EP0968670B1 (ko)
JP (1) JP3924370B2 (ko)
KR (1) KR100572527B1 (ko)
CN (1) CN1162102C (ko)
DE (1) DE69940659D1 (ko)
HK (1) HK1026126A1 (ko)
WO (1) WO19990384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981A (ko) * 2014-12-26 2016-07-07 이재화 분리가 용이한 연결핀이 구비된 시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545B1 (ko) * 1999-04-29 2004-08-25 탁 호이어 쏘시에떼아노님 착탈식 링크를 구비한 시계줄
US6237319B1 (en) * 1999-07-13 2001-05-29 Fossil, Inc. Adjustable wristband link
US6272836B1 (en) * 1999-12-30 2001-08-14 Timex Corporation Adjustable linkage for a watchband
CH699811B1 (fr) * 2000-08-11 2010-05-14 Rado Montres Sa Bracelet à maillons articulés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tel bracelet
US6418706B1 (en) * 2001-11-27 2002-07-16 Fossil, Inc. Watchband link assembly
JP4169033B2 (ja) * 2003-07-31 2008-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連結具、バンド、および時計
JP4754249B2 (ja) * 2005-03-30 2011-08-24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バンドの連結構造
US20060225667A1 (en) * 2005-04-06 2006-10-12 Simon Handelsman Flexible configuration dog bone
JP2006314347A (ja) * 2005-05-10 2006-11-24 Seiko Instruments Inc 時計用バンド及び腕時計
KR200395360Y1 (ko) * 2005-06-27 2005-09-08 현민경 시계줄
GB2469406B (en) * 2005-11-10 2011-01-19 Wing Hon Metal Manufactory Ltd Elongate band,wristwatch comprising same and watchcase
FR2918852B1 (fr) * 2007-07-17 2009-10-16 G & F Chatelain Sa Sa Suisse Procede d'assemblage d'un bracelet metallique
JP4793704B2 (ja) * 2009-06-04 2011-10-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時計バンドの取付構造
EP2721943B1 (fr) * 2012-10-16 2015-08-12 Rolex Sa Articulation élastique pour assemblage horloger
KR101316641B1 (ko) * 2013-07-30 2013-10-15 박승동 장신구 연결용 어셈블리
DE112014003951T5 (de) * 2013-08-29 2016-06-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Kontaktvorrichtung
EP2915445B1 (fr) * 2014-03-04 2016-12-14 Rolex Sa Dispositif et procédé d'assemblage à pivotement d'au moins deux pièces, ensemble correspondant de deux pièces assemblées
US9980539B2 (en) 2014-08-11 2018-05-29 Apple Inc. Segmented attachment device
JP6201960B2 (ja) * 2014-11-05 2017-09-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腕時計
CN107095404A (zh) * 2016-02-23 2017-08-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枢接件及穿戴设备
JP1576093S (ko) * 2016-10-04 2017-05-15
US10722006B2 (en) 2016-12-05 2020-07-28 Rolex Sa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bracelet
EP3329796B1 (fr) * 2016-12-05 2019-07-10 Rolex Sa Dispositif de reglage de confort de la longueur d'un bracelet
EP3376310A1 (fr) * 2017-03-14 2018-09-19 Les Artisans Boîtiers SA Dispositif de fixation
CN107041609B (zh) * 2017-05-03 2019-01-18 兴固五金(深圳)有限公司 一种表带的简易拆装结构及手表
EP3422118B1 (fr) 2017-06-30 2020-02-26 Montres Breguet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bracelet
EP3561608B1 (fr) * 2018-04-23 2021-03-10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Barrette de fixation d'un bracelet a une montre munie de deux pivots retractables
DE102018125062A1 (de) * 2018-10-10 2020-04-16 Iwis Antriebssysteme Gmbh & Co. Kg Gelenkkette mit arretierendem Kettenbolzen
USD931739S1 (en) * 2018-11-23 2021-09-28 Swarovski Aktiengesellschaft Wrist watch
EP4024138A1 (fr) * 2020-12-30 2022-07-06 Omega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bracelet
EP4176755A1 (fr) * 2021-11-05 2023-05-10 Rolex Sa Assemblage d'un brin de bracelet sur une boîte de montre
WO2023191412A1 (ko) * 2022-03-29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1228A (en) * 1950-01-30 1953-12-01 Northern Pump Company Pivotal construction
JPS4318864Y1 (ko) * 1966-09-14 1968-08-05
JPS5330352B2 (ko) * 1971-12-14 1978-08-26
US4269026A (en) * 1979-08-23 1981-05-26 Timex Corporation Connector pin for link bracelets
JPS5745312U (ko) * 1980-08-28 1982-03-12
JPH04318864A (ja) * 1991-04-18 1992-11-10 Canon Inc 複写装置に接続される通信制御装置
US5197274A (en) * 1991-10-15 1993-03-30 E. Gluck Corporation Link assembly for a watch bracelet
JPH0574309U (ja) * 1992-03-17 1993-10-12 株式会社ザノン 時計バンドの連結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981A (ko) * 2014-12-26 2016-07-07 이재화 분리가 용이한 연결핀이 구비된 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2527B1 (ko) 2006-04-24
CN1162102C (zh) 2004-08-18
DE69940659D1 (de) 2009-05-14
EP0968670B1 (en) 2009-04-01
EP0968670A1 (en) 2000-01-05
HK1026126A1 (en) 2000-12-08
JPH11206424A (ja) 1999-08-03
CN1255837A (zh) 2000-06-07
US6098394A (en) 2000-08-08
WO1999038410A1 (fr) 1999-08-05
JP3924370B2 (ja) 2007-06-06
EP0968670A4 (en)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5769A (ko) 개인용 장식 밴드
CN110023040B (zh) 操作棒的连结结构
KR100713768B1 (ko) 끈 고정구
US5557587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wrist watch
JP2002137111A (ja) ホールソー及びパイロットドリルビット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迅速交換マンドレルアセンブリ
EP0640894A1 (en) Connection of a band to a watch case
US20060162132A1 (en) Device for fixing a watchband to a watch container
JP2000147318A (ja) 光コネクタ
US6170250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blocks of band
JP2007082597A (ja) 連結装置、バンドおよび時計
JP2000338370A (ja) 光コネクタ
JPH02239806A (ja) 伸縮式時計バンド用端部コネクタ
JP4628730B2 (ja) ソケット/プラグアセンブリ
JPH0574309U (ja) 時計バンドの連結構造
TWI827072B (zh) 可快速退出工具頭之扳手
US12004613B2 (en) Item of jewelry
JP2007075416A (ja) 連結具
US20240065391A1 (en) Item of jewellery
JP2009095637A (ja) 装身具用連結金具
JP4165799B2 (ja) バンドとこのバンドとケースの連結構造
JP4120726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用スライダ
JP3220902B2 (ja) 装身具用連結金具
JP4120727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00021021U (ko) 열쇠고리
JP200104392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