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005A - 분류장치와 이송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분류장치와 이송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005A
KR20010003005A KR1019990023110A KR19990023110A KR20010003005A KR 20010003005 A KR20010003005 A KR 20010003005A KR 1019990023110 A KR1019990023110 A KR 1019990023110A KR 19990023110 A KR19990023110 A KR 19990023110A KR 20010003005 A KR20010003005 A KR 2001000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fruit
container
transfe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1999002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3005A/ko
Publication of KR2001000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4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moving weighing mechanisms, e.g. moving along a circul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과일선별장치는 복수의 이송용기를 갖는 과일 이송장치, 및 이송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과일을 순차적으로 수령하고 계량하는 복수의 계량용기를 갖는 분류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용기와 계량용기가 그 이동경로상의 소정위치에 접근시 이들의 위치는 제1 및 제2근접센서에 의해 각각 감지된다. 제1릴레이는 제1근접센서의 턴온시 모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이송용기의 이송동작을 중단시키고, 제2릴레이는 제2근접센서의 턴온시 제1릴레이로의 전원공급 상태를 반전시켜 모터로의 전원공급을 재개시킴으로써 이송용기의 이송동작을 재개시킨다. 이에 따라 이송용기와 계량용기가 동기화 되어, 과일이 이송용기로부터 계량용기로 정확하게 공급되게 된다.

Description

분류장치와 이송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FRUIT SORTER HAVING SYNCHRONIZING APPARATUS BETWEEN CLASSIFICATION APPARATUS AND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과일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을 그 중량별로 분류하는 분류장치와 이 분류장치에 과일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에서, 분류장치와 이송장치의 동작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과일선별장치는, 턴테이블에 등각도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계량용기를 갖는 분류장치를 가진다. 각 계량용기는 동일한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어, 담겨진 과일의 하중에 따라 처짐량이 달라진다. 과일을 수용한 계량용기가 턴테이블을 따라 이동할 때, 소정의 위치에 계량용기의 처짐량에 따라 계량용기를 기울이는 작용아암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계량용기는 담겨있는 과일의 중량별로 소정의 수용바스켓에 과일을 분류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과일선별장치는 또한, 과일선별장치의 분류장치에 과일을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이송장치를 구비한다. 종래의 이송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폐루프의 한 쌍의 컨베이어체인과, 양 컨베이어체인에 소정의 피치를 두고 지지되어 있는 다수의 이송롤러를 가진다. 컨베이어체인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이에 의해 이송롤러가 컨베이어체인과 함께 이동된다. 과일은 작업자에 의해 또는 별도의 자동 공급장치에 의해 이송롤러상에 놓여지게 되며, 이송롤러상에 놓여진 과일은 이송롤러에 의해 분류장치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각 이송롤러와 각 계량용기는 동기화 되어 구동된다. 따라서, 이송롤러에 의해 운반된 하나의 과일은 하나의 계량용기에 공급되게 되며, 이에 따라 각 계량용기는 하나의 과일의 중량을 계량하게 된다. 각 이송롤러와 각 계량용기가 동기화 되어 구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송장치로부터 분류장치로 과일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과일선별장치가 정확하게 동작할 수 없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순하게 기어메커니즘의 잇수비 또는 체인의 길이의 비 등을 조절하여 이송롤러와 계량용기를 동기화 하므로, 그 동기화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오차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이송장치와 분류장치를 모두 구동하며 단지 그 구동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동기화 하였다. 따라서, 기계적 공차에 의해 동작 타이밍에 미세한 오차가 필연적으로 존재하며, 이러한 오차는 이송장치와 분류장치의 동작이 계속됨에 따라 점점 더 커지게 되어 종국에는 과일이 계량용기에 정확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장치와 분류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정확하게 동기화 할 수 있고, 또한 지속적인 동작시에도 동기화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과일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회로가 적용되는 과일선별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동작 단계별로 달라지는 스위칭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회로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이송장치 3 : 분류장치
5 : 계량용기 7 : 제2구동모터
10 : 운반장치 25 : 제한장치
30 : 전달장치 32 : 이송용기
40 : 제1구동모터 60 : 전원
71 : 제1근접센서 72 : 제2근접센서
81 : 제1릴레이 82 : 제2릴레이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과일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용기를 갖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용기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각각의 상기 이송용기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과일을 순차적으로 수령하고 계량하는 복수의 계량용기를 갖는 분류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기가 그 이송경로상의 소정위치에 접근시 이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 상기 계량용기가 그 이동경로상의 소정의 위치에 접근되었을 이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 상기 제1근접센서의 턴온시 상기 이송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이송용기의 이송동작을 중단시키는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근접센서의 턴온시 상기 제1릴레이로의 전원공급 상태를 반전시켜 상기 구동모터로의 전원공급을 재개시킴으로써, 상기 이송용기의 이송동작을 재개시키는 제2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근접센서는 근접된 물체의 감지 영역이 상기 제1근접센서보다 큰 근접센서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근접센서는 그 직경이 상기 제1근접센서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용기와 상기 계량용기가 모두 이동되는 동안의 상기 제1근접센서의 턴온 상태의 지속시간이 상기 제2근접센서의 턴온 상태의 지속시간 내에 포함되게 되어 동기화회로가 오동작 없이 작동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회로가 적용된 과일선별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과일선별장치는, 프레임(1)과, 도면 좌측의 이송장치(2) 및 우측의 분류장치(3)로 이루어져 있다.
분류장치(3)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구동모터(7)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4)과, 턴테이블(4)상에 원주방향에서 등각도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있는 계량용기(5)와, 턴테이블(4)의 반경방향 외측에 다수 배열되어 있는 수령바스켓(6)을 가진다. 각 계량용기(5)는 턴테이블(4)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이송장치(2)로부터 공급된 과일을 하나씩 수령하며, 동종의 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수령한 과일의 하중에 따라 처짐량이 달라진다. 과일을 수용한 계량용기(5)가 턴테이블(4)을 따라 이동할 때, 도시않은 작용아암이 각 수용바스켓(6)의 위치에서 계량용기의 처짐량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에서 계량용기(5)를 기울인다. 이에 의해, 계량용기(5)에 수용되어 있던 과일은 해당 위치의 수용바스켓(6)에 떨어져 모이게 된다. 이에 따라, 과일은 그 중량에 대응하는 수용바스켓(6)으로 분류되어 투입되게 된다.
도 3은 이송장치(2)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송장치(2)는 운반장치(10)와 전달장치(30)로 구성되어 있다.
운반장치(10)는, 한 쌍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양 측단의 안내스프로켓(13)에 의해 폐루프를 이루고 있는 한 쌍의 컨베이어체인(12)과, 이들 양 컨베이어체인(12)에 그 길이방향에 가로로 소정의 피치를 두고 상호 평행하게 지지된 다수의 이송롤러(11)를 가진다. 양 컨베이어체인(12)의 상호 대응하는 안내스프로켓(13)은 회전축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의 안내스프로켓(13)의 회전축에는 전동스프로켓(14)이 결합되어 있다. 각 이송롤러(11)는 양 컨베이어체인(12) 사이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컨베이어체인(12)이 구동됨에 따라 컨베이어체인(12)을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한다.
이송롤러(11)들은 양단부영역에 비해 중앙영역의 직경이 작은 장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접한 한 쌍의 이송롤러(11)는 상호 협조하여 그들 사이에 과일을 수용하여 컨베이어체인(12)의 이동과 함께 이송시킬 수 있다.
전달장치(30)는, 지지부(31)와, 운반장치(1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 양 측단의 안내스프로켓(34)에 의해 폐루프를 이루고 있는 한 쌍의 컨베이어체인(33)을 가진다. 양 컨베이어체인(33) 사이에는 다수의 이송용기(32)가 지지되어 컨베이어체인(33)의 이동과 함께 이동한다. 지지부(31) 및 컨베이어체인(33)은 운반장치(10)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하부측 안내스프로켓(34)의 회전축에는 전동스프로켓(36)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이송롤러(11)의 상부에는 각 이송롤러(11)들 사이에 복수의 과일이 실려 이송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제한장치(25)는 높이제한아암(23), 폭제한아암(22), 이송롤러(11)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20), 회전축(20)에 고정된 보스(24), 및 회전축(20)의 일단에 설치된 전동스프라켓(21)을 포함한다. 높이제한아암(23) 및 폭제한아암(22)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으며, 이송롤러(11)상에 놓여진 과일의 높이 및 폭을 각각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높이제한아암(23) 및 폭제한아암(22)은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26)를 이용하여 보스(24)에 고정된다.
이송장치(2)를 구성하는 운반장치(10), 전달장치(30), 및 제한장치(25)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40)에 의해 구동된다. 제1구동모터(40)가 동작함에 따라 컨베이어체인(12)에 의해 이송롤러(11)가 이동되고, 컨베이어체인(33)에 의해 이송용기(32)가 이송되며, 또한 이와 동시에 회전축(20)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롤러(11) 상에서 과일이 이송되며, 이때 아암들(22, 23)이 이송롤러(11)상의 과일의 높이와 폭을 제한하여 두 개 이상의 과일이 이송롤러(11)에 실려올 경우 이를 뒤로 밀어 하나씩의 과일만을 통과시키게 된다. 이송롤러(11)에 의해 이송된 과일은 이송용기(32)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수용된다.
턴테이블(4)의 하부에는 턴테이블(4)의 구동을 위한 제2구동모터(7)가 설치되어 있다. 제2구동모터(7)가 동작함에 따라 턴테이블(4)은 지속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턴테이블(4) 상의 계량용기(5)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이송용기(32)로부터 계량용기(5)로 과일이 공급되게 된다.
한편, 운반장치(10)의 측부에는 투입컨베이어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투입컨베이어장치(50)는 깔때기 형상의 투입슈트(51)와, 투입슈트(51)의 하부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체인(52)과 양 컨베이어체인(52) 사이에 평행하게 연결된 다수의 컨베이어바아(53)를 가진다. 각 컨베이어체인(52)은 일측의 구동스프로켓(54)과 타측의 안내스프로켓(56)에 의해 폐루프를 이루고 있으며, 구동스프로켓(54)의 회전축에 장착된 모터(55)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컨베이어바아(53)의 상부에는 이송경로에 경사지게 배치된 가이드판(5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판(57)은 컨베이어바아(53)상에서 이송롤러(11)를 향해 이송되는 과일들이 가능한 한 이송롤러(11)의 출발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송롤러(11)의 출발측에는 이송롤러(11)의 상부에 광학적 감지센서(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감지센서(60)는 그로부터 소정 거리내에 물체 즉 과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며, 이 감지신호에 따라 도시않은 스위칭릴레이가 온오프동작된다. 스위칭릴레이는 투입컨베이어장치(50)의 구동용 모터(55)의 전원라인내에 위치하여, 감지센서(60)로부터 이송롤러(11)상에 과일이 없다는 감지신호가 있을 때 턴온되어 모터(55)를 동작시키고, 과일이 존재할 때에는 턴오프되어 모터(55)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투입컨베이어장치(50)가 항상 적절한 양의 과일을 필요시마다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선별장치의 이송장치(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이송장치(2)의 정면도이다. 제2구동모터(7)가 동작을 개시함과 동시에, 운반장치(10)의 컨베이어체인(12)과 전달장치(30)의 컨베이어체인(33)은 분류장치(3)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투입컨베이어장치(50)에 작업자에 의하여 투입되어 있는 과일은 투입컨베이어장치(50)의 작동개시에 의해 이송롤러(11)로 이동된다. 투입컨베이어장치(50)로부터 이송롤러(11)상에 떨어지는 과일은, 컨베이어체인(12)의 이동에 의해 전달장치(30)를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이송롤러(11)의 장고형상에 의하여 각 이송롤러(11)의 사이에 수용되게 된다.
이송롤러(11)들 사이에는 경우에 따라 하나 혹은 둘 이상이 과일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컨베이어체인(12)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제한장치(25)에 의해 하나씩만이 이송되게 된다.
운반장치(10)의 컨베이어체인(12)이 방향을 반전하는 단부에서 이송롤러(11)들에 의해 이동되는 과일들은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이들 낙하하는 과일은 운반장치(10)와 동기적으로 작동되고 있는 전달장치(30)의 이송용기(32)에 정확히 떨어진다. 이송용기(32)는 컨베이어체인(33)의 이동에 의해 상향 이동한 다음 컨베이어체인(33)의 전환점인 상단부에서 뒤집어지면서 과일을 아래로 떨어뜨린다.
전달장치(30)의 이송용기(32)로부터 떨어지는 과일은, 전달장치(30)와 동기화되어 회전하고 있는 계량용기(5)내에 떨어지며, 계량용기(5)에 떨어진 과일은 계량용기(5)의 측정메커니즘에 따라 분류되어 해당 수용바스켓(6)으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용기(32)로부터 계량용기(5)로 과일을 정확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이송용기(32)와 계량용기(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동기화되어야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이송장치(2)와 전달장치(30)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전원(60)은 제1구동모터(40)와 제2구동모터(7)에 모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2구동모터(7)에는 전원이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제2구동모터(7)로의 전원(60)의 단속은 파워스위치(63)에 의해 제어된다. 제1구동모터(40)와 전원(60)은 제1근접센서(71)와 제1릴레이(8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1근접센서(71)는 이송장치(2)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송용기(32)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용기(32)가 소정의 위치에 접근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한다.
또한, 분류장치(3)에는 제2근접센서(72)가 설치되어 있다. 제2근접센서(72)는 계량용기(5)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계량용기(5)가 소정의 위치에 접근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한다. 제2근접센서(72)는 제2릴레이(82)를 통해 전원(60)과 연결되어 있다.
제1릴레이(81)는 제1릴레이코일(81a), 제1릴레이접점(81b), 및 제2릴레이접점(81c)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릴레이접점(81b, 81c)은 노말클로즈(normal close) 상태인 스위치이며, 제1릴레이코일(81a)에 전원이 공급되면 개방된다. 제2릴레이(82)는 제2릴레이코일(82a) 및 제3릴레이접점(8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릴레이접점(82b)도 노말클로즈(normal close) 상태인 스위치이며, 제2릴레이코일(82a)에 전원(60)이 공급되면 개방된다. 제1릴레이코일(81a)과 제3릴레이접점(82b)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과일선별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에는 파워스위치(63)는 오프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구동모터(40, 7)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이송용기(32)와 계량용기(5)는 정지상태에 있다. 작업자가 파원스위치(63)를 턴온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구동모터(40, 7) 모두에 전원공급이 개시되고, 이에 따라 이송용기(32)와 계량용기(5)가 회전구동된다. 제1구동모터(40)에는 파워스위치(63)가 턴온된 동안에에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과일선별장치 동작 중에는 계량용기(5)는 지속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근접센서(71)와 제2근접센서(72)는 모두 오프상태에 있다.
이송용기(32)가 계속 이동하여 제1근접센서(71)에 접근하면 제1근접센서(71)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동기화회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제1릴레이(81)가 턴온되어 제1 및 제2릴레이접점(81b, 81c)이 개방(open)되고, 이에 따라 제1구동모터(4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40)의 동작이 멈추고 이송용기(32)의 이동이 중단된다. 이때 이송용기(32)의 멈춤위치는 계량용기(5)에 과일을 떨어뜨리기 직전의 위치가 된다. 제1근접센서(71)는 이러한 위치에 이송용기(32)가 멈추도록 위치된다.
이송용기(32)가 멈춘 상태에서 계량용기(5)가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이송용기(32) 근방에 도착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근접센서(72)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제2릴레이(82)가 턴온되어 제3릴레이접점(82b)이 개방(open)된다. 따라서, 제1릴레이코일(81a)에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릴레이접점(81b, 81c)가 폐쇄(close)되어 제1구동모터(40)에 전원 공급이 재개된다. 제1구동모터(40)에 의해 이송용기(32)가 다시 이동되면, 이송용기(32)로부터 과일이 낙하하여 계량용기(5)에 수용된다. 제2근접센서(72)는 이와 같이 계량용기(5)가 이송용기(32) 근방에 도착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지점에 위치된다.
이때 제1근접센서(71)는 이송용기(32)가 제1근접센서(71)로부터 멀어질 때까지는 턴온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1근접센서(71)가 턴오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서는, 제1근접센서(71)가 턴온되어 있는 시간구간이 제2근접센서(72)가 턴온되는 시간구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2근접센서(72)에 의해 계량용기(5)의 접근이 감지되는 시간이 제1근접센서(5)에 의해 이송용기(32)의 접근이 감지되는 시간보다 커야 하고, 이를 위하여 제2근접센서(72)는 근접된 물체의 감지 영역이 제1근접센서(71)보다 큰 근접센서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근접센서(72)는 그 직경이 제1근접센서(71)의 직경보다 커야 한다. 예컨데, 제2근접센서(72)로는 그 직경은 30mm, 제1근접센서(71)로는 그 직경이 12mm인 근접센서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동기화회로의 스위칭상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제1근접센서(71)가 턴오프된 상태를 거쳐, 이후 제2구동모터(7)에 의해 계량용기(5)가 더 이동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근접센서(72)도 오프된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만약, 제2근접센서(72)의 직경이 제1근접센서(71)의 직경보다 크지 않다면, 제1근접센서(71)가 턴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근접센서(72)가 턴오프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직접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스위칭상태가 변화하여, 제1구동모터(4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이송용기(32)의 이송동작이 중단될 것이다.)
이후, 다음의 이송용기(32) 및 계량용기(5)들의 이동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이송용기(32)와 계량용기(5)의 동기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계량용기(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과일의 중량에 따라 이를 계량하고, 이후 계량된 각 과일은 대응하는 분류바스켓(6)에 수용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근접센서(71, 72)가 각각 이송용기(32)와 계량용기(5)의 위치를 감지하고 있으나, 이들 근접센서(71, 72)의 위치는 이송용기(32)와 계량용기(5)가 동기화 되도록 할 수 있는 한 다른 위치로 적절히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제1근접센서(71)가 감지하는 것이 이송용기(32)의 위치가 아닌 이송롤러(11)의 위치이거나, 또는 컨베이어체인(12 또는 33)의 위치이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용기와 계량용기가 효과적으로 동기화되므로 과일이 순차적으로 분류장치에 공급되어 과일의 분류가 정확하게 수행되게 된다. 특히, 과일선별장치를 장시간 구동하여도 동기화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Claims (3)

  1. 외부에서 공급되는 과일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용기를 갖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용기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각각의 상기 이송용기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과일을 순차적으로 수령하고 계량하는 복수의 계량용기를 갖는 분류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기가 그 이송경로상의 소정위치에 접근시 이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
    상기 계량용기가 그 이동경로상의 소정의 위치에 접근되었을 이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
    상기 제1근접센서의 턴온시 상기 이송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이송용기의 이송동작을 중단시키는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근접센서의 턴온시 상기 제1릴레이로의 전원공급 상태를 반전시켜 상기 구동모터로의 전원공급을 재개시킴으로써, 상기 이송용기의 이송동작을 재개시키는 제2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기와 상기 계량용기가 모두 이동되는 동안의 상기 제1근접센서의 턴온 상태의 지속시간이 상기 제2근접센서의 턴온 상태의 지속시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2근접센서는 근접된 물체의 감지 영역이 상기 제1근접센서보다 큰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접센서는 그 직경이 상기 제1근접센서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장치.
KR1019990023110A 1999-06-19 1999-06-19 분류장치와 이송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 KR20010003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10A KR20010003005A (ko) 1999-06-19 1999-06-19 분류장치와 이송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10A KR20010003005A (ko) 1999-06-19 1999-06-19 분류장치와 이송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005A true KR20010003005A (ko) 2001-01-15

Family

ID=1959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110A KR20010003005A (ko) 1999-06-19 1999-06-19 분류장치와 이송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30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596A (zh) * 2019-06-03 2019-08-23 马鞍山南马智能制造研究所有限公司 一种水果储料仓库用检测清料机器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029U (ko) * 1989-11-30 1991-08-15
JPH0471673A (ja) * 1990-07-09 1992-03-06 Maki Seisakusho:Kk 青果物の選別装置
JPH05124719A (ja) * 1991-10-30 1993-05-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バケツトコンベアへの長尺青果物の供給同期装置
KR960016487U (ko) * 1994-11-22 1996-06-17 박근희 과일선별기의 과일투입장치
JPH09187736A (ja) * 1995-12-29 1997-07-22 Ishida Co Ltd 重量選別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029U (ko) * 1989-11-30 1991-08-15
JPH0471673A (ja) * 1990-07-09 1992-03-06 Maki Seisakusho:Kk 青果物の選別装置
JPH05124719A (ja) * 1991-10-30 1993-05-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バケツトコンベアへの長尺青果物の供給同期装置
KR960016487U (ko) * 1994-11-22 1996-06-17 박근희 과일선별기의 과일투입장치
JPH09187736A (ja) * 1995-12-29 1997-07-22 Ishida Co Ltd 重量選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596A (zh) * 2019-06-03 2019-08-23 马鞍山南马智能制造研究所有限公司 一种水果储料仓库用检测清料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6403B2 (ja) 果菜搬送方法及び果菜搬送装置
US3747781A (en) Induction apparatus
US3799319A (en) Article aligning apparatus
US6209708B1 (en) Conveyor system for receiving, orienting and conveying pouches
JP2002028577A (ja) 選別コンベアの選別物取出装置
US4748791A (en) Beverage tray packing system
KR100256095B1 (ko) 과일선별장치용 과일이송장치
US5080552A (en) Apparatus for supplying resin tablets for use in encapsulat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10003005A (ko) 분류장치와 이송장치간의 동기화장치를 구비한 과일선별장치
RU2735964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редметами и оснащенный им аппарат для подачи предметов
EP1730056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individually transporting articles
JPS62100616A (ja) 計量した量の材料を搬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GB2336824A (en) Chain store and method for loading thereof
KR100248276B1 (ko) 과일선별장치
KR200364863Y1 (ko) 과일 이송기
WO1997041411A1 (en) Combinational weigher-counter apparatus
JP7366498B2 (ja) 物品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システム
JP2903783B2 (ja) 自動包装機における定量供給装置
KR20010000829U (ko) 과일선별장치용 과일계량장치
JPH04594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装置
KR960007052Y1 (ko) 계란 선별기의 자동선별장치
JP3266453B2 (ja) 洗びん機における異常検出装置
JPH04371281A (ja) 品物の計重・仕分装置
JPH04122478A (ja) 作物選別装置
JPH055899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