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947A -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947A
KR20010002947A KR1019990023023A KR19990023023A KR20010002947A KR 20010002947 A KR20010002947 A KR 20010002947A KR 1019990023023 A KR1019990023023 A KR 1019990023023A KR 19990023023 A KR19990023023 A KR 19990023023A KR 20010002947 A KR20010002947 A KR 20010002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air
tank
recovery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준
문차석
김양규
하지수
정수원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101999002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2947A/ko
Publication of KR2001000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2개의 저장탱크를 한셋트로 하여 플럭스를 무한 연속 살포함과 동시에 용접후 비드위에 남아 있는 살포된 플럭스를 무한 연속 회수하여, 용접부재 접합부의 용접조건에 따라 플럭스를 일정량으로 무한 시간 자동 연속 공급하고, 작업능률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럭스 주입구를 통해 플럭스가 주입·저장되는 플럭스 저장용 탱크와, 상기 플럭스 저장용 탱크 하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플럭스 저장용 탱크와 플럭스 송급관에 의해 연결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플럭스 저장용 탱크내로 주입된 플럭스가 이송·저장되는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충진되는 플럭스 양을 검출하는 하이/로우 레벨센서와,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 하부에 각각 연결·설치되는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와, 상기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충진되는 플럭스 양을 검출하는 하이/로우 레벨센서와, 상기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 및,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플럭스내의 분철 및 슬래그를 제거하는 3단 쉐이킹 스크린과, 상기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 하부와 플럭스 공급관에 의해 연결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플럭스가 유입되며, 상부에 공기배출구가 설치된 공기-플럭스 분리장치와, 상기 공기-플럭스 분리장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공기와 분리된 플럭스를 살포하는 플럭스 살포구와, 상기 플럭스 살포구에 의해 살포된 플럭스를 진공블로워에 의해 진공 흡입하여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로 이송하는 후드 및 플럭스 회수관과,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 상부와 공기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플럭스를 이송한 공기가 유입되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분진이 저장되는 분진저장탱크와, 상기 사이클론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이송된 공기의 미세분진를 제거하는 백휠터와, 상기 백휠터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제거된 미세분진을 저장하는 또다른 분진저장탱크와, 상기 백휠터와 연결되어 미세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용접작업시 플럭스를 무한 연속 공급/회수하는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Unlimited flux supply and recovery system for continuous welding}
본 발명은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시 무한 연속적으로 플럭스를 자동 공급/회수하여 무한 연속 용접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접기법은 융접, 압접, 납접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중 조선이나 철구조물 제조공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접법을 세분화하면, 사용전극이 소모되는 소모식(Consumable)과, 사용전극이 소모되지 않는 비소모식(Non Consumable) 용접법으로 분류된다. 또한 이와 같은 소모식 용접법중에는 대표적으로 피복아크 용접법(Shield Metal Arc Welding), 가스메탈 아크용접(Gas Metal Arc Welding),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ubmerged Arc Welding) 등이 있다.
상기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입상의 플럭스 밑에서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얻어지는 열로 두 개 이상의 피접합물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모재 위에 입상의 플럭스를 미리 쌓아 놓고 그 속에 전류가 흐르는 와이어를 연속·공급하여 용접을 한다. 이때 아크는 플럭스에 의해 덮혀져 있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으며, 플럭스는 대기를 차단하여 용접금속의 정련작용시 보호를 하게되고, 용접비드나 슬래그 형성에 기여하게 된다.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사용 용접봉의 크기와 전류가 크기 때문에 용입이 깊고, 두꺼운 판 구조용강의 고능률 접합기법으로 많이 채용되는데 이때 접합부의 용접조건에 맞게 플럭스를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용접재료인 플럭스는 고가이므로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용접 후 플럭스를 회수하여 슬래그 및 분철을 제거한 후 재사용하여야 한다.
종래의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플럭스 회수/공급장치는 하나의 플럭스 저장탱크내에 저장된 플럭스를 자중에 의해 공급 또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급하고, 진공압력에 의한 흡입압착에 따라 플럭스를 회수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대형 원통형 압력관을 용접할 경우, 플럭스 저장용 탱크내에 저장된 플럭스가 소모되면, 용접중이라 하더라도 플럭스 보충을 위하여 용접작업을 중단해야 했으며, 그로인해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장점인 용입이 깊고, 두꺼운 판 구조용 강의 고능률 접합기법을 최대한 활용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2개의 저장탱크를 한셋트로 하여 플럭스를 무한 연속 살포함과 동시에 용접후 비드위에 남아 있는 살포된 플럭스를 무한 연속 회수하여, 용접부재 접합부의 용접조건에 따라 플럭스를 일정량으로 무한 시간 자동 연속 공급하고, 작업능률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럭스 주입구를 통해 플럭스가 주입·저장되는 플럭스 저장용 탱크와, 상기 플럭스 저장용 탱크 하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플럭스 저장용 탱크와 플럭스 송급관에 의해 연결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플럭스 저장용 탱크내로 주입된 플럭스가 이송·저장되는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충진되는 플럭스 양을 검출하는 하이/로우 레벨센서와,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 하부에 각각 연결·설치되는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와, 상기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충진되는 플럭스 양을 검출하는 하이/로우 레벨센서와, 상기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 및,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플럭스내의 분철 및 슬래그를 제거하는 3단 쉐이킹 스크린과, 상기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 하부와 플럭스 공급관에 의해 연결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플럭스가 유입되며, 상부에 공기배출구가 설치된 공기-플럭스 분리장치와, 상기 공기-플럭스 분리장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공기와 분리된 플럭스를 살포하는 플럭스 살포구와, 상기 플럭스 살포구에 의해 살포된 플럭스를 진공블로워에 의해 진공 흡입하여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로 이송하는 후드 및 플럭스 회수관과,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 상부와 공기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플럭스를 이송한 공기가 유입되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분진이 저장되는 분진저장탱크와, 상기 사이클론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이송된 공기의 미세분진를 제거하는 백휠터와, 상기 백휠터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제거된 미세분진을 저장하는 또다른 분진저장탱크와, 상기 백휠터와 연결되어 미세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용접작업시 플럭스를 무한 연속 공급/회수하는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럭스 주입구 (2) : 플럭스 저장용 탱크
(3) : 콤프레셔 (4) :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
(5) :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 (6) : 에어부스터
(7) :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 (8) :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
(9) : 공기-플럭스 분리장치 (10) : 플럭스 배출구
(11) : 후드 (12) : 인젝트
(13) : 플럭스 송급관 (14) : 에어부스터
(15) : 플럭스 회수관 (16) : 공기 이송관
(17) : 플럭스 공급관 (18,19): 3단 쉐이킹 스크린
(20) : 진공블로워 (21) : 전동밸브
(30) : 사이클론 (40,60): 분진저장탱크
(41,51): 하이 레벨센서 (42,52): 로우 레벨센서
(43,53): 전동밸브 (50) : 백휠터
(71,81): 압력용기 자동개폐 밸브 (72,82): 압축공기 주입구
(73,83): 하이 레벨센서 (74,84): 로우 레벨센서
(75,85): 전동밸브 (91) : 공기 배출구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플럭스 주입구(1)를 통해 플럭스 저장용 탱크(2)로 플럭스를 공급하고, 상기 플럭스 저장용 탱크(2)내에 저장된 플럭스를 콤프레셔(3)에 의한 압축공기에 의해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 또는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5)로 이송하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내로 이송된 플럭스를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로 이송함과 동시에, 압축공기에 의해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내에 저장된 플럭스를 공기 플럭스 분리장치(9)로 이송하고, 플럭스 배출구(10)를 통해 자중에 의해 용접부재 위로 플럭스를 살포하며, 살포된 플럭스를 후드(11)에 의해 진공·흡입하여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 또는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5)로 재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럭스 저장용 탱크(2)는 플럭스 주입구(1)에 의해 플럭스가 주입되는 것으로, 하부가 콤프레셔(3)에 연결되어 있어 하부에 설치된 전동밸브(21)의 개폐시, 콤프레셔(3)에 의한 압축공기에 의해 인젝트(12)로 플럭스가 공급되며, 인젝트(12)에 의해 플럭스 송급관(13)을 통해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 또는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5)로 플럭스가 이송된다. 이때 상기 플럭스 송급관(13)에는 이송되는 플럭스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없도록 가압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에어부스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는 플럭스 저장용 탱크(2)내의 플럭스가 압축공기에 의해 이송·공급되는 곳으로, 상단부에 플럭스 회수관(15)이 연결·설치되고, 상단 측면부에 공기이송관(16) 및 플럭스 송급관(13)이 각각 연결되며, 공급된 플럭스의 양을 검출하는 하이/로우 레벨센서(41,42,51,52)가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하부에 전동밸브(43,5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는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내의 플럭스가 유입되는 것으로, 상부가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와 연결되고, 하부가 플럭스 공급관(17)에 의해 공기 플럭스 분리장치(9)와 연결되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와 연결되는 부위에 압력용기 자동개폐 밸브(71,81)가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주입구(72,82)가 설치되며, 일측면에 공급된 플럭스의 양을 검출하는 하이/로우 레벨센서(73,74,83,84)가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플럭스 공급관(17)과 연결되는 하부에 전동밸브(75,8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와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 사이에는 3단 쉐이킹 스크린(18,19)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전동밸브(43,53)의 작동에 의해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에 충진된 플럭스가 하부 즉,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로 이송될 시, 3단 쉐이킹 스크린(18,19)을 통과하면서 플럭스내의 슬래그 및 분철이 제거된다.
상기 공기 플럭스 분리장치(9)는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내에 저장된 플럭스가 압축공기에 의해 플럭스 공급관(17)을 따라 유입되는 곳으로, 상부에 공기배출구(91)가 설치되고, 하부에 플럭스 배출구(10)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드(11)는 플럭스 배출구(10)에 의해 용접부재 상부로 살포된 플럭스를 용접후 진공블로워(20)에 의한 진공흡입에 의하여 회수하는 것으로, 플럭스 회수관(15)에 의해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 상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사이클론(30)은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내로 유입된 이송용 공기가 공기이송관(16)을 통해 유입되는 것으로, 하부에 분진저장탱크(40)가 연결·설치되고, 상부가 백휠터(50)와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백휠터(50)는 사이클론(30)으로 유입된 이송용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으로, 하부에 또다른 분진저장탱크(60)가 설치되며, 일측이 진공블로워(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새로운 플럭스를 플럭스 주입구(1)를 통해 플럭스 저장용 탱크(2)내로 주입하고, 플럭스 저장용 탱크(2)내에 플럭스가 충진되면 콤프레셔(3)에 의해 압축공기를 인젝트(12)로 공급하며, 이와 동시에 플럭스 저장탱크(2) 하부에 설치된 전동밸브(21)를 열어 인젝트(12)로 플럭스를 배출(공급)하면 인젝트(12)에 의해 플럭스 송급관(13)을 통해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 또는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5)로 플럭스가 이송된다. 이때 플럭스 송급관(13)에 부착된 에어부스터(14)는 플럭스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중 어느 한 곳에 플럭스가 충진되면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 또는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5)에 설치된 하이 레벨센서(41,51)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하이 레벨센서(41,51)의 신호에 의해 충진된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 또는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5) 하부에 설치된 전동밸브(43,53)가 열려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 또는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8)로 플럭스가 이송 충진된다. 제 1 또는 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내에 플럭스가 충진되면 제 1 또는 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 일측에 설치된 하이 레벨센서(73,83)가 이를 감지하고, 하이 레벨센스(73,83)의 신호에 의해 제 1 또는 2 플럭스 회수용 탱크(4,5) 하부에 설치된 전동밸브(43,53) 및 제 1 또는 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 상부에 설치된 압력용기 자동개폐밸브(71,81)가 닫히게 되며, 압축공기 주입구(72,82)를 통해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7,8)로 압축공기가 주입된다.
상기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내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 도달하면,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 하부에 설치된 전동밸브(75)가 열리고 플럭스는 압축공기와 함께 플럭스 공급관(17)을 통하여 공기-플럭스 분리장치(9)로 공급되고, 공기-플럭스 분리장치(9)와 연결된 플럭스 배출구(10)를 통해 용접부재 상부로 살포된다. 이때 상기 공기-플럭스 분리장치(9)내로 플럭스를 공급한 압축공기는 공기 배출구(9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플럭스 공급관(17)에는 에어부스터(6)가 설치되어 있어 플럭스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8)는 플럭스 충진후 압축공기로 가압되어 플럭스를 공급하기 직전 상태에서 대기하고,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내 플럭스가 다 소모되었을 경우,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의 로우 레벨센서(74)가 이를 감지하고, 로우 레벨센서(74)의 신호에 의해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8) 하부의 전동밸브(85)가 열리고,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 하부의 전동밸브(75)가 닫히어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8)내의 플럭스가 플럭스 공급관(17)을 통해 공기-플럭스 분리장치(9)로 공급된다.
또한,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에서 플럭스가 공급되는 동안 용접후 용접비드 위에 잔류하는 플럭스는 진공블로워(20)의 작동에 의하여 후드(11)와 플럭스 회수관(15)을 통해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내로 회수된다. 이때 회수에 이용된 공기는 공기 이송관(16)을 통해 사이클론(30) 및 백휠터(50)를 통과하여 미세분진은 제거되고 공기만 진공 블로워(20)를 통해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은 플럭스 저장용 탱크(2)에 충진되어 있는 플럭스를 압축공기에 의해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로 이송하고, 이송된 플럭스를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로 이송함과 동시에,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5)로 플럭스 저장용 탱크(2)내의 플럭스가 압축공기에 의해 이송된다.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에 플럭스가 충진되면, 압축공기에 의해 플럭스 공급관(17)을 경유 공기-플럭스 분리장치(9)로 플럭스가 공급되고, 공기-플럭스 분리장치(9)에서 이송공기는 공기 배출구(91)로 배출되며, 플럭스는 플럭스 배출구(10)를 통해 살포된다. 이와 같이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에 충진된 플럭스가 플럭스 배출구(10)에 의해 살포되는 동안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5)내의 플럭스는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8)내로 이송·충진되어 공기-플럭스 분리장치(9)로 플럭스를 공급하기 직전 상태에서 대기하게 되며, 플럭스 배출구(1)를 통해 살포된 플럭스는 용접작업 후 진공블로워(20)에 의한 진공흡착에 의해 후드(11) 및 플럭스 회수관(15)을 따라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로 회수된다. 상기 플럭스 회수에 이용된 공기(진공블로워에 의한 진공흡입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이송관(16)을 통해 사이클론(30) 및 백휠터(50)를 통해 분진이 제거되고, 분진은 분진저장탱크(40,60)에 저장되며, 이송된 공기는 진공블로워(20)를 통해 배출된다.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내에 충진된 플럭스가 다 소모되면,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의 전동밸브(75)는 닫히고,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8) 하부의 전동밸브(85)가 열리어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8)내에 충진되어 있는 플럭스가 플럭스 공급관(17)을 통해 공기-플럭스 분리장치(9)로 공급되며,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4)내에 회수된 플럭스는 3단 쉐이킹 스크린(18)에 의해 슬래그 및 분철이 제거되어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7)내로 충진된다. 이때 상기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5)내로는 후드(11) 및 플럭스 회수관(15)에 의해 회수된 플럭스가 유입되고, 이송용 공기는 공기 이송관(16)을 통해 사이클론(30) 및 백휠터(50)로 이송되어 분진은 제거되고, 진공블로워(20)를 통해 공기는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럭스 저장용 탱크(2)내에 충진된 플럭스를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에 먼저 이송 충진할 경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 및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의 순서를 바꾸어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저장용 탱크가 2세트로 구성되어 있어 용접작업시 플럭스를 자동으로 무한 연속 공급 및 회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서브머지드 용접장치의 고성능 및 자동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플럭스 공급용 탱크 사이에 슬래그 및 분철을 제거하는 3단 쉐이킹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어 운전중, 회수된 플럭스내의 불순물이 자동으로 분리되고, 플럭스의 순도를 향상시키며, 용접품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플럭스 주입구를 통해 플럭스가 주입·저장되는 플럭스 저장용 탱크와,
    상기 플럭스 저장용 탱크 하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플럭스 저장용 탱크와 플럭스 송급관에 의해 연결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플럭스 저장용 탱크내로 주입된 플럭스가 이송·저장되는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충진되는 플럭스 양을 검출하는 하이/로우 레벨센서와,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 하부에 각각 연결·설치되는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와,
    상기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의 일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충진되는 플럭스 양을 검출하는 하이/로우 레벨센서와,
    상기 제 1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제 1 플럭스 공급용 탱크 및, 제 2 플럭스 회수용 탱크와 제 2 플럭스 공급용 탱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플럭스내의 분철 및 슬래그를 제거하는 3단 쉐이킹 스크린과,
    상기 제 1,2 플럭스 공급용 탱크 하부와 플럭스 공급관에 의해 연결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플럭스가 유입되며, 상부에 공기배출구가 설치된 공기-플럭스 분리장치와,
    상기 공기-플럭스 분리장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공기와 분리된 플럭스를 살포하는 플럭스 살포구와,
    상기 플럭스 살포구에 의해 살포된 플럭스를 진공블로워에 의해 진공 흡입하여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로 이송하는 후드 및 플럭스 회수관과,
    상기 제 1,2 플럭스 회수용 탱크 상부와 공기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플럭스를 이송한 공기가 유입되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분진이 저장되는 분진저장탱크와,
    상기 사이클론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이송된 공기의 미세분진를 제거하는 백휠터와,
    상기 백휠터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제거된 미세분진을 저장하는 또다른 분진저장탱크와,
    상기 백휠터와 연결되어 미세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용접작업시 플럭스를 무한 연속 공급/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가 이송되는 플럭스 송급관과 플럭스 공급관에는 에어부스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KR1019990023023A 1999-06-18 1999-06-18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KR20010002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023A KR20010002947A (ko) 1999-06-18 1999-06-18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023A KR20010002947A (ko) 1999-06-18 1999-06-18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947A true KR20010002947A (ko) 2001-01-15

Family

ID=1959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023A KR20010002947A (ko) 1999-06-18 1999-06-18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29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856A (ko) * 2001-10-04 2003-04-11 이만수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
KR100474520B1 (ko) * 2002-10-18 2005-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제 회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250A (ja) * 1974-10-30 1976-05-01 Nippon Steel Corp Yosetsufuratsukususanpukaishujunkansochi
JPS54112749A (en) * 1978-02-24 1979-09-03 Nippon Kokan Kk <Nkk> Treating apparatus for recovered flux
KR830001716A (ko) * 1980-02-09 1983-05-18 다까하시 고오기찌 플럭스(flux)회수 공급장치
JPS6054277A (ja) * 1983-09-02 1985-03-28 Nippon Steel Corp 溶接フラツクス循環使用方法
JPS6054278A (ja) * 1983-09-02 1985-03-28 Nippon Steel Corp 溶接フラツクス循環使用方法
JPS61249677A (ja) * 1985-04-30 1986-11-06 Nippon Kokan Kk <Nkk> 溶接用フラツクス循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250A (ja) * 1974-10-30 1976-05-01 Nippon Steel Corp Yosetsufuratsukususanpukaishujunkansochi
JPS54112749A (en) * 1978-02-24 1979-09-03 Nippon Kokan Kk <Nkk> Treating apparatus for recovered flux
KR830001716A (ko) * 1980-02-09 1983-05-18 다까하시 고오기찌 플럭스(flux)회수 공급장치
JPS6054277A (ja) * 1983-09-02 1985-03-28 Nippon Steel Corp 溶接フラツクス循環使用方法
JPS6054278A (ja) * 1983-09-02 1985-03-28 Nippon Steel Corp 溶接フラツクス循環使用方法
JPS61249677A (ja) * 1985-04-30 1986-11-06 Nippon Kokan Kk <Nkk> 溶接用フラツクス循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856A (ko) * 2001-10-04 2003-04-11 이만수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
KR100474520B1 (ko) * 2002-10-18 2005-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제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1082B (zh) 粉末供应装置以及自动清洁粉末供应装置的方法
US20030006248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atmospherically controlling the removal of a bulk bag from an unloader
KR101213902B1 (ko) 용접용 플럭스 회수장치
US3804245A (en) Apparatus for classification of particulate materials
US11065632B2 (en) Conveying device for the conveying of coating powder, powder center with the convey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cleaning of the powder center
CN110449702A (zh) 一种同步回收焊剂的焊接装置
CN1646265B (zh) 带有单件塑料室以及集成供给和过滤装置的工业清理设备
KR100313482B1 (ko) 공기 가압식 플럭스 자동 연속 공급/회수 장치
KR20140033866A (ko) 플럭스 회수 장치
KR20010002947A (ko)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CN202278292U (zh) 焊剂自动输送和回收系统
US5518343A (en) Dust-free powder substance delivery and filter system
CN103657531B (zh) 用于从容器中卸除颗粒材料的方法和装置
US2434481A (en) Submerged melt welding
CN212286194U (zh) 一种激光锡球焊接装置
JP2009001282A (ja) 粉体吸引回収車
KR20010000809U (ko) 사이클론 집진기가 설치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회수장치
CN112620088A (zh) 一种粉末输送筛分循环方法及系统
CN210557987U (zh) 一种发电厂炉灰运输装置
CN112025020A (zh) 一种激光锡球焊接装置
KR200361920Y1 (ko) 공기 가압식 플럭스 공급장치의 공기와 플럭스 분리장치
CN201645015U (zh) 焊剂自动回收、上料机
CN114367726A (zh) 回收焊剂的处理装置及带有该处理装置的内焊机
JPH06107334A (ja) 湿塩の低圧空気輸送装置
CN205324955U (zh) 焊剂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