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856A -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856A
KR20030028856A KR1020010061119A KR20010061119A KR20030028856A KR 20030028856 A KR20030028856 A KR 20030028856A KR 1020010061119 A KR1020010061119 A KR 1020010061119A KR 20010061119 A KR20010061119 A KR 20010061119A KR 20030028856 A KR20030028856 A KR 20030028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air
hopper
supplied
reco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이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수 filed Critical 이만수
Priority to KR102001006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8856A/ko
Publication of KR2003002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각종 제품[방열기 방열핀, 라디에이터, 콘덴서, 히트씽크(heatsink) 등을 통칭함]을 용융·접합함에 있어, 브레이징(Brazing)하기 위해 분사·도포되는 FLUX(용제)를 분무·흡입방식(건식)으로 도포하도록 한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풍기에 의해 일정압력의 에어를 발생시켜 공급호스로 공급하는 단계, 제 1호퍼에 저장된 FLUX가 에어 구동모우터의 1회 구동에 의해 일정량이 공급호스에 공급되어 에어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되는 단계, 공급호스를 통해 에어와 혼합된 일정량의 FLUX가 분사용 나팔관에 의해 분사되는 단계, FLUX 분사시 제품에 도포되지 않은 잔량의 FLUX를 회수용 나팔관과 흡입호스를 이용하여 제 2호퍼로 회수·공급하는 단계, 제 2호퍼로 회수된 FLUX를 필터로 걸러 상·하밸브를 통해 제 1호퍼로 공급시키고 에어는 흡입호스를 통해 송풍기로 공급하는 단계에 의해 FLUX가 도포되는 브레이징 방법과, 송풍기의 토출구과 흡입구에 의해 에어가 공급 및 회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에는 공급호스가 연결되되,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제 1호퍼로부터 에어모우터에 의해 일정량의 FLUX가 에어와 혼합·공급되도록 설치되고 끝단부에는 분사용 나팔관이 컨베이어 상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흡입구에는 흡입호스가 연결되되, 상기 제 1호퍼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 2호퍼에 연결되고 끝단부에 회수용 나팔관이 결합된 흡입호스에 의해 회수되고 필터에 의해 회수된 FLUX는 제 2호퍼에 공급된 후, 상·하부 개폐밸브에 의해 재사용 가능하도록 제 1호퍼로 공급되고 에어는 다시 송풍기로 회수되도록 설치된 브레이징 장치가 구비됨에 따라, FLUX를 에어에 의한 방식(건식)으로 분사·도포하므로써, 제품 표면에 오일층이 형성되더라도 정상적으로 FLUX의 도포가 이루어짐에 따라, 오일층 제거를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없고 또한, FLUX가 에어에 의해 분사·도포되므로 FLUX의 수분제거를 위한 건조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브레이징을 위한 FLUX 도포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브레이징작업이 간편·용이함은 물론, 브레이징을 위한 설비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설치 및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전력 및 연료 소모량을 줄여 에어지를 절감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수분 건조로 인한 억룩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깨끗한 표면상태를 이룰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BRAZ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각종 제품[방열기 방열핀, 라디에이터, 콘덴서, 히트씽크(heatsink) 등을 통칭함]을 용융·접합함에 있어, 브레이징(Brazing)하기 위해 분사·도포되는 FLUX(용제)를 분무·흡입방식(건식)으로 도포 및 회수하도록 한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종금속 또는 동종금속합금을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기계적 접합방법과 확산 접합방법 및 브레이징 접합방법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브레이징 접합방법이라 함은 이종금속(異種金屬) 또는 동종금속합금(同種金屬合金)을 융점(融點)이 낮은 용제(溶劑)를 녹여서 접합(接着)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접합 하고자 하는 금속물의 두께가 너무 얇아 용접이 불가능할 경우에 변형 및 용융시키지 않고 접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브레이징 방법으로는 화학적방법과 물리적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화학적방법으로는
첫째, 알피스법: ZnCl2염을 다량 사용하여 가열상태에서 Zn을 석출시키는 방법.(Zn으로서 접합하는 방법→Al납땜)
둘째, 염화물법: ZnCl2, LiCl2, BaCl2, KCl 등을 사용하여 가열상태에서 Al2O3산화막을 녹인다.
셋째, 불화물법: KAlF4을 사용하여 가열상태에서 Al2O3산화막을 녹인다.
다음으로, 물리적방법으로는
첫째, 진공법: 재료중의 Mg은 진공상태에서 가열하면 증발되며, 이때, Al의 산화막이 파괴됨을 이용하는 방법.
둘째, VAW법: 재료중의 Bi는 가열되면 증발되며, 이때 Al의 산화막이 파괴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브레이징 방법에 따른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1. 염화물법과 알피스법에 대한 장단점
① 장점: 용제(溶劑)의 흐름성이 좋으므로 부품조립 강도가 다소 나빠도 브레이징이 가능하며, 대기압에서 브레이징을 하므로 내부식성이 좋은 제품이 된다.
② 단점: 브레이징 후 세척이 요구되며, FLUX자체에서 부식성이 강하므로 설비 수명이 짧다.
2. 진공법
① 장점: 제품이 깨끗하고 FLUX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하다.
② 단점: 진공상태에서 브레이징하기 때문에 Zn을 함유한 재료를 사용할 수없고, Mg 증발을 이용하기 때문에 설비내에 Mg이 오염되므로 유지비가 높으며, 후처리가 필요하고 브레이징을 위하여 부품정도(部品精度)가 한정된다.
3. 불화물법
① 장점: 염화물 FLUX와 동등한 부품정도로서 브레이징이 가능하므로 용제의 흐름성이 좋고, 내부식성이 좋다.
② 단점: FLUX가 세척을 해도 제거되지 않으므로 저농도로 사용해야한다.
이때, 사용되는 용제(溶劑)는 Al+10% Si의 고상(固相)과 Al+7% Si의 액상(液相)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위에서와 같은 브레이징 방법을 이용한 종래의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수단(102)에 의해 순환·회동되는 컨베이어(104)에 의해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방열판이 끼워져 가조립된 알루미늄 제품이 전진·이동되면서 상방에 설치된 각각의 오일드라이어(110)와 FLUX(용제)분사기(120)와 FLUX건조기(130)에 의해 FLUX가 제품에 도포되는 것이다.
이때, 오일드라이어(110)에 의해 제품 표면에 형성된 오일층을 제거하는 것은 분말(5∼10μ)상태의 FLUX가 물에 혼합된 상태로 분사되기 때문에 원활한 흡착을 위한 것이며, FLUX건조기(130)에 의해 제품에 분사·도포된 FLUX를 건조시키는 것은 FLUX가 물과 혼합된 상태로 도포되어지므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오일드라이어(110)와 FLUX(용제)분사기(120) 및 FLUX건조기(130)에 의해 제품 틈새에 일정량의 FLUX가 도포된 상태에서 컨베이어(104)에 의해 브레이징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가열·용융되어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에서는 FLUX가 물에 혼합된 상태로 분사·도포되므로 제품 표면에 형성된 오일층을 반드시 제거해야만 물과 혼합된 FLUX의 정상적으로 도포가 이루어짐에 따라, 오일제거를 위한 오일드라이어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되며, 또한, FLUX가 물과 혼합된 상태로 분사·도포됨에 따라, FLUX에 함유된 수분제거를 위한 FLUX건조기가 반드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제품에 FLUX를 도포함에 있어, 오일드라이어와 FLUX(용제)분사기 및 FLUX건조기가 반드시 요구되므로 이들의 가동을 위해 과다한 전력 및 연료가 소모되므로 에너지 낭비가 심하고 또한, 많은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넓은 설치면적이 요구되므로 설치가 난해하며 유지 및 관리에 따른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이 요구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고 생산성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FLUX를 물에 혼합하게 되므로 수시로 농도관리 및 순수관리 등이 요구되므로 번거로우며 물의 건조시 제품 표면에 얼룩현상이 발생되므로 제품품질이 떨어지는 등의 지대한 폐단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품을 가열시켜 용융·접합하기 위해 브레이징을 함에 있어, 분말상태의 FLUX(용제)를 물을 혼합하지 않고 에어를 이용하여 분사·흡입 및 도포(건식방식)하므로써, 제품 표면에 오일층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별도로 오일층을 제거하지 않아도 정상적인 FLUX의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분 제거가 필요없으므로 수분제거를 위한 FLUX건조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간편·용이하고도 효율적으로FLUX를 분사·도포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알루미늄 브레이징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을 용융·접합하기 위한 브레이징에 있어서, 송풍기에 의해 일정압력의 에어를 발생시켜 공급호스로 공급하는 단계, 제 1호퍼에 저장된 FLUX가 에어 구동모우터의 1회 구동에 의해 일정량이 공급호스에 공급되어 에어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되는 단계, 공급호스를 통해 에어와 혼합된 일정량의 FLUX가 분사용 나팔관에 의해 분사되는 단계, FLUX 분사시 제품에 도포되지 않은 잔량의 FLUX를 회수용 나팔관과 흡입호스를 이용하여 제 2호퍼로 회수·공급하는 단계, 제 2호퍼로 회수된 FLUX를 필터로 걸러 상·하밸브를 통해 제 1호퍼로 공급시키고 에어는 흡입호스를 통해 송풍기로 공급하는 단계에 의해 FLUX가 도포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송풍기의 토출구과 흡입구에 의해 에어가 공급 및 회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에는 공급호스가 연결되되,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제 1호퍼로부터 에어모우터에 의해 일정량의 FLUX가 에어와 혼합·공급되도록 설치되고 끝단부에는 분사용 나팔관이 컨베이어 상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흡입구에는 흡입호스가 연결되되, 상기 제 1호퍼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 2호퍼에 연결되고 끝단부에 회수용 나팔관이 결합된 흡입호스에 의해 회수되고 필터에 의해 회수된 FLUX는 제 2호퍼에 공급된 후, 상·하부 개폐밸브에 의해 재사용 가능하도록 제 1호퍼로 공급되고 에어는 다시 송풍기로 회수되도록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모우터에는 로타리 형태의 공급휀이 결합되어 1회 구동시 일정량의 FLUX가 에어와 혼합되어 공급·분사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브레이징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FLUX 도포장치 2:토출구
4:흡입구 10:송풍기
12:프레임 14:공급휀
20:흡입호스 22:분사용 나팔관
24:유량계 26:솔레노이드 밸브
30:제 1호퍼 32:회수용 나팔관
40:컨베이어 42:필터
44:상부밸브 46:하부밸브
50:흡입호스 60:제 2호퍼
70:브레이징로 AM:에어 모우터
SW1, SW2:센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장치(1)는 송풍기(10)의 토출구(2)과 흡입구(4)에 의해 에어가 공급 및 회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2)에는 공급호스(20)가 연결되되,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된 제 1호퍼(30)로부터 에어모우터(AM)에 의해 일정량의 FLUX가 에어와 혼합·공급되도록 설치되고 끝단부에는 분사용 나팔관(22)이 컨베이어(40) 상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흡입구(4)에는 흡입호스(50)가 연결되되, 상기 제 1호퍼(30)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 2호퍼(60)에 연결되고 끝단부에 회수용 나팔관(32)이 결합된 흡입호스(50)에 의해 회수되고 필터(42)에 의해 회수된 FLUX는 제 2호퍼(60)에 공급된 후, 상·하부 개폐밸브(44, 46)에 의해 재사용 가능하도록 제 1호퍼(30)로 공급되고 에어는 다시 송풍기(10)로 회수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모우터(AM)에는 로타리 형태의 공급휀(14)이 결합되어 1회 구동시 일정량의 FLUX가 공급되어 공급호스(20)로 공급되는 에어와 혼합되어 분사·도포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10)의 토출구(2)에 연결된 공급호스(20)에는 에어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계(24)와 솔레노이드 밸브(26)가 설치되고 제 1, 2호퍼(30, 60)에는 저장된 FLUX의 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SW1, SW2)가 설치되며, 제품이 이송·공급되는 컨베이어(40)는 일반적인 이송수단이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면 표기는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송풍기(10)에 의해 일정압력의 에어를 발생시켜 공급호스(20)로 공급하는 단계(S10), 제 1호퍼(30)에 저장된 FLUX가 에어 구동모우터(AM)의 1회 구동에 의해 일정량이 공급호스(20)에 공급되어 에어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되는 단계(S20), 공급호스(20)를 통해 에어와 혼합된 일정량의 FLUX가 분사용 나팔관(22)에 의해 분사되는 단계(S30), FLUX 분사시 제품에 도포되지 않은 잔량의 FLUX를 회수용 나팔관(32)과 흡입호스(50)를 이용하여 제 2호퍼(60)로 회수·공급하는 단계(S40), 제 2호퍼(60)로 회수된 FLUX를 필터(42)로 걸러 상·하밸브(44, 46)를 통해 제 1호퍼(30)로 공급시키고 에어는 흡입호스(50)를 통해 송풍기(10)로 공급하는 단계(S50)에 의해 브레이징을 위한 FLUX의 도포가 완료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FLUX가 도포된 제품은 별도의 이송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브레이징로(70)에 이송되어 가열되어지는 것으로서, 브레이징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장치는 연식방식(컨베이어에 의한 자동·공급에 의해 제품을 연속적으로 브레이징하는 방식)을 이루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제품을 하나씩 공급하는 단식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0)의 토출구(2)과 흡입구(4)에의해 에어가 공급 및 회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2)에는 공급호스(20)가 연결되되,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된 제 1호퍼(30)로부터 에어모우터(AM)에 의해 일정량의 FLUX가 에어와 혼합·공급되도록 설치되고 끝단부에는 분사용 나팔관(22)이 컨베이어(40) 상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4)에는 흡입호스(50)가 연결되되, 상기 제 1호퍼(30)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 2호퍼(60)에 연결되고 끝단부에 회수용 나팔관(32)이 결합된 흡입호스(50)에 의해 회수되고 필터(42)에 의해 걸러져 회수된 FLUX가 제 2호퍼(60)에 공급된 후, 상·하부 개폐밸브(44, 46)에 의해 재사용 가능하도록 제 1호퍼(30)로 공급되고 에어는 다시 송풍기(10)로 회수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제품을 브레이징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제 1호퍼(30)에 일정량의 FLUX를 채워 넣고 송풍기(10)를 구동시켜 일정압력의 에어를 공급호스(20)로 공급시킨다.
이상태에서, 상기 제 1호퍼(30) 하단부에 설치된 에어 모우터(AM)를 1회 구동시켜 그에 해당하는 만큼의 FLUX 정량이 송풍기(10)로부터 발생되어 공급호스(20)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와 혼합된 상태로 이송·되어 분사용 나팔관(22)을 통해 하방으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분사용 나팔관(22)의 하방에 위치된 프레임(12)에는 컨베이어(40)에 의해 제품이 이송되는 상태를 취하게 되므로 에어와 함께 혼합된 상태로 분사되는 FLUX가 제품에 도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FLUX가 제품에 분사·도포됨에 있어, 제품에 도포되지 못한 잔량의 FLUX는 컨베이어(40) 하방에 설치된 회수용 나팔관(32)에 의해 재사용 가능하도록 회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수용 나팔관(32)에 의해 회수된 잔량의 FLUX는 흡입호스(50)에 의해 제 2호퍼(60)로 공급된 후, 필터(42)에 의해 걸러져 FLUX는 제 2호퍼(60)내에 저장되고 에어는 흡입호스(50)에 의해 송풍기(10)로 회수·순환된다.
또한, 상기 회수용 나팔관(32)과 흡입호스(50)에 의해 제 2호퍼(60)로 회수·공급된 FLUX는 이에 설치된 상부밸브(44)와 하부밸브(46)의 순차적인 개폐에 따라 일정량씩 제 1호퍼(3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기(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량은 유량계(24)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에어 모우터(AM)에 의해 공급되는 FLUX는 로타리형태로 이루어진 공급휀(14)에 의해 단계적으로 일정량씩 에어가 공급되는 공급호스(20)내로 유입되어 에어와 함께 혼합된 상태로 공급·분사되며, 상기 제 2호퍼(60)에 설치된 상·하부 밸브(44, 46)는 상호간에 역방향 즉, 상부밸브(44)가 개방되면 하부밸브(46)는 폐쇄되고 반대로 상부밸브(44)가 폐쇄되면 하부밸브(46)가 개방되는 구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는 상·하부 밸브(44, 46)가 동시에 개방될 경우에 회수되는 에어의 흡입력에 의해 제 1호퍼(30)에 저장된 FLUX가 역으로 제 2호퍼(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1, 2호퍼(30, 60)내에는 저장된 FLUX량을 검지할 수 있는 센서(SW1, SW2)가 설치되고 이들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는 일반적인 전기신호방식에 의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 표기는 생략한다.
이와 같이하여, FLUX가 도포된 제품은 별도의 이송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브레이징로(70)로 이송되어 가열·용융되어 접합되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와 같이, 브레이징 장치가 연식방식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연속적인 FLUX의 공급이 요구되는 바, 연속적으로 FLUX가 공급될 경우에는 분사된 후, 도포되지 않은 FLUX량 즉, 회수되는 FLUX량이 점증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다량의 FLUX가 필터에 적층되므로 정상적인 FLUX의 회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제 2호퍼를 전기적인 방식(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함)에 의한 이중구조(2개)로 설치하게 되면, FLUX의 정상적인 회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는 하나의 제 2호퍼의 필터에 다량의 회수된 FLUX가 적층되면, 또 다른 하나의 제 2호퍼를 통하여 FLUX가 회수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FLUX를 에어에 의한 방식(건식)으로 분사·도포하므로써, 제품 표면에 오일층이 형성되더라도 정상적으로 FLUX의 도포가 이루어짐에 따라, 오일층 제거를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없고 또한, FLUX가 에어에 의해 분사·도포되므로 FLUX의 수분제거를 위한 건조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브레이징을 위한 FLUX 도포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브레이징작업이 간편·용이함은 물론, 브레이징을 위한 설비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설치 및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전력 및 연료 소모량을 줄여 에어지를 절감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수분 건조로 인한 억룩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깨끗한 표면상태를 이룰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에 있어서,
    송풍기(10)에 의해 일정압력의 에어를 발생시켜 공급호스로 공급하는 단계(S10);
    제 1호퍼(30)에 저장된 FLUX가 에어 구동모우터(AM)의 1회 구동에 의해 일정량이 공급호스(20)에 공급되어 에어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되는 단계(S20);
    공급호스(20)를 통해 에어와 혼합된 일정량의 FLUX가 분사용 나팔관(22)에 의해 분사되는 단계(S30);
    FLUX 분사시 제품에 도포되지 않은 잔량의 FLUX를 회수용 나팔관(32)과 흡입호스(50)를 이용하여 제 2호퍼(60)로 회수·공급하는 단계(S40);
    제 2호퍼(60)로 회수된 FLUX를 필터(42)로 걸러 상·하밸브(44, 46)를 통해 제 1호퍼(30)로 공급시키고 에어는 흡입호스(50)를 통해 송풍기(10)로 공급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2. 알루미늄 브레이징장치에 있어서,
    송풍기(10)의 토출구(2)과 흡입구(4)에 의해 에어가 공급 및 회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2)에는 공급호스(20)가 연결되되,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된 제 1호퍼(30)로부터 에어모우터(AM)에 의해 일정량의 FLUX가 에어와 혼합·공급되도록 설치되고 끝단부에는 분사용 나팔관(22)이 컨베이어(40) 상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흡입구(4)에는 흡입호스(50)가 연결되되,
    상기 제 1호퍼(30)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제 2호퍼(60)에 연결되고 끝단부에 회수용 나팔관(32)이 결합된 흡입입호스(50)에 의해 회수되고 필터(42)에 의해 회수된 FLUX는 제 2호퍼(60)에 공급된 후, 상·하부 개폐밸브(44, 46)에 의해 재사용 가능하도록 제 1호퍼(30)로 공급되고 에어는 다시 송풍기(10)로 회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모우터(AM)에는 로타리 형태의 공급휀(14)이 결합되어 1회 구동시 일정량의 FLUX가 에어와 혼합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장치.
KR1020010061119A 2001-10-04 2001-10-04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 KR20030028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119A KR20030028856A (ko) 2001-10-04 2001-10-04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119A KR20030028856A (ko) 2001-10-04 2001-10-04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242U Division KR200273973Y1 (ko) 2001-10-04 2001-10-04 알루미늄 브레이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856A true KR20030028856A (ko) 2003-04-11

Family

ID=2956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119A KR20030028856A (ko) 2001-10-04 2001-10-04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885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571A (ja) * 1995-06-06 1996-12-17 Kobe Steel Ltd フラックス循環器
KR20010002947A (ko) * 1999-06-18 2001-01-15 김형벽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KR20010002951A (ko) * 1999-06-18 2001-01-15 김형벽 공기 가압식 플럭스 자동 연속 공급/회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571A (ja) * 1995-06-06 1996-12-17 Kobe Steel Ltd フラックス循環器
KR20010002947A (ko) * 1999-06-18 2001-01-15 김형벽 무한 연속 용접용 플럭스 공급/회수장치
KR20010002951A (ko) * 1999-06-18 2001-01-15 김형벽 공기 가압식 플럭스 자동 연속 공급/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5555C (en) Differential coating for micro extruded tubes used in parallel flow heat exchangers
JP4774241B2 (ja) 塗装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塗装方法
JP2003285160A (ja) ろう材の塗布方法
CN105457820B (zh) 一种分段变速及柔性对接喷涂智能流水线
US10702939B2 (en) Cold-spray braze material deposition
CN101835349B (zh) 回流焊接方法
KR200273973Y1 (ko) 알루미늄 브레이징 장치
KR20030028856A (ko) 알루미늄 브레이징 방법 및 장치
JPH0624659B2 (ja) 缶胴体の塗装方法および塗装装置
JP5540817B2 (ja) はんだ付け装置及びフューム回収装置
TWI312812B (ko)
JP2004058157A (ja) ろう付面へフラックスを直接塗布する方法
CN115505920A (zh) 一种带有高温浸泡预脱脂结构的氧化镁涂层冷涂装置
JPH08117647A (ja) 静電粉体塗装装置
JPH11300245A (ja) 塗装用ロボット
JP3603710B2 (ja) 乾式フラックス塗布装置
CN1995894A (zh) 回路型热管结构
JP3208065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US11975343B1 (en) Automated press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cleaner
KR950007367B1 (ko) 납땜재료의 용사피막에 의한 금속재료의 납땜방법 및 그를 위한 납땜용 모재
JPH087656Y2 (ja) リフロー炉
CN213614877U (zh) 一种液态钎剂循环喷淋装置
CN213161623U (zh) 一种三合一双面视觉点胶设备
JP3149620B2 (ja) 塗料の色替え装置と色替え方法
JPS63242468A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コアのろう付け工法に於けるフラツクス塗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