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020A -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020A
KR20010000020A KR1019990032864A KR19990032864A KR20010000020A KR 20010000020 A KR20010000020 A KR 20010000020A KR 1019990032864 A KR1019990032864 A KR 1019990032864A KR 19990032864 A KR19990032864 A KR 19990032864A KR 20010000020 A KR20010000020 A KR 20010000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ading box
frame
wing bod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균
Original Assignee
안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균 filed Critical 안호균
Priority to KR101999003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020A/ko
Publication of KR2001000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0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 B60J7/16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load areas, e.g. rigid panels for pick-up truck beds
    • B60J7/162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load areas, e.g. rigid panels for pick-up truck beds hinged on on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용 적재함 상부를 덮어주는 커버를 자동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방면 전체가 커버링되게 균등하게 이등분되어 절첩되게 상호 힌지결합된 제1, 제2덮개수단과, 전원 및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발생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1덮개수단이 작동되도록 상호 연결된 구동수단과, 상기 제2덮개수단에 연결되어 제1, 제2덮개수단 작동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잡아주고 가이딩되게 구비된 서브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단순구조로 이루어져 덮개부의 작동에 따라 함께 연동되도록 상호 연결된 서브가이드수단에 의해 적재함에 설치된 각각의 덮개들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가이딩되어 개폐작동시 떨림 및 진동현상과 함께 마찰음 등이 최소화됨은 물론 덮개의 무게 하중이 다른 연결부위에 전달됨을 극소화시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덮개가 개폐 작동하므로, 그에 따른 설치 및 보수 등의 용이성, 작동 전/후 모두 견고하게 지지되어 적재함의 양측판과 덮개의 접촉을 막아 소음 및 파손됨이 방지되어 제품에 대한 견고한 내구성, 안전성 및 신뢰성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automatic open the ballot system for a wing body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량용 적재함 상부를 덮어주는 커버를 자동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덤프 트럭의 화물 적재함 상부 개방부위 전체를 덮어 적재물이 외부로 유출됨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된 이단절첩구조를 갖춘 한 조의 덮개부재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되어 적재함 상부를 손쉽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 트럭의 적재함에 건축용 골재 또는 폐자재등을 적재한 후 운반이송이 이루어지므로, 운행중 바람에 날리거나 진동등에 의해 적재함 외부로 유출되어 도로상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 또는 천등의 덮개를 별도 설치하여 작업자가 직접 덮개를 적재화물 상부면 전체가 커버링되게 씌운 다음 일일히 묶음용 끈 등을 사용하여 적재함에 견고하게 묶어 줌은 물론 해당 목적지까지 운송이 완료된 경우 다시 적재함에 덮어진 덮개를 걷어 원상태로 접은 후 보관하는 등, 그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적재함에 덮개를 씌우고 걷는 작업을 대부분의 운행자가 기피하여 운송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거리는 적재된 화물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적재함에 덮개를 씌워 적재물을 외부로부터 은폐시켜 미관을 좋게 하고 주행중 적재물이 강한 바람에 의해 휘날려 도로 및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적재물이 떨어져 도로의 파손 및 인접차량의 손상등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적재함에 덮개를 씌우거나 벗기는 작업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간단하게 단시간에 덮개를 자동적으로 덮거나 걷어내어 안전사고 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레일 또는 체인등 각종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개발되어 선 출원된 다수의 장치들이 있긴 하나 본 발명과 비교할 정도의 장치들이 아니므로 그에 따른 각 구성 등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수단중 적재함 상단 개방부위 전체가 한 쌍의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추어 국내 선 출원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4-788호의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덮개판 자동 개폐장치(도시생략)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감속기와 연동되는 좌우 및 후측축간은 적재함의 상주연에 고정된 축설부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하고 축간에는 다수의 받침간을 개재시킨 지지간과 망포지로서 후측 및 좌우덮개판을 구성한 것에 있어서, 좌우덮개판의 지지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축지구를 끼움 고정하여 받침간 및 지지간과 망포지로서 가리개판을 형성하고 축지구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끼움된 받침간의 걸림턱이 전후로 걸림되어 15°각도의 범위로 요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화물 자동차 적재함의 덮개판 자동 개폐장치의 덮개는 적재함의 가로길이가 약 2.4m정도이므로 한 쪽덮개의 너비가 1.2m정도가 되어 화물차 측면 적재함에 상기 덮개를 장착할 경우 회전반경이 커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고, 전선등 주변 지형지물의 영향을 받아 사용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또 덮개가 넓은 반경으로 회전하게 되어 회동축에 높은 하중이 발생되어 구동모터에 상당한 부하가 걸리고 불필요하게 큰 용량의 모터가 설치되어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으며, 또한 덮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덮개가 차량의 적재함 측면에 각각 연결된 상태이므로 덮개가 후륜까지 내려오게 되어 차량 후방의 사각지대 범위가 확대되는 결점이 있음은 물론 운행시 넓은 면적의 망포지가 공기의 저항에 의한 소음(풍절음) 및 빈번하게 파손되는 결점들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장치는 특히, 덮개 장착 구조상 회동축이 적재함 상단에 위치에 필수적으로 설치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건설용 중장비인 드래그 셔블(drag shovel/포클 레인) 및 셔블 로더(shovel loader/페이 로더)에 의한 화물적재 작업시 장비의 셔블(버킷)의 간섭 잦은 충돌에 의해 축이 자주 파손됨과 동시에 적재량이 많으면 상기 덮개가 완전하게 덮어주질 못하여 덮개의 중간부분은 상부로 들린 상태이므로 결국 적재함의 화물이 날리거나 유출되는 중대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의 결점들이 보완되어 국내 선 출원된 또 다른 특허 공개번호 제98-8755호의 화물차 적재함덮개의 자동개폐장치(도시생략)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또 다른 종래 발명의 장치는 포장과 포장지지틀로 구성되는 덮개부를 덮개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시켜 적재함을 개폐시키는 화물차 적재함덮개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바와 바축으로 구성되어 제1덮개부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을 지지하는 브라켓트에 의해 구성되는 제1덮개부구동 수단과, 포장지지틀과 바와 포장지지틀을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지는 제2덮개부와, 상기 제2덮개부를 절첩시킬 수 있는 제2덮개부 절첩수단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제2덮개부 절첩수단이 적재함의 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트와, 힌지부와 절곡부를 구비하는 제1작동봉과, 역시 힌지부와 절곡부, 길이조절부를 구비하는 제2작동봉과, 일단에는 힌지부를 타단에는 포장지지틀 고정부를 중간부에는 바축결합부가 구비된 제3작동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종래 발명의 기술 수단에 따른 화물차 적재함덮개의 자동개폐장치는 덮개가 각각 이등분되어 절첩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적재함의 양측면 상단부가 아니 외측면에 장착되어 선 출원된 종래 고안의 각종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 보완하였으나, 상기 적재함에 설치된 덮개를 개폐작동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작동되지 못하고 떨림 및 진동과 함께 하중에 의한 마찰음 등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으며, 상기 다수의 금속 파이프가 상호 결합된 포장지지틀이 자체 하중이 회동축, 브라켓트, 바, 고정부 및 제2절첩수단등에 전달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잦은 파손 등에 의해 장치의 오작동 발생으로 유지보수비용등이 증가되어 제품에 대한 상품성 및 신뢰성과 함께 안전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장치가 더욱 단순하게 이루어져 덮개부의 작동에 따라 함께 연동되도록 상호 연결된 별도의 서브가이드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에 설치된 덮개를 개폐작동시 떨림 및 진동과 함께 마찰음등을 최소시킴은 물론 덮개의 무게 하중이 상기 서브가이드수단에 의해 해소되어 다른 연결부위에 전달됨을 극소화시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덮개가 개폐작동할 수 있는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가 트럭의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의 덮개들이 적재함의 상부 개방부위를 커버링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가 작동전 구성요소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덮개들과 서브가이드부간의 상호 연결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의 덮개들이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각각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부 11 : 구동모터 12 : 회동축
13 : 브라켓트 14 : 스토퍼 20 : 제1덮개부
21 : 프레임 22 : 포장덮개 30 : 제2덮개부
31 : 작동지지대 40 : 서브가이드부 41 : 수평가이드봉
41a: 고정브라켓트 42 : 연결지지부재 42a: 제1연결봉
42b: 가이드베어링 42c(43b): 볼트부 43a: 제2연결봉
44a: 중간연결봉 44b: 조절너트 50 : 적재함
51 : 캐빈커버플레이트(cabin cover pl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역회동되게 이루어진 구동모터에 각각 회동축이 상호 연결되고, 이 회동축들이 적재함의 양측판 외측 일면에 동일 수평선상으로 설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다수개의 브라켓트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호 결합된 구동수단과, 적재함 상부 개방부위 일부가 커버링되게 대응되는 설정형상으로 프레임이 형성되고, 이 프레임에 합성수지 또는 천등의 포장덮개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덮개수단과, 상기 제1덮개수단의 각 프레임 일측부 선/후단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수단의 각 회동축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작동지지대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동에 따라 함께 작동되게 형성된 제2덮개수단과, 한 쌍의 수평가이드봉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브라켓트가 결합되고, 이 고정브라켓트들의 하부면이 상기 적재함의 선단에 연장된 캐빈커버플레이트(cabin cover plate)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 고정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수평가이드봉을 따라 안내 이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덮개수단의 각 프레임 타측부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연결지지부재가 구비된 서브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구동수단의 각 회동축에는 상기 적재함의 양측판 상단 일면에 접촉됨에 의해 상기 각 회동축의 회동범위가 단속되도록 이 회동축들 외측면 설정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일정길이 돌출 연장된 스토퍼가 각각 부착 고정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지지부재는 소정위치에서 설정방향으로 절곡되며 일단부에 상기 수평가이드봉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베어링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일정길이 너트결합 가능하게 볼트부가 형성된 제1연결봉과, 중간부분이 대략 직각으로 이단 절곡되어 설정형상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제1덮개수단의 각 프레임 타측부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소정길이 너트결합되게 볼트부가 형성된 제2연결봉과, 상기 제1, 제2연결봉의 각 타단부가 삽입되게 이루어져 양단부에 조절너트가 구비되고, 이 조절너트가 상기 제1, 제2연결봉의 각 볼트부에 상호 나사결합되어 선택 조정에 따라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연결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순구조로 이루어져 덮개부의 작동에 따라 함께 연동되도록 상호 연결된 서브가이드수단에 의해 적재함에 설치된 각각의 덮개들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가이딩되어 개폐작동시 떨림 및 진동현상과 함께 마찰음등이 최소됨은 물론 덮개의 무게 하중이 다른 연결부위에 전달됨을 극소화시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덮개가 개폐작동하므로, 그에 따른 장치의 설치 및 보수의 용이성, 내구성등이 향상되고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등이 증대하여 고객의 만족도가 함께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가 트럭의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의 덮개들이 적재함의 상부 개방부위를 커버링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가 작동전 구성요소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가 작동되어 덮개들과 서브가이드부간의 상호 연결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며,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의 덮개들이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각각의 측단면도 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은 화물차량의 적재함덮개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량의 적재함(50) 상부 개방면 전체가 커버링되게 균등하게 이등분되어 절첩되게 상호 힌지결합된 제1, 제2덮개부(20, 30)와, 전원 및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발생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1덮개부(20)가 작동되도록 상호 연결된 구동부(10)와, 상기 제2덮개부(30)에 연결되어 제1, 제2덮개부(20, 30) 작동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잡아주고 가이딩되게 구비된 서브가이드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0)는 정역회동되게 이루어진 구동모터(11)들에 각각 회동축(12)이 상호 연결되고, 이 회동축(12)들이 적재함(50)의 양측판 외측 일면에 동일 수평선상으로 설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다수개의 브라켓트(13)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회동축(12)에는 상기 적재함(50)의 양측판 상단 일면에 접촉됨에 의해 상기 각 회동축(12)의 회동범위가 단속되도록 이 회동축(12)들 외측면 설정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일정길이 돌출 연장된 다수의 스토퍼(14)가 각각 부착 고정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덮개부(20)는 적재함(50) 상부 개방부위 일부가 커버링되게 대응되는 설정형상으로 프레임(21)이 형성되고, 이 프레임(21)에 합성수지 또는 천등의 포장덮개(22)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덮개부(30)는 상기 제1덮개부(20)의 각 프레임(21) 일측부 선/후단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부(10)의 각 회동축(12)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작동지지대(31)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12)의 회동에 따라 함께 링크 작동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서브가이드부(40)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봉(41)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브라켓트(41a)가 결합되고, 이 고정브라켓트(41a)들의 하부면이 상기 적재함(50)의 선단에 연장된 캐빈커버플레이트(51)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 고정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수평가이드봉(41)을 따라 안내 이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덮개부(20)의 각 프레임(21) 타측부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연결지지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결지지부재(42)는 소정위치에서 설정방향으로 절곡되며 일단부에 상기 수평가이드봉(41)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베어링(42b)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일정길이 너트결합 가능하게 볼트부(42c)가 형성된 제1연결봉(42a)과, 중간부분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이단 절곡되어 설정형상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제1덮개부(20)의 각 프레임(21) 타측부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소정길이 너트결합되게 볼트부(43b)가 형성된 제2연결봉(43a)과, 상기 제1, 제2연결봉(42a, 43a)의 각 타단 볼트부(42c, 43b)가 삽입되게 이루어져 양단부에 조절너트(44b)가 구비되고, 이 조절너트(44b)가 상기 제1, 제2연결봉(42a, 43a)의 각 볼트부(42c, 43b)에 상호 나사결합되어 선택 조정에 따라 길이조절 가능하게 작동되도록 형성된 중간연결봉(44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사용전에는 적재함(50)을 덮어주기 위한 제1 및 제2덮개부(20, 30)가 적재함(50)의 양측판의 외측면에 내면이 상호 맞주보게 절첩되어 겹처진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50)에 토사, 골재 및 건축용 폐자재물등이 건설용 중장비에 의해 해당 화물을 적재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소정의 작동스위치를 온(ON)시켜 상기 구동부(10)의 구동모터(11)가 작동됨에 따라 상호 연결된 회동축(12)들이 다수의 브라켓트(13)들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정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때 회동축(12)에 형성된 다수의 스토퍼(14)들에 의해 회동범위가 단속되므로 설정된 각도까지만 회동축(12)이 작동됨과 동시에 구동모터(11)가 정지된다.
상기 회동축(12)이 회동됨에 따라 선/후단에 상호 결합된 다수의 작동지지대(31)들이 회동방향을 따라 함께 상승되므로, 작동지지대(31)에 힌지결합된 제1덮개부(20)도 함께 상승 작동된다.
여기서, 제1덮개부(20)의 프레임(21) 선단에 힌지결합된 서브가이드부(40)의 연결지지부재(42)에 의해 상기 적재함(50)의 캐빈커버플레이트(51)에 결합된 고정브라켓트(41a)들에 고정된 수평가이드봉(41)들을 따라 이동되는 제1연결봉(42a)의 가이드베어링(42b)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안내되고 원활하게 제1덮개부(42a)가 상승됨과 동시에 펼처지게되므로, 상기 적재함(50)의 상부 개방부위 전체가 두 조의 제1 및 제2덮개부(20, 30)에 의해 완전하게 덮어져 커버링되어 적재된 화물이 외부로 유출됨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안전사고 및 견고하게 지지되어 주행중 공기저항에 의한 풍절음, 접촉소음등이 극소화 된다.
또한, 적재함(50)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시 또는 하역 후 에는 사용자가 작동스위치를 오프(OFF)시키면 상기 구동부(10)의 구동모터(11)가 역회전하여 회전축(12)도 함께 역회동되므로, 상기 작동순서의 역순으로 제1 및 제2덮개부(20, 30)가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50)의 양측판의 외측면에 내면이 상호 맞주보게 절첩되어 겹처진 최초상태로 위치된다.
한편, 상기한 서브가이드부(40)는 잦은 사용에 따라 제1 및 제2덮개부(20, 30)간의 힌지결합 부위가 마모등에 의해 느슨해져 처짐현상이 발생될 경우 상기 연결지지부재(42)의 제1 및 제2연결봉(42a, 43a)의 각 볼트부(42c, 43b)에 연결된 중간연결봉(44a)의 조절너트(44b)들을 대응되게 선택 조정하여 제1, 제2연결봉(42a, 43a)의 축간거리를 간단하고 자유롭게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덮개부(20, 30)의 처짐현상을 해소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구조로 이루어져 덮개부의 작동에 따라 함께 연동되도록 상호 연결된 서브가이드부에 의해 적재함에 설치된 각각의 덮개들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가이딩되어 개폐작동시 떨림 및 진동현상과 함께 마찰음등이 최소됨은 물론 덮개의 무게 하중이 다른 연결부위에 전달됨을 극소화시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덮개가 개폐작동함은 물론 제1 및 제2덮개부간의 상호 힌지연결부위가 마모등에 의해 발생되는 처짐현상을 간단하고 손쉽게 조절하여 보상이 가능하므로, 그에 따른 장치의 설치 및 보수등이 용이하고 덮개의 작동 전/후 모두 견고하게 지지되어 적재함의 양측판과 접촉을 막아 소음 및 파손됨이 방지되어 제품에 대한 견고한 내구성, 안전성 및 신뢰성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정역회동되게 이루어진 구동모터(11)에 각각 회동축(12)이 상호 연결되고, 이 회동축(12)들이 적재함(50)의 양측판 외측 일면에 동일 수평선상으로 설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다수개의 브라켓트(13)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호 결합된 구동수단과,
    적재함(50) 상부 개방부위 일부가 커버링되게 대응되는 설정형상으로 프레임(21)이 형성되고, 이 프레임(21)에 합성수지 또는 천등의 포장덮개(22)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덮개수단과,
    상기 제1덮개수단의 각 프레임(21) 일측부 선/후단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동수단의 각 회동축(12)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작동지지대(31)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12)의 회동에 따라 함께 작동되게 형성된 제2덮개수단과,
    한 쌍의 수평가이드봉(41)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브라켓트(41a)가 결합되고, 이 고정브라켓트(41a)들의 하부면이 상기 적재함(50)의 선단에 연장된 캐빈커버플레이트(51)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 고정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수평가이드봉(41)을 따라 안내 이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덮개수단의 각 프레임(21) 타측부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연결지지부재(42)가 구비된 서브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각 회동축(12)에는 상기 적재함(50)의 양측판 상단 일면에 접촉됨에 의해 상기 각 회동축(12)의 회동범위가 단속되도록 이 회동축(12)들 외측면 설정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일정길이 돌출 연장된 스토퍼(14)가 각각 부착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재(42)는 소정위치에서 설정방향으로 절곡되며 일단부에 상기 수평가이드봉(41)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베어링(42b)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일정길이 너트결합 가능하게 볼트부(42c)가 형성된 제1연결봉(42a)과,
    중간부분이 대략 직각으로 이단 절곡되어 설정형상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제1덮개수단의 각 프레임(21) 타측부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소정길이 너트결합되게 볼트부(43b)가 형성된 제2연결봉(43a)과,
    상기 제1, 제2연결봉(42a, 43a)의 각 타단부가 삽입되게 이루어져 양단부에 조절너트(44b)가 구비되고, 이 조절너트(44b)가 상기 제1, 제2연결봉(42a, 43a)의 각 볼트부(42a, 43b)에 상호 나사결합되어 선택 조정에 따라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연결봉(44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KR1019990032864A 1999-08-11 1999-08-11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KR20010000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864A KR20010000020A (ko) 1999-08-11 1999-08-11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864A KR20010000020A (ko) 1999-08-11 1999-08-11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20A true KR20010000020A (ko) 2001-01-05

Family

ID=1960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864A KR20010000020A (ko) 1999-08-11 1999-08-11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02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15B1 (ko) * 2007-10-22 2008-07-15 지용전 차량 적재함 덮개 무선 조절장치의 작동방법
KR200450471Y1 (ko) * 2010-04-16 2010-10-06 (주)백용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KR101252985B1 (ko) * 2011-06-17 2013-04-15 한재석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101309684B1 (ko) * 2012-08-03 2013-09-17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낙하물 방지수단이 설치되는 덤프트럭
KR102001347B1 (ko) * 2018-12-03 2019-07-17 한재석 적재함 덮개장치
KR20210000048A (ko) * 2019-06-24 2021-01-04 김호성 무개화차용 자동루프 워킹플로어 윙바디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315B1 (ko) * 2007-10-22 2008-07-15 지용전 차량 적재함 덮개 무선 조절장치의 작동방법
KR200450471Y1 (ko) * 2010-04-16 2010-10-06 (주)백용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KR101252985B1 (ko) * 2011-06-17 2013-04-15 한재석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101309684B1 (ko) * 2012-08-03 2013-09-17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낙하물 방지수단이 설치되는 덤프트럭
KR102001347B1 (ko) * 2018-12-03 2019-07-17 한재석 적재함 덮개장치
KR20210000048A (ko) * 2019-06-24 2021-01-04 김호성 무개화차용 자동루프 워킹플로어 윙바디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264B2 (en) Cover system for a transfer trailer
US5011214A (en) Truck box cover
KR20010000020A (ko)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WO1992013733A1 (en) Truck van closure having improved access means
KR101445314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1606054B1 (ko)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KR20100124379A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1908840B1 (ko) 트럭 적재함의 덮개장치
JPH09323546A (ja) バン型トラック
KR101252985B1 (ko)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200462915Y1 (ko) 화물차량의 화물덮개 장치
KR100439018B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100209824B1 (ko) 화물차 적재함덮개의 자동개폐장치
KR0137512B1 (ko) 트럭의 데크(Deck) 자동덮개장치
KR101856174B1 (ko) 덤프트럭의 자동덮개
KR102001347B1 (ko) 적재함 덮개장치
KR200173001Y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KR102652926B1 (ko) 코일철강 운반 트레일러용 덮개 장치
KR102232573B1 (ko) 암롤 박스의 잠금 구조체
JP3574572B2 (ja) トラック荷台の屋根装置
KR102226278B1 (ko)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KR19990035380U (ko) 화물차적재함용2단접이덮개의자동개폐장치
KR100229269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승하강 장치
KR200164594Y1 (ko) 화물차적재함덮개개폐장치
FR2857638A1 (fr) Dispositif de relevage d'un moyen de protection arriere d'un vehicule industriel et vehicule industriel equipe d'un tel disposi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