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471Y1 -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 Google Patents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471Y1
KR200450471Y1 KR2020100004039U KR20100004039U KR200450471Y1 KR 200450471 Y1 KR200450471 Y1 KR 200450471Y1 KR 2020100004039 U KR2020100004039 U KR 2020100004039U KR 20100004039 U KR20100004039 U KR 20100004039U KR 200450471 Y1 KR200450471 Y1 KR 200450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uck
state
cover body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록
Original Assignee
(주)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용 filed Critical (주)백용
Priority to KR2020100004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4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for utility vehicles, e.g. with slidable and foldable rigi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 상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측면에서 적재할 수 없는 크기가 큰 화물을 상부개방부위를 통하여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공간이 협소한 공장 내부등에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차시 양측면 윙을 개방할 수 없는 경우 상측을 통해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 양측면이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50)의 상부 양측 길이방향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2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되는 다수개의 이동프레임(10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연결프레임(260)을 매개로 연결되는 동작부(20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과, 동작부(200)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적재함(50)의 내측을 개폐하는 커버체(30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으로 상기 커버체(300)가 접히는 경우 상기 커버체(300)의 원활한 접힘을 유도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0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기 커버체(3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접힘유도구(40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으로 상기 커버체(300)가 상기 적재함(50)의 내측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적재함(50)의 상부 가로프레임(30)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동작부(2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커버체(3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걸림프레임(5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A WING BODY TRUCK HAVING OPENED AND SHUTTED COVER TO FOLD}
본 고안은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 상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측면에서 적재할 수 없는 크기가 큰 화물을 상부개방부위를 통하여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공간이 협소한 공장 내부등에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차시 양측면 윙을 개방할 수 없는 경우 상측을 통해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윙바디(wing body)트럭은 화물의 적재 및 하역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화물적재함의 양측면이 날개처럼 상측으로 개방되는 윙(wing), 즉 덮개부가 구비된 화물트럭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윙바디트럭은 양측 윙이 윙바디의 윗면 중앙선을 기준으로 분할 장착되고, 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양측 윙이 호를 그리면서 상향하여 서서히 트럭 적재함이 외부로 드러나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작동되는종래의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시 윙바디의 측면을 통해 화물을 적재하게 되는데, 크기가 큰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하는 경우에는 적재함의 측면을 통해 적재해야함으로 작업성이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적재함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는 화물은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 상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크기가 커서 측면에서 적재할 수 없는 화물을 상부개방부위를 통하여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공간이 협소한 공장 내부등에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차시 양측면 윙을 개방할 수 없는 경우 상측을 통해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접혀진 상태의 커버체가 적재함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적재함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는 화물을 상측에서 적재시 커버체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접힘유도구를 마련하여 접혀지는 면 재질의 커버체가 불규칙하게 접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체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트럭의 적재함 양측면이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50)의 상부 양측 길이방향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2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되는 다수개의 이동프레임(10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연결프레임(260)을 매개로 연결되는 동작부(20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과, 동작부(200)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적재함(50)의 내측을 개폐하는 커버체(30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으로 상기 커버체(300)가 접히는 경우 상기 커버체(300)의 원활한 접힘을 유도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0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기 커버체(3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접힘유도구(40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으로 상기 커버체(300)가 상기 적재함(50)의 내측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적재함(50)의 상부 가로프레임(30)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동작부(2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커버체(3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걸림프레임(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윙바디 트럭의 상부가 커버체에 의해 개폐되므로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 측면에서 적재할 수 없는 크기가 큰 화물을 상부개방부위를 통해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고, 실내공간이 협소한 공장 내부등에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차시 양측면 윙을 개방할 수 없는 경우 상측을 통해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또한, 접혀진 상태의 커버체가 적재함의 상부게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적재함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는 화물을 커버체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트럭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의한 이동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커버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는 본 고안의 동작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는 본 고안의 동작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는 본 고안의 동작부에 걸림프레임이 연결되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접힘유도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는 본 고안의 커버체가 접혀진 경우 접힘유도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연결끈과 체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윙바디 트럭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의한 이동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커버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동작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는 본 고안의 동작부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는 본 고안의 동작부에 걸림프레임이 연결되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접힘유도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는 본 고안의 커버체가 접혀진 경우 접힘유도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연결끈과 체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럭의 적재함 양측면이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상부 양측 길이방향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된느 이동프레임, 동작부, 커버체, 접힘유도구, 걸림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프레임(100)은 트럭의 적재함(50)의 상부 양측 길이방향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2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이동프레임(100)은 일정길이를 갖는 철재의 막대(110)와 상기 막대(110)의 양측단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연결되는 연결구(12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구(120)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간섭되는 이동롤러(125)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이동롤러(125)의 회전에 의해 이동프레임(10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상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왕복이동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은 운전석이 마련된 트럭의 본체(10) 상부까지 연장되게 설치된 것으로, 본 고안의 상부 커버를 개방하는 경우 절첩된 커버가 적재함의 개방된 상측개구부에 위치하지 않게 됨으로써 적재함의 상측개구공간이 더욱 넓은 면적으로 확보되어 적재함과 유사한 길이를 갖는 화물까지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2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연결프레임(260)을 매개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동작부(2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다수개의 회전롤러(213)를 매개로 연결되는 이동체(210)와, 상기 이동체(210)에 일측이 핀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후술되는 걸림프레임(500)이 결합되는 회전체(220)와, 상기 회전체(220)의 타측이 걸림되게 상기 이동체(210)에 설치되는 걸림구(230)와, 상기 이동체(210)와 회전체(220)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체(22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탄성스프링(240)과, 상기 이동체(21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프레임(260)에 연결되는 결속체(250)로 구성된다.
상기 동작부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체(210)는 "∩"형의 제1몸체(211)와 상기 제1몸체(211)의 길이방향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형의 제2몸체(215)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제1몸체(211)의 하측면에 상기 회전롤러(21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220)는 하측이 개구된 박스체로 상기 이동체(210)의 제2몸체(215)에 일측이 핀 결합된 것으로, 핀 결합부위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220)의 측면에는 후술되는 걸림구(230)에 걸림되게 걸림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구(230)는 상기 이동체(210)의 제2몸체(215)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몸체(215)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중공형 관체(231)와, 상기 관체(231)의 내측에 위치하되 일측이 상기 제2몸체(215)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걸림체(233)와, 상기 돌출걸림체(233)를 감싼 상태로 상기 관체(23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걸림체(23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23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걸림체(233)의 타측에는 연결고리(23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240)은 상기 이동체(210)와 회전체(220)사이에 설치되어 일측단은 상기 회전체(220)에 간섭되고, 타측단은 상기 이동체(210)에 간섭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체(220)를 상측으로 회전된 상태로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작부는 상기 회전체(220)를 상기 탄성스프링(240)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회전체(220)가 상기 이동체(210)방향으로 접혀져 상기 걸림구(230)에 걸린상태로 있게 되고, 걸림상태에 있는 상기 걸림구(230)를 해제하면 상기 회전체(220)는 상기 탄성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커버체(300)는 상기 이동프레임(100)과, 동작부(200)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적재함(50)의 내측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체(300)는 방수처리된 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힘유도구(400)는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으로 상기 커버체(300)가 접히는 경우 상기 커버체(300)의 원활한 접힘을 유도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0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기 커버체(300)의 하측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접힘유도구(400)는 상호 근접된 이동프레임의 연결구(120)를 상호연결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00)이 이동되면 상측으로 굴곡지게 접혀짐으로써 면 재질의 상기 커버체(300)가 불규칙하게 접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힘유도구(400)에는 상기 접힘유도구(400)의 반복적인 접힘동작에 의한 접힘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돌출구(4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체(300)의 반복적인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접힘유도구(400)의 접힘부위에 피로가 누적되면 상기 접힘유도구(400)의 접힘부위가 파손되는데, 상기 돌출구(410)는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힘유도구(400)가 접혀지게 되면 상기 돌출구(410)간의 끝단이 상호 간섭됨으로써 접혀지는 부위가 완만하게 굴곡진 상태에 있게 되어 계속적인 반복 접힘동작에도 상기 접힘유도구(400)의 접힘부위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접힘유도구(4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프레임(500)은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으로 상기 커버체(300)가 상기 적재함(50)의 내측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적재함(50)의 상부 가로프레임(30)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동작부(2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커버체(300)의 하측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걸림프레임(500)은 상기 동작부(200)의 회전체(220)에 일측면이 볼트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부(200)의 회전체(220)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되거나 상측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상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적재함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는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걸림구(230)의 타측 연결고리(236)에 걸려 있는 연결끈(600)을 잡아 당긴다.
상기 연결끈(60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걸림구(230)의 돌출걸림체(233)가 이동되면서 상기 돌출걸림체(233)에 걸려있던 상기 회전체(220)가 탄성스프링(240)의 탄성에 의해 이동체(21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220)에 볼트결합된 걸림프레임(500)또한 회전되어 적재함(50)의 상부 가로프레임(30)으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걸림프레임(500)에 설치된 체인(700)을 잡은 상태로 트럭의 운전석이 설치된 본체(10)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프레임(100)과 동작부(200)가 이동롤러(125)와 회전롤러(213)에 의해 가이드프레임(2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00)과 동작부(200)의 상측에 설치된 커버체(300)가 절첩되면서 접혀져 적재함의 상부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10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기 커버체(300)의 하측에 설치된 접힘유도구(400)에 의해 면 재질의 커버체(300)가 상측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균일하게 접혀지게 되고, 상기 접힘유도구(400)는 돌출구(410)로 인해 완전히 접혀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접혀진 커버체(300)는 운전석이 마련된 트럭의 본체(10)상부까지 연장된 상기 가이드프레임(30)에 접혀져 있게 됨으로 적재함의 상측개구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어 적재함의 길이와 유사한 화물도 적재함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내린 후, 적재함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작업자는 걸림프레임(500)에 설치된 체인(700)을 잡은 상태로 적재함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접혀져 있던 커버체(300)가 펴지면서 적재함의 상측을 폐쇄하게 된다.
그런 후, 걸림프레임(500)에 설치된 체인(700)을 잡아당겨 상기 적재함(50)의 상부 가로프레임(30)에 걸림되게 하여 상기 이동프레임(100)과 동작부(200)의 이동을 제한하면 적재함 상측이 커버체(300)로 인해 폐쇄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가이드프레임 30: 가로프레임
50: 적재함 100: 이동프레임 110: 막대
120: 연결구 125: 이동롤러 200: 동작부
210: 이동체 211: 제1몸체 213: 회전롤러
215: 제2몸체 220: 회전체 221: 걸림홈
230: 걸림구 231: 관체 233: 돌출걸림체
235: 코일스프링 236: 연결고리 240: 탄성스프링
250: 결속체 260: 연결프레임 300: 커버체
400: 접힘유도구 410: 돌출구 500: 걸림프레임
600: 연결끈 700: 체인

Claims (4)

  1. 트럭의 적재함 양측면이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50)의 상부 양측 길이방향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2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되는 다수개의 이동프레임(10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연결프레임(260)을 매개로 연결되는 동작부(20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과, 동작부(200)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적재함(50)의 내측을 개폐하는 커버체(30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으로 상기 커버체(300)가 접히는 경우 상기 커버체(300)의 원활한 접힘을 유도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0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상기 커버체(3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접힘유도구(400)와;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으로 상기 커버체(300)가 상기 적재함(50)의 내측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적재함(50)의 상부 가로프레임(30)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동작부(2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커버체(3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걸림프레임(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2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다수개의 회전롤러(213)를 매개로 연결되는 이동체(210)와; 상기 이동체(210)에 일측이 핀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프레임(500)이 결합되는 회전체(220)와; 상기 회전체(220)의 타측이 걸림되게 상기 이동체(210)에 설치되는 걸림구(230)와; 상기 이동체(210)와 회전체(220)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체(22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탄성스프링(240)과; 상기 이동체(21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프레임(260)에 연결되는 결속체(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은 운전석이 마련된 트럭의 본체(10) 상부까지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유도구(400)에는, 상기 접힘유도구(400)의 반복적인 접힘동작에 의한 접힘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돌출구(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KR2020100004039U 2010-04-16 2010-04-16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KR200450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39U KR200450471Y1 (ko) 2010-04-16 2010-04-16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39U KR200450471Y1 (ko) 2010-04-16 2010-04-16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471Y1 true KR200450471Y1 (ko) 2010-10-06

Family

ID=4447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039U KR200450471Y1 (ko) 2010-04-16 2010-04-16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47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143A (ko) * 1998-06-30 1998-10-07 진춘식 차량용 적재함의 자동 덮개장치
KR20010000020A (ko) * 1999-08-11 2001-01-05 안호균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KR100837780B1 (ko) 2007-01-11 2008-06-13 정태일 윙바디 차량의 윙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143A (ko) * 1998-06-30 1998-10-07 진춘식 차량용 적재함의 자동 덮개장치
KR20010000020A (ko) * 1999-08-11 2001-01-05 안호균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KR100837780B1 (ko) 2007-01-11 2008-06-13 정태일 윙바디 차량의 윙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803B1 (ko) 절첩식 컨테이너
CN204998593U (zh) 折叠童车及用于其的手柄组合件
US20200214929A1 (en) Thermotherapy device
CN101969806A (zh) 用于运输工具或相似物的手提箱
CN106510284A (zh) 一种折叠床
CN106163618A (zh) 绳索抓具
KR200450471Y1 (ko)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CN109823720A (zh) 硬顶集装箱顶盖开合机构
EP1623935B1 (en) Container with sliding canopy construction
CN209634376U (zh) 一种车载杂货柜
KR100641080B1 (ko) 컨테이너
US6385816B1 (en) Handle for a vehicle lift gate
CN208412884U (zh) 垃圾车
CN205558609U (zh) 一种多连杆气控式引擎盖开启装置
CN204056876U (zh) 一种集装箱
JP5604363B2 (ja) 貨物車両の荷箱の扉装置
CN209291152U (zh) 顶盖可打开的硬顶集装箱
KR101845420B1 (ko)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KR200474646Y1 (ko) 좌우 개폐 방식의 열림판을 갖는 절첩식 컨테이너
KR100994015B1 (ko) 트럭 적재함의 캐치 구조
KR101170511B1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수납장치
KR101043845B1 (ko)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JP3958782B1 (ja) ベルト調節具
KR20160066247A (ko) 탑차의 측면 도어 오픈 및 폐쇄장치
KR101231320B1 (ko) 절첩식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